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6830B1 -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3차원 그래픽모델렌더링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3차원 그래픽모델렌더링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6830B1
KR100556830B1 KR1020030090734A KR20030090734A KR100556830B1 KR 100556830 B1 KR100556830 B1 KR 100556830B1 KR 1020030090734 A KR1020030090734 A KR 1020030090734A KR 20030090734 A KR20030090734 A KR 20030090734A KR 100556830 B1 KR100556830 B1 KR 100556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eoscopic
model
rendering
image
stereoscopic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0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8767A (ko
Inventor
김대희
강훈종
안충현
이수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90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6830B1/ko
Publication of KR20050058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8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3차원 그래픽 모델 렌더링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단순 2D 평면에 하나의 시점이 아닌 두 개의 시점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고, 이를 인간의 좌/우 눈에 각각의 좌/우 화면을 전달하여, 보다 입체감있게 3차원 모델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3차원 그래픽 모델 렌더링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3차원 그래픽 모델 렌더링 장치에 있어서, 좌/우 시점 영상에 대한 기수라인/우수라인 집합들의 마스크를 각각 생성하기 위한 마스크 생성수단; 좌/우 시점의 화면 생성에 필요한 파라메터를 설정하고, 파라메터에 따라 3차원 그래픽 모델을 변환하여 좌/우 시점에 보여지는 모델(영상)로 각각 분리하기 위한 파라메터 설정 및 모델변환 수단; 상기 좌시점에 보여지는 모델(좌시점 영상)을 상기 기수라인 집합들의 마스크에 렌더링하고, 상기 우시점에 보여지는 모델(우시점 영상)을 상기 우수라인 집합들의 마스크에 렌더링하기 위한 렌더링수단; 및 2차원 평면에, 렌더링된 좌/우 시점 영상을 동시에 화면 표시하기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출력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이용됨.
렌더링,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3차원 그래픽 모델, 좌시점, 우시점

Description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3차원 그래픽 모델 렌더링 장치 및 그 방법{3D graphical model rende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그래픽 모델 렌더링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그래픽 모델 렌더링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3차원 모델로 구성된 가상공간을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그래픽 모델 렌더링 방법 중 파라메터 설정 및 모델 변환 과정에 따른 일실시예 상세 설명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그래픽 모델 렌더링 방법 중 파라메터 설정 및 모델 변환 과정에 따른 다른 실시예 상세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 : 마스크 생성부 12 : 파라메터 설정 및 3차원 모델 변환부
13 : 렌더링부 14 : 화면표시부
본 발명은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3차원 그래픽 모델을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예를 들면, 패럴렉스 배리어(parallax barrier)나 랜티큘라 등)를 통하여 입체감있게 보여 줄 수 있는 3차원 그래픽 모델 렌더링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렌더링(rendering)이라 함은, 물체의 모양을 그 형이나 위치, 광원 등의 외부 정보를 고려하면서 실감나는 화상을 표현하는 컴퓨터 도형 기법을 의미한다. 즉, 2D나 3D에서 컴퓨터 그래픽(CG) 영상 작성시 최종 단계로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말한다. 2D CG에서 렌더링은 동화상에 대한 화상 처리 공정의 최종 단계로서, 처리 완료된 화상을 생성하는 공정을 말한다. 또한, 3D CG의 경우에는 컴퓨터 내부에 기록되어 있는 모델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묘화(描畵)될 수 있도록 영상화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인간이 입체감을 느끼는 가장 큰 요인은 하나의 물체에 좌우의 눈이 다른 방향에서 물체를 봄으로써 생기는 좌우망막상의 공간적인 차이의 효과이다. 이 효과를 이용하여 좌우양안에 각각 서로 다른 영상, 즉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은 디스플레이 방법에 따라 안경을 쓰는 방법과 안경을 쓰지 않는 방법으로 발전되었으며, 안경을 쓰지 않고 보는 방법으로 가장 대표적인 방법이 수직시차만을 표현하는 렌티큘라판 을 영상표시장치에 부착하여 입체영상을 보는 방법이며, 나아가 수직, 수평 시차를 표현하는 다시점 또는 초다시점 IP(Integral Photography)판, 교차 렌티큘라판 또는 사각 렌즈판 등의 다시점 영상 표시 마스크로 발전되었다.
이처럼, 3차원 디스플레이 방법은 안경을 쓰고 3차원 영상을 관찰하는 방법과 안경을 쓰지 않고 3차원 영상을 관찰하는 방법으로 나뉘어진다. 먼저, 안경을 쓰고 3차원 영상을 관찰하는 방법은 극장과 같은 넓은 공간에서 관찰자가 움직이지 않고 관찰하는 방법에 적당한 방법으로서, 2안식의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안경을 쓰지 않고 보는 방법으로서, 주로 소수 관찰자가 위치를 변해가며 서로 다른 각도에 사물을 관찰하는 듯한 느낌을 주는 다시점 영상을 사용한 디스플레이 방법이 있다.
그런데, 종래의 3차원 그래픽 모델은 임의의 가상 x, y, z축을 설정하고, 이를 2D 평면에 모노스코픽 화면을 표현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3D 그래픽이나 3D 게임은 임의의 공간에 있는 모든 객체를 3차원 그래픽 모델들로부터 한 개의 시점에 대하여 렌더링하여 2D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표시하므로, 입체감을 주기에는 부적절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단순 2D 평면에 하나의 시점이 아닌 두 개의 시점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고, 이를 인간의 좌/우 눈에 각각의 좌/우 화면을 전달하여, 보다 입체감있게 3차원 모델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3차원 그래픽 모델 렌더링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3차원 그래픽 모델 렌더링 장치에 있어서, 좌/우 시점 영상에 대한 기수라인/우수라인 집합들의 마스크를 각각 생성하기 위한 마스크 생성수단; 좌/우 시점의 화면 생성에 필요한 파라메터를 설정하고, 파라메터에 따라 3차원 그래픽 모델을 변환하여 좌/우 시점에 보여지는 모델(영상)로 각각 분리하기 위한 파라메터 설정 및 모델변환 수단; 상기 좌시점에 보여지는 모델(좌시점 영상)을 상기 기수라인 집합들의 마스크에 렌더링하고, 상기 우시점에 보여지는 모델(우시점 영상)을 상기 우수라인 집합들의 마스크에 렌더링하기 위한 렌더링수단; 및 2차원 평면에, 렌더링된 좌/우 시점 영상을 동시에 화면 표시하기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출력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3차원 그래픽 모델 렌더링 장치에 적용되는 3차원 그래픽 모델 렌더링 방법에 있어서, 좌/우 시점 영상에 대한 기수라인/우수라인 집합들의 마스크를 각각 생성하기 위한 마스크 생성단계; 좌/우 시점의 화면 생성에 필요한 파라메터를 설정하고, 파라메터에 따라 3차원 그래픽 모델을 변환하여 좌/우 시점에 보여지는 모델(영상)로 각각 분리하기 위한 파라메터 설정 및 모델변환 단계; 및 상기 좌시점에 보여지는 모델(좌시점 영상)을 상기 기수라인 집합들의 마스크에 렌더링하고, 상기 우시점에 보여지는 모델(우시점 영상)을 상기 우수라인 집합들의 마스크에 렌더링하기 위한 렌더링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렌더링된 좌/우 시점 영상을 3차원 입체 영상을 관찰할 수 있는 패럴렉스 배리어(parallax barrier)나 랜티큘라와 같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출력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3차원 그래픽 모델을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입체감있게 보여주고자 한다. 즉, 본 발명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출력되는 입체감있는 화면을 만들기 위해, 임의의 공간에 있는 모든 모델들에 대해 인간의 두 개의 눈에 대한 시점에 대하여 각각 렌더링하여,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으로 출력 가능한 화면을 만들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패럴렉스 배리어(parallax barrier)나 랜티큘라와 같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입체영상을 출력하기 위해서, 화면의 기수라인에는 좌시점 화면을, 화면의 우수라인에는 우시점 영상을 배치(렌더링)한다. 즉, 본 발명은 3차원 그래픽 모델을 변환하여, 좌시점 화면과 우시점 화면으로 분리하고, 좌시점 영상을 화면의 기수라인에, 우시점 영상을 화면의 우수라인에 표시하여,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장치를 통하여 출력되는 화면에서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3D 게임들 보다 입체감을 제공하여 생동감있는 게임 컨텐츠를 만들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근 이동단말기 시장에 3D 게임의 확산을 예고하고 있는 시점에서 보다 경쟁력있는 게임 제작을 도모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 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그래픽 모델 렌더링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3차원 그래픽 모델 렌더링 장치는, 좌/우 시점 영상에 대한 기수라인/우수라인 집합들의 마스크를 각각 생성하기 위한 마스크 생성부(11)와, 좌/우 시점의 화면 생성에 필요한 파라메터(카메라간 거리, 교차각 등)를 설정하고, 파라메터에 따라 3차원 그래픽 모델을 변환하여 좌/우 시점에 보여지는 모델(영상)로 각각 분리하기 위한 파라메터 설정 및 3차원 모델 변환부(12)와, 좌시점에 보여지는 모델(좌시점 영상)을 기수라인 집합들의 마스크에 렌더링하고, 우시점에 보여지는 모델(우시점 영상)을 우수라인 집합들의 마스크에 렌더링하기 위한 렌더링부(13)와, 2차원 평면에, 렌더링된 좌/우 시점 영상을 동시에 화면 표시하기 위한 화면표시부(14)를 포함한다.
여기서, 화면표시부(14)는 안경을 쓰지 않고 3차원 입체 영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렌더링된 좌/우 시점 영상을 보다 입체감있게 표현할 수 있는 패럴렉스 배리어(parallax barrier)나 랜티큘라와 같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마스크 생성부(11)는 좌시점 영상에 대한 기수라인 집합들의 마스크를 생성 하고, 우시점 영상에 대한 우수라인 집합들의 마스크를 생성한다.
이후, 생성된 마스크에 렌더링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하나는 좌/우 시점의 화면을 별도의 버퍼에 저장하고, 이를 좌시점의 영상으로부터의 정보를 입체영상버퍼의 기수라인에 배치하고, 우시점 영상으로부터의 정보를 우수라인에 배치하는 방법과, 다른 하나는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좌시점 영상을 미리 생성된 좌시점 마스크 정보를 보고 기수라인에 직접 렌더링하고, 우시점 영상을 미리 생성된 우시점 마스크 정보를 보고 우수라인에 직접 렌더링하는 방법이 있다.
파라메터 설정 및 3차원 모델 변환부(12)는 도 3과 같이 복수의 3차원 모델이 임의의 가상공간에 있을 때, 임의의 교차축을 중심으로 공간전체를 회전시켜 좌/우 시점에 대한 영상을 생성하거나(도 4 참조), 가상으로 두 대의 카메라 시점을 설정하여 만들 수도 있다(도 5 참조). 여기서, 3차원 모델은 기하정보(x, y, z), 광원정보(광원의 위치, 유형세기 등), 속성정보(색상, 표면의 반사계수, 투명도, 광택도 등)를 포함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라메터 설정 및 3차원 모델 변환부(12)는 좌시점 영상을 만들기 위해서, 전체 공간을 우측으로 회전시키고, 정면의 시점에서 보여지는 화면을 좌시점 영상으로 만든다. 그리고, 우시점 영상을 만들기 위해서, 전체 공간을 좌측으로 회전시키고, 정면의 시점에서 보여지는 화면을 우시점 영상으로 만든다.
여기서, 좌시점 영상을 만들기 위해서 우측 공간 회전시키고, 우시점 영상을 만들기 위해 좌측 공간 회전시키는 이유는, 영상 관찰시 인간의 양안 중, 좌안이 우측을 향하고, 우안이 좌측을 향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회전에 적용되는 모델이 차지하는 공간은 전체 가상 공간이므로 실질적으로 도 4와 같이 회전되었다 할지라도 좌시점을 위한 공간과 우시점을 위한 공간은 오버랩(Overlap)된다. 다만, 도 3은 공간의 회전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좌/우 시점 공간을 분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가 초점 거리를 가까이 하고 싶을 경우에는, 도 3의 교차축의 위치를 앞으로 당겨 올 수 있으며, 또한 좌/우 시점의 영상에 대한 시각차를 조절하기 위하여 교차축을 중심으로 한 공간의 회전 각도도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전체 모델 공간을 회전시켜 3차원 좌/우 시점 영상을 얻을 수도 있지만, 도 5와 같이 가상으로 두 대의 카메라 시점을 설정하여 만들 수도 있다. 즉, 3차원 모델들에 대하여 가상의 좌측 카메라에서 보여진 가상의 이미지를 좌측 영상으로 생성하고, 가상의 우측 카메라에서 보여진 가상의 이미지를 우측 영상으로 생성한다. 이때도 사용자가 초점 거리를 당기기 위하여 두 카메라간의 교차각을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줌인(zoom-in)을 위해서는 두 카메라가 교차각을 유지하면서 두 대의 가상 카메라를 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카메라를 전진시킬 수 있으며, 줌아웃(zoom-out)을 위해서는 두 대의 가상 카메라를 화살표 반대 방향으로 후진시킬 수 있다. 물론, 이 방식도 전술한 공간 회전 방식(도 4 참조)과 마찬가지로 카메라의 방향을 따라 전진시켰을 때 만나는 축(교차축)을 중심으로 하는 카메라의 각도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 가능하다.
이와 같이, 좌시점 영상과 우시점 영상으로 분리된 3차원 모델에 대해, 렌더링부(13)에서 좌시점에 보여지는 모델(좌시점 영상)을 기수라인 집합들의 마스크에 렌더링하고, 우시점에 보여지는 모델(우시점 영상)을 우수라인 집합들의 마스크에 렌더링하여, 렌더링된 좌/우 시점 영상을 패럴렉스 배리어(parallax barrier)나 랜티큘라와 같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화면표시부(14))에 출력하면, 사용자는 안경을 쓰지 않고도 보다 입체감있게 3차원 영상을 관찰할 수 있다.
정리해 보면, 기하정보(x, y, z), 광원정보(광원의 위치, 유형세기 등), 속성정보(색상, 표면의 반사계수, 투명도, 광택도 등)를 가지고 있는 3차원 모델을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렌더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버퍼에 렌더링되는 화면을 조절해야 하며,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마스크 생성부(11)에서 좌시점 영상에 대한 마스크와 우시점 영상에 대한 마스크를 만든다(202,203). 즉, 마스크 생성부(11)를 통해 기수라인에 렌더링되는 좌시점 영상에 대한 기수라인 집합들의 마스크를 생성하고, 우수라인에 렌더링되는 우시점 영상에 대한 우수라인 집합들의 마스크를 생성한다.
이후, 파라메터 설정 및 3차원 모델 변환부(12)에서 좌/우 시점의 화면 생성에 필요한 파라메터(카메라간 거리, 교차각 등)를 설정하고, 파라메터에 따라 3차원 그래픽 모델을 변환하여 좌/우 시점에 보여지는 모델(영상)로 각각 분리한다(204,205).
이때, 좌/우 시점 영상에 대한 파라메터 설정 및 모델 변환 과정(204,205)은 도 4 혹은 도 5의 과정을 통해 좌시점 영상과 우시점 영상으로 만들 수 있는데, 즉 도 3과 같이 복수의 3차원 모델이 임의의 가상공간에 있을 때, 상기 도 4와 같이 임의의 교차축을 중심으로 공간전체를 회전시켜 좌/우 시점에 대한 영상을 생성하거나, 도 5와 같이 가상으로 두 대의 카메라 시점을 설정하여 만들 수도 있다.
그럼,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일예로 도 5와 같이 두 대의 카메라 시점을 설정하여 좌시점 영상과 우시점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을 공지의 기술을 바탕으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이는 하나의 객체에 대해 두 대의 카메라1,2를 이용하여 3차원 입체 영상(좌/우 시점에 대한 영상)을 생성하는 일반적인 과정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5와 같이 가상으로 두 대의 카메라 시점을 설정했을 때, 좌/우 시점의 화면 생성에 필요한 파라메터(카메라간 거리, 교차각 등)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5062542985-pat00006

여기서, B는 카메라 간의 거리, P는 parallax parameter, m은 카메라로부터 객체의 최대 거리, n은 카메라로부터 객체 간의 최단거리, f는 카메라의 초점거리, θ는 교차각을 의미한다. 이때, P는 parallax parameter로서, 통상 1.2 mm의 기본값을 갖는다.
최적의 입체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통상 카메라의 초점거리와 객체 간의 거리 등을 고려하여 카메라 간의 거리값(B)을 산출할 수 있는데, 공지의 기술을 바탕으로 한 카메라 간 거리값 산출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5062542985-pat00007


이와 같이 산출된 카메라 간의 거리값(B)을 이용하여 교차각(θ)을 산출할 수 있는데, 공지의 기술을 바탕으로 한 교차각 산출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5062542985-pat00008

따라서, 교차각(θ)을 알게 되면, 객체를 θ/2 만큼 우 방향으로 회전시켜 렌더링을 통한 우영상을 생성하고, 객체를 θ/2 만큼 좌 방향으로 회전시켜 렌더링을 통한 좌영상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좌시점 영상과 우시점 영상으로 분리된 3차원 모델에 대해, 렌더링부(13)에서 좌시점에 보여지는 모델(좌시점 영상)을 기수라인 집합들의 마스크에 렌더링하고(206), 우시점에 보여지는 모델(우시점 영상)을 우수라인 집합들의 마스크에 렌더링하여(207), 렌더링된 좌/우 시점 영상을 패럴렉스 배리어(parallax barrier)나 랜티큘라와 같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화면표시부(14))에 출력하면(208), 사용자는 안경을 쓰지 않고도 보다 입체감있게 3차원 영상을 관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3차원 그래픽 모델의 전체 공간을 고려하여 보다 입체감을 가지고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로 디스플레이 가능하고, 공간 전체를 고려하므로 관찰자의 시점변화나 위치 변화요구를 수용하는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3차원 모델로 형상된 컴퓨터 그래픽 데이터로부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을 생성함으로써, 기존의 3D 게임들 보다 입체감을 제공하여 생동감있는 게임 컨텐츠를 만들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최근 이동단말기 시장에 3D 게임의 확산을 예고하고 있는 시점에서 보다 경쟁력있는 입체 게임을 제작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단말기 컨텐츠 시장을 보다 다양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3차원 그래픽 모델 렌더링 장치에 있어서,
    좌/우 시점 영상에 대한 기수라인/우수라인 집합들의 마스크를 각각 생성하기 위한 마스크 생성수단;
    좌/우 시점의 화면 생성에 필요한 파라메터를 설정하고, 파라메터에 따라 3차원 그래픽 모델을 변환하여 좌/우 시점에 보여지는 모델(영상)로 각각 분리하기 위한 파라메터 설정 및 모델변환 수단;
    상기 좌시점에 보여지는 모델(좌시점 영상)을 상기 기수라인 집합들의 마스크에 렌더링하고, 상기 우시점에 보여지는 모델(우시점 영상)을 상기 우수라인 집합들의 마스크에 렌더링하기 위한 렌더링수단; 및
    2차원 평면에, 렌더링된 좌/우 시점 영상을 동시에 화면 표시하기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출력수단
    을 포함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3차원 그래픽 모델 렌더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출력수단은,
    안경을 쓰지 않고 3차원 입체 영상을 관찰할 수 있는 패럴렉스 배리어(parallax barrier)나 랜티큘라와 같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3차원 그래픽 모델 렌더링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메터 설정 및 모델변환 수단은,
    전체 공간에 있는 모든 3차원 모델의 상관관계를 반영하면서, 전체 공간을 교차식 방식의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만들기 위하여, 임의의 교차축을 중심으로 전체 공간을 우측으로 회전시켜 좌시점 영상을 만들고, 좌측으로 회전시켜 우시점 영상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3차원 그래픽 모델 렌더링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메터 설정 및 모델변환 수단은,
    교차축을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앞으로 당기거나 멀리하기 위하여 교차축을 이동시키면, 좌/우 시점 화면 생성을 위해 전체 가상 공간의 회전 조절을 통해 모델을 변환시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을 생성하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좌/우 시각차를 조절하기 위한 교차축의 각도를 입력받 아, 교차축의 각도에 따라 좌/우 시점 화면 생성을 위해 모델을 변환하여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3차원 그래픽 모델 렌더링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메터 설정 및 모델변환 수단은,
    기 설정된 두 개의 좌/우 가상 카메라 시점을 이용하여 3차원 모델의 객체들에 대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3차원 그래픽 모델 렌더링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메터 설정 및 모델변환 수단은,
    교차축을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앞으로 당기거나 멀리하기 위하여 교차축을 이동시킬 때, 좌/우시점 화면 생성을 위해 두 개의 가상 카메라 시점을 교차축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가상 카메라 시점을 전진시키거나 후진시켜서 전체 모델을 변환하여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을 생성하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두 개의 가상 카메라 방향에 따른 교차축의 각도와 위치를 입력받아, 지정된 방향 두 개의 가상카메라 방향과 지정된 두 개의 가상 카메 라 시점으로부터 좌/우 시점 화면 생성을 위해 모델을 변환하여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3차원 그래픽 모델 렌더링 장치.
  7. 3차원 그래픽 모델 렌더링 장치에 적용되는 3차원 그래픽 모델 렌더링 방법에 있어서,
    좌/우 시점 영상에 대한 기수라인/우수라인 집합들의 마스크를 각각 생성하기 위한 마스크 생성단계;
    좌/우 시점의 화면 생성에 필요한 파라메터를 설정하고, 파라메터에 따라 3차원 그래픽 모델을 변환하여 좌/우 시점에 보여지는 모델(영상)로 각각 분리하기 위한 파라메터 설정 및 모델변환 단계; 및
    상기 좌시점에 보여지는 모델(좌시점 영상)을 상기 기수라인 집합들의 마스크에 렌더링하고, 상기 우시점에 보여지는 모델(우시점 영상)을 상기 우수라인 집합들의 마스크에 렌더링하기 위한 렌더링단계
    를 포함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3차원 그래픽 모델 렌더링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렌더링된 좌/우 시점 영상을 3차원 입체 영상을 관찰할 수 있는 패럴렉스 배리어(parallax barrier)나 랜티큘라와 같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출력단계
    를 더 포함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3차원 그래픽 모델 렌더링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메터 설정 및 모델변환 단계는,
    전체 공간에 있는 모든 3차원 모델의 상관관계를 반영하면서, 전체 공간을 교차식 방식의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만들기 위하여, 임의의 교차축을 중심으로 전체 공간을 우측으로 회전시켜 좌시점 영상을 만들고, 좌측으로 회전시켜 우시점 영상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3차원 그래픽 모델 렌더링 방법.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메터 설정 및 모델변환 단계는,
    기 설정된 두 개의 좌/우 가상 카메라 시점을 이용하여 3차원 모델의 객체들에 대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3차원 그래픽 모델 렌더링 방법.
KR1020030090734A 2003-12-12 2003-12-12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3차원 그래픽모델렌더링 장치 및 그 방법 KR100556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0734A KR100556830B1 (ko) 2003-12-12 2003-12-12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3차원 그래픽모델렌더링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0734A KR100556830B1 (ko) 2003-12-12 2003-12-12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3차원 그래픽모델렌더링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8767A KR20050058767A (ko) 2005-06-17
KR100556830B1 true KR100556830B1 (ko) 2006-03-10

Family

ID=37252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0734A KR100556830B1 (ko) 2003-12-12 2003-12-12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3차원 그래픽모델렌더링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68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689B1 (ko) * 2008-05-27 2015-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파라미터를 이용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데이터스트림 생성 방법 및 그 장치와 스테레오스코픽 영상복원 방법 및 그 장치
WO2012009119A2 (en) * 2010-06-28 2012-01-19 Illusion Camera Co., Llc Stereoscopic imaging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8767A (ko) 200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9610B2 (ja) 立体視可能な表示装置および方法
US8953023B2 (en) Stereoscopic depth mapping
JP4214976B2 (ja) 擬似立体画像作成装置及び擬似立体画像作成方法並びに擬似立体画像表示システム
TWI523488B (zh) 處理包含在信號中的視差資訊之方法
JP5160741B2 (ja) 3dグラフィック処理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立体映像表示装置
WO2015196791A1 (zh) 双目三维图形渲染方法及相关系统
WO2004107764A1 (ja) 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TWI496452B (zh) 立體影像系統、立體影像產生方法、立體影像調整裝置及其方法
CN102708577B (zh) 多视点立体图片的合成方法
JP2012079291A (ja)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画像生成システム
JP2012253690A (ja)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画像生成システム
CN106412556B (zh) 一种图像生成方法及装置
KR20190134715A (ko) 전자 디스플레이 앞에 또는 위에 투사한 것처럼 보이는 가상의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는 시스템, 방법 및 소프트웨어
WO2012140397A2 (en) Three-dimensional display system
JP2003348621A (ja) 二視点カメラの設定手段
KR20140003741A (ko) 입체 컨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
JP2010171628A (ja) 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画像処理方法、記録方法および記録媒体
KR101212223B1 (ko) 촬영장치 및 깊이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의 생성방법
JP2006254240A (ja) 立体画像表示装置、そ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037282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993179A (zh) 一种3d模型转立体双视点视图的方法
KR100556830B1 (ko)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3차원 그래픽모델렌더링 장치 및 그 방법
CN101908233A (zh) 产生用于三维影像重建的复数视点图的方法及系统
KR101567002B1 (ko) 컴퓨터 그래픽스 기반의 스테레오 플로팅 집적 영상생성시스템
Canessa et al. Morpholo: a hologram generator algorith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