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2126B1 - 무전원 자동 수문 - Google Patents

무전원 자동 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2126B1
KR100552126B1 KR1020040015278A KR20040015278A KR100552126B1 KR 100552126 B1 KR100552126 B1 KR 100552126B1 KR 1020040015278 A KR1020040015278 A KR 1020040015278A KR 20040015278 A KR20040015278 A KR 20040015278A KR 100552126 B1 KR100552126 B1 KR 100552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luice
water gate
gate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5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9912A (ko
Inventor
이호천
Original Assignee
보은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은군 filed Critical 보은군
Priority to KR1020040015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2126B1/ko
Publication of KR20050089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9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2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2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4Sealings for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02B8/085Devices allowing fish migration, e.g. fish tra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에 설치되어 흐르는 물의 양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면서 수위를 조절하는 수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전원 및 인력을 이용하지 않고 하천을 흐르는 유량에 따른 자동 개폐작동을 통해 선택적으로 가뭄시에는 흐르는 물을 막아 담수시키는 동시에 장마철에는 고인 물을 하류로 자동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무전원 자동 수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보의 상부에 하천을 막아주도록 설치된 수문과,
상기 수문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담겨지는 물의 수위를 자동조절하여 수문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반원형의 수조와,
상기 수문이 원활하게 개폐되도록 수문의 양측을 지지하는 수문 회동지지수단과,
다른 자극을 갖는 한쌍의 제1,2자석의 인력을 이용하여 수문의 개방직전에 발생되는 수문의 유동을 방지하는 수문 유동방지수단과,
상기 수문의 저부 및 측면부의 틈새를 막아주어 누수됨을 방지하는 전면 누수방지판 및 측면 누수방지판을 구비시키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무전원 자동 수문{A floodgate being operated without energy supply}
도 1은 본 발명 무전원 자동 수문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무전원 자동 수문의 확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수문의 설치상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문이 완전 개방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문이 닫혀지는 상태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수문에 중심추가 내설된 상태의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판스프링의 설치상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수조의 높낮이 조절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구동박스의 개방상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 구동박스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 수문 유동방지수단의 설치상태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 종동축에 태엽이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 전면 누수방지판의 설치상태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 측면 누수방지판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 측면 누수방지판의 설치상태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 수문에 어도가 설치된 상태의 일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 수문에 어도가 설치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콘크리트보 10: 수문
11: 구동박스 12: 주축
15: 중심추 17: 앵커
18: 판스프링 20: 수조
22: 조절너트 30: 수문 회동지지수단
32: 주기어 33: 종동축
34: 종동기어 35: 태엽
37: 쇼바 40: 수문 유동방지수단
41: 제1자석 44: 자석케이싱
46: 자력조절구 47: 제2자석
50: 전면 누수방지판 60: 측면 누수방지판
70: 어도 72: 안내로
본 발명은 하천에 설치되어 흐르는 물의 양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면서 수위를 조절하는 수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전원 및 인력을 이용하지 않고 하천을 흐르는 유량에 따른 자동 개폐작동을 통해 선택적으로 가뭄시에 는 흐르는 물을 막아 담수시키는 동시에 장마철에는 고인 물을 하류로 자동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무전원 자동 수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천이나 계곡에 흐르는 물은 우수시 유입되는 유량이 많으면 많은 양의 물이 개천이나 계곡을 따라 흐르는 반면, 가뭄이 들어 유입되는 유량이 적으면 물의 흐름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유입되는 유량이 없어 물의 흐름이 거의 발생되지 않을 경우 하천이나 계곡의 바닥면에는 낙엽 등의 퇴적물이 쌓이면서 물의 흐름을 방해하며, 흐르지 않는 물에는 산소가 공급되지 않으면서 하천이나 계곡에 고인상태로 부패하는 한편, 하천이나 계곡에 쌓인 퇴적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썩으면서 하천의 물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이러한 문제점은 모든 물의 근원이며 상류인 하천이 부패될 경우 하류로 유입되는 물도 깨끗하지 않기 때문에 상수도 전체의 오염으로 귀결되는 것이었다.
또한, 상기한 하천의 퇴적물은 초기 우수시 마을에서 떠내려 오는 부유물질 및 쓰레기 등과 혼합되면서 하류지역의 오염을 더욱 가중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수문을 이용하여 흐르는 물의 유량이 적을 경우에는 하천을 막아 물이 고이도록 한 다음 수질정화장치를 이용하여 고인 물을 하천으로 흘러 보내면서 산소함유량을 높여 하천을 깨끗하게 하여야만 하는 것이었다.
종래의 수문은 현재 반자동과 자동의 형식으로 양분되고 있으나, 양자 모두 필수적으로 구동축, 모터 등을 사용함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가동이 불가능하며, 특히 여름철엔 낙뢰에 의해 잦은 고장이 발생됨은 물론 이로 인해 인명사 고가 발생되고, 장마철에는 수문 사이로 쓰레기나 산사태에 의한 나무 등이 걸려 수해가 우려되고 있는 실정인 바 수문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는것이었다.
또한, 상기한 문제점으로 인해 항상 별도의 인원을 투입하여 수문을 관리하여야만 하므로 수문의 유지,관리에 따른 많은 비용과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인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3-13515호 명칭 무전원 물막이용 수문이 제안되고 있는 것이었다.
이에 상기 선출원 고안을 살펴보면, 별도의 전원공급 없이 하천을 흐르는 물의 유량에 따라 수문이 자동으로 개폐되면서 적정상태의 수위를 유지하는 뛰어난 효과를 제공하나, 상기 선출원 고안은 대형으로 제작시 다수의 개선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었다.
첫째, 대형으로 제작시 본체(수문)의 양측을 회전지지하는 작동부재의 작동만으로는 유량에 따른 자동개폐가 원활하지 못한 것이었다. 즉 양측에 단독으로 설치된 비틀림 코일스프링 만으로는 강력한 수압에 견딜 수 있는 적정상태의 저항력을 유지하기 어려움은 물론 개방된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원하는 복원력 또한 미흡하여 전체적으로 본체(수문)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이었다.
둘째, 밀폐상태의 수문이 많은 양의 물에 의해 개방됨에 있어 수문이 개방되기 직전상태의 경우 넘어갈듯 말듯하는 수문의 반복적인 유동으로 인해 심한 소음 이 발생됨은 물론 진동이 발생되어 장기간 경과시 작동부재 및 수문전체가 취약해지는 것이었다.
셋째, 수문이 밀폐된 상태이더라도 수문의 양측 및 저부 사이의 미세틈새를 통해 물이 누수되어 고도의 기밀성을 유지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넷째, 수문에 물고기의 통로인 어도가 마련되지 않아 자연 생태계를 유지하는 자연형 하천을 조성할 수 없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선출원 고안에 연속되는 개량 발명에 관한 것으로, 무전원 상태에서 하천을 흐르는 물의 유량에 따른 선택적인 수문의 개폐작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수문이 개방되기 직전 발생되는 유동 및 진동을 제거하여 소음발생을 차단함은 물론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며, 상기 수문의 양측 및 저부에 생성된 미세한 틈새조차 막아주어 고도의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수문에 어도를 일체로 부설하여 생태계가 유지되는 자연형 하천을 조성할 수 있게 함을 발명의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격설치된 한쌍의 구동박스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축설된 주축 상단에 일체로 설치되고 다수로 구획된 내부공간에 다수개의 중심추가 내장되며 선택적으로 하천을 막아주도록 배치된 수문과;
상기 수문 상부에 높낮이 조절가능하게 연설되고 선택적으로 물이 담겨지는 내부 바닥면에 다수의 통수공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하천을 흐르는 수량에 따라 자동으로 수위조절되는 반원형의 수조와;
상기 주축 양측에 결합된 주기어 및 종동축에 결합된 종동기어와의 치합을 통해 수문의 개폐작동을 원활하게 하는 수문 회동지지수단과;
상기 주축 양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자석 및 상기 제1자석과 다른 자극을 갖는 제2자석과의 인력을 통해 수문의 유동을 방지하는 수문 유동방지수단과;
상기 수문의 전면부 및 수문의 양측면과 구동박스 사이에 설치되어 수문의 저부 및 측면부의 미세틈새를 막아주어 기밀을 유지하는 한쌍의 누수방지판을 구비시키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별도의 전원을 공급하지 않고서도 하천을 흐르는 물의 유량에 따라 보다 원활하게 자동으로 개폐됨을 특징적인 요지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콘크리트보(1)의 상부에 하천을 막아주도록 설치된 수문(10)과, 상기 수문(10)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담겨지는 물의 수위를 자동조절하여 수문(10)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반원형의 수조(20)와, 상기 수문(10)이 원활하게 개폐되도록 수문(10)의 양측을 지지하는 수문 회동지지수단(30)과, 다른 자극을 갖는 한쌍의 제1,2자석(41)(47)의 인력을 이용하여 수문(10)의 개방직전에 발생되는 수문(10)의 유동을 방지하는 수문 유동방지수단(40)과, 상기 수문(10)의 저부 및 측면부의 틈새를 막아주어 누수됨을 방지하는 전면 누수방지판(50) 및 측면 누수방지판(60)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상기한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가능하도록 좀 더 상세 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기존 콘크리트보(1)의 상부에 하천을 막아주도록 설치되는 수문(10)은 일정거리만큼 이격설치된 한쌍의 구동박스(11) 사이에 주축(12)이 회동가능하게 축설되고 이 주축(12)의 상단에 일체로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는 다수의 격판(13)으로 구획되어 개별된 별도의 내부공간(14)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공간(14)에 다수개의 중심추(15)가 내장된다.
여기에서 상기 중심추(15)는 원형의 구슬로 구성되는 것으로, 수문(10)의 개폐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문(10)의 상부 또는 하부로 위치를 변경함에 따라 발생되는 가속력을 수문(10)에 부여함은 물론 무게 중심 이동을 통해 수문(10)이 보다 원활하게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3과 같이 수문(10)이 밀폐된 경우에는 중심추(15)가 수문(10) 하부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수문(10)이 강한 수압에 의해 후방으로 제껴져 도 4와 같이 개방될 경우에는 하부로 집중되었던 다수의 중심추(15)가 수문(10)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이동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속력은 수문(10)을 눌러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무게중심이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수문(10)의 개방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중심추(15)에 의한 작동은 수문(10)의 개방작동 뿐만 아니라 밀폐시에도 동일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주축(12)에는 등간격으로 주축(1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다수의 결합부(16)가 형성되고 이 결합부(16)에 주축(12)을 유동없이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17)가 콘크리트보(1)의 전면부에 부착되며, 상기 앵커(17)에는 중심추(15)의 작동에 더하여 개방된 상태의 수문(10)이 원상태로 복원될 때 더욱 원활하게 복원될 수 있는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판스프링(18)이 설치된다.
즉 상기 판스프링(18)은 박막의 판상으로 다수장이 동시에 겹쳐진 상태로 하측이 앵커(17)의 전면에 부착되고 상부는 수문(10)의 저부를 관통하여 내부에 위치되므로써 도 7과 같이 수문(10)이 후방으로 제껴질 때 수문(10)과 함께 후방으로 꺾여진 후 수문(10)이 원상태로 복원시 탄성력을 발휘하여 수문(10)이 더욱 원활하게 밀폐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문(10)의 상부에 연설되고 하천을 흐르는 물의 유량에 따라 내부에 담겨지는 물의 수위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수문(10)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수조(20)는 내부에 일정량의 물이 담겨질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 반원형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하천을 흐르는 물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 높낮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수문(10)의 상단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나사봉(21)이 설치되고 이 나사봉(21)을 따라 상,하 이송가능하도록 관통 결합되며 상기 수조(20)의 상,하부에는 한쌍의 조절너트(22)가 각각 나사결합되는 한편, 물이 담겨지는 내부의 바닥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통수공(23)이 형성된다.
따라서 흐르는 물의 수위가 수조(20)에 채워질 정도로 위치되면 더이상의 강한 수압을 견디지 못해 수문(10)이 후방으로 제껴져 도 4와 같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때 상기 수조(20)에는 물이 가득 채워진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수문(10)이 원상태로 복원되지 않는 반면, 흐르는 물의 유량이 적어 수압이 약해지면 수조(20)로의 물공급 또한 차단되는 동시에 수문(10)을 통과한 일부의 물은 수문(10)과 수조(20) 사이의 공간(24)을 통해 배출되므로써 결국에는 수조(20)에 담겨진 물은 통수공(23)을 통해 외부로 전량 배출된다.
결과적으로 수조(20)에 담겨진 물이 전량 배출됨에 따라 수조(20)의 무게가 가벼워져 수문(10)이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수조(20)는 조절너트(22)의 잠금상태를 해제한 후 적정높이로 위치시킨 다음 다시 조절너트(22)를 조여주면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므로 수문(10)을 자동으로 개방시키기 위한 흐르는 물의 최대한 수위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주축(12)의 양측에 결합된 주기어(32) 및 축적된 탄성력을 갖는 종동축(33) 종동기어(34)와의 치합을 통해 수문(10)의 개폐작동을 보다 원활하게 지지하는 수문 회동지지수단(30)은 도 9 내지 도 10과 같이 사각함체의 구동박스(11) 내부를 관통하여 주축(12)의 양단이 회전지지구(3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축설되고 상기 주축(12)에 결합된 주기어(32)는 종동축(33)에 결합된 종동기어(34)와 치합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종동축(33)은 지지틀(11a)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한쌍의 회전지지구(31)에 회동가능하게 축설되고, 양단에는 수문(10)의 개방시엔 탄성력을 축적한 후 수문(10)의 밀폐시 상기한 탄성력을 주축(12)에 전달하여 수문(10)에 강력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한쌍의 태엽(35)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주축(12)의 양단에는 회동대(36)가 일체로 입설되고 이 회동대(36)와 지지틀(11a)의 사이에는 수문(10)의 밀폐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한쌍의 쇼바(37)가 연결설치된다.
즉 상기 태엽(35)은 도 12와 같이 종동축(33) 양단을 관통하여 지지틀(11a)에 부착된 태엽케이스(35-1)에 내설되는 것으로, 일측이 종동축(33)에 결합된 채 종동축(33)에 단단하게 권회되고 타측은 태엽케이스(35-1)에 형성된 고정돌기(35-2)에 결합되며 상기 태엽(35)의 외측에는 태엽(35)이 완전하게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밴드(35-3)가 고정돌기(35-2)와 함께 동시에 감싸여지게 설치된다.
따라서 수문(10)의 개방에 따른 주축(12)의 회동시 주기어(32) 및 종동기어(34)를 통해 종동축(33)이 회전하게 되고 이때 태엽(35)은 단단하게 감겨지면서 탄성(彈性) 에너지를 축적한 후 상기 탄성에너지에 의한 풀리려고 하는 동력을 이용하여 수문(10)의 밀폐시 강력한 복원력을 주축(12)에 제공하여 수문(10)이 보다 원활하게 복원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태엽(35)의 강력한 복원력에 의해 수문(10)이 급격하게 원상태로 복원되더라도 상기 수문(10)은 쇼바(37)에 의해 충격이 완화되므로써 복원시 수문(10)이 과도하게 전방으로 제껴짐을 방지하기 위해 수문(10)의 전방측 구동박스(11) 내면에 설치한 스토퍼(11b)에 충돌됨을 미연에 차단하여 어떠한 파손의 우려도 존재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박스(11) 내부 소정위치에 설치되고 주축(12) 양단의 회동대(36)에 설치된 제1자석(41) 및 상기 제1자석(41)과 다른 자극을 갖는 제2자석(47)과의 인력을 통해 수문(10)이 개방되기 직전의 흔들림, 유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수문 유동방지수단(40)은 도 11과 같이 주축(12) 양단에 일체로 입설된 회동대(36)의 상단에 제1자석(41)이 설치되고, 상기 제1자석(41)의 인접된 위치에는 일측에 상기 제1자석(41)이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부착면(42)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제2자석(47)을 내설하기 위한 한쌍의 고정브라켓(43)이 내측면의 양측에 일체로 부착된 자석케이싱(44)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43)에 지지판(45)이 나사결합되고 이 지지판(45)에는 자력조절구(46)가 수평이송가능하게 나사결합된다.
상기 자력조절구(46)는 일측 선단에 상기 제1자석(41)과 다른 자극을 갖는 제2자석(47)이 설치되고 타단에는 자력조절구(46)를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48)가 설치되므로써 상기 제1,2자석(41)(47) 사이의 인력에 의해 제1자석(41)이 부착면(42)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종래와 같이 수문(10)이 개방되기 직전에 발생되는 유동에 의한 소음 및 파손의 문제점을 말끔이 해소하는 한편, 상기한 제1,2자석(41)(47) 사이의 기설정된 자력을 넘어서야만 비로서 수문(10)이 개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2자석(41)(47) 사이의 자력조절은 자력조절구(46)의 수평이송조작을 통해 제1,2자석(41)(47)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는 간단한 방법을 통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수문(10)의 저부 및 측면부 사이에 발생되는 미세틈새를 통해 물이 누수됨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전면 누수방지판(50)이 도 13과 같이 수문(10)의 하측 전면부에 일체로 부착된 채 판스프링(18)을 덮어주는 형태로 배치되므로써 수문(10)과 콘크리트보(1) 사이의 미세틈새를 효과적으로 막아주는 한편,
측면 누수방지판(60)은 삼각형상의 고무판이 접철된 형태로 양단의 접착면(61)이 도 14 내지 도 15와 같이 수문(10)의 양측면과 구동박스(11)의 내측면에 연결 부착되므로써 수문(10)과 구동박스(11) 사이의 미세틈새를 막아준다.
이때 상기 측면 누수방지판(60)은 후방 상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벌어지는 삼각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수문(10)이 제껴지더라도 충분한 길이를 확보하여 수문(10)의 개폐작동에 어떠한 저항도 미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생태계의 보존을 위해 상기 수문(10)에 제약받지 않고 수문(10)을 통해 물고기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수문(10)에 별도의 어도(70)가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도 16 내지 도 17과 같이 수문(10)의 상부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어도(70)가 형설되고 이 어도(70)의 후단에는 경첩(71)을 이용하여 어도(70)를 통과한 물고기를 하류로 안전하게 안내하는 안내로(72)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굳이 안내로(72)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한 이유는 상기 수문(10)의 개폐작동에 따라 원활한 경사도를 유지하면서 이와 동시에 수문(10)의 개폐작동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수문(10)의 자동 개폐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수문(10) 및 수조(20)에 의해 일정 수위만큼 하천에 물이 고이면 수문(10)의 안쪽에 부설된 별도의 수질정화장치가 작동하면서 고인 물을 수문(10) 밖으로 배출함에 따라 고인 물의 산소함유량이 증가됨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한꺼번에 많은 비가 집중되는 장마철에는 하천으로 유입되 는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수질정화장치의 작동만으로는 수문(10)에 의해 고인 물을 외부로 처리할 수 없어 흐르는 물의 수위는 점진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 수위가 본 발명의 수문(10)을 넘어서 수조(20)에 도달하여 수조(20)에 물이 가득 채워지면 수문(10)은 기설정된 저항력을 넘어선 강력한 수압에 의해 자동으로 후방으로 제껴지면서 수문이 개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개방상태의 수문(10)은 물이 가득 채워진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수문(10)이 원상태로 복원되지 않는 반면, 흐르는 물의 유량이 적어 수압이 약해지면 수조(20)로의 물공급 또한 차단됨은 물론 이와 동시에 수문(10)을 통과한 일부의 물은 수문(10)과 수조(20) 사이의 공간(24)을 통해 배출되고 수조(20)에 담겨진 물은 통수공(23)을 통해 외부로 전량 배출된다.
따라서 수조(20)의 무게가 가벼워져 수문(10)은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으며, 상기한 수문(10)의 개폐작동은 수문(10)에 내장된 중심추(15)의 이동에 따라 더욱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고, 특히 복원시엔 앵커(17)에 부착된 판스프링(18) 및 종동축(33)에 설치된 태엽(35)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더욱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별도의 인력이나 전원을 요하지 않고서도 하천을 흐르는 물의 양을 자동으로 감지하면서 수문(10)을 적정상태만큼 개폐시켜 물을 저장하거나 하류로 흘러보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별도의 전원이나 인력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하천을 흐르는 물의 유량에 따라 자동으로 수문을 개폐시켜 가뭄시에는 흐르는 물을 막아 담수시킴은 물론 장마철에는 고인 물을 하류로 자동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문의 개폐작동시 중심추의 선택적인 이동에 따른 가속력 및 무게중심의 이동에 의해 수문이 더욱 원활하게 개폐될 수 있고, 특히 복원시엔 판스프링 및 태엽을 통해 축적된 탄성력을 제공 받아 더욱 원활하게 복원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2자석의 인력을 이용하여 수문을 유동없이 고정시키므로써 수문이 개방되기 직전 발생되는 유동 및 진동이 제거되어 소음이 차단됨은 물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누수방지판에 의해 수문의 양측 및 저부에 생성된 미세한 틈새조차 차단되어 고도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한편, 상기 수문에 어도를 일체로 부설하여 생태계를 유지하는 자연형 하천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8)

  1. 양측에 이격설치된 한쌍의 구동박스(11) 사이에 주축(12)이 회동가능하게 축설되고 이 주축(12) 상단에 일체로 설치되며 다수로 구획된 내부공간(14)에 다수개의 중심추(15)가 내장되고 선택적으로 하천을 막아주도록 콘크리트보(1) 상부에 배치된 수문(10)과;
    상기 수문(10) 상부에 높낮이 조절가능하게 연설되고 선택적으로 물이 담겨지는 내부 바닥면에 다수의 통수공(23)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하천을 흐르는 수량에 따라 자동으로 수위조절되는 반원형의 수조(20)와;
    상기 주축(12) 양측에 결합된 주기어(32) 및 축적된 탄성력을 갖는 종동축(33) 종동기어(34)와의 치합을 통해 수문(10)의 개폐작동을 원활하게 지지하는 수문 회동지지수단(30)과;
    상기 주축(12) 양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자석(41) 및 상기 제1자석(41)과 다른 자극을 갖는 제2자석(47)과의 인력을 통해 수문(10)의 유동을 방지하는 수문 유동방지수단(40)과;
    상기 수문(10)의 전면부 부착되는 한편, 수문(10)의 양측면과 구동박스(11) 사이에 연설되어 수문(10)의 저부 및 측면부의 미세틈새를 막아주어 기밀을 유지하는 전면 누수방지판(50) 및 측면 누수방지판(6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자동 수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주축(12)에는 등간격으로 다수의 결합부(16)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6)에 콘크리트보(1)의 전면부에 부착되는 앵커(17)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앵커(17)에는 개방상태의 수문(10)이 원상태로 복원시 강력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다수장의 판스프링(18)이 수문(10)의 저부를 관통하여 내부에 위치하게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자동 수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중심추(15)는 원형의 구슬로 구성되는 한편, 수문(10)의 개폐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문(10)의 상부 또는 하부로 이송하면서 가속력 부여 및 무게중심 이동을 통해 수문(10)의 원활한 개폐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자동 수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조(20)는 수문(10) 상단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나사봉(21)을 따라 상,하 이송가능하게 관통되고, 상기 수조(20)의 상,하부에는 조절너트(22)가 나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자동 수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수문 회동지지수단(30)은 구동박스(11)에 회동가능하게 축설된 주축(12)에 주기어(32)가 결합되고, 상기 주기어(32)는 지지틀(11a)에 회동가능하게 축설된 종동축(33)의 종동기어(34)와 치합설치되며, 상기 종동축(33) 양단에는 수문(10)의 개방시 축적된 탄성력을 주축(12)에 전달하여 수문(10)의 밀폐시 강력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한쌍의 태엽(35)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주축(12)의 양단에 입설된 회동대(36)와 지지틀(11a) 사이에는 수문(10)의 밀폐시 충격을 완화하는 쇼바(37)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자동 수문.
  6. 청구항 5에 있어서,
    태엽(35)은 종동축(33) 양단을 관통하여 지지틀(11a)에 부착된 태엽케이스(35-1) 내부에 배치되고, 일측이 종동축(33)에 결합된 채 종동축(33)에 단단하게 권회되며, 타측은 태엽케이스(35-1)에 형성된 고정돌기(35-2)에 결합되는 한편, 상기 태엽(35)의 외측에는 태엽(35)이 완전하게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밴드(35-3)가 고정돌기(35-2)를 동시에 감싸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자동 수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수문 유동방지수단(40)은 주축(12) 양단의 회동대(36)에 설치된 제1자석(41)과, 상기 제1자석(41)의 일측에 설치되고 선택적으로 일측의 부착면(42)에 제1자석(41)이 부착되며 내측면 양측에 고정브라켓(43)이 부착된 자석케이싱(44)과, 상기 고정브라켓(43)에 부착된 지지판(45)에 나사결합되고 일측 선단에 상기 제1자석(41)과 다른 자극을 갖는 제2자석(47)이 설치되며 선택적인 수평이송 조작을 통해 제1,2자석(41)(47) 사이의 자력을 조절하는 자력조절구(4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자동 수문.
  8. 청구항 1에 있어서,
    수문(10)의 상부에는 등간격으로 다수의 어도(70)가 형성되고, 상기 어도(70)의 후단에는 물고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로(72)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자동 수문.
KR1020040015278A 2004-03-06 2004-03-06 무전원 자동 수문 KR100552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278A KR100552126B1 (ko) 2004-03-06 2004-03-06 무전원 자동 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278A KR100552126B1 (ko) 2004-03-06 2004-03-06 무전원 자동 수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6061U Division KR200353845Y1 (ko) 2004-03-06 2004-03-06 무전원 자동 수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9912A KR20050089912A (ko) 2005-09-09
KR100552126B1 true KR100552126B1 (ko) 2006-02-14

Family

ID=37272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278A KR100552126B1 (ko) 2004-03-06 2004-03-06 무전원 자동 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21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0704B1 (ko) * 2004-07-23 2006-07-14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문 자동회전 장치
CN106638878B (zh) * 2016-09-06 2019-01-01 青海省水利水电勘测设计研究院 一种用于排水工程的智能排水设备
CN106368286B (zh) * 2016-09-06 2018-10-26 广东煌烨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排水工程的排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9912A (ko) 2005-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84466B (zh) 一种河道组合闸门及其控水方法
KR100552126B1 (ko) 무전원 자동 수문
KR100479226B1 (ko) 어도가 구비된 자동 수중보
CN104878832B (zh) 反向下游水力自动闸门
KR100757950B1 (ko) 사이펀 통로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자동보 수문
CN216475468U (zh) 一种截污干管防倒灌分流井
KR200353845Y1 (ko) 무전원 자동 수문
KR101257344B1 (ko) 수위를 이용한 무동력 자동조절 수문
JP5399325B2 (ja) 取水装置
CN208965519U (zh) 鱼腹式可调节溢流堰
KR100619459B1 (ko) 수위에 따라 자동조절되는 하천용 수문
KR200364561Y1 (ko) 소하천용 무전원 자동수문
KR20000010476A (ko) 수문 개폐장치
KR100778151B1 (ko) 부력식 어도
KR200338295Y1 (ko) 어도가 구비된 자동 수중보
KR200244423Y1 (ko) 지수장치의 역할에 의해 밀폐되어 작동하는 수문
CN214783726U (zh) 一种防堵的排洪阀
CN204753806U (zh) 反向下游水力自动闸门
CN114808883B (zh) 一种江河污水处理用垃圾清除设备
CN108468310A (zh) 拦河坝转闸门自动开关
KR101282783B1 (ko) 전도식 수문장치
KR20230130515A (ko) 신개념 지능형 가동보
KR20040042669A (ko) 댐 수위 자동 조절장치
CN217710545U (zh) 一种软土地基堤防结构
KR100671265B1 (ko) 어도 기능을 갖는 만수위 조절이 용이한 수중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