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6934B1 - 링크기능을 이용한 영상기기의 텍스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링크기능을 이용한 영상기기의 텍스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6934B1
KR100556934B1 KR1019990044036A KR19990044036A KR100556934B1 KR 100556934 B1 KR100556934 B1 KR 100556934B1 KR 1019990044036 A KR1019990044036 A KR 1019990044036A KR 19990044036 A KR19990044036 A KR 19990044036A KR 100556934 B1 KR100556934 B1 KR 100556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input
module
key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4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6850A (ko
Inventor
김재신
김호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44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6934B1/ko
Publication of KR20010036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6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이씨알이나 텔레비젼수상기에 하나의 텍스트모듈을 설치하고 그 텍스트모듈이 설치되지 않은 기기측에서는 콘트롤라인을 통해 그 텍스트모듈을 제어하여 마치 자신이 내장하고 있는 것 같이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링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텍스트모듈이 구비된 영상기기에 텍스트 온 키이가 입력되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그 텍스트모듈을 직접 제어하여 텍스트(Teletext, Caption, KBPS Data)의 처리 및 표시동작을 수행하고, 콘트롤라인을 통해 상대 영상기기로부터 텍스트처리 요구명령이 입력되면 텍스트를 처리하여 그 상대 영상기기측으로 전송하는 제1과정과; 텍스트모듈이 구비되지 않은 영상기기에 텍스트 온 키이가 입력되면 상기 콘트롤라인을 통해 텍스트모듈이 구비된 영상기기에 텍스트처리 요구명령을 전송하여, 그로부터 입력되는 텍스트를 저장하는 제2과정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링크기능을 이용한 영상기기의 텍스트 제어방법{TEXT CONTROL METHOD USING LINK FUNCTIONS OF VIDEO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텍스트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링크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콘트롤라인 상의 물리계층 프레임의 포맷도.
도 3의 (a)-(c)는 콘트롤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 비트의 타이밍도.
도 4는 도 3에서 각 심볼을 구성하는 파라미터의 규격을 나타낸 테이블.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텍스트 제어방법의 신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로컬 디바이스 콘트롤신호의 포맷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요청신호의 포맷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응답신호의 포맷도.
도 9의 (a)는 ATV 링크 포맷을 확인하기 위한 스타트비트의 타이밍 체크 설명도.
도 9의 (b)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자(A.ID)의 타이밍 체크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텍스트 온에 대한 인터페이스 데이터의 포맷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텔레비젼수상기 11 : 티브이용 마이크로컴퓨터
12 : 메모리 13 : 온스크린부
14 : 텍스트모듈 20 : 브이씨알
21 : 브이씨알용 마이크로컴퓨터 CTL : 콘트롤라인
본 발명은 브이씨알과 텔레비젼수상기가 텍스트 모듈을 공유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브이씨알이나 텔레비젼수상기에 하나의 텍스트모듈을 설치하고 그 텍스트모듈이 설치되지 않은 기기측에서는 콘트롤라인을 통해 그 텍스트모듈을 제어하여 마치 자신이 내장하고 있는 것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한 링크기능을 이용한 영상기기의 텍스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의한 텔레비젼수상기와 브이씨알의 링크 시스템에 있어서는 어느 일측에 텍스트모듈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기기만이 그 텍스트모듈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영상기기 링크 시스템에 있어서는 텍스트모듈이 설치되어 있는 영상기기에서만 그 텍스트모듈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어 시스템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결함으로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텔레비젼수상기와 브이씨알의 링크 시스템에서 어느 일측에 텍스트모듈을 설치하여 일측의 영상기기에서는 직접 그 텍스트모듈의 구동을 제어하여 사용하고, 타측의 영상기기에서는 콘트롤라인을 통해 그 텍스트모듈의 구동을 제어하여 두 영상기기 모두가 텍스트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링크기능을 이용한 영상기기의 텍스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링크기능을 이용한 영상기기의 텍스트 제어방법은, 텍스트모듈이 구비된 영상기기에 텍스트 온 키이가 입력되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그 텍스트모듈을 직접 제어하여 텍스트(Teletext, Caption, KBPS Data)의 처리 및 표시동작을 수행하고, 콘트롤라인을 통해 상대 영상기기로부터 텍스트처리 요구명령이 입력되면 텍스트를 처리하여 그 상대 영상기기측으로 전송하는 제1과정과; 텍스트모듈이 구비되지 않은 영상기기에 텍스트 온 키이가 입력되면 상기 콘트롤라인을 통해 텍스트모듈이 구비된 영상기기에 텍스트처리 요구명령을 전송하여, 그로부터 입력되는 텍스트를 저장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텍스트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영상기기의 링크 제어장치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텍스트 온 키이가 입력되면 내장된 텍스트모듈을 직접 제어하여 텍스트의 처리 및 표시동작을 수행하고, 콘트롤라인(CTL)을 통해 브이씨알(20)로부터 텍스트처리 요구명령이 입력되면 텍스트를 처리하여 그 브이씨알(20)측으로 전송하는 텔레비젼수상기(10)와; 사용자에 의해 텍스트 온 키이가 입력되면 상기 콘트롤라인(CTL)을 통해 텔레비젼수상기(10)에 텍스트처리 요구명령을 전송하고, 그로부터 입력되는 텍스트를 기록매체인 테이프에 저장하는 브이씨알(20)과; 상기 텔레비젼수상기(10)와 브이씨알(20)을 통신하는데 적당하도록 링크하기 위한 콘트롤라인(CTL)으로 구성하였다.
상기 텔레비젼수상기(10)는 사용자의 키이 입력에 따라 텍스트모듈(14)을 직접 제어하여 텍스트(Teletext, Caption, KBPS Data)의 처리 및 표시동작을 수행하거 나, 상기 콘트롤라인(CTL)을 통해 브이씨알(20)로부터 전송되어 온 제어명령에 따라 그의 구동을 제어하여 처리되는 텍스트를 브이씨알(20)측으로 전송하는 티브이용 마이크로컴퓨터(11)와; 예약 녹화 및 재생을 위한 메뉴화면 디스플레이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메모리(12)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1)의 제어를 받아 사용자를 위한 문자정보용 온스크린 신호를 발생하는 온스크린부(13)와; 상기 티브이용 마이크로컴퓨터(11)의 제어를 받아 방송신호에 삽입되어 전송되는 텍스트(Teletext, Caption, KBPS Data)를 수신처리하는 텍스트모듈(14)과; 상기 콘트롤라인(CTL)을 통해 통신할 때 데이터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송수신포트(Tx/Rx)와; 상기 콘트롤라인(CTL)의 통신 신호를 일정 레벨로 유지하기 위한 풀업저항(R2)으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텍스트 처리, 링크 레코드 또는 링크 재생 등을 위해 텔레비젼수상기(10)가 콘트롤라인(CTL)을 통해 브이씨알(20)과 접속되어 통신할 때, 그 통신 신호가 일정 레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콘트롤라인(CTL) 상에 풀업저항(R2),(R4)을 사용하였다.
먼저, 상기 텔레비젼수상기(10)와 브이씨알(20)간 통신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서는 온 라인 통신방식을 적용하였으며, 통신중 데이터 충돌 발생에 대한 대책으로 각각의 송수신포트(Tx/Rx)를 사용하였다. 또한, 1워드 단위로 통신을 수행하며, 통신중 데이터 충돌 검출측에서 수신모드로 절환한다. 통신을 시작하기 전에 스탠바이 상태(콘트롤라인:'하이')에서 소정 시간(TWAIT=3bit)동안 대기 한다. N워드 데이터 통신의 경우 각 워드 데이터 간에 소정의 대기시간(TWAIT=40∼60msec)을 유지하고, 데이터 인터페이스시 최상위 비트(MSB)부터 전송한다.
둘째, 전송측에서는 수신측에서의 정상적인 데이터 수신 여부를 체크하기 위하여 확인신호(ACK)를 검출하게 되며, 그 확인신호(ACK)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소정의 대기시간(TWAIT≤1000msec)을 갖은 후 다시 동일 데이터를 전송하고 계속해서 그 확인신호(ACK)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의 동작을 소정 횟수(예: 5회) 반복 수행한 후 종료한다.
셋째, 수신측에서의 응답시간은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TRESPONSE=200msec) 이내로 한다.
넷째, 도 1과 같은 링크 체인의 구성(Link Chain Configuration)에 의하면, 각 디바이스 예를 들어 브이씨알(20) 이외의 다른 영상기기들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각각의 디바이스는 독립적으로 업-스트림/다운-스트림 경로로 동작 가능하다. 또한 양방향으로 상호 접속이 가능하고,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의 영상기기에서 신호 전송경로를 스위칭할 수 있다. 인스톨이나 리플레이스가 용이하다.
한편, 도 2는 상기 콘트롤라인(CTL)을 통해 두 영상기기가 통신할 때 그 콘트롤라인(CTL) 상의 물리계층 프레임(Physical Layer Frame)의 포맷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각 구성 블록의 용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타트 시퀀스(Start)는 ATV(Automatic TeleVideo) 링크 포맷을 갖으며, 스타트 비트(S)와 3모드 비트(A.ID)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스타트 비트(S)는 새로운 링크 프레임의 스타트 및 포맷 버전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고, 애플리케이션 식별자(A.ID)는 ATV 링크 버전_01 포맷(='001')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헤더블록(Header)은 현재 통신 링크의 전송원(Source) 및 수신원(Destination)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링크마스터(LM: Link Master), 슬레이브 어드레스 (SA: Slave Address), 확인비트(ACK)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링크마스터(LM)는 현재 링크 마스터의 정보를 나타내고, 슬레이브 어드레스(SA)는 슬레이브 어드레스(Destination)의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확인비트(ACK)는 헤더 데이터의 정상적인 수신여부를 나타내는 비트로서 전송측에서는 수신측에서 출력하는 그 확인비트(ACK)를 확인한 후 커맨드블록(Command)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ACK=0 이면 수신측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였다는 것을 의미하고, ACK=1 이면 수신측에서 데이터 리셉션 에러 또는 수신 데이터가 처리되지 못하였음을 의미한다.
커맨드블록(Command)은 로컬 디바이스 제어 및 각 디바이스간의 데이터 체크를 위한 인터페이스 연산코드(OP code)를 근간으로 하여 확장 커맨드(ECT)(ECT: Extended Command Table), 콘트롤 커맨드(CMD), 메시지 종료비트(EOM)(EOM: End of Message) 및 확인비트(ACK)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ECT = 0이면 노멀 콘트롤 연산코드를 의미하고, ECT = 1 이면 앞으로 사용될 예비영역을 의미한다. 콘트롤 커맨드(CMD)는 링크 통신 연산코드의 필드로서 콘트롤, 디스플레이, 일반 커맨드를 포함한다.
데이터 블록(Data Block)은 디바이스 상호간의 인터페이스 오퍼랜드(Operand) 데이터 블록으로서 이는 콘트롤 또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비롯하여 메시지 종료비트(EOM) 및 확인비트(ACK)로 이루어진다. 상기 콘트롤 또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N워드의 콘트롤 및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송출한다.
커맨드블록(Command) 및 데이터블록(Data Block)에서 메시지 종료비트(EOM)는 전송측에서 현재 링크 블록에 종속되는 콘트롤 블록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비트로서 EOM=0 이면 종속되는 통신블록이 존재함을 의미하고, EOM=1이면 종속되는 통신블록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확인비트(ACK)를 체크한 후 링크 제어를 완료한다.
상기 확인비트(ACK)는 수신측에서 통신 블록의 정상적인 데이터 수신 여부를 나타내는 비트이다. 전송측에서는 수신측에서 전송하는 그 확인비트(ACK)를 확인한 후 다음의 콘트롤 동작을 취하게 된다. 예를 들어 ACK=0 이면 수신측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때, EOM=0 이면 전송측에서 다음의 콘트롤 블록을 전송하고, EOM=1 이면 현재 상태에서 링크 제어가 종료된다. ACK=1 이면 수신측에서 데이터 리셉션 에러 또는 수신 데이터가 처리되지 못하였음을 의미한다. 전송측에서는 수신측으로부터의 확인비트(ACK)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예:1000msec) 이후에 동일한 데이터를 재 전송하게 되며, 그 확인비트(ACK)가 연속해서 소정 횟수(예: 5회)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통신을 종료한다.
상기 텔레비젼수상기(10)와 브이씨알(20)이 동시에 콘트롤라인(CTL)을 점유하여 발생되는 데이터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콘트롤 라인(CTL)이 최소 3bit 이상의 구간동안 연속해서 '하이' 상태(스탠바이 상태)를 유지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그 체크 결과 3bit 이상 '하이'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명되면 새로운 링크 마스터가 그 콘트롤라인(CTL)을 점유하여 새로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현재 링크 마스터에 의해 상기 콘트롤라인(CTL)이 점유되어 있는 상태에서 그 콘트롤라인(CTL)이 7bit 이상 인액티브 상태를 유지하면 새로운 링크 마스터가 그 콘트롤라인(CTL)를 점유하여 새로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현재 링크 마스터에 의해 상기 콘트롤라인(CTL)을 통해 이미 메시지가 전송된 후 그 콘트롤라인(CTL)이 9bit 이상 인액티브 상태를 유지하면, 그 링크 마스터가 그 콘트롤라인(CTL)을 계속 점유하여 새로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현재 링크 마스터에 의해 상기 콘트롤라인(CTL)을 통해 1 프레임의 메시지(Frame_1)가 전송된 후 그 콘트롤라인(CTL)이 5bit 이상 인액티브 상태를 유지하면, 그 링크 마스터가 그 콘트롤라인(CTL)을 계속 점유하여 다시 그 메시지(Frame_1)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은 상기 콘트롤라인(CTL)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 비트의 포맷 및 타이밍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a)는 스타트 비트(S),(b)는 로직 '0', (c)는 로직 '1'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4는 상기 도 3에서 각 심볼을 구성하는 파라미터의 규격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의 설명에서 링크마스터는 티브이용 마이크로컴퓨터(11)나 브이씨알용 마이크로컴퓨터(21)를 의미하며, 슬레이브 또한 티브이용 마이크로컴퓨터(11)나 브이씨알용 마이크로컴퓨터(21)를 의미하는 것이다. 즉, 링크마스터나 슬레이브는 티브이용 마이크로컴퓨터(11)나 브이씨알용 마이크로컴퓨터(21)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고 주어진 상황에 따라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사용자에 의해 텔레비젼수상기(10)에 텍스트 온 키이가 입력될 때 그 텔레비젼수상기(10)에서는 직접 텍스트모듈(14)을 제어하여 요구된 텍스트 기능이 수행되게 하고, 브이씨알(20)에 텍스트 온 키이가 입력될 때에는 그 브이씨알(20)이 콘트롤라인(CTL)과 상기 물리계층 프레임을 통해 그 텍스트모듈(14)을 제어하여 요구된 텍스트 기능이 수행되게 함으로써 마치 텔레비젼수상기(10)와 브이씨알(20)에 모두 텍스트모듈이 내장되어 있는 것처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텍스트 제어방법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와 같이 텔레비젼수상기(10)에 텍스트모듈(14)이 구비되어 있는 반면, 브이씨알(20)에는 텍스트모듈이 구비되어 있지 않고 콘트롤라인(CTL)을 통해 그 텔레비젼수상기(10)와 링크되어 있는 시스템을 예로하여 설명한다.
텔레비젼수상기(10)에 텍스트 온 키이가 입력되면 티브이용 마이크로컴퓨터(11)는 그 텍스트 온 키이가 사용자의 키이조작에 의해 직접 입력된 키이인지 콘트롤라인(CTL)을 통해 브이씨알(20)로부터 입력된 키이인지 확인하게 된다.
상기의 확인결과 사용자가 텔레비젼수상기(10)의 리모콘이나 본체에 마련된 키이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입력한 텍스트 온 키이로 판명되면, 이후 사용자의 키이 조작에 따른 제어명령에 따라 텍스트모듈(14)의 구동을 직접 제어하여 방송신호 등에 포함되어 있는 텍스트(Teletext, Caption, KBPS Data)가 수신처리되고, 이렇게 수신처리된 텍스트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나, 상기의 확인결과 콘트롤라인(CTL)을 통해 브이씨알(20)로부터 입력된 텍스트 온 키이로 판명되면, 이후 브이씨알(20)측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텍스트모듈(14)의 구동을 제어하여 방송신호 등에 포함되어 있는 텍스트(Teletext, Caption, KBPS Data)가 수신처리되고, 이렇게 수신처리된 텍스트가 소정의 전송라인을 통해 그 브이씨알(20)측으로 전송된다.
이를 위해 상기 브이씨알(20)측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텍스트 온 키이가 입력될 때 그 텍스트 온 제어명령을 상기 콘트롤라인(CTL)을 통해 텔레비젼수상기(10)측으로 전송하고, 그 텔레비젼수상기(10)의 텍스트모듈(14)에 의해 수신처리된 후 소정의 전송라인을 통해 입력되는 텍스트를 기록매체인 테이프에 저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링크기능을 이용하여 텍스트 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링크 인터페이스 데이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로컬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 커맨드(CMD)의 포맷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콘트롤 커맨드 CMD="00000001"/"00000010"은 로컬 디바이스의 파워 온/오프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CMD="00001000"은 텍스트 온을 위해 텔레비젼수상 기(10)측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이다.
도 7은 상대측에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콘트롤 커맨드(CMD)의 포맷을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도 7과 같은 데이터 요청 명령에 대한 응답 커맨드의 포맷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최하위비트 LSB로부터 5번째 비트값이 모두 "1"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요구 명령임을 의미한다.
콘트롤 커맨드 CMD="00010001"은 링크 인터페이스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일반적인 부름(General Call) 명령어이다. CMD="00010010"은 현재 로컬 디바이스의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명령어이다. CMD="00010011"은 인터페이스 링크 채널 정보를 체크하기 위한 명령어이다.
CMD="00010101"은 로컬 디바이스측에서 마스터 디바이스의 프리세트 채널 정보를 체크하기 위해 다운로드를 요구하는 명령어이다. CMD="00010110"은 로컬 디바이스인 브이씨알(20)의 카운트값을 요청하는 명령어이고, CMD="00010111"은 로컬 디바이스인 브이씨알(20)의 테이프 잔량값을 요청하는 명령어이다.
상기 스타트비트(S)는 ATV 링크 포맷을 확인하기 위한 비트로서 이는 도 9의 (a)에서와 같이 파형의 타이밍 체크에 의해 처리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자(A.ID)는 ATV 링크 버전_01(ATV Link Ver_01)을 확인 가능한 3모드 비트로서 이는 도 9의 (b)에서와 같은 타이밍 체크에 의해 인식된다.
도 10은 텍스트(텔리텍스트, 캡션, KBPS)의 처리 및 표시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블록(Data Block1),(Data Block2)의 포맷 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데이터 Data1 = "001"은 제어대상 데이터가 KBPS 데이터임을 의미하고, Data1 = "010"은 캡션 데이터임을 의미하며, Data1 = "011"은 텔리텍스트 데이터임을 의미한다. 그리고, 데이터블록(Data Block2)의 데이터값에 따라 세부 제어명령을 전달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텔레비젼수상기와 브이씨알의 링크 시스템에서 어느 일측에 텍스트모듈을 설치하여 일측의 영상기기에서는 직접 그 텍스트모듈의 구동을 제어하여 사용하고, 타측의 영상기기에서는 콘트롤라인을 통해 그 텍스트모듈의 구동을 제어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시스템의 효율성의 한층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텍스트모듈이 구비된 영상기기에 텍스트 온 키이가 입력되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그 텍스트모듈을 직접 제어하여 텍스트의 처리 및 표시동작을 수행하는 제1과정과; 텍스트모듈이 구비된 영상기기에 콘트롤라인을 통해 상대 영상기기로부터 텍스트처리 요구명령이 입력되면 텍스트를 처리하여 그 영상기기측으로 전송하는 제2과정과; 텍스트모듈이 구비되지 않은 영상기기에 텍스트 온 키이가 입력되면 상기 콘트롤라인을 통해 텍스트모듈이 구비된 영상기기에 텍스트처리 요구명령을 전송한 후 그로부터 입력되는 텍스트를 저장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기능을 이용한 영상기기의 텍스트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과정은 텍스트모듈이 구비된 영상기기에 텍스트 온 키이가 입력되는지 확인하는 제1단계와; 사용자의 제어키이 입력에 따라 텍스트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 의해 수신처리되는 텍스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기능을 이용한 영상기기의 텍스트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2과정은 텍스트모듈이 구비된 영상기기에 텍스트 온 키이가 입력되는지 확인하는 제1단계와; 콘트롤라인을 통해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텍스트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 의해 수신처리되는 텍스트를 상대 영상기기측으로 전송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기능을 이용한 영상기기의 텍스트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3과정은 텍스트모듈이 구비되지 않은 영상기기에 텍스트 온 키이가 입력되는지 확인하는 제1단계와; 사용자의 제어키이 입력에 따라 콘트롤라인을 통해 상대 영상기기에 텍스트모듈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제2단계와; 상대 영상기기 의해 수신처리되는 텍스트를 소정의 전송라인을 통해 입력받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기능을 이용한 영상기기의 텍스트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텍스트는 텔리텍스트, 캡션, KBP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기능을 이용한 영상기기의 텍스트 제어방법.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텍스트의 종류는 제1데이터블록(Data Block1)의 데이터값으로 결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기능을 이용한 영상기기의 텍스트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텍스트처리 요구명령은 제2데이터블록(Data Block2)의 데이터값으로 결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기능을 이용한 영상기기의 텍스트 제어방법.
KR1019990044036A 1999-10-12 1999-10-12 링크기능을 이용한 영상기기의 텍스트 제어방법 KR100556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036A KR100556934B1 (ko) 1999-10-12 1999-10-12 링크기능을 이용한 영상기기의 텍스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036A KR100556934B1 (ko) 1999-10-12 1999-10-12 링크기능을 이용한 영상기기의 텍스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6850A KR20010036850A (ko) 2001-05-07
KR100556934B1 true KR100556934B1 (ko) 2006-03-03

Family

ID=19614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4036A KR100556934B1 (ko) 1999-10-12 1999-10-12 링크기능을 이용한 영상기기의 텍스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693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6850A (ko) 200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9539A (en) Apparatus for the remote control of electronic devices with key allocation
US5608730A (en) Bi-directional communication system
KR100494037B1 (ko) 정보처리장치및방법,및리모트콘트롤시스템
EP2276009B1 (en) Digital interconnection of electronics entertainment equipment
US7529262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CN101729839A (zh) 具有数字接口的电设备及其控制方法
JP2862160B2 (ja) 通信方式
US20060161958A1 (en) Method of increasing setup speed of Anynet device using Anynet communication protocol
CN101453650A (zh) 影像传送装置
US4751574A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system
KR100556934B1 (ko) 링크기능을 이용한 영상기기의 텍스트 제어방법
KR100620018B1 (ko) 영상기기의 링크 제어장치
KR100608846B1 (ko) 링크기능을 이용한 비디오레코더의 녹화방법
KR100608848B1 (ko) 링크기능을 이용한 비디오레코더의 예약 녹화 및 재생방법
KR100608847B1 (ko) 링크기능을 이용한 비디오레코더의 재생방법
US6970431B1 (en) Electronic device,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data processing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KR100677532B1 (ko) 링크기능을 이용한 재생방법
KR20060038434A (ko) 링크기능을 이용한 비디오레코더의 녹화방법
JP2000270381A (ja) データ通信機器及びデータ通信システム
KR20060117385A (ko) 텔레비전을 기반으로 하는 디바이스 링크 시스템에서의슬레이브 디바이스 이벤트 처리방법
KR100360248B1 (ko) 아날로그 영상신호 입출력장치의 양방향 통신 장치 및 방법
KR20060117386A (ko) 텔레비전을 기반으로 하는 디바이스 링크 시스템에서의동종 슬레이브 디바이스 처리방법
JPH10178684A (ja) 集中制御システム,集中制御ユニット及びその制御対象機器
KR20060116445A (ko) 텔레비전을 기반으로 하는 디바이스 링크 시스템에서의메시지 송수신 방법
JPH1124915A (ja) 電子機器におけるプログラム書き込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