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7886B1 -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portable wireless terminal - Google Patents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portable wireless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47886B1 KR100547886B1 KR1020020056156A KR20020056156A KR100547886B1 KR 100547886 B1 KR100547886 B1 KR 100547886B1 KR 1020020056156 A KR1020020056156 A KR 1020020056156A KR 20020056156 A KR20020056156 A KR 20020056156A KR 100547886 B1 KR100547886 B1 KR 1005478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pack
- locking
- locking device
- wireless terminal
- portable wireles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배터리팩의 일단을 소정의 지지돌기를 사용하여 단말기 본체의 지지홈에 걸리도록 한 후 배터리팩을 슬라이딩시키지 않고 단말기 본체의 안착면에 밀착시키는 방식에 적용하면서 누름버튼을 적용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로킹 장치는 배터리팩을 탈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톱 등에 발생할 수 있는 부상의 위험을 방지하게 되었으며, 로킹 장치의 수평이동에 따른 공간을 별도로 확보할 필요가 없으므로 외관 디자인에서의 융통성을 확보하게 되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and one end of the battery pack is caught in the support groove of the terminal body using a predetermined support protrusion, and then close to the seating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without sliding the battery pack. The push button was applied while applying to the method. The locking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revents the risk of injuries that may occur on the user's nails in the process of detaching the battery pack, and does not need to secure a space according to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locking device. Secured.
무선 단말기, 배터리팩, 로킹 장치Wireless Terminals, Battery Packs, Locking Devices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팩 로킹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a battery pack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는 종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팩 로킹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a battery pack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팩 로킹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a battery pack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배터리팩 로킹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shown in FIG.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배터리팩 로킹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shown in FIG.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shown in FIG. 3;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라인 A-A'을 따라 배터리팩이 로킹된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battery pack is locked along a line A-A 'shown in FIG. 6;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라인 A-A'을 따라 배터리팩 로킹 장치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is cut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라인 B-B'을 따라 배터리팩 로킹 장치를 절개한 모습 을 나타내는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is cut along the line B-B 'shown in FIG.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라인 A-A'을 따라 배터리팩의 로킹이 해제된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in which the battery pack is unlocked is cut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6;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배터리팩 로킹 장치의 로킹 해제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라인 A-A'을 따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cutting along a line A-A 'to explain a unlocking operation of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shown in FIG. 6;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배터리팩 로킹 장치의 로킹 해제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라인 B-B'을 따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FIG. 6 is cut along a line B-B 'to explain an unlocking operation;
도 13은 도 6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이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attery pack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illustrated in FIG. 6 is separated;
도 14는 도 6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이 분리되는 모습을 라인 A-A'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ttery pack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illustrated in FIG. 6, taken along a line A-A ';
도 15는 도 6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이 분리되는 모습을 라인 B-B'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ttery pack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illustrated in FIG. 6, taken along a line B-B ';
도 16은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지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 16 is a view for explaining a battery pack support structure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shown in FIG. 3;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팩 로킹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a battery pack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배터리팩의 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1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ttom surface of the battery pack shown in FIG. 17;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배터리팩 로킹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1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illustrated in FIG. 17;
도 20은 도 17에 도시된 배터리팩 로킹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shown in FIG. 17;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배터리팩 로킹 장치의 버튼을 나타내는 사시도,2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tton of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shown in FIG. 19;
도 22는 도 17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FIG. 2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shown in FIG. 17;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라인 C-C'을 따라 배터리팩이 로킹된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FIG. 2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in which a battery pack is locked along a line C-C 'shown in FIG. 22;
도 24는 도 22에 도시된 라인 D-D'을 따라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2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is cut along the line D-D 'shown in FIG. 22;
도 25는 도 22에 도시된 배터리팩 로킹 장치의 로킹 해제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라인 C-C'을 따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FIG. 2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attery pack locking device is cut along a line C-C 'to explain an unlocking operation of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shown in FIG. 22;
도 26은 도 22에 도시된 배터리팩 로킹 장치의 로킹 해제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라인 D-D'을 따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FIG. 2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cutting along a line D-D ′ to explain an unlocking operation of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shown in FIG. 22;
도 27은 도 22에 도시된 배터리팩 로킹 장치의 로킹 해제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라인 C-C'을 따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FIG. 2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pack locking apparatus is cut along the line C-C ′ to explain the unlocking operation of the battery pack locking apparatus shown in FIG. 22;
도 28은 도 22에 도시된 배터리팩 로킹 장치의 로킹 해제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라인 D-D'을 따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FIG. 2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cutting along a line D-D ′ in order to explain an unlocking operation of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illustrated in FIG. 22;
도 29는 도 22에 도시된 배터리팩 로킹 장치의 로킹 해제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라인 C-C'을 따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FIG. 2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is cut along the line C-C ′ to explain the unlocking operation of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shown in FIG. 22;
도 30은 도 22에 도시된 배터리팩 로킹 장치의 로킹 해제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라인 D-D'을 따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FIG. 3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cutting along a line D-D ′ in order to explain an unlocking operation of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illustrated in FIG. 22.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기 본체의 후면 상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배터리팩의 로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cking device of a battery pack mounted on the rear of the terminal body to be detachable.
통상적으로, 휴대용 무선단말기는 전원공급원으로 본체의 후면 상에 배터리팩(Battery Pack)이 장착된다. 상기 배터리팩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소정의 로킹 장치에 의해 로킹된다.Typically,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is a battery pack (Battery Pack) is mounted on the back of the main body as a power supply. The battery pack is locked by a predetermined locking device installed in the main body.
상기 배터리팩 장착방식으로는 상기 배터리팩의 일단을 일정 지지돌기를 사용하여 단말기 본체의 지지홈에 걸리도록 한 후 상기 배터리팩을 단말기 본체의 안착면에 밀착시킴으로써 로킹되는 방식과, 본체의 후면 상에 소정의 가이드리브에 의해서 슬라이딩 장착되는 방식, 두 가지를 사용하고 있다.In the battery pack mounting method, one end of the battery pack is locked to the support groove of the terminal body by using a predetermined support protrusion, and the battery pack is locked by closely contacting the seating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wo types are used, which are slidably mounted by predetermined guide ribs.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팩 로킹 장치(16)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팩 로킹 장치(16)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단말기는, 상부 케이싱 프레임(12)과 하부 케이싱 프레임(11)으로 구성된 본체(10)의 후면, 즉 하부 케이싱 프레임(11) 상에 배터리팩(14)이 장착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a battery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11)의 후면 상에는 소정의 안착면(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면(13)의 일단에는 접속단자가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장착되는 배터리팩(14)을 고정시키기 위한 로킹 장치(16)가 설치된다.A
또한, 상기 배터리팩(14)의 상기 본체(10)의 안착면(13)과 접촉하는 면의 일단에는 상기 본체(10)의 후단에 걸리기 위한 지지돌기(15)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지지돌기(15) 상응하도록 상기 본체(10)의 후면 상에는 상기 지지돌기(15)가 삽입될 수 있는 지지홈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터리팩(14)을 본체(10)에 장착할 경우, 우선 배터리팩(14)의 지지돌기(15)를 상기 본체(10)의 후면 상에 형성된 지지홈에 삽입시킨 후, 상기 지지돌기(15)를 중심으로 본체(10)의 안착면(13) 방향으로 내리게 되면 상기 배터리팩(14)의 지지돌기(15)와 대향되는 방향에 형성된 홈(미도시)상에 상기 로킹 장치(16)의 후크(17)가 걸리게 된다. 즉, 상기 배터리팩(14)은 상기 지지돌기(15)와 로킹 장치(16)에 의해 단말기 본체(10) 상에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다.When the
한편, 상기 배터리팩(14)을 본체(10)에서 분리시킬 경우, 상기 로킹 장치(16)를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우선 로킹 장치(16)의 후크(17)를 분리하여 상기 배터리팩(14)을 이탈시킨 후, 지지돌기(15)를 본체(10)에서 이탈시키면 분리가 완료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이 수직으로 착탈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팩 로킹 장치는 로킹 장치를 수평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사용자는 손톱을 이용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손톱이 손상되어 부상을 입을 위험이 있어 배터리팩을 분리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로킹 장치의 수평이동에 따른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단말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 상에 홈을 형성하는 등 외관 디자인의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configured to be detachably mounted vertically uses a fingernail to move the locking device horizontally, and in this process, the fingernail may be damaged and injured to separate the battery pack. It is difficult.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esign of the exterior is restricted, such as forming a groove on the lower casing frame in order to secure a space according to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locking device.
도 2는 종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팩 로킹 장치(27)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팩 로킹 장치(27)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단말기는, 상부 케이싱 프레임(22)과 하부 케이싱 프레임(21)으로 구성된 본체(20) 상에 배터리팩(24)이 장착된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having a battery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21) 상에는 소정의 안착면(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면(23)의 일단에는 배터리팩(24)을 고정시키기 위한 로킹 장치(27)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팩(24)을 상기 로킹 장치(27)까지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리브(26)가 상기 안착면(23)의 양측면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면(23)에 형성된 가이드리브(26)와 상응한 상기 배터리팩(24)의 양측면상에는 상기 안착면(23) 상의 가이드리브(26)와 결합가능한 가이드리브(25)가 각각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A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는 배터리팩(24)을 상기 안착면(23)에 밀착시킨 후, 배터리팩(24)을 수평방향으로, 즉 상기 안착면(23)의 일단에 설치된 로킹 장치(27)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배터리팩(24)을 슬라이딩시켜 로킹이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로킹 장치(27)는 수직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며, 상기 배터리팩(24)이 밀착되면 상기 로킹 장치(27)에 형성된 후크(28)가 상기 배터리팩(24)에 형성된 홈(미도시)에 로킹되어 상기 배터리팩(24)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로킹 장치(27)를 누르고 상기 로킹 장치(27)로부터 배터 리팩(24)을 이탈시킨 후 배터리팩(24)을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배터리팩(24)은 안착(23)면으로부터 분리된다.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locks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터리팩 로킹 장치는 안착면 및 배터리팩에 각각 상응하게 형성된 가이드리브가 쉽게 마모되어 배터리팩의 밀착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단말기 전원의 안정적인 공급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stable supply of terminal power is difficult because guide rib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surface and the battery pack are easily worn and thus the contact state of the battery pack is difficult to maintain.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을 분리하기 용이한 로킹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cking device that is easy to remove the battery pack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팩의 로킹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cking device of the battery pack for the stable power supply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 케이싱 프레임 상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배터리팩을 로킹시키기 위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수직으로 유동하며, 제1로킹 해제 부가 구비된 버튼과;
상기 버튼에 인접한 측벽에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으로부터 배터리팩 방향으로 돌출된 로킹부와;
상기 배터리팩의 일단에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설치된 탄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에는 상기 버튼이 수직으로 유동함에 따라 상기 제1로킹 해제부의 누름작용을 받는 제2로킹 해제부와, 상기 제2 로킹 해제부에 인접하며 상기 로킹부와 맞물려 상기 배터리팩의 로킹 상태를 유지시키는 로킹 구속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로킹 해제부의 누름작용에 의해 상기 탄성부가 후퇴함에 따라 상기 로킹 구속부가 후퇴하여 상기 로킹부와의 로킹이 해제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 장치를 개시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for locking a battery pack mounted vertically on the lower casing frame,
A button installed on the lower casing frame and vertically flowing and having a first unlocking part;
A locking part protruding from the lower casing frame in a battery pack direction on a side wall adjacent to the button;
One end of the battery pack is provided with an elastic portion is installed elastically,
The elastic part includes a second unlocking part that is pressed by the first unlocking part as the button flows vertically, and a locking state of the battery pack adjacent to the second unlocking part and engaged with the locking part. Retaining locking constraints are formed,
Disclosed is a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in which the locking restraint part is retracted and the locking with the locking part is released as the elastic part is retracted by the pressing action of the first unlocking par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팩 로킹 장치(200)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단말기(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팩 로킹 장치(200)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단말기(100)는, 상부 케이싱 프레임(101)과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으로 구성된 본체의 안착면(110) 상에 배터리팩(160)이 장착된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단말기(100)의 배터리팩 로킹 장치(200)는 배터리팩(160)의 일단에 형성된 지지돌기(163)를 사용하여 단말기(100) 본체의 지지홈(미도시)에 걸리도록 한 후 상기 배터리팩(160)을 단말기(100)의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 상의 안착면(110)에 밀착시킴으로써 로킹되는 방식에 적용된다. The battery
따라서, 상기 배터리팩(160)의 일단에는 지지돌기(163)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면(110)의 소정 위치에 상기 지지돌기(163)와 상응하는 지지홈이 형성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팩(160)이 상기 안착면(110) 상에 완전히 밀착되었을 때, 상기 지지돌기(163)는 상기 지지홈에 의해 가압된다. 상기 배터리팩(160)이 안 착면(110)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팩(160)의 로킹 장치(200)가 해제되면 상기 지지홈이 상기 지지돌기(163)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배터리팩(160)은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탈하게 된다.Therefore, one end of the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배터리팩 로킹 장치(200)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배터리팩(160)이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의 안착면(110)에 결속되었을 때의 로킹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배터리팩 로킹 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 장치(200)는 단말기 본체의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 상에 수직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210), 상기 버튼(210)과 인접하도록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으로부터 돌출된 로킹 돌기(213) 및 상기 버튼(210)에 상응하도록 배터리팩(160) 상에 설치되는 로킹 리브(260)로 구성된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battery
상기 버튼(210)은 내측면 중심에서 연장되어 탄성체를 지지하는 지지대(215),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버튼(210)의 수직이동을 가이드하면서 상기 버튼(210)의 이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의 스토퍼(217a, 217b)가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버튼(210)의 외주면 일측,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튼(210)을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에 장착하였을 때 안착면(110)을 향하는 상기 버튼(210)의 외주면에서 상기 버튼(210)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로킹해제 돌기(211)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로킹해제 돌기(211)는 상기 안착면(110)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곡면 형상이다. 상기 버튼(210)은 상기 단말기(100)의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 상에 설치되어 배터리팩(160)의 로킹을 해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상기 로킹 돌기(213)는 상기 버튼(210)과 인접하도록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으로부터 안착면(110)을 향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는데, 도시된 로킹 돌기(213)는 상기 버튼(210)의 양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로킹 돌기(213)는 상기 배터리팩(160)이 로킹되었을 때 결속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직사각형과 같은 각이 진 형상이어야 한다. The locking
상기 로킹 리브(260)는 상기 배터리팩(160)의 타단에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로킹 리브(260)에는 상기 제1 로킹해제 돌기(211)에 상응하는 제2 로킹해제 돌기(261)와, 상기 제2 로킹해제 돌기(261)에 인접하며 상기 로킹 돌기(213)에 상응하는 로킹 후크(263)가 구비된다. 상기 제2 로킹해제 돌기(261)는 상기 버튼(210)의 수직이동에 따라 상기 제1 로킹해제 돌기(211)의 누름작용을 받게되어 상기 로킹 리브(260)를 후퇴시키게 된다. 상기 로킹 후크(263)는 상기 로킹 돌기(213)와 맞물려 배터리팩(160)의 로킹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버튼(210)을 누름으로써 상기 로킹 리브(260)가 후퇴하면 상기 로킹 후크(263)도 후퇴하면서 로킹 돌기(213)와의 로킹이 해제되는 것이다. The locking
이하에서는 도 6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기 로킹 장치(200)의 작용을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단말기(100)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배터리팩(160)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the
도 7 내지 도 9는 도 6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후면에 배터리팩(160)이 로킹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to 9 are views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라인 A-A'을 따라 배터리팩(160)이 로킹된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라인 A-A'을 따라 배터리팩 로킹 장치(200)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라인 B-B'을 따라 배터리팩 로킹 장치(200)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후면에 배터리팩(160)이 로킹되었을 때, 상기 제2 로킹해제 돌기(261)는 상기 제1 로킹해제 돌기(211)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로킹 돌기(213)와 로킹 후크(263)는 서로 맞물려 로킹된다. 따라서, 상기 로킹 리브(260)는 외력을 받지 않기 때문에 탄성변형이 없는 상태이다. As shown in FIGS. 7 to 9, when the
도 10 내지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 장치(200)의 로킹 해제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0 to 12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unlocking operation of the battery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라인 A-A'을 따라 배터리팩(160)의 로킹이 해제된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배터리팩 로킹 장치(200)의 로킹 해제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라인 A-A'을 따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배터리팩 로킹 장치(200)의 로킹 해제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라인 B-B'을 따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unlocking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of the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팩(160)의 로킹을 해제하기 위해서 상기 버튼(210)을 누르게 된다. 상기 버튼(210)을 누르면 상기 제1 로킹해제 돌기(211)가 하강하면서 상기 제2 로킹해제 돌기(261)를 밀어주어 로킹 리브(260)가 후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로킹 리브(260)에 형성된 상기 로킹 후크(263)가 후퇴하게 되어 상기 로킹 돌기(213)와 로킹 후크(263)의 로킹이 해제되는 것이다. 10 to 12, the
도 13 내지 도 15는 도 6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160)이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3 to 15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도 13은 도 6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160)이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6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160)이 분리되는 모습을 라인 A-A'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6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160)이 분리되는 모습을 라인 B-B'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이 해제된 배터리팩(160)은 로킹 장치가 설치된 일단부가 상기 단말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의 안착면(110)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탈하게 된다. 이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팩(160)의 타단부에 설치된 지지돌기(163)가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에 형성된 지지홈(111)의 가압을 받기 때문이다. As shown in FIGS. 13 to 15, one end of th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팩의 로킹 장치는 상기 배터리팩의 일단을 일정 지지돌기를 사용하여 단말기 본체의 지지홈에 걸리도록 한 후 상기 배터리 팩을 단말기 본체의 안착면에 밀착시키는 방식에 적용하면서 누름버튼을 적용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locking device of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method in which one end of the battery pack is caught by the support groove of the terminal body using a predetermined support protrusion, and then the battery pack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ating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he push button is applied.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팩 로킹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단말기(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단말기(100)는 배터리팩(160)의 로킹 리브(365) 및 단말기(100)의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에 설치된 버튼(310)으로 구성된 로킹 장치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선행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에서는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팩 로킹 장치(3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배터리팩(160)의 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팩 로킹 장치(300)는 배터리팩(160)의 저면 일단부에 로킹 리브(365)가 구비된다.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ttom surface of the
상기 로킹 리브(365)는 상기 배터리팩(160) 일단부에 형성된 리브 홈(361)의 천정면(363)으로부터 하향 연장된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로킹 리브(365)의 양 측면에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외향 돌기(367)가 각각 형성된다.The locking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배터리팩 로킹 장치(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7에 도시된 배터리팩 로킹 장치(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배터리팩 로킹 장치(300)의 버튼(31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 장치(300)는 단말기 본체의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 상에서 수직으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300)과, 상기 배터리팩(160) 상에 설치되는 상기 로킹 리브(311)로 구성되는 것이다.19 to 21, the battery
상기 버튼(210)은 내측면 중심에서 연장되어 탄성체(315b)를 지지하는 지지대(315a),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버튼(310)의 수직이동을 가이드하면서 상기 버튼(310)의 이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의 스토퍼(317)가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된다. 상기 버튼(310)은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 상에서 상기 탄성체(315b)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의 외면과 일치하게 위치되며, 외력이 가해지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상기 버튼(310)의 하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연장되는 두 개의 텐션 리브(311)가 설치된다. 상기 텐션 리브(311)의 외측 단부는 상기 버튼(310)의 단부보다 더 연장됨으로써, 상기 배터리팩(160)이 장착되면 상기 로킹 리브(365)가 상기 텐션 리브(311)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텐션 리브(311)는 또한 서로 마주보게 내측으로 돌출되어 곡면으로 이루어진 내향 돌기(313)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배터리팩(160)이 장착되면, 상기 내향 돌기(313)는 상기 로킹 리브(365)의 외면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The lower surface of the
상기 내향 돌기(313)은 상기 로킹 리브(365)의 외향 돌기(367)와 미끄럼 접촉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배터리팩(160)이 착탈되는 과정에서 상기 내향 돌기(313)가 외향 돌기(367)의 곡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상기 텐션 리브(311)가 각각 외측방향으로 탄성적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The
상기 외향 돌기(367)가 상기 내향 돌기(313)보다 더 하측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배터리팩(160)이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 상에 고정되는 것이다.When the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도 상술한 제1 실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이 해제되면, 상기 배터리팩(160)의 타단부에 설치된 지지돌기(163)가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에 형성된 지지홈(111)의 가압에 의해 배터리팩(160)의 상기 로킹 장치(300) 측 단부는 상기 단말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의 안착면(110)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탈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6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when the locking is released, the
이하에서는 도 22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상기 배터리팩 로킹 장치(300)의 작용을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도 22는 도 17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에 배터리팩(160)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라인 C-C'을 따라 배터리팩(160)이 로킹된 휴대용 무선단말기(100)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4는 도 22에 도시된 라인 D-D'을 따라 휴대용 무선단말기(100)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2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도 23과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팩(16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 배터리팩(160) 및 버튼(310)의 외면은 일치된 상태이다. 이때, 상기 로킹 리브(365)는 상기 버튼(310)의 텐션 리브(311)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배터리팩(160)이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에 완전히 결합되면 상기 외향 돌기(367)는 상기 내향 돌기(313)의 하부에 위치하여 로킹된다.As shown in FIGS. 23 and 24, the outer surfaces of the
도 25 내지 도 30은 각각 도 22에 도시된 라인 C-C' 및 D-D'을 따라 상기 휴 대용 무선단말기(100)을 절개한 도면으로서, 상기 로킹 장치(300)의 로킹이 해제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이다.25 to 30 are cutaway views of the
도 25와 도 26은 각각 상기 로킹 장치(300)의 버튼(310)이 눌리는 초기의 모습을 나타낸다. 상기 배터리팩(160)이 로킹된 상태에서 상기 버튼(310)이 눌리면 상기 내향 돌기(313)가 하향 이동하면서 상기 외향 돌기(367)의 곡면을 따라 서로 멀어지게 되므로, 상기 텐션 리브(311)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변형된다. 이때, 상기 텐션 리브(311)에는 상기 내향 돌기(313)와 외향 돌기(367)가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저장된다.25 and 26 show an initial state of pressing the
도 27과 도 28은 상기 버튼(310)이 더 눌려 상기 내향 돌기(313)와 외향 돌기(367)의 최고점이 교차한 모습을 나타낸다. 상기 내향 돌기(313)와 외향 돌기(367)의 최고점이 교차하면, 상기 텐션 리브(311)에 저장된 탄성력에 의해 상기 내향 돌기(313)는 상기 외향 돌기(367)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로킹 리브(365)가 상향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로킹 장치(300)의 로킹이 해제되고, 상기 배터리팩(160)이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27 and 28 show that the
이때, 상기 버튼(310)을 누르는 외력을 해제하면, 상기 버튼(310) 하부의 탄성체(315b)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버튼(310)이 상향 이동하면서 상기 내향 돌기(313)는 상기 외향 돌기(367)를 밀어 올리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팩(160)의 타단에 형성된 지지돌기(163)가 지지홈(111; 도 16에 도시됨)의 가압을 받도록 구성함으로써 배터리팩(160)은 더 쉽게 분리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when the external force for pressing the
도 29와 도 30은 상기 배터리팩(160)이 완전히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다. 상기 배터리팩(160)이 완전히 분리되면, 상기 텐션 리브(311)는 변형되지 않은 초기 상태로 복원된다. 또한, 도 29와 도 30에는 상기 버튼(310)이 눌려진 상태이지만,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탄성체(315b)에 의해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의 외면과 일치하는 위치까지 상향 이동하게 된다.29 and 30 show the
상기 배터리팩(160)은 상기 배터리팩(160)의 지지돌기(163)를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의 지지홈(111)에 결합한 후 배터리팩(160)을 안착면(110)에 밀착시키는 것만으로 결합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버튼(310)의 이동은 없으며, 다만, 상기 로킹 리브(365)의 외향 돌기(367)가 상기 텐션 리브(311)의 내향 돌기(313)의 하측까지 이동함으로써 상기 배터리팩(160)이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에 로킹된다.The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 장치는 배터리팩의 일단을 일정 지지돌기를 사용하여 단말기 본체의 지지홈에 걸리도록 한 후 배터리팩을 단말기 본체의 안착면에 밀착시키는 방식에 적용하면서 누름버튼을 적용한 것으로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을 분리하기 용이하게 되 었다. 또한, 배터리팩을 탈착하는 과정에서 손톱 등의 부상을 방지하게 되었으며, 로킹 장치의 수평이동에 따른 공간을 별도로 확보할 필요가 없으므로 외관 디자인에서의 융통성을 확보하게 되었다.
As described above,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end of the battery pack to the support groove of the terminal body using a predetermined support protrusion, and then close the battery pack to the seating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As a push button was applied while applying to the way, it became easy to remove the battery pack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injuries such as nails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battery pack, it is not necessary to secure a space according to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locking device to secure flexibility in the exterior design.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0/629,297 US7476462B2 (en) | 2002-08-24 | 2003-07-29 | Battery pack locking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50328 | 2002-08-24 | ||
KR20020050328 | 2002-08-2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18075A KR20040018075A (en) | 2004-03-02 |
KR100547886B1 true KR100547886B1 (en) | 2006-01-31 |
Family
ID=37323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56156A KR100547886B1 (en) | 2002-08-24 | 2002-09-16 |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portable wireless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4788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21909B1 (en) * | 2006-10-25 | 2013-01-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phon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344042A (en) * | 1992-06-10 | 1993-12-2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Battery pack fixing device for portable telephone set |
JPH08339789A (en) * | 1995-06-12 | 1996-12-24 | Nec Corp |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
KR20000014234U (en) * | 1998-12-30 | 2000-07-25 | 윤종용 | Battery pack locking device for mobile phones |
-
2002
- 2002-09-16 KR KR1020020056156A patent/KR100547886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344042A (en) * | 1992-06-10 | 1993-12-2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Battery pack fixing device for portable telephone set |
JPH08339789A (en) * | 1995-06-12 | 1996-12-24 | Nec Corp |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
KR20000014234U (en) * | 1998-12-30 | 2000-07-25 | 윤종용 | Battery pack locking device for mobile phon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18075A (en) | 2004-03-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40369B1 (en) | Internal battery pack case lock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 |
US8320122B2 (en) | Latch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 |
US7274554B2 (en) | Battery pack lock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 |
US6789594B1 (en) | Tape dispenser with a hidden blade | |
US20120225569A1 (en) | Electronic apparatus with plug | |
EP2783603B1 (en) | Seat assembly having an unlocked-state retention device | |
KR101409961B1 (en) | Light cover coupled device | |
KR100678198B1 (en) | Battery pack lock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 |
KR20060101709A (en) | Battery pack lock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 |
KR100547886B1 (en) |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portable wireless terminal | |
KR20060095662A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slide type of inner battery | |
JP2001186228A (en) | Portable telephone set | |
KR100496961B1 (en) | A locking device for a battery pack of a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60025969A (en) | Apparatus for locking battery pack of mobile phone | |
US20160136825A1 (en) | Multi-locking utility cutter | |
KR100965707B1 (en) | Battery pack locking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 |
KR100587311B1 (en) | Apparatus for locking battery park cover of mobile phone | |
KR100652628B1 (en) | Locking apparatus of battery in mobile phone | |
KR100454823B1 (en) | A knob locking apparatus of battery-pack for wireless phone | |
US20190110369A1 (en) | Case with assembly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reof | |
KR20050082819A (en) |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mobile phone | |
KR101037862B1 (en) | Locking apparatus of battery in mobile phone | |
KR100629882B1 (en) | Mobile terminal with battery lock apparatus | |
KR102002709B1 (en) | Headrest guide assembly | |
KR100504806B1 (en) | Fixing apparatus for battery in mobile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