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9950B1 - 벼 복토 직파 재배용 복토제 - Google Patents

벼 복토 직파 재배용 복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9950B1
KR100559950B1 KR20040001383A KR20040001383A KR100559950B1 KR 100559950 B1 KR100559950 B1 KR 100559950B1 KR 20040001383 A KR20040001383 A KR 20040001383A KR 20040001383 A KR20040001383 A KR 20040001383A KR 100559950 B1 KR100559950 B1 KR 100559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weight
slag
sulfate
cov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01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3162A (ko
Inventor
오명환
이승로
박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철세라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철세라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철세라믹
Priority to KR20040001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9950B1/ko
Publication of KR20050073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3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9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9950B1/ko

Li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ertilizer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철공정에서 부산물로 발생되는 급냉광재 슬래그를 주재료로 하는 벼 복토 직파 재배용 복토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종래 복토제로 사용되는 모래에 비하여 폐기물의 재활용에 따른 제품 가격의 절감과 함께 규산질 등 비료효과를 증진시키는 등의 유용성을 얻을 수 있는 복토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철공정에서 부산물로 발생되는 급냉 슬래그와 황산염, 인산염, 질산염, 황산, 폐황산, 질산, 폐질산 으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2 이상의 혼합물로 된 산도조절제 및 마사토, 황토, 모래 등의 보조토를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벼 복토 직파 재배용 복토제 {COVERING MATERIALS FOR THE ESTABLISHMENT OF DIRECT-SEEDED RICE CROP}
본 발명은 벼 복토 직파 재배에 사용되는 복토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제철공정에서 부산물로 발생되는 급냉광재 슬래그를 주재료로 하는 벼 복토 직파 재배용 복토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벼 농사 방식으로는 모판에서 모를 키운 후 본답에 정식하는 모내기 작업을 거치는 일반적인 이앙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최근에는 골을 파고 종자를 떨어뜨리고 흙을 덮는 세가지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복토 직파기가 개발되었기 때문에 모내기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생산비, 자재비, 인건비 등의 절감등 경제적인 효과와 함께 조류 피해가 없고 뿌리가 깊게 내려 잘 쓰러지지 않으며 수확량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복토 직파기에 의한 벼 복토 직파 재배에서 가장 중요한 자재중의 하나는 볍씨 파종직후 종자를 덮어주는 재료인데, 최근까지는 복토자재로서 효과가 우수한 모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모래로는 강 등의 주변에서 수집할 수 있는 모래를 이용하며 복토직파기 로울러에 의해 잘 통과될 수 있도록 입자가 고른 것이 좋으며, 사용시 소독후 햇볕등을 이용하여 반드시 건조시켜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복토에 소요되는 모래량은 대략 10a당 150kg 내외로서 파종된 볍씨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덮어주는 것이 좋은데, 너무 두껍게 덮을 경우 복토에 소요되는 모래량이 많이 들어갈 뿐만 아니라 출아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으며, 또한 너무 적게 덮을 경우 볍씨가 노출되어 햇빛에 건조되거나 새 등의 조류피해를 입기 쉽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복토제로 모래를 사용하는 경우 모래 채취, 선별, 소독, 건조, 수송등의 절차를 거쳐야 되기 때문에 작업이 복잡하고 많은 경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복토제로 모래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토양이 사질토로 변하여 작물 생육에 부적합한 토양으로 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모래 대신에 제철공정에서 부산물로 발생되는 급냉광재 슬래그를 주재료로 하면서, 여기에 산도 조절제를 일정량 첨가시켜 가격이 저렴하고 규산질 등의 비료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복토제의 제공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철공정에서 부산물로 발생되는 급냉광재 슬래그 30~95 중량%, 황산염, 인산염, 질산염, 황산, 폐황산, 질산 및 폐질산으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2종류 이상의 혼합물로 된 산도 조절제 5~20중량% 및 마사토, 황토, 모래 등의 보조토 0~50중량%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복토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복토제의 주재료인 급냉광재 슬래그는 제철공정에서 부산물로 발생되는 슬래그중에서 1500℃ 이상의 용융상태에서 압력수로 급속 냉각되어 파쇄된 것으로 입도가 불균일하고 수분이 많으며 PH가 10이상의 강 알카리성이다. 따라서, 복토제로 사용시 PH를 벼 재배에 적합한 PH 5~6.5 범위내로 하기 위한 산도 조절제와 급냉광재 슬래그 단독 또는 복토 재료로 유용한 보조토를 혼합한 후 건조, 분쇄 및 선별 등의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 제철 급냉광재 슬래그의 함유량은 대략 30~95중량% 범위가 바람직한데, 함유량이 30중량% 미만으로 되는 경우에는 제조 가격의 절감, 가용성 규산 함유량 증대라는 급냉광재 슬래그의 사용효과가 미흡하고, 95중량% 초과 사용시는 산도 조절제로 PH를 5.0~6.5 범위로 조제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또한 산도 조절제로는 황산철(FeSO4·H2O, FeSO4·7H2O), 황산구리(CuSO4·5H2O), 황산아연(ZnSO4·7H2O), 황산망간(MnSO4·4H2O)등의 황산염, 인산철(FePO4)등의 인산염, 질산염, 황산, 폐황산, 질산 및 폐질산 등이 단독 또는 2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산도 조절제의 함유량은 대략 5~20중량% 범위가 바람직한데 5중량% 미만으로 사용하거나 20중량% 초과사용시는 알카리성인 제철 급냉 슬래그를 PH 5.0~6.5 범위로 조절하는 것이 어렵다.
보조토는 가용성 규산이 함유되어 있어 토양의 규산함량을 증대시키는 급냉광재 슬래그 외에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마사토, 황토, 모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보조토의 사용량은 대략 50중량% 이하로서, 50중량% 초과 사용시는 상대적으로 제철 급냥 슬래그의 사용량이 적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효과가 미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입도 2mm이하로 선별된 급냉 슬래그 90중량부에 황산철 10중량부를 첨가 혼합하여 PH 5.8의 복토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입도2mm 이하로 선별된 급냉 슬래그 65중량부에 보조토로 마사토 30중량부를 첨가하고 산도조절제로 황산 5중량% 첨가 후 균일하게 혼합하여 PH 6.4의 복토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입도 2mm 이하로 선별된 급냉 슬래그 45중량부, 황토 40중량부 및 인산철 15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PH 5.3의 복토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얻어진 복토제를 사용하여 벼를 무논 복토 직파한 후 입모율을 측정하여 기존의 무논 골뿌림에 의한 입모율과 비교하여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파종방법 복토직파 무논골뿌림
복토제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_
입모율(%) 91 89 92 79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토제를 사용하여 복토 직파 재배를 한 경우 입모율 향상으로 수확량이 증가하고 새들에 의한 피해가 적어지는 등의 이점과 함께, 종래 복토제로 사용되는 모래에 비해 제조공정이 단순하고 폐기물의 재활용에 의한 비용 절감, 토양의 부족한 규산성분 보충 효과 등을 얻을 수 있는 등의 유용성을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제철공정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인 급냉 슬래그 30~95중량%; 황산염, 인산염, 질산염, 황산, 폐황산, 질산 및 폐질산 중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2 종류 이상의 혼합물로 된 산도 조절제 5 ~ 20중량%; 및 보조토 0 ~ 50중량%로 구성되며 PH가 5.0 ~ 6.5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 복토 직파 재배용 복토제.
  2. 제 1항에 있어서, 산도 조절제 중 황산염은 황산철, 황산구리, 황산아연 및 황산망간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벼 복토 직파 재배용 복토제.
  3. 제 1항에 있어서 보조토는 마사토, 황토, 모래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벼 복토 직파 재배용 복토제.
KR20040001383A 2004-01-09 2004-01-09 벼 복토 직파 재배용 복토제 KR100559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01383A KR100559950B1 (ko) 2004-01-09 2004-01-09 벼 복토 직파 재배용 복토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01383A KR100559950B1 (ko) 2004-01-09 2004-01-09 벼 복토 직파 재배용 복토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162A KR20050073162A (ko) 2005-07-13
KR100559950B1 true KR100559950B1 (ko) 2006-03-13

Family

ID=37262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01383A KR100559950B1 (ko) 2004-01-09 2004-01-09 벼 복토 직파 재배용 복토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99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34560B2 (en) 2010-09-10 2014-05-27 Harsco Corporation Agricultural blend and process of forming an agricultural blend
KR102032939B1 (ko) * 2017-09-15 2019-10-16 유한회사 태창산업 조선 사업 부산물 재료와 황토를 이용한 친환경 재활용 수축침하 방지용 성토재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만든 친환경 재활용 수축침하 방지용 성토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162A (ko) 2005-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in et al. Effects of biochar on sodium ion accumulation, yield and quality of rice in saline-sodic soil of the west of Songnen plain, northeast China.
Wang et al. Subsoil tillage promotes root and shoot growth of rapeseed in paddy fields and dryland in Yangtze River Basin soils
Shaaban et al. Zinc-boron relationship in wheat plants grown under low or high levels of calcium carbonate in the soil
CN106831183A (zh) 富硒生长素,叶面肥及其制备方法,富硒油菜种植方法
CN102249815B (zh) 一种反酸田水稻专用肥及其制备和使用方法
Song et al. Nitrogen-fixing cyanobacteria have the potential to improve nitrogen use efficiency through the reduction of ammonia volatilization in red soil paddy fields
KR100559950B1 (ko) 벼 복토 직파 재배용 복토제
Patra et al. Effect of different levels of boron and molybdenum on growth and yield of mung bean [Vigna radiata (L.) Wilczek (cv. Baisakhi Mung)] in Red and Laterite Zone of West Bengal
Jat et al. Effect of dual-purpose summer legumes and zinc fertilization on system productivity, economics and nutrient use-efficiencies of rice (Oryza sativa)–wheat (Triticum aestivum) cropping system
Elekhtyar et al. Utilization of compost and compost tea for improving Egyptian hybrid rice one cultivar
Morikawa et al. Co-situs application of controlled-release fertilizers to alleviate iron chlorosis of paddy rice grown in calcareous soil
Singh et al. Crop residue management for sustaining the soil fertility and productivity of potato based cropping systems in Punjab
Singh et al. Mineral nutrition in plants and its management in soil
Naresh et al. Soil carbon and nitrogen mineralization dynamics following incorporation and surface application of rice and wheat residues in a semi-arid area of North West India: A review
RU2259032C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плодородия почвы
CN103127902B (zh) 冷浸田还原态硫毒害控制剂的制备法、使用法和用途
CN106105860A (zh) 一种育苗基质及其配制方法
CN106973574B (zh) 反酸田的改良方法
Phongchanmixay et al. Rice plant growth and nutrient leaching under different patterns of split chemical fertilization on sandy soil using a pot
Udawatte et al. Use of single superphosphate fertiliser produced using Eppawala rock phosphate as a source of phosphorous for rice cultivation
Sumedha et al. Seaweeds–promising organic fertilizers
Kumar et al. Impact of spacing, doses of vermi-compost and foliar application of salicylic acid on growth and flowering of gladiolus (Gladiolus grandiflorus L.) cv.“White prosperity”
El-Saady et al. Effect of furrow spacing and phosphorus fertilization treatments on faba bean yield, nutrients content and some water relationships
Nayak et al. Nutrient management for enhancing productivity and nutrient use efficiency in rice
JPS614992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