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6536B1 - 통화연결음을 이용한 증권정보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연결음을 이용한 증권정보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6536B1
KR100556536B1 KR1020040027460A KR20040027460A KR100556536B1 KR 100556536 B1 KR100556536 B1 KR 100556536B1 KR 1020040027460 A KR1020040027460 A KR 1020040027460A KR 20040027460 A KR20040027460 A KR 20040027460A KR 100556536 B1 KR100556536 B1 KR 100556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curities information
service
back tone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7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2695A (ko
Inventor
홍세출
Original Assignee
유엔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엔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엔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7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6536B1/ko
Publication of KR20050102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2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3Line monitoring circuits for detecting caller ident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통화연결음을 이용한 증권정보 서비스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유선 또는 무선 전화의 통화연결음(통화대기음)을 활용하여 개인화된 증권정보를 푸쉬(PUSH) 방식으로 서비스(동적인 서비스)하기 위한 통화연결음을 이용한 증권정보 서비스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의 증권정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통화연결음으로 제공될 증권정보 - 이때, 증권정보는 서비스 가입자의 관심/보유 종목, 관심/보유 종목의 통보 변동폭, 송출 방식(출력 형식), 최종 송출 종목 정보를 포함함 - 를 가입자별(발신번호별)로 서비스 등록하는 서비스 등록단계; 호 발신시, 발신번호의 서비스 가입을 인지하여,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가 '서비스 가입 발신번호'과 관련된 증권정보를 증권정보 서버로 요청하는 증권정보 요청단계; 상기 증권정보 서버가 발신번호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서비스 가입 발신번호'에 매핑된 증권정보를 상기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발신자별 증권정보 추출단계; 및 상기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가 수신된 증권정보를 음성파일(증권정보 통화연결음)로 변환하여, 증권정보 통화연결음을 통화연결음 제공 시간 동안 상기 '서비스 가입 발신번호'의 단말측으로 제공하는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통화연결음을 활용한 증권정보 서비스 등에 이용됨.
통화연결음, 증권정보, DTMF, 푸쉬(PUSH), 동적 서비스

Description

통화연결음을 이용한 증권정보 서비스 방법{Stock information push method using ring-back tone}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구성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연결음을 이용한 증권정보 서비스 방법 중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송출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연결음을 이용한 증권정보 서비스 방법 중 상세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송출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연결음을 이용한 증권정보 서비스 방법 중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송출 형식 수정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연결음을 이용한 증권정보 서비스 방법 중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재송출 요청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연결음을 이용한 증권정보 서비스 방법 중 증권정보 통화연결음을 위한 정보 저장 관리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연결음을 이용한 증권정보 서비스 방법 중 증권정보 서버가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로 증권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 : 단말기 12 : 교환기
13 :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 14 : 증권 전산 서버
15 : 무선 인터넷 푸쉬 서버 16 : 증권정보 서버
17 : 데이터베이스(DB)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유선 또는 무선 전화의 통화연결음(통화대기음)을 활용하여 개인화된 증권정보를 서비스할 수 있는 통화연결음을 이용한 증권정보 서비스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발신자가 착신자에게 전화통화를 시도하면(호 발신시) 교환기에서 발신 단말기로 획일화된 통화연결음(발신음)을 제공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현재 이동전화, 일반전화 등에서 발신자가 착신가입자에게 전화를 걸었을 때 획일화된 통화연결음(발신음) 대신 다양한 통화연결음(색깔있는 서비스 통화연결음)을 통화가 연결되기 전에 발신 단말기로 제공하 여 서비스 이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상기 통화연결음 서비스 구현을 위한 일예로, 발신자가 전화통화를 시도한 경우(호 발신시), 착신자를 제어하는 교환기에서 ITU-T 규격에 따라 모든 가입자에게 동일한 통화연결음을 송출하도록 정의된 교환기의 기능을 통화연결음 서비스만을 위한 기능 변경을 통하여 구현함으로써,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 있다(코어망 방식 통화연결음 서비스).
한편, 통화연결음 서비스 구현을 위한 다른 예로, 북미 지역 이동망 표준 규격인 IS-41C를 기준으로 한 CDMA 이동전화망에서 지능망 표준 규격으로 사용되고 있는 미국 TIA(Telecommunication Industry Association)/EIA(Electronic Industry Association)의 TR-45.2의 WIN(Wireless Intelligent Network)에 정의된 규격을 응용하여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 있다(지능망 방식 통화연결음 서비스). 이는 ITU-T에서 정의된 일반적인 통화연결음 제공을 위해 처리되는 호 처리 과정 중 교환기가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위한 호 처리 진행을 감지하게 되면, WIN 규격에 정의된 해석정보(analyzed information)를 서비스제어기(SCP : Service Control Point)로 송출하여 착신가입자가 미리 선택한 통화연결음을 판별하고, 이후 지능형 정보장치(즉, 통화연결음 제공자)(IP : Intelligent Peripheral)와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발신자에게 통화연결음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상기 통화연결음 서비스는 발신자 또는 착신자에게 음악 등을 송출함으로써 착신자 또는 발신자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시스템적으로 모든 장비에 동일한 데이터들이 복제되어 있어, 정적인 방식으로 서비스될 수 밖에 없었다. 즉, 일 통화연결음(음원 A)을 타 통화연결음(음원 B)으로 바꿀 수는 있어도(음원 A에서 음원 B로의 통화연결음 교체 가능), 해당 통화연결음의 자체 수정(즉, 음원 A 혹은 음원 B에서의 수정)이 불가능하여 정적인 서비스 방식을 채택할 수 밖에 없었다. 예를 들면, 음원 A에서의 음원 B로의 수정은 가능하지만, 음원 A 자체에서 수정하거나 음원 B 자체를 수정할 수는 없었다.
한편, 증권정보 서비스는 주로 전화 자동응답시스템(ARS), 인터넷, 무선 인터넷, 단문메시지(SMS) 푸쉬(PUSH), 무선호출기, 데이터 통신 단말기 등을 통해서 제공되었다. 하지만, 증권정보 서비스시, 증권정보 서비스를 위한 별도의 단말기가 필요하거나, 유료인 통화 회선을 사용해야만 한다. 뿐만 아니라, 일반 단말기(일반 전화기, 이동통신 단말기, 웹(WEB) 단말기, 왑(WAP) 단말기 등)를 통한 증권정보 서비스시에는 사용자가 직접 증권정보 서버에 접속해서 원하는 정보를 찾아 조회하는 풀(PULL) 방식의 서비스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상기의 통화연결음 서비스 및 증권정보 서비스를 감안한다면, 통화연결음을 미디어로 활용하여 증권정보를 제공하되(이를 '증권정보 통화연결음'이라 함), 시시각각 변화하는 증권정보의 특성을 감안해 볼 때, 실시간으로 수정되는 개인화된 증권정보를 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푸쉬(PUSH) 방식의 서비스 방안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통신 시스 템에서 유선 또는 무선 전화의 통화연결음(통화대기음)을 활용하여 개인화된 증권정보를 푸쉬(PUSH) 방식으로 서비스(동적인 서비스)하기 위한 통화연결음을 이용한 증권정보 서비스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의 증권정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통화연결음으로 제공될 증권정보 - 이때, 증권정보는 서비스 가입자의 관심/보유 종목, 관심/보유 종목의 통보 변동폭, 송출 방식(출력 형식), 최종 송출 종목 정보를 포함함 - 를 가입자별(발신번호별)로 서비스 등록하는 서비스 등록단계; 호 발신시, 발신번호의 서비스 가입을 인지하여,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가 '서비스 가입 발신번호'과 관련된 증권정보를 증권정보 서버로 요청하는 증권정보 요청단계; 상기 증권정보 서버가 발신번호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서비스 가입 발신번호'에 매핑된 증권정보를 상기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발신자별 증권정보 추출단계; 및 상기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가 수신된 증권정보를 음성파일(증권정보 통화연결음)로 변환하여, 증권정보 통화연결음을 통화연결음 제공 시간 동안 상기 '서비스 가입 발신번호'의 단말측으로 제공하는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종료시, 상기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가 최종 송출 종목 정보를 상기 증권정보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증권정보 서버가 최종 송출 종목을 저장하고, 이후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시 상기 증 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가 최종 송출 종목 다음 종목부터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시, 발신측으로부터의 현재 종목에 대한 상세정보 요청시, 상기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가 최근 송출한 종목에 대한 상세 시황 정보를 상기 증권정보 서버로 요청하여, 상기 증권정보 서버가 해당 종목의 상세정보를 무선 인터넷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시, 발신측으로부터의 송출 방식(출력 형식)에 대한 변경 요청시, 상기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가 송출 방식(출력 형식)에 대한 변경을 상기 증권정보 서버로 요청하여, 상기 증권정보 서버로부터 변경 결과를 받아, 변경 결과에 따라 증권정보 통화연결음을 다시 생성하여 상기 발신측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시, 발신측으로부터의 재출력 요청시, 상기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가 상기 증권정보 통화연결음을 처음부터 다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통화연결음을 이용한 증권정보 서비스를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에, 통화연결음으로 제공될 증권정보 - 이때, 증권정보는 서비스 가입자의 관심/보유 종목, 관심/보유 종목의 통보 변동폭, 송출 방식(출력 형식), 최종 송출 종목 정보를 포함함 - 를 가입자별(발신번호별)로 서비스 등록하는 서비스 등록기능; 호 발신시, 발신번호의 서비스 가입을 인지하여,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가 '서비스 가입 발신번호'과 관련된 증권정보를 증권정보 서버로 요청하는 증권정보 요청기능; 상기 증권정보 서버가 발신번호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서비스 가입 발신번호'에 매핑된 증권정보를 상기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발신자별 증권정보 추출기능; 및 상기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가 수신된 증권정보를 음성파일(증권정보 통화연결음)로 변환하여, 증권정보 통화연결음을 통화연결음 제공 시간 동안 상기 '서비스 가입 발신번호'의 단말측으로 제공하는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종료시, 상기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가 최종 송출 종목 정보를 상기 증권정보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증권정보 서버가 최종 송출 종목을 저장하고, 이후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시 상기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가 최종 송출 종목 다음 종목부터 송출하는 기능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구성 예시도로서, 통화연결음을 미디어로 활용하여 개인화된 증권정보를 푸쉬(PUSH) 방식으로 동적 서비스하는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다.
증권정보 서비스는 실시간에 지속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본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은 동적으로 증권정보 통화연결음을 생성하여 송출할 수 있는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13)와, 개인 증권정보를 관리하고 증권정보를 수신하여 가공하는 기능을 갖는 증권정보 서버(16)로 구성된다. 그러나, 기존 통화연결음 제공망에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에 대한 선택 기능이 없을 경우에는 교환기 또는 홈위치등록기(HLR) 등에 대한 일부 수정이 필요하지만, 통상적으로 지능망으로 구현된 통화연결음 서비스는 이러한 기능을 기본적으로 갖고 있다.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13)는 유무선망의 교환기(12)와 연동하여 증권정보 통화연결음을 단말기A,B(일반 전화기(11-1), 이동통신 단말기(11-2))로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데, 교환기(12)로부터 수신된 발신자 번호를 통하여 발신자의 관심/보유 종목을 검색하고 관심/보유 종목의 변동 내역을 단말기A,B(일반 전화기(11-1), 이동통신 단말기(11-2))로 송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13)는 동적으로 증권정보 통화연결음을 생성하여 송출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이때 텍스트-음성 변환(TTS : Text-To-Speech) 기술을 사용하지 않고, 실제 음성을 편집하여 증권정보를 송출토록 최적화되어 있다. 또한, 증권정보 통화연결음을 송출하는 도중에, 단말기A,B(일반 전화기(11-1), 이동통신 단말기(11-2))로부터의 이중음다주파(DTMF) 톤을 수신하면 이를 증권정보 서버(16)로 알려, 증권정보 서버(16)가 서비스 변경 설정하거나 상세 증권정보를 무선 인터넷을 통해 단말기B(이동통신 단말기(11-2))로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증권정보 서버(16)는 증권정보를 수신하는 기능과 개인 관심/보유 종목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정보는 단말기A,C,D(일반 전화기(11-1), 왑(WAP) 단말기(11-3), 웹(WEB) 단말기(11-4))로 웹(WEB), 왑(WAP), 자동응답시스템(ARS) 등을 통해 설정할 수 있으며, 기존 증권정보 서비스의 개인 정보를 수신하 여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가입자의 요청에 의해서(DTMF 톤 수신 등) 현재 송출중인 종목에 대한 상세한 시황 정보(상세 증권정보)를 무선 인터넷(무선 인터넷 푸쉬 서버(15)의 역활)을 통해 단말기B(이동통신 단말기(11-2))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단말기B(이동통신 단말기(11-2))는 무선 인터넷 가능한 왑(WAP) 단말기(11-3)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서비스 절차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단말기A,C,D(일반 전화기(11-1), 왑(WAP) 단말기(11-3), 웹(WEB) 단말기(11-4))로 웹(WEB), 왑(WAP), 자동응답시스템(ARS) 등을 통해서 서비스 가입하여,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서비스 단말기A/B(일반 전화기(11-1)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11-2) 등)를 등록한 후, 자신의 관심/보유 종목을 설정하고 추가적으로 관심/보유 종목의 통보 변동폭을 지정해둔다. 추후, 가입자는 인터넷, 무선 인터넷, ARS 등을 통해서 증권정보 서버(16)에 접속하여 자신의 관심/보유 종목, 관심/보유 종목의 통보 변동폭, 출력 방식 등을 등록/수정할 수 있다.
이후, 가입자(발신자)가 서비스 단말기A/B(일반 전화기(11-1)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11-2) 등)로 호를 발신할 때, 통화연결음에 의해서 가입자 관심/보유 종목의 변동 상황이 서비스 단말기A/B(일반 전화기(11-1)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11-2))로 출력된다. 이때, 고려의 대상으로, 발신자에 대한 서비스이므로 착신자가 기 설정해 둔 통화연결음(주로 음원 등)은 무시되고, 발신자를 위한 증권정보 통화연결음이 송출된다.
여기서, 가입자(발신자)는 증권정보 통화연결음을 듣는 도중 언제라도, DTMF 톤을 사용하여 증권정보 통화연결음의 관심/보유 종목, 관심/보유 종목의 통보 변동폭, 송출 방식을 수정하거나, 추가적인 정보를 무선 인터넷으로 요청할 수도 있다.
상기의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서비스 절차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입자는 인터넷, 무선 인터넷, ARS 등을 통해서 증권정보 서버(16)에 접속하여 자신의 관심/보유 종목, 관심/보유 종목의 통보 변동폭, 출력 방식 등을 등록/수정할 수 있다(110). 즉, 최초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희망하는 사용자는 단말기A,C,D(일반 전화기(11-1), 왑(WAP) 단말기(11-3), 웹(WEB) 단말기(11-4))로 웹(WEB), 왑(WAP), 자동응답시스템(ARS) 등을 통해서 서비스 가입하여,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서비스 단말기A/B(일반 전화기(11-1)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11-2) 등)를 등록한 후, 자신의 관심/보유 종목을 설정하고 추가적으로 관심/보유 종목의 통보 변동폭을 지정해둔다(110). 추후 언제라도, 가입자는 인터넷, 무선 인터넷, ARS 등을 통해서 증권정보 서버(16)에 접속하여 자신의 관심/보유 종목, 관심/보유 종목의 통보 변동폭, 출력 방식 등을 등록/수정할 수 있다(110). 이때, 가입자별 증권정보(관심/보유 종목, 관심/보유 종목의 통보 변동폭, 출력 방식, 최종 송출 위치(종목) 등)는 증권정보 서버(16)의 제어하에 데이터베이스(17)에서 관리된다.
여기서, 증권정보 서버(16)는 증권 전산 서버(14)나 증권정보 중계 서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증권정보를 수신하여 가공한다(107).
이후, 가입자가 단말기A/B(일반 전화기(11-1)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11-2))를 사용하여 호를 발신하면(101), 유선망 혹은 무선망의 교환기(12)는 발신자가 본 서비스 가입자일 경우,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송출을 위해서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13)에 접속한다(102). 이때, 발신번호가 함께 전송된다.
여기서, 교환기(12)의 서비스 가입자 판정을 위해서는, 유선망의 경우 교환기 내부 데이터를 참조하고, 무선망의 경우 홈위치등록기(HLR)를 참조한다.
다음으로,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13)는 발신자와 관련된 증권정보를 증권정보 서버(16)로 요청하여(103), 증권정보 서버(16)로부터 발신자가 등록한 관심/보유 종목의 시황, 관심/보유 종목의 통보 변동폭, 출력 위치, 출력 형식 등의 정보를 회신받는다(104).
이어서,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13)는 수신된 증권정보를 음성으로 편집하여(결국, 증권정보 통화연결음이 됨) 교환기(12)를 통해 서비스 단말기A/B(일반 전화기(11-1)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11-2))로 송출한다(105,106).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송출 도중, 가입자(발신자)는 DTMF 톤을 통해서 부가적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만약, 가입자(발신자)가 만약 상세 증권정보를 DTMF 톤을 통해서 선택하면, 증권정보 서버(16)는 이 정보를 무선 인터넷을 통해서 전송한다(108). 그러면, 상세 증권정보는 SMS, MMS, WAP PPG(Push Proxy Gateway)와 같은 무선 인터넷 푸쉬 서버(15)를 통해서 단말기B(이동통신 단말기(11-2))로 전송된다(109).
이상에서와 같이 본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송출 기능과, 송출중 사용자 설정에 의한 송출 기능 수정/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연결음을 이용한 증권정보 서비스 방법 중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송출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다.
우선,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희망하는 사용자가 단말기A,C,D(일반 전화기(11-1), 왑(WAP) 단말기(11-3), 웹(WEB) 단말기(11-4))로 웹(WEB), 왑(WAP), 자동응답시스템(ARS) 등을 통해서 서비스 가입하여,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서비스 단말기A/B(일반 전화기(11-1)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11-2) 등)를 등록한 후, 자신의 관심/보유 종목을 설정하고 추가적으로 관심/보유 종목의 통보 변동폭, 출력 방식 등을 지정해 두었다고 가정한다.
이후, 가입자가 단말기A/B(일반 전화기(11-1)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11-2))를 사용해 호를 발신하여, 유선망 혹은 무선망의 교환기(12)를 통해서 통화연결음 요청이 수신되면(이때, 이 정보에는 발신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음)(201),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13)는 증권정보 서버(16)로 발신자(가입자)와 관련된 증권정보를 요청한다(202). 이때, 발신전화번호가 함께 전송된다.
여기서, 유선망 혹은 무선망의 교환기(12)는 발신자가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서비스 가입자일 경우,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송출을 위해서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13)에 접속하는데(202), 이때 교환기(12)는 서비스 가입자 판정을 위해서 유선망의 경우 교환기 내부 데이터를 참조하고, 무선망의 경우 홈위치등록기(HLR)를 참조한다.
다음으로, 증권정보 서버(16)는 데이터베이스(17)를 바탕으로 발신자 정보를 검색하여, 관심/보유 종목, 관심/보유 종목의 통보 변동폭, 송출 형식(출력방식), 최종 송출 종목(최종 송출 위치)을 알아내고(203), 종목의 시황과 함께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13)로 전송한다(204).
그러면,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13)는 수신된 정보를 음성파일(즉, 증권정보 통화연결음)로 변환한 후(205), 음성파일(증권정보 통화연결음)을 교환기(12)를 경유하여 서비스 단말기A/B(일반 전화기(11-1)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11-2))로 송출한다(206). 이때, 통상적인 TTS를 사용하지 않고, 녹음된 음성파일을 편집하는 방식에 의해서 자원스러운 음성을 생성한다.
여기서,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13)는 서비스 단말기A/B(일반 전화기(11-1)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11-2))로 음성파일(증권정보 통화연결음)을 송출하면서 DTMF 톤 입력을 대기한다(207). 이는 발신자의 설정 요청을 받기 위한 것이다. 이때, 입력이 있으면, 하기의 도 3 내지 도 5의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만약, 착신자의 훅오프(hook-off) 등으로 인해 증권정보 통화연결음이 종료되면(208), 최종 송출 종목 정보(최종 송출 위치)를 증권정보 서버(16)로 전송한다(209). 그러면, 증권정보 서버(16)는 최종 송출 종목(최종 송출 위치)을 데이터베이스(17)에 저장한다(210). 이렇게 최종 송출 종목(최종 송출 위치)을 저장해 두는 이유는, 향후 그 다음 종목부터 통화연결음 송출 대상으로 하기 위함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연결음을 이용한 증권정보 서비스 방법 중 상세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송출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로서, 발신자가 증 권정보 통화연결음을 듣는 도중, 현재 종목에 대해서 상세한 정보를 원할 때, 이를 무선 인터넷을 통해서 전송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도 3의 과정은 기본적으로 이동통신망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이다.
상기 도 2의 과정에서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13)가 서비스 단말기B(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11-2))로 음성파일(증권정보 통화연결음)을 송출하면서 DTMF 톤 입력을 대기하는데(207), 만약 발신자(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가 DTMF 톤을 발생시키면(301), 이 DTMF 톤 입력이 어떠한 기능 요청인지를 판단한다(302). 판단 결과, '현재 종목에 대한 상세정보를 요청'하는 경우라면, 다음의 절차를 수행한다.
먼저,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13)는 최근 송출한 종목에 대한 상세 시황 정보를 증권정보 서버(16)로 요청하고(303), 이에 대해 증권정보 서버(16)는 해당 종목의 상세 정보를 무선 인터넷(무선 인터넷 푸쉬 서버(15)의 역활)을 통해서 발신자 단말기B(이동통신 단말기(11-2))로 전송한다(304). 이때, 단문메시지 서비스(SMS)/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왑(WAP) PUSH 등을 사용해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증권정보 서버(16)가 발신자가 원하는 상세 정보를 무선 인터넷을 통해 전송했음을 알리는 전송결과를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13)로 알리면(305),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13)는 서비스 단말기B(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11-2))로 신호음 등을 송출해서 전송결과를 알린다(306).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연결음을 이용한 증권정보 서비스 방법 중 증권 정보 통화연결음 송출 형식 수정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다.
발신자(서비스 가입자)는 증권정보 통화연결음을 듣는 도중 언제라도 송출 형식(출력 방식)을 수정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인터넷, 무선 인터넷, ARS 등을 통해서 증권정보 서버(16)에 접속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도 2의 과정에서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13)가 서비스 단말기A/B(일반 전화기(11-1)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11-2))로 음성파일(증권정보 통화연결음)을 송출하면서 DTMF 톤 입력을 대기하는데(207), 만약 발신자(유선 가입자 혹은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가 DTMF 톤을 발생시키면(401), 이 DTMF 톤 입력이 어떠한 기능 요청인지를 판단한다(402). 판단 결과, '출력 형식에 대한 변경을 요청'하는 경우라면 다음의 절차를 수행한다.
먼저,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13)는 선택된 메뉴에 의해서 지정된 형식으로의 변경을 증권정보 서버(16)로 요청하고(403), 이에 대해 증권정보 서버(16)는 출력 형식을 변경하여(404) 변경된 결과를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13)로 전송한다(405). 이때, 해당 형식 출력이 필요한 증권 시황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이후,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13)는 수신된 결과에 따라 송출음(증권정보 통화연결음)을 다시 생성한 후(406), 수정된 증권정보 통화연결음을 교환기(12)를 경유하여 서비스 단말기A/B(일반 전화기(11-1)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11-2))로 송출한다(407).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연결음을 이용한 증권정보 서비스 방법 중 증권 정보 통화연결음 재송출 요청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로서, 발신자(서비스 가입자)의 선택에 의해서, 처음부터 다시 증권정보 통화연결음을 출력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상기 도 2의 과정에서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13)가 서비스 단말기A/B(일반 전화기(11-1)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11-2))로 음성파일(증권정보 통화연결음)을 송출하면서 DTMF 톤 입력을 대기하는데(207), 만약 발신자(유선 가입자 혹은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가 DTMF 톤을 발생시키면(501), 이 DTMF 톤 입력이 어떠한 기능 요청인지를 판단한다(502). 판단 결과, '처음부터 다시 출력하기를 원하는 재출력에 대한 요청'이라면, 음성파일(증권정보 통화연결음)을 처음부터 다시 출력하여(503) 교환기(12)를 경유하여 서비스 단말기A/B(일반 전화기(11-1)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11-2))로 송출한다(504).
각 종목에 대한 증권정보 송출 및 하나의 정보에 대한 출력시간은 하기의 [표 1]과 같다.
Figure 112004016369564-pat00001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연결음을 이용한 증권정보 서비스 방법 중 증권정보 통화연결음을 위한 정보 저장 관리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로서, 가입자가 증권정보 서버에 접속하여, 관심 종목, 보유 종목, 관심/보유 종목의 통보 변동폭, 출력 형식 등을 설정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서비스 가입자는 인터넷, 무선 인터넷, ARS 등을 통해서 증권정보 서버(16)에 접속하여 자신의 관심 종목, 보유 종목 등을 DB(17)에 등록할 수 있다(601,602). 또한, 잔고 평가를 위해서 보유 주식 현황을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증권정보 서버(16)는 가입자별로 관심 종목, 보유 종목, 관심/보유 종목의 통보 변동폭, 출력 형식, 최종 송출 종목 등을 관리하는데, DB(17)에서 관리되는 가입자별 관리 정보는 하기의 [표 2]와 같다.
그리고, 서비스 가입자는 인터넷, 무선 인터넷, ARS 등을 통해서 증권정보 서버(16)에 접속하거나(604),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13)를 통해서 증권정보 서버(16)에 접속하여(603),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송출중에 출력 형식을 바꿀 수 있는데, 증권정보 서버(16)는 서비스 가입자가 지정한 출력 형식을 DB(17)에 관리하고(605), 그 형식에 적합한 정보를 DB(17)로부터 검색하여 제공하게 된다.
Figure 112004016369564-pat00002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연결음을 이용한 증권정보 서비스 방법 중 증권정보 서버가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로 증권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로서, 상기 도 2의 "202" 단계 내지 "204"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는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통화연결음 요청이 수신되면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13)가 증권정보 서버(16)로 발신자(가입자)와 관련된 증권정보를 요청하여, 증권정보 서버(16)가 발신자의 관심/보유 종목, 관심/보유 종목의 통보 변동폭, 송출 형식(출력 방식), 최종 송출 종목(최종 송출 위치)을 알아내고, 종목의 시황과 함께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13)로 전송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먼저,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13)가 발신번호에 의해서 송출할 증권 정보를 요청하면(701), 증권정보 서버는 가입자 종목 정보(관심/보유 종목)에서 최종 송출한 종목을 알아내고, 그 종목 이후의 종목들을 검색한다(702).
검색 결과, 해당 종목(관심/보유 종목)에 통보 변동율이 설정되어 있고, 당 일 변동율이 이것보다 크다면(703), 이 종목은 지정된 출력 형식에 따라 송출한다. 이를 송출하기 위해서, 지정된 출력 형식을 알아낸다(704). 여기서, 만약 해당 종목에 통보 변동율이 설정되어 있지만, 당일 변동율이 통보 변동율을 넘지 않으면(703), 이 종목을 송출하지 않고 다음 종목을 순차적으로 검색하여(702) 결국 서비스 가입자가 원하는 통보 변동율을 넘은 종목만을 송출한다. 이를 송출하기 위해서, 지정된 출력 형식을 알아낸다(704).
그러나, 통보 변동율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즉시 지정된 출력 형식에 따라 송출한다. 이를 송출하기 위해서, 지정된 출력 형식을 알아낸다(704).
그리고, 지정된 출력 형식에 적합한 시황 데이터를 검색하고(705), 기 설정된 보유 종목에 따른 잔고 평가를 실행하여(706), 종목별 시황 정보와 잔고 평가 정보를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13)로 전송한다(707).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대상 통신망이 유선망인지 또는 무선망인지에 따라서, 혹은 해당 망의 통화연결음 제공 방식이 지능망 방식인지 또는 코어망 방식인지에 따라서 쉽게 변형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 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유선 또는 무선 전화의 통화연결음(통화대기음)을 활용하여 개인화된 증권정보를 푸쉬(push)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고,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증권정보의 특성을 감안해 볼 때, 실시간으로 수정되는 개인화된 증권정보를 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통신 시스템에서의 증권정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통화연결음으로 제공될 증권정보 - 이때, 증권정보는 서비스 가입자의 관심/보유 종목, 관심/보유 종목의 통보 변동폭, 송출 방식(출력 형식), 최종 송출 종목 정보를 포함함 - 를 가입자별(발신번호별)로 서비스 등록하는 서비스 등록단계;
    호 발신시, 발신번호의 서비스 가입을 인지하여,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가 '서비스 가입 발신번호'과 관련된 증권정보를 증권정보 서버로 요청하는 증권정보 요청단계;
    상기 증권정보 서버가 발신번호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서비스 가입 발신번호'에 매핑된 증권정보를 상기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발신자별 증권정보 추출단계; 및
    상기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가 수신된 증권정보를 음성파일(증권정보 통화연결음)로 변환하여, 증권정보 통화연결음을 통화연결음 제공 시간 동안 상기 '서비스 가입 발신번호'의 단말측으로 제공하는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연결음을 이용한 증권정보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종료시, 상기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가 최종 송출 종목 정보를 상기 증권정보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증권정보 서버가 최종 송 출 종목을 저장하고, 이후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시 상기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가 최종 송출 종목 다음 종목부터 송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화연결음을 이용한 증권정보 서비스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권정보는,
    서비스 가입자가 인터넷, 혹은 무선 인터넷, 혹은 자동응답시스템(ARS)을 통해서 자신의 관심/보유 종목, 관심 보유 종목의 통보 변동폭, 송출 방식(출력 형식), 최종 송출 종목 정보를 등록/수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연결음을 이용한 증권정보 서비스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가입 발신번호'의 단말은,
    일반 전화망 기반의 단말기, 및/또는 무선 인터넷 가능한 왑(WAP) 단말기를 포함하는 무선망 기반의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연결음을 이용한 증권정보 서비스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4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시, 발신측으로부터의 현재 종목에 대한 상세정보 요청시, 상기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가 최근 송출한 종목에 대한 상세 시황 정보를 상기 증권정보 서버로 요청하여, 상기 증권정보 서버가 해당 종목의 상세정보를 무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화연결음을 이용한 증권정보 서비스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4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시, 발신측으로부터의 송출 방식(출력 형식)에 대한 변경 요청시, 상기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가 송출 방식(출력 형식)에 대한 변경을 상기 증권정보 서버로 요청하여, 상기 증권정보 서버로부터 변경 결과를 받아, 변경 결과에 따라 증권정보 통화연결음을 다시 생성하여 상기 발신측으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화연결음을 이용한 증권정보 서비스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4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시, 발신측으로부터의 재출력 요청시, 상기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가 상기 증권정보 통화연결음을 처음부터 다시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화연결음을 이용한 증권정보 서비스 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4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별 증권정보 추출단계에서,
    상기 증권정보 서버가 발신번호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서비스 가입 발신번호'에 매핑된 관심/보유 종목, 송출 방식(출력 형식), 최종 송출 종목을 추출한 후 종목의 시황과 함께 상기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연결음을 이용한 증권정보 서비스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별 증권정보 추출단계는,
    상기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가 발신번호에 의해서 송출할 증권 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증권정보 서버가 가입자 종목 정보(관심/보유 종목)에서 최종 송출한 종목을 알아내고, 그 종목 이후의 종목들을 검색하고 해당 종목(관심/보유 종목)에 통보 변동율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검사하는 검사단계;
    상기 검사단계의 검사 결과, 상기 해당 종목에 통보 변동율이 설정되어 있고, 당일 변동율이 통보 변동율 보다 크면, 상기 해당 종목을 지정된 출력 형식에 따라 송출하기 위하여, 지정된 출력 형식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 단계의 검색 결과, 상기 해당 종목에 통보 변동율이 설정되어 있지만, 당일 변동율이 통보 변동율을 넘지 않으면, 이 종목을 송출하지 않고 다음 종목을 순차적으로 검색하여 서비스 가입자가 원하는 통보 변동율을 넘은 종목만을 송출하기 위하여, 지정된 출력 형식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 단계의 검색 결과, 상기 통보 변동율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즉시 지정된 출력 형식에 따라 해당 종목(관심/보유 종목)을 송출하기 위하여, 지정된 출력 형식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지정된 출력 형식에 적합한 시황 데이터를 검색하고, 기 설정된 보유 종목에 따른 잔고 평가를 실행하여, 종목별 시황 정보와 잔고 평가 정보를 상기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연결음을 이용한 증권정보 서비스 방법.
  11. 통화연결음을 이용한 증권정보 서비스를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에,
    통화연결음으로 제공될 증권정보 - 이때, 증권정보는 서비스 가입자의 관심/보유 종목, 관심/보유 종목의 통보 변동폭, 송출 방식(출력 형식), 최종 송출 종목 정보를 포함함 - 를 가입자별(발신번호별)로 서비스 등록하는 서비스 등록기능;
    호 발신시, 발신번호의 서비스 가입을 인지하여,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가 '서비스 가입 발신번호'과 관련된 증권정보를 증권정보 서버로 요청하는 증권정보 요청기능;
    상기 증권정보 서버가 발신번호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서비스 가입 발신번호'에 매핑된 증권정보를 상기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발신자별 증권정보 추출기능; 및
    상기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가 수신된 증권정보를 음성파일(증권정보 통화연결음)로 변환하여, 증권정보 통화연결음을 통화연결음 제공 시간 동안 상기 '서비스 가입 발신번호'의 단말측으로 제공하는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종료시, 상기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가 최종 송출 종목 정보를 상기 증권정보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증권정보 서버가 최종 송출 종목을 저장하고, 이후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시 상기 증권정보 통화연결음 제공 서버가 최종 송출 종목 다음 종목부터 송출하는 기능
    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40027460A 2004-04-21 2004-04-21 통화연결음을 이용한 증권정보 서비스 방법 KR100556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460A KR100556536B1 (ko) 2004-04-21 2004-04-21 통화연결음을 이용한 증권정보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460A KR100556536B1 (ko) 2004-04-21 2004-04-21 통화연결음을 이용한 증권정보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695A KR20050102695A (ko) 2005-10-27
KR100556536B1 true KR100556536B1 (ko) 2006-03-07

Family

ID=37280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7460A KR100556536B1 (ko) 2004-04-21 2004-04-21 통화연결음을 이용한 증권정보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65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5863A1 (ko) * 2014-01-31 2015-08-06 남희옥 전화와 연계된 컨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695A (ko) 2005-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2891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blocking unwanted communications
US6493431B1 (en) Method and system for capturing telephone calls
US8942360B2 (en) Saving and forwarding customized messages
US9838542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communications
EP2003865A2 (en) A method, a system and a ring back tone apparatus for offering the presence information using ring back tone
JP2001103161A (ja) 電気通信交換システムにおけるリングバック期間を利用してのアドバタイズメントの送信
KR100394976B1 (ko) 통화 대기 중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 방법
US8073120B2 (en) Relating to telephone communications
KR20010085713A (ko) 공중 회선교환 전화 네트워크를 통한 공시 및 청취 선택전자 우편 서비스를 갖는 지능 네트워크 시스템
KR100392097B1 (ko)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에서의 음원 선물 방법 및 장치
US20060062365A1 (en) Method, system, and terminal equipment enabling personalized call notification
US8229097B2 (en) Originating simultaneous ring services
KR100556536B1 (ko) 통화연결음을 이용한 증권정보 서비스 방법
KR100378889B1 (ko)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에서의 음원 변경 방법
KR100430337B1 (ko) 링백톤 대체음 설정 방법
EP1398943A1 (en) Telecommunication system
KR20050092264A (ko) 개인 자동 응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002157B1 (ko) 지능망을 이용한 착신형 통화배경정보 서비스 방법
KR20040048574A (ko) Ip를 기반으로 하는 ngn 및 3g망에서 sip를 사용하여 기존의 톤 신호를 대체하는 동영상 송출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577919B1 (ko) 전화 발신 중 링백톤 대체음을 이용하여 다른 부가서비스의 음원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30006095A (ko) 가입자 맞춤형 통합 메시징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20040078176A (ko)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 방법
KR20030084866A (ko) 전화 콜백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60111527A (ko) 고정된 네트워크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된적어도 두 개의 멀티미디어 터미널을 링크하는 시스템 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