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7803B1 - Call Receiving Device and Method of Dual Mode Terminal during Standby Mode Handover - Google Patents

Call Receiving Device and Method of Dual Mode Terminal during Standby Mode Hando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7803B1
KR100547803B1 KR1020030055881A KR20030055881A KR100547803B1 KR 100547803 B1 KR100547803 B1 KR 100547803B1 KR 1020030055881 A KR1020030055881 A KR 1020030055881A KR 20030055881 A KR20030055881 A KR 20030055881A KR 100547803 B1 KR100547803 B1 KR 100547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al mode
mode terminal
terminal
call connection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58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17318A (en
Inventor
이동희
김도영
김승범
이재환
정율권
차화진
박지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5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7803B1/en
Publication of KR20050017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73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8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기이동통신 시스템 또는 비동기이동통신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듀얼모드단말과, 상기 듀얼모드단말로 호 연결을 요청하는 송신단말로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송신단말에서 시스템간 아이들(IDLE)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있는 상기 듀얼모드단말로 호 연결을 요청함에 있어, 상기 듀얼모드단말이 IDLE 핸드오버를 종료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통보받고, 상기 통보된 시간에 의해 호 연결을 계속 요청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호 연결을 계속 요청한다고 결정하면, 상기 IDLE 핸드오버를 종료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듀얼모드단말로 호 연결을 요청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nsisting of a dual mode terminal managed by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r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transmitting terminal for requesting a call connection to the dual mode terminal, an IDLE between systems in the transmitting terminal. In requesting a call connection to the dual mode terminal performing the over, the dual mode terminal is informed of the time required for terminating the IDLE handover and determines whether to continue to request the call connection by the informed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all connection request is to be continued, the dual mode terminal requests the call connection after the time required for terminating the IDLE handover has elapsed.

듀얼 모드 단말, WCDMA 시스템, CDMA 시스템, IDLE 핸드오버, 로밍 서비스Dual Mode Terminal, WCDMA System, CDMA System, IDLE Handover, Roaming Service

Description

대기모드 핸드오버를 수행 중 듀얼모드단말의 호 착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ALL PROCESSING OF DUAL MODE UE IN THE IDLE HANDOVER PROCESSING} Calling device and method of dual mode terminal during standby mode handover {APPARATUS AND METHOD FOR CALL PROCESSING OF DUAL MODE UE IN THE IDLE HANDOVER PROCESSING}             

도 1은 듀얼모드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1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dual-mode terminal.

도 2는 듀얼모드단말이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또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호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dual mode terminal establishes a call with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r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3은 아이들(IDLE)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있는 듀얼모드단말로 호 설정을 요청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questing call setup to a dual mode terminal performing idle (IDLE) handover;

도 4는 IDLE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있는 듀얼모드단말로 호 설정을 요청하는 과정을 도시한 다른 도면.4 is another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questing call setup to a dual mode terminal performing IDLE handover;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IDLE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있는 듀얼모드단말로 호 설정을 요청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for requesting call setup to a dual mode terminal performing IDLE hand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동기방식인 CDMA 2000 이동통신 시스템과 비동기방식인 UMTS 이동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스템간 아이들(IDLE) 핸드오버 수행 중 발생하는 호 착신/발신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mode system that supports a synchronous CDMA 2000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n asynchronous UMT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handling call incoming / outgoing during IDLE handover. It is about.

상기 동기방식은 북미표준화기구인 TIA(Telecommunication Industry Association)를 중심으로 구성된 3GPP2에서 제안하고 있는 ANSI-41망에 기반을 둔 방식이며, 상기 비동기방식은 유럽표준화기구인 ETSI(European Telecommunication Standard Institute)에서 제안하는 GSM-MAP 망에 기반을 둔 방식이다. 상기 동기방식과 비동기방식의 근본적인 차이점은 기지국과 기지국간의 동기를 어떤 식으로 할 것인가에 비중을 두고 있다. 이하 동기방식과 비동기방식에 대해 좀 더 상세하게 알아본다.The synchronous method is based on the ANSI-41 network proposed by 3GPP2, which is centered on the Telecommunication Industry Association (TIA), which is a North American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This scheme is based on the proposed GSM-MAP network. The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he synchronous method and the asynchronous method places an emphasis on how the base station synchronizes with the base station. The following sections describe in more detail the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methods.

상기 동기방식은 기지국에서 위성의 GPS 클럭을 수신하여 전체 기지국의 동기를 획득하며, 상기 기지국들은 전체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의사난수(PN)코드에 시간차를 두어서 구분한다. 상기 이동단말은 1개의 PN계열만 찾아 동기를 획득하므로 셀을 탐색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짧고 사용하는 회로도 단순화 할 수 있다. In the synchronous method, a base station receives a GPS clock of a satellite to acquire synchronization of all base stations, and the base stations distinguish the pseudo random number (PN) codes used by all base stations. Since the mobile terminal only acquires synchronization by finding only one PN sequence, the time required for searching for a cell is short and the circuit used can be simplified.

상기 비동기방식은 네트워크의 자체적인 동기를 기지국별로 스크램블링 코드라는 고유의 PN계열을 할당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이동단말이 기지국을 구분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며, 가장 양호하게 수신되는 기지국을 찾아서 통화를 시도한다. 상기 이동단말이 기지국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각 기지국별로 서로 다른 스크램블링 코드가 할당된다. 상기 이동단말은 가장 가까운 기지국을 찾기 위해서 가장 먼저 공통의 동기 채널로부터 슬롯의 타이밍을 계산한 다음 2차 동기 채널로부터 프레임의 타이밍을 계산한다. 상기 IDLE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채널로부터 가장 가까운 기지국이 속해있는 스크램블링 코드 그룹이 구분되면 그 중에서 목적하는 기지국의 스크램블링 코드를 계산하여 두 개의 기지국간 수신 신호세력을 고려하여 이동단말이 자체동기를 맞추어 IDLE 핸드오버를 수행한다.The asynchronous method uses a network's own synchronization by assigning a unique PN sequence called a scrambling code for each base station. Therefore, it takes a long time for the mobile terminal to distinguish the base stations, and attempts to call by finding the best received base station. In order to distinguish the base stations, the mobile station is assigned a different scrambling code for each base station. In order to find the nearest base station, the mobile station first calculates the timing of the slot from the common synchronization channel and then calculates the timing of the frame from the secondary synchronization channel. In order to perform the IDLE handover, when the scrambling code group to which the base station closest to the channel belongs is divided, the scrambling code of the target base station is calculated, and the mobile station adjusts its own synchroniz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received signal forces between the two base stations. Perform IDLE handover.

따라서, 동기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이동단말과 비동기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이동단말은 서로 다른 구성을 가지게 된다. 3세대(3rd Genera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 동기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과 비동기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이 통합된 하나의 이동통신 시스템이 요구된다. 즉, 하나의 이동단말에서 동기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과 비동기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을 모두를 송수신하는 것이 요구된다.Therefore, the mobile terminal used in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mobile terminal used i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ve different configurations. In the 3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re integrated is required. That is, one mobile terminal is required to transmit and receive both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듀얼모드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듀얼모드단말은 동기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칩(chip)(110)과 비동기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칩(12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듀얼모드단말은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1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듀얼모드단말은 상술한 구성 이외에 메모리(134)와 표시부(136), 데이터처리부(13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들이 포함될 수 있지만, 상기 도 1은 본원 발명과 관련된 구성만을 도시하였다. 상기 동기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칩(110)은 상기 안테나(10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112)와, 상기 안테나(100)로 데이터를 전 송하기 위한 송신부(11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동기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칩(110)은 상기 수신부(112) 또는 송신부(114)로부터 전달되었거나 전달할 데이터들을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처리부(116)를 구비한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dual mode terminal. The dual mode terminal includes a chip 110 supporting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chip 120 supporting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addition, the dual mode terminal is provided with an antenna 100 for transmitting data to, or receiving data from the base station. The dual mode terminal includes a memory 134, a display unit 136, and a data processor 132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ther configurations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but FIG. 1 illustrates only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p 110 supporting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receiver 112 for receiv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antenna 100 and a transmitter 114 for transmitting data to the antenna 100. Doing. In addition, the chip 110 supporting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data processor 116 for processing data transmitted from or to be transmitted from the receiver 112 or the transmitter 114.

상기 비동기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칩(120)은 상기 동기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칩(110)과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즉, 상기 비동기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칩(120)은 상기 안테나(10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122)와, 상기 안테나(100)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부(12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비동기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칩(120)은 상기 수신부(122) 또는 송신부(124)로부터 전달되었거나 전달할 데이터들을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처리부(126)를 구비한다.The chip 120 supporting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hip 110 for supporting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at is, the chip 120 for supporting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receiver 122 for receiv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antenna 100 and a transmitter 124 for transmitting data to the antenna 100. Equipped with. In addition, the chip 120 supporting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data processor 126 for processing data transmitted or to be transmitted from the receiver 122 or the transmitter 124.

상기 비동기방식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 비동기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칩(120)이 구동되며, 상기 동기방식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 동기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칩(110)이 구동된다. 상기 비동기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칩(120)과 상기 동기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칩(110)은 동일한 시점에 구동될 수 없다. 상기 비동기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칩(120)이 구동될 경우 상기 동기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칩(110)은 구동되지 아니하며, 상기 동기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칩(110)이 구동될 경우 상기 비동기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칩(120)은 구동되지 아니한다. 상술한 바와 특정 시점에서 하나의 이동통신 시스템만을 지원하는 상기 듀얼 모드 단말을 단일 모드 기동 듀얼 모드 단말이라 한다.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the chip 120 supporting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drive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upports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chip 110 is driven. The chip 120 supporting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chip 110 supporting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nnot be driven at the same time. When the chip 120 supporting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driven, the chip 110 supporting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not driven, and the chip 110 supporting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driven. If the chip 120 supporting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not driven. As described above, the dual mode terminal supporting only on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t a specific time point is called a single mode activated dual mode terminal.

따라서, 비동기방식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듀얼 모드 단말이 동기방식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IDLE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비동기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칩의 구동을 중단하고 동기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칩을 구동한다. 상기 동기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칩의 구동으로부터 상기 동기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을 지원하기까지 대략 15초 내지 20초가 소요된다. 따라서, 상기 시간동안 상기 듀얼모드단말은 다른 단말이나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Therefore, in order to perform IDLE handov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the dual mode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chip supporting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t stops driving and drives the chip supporting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t takes approximately 15 to 20 seconds from driving of a chip supporting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supporting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refore, the dual mode terminal cannot communicate with another terminal or server during the time.

도 2는 듀얼모드단말이 동기방식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거나, 비동기방식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먼저 상기 동기방식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본다. 2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a dual mode terminal communicates with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r communicates with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irst, a process of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ll be described.

상기 듀얼모드단말(UE)(240)은 수신단말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기지국(BTS)(216)으로 통신을 요청한다. 상기 기지국(216)은 상기 듀얼모드단말(240)이 요청한 수신단말에 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 제어기(BSC)(214)로 전달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214)는 상기 기지국(216)이 전달한 상기 수신단말에 관한 정보를 교환기(212)로 전달한다. 상기 교환기(212)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214)가 전달한 상기 수신단말이 위치하고 있는 교환기를 홈위치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230)로 문의한다. 상기 HLR(230)은 상기 교환기(212)가 문의한 상기 수신단말을 관리하고 있는 교환기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교환기로 상기 수신단말의 라우팅 번호를 요구한다. 상기 요구한 라우팅 번호를 수신한 상기 HLR(230)은 상기 교 환기로 상기 수신단말이 위치하고 있는 교환기에 관한 정보를 전달한다. 상기 교환기는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단말을 관리하고 있는 교환기로 통신을 요청함으로서 상기 듀얼모드단말(240)과 수신단말간의 통신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dual mode terminal (UE) 240 requests communication to the base station (BTS) 216 to communicate with the receiving terminal. The base station 216 transfers the information about the receiving terminal requested by the dual mode terminal 240 to the base station controller (BSC) 214. The base station controller 214 transfers the information about the receiving terminal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216 to the exchange 212. The exchange 212 inquires of the home location register (HLR) 230 of the exchange in which the receiving terminal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controller 214 is located. The HLR 230 searches for an exchange managing the receiving terminal inquired by the exchange 212, and requests a routing number of the receiving terminal from the discovered exchange. Receiving the requested routing number, the HLR 230 transmits the information about the exchange in which the receiving terminal is located. The exchange exchanges the dual mode terminal 240 with the receiving terminal by requesting communication to the exchange managing the receiving terminal using the received information.

상기 듀얼모드단말(240)이 상기 비동기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동기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과 동일하다. 상기 도 2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듀얼모드 이동통신시스템은 하나의 HLR(230)을 이용하고 있다. 상기 도 2에서는 상기 듀얼모드단말(240)이 수신단말로 통신을 요청하는 경우에 대해 알아보았으나, 송신단말이 상기 듀얼모드단말(240)로 통신을 요청하는 경우도 동일하다. 상기 송신단말이 상기 듀얼모드단말로 통신을 요청하는 경우에 대해 알아본다.The dual mode terminal 240 performs the communication i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the same manner as the communication in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s shown in FIG. 2, the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es one HLR 230. In FIG. 2, the case in which the dual mode terminal 240 requests communication to the receiving terminal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same applies to the case in which the transmitting terminal requests communication to the dual mode terminal 240. The case where the transmitting terminal requests communication to the dual mode terminal will be described.

도 3은 송신단말에서 IDLE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있는 듀얼모드단말로 통신을 요청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상기 도 3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단말에서 상기 듀얼모드단말로 통신을 요청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본다. 이하, 비동기방식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중인 상기 듀얼모드단말에서 동기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IDLE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본다.3 shows a process of requesting communication from a dual mode terminal performing IDLE handover in a transmitting terminal. Hereinafter, a process of requesting communication from the transmitting terminal to the dual mode termina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Hereinafter, a process of performing IDLE handover from the dual mode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ll be described.

320단계에서 상기 듀얼모드단말(300)은 상기 비동기방식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을 중단하고, 상기 동기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IDLE 핸드오버를 수행하기로 결정한다. 322단계와 324단계에서 상기 듀얼모드단말(300)은 상기 비동기방식의 통신에 필요한 비동기모드 칩의 전력을 중단(off)하고, 동기방식의 통신에 필요한 동기모드 칩의 전력을 온(on)시킨다. 상기 324단계에서 상기 동기방식의 통신에 필요 한 동기모드 칩의 전력을 온 시킴으로 상기 듀얼모드단말(300)은 상기 동기방식 이동통신을 위해 동기방식 기지국에 대해 동기를 획득을 시도한다. 상기 동기 획득을 시도함으로서 상기 듀얼모드단말(300)은 326단계에서 상기 동기방식 기지국에 대해 동기를 획득하게 된다.In step 320, the dual mode terminal 300 stops communication with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determines to perform IDLE handover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steps 322 and 324, the dual mode terminal 300 turns off the power of the asynchronous mode chip required for the asynchronous communication and turns on the power of the synchronous mode chip required for the synchronous communication. . In step 324, the dual mode terminal 300 attempts to acquire synchronization with the synchronous base station for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by turning on the power of the synchronous mode chip required for the synchronous communication. By attempting to acquire the synchronization, the dual mode terminal 300 acquires synchronization with the synchronization base station in step 326.

328단계에서 상기 듀얼모드단말(300)은 동기방식 시스템의 교환기(302)에 대해 위치 등록을 요청한다. 상기 듀얼모드단말(300)로부터 위치 등록을 요청받은 상기 동기방식 시스템의 교환기(302)은 330단계에서 HLR(306)에 대해 상기 듀얼모드단말(300)의 위치 등록을 요청한다. 332단계에서 상기 HLR(306)은 상기 듀얼모드단말(300)의 위치를 상기 요청 이전에 관리한 비동기방식 시스템의 교환기(304)에서 상기 동기획득 과정을 통해 획득된 동기방식 시스템의 교환기(302)으로 위치를 재 등록한다.In step 328, the dual mode terminal 300 requests location registration with the switch 302 of the synchronous system. In operation 330, the switch 302 of the synchronous system, which has received a position registration request from the dual mode terminal 300, requests the position registration of the dual mode terminal 300 from the HLR 306. In step 332, the HLR 306 exchanges the synchronization mode system 302 obtained through the synchronization acquisition process in the exchange 304 of the asynchronous system that manages the location of the dual mode terminal 300 before the request. To re-register the location.

334단계에서 상기 HLR(306)은 상기 330단계에 대한 응답인 상기 동기방식 시스템의 교환기(302)으로 위치를 재 등록하였음을 상기 동기방식 시스템의 교환기(302)으로 전달한다. 상기 듀얼모드단말(300)의 위치를 재 등록하였음을 전달받은 상기 동기방식 시스템의 교환기(302)은 336단계에서 상기 상기 듀얼모드단말(300)로 상기 듀얼모드단말(300)의 위치를 재 등록하였음을 전달한다. 338단계에서 상기 듀얼모드단말(300)은 동기방식 시스템으로 이동통신 서비스를 시작한다. 이하 상기 송신단말(310)이 상기 듀얼모드단말(300)로 통신을 요청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본다.In step 334, the HLR 306 informs the switch 302 of the synchronous system that the location has been re-registered with the switch 302 of the synchronous system in response to step 330. The exchanger 302 of the synchronous system, which has received the re-registration of the location of the dual mode terminal 300, re-registers the location of the dual mode terminal 300 to the dual mode terminal 300 in step 336. Communicate. In step 338, the dual mode terminal 300 starts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n a synchronous system. Hereinafter, a process of requesting communication by the transmitting terminal 310 to the dual mode terminal 300 will be described.

상기 송신단말(310)은 340단계에서 교환기(308)로 통신을 요청하는 IAM(Initial Address Message)를 전송한다. 상기 교환기(308)는 342단계에서 상기 송신단말(310)의 통신 요청에 대해 상기 HLR(306)에 대해 상기 듀얼모드단말(300)을 관리하고 있는 교환기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 상기 듀얼모드단말(300)을 관리하고 있는 교환기에 대한 정보는 SRI(Send Routing Information) 메시지를 이용한다. 상기 교환기(308)로부터 상기 듀얼모드단말(300)을 관리하고 있는 교환기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은 상기 HLR(306)은 상기 듀얼모드단말(300)을 관리하고 있는 교환기를 검색한다. 상기 도 3과 관련하여 상기 듀얼모드단말(300)을 관리하고 있는 교환기는 비동기방식 시스템의 교환기(304)이다. 따라서, 상기 HLR(306)은 344단계에서 상기 비동기방식 시스템의 교환기(304)에 대해 상기 듀얼모드단말(300)의 로밍 번호(Mobile Station Roaming Number: MSRN) 공급을 요청한다. 상기 듀얼모드단말(300)의 로밍 번호 요청은 PRN(Provide Roaming Number) 메시지를 이용한다.In step 340, the transmitting terminal 310 transmits an IAM (Initial Address Message) requesting communication to the switch 308. In operation 342, the exchange 308 requests information about the exchange managing the dual mode terminal 300 from the HLR 306 in response to the communication request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310. The information on the exchange managing the dual mode terminal 300 uses a Send Routing Information (SRI) message. The HLR 306, which has received information about an exchange managing the dual mode terminal 300 from the exchange 308, searches for an exchange managing the dual mode terminal 300. 3, the switch managing the dual mode terminal 300 is a switch 304 of an asynchronous system. Accordingly, the HLR 306 requests the switch 304 of the asynchronous system to supply a roaming number (MSRN) of the dual mode terminal 300 in step 344. The roaming number request of the dual mode terminal 300 uses a provision roaming number (PRN) message.

상기 요청에 의해 상기 비동기방식 시스템의 교환기(304)는 상기 듀얼모드단말(300)의 로밍번호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MSRN을 346단계에서 상기 HLR(306)로 전송한다. 상기 HLR(306)은 348단계에서 상기 교환기(308)로 상기 346단계에서 전송받은 상기 MSRN이 포함되어 있는 SRI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HLR(306)로부터 MSRN을 전달받은 상기 교환기(308)는 350단계에서 상기 비동기방식 시스템의 교환기(304)로 상기 NSRN을 이용하여 통신을 요청한다. 상기 통신을 요청받은 상기 비동기방식의 교환기(304)가 상기 듀얼모드단말(300)과 호를 설정함으로서, 상기 송신단말(310)과 상기 듀얼모드단말(300)간의 통신이 이루어진다.In response to the request, the exchange 304 of the asynchronous system sets a roaming number of the dual mode terminal 300 and transmits the set MSRN to the HLR 306 in step 346. The HLR 306 transmits an SRI message including the MSRN transmitted in step 346 to the exchange 308 in step 348. The exchange 308 receiving the MSRN from the HLR 306 requests communication using the NSRN to the switch 304 of the asynchronous system in step 350. As the asynchronous exchange switch 304 that has received the communication request establishes a call with the dual mode terminal 300, communication between the transmitting terminal 310 and the dual mode terminal 300 is performed.

하지만 상기 도 3에서는 상기 교환기(308)가 상기 비동기방식 시스템의 교환 기(304)로 통신을 요청하기 이전 또는 요청함과 동시에 상기 듀얼모드단말(300)이 IDLE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비동기모드 칩의 구동을 중단하였다. 상기 비동기방식 시스템의 교환기(304)는 상기 듀얼모드단말(300)과 호 설정을 시도하지만, 상기 비동기모드 칩의 구동은 중단되었으므로 상기 호 설정을 실패로 돌아간다. 하지만 상기 송신단말(310)은 상기 듀얼모드단말(300)이 IDLE 핸드오버를 수행 중임을 알지 못하므로 설정된 시간동안 통신 요청을 계속한다. 상기 설정된 시간동안 호 설정을 실패할 경우 상기 비동기방식 시스템의 교환기(304)는 352단계에서 상기 송신단말(310)로 통신 연결을 실패하였음을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듀얼모드단말(300)이 비동기모드에서 동기모드로, 또는 동기모드에서 비동기모드로 모드변환하는 25초 내지 30초가 소요된다. 따라서, 상기 시간동안 상기 듀얼모드단말(300)로 통신을 요청하는 단말은 상기 도 3과 같이 통신 연결에 실패할 것이다.However, in FIG. 3, the dual mode terminal 300 performs the IDLE handover before the exchange 308 requests or requests the communication to the exchange 304 of the asynchronous system. The chip was stopped. The exchange 304 of the asynchronous system attempts to set up a call with the dual mode terminal 300, but since the asynchronous mode chip is stopped, the call setup returns to failure. However, since the transmitting terminal 310 does not know that the dual mode terminal 300 is performing IDLE handover, it continues the communication request for a predetermined time. If the call setup fails for the set time, the switch 304 of the asynchronous system transmits that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has failed in step 352 to the transmitting terminal 310. As described above, it takes 25 to 30 seconds for the dual mode terminal 300 to switch modes from asynchronous mode to synchronous mode or from synchronous mode to asynchronous mode. Therefore, the terminal requesting communication to the dual mode terminal 300 during the time will fail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as shown in FIG.

도 4는 IDLE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듀얼모드단말(400)이 상기 IDLE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있음을 HLR(406)로 전송하는 과정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의 420단계 내지 438단계에서 수행되는 동작은 상기 도 3의 320단계 내지 338단계에서 수행동작과 동일하다. 하지만 상기 도 4에서는 상기 듀얼모드단말(400)이 440단계에서 HLR(406)로 상기 듀얼모드단말(400)이 IDLE 핸드오버를 수행중임을 상기 비동기방식 시스템의 교환기(404)를 경유하여 통보한다. 상기 상기 듀얼모드단말(400)는 IMSI-Detach(Internation Mobile Subscriber Identification - Detach)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HLR(406)에 대해 IDLE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있음을 통보한다. 상기 듀얼모드단말(400)로부터 IDLE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있음을 통보받은 상기 HLR(406)은 상기 통보된 내용을 442단계에서 저장한다. 이하 상기 송신단말(410)이 상기 듀얼모드단말(400)로 통신을 요청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본다.FIG. 4 illustrates a process of transmitting to the HLR 406 that the dual mode terminal 400 performing IDLE handover is performing the IDLE handover. Operation performed in steps 420 to 438 of FIG. 4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performed in steps 320 to 338 of FIG. 3. However, in FIG. 4, the dual mode terminal 400 notifies the HLR 406 via the exchange 404 of the asynchronous system in step 440 that the dual mode terminal 400 is performing IDLE handover. . The dual mode terminal 400 notifies that the HLR 406 is performing IDLE handover using an IMSI-Detach (Internation Mobile Subscriber Identification-Detach) message. The HLR 406 notified that the IDLE handover is performed from the dual mode terminal 400 stores the informed content in step 442. Hereinafter, a process of requesting communication by the transmitting terminal 410 to the dual mode terminal 400 will be described.

상기 송신단말(400)은 450단계에서 교환기(408)로 통신을 요청하는 IAM(Initial Address Message)를 전송한다. 상기 교환기(408)는 452단계에서 상기 송신단말(410)의 통신 요청에 대해 상기 HLR(406)에 대해 상기 듀얼모드단말(400)을 관리하고 있는 교환기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 상기 듀얼모드단말(400)을 관리하고 있는 교환기에 대한 정보는 SRI(Send Routing Information) 메시지를 이용한다. 상기 교환기(408)로부터 상기 듀얼모드단말(400)을 관리하고 있는 교환기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은 상기 HLR(406)은 상기 듀얼모드단말(400)을 관리하고 있는 교환기를 검색한다. 하지만 상기 HLR(406)은 442단계에서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듀얼모드단말(400)이 IDLE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있음을 인식한다.In step 450, the transmitting terminal 400 transmits an IAM (Initial Address Message) requesting communication to the exchange 408. In operation 452, the exchange 408 requests information about the exchange managing the dual mode terminal 400 from the HLR 406 in response to the communication request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410. The information on the exchange managing the dual mode terminal 400 uses a Send Routing Information (SRI) message. The HLR 406, which has received information about the exchange managing the dual mode terminal 400 from the exchange 408, searches for the exchange managing the dual mode terminal 400. However, the HLR 406 recognizes that the dual mode terminal 400 performs IDLE handover us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step 442.

상기 HLR(406)은 454단계에서 상기 듀얼모드단말(400)이 착신 불능 상태임을 상기 교환기(408)로 전송한다. 상기 착신 불능 상태임은 상기 SRI 메시지를 이용하여 전송한다. 상기 듀얼모드단말(400)이 착신불능 상태임을 통보받은 상기 교환기(408)는 456단계에서 상기 송신단말(410)로 상기 듀얼모드단말(400)이 착신불능 상태임을 통보한다. 상기 과정을 수행함으로서 상기 송신단말(410)은 상기 듀얼모드단말(400)과의 통신 시도를 포기하게 된다. The HLR 406 transmits to the exchange 408 that the dual mode terminal 400 is incapable of receiving in step 454. The unavailable state is transmitted using the SRI message. In operation 456, the switch 408 notified that the dual mode terminal 400 is incapable of notifying the mobile station notifies the transmitting terminal 410 that the dual mode terminal 400 is incapable of receiving. By performing the above process, the transmitting terminal 410 gives up the communication attempt with the dual mode terminal 400.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듀얼모드단말이 IDLE 핸드오버를 수행할 경우에는 상기 듀얼모드단말은 호 착신과 발신을 불가능하게된다. 상기 도 3과 같이 모드변경시 상기 듀얼모드단말에서 아무런 정보도 통보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송신단말은 상 기 듀얼모드단말과 호 설정이 불가능함을 즉시 통보받지 못하게 된다. 상기 송신단말은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에야 상기 듀얼모드단말과 호 설정이 불가능함을 통보받게 된다. 상기 도 4와 같이 상기 듀얼모드단말이 상기 IDLE 핸드오버를 수행 중임을 통보하는 경우 상기 송신단말은 상기 듀얼모드단말과 호 설정을 포기하거나,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 새로 호 설정을 시도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논의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ual mode terminal performs IDLE handover, the dual mode terminal becomes impossible to make call and originate. When the mode is changed as shown in FIG. 3, if the dual mode terminal does not notify any information, the transmitting terminal does not immediately receive notification that the call cannot be established with the dual mode terminal. The transmitting terminal is notified that the call cannot be established with the dual mode terminal only after the set time has elapsed. As shown in FIG. 4, when the dual mode terminal notifies that the IDLE handover is being performed, the transmitting terminal should give up the call setting with the dual mode terminal or attempt a new call setting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refore, a solution to the above problem is discussed.

따라서,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신단말이 호 설정을 요청한 단말의 IDLE 핸드오버 수행 여부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함에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is to propose a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receiving information regarding whether IDLE handover of a terminal requesting call establishment is perform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신단말이 호 설정을 요청한 단말이 IDLE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있을 경우, 상기 단말이 IDLE 핸드오버를 종료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전달받을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receiving a time required for the terminal to terminate IDLE handover when the terminal requesting call setup is performing IDLE handov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신단말이 호 설정을 요청한 단말의 IDLE 핸드오버 여부를 전달받음으로서 호 설정을 계속 요구할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서, 상기 발신단말의 대기시간을 줄이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pos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the waiting time of the calling terminal by determining whether the calling terminal continues to request call setting by receiving IDLE handover of the terminal requesting call setting.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번의 호 설정 요청에 의해 IDLE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있는 단말에 대한 호 설정 과정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a call setup process for a terminal performing IDLE handover by one call setup request.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이루기 위해 동기이동통신 시스템 또는 비동기이동통신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듀얼모드단말, 상기 듀얼모드단말로 호 설정을 요청하는 송신단말로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송신단말에서 시스템간 IDLE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있는 상기 듀얼모드단말로 호 연결을 요청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듀얼모드단말이 IDLE 핸드오버를 종료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통보받고, 상기 통보된 시간에 의해 호 연결을 계속 요청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호 연결을 계속 요청한다고 결정하면, 상기 IDLE 핸드오버를 종료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듀얼모드단말로 호 연결을 요청하도록 통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dual mode terminal managed by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r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ransmission terminal for requesting call setup to the dual mode terminal, A method for requesting a call connection to the dual mode terminal performing IDLE handover,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time required for the dual mode terminal to terminate IDLE handover, and continuing to request a call connection by the informed time And determining whether to continue the call connection, and notifying the dual mode terminal to request the call connection after the time required for terminating the IDLE handover has elapsed. .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이루기 위해 동기이동통신 시스템 또는 비동기이동통신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듀얼모드단말과, 상기 듀얼모드단말로 호 연결을 요청하는 송신단말과, 상기 듀얼모드단말과 상기 송신단말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홈위치등록기(HLR)로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송신단말에서 시스템간 IDLE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있는 상기 듀얼모드단말로 호 연결을 요청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홈위치등록기로부터, 상기 듀얼모드단말이 IDLE 핸드오버를 수행중임과 상기 IDLE 핸드오버를 종료하는데 남은 시간을 통보받는 과정과, 상기 통보된 시간에 의해 호 연결을 계속 요청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호 연결을 계속 요청한다고 결정하면, 상기 IDLE 핸드오버를 종료하는데 남은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듀얼모드단말로 호 연결을 요청하도록 통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ual mode terminal managed by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r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transmission terminal for requesting a call connection to the dual mode terminal, the dual mode terminal and the transmission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storing location information, a method for requesting a call connection from the transmitting terminal to the dual mode terminal performing IDLE handover between systems, the home location register From the dual mode terminal is performing the IDLE handover and the remaining time to terminate the IDLE handover being informed, determining whether to continue to request the call connection by the notification time, call connection If it is determined to continue to request, after the time remaining to terminate the IDLE handover elapses to the dual mode terminal It characterized by constituted by any process of notification to request a connection.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이루기 위해 동기이동통신 시스템 또는 비동기이동통신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듀얼모드단말과, 상기 듀얼모드단말로 호 연결을 요청하는 송신단말로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송신단말에서 시스템간 IDLE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있는 상기 듀얼모드단말로 호 연결을 요청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듀얼모드단말이 IDLE 핸드오버를 종료하는데 남은 시간을 통보받고, 상기 통보된 시간에 의해 호 연결을 계속 요청한다고 결정하면, 상기 IDLE 핸드오버를 종료하는데 남은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듀얼모드단말로 호 연결을 요청하도록 통보하는 상기 송신단말과, 상기 송신단말이 호 연결을 요청하는 상기 듀얼모드단말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dual mode terminal managed by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r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transmitting terminal for requesting a call connection to the dual mode terminal to achieve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in the transmitting terminal A device for requesting call connection to the dual mode terminal performing IDLE handover between the devices, wherein the dual mode terminal is notified of the time remaining for terminating the IDLE handover, and continues to request the call connection by the informed time. And the transmitting terminal notifying the dual mode terminal to request a call connection after the remaining time for terminating the IDLE handover has elapsed, and the dual mode terminal requesting the call connection. It is done.

이하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단말에서 IDLE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듀얼모드단말로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는 듀얼모드단말(500), 동기방식 시스템의 교환기(502), 비동기방식 시스템의 교환기(504), 홈위치등록기(506), 교환기(508), 송신단말(51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송신단말(510)에는 듀얼모드단말, 이동단말, 유선단말 등이 해당된다. 이하 상기 듀얼모드단말(500)에서 IDLE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본다. 5 illustrates a process of performing communication from a transmitting terminal to a dual mode terminal performing IDLE hand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composed of a dual mode terminal 500, an exchange 502 of a synchronous system, an exchange 504 of an asynchronous system, a home location register 506, an exchange 508, and a transmitting terminal 510. FIG. . The transmission terminal 510 corresponds to a dual mode terminal, a mobile terminal, a wired terminal, and the like. Hereinafter, a process of performing IDLE handover in the dual mode terminal 500 will be described.                     

520단계에서 상기 듀얼모드단말(500)은 상기 비동기방식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을 중단하고, 상기 동기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IDLE 핸드오버를 수행하기로 결정한다. IDLE 핸드오버를 수행하기로 결정한 상기 듀얼모드단말(500)은 522단계에서 상기 비동기방식의 교환기(504)를 경유하여 상기 HLR(506)에 대해 IDLE 핸드오버 초기값을 포함한 IMSI-Detach 메시지를 이용하여 IDLE 핸드오버를 수행함을 통보하거나, SMS를 이용하여 IDLE 핸드오버를 수행함을 통보한다. 상기 IDLE 핸드오버를 수행함을 통보받은 상기 HLR(506)은 524단계에서 상기 통보된 정보를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HLR(506)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타이머를 구동한다.In step 520, the dual mode terminal 500 stops communicating with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determines to perform IDLE handover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dual mode terminal 500 that decides to perform IDLE handover uses the IMSI-Detach message including the IDLE handover initial value for the HLR 506 via the asynchronous switch 504 in step 522. Notify that the IDLE handover is performed, or notify that the IDLE handover is performed using SMS. In step 524, the HLR 506 notified of the IDLE handover is stored, and at the same time, the HLR 506 drives the timer included in the HLR 506.

526단계와 528단계에서 상기 듀얼모드단말(500)은 상기 비동기방식의 통신에 필요한 비동기모드 칩의 전력을 중단(off)하고, 동기방식의 통신에 필요한 동기모드 칩의 전력을 온(on)시킨다. 상기 528단계에서 상기 동기방식의 통신에 필요한 동기모드 칩의 전력을 온 시킴으로 상기 듀얼모드단말(500)은 상기 동기방식 이동통신을 위해 동기방식 기지국에 대해 동기를 획득을 시도한다. 상기 동기 획득을 시도함으로서 상기 듀얼모드단말(500)은 530단계에서 상기 동기방식 기지국에 대해 동기를 획득하게 된다.In steps 526 and 528, the dual mode terminal 500 turns off the power of the asynchronous mode chip required for the asynchronous communication and turns on the power of the synchronous mode chip required for the synchronous communication. . In step 528, the dual mode terminal 500 attempts to acquire synchronization with the synchronous base station for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by turning on the power of the synchronous mode chip required for the synchronous communication. By attempting to acquire the synchronization, the dual mode terminal 500 acquires synchronization with respect to the synchronization type base station in step 530.

532단계에서 상기 듀얼모드단말(500)은 동기방식 시스템의 교환기(502)에 대해 위치 등록을 요청한다. 상기 듀얼모드단말(500)로부터 위치 등록을 요청받은 상기 동기방식 시스템의 교환기(502)는 534단계에서 HLR(506)에 대해 상기 듀얼모드단말(500)의 위치 등록을 요청한다. 536단계에서 상기 HLR(506)은 상기 듀얼모드단말(500)의 위치를 상기 요청 이전에 관리한 비동기방식 시스템의 교환기(502)에서 상기 동기획득 과정을 통해 획득된 동기방식 시스템의 교환기(502)로 위치를 재 등록한다.In step 532, the dual mode terminal 500 requests location registration with the switch 502 of the synchronous system. In operation 534, the switch 502 of the synchronous system, which has received a position registration request from the dual mode terminal 500, requests the position registration of the dual mode terminal 500 from the HLR 506. In step 536, the HLR 506 exchanges the synchronization mode of the synchronous system acquired through the synchronization acquisition process in the exchange 502 of the asynchronous system that manages the position of the dual mode terminal 500 before the request. Reregister the location with.

538단계에서 상기 HLR(506)은 상기 534단계에 대한 응답인 상기 동기방식 시스템의 교환기(502)로 위치를 재 등록하였음을 상기 동기방식 시스템의 교환기(502)로 전달한다. 상기 듀얼모드단말(500)의 위치를 재 등록하였음을 전달받은 상기 동기방식 시스템의 교환기(502)는 540단계에서 상기 상기 듀얼모드단말(500)로 상기 듀얼모드단말(500)의 위치를 재 등록하였음을 전달한다. 542단계에서 상기 듀얼모드단말(500)은 동기방식 시스템으로 이동통신 서비스를 시작한다. 이하 상기 송신단말(510)이 상기 듀얼모드단말(500)로 통신을 요청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본다.In step 538, the HLR 506 informs the switch 502 of the synchronous system that the location has been re-registered with the switch 502 of the synchronous system, which is a response to the step 534. The exchanger 502 of the synchronous system, which has received the re-registration of the location of the dual mode terminal 500, re-registers the location of the dual mode terminal 500 with the dual mode terminal 500 in step 540. Communicate. In step 542, the dual mode terminal 500 starts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n a synchronous system. Hereinafter, a process of requesting communication to the dual mode terminal 500 by the transmitting terminal 510 will be described.

상기 송신단말(510)은 550단계에서 교환기(508)로 통신을 요청하는 IAM(Initial Address Message)를 전송한다. 상기 교환기(508)는 552단계에서 상기 송신단말단말(510)의 통신 요청에 대해 상기 HLR(506)에 대해 상기 듀얼모드단말(500)을 관리하고 있는 교환기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 상기 듀얼모드단말(500)을 관리하고 있는 교환기에 대한 정보는 SRI(Send Routing Information) 메시지를 이용한다. 상기 교환기(508)로부터 상기 듀얼모드단말(500)을 관리하고 있는 교환기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은 상기 HLR(506)은 상기 듀얼모드단말(500)을 관리하고 있는 교환기를 검색한다. 하지만 상기 HLR(506)은 524단계에서 저장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듀얼모드단말(500)이 IDLE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있음을 인식한다.  The transmitting terminal 510 transmits an IAM (Initial Address Message) requesting communication to the exchange 508 in step 550. In operation 552, the switch 508 requests information about the switch managing the dual mode terminal 500 from the HLR 506 in response to the communication request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510. The information on the exchange managing the dual mode terminal 500 uses an SRI (Send Routing Information) message. The HLR 506, which has received information about the exchange managing the dual mode terminal 500 from the exchange 508, searches for the exchange managing the dual mode terminal 500. However, the HLR 506 recognizes that the dual mode terminal 500 performs IDLE handover us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step 524.                     

상기 HLR(506)은 554단계에서 상기 듀얼모드단말(500)이 착신 불능 상태임을 상기 교환기(508)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HLR(506)은 554단계에서 상기 듀얼모드단말(500)이 IDLE 핸드오버를 종료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상기 교환기(508)로 전송한다. 즉, 상기 듀얼모드단말(500)이 동기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환하여 서비스를 시작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전송한다. 상기 시간(A)은 모드변경을 수행하고, 상기 변경된 모드에서 서비스를 시작하는데 걸리는 시간(B)과 상기 524단계와 상기 554단계의 시간 차(C)를 이용하여 구한다. 상기 A는 상기 B에서 상기 C 뺀 값이다. 상기 HLR(506)은 524단계에서 상기 B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B를 역카운터를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B는 25초 내지 30초이다. 상기 HLR(506)은 상기 교환기(508)로부터 상기 552단계의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554단계에서 카운터에 남아있는 시간을 전송한다.The HLR 506 transmits to the exchange 508 that the dual mode terminal 500 is incapable of reception in step 554. In addition, the HLR 506 transmits the time required for the dual mode terminal 500 to complete the IDLE handover to the switch 508 in step 554. That is, the dual mode terminal 500 transmits the time required to switch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start the service. The time A is obtained by using the time B required to perform a mode change and start a service in the changed mode, and the time difference C of steps 524 and 554. A is the value of B minus C. In step 524, the HLR 506 sets the B and performs an inverse counter on the set B. As described above, B is 25 to 30 seconds. The HLR 506 transmits the time remaining in the counter in step 554 when the message of step 552 is received from the exchange 508.

556단계에서 상기 교환기(508)는 상기 송신단말(510)로 상기 듀얼모드단말(500)은 IDLE 핸드오버를 수행 중임을 통보한다. 상기 교환기(508)는 상기 556단계에서 상기 듀얼모드단말(500)이 상기 동기방식 시스템으로 변경하여 서비스를 시작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통보함과 동시에 상기 남은 시간동안 대기한 후 상기 남은 시간이 경과된 후 호 설정을 새로 시작할지 여부를 문의한다. 상기 문의에 대해 상기 송신단말(510)은 통신 연결을 포기하거나, 상기 남은 시간이 경과된 후 통신 연결을 재 시도한다.In step 556, the switch 508 notifies the transmitting terminal 510 that the dual mode terminal 500 is performing IDLE handover. The switch 508 notifies the time taken for the dual mode terminal 500 to start the service by changing to the synchronous system in step 556 and at the same time waits for the remaining time, after the remaining time has elapsed. Ask if you want to start a new call setup. In response to the inquiry, the transmitting terminal 510 abandons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or retries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after the remaining time elapses.

558단계에서 상기 송신단말(510)은 상기 교환기(508)로 상기 남은 시간이 경과된 후 통신 연결을 재 시도하도록 요청한다. 560단계에서 상기 교환기(508)는 상 기 남은 시간이 경과되도록 대기하고, 562단계에서 상기 교환기(508)는 상기 HLR(506)에 대해 상기 듀얼모드단말(500)을 관리하고 있는 교환기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 상기 송신단말(510)을 관리하고 있는 교환기에 대한 정보는 SRI(Send Routing Information) 메시지를 이용한다. 상기 교환기로부터 상기 듀얼모드단말(500)을 관리하고 있는 교환기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은 상기 HLR(506)은 상기 듀얼모드단말(500)을 관리하고 있는 교환기를 검색한다. 상기 듀얼모드단말(500)은 이미 상기 IDLE 핸드오버를 성공적 수행하고, 상기 동기방식 시스템의 교환기(502)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상기 도 5와 관련하여 상기 듀얼모드단말(500)을 관리하고 있는 교환기는 비동기방식 시스템의 교환기(502)이다. 따라서, 상기 HLR(506)은 564단계에서 상기 동기방식 시스템의 교환기(502)에 대해 상기 듀얼모드단말(500)의 로밍 번호(Mobile Station Roaming Number: MSRN) 공급을 요청한다. 상기 듀얼모드단말(500)의 로밍 번호 요청은 PRN(Provide Roaming Number) 메시지를 이용한다.In step 558, the transmitting terminal 510 requests the switch 508 to retry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after the remaining time elapses. In step 560, the switch 508 waits for the remaining time to elapse, and in step 562, the switch 508 manages the dual mode terminal 500 with respect to the HLR 506. Ask. The information on the exchange managing the transmitting terminal 510 uses an SRI (Send Routing Information) message. The HLR 506, which has received information about the exchange managing the dual mode terminal 500 from the exchange, searches for the exchange managing the dual mode terminal 500. The dual mode terminal 500 has already successfully performed the IDLE handover and is managed by the switch 502 of the synchronous system. 5, the switch managing the dual mode terminal 500 is the switch 502 of the asynchronous system. Therefore, in step 564, the HLR 506 requests the exchange 502 of the synchronous system to supply a roaming number (MSRN) of the dual mode terminal 500. The roaming number request of the dual mode terminal 500 uses a Provide Roaming Number (PRN) message.

상기 요청에 의해 상기 동기방식 시스템의 교환기(502)는 상기 듀얼모드단말(500)의 로밍번호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MSRN을 566단계에서 상기 HLR(506)로 전송한다. 상기 HLR(506)은 568단계에서 상기 교환기(508)로 상기 566단계에서 전송받은 상기 MSRN이 포함되어 있는 SRI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HLR(506)로부터 MSRN을 전달받은 상기 교환기(508)는 570단계에서 상기 동기방식 시스템의 교환기(502)로 상기 NSRN을 이용하여 통신을 요청한다. 상기 통신을 요청받은 상기 동기방식 시스템의 교환기(502)는 572단계에서 상기 듀얼모드단말(500) 과 호를 설정함으로서, 상기 송신단말(510)과 상기 듀얼모드단말(500)은 574단계에서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도 5에서는 상기 듀얼모드단말(500)이 비동기방식 시스템에서 동기방식 시스템으로 IDLE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상기 듀얼모드단말(500)이 상기 동기방식 시스템에서 비동기방식 시스템으로 IDLE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 역시 동일하다.
In response to the request, the switch 502 of the synchronous system sets a roaming number of the dual mode terminal 500 and transmits the set MSRN to the HLR 506 in step 566. The HLR 506 transmits an SRI message including the MSRN received in step 566 to the exchange 508 in step 568. The exchange 508 receiving the MSRN from the HLR 506 requests communication using the NSRN to the switch 502 of the synchronous system in step 570. The exchange 502 of the synchronous system receiving the communication request establishes a call with the dual mode terminal 500 in step 572, so that the transmitting terminal 510 and the dual mode terminal 500 communicate in step 574. Do this. In FIG. 5,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IDLE handover from the asynchronous system to the synchronous system in the dual mode terminal 500 has been described, but the dual mode terminal 500 is an IDLE from the synchronous system to the asynchronous system. The process of performing handover is the sam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듀얼도드단말이 송신단말에 대해 IDLE 핸드오버를 수행중임을 통보함으로서 상기 송신단말은 상기 듀얼모드단말에 대해 호 연결을 계속 요청할지 여부를 신속히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듀얼모드단말에 대해 호 연결을 계속 요청할 경우 설정 시간이 경과된 후 호 연결을 재 시도함으로서 착신단말 사용자는 추가행위 없이 상기 듀얼모드단말로 호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ual terminal terminal notifies the transmitting terminal that the IDLE handover is being performed, so that the transmitting terminal can quickly determine whether to continue to request call connection for the dual mode terminal. In addition, if a continuous connection request is made for the dual mode terminal, the call terminal user may attempt to connect the call to the dual mode terminal without additional action by retrying the call connection after a set time elapses.

Claims (9)

동기이동통신 시스템 또는 비동기이동통신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듀얼모드단말과, 상기 듀얼모드단말로 호 연결을 요청하는 송신단말로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송신단말에서 시스템간 아이들 핸드오버(IDLE Handover)를 수행하고 있는 상기 듀얼모드단말로 호 연결을 요청하는 방법에 있어서,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dual mode terminal managed by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r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transmitting terminal requesting call connection to the dual mode terminal, an IDLE handover between systems is performed by the transmitting terminal. In the method for requesting a call connection to the dual-mode terminal is performed, 상기 듀얼모드단말이 IDLE 핸드오버를 종료하는데 남은 시간을 통보받고, 상기 통보된 시간에 의해 호 연결을 계속 요청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Receiving a time remaining for the dual mode terminal to terminate IDLE handover, and determining whether to continue to request call connection based on the informed time; 호 연결을 계속 요청한다고 결정하면, 상기 IDLE 핸드오버를 종료하는데 남은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듀얼모드단말로 호 연결을 요청하도록 통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all connection is to be continued, notifying the dual mode terminal to request a call connection after the remaining time for terminating the IDLE handover has elapsed. 동기이동통신 시스템 또는 비동기이동통신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듀얼모드단말과, 상기 듀얼모드단말로 호 연결을 요청하는 송신단말과, 상기 듀얼모드단말과 상기 송신단말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홈위치등록기(HLR)로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송신단말에서 시스템간 IDLE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있는 상기 듀얼모드단말로 호 연결을 요청하는 방법에 있어서,A home position register which stores a dual mode terminal managed by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r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transmitting terminal requesting a call connection to the dual mode terminal,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ual mode terminal and the transmitting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nsisting of (HLR), a method for requesting a call connection from the transmitting terminal to the dual mode terminal performing IDLE handover between systems, 상기 홈위치등록기로부터, 상기 듀얼모드단말이 IDLE 핸드오버를 수행중임과 상기 IDLE 핸드오버를 종료하는데 남은 시간을 통보받는 과정과,Receiving a notification from the home location register that the dual mode terminal is performing IDLE handover and remaining time for terminating the IDLE handover; 상기 통보된 시간에 의해 호 연결을 계속 요청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to continue to request call connection by the informed time; 호 연결을 계속 요청한다고 결정하면, 상기 IDLE 핸드오버를 종료하는데 남은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듀얼모드단말로 호 연결을 요청하도록 통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all connection is to be continued, notifying the dual mode terminal to request a call connection after the remaining time for terminating the IDLE handover has elapse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HLR은 상기 듀얼모드단말로부터 IDLE 핸드오버를 수행한다고 통보받으면, 상기 IDLE 핸드오버를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시간을 역카운터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2, wherein when the HLR is informed from the dual mode terminal to perform IDLE handover, the HLR sets a time required to perform the IDLE handover and reverse counts the set time.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말로부터 상기 듀얼모드단말에 대한 호 연결 요청을 받은 상기 HLR은 상기 역카운터 값을 상기 송신단말로 통보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4.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3, wherein the HLR receives a call connection request from the transmitting terminal to the dual mode terminal and notifies the transmitting terminal of the inverse counter value. 동기이동통신 시스템 또는 비동기이동통신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듀얼모드단말과, 상기 듀얼모드단말로 호 연결을 요청하는 송신단말로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송신단말에서 시스템간 IDLE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있는 상기 듀얼모드단말로 호 연결을 요청하는 장치에 있어서,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dual mode terminal managed by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r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transmission terminal for requesting a call connection to the dual mode terminal, wherein the transmitting terminal performs IDLE handover between systems. In a device for requesting a call connection to a dual-mode terminal, 상기 듀얼모드단말이 IDLE 핸드오버를 종료하는데 남은 시간을 통보받고, 상기 통보된 시간에 의해 호 연결을 계속 요청한다고 결정하면, 상기 IDLE 핸드오버를 종료하는데 남은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듀얼모드단말로 호 연결을 요청하도록 통보하는 상기 송신단말과,If the dual mode terminal is notified of the remaining time to terminate the IDLE handover, and determines that the call connection is continued by the informed time, the remaining time to terminate the IDLE handover passes to the dual mode terminal. The transmitting terminal for notifying to request a call connection; 상기 송신단말이 호 연결을 요청하는 상기 듀얼모드단말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And the transmitting terminal comprises the dual mode terminal requesting a call connection.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기 송신단말과 상기 듀얼모드단말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홈위치등록기(HLR)를 부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And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stor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and the dual mode terminal.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모드단말은,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dual mode terminal, 상기 시스템간 IDLE 핸드오버를 수행함을 상기 HLR로 통보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And inform the HLR that the IDLE handover is performed between the systems.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HLR은,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HLR, 통보된 상기 듀얼모드단말의 시스템간 IDLE 핸드오버를 수행한다는 정보를 저정함과 동시에 설정된 시스템간 IDLE 핸드오버를 종료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역카운터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And count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reported dual mode terminal performs inter-system IDLE handover, and at the same time, counting the time required to terminate the set inter-system IDLE handover.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HLR은,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HLR, 상기 송신단말의 호 연결 요청되면, 상기 역카운터 값을 통보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And the reverse counter value is notified when the call connection request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is requested.
KR1020030055881A 2003-08-12 2003-08-12 Call Receiving Device and Method of Dual Mode Terminal during Standby Mode Handover KR1005478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5881A KR100547803B1 (en) 2003-08-12 2003-08-12 Call Receiving Device and Method of Dual Mode Terminal during Standby Mode Hando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5881A KR100547803B1 (en) 2003-08-12 2003-08-12 Call Receiving Device and Method of Dual Mode Terminal during Standby Mode Hando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318A KR20050017318A (en) 2005-02-22
KR100547803B1 true KR100547803B1 (en) 2006-01-31

Family

ID=37227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5881A KR100547803B1 (en) 2003-08-12 2003-08-12 Call Receiving Device and Method of Dual Mode Terminal during Standby Mode Hando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780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893B1 (en) * 2004-01-08 2007-04-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ystem for Packet Data Service in the Mixed Network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Hand-over Method Thereof
CN102186159B (en) * 2011-04-27 2014-01-15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Mobile equipment and communication method of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318A (en) 2005-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42963B1 (en) Method for establishing an inbound call to the mobile telephone in a cellular mobile telephone network
EP1468582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djusting mobility management
US20220191823A1 (en) Communication system
US9055548B2 (en) Method of handling location service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KR20020014566A (en) Method and apparatud for managementing dormant state mobile station in base station of wireless packet data system
CA251478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reduced slotted mode in a communication system
CN105338584A (en) Method for returning to LTE network and device thereof
CN102026143A (en) Method and equipment for realizing idle state saving signaling
KR102034225B1 (en) Method to use existing nas signaling connection for pending uplink signaling/data after tau accept
EP3419378A1 (en) Method of location tracking and related apparatus using the same
RU2308806C2 (en) Method for delivering broadcast information into mobile station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20020011407A (en) Methods and systems for error handling in radiocommunication systems employing pre-paging
US8072940B2 (en) Controlling method and data call handover method for dual band/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9296098A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all connection method
US8868114B2 (en) Network entity for mobile communications
KR100547803B1 (en) Call Receiving Device and Method of Dual Mode Terminal during Standby Mode Handover
GB2477962A (en) Connection-maintaining request during a mobile terminated procedure
KR100374568B1 (en) Power off control method for mobile station
KR101420183B1 (e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mobile station
KR100561663B1 (en) Location Based Service Method for Mobile Switching Center
KR100375914B1 (en) Method of Controlling Hand-off in Dormant State in the Switching System
KR101487482B1 (en) Method for processing voice call using pre-paging, and base station and home location register for performing the same
KR20130048674A (en) Method for processing voice call, and mobile terminal, base station and home location register for performing the same
JP6230271B2 (en) Exchange selection method,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nd exchange
KR20050037895A (en) Hand over method for dual band/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