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8151B1 - Input device for mobile display device easy to remote controlling - Google Patents

Input device for mobile display device easy to remote controll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8151B1
KR100548151B1 KR1020030054890A KR20030054890A KR100548151B1 KR 100548151 B1 KR100548151 B1 KR 100548151B1 KR 1020030054890 A KR1020030054890 A KR 1020030054890A KR 20030054890 A KR20030054890 A KR 20030054890A KR 100548151 B1 KR100548151 B1 KR 100548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portable display
user
setting key
in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48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17734A (en
Inventor
박진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4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8151B1/en
Publication of KR20050017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77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1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원격제어가 용이한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장치가 개시된다. 본 입력장치는, 터치패드를 구비하며, 호스트 컴퓨터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장치에 대한 것으로, 터치패드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 디스플레이장치와 접속되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되는 문자 및 도형을 표시하는 상태정보 표시부, 및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에 입력 가능한 명령 중 어느 하나에 맵핑되어, 사용자의 선택시에 명령을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가 수행하도록 하는 사용자 설정키를 갖는다. 이러한 입력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를 용이하게 인식 가능하며,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의 원격 제어가 간편하다.Disclosed is an input device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that can be easily controlled remotely. The input device includes an input device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pad and capable of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host computer. The input device is connected to a contact portion for contacting the touch pad and a display device, and receives status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A status informa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characters and figures corresponding thereto, and a user setting key mapped to any one of commands that can be input to the portable display device, to allow the portable display device to execute a command when a user selects the same. According to the input device,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state of the mobile display device, and the remote control of the mobile display device is easy.

스마트 디스플레이장치, 호스트 컴퓨터, 맵핑, 스타일러스펜, 원격제어Smart Display, Host Computer, Mapping, Stylus Pen, Remote Control

Description

원격제어가 용이한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장치{Input device for mobile display device easy to remote controlling}Input device for mobile display device easy to remote controll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펜과 스마트 디스플레이장치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nection between a stylus pen and a sma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타일러스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tylus pen shown in Figure 1,

도 3a는 스마트 디스플레이장치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3A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on a smart display device;

도 3b는 스마트 디스플레이장치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3B is a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on a smart display device;

도 3c는 스마트 디스플레이장치에 방송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된 예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3C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broadcast program is displayed on a smart display device; and

도 4는 호스트 컴퓨터에 저장된 맵핑 프로그램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다.4 illustrates an example of a mapping program stored in a host computer.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20 : 스타일러스펜 21 : 상태정보 표시부20: stylus pen 21: status information display unit

22a, 22b, 23a, 23b : 설정키 24 : 사용자 설정키22a, 22b, 23a, 23b: setting key 24: user setting key

25 : 전원키25: power key

본 발명은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의 원격제어가 용이한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put device for easy remote control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일반적으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의 편의성을 위해 디스플레이패널의 전면에 터치패널(touch panel)을 구비하는 경우가 많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패널에 구비되는 터치패널을 스타일러스펜(stylers pen)과 같은 입력장치로 누르고 터치패널은 눌러진 위치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러나, 터치패널에 의한 입력은 마우스나 키보드에 의한 입력에 비해 정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터치패널의 크기가 작은 경우, 정확성은 더욱 떨어진다. 한편, 근래에 호스트 컴퓨터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smart display)장치가 인텔社에 의해 제안된 바 있다. 스마트 디스플레이장치는 터치패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호스트 컴퓨터와 접속되어 사용되는 장치로 사용자가 터치패널을 직접 손가락으로 누르거나 상기한 스타일러스펜을 입력장치로 이용하고 있다. 스마트 디스플레이장치는 호스트 컴퓨터와 무선 통신을 수행시 장착된 배터리의 용량에 따라 사용 시간이 제한되며, 사용자가 배터리의 용량을 알고자 할때는 스타일러스펜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용량을 표시하는 프로그램을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스마트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설정, 예컨데, 디스플레이패널의 휘도, 명도, 및 색상조정을 수행할때도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스타일러스펜을 이용하여 디스플래 이패널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 또는 프로그램을 수행시켜야 한다. 이 외에도,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 예컨데, 메모 프로그램, 통신프로그램을 수행하고자 할때도, 작은 크기의 터치패널을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펜으로 눌러서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스마트 디스플레이장치나 PDA와 같은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의 원격 제어가 용이한 입력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In general, a mobile display device such as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s often provided with a touch panel on the front of the display panel for the convenience of input by the user. A user presses a touch panel provided on the display panel with an input device such as a stylus pen, and the touch panel generate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ssed position. However, the input by the touch panel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accuracy is lower than the input by the mouse or the keyboard, when the size of the touch panel is small, the accuracy is further reduced. Recently, a smart display device capable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host computer has been proposed by Intel. The smart display device is a device that is used to connect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touch panel to a host computer by wire or wirelessly, and a user presses the touch panel directly with a finger or uses the stylus pen as an input device. When the smart display device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host computer, the usage time is limited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battery installed. When the user wants to know the battery capacity, the user should execute a program for displaying the battery capacity using a stylus pen. . In addition, when performing screen setting of the smart display device, for example, adjusting brightness, brightness, and color of the display panel, a menu or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display panel using a stylus pen must be executed in the same manner. In addition, when a user frequently uses a function, for example, a memo program or a communication program,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pressing a small size touch panel with a finger or a stylus pen. 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intends to propose an input device for remote control of a mobile display device such as a smart display device or a PDA.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면서도,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의 원격 제어가 간편한 입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put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easily recognize a state of a mobile display device and is easy to remotely control a mobile display device.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터치패드를 구비하며, 호스트 컴퓨터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접속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되는 문자 및 도형을 표시하는 상태정보 표시부, 및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에 입력 가능한 명령 중 어느 하나에 맵핑되어, 사용자의 선택시에 상기 명령을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가 수행하도록 하는 사용자 설정키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put device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pad and capable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host computer, a contact portion for contacting the touch pad, and is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the display device A status information display unit for receiv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and displaying text and graphics correspon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and a command capable of being input to the portable display apparatus, so that the portable display apparatus executes the command upon user selection. Is achieved by a user setting key.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의 환경설정을 위한 설정값을 증감 시키는 제1설정키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first setting key for increasing or decreasing a setting value for setting an environment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프로그램폴더, 파일, 및 아이콘에 대한 편집메뉴를 팝-업 시키고 팝-업된 편집메뉴의 기능 중 어느 하나 를 선택하기 위한 제2설정키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second setting key for pop-upting an edit menu for a program folder, a file, and an icon displayed on the portable display device, and selecting one of the functions of the pop-up edit menu.

상기 상태정보 표시부는,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인가되는 배터리정보, 및 수신감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tatus information display unit displays battery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reception sensitivity applied from the portable display apparatus.

상기 호스트 컴퓨터는, 상기 사용자 설정키를 맵핑하기 위한 맵핑 프로그램을 구비하며, 상기 맵핑 프로그램은 상기 호스트 컴퓨터, 및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용자 설정키에 맵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st computer includes a mapping program for mapping the user setting key, and the mapping program preferably maps any one of instructions executable in the host computer and the portable display device to the user setting key. Do.

상기 맵핑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설정키에 대응되는 실행파일을 찾기 위한 서치메뉴 및 상기 실행파일을 선택하는 선택메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pping program may include a search menu for searching for an executable file corresponding to the user setting key and a selection menu for selecting the executable fil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펜과 스마트 디스플레이장치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1 schematically shows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stylus pen and a sma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트 컴퓨터(10)는 본체(13), 및 도킹스테이션(12)을 구비하며, 스마트 디스플레이장치(30)는 도킹스테이션(12)과 접속시 도킹스테이션(12)을 통해 호스트 컴퓨터(10)로부터 유선영상신호를 수신받고, 도킹스테이션(12)과 접속 해제시, 호스트 컴퓨터(10)로부터 무선영상신호를 수신받는다. 즉, 스마트 디스플레이장치(30)는 호스트 컴퓨터(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며, 호스트 컴퓨터(10)에서 처리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에 따라 스마트 디스플레이장치(30)는 호스트 컴퓨터(10)로부터 인가되는 유무선 영상신호를 인가받기 위한 유선모듈(미도시), 및 무선모듈(미도시)을 구비하며, 무선모 듈이 동작시에는 호스트 컴퓨터(10)에서 송신되는 무선영상신호의 신호감도를 측정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구비한다. 스타일러스펜(20)은 스마트 디스플레이장치(30)와 유선으로 접속되며, 스마트 디스플레이장치(30)의 유선모듈 및 무선모듈에서 발생하는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스타일러스펜(20)에 구비되는 LCD(미도시)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자주 사용되는 기능을 기억해 두었다가 스마트 디스플레이장치(30)를 원격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는 추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As shown, the host computer 10 includes a main body 13 and a docking station 12, and the smart display device 30 is connected to the docking station 12 through the docking station 12 when connected to the host computer. Receives a wired video signal from the host 10 and receives a wireless video signal from the host computer 10 when disconnected from the docking station 12. That is, the smart display device 30 is connected to the host computer 10 by wire or wirelessly, and has a function of displaying an image processed by the host computer 10. Accordingly, the smart display device 30 includes a wired module (not shown) and a wireless module (not shown) for receiving a wired / wireless video signal applied from the host computer 10. Hardware for measuring the signal sensitivity of the wireless vide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puter 10 is provided. The stylus pen 20 is connected to the smart display device 30 by wire, and receives the state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wired module and the wireless module of the smart display device 30 and is provided on the LCD (not shown). And display frequently used functions and then remotely control the smart display device 30.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타일러스펜(2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를 나타낸다.2 show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tylus pen 20 shown in FIG. 1.

도시된 스타일러스펜(20)은, 상태정보 표시부(21), 설정키(22a, 22b, 23a, 및 23b), 사용자 설정키(24), 및 전원키(25)를 갖는다.The illustrated stylus pen 20 has a status information display section 21, setting keys 22a, 22b, 23a, and 23b, a user setting key 24, and a power key 25.

상태정보 표시부(21)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며, 스마트 디스플레이장치(30)에 구비되는 배터리(미도시)용량이나 전계강도 정보와 같은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문자나 도형으로 나타낸다. 또한, 호스트 컴퓨터(10)나 스마트 디스플레이장치(30)에 방송채널에 따른 방송신호를 수신 가능한 튜너가 내장되는 경우, 수신중인 방송신호에 대한 채널번호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The status information display unit 21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or an organic EL (Electro Luminescence), and status information such as battery capacity or electric field strength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mart display device 30. Receive and represent it as a character or figure. In addition, when the host computer 10 or the smart display device 30 has a built-in tuner capable of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according to a broadcast channel, the channel number for the received broadcast signal may be displayed.

설정키(22a, 22b)는 사용자가 스마트 디스플레이장치(30)의 각종 환경설정값(예컨데 음량조절, 채널변경, 스마트 디스플레이장치의 휘도, 명도제어)을 증감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스마트 디스플레이장치(30)에 방송신호를 수신 가능한 튜너(미도시)가 내장된 경우, 설정키(22a, 22b)는 방송채널을 업-다운 하기 위한 채널 변경기능을 갖는다. 이에 따라, 스마트 디스플레이장치(30)에 구비되는 터치패널(미도시)을 스타일러스펜(20)으로 직접 눌러 채널변경을 위한 프로그램을 로딩(loading)후, 채널설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마찬가지로, 설정키(23a, 23b)가 음량을 조절하는 용도로 사용시, 음량설정을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을 로딩하지 않아도 된다.The setting keys 22a and 22b are used by the user to increase or decrease various environmental setting values (for example, volume control, channel change, brightness and brightness control of the smart display device) of the smart display device 30. When the smart display device 30 has a built-in tuner (not shown) capable of receiving broadcast signals, the setting keys 22a and 22b have a channel changing function for up-down broadcasting channels. Accordingly, the touch panel (not shown) included in the smart display device 30 is directly pressed by the stylus pen 20 to load a program for changing the channel, and thus the channel setting is not necessary. Similarly, when the setting keys 23a and 23b are used for adjusting the volume, there is no need to load a separate program for volume setting.

설정키(23a, 23b)는 스마트 디스플레이장치(30)에 표시된 운영체제가 윈도우즈 계열인 경우, 프로그램폴더, 파일, 및 아이콘에 대한 편집메뉴를 팝-업(pop-up) 시키고 팝-업된 편집메뉴의 기능 (예컨데, 삭제, 복사, 열기, 및 등록정보등)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기능을 갖는다.The setting keys 23a and 23b pop-up the edit menus for program folders, files, and icons when the operating system displayed on the smart display device 30 is a Windows series. It has a function of selecting one of the functions (e.g., delete, copy, open, and register information).

사용자 설정키(24)는 호스트 컴퓨터(10)에 내장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형태의 맵핑 프로그램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1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이나 스마트 디스플레이장치(30)를 제어 가능한 프로그램을 호출할때 사용된다. 예컨데, 사용자가 주소나 일정관리를 위해 메모 프로그램을 자주 이용하는 경우, 맵핑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자 설정키(24)를 메모 프로그램에 대응시킴으로서, 사용자는 사용자 설정키(24)를 한번 누르는 동작에 의해 스마트 디스플레이장치(30)를 통해 메모 프로그램의 수행 결과를 볼 수 있다. 여기서, 메모 프로그램은 호스트 컴퓨터(10)에 구비되는 저장매체(미도시)(예컨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저장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다른 한편, 사용자가 스마트 디스플레이장치(30)의 화면설정(컬러조정, 휘도조정, 명도조정)을 자주 실행하는 경우, 상기한 맵핑 프로그램에 의해 스마트 디스플레이장치(30)를 제어하는 제어프로그램을 로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설정키(24)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스타일러스펜(20)에 의해 구동 시킴으로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The user setting key 24 may call an application stored in the host computer 10 or a program capable of controlling the smart display device 30 by a mapping program in the form of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embedded in the host computer 10. When used. For example, if the user frequently uses the memo program for address or schedule management, by mapping the user setting key 24 to the memo program by the mapping program, the user can display the smart display by pressing the user setting key 24 once. The execution result of the memo program may be viewed through the device 30. Here, the memo program refers to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a storage medium (not shown) (for example, a hard disk drive) provided in the host computer 10.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frequently performs screen setting (color adjustment, brightness adjustment, brightness adjustment) of the smart display device 30, the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the smart display device 30 is loaded by the mapping program. It may be. In this way, the user setting key 24 facilitates access to a function (or program) frequently used by the user by driving a function frequently used by the user by the stylus pen 20.

전원키(25)는 스마트 디스플레이장치(30)의 전원을 온-오프 한다. 스타일러스펜(20)은 유선으로 접속된 스마트 디스플레이장치(3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이 가능하므로 스타일러스펜(20)의 전원은 스마트 디스플레이장치(30)와 연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필기구의 형상을 갖는 스타일러스펜(20)의 후단에 배치된 전원키(25)를 누르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스마트 디스플레이장치(30)의 전원을 편리하게 온-오프 할 수 있다.The power key 25 turns on / off the power of the smart display device 30. Since the stylus pen 20 may be drive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smart display device 30 connected by wire, the power of the stylus pen 20 may be linked with the smart display device 30. Accordingly, the power of the smart display device 30 can be conveniently turned on and off by a simple operation of pressing the power key 25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stylus pen 20 having the shape of a writing instrument.

도 3a는 스마트 디스플레이장치(30)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3A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on the smart display device 30.

화면(100)에는 윈도우즈 계열의 운영체제에 따른 프로그램 폴더, 및 아이콘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스타일러스펜(20)으로 화면(100)에 커서(103)를 위치시키고 설정키(23b)를 누르면 화면(100)에는 편집메뉴(102)가 팝-업 되어 나타난다. 사용자는 팝-업된 편집메뉴(102)중 원하는 기능(예컨데 아이콘정렬, 등록정보등)이 디스플레이된 영역에 스타일러스펜(20)을 대고 설정키(23a)를 누름으로서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터치패널에 과도한 힘을 가하지 않아도 된다. 종래에 이와 같은 동작을 하기 위해서는 터치패널을 구비하는 화면을 소정 횟수 두드려서 팝-업 메뉴를 호출해야 했으나 본 발명의 스타일러스펜은 설정키(23b)를 누르는 동작에 의해 수행 가능하다.The screen 100 shows a program folder and an icon according to the Windows-based operating system. When the user places the cursor 103 on the screen 100 with the stylus pen 20 and presses the setting key 23b, the edit menu 102 pops up on the screen 100. The user can select the pop-up editing menu 102 by pressing the setting key 23a with the stylus pen 20 in an area where a desired function (eg, icon alignment, registration information, etc.) is displayed. Accordingly, the user does not have to apply excessive force to the touch panel. Conventionally, in order to perform such an operation, a pop-up menu has to be called by tapping a screen having a touch panel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but the stylus pe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by pressing the setting key 23b.

도 3b는 스마트 디스플레이장치(30)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3B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on the smart display device 30.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화면(100)에 도시된 방송 프로그램(MY TV)에 대한 아이콘(101a)에 스타일러스펜(20)을 대고 설정키(23b)를 눌러 편집메뉴(102)를 로드한 후, 아이콘(101a)에 대응되는 방송 프로그램(MY TV)을 수행하거나, 아이콘(101a)을 삭제할 수 있다.As shown, the user places the stylus pen 20 on the icon 101a for the broadcast program (MY TV) shown on the screen 100 and presses the setting key 23b to load the edit menu 102. , A broadcast program (MY TV) corresponding to the icon 101a may be performed, or the icon 101a may be deleted.

도 3c는 스마트 디스플레이장치(30)에 방송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일 예를 나타낸다.3C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broadcast program is executed on the smart display device 30.

스마트 디스플레이장치(30)에 방송 시청을 위한 튜너(미도시)가 내장되는 경우, 아이콘(101a)를 눌러 방송 프로그램을 수행하면 도시된 바와 같은 방송 프로그램이 화면(100)에 나타난다. 이때, 사용자는 스타일러스펜(20)에 구비된 설정키(23a, 23b)를 눌러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스마트 디스플레이장치(30)에 방송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될때는 윈도우즈 계열의 바탕화면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설정키(23a, 23b)는 채널 변경을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설정키(22a, 22b)는 화면(100)에 디스플레이된 방송 프로그램의 음량을 조절하는 키로 사용된다.When a tuner (not shown) for viewing a broadcast is built in the smart display device 30, when the icon 101a is executed to perform a broadcast program, the broadcast program as shown in the figure is displayed on the screen 100. At this time, the user can change the channel by pressing the setting keys (23a, 23b) provided in the stylus pen (20). When the broadcast program is displayed on the smart display device 30, the windows-based background screen does not appear, so the setting keys 23a and 23b may be used for changing channels. In this case, the setting keys 22a and 22b are used as keys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broadcast program displayed on the screen 100.

도 4는 호스트 컴퓨터(10)에 저장된 맵핑 프로그램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다.4 illustrates an example of a mapping program stored in the host computer 10.

도시된 맵핑 프로그램은 사용자 정의메뉴(111), 찾아보기 메뉴(112), 및 사용자 설정키(24)에 대응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기 위한 설정키(114)를 구비한다.The illustrated mapping program includes a user defined menu 111, a browse menu 112, and a setting key 114 for selecting a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user setting key 24.

사용자 정의메뉴(111)는 스타일러스펜(20)을 생산하는 생산자가 제공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단축아이콘 정보를 구비한다. 예컨데, 생산자는 사용자가 많이 사용하리라고 판단되는 응용 프로그램(인터넷 익스플로러 프로그램, 및 문서작성 프로그램등)에 대한 단축아이콘 정보를 사용자 정의메뉴(111)에 내장시킨다. 사용자는 사용자 정의메뉴(111)에 구비되는 풀다운 메뉴실행키(111a)를 눌러 기 내장된 단축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선택 후, 설정키(114)를 눌러 사용자 설정키(24)를 선택된 단축아이콘에 맵핑시킨다.The user-defined menu 111 includes shortcut ic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function provided by the producer producing the stylus pen 20. For example, the producer embeds the shortcut information for the application (Internet Explorer program, document creation program, etc.) that the user is likely to use a lot in the user-defined menu (111). The user presses a pull-down menu execution key 111a provided in the user-defined menu 111 to select one of the built-in shortcut icons, and then presses the setting key 114 to set the user setting key 24 to the selected shortcut icon. Map it.

찾아보기 메뉴(112)는 사용자 정의메뉴(111)에 설정되지 않은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자 설정키(24)에 맵핑시키고자 할때 사용되는 키로, 찾아보기 메뉴(112)를 누르면 호스트 컴퓨터(10)에 인스톨(install)되어 있는 프로그램 목록(113)이 화면(100)에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프로그램 목록(113)에서 원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찾아서 선택 후, 설정키(114)를 눌러 사용자 설정키(24)와 맵핑시키면 된다. 이와 같은 맵핑에 의해 사용자는 자주 사용하는 기능(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 설정키(24)를 통해 손쉽게 호출할 수 있다.The browse menu 112 is a key used to map an application not set in the user defined menu 111 to the user setting key 24. When the browse menu 112 is pressed, the browse menu 112 is entered into the host computer 10. The installed program list 113 is displayed on the screen 100. The user may find and select a desired program or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program in the displayed program list 113, and then press the setting key 114 to map the user setting key 24. By this mapping, the user can easily call frequently used functions (applications) through the user setting key 24.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를 용이하게 인식 가능하며,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의 원격 제어가 간편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펜에 구비되는 설정키를 눌러 원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서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에 구비되는 터치패널을 일일이 눌러서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 비해 매우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user to easily recognize the state of the mobile display device, and the remote control of the mobile display device is easy. Therefore, the user can perform a desired function by pressing a setting key provided in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a method of performing a desired function by pressing the touch panel provided in the mobile display device one by on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Any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s well as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Claims (6)

터치패드를 구비하며, 호스트 컴퓨터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장치에 있어서,An input device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pad and capable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host computer, 상기 터치패드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A contact unit for contacting the touch pad;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접속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되는 문자 및 도형을 표시하는 상태정보 표시부; 및A status information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display apparatus and configured to receive status inform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text and graphics corresponding thereto; And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에 입력 가능한 명령 중 어느 하나에 맵핑되어, 사용자의 선택시에 상기 명령을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가 수행하도록 하는 사용자 설정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용이한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장치.And a user setting key mapped to any one of commands that can be input to the portable display device, so that the portable display device executes the command when a user selects the portable display device. Input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의 환경설정을 위한 설정값을 증감 시키는 제1설정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용이한 휴대용 디스플레이장 치의 입력장치.And a first setting key for increasing or decreasing a setting value for setting a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프로그램폴더, 파일, 및 아이콘에 대한 편집메뉴를 팝-업 시키고 팝-업된 편집메뉴의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제2설정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용이한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장치.And a second setting key for pop-upting an edit menu for a program folder, a file, and an icon displayed on the portable display device, and selecting one of the functions of the pop-up edit menu. Input device of portable display device for easy remote contro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태정보 표시부는,The state information display unit,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인가되는 배터리정보, 및 수신감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용이한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장치.An input device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with easy remote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the battery information, and the received sensitivity information applied from the portable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호스트 컴퓨터는,The host computer, 상기 사용자 설정키를 맵핑하기 위한 맵핑 프로그램을 구비하며, 상기 맵핑 프로그램은 상기 호스트 컴퓨터, 및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용자 설정키에 맵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용이한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장치.And a mapping program for mapping the user setting key, wherein the mapping program maps any one of commands executed in the host computer and the portable display device to the user setting key. Easy input device for portable display devic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맵핑 프로그램은,The mapping program, 상기 사용자 설정키에 대응되는 실행파일을 찾기 위한 서치메뉴; 및A search menu for searching for an execution file corresponding to the user setting key; And 상기 실행파일을 선택하는 선택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용이한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장치.And a selection menu for selecting the executable file.
KR1020030054890A 2003-08-08 2003-08-08 Input device for mobile display device easy to remote controlling KR1005481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4890A KR100548151B1 (en) 2003-08-08 2003-08-08 Input device for mobile display device easy to remote controll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4890A KR100548151B1 (en) 2003-08-08 2003-08-08 Input device for mobile display device easy to remote controll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734A KR20050017734A (en) 2005-02-23
KR100548151B1 true KR100548151B1 (en) 2006-02-02

Family

ID=37227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4890A KR100548151B1 (en) 2003-08-08 2003-08-08 Input device for mobile display device easy to remote controll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815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748B1 (en) * 2013-01-29 2020-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inputting for character in flexible display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734A (en) 2005-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0271B2 (en) Method of inputting user command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US9665384B2 (en) Aggregation of computing device settings
EP2720132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7667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home screen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US201801012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creens in a portable terminal
EP2282259B1 (en) User interface method used in web browsing,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JP5259444B2 (en) Computer-implemented display, graphical user interface, design and method characterized by scrolling
US20040239637A1 (en) Destination shortcuts
EP2264579A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screen image
EP2154603A2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method, and program
US20090128504A1 (en) Touch screen peripheral device
US20090164930A1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transferring object between two display unit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00134432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user interface
TW20122987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sture recognition
EP2045789A2 (en)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WO200908480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by using touch screen
US10453425B2 (en) Information display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displaying method
US20110050613A1 (en) Method of using electronic book device as touch input device and device thereof
JP4960325B2 (en) Imag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mage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image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s recorded
US20040041847A1 (en) On-screen scrolling position method
KR100548151B1 (en) Input device for mobile display device easy to remote controlling
JP402793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080088584A1 (en) Computer input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device
TWI419044B (en) Electronic reader and method for implementing page turning thereof
JP2015210504A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