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9470B1 - 클러스터 시스템에서 컨텐트 전송 작업 관리 방법 및 그장치 - Google Patents

클러스터 시스템에서 컨텐트 전송 작업 관리 방법 및 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9470B1
KR100559470B1 KR1020030084703A KR20030084703A KR100559470B1 KR 100559470 B1 KR100559470 B1 KR 100559470B1 KR 1020030084703 A KR1020030084703 A KR 1020030084703A KR 20030084703 A KR20030084703 A KR 20030084703A KR 100559470 B1 KR100559470 B1 KR 100559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b
cluster
content
management
b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4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1020A (ko
Inventor
김진미
배승조
김창수
우상민
박유현
전승협
이원재
김학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84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9470B1/ko
Publication of KR20050051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1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9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9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러스터 시스템 간에 컨텐트 파일을 전송할 때 단일 노드 혹은 클러스터 내의 모든 노드들의 작업을 중앙 집중으로 관리할 수 있는 컨텐트 전송 관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중 본 발명의 장치는 다수의 실행노드들과 하나의 디스패쳐로 이루어진 클러스터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자로부터 요청된 작업 요구에 대하여 요구 유형에 따른 적합한 작업 구별이 이루어지는 작업 요구 처리 모듈; 상기 작업 요구 처리 모듈에 의해 분류된 특성에 따라 관리되는 작업 관리 모듈; 작업 요구에서 판단되고 작업 관리 구성에 의해 작업 관리가 이루어지는 특성을 바탕으로 대기 작업 관리에 있는 작업을 기반으로 수행하는 작업 배치 모듈; 및 작업 배치 과정이 끝나 작업 관리의 실행 작업 관리로 이동한 작업에 대해 파일 전송 규약(FTP)을 수행하여 실제 컨텐트 전송이 이루어지는 작업 전송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컨텐트 전송을 지원하는 작업 관리 기법은 클러스터 시스템 내의 노드간 작업 관리뿐만 아니라 컨텐트 전송이 이루어지는 상대편 클러스터 시스템의 노드간에도 서로 상호 협력하여 작업 관리가 적합하게 이루어진다.
클러스터, 컨텐트 전송, 작업 관리자, 컨텐트 전달망, CDN

Description

클러스터 시스템에서 컨텐트 전송 작업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Content delivery job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in cluster system }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클러스터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트 전송 작업 관리 객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트 전송 작업 관리자의 구성 블럭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작업관리모듈의 세부 구성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트 전송 작업 관리자 간의 상호 관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트 풀(pull) 전송 모드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트 푸시(push) 전송 모드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1 ~ 100-N: 클라이언트 200-1, 200-2: 클러스터 시스템
210-1, 210-2: 디스패쳐 노드 220-1~220-4: 작업 노드
222-1~222-4: 작업 노드의 저장장치 230-1~230-4: 서브 노드
232-1~232-4: 서브 노드의 저장장치 31: 작업 요구 처리 모듈
32: 작업 관리 모듈 32-1: 스케줄 작업 관리 모듈
32-2: 대기 작업 관리 모듈 32-3: 실행 작업 관리 모듈
33: 작업 배치 모듈 34: 작업 전송 모듈
35: 시스템 자원 관리 모듈
본 발명은 클러스터 시스템에서 각 노드들간의 컨텐트 전송을 지원하는 작업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클러스터 시스템 간에 컨텐트 파일을 전송할 때 단일 노드 혹은 클러스터 내의 모든 노드들의 작업을 중앙 집중으로 관리할 수 있는 컨텐트 전송 관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으로 인터넷을 활용한 서비스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웹서버, 전자상거래서버, VOD서버, 게임서버 등을 포함한 여러 분야에서 고성능 서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고성능 서버는 각 서버회사의 고유 아키텍춰에 기반하여 캐비넷 형태로 생산됨으로써 가격이 매우 비싼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클러스터 시스템은 저가의 고성능 PC 혹은 워크스테이션을 고속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연결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고 성능 서버의 성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클러스터 시스템은 네트워크(통상 Scalable Coherent Interface나 기가 이더넷 등을 사용한다)의 성능과 함께 분산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작업관리시스템(작업관리자)이 필수적이다.
한편, 클러스터 시스템에서 작업 관리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한국 특허번호 특0149211호로 등록된 "완전 이동 비디오 화일 분배 시스템 및 방법"과, 한국 공개번호 특2003-0027485호로 공개된 "컨텐트 전달망에서 컨텐트 레벨의 컨텐트 루팅 방법 및 장치"와, 미국 라이스대학 병렬처리연구소(Center for Research on Parallel Computation; Rice University)에서 발표된 "클러스터 컴퓨팅 리뷰(Cluster Computing Review)", 그리고 카세나사(Kasenna Inc.)에서 발표된 "비디오 컨텐트 분배(Video Content Distribution)"가 있다.
특허등록 번호 특0149211호로 등록된 "완전 이동 비디오 화일 분배 시스템 및 방법"은 공유 비디오 라이브러리 및 광역 통신망을 이용하여, 비디오 화일을 근거리 통신망 상의 지역캐시로 전송하여 근거리 통신망에서 즉시 전송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완전 이동 비디오 화일 분배 시스템 및 방법"은 다수의 비디오 화일을 저장하기 위한 공유 비디오 화일 라이브러리(shared video file libray)와, 근거리통신망(LAN)와, 광역통신망(WAN)과, 근거리 통신망내에 위치한 비디오 화일을 시청하고자 하는 시청 스테이션으로 부터의 요구(a request)에 응답하여 캐쉬가 요구된 화일을 갖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과, 판정하는 수단에 응답하여, 캐쉬가 요구된 화일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 공유 비디오 라이브러리로부터 캐쉬로 광역 통신망을 통해 요구된 화일의 전송을 활성화시키는 수단과, 실시간 재생 속도로 캐쉬 내의 요구된 비디오 화일의 시청 스테이션으로의 전송을 활성화시키는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근거리통신망은 완전 이동 비디오 화일 캐쉬(a full motion video file cache)를 갖고, 캐쉬로부터 다수의 시청 스테이션(a plurality of viewing stations)으로 비디오 화일들을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비디오 화일들의 전송과 동시에 스테이션들에서 그를 시청할 수 있는 실시간 재생 속도(a real time playback rate)로 비디오 화일들을 전송한다. 그리고 광역통신망은 공유 비디오 라이브러리에 접속되어, 공유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비디오 화일들을 비디오 화일들의 실시간 재생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근거리 통신망으로 전송한다.
공개번호 특2003-0027485호로 공개된, "컨텐트 전달망에서 컨텐트 레벨의 컨텐트 루팅 방법 및 장치"는 인터넷의 컨덴츠 전달망(CDN:Content Delivery Network) 환경에서 웹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트에 대한 컨텐트 레벨의 루팅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컨텐트 전달망(CDN)은 근원서버의 컨텐트를 광대역망을 통해 에지사이트의 캐시서버로 사전에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가장 인접한 위치의 캐시서버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에지서버에 해당 컨텐트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 에지서버의 가용성, 에지서버의 부하 및 에지서버와 웹 사용자간의 인접성 등에 따라 최적의 에지 서버를 선택해서 웹 사용자에게 컨텐트를 제공한다. 따라서 선행기술에 따르면 인터넷 백본의 트래픽을 감소시켜 투자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최적의 에지 서버를 선택할 수 있음으로 인해 웹 사용자와 에지 서버간의 지연을 최소화하고, 신뢰성있는 인터넷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라이스대학 병렬처리연구소에서 발표된 "Cluster Computing Review" 는 클러스터 시스템에서의 작업 관리자들이 분류 설명되어 있으며 작업 관리자가 해결해야 하는 기반기술을 알 수 있게 하고, 카세나사의 "Video Content Distribution" 은 캐싱 개념을 사용하여 컨텐트를 분배하는 방법으로 컨텐트를 요구가 발생한 가까운 에지서버로 분배하는 것이다.
한편, 클러스터 시스템에서의 컨텐트 전송 작업은 일반 클러스터 시스템에서의 다른 작업과는 달리 클러스터 시스템 간에 컨텐트 전송이 이루어지는 작업들이므로 클러스터 시스템간에 작업의 일관성이 요구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르면, 클러스터 시스템에서의 작업 관리자는 해당 클러스터 시스템 내에서의 작업 관리로 국한되고, 상대편 클러스터 시스템으로 작업이 이관되었다고 하더라도 상호 협력이 이루어지지 않아 실시간이 요구되는 작업이 적합한 노드에서 이루어지지 않는 비효율성이 있다. 더욱이 상대편 클러스터 시스템에 이관된 작업의 정보 변경 등이 발생하였거나, 작업의 오류 등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도 작업 관리자간의 관리방법 부족으로 인해 작업을 발생한 시스템과, 작업을 수행하는 시스템 간에 일관성이 유지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클러스터 시스템 간에 컨텐트 파일을 전송하고자 할 때 클러스터 내의 모든 노드들의 작업을 중앙집중방식으로 관리하고, 컨텐트 전송 작업 요구들에 대하여 노드들의 자원 모니터링을 포함하는 적합한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모든 작업들을 효율 적으로 관리하여 컨텐트 전송 작업을 클러스터 시스템 내에서뿐만 아니라 클러스터 시스템간에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하는 클러스터 시스템에서 컨텐트 전송 작업 관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법은, 다수의 실행노드들로 이루어진 클러스터 시스템에서 컨텐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관리자로부터 요청된 작업 요구에 대하여 요구 유형에 따른 적합한 작업 구별하여 등록 및 관리 객체를 생성하는 작업 요구 처리 단계; 상기 작업 요구 처리 단계에서 생성된 관리객체에 따라 작업을 관리하는 작업 관리 단계; 상기 작업 요구 단계에서 판단되고, 상기 작업관리 단계의 대기 작업 관리에 있는 작업을 기반으로 작업 배치를 수행하는 작업 배치 모듈; 및 상기 작업 배치 과정이 끝나 실행 작업 관리로 이동한 작업에 대해 파일 전송 규약(FTP)을 수행하여 실제 컨텐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작업 관리 단계는 스케줄 작업 관리단계와, 대기 작업 관리 단계, 및 실행 작업 관리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기 작업 관리 단계는 작업 요구를 클러스터 내 컨텐트 전송 요구 작업일 경우와, 클러스터 간 작업일 경우를 판단한다. 그리고 클러스터 간 컨텐트 전송 요구 작업일 경우, 본 발명의 방법은 클러스터 시스템간 작업 등록을 위해서 각 클러스터 시스템간 작업관리장치의 연결을 통해 요구 메시지를 전달하여 상대측 클러스터 시스템의 작업 관리장치에 대해 작 업 등록을 요구하는 단계; 상대측에서 작업 등록이 이루어지면, 상대측에서 대기 작업으로 분류되어 대기 작업 관리 모듈에서 관리하는 단계; 상대측 작업요구 처리모듈에서 정의된 작업의 특성에 따라 작업 배치가 이루어진 후에 작업 배치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클러스터 시스템간 연결을 통해 작업 결과 메시지를 반환하는 단계; 반환된 상대 디스패쳐에서의 작업 결과를 가지고, 자기측 작업 관리 장치에서 작업 배치 모듈에 의해 작업배치를 수행하고,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경우에 실행 작업 관리 모듈로 이동하는 단계; 및 배치 작업이 끝난 실행 작업 관리 모듈에서는 파일 전송 규약(FTP)의 전송 클라이언트에서 상대 전송 서버로 컨텐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트 전송 관리를 적용하기에 적합한 클러스터 시스템의 구성 블럭도로서, 인터넷(102)을 통해 연결된 다수의 클라이언트(100-1~100-N)와 클러스터 시스템(200-1, 200-2)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클러스터 시스템(200-1, 200-2)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다수의 클러스터 시스템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수의 클라이언트(100-1~100-N)는 인터넷(102)을 통해 클러스터 시스템(200-1, 200-2)에 연결되어 클러스터 시스템(200-1, 200-2)내의 각종 실행 노드(220-1~220-4)에 접속 연결되어 작업 관리자에 의해 전송 지원을 받으면 서 스트림 서비스(예: VOD)를 제공받는다.
각 클러스터 시스템(200-1, 200-2)은 다수의 클라이언트(100-1~100-N)와 인터넷(102)을 통해 연결되어 컨텐트 전송 지원 작업 관리를 수행하면서 스트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블록으로서, 하나의 디스패쳐 노드(210-1, 210-2)와, 다수의 실행 노드(220-1~220-4), 및 디스패쳐노드(210-1,210-2) 및 각 실행 노드(220-1~220-4)에 연결된 주 저장장치(222-1~222-4)를 구비한다. 그리고 각 실행 노드(220-1~220-4)에는 다수의 서브 노드(230-1~230-4)가 포함되어 있고, 각 서브 노드(230-1~230-4)에는 해당 저장 장치(232-1~232-4)가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클러스터 시스템이 4개의 실행노드(220-1~220-4)로 구성되고, 각 실행노드는 4개의 서브 노드(230-1~230-4)로 구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대표 구성에 대해서만 참조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디스패쳐 노드(210-1, 210-2)는 다수의 클라이언트(100-1~100-N)로의 스트림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며, 컨텐트 전송 작업 요청을 관리하기 위한 작업 관리 객체를 탑재하여 관리자로부터 컨텐트 전송 요구를 받아 해당 서비스 요청을 정상적으로 처리하며, 각 클러스터 시스템(200-1, 200-2)의 전반적인 구성을 담당한다. 그리고 다수의 스트림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클라이언트(100-1~100-N)가 클러스터 시스템(200-1, 200-2)에 속한 디스패쳐노드(210-1, 210-2)에 접속하면, 스트림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클러스터 시스템(200-1, 200-2)내의 각종 실행 노드(220-1~220-4)들 중 적합한 노드를 선택하여 접속하도록 하고, 컨텐트 전송 작업 요청을 목적으로 하는 클라이언트(100-1~100-N)의 경우에는 컨텐트 전송 작업 관리 서비스를 통해 최종적으로 각종 실행 노드(220-1~220-4) 내의 서브 노드(230-1~230-4)를 선택하여 전송작업을 실행하도록 제어한다.
실행 노드(220-1~220-4)는 실행 노드를 독립적인 서버로 가능하게 하는 운영체제(O/S)를 탑재하여 다수의 스트림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클라이언트(100-1~100-N) 및 컨텐트 전송 작업 요청을 목적으로 하는 클라이언트(100-1~100-N)에게 실제 스트림 서비스 및 파일 전송 규약(FTP) 서비스를 실행하도록 제어한다.
실행 노드(220-1~220-4)에 포함된 서브 노드(230-1~230-4)는 실제 스트림 서비스 및 파일 전송 규약(FTP)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선택된 통신장치를 포함하는 최종 응답 실행 노드로서, 서브 노드(230-1~230-4)에 포함된 저장 장치(232-1~232-4)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트를 저장장치와 연결된 서브 노드(230-1~230-4)에 포함된 통신장치를 사용하여 전송하거나 전송받는다.
컨텐트 전송 작업 관리 장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클러스터 시스템(200-1, 200-2) 내의 각 디스패쳐노드(210-1, 210-2)에 탑재되어 각 클러스터 시스템(200-1, 200-2)을 중앙 집중 관리하도록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트 전송 작업 관리 객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작업요구 객체(21)의 구성과, 작업관리 객체(22)의 구성, 시스템정보관리 객체(23)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작업요구 객체(21)는 '요구유형', '요구클라이언트 주소연결', '요구시간', '클러스터 내/간 요구구별', '요구유형에 따른 작업구별', '응답 처리' 항목으로 구성되고, 요구유형에 따른 작업구별은 작업중지/일시정지/재개(21-1)와, 작업상태 모니터(21-2), 작업등록(수정) 리스트로 구분된다. 이때, 작업중지/일시정지/재개와, 작업상태 모니터 항목에는 '작업번호'가 기재되고, 작업등록(수정) 객체(21-3)는 '요구이름', '요구번호', '전송모드', '컨텐트모드', '전송할 컨텐트 크기', '작업우선순위', '작업실패시 반복횟수', '컨텐트 디스패처', '컨텐트노드 및 서브노드 주소', '컨텐트위치', '저장장치 디스패처', '저장장치노드' 및 '서브노드주소', '컨텐트번호', '작업스케쥴시간'으로 구성된다.
작업관리객체(22)는 '작업요구 구성객체', '작업이름', '작업관리구분' (스케줄/대기/실행), '작업상태', '작업배치를 위한 전송유형', '작업배치를 위한 상태모드구분', '시스템 자원제어 의존작업', '작업응답처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시스템 정보 관리객체(23)는 '클러스터 이름', '클러스터 가상주소', '각 노드에 실행중인 작업수', '작업실패시 반복작업횟수', '전송작업 대역폭관리', '실행노드1'~ '실행노드4'로 이루어지고, 각 실행노드 객체(24)는 '실행노드이름', '실행노드 가상주소', '실행노드에 수행중인 작업', '실행노드 자원부하', '실행노드상태', '서브노드수', '서브노드1'~ '서브노드4'로 이루어지며, 각 서브노드 객체(25)는 '서브노드 이름', '서브노드 주소', '서브노드에 수행중인 작업', '서브노드자원부하', '서브노드상태'로 이루어진다.
도 3a,3b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트 전송 작업 관리 장치를 도시한 구성 블럭도로서, 본 발명의 컨텐트 전송 작업 관리장치는 각 클러스터 시스템(200-1, 200- 2)의 디스패쳐 노드(210-1,210-2)에 구현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작업관리장치는 각 클러스터시스템(200-1,200-2)에 속한 관리자의 작업 요구에 따라 요구를 처리하는 작업 요구 처리 모듈(31)과, 작업 관리 모듈(32), 작업 배치 모듈(33), 작업 전송 모듈(34), 그리고 시스템 자원 관리 모듈(35)로 구성된다.
도 3a,3b를 참조하면, 작업 요구 처리 모듈(31)은 관리자로부터 요청된 작업 요구에 대하여 요구 유형에 따라 작업을 구별하고, 컨텐트 전송 지원 작업을 특성에 맞게 분류하기 위하여 작업 등록 객체(21-3)의 컨텐트 디스패쳐 및 저장 장치 디스패쳐를 읽어 들여 클러스터 시스템 정보 관리 객체(23,24,25)를 분석하고, 분석에 따라 클러스터 시스템 내의 작업인지 클러스터 시스템 간의 작업인지를 판단하여 처리한다.
또한 작업 등록 객체(21-3)의 컨텐트 노드 및 서브 노드 주소와 저장 장치 노드 및 서브 노드 주소를 읽어 들여 컨텐트의 전송모드(push 전송 모드 혹은 pull 전송 모드)에 따라 수동, 반자동, 완전자동 배치의 요구 분석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수동배치는 서브 노드 주소가 결정된 상태이고, 반자동배치는 실행노드 주소가 결정된 상태로 실행노드 내 전송을 위한 서브 노드를 결정하는 상태이며, 완전자동배치는 디스패쳐 노드만 결정된 상태로 클러스터 시스템 내 전송을 위한 서브 노드를 결정하는 상태이다.
그리고 작업 등록 객체(21-3)의 작업 스케줄 시간을 읽어 들여 요청된 작업이 스케줄 작업인지 대기 작업인지 판단하며, 작업 등록 객체(21-3)의 작업 우선순위를 읽어 들여 작업의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작업 요구 처리 모듈(31)이 모두 완 료된 작업 요구에 대해서는 작업 관리를 위해 작업 관리 모듈(32)에 전달한다.
작업 관리 모듈(32)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요구 처리 모듈(31)에 의해 분류된 특성에 따라 스케줄 작업 관리 모듈(32-1), 대기 작업 관리 모듈(32-2), 실행 작업 관리 모듈(32-3)로 이루어진다.
스케줄 작업 관리 모듈(32-1)에서는 작업 관리 객체(22)에서 작업요구객체(21)의 작업등록객체(21-3)를 체크하여 작업스케줄 시간이 도달하였을 경우, 대기 작업 관리모듈(32-2)로 작업이 이동 관리된다. 대기 작업 관리모듈(32-2)에서는 작업 요구 처리모듈(31)에서 분석되어 처리된 작업 관리 객체(22)를 바탕으로 클러스터 내 컨텐트 전송 요구 작업일 경우와 클러스터 간 컨텐트 전송 요구 작업일 경우를 판단한다.
클러스터 간 컨텐트 전송 요구 작업일 경우, 상대 디스패쳐의 작업 관리 장치를 연결하고, 연결된 상대 디스패쳐의 작업 관리 장치에서는 작업 요구 처리모듈(31)에서 작업 요구 분석이 이루어지며, 상대 디스패쳐의 작업 관리모듈(32)에서 작업 배치(33)가 이루어지고, 작업 배치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연결된 본 디스패쳐 노드의 작업 관리 장치의 작업 관리 객체(22)로 반환하게 된다. 반환된 상대 디스패쳐에서의 작업 결과를 가지고, 본 작업 관리 장치에서의 작업 배치(33)를 수행하고,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경우에 실행 작업 관리모듈(32-3)로 이동하는 절차를 따르게 된다.
작업 배치 모듈(33)은 작업 요구모듈(31)에서 판단되고 작업 관리 객체(22)에 의해 작업 관리 모듈(32)이 처리하는 특성을 바탕으로 대기 작업 관리모듈(32- 2)에 있는 작업을 기반으로 수행한다.
작업 배치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작업 전송 모드와 전송에 요구된 클러스터 시스템 구성에 따라 작업 요구 처리 모듈(31)에서 다음 표 1에서와 같이 12유형으로 분류되어 동작한다.
클러스터내 클러스터간
클러스터 내 pull 모드 완전 자동 유형; 클러스터 내 pull 모드 반자동 유형; 클러스터 내 pull 모드 수동 유형; 클러스터 내 push 모드 완전 자동 유형; 클러스터 내 push 모드 반자동 유형; 클러스터 내 push 모드 수동 유형 클러스터 간 pull 모드 완전 자동 유형; 클러스터 간 pull 모드 반자동 유형; 클러스터 간 pull 모드 수동 유형; 클러스터 간 push 모드 완전 자동 유형; 클러스터 간 push 모드 반자동 유형; 클러스터 간 push 모드
상기 표1과 같이 구분된 각 유형 형태에 따라 배치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작업의 수동, 반자동, 완전자동 배치요구에 따라 시스템 자원 모니터링 분석치를 결정하고, 작업의 전송 모드(push 및 pull) 특성에 따라 배치 수행을 실행하게 된다.
클러스터 시스템 간 컨텐트 전송 요구가 발생하였을 경우, 본 디스패쳐 노드의 컨텐트 전송 관리 장치에서 작업의 전송 모드가 푸시(push)일 경우에는 본 디스패쳐 노드의 컨텐트 전송 관리 장치에서는 중복된 컨텐트의 경우, 컨텐트를 결정하는 배치 수행이 일어나게 되고, 상대 디스패쳐 노드의 컨텐트 전송 관리 장치에서는 저장 장치 배치를 결정해야 하는 경우 배치 수행을 실행하게 된다. 반면에 본 디스패쳐 노드의 컨텐트 전송 관리 장치에서 작업의 전송 모드가 풀(pull)일 경우 에는 본 디스패쳐 노드의 컨텐트 전송 관리 장치에서는 저장 장치 배치를 결정해야 하는 경우 배치 수행이 일어나게 되고, 상대 디스패쳐 노드의 컨텐트 전송 관리 장치에서는 중복된 컨텐트의 경우 컨텐트를 결정하는 배치 수행이 일어나게 된다.
작업 전송 모듈(34)은 작업 배치 모듈(33)의 과정이 끝나 작업 관리모듈(32)의 실행 작업 관리 모듈(32-3)로 이동한 작업에 대해 파일 전송 규약(FTP)을 수행하여 실제 컨텐트 전송이 이루어진다.
시스템 자원 관리 모듈(35)은 컨텐트 전송 작업 관리 장치에서 필요한 시스템 정보, 시스템 자원 정보 및 작업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장치(222-1~222-4)에 저장하여 작업 요구 처리모듈(31)에서부터 작업 배치를 바르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트 전송 작업 관리에서 대기 작업 관리에 있는 작업 중에 클러스터 시스템 간 전송이 이루어질 경우 상호관계를 제어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로서, 클러스터 간 작업 요구가 있으면 작업 요구 처리 모듈(31)을 통해 스케줄 작업 모듈(32-1)과 대기 작업 관리 모듈(32-2)로 분류되어 관리되고, 대기 작업 관리 모듈(32-2)에서 상대 디스패쳐 노드로 연결하여 상대 작업 요구 처리모듈(31)에 등록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클러스터 시스템(200-1,200-2)간 작업 등록을 위해서는 각 클러스터 시스템의 작업관리장치(210-1,210-2)의 연결을 통해 요구 메시지(41)가 전달되어 상대측 클러스터 시스템의 작업관리자에 대해 작업 등록을 요구하고, 상대측에서 작업 등록이 이루어지면, 대기 작업으로 분류되어 대기 작업 관리 모듈(32-2)에서 관리된다. 여기서, 요구 메시지는 본 디스패쳐의 상대 작업임을 나타내는 '작업번호', 배치 작업을 위해 필요한 '전송모드', 대상 '컨텐트번호', 배치 작업의 분류(수동/반자동/완전자동)를 위해 필요한 '디스패쳐 주소 및 상대 클러스터내의 IP 주소', '작업 우선순위'를 포함한다.
그리고 작업요구 처리모듈(31)에서 정의된 작업의 특성에 따라 작업 배치가 이루어진 후에, 작업 배치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연결을 통해 작업 결과를 응답받는다. 응답의 결과 메시지(42)는 본 디스패쳐 노드의 작업 관리 장치의 작업 관리 객체로 반환하게 된다. 여기서, 결과 메시지는 본 디스패쳐의 상대 작업임을 나타내는 '작업 번호', '작업의 배치 실행 상태(OK/NOK)', '전송 모드', 대상 '컨텐트 번호', 배치가 완료된 '서브 노드 주소', 배치 작업 결과 컨텐트를 저장할 스토리지 혹은 '컨텐트 위치'를 포함한다.
반환된 상대 디스패쳐에서의 작업 결과를 가지고, 자기 작업 관리 장치에서 작업 배치 모듈(33)에 의해 작업배치를 수행하고,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경우에 실행 작업 관리 모듈(32-3)로 이동하는 절차를 따르게 된다. 배치 작업이 끝난 실행 작업 관리 모듈(32-3)에서는 파일 전송 규약(FTP)의 전송 클라이언트에서 상대 전송 서버로 컨텐트 전송이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클러스터 간 컨텐트 전송 작업 장치간에 컨텐트 풀(pull) 전송 모드에 해당하는 컨텐트간 전송 작업을 보여주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관리자에 의해 컨텐트 전송 요구가 디스패쳐(210-1)를 통해 들어오고, 디스패쳐(210-1) 상의 컨텐트 전송 작업 관리 장치에서 작업 요구 메시지를 수신(단계 501)하고,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작업 등록(단계 502)한다.
등록된 작업은 작업 관리 모듈(32)에 의해 관리되며, 대기 작업 관리 모듈(32-2)에서 작업 처리 순서가 되었을 경우, 클러스터 시스템 간 풀(pull) 전송 모드를 요구하는 새로운 작업인지를 체크한다(단계 503, 504).
체크단계(504)에서 작업이 클러스터 시스템 간 풀(pull) 전송 모드를 요구하는 새로운 작업이면, 상대 디스패쳐(210-2)로 상대 작업 요구 메시지를 전달(단계 510)한다. 반면에, 작업이 클러스터 시스템 간 풀(pull) 전송 모드를 요구하는 기존의 등록된 작업이면, 대기 작업 관리 객체에서 컨텐트 위치 파악이 끝났는지를 체크한다(단계 505).
단계 504에서 풀 전송모드의 새 작업일 경우, 상대방 디스패쳐는 작업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고(단계 510), 상대방 작업 관리장치의 작업 요구 처리모듈(31)은 수신된 작업 요구의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대 작업 등록한다(단계 511).
이어 대기작업관리모듈(32-2)에 의해 관리되며(단계 512), 상대 작업 처리 순서가 되었을 경우에는 컨텐트 배치 작업이 필요한지, 즉 수동, 반자동, 완전자동 요구에서 배치 작업이 필요한 반자동 및 완전자동 요구 인지를 체크한다(단계 513).
상기 체크 단계(513)에서 컨텐트 배치 작업이 필요한 요구이면, 동일한 컨텐트 중에 노드 및 서브 노드의 자원을 모니터링 하여 가장 적합한 컨텐트의 위치를 파악하여 처리(단계 514)하고, 컨텐트 위치 파악이 제대로 끝났는지를 체크하는 단계(515)를 수행하며, 반면에 컨텐트 배치 작업이 필요하지 않는 수동 요구일 경우에는 바로 컨텐트 위치 파악이 제대로 끝났는지를 체크한다(단계 515).
상기 체크 단계(515)에서 컨텐트 위치 파악이 제대로 끝났으면, 다시 자기 요구를 발생한 작업관리 장치가 있는 디스패쳐(210-1) 노드의 작업관리 장치로 결과를 반환한다. 이에 따라 자기 디스패쳐의 작업요구처리모듈(31)은 작업요구 메시지를 수신(단계 501)하고, 상대 작업 관리 장치에서는 실행 작업 관리 큐에 추가(단계 516)한다. 반면에, 상기 체크 단계(515)에서 컨텐트 위치 파악이 제대로 끝나지 않았을 경우에는 대기 작업 관리 리스트에서 작업 관리 객체(22)의 작업 등록 객체(21-3)에 표시된 작업 실패 시 반복 작업 횟수만큼 다시 컨텐트 배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체크 단계(515)에서 성공적으로 반환된 작업 요구 메시지는 단계 502 503, 단계 504에서 새로운 작업이 아닌 요구이므로, 풀(pull) 전송 모드에서 상대 전송 관리 장치에서 처리된 컨텐트 위치 파악이 끝났는지를 체크한다(단계 505).
상기 체크 단계(505)에서 상대 컨텐트 위치 파악이 끝났을 경우, 자기 컨텐트 전송 관리 장치에서 저장 장치 배치 작업이 필요한지, 즉 수동, 반자동, 완전자동 요구에서 배치 작업이 필요한 반자동 및 완전자동 요구인지를 체크한다(단계 506). 반면에, 상기 체크 단계(505)에서 컨텐트 위치 파악이 제대로 끝나지 않았을 경우에는 대기 작업 관리 리스트에서 작업 관리 객체(22)의 작업 등록 객체(21-3)에 표시된 작업 실패 시 반복 작업 횟수만큼 작업 대기 리스트에서 상대 컨텐트 위치 파악이 정상 반환되기를 기다린다.
상기 체크 단계(506)에서 저장 장치 배치 작업이 필요한 요구이면, 반자동 및 완전자동 요구에 따라 노드 및 서브 노드의 자원을 모니터링하여 가장 적합한 저장장치의 위치를 파악하여 처리(단계 507)하고, 실행 작업 관리 큐에 추가(단계 508)하고, 실행 작업 관리에서는 컨텐트 전송을 위해 작업을 전송(단계 509)하게 된다. 반면에 단계(506)에서 저장 장치 배치 작업이 필요하지 않는 요구이면, 실행 작업 관리 큐에 추가(단계 508)하고, 실행 작업 관리에서는 컨텐트 전송을 위해 작업을 전송(단계 509)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클러스터 간 컨텐트 전송 작업 장치간에 컨텐트 푸시(push) 전송 모드에 해당하는 컨텐트간 전송 작업을 보여주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관리자에 의해 컨텐트 전송 요구가 디스패쳐(210-1)를 통해 들어오고, 디스패쳐(210-1) 상의 컨텐트 전송 작업 관리 장치에서 작업 요구 메시지를 수신(단계 601)하고,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작업 등록(단계 602)이 이루어진다. 등록된 작업은 작업 관리 모듈(32)에 의해 관리되며, 대기 작업 관리 모듈(32-2)에서 작업 처리 순서가 되었을 경우 클러스터 시스템 간 푸시(push) 전송 모드를 요구하는 새로운 작업인지를 체크한다(단계 603,604)
상기 체크 단계(604)에서 작업이 클러스터 시스템 간 push 전송 모드를 요구하는 새로운 작업이면, 상대 디스패쳐(210-2)를 통해 상대 작업 요구 메시지를 전달한다. 반면에, 작업이 클러스터 시스템 간 push 전송 모드를 요구하는 기존의 등록된 작업이면, 대기 작업 관리 리스트에서 저장 장치 위치 파악이 끝났는지를 체크한다(단계 605).
단계 604로부터 단계 610으로 수신된 작업 요구는 작업요구처리모듈(31)에서 처리되는데, 작업요구처리모듈(31)은 해당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대 작업 등록(단계 611)을 수행하고, 바로 대기 작업 관리 모듈(32-2)에 의해 관리된다(단계 612). 상대 작업 처리 순서가 되었을 경우에는 저장장치 배치 작업이 필요한지, 즉 수동, 반자동, 완전자동 요구에서 배치 작업이 필요한 반자동 및 완전자동 요구인지를 체크한다(단계 613).
상기 체크 단계(613)에서 저장장치 배치 작업이 필요한 요구이면, 노드 및 서브 노드의 자원을 모니터링하여 가장 적합한 저장장치 위치를 파악하여 처리(단계 614)하고, 저장장치 위치 파악이 제대로 끝났는지를 체크하는 단계(615)를 수행하며, 반면에 저장장치 배치 작업이 필요하지 않는 수동 요구일 경우에는 바로 저장장치 위치 파악이 제대로 끝났는지를 체크한다(단계 615).
상기 체크 단계(615)에서 저장장치 위치 파악이 제대로 끝났으면 다시 자기 요구를 발생한 작업관리 장치가 있는 디스패쳐(210-1) 노드의 작업관리 장치에서 반환 결과를 가지고 전송 작업을 처리하기를 요구하는 작업요구 메시지를 수신(단계 601)하고, 상대 작업 관리 장치에서는 실행 작업 관리 큐에 추가(단계 616)한다. 반면에, 상기 체크 단계(615)에서 저장장치 위치 파악이 제대로 끝나지 않았을 경우에는 대기 작업 관리 리스트에서 작업 관리 객체(22)의 작업 등록 객체(21-3)에 표시된 작업 실패 시 반복 작업 횟수만큼 다시 저장장치 배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단계 612).
상기 체크 단계(615)에서 성공적으로 반환된 작업 요구 메시지는 단계 602, 603, 단계 604에서 새로운 작업이 아닌 요구이므로 푸시(push) 전송 모드에서 상대 전송 관리 장치에서 처리된 저장장치 위치 파악이 끝났는지를 체크한다(단계 605).
상기 체크 단계(605)에서 상대 저장장치 위치 파악이 끝났을 경우, 자기 컨텐트 전송 관리 장치에서 컨텐트 배치 작업이 필요한지, 즉 컨텐트 결정 배치 작업이 필요한 반자동 및 완전자동 요구 인지를 체크한다(단계 606). 반면에, 상기 체크 단계(605)에서 저장장치 위치 파악이 제대로 끝나지 않았을 경우에는 대기 작업 관리 리스트에서 작업 관리 객체(22)의 작업 등록 객체(21-3)에 표시된 작업 실패 시 반복 작업 횟수만큼 작업 대기 리스트에서 상대 저장장치 위치 파악이 정상 반환되기를 기다린다.
상기 체크 단계(606)에서 컨텐트 결정을 위한 배치 작업이 필요한 요구이면 반자동 및 완전자동 요구에 따라 중복된 컨텐트들 중에 노드 및 서브 노드의 자원을 모니터링하여 가장 적합한 컨텐트의 위치를 파악하여 처리(단계 607)하고, 실행 작업 관리 큐에 추가(단계 608)하며, 실행 작업 관리 모듈(32-3)에서는 컨텐트 전송을 위해 작업을 전송(단계 609)하게 된다. 반면에 단계(606)에서 컨텐트 결정을 위해 배치 작업이 필요하지 않는 요구이면, 실행 작업 관리 큐에 추가(단계 608)하고, 실행 작업 관리 모듈(32-3)에서는 컨텐트 전송을 위해 작업을 전송(단계 609)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최종 서브 노드간에 컨텐트 파일을 전송하고자 할 때 단일 노드 혹은 클러스터 내의 모든 노드들의 작업을 클러스터에 효율적인 중앙 집중으로 관리하고, 컨텐트 전송 작업 요구들에 대하여 노드들의 자원 모니터링을 포함하는 적합한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작업의 요구에 최종적으로 가장 적합한 서브 노드를 결정하여 컨텐트 전송이 이루어지게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컨텐트 전송을 지원하는 작업 관리 기법은 클러스터 시스템 내의 노드간 작업 관리뿐만 아니라 컨텐트 전송이 이루어지는 상대편 클러스터 시스템의 노드간에도 서로 상호 협력하여 작업 관리가 적합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작업의 분류를 다양화하여 수동, 반자동, 완전자동 배치 모드 및 시스템 자원에 종속적인 작업 관리로 전체 클러스터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는 컨텐트 전송을 지원함으로써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다수의 실행노드들로 이루어진 클러스터 시스템에서 컨텐트의 전송 작업 관리 방법에 있어서,
    관리자로부터 요청된 작업 요구의 유형에 적합하도록 작업을 구별하여 등록 및 관리 객체를 생성하는 작업 요구 처리 단계;
    상기 작업 요구 처리 단계에서 생성된 관리객체에 따라 작업을 분류 관리하는 작업 관리 단계;
    상기 작업 관리 단계의 대기 작업 관리에 있는 작업에 대하여 작업 배치를 수행하는 작업 배치 단계;
    상기 작업 배치 단계에 의한 작업 배치 과정이 끝나면 실행 작업 관리 단계로 이동 하는 단계; 및
    상기 실행 작업 관리 단계로 이동한 작업에 대해 파일 전송 규약(FTP)을 수행하여 컨텐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스터 시스템에서 컨텐트 전송 작업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작업 요구 처리 단계는
    작업 전송 모드와, 전송에 요구된 시스템 구성에 따른 컨텐트 결정 및 저장 장치 배치를 결정하기 위한 작업 유형을, 클러스터 내 풀(pull) 모드 완전자동 유형, 클러스터 내 풀(pull) 모드 반자동 유형, 클러스터 내 풀(pull) 모드 수동 유 형, 클러스터 내 푸시(push) 모드 완전 자동 유형, 클러스터 내 푸시(push) 모드 반자동 유형, 클러스터 내 푸시(push) 모드 수동 유형, 클러스터 간 풀(pull) 모드 완전 자동 유형, 클러스터 간 풀(pull) 모드 반자동 유형, 클러스터 간 풀(pull) 모드 수동 유형, 클러스터 간 푸시(push) 모드 완전 자동 유형, 클러스터 간 푸시(push) 모드 반자동 유형, 클러스터 간 푸시(push) 모드 수동 유형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스터 시스템에서 컨텐트 전송 작업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유형은 서브 노드 주소가 결정된 상태이고, 상기 반자동 유형은 실행노드 주소가 결정된 상태로 실행노드 내 전송을 위한 서브 노드를 결정하는 상태이며, 상기 완전자동 유형은 디스패쳐 노드만 결정된 상태로 클러스터 시스템 내 전송을 위한 서브 노드를 결정하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스터 시스템에서 컨텐트 전송 작업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관리 단계는
    스케줄 작업 관리단계와, 대기 작업 관리 단계, 및 실행 작업 관리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스터 시스템에서 컨텐트 전송 작업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작업 관리 단계는
    작업 요구를 클러스터 내 컨텐트 전송 요구 작업일 경우와, 클러스터 간 작업일 경우를 판단하여 클러스터 간 컨텐트 전송 요구 작업일 경우,
    클러스터 시스템간 작업 등록을 위해서 각 클러스터 시스템간 작업관리장치의 연결을 통해 요구 메시지를 전달하여 상대측 클러스터 시스템의 작업 관리장치에 대해 작업 등록을 요구하는 단계;
    상대측에서 작업 등록이 이루어지면, 상대측에서 대기 작업으로 분류되어 대기 작업 관리 모듈에서 관리하는 단계;
    상대측 작업요구 처리모듈에서 정의된 작업의 특성에 따라 작업 배치가 이루어진 후에 작업 배치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클러스터 시스템간 연결을 통해 작업 결과 메시지를 반환하는 단계;
    반환된 상대 디스패쳐에서의 작업 결과를 가지고, 자기측 작업 관리 장치에서 작업 배치 모듈에 의해 작업배치를 수행하고,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경우에 실행 작업 관리 모듈로 이동하는 단계; 및
    배치 작업이 끝난 실행 작업 관리 모듈에서는 파일 전송 규약(FTP)의 전송 클라이언트에서 상대 전송 서버로 컨텐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스터 시스템에서 컨텐트 전송 작업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메시지는
    자기 디스패쳐의 상대 작업임을 나타내는 작업 번호, 배치 작업을 위해 필요한 전송모드, 대상 컨텐트번호, 상대 디스패쳐 배치 작업의 분류(수동/반자동/완전자동)를 위해 필요한 디스패쳐 주소 및 상대 클러스터내의 IP 주소, 작업 우선순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스터 시스템에서 컨텐트 전송 작업 관리 방 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환된 작업 결과 메시지는
    자기 디스패쳐의 상대 작업임을 나타내는 작업 번호, 작업의 배치 실행 상태, 전송 모드, 대상 컨텐트 번호, 배치가 완료된 서브 노드 주소, 배치 작업 결과 컨텐트를 저장할 스토리지 혹은 컨텐트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스터 시스템에서 컨텐트 전송 작업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배치 단계는
    분류된 각 유형 형태에 따라 배치 작업을 하되,
    수동, 반자동, 완전자동 배치요구에 따라 시스템 자원 모니터링 분석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스터 시스템에서 컨텐트 전송 작업 관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 시스템에서 컨텐트 전송 작업 관리 방법은,
    클러스터간 전송일 경우 작업의 전송 모드가, 푸시모드이면,
    관리자 요구에 의해 접속된 자기 컨텐트 전송 작업 관리장치는 중복된 컨텐트가 있을 때 컨텐트를 결정하는 배치를 수행하고, 상대 컨텐트 전송 작업 관리장치는 저장 장치를 결정하는 배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스터 시스템에서 컨텐트 전송 작업 관리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 전송 작업 관리 방법은,
    클러스터간 전송일 경우 작업의 전송 모드가, 풀모드이면,
    자기 컨텐트 전송 작업 관리장치는 저장 장치를 결정하는 배치를 수행하고,
    상대 컨텐트 전송 작업 관리장치는 중복된 컨텐트가 있을 때, 컨텐트를 결정하는 배치를 수행하는 클러스터 시스템에서 컨텐트 전송 작업 관리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 전송 작업 관리 방법은,
    실제 작업 전송 시에 시스템 자원 모니터링과 실시간에 시스템 자원에 종속적인 작업 관리(실행 노드에 실행중인 작업 수, 작업 실패 시 반복 작업 횟수, 전송 작업 대역폭 지정)로 전체 클러스터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컨텐트 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스터 시스템에서 컨텐트 전송 작업 관리 방법.
  12. 다수의 실행노드들과 하나의 디스패쳐로 이루어진 클러스터 시스템에서 컨텐트 전송 작업 관리 장치 있어서,
    관리자로부터 요청된 작업 요구에 대하여 요구 유형에 따른 적합한 작업 구별이 이루어지는 작업 요구 처리 모듈;
    상기 작업 요구 처리 모듈에 의해 분류된 특성에 따라 관리되는 작업 관리 모듈;
    상기 작업 관리 모듈의 특성에 따라 대기 작업 관리에 있는 작업에 대한 작 업배치를 수행하는 작업 배치 모듈; 및
    상기 작업배치 모듈에 의해 작업 배치 과정이 끝나 실행 작업 관리로 이동한 작업에 대해 파일 전송 규약(FTP)을 수행하여 실제 컨텐트 전송이 이루어지는 작업 전송 수단을 포함하는 클러스터 시스템에서 컨텐트 전송 작업 관리 장치.
KR1020030084703A 2003-11-26 2003-11-26 클러스터 시스템에서 컨텐트 전송 작업 관리 방법 및 그장치 KR100559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703A KR100559470B1 (ko) 2003-11-26 2003-11-26 클러스터 시스템에서 컨텐트 전송 작업 관리 방법 및 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703A KR100559470B1 (ko) 2003-11-26 2003-11-26 클러스터 시스템에서 컨텐트 전송 작업 관리 방법 및 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1020A KR20050051020A (ko) 2005-06-01
KR100559470B1 true KR100559470B1 (ko) 2006-03-10

Family

ID=38666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4703A KR100559470B1 (ko) 2003-11-26 2003-11-26 클러스터 시스템에서 컨텐트 전송 작업 관리 방법 및 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94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998B1 (ko) * 2009-10-15 2016-10-21 주식회사 케이티 복수의 미디어 인코더에 대한 작업 스케줄링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1020A (ko) 200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82963B1 (en) Method and system for self-adaptive bandwidth control for cdn platform
CN104834722B (zh) 基于cdn的内容管理系统
US7388839B2 (en)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s for managing performance and resource utilization within cluster-based systems
US9143452B2 (en) Data processing
US20180084041A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rebalancing client sessions within a cluster of servers connected to a network
US8396957B2 (en) System and method for routing service requests
EP1615378B1 (en) NMS with multi-server events processing
US71172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workload-aware request distribution in cluster-based network servers
KR20010088742A (ko) 분산처리 및 피어 대 피어 통신을 이용한 네트워크 상의정보전송 병렬화 방법
CN102668467A (zh) 计算机系统和监视计算机系统的方法
US7882210B2 (en) Dynamic agent formation for efficient data provisioning
CN101326508A (zh) 智能消息传递应用编程接口
DE10297645B4 (d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Lastteilen und zur Datenverteilung in Servern
CN113014611B (zh) 一种负载均衡方法及相关设备
Grossman et al. Experimental studies using photonic data services at IGrid 2002
Shahrbabaki et al. A novel sdn-enabled edge computing load balancing scheme for iot video analytics
CN102271078A (zh) 面向服务质量保障的负载均衡方法
KR100559470B1 (ko) 클러스터 시스템에서 컨텐트 전송 작업 관리 방법 및 그장치
KR100700717B1 (ko) 컨텐트 구분에 의한 전송시스템의 클러스터링 장치 및 방법
Vasconcelos et al. Autonomous load balancing of data stream processing and mobile communications in scalable data distribution systems
CN1649326A (zh) 一种集群服务器的多分配器前端系统构成方法
Fang et al. Latency aware online tasks scheduling policy for edge computing system
Alghamdi et al. Fog Network Area Management Model for Managing Fog-cloud Resources in IoT Environment
EP2963875B1 (en) Method for processing data streams including time-critical messages of a power network
Sedaghat et al. R2T-DSDN: reliable real-time distributed controller-based SD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