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0914B1 - 전화회선별로 음량 조절이 가능한 음성인식 시스템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전화회선별로 음량 조절이 가능한 음성인식 시스템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0914B1
KR100560914B1 KR1020010038947A KR20010038947A KR100560914B1 KR 100560914 B1 KR100560914 B1 KR 100560914B1 KR 1020010038947 A KR1020010038947 A KR 1020010038947A KR 20010038947 A KR20010038947 A KR 20010038947A KR 100560914 B1 KR100560914 B1 KR 100560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line
recognition system
voice recognitio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8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2196A (ko
Inventor
김호경
김재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10038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0914B1/ko
Publication of KR20030002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2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0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0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316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by changing the amplitude
    • G10L21/0324Details of processing therefor
    • G10L21/034Automatic adjustmen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8Constructional details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 G10L15/30Distributed recognition, e.g. in client-server systems, for mobile phones or network appl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회선별로 음량 조절이 가능한 음성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음성인식 시스템에서 입력으로 들어오는 음성에 대하여 회선별로 증폭 혹은 감쇄를 시켜 줌으로서 음량에 따라 인식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화회선별로 음량 조절이 가능한 음성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입력되는 각 회선별로 음량을 조절하는 음성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음성인식 시스템으로 유입되는 각 회선별로 음량을 검출하는 과정과; 검출음량이 기설정 음량보다 크거나 같은 지의 여부를 비교하는 과정과; 기입력된 음량 조절모드를 판단하는 과정과; 해당 회선별로 음량을 조절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특정한 회선을 통하여 들어온 음성의 음량이 너무 작거나 혹은 클 경우에 특정한 비율로 증폭 혹은 감쇄를 해 줌으로써 음량에 크기에 의해 야기되는 인식 성능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으며, 음성 인식기에서 사용하는 파라미터를 생성하였던 개발 환경과 음성인식기가 작동하는 사이트의 환경이 다른 경우에 생길 수 있는 인식률 저하 현상을 줄이기 위하여 회선별로 음량을 증폭 혹은 감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화회선별로 음량 조절이 가능한 음성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An automatic voice recognition system can be adjusted signal level for each channel over the telephone line}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화회선별로 음량 조절이 가능한 음성인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화회선별로 음량 조절이 가능한 음성인식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화회선별로 음량 조절이 가능한 음성인식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음량제어장치 310:음량검출부
320:운영자설정부 330:실험값검출부
340:스위칭부 350a∼350n:음량조절부
355:경고음구동부 360:음량제어부
본 발명은 전화회선별로 음량 조절이 가능한 음성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음성인식 시스템에 부가되어 음성 인식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화회선별로 음량 조절이 가능한 음성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음성인식 시스템은 사람의 음성을 입력받아 인식기를 통해 인식음성의 결과를 유도해내는 시스템으로, 현재 이러한 인식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음성인식 시스템의 인식 과정에서 사용하는 중요한 파라미터 중의 하나가 HMM(Hidden Markov Model)이라고 하는 것인 바, 그 파라미터는, 여러 사람이 발성한 수많은 음성 파일들에서 특징을 추출하여 정하여진 음소별로 여러 가지의 확률 값을 설정한 것이다.
이 때에는 발화자의 성별, 나이, 전화기의 종류 등 다양한 환경을 설정하여 수집한 음성 파일들로 파라미터를 생성하여야만, 입력되는 다양한 음성 데이터로부터 음성인식 시스템이 제대로 성능을 발휘할 수가 있다. 이러한 파라미터의 생성 작업을 "훈련 과정"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실제 운용되는 음성인식 시스템에서의 인식 성능이 시뮬레이션의 결과보다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그 이유 중의 하나가 회선상태의 문제인데, 훈련 과정에서 HMM 파라미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던 음성파일들의 수집 환경과 운 용 시스템에 입력되는 음성파일 들의 환경이 다른 경우에 이러한 현상이 생길 수 있다.
이하, 실제 음성인식 시스템의 환경을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PSTN 망에서 수집한 음성들(101-102-104의 경로로 입력된 음성들)와 PABX(사설교환기)를 통해서 수집한 음성들(103-104의 경로로 입력된 음성들)과는 차이가 있다. 이는 망의 특성에 따른 차이에 기인한 것인데 회선에 따라서 입력되는 음성이 너무 크거나 혹은 작은 경우가 생기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음성인식 시스템(200)은 이러한 음성파일의 크기가 다름으로 인해 그 인식율은 심각하게 저하된다. 종래의 기술은 입력되는 음성파일의 크기에 상관없이 바로 인식과정을 수행함으로써 회선마다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했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음성인식 시스템에서 입력으로 들어오는 음성에 대하여 회선별로 증폭 혹은 감쇄를 시켜 줌으로서 음량에 따라 인식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화회선별로 음량 조절이 가능한 음성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량의 문제로 인하여 인식 성능이 떨어지는 음성인식 시스템 전체에 대하여 음량을 증폭 혹은 감쇄의 비율을 제어함으로써 인식 성능 을 향상시킨 전화회선별로 음량 조절이 가능한 음성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 회선별로 음성을 입력받아 인식하는 음성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그 회선단과 음성인식 시스템의 입력단의 사이에 매개하여 음성 인식시스템의 음성인식 수행과정 전단계에서 음량의 크기를 기설정치와 동일하게 조절하는 음량 제어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회선별로 음량 조절이 가능한 음성인식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음량 제어수단은 상기 음성인식 시스템의 회선별 입력단에 각각 접속되어 입력 음성의 음량을 검출하는 음량 검출부와; 음량 제어를 위한 수동 및 자동모드를 설정하고, 운용자가 직접 수동조작으로 음량 제어값을 설정하기 위한 운용자 설정부와; 각 회선별 음량 시뮬레이션 값을 기저장한 실험값 저장부와;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기설정된 음량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해당 회선을 선택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의 턴온으로 기설정 음량으로 제어되어 상기 음성인식 시스템의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음성데이터의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 조절부와;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 구동부와; 상기 운영자 설정부를 매개로 음량 제어의 수동 또는 자동모드의 선택신호에 따라 해당 모드로 변환함과 더불어, 상기 음량 검출부로부터 음성인식 시스템으로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의 음량을 검출하여 기설정치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스위칭부에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해당 회선별로 음량을 제어토록 하는 음량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회선별로 음량 조절이 가능한 음성인식 시스템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입력되는 각 회선별로 음량을 조절하는 음성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음성인식 시스템으로 유입되는 각 회선별로 음량을 검출하는 과정과; 검출음량이 기설정 음량 범위내에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비교하는 과정과; 기입력된 음량 조절모드를 판단하는 과정과; 해당 회선별로 음량을 조절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 시스템의 회선별 음량 조절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음량 조절이 가능한 조절모드는 자동 조절모드와 수동 조절모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 시스템의 회선별 음량 조절방법이 제공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음량 조절을 자동으로 행하는 자동 모드 설정시에는 시뮬레이션 값을 토대로 기저장된 설정치를 독취하여 해당 음량 검출값이 검출될 때까지 음량을 조절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 시스템의 회선별 음량 조절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음량 조절을 수동으로 행하는 수동 모드 설정시에 음량 비교값이 비정상적일 때에는 경고음을 통하여 운영자에게 음량 조절 요구상황을 통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 시스템의 회선별 음량 조절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상기 음량 조절을 행하는 과정에서 전체 회선의 음량을 동시에 조절하는 것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 시스템의 회선별 음량 조절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화회선별로 음량 조절이 가능한 음성인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화회선별로 음량 조절이 가능한 음성인식 시스템(210)에는 PSTN 망에서 수집한 음성들(101-102-104의 경로로 입력된 음성들)와 PABX(사설교환기)를 통해서 수집한 음성들(103-104의 경로로 입력된 음성들)과의 입력 음성파일의 크기가 각기 상이함에 기인하여, 상기 음성인식 시스템(210)과 연계되어 그 음성인식 시스템(210)으로 입력되는 음성데이터의 크기, 즉 음량을 기설정치와 동일하도록 제어하는 음량제어장치(300)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음성인식 시스템(210)과 연계된 상기 음량 제어장치(300)는 상기 음성인식 시스템(210)이 입력된 음성 데이터에 대한 인식처리를 행하기 전처리 과정으로 음량 조절을 행한다.
이때, 상기 음량 제어장치(300)는 상기 음성인식 시스템(210)의 입력 회선별로 그 음량 조절이 가능할 뿐 아니라, 전체 회선의 음량 조절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음량 제어장치(300)는 실험 결과값에 의한 기설정 데이터와의 비교에 의해 입력되는 음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운영자에게 통보하여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는 각각의 모드 설정에 따라 연동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화회선별로 음량 조절이 가능한 음성인식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음량 제어장치(300)는 그 내부에 음량 검출부, 운용자 설정부, 실험값 저장부, 스위칭부, 음량 조절부, 경고음 구동부 및 음량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참조부호 310은 상기 음성인식 시스템(210)의 회선별 입력단에 각각 접속되어 그 음성인식 시스템(210)으로 인가되는 입력 음성의 음량을 검출하는 음량 검출부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320은 상기 음량 제어장치(3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음량 제어를 위한 수동 및 자동모드를 설정하고, 운용자가 직접 수동조작으로 음량 제어값을 설정하기 위한 운용자 설정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330은 각 회선별 음량 시뮬레이션 값을 기저장한 실험값 저장부를 나타낸다.
한편, 참조부호 340은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기설정된 음량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해당 회선을 선택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350은 상기 스위칭부(340)의 턴온으로 기설정 음량으로 제어되어 상기 음성인식 시스템(210)의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음성데이터의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 조절부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355는 음량 제어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수동모드 설정시 상기 음량 검출부(310)에서 검출한 음성데이터의 음량이 기설정치 범위내에 존재하지 않을 때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 구동부를 나타낸다.
한편, 참조부호 360은 상기 운영자 설정부(320)를 매개로 음량 제어의 수동 또는 자동모드의 선택신호에 따라 해당 모드로 변환함과 더불어, 상기 음량 검출부(310)로부터 음성인식 시스템으로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의 음량을 검출하여 기설정치 이상의 음량이 검출되면 상기 스위칭부(340)에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실험값 저장부(330)로부터 조절 데이터를 독취하여 해당 회선별로 음량을 제어토록 하는 음량 제어부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운영자 설정부(320)로부터 설정된 모드가 수동모드일 경우에 상기 음량제어부(360)는 상기 음량 검출부(310)로부터 음성 데이터의 음량을 검출하여 그 음량이 기설정치 이상이면 상기 경고음 구동부(355)를 구동하여 음량이 비정상적임을 통보한다. 그로인해, 운영자가 상기 운영자 설정부(320)를 매개로 특정 음량 설정을 행하면 해당 음량 설정신호는 상기 음량제어부(360)로 인가되어 음량 제어를 행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화회선별로 음량 조절이 가능한 음성인식 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화회선별로 음량 조절이 가능한 음성인식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상기 음성 인식 시스템(210)으로 유입되는 각 회선별 음량을 상기 음량 검출부(310)를 매개로 검출한다(제 1 단계: ST-1).
각 회선별 음량 검출신호를 인가받은 상기 음량 제어부(360)는 해당 음량 검출음량이 기설정치 범위내에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제 2 단계: ST-2).
만약, 검출된 음량이 기설정치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음량 제어부(360)는 상기 운영자 설정부(320)로부터 설정된 모드가 자동 모드인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제 3 단계: ST-3).
이때, 설정된 모드가 자동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음량 제어부(360)는 검출 음량 대비 음량 감쇄값을 상기 실험값 저장부(330)로부터 독취하여(제 4 단계: ST-4), 상기 스위칭부(340)를 스위칭하여 해당 회선의 음량을 기설정치이하로 조절토록 한다(제 5 단계: ST-5).
만약, 설정된 모드가 수동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음량 제어부(360)는 경고음 구동부(355)를 구동 제어하여 그 경고음으로 인해 상기 운영자에게 음성인식 시스템(210)으로 입력되는 음량이 비정상적임을 통보한다(제 6 단계: ST-6).
그로인해, 운영자가 상기 운영자 설정부(320)를 통해 음량을 수동으로 설정하면 상기 음량 제어부(360)는 해당 회선을 매개로 인가된 음량을 설정치에 적합하게 조절한다(제 7 단계: ST-7).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회선별로 음량 조절이 가능한 음성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화회선별로 음량 조절이 가능한 음성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은 특정한 회선을 통하여 들어온 음성의 음량이 너무 작거나 혹은 클 경우에 특정한 비율로 증폭 혹은 감쇄를 해 줌으로써 음량에 크기에 의해 야기되는 인식 성능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으며, 음성 인식기에서 사용하는 파라미터를 생성하였던 개발 환경과 음성인식기가 작동하는 사이트의 환경이 다른 경우에 생길 수 있는 인식률 저하 현상을 줄이기 위하여 회선별로 음량을 증폭 혹은 감쇄시킬 수 있다.

Claims (7)

  1. 각 회선별로 음성을 입력받아 인식하는 음성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그 회선단과 음성인식 시스템의 입력단의 사이에 매개하여 음성 인식시스템의 음성인식 수행과정 전단계에서 음량의 크기를 기설정치와 동일하게 조절하기 위해, 상기 음성인식 시스템의 회선별 입력단에 각각 접속되어 입력 음성의 음량을 검출하는 음량 검출부와; 음량 제어를 위한 수동 및 자동모드를 설정하고, 운용자가 직접 수동조작으로 음량 제어값을 설정하기 위한 운용자 설정부와; 각 회선별 음량 시뮬레이션 값을 기저장한 실험값 저장부와;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기설정된 음량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해당 회선을 선택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의 턴온으로 기설정 음량으로 제어되어 상기 음성인식 시스템의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음성데이터의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 조절부와;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 구동부와; 상기 운영자 설정부를 매개로 음량 제어의 수동 또는 자동모드의 선택신호에 따라 해당 모드로 변환함과 더불어, 상기 음량 검출부로부터 음성인식 시스템으로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의 음량을 검출하여 기설정치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스위칭부에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해당 회선별로 음량을 제어토록 하는 음량 제어부로 이루어진 음량 제어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회선별로 음량 조절이 가능한 음성인식 시스템.
  2. 삭제
  3. 입력되는 각 회선별로 음량을 조절하는 음성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음성인식 시스템으로 유입되는 각 회선별로 음량을 검출하는 과정과;
    검출음량이 기설정 음량 범위내에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비교하는 과정과;
    기입력된 음량 조절모드를 판단하는 과정과;
    자동모드인 경우, 해당 회선을 회선별 음량 조절부로 스위칭하는 과정과;
    해당 음량 조절부를 통해, 해당 회선별로 음량을 조절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 시스템의 회선별 음량 조절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음량 조절이 가능한 조절모드는 자동 조절모드와 수동 조절모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 시스템의 회선별 음량 조절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량 조절을 자동으로 행하는 자동 모드 설정시에는 시뮬레이션 값을 토대로 기저장된 설정치를 독취하여 해당 음량 검출값이 검출될 때까지 음량을 조절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 시스템의 회선별 음량 조절방법.
  6.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량 조절을 수동으로 행하는 수동 모드 설정시에 음량 비교값이 비정상적일 때에는 경고음을 통하여 운영자에게 음량 조절 요구상황을 통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 시스템의 회선별 음량 조절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음량 조절을 행하는 과정에서 전체 회선의 음량을 동시에 조절하는 것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 시스템의 회선별 음량 조절방법.
KR1020010038947A 2001-06-30 2001-06-30 전화회선별로 음량 조절이 가능한 음성인식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560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8947A KR100560914B1 (ko) 2001-06-30 2001-06-30 전화회선별로 음량 조절이 가능한 음성인식 시스템 및 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8947A KR100560914B1 (ko) 2001-06-30 2001-06-30 전화회선별로 음량 조절이 가능한 음성인식 시스템 및 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2196A KR20030002196A (ko) 2003-01-08
KR100560914B1 true KR100560914B1 (ko) 2006-03-14

Family

ID=27712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8947A KR100560914B1 (ko) 2001-06-30 2001-06-30 전화회선별로 음량 조절이 가능한 음성인식 시스템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091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1767A (ja) * 1983-03-31 1984-10-16 Toshiba Corp 音声応答システム
JPH01142799A (ja) * 1987-11-30 1989-06-05 Toshiba Corp 音声入力装置
KR910018791U (ko) * 1990-04-28 1991-11-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음성인식장치
JP2000069140A (ja) * 1998-08-24 2000-03-03 Kyocera Corp 音声認識機能付き電話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1767A (ja) * 1983-03-31 1984-10-16 Toshiba Corp 音声応答システム
JPH01142799A (ja) * 1987-11-30 1989-06-05 Toshiba Corp 音声入力装置
KR910018791U (ko) * 1990-04-28 1991-11-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음성인식장치
JP2000069140A (ja) * 1998-08-24 2000-03-03 Kyocera Corp 音声認識機能付き電話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2196A (ko) 200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9221B2 (en) Non-target barge-in detection
US8392180B1 (en) Automatic gain control
AU667871B2 (en) Voice controlled messaging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US7164753B2 (en) Real-time transcription correction system
US6336091B1 (en) Communication device for screening speech recognizer input
US20050080627A1 (en) Speech recognition device
US522219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speech pattern
US8190430B2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input signal quality in speech recognition
US5842161A (en) Telecommunications instrument employing variable criteria speech recognition
KR20020071966A (ko) 음향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유닛의 제어 방법
US20150228293A1 (en) Method and System for Object-Dependent Adjustment of Levels of Audio Objects
JP2006163392A (ja) 入力レベルの自動調整のための音声認識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音声認識方法
JP2006505003A (ja) 音声認識システムの動作方法
JP2005018076A (ja) 客観的なスピーチ品質評価において時間/言語歪みを反映する方法
KR100560914B1 (ko) 전화회선별로 음량 조절이 가능한 음성인식 시스템 및 그방법
JPH06236196A (ja) 音声認識方法および装置
JPH11220345A (ja) 自動利得制御装置
JPH1091184A (ja) 音声検出装置
JPH07235848A (ja) 自動利得制御増幅器
JP2754960B2 (ja) 音声認識装置
JP2000039900A (ja) 自己診断機能付き音声対話装置
JPH02103599A (ja) 音声認識装置
KR20020095502A (ko) 소음환경에서의 끝점 검출 방법
JPH10254493A (ja) 録音音声の音量正規化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装置
JPS63260209A (ja) 自動利得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