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1661B1 - 브레지어 - Google Patents

브레지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1661B1
KR100561661B1 KR1020050075664A KR20050075664A KR100561661B1 KR 100561661 B1 KR100561661 B1 KR 100561661B1 KR 1020050075664 A KR1020050075664 A KR 1020050075664A KR 20050075664 A KR20050075664 A KR 20050075664A KR 100561661 B1 KR100561661 B1 KR 100561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elastic
bra
elastic cloth
bre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5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점원
Original Assignee
김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점원 filed Critical 김점원
Priority to KR1020050075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16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085Brassieres with ventilation feat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0Brassieres with stiffening or bust-forming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41C3/14Stiffening or bust-form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레지어에 관한 것이다. 이는 여성의 좌우 유방을 그 내부에 각각 수용하는 컵을 갖는 브레지어에 있어서, 상기 컵의 내부에는 평팽하게 당겨진 상태로 컵의 테두리부에 고정되어 컵 내면으로부터 이격되며, 브레지어의 착용시 유방을 탄성적으로 받치는 탄성천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브레지어는, 브래지어의 컵 내부에 통풍성 및 탄성을 갖는 탄성천이 유방을 받치도록 구비되므로, 통풍성이 좋고 상기 탄성천이 유방을 잡아주는 느낌을 제공하므로 착용감 및 착용 만족감이 좋다.

Description

브레지어{Brassie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지어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브레지어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브레지어의 변형 예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브레지어 12:컵
14:착용띠 16:어깨끈
18,19:탄성천 20:내부공간
22:탄성띠
본 발명은 브레지어에 관한 것이다.
브레지어는 여성의 가슴을 커버하여 유방을 보호하고 받쳐주는 기능을 하는 여성용 언더웨어이다. 이러한 브레지어는 섬유산업과 디자인의 진보에 따라 그 기 능 및 모양이 점차 편하고 세련되도록 발전하여 왔다.
상기 브래지어는, 사용자의 좌우 유방을 각각 그 내부에 수용 보호하는 두 개의 컵과, 상기 컵의 측부에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옆구리를 둘러 사용자의 등 뒤에서 그 단부가 상호 결착하여 컵을 당기는 착용띠와, 상기 컵과 착용띠에 양단이 고정되며 양 어깨에 걸쳐지는 어깨끈으로 구성된다. 상기 어깨끈 및 착용띠는 컵이 몸에 보다 안정적으로 밀착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브래지어는, 컵의 내측면이 유방에 직접 접하므로 특히 여름철에 컵 내부에 땀이 차기 쉬우며 유두가 컵에 눌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활동 중 브래지어가 위로 올라가기 쉬우므로 수시로 브래지어의 매무새를 고쳐야 한다는 불편이 있으며, 자신에게 정확히 맞는 사이즈가 없어 약간 큰 브래지어를 착용할 경우 안정감이 없어 불안하고 편안한 착용감이나 모아주는 느낌 얻지 못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브래지어의 컵 내부에 통풍성 및 탄성을 갖는 탄성천이 유방을 받치도록 구비되므로 통풍성이 좋고 상기 탄성천이 유방을 잡아주는 느낌을 제공하므로 착용감이 좋은 브레지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여성의 좌우 유방을 그 내부에 각각 수용하는 컵을 갖는 브레지어에 있어서, 상기 컵의 내부에는 평팽하게 당겨진 상태로 컵의 테두리부에 고정되어 컵 내면으로부터 이격되며, 브레지어의 착용시 유방을 탄성적으로 받치는 탄성천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천은, 컵의 내부공간을 상부로 개방시키도록 컵의 테두리부 중 하측 테두리부에 부분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탄성천의 컵에 결합하지 않는 상단부는 포물선형태로 만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천의 컵에 결합하지 않는 상단부는 직선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천의 상단부에는 탄성천의 탄성 지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탄성띠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지어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브레지어(10)는, 사용자의 유방을 그 내부에 수용하는 두 개의 컵(12)과, 상기 컵(12)의 측부에 각각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사용자의 등 뒤에서 상호 결착하는 착용띠(14)와, 상기 컵(12)의 상단부와 착용띠(14)에 연결되는 어깨끈(16)과, 상기 컵(12)의 내측 테두리부에 고정되며 팽팽한 상태로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천(1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탄성천(18)은 신축성을 갖는 탄성직물로서 예컨대 공지의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아미드계 엘라스토머를 사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탄성을 가 지는 한에서 다른 종류의 탄성직물을 얼마든지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탄성천(18)은 마치 초승달의 형태를 취하며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로 컵(12)의 하측 테두리부에 재봉 결합한다. 보통 상기 컵(12)이 오목한 형태를 취하므로 탄성천(18)과 컵(12)의 사이에는 내부공간(20)이 만들어진다. 상기 내부공간(20)은 컵(12)의 상부로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브레지어(10)를 착용하게 되면 유방이 상기 탄성천(18)을 약간 밀며 내부공간(20)으로 진입하고 그에 따라 유방은 탄성천(18)으로부터 (모아주는 방향의) 탄력을 받게 된다. 특히 이 상태에서 유방과 컵(12)의 내면은 이격되어 통풍이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탄성천을 컵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할 수 도 있다.
결국 상기 탄성천(18)은, 유방을 올리며 모아주므로 착용자는 무엇보다 편안함과 안정감을 느낄 수 있고, 컵(12)에 비해 유방이 작은 경우라도 탄성천에 의해 착용감을 느끼게 되므로 그만큼 만족감을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천(18)이 컵(12) 테두리부의 일부에만 고정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 컵(12) 후방의 전체부분을 커버하게 할 수 도 있다. 즉 탄성천(18)을 컵(12)의 전체 테두리부에 재봉 고정시킬 수 도 있는 것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컵(12)의 후방에 탄성천(18)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탄성천(18)과 컵(12)의 사이에는 상부로 개방된 내부공간(20)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탄성천(18)은 신축성을 가지므로 컵(12)측으로 또는 그 반대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 하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브레지어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탄성천(18)의 상단 에지부에 탄성띠(22)가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탄성띠(22)는 탄성천(18)의 지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마련한 것으로서, 탄성천(18)과 별도의 부재를 적용하거나, 또는 (이미 탄성을 가지고 있는) 탄성천(18)의 상단부를 여러 번 접어 포개어 만들 수 도 있다. 상기한 별도의 부재라 함은 공지의 띠형 고무줄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탄성띠(22)의 형상은 브레지어의 디자인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이를테면 장식용 레이스 등을 부가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브레지어의 변형 예를 일부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탄성천(19)의 상단 에지부가 직선을 이루고 있다. 상기한 도 1의 경우 탄성천이 마치 초승달의 형태를 취하여 그 상단부가 포물선 형태로 만곡되어 있지만, 도 4의 경우 직선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천(19)의 상단부에는 탄성띠(2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탄성띠(22)의 기능 및 구성은 상기한 도 3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 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브레지어는, 브래지어의 컵 내부에 통풍성 및 탄성을 갖는 탄성천이 유방을 받치도록 구비되므로, 통풍성이 좋고 상기 탄성천이 유방을 잡아주는 느낌을 제공하므로 착용감 및 착용 만족감이 좋다. 특히 상기 탄성천이 유방을 모아주며 지지하므로 예컨대 조깅이나 기타 운동시에 안정적이다.

Claims (5)

  1. 여성의 좌우 유방을 그 내부에 각각 수용하는 컵을 갖는 브레지어에 있어서,
    상기 컵의 내부에는 평팽하게 당겨진 상태로 컵의 테두리부에 고정되어 컵 내면으로부터 이격되며, 브레지어의 착용시 유방을 탄성적으로 받치는 탄성천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지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천은, 컵의 내부공간을 상부로 개방시키도록 컵의 테두리부 중 하측 테두리부에 부분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지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천의 컵에 결합하지 않는 상단부는 포물선형태로 만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지어.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천의 컵에 결합하지 않는 상단부는 직선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지어.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천의 상단부에는 탄성천의 탄성 지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탄성띠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지어.
KR1020050075664A 2005-08-18 2005-08-18 브레지어 KR100561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664A KR100561661B1 (ko) 2005-08-18 2005-08-18 브레지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664A KR100561661B1 (ko) 2005-08-18 2005-08-18 브레지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1661B1 true KR100561661B1 (ko) 2006-03-17

Family

ID=37179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5664A KR100561661B1 (ko) 2005-08-18 2005-08-18 브레지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16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10509A (zh) * 2011-07-08 2011-10-12 蔡俊鸿 新型文胸
CN102342587A (zh) * 2011-11-01 2012-02-08 蔡俊鸿 性感舒适的文胸
KR20220002507U (ko) 2021-04-12 2022-10-19 주식회사 동경모드 신축원단이 내장된 브래지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10509A (zh) * 2011-07-08 2011-10-12 蔡俊鸿 新型文胸
CN102342587A (zh) * 2011-11-01 2012-02-08 蔡俊鸿 性感舒适的文胸
KR20220002507U (ko) 2021-04-12 2022-10-19 주식회사 동경모드 신축원단이 내장된 브래지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69978B2 (ja) 体型補正機能を持つズボン
CA3041436C (en) Woman&#39;s undergarment
US7118444B2 (en) Custom fit bra
KR101578401B1 (ko) 속옷 일체형 여성 의류
KR102188178B1 (ko) 브래지어 일체형 여성용 속옷
KR100561661B1 (ko) 브레지어
WO2009025526A2 (en) Trousers having beautifying body figure function
JP4806620B2 (ja) カップ付き女性用衣類
JP3129339U (ja)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KR200393602Y1 (ko) 착탈식 브래지어
KR200438139Y1 (ko) 분할 패드가 구비된 기능성 브래지어
GB2425933A (en) Garment with breast cups
KR200252448Y1 (ko) 브래지어 일체형 속셔츠
US20060052035A1 (en) Half brassiare
KR200414443Y1 (ko) 기능성 와이어가 내입된 브래지어
CN210248411U (zh) 一种新型吊带背心、打底背心肩带与文胸连接的结构
JP6644393B1 (ja)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KR200334373Y1 (ko) 기능성 브래지어
KR200464931Y1 (ko) 외출 겉옷 겸용 올인원
KR200326291Y1 (ko) 기능성 속옷
KR200284003Y1 (ko) 기능성 브래지어
KR200283999Y1 (ko) 기능성 브래지어
JP3187816U (ja) ハーフトップ
GB2434963A (en) A brassiere
JP2024052974A (ja) カップ付き衣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EXTG Extinguishment
O064 Revocation of registration by opposition: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