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8822B1 - 확산형 흡수식 냉각 방식의 에어컨 시스템과 장치 - Google Patents

확산형 흡수식 냉각 방식의 에어컨 시스템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8822B1
KR100548822B1 KR1020040015654A KR20040015654A KR100548822B1 KR 100548822 B1 KR100548822 B1 KR 100548822B1 KR 1020040015654 A KR1020040015654 A KR 1020040015654A KR 20040015654 A KR20040015654 A KR 20040015654A KR 100548822 B1 KR100548822 B1 KR 100548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freeze
tube
generator
evaporator
refrig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5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0296A (ko
Inventor
종 해 김
김지태
Original Assignee
종 해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종 해 김 filed Critical 종 해 김
Priority to KR1020040015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8822B1/ko
Publication of KR20050090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0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6Water-bottles; Mess-tins; Cups
    • A45F3/20Water-bottles; Mess-tins; Cups of flexible material; Collapsible or stackable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3/0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having a cross-section of varying shape, e.g. circular merging into square or rectangula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6Water-bottles; Mess-tins; Cups
    • A45F3/20Water-bottles; Mess-tins; Cups of flexible material; Collapsible or stackable cups
    • A45F2003/205Collapsible or foldable cu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7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62Absorption base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산형 흡수식 냉동기 시스템에 있어서 1차 냉동 사이클의 제너레이터에서 기화된 가스를 ∩자형 튜브로 순환시켜 ∩자형 튜브로 2차 냉동 사이클의 제너레이터를 구성함으로서 확산형 흡수식 냉동기로 2차 냉동 사이클을 구성할 수 있게 되어 확산형 흡수식 냉동기의 COP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이를 이용하는 에어컨 제조 기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확산형 흡수식 냉각 방식의 에어컨 시스템과 장치{Apparatus and system for air conditioning system utilizing diffusion absorption refrigerator.}
도1은 본 발명의 2단계 냉각 방식의 확산형 흡수식 냉각기 시스템 블록도,
도2는 도1에서 증발기 수단을 다채널로 구성한 시스템 구성 블록도,
도3은 본 발명의 에어컨 시스템 블록도,
도4는 본 발명의 판넬형 에어컨 실외기 구성도,
도5는 본 발명의 방사형 에어컨 실외기 구성도,
도6은 본 발명의 단위 냉동 셀에 8개의 냉각 사이클을 구성한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1차 제너레이터 장치 205 : 2차 흡수용기
102 : ∩자형 가스 유입 튜브 206 : 2차 냉매수 열교환 수단
103, 103-1, 103-2 : 콘덴서 212 : 온도센서
104-1,104-2 : 1차 저온 증발기 장치 213 : 부동액 진입구
105-1,105-2 : 1차 고온 증발기 장치 214 :부동액 진출구
106 : 1차 흡수용기 301, 302, 303, 304, 305 : 부동액 튜브
107 : 증류기 311, 312, 313, 31n : 확산형 흡수식 냉각기 장치
108 : 1차 냉매수 열교환 수단 331, 332 :부동액 순환 발브 장치
109-1, 109-2 : 1차 흡수 수단 401 : 부동액 가열수단
110 : 가열수단 402 : 부동액 순환 펌프
201 : 2차 제너레이터 장치 403 : 중앙처리 장치
202 : 콘덴서 404-1, 402-2, 404-3, …,404-n : 냉동셀
203 : 2차 저온 증발기 장치 405 : 증발기와 부동액 간의 열교환장치
204 : 2차 고온 증발기 장치
본 발명은 발명인의 1998. 6. 24일자 출원번호 10-1998-0023997과, 2001. 10. 22일자 특허등록 제0313485호와 2003. 10. 6일자 특허등록 제0402261호와 2003. 6. 24일자 U.S. Patent 6,581,405 B2의 연속개량 발명이다.
본 발명은 확산형 흡수식 냉동기 시스템에 있어서 시스템의 폐열을 이용하여 2차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여 에어컨을 제조하는 장치와 방법과 시스템을 제공한다. 종래의 확산형 흡수식 냉동기는 열효율이 저조하고 냉동 능력이 미약하므로 에어컨에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2차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고자 할 시에는 냉동기를 구성하는 냉매나 물이나 가스가 고압 파이프내의 중력과 압력의 차이에 따라 이동하는 특성과 수평을 유지해야 하는 제약으로 인하여 2차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기존의 흡수식 에어컨은 형체가 대형이므로 가정용이나 소형업소에 설 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고장이나, A/S시 전체시스템의 가동을 중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확산형 흡수식 냉동기 시스템에서 고압 파이프내의 압력에 따라 암모니아의 비등점이 상이하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1차 냉동 사이클의 제너레이터에서 기화된 가스의 경로상에 2차 냉동 사이클의 제너레이터를 구성하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함으로서 확산형 흡수식 냉동기의 열효율을 증가시키는 기술을 제공한다.
아울러, 확산형 흡수식 냉동 장치로 암모니아 용액의 응축 효율을 높여 증발장치를 다수개로 구성하여 고성능의 확산형 흡수식 에어컨냉동기 장치를 구성하는 고효율의 냉동 기술을 제공함으로서 도시가스를 이용하는 소형 흡수식 에어컨 제조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확산형 흡수식 냉동기 장치를 판넬형으로 단위 냉동셀(Cell)을 구성하여, 판넬수의 증감으로 에어컨의 용량 증감이나 A/S가 용이하도록 하는 새로운 개념의 에어컨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과 그에 따른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확산형 흡수식 냉동 시스템의 기본 셀(Cell)에 관한 블록도이며, 도2는 증발기 수단을 다채널로 구성한 본 발명 시스템 블록도이며, 도3는 본 발명의 에어컨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냉동 시스템에서 단위 냉동셀에 2개의 냉각 사이클을 구성한 예시도이며, 이를 단위 냉동셀로 하여 단위 냉동셀을 판넬형으로 구성한 실외기 구성도이며, 도5는 단위 냉동셀을 방사형으로 구성한 실외기의 구성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냉동 시스템에서 단위 냉동셀에 8개의 냉각 사이클을 구성한 예시도이다.
도1과 도2에 의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1차 냉동 사이클 시스템은 다수개의 버블튜브와 가열장치로 구성된 1차 제너레이터 장치(101)와; 제너레이터에서 기화된 가스를 콘덴서(103)로 유도하는 ∩자형의 가스유입 튜브(102)와; 가스유입 튜브를 통하여 유입된 냉매를 응축하는 콘덴서(103)와; 콘덴서에서 응축된 냉매를 확산하는 1개 또는 이상의 증발기 장치(104-1, 104-2, 105-1, 105-2)와; 증발한 냉매를 흡수하는 흡수수단(109-1, 109-2)과 흡수기 용기(106)로 구성된다.
2차 냉동 사이클은 ∩자형의 가스 유입튜브(102)에 부착된 다수개의 버블 튜브로 구성된 2차 제너레이터(201)와; 버블 튜브에서 ∩자형 가스유입 튜브의 열로 기화된 가스를 응축하는 2차 콘덴서 장치(202)와; 2차 콘덴서 장치에서 응축된 냉매를 확산시키는 2차 증발기 장치(203, 204)와; 증발된 냉매를 흡수하는 흡수수단(207)과 흡수기 용기(205)로 구성된다.
도3에 의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어컨 시스템은 에어컨의 용량에 따라 수량을 증감하는 1개 또는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한 확산형 흡수식 냉각기 장치(311, 312, 313, 31n)와; 위 냉각기 장치의 증발기 튜브 외부에 설치된 부동액 순환 튜브(301, 302, 303, 30n)와; 실내에 설치되는 1개 또는 이상의 팬코일 유닛(321, 322, 323, 32n)와; 부동액을 가열하는 부동액 가열 수단(401)과; 부동액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402)와; 위 시스템의 기능을 제어하는 중앙처리 장치(403)로 구성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확산형 흡수식 냉동기에서 사용하는 3가지 요소(Three-component) 즉, 냉매와 흡수제와 가스는 기존의 기술에서 성능이 인정된 다양한 물질로 구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작용과 효과는 암모니아(NH3)와, 물(H2O)과 수소 가스(수소 대신에 헬륨을 사용하더라도 동일한 효과가 있다)로 구성하여 설명한다.
먼저, 1차 흡수용기(106)에 암모니아와 물을 넣고 수소가스를 주입하여 압력을 가하게 되면 암모니아가 물에 흡수되고 1차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파이프(용기)에는 고압이 형성되어 암모니아 가스가 상온에서 물에 용해되어 암모니아 수(水)의 상태가 된다. 이때 위의 장치를 수평으로 유지하게 되면 암모니아수가 1차 제너레이터 장치(101)의 버블 튜브로 유입되고, 외부 가열수단(110)으로 가열되면 버블 튜브에서 암모니아 수가 암모니아 가스와 수증기로 기화된다. 기화된 암모니아 가스와 수증기는 ∩자형 가스 유입 튜브(102)를 통하여 콘덴서(103)으로 유입되며, 고온 상태의 암모니아 가스와 수증기가 ∩자형 가스 튜브를 통하여 2차 제너레이터(201)를 구성하는 버블 튜브를 가열함으로서 2차 냉동 사이클의 냉매가 기화되는 것이다.
이때, ∩자형 가스 유입 튜브(102)에서 1차 냉매의 수증기는 튜브에서 열교 환되어 물이 되어 아래로 흘러내려 흡수용기(106)로 순환되며, ∩자형 가스 튜브의 정상을 기점으로 정상과 콘덴서(103)간에 열교환된 물은 정류기(107)에서 흡수기로 유입되고, 정상과 제너레이터간에 열교환된 물은 기존의 시스템처럼 열교환 장치(108)에서 암모니아 수(水)를 예열한 후 흡수기로 유입되어 흡수용기(106)로 순환된다.
또한, ∩자형 가스 유입 튜브를 통과한 암모니아 가스를 콘덴서(103)에서 응축되어 암모니아 용액이 되어 1차 저온 증발기(104-1, 105-1)와 1차 고온 증발기(105-1,105-2)에서 증발되어 냉열을 얻게 되는 것이며 증발기 튜브의 외부에 부설된 부동액 튜브(303, 304, 305, 306)를 냉각시키게 되는 것이고 그후 흡수용기(106)로 순환되는 사이클은 기존의 확산형 흡수식 냉동 사이클과 동일하다.
2차 냉동 사이클은 2차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암모니아 수(水)가 ∩자형 튜브에 접착된 다수개의 모세버블 튜브(펌프)에서 가열되어 기화되는 것이고, 2차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파이프내의 압력을 1차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파이프의 압력보다 저압으로 구성함으로서 1차 냉동 사이클의 제너레이터 온도보다 비교적 저온의 티자형 튜브열로 1차 사이클을 구성하는 암모니아 수(水)가 기화되는 것이다.
기화된 암모니아 가스가 콘덴서(203)와. 증발기(203,204)를 거쳐 흡수용기(205)로 순환되는 과정은 기존의 확산형 흡수식 냉동 사이클과 동일하다. 다만, 2차 암모니아 수가 ∩자형 튜브에 설치된 2차 버블 튜브(201)에서 기화되기 전에 1차 콘덴서 파이프 외부에 부설된 열교환 수단(206)에서 예열되어 2차 버블 튜브로 유입되도록 구성함으로서 2차 제너레이터의 열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2차 냉동 사이클에서 다수개의 모세 버블 튜브내의 암모니아 수(水)의 수위와 2차 흡수용기내의 암모니아 수(水)가 일정한 수위를 유지해야 하는 것이므로 ∩자형의 가스 튜브 구성이 필수적이다.
또한, 1차 제너레이터나 2차 제너레이터는 공히 버블 튜브를 모세관으로 구성하고 다수개의 모세관으로 버블 튜브를 구성함으로서 버블의 발생량을 증가시킨다.
위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에서 각 증발기 튜브 외부에 「Tube in Tube」 방식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부동액 순환 튜브(301, 302, 303, 304, 305, 306)를 플렉시블(Flexible) 호스나 파이프로 연결하여 부동액을 순환시킴으로서 저온의 부동액을 얻을 수 있고, 이 부동액을 순환펌프(402)로 실내에 설치된 팬코일 유닛(321, 322, 323, 32n)으로 순환시키면 에어컨이 되는 것이고, 부동액 가열장치(401)를 부가하면 겨울철에는 가열된 부동액과 팬코일 유닛으로 난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증발기에서 부동액을 열교환하는 장치로 증발기 튜브외부에 부동액 튜브를 "Tube in Tube" 방식으로 구성할 때 2m 튜브간의 가격에 따라 부동액을 증발기 튜브상에서 액체막(Fluid Film)형태로 흐르게 함으로서 증발기와 부동액 간에 신속히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고, 부동액 순환 속도에 따라 부동액의 온도가 가변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 장치(311, 312, 313, 31n)를 다수개로 병렬 구성하 고, 부동액 순환 경로를 직렬 또는 병렬연결 할 시에는 부동액의 용량과 온도를 임의 조절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다양한 냉난방 용적에 적합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 온도 센서를 부가 구성하고 온도에 따라 제너레이터의 가열 수단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장치(403)를 부가 구성할 시에는 설정된 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고, 실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온도 제어 수단은 기존의 에어컨 제어 수단과 동일하다.
특히, 본 발명의 흡수식 냉동 시스템은 1차 냉동 사이클과 2차 냉동 사이클로 구성된 장치를 판넬형(여행가방형)으로 구성하고 이를 기본 단위 셀(Cell)로 하는 것이며, 기본 단위 셀의 숫자를 증감하고 부동액 순환 경로를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시스템의 냉 ·난방 용량을 증감할 수 있는 유용한 기술을 제공한다. 단위 셀을 배치하는 방법은 용도에 따라 도4와 같이 나란히 배치하거나, 또는 도5와 같이 방사형으로 배치하더라도 동일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하면 1차 냉동 사이클의 제너레이터에서 냉매수(냉매가 흡수된 용액)를 기화시킨 후의 잔열을 이용하여 2차 냉동 사이클을 가동시키는 효과적인 장치를 제공함으로서 기존의 확산형 흡수식 냉동기에 비하여 COP를 크게 증가시켜 실용적인 에어컨 제작을 가능케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냉동기 시스템은 1차 냉동 사이클과 2차 냉동 사이클로 구성된 확산형 흡수식 냉동기를 단위 셀로 하여 다수개의 각 단위셀을 병렬 구성하거 나, 방사형으로 구성하고 부동액 순환 파이프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할 시에는 다양한 용량의 에어컨을 구성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며, 고장시에는 고장이 난 단위 셀의 교체뿐이므로 A/S가 극히 간단하고, 필요시 단위 셀 숫자의 증감으로 에어컨의 동량을 수시로 증감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에어컨 시스템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도시 가스로 가동하는 가정용이나 업소용 에어컨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므로 국가적으로 전기와 가스의 계절별 수급 불균형을 해소하는 유용한 에어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8)

  1. 확산형 흡수식 냉동기를 사용하는 에어컨 시스템에 있어서,
    (1) 최소 1개 또는 이상의 증발기 수단과, 최소 1개 또는 이상의 모세관으로된 버블 튜브와 가열 장치로 구성된 제너레이터 수단과, 콘덴서 수단과, 흡수수단과 위의 각 수단을 연결하는 고압튜브 수단과, 제너레이터 수단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제어 수단으로 구성된 다수개의 확산형 흡수식 냉동 수단과;
    (2) 다수개 확산형 흡수식 냉동 수단의 각 증발기 튜브 외부에 별도의 부동액 순환 튜브를 "Tube in Tube" 방식으로 부설하여 튜브 사이에서 부동액이 순환하도록 구성된 부동액과 증발기 간의 열교환 수단과;
    (3) 공조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1개 또는 이상의 팬코일 수단과;
    (4) 다수개 확산형 흡수식 냉동 수단의 각 증발기 열교환 수단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팬코일 수단간에 부동액을 순환시키는 순환 튜브 수단과;
    (5) 순환 튜브 상에서 부동액을 순환시키는 부동액 순환 펌프 수단과;
    (6) 냉방할 실내에서 설정된 온도에 따라 부동액 순환 펌프의 속도와 팬코일 공조 수단의 기능과 제너레이터 수단의 가열 장치의 작동을 자동 제어하는 시스템 컨트롤 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부동액을 다수개 확산형 흡수식 냉동 수단의 각 증발기 튜브 외부에서 "Tube in Tube" 형태로 순차적으로 열교환 시켜 저온의 부동액을 얻어 실내의 팬코일 유닛에서 공조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형 흡수식 에어컨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다수개 확산형 흡수식 냉동 수단에서 제너레이터 수단과 콘덴서 수단을 연결하는 가스 튜브에서 발생하는 폐열로 2차 확산형 흡수식 냉동 수단의 제너레이터 가열 수단을 구성하여 별도의 2차 확산형 흡수식 냉동수단을 구성하고, 2차 확산형 흡수식 냉동 수단의 증발기 외부에 부동액의 열교환 수단을 부가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형 흡수식 에어컨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2차 확산형 흡수식 냉동 장치에서 냉매수를 콘덴서의 열이나 흡수열로 예열하여 가스 튜브에서 다수개 모세 버블 튜브를 가열하여 냉매수를 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형 흡수식 에어컨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부동액 가열 장치를 부가하여 컨트롤 수단의 제어로 난방시에는 가열된 부동액을 팬코일 유닛에 순환시켜 온열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겸용 목적의 확산형 흡수식 에어컨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확산형 흡수식 냉동 수단을 구성하는 장치를 사각형의 판넬형태로 배열하여 냉각셀(Chiller Cell)화 하고, 최소 1개 또는 이상의 냉각셀 단위로 에어컨 시스템의 실외기를 구성하며, 판넬로 된 냉각 셀의 증감으로 냉동 용량을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형 흡수식 에어컨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확산형 흡수식 냉동 수단을 구성하는 냉각셀 장치를 다수개로 병렬로 배열하고 각 냉각셀의 증발기 튜브 외부에 구성된 부동액 열교환 장치의 부동액 진입구와 진출구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부동액을 순차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형 흡수식 에어컨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각 냉각셀의 제너레이터의 가열 수단을 원의 중심으로 하여 각 냉각셀을 방사형으로 구성하여 에어컨의 실외기를 원통형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형 흡수식 에어컨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확산형 흡수식 냉동 수단의 콘덴서 수단에서 생성된 액상의 냉매를 다수개 증발기 수단으로 분배하여 다수개의 냉각 사이클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형 흡수식 에어컨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확산형 흡수식 냉동 수단의 제너레이터 수단에서 다수개의 가스 튜브를 구성하여 냉각 채널을 다수개로 구성하여 냉각 사이클을 다수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형 흡수식 에어컨 시스템
  10. 확산형 흡수식 냉동기 시스템에 있어서,
    (1) 다수개의 버블튜브와 버블튜브에 대한 가열수단으로 구성된 1차 제너레이터와; 제너레이터에서 기화된 냉매를 액화하는 콘덴서 수단과; 콘덴서에 액화된 냉매를 확산하는 최소 1개 또는 이상의 증발기 수단과; 증발기 수단에서 확산된 냉매를 흡수하는 흡수 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 다수개의 확산형 흡수식 냉동 수단과;
    (2) 증발기 수단을 구성하는 각 증발기 튜브 외부에 별도의 부동액을 순환시키는 부동액 튜브를 "Tube in Tube" 방식으로 부설하여 튜브사이에서 부동액이 순환하도록 구성된 부동액과 증발기간의 열교환 수단과;
    (3) 열교환 수단에서 냉각된 부동액을 순환시키는 순환 펌프 수단과;
    (4) 1차 냉동수단에 온도 감지 센서를 부가하고, 1차 제너레이터 가열수단과 온도 감지센서 간에 중앙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제너레이터의 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형 흡수식 냉동기 시스템
  11. 냉매와 물과 가스를 사용하는 확산형 흡수식 냉동 사이클의 냉동기 시스템에 있어서,
    (1) 다수개의 버블튜브와 버블튜브에 대한 가열수단으로 구성된 제 1제너레이터와; 제1 제너레이터에서 발생한 가스가 통과하는 ∩자형의 가스 유입 수단과; 제1 제너레이터에서 기화된 1차 냉매를 액화하는 제1 콘덴서 수단과; 제1 콘덴서에 액화된 냉매를 확산하는 최소 1개 또는 이상의 증발기 수단과; 확산 수단에서 확산된 냉매를 흡수하는 흡수제 탱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 1차 냉동 수단과;
    (2) 제1 제너레이터 상부의 ∩자형 파이프에 접착한 최소 1개 또는 이상의 버블 튜브로 구성된 제2 제너레이터 수단과;
    (3) 제2 제너레이터 수단에서 기화된 냉매를 액화하는 제2 콘덴서 수단과;제2 콘덴서 수단에서 액화된 냉매를 기화하는 제2 증발기 수단과; 제2 확산수단에서 확산된 냉매를 흡수하는 제2 흡수 수단을 포함하는 2차 냉동수단으로 구성되어 제1제너레이터에서 발생하는 기화열을 ∩자형 튜브로 순환시켜 제2 제너레이터로 가동되는 2차 냉동수단과;
    (4) 1차 냉동수단의 증발기와 2차 냉동 수단의 증발기에서 부동액 순환 튜브를 증발기 튜브외부에 "Tube in Tube" 형태로 구성한 부동액 열교환 수단과;
    (5) 1차 냉동수단과 2차 냉동수단에 설치된 각 부동액 열교환 수단에서 부동액을 순차적으로 순환시켜 부동액을 냉각시키는 부동액 순환 펌프 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부동액을 순차 냉각시켜 냉열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형 흡수식 냉동기 시스템
  12. 확산형 흡수식 냉동기 시스템에서 2차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1) 버블튜브와 가열장치로 구성된 1차 제너레이터 상부의 가스 튜브를 ∩자형으로 구성하는 단계와;
    (2) ∩자형 튜브의 외부에 최소 1개 또는 이상의 2차 모세 버블 튜브를 부착하여 1차 제너레이터에서 기화된 가스의 열로 2차 버블 튜브를 가열하는 단계 포함하는 구성으로,
    1차 제너레이터 상부의 ∩자형 가스 튜브로 2차 버블 튜브를 가열하여 2차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형 흡수식 냉동기의 2차 냉동사이클 구성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1차 콘덴서 튜브의 외부에 별도의 튜브를 구성하여 콘덴서 튜브와 외부 튜브간에 2차 냉매수를 순환시켜 「Tube in Tube」 방식으로 2차 냉매수를 예열하여 2차 제너레이터 버블 튜브에 공급하는 예열 단계를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형 흡수식 냉동기의 2차 냉동 사이클 구성방법
  14. 확산형 흡수식 냉동기를 이용한 에어컨 시스템의 구성 방법에 있어서,
    (1) 제너레이터 수단과 콘덴서 수단과 최소 1개 또는 이상의 증발기 수단과 흡수 수단으로 구성되는 확산형 흡수식 냉동 장치에서 증발기 튜브의 저온부와 고온부에 각기 부동액 순환 튜브를 "Tube in Tube" 형으로 구성한 부동액 열교환 수단으로 구성된 흡수식 냉동기 장치를 판넬형으로 구성하여 이를 단위 냉동셀화 하는 단계와;
    (2) 단위 냉동 셀 다수개를 병렬로 배치하거나, 또는 다수개를 방사형으로 구성하고 다수개 냉동셀의 고온부 열교환 장치를 순환하며 1차 열교환된 부동액을 다수개 냉동셀의 저온부 열교환 장치로 순환시켜 부동액을 순차 냉각시키는 단계와;
    (3) 에어컨 실내기 팬코일 유닛의 숫자나 용량에 맞추어 각 냉동셀의 부동액 열교환 수단의 부동액 진입구와 진출구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에어컨의 실외기를 구성하는 단계와;
    (4) 위 실외기의 부동액 열교환 수단과 실내에 설치하는 하나 또는 이상의 팬코일 유닛간에 플렉시블 파이프나 호스로 연결하여 실외기와 실내기간에 부동액을 순환시켜 실내기 팬코일 유닛으로 냉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확산형 흡수식 냉동 장치를 셀화하여 셀의 증감으로 냉방 용량을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시스템 구성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부동액 가열 수단을 부가하여 실내의 팬코일 유닛에 유입하는 부동액을 가열하여 냉방 또는 난방을 겸용으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시스템 구성 방법
  16. 최소 1개 이상의 증발기 수단과, 버블펌프와 가열장치로 구성된 제너레이터 수단과, 제너레이터에서 기화된 가스를 응축하는 콘덴서 수단과, 증발기 수단에서 증발된 냉매가스를 흡수하는 흡수 수단과, 위의 각 수단을 연결하는 고압 튜브와, 제너레이터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제어 수단으로 구성된 확산형 흡수식 냉동 수단의 열교환 장치에 있어서,
    각 증발기 튜브 외부에 부동액 튜브를 「Tube in Tube」 형으로 구축하고 부동액 진입구와 진출구를 구성하여 부동액이 부동액 튜브와 증발기 튜브간에서 증발기 튜브 외부에 액체막(Fluid Film)형태로 흐르면서 증발기와 열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의 열교환 장치
  17. 최소 1개 이상의 증발기 수단과, 증발기 수단의 튜브 외부에서 부동액으로 열교환 하는 열교환 장치와, 버블펌프와 가열장치로 구성된 제너레이터 수단과, 제너레이터에서 기화된 가스를 응축하는 콘덴서 수단과, 증발기 수단에서 증발된 냉매가스를 흡수하는 흡수 수단과, 위의 각 수단을 연결하는 고압 튜브와, 제너레이터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제어 수단으로 구성된 확산형 흡수식 냉동 수단의 부동액 열교환 방법에 있어서,
    다수개 확산형 흡수식 냉동시스템의 각 열교환 장치의 부동액 진입구와 진출구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고 부동액을 순차적으로 순환시켜 부동액의 온도를 순차적으로 저하시키거나 부동액의 용량을 증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와 부동액 간의 열교환 방법
  18. 최소 1개 이상의 증발기 수단과, 버블펌프와 가열장치로 구성된 제너레이터 수단과, 제너레이터에서 기화된 가스를 증축하는 콘덴서 수단과, 증발기 수단에서 증발된 냉매가스를 흡수하는 흡수 수단과, 위의 각 수단을 연결하는 고압 튜브와, 제너레이터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제어 수단으로 구성된 확산형 흡수식 냉동 수단의 버블펌프 장치에 있어서,
    버블펌프를 다수개의 모세관으로 구성하여 외부 가열 수단에 의한 버블의 발생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 펌프 장치
KR1020040015654A 2004-03-08 2004-03-08 확산형 흡수식 냉각 방식의 에어컨 시스템과 장치 KR100548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654A KR100548822B1 (ko) 2004-03-08 2004-03-08 확산형 흡수식 냉각 방식의 에어컨 시스템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654A KR100548822B1 (ko) 2004-03-08 2004-03-08 확산형 흡수식 냉각 방식의 에어컨 시스템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296A KR20050090296A (ko) 2005-09-13
KR100548822B1 true KR100548822B1 (ko) 2006-02-06

Family

ID=37272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654A KR100548822B1 (ko) 2004-03-08 2004-03-08 확산형 흡수식 냉각 방식의 에어컨 시스템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882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296A (ko) 2005-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2693A (en) Absorption refrigeration and heat pump system
RU2125213C1 (ru) Генераторно-абсорбционный теплообменный аппарат для передачи теплоты и способ применения его в тепловом насосе
JP2001289465A (ja) 空気調和装置
CN102788447B (zh) 热泵空调系统
CA3230651A1 (en) Multi-split central air conditioning system for simultaneous cooling and heating
KR101042812B1 (ko) 2단 저온수 흡수식 냉동기
ES2836723T3 (es) Bomba de calor híbrida y su uso
CN111448425A (zh) 用于液体干燥剂空调系统的储罐系统
US6581405B2 (en) Airconditioning system utilizing absorption chiller cell
KR19990023967A (ko) 흡수식 냉동기
EP0725919A1 (en) Generator-absorber-heat exchange heat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and use thereof in a heat pump
KR100548822B1 (ko) 확산형 흡수식 냉각 방식의 에어컨 시스템과 장치
US20100251734A1 (en) Plant for heat-regulating a first fluid and a second fluid used for air-conditioning premises
CN102305496B (zh) 一种风冷热泵机组
KR20000064967A (ko) 발생기-흡수기-열교환열전달장치및방법과이를이용한열펌프
WO2007043952A1 (en) Heat exchanger device
CN210070284U (zh) 一种包含有多个冷热源换热器的热泵机组
CN108954899B (zh) 湿膜式低温型风冷热泵多联机组
KR20110056847A (ko) 보일러 병합형 히트펌프 시스템
CN105258261B (zh) 一种空气能空调热水系统
KR200240231Y1 (ko) 히트펌프를 이용한 냉난방장치
JP2580275B2 (ja) 吸収式冷凍機を用いた空気調和システム
KR100213780B1 (ko) 흡수식 냉난방기의 급탕시스템.
CN110726196B (zh) 一种空调冷液一体系统
CN107101412A (zh) 一种污水作为直接冷热源的热泵机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