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4090B1 - Ip 기반 서비스 아키텍쳐 - Google Patents

Ip 기반 서비스 아키텍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4090B1
KR100554090B1 KR1020037010436A KR20037010436A KR100554090B1 KR 100554090 B1 KR100554090 B1 KR 100554090B1 KR 1020037010436 A KR1020037010436 A KR 1020037010436A KR 20037010436 A KR20037010436 A KR 20037010436A KR 100554090 B1 KR100554090 B1 KR 100554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protocol
provider network
protocol message
service
service prov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0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1433A (ko
Inventor
스테파노 팩신
커트 웡
스리니바스 쉬레만듈라
자리 뮤티카이넨
켄가다란 시발링갬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30081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1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4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4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43Gateway controllers, e.g. 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MGCP] contro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04L65/1104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29Provisions for intelligent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61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characteris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service providers and their network customers, e.g.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 H04L41/507Filtering out customers affected by service probl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8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based on type of value added network service under agreement
    • H04L41/5087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based on type of value added network service under agreement wherein the managed service relates to voice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136Administration or customisation of services
    • H04M3/42153Administration or customisation of services by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034A/D conversion, code compression/expan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091CLI, identification of calling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96Connection circuit/link/trunk/junction, bridge, router, gatew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04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39Ciphering, encryption,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48Channel/line reserv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89LAN,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및 사용자들에게 호 관련 기능을 제공하는 베어러 제공자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베어러 제공자 네트워크의 각 서비스 엔티티에 의해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가 수신되어 분석된다. 그 분석 결과에 따라, 각 서비스 엔티티에 의해 호 관련 기능이 수행된다. 또한, 수신된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가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의해 분석되어, 그 분석 결과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의해 서비스가 실행된다.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베어러 제공자 네트워크,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

Description

IP 기반 서비스 아키텍쳐{IP BASED SERVICE ARCHITECTURE}
본 발명은 IP(인터넷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 아키텍쳐(IPSA)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전화 서비스 제공자는 모든 최종 사용자에게 부가 전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복수의 전화 가입(subscription)을 한 최종 사용자는, 비록 "무응답시 착신 통화 전환(Call forwarding if no answer)" 서비스 등의 다수의 서비스가 동일하다 하더라도, 각 가입에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개별적으로 구성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가입 마다 서비스를 구성해야 하는 필요성을 없애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상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IP 네트워크 및 사용자들에게 호 관련 기능을 제공하는 IPT(인터넷 프로토콜 전화) 제공자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IPT 제공자 네트워크는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수신하여, 그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따라 호 관련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서비스 엔티티(serving entitiy)를 포함한다. IP 네트워크는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수신하고, 그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분석하여, 그 분석 결과에 따라 서비스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제 2 양상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IP 네트워크 및 사용자들에게 호 관련 기능을 제공하는 IPT 제공자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 방법에 따르면,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가 IPT 제공자 네트워크의 각 서비스 엔티티에 의해 수신되고, 수신된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는 각 서비스 엔티티에 의해 분석되고, 그 분석 결과에 따라 각 서비스 엔티티에 의해 호 관련 기능이 수행된다. 또한, 수신된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는 IP 네트워크에 의해 분석되고, 그 분석 결과에 따라 IP 네트워크에 의해 서비스가 실행된다.
제 3 양상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행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달성되는 바, 이 사용자 장비는 제어 프로토콜 방법을 이용하여 시스템에 접속(attach)하도록 구성된다.
제 4 양상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사용자들에게 호 관련 기능을 제공하는 IPT 제공자 네트워크 내에 있으며,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IP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서비스 엔티티에 의해 달성된다. 이 서비스 엔티티는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수신하고, 이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분석하여, 그 분석 결과에 따라 호 관련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 5 양상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사용자들에게 호 관련 기능을 제공하는 IPT 제공자 네트워크와 통신하며,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IP 네트워크에 의해 달성된다. 이 IP 네트워크는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수신하고, 그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분석하여, 그 분석 결과에 따라 서비스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은 특허 청구 범위의 종속항들에 정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IPT(IP 전화) 환경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IP 네트워크)와 전화 제공자 네트워크(IPT 제공자 네트워크)는 분리된다. 이러한 분리에 의해, 최종 사용자는 복수의 가입 네트워크를 통해 같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러한 아키텍쳐에서, 최종 사용자는 단지 한 세트의 서비스 만을 커스터마이즈(customize)하여 이들 모두를 자신의 전화 가입에 적용해야 한다. 이에 의해, 최종 사용자는 각 전화 제공자와 각 세트의 서비스를 개별적으로 커스터마이즈하는 대신 자신의 서비스를 중앙 집중 방식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IP 네트워크는 IPSA 네트워크라고도 칭해지며, IPT 제공자 네트워크의 기능은 소위 SIP 네트워크에서 구현된다. 이러한 통신 시스템에서, IPSA 네트워크가 포함될 때, SIP 호는 유연하게 라우팅될 수 있고, IPSA 네트워크는 SIP 프록시 어드레스에 관한 어떠한 사전 지식도 요구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SIP 호/라우팅 제어 네트워크와 IPSA 네트워크 사이에 어떠한 사전 동의도 요구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트리거링(triggering) 및 제어에 수반되는 기능적인 요소들을 예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SA 네트워크로의 등록을 예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PSA 네트워크로의 등록을 예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 호(originating call)에 근거한 IPSA 호출을 예시하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신 호에 근거한 IPSA 호출을 예시하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 호(terminating call)에 근거한 IPSA 호출을 예시하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신 호에 근거한 IPSA 호출을 예시하고;
도 8은 SIP 네트워크로부터 IPSA 네트워크로 그리고 IPSA 네트워크로부터 SIP 네트워크로의 SIP 호의 라우팅을 예시한다.
본 발명의 개념은 IPT(인터넷 프로토콜 전화) 환경에서 베어러(bearer) 제공자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를 분리하는 것이다. 하기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개념은 IPSA(IP 기반 서비스 아키텍쳐) 네트워크라 칭해지는 IP 네트워크, SIP 네트워크라 칭해지는 IPT 제공자 네트워크 및 최종 사용자 단말기(사용자 장비) 사이의 제어 프로토콜로서 SIP(세션 개시 프로토콜)를 이용함으로써 실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트리거링 및 제어에 수반되는 기능적인 요소들을 나타낸다. SIP 클라이언트는 SIP 방법을 이용하여 통신 시스템에 접속되는 최종 사용자의 단말기를 나타낸다. 최종 사용자의 단말기는 사용자 장비(UE)라 칭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IPT SIP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PC(개인용 컴퓨터) 또는 랩탑이 될 수 있다.
SIP 프록시 서버는 최종 사용자에게 베어러 접속과 호 라우팅 능력과 같은 호 관련 기능을 제공하는 SIP 네트워크의 일부분이다. SIP 네트워크에는, 인증 데이터 및 IPSA-ID(IPSA-식별자) 등의 가입자 가입 정보를 포함하는 SDB(가입자 데이터베이스)가 존재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IPSA 네트워크는 최종 사용자에게 전화와 같은 서비스 및 다른 IP 타입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IP 기반 서비스 아키텍쳐 플랫폼이다. 사용자는 1개의 IPSA 클라우드(cloud) 내에 IPSA-ID라 칭해지는 고유 식별자를 갖는다. 이 ID는 사용자 이름 및 IPSA 제공자의 도메인 이름으로부터 ipsa-user@ipsa-provider.com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IP 클라우드는 SIP 클라이언트, SIP 네트워크 및 IPSA 네트워크를 상호 접속하기 위한 IP 백본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도 2 및 3은 통신 시스템, 특히 도 1에 나타낸 IPSA 네트워크로의 SIP 클라이언트의 등록을 나타낸다.
"프리젠스(Presence)" 등의 일부 서비스는 클라이언트의 단말기가 호를 수신할 준비가 되어 있는지 여부, 즉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알 필요가 있다. 이러한 타입의 서비스가 IPSA로 구현되는 경우, IPSA 네트워크는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알 필요가 있다.
도 2는 최종 사용자를 IPSA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제 1 방법을 나타낸다. 이 등록 방법에서, SDB는, 예를 들어 "john.doe@some.ipsa.com"과 같이, 어떠한 도메인에서의 논리명 형태의 IPSA-ID를 포함한다. SIP 클라이언트가 SIP 프록시 서버에 SIP REGISTER 메세지를 전송할 때마다, SIP 프록시 서버는 SIP 클라이언트를 SIP 네트워크에 등록함과 동시에, SIP 클라이언트에 의해 표현되는 최종 사용자에 대한 IPSA-ID를 SDB로부터 페치한다. SDB의 IPSA-ID가 최종 사용자와 관련되는 경우, SIP 프록시 서버는 IPSA-ID를 갖는 다른 REGISTER 메세지를 발생시킨 다음, 이 메세지를 IPSA 네트워크에 전송한다. 이 등록 메세지에 기초하여, IPSA 네트워크는 SIP 클라이언트를 등록할 수 있다.
도 3은 최종 사용자를 IPSA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다른 가능한 방법을 나타낸다. 이 등록 방법에서, SIP 클라이언트는 다른 REGISTER 메세지 내의 자신의 IPSA-ID를 이용하여 IPSA 네트워크에 직접 등록한다.
도 2에 나타낸 옵션 1에 의해, IPT 제공자는 어떤 IPSA 제공자가 최종 사용자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지에 대한 제어를 보유할 수 있고, 도 3에 나타낸 옵션 2에 의해, IPSA 제공자의 선택에 대해 사용자에게 모든 제어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발신 호에 근거하는 IPSA 호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발신 호에 근거하여 IPSA를 호출하는 제 1 방법을 나타낸다. SIP 클라이언트는 INVITE 메세지를 SIP 네트워크를 향해 전송하는 바, 이 INVITE 메세지는 SIP 프록시 서버에 의해 수신된다. SIP 프록시 서버는, SDB에서 발견되는 IPSA-ID가 피호자(called party)(B)와 관련될 때, 즉 INVITE 메세지 내의 요청(request) URI(유니폼 리소스 식별자; Uniform Resource Identifier)(B)와 관련될 때, 이 최종 사용자가 개시한 호를 IPSA 네트워크에 라우팅할 수 있다. IPSA-ID가 SDB에서 발견되는 경우, SIP 프록시 서버는 요청 URI를 IPSA-ID로 변경하고, 이것은 새로운 SIP 헤더에서의 발신 호임을 나타내고, INVITE 메세지를 IPSA 네트워크에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IP 클라이언트는 또한 피호자의 IPSA-ID와 함께 요청 URI를 지시함으로써 INVITE 메세지를 SIP 프록시 서버를 경유하여 IPSA 네트워크에 바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SIP 프록시 서버는 요청 URI를 분석하여, INVITE 메세지를 IPSA 네트워크에 전송한다.
다음으로, 착신 호에 근거하는 IPSA 호출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착신 호에 근거하여 IPSA를 호출하는 제 1 방법을 나타낸다. SIP 프록시 서버가 발신 종단점으로부터, SIP 클라이언트 피호자(b_party)를 호에 초대하는 INVITE 메세지를 수신하면, 이는 SDB로부터 피호자(b_party)에 대한 IPSA-ID를 페치한다. IPSA-ID가 피호자(b_party)와 관련되는 경우, SIP 프록시 서버는 페치된 IPSA-ID를 이용하여, INVITE 메세지를, 이것이 착신 호임을 지시하는 새로운 SIP 헤더와 함께 IPSA 네트워크에 라우팅한다. SIP 프록시 서버는 또한 라우팅된 INVITE 메세지에 게이트웨이 SIP 프록시 어드레스 또는 홉 어드레스(hop address)를 더 포함하는 바, 이에 대해서는 도 8과 관련하여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IPSA 네트워크는 추가 라우팅을 위해 이 어드레스를 이용해야 한다. 그런 다음, IPSA 네트워크는 임의의 착신 서비스를 실행하고, 추가적인 라우팅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SIP 프록시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최종 사용자, 즉 b_party에 도달한다.
선택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SIP 프록시 서버에 의해 수신된 INVITE 메세지는 이미 착신 호 지시 뿐 아니라 및 요청 URI 내에 IPSA-ID도 포함한다. 요청 URI를 분석한 후, SIP 프록시 서버는 추가 라우팅을 위한 홉 어드레스를 INVITE 메세지에 부가한 다음, 이를 IPSA 네트워크에 전송한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IPSA 네트워크와 SIP 네트워크 간에 서비스 호출을 적절하게 라우팅하는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한다.
SIP 네트워크가 SIP 호를 IPSA 네트워크에 재라우팅하여, 호에 포함되는 가입자 또는 SIP 클라이언트에 대해 서비스를 실행할 때, IPSA 네트워크는, 서비스 실행의 일부로서 SIP 네트워크를 통해, SIP 호를 재전송하거나 또는 새로운 SIP 시그널링, 예를 들어 호 설정, INFO 방법 등을 개시해야 한다. 예를 들어, INVITE 메세지에 대한 루프 검출에 대해 고려해보면, SIP 시그널링은 IPSA 네트워크에 호를 라우팅한 SIP 네트워크의 요소에 반송되지 못하며, IPSA 네트워크가 SIP 네트워크의 토폴로지(topology)를 반드시 알고 있는 것은 아니다.
SIP 네트워크의 SIP 프록시 서버가 SIP 호를 IPSA 네트워크에 라우팅하면, SIP 네트워크는 IPSA 네트워크가 SIP 네트워크와 교환할 필요가 있는 SIP 시그널링에 대해서 게이트웨이로서 이용될 SIP 네트워크의 SIP 프록시의 어드레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8에 따르면, SIP 클라이언트는 다른 SIP 클라이언트(b_party)를 초대하기 위해 INVITE 메세지를 SIP 네트워크에 전송한다. 이 INVITE 메세지는, 메세지를 전송하는 SIP 프록시의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SIP 프록시 서버에 의해 수신된다. SIP 프록시 서버는 INVITE 메세지를 IPSA 네트워크에 라우팅하고, 그 메세지에 게이트웨이 SIP 프록시 어드레스를 지시한다. 여기서, 메세지를 수신하는 IPSA 네트워크 요소는, b_party에 도달하기 위해, SIP 네트워크 내의 어떤 SIP 프록시 서버에 대해 호가 라우팅되어야 하는 지를 알고 있다. 이에 따라, IPSA 네트워크 요소는, 그 어드레스가 SIP 프록시 서버에 의해 지시되는 게이트웨이 SIP 프록시에 INVITE 메세지를 라우팅한다. b_party는 게이트웨이 SIP 프록시로부터 SIP 프록시의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INVITE 메세지를 수신한다.
IPSA 네트워크에 게이트웨이 어드레스를 제공하는 것은, SIP 프록시 서버로부터 IPSA 네트워크에 라우팅되는 SIP 메세지에 포함된 SDP(세션 디스크립션 프로토콜; Session Description Protocol) 디스크립터에 파라미터를 추가하고, 게이트웨이 SIP 프록시의 어드레스를 포함시킴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SIP 프록시 서버로부터 IPSA 네트워크에 라우팅되는 SIP 메세지에 SIP 헤더를 추가하고, 게이트웨이 SIP 프록시의 어드레스를 포함시킴으로써, IPSA 네트워크에 어드레스를 지시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을 개시된 특정 형태로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경 또는 수정이 당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71)

  1.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와; 그리고
    상기 사용자에게 호 관련 기능을 제공하는 베어러 제공자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가 상기 베어러 제공자 네트워크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는 복수의 베어러 제공자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비스를 중앙 집중 방식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베어러 제공자 네트워크는,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호 관련 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 엔티티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는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따라 서비스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러 제공자 네트워크는 가입자의 가입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비스 엔티티가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비를 등록하기 위한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수신하면, 상기 각 서비스 엔티티는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 내의 사용자 어드레스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베어러 제공자 네트워크에 상기 사용자 장비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가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비를 등록하기 위한 다른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수신하면,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는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 내의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사용자 식별 어드레스를 분석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사용자 식별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상기 사용자 장비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비스 엔티티가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비를 등록하기 위한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수신하면, 상기 각 서비스 엔티티는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 내의 사용자 어드레스를 분석하여, 그 사용자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베어러 제공자 네트워크에 상기 사용자 장비를 등록하고,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어드레스와 관련된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사용자 식별 어드레스를 페치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사용자 식별 어드레스를 갖는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발생시켜, 그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비스 엔티티가 사용자 장비로부터, 호를 개시하기 위한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수신하면, 상기 각 서비스 엔티티는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에 피호자의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사용자 식별 어드레스 및 발신 호 지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비스 엔티티가 사용자 장비로부터, 호를 개시하기 위한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수신하면, 상기 각 서비스 엔티티는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에 피호자 어드레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피호자 어드레스와 관련된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사용자 식별 어드레스를 페치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사용자 식별 어드레스 및 발신 호 지시를 갖는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비스 엔티티가 개시된 호를 사용자 장비에 지시하는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수신하면, 상기 각 서비스 엔티티는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에 사용자 식별 어드레스 및 착신 호 지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비스 엔티티가 개시된 호를 사용자 장비에 지시하는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수신하면, 상기 각 서비스 엔티티는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에 사용자 어드레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어드레스와 관련된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사용자 식별 어드레스를 페치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사용자 식별 어드레스 및 착신 호 지시를 갖는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는, 상기 각 서비스 엔티티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수신하면, 착신 서비스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는, 상기 각 서비스 엔티티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수신하면, 착신 서비스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비스 엔티티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전송되는 개시된 호를 지시하는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에 상기 베어러 제공자 네트워크의 다른 서비스 엔티티의 어드레스를 지시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는 상기 사용자 장비에 상기 호를 라우팅할 때 상기 다른 서비스 엔티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비스 엔티티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전송되는 개시된 호를 지시하는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에 상기 베어러 제공자 네트워크의 다른 서비스 엔티티의 어드레스를 지시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는 상기 사용자 장비에 상기 호를 라우팅할 때 상기 다른 서비스 엔티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비스 엔티티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전송되는 개시된 호를 지시하는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에 포함된 디스크립터에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파라미터를 추가함으로써 상기 다른 서비스 엔티티의 어드레스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비스 엔티티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전송되는 개시된 호를 지시하는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에 포함된 디스크립터에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파라미터를 추가함으로써 상기 다른 서비스 엔티티의 어드레스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비스 엔티티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전송되는 개시된 호를 지시하는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에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제어 프로토콜 헤더를 추가함으로써 상기 다른 서비스 엔티티의 어드레스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비스 엔티티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전송되는 개시된 호를 지시하는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에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제어 프로토콜 헤더를 추가함으로써 상기 다른 서비스 엔티티의 어드레스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
  1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비스 엔티티는 발신 호 지시를 포함하는 새로운 제어 프로토콜 헤더를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
  19.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비스 엔티티는 착신 호 지시를 포함하는 새로운 제어 프로토콜 헤더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전송되는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토콜은 SI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
  21.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및 상기 사용자에게 호 관련 기능을 제공하는 베어러 제공자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가 복수의 베어러 제공자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비스를 중앙 집중 방식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와 상기 베어러 제공자 네트워크를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베어러 제공자 네트워크의 각 서비스 엔티티에 의해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각 서비스 엔티티에 의해, 상기 수신된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분석하는 단계와;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각 서비스 엔티티에 의해 호 관련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의해 분석하는 단계와; 그리고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의해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에서, 사용자 장비를 등록하기 위한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 내의 사용자 어드레스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를 상기 베어러 제공자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의해,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비를 등록하기 위한 다른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의해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 내의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사용자 식별 어드레스를 분석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사용자 식별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에서 사용자 장비를 등록하기 위한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 내의 사용자 어드레스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를 상기 베어러 제공자 네트워크에 등록하며, 상기 사용자 어드레스와 관련된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사용자 식별 어드레스를 상기 베어러 제공자 네트워크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페치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사용자 식별 어드레스를 갖는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발생시켜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에서 호를 개시하기 위한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에 피호자의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사용자 식별 어드레스 및 발신 호 지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에서 호를 개시하기 위한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에 피호자 어드레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베어러 제공자 네트워크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피호자 어드레스와 관련된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사용자 식별 어드레스를 페치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사용자 식별 어드레스 및 발신 호 지시를 갖는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27.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에서 사용자 장비에 개시된 호를 지시하는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에 사용자 식별 어드레스 및 착신 호 지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28.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에서 사용자 장비에 개시된 호를 지시하는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에 사용자 어드레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베어러 제공자 네트워크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어드레스와 관련된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사용자 식별 어드레스를 페치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사용자 식별 어드레스 및 착신 호 지시를 갖는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비스 엔티티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의해 수신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의해 착신 서비스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비스 엔티티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의해 수신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의해 착신 서비스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전송되는 개시된 호를 지시하는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에 상기 베어러 제공자 네트워크의 다른 서비스 엔티티의 어드레스를 지시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에 상기 호를 라우팅할 때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의해 상기 다른 서비스 엔티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전송되는 개시된 호를 지시하는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에 상기 베어러 제공자 네트워크의 다른 서비스 엔티티의 어드레스를 지시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에 상기 호를 라우팅할 때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의해 상기 다른 서비스 엔티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서비스 엔티티의 어드레스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전송되는 개시된 호를 지시하는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에 포함된 디스크립터에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파라미터를 추가함으로써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서비스 엔티티의 어드레스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전송되는 개시된 호를 지시하는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에 포함된 디스크립터에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파라미터를 추가함으로써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35.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서비스 엔티티의 어드레스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전송되는 개시된 호를 지시하는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에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제어 프로토콜 헤더를 추가함으로써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36.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서비스 엔티티의 어드레스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전송되는 개시된 호를 지시하는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에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제어 프로토콜 헤더를 추가함으로써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3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호 지시를 포함하는 새로운 제어 프로토콜 헤더가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에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38.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전송된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에 상기 착신 호 지시를 포함하는 새로운 제어 프로토콜 헤더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39.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토콜은 SI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40. 제 1 내지 2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하는 사용자 장비로서,
    상기 사용자 장비는 제어 프로토콜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시스템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비.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는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이용하여 상기 시스템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비.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는 상기 시스템에 등록하기 위해 상기 베어러 제공자 네트워크에 사용자 어드레스를 갖는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비.
  43.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는 상기 베어러 제공자 네트워크에 사용자 어드레스를 갖는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전송하고, 상기 시스템에 등록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상기 사용자 어드레스와 관련된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사용자 식별 어드레스를 갖는 다른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비.
  44.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는 호를 개시하기 위해 상기 시스템에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비.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는, 피호자의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사용자 식별 어드레스 및 발신 호 지시를 포함한, 호를 개시하기 위한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상기 베어러 제공자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비.
  46.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는, 상기 베어러 제공자 네트워크에 피호자의 어드레스를 포함한, 호를 개시하기 위한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비.
  47.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는 상기 시스템으로부터의 호에 상기 사용자 장비를 초대하기 위해, 다른 당사자로부터 개시된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비.
  48.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토콜은 SI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비.
  49. 사용자에게 호 관련 기능을 제공하는 베어러 제공자 네트워크 내에 있으며, 상기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서비스 엔티티로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가 상기 베어러 제공자 네트워크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는 복수의 베어러 제공자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비스를 중앙 집중 방식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서비스 엔티티는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분석하며, 그 분석 결과에 따라, 호 관련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엔티티.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엔티티가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비를 등록하기 위한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수신하면, 상기 서비스 엔티티는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 내의 사용자 어드레스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베어러 제공자 네트워크에 상기 사용자 장비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엔티티.
  51.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엔티티가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비를 등록하기 위한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수신하면, 상기 서비스 엔티티는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 내의 사용자 어드레스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베어러 제공자 네트워크에 상기 사용자 장비를 등록하고, 상기 베어러 제공자 네트워크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어드레스와 관련된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사용자 식별 어드레스를 페치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사용자 식별 어드레스를 갖는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발생시켜, 그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상기 사용자 장비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엔티티.
  52.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엔티티가 사용자 장비로부터, 호를 개시하기 위한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수신하면, 상기 서비스 엔티티는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에 피호자의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사용자 식별 어드레스 및 발신 호 지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엔티티.
  53.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엔티티가 사용자 장비로부터, 호를 개시하기 위한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수신하면, 상기 서비스 엔티티는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에 피호자 어드레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베어러 제공자 네트워크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피호자 어드레스와 관련된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사용자 식별 어드레스를 페치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사용자 식별 어드레스 및 발신 호 지시를 갖는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엔티티.
  54.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엔티티가 사용자 장비에 개시된 호를 지시하는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수신하면, 상기 서비스 엔티티는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에 사용자 식별 어드레스 및 착신 호 지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엔티티.
  55.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엔티티가 사용자 장비에 개시된 호를 지시하는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수신하면, 상기 서비스 엔티티는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에 사용자 어드레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어드레스와 관련된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사용자 식별 어드레스를 페치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사용자 식별 어드레스 및 착신 호 지시를 갖는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엔티티.
  56.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엔티티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전송되는 개시된 호를 지시하는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에 상기 베어러 제공자 네트워크의 다른 서비스 엔티티의 어드레스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엔티티.
  57.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엔티티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전송되는 개시된 호를 지시하는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에 상기 베어러 제공자 네트워크의 다른 서비스 엔티티의 어드레스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엔티티.
  58.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엔티티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전송되는 개시된 호를 지시하는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에 포함된 디스크립터에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파라미터를 추가함으로써 상기 다른 서비스 엔티티의 어드레스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엔티티.
  59.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엔티티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전송되는 개시된 호를 지시하는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에 포함된 디스크립터에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파라미터를 추가함으로써 상기 다른 서비스 엔티티의 어드레스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엔티티.
  60.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엔티티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전송되는 개시된 호를 지시하는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에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제어 프로토콜 헤더를 추가함으로써 상기 다른 서비스 엔티티의 어드레스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엔티티.
  61.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엔티티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전송되는 개시된 호를 지시하는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에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제어 프로토콜 헤더를 추가함으로써 상기 다른 서비스 엔티티의 어드레스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엔티티.
  62.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엔티티는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에 상기 발신 호 지시를 포함하는 새로운 제어 프로토콜 헤더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엔티티.
  63.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엔티티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전송된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에 상기 착신 호 지시를 포함하는 새로운 제어 프로토콜 헤더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엔티티.
  64.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토콜은 SI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엔티티.
  65.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에게 호 관련 기능을 제공하는 베어러 제공자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로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는 상기 베어러 제공자 네트워크로부터 분리되며,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는 복수의 베어러 제공자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비스를 중앙 집중 방식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는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분석하며, 그 분석 결과에 따라, 서비스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66.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는 상기 베어러 제공자 네트워크의 서비스 엔티티로부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들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67.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는 사용자 장비로부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들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68. 제 6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가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비를 등록하기 위한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수신하면,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는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 내의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사용자 식별 어드레스를 분석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사용자 식별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상기 사용자 장비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69. 제 6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가 서비스 엔티티로부터, 사용자 장비에 대해 개시된 호를 지시하는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를 수신하면,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는 착신 서비스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70. 제 6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토콜 메세지에 상기 베어러 제공자 네트워크의 다른 서비스 엔티티의 어드레스가 지시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는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해 상기 호를 라우팅할 때 상기 다른 서비스 엔티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71.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토콜은 SI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KR1020037010436A 2001-02-23 2002-02-22 Ip 기반 서비스 아키텍쳐 KR1005540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792,611 2001-02-23
US09/792,611 US7266593B2 (en) 2001-02-23 2001-02-23 IP based service architecture
PCT/EP2002/001908 WO2002069616A1 (en) 2001-02-23 2002-02-22 Separation of basic call functions and service provision in ip networ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1433A KR20030081433A (ko) 2003-10-17
KR100554090B1 true KR100554090B1 (ko) 2006-02-22

Family

ID=25157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0436A KR100554090B1 (ko) 2001-02-23 2002-02-22 Ip 기반 서비스 아키텍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266593B2 (ko)
EP (1) EP1364523B1 (ko)
JP (1) JP3928953B2 (ko)
KR (1) KR100554090B1 (ko)
CN (1) CN100576862C (ko)
CA (1) CA2439086C (ko)
WO (1) WO20020696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69535B2 (en) * 2001-06-11 2008-05-06 Level 3 Communications, Llc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real time protocol routing
US6751216B2 (en) * 2001-09-05 2004-06-15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Providing end-user communication services over peer-to-peer internet protocol connections between service providers
US8271619B1 (en) 2001-09-05 2012-09-18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Establishing end-user communication services that use peer-to-peer internet protocol connections between service providers
US7362745B1 (en) 2001-09-05 2008-04-22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End-user systems for communication services over peer-to-peer internet protocol connections between service providers
US6888828B1 (en) * 2001-10-02 2005-05-03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t least one service obtained from a service network for a user in a packet switched communication network
GB0124436D0 (en) * 2001-10-11 2001-12-05 Nokia Corp Terminal-based instruction execution in an ip communications network
US7415026B2 (en) * 2002-02-04 2008-08-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ssion release 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030177242A1 (en) * 2002-03-15 2003-09-18 Nokia, Inc. Trigger-based session completion using external parties
US8234360B2 (en) * 2002-04-23 2012-07-31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for processing messages to support network telephony services
CN100388733C (zh) * 2002-12-25 2008-05-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在会话发起协议网络中呼叫路由的方法
US7490155B1 (en) * 2003-03-13 2009-02-10 3Com Corporation Management and control for interactive media sessions
US7508754B1 (en) * 2004-02-27 2009-03-24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to support internal calling upon loss of connection with IP Centrex server
JP4028853B2 (ja) 2004-03-30 2007-12-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サービス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セッション管理サーバ
EP1850542A3 (en) * 2004-09-29 2008-07-02 Sonus Networks, Inc. Hierarchically organizing logical trunk groups in a packet-based network
US20060265501A1 (en) * 2005-05-20 2006-11-23 Anchorfree Wireless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wireless internet access in public areas
EP2343874A4 (en) * 2008-10-21 2014-03-05 Mitsubishi Electric Corp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WO2012041354A1 (en) * 2010-10-01 2012-04-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ervice based release of a subscriber registrar server from a signalling path in an internet protocol communication network.
CN103067428B (zh) * 2011-10-21 2016-08-10 华为技术有限公司 基站、服务处理方法和云计算系统
CN108512863B (zh) * 2018-06-06 2021-03-16 中国人民解放军陆军工程大学 一种多类型sip设备语音通信控制系统
US11303754B1 (en) * 2021-01-13 2022-04-12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Ringless voicemail attempt de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9469A (en) * 1995-09-25 1999-12-28 Netspeak Corporation Graphic user interface for internet telephony application
US6009468A (en) * 1997-06-30 1999-12-28 Ericsson, Inc. Employing feedback data and congestion ranking to minimize contention delay in a multi-slot Mac protocol
DE19832290B4 (de) * 1998-07-17 2011-12-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Kommunikationssystem und Verfahren zum Aufbauen von Verbindungen zwischen Terminals eines ersten und eines zweiten Kommunikationsnetzes
US6161134A (en) * 1998-10-30 2000-12-12 3Com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munications system for companion information and network appliances
US6600736B1 (en) * 1999-03-31 2003-07-29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of providing transfer capability on web-based interactive voice response services
US6687356B1 (en) 1999-06-18 2004-02-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evice-aware services in an integrated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6625141B1 (en) * 1999-06-18 2003-09-2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alue-added services (VAS) in an integrated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ing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US6678265B1 (en) * 1999-12-30 2004-01-13 At&T Corp. Local number portability database for on-net IP call
US6373817B1 (en) * 1999-12-30 2002-04-16 At&T Corp. Chase me system
US6741586B1 (en) * 2000-05-31 2004-05-25 3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computer screens over a telephony network
US7484240B2 (en) * 2001-07-13 2009-01-27 Nokia Corporation Mechanism to allow authentication of terminated SIP cal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39086C (en) 2008-10-07
EP1364523A1 (en) 2003-11-26
EP1364523B1 (en) 2018-03-28
CA2439086A1 (en) 2002-09-06
US7266593B2 (en) 2007-09-04
JP2004523174A (ja) 2004-07-29
CN1500340A (zh) 2004-05-26
KR20030081433A (ko) 2003-10-17
JP3928953B2 (ja) 2007-06-13
US20020120759A1 (en) 2002-08-29
WO2002069616A1 (en) 2002-09-06
CN100576862C (zh) 200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4090B1 (ko) Ip 기반 서비스 아키텍쳐
US8848690B2 (e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automatically discovering the multimedia service capability
EP1790149B1 (en) Method and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server for the exchange of end-point capabilities
US7145900B2 (en) Packet-switched telephony call server
JP4728332B2 (ja) ハイブリッド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ネットワークアドレスを取り出す方法およびシステム
EP2093970B1 (en) Call service handling in an IMS-based system
US8233476B2 (en) SCP-controlled overlay between GSM and IMS
US9756090B2 (en) Technique for providing services in a service provisioning network
US8335201B2 (en) Call control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relevant devices
US20140164543A1 (en)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 Server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Server Cooperation
US20090248822A1 (en) Method for providing peer-to-peer emergency service and node for providing peer-to-peer emergency service
KR100807863B1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제공
US7555112B2 (en) Service(s) provided to telephony device(s) through employment of data stream(s) associated with the call
US8094801B2 (en) Providing of service(s) by a service control component to telephony device(s) on a call through employment data stream(s) associated with the call
KR101136653B1 (ko) 발신 단말 또는 착신 단말에 얼리미디어로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50004573A (ko) 에스아이피 기반 호/세션 전환 방법 및 시스템
US20050094790A1 (en) Transmission of user input(s) to telephony device(s) through employment of data stream(s) associated with c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