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2264B1 - 모바일 지도에서의 라벨 겹침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지도에서의 라벨 겹침 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2264B1
KR100562264B1 KR1020040072648A KR20040072648A KR100562264B1 KR 100562264 B1 KR100562264 B1 KR 100562264B1 KR 1020040072648 A KR1020040072648 A KR 1020040072648A KR 20040072648 A KR20040072648 A KR 20040072648A KR 100562264 B1 KR100562264 B1 KR 100562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information
overlap
labels
overla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2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3786A (ko
Inventor
서광수
김후종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2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2264B1/ko
Publication of KR20060023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3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26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Navigation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지도에서의 라벨 겹침 제거 방법에 관한 것으로,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정보 중 관심지점의 표출 우선순위정보와 상기 관심지점의 라벨 영역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각 라벨 영역정보를 비교하여 라벨 겹침이 발생하는지를 파악하고, 라벨 겹침이 발생되면 라벨 겹침이 발생한 라벨들 중에서 상기 표출 우선순위가 낮은 라벨이 라벨겹침으로부터 해소될 가장 작은 이동폭을 가지는 이동위치를 파악한 후 상기 라벨 겹침이 발생한 라벨들 중에서 상기 표출 우선순위가 낮은 라벨의 영역정보에 상기 가장 작은 이동거리를 반영하여 변경시킨다. 이로써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와 같이 해상도가 작은 단말에서 지도를 표시할 때 라벨 겹침이 심할 경우에 표출 우선순위가 낮은 라벨을 삭제하고 라벨 겹침이 심하지 않으면 나중에 표출될 라벨의 표시 위치를 조정하여 전체적으로 지도의 가독성을 향상시키고 지도 표시의 품질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라벨겹침, 이동단말기, GIS, 이동

Description

모바일 지도에서의 라벨 겹침 제거 방법{Method for preventing overlap of labels on mobile map}
도 1은 종래의 라벨겹침 제거를 하지 않았을 때에 이동단말기 상에 표출된 지도를 축척별로 보인 도면.
도 2는 종래의 라벨겹침시 라벨을 무조건 삭제한 경우에 이동단말기 상에 표출된 지도를 축척별로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라벨 겹침 제거 동작을 개념적으로 설명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지도에서의 라벨 겹침 제거 방법을 보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되어 표출된 모바일 상에서의 지도를 보인 도면.
본 발명은 모바일(mobile) 지도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바일 상에서 지도를 표시할 때에 지도상에 표시되는 관심지점(POI: Point of interest)의 라벨 (label)이 겹치면 라벨을 서로 겹치지 않도록 이동시켜 표시하는 모바일 지도에서의 라벨 겹침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단말 하드웨어의 발전 및 무선 데이터 전송,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관련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이동단말기(mobile station)는 LBS(Location Based System) 및 벡터/이미지 지도를 표출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지도 표출 기능은 친구찾기 서비스, 미아방지 서비스, 네비게이션 서비스, 지도정보 제공 서비스 등을 위해 사용되며, 몇몇의 부가 서비스를 위해 이동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연동하여 동작한다.
이동단말기에 사용되는 측위 방법으로는 기지국을 이용하는 방법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기지국을 이용한 측위 방법은 기지국의 커버리지를 위치정보로 이용하므로 최소 500m에서 최대 수십 Km의 오차범위를 가지며, 단말기에 장착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이용한 측위방법은 3개 이상의 위성신호로부터 산출한 좌표값을 사용자의 위치정보로 이용하므로 2-15m 정도의 오차범위를 가진다.
따라서 기지국을 이용한 측위 방법을 차치하고라도 GPS 모듈을 이용한 측위방식을 위해서는 지도 표출 기능시 상세한 정보 표시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에 따라 종래에는 이미지, 혹은 벡터 지도를 사용하여 정확한 측위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단말에서 지도를 표출할 때, 지도표시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단말기 화면의 크기 및 해상도이다. 화면의 크기와 해상도의 비율이 적절한 경우 지도를 깔끔하게 표시할 수 있다. 화면에 표시될 정보의 양을 결정하는 데에는 화면 해상도가 더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동단말기의 화면 해상도는 PC(Personal Computer)에 비해서 작기 때문에 많은 양의 정보를 표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작은 해상도의 이동단말기 즉, 휴대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는 지도를 표시할 때 표현되는 정보의 양을 제한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지도를 표시할 때 표현되는 정보의 양을 제한하더라도 기존 지도 표시 방식에서는 충분히 확대하여 소축적으로 표시하지 않으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심지점(POI)의 라벨 간 겹침이 심해서 라벨을 읽거나 분간하기 어렵고 심할 경우에는 여러 겹으로 중첩되어 표시된 라벨들에 의해서 지형/지물의 형상 정보(점, 선, 면으로 표시)가 가려져서 제대로 보이지 않게 된다. 이러한 라벨의 겹침은 대축척(a)일 때에 비해 소축척(b, c)으로 갈수록 심해진다.
이러한 경우 지도의 가독성은 떨어지고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전달이라는 서비스의 목적마저도 달성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라벨 겹침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이 종래에 제시되었다.
그 방법으로는 I) GIS 응용 서버(200)의 원천지도 데이터에 존재하는 관심지점(POI)을 일부 삭제하여 관심지점(POI)의 개수를 줄이는 방법, II) 이동단말기의 지도 브라우징에서 축소할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하는 방법과, III)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중에 그려지는 라벨이 기존 표출된 라벨과 겹쳐지는 경우에 표출하지 않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첫 번째 방법은 이동단말기에서 벡터 지도를 표출할 경우에 이동단말 기로 전송되는 관심지점(POI) 정보 자체가 감소하기 때문에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도 감소되는 장점이 있지만, 이동단말기에서 지도를 브라우징할 때 확대를 하게 되면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가 오히려 부족해지고 검색시 추출되는 정보의 양 역시 적어지게 되어 정확하고 풍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두 번째 방법은 지도 데이터 상의 정보가 그대로 표출되지만 축소 영역이 작아질 경우 더 큰 영역을 표시하려면 소축척 레벨의 데이터를 다시 요청해야 하기 때문에 무선 인터넷망에 위치한 GIS 응용서버와의 통신이 빈번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GIS 응용서버는 동일 영역에 대해서 상세한 정보를 표현하는 대축척에서부터 대강의 정보만 표현하는 소축척까지 여러 레벨의 데이터셋(dataset)을 가지고 있다.
또한 세 번째 방법은 연산처리가 간단하여 지도 표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지만, 제거되는 라벨의 개수가 너무 많아서 정보의 손실을 막을 수 없으며, 라벨이 매우 인접해 있을 경우 지도 화면을 아무리 확대한다고 해도 특정 라벨이 표시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단말기에서 지도를 표출시 지도의 가독성이 떨어지고 중요 정보 전달에 방해되는 라벨 간 겹침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제한된 화면 해상도 내에서 최대한 지도의 가독성을 향상시키고 지도 표시의 품질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도 서비스가 벡터 지도를 표출할 경우에 이동단말기에서 지도 브라우징시 라벨 겹침을 제거하여 확대/축소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관심지점(POI) 라벨의 개수 및 표시되는 간격이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GIS 응용 서버에서 전송된 관심지점(POI) 정보의 손실없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면에 표시할 관심지점(POI)의 라벨 간 중첩이 심하여 라벨을 제거할 경우에 나중에 표출되는 라벨을 이동시켜 표출하되 이동 폭이 가장 작은 쪽으로 이동시켜서 겹침 제거함으로써 지도 정보 왜곡 현상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확대/축소/이동/회전 등 지도 브라우징시 화면에 그려질 영역 및 축척에 따라서 동적으로 라벨 겹침을 제거함으로써 정적으로 라벨 겹침 제거를 하거나 원천 데이터를 제거하는 경우의 데이터 손실 및 정보 부족 현상을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정보 중 관심지점의 표출 우선순위정보와 상기 관심지점의 라벨 영역정보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각 라벨 영역정보를 비교하여 라벨 겹침이 발생하는지를 파악하는 제2 단계; 라벨 겹침이 발생한 라벨들 중에서 상기 표출 우선순위가 낮은 라벨이 라벨겹침으로부터 해소될 가장 작은 이동폭을 가지는 이동위치를 파악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라벨 겹침이 발생한 라벨들 중에서 상기 표출 우선순위가 낮은 라벨의 영역정보를 상기 가장 작은 이동거리를 반영하여 변경시키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지도에서의 라벨 겹침 제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상기 라벨겹침이 발생한 라벨의 수가 3 이상이면, 표출 우선순위가 3번째 이후의 라벨의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 3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단말기의 구성 및 서비스 환경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동단말기(100)는 라벨겹침 제거 기능을 가진 통상의 이동단말기의 구성을 가진다. 다만 본 발명의 이동단말기(100)는 라벨겹침 처리부(130)의 동작이 종래와 다르다.
즉, 본 발명의 이동단말기(100)는 GIS 정보 수신부(110), GIS 정보 처리부(120), 라벨겹침 처리부(130), 표시부(140), 사용자 입력부(150)를 포함하며, 무선 인터넷망에 위치한 GIS 응용서버(200)로부터 GIS 정보를 수신한다.
GIS 정보 수신부(110)는 무선 인터넷 상에 위치하는 GIS 응용서버(200)로부터 GIS 정보를 수신하고, GIS 정보 처리부(120)는 수신된 GIS 정보를 이동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GIS 정보를 가공 처리하며, 표시부(140)는 라벨 겹침 처리되고 GIS 정보 처리부(120)에 의해 가공처리된 GIS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사용자 입력부(150)는 사용자가 원하는 축적으로 지도가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명령하거 나 사용자가 지정한 지점을 중심으로 지도 정보가 표출되도록 명령하는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이다.
한편 라벨겹침 처리부(130)는 상기 GIS 정보 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 중에서 관심지점(POI)을 특정하는 라벨의 위치정보를 각각 비교하여 라벨 겹침이 있는지를 파악하고 라벨 겹침 발생시 라벨이 겹치지 않게 처리한다.
이때 GIS 정보 처리부(120)에 의해 가공 처리한 GIS 정보 중 관심지점(POI) 정보는 표출되는 우선순위가 결정되어 있으며, 관심지점(POI)에 대응하는 라벨의 표시영역 및 표시위치 또한 결정되어 있다. 따라서 라벨겹침 처리부(130)는 이미 GIS 정보 처리부(120) 또는 GIS 응용서버(200)에 의해 결정된 관심지점(POI)의 표출 우선순위정보와, 라벨의 표시영역 및 표시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라벨 겹침 제거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라벨겹침 처리부(130)의 라벨 겹침 제거 동작의 개념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라벨 겹침 제거 동작을 개념적으로 설명한 개념도이다. 도 4에서 라벨 1은 우선순위가 높은 관심지점(POI)의 라벨이며, 라벨 2는 라벨 1보다 우선순위가 낮은 관심지점(POI)의 라벨이다.
라벨겹침 처리부(130)는 A와 같이 먼저 표출된 라벨 1의 표시영역(이하 '라벨 1'이라 함) 상에 나중에 표출된 라벨 2의 표시영역(이하 '라벨 2'이라 함)의 일부가 중첩된 경우에, 라벨 1과 라벨 2를 겹치지 않게 하기 위해 라벨 2를 도 4의 (a)와 같이 라벨 1의 상, 하, 좌, 우 중 하나로 이동시킨다.
그런데 도 4의 (a)와 같이 라벨 2를 라벨 1의 상, 하, 좌, 우 중 임의의 하 나로 이동시키면 라벨 1과 라벨 2는 중첩되지 않지만, 지도 정보 왜곡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를 보면, 라벨이 표시되는 지점은 해당 관심지점(POI)을 알 수 있도록 가장 근거리에 표시되는데, 라벨 겹침 해소를 위해 라벨의 이동거리를 해당 관심지점(POI)으로부터 먼 거리에 표시하면 사용자가 이동된 라벨을 통해 관심지점(POI)을 오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라벨겹침 처리부(130)는 라벨겹침 해소시 라벨 2의 이동거리가 가장 작은 위치로 라벨 2를 이동시킨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해 라벨 2는 도 4의 (b)와 같이 이동거리가 가장 작은 라벨 1의 하측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라벨겹침 처리부(130)가 서로 다른 2 이상의 라벨들의 겹침을 파악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GIS 정보 처리부(120)에서 라벨겹침 처리부(130)로 제공되는 라벨 정보는 최소영역박스(Minimum Bounding Box: MBR) 정보로서, 4개의 좌표(minX, minY, maxX, maxY)로 이루어져 있다.
라벨겹침 처리부(130)는 MBR 정보를 이용하여 라벨겹침을 파악한다.
그 방법 중 첫 번째는 상기 MBR을 이루는 4개의 좌표 중 하나 이상이 다른 라벨의 MBR 영역(4개의 좌표를 경계로 이루어진 영역)에 포함되는 지를 통해 파악하는 방법이 있다. 두 번째는 라벨 2의 MBR에서 4개의 좌표를 잇는 6개의 직선이 다른 라벨의 MBR이 가지는 4개의 직선(사각형)에 교차하는지를 통해 파악하는 방법이 있으며, 세 번째는 라벨 2와 라벨 1 간에 공유 면적이 있는지를 파악하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3가지 방법 중 하나를 라벨겹침을 파악하는 방법으로 이용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3가지 방법 이외에 당업자라면 극히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는 모든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본 발명의 라벨겹침 제거부(130)가 라벨이 겹치지 않는 최소 이동경로를 찾는 방법을 설명한다. 라벨겹침 제거부(130)는 라벨의 MBR을 이용하여 최소 이동경로를 찾는데, 그 방법으로는 이동시킬 MBR의 4 좌표 중 하나를 기준으로 중첩되지 않은 상, 하, 좌, 우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 최초 위치와 이동한 위치간의 거리를 산출하여 각각 비교하고, 이 비교를 통해 최소 이동경로를 찾는다.
이하에서는 도 5와 도 6을 참조로 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동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모바일 지도에서의 라벨 겹침 제거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지도에서의 라벨 겹침 제거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되어 표출된 모바일 상에서의 지도를 보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벨겹침 제거부(130)는 GIS 정보 처리부(120)로부터 관심지점(POI)의 표출 우선순위정보 및 이 우선순위정보에 대응하는 라벨정보를 수신한다(S501).
그러면 라벨겹침 제거부(130)는 수신된 라벨 정보를 표출 우선순위정보별에 따라 표출 우선순위를 확인한다(S502). 그리고 라벨겹침 제거부(130)는 각 라벨의 MBR을 이용하여 라벨 겹침(중첩)이 있는지를 조사한다(S503).
라벨겹침 제거부(130)는 라벨겹침이 있으면(S504), 겹침이 발생된 라벨 중에 서 표출 우선순위가 낮은 라벨을 파악하고, 표출 우선순위가 낮은 라벨의 MBR을 이용하여 라벨 겹침이 해소되는 우선순위가 높은 라벨의 상, 하, 좌, 우로의 이동거리를 산출한다(S505).
이렇게 상, 하, 좌, 우의 이동거리를 산출하면 라벨겹침 제거부(130)는 상, 하, 좌, 우의 이동거리를 비교하여 가장 작은 이동거리 및 이 최소 이동거리에 대응하는 이동위치를 판단한다(S506).
라벨겹침 제거부(130)는 최소 이동거리의 위치를 판단하면, 표출 우선순위가 낮은 라벨의 MBR을 상기 판단한 최소 이동거리의 위치에 해당하는 MBR로 바꾼다. 결국, 표출 우선순위가 낮은 MBR은 라벨 겹침 발생시 최소 이동거리의 위치로 이동된다(S507).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은 라벨겹침이 발생하는 2 이상의 라벨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2 이상의 라벨 모두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하면 관심지점(POI)의 라벨 개수가 너무 많이 늘어나게 되어 지도 가독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이러한 가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모바일 상에 표출되는 관심지점(POI)의 라벨 개수를 일정 개수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특정개수 이상 라벨 겹침이 발생하는 라벨 중 표출 우선순위가 상기 특정개수 이후의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라벨을 지도상에 표출되지 않도록 라벨 정보를 삭제한다. 예를 들어, 특정개수를 2이고 라벨겹침된 라벨이 3이면 표출우선순위가 3번째인 라벨의 정보를 삭제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에 따라서 표출되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지도의 라벨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게 된다.
전술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장치가 이동단말기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GIS 응용서버 또는 GIS 응용서버에 상응하는 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GIS 응용서버에 이용되는 것은 전술한 설명을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와 같이 해상도가 작은 단말에서 지도를 표시할 때 라벨 겹침이 심할 경우에 표출 우선순위가 낮은 라벨을 삭제하고 라벨 겹침이 심하지 않으면 나중에 표출될 라벨의 표시 위치를 조정하여 전체적으로 지도의 가독성을 향상시키고 지도 표시의 품질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도 데이터를 표출할 때 동적으로 라벨 겹침을 제거하기 때문에, 라벨이 겹치지 않을 경우에는 모든 라벨 정보가 온전히 표시되고 라벨이 겹칠 경우에는 화면 축척에 따라서 라벨 겹침을 제거하여 원본 지도 데이터의 정보 손실을 막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라벨 겹침을 제거하기 위해서 나중에 그려지는 라벨의 화면 표시 위치를 상하좌우 중 이동 폭이 가장 작은 쪽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지도 정보 왜곡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나중에 표출할 라벨이 겹쳐질 경우 겹쳐지는 라벨을 모두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라벨과 겹쳐지지 않으면서 가장 가까운 위치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아무리 라벨들이 인접해 있다고 하더라도 지도 표출 축척에 따라서 모든 라벨이 적어도 한번씩은 표출되도록 하여 GIS 응용서버로부터 전송된 관심지점(POI) 정보의 화면 표출 과정 상의 정보 손실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정보 중 관심지점의 표출 우선순위정보와 상기 관심지점의 라벨 영역정보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각 라벨 영역정보를 비교하여 라벨 겹침이 발생하는지를 파악하는 제2 단계;
    라벨 겹침이 발생한 라벨들 중 표출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라벨이 라벨겹침으로부터 해소될 가장 작은 이동폭의 이동위치를 파악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라벨 겹침이 발생한 라벨들 중에서 상기 표출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라벨의 영역정보에 상기 가장 작은 이동거리를 반영하여 변경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지도에서의 라벨 겹침 제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겹침이 발생한 라벨의 수가 3 이상이면, 표출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라벨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지도에서의 라벨 겹침 제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 영역정보는 최소 x 좌표, 최소 y좌표, 최대 x 좌표, 최대 y좌표로 이루어진 MBR(Minimum Bounding Box)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지도에서 의 라벨 겹침 제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우선순위가 낮은 라벨의 상기 라벨 영역정보를 이용하여 라벨겹침이 해소될 상하좌우로의 이동거리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상하좌우의 이동거리를 각각 비교하여 가장 작은 이동거리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지도에서의 라벨 겹침 제거 방법.
  5. 이동단말기 또는 인터넷 서버에,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정보 중 관심지점의 표출 우선순위정보와 상기 관심지점의 라벨 영역정보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각 라벨 영역정보를 비교하여 라벨 겹침이 발생하는지를 파악하는 제2 단계;
    라벨 겹침이 발생한 라벨들 중에서 상기 표출 우선순위가 낮은 라벨이 라벨겹침으로부터 해소될 가장 작은 이동폭을 가지는 이동위치를 파악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라벨 겹침이 발생한 라벨들 중에서 상기 표출 우선순위가 낮은 라벨의 영역정보를 상기 가장 작은 이동거리를 반영하여 변경시키는 제4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40072648A 2004-09-10 2004-09-10 모바일 지도에서의 라벨 겹침 제거 방법 KR100562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648A KR100562264B1 (ko) 2004-09-10 2004-09-10 모바일 지도에서의 라벨 겹침 제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648A KR100562264B1 (ko) 2004-09-10 2004-09-10 모바일 지도에서의 라벨 겹침 제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3786A KR20060023786A (ko) 2006-03-15
KR100562264B1 true KR100562264B1 (ko) 2006-03-22

Family

ID=37129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2648A KR100562264B1 (ko) 2004-09-10 2004-09-10 모바일 지도에서의 라벨 겹침 제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22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37367B (zh) * 2016-05-26 2020-06-26 阿里巴巴(中国)有限公司 一种标注选择方法及装置
RU2678077C2 (ru) 2017-05-04 2019-01-23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Яндекс" Способ отрисовки поисковых результатов на карте, отображаемой на электронном устройстве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450A (ja) * 1994-08-05 1996-02-20 Nippondenso Co Ltd 地図表示装置
KR19980025852A (ko) * 1996-10-05 1998-07-15 이준 평면쓸기기법을 이용한 점객체용 명칭배치방법
KR19980034001A (ko) * 1996-11-04 1998-08-05 김광호 수치지도 형상데이터 합성시 그 명칭 처리방법
JP2004069561A (ja) 2002-08-07 2004-03-04 Denso Corp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050024907A (ko) * 2003-09-05 2005-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네비게이션의 시설물 명칭 표시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450A (ja) * 1994-08-05 1996-02-20 Nippondenso Co Ltd 地図表示装置
KR19980025852A (ko) * 1996-10-05 1998-07-15 이준 평면쓸기기법을 이용한 점객체용 명칭배치방법
KR19980034001A (ko) * 1996-11-04 1998-08-05 김광호 수치지도 형상데이터 합성시 그 명칭 처리방법
JP2004069561A (ja) 2002-08-07 2004-03-04 Denso Corp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050024907A (ko) * 2003-09-05 2005-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네비게이션의 시설물 명칭 표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3786A (ko) 200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0875B2 (en) Schematic generation
US8954275B2 (en) Schematic maps
US7194357B2 (en) Using a corridor search to identify locations of interest along a travel route
US9631942B2 (en) Providing maneuver indicators on a map
US7324896B1 (en) Using a corridor search to identify locations of interest along a travel route
US9235906B2 (en) Scalable processing for associating geometries with map tiles
US20120303263A1 (en) Optimization of navigation tools using spatial sorting
US20130345962A1 (en) 3d navigation
US20090271745A1 (en) Map display system, map display device, map display method, and map distribution server
CN110362242B (zh) 一种地图展示方法及终端设备
CN112069285B (zh) 基于三维高精地图切片的地图生成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5312815B2 (ja) 地図拡大表示装置
EP1055993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viewing HTML documents with smart scrolling
US9569059B2 (en) Reference-point-based static-scale mapping application
US201503107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digital map in client
KR100562264B1 (ko) 모바일 지도에서의 라벨 겹침 제거 방법
US2014028552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level of detail contents
US200902167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querying digital records
WO200409971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ap information to mobile device
JP2011113005A (ja) 地図情報処理装置、地図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041001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map for navigation
JP2007271366A (ja) 経路情報表示端末、経路情報サーバ、経路情報システムおよび経路情報プログラム
EP2728312B1 (en) Reference-point based static-scale mapping application
KR100543374B1 (ko) 인터넷 지도의 위치 인덱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07271357A (ja) 位置情報端末および位置情報サーバおよび位置情報システムおよび位置情報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