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4293B1 - 애완동물 목욕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애완동물 목욕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4293B1
KR100554293B1 KR1020030080715A KR20030080715A KR100554293B1 KR 100554293 B1 KR100554293 B1 KR 100554293B1 KR 1020030080715 A KR1020030080715 A KR 1020030080715A KR 20030080715 A KR20030080715 A KR 20030080715A KR 100554293 B1 KR100554293 B1 KR 100554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bath
water
washing step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0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6451A (ko
Inventor
하진태
김두원
Original Assignee
하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진태 filed Critical 하진태
Priority to KR1020030080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4293B1/ko
Publication of KR20050046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6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4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4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을 위한 목욕기에 관한 것으로서, 밀폐형의 목욕실내에서 자동으로 온수 및 세제등을 공급하여 애완동물을 목욕시킴과 아울러 온풍을 이용하여 애완동물의 털을 드라이하고 향수를 뿌려 마무리를 해주도록 함으로써 애완동물을 빠르고 깨끗하게 목욕시킬 수가 있는 애완동물 목욕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밀폐형의 목욕실내에 온수 및 세제를 자동으로 공급하여 애완동물을 목욕시킴으로써, 목욕시 때묻은 비눗물이나 오수등으로 인한 작업자 및 주위의 오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애완동물의 털을 드라이하고 향수를 뿌려 간편하고 안전하며 빠르게 목욕을 시킬 수가 있는 애완동물 목욕기의 제어방법를 제공함에 있다.
애완동물, 목욕, 온풍, 연수, 향수

Description

애완동물 목욕기의 제어방법{A CONTROL METHOD OF PET BATH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애완동물 목욕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애완동물 목욕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애완동물 목욕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애완동물 목욕기의 온수생성수단 및 목욕실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애완동물 목욕기의 온풍생성수단을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애완동물 목욕기의 오수배출수단을 나타낸 분해조립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애완동물 목욕기의 안정망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애완동물 목욕기의 개폐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목욕기 몸체 11 : 개폐부재
20 : 목욕실 30 : 흡배기 환풍기
40 : 향수 스프레이 50 : 오링
60 : 연수기 70 : 온수탱크
80 : 제4솔레노이드 밸브 90 : 플로트 밸프
100 : 마이크로 스위치 110 : 히터
120 : 온도센서 130 : 펌프
140 : 온수안내관 150 : 제1솔레노이드 밸브
160 : 분사노즐 170 : 세척제
180 : 린스제 190 : 제2솔레노이드 밸브
200 : 제3솔레노이드 밸브 210 : 송풍기
220 : 온풍안내관 230 : 히터박스
240 : 댐퍼 250 : 온풍 게이트
260 : 커버부재 270 : 오수받이통
280 : 걸림망 290 : 걸림망 덮개
300 : 오수배출관 310 : 배수상판
320 : 콘트롤부 330 : 안전망
본 발명은 애완동물을 위한 목욕기에 관한 것으로서, 밀폐형의 목욕실내에서 자동으로 온수 및 세제등을 공급하여 애완동물을 목욕시킴과 아울러 온풍을 이용하여 애완동물의 털을 드라이하고 향수를 뿌려 마무리를 해주도록 함으로써 애완동물을 빠르고 깨끗하게 목욕시킬 수가 있는 애완동물 목욕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 다.
일반적으로 개, 고양이 등과 같은 각종 애완동물을 목욕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욕조등에 목욕물을 채우고 세척제 등을 사용하여 목욕을 시키거나, 또는 샤워기 등으로 세척수를 애완동물에 공급하면서 세척제 등을 사용하여 애완견을 목욕시키고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목욕방법으로는 애완동물을 목욕시킬 시에는 애완동물이 자신의 몸에 묻은 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본능적으로 몸을 심하게 요동시키는데, 이때 털에 묻은 물 등은 당연히 주위로 비산되어 목욕을 시키는 작업자 및 주위를 오손시키는 경우가 발생하며, 물을 극도로 두려워하는 애완동물(고양이)을 목욕시킬 때에는 목욕을 피하려는 애완동물로 인해 사람이 상처를 입게 되는 일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더구나, 그 애완동물이 어리거나 약할 때에는 자칫 탈골할 위험도 도사리고 있었다.
따라서, 요즘과 같이 집안에 애완동물을 많이 키우는 상황에서는 애완동물을 목욕시키는 일이 집안의 위생과 애완동물의 건강을 위해서 필수적인 과정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는 곤혹스러운 일이 되었지만, 마땅한 목욕기의 부재로 인해 애완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에게 큰 어려움을 주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밀폐형의 목욕실내에 온수 및 세제를 자동으로 공급하여 애완동물을 목욕시킴으로써, 목욕시 때묻은 비눗물이나 오수등으로 인한 작업자 및 주위의 오 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애완동물의 털을 드라이하고 향수를 뿌려 간편하고 안전하며 빠르게 목욕을 시킬 수가 있는 애완동물 목욕기의 제어방법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일정 금액의 지폐 및 동전을 투입하여 애완동물 목욕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금전투입단계와, 애완동물 목욕기에 목욕시키고자 하는 애완동물을 넣은 다음 스위치를 온시켜 목욕기및 멜로디, 음악, 형광등, 흡배기 환풍기를 가동시키는 목욕기 가동단계와, 연수기에 의해 물을 연수하는 물연수화단계와, 연수기에서 연수된 물을 사용하여 이를 순간온수기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애완동물에 분사시켜 세척하는 1차세척단계와, 상기 1차세척단계 후 온수와 샴푸를 동시에 애완동물에 분사시켜 소정의 세정제로 애완동물을 세척하는 거품세척단계와, 상기 거품세척단계후 애완동물의 표면에 묻은 거품을 제거하는 2차세척단계와, 상기 2차세척단계 후 온수와 함께 린스를 분사시켜 애완동물의 털에 적당한 기름기를 주어 부드러운 광택이 있는 털로 만드는 린스세척단계와, 상기 린스세척단계 후 애완동물의 표면에 묻은 린스를 제거하는 3차세척단계와, 상기 3차세척단계후 전기히터 및 온풍기에 의해 형성된 온풍을 애완동물에 분사하여 물기를 제거하는 드라이단계와, 물기가 제거된 애완동물에 원/근적위선에 의해 살균하는 적외선 살균단계와, 적외선 살균후 향수를 뿌리는 향수공급단계와, 애완동물의 목욕기의 가동을 중지시켜 애완동물을 빼내는 애완동물 회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애완동물 목욕기에 대해 상세히 설 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애완동물 목욕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애완동물 목욕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애완동물 목욕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애완동물 목욕기의 온수생성수단 및 목욕실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애완동물 목욕기의 온풍생성수단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애완동물 목욕기의 오수배출수단을 나타낸 분해조립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애완동물 목욕기의 안정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애완동물 목욕기의 개폐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에 일정공간을 형성한 목욕기 몸체(10)를 구비하고, 상기 목욕기몸체의 일측에는 개구된 개구부를 형성하여 개폐부재(11)에 의해 개폐토록 한다.
또한, 상기 목욕기몸체(10)의 일측에는 일정금액의 지폐 및 동전을 투입받아 애완동물 목욕기의 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코인 메카니즘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목욕기몸체(10) 내부 상단에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애완동물이 유입되며 목욕되어지도록 별도의 공간을 형성한 밀폐형의 목욕실(2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밀폐형의 목욕실(20)내를 환풍하는 흡배기 환풍기(30)를 설치하며, 소정 향수를 분사하는 향수 스프레이(40)를 일측에 구비한다.
한편, 상기 개폐부재(11)는 상기 목욕실(20) 내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의 유리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애완동물의 몸부림으로 인해 상기 유 리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내측면에 안전망(330)을 설치하고, 상기 개폐부재(11)의 외주면상에는 상기 목욕실(20)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고무재질의 오링(50)을 장착하였다.
상기 목욕기몸체(10)의 내부 하단에는 온수를 생성하는 온수생성수단을 구비하는데, 상기 온수생성수단은 상기 목욕기몸체(10)의 내부 하단에 연수기(60)를 거쳐 공급된 연수를 저장하는 온수탱크(70)를 구비하고, 상기 연수기(60) 일측에는 상기 온수탱크(70)에 공급되는 연수를 제어하는 제4솔레노이드 밸브(8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온수탱크(70)내에는 연수의 수위를 조절하는 플로트 밸브(90)가 구비되며, 상기 플로트 밸브(90)의 동작을 감지하는 마이크로 스위치(100)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온수탱크(70)내에 저장된 연수를 전기에 의해 가열하는 히터(110)가 상기 온수탱크(70)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온수탱크(70)내의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2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온수탱크(70)내의 온수를 펌핑하는 펌프(130)를 구비하고, 상기 펌프(130)에 의해 펌핑된 온수가 상기 목욕실(20)내에 공급되도록 상기 온수탱크(7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목욕실(20)내면에 구비되는 온수안내관(140)을 구비한다.
상기 펌프(130)의 일측 온수안내관(140)상에는 온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150)를 구비하며, 상기 목욕실(20) 내면에 구비된 온수안내관(140)상에는 펑핌된 온수를 방사상으로 분사시키는 다수의 분사노즐(160)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온수안내관(140)의 일측에 구비되어 온수와 함께 유입되며 애완동물의 이물질등을 세척하는 세척제(170)와, 세척된 애완동물의 털을 린스(rinse)하는 린스제(180)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온수안내관(140)내로 상기 세척제(170) 및 린스제(180)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2,3솔레노이드 밸브(190,200)를 또한 구비한다.
한편, 상기 목욕기몸체(10)의 내부 하단에는 온풍을 생성하는 온풍생성수단을 구비하는데, 상기 온풍생성수단은 상기 목욕기몸체(10)의 내부 하단일측에 송풍기(210)를 구비하고, 상기 송풍기(210)에 의해 생성된 바람을 상기 목욕실(20)내로 안내하는 온풍안내관(22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송풍기(210)의 일측 상기 온풍안내관(220)상에는 전기에 의해 소정 열을 발산하는 히터박스(230)를 구비하며, 상기 히터박스(230)에 의해 가열된 온풍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20)를 상기 온풍안내관(220)상에 구비한다.
상기 온풍안내관(220)상에는 온풍량을 조절하는 댐퍼(240)를 구비하고, 상기 온풍안내관(220)에 의해 안내된 온풍이 투출되도록 온풍 게이트(250)를 상기 목욕실(10)의 하단부에 설치하여 대류현상에 의해 목욕실(10) 전체에 용이하게 퍼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온풍 게이트(250)는 자중에 의해 개폐되는 커버부재(260)를 구비하여 목욕시에는 자중에 의해 상기 온풍 게이트(250)를 차폐하도록 하여 온수가 상 기 온풍안내관(220)상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목욕실(20)내로 돌출 구비된 상기 다수의 분사노즐(160) 및 온풍게이트(250)에 의해 애완동물이 상해입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분사노즐(160) 및 온풍 게이트(250)를 감싸며 안전망(40)을 설치하는데, 상기 안전망(40)은 다각형의 망형상을 이루도록 하고, 애완동물의 입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촘촘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욕실(20)의 하부에는 상기 목욕실(20)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배출하는 오수배출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오수배출수단은 상기 목욕실(20)의 하부에 오수가 모아지는 상부개 개구된 오수받이통(270)을 구비하는데, 상기 오수받이통(270)의 저면은 경사지게 형성하여 모아지는 온수가 상기 오수받이통(270)의 일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오수받이통(270)의 일측 즉, 경사면에 의해 오수가 모이는 위치에 오수내의 오물(털, 찌꺼기등)을 걸러낼 수 있도록 일정 깊이의 홈형상인 걸림망(280)을 구비한다.
상기 걸림망(280)의 상부를 차폐하는 걸림망 덮개(290)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망의 덮개(290)의 상부면은 오수가 지나도록 다수의 배수공(291)을 형성한다.
상기 걸림망(280)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망(280)을 통과한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오수배출관(300)을 구비한다.
상기 오수받이통(270)의 개구된 상부를 덮는 배수상판(310)을 구비하는데, 상기 배수상판(310) 일측은 상기 걸림망 덮개(290)가 끼워지도록 일측이 굴곡된 걸림망 덮개 삽입홈(312)을 형성하며, 상부면은 오수가 지나도록 다수의 배수공(311)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온풍생성수단 및 다수의 솔레노이드 밸브, 온풍생성수단을 제어하는 콘트롤부(320)를 상기 목욕기몸체(10)의 내부 상단 일측에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일정금액의 지폐 및 동전을 코인 메카니즘에 투입한 다음, 목욕기몸체의 개폐부재를 열고 목욕시키고자 하는 애완동물을 목욕실에 넣고 개폐부재를 닫는다.
그런 다음 컨트롤부에 의해 환풍기 및 펌프와 제1솔레노이드 밸브를 동작시켜 온수가 온수안내관을 따라 이동되어 분사노즐을 통해 목욕실내에 온수를 분사시켜 애완동물을 샤워한다.
상기 온수는 온수생성수단에 의해 얻어지는데, 그 동작은 일반적인 온수보일러에 해당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 온수탱크내에 공급되는 물은 연수기에 의해 단물화된 연수를 사용하며, 상기 연수는 제4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흐름이 제어되는데, 이는 상기 온수탱크내의 수위를 측정하는 플로트 밸브 및 상기 플로트 밸브를 감지하는 마이크로 스위치의 감지신호에 의해 동작되어진다.
상기 샤워는 일정시간 분사 후 일정시간 멈춘다음 반복 시행하여 털과 피부가 완전히 적실때까지 급수를 하여 샤워를 시킨다.
한편, 상기 환풍기는 내부의 수증기 및 냄새를 외부로 배출함과 아울러 애완동물이 숨을 쉴 수 있도록 외부 산소를 공급하며 김서림을 방지하게 된다.
일단 샤워가 끝나면, 제2솔레노이드 밸브를 작동시켜 일정량의 세제가 온수안내관에 공급되도록 하여 온수와 세제가 믹싱되어 애완동물의 이물질 및 털에 더러운 물질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작업 또한, 일정시간 분사 후 일정시간 정지하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회간 실시한다.
상기 세척작업이 끝나면 상기 제2솔레노이드 밸브를 오프(OFF)시켜 세제의 유입을 차단하고 온수만 목욕실내로 공급하여 비눗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작업 또한, 일정시간 분사 후 일정시간 정지하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회간 실시한다.
애완동물로부터 비눗물이 제거되어지면, 제3솔레노이드 밸브가 온(ON)되어 온수와 함께 린스제가 혼합되어 애완동물의 털에 린스작업을 하여 윤기가 흐르도록 한다.
린스작업이 끝나면, 제3솔레노이드 밸브 및 펌프는 오프(OFF)되고 송풍기 및 히터박스가 동작되어진다.
상기 송풍기 및 히터박스에 의해 생성된 온풍은 온풍안내관을 통해 목욕실내로 공급되어지는데, 이는 상기 온풍안내관의 일단에 구비된 온풍 게이트를 통해 상기 목욕실의 저부에서 투출되어진다.
상기 온풍 게이트를 차폐하는 커버부재는 상기 온풍안내관을 통해 안내되는 온풍의 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열리며, 온풍이 제거되면 자중에 의해 닫히게 된다.
상기 온풍은 상기 목욕실의 저부에서 투출되므로 대류현상에 의해 목욕실내부 전체에 고루 퍼지며, 온풍에 의해 애완동물의 털을 드라이할 수가 있다.
또한, 송풍기 및 히터박스에 의해 생성된 온풍이 온수안내관상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온풍안내관을 상기 온수안내관의 일측에 연결하여 온풍이 온수안내관을 따라 이동되어 분사노즐을 통해 목욕실내에 분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온풍이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될 경우 목욕실내의 구석구석에 온풍이 분사되어져 애완동물을 세밀하게 드라이할 수가 있다.
그런다음 향수 스프레이를 통해 향수를 수초동안 분사하여 목욕작업을 완료하게된다.
한편, 목욕실에서 얻어지는 오수는 목욕실 하부에 구비된 배수받이통에 모이게 되는데, 상기 배수받이통에 모인 오수는 배수받이통의 저부 경사면에 의해 일측으로 흐르게 되며, 이때 오수내에 혼합된 애완동물의 털 및 이물질등은 걸림망에 의해 걸려지고 털 및 이물질이 제거된 오수만이 오수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진다.
상기 배수받이통의 상부를 덮고 있는 배수상판의 일측에 분리되어 걸림망 덮개가 구비되어 상기 걸림망에 모인 털 및 이물질등을 상기 걸림망 덮개를 열고 간편하게 제거할 수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애완동물 목욕기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애완동물 목욕기의 동작순서는 먼 저, 애완동물 목욕기를 사용가능하도록 일정 금액의 지폐 및 동전을 투입받아 상기 애완동물 목욕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금전투입단계가 이루어지고,
그런 다음, 목욕기에 목욕시키고자 하는 애완동물을 넣은 다음 스위치를 온시켜 목욕기를 가동시키는 목욕기 가동단계이다.
이때, 멜로디 및 음악을 틀어주어 애완동물에 안정감을 주고, 형광등 이나 램프를 밝혀 애완동물이 놀라는 것을 방지하며, 흡배기 환풍기의 가동으로 산소를 공급하여 애완동물의 질식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 다음은 1차세척단계로 연수기에서 연수된 물을 사용하여 이를 순간온수기(전기 또는 가스)에 의해 가열한 온수를 애완동물에 노즐을 통해 대략 1∼2분 정도 분사하여 세척하는 단계이다.
상기 1차세척단계가 마무리되면 거품세척단계로 온수와 샴푸를 동시에 애완동물에 분사시켜 소정의 세정제로 애완동물을 세척하는 단계이다.
온수와 샴푸는 대략 5∼15초 정도로 분사한다.
상기 거품세척단계후 애완동물의 표면에 묻은 거품을 제거하는 2차세척단계로 이는 온수를 대략 2∼3분정도 분사시켜 거품을 제거한다.
그다음은, 온수와 함께 린스를 분사시켜 애완동물의 털을 산성으로 만들어 유연성을 주고, 탈지(脫脂)된 털에 적당한 기름기를 주어 부드러운 광택이 있는 털로 만드는 린스세척단계로 대략 5∼15초 동안 온수와 함께 린스를 애완동물에 분사시킨다.
상기 린스세척단계 후 애완동물의 표면에 묻은 린스를 제거하는 3차세척단계 로 이는 온수를 대략 2∼5분정도 분사시켜 린스를 제거한다.
상기 3차세척단계후 전기히터 및 온풍기에 의해 형성된 온풍을 애완동물에 분사하여 물기를 제거하는 드라이단계이다.
이는 대략 5∼10분 내외로 온풍을 공급하여 물기를 완전제거한다.
그런 다음, 물기가 제거된 애완동물에 대략 5분정도 원/근적위선에 의해 살균하는 적외선 살균단계이다.
적외선 살균후 향수를 뿌리는 향수공급단계가 이루어지고, 애완동물의 목욕기의 가동을 중지시켜 애완동물을 빼내는 애완동물 회수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밀폐된 목욕실내에서 애완동물을 목욕, 드라이, 향수를 일괄적으로 처리하여 행할 수 있어 간편하고 안전하게 애완동물을 목욕시킬 수가 있으며, 목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수된 물을 사용하므로 피부병을 방지할 수 있으며, 털에 윤기가 있으므로 목욕주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일정 금액의 지폐 및 동전을 투입하여 애완동물 목욕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금전투입단계와,
    애완동물 목욕기에 목욕시키고자 하는 애완동물을 넣은 다음 스위치를 온시켜 목욕기및 멜로디, 음악, 형광등, 흡배기 환풍기를 가동시키는 목욕기 가동단계와,
    연수기에 의해 물을 연수하는 물연수화단계와,
    연수기에서 연수된 물을 사용하여 이를 순간온수기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애완동물에 분사시켜 세척하는 1차세척단계와,
    상기 1차세척단계 후 온수와 샴푸를 동시에 애완동물에 분사시켜 소정의 세정제로 애완동물을 세척하는 거품세척단계와,
    상기 거품세척단계후 애완동물의 표면에 묻은 거품을 제거하는 2차세척단계와,
    상기 2차세척단계 후 온수와 함께 린스를 분사시켜 애완동물의 털에 적당한 기름기를 주어 부드러운 광택이 있는 털로 만드는 린스세척단계와,
    상기 린스세척단계 후 애완동물의 표면에 묻은 린스를 제거하는 3차세척단계와,
    상기 3차세척단계후 전기히터 및 온풍기에 의해 형성된 온풍을 애완동물에 분사하여 물기를 제거하는 드라이단계와,
    물기가 제거된 애완동물에 원/근적위선에 의해 살균하는 적외선 살균단계와,
    적외선 살균후 향수를 뿌리는 향수공급단계와,
    애완동물의 목욕기의 가동을 중지시켜 애완동물을 빼내는 애완동물 회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목욕기의 제어방법.
KR1020030080715A 2003-11-14 2003-11-14 애완동물 목욕기의 제어방법 KR100554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0715A KR100554293B1 (ko) 2003-11-14 2003-11-14 애완동물 목욕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0715A KR100554293B1 (ko) 2003-11-14 2003-11-14 애완동물 목욕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6451A KR20050046451A (ko) 2005-05-18
KR100554293B1 true KR100554293B1 (ko) 2006-02-24

Family

ID=37245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0715A KR100554293B1 (ko) 2003-11-14 2003-11-14 애완동물 목욕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42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736B1 (ko) * 2005-07-12 2007-05-22 김택석 애완견 전용 목욕기 및 이를 이용한 애완견 목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6451A (ko) 2005-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0736B1 (ko) 애완견 전용 목욕기 및 이를 이용한 애완견 목욕 방법
CA2820789C (en) An apparatus for drying and sanitizing hands
US8186307B2 (en) Portable device and process to automatically cleanse and dry pets
KR102017129B1 (ko)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
JP2008514219A (ja) ペット動物を水流マッサージするための自動機械
KR200348736Y1 (ko)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KR100585485B1 (ko) 비데 변좌 및 변기 제균장치
KR102354338B1 (ko) 반려동물 샤워 겸용 드라이룸
KR20180045246A (ko) 애완동물용 드라이어
KR100554293B1 (ko) 애완동물 목욕기의 제어방법
CN107787868A (zh) 一种自助式宠物清洗机
KR200291042Y1 (ko) 애완동물 목욕 및 건조장치
KR200315478Y1 (ko) 애완동물 목욕기
JP2007037538A (ja) 犬用洗浄装置
CN212629528U (zh) 一种多功能宠物洗澡护理机器
CN207476631U (zh) 一种自助式宠物清洗机
KR200357835Y1 (ko) 애완동물의 세척장치
KR200331705Y1 (ko) 애완동물용 드라이어
JPH11206259A (ja) ペットの洗浄および乾燥方法ならびにそれに使用する装置
KR20080029143A (ko) 핸드 드라이어
KR20050014089A (ko) 훈증장치가 구비된 비데
KR20050006518A (ko) 세척 및 살균, 건조가 가능한 핸드 크리닝 장치
JPH11187782A (ja) ペットの洗浄および乾燥方法ならびにそれに使用する装置
KR102331006B1 (ko) 신체 세정 수단 및 의복, 신발 관리 수단을 갖는 현관 구조
KR200373465Y1 (ko) 애완동물용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