KR100562670B1 - Hand-off method and materialized system using subnet - Google Patents

Hand-off method and materialized system using subn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2670B1
KR100562670B1 KR1020030046743A KR20030046743A KR100562670B1 KR 100562670 B1 KR100562670 B1 KR 100562670B1 KR 1020030046743 A KR1020030046743 A KR 1020030046743A KR 20030046743 A KR20030046743 A KR 20030046743A KR 100562670 B1 KR100562670 B1 KR 100562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net
address
unit
mobile
handof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67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06786A (en
Inventor
원종규
권택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6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2670B1/en
Publication of KR20050006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67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6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6Reselecting a communication resource in the serving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Abstract

본 발명은 서브넷을 이용한 핸드오프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off method using a subnet and a system implement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체에 형성된 서브넷에 서브넷 단위 IP 주소를 할당한 후, 상기 할당된 서브넷 단위 IP 주소에 따라 IP망을 통해 수신된 패킷 데이터를 해당 이동체에 형성된 서브넷으로 라우팅하고, 핸드오프 요구시 상기 형성된 서브넷 단위로 핸드오프를 승인하는 비에스알과; 상기 할당된 서브넷 단위 IP 주소에 따라 서브넷을 형성하는 단말기로 IP 주소를 할당하여, 상기 비에스알로부터 수신된 패킷 데이터를 해당 단말기로 라우팅함과 아울러, 이동체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형성된 서브넷 단위로 핸드오프를 요구하는 엠에이알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assigns a subnet unit IP address to a subnet formed in a mobile unit, and then routes packet data received through an IP network according to the assigned subnet unit IP address to a subnet formed in the mobile unit, and upon request for handoff, A BS for approving handoffs per subnet; By assigning an IP address to a terminal forming a subnet according to the assigned subnet unit IP address, routing packet data received from the BS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and handoff to the formed subnet unit when the mobile moves. It is comprised with the MR which requests | requires.

따라서, 본 발명은 배, 지하철, 기차 등의 이동체를 통해 동일한 네트워크 도메인을 유지한 채 이동 중인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로 이동성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동일한 네트워크 도메인을 갖도록 이동체에 형성된 서브넷에 서브넷 단위 IP 주소를 할당하고, 그에 따라 상기 이동체 내 각 단말기로 IP 주소를 할당한 후, 이동체가 이동할 시 상기 이동체에 형성된 서브넷 단위로 핸드오프를 수행함으로써, 개개의 단말기가 핸드오프를 각자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단말기가 동시에 핸드오프를 수행하여, 시스템에 순간적인 과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동일한 이동체 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단말기로 이동성을 지원하면서도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용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same network in a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obility to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notebook computer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while moving while maintaining the same network domain through mobile devices such as ships, subways and trains. By assigning a subnet unit IP address to a subnet formed in the mobile unit to have a domain, and assigning an IP address to each terminal in the mobile unit accordingly, handoff is performed by the subnet unit formed in the mobile unit when the mobile unit moves. Since terminals do not perform handoffs individually, but multiple terminals simultaneously perform handoffs to prevent instantaneous overloading of the system, the system can be stably supported while supporting mobility to multiple terminals existing in the same moving object. It is effective to operate.

Description

서브넷을 이용한 핸드오프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시스템{HAND-OFF METHOD AND MATERIALIZED SYSTEM USING SUBNET} HAND-OFF METHOD AND MATERIALIZED SYSTEM USING SUBNET}             

도1은 종래 모바일 IP를 이용한 차세대 이동통신망의 구성을 간략히 나타낸 망구성도.1 is a networ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conventional mobile IP.

도2는 본 발명 서브넷을 이용하여 핸드오프를 구현한 통신 시스템의 망 구성을 간략히 보인 망구성도.Figure 2 is a network configuration showing a simplified network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system implementing a handoff using the present invention subnet.

도3은 본 발명 서브넷을 이용한 핸드오프 방법에서, 엠에이알(MAR)이 초기화 상태에서 하나의 서브넷을 형성하여 등록하는 과정의 신호 흐름을 보인 신호흐름도.FIG. 3 is a signal flow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flow of a process of registering and forming one subnet in an initialization state in a handoff method using a subne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4는 본 발명 서브넷을 이용한 핸드오프 방법에서, 이동체가 제1 에프에이에스(FAS)의 서비스 영역에서 제2 에프에이에스(FAS)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체 내의 단말기가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과정의 신호 흐름을 보인 신호흐름도.4 is a signal of a process in which a terminal in a mobile station performs handoff when a mobile moves from a service area of a first FAS to a second FAS service area in a handoff method using a subnet of the present invention; Signal flow diagram showing flow.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 IP망 200 : 비에스알(BSR)100: IP network 200: BSR

300∼330 : 에프에이에스(FAS) 400 : 엠에이알(MAR)300 to 330: FAS 400: MAR

500 : 이동체 600∼620 : 단말기500: mobile body 600-620: terminal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 지하철, 기차 등의 이동체를 통해 동일한 네트워크 도메인을 유지한 채 이동 중인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로 이동성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동일한 네트워크 도메인을 갖도록 이동체에 형성된 서브넷에 서브넷 단위 IP 주소를 할당하고, 그에 따라 상기 이동체 내 각 단말기로 IP 주소를 할당한 후, 이동체가 이동할 시 상기 이동체에 형성된 서브넷 단위로 핸드오프를 수행함으로써, 개개의 단말기가 핸드오프를 각자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단말기가 동시에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서브넷을 이용한 핸드오프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system, and in particular, a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obility to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notebook computers, and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moving while maintaining the same network domain through mobile devices such as ships, subways, and trains. In the present invention, a subnet unit IP address is assigned to a subnet formed in a mobile unit to have the same network domain, and accordingly an IP address is assigned to each terminal in the mobile unit, and when the mobile unit moves, handoff is performed in the subnet unit formed in the mobile unit. By doing s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off method using a subnet in which a plurality of terminals simultaneously perform handoffs, rather than individual terminals performing handoffs, and a system implementing the same.

도1은 종래 모바일 IP를 이용한 차세대 이동통신망의 구성을 간략히 나타낸 망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IP망(10), 홈 에이전트(Home Agent)(11), 다수 개의 단말기(12-1∼12-3,14), 방문 에이전트(Foreign Agent)(13)로 구성된다. 1 is a networ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conventional mobile IP. As shown in FIG. 1, an IP network 10, a home agent 11,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12-1 to FIG. 12-3 and 14, and a foreign agent 13.

일반적으로,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 무선랜(Wireless LAN)망 구축을 할 시 필수적인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모바일 IP(Mobile 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은, 이동 호스트 혹은 단말기(12-1∼12-3)에게 두 개의 IP주소를 부여하여 서로 다른 네트워크 도메인 간을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단말기(12-1∼12-3) 는 이동통신 단말기, 데스크 탑 혹은 노트북과 같은 개인용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고정되거나 이동할 수 있는 통신용 단말기를 말한다. In general, Mobile IP (Mobile Internet Protocol) protocol for supporting mobility necessary when building a wireless LAN network in a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provided to two mobile hosts or terminals 12-1 to 12-3. It is possible to move between different network domains by assigning an IP address, and the terminals 12-1 to 12-3 ar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personal computers such as desktops or laptop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nd the like. It refers to a fixed 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즉, 각 단말기(12-1∼12-3)는 현재 위치에 상관없이 지정되어 변동하지 않는 홈 주소(Home Address)를 가짐과 아울러, 이동하는 위치에 따라 변동하면서 상기 이동 호스트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이동 주소(Care Of Address)를 갖는다. That is, each of the terminals 12-1 to 12-3 has a home address that is designated and does not change regardless of the current position, and indicate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host while changing according to the moving position. It has a care of address.

여기서, 상기 이동 주소는 현재 무선 접속을 지원하고 있는 이동성 지원 에이전트(Mobile Agent)(11,13)의 주소 혹은 해당 에이전트(11,13)에서 임시로 할당한 임시 주소이다. Here, the mobile address is an address of a mobile agent 11 or 13 currently supporting a wireless connection or a temporary address temporarily assigned by the agent 11 or 13.

홈 에이전트(11)는 각 단말기(12-1∼12-3)의 현재 위치 정보를 관리하고, 방문 에이전트(13)로의 터널링(Tunneling) 기능을 수행하는 호스트 혹은 라우터를 말하며, 상기 방문 에이전트(13)는 이동성이 있는 단말기(12-1)가 방문하는 네트워크에 위치하여 상기 홈 에이전트(11)에 의해 터널링된 패킷 데이터를 디터널링(Detunneling)하고, 이를 상기 단말기(12-1)로 전달함과 아울러, 자신에 등록된 상기 단말기(12-1)가 전송하는 패킷 데이터에 대한 라우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호스트 혹은 라우터를 말한다. The home agent 11 refers to a host or a router that manage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terminal 12-1 to 12-3 and performs a tunneling function to the visited agent 13, and the visited agent 13. ) Is located in a network visited by the mobile terminal 12-1, detunneling the packet data tunneled by the home agent 11, and forwarding the packet data to the terminal 12-1. In addition, it refers to a host or router that provides a routing service for packet data transmitted by the terminal 12-1 registered therein.

한편, 제1 단말기(12-1)가 홈 에이전트(11)에서 새로운 방문 에이전트(13)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12-1)는 이동한 영역을 관리하는 상기 새로운 방문 에이전트(13)에 자신의 존재를 등록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새로운 방문 에이전트(13)로부터 새로 할당 받은 상기 방문 에이전트(13)의 이동 주소를 홈 에이전트(11)로 보고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terminal 12-1 moves from the home agent 11 to the new visit agent 13, the first terminal 12-1 manages the new visited agent 13 to manage the moved area. In this case, the user's presence is registered, and accordingly, the mobile agent's mobile address newly assigned from the new visit agent 13 is reported to the home agent 11.

이때, 상기 제1 단말기(12-1)는 자신의 홈 주소와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할당된 이동 주소를 짝으로 생성된 이동성 바인딩(Mobility Binding)정보를 상기 홈 에이전트(11)에 등록하여, 이를 수신한 상기 홈 에이전트(11)가 상기 이동성 바인딩정보를 이용하여 차후 단말기(12-1∼12-3)에 대한 패킷 데이터 전송를 수행하게 한다. At this time, the first terminal 12-1 registers the mobility binding information generated by pairing the mobile address allocated based on its home address and the current location to the home agent 11, The received home agent 11 performs packet data transmission to the terminals 12-1 to 12-3 later by using the mobility binding information.

한편, IP망(10)에 접속된 각종 호스트, 즉 대응 노드(Correspondent Node)에 해당하는 제m 단말기(14)가 이동 중인 이동 호스트, 즉 제1 단말기(12-1)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제m 단말기(14)는 상기 제1 단말기(12-1)의 이동 상황을 알지 못한 채 일단 홈 에이전트(11)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홈 에이전트(11)는 상기 제1 단말기(12-1)가 기등록한 이동성 바인딩정보에 의해 이동 주소로 패킷 데이터를 재전송하게 된다. Meanwhile, the m-th terminal 14 corresponding to various hosts connected to the IP network 10, that is, a correspondent node, transmits packet data to the mobile host, that is, the first terminal 12-1. In this case, the m-th terminal 14 transmits the packet data to the home agent 11 without know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terminal 12-1, and thus the home agent 11 sends the packet data to the home agent 11. The first terminal 12-1 retransmits the packet data to the mobile address based on previously registered mobility binding information.

이때, 상기 제1 단말기(12-1)가 접속해 있는 방문 에이전트(13)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은, 패킷 데이터의 터널링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사용되는 터널의 종단점 주소는 상기 이동 주소가 되고, 터널링을 위하여 'IP in IP' 등 다양한 캡슐화 기법이 사용된다. In this case, a method of transmitting packet data to the visited agent 13 to which the first terminal 12-1 is connected is performed through tunneling of packet data, and the endpoint address of the tunnel used is the mobile address. For encapsulation, various encapsulation techniques such as 'IP in IP' are used.

그런데, 상기에서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이동성을 지원하는 경우, 이동중인 이동통신 가입자에게는 2개의 IP 주소가 할당되며,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가 등록된 홈 에이전트(Home Agent)는 상기 2개의 IP 주소를 이동성 바인딩정보로 관리하면서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를 터널링하여 전송하므로, 배, 지하철, 기차, 등의 이동 체를 통해 이동 중인 다수의 이동통신 가입자에 대해 핸드오프(Hand Off)를 수행하거나 패킷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홈 에이전트는 순간적으로 과부하가 발생하게 될 뿐만 아니라, 동일한 서비스 영역에 존재하는 다수의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각각 이동 주소(Care Of Address)를 할당하여야 하므로, IP 주소 자원의 낭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as described above, in case of supporting mobility to mobile subscribers in a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wo IP addresses are assigned to mobile subscribers, and a home agent (registered with the mobile subscriber) is registered. Home Agent) tunnels and transmits packet data transmitted to the mobile subscribers while managing the two IP addresses as mobility binding information, and thus, a plurality of mobile subscribers moving through mobile devices such as ships, subways, trains, and the like. In case of performing hand off or transmitting packet data, the home agent is not only overloaded at the moment, but also a mobile address (Care) to a plurality of mobile subscribers existing in the same service area. Of Address) has to be allocated, there is a problem that waste of IP address resource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 배, 지하철, 기차 등의 이동체를 통해 동일한 네트워크 도메인을 유지한 채 이동 중인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로 이동성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동일한 네트워크 도메인을 갖도록 이동체에 형성된 서브넷에 서브넷 단위 IP 주소를 할당하고, 그에 따라 상기 이동체 내 각 단말기로 IP 주소를 할당한 후, 이동체가 이동할 시 상기 이동체에 형성된 서브넷 단위로 핸드오프를 수행함으로써, 개개의 단말기가 핸드오프를 각자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단말기가 동시에 핸드오프를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notebook computer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moving while maintaining the same network domain through mobile devices such as ships, subways, and trains. In a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obility, a sub-unit IP address is assigned to a subnet formed in a mobile object to have the same network domain, and accordingly an IP address is assigned to each terminal in the mobile device, and then the mobile device moves when the mobile device move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implementing a handoff by a plurality of terminals at the same time, rather than an individual terminal performing a handoff by performing a handoff on a per-subnet basis.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체에 형성된 서브넷에 서브넷 단위 IP 주소를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할당된 서브넷 단위 IP 주소에 따라, 상 기 이동체 내 단말기로 IP 주소를 할당하는 단계와; 이동체가 이동할 시, 상기 이동체에 형성된 서브넷 단위로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tep of allocating a subnet unit IP address to the subnet formed on the moving object; Allocating an IP address to a terminal within the mobile unit according to the allocated subnet unit IP address; When the moving object moves, performing a handoff in the unit of the subnet formed on the moving object.

또한, 본 발명은 이동체에 형성된 서브넷에 서브넷 단위 IP 주소를 할당한 후, 상기 할당된 서브넷 단위 IP 주소에 따라 IP망을 통해 수신된 패킷 데이터를 해당 이동체에 형성된 서브넷으로 라우팅하고, 핸드오프 요구시 상기 형성된 서브넷 단위로 핸드오프를 승인하는 비에스알과; 상기 할당된 서브넷 단위 IP 주소에 따라 서브넷을 형성하는 단말기로 IP 주소를 할당하여, 상기 비에스알로부터 수신된 패킷 데이터를 해당 단말기로 라우팅함과 아울러, 이동체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형성된 서브넷 단위로 핸드오프를 요구하는 엠에이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ssigns a subnet unit IP address to the subnet formed on the mobile, and then route the packet data received through the IP network according to the assigned subnet unit IP address to the subnet formed on the mobile, when handoff request A BS for approving handoff by the formed subnet unit; By assigning an IP address to a terminal forming a subnet according to the assigned subnet unit IP address, routing packet data received from the BS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and handoff to the formed subnet unit when the mobile mov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2는 본 발명 서브넷을 이용하여 핸드오프를 구현한 통신 시스템의 망 구성을 간략히 보인 망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체(500)에 형성된 서브넷에 서브넷 단위 IP 주소를 할당한 후, 상기 할당된 서브넷 단위 IP 주소에 따라 IP망(100)을 통해 수신된 패킷 데이터를 해당 이동체(500)에 형성된 서브넷으로 라우팅하고, 핸드오프 요구시 상기 형성된 서브넷 단위로 핸드오프를 승인하는 비에스알(BSR, Base station Switch Router)(200)과; 상기 비에스알(BSR)(200)과 다수의 단말기(600∼620) 사이에 위치하여 패킷 데이터를 스위칭하며, 핸드오프 발생시 자신의 서비스 영역 내의 해당 단말기(600∼620)로 전달할 패킷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 후 스위칭하는 다수 개의 에프에이에스(FAS, Fixed Access Switch)(300∼330)와; 상기 할당된 서브넷 단위 IP 주소에 따라 서브넷을 형성하는 단말기(600∼620)로 IP 주소를 할당하여, 상기 에프에이에스(FAS)(300∼330)를 통해 비에스알(BSR)(200)로부터 수신된 패킷 데이터를 해당 단말기(600∼620)로 라우팅함과 아울러, 이동체(500)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형성된 서브넷 단위로 핸드오프를 요구하는 엠에이알(MAR, Moving Access Router)(400)로 구성한다. FIG. 2 is a network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system implementing a handoff using a subne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after assigning a subnet unit IP address to a subnet formed on a mobile object 500, The BSR routes packet data received through the IP network 100 to the subnet formed in the mobile 500 according to the assigned subnet unit IP address, and approves handoff in the formed subnet unit upon request for handoff. A base station switch router (200); Located between the BSR (200) and the plurality of terminals (600 ~ 620) to switch the packet data, and temporarily stores the packet data to be delivere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600 ~ 620) in its service area when the handoff occurs A plurality of FAS 300 to 330 for switching afterwards; Packets received from BSR 200 through FAS 300 to 330 by allocating IP addresses to terminals 600 to 620 forming subnets according to the assigned subnet unit IP address. In addition to routing data to the terminals 600 to 620, when the mobile unit 500 moves, the mobile terminal 500 includes a moving access router (MAR) 400 for requesting handoff in the formed subnet unit.

본 발명은 배, 지하철, 기차 등의 이동체(500)를 통해 동일한 네트워크 도메인을 유지한 채 이동 중인 다수의 무선랜(Wireless LAN) 가입자에게 이동성을 지원하는 경우를 가정하며, 본 발명에서 동일한 이동체(500) 내에 존재하고 동일한 네트워크 도메인을 갖는 다수의 단말기(600∼620)의 집합을 서브넷(Sub Net)이라 하는데, 상기 서브넷은 동일한 이동체(500) 내에 하나 혹은 다수를 형성할 수 있으며, 엠에이알(MAR)(400)은 상기 서브넷을 단위로 단말기(600∼620)의 IP 주소 할당 및 관리를 담당하고, 상기 형성된 서브넷을 단위로 엠에이알(MAR)(400)과 비에스알(BSR)(200)간에 핸드오프(Hand Off)를 수행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ssumes the case of supporting mobility to a plurality of wireless LAN subscribers moving while maintaining the same network domain through a mobile 500 such as a ship, subway, train, etc. A set of a plurality of terminals 600 to 620 present in the network 500 and having the same network domain is referred to as a subnet, which may form one or more in the same mobile object 500, (MAR) 400 is responsible for IP address allocation and management of the terminal (600 ~ 620) in the unit of the subnet, the MB (MAR) 400 and the BSR (BSR) (in the unit of the formed subnet) Hand off is performed between 200).

여기서, 상기 단말기(600∼620)는 고속 패킷 전송을 기반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이동성이 지원되는 통신용 단말기를 말하며, 본 발명을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하는 경우, 배, 지하철, 기차 등의 이동체(500)를 통해 이동 중인 다수의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동일한 서브넷 단위 IP 주소를 할당하여 그 할당된 서브넷 단위로 이동성을 지원하게 된다. Here, the terminals 600 to 620 refer to a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mobility,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notebook computer, and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in a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high speed packet transmission. When applied to, the same subnet unit IP address is assigned to a plurality of mobile subscribers moving through the mobile unit 500 such as a ship, subway, train, etc. to support mobility in the allocated subnet unit.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첨부한 도3 및 도4의 신호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With reference to the signal flow diagram of Figures 3 and 4 attached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비에스알(BSR, Base station Switch Router)(200)은 이동체(500)에 형성된 서브넷에 존재하는 다수의 단말기(600∼620)가 동일한 네트워크 도메인을 갖도록 상기 서브넷에 서브넷 단위 IP 주소를 할당한 후, 상기 할당된 서브넷 단위 IP 주소에 따라 IP망(100)을 통해 수신된 패킷 데이터를 해당 이동체(500)에 형성된 서브넷으로 라우팅하거나, 상기 이동체(500)에 형성된 서브넷 내의 단말기(600∼620)가 송신한 패킷 데이터를 IP망(100)을 통해 목적지 주소로 라우팅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SR 200 is configured to assign a subnet unit IP address to the subnet such that a plurality of terminals 600 to 620 present in the subnet formed in the mobile unit 500 have the same network domain. After the allocation, the packet data received through the IP network 100 is routed to the subnet formed in the mobile unit 500 according to the assigned subnet unit IP address, or the terminal 600 to the subnet formed in the mobile unit 500. The packet data transmitted by 620 is routed to the destination address through the IP network 100.

그리고, 상기 이동체(500)에 형성된 서브넷을 관리하는 엠에이알(MAR, Moving Access Router)(400)로부터 핸드오프 요구가 있는 경우, 상기 형성된 서브넷 단위로 핸드오프를 승인한다. When a handoff request is received from a moving access router (MAR) 400 managing a subnet formed in the mobile object 500, the handoff is approved in the formed subnet unit.

먼저, 엠에이알(MAR)(400)이 초기화 상태에서 소정의 단말기(600∼620)의 집합에 대해 하나의 서브넷을 형성하여 이를 등록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상기 엠에이알(MAR)(400)은 제1 에프에이에스(FAS, Fixed Access Switch)(300)를 통해 상기 비에스알(BSR)(200)로 서브넷 단위 IP 주소의 할당을 요구한다. First, a case in which an MAR 400 forms one subnet for a set of predetermined terminals 600 to 620 in an initialization state and registers the same, will be described. The UE requests allocation of the IP address per subnet to the BSR 200 through the first FAS 300.

그러면, 상기 비에스알(BSR)(200)은 자신이 관리하는 IP 풀(Pool)을 검색하 여 가용 서브넷 단위 IP 주소를 상기 엠에이알(MAR)(400)로 할당한다. Then, the BSR 200 searches for an IP pool managed by the BSR 200 and allocates an available subnet unit IP address to the MAR 400.

여기서, 상기 에프에이에스(FAS)(300∼330)는 상기 비에스알(BSR)(200)과 다수의 단말기(600∼620) 사이에 위치하여 패킷 데이터를 스위칭하며, 핸드오프 발생시 자신의 서비스 영역 내의 해당 단말기(600∼620)로 전달할 패킷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 후 스위칭하는 역할을 한다. Here, the FAS 300 to 330 are located between the BSR 200 and the plurality of terminals 600 to 620 to switch packet data, and when a handoff occurs, the FAS 300 to 330 corresponding to the FAS 300 to 330. The packet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s 600 to 620 are temporarily stored and then switched.

그리고, 상기 IP 풀은 비에스알(BSR)(200)이 관리하는 IP 주소를 '150.150.140.XXX', '150.150.141.XXX', '150.150.141.XXX' 등과 같이 동일한 네트워크 도메인, 즉 서브넷별로 구분하여 가용 IP 자원의 존재 여부를 알 수 있도록 IP 주소 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테이블로서,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서버를 이용하여 구현하며, 예를 들어 상기 IP 풀에서 관리하는 서브넷 단위 IP 주소는 IPv4의 경우 IP 주소 중 최초의 3자리가 동일하고 마지막 한 자리가 다름으로서, 각 단말기(600∼620)를 구분하기 위한 IP 주소를 말한다. In addition, the IP pool is the same network domain, i.e., '150.150.140.XXX', '150.150.141.XXX', '150.150.141.XXX', etc. A table for managing IP address resources so that the existence of available IP resources is classified by subnet, and implemented using a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server, for example, a subnet IP managed by the IP pool. In the case of IPv4, the first three digits of the IP address are the same and the last one is different, and this means an IP address for distinguishing each terminal 600 to 620.

상기에서, 비에스알(BSR)(200)이 가용한 서브넷 단위 IP 주소 '150.150.140.XXX'를 상기 엠에이알(MAR)(400)로 할당하는 경우, 상기 비에스알(BSR)(200)은 상기 서브넷 단위 IP 주소를 할당함과 동시에, 상기 서브넷 단위 IP 주소 '150.150.140.XXX'가 제1 에프에이에스(FAS)(300)의 서비스 영역 내에 할당되었음을 라우팅 테이블 상에 표시하여, 추후 상기 엠에이알(MAR)(400)로 전송할 패킷 데이터를 라우팅하는데 사용한다. In the above case, when the BSR 200 allocates the available subnet unit IP address '150.150.140.XXX' to the MAR 400, the BSR 200 And allocating the subnet unit IP address, and displaying on the routing table that the subnet unit IP address '150.150.140.XXX' is allocated within the service area of the first FAS 300, It is used to route the packet data to be sent to the AR 400.

즉, IP망(100)을 통해 상기 엠에이알(MAR)(400)에 할당된 서브넷 단위 IP 주소를 목적지 주소로 하는 패킷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비에스알(BSR)(200)은 별 도의 저장수단(미도시)에 저장된 라우팅 테이블을 로딩한 후, 상기 라우팅 테이블 상의 IP 주소와 수신된 패킷 데이터의 목적지 주소를 비교하여 서브넷 단위 IP 주소로 서비스를 수행하는 에프에이에스(FAS)(300∼330)를 선택하고, 그에 따라 수신된 패킷 데이터를 상기 에프에이에스(FAS)(300∼330)로 라우팅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비에스알(BSR)(200)은 상기 라우팅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서브넷 단위 IP 주소 '150.150.140.XXX'를 갖는 패킷 데이터는 제1 에프에이에스(300)로 라우팅하게 된다. That is, when packet data having a subnet unit IP address assigned to the MAR 400 as a destination address is received through the IP network 100, the BSR 200 stores the data separately. After loading the routing table stored in the means (not shown), and compares the IP address on the routing table with the destination address of the received packet data to perform the service (FAS) (300 ~ 330) to perform the service by IP address per subnet And route the received packet data to the FAS 300 to 330. In this case, the BSR 200 refers to the routing table to the subnet unit IP address' 150.150. Packet data having '.140.XXX' is routed to the first FS300.

마찬가지로, 비에스알(BSR)(200)은 서브넷 단위 IP 주소의 할당을 요구하는 다른 엠에이알(MAR)(400)에 대해서도, 가용한 서브넷 단위 IP 주소를 검색하여 각각 '150.150.141.XXX', '150.150.141.XXX' 등을 할당하면서, 라우팅 테이블 상에 상기 서브넷 단위 IP 주소와 함께 그 IP 주소를 갖는 각 엠에이알(MAR)(400)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에프에이에스(FAS)(300∼330)를 기록하여, 추후 상기 엠에이알(MAR)(400)로 패킷 데이터를 라우팅할 때 사용한다. Similarly, the BSR 200 may search for available subnet unit IP addresses and search for available subnet unit IP addresses for each other MAR 400 requiring assignment of subnet unit IP addresses, respectively. FAS 300 which provides a service to each MAR 400 having the IP address along with the subnet unit IP address on the routing table while allocating '150.150.141.XXX' and the like. 330) to be used for routing the packet data to the MAR 400 later.

한편, 서브넷 단위 IP 주소로 '150.150.140.XXX'를 할당받은 엠에이알(MAR)(400)은, 상기 서브넷 단위 IP 주소에 따라 이동체(500) 내에 존재하는 단말기(600∼620)로부터 IP 주소 할당 요청을 받아 IP 주소를 할당하고 그 IP 주소를 관리하면서 제1 에프에이에스(FAS)(300)로부터 수신되는 패킷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600∼620)로 라우팅함과 아울러, 상기 이동체(500)가 이동하는 경우 서브넷 단위로 핸드오프를 수행한다. Meanwhile, the MAR 400 assigned '150.150.140.XXX' as the subnet unit IP address is an IP address from the terminals 600 to 620 existing in the mobile unit 500 according to the subnet unit IP address. Receiving an address assignment request and assigning an IP address and managing the IP address, while routing the packet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FAS (300) to the terminal (600 ~ 620), the mobile unit 500 When moving, handoff is performed by subnet.

즉, 이동체(500)와 함께 이동하는 상기 엠에이알(MAR)(400)이 상기 이동체(500) 내의 단말기(600∼620)로부터 IP 주소를 할당을 요구받으면, 상기 엠에이알(MAR)(400)은 할당받은 서브넷 단위 IP 주소 '150.150.140.XXX'에 따라 가용한 IP 주소를 검색한 다음, 제1 단말기(600)에게 '150.150.140.1'를, 제2 단말기(610)에게 '150.150.140.3'를 할당하는 방식으로, 상기 이동체(500) 내의 제m 단말기(620)에 이르기까지 가용한 IP 주소를 검색하여 할당하게 된다. That is, when the MAR 400 moving together with the moving object 500 is requested to allocate an IP address from the terminals 600 to 620 in the moving object 500, the MAR ( 400) retrieves an available IP address according to the assigned subnet unit IP address '150.150.140.XXX' and then '150.150.140.1' to the first terminal 600 and '150.150' to the second terminal 610. ... 140.3 'is allocated to search for an available IP address up to the m-th terminal 620 in the mobile object 500.

그러면, 상기 엠에이알(MAR)(400)로부터 할당받은 IP 주소는 해당 단말기(600∼620)의 임시 주소(Care Of Address, COA)가 되므로, 대응 노드(Correspondent Node)로부터 IP망(100)을 통해 전달되어 비에스알(BSR)(200) 및 제1 에프에이에스(FAS)(300)를 경유한 패킷 데이터가 상기 엠에이알(MAR)(400)에서 바이패스되어 목적지 주소인 제1 단말기(600)로 전달된다. Then, since the IP address allocated from the MAR 400 becomes a care-of-address (COA) of the terminal 600 to 620, the IP network 100 from the corresponding node (Correspondent Node). Packet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BSR 200 and the first FAS 300 are bypassed in the MAR 400 to be a destination address of the first terminal 600. Is delivered.

한편, 이동체(500)가 제1 에프에이에스(FAS)(300)의 서비스 영역인 '영역 1'에서 제2 에프에이에스(FAS)(310)의 서비스 영역인 '영역 2'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이동체(500) 내의 단말기(600∼620)는 핸드오프(Hand Off)를 수행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moving object 500 moves from the 'area 1' which is the service area of the first FAS 300 to the 'area 2' which is the service area of the second FAS 310, the moving object ( Terminals 600 to 620 in 500 perform a hand off.

이때, 상기 이동체(500) 내의 단말기(600∼620)가 개별적으로 이동성에 따른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엠에이알(MAR)(400)에 의해 각 단말기(600∼620)가 형성된 서브넷 단위로 핸드오프를 수행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terminals 600 to 620 in the mobile unit 500 do not individually perform handoffs according to mobility, but are subnet units in which the terminals 600 to 620 are formed by the MAR 400. Handoff is performed.

즉, 도4와 같이, 엠에이알(MAR)(400)이 이동하여 '영역 1'에서 '영역 2'로 진입하는 경우, 파일럿(Pilot) 신호의 세기의 증감에 따라 시스템으로부터 할당받은 제2 에프에이에스(FAS)(310)와 핸드오프를 수행하게 되는데, 우선은 현재 진입 하고 있는 '영역 2'에서 서비스 중인 제2 에프에이에스(FAS)(310)로 핸드오프를 요구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 에프에이에스(FAS)(310)는 상위의 비에스알(BSR)(200)로 핸드오프를 요구하게 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 4, when the MAR 400 moves and enters the 'region 1' from the 'region 1', the second allocated from the system according to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strength of the pilot signal A handoff is performed with the FAS 310. First, a handoff is requested to a second FAS 310 in service in the 'area 2' that is currently entering, and accordingly, the second FAS is requested. The (FAS) 310 requests a handoff to the upper BSR 200.

그러면, 상기 비에스알(BSR)(200)은 라우팅 테이블을 로딩하여, 서브넷 단위 IP 주소 '150.150.140.XXX'를 할당한 엠에이알(MAR)(400)로 패킷 데이터를 라우팅하기 위해, 상기 서브넷 단위 IP 주소로 서비스할 것으로 지정한 제1 에프에이에스(FAS)(300)에 관한 정보를 제2 에프에이에스(FAS)(310)로 갱신함으로써, 추후 IP망(100)을 통해 상기 엠에이알(MAR)(400)을 목적지 주소로 하는 패킷 데이터를 상기 제2 에프에이에스(FAS)(310)를 통해 라우팅하게 된다. Then, the BSR 200 loads the routing table and routes the packet data to the MAR 400 assigned the subnet unit IP address '150.150.140.XXX'. By updat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FAS (300) designated to serve by the subnet unit IP address to the second FAS (310), the later through the IP network 100 (MAR) Packet data having a destination address of 400 is routed through the second FAS 310.

그 다음, 상기 비에스알(BSR)(200)은 상기 제2 에프에이에스(FAS)(310)로 핸드오프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에프에이에스(FAS)(310)와 엠에이알(400) 간에는 통상의 무선구간 핸드오프 처리가 수행됨으로써, 기존의 제1 에프에이에스(FAS)(300)와의 무선구간은 단절되고 새로운 제2 에프에이에스(FAS) (310)와 무선구간이 연결되어 핸드오프가 완료된다. Next, the BSR 200 transmits a handoff acknowledgment message to the second FAS 310, and between the second FAS 310 and the MS 400. As the normal radio section handoff process is performed, the radio section with the existing first FAS 300 is disconnected and the radio section is connected to the new second FAS 310 to complete the handoff.

따라서, 핸드오프가 발생한 이후에 IP망(100)을 통해 비에스알(BSR)(200)로 수신된 패킷 데이터는, 상기 비에스알(BSR)(200)이 패킷 데이터를 라우팅하기 위한 라우팅 테이블 상의 라우팅 정보를 갱신하였으므로, 곧바로 제2 에프에이에스(FAS)(310)로 라우팅되어 엠에이알(400)로 전달되고, 상기 엠에이알(400)은 이를 바이패스하여 목적지인 해당 단말기(600∼620)로 전달한다. Accordingly, packet data received by the BSR 200 through the IP network 100 after the handoff has occurred is routed on a routing table for the BSR 200 to route the packet data. Since the information has been updated, it is immediately routed to the second FAS 310 to be passed to the MS 400, and the MS 400 bypasses it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s 600 to 620. To pass.

그리고, 핸드오프가 발생하면 잠시 동안 무선 채널이 단절될 수 밖에 없는데, 이로 인해 발생되는 패킷 데이터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엠에이알(400)로부터 핸드오프 요구를 받은 제2 에프에이에스(FAS)(310)는 비에스알(BSR)(200)로부터 핸드오프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기까지, 상기 엠에이알(400)을 목적지로 하는 패킷 데이터를 내부의 버퍼(미도시)를 통해 버퍼링하여 임시 저장한 후, 상기 핸드오프 승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비로소 상기 엠에이알(400)로 임시 저장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한다. In addition, when a handoff occurs, the wireless channel may be disconnected for a while. In order to prevent the loss of packet data, the second FAS (FAS) that receives a handoff request from the MB 400 ( 310 buffers and temporarily stores the packet data destined for the MB 400 through an internal buffer (not shown) until the handoff acknowledgment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BSR 200. When the handoff approval message is received, the temporarily stored packet data is transmitted to the MB 40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 지하철, 기차 등의 이동체를 통해 동일한 네트워크 도메인을 유지한 채 이동 중인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로 이동성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동일한 네트워크 도메인을 갖도록 이동체에 형성된 서브넷에 서브넷 단위 IP 주소를 할당하고, 그에 따라 상기 이동체 내 각 단말기로 IP 주소를 할당한 후, 이동체가 이동할 시 상기 이동체에 형성된 서브넷 단위로 핸드오프를 수행함으로써, 개개의 단말기가 핸드오프를 각자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단말기가 동시에 핸드오프를 수행하여, 시스템에 순간적인 과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동일한 이동체 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단말기로 이동성을 지원하면서도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용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obility to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notebook computer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while moving while maintaining the same network domain through mobile devices such as ships, subways, and trains. In this case, a subnet unit IP address is assigned to a subnet formed in the mobile unit to have the same network domain, and accordingly an IP address is assigned to each terminal in the mobile unit, and when the mobile unit moves, handoff is performed in the subnet unit formed in the mobile unit. In this way, each terminal does not perform handoffs individually but multiple terminals simultaneously perform handoffs, thereby preventing instantaneous overloading of the system, thereby supporting mobility to multiple terminals existing in the same mobile body. It is effective to operate the system stably.

Claims (5)

서브넷을 이용한 핸드오프 방법에 있어서,In the handoff method using a subnet, 이동체에 형성된 서브넷에 서브넷 단위 IP 주소를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할당된 서브넷 단위 IP 주소에 따라, 상기 이동체 내 단말기로 IP 주소를 할당하는 단계와; 이동체가 이동할 시, 상기 이동체에 형성된 서브넷 단위로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넷을 이용한 핸드오프 방법.Allocating a subnet unit IP address to a subnet formed in the moving object; Allocating an IP address to a terminal in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allocated subnet unit IP address; When the mobile moves, performing a handoff in units of subnets formed in the mobi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넷 단위 IP 주소를 할당하는 단계는, 이동체와 함께 이동하는 엠에이알의 요구에 따라, 가용 서브넷 단위 IP 주소를 검색하여 해당 엠에이알로 서브넷 단위 IP 주소를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변경된 내용에 따라 라우팅 테이블을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넷을 이용한 핸드오프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llocating the subnet unit IP address comprises: retrieving an available subnet unit IP address and allocating the subnet unit IP address to the corresponding MA in response to a request of the ME moving with the moving object. and; And updating a routing table according to the changed content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된 서브넷 단위 IP 주소는, 동일한 이동체 내에 존재하고, 동일한 네트워크 도메인을 갖는 다수의 단말기의 집합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넷을 이용한 핸드오프 방법.The handoff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allocated subnet unit IP address is assigned to a set of a plurality of terminals existing in the same mobile body and having the same network doma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넷 단위의 핸드오프 수행은, 엠에이알의 핸드오프 요구에 따라, 비에스알이 상기 엠에이알로 할당된 서브넷 단위 IP 주소로 서비스할 것으로 지정한 에프에이에스를 변경하고, 그에 따라 라우팅 테이블을 갱신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넷을 이용한 핸드오프 방법.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performing a handoff on a per-subnet basis changes a FSA that a BS has to service with a subnet-specific IP address assigned to the MS according to a handoff request of an MS. Handoff method using a subnet,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ed by updating the routing table. 서브넷을 이용하여 핸드오프를 구현한 시스템에 있어서,In a system implementing handoff using a subnet, 이동체에 형성된 서브넷에 서브넷 단위 IP 주소를 할당한 후, 상기 할당된 서브넷 단위 IP 주소에 따라 IP망을 통해 수신된 패킷 데이터를 해당 이동체에 형성된 서브넷으로 라우팅하고, 핸드오프 요구시 상기 형성된 서브넷 단위로 핸드오프를 승인하는 비에스알과; 상기 할당된 서브넷 단위 IP 주소에 따라 서브넷을 형성하는 단말기로 IP 주소를 할당하여, 상기 비에스알로부터 수신된 패킷 데이터를 해당 단말기로 라우팅함과 아울러, 이동체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형성된 서브넷 단위로 핸드오프를 요구하는 엠에이알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넷을 이용하여 핸드오프를 구현한 시스템.After assigning a subnet unit IP address to a subnet formed in the mobile unit, the packet data received through the IP network is routed to the subnet formed in the mobile unit according to the assigned subnet unit IP address, and when the handoff request is made to the formed subnet unit BS to approve the handoff; By assigning an IP address to a terminal forming a subnet according to the assigned subnet unit IP address, routing packet data received from the BS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and handoff to the formed subnet unit when the mobile moves. System that implements handoff using a subne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including the MB that requires.
KR1020030046743A 2003-07-10 2003-07-10 Hand-off method and materialized system using subnet KR1005626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6743A KR100562670B1 (en) 2003-07-10 2003-07-10 Hand-off method and materialized system using subn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6743A KR100562670B1 (en) 2003-07-10 2003-07-10 Hand-off method and materialized system using subn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6786A KR20050006786A (en) 2005-01-17
KR100562670B1 true KR100562670B1 (en) 2006-03-20

Family

ID=37220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6743A KR100562670B1 (en) 2003-07-10 2003-07-10 Hand-off method and materialized system using subn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267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685B1 (en) * 2004-06-15 2006-05-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Implementation Method for Fast Handoff Mechanism on the High Speed Mobile
KR101006792B1 (en) * 2004-09-24 2011-01-10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on Hand-Off for mobile wireless local area network
KR100818916B1 (en) * 2005-09-12 2008-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node and data server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n IP address alloc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n IP address allo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6786A (en) 2005-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4824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ggregating MIP and AAA messages
US699299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 generalized mobility solution using a dynamic tunneling agent
EP170584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mless roaming for wireless networks
US9351146B2 (en) Technique for providing support for a plurality of mobility management protocols
US200502321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a damaged routing path in a mobile network
US8218498B2 (en) Method and system for lossless transmission of mobile IP packets in handover of a mobile terminal
EP1401173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source routers, destination routers and a location server, corresponding destination router and method
JP39176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mobility of mobile node using regional anchor point in next generation internet
JP2006523987A (en) Distributed mobile agent
JP5337720B2 (en) Mobile terminal and network node
US8842607B2 (en) Mob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7710956B2 (en) Mobile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network management server, mobile node, access node and anchor node
US8014357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ddress prefix information associated with handover in networks
KR100562670B1 (en) Hand-off method and materialized system using subnet
EP1429514B1 (en) Internet protocol mobility supporting method, a related system and related devices
US20120163337A1 (en) Method of allocating home network prefix, inter-handoff method, and multi-homing system thereof
KR100629237B1 (en) Fast hand-off method using mobility prediction in hierarchical HMIPv6 network
Shima et al. Operational experiment of seamless handover of a mobile router using multiple care-of address registration.
KR100456456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offering mobile IP function in Wireless-LAN System,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of Mobile Node using Mobile IP Function
KR101026581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handover thereof
US20100100639A1 (en) Method for providing internet protocol handoff of mobile node under multiple mobile agent platform environment
Sornlertlamvanich et al. Host-based and network-based distributed mobility management for NEMO
JP4105215B2 (en) Mobile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network management server, mobile node, access node and anchor node
KR100596383B1 (en) Route optimazation method using prefix delegation protocol
CN102281526B (en)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apping forwarding server and couple in rou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