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5327B1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5327B1
KR100555327B1 KR1020050030611A KR20050030611A KR100555327B1 KR 100555327 B1 KR100555327 B1 KR 100555327B1 KR 1020050030611 A KR1020050030611 A KR 1020050030611A KR 20050030611 A KR20050030611 A KR 20050030611A KR 100555327 B1 KR100555327 B1 KR 100555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guide
waste
dirt
dirt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0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만
김경웅
Original Assignee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0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5327B1/ko
Priority to US11/202,214 priority patent/US7380308B2/en
Priority to EP05291769A priority patent/EP1656871A3/en
Priority to RU2005127984/12A priority patent/RU2308870C2/ru
Priority to AU2005211697A priority patent/AU2005211697C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5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5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91Mounting or coupling means for cyclonic chamber or dust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진공청소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진공청소기는, 흡입원 및 이 흡입원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중의 오물을 분리하는 오물분리기를 갖춘 청소기본체; 상기 오물분리기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청소기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오물수거통; 상기 오물분리기와 상기 오물수거통을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는 록킹유닛; 및 상기 오물분리기와 상기 오물수거통이 언록킹될 경우, 상기 오물분리기를 일정각도 회전시키는 개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공청소기, 록킹유닛, 개방유닛, 고정체, 이동체

Description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록킹유닛의 확대사시도,
도 3은 도 1의 개방유닛의 확대사시도,
도 4는 도 2의 록킹유닛의 버튼이 눌려진 도면,
도 5는 도 3의 개방유닛의 제2탄성부재가 팽창된 도면,
도 6은 도 1의 오물분리기가 오물수거통과 언록킹되어 회전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진공청소기 11..청소기본체
11b..흡입파이프 13..커버
110..오물분리기 120..오물수거통
200..록킹유닛 210..버튼
211..가이드돌기 213..후크
220..체결부 221..지지돌기
223..후크연결고리 230..제1탄성부재
300..개방유닛 310..고정체
320..가이드 321..제1가이드
323..제2가이드 330..제2탄성부재
340..이동체 340b..제2가이드 관통공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진장치는 공기로부터 오물을 분리하여 수거하는 장치로, 이를 위해 집진장치는 오물의 분리가 일어나는 오물분리기와, 상기 오물분리기와 결합되어 분리된 오물을 수거하는 오물수거통을 구비한다.
이러한 집진장치는 오물수거통에 수거된 오물을 버리기 위해 일본공개특허(2003-180569)나 한국공개특허(10-2003-0038415)에 개시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1차적으로 집진장치를 진공청소기로부터 꺼낸 후, 2차적으로 오물분리기와 오물수거통을 분리하여 오물수거통에 수거된 오물을 버릴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1차적으로 진공청소기로부터 집진장치를 꺼내고, 2차적으로 오물분리기와 오물수거통을 분리하는 과정이 사용자에게 다소 번거로울 수 있다. 또한, 오물분리기와 오물수거통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일정한 힘을 가해 오물분리기와 오물수거통을 분리해야 하므로, 이 과정에서 오물수거통의 오물이 튕겨져 나와 사용자의 손을 오염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집진장치 전체가 아닌 오물수거통만을 꺼낼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물수거통을 꺼내는 작업이 용이한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공기중의 오물을 분리하는 오물분리기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청소기본체; 상기 오물분리기와 상기 오물수거통을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는 록킹유닛; 및 상기 오물분리기와 상기 오물수거통이 언록킹될 경우, 상기 오물분리기를 일정각도 회전시키는 개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오물분리기는 단일 또는 멀티사이클론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공청소기는 상기 청소기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물분리기는 상기 커버에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오물수거통의 손잡이에 설치되며 후크가 형성된 버튼; 상기 후크가 록킹 또는 언록킹되도록 상기 오물분리기에 형성된 체결부; 및 상기 버튼을 록킹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오물분리기로부터 돌출된 지지돌기; 및 상기 지지돌기의 하측에 형성된 후크연결고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방유닛은, 상기 청소기본체에 설치된 고정체; 상기 고정체에 설치된 가이드; 상기 가이드에 설치되며, 제1위치 및 제2위치로 이동가능한 이동체; 및 상 기 고정체와 이동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체를 상기 제2위치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이동체의 좌측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 및 상기 이동체의 제2가이드 관통공에 삽입된 제2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탄성부재는, 상기 제2가이드에 삽입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0)는, 청소기본체(11)와, 커버(13)와, 오물분리기(110)와, 오물수거통(120)과, 록킹유닛(200)과, 개방유닛(300)을 포함한다.
상기 청소기본체(11)의 양측에는 바퀴(11a)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연장관(미도시)과 연결되는 흡입파이프(11b)가 설치된다. 이러한 흡입파이프(11b)를 통해 청소기본체(11)에 내장된 흡입원(미도시)의 흡입력이 전달되어, 피청소면의 오물이 연장관, 흡입파이프(11b)를 거쳐 오물분리기(110)로 유입된다.
청소기본체(11)에는 오물수거통(120)이 장착될 수 있는 오물수거실(S1)이 마련된다. 이러한 오물수거실(S1)에 오물수거통(120)이 장착될 경우, 오물수거통(120)의 하측은 오물수거실(S1)을 이루는 측벽(11c)에 의해 감싸져 유동이 제한된다.
상기 커버(13)는 청소기본체(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커버(13)는 청소기본체(11)의 힌지축(X)에 힌지결합하며, 힌지축(X)을 중심으로 화살표 A 또는 B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가능하다.
상기 오물분리기(110)는 흡입원(미도시)에 의해 흡입파이프(11b)를 통해 유입된 공기속에 포함된 오물을 분리하는 장치이다. 오물분리기(110)는 단일사이클론유닛 또는 멀티사이클론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사이클론 방식이 아닌 다수의 필터를 이용하여 오물을 분리하는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오물분리기(110)의 내부구성은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이러한 오물분리기(110)는 커버(1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물론 커버(13) 없이 청소기본체(11)에 고정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나, 청소 및 유지보수를 위해 본 실시예와 같이 커버(1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이렇게 커버(13)에 결합된 오물분리기(110)는 오물분리기(110)와 오물수거통(120)이 언록킹되면, 커버(13)와 함께 힌지축(X)을 중심으로 화살표 A 또는 B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오물수거실(S1)의 바닥면이 청소기본체(11)의 후측으로 경사져 있어, 커버(13) 및 오물분리기(110)의 화살표 A방향의 회전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
오물수거통(120)은 오물분리기(110)에서 원심분리된 오물이 수집되는 용기로서, 오물분리기(110)의 하측에 결합된다. 그리고, 오물수거통(120)에는 오물을 버릴때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121)가 설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록킹유닛(200)은 오물수거통(120)과 오물분리기(110)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킨다. 이를 위해 록킹유닛(200)은 버튼(210)과, 체결부(220)와, 제1탄성부재(230)를 포함한다.
버튼(210)은 오물수거통(120)의 손잡이(121)에 화살표 C 또는 D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버튼(210) 양측에는 가이드돌기(211)가 형성되며, 손잡이(121)의 양측에는 가이드돌기(211)가 삽입되는 가이드홈(12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버튼(210)의 끝단에는 체결부(220)와 록킹 또는 언록킹되는 후크(213)가 형성된다.
체결부(220)는 후크(213)와 대응되도록 오물분리기(110)에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부(220)는 오물분리기(110)로부터 돌출된 지지돌기(221)와, 지지돌기(221)의 하측에 형성되어 후크(213)와 직접적으로 록킹 또는 언록킹되는 후크연결고리(223)를 포함한다. 상술한 체결부(220)는 오물분리기(1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개의 부품으로 제작되어 오물분리기(110)에 용접 또는 접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1탄성부재(230)는 버튼(210)과 오물수거통(120) 사이에 설치되며, 버튼(210)을 항상 록킹방향인 화살표 D방향으로 가압한다. 이러한 제1탄성부재(230)의 설치를 위해 버튼(210)에는 탄성부재삽입돌기(215)가 형성된다. 이러한 탄성부재삽입돌기(215)에 제1탄성부재(210)의 일측이 삽입된다. 한편, 이러한 제1탄성부재(230)는 본 실시예와 같은 코일스프링외에도 고무등 탄성을 가진 재질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제1탄성부재(230)에 의해, 버튼(210)이 화살표 C방향으로 눌려지지 않으면, 버튼(2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상 후크(213)와 후크연결고리(223)가 결합된 록킹위치에 대기한다.
이러한 록킹유닛(200)으로 인해, 오물수거통(120)만을 청소기본체(11)로부터 꺼낼 수 있다. 따라서, 오물수거통(120)내 수거된 오물을 버리는 동작이 간단해져 편리하다. 또한, 사용자가 오물분리기(110)와 오물수거통(120)을 언록킹하는 과정에서 별 다른 힘을 가할 필요가 없으므로, 힘을 가하는 과정에서 오물수거통(120)의 오물이 튕겨져 나와 사용자의 손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개방유닛(300)은 오물분리기(110, 도 1참조)와 오물수거통(120, 도 1참조)이 언록킹될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분리기(110)를 화살표 B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일정간격 회전시킨다. 이를 위해, 개방유닛(300)은 고정체(310)와, 가이드(320)와, 제2탄성부재(330)와, 이동체(340)를 포함한다.
고정체(310)는 청소기본체(11)에 설치되는 지지블록으로, 청소기본체(1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개의 부품으로 제작되어 청소기본체(11)에 용접 또는 접착되어 설치된다.
가이드(320)는 고정체(310)의 상면(310a)에 설치되며, 이동체(340)를 화살표 O 또는 P방향으로 수직 가이드한다. 이를 위해 가이드(320)는 제1가이드(321)와 제2가이드(323)를 포함한다.
제1가이드(321)는 고정체(310)의 좌측 상면(310a)에 설치되며, 이동체(340)의 좌측(340a, 도 5참조)이 이탈되지 않게, 제1가이드(321)에는 이동체(340)의 좌측(340a, 도 5참조)과 같은 형상을 가진 라운드진 가이드홈(321a, 도 5참조)이 형성된다.
제2가이드(323)는 고정체(310)의 우측 상면(310a)에 설치되며, 이동체(340)의 샤프트결합홈(340b, 도 5참조)에 삽입된다.
제2탄성부재(330)는 고정체(310)와 이동체(340) 사이에 위치하며, 제2가이드(323)에 삽입되는 코일스프링이다. 이러한 제2탄성부재(330)는 이동체(340)를 항상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위치인 화살표 O방향으로 탄력지지한다. 즉, 제2탄성부재(330)는 오물분리기(110, 도 1참조)와 오물수거통(120, 도 2참조)이 록킹된 상태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되어있다가, 오물분리기(110, 도 1참조)와 오물수거통(120, 도 1참조)이 언록킹되면 팽창하면서 오물분리기(110, 도 1참조)를 화살표 O방향으로 가압하여, 오물분리기(110, 도 1참조)를 힌지축(X, 도 1참조)를 중심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체(340)는 가이드(320)를 따라 화살표 O 또는 P방향으로 이동하며, 상면(340c)이 오물분리기(110)의 일측을 가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후크(213, 도 2참조)와 후크연결고리(223, 도 2참조)가 분리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위치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위치로 제2탄성부재(330)에 의해 오물분리기(110)를 밀면서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체(340)는 좌측(340a)이 가이드홈(321a)에 의해 가이드 되도록 라운드져 있다. 이동체(340)의 상면(340c)에는 제2가이드(323)가 삽입되는 제2가이드 관통공(340b)이 수직으로 관통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이동체(340)의 좌측(340a)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321)와, 제2가이드 관통공(340b)에 결합된 제2가이드(323)에 의해 이동체(340)는 화살표 O 또는 P방향으로 수직가이드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개방유닛(300)으로 인해, 오물분리기(110)와 오물수거통(120)이 언록킹되면, 사용자가 오물분리기(110)를 힌지축(X)을 중심으로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킬 필요없이, 오물분리기(110)가 자동적으로 힌지축(X)을 중심으로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오물수거통(120)을 꺼내기 위해 오물분리기(110)을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킬 필요없이, 단지 오물수거통(120)만을 꺼내면 되므로 편리하다.
이하, 오물수거통(120)을 꺼내는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버튼(210)을 화살표 C방향으로 누르면, 후크(213)가 후크연결고리(223)로부터 분리되면서, 오물분리기(110)와 오물수거통(120)이 언록킹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때 제2탄성부재(330)가 팽창하면서 이동체(340)를 화살표 O방향으로 밀어준다.
도 6을 참조하면, 오물분리기(110)는 힌지축(X)을 중심으로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사용자는 오물수거통(120)만을 꺼내 오물수거통(120)내 수거된 오물을 버릴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에 따르면,
첫째, 록킹유닛으로 오물분리기와 오물수거통을 언록킹시켜, 오물수거통만을 청소기본체로부터 꺼낼 수 있어, 오물수거통내 수거된 오물을 버리는 동작이 간단해져 편리하다.
둘째, 록킹유닛으로 사용자가 오물분리기와 오물수거통을 언록킹하는 과정에서 별 다른 힘을 가할 필요가 없어, 힘을 가하는 과정에서 오물수거통의 오물이 튕겨져 나와 사용자의 손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개방유닛으로 인해 오물분리기와 오물수거통이 언록킹된 후, 사용자가 직접 오물분리기를 회전시킬 필요가 없어, 오물수거통을 청소기본체로부터 꺼내기가 보다 용이하다.

Claims (8)

  1. 공기중의 오물을 분리하는 오물분리기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청소기본체;
    상기 오물분리기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청소기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오물수거통;
    상기 오물분리기와 상기 오물수거통을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는 록킹유닛; 및
    상기 오물분리기와 상기 오물수거통이 언록킹될 경우, 상기 오물분리기를 일정각도 회전시키는 개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분리기는 단일 또는 멀티사이클론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물분리기는 상기 커버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오물수거통의 손잡이에 설치되며 후크가 형성된 버튼;
    상기 후크가 록킹 또는 언록킹되도록 상기 오물분리기에 형성된 체결부; 및
    상기 버튼을 록킹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오물분리기로부터 돌출된 지지돌기; 및
    상기 지지돌기의 하측에 형성된 후크연결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유닛은,
    상기 청소기본체에 설치된 고정체;
    상기 고정체에 설치된 가이드;
    상기 가이드에 설치되며, 제1위치 및 제2위치로 이동가능한 이동체; 및
    상기 고정체와 이동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체를 상기 제2위치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이동체의 좌측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 및
    상기 이동체의 제2가이드 관통공에 삽입된 제2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부재는,
    상기 제2가이드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KR1020050030611A 2004-11-16 2005-04-13 진공청소기 KR100555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611A KR100555327B1 (ko) 2005-04-13 2005-04-13 진공청소기
US11/202,214 US7380308B2 (en) 2004-11-16 2005-08-12 Vacuum cleaner
EP05291769A EP1656871A3 (en) 2004-11-16 2005-08-23 Vacuum cleaner with opening/closing means for the dust receptacle
RU2005127984/12A RU2308870C2 (ru) 2004-11-16 2005-09-09 Пылесос
AU2005211697A AU2005211697C1 (en) 2004-11-16 2005-09-26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611A KR100555327B1 (ko) 2005-04-13 2005-04-13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5327B1 true KR100555327B1 (ko) 2006-03-03

Family

ID=37179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611A KR100555327B1 (ko) 2004-11-16 2005-04-13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53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6653A1 (ko) * 2008-08-08 2010-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CN101917892B (zh) * 2008-01-16 2012-11-21 伊莱克斯公司 真空吸尘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17892B (zh) * 2008-01-16 2012-11-21 伊莱克斯公司 真空吸尘器
WO2010016653A1 (ko) * 2008-08-08 2010-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RU2463946C1 (ru) * 2008-08-08 2012-10-20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Пылесо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0332B1 (ko) 집진통 고정/분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사이클론집진장치
RU2308870C2 (ru) Пылесос
KR100530359B1 (ko) 사이클론 분리장치의 오물수거통 착탈장치
US10292552B2 (en) Vacuum cleaner
KR100555325B1 (ko) 진공청소기
KR100377015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RU2345697C1 (ru) Пылесос
US10555652B2 (en)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RU2002121900A (ru) Пылесос с многоразовым фильтром
EP3231343A1 (en) Upright cleaner
KR100555327B1 (ko) 진공청소기
JP4196339B2 (ja) 電気掃除機
KR100968335B1 (ko) 청소기
KR100519966B1 (ko) 청소기의 호스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습건식진공청소기
KR102328244B1 (ko) 청소기
KR100941426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20060107625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US7665182B2 (en) Vacuum cleaner and damper installation structure thereof
KR101411094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장치
EP1708603B1 (en) A vacuum cleaner
KR100988719B1 (ko) 진공 청소기
KR101258503B1 (ko) 진공 청소기
KR20150118934A (ko) 산업용 진공 청소기
KR200305516Y1 (ko) 진공청소기의 배기장치
JPS594603Y2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