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7886B1 -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portable wireless terminal - Google Patents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portable wireless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7886B1
KR100547886B1 KR1020020056156A KR20020056156A KR100547886B1 KR 100547886 B1 KR100547886 B1 KR 100547886B1 KR 1020020056156 A KR1020020056156 A KR 1020020056156A KR 20020056156 A KR20020056156 A KR 20020056156A KR 100547886 B1 KR100547886 B1 KR 100547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locking
locking device
wireless terminal
portable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61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18075A (en
Inventor
송현명
김재식
위종천
최환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0/629,297 priority Critical patent/US7476462B2/en
Publication of KR20040018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80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8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배터리팩의 일단을 소정의 지지돌기를 사용하여 단말기 본체의 지지홈에 걸리도록 한 후 배터리팩을 슬라이딩시키지 않고 단말기 본체의 안착면에 밀착시키는 방식에 적용하면서 누름버튼을 적용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로킹 장치는 배터리팩을 탈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톱 등에 발생할 수 있는 부상의 위험을 방지하게 되었으며, 로킹 장치의 수평이동에 따른 공간을 별도로 확보할 필요가 없으므로 외관 디자인에서의 융통성을 확보하게 되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and one end of the battery pack is caught in the support groove of the terminal body using a predetermined support protrusion, and then close to the seating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without sliding the battery pack. The push button was applied while applying to the method. The locking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revents the risk of injuries that may occur on the user's nails in the process of detaching the battery pack, and does not need to secure a space according to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locking device. Secured.

무선 단말기, 배터리팩, 로킹 장치Wireless Terminals, Battery Packs, Locking Devices

Description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 장치 {BATTERY PACK LOCKING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Battery pack locking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BATTERY PACK LOCKING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팩 로킹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a battery pack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는 종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팩 로킹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a battery pack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팩 로킹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a battery pack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배터리팩 로킹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shown in FIG.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배터리팩 로킹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shown in FIG.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shown in FIG. 3;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라인 A-A'을 따라 배터리팩이 로킹된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battery pack is locked along a line A-A 'shown in FIG. 6;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라인 A-A'을 따라 배터리팩 로킹 장치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is cut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라인 B-B'을 따라 배터리팩 로킹 장치를 절개한 모습 을 나타내는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is cut along the line B-B 'shown in FIG.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라인 A-A'을 따라 배터리팩의 로킹이 해제된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in which the battery pack is unlocked is cut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6;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배터리팩 로킹 장치의 로킹 해제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라인 A-A'을 따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cutting along a line A-A 'to explain a unlocking operation of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shown in FIG. 6;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배터리팩 로킹 장치의 로킹 해제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라인 B-B'을 따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FIG. 6 is cut along a line B-B 'to explain an unlocking operation;

도 13은 도 6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이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attery pack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illustrated in FIG. 6 is separated;

도 14는 도 6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이 분리되는 모습을 라인 A-A'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ttery pack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illustrated in FIG. 6, taken along a line A-A ';

도 15는 도 6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이 분리되는 모습을 라인 B-B'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ttery pack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illustrated in FIG. 6, taken along a line B-B ';

도 16은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지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 16 is a view for explaining a battery pack support structure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shown in FIG. 3;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팩 로킹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a battery pack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배터리팩의 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1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ttom surface of the battery pack shown in FIG. 17;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배터리팩 로킹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1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illustrated in FIG. 17;

도 20은 도 17에 도시된 배터리팩 로킹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shown in FIG. 17;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배터리팩 로킹 장치의 버튼을 나타내는 사시도,2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tton of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shown in FIG. 19;

도 22는 도 17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FIG. 2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shown in FIG. 17;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라인 C-C'을 따라 배터리팩이 로킹된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FIG. 2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in which a battery pack is locked along a line C-C 'shown in FIG. 22;

도 24는 도 22에 도시된 라인 D-D'을 따라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2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is cut along the line D-D 'shown in FIG. 22;

도 25는 도 22에 도시된 배터리팩 로킹 장치의 로킹 해제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라인 C-C'을 따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FIG. 2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attery pack locking device is cut along a line C-C 'to explain an unlocking operation of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shown in FIG. 22;

도 26은 도 22에 도시된 배터리팩 로킹 장치의 로킹 해제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라인 D-D'을 따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FIG. 2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cutting along a line D-D ′ to explain an unlocking operation of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shown in FIG. 22;

도 27은 도 22에 도시된 배터리팩 로킹 장치의 로킹 해제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라인 C-C'을 따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FIG. 2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pack locking apparatus is cut along the line C-C ′ to explain the unlocking operation of the battery pack locking apparatus shown in FIG. 22;

도 28은 도 22에 도시된 배터리팩 로킹 장치의 로킹 해제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라인 D-D'을 따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FIG. 2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cutting along a line D-D ′ in order to explain an unlocking operation of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illustrated in FIG. 22;

도 29는 도 22에 도시된 배터리팩 로킹 장치의 로킹 해제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라인 C-C'을 따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FIG. 2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is cut along the line C-C ′ to explain the unlocking operation of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shown in FIG. 22;

도 30은 도 22에 도시된 배터리팩 로킹 장치의 로킹 해제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라인 D-D'을 따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FIG. 3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cutting along a line D-D ′ in order to explain an unlocking operation of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illustrated in FIG. 22.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기 본체의 후면 상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배터리팩의 로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cking device of a battery pack mounted on the rear of the terminal body to be detachable.

통상적으로, 휴대용 무선단말기는 전원공급원으로 본체의 후면 상에 배터리팩(Battery Pack)이 장착된다. 상기 배터리팩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소정의 로킹 장치에 의해 로킹된다.Typically,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is a battery pack (Battery Pack) is mounted on the back of the main body as a power supply. The battery pack is locked by a predetermined locking device installed in the main body.

상기 배터리팩 장착방식으로는 상기 배터리팩의 일단을 일정 지지돌기를 사용하여 단말기 본체의 지지홈에 걸리도록 한 후 상기 배터리팩을 단말기 본체의 안착면에 밀착시킴으로써 로킹되는 방식과, 본체의 후면 상에 소정의 가이드리브에 의해서 슬라이딩 장착되는 방식, 두 가지를 사용하고 있다.In the battery pack mounting method, one end of the battery pack is locked to the support groove of the terminal body by using a predetermined support protrusion, and the battery pack is locked by closely contacting the seating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wo types are used, which are slidably mounted by predetermined guide ribs.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팩 로킹 장치(16)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팩 로킹 장치(16)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단말기는, 상부 케이싱 프레임(12)과 하부 케이싱 프레임(11)으로 구성된 본체(10)의 후면, 즉 하부 케이싱 프레임(11) 상에 배터리팩(14)이 장착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a battery pack locking device 16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a battery pack locking device 16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main body 10 includes an upper casing frame 12 and a lower casing frame 11. The battery pack 14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that is, the lower casing frame 11.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11)의 후면 상에는 소정의 안착면(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면(13)의 일단에는 접속단자가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장착되는 배터리팩(14)을 고정시키기 위한 로킹 장치(16)가 설치된다.A predetermined seating surface 13 is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lower casing frame 11, one end of the seating surface 13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connector, and the other end of the battery pack 14 is fixed. A locking device 16 is installed to make it work.

또한, 상기 배터리팩(14)의 상기 본체(10)의 안착면(13)과 접촉하는 면의 일단에는 상기 본체(10)의 후단에 걸리기 위한 지지돌기(15)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지지돌기(15) 상응하도록 상기 본체(10)의 후면 상에는 상기 지지돌기(15)가 삽입될 수 있는 지지홈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support protrusion 15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urface of the battery pack 14 in contact with the seating surface 13 of the main body 10 to catch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10.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a support groove in which the support protrusion 15 may be inserted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correspond to the support protrusion 15.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터리팩(14)을 본체(10)에 장착할 경우, 우선 배터리팩(14)의 지지돌기(15)를 상기 본체(10)의 후면 상에 형성된 지지홈에 삽입시킨 후, 상기 지지돌기(15)를 중심으로 본체(10)의 안착면(13) 방향으로 내리게 되면 상기 배터리팩(14)의 지지돌기(15)와 대향되는 방향에 형성된 홈(미도시)상에 상기 로킹 장치(16)의 후크(17)가 걸리게 된다. 즉, 상기 배터리팩(14)은 상기 지지돌기(15)와 로킹 장치(16)에 의해 단말기 본체(10) 상에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다.When the battery pack 14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mounted on the main body 10, first, the support protrusion 15 of the battery pack 14 is inserted into a support groov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he locking device is disposed on a groove (not shown)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upport protrusion 15 of the battery pack 14 when the support protrusion 15 is lowered toward the seating surface 13 of the main body 10. The hook 17 of 16 is caught. That is, the battery pack 14 is firmly fixed on the terminal body 10 by the support protrusion 15 and the locking device 16.

한편, 상기 배터리팩(14)을 본체(10)에서 분리시킬 경우, 상기 로킹 장치(16)를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우선 로킹 장치(16)의 후크(17)를 분리하여 상기 배터리팩(14)을 이탈시킨 후, 지지돌기(15)를 본체(10)에서 이탈시키면 분리가 완료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attery pack 14 is removed from the main body 10, the locking device 16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to first remove the hook 17 of the locking device 16 to the After the battery pack 14 is separated, the support protrusion 15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 to complete the separation.

그러나, 상기와 같이 수직으로 착탈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팩 로킹 장치는 로킹 장치를 수평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사용자는 손톱을 이용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손톱이 손상되어 부상을 입을 위험이 있어 배터리팩을 분리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로킹 장치의 수평이동에 따른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단말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 상에 홈을 형성하는 등 외관 디자인의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configured to be detachably mounted vertically uses a fingernail to move the locking device horizontally, and in this process, the fingernail may be damaged and injured to separate the battery pack. It is difficult.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esign of the exterior is restricted, such as forming a groove on the lower casing frame in order to secure a space according to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locking device.

도 2는 종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팩 로킹 장치(27)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팩 로킹 장치(27)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단말기는, 상부 케이싱 프레임(22)과 하부 케이싱 프레임(21)으로 구성된 본체(20) 상에 배터리팩(24)이 장착된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having a battery pack locking device 27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a battery pack locking device 27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is provided on a main body 20 including an upper casing frame 22 and a lower casing frame 21. The battery pack 24 is mounted.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21) 상에는 소정의 안착면(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면(23)의 일단에는 배터리팩(24)을 고정시키기 위한 로킹 장치(27)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팩(24)을 상기 로킹 장치(27)까지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리브(26)가 상기 안착면(23)의 양측면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면(23)에 형성된 가이드리브(26)와 상응한 상기 배터리팩(24)의 양측면상에는 상기 안착면(23) 상의 가이드리브(26)와 결합가능한 가이드리브(25)가 각각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A predetermined seating surface 23 is formed on the lower casing frame 21, and a locking device 27 for fixing the battery pack 24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seating surface 23. In addition, at least one guide rib 26 for guiding the battery pack 24 to the locking device 27 is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seating surface 23, and is formed on the seating surface 23. On both sides of the battery pack 24 corresponding to the guide ribs 26, the guide ribs 25, which are engageable with the guide ribs 26 on the seating surface 23, are form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는 배터리팩(24)을 상기 안착면(23)에 밀착시킨 후, 배터리팩(24)을 수평방향으로, 즉 상기 안착면(23)의 일단에 설치된 로킹 장치(27)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배터리팩(24)을 슬라이딩시켜 로킹이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로킹 장치(27)는 수직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며, 상기 배터리팩(24)이 밀착되면 상기 로킹 장치(27)에 형성된 후크(28)가 상기 배터리팩(24)에 형성된 홈(미도시)에 로킹되어 상기 배터리팩(24)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로킹 장치(27)를 누르고 상기 로킹 장치(27)로부터 배터 리팩(24)을 이탈시킨 후 배터리팩(24)을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배터리팩(24)은 안착(23)면으로부터 분리된다.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locks the battery pack 24 to the seating surface 23, and then locks the battery pack 24 in a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at one end of the seating surface 23. 27 is configured to slide by sliding the battery pack 24 in the direction in close contact with. At this time, the locking device 27 move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when the battery pack 24 is in close contact, a groove (not shown) in which the hook 28 formed in the locking device 27 is formed in the battery pack 24. Locked in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battery pack 24. Meanwhile, the battery pack 24 is separated from the seating 23 surface by pressing the locking device 27 and detaching the battery pack 24 from the locking device 27 and then lifting the battery pack 24. .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터리팩 로킹 장치는 안착면 및 배터리팩에 각각 상응하게 형성된 가이드리브가 쉽게 마모되어 배터리팩의 밀착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단말기 전원의 안정적인 공급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stable supply of terminal power is difficult because guide rib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surface and the battery pack are easily worn and thus the contact state of the battery pack is difficult to maintain.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을 분리하기 용이한 로킹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cking device that is easy to remove the battery pack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팩의 로킹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cking device of the battery pack for the stable power supply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 케이싱 프레임 상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배터리팩을 로킹시키기 위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수직으로 유동하며, 제1로킹 해제 부가 구비된 버튼과;
상기 버튼에 인접한 측벽에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으로부터 배터리팩 방향으로 돌출된 로킹부와;
상기 배터리팩의 일단에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설치된 탄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에는 상기 버튼이 수직으로 유동함에 따라 상기 제1로킹 해제부의 누름작용을 받는 제2로킹 해제부와, 상기 제2 로킹 해제부에 인접하며 상기 로킹부와 맞물려 상기 배터리팩의 로킹 상태를 유지시키는 로킹 구속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로킹 해제부의 누름작용에 의해 상기 탄성부가 후퇴함에 따라 상기 로킹 구속부가 후퇴하여 상기 로킹부와의 로킹이 해제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 장치를 개시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for locking a battery pack mounted vertically on the lower casing frame,
A button installed on the lower casing frame and vertically flowing and having a first unlocking part;
A locking part protruding from the lower casing frame in a battery pack direction on a side wall adjacent to the button;
One end of the battery pack is provided with an elastic portion is installed elastically,
The elastic part includes a second unlocking part that is pressed by the first unlocking part as the button flows vertically, and a locking state of the battery pack adjacent to the second unlocking part and engaged with the locking part. Retaining locking constraints are formed,
Disclosed is a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in which the locking restraint part is retracted and the locking with the locking part is released as the elastic part is retracted by the pressing action of the first unlocking par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팩 로킹 장치(200)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단말기(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팩 로킹 장치(200)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단말기(100)는, 상부 케이싱 프레임(101)과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으로 구성된 본체의 안착면(110) 상에 배터리팩(160)이 장착된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100 equipped with a battery pack locking device 2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100 equipped with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casing frame 101 and a lower casing frame 102. The battery pack 160 is mounted on the seating surface 110 of the configured main body.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단말기(100)의 배터리팩 로킹 장치(200)는 배터리팩(160)의 일단에 형성된 지지돌기(163)를 사용하여 단말기(100) 본체의 지지홈(미도시)에 걸리도록 한 후 상기 배터리팩(160)을 단말기(100)의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 상의 안착면(110)에 밀착시킴으로써 로킹되는 방식에 적용된다.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200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100 shown in FIG. 3 uses a support protrusion 163 formed at one end of the battery pack 160 in a support groove (not shown) of the main body of the terminal 100. After the hook, the battery pack 160 is locked to the seating surface 110 on the lower casing frame 102 of the terminal 100.

따라서, 상기 배터리팩(160)의 일단에는 지지돌기(163)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면(110)의 소정 위치에 상기 지지돌기(163)와 상응하는 지지홈이 형성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팩(160)이 상기 안착면(110) 상에 완전히 밀착되었을 때, 상기 지지돌기(163)는 상기 지지홈에 의해 가압된다. 상기 배터리팩(160)이 안 착면(110)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팩(160)의 로킹 장치(200)가 해제되면 상기 지지홈이 상기 지지돌기(163)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배터리팩(160)은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탈하게 된다.Therefore, one end of the battery pack 160 is provided with a support protrusion 163, and a support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rotrusion 163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eating surface 110. Referring to FIG. 16, when the battery pack 160 is completely in contact with the seating surface 110, the support protrusion 163 is pressed by the support groove. When the locking device 200 of the battery pack 160 is released while the battery pack 16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ating surface 110, the support groove presses the support protrusion 163 so that the battery pack ( 160 is separated from the lower casing frame 102 by a predetermined height.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배터리팩 로킹 장치(200)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배터리팩(160)이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의 안착면(110)에 결속되었을 때의 로킹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배터리팩 로킹 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 장치(200)는 단말기 본체의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 상에 수직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210), 상기 버튼(210)과 인접하도록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으로부터 돌출된 로킹 돌기(213) 및 상기 버튼(210)에 상응하도록 배터리팩(160) 상에 설치되는 로킹 리브(260)로 구성된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200 illustrated in FIG. 3, and illustrates a locking state when the battery pack 160 is attached to the seating surface 110 of the lower casing frame 102.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200 shown in FIG. 3. 4 and 5,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200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be vertically movable on the lower casing frame 102 of the terminal body A button 210, a locking protrusion 213 protruding from the lower casing frame 102 to be adjacent to the button 210, and a locking rib installed on the battery pack 160 to correspond to the button 210. 260).

상기 버튼(210)은 내측면 중심에서 연장되어 탄성체를 지지하는 지지대(215),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버튼(210)의 수직이동을 가이드하면서 상기 버튼(210)의 이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의 스토퍼(217a, 217b)가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버튼(210)의 외주면 일측,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튼(210)을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에 장착하였을 때 안착면(110)을 향하는 상기 버튼(210)의 외주면에서 상기 버튼(210)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로킹해제 돌기(211)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로킹해제 돌기(211)는 상기 안착면(110)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곡면 형상이다. 상기 버튼(210)은 상기 단말기(100)의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 상에 설치되어 배터리팩(160)의 로킹을 해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button 210 extends from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to support the elastic body 215, and extends in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button 210 while limiting the movement range of the button 210 At least two stoppers 217a and 217b having an outwardly bent shape are provided. In addition, the button 210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tton 210 toward the seating surface 110 wh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tton 210 is mounted on one side, preferably the button 210 is mounted on the lower casing frame 102. The first unlocking projection 21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is provided. The first unlocking protrusion 211 has a curved shape protru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ating surface 110. The button 210 is installed on the lower casing frame 102 of the terminal 100 to release the locking of the battery pack 160.

상기 로킹 돌기(213)는 상기 버튼(210)과 인접하도록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으로부터 안착면(110)을 향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는데, 도시된 로킹 돌기(213)는 상기 버튼(210)의 양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로킹 돌기(213)는 상기 배터리팩(160)이 로킹되었을 때 결속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직사각형과 같은 각이 진 형상이어야 한다. The locking protrusion 213 protrudes at least one from the lower casing frame 102 toward the seating surface 110 such that the locking protrusion 213 is adjacent to the button 210. The locking protrusion 213 shown in FIG. It is formed on both sides. The locking protrusion 213 should have an angled shape such as a rectangle to provide a binding force when the battery pack 160 is locked.

상기 로킹 리브(260)는 상기 배터리팩(160)의 타단에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로킹 리브(260)에는 상기 제1 로킹해제 돌기(211)에 상응하는 제2 로킹해제 돌기(261)와, 상기 제2 로킹해제 돌기(261)에 인접하며 상기 로킹 돌기(213)에 상응하는 로킹 후크(263)가 구비된다. 상기 제2 로킹해제 돌기(261)는 상기 버튼(210)의 수직이동에 따라 상기 제1 로킹해제 돌기(211)의 누름작용을 받게되어 상기 로킹 리브(260)를 후퇴시키게 된다. 상기 로킹 후크(263)는 상기 로킹 돌기(213)와 맞물려 배터리팩(160)의 로킹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버튼(210)을 누름으로써 상기 로킹 리브(260)가 후퇴하면 상기 로킹 후크(263)도 후퇴하면서 로킹 돌기(213)와의 로킹이 해제되는 것이다. The locking rib 260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battery pack 160 to allow elastic deformation. The locking rib 260 has a second unlocking protrusion 261 corresponding to the first unlocking protrusion 211, and is adjacent to the second unlocking protrusion 261 and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protrusion 213. Locking hook 263 is provided. The second unlocking protrusion 261 receives the pressing action of the first unlocking protrusion 211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button 210 to retreat the locking rib 260. The locking hook 263 is engaged with the locking protrusion 213 to maintain the locked state of the battery pack 160. In addition, when the locking rib 260 is retracted by pressing the button 210, the locking hook 263 is also retracted and the locking with the locking protrusion 213 is released.

이하에서는 도 6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기 로킹 장치(200)의 작용을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5.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단말기(100)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배터리팩(160)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100 shown in FIG. 3 and shows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pack 160 is coupled.

도 7 내지 도 9는 도 6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후면에 배터리팩(160)이 로킹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to 9 are views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pack 160 is locked to the rear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shown in FIG.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라인 A-A'을 따라 배터리팩(160)이 로킹된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라인 A-A'을 따라 배터리팩 로킹 장치(200)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라인 B-B'을 따라 배터리팩 로킹 장치(200)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battery pack 160 cut in a locked portable wireless terminal along line A-A 'shown in FIG. 6, and FIG. 8 is along line A-A' shown in FIG. 6.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200 cut away,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200 cut along the line B-B ′ of FIG. 6.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후면에 배터리팩(160)이 로킹되었을 때, 상기 제2 로킹해제 돌기(261)는 상기 제1 로킹해제 돌기(211)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로킹 돌기(213)와 로킹 후크(263)는 서로 맞물려 로킹된다. 따라서, 상기 로킹 리브(260)는 외력을 받지 않기 때문에 탄성변형이 없는 상태이다. As shown in FIGS. 7 to 9, when the battery pack 160 is locked at the rear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the second unlocking protrusion 261 is positioned below the first unlocking protrusion 211. The locking protrusion 213 and the locking hook 263 are locked to engage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 locking rib 260 is in a state of no elastic deformation because it does not receive an external force.

도 10 내지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 장치(200)의 로킹 해제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0 to 12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unlocking operation of the battery pack locking apparatus 200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illustrated in FIG. 6.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라인 A-A'을 따라 배터리팩(160)의 로킹이 해제된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배터리팩 로킹 장치(200)의 로킹 해제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라인 A-A'을 따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배터리팩 로킹 장치(200)의 로킹 해제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라인 B-B'을 따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unlocking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of the battery pack 160 is released along a line A-A 'shown in FIG. 6, and FIG. 11 is a battery pack locking device shown in FIG.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200 is shown in FIG. 6 in order to explain the unlocking operation of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200 shown in FIG. 6.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incision along -B '.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팩(160)의 로킹을 해제하기 위해서 상기 버튼(210)을 누르게 된다. 상기 버튼(210)을 누르면 상기 제1 로킹해제 돌기(211)가 하강하면서 상기 제2 로킹해제 돌기(261)를 밀어주어 로킹 리브(260)가 후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로킹 리브(260)에 형성된 상기 로킹 후크(263)가 후퇴하게 되어 상기 로킹 돌기(213)와 로킹 후크(263)의 로킹이 해제되는 것이다. 10 to 12, the button 210 is pressed to release the locking of the battery pack 160. When the button 210 is pressed, the first unlocking protrusion 211 is lowered and the second unlocking protrusion 261 is pushed so that the locking rib 260 retreats. Therefore, the locking hook 263 formed on the locking rib 260 is retracted to release the locking protrusion 213 and the locking hook 263.

도 13 내지 도 15는 도 6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160)이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3 to 15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pack 160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illustrated in FIG. 6 is separated.

도 13은 도 6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160)이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6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160)이 분리되는 모습을 라인 A-A'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6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160)이 분리되는 모습을 라인 B-B'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pack 160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illustrated in FIG. 6 is separated, and FIG. 14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pack 160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illustrated in FIG. 6 is separated.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ttery pack 160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illustrated in FIG. 6, taken along a line B-B '.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이 해제된 배터리팩(160)은 로킹 장치가 설치된 일단부가 상기 단말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의 안착면(110)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탈하게 된다. 이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팩(160)의 타단부에 설치된 지지돌기(163)가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에 형성된 지지홈(111)의 가압을 받기 때문이다. As shown in FIGS. 13 to 15, one end of the battery pack 160 in which the locking is released is separated from the seating surface 110 of the terminal casing frame 102 by a predetermined height. This is because the support protrusion 163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battery pack 160 is pressurized by the support groove 111 formed in the lower casing frame 102 as shown in FIG. 16.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팩의 로킹 장치는 상기 배터리팩의 일단을 일정 지지돌기를 사용하여 단말기 본체의 지지홈에 걸리도록 한 후 상기 배터리 팩을 단말기 본체의 안착면에 밀착시키는 방식에 적용하면서 누름버튼을 적용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locking device of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method in which one end of the battery pack is caught by the support groove of the terminal body using a predetermined support protrusion, and then the battery pack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ating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he push button is applied.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팩 로킹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단말기(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단말기(100)는 배터리팩(160)의 로킹 리브(365) 및 단말기(100)의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에 설치된 버튼(310)으로 구성된 로킹 장치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선행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에서는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팩 로킹 장치(3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100 equipped with a battery pack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100 illustrated in FIG. 17 has a configuration other than a locking device including a locking rib 365 of the battery pack 160 and a button 310 installed on the lower casing frame 102 of the terminal 100. Since it i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previous embodiment,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3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8 to 21.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배터리팩(160)의 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팩 로킹 장치(300)는 배터리팩(160)의 저면 일단부에 로킹 리브(365)가 구비된다.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ttom surface of the battery pack 160 illustrated in FIG. 17. As shown in FIG. 18,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3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cking rib 365 at one end of a bottom surface of the battery pack 160.

상기 로킹 리브(365)는 상기 배터리팩(160) 일단부에 형성된 리브 홈(361)의 천정면(363)으로부터 하향 연장된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로킹 리브(365)의 양 측면에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외향 돌기(367)가 각각 형성된다.The locking rib 365 extends downward from the ceiling surface 363 of the rib groove 361 formed at one end of the battery pack 160. Referring to FIG. 19, outward protrusions 367 formed of curved surfac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cking ribs 365, respectively.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배터리팩 로킹 장치(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7에 도시된 배터리팩 로킹 장치(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배터리팩 로킹 장치(300)의 버튼(31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300 shown in FIG. 17,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300 shown in FIG. 17, and FIG. 21 is FIG.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tton 310 of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300 shown in FIG.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 장치(300)는 단말기 본체의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 상에서 수직으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300)과, 상기 배터리팩(160) 상에 설치되는 상기 로킹 리브(311)로 구성되는 것이다.19 to 21,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300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utton installed to be movable vertically on the lower casing frame 102 of the terminal body 300 and the locking rib 311 installed on the battery pack 160.

상기 버튼(210)은 내측면 중심에서 연장되어 탄성체(315b)를 지지하는 지지대(315a),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버튼(310)의 수직이동을 가이드하면서 상기 버튼(310)의 이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의 스토퍼(317)가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된다. 상기 버튼(310)은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 상에서 상기 탄성체(315b)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의 외면과 일치하게 위치되며, 외력이 가해지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button 210 extends from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to support the elastic body 315b, and extends in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button 310 while maintaining the movement range of the button 310. At least two stoppers 317 having an outwardly bent shape are provided for the purpose of limitation. The button 310 is positioned on the lower casing frame 102 to coincide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casing frame 102 by an elastic force provided by the elastic body 315b, and moves in a vertical directio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

상기 버튼(310)의 하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연장되는 두 개의 텐션 리브(311)가 설치된다. 상기 텐션 리브(311)의 외측 단부는 상기 버튼(310)의 단부보다 더 연장됨으로써, 상기 배터리팩(160)이 장착되면 상기 로킹 리브(365)가 상기 텐션 리브(311)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텐션 리브(311)는 또한 서로 마주보게 내측으로 돌출되어 곡면으로 이루어진 내향 돌기(313)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배터리팩(160)이 장착되면, 상기 내향 돌기(313)는 상기 로킹 리브(365)의 외면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The lower surface of the button 310 is provided with two tension ribs 311 extending to face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uter end of the tension rib 311 extends further than the end of the button 310, so that the locking rib 365 is located between the tension rib 311 when the battery pack 160 is mounted. The tension ribs 311 are also provided with inwardly projecting protrusions 313 each of which protrudes inward to face each other and has a curved surface. When the battery pack 160 is mounted, the inward protrusion 313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locking rib 365.

상기 내향 돌기(313)은 상기 로킹 리브(365)의 외향 돌기(367)와 미끄럼 접촉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배터리팩(160)이 착탈되는 과정에서 상기 내향 돌기(313)가 외향 돌기(367)의 곡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상기 텐션 리브(311)가 각각 외측방향으로 탄성적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The inward protrusion 313 is in sliding contact with the outward protrusion 367 of the locking rib 365, and the inward protrusion 313 of the outward protrusion 367 is detached from the battery pack 160 when the inward protrusion 313 is detached. As the sliding ribs 311 slide along the curved surface, the tension ribs 311 each cause elastic deformation in the outward direction.

상기 외향 돌기(367)가 상기 내향 돌기(313)보다 더 하측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배터리팩(160)이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 상에 고정되는 것이다.When the outward protrusion 367 is located below the inward protrusion 313, the battery pack 160 is fixed on the lower casing frame 102.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도 상술한 제1 실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이 해제되면, 상기 배터리팩(160)의 타단부에 설치된 지지돌기(163)가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에 형성된 지지홈(111)의 가압에 의해 배터리팩(160)의 상기 로킹 장치(300) 측 단부는 상기 단말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의 안착면(110)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탈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6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when the locking is released, the support protrusion 163 installed on the other end of the battery pack 160 is Due to the pressing of the support groove 111 formed in the lower casing frame 102, the end portion of the locking device 300 side of the battery pack 160 is extended by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seating surface 110 of the terminal lower casing frame 102. It can be configured to leave.

이하에서는 도 22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상기 배터리팩 로킹 장치(300)의 작용을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2 to 30.

도 22는 도 17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에 배터리팩(160)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라인 C-C'을 따라 배터리팩(160)이 로킹된 휴대용 무선단말기(100)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4는 도 22에 도시된 라인 D-D'을 따라 휴대용 무선단말기(100)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2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ttery pack 160 mounted on a lower casing frame 102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7, and FIG. 23 is a battery pack along the line C-C ′ illustrated in FIG. 22. FIG. 2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ocked portable wireless terminal 100 is cut out, and FIG. 2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100 taken along a line D-D ′ shown in FIG. 22. .

도 23과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팩(16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 배터리팩(160) 및 버튼(310)의 외면은 일치된 상태이다. 이때, 상기 로킹 리브(365)는 상기 버튼(310)의 텐션 리브(311)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배터리팩(160)이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에 완전히 결합되면 상기 외향 돌기(367)는 상기 내향 돌기(313)의 하부에 위치하여 로킹된다.As shown in FIGS. 23 and 24, the outer surfaces of the lower casing frame 102, the battery pack 160, and the button 310 are in a matched state when the battery pack 160 is coupled. In this case, the locking rib 365 is positioned between the tension ribs 311 of the button 310, and when the battery pack 160 is fully coupled to the lower casing frame 102, the outward protrusion 367 is disposed. Is located below the inward protrusion 313 and is locked.

도 25 내지 도 30은 각각 도 22에 도시된 라인 C-C' 및 D-D'을 따라 상기 휴 대용 무선단말기(100)을 절개한 도면으로서, 상기 로킹 장치(300)의 로킹이 해제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이다.25 to 30 are cutaway views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100 along the lines CC 'and D-D' shown in FIG. 22, respectively, to sequentially release the locking of the locking device 300. It is shown as.

도 25와 도 26은 각각 상기 로킹 장치(300)의 버튼(310)이 눌리는 초기의 모습을 나타낸다. 상기 배터리팩(160)이 로킹된 상태에서 상기 버튼(310)이 눌리면 상기 내향 돌기(313)가 하향 이동하면서 상기 외향 돌기(367)의 곡면을 따라 서로 멀어지게 되므로, 상기 텐션 리브(311)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변형된다. 이때, 상기 텐션 리브(311)에는 상기 내향 돌기(313)와 외향 돌기(367)가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저장된다.25 and 26 show an initial state of pressing the button 310 of the locking device 300, respectively. When the button 310 is pressed while the battery pack 160 is locked, the inward protrusion 313 moves downward along the curved surface of the outward protrusion 367, so that the tension rib 311 is also moved. Deform in each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an elastic force is stored in the tension rib 311 in a direction in which the inward protrusion 313 and the outward protrusion 367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도 27과 도 28은 상기 버튼(310)이 더 눌려 상기 내향 돌기(313)와 외향 돌기(367)의 최고점이 교차한 모습을 나타낸다. 상기 내향 돌기(313)와 외향 돌기(367)의 최고점이 교차하면, 상기 텐션 리브(311)에 저장된 탄성력에 의해 상기 내향 돌기(313)는 상기 외향 돌기(367)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로킹 리브(365)가 상향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로킹 장치(300)의 로킹이 해제되고, 상기 배터리팩(160)이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27 and 28 show that the button 310 is further pressed to intersect the highest point of the inward protrusion 313 and the outward protrusion 367. When the peaks of the inward protrusion 313 and the outward protrusion 367 intersect, the inward protrusion 313 presses the outward protrusion 367 by the elastic force stored in the tension rib 311 so that the locking rib 365 is pressed. ) Will move upward. That is, the locking of the locking device 300 is released, and the battery pack 160 is separated from the lower casing frame 102.

이때, 상기 버튼(310)을 누르는 외력을 해제하면, 상기 버튼(310) 하부의 탄성체(315b)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버튼(310)이 상향 이동하면서 상기 내향 돌기(313)는 상기 외향 돌기(367)를 밀어 올리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팩(160)의 타단에 형성된 지지돌기(163)가 지지홈(111; 도 16에 도시됨)의 가압을 받도록 구성함으로써 배터리팩(160)은 더 쉽게 분리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when the external force for pressing the button 310 is released, the inward protrusion 313 moves outwardly as the button 310 moves upward by the elastic force provided by the elastic body 315b below the button 310.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push up 367. In addition, as mentioned above, the battery pack 160 is more easily separated by configuring the support protrusion 163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battery pack 160 to be pressurized by the support groove 111 (shown in FIG. 16). May be

도 29와 도 30은 상기 배터리팩(160)이 완전히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다. 상기 배터리팩(160)이 완전히 분리되면, 상기 텐션 리브(311)는 변형되지 않은 초기 상태로 복원된다. 또한, 도 29와 도 30에는 상기 버튼(310)이 눌려진 상태이지만,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탄성체(315b)에 의해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의 외면과 일치하는 위치까지 상향 이동하게 된다.29 and 30 show the battery pack 160 is completely separated. When the battery pack 160 is completely separated, the tension rib 311 is restored to an undeformed initial state. In addition, although the button 310 is pressed in FIGS. 29 and 30, when the pressing force is removed, the button 310 moves upward to a position coinciding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casing frame 102 by the elastic body 315b.

상기 배터리팩(160)은 상기 배터리팩(160)의 지지돌기(163)를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의 지지홈(111)에 결합한 후 배터리팩(160)을 안착면(110)에 밀착시키는 것만으로 결합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버튼(310)의 이동은 없으며, 다만, 상기 로킹 리브(365)의 외향 돌기(367)가 상기 텐션 리브(311)의 내향 돌기(313)의 하측까지 이동함으로써 상기 배터리팩(160)이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에 로킹된다.The battery pack 160 couples the support protrusion 163 of the battery pack 160 to the support groove 111 of the lower casing frame 102 and then closely adheres the battery pack 160 to the seating surface 110. Just joining is complete. At this time, there is no movement of the button 310, except that the outward protrusion 367 of the locking rib 365 is moved to the lower side of the inward protrusion 313 of the tension rib 311, the battery pack 160 It is locked to the lower casing frame 102.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 장치는 배터리팩의 일단을 일정 지지돌기를 사용하여 단말기 본체의 지지홈에 걸리도록 한 후 배터리팩을 단말기 본체의 안착면에 밀착시키는 방식에 적용하면서 누름버튼을 적용한 것으로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을 분리하기 용이하게 되 었다. 또한, 배터리팩을 탈착하는 과정에서 손톱 등의 부상을 방지하게 되었으며, 로킹 장치의 수평이동에 따른 공간을 별도로 확보할 필요가 없으므로 외관 디자인에서의 융통성을 확보하게 되었다.
As described above,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end of the battery pack to the support groove of the terminal body using a predetermined support protrusion, and then close the battery pack to the seating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As a push button was applied while applying to the way, it became easy to remove the battery pack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injuries such as nails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battery pack, it is not necessary to secure a space according to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locking device to secure flexibility in the exterior design.

Claims (9)

삭제delete 하부 케이싱 프레임 상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배터리팩을 로킹시키기 위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에 있어서,In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for locking a battery pack mounted vertically on the lower casing frame,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수직으로 유동하며, 제1로킹 해제 부가 구비된 버튼과;A button installed on the lower casing frame and vertically flowing and having a first unlocking part; 상기 버튼에 인접한 측벽에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으로부터 배터리팩 방향으로 돌출된 로킹부와;A locking part protruding from the lower casing frame in a battery pack direction on a side wall adjacent to the button; 상기 배터리팩의 일단에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설치된 탄성부를 구비하고,One end of the battery pack is provided with an elastic portion is installed elastically, 상기 탄성부에는 상기 버튼이 수직으로 유동함에 따라 상기 제1로킹 해제부의 누름작용을 받는 제2로킹 해제부와, 상기 제2 로킹 해제부에 인접하며 상기 로킹부와 맞물려 상기 배터리팩의 로킹 상태를 유지시키는 로킹 구속부가 형성되며, The elastic part includes a second unlocking part that is pressed by the first unlocking part as the button flows vertically, and a locking state of the battery pack adjacent to the second unlocking part and engaged with the locking part. Retaining locking constraints are formed, 상기 제1 로킹 해제부의 누름작용에 의해 상기 탄성부가 후퇴함에 따라 상기 로킹 구속부가 후퇴하여 상기 로킹부와의 로킹이 해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 장치.And the locking restraint is retracted and the locking with the locking part is released as the elastic part is retracted by the pressing action of the first unlocking part.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1로킹 해제부 및 제2로킹 해제부는 곡면을 이룬 형상이며, 상기 버튼을 누르면 상기 제1 로킹 해제부가 제2로킹 해제부를 눌러 상기 탄성부가 후퇴하므로써 상기 로킹부 및 로킹 구속부의 로킹이 해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 장치.The first unlocking part and the second unlocking part have a curved shape, and when the button is pressed, the first unlocking part presses the second unlocking part to release the elastic part so that the locking of the locking part and the locking constraint part is released.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로킹 구속부의 하면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팩 장착시 상기 로킹부가 상기 로킹 구속부의 하면을 밀어 상기 탄성부가 후퇴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 장치.The lower surface of the locking restraint portion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portion is retracted by pushing the locking portion of the locking restraint portion when the battery pack is mounted.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로킹 구속부의 하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팩 장착시 상기 로킹부가 상기 로킹 구속부의 하면을 밀어 상기 탄성부가 후퇴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 장치.The lower surface of the locking restraint portion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portion is retracted by pushing the locking portion of the locking restraint portion when the battery pack is mounted.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배터리팩의 타단에 돌출된 지지부와;A support part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battery pack; 상기 지지부에 상응하면서 상기 배터리팩이 로킹되면 상기 지지부를 가압하도록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에 형성된 지지홈이 구비되며,When the battery pack is locked while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ortion is provided with a support groove formed in the lower casing frame to press the support portion, 상기 로킹 장치가 해제되면 상기 지지홈이 상기 지지돌기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배터리팩은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탈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 장치.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battery pack is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lower casing frame as the support groove presses the support protrusion when the locking device is released. 하부 케이싱 프레임 상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배터리팩을 로킹시키기 위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에 있어서,In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for locking a battery pack mounted vertically on the lower casing frame,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수직으로 유동하며, 하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연장되어 양측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탄성을 지니며 내측으로 서로 마주보게 연장되는 내향 돌기가 각각 형성된 두 개의 텐션부가 구비된 버튼과;Installed on the lower casing frame and vertically flowing, and having two tension portions each having inward protrusions each having an inward protrusion extending to face each other in a downward direction and extending to face each other inwardly and facing each other inward; ; 상기 배터리팩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텐션부에 상응하고 상기 내향 돌기와 미끄럼 접촉하는 외향 돌기가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탄성부가 구비되어, 상기 외향 돌기가 상기 내향 돌기보다 더 하측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배터리팩이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 상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 장치.An outward protrusion formed on one end of the battery pack and corresponding to the tension part, and provided with elastic part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utward protrusions which are in sliding contact with the inward protrusion, respectively, when the outward protrusion is located lower than the inward protrusion.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the lower casing frame.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탄성부는 상기 배터리팩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리브 홈의 천정면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며;The elastic portion extends downward from the ceiling surface of the rib groove formed at one end of the battery pack; 상기 텐션부는 상기 버튼의 단부보다 수평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배터리팩이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에 결합되면 상기 리브 홈 내측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 장치.The tension unit extends further in a horizontal direction than the end of the button,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in the rib groove when the battery pack is coupled to the lower casing frame.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버튼의 하부에는 소정의 탄성수단이 제공되어 상기 버튼을 누르면 상기 내향 돌기가 상기 탄성부의 외향 돌기와 미끄럼 접촉하면서 상기 외향 돌기의 하측으로 이동하고, 다시 상기 버튼 누름을 해제하면 상기 탄성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버튼이 상향이동하면서 상기 내향 돌기가 상기 외향 돌기를 상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배터리팩이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 장치.A lower portion of the button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elastic means, and when the button is pressed, the inward protrusion moves downwardly in the outward protrusion while slidingly contacting the outward protrusion of the elastic portion, and when the button is released agai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ans is released. And the battery pack is separated from the lower casing frame by the inward protrusion moving the outward protrusion upward while the button moves upward.
KR1020020056156A 2002-08-24 2002-09-16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5478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629,297 US7476462B2 (en) 2002-08-24 2003-07-29 Battery pack locking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328 2002-08-24
KR20020050328 2002-08-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075A KR20040018075A (en) 2004-03-02
KR100547886B1 true KR100547886B1 (en) 2006-01-31

Family

ID=37323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6156A KR100547886B1 (en) 2002-08-24 2002-09-16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portable wireless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788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909B1 (en) * 2006-10-25 2013-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pho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4042A (en) * 1992-06-10 1993-1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Battery pack fixing device for portable telephone set
JPH08339789A (en) * 1995-06-12 1996-12-24 Nec Corp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KR20000014234U (en) * 1998-12-30 2000-07-25 윤종용 Battery pack locking device for mobile phon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4042A (en) * 1992-06-10 1993-1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Battery pack fixing device for portable telephone set
JPH08339789A (en) * 1995-06-12 1996-12-24 Nec Corp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KR20000014234U (en) * 1998-12-30 2000-07-25 윤종용 Battery pack locking device for mobile pho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075A (en) 2004-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0369B1 (en) Internal battery pack case lock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US8320122B2 (en) Latch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7274554B2 (en) Battery pack lock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6789594B1 (en) Tape dispenser with a hidden blade
US20120225569A1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plug
EP2783603B1 (en) Seat assembly having an unlocked-state retention device
KR101409961B1 (en) Light cover coupled device
KR100678198B1 (en) Battery pack lock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KR20060101709A (en) Battery pack lock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KR100547886B1 (en)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20060095662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slide type of inner battery
JP2001186228A (en) Portable telephone set
KR100496961B1 (en) A locking device for a battery pack of a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025969A (en) Apparatus for locking battery pack of mobile phone
US20160136825A1 (en) Multi-locking utility cutter
KR100965707B1 (en) Battery pack locking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587311B1 (en) Apparatus for locking battery park cover of mobile phone
KR100652628B1 (en) Locking apparatus of battery in mobile phone
KR100454823B1 (en) A knob locking apparatus of battery-pack for wireless phone
US20190110369A1 (en) Case with assembly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reof
KR20050082819A (en)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mobile phone
KR101037862B1 (en) Locking apparatus of battery in mobile phone
KR100629882B1 (en) Mobile terminal with battery lock apparatus
KR102002709B1 (en) Headrest guide assembly
KR100504806B1 (en) Fixing apparatus for battery in mobi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