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6272B1 - Data input circuit using data strobe signal - Google Patents

Data input circuit using data strobe sig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6272B1
KR100546272B1 KR1019980009967A KR19980009967A KR100546272B1 KR 100546272 B1 KR100546272 B1 KR 100546272B1 KR 1019980009967 A KR1019980009967 A KR 1019980009967A KR 19980009967 A KR19980009967 A KR 19980009967A KR 100546272 B1 KR100546272 B1 KR 100546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uffer
input
output
st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99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75644A (en
Inventor
이상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09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6272B1/en
Publication of KR19990075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56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6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6272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93Input synchroniz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2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for memories with random access ports synchronised on clock signal pulse trains, e.g. synchronous memories, self timed memori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84Data input buffers, e.g. comprising level conversion circuits, circuits for adapting lo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87Data input latch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9Control signal input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6Tim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3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data buff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6Input/output [I/O] data management or control circuits, e.g. reading or writing circuits, I/O drivers or bit-line switch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22Control and timing of internal memory operations
    • G11C2207/2272Latency related aspects

Abstract

데이터 스트로우브 신호와 함께 입력되는 데이터를 클럭에 동기시키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력 회로에 관해 기재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 회로는, 데이터 입력 시점과 동일한 시점에서 입력되어 데이터를 샘플링하는 클럭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데이터 스트로우브 신호와 버퍼단 제어신호들에 응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를 교대로 출력하는 복수개의 버퍼단들과, 동기단 제어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버퍼단들의 출력 데이터를 내부클럭에 동기시켜 출력하며, 공통의 데이터 입력선과 그 출력들이 연결되는 복수개의 동기단들을 구비한다. 따라서, 클럭에서 데이터 출력 까지의 소요 시간 및 데이터가 메모리에서 컨트롤러까지 비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의 영향을 배제하여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속도가 개선된다.A data input circuit of a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synchronizing data input with a data strobe signal to a clock is described. The data input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data input signals which are alternately outputted in response to data strobe signals and buffer stage control signals which are input at the same time as the data input time and serve as a clock for sampling data. In response to buffer stages and synchronous stage control signals, output data of the buffer stages are output in synchronization with an internal clock, and a plurality of synchronous stages connected to a common data input line and the outputs are provided. Therefore, the operation speed of the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s improved by excluding the influence of the time required from the clock to the data output and the time required for the data to fly from the memory to the controller.

Description

데이터 스트로우브 신호를 사용한 데이터 입력 회로Data input circuit using data strobe signal

본 발명은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데이터 스트로우브 신호를 사용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력 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ata input circuit of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ing a data strobe signal.

컴퓨터 시스템은 주어진 작업들에 대한 명령들을 실행하기 위한 중앙 처리 장치(이하, CPU)와, CPU가 요구하는 데이터,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기 위한 주 메모리를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컴퓨터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해서는 CPU의 동작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과 CPU가 대기 시간없이 동작하여 주 메모리로의 억세스 시간이 가능한 한 짧게 만드는 것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요구에 의하여 시스템 클럭의 제어를 받아 동작하여 주 메모리로의 억세스 시간이 매우 짧은 동기식 디램(이하, SDRAM)이 출현하게 되었다.Computer systems generally have a central processing un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PU) for executing instructions for given tasks and a main memory for storing data, programs, and the like required by the CPU.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a computer system, it is required to increase the operating speed of the CPU and to make the access time to the main memory as short as possible by operating the CPU without waiting time. In response to such demands, a synchronous DRAM (hereinafter referred to as SDRAM), which operates under the control of the system clock and has a very short access time to main memory, has emerged.

통상적으로 SDRAM은 시스템 클럭의 천이에 의해 발생되는 펄스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이 제어된다. 클럭에 동기되어 동작하는 이러한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클럭 사이클 타임(CLOCK CYCLE TIME, 이하, tCC)은 여러 가지 요소들에 의하여 제한된다.Typically, the SDRAM is controlled in response to a pulse signal generated by the transition of the system clock. In such a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operating in synchronization with a clock, the clock cycle time (CLOCK CYCLE TIME, hereinafter tCC) is limited by various factors.

즉, tCC는, 메모리와 데이터 컨트롤러에 입력되는 클럭의 소요 시간의 차이(이하, tSW), 클럭에서 데이터 출력 까지의 소요 시간(DATA ACCESS TIME, 이하 tAC), 데이터가 메모리에서 컨트롤러까지 비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하, tFL), 컨트롤러에서의 데이터 셋-업 타임(이하, tSS) 등의 합에 의하여 결정된다.That is, tCC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ime required for the clock input to the memory and the data controll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SW), the time required for the clock to output the data (DATA ACCESS TIME, tAC), and the data required for flight from the memory to the controller. It is determined by the sum of the tim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FL) and the data set-up tim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SS) in the controller.

도 1은 종래 기술에서 tCC를 제한하는 각종 소요 시간을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여기에서, CLK_SYS는 시스템 클럭의 파형을, CLK_CNTR는 컨트롤러에 입력되는 클럭의 파형을, CLK_DRAM은 DRAM에 입력되는 클럭의 파형을, DATA_DRAM은 DRAM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DATA_CNTR는 컨트롤러에서 수파하는 데이터를 각각 나타낸다.1 is a timing diagram showing various time required for limiting tCC in the prior art. Here, CLK_SYS is the waveform of the system clock, CLK_CNTR is the waveform of the clock input to the controller, CLK_DRAM is the waveform of the clock input to the DRAM, DATA_DRAM is the data output from the DRAM, and DATA_CNTR is the data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Represent each.

이를 참조하면, 시스템상에서 tCC는 tSW, tAC, tFL 및 tSS의 합 이상이 되어야 한다는 한계를 지니게 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데이터 입출력 회로로는 300MHz 이상의 주파수를 지니는 SDRAM을 실현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Referring to this, in the system, tCC is limited to be equal to or more than the sum of tSW, tAC, tFL, and tSS. Therefore, it was not possible to realize an SDRAM having a frequency of 300 MHz or more with a conventional data input / output circuit.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의 하나로써, 클럭 형태를 갖는 데이터 스트로우브(이하, DS) 신호를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는, 메모리와 컨트롤러 간의 데이터 전송시 데이터 라인과 동일한 시스템 부하를 갖는 데이터 스트로우브 라인을 통해, DS 신호를 데이터와 함께 전송하고, 컨트롤러에서는 이 DS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받아들임으로써, tFL, tAC 와 같은 시스템 클럭을 제한하는 요소들을 상쇄한다. 따라서, DS 신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보다, 높은 동작 주파수를 갖는 시스템 클럭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a method of using a data strobe (DS) signal having a clock form has been proposed. This is because the DS signal is transmitted along with the data through the data strobe line having the same system load as the data line when transferring data between the memory and the controller, and the controller receives the data using the DS signal. Offset elements that limit the same system clock.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use a system clock having a higher operating frequency than when not using a DS signal.

이와 같이, DS 신호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는 DS 신호에 동기시켜 데이터를 받아들이기 때문에, 입력된 데이터를 다시 시스템 클럭과 동기시키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또한, 메모리 장치에 사용되는 클럭의 상승에지 및 하강에지에서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더블 데이터 레이트(Double Data Rate, 이하, DDR) 기술이 보편화되는 추세에 있으므로, DS 신호를 사용하고, DDR 또는 그 이상의 데이터 레이트를 가지며,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입력될 수 있는 입력 버퍼에 대한 요구도 증가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ystem using the DS signal, the data is receiv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DS signal, and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synchronize the input data with the system clock again. In addition, since a double data rate (DDR) technology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data at rising and falling edges of a clock used in a memory device is becoming more common, a DS signal is used and DDR or higher data is used.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input buffers that have a rate and that data can be continuously inpu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데이터 스트로우브 신호와 함께 입력되는 데이터를 클럭에 동기시키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력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provide a data input circuit of a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synchronizing data input with a data strobe signal to a clock.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 회로는, 데이터 입력 시점과 동일한 시점에서 입력되어 데이터를 샘플링하는 클럭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데이터 스트로우브 신호와 버퍼단 제어신호들에 응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를 교대로 출력하는 복수개의 버퍼단들과, 동기단 제어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버퍼단들의 출력 데이터를 내부클럭에 동기시켜 출력하며, 공통의 데이터 입력선과 그 출력들이 연결되는 복수개의 동기단들을 구비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ata input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data input in response to a data strobe signal and a buffer stage control signal which are input at the same time as the data input time and serve as a clock for sampling data. A plurality of buffer stages alternately output and a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tages for synchronizing the output data of the buffer stages with an internal clock in response to the synchronization stage control signals, and having a common data input line and the outputs connected thereto. .

상기 데이터 입력회로는 또한, 기입 동작이 허용된 구간 내에서, CMOS 레벨로 전환된 데이터 스트로우브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버퍼단의 개수만큼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지는 버퍼단 제어신호들을 발생하는 버퍼단 제어회로와, 기입 동작이 허용된 구간 내에서, 상기 버퍼단 제어신호들을 입력하고 이를 내부클럭에 동기시킨 동기단 제어신호들을 발생하는 동기단 제어회로를 구비한다.The data input circuit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stage control circuit for inputting a data strobe signal converted to a CMOS level and generating buffer stage control signals having different phases by the number of buffer stages within a section in which a write operation is permitted; A synchronous stage control circuit for generating the synchronous stage control signals for inputting the buffer stage control signals and synchronizing them to an internal clock is provided within an allowed operation period.

상기 버퍼단 제어회로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버퍼단 제어신호들은 CMOS 레벨로 전환된 상기 데이터 스트로우브 신호가 하이 레벨로 천이될때마다 그 논리 상태가 변화된다.The buffer stage control signals outputted through the buffer stage control circuit change their logic states whenever the data strobe signal switched to the CMOS level transitions to a high level.

상기 버퍼단들은 클럭 한 주기 동안 입력되는 데이터 수 만큼의 개수가 병렬로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버퍼단들 각각은, 버퍼단 제어신호와 데이터 스트로우브 신호를 논리곱하는 논리곱 수단과, 상기 논리곱 수단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어, 입력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복수개의 전송 수단들 및 상기 전송 수단들의 출력을 일정시간 저장하는 복수개의 래치 수단들을 구비한다.Preferably, the buffer stages are connected in parallel as many times as the number of data inputted during one clock cycle. Each of the buffer stages includes: an AND function for performing an AND operation on a buffer stage control signal and a data strobe signal, and an output of the AND product. It is controlled by a plurality of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input data and a plurality of latch means for storing the output of the transmission means for a predetermined time.

상기 동기단들 각각은, 동기단 제어신호와 내부클럭을 입력하는 낸드 게이트와, 상기 낸드 게이트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버퍼단의 출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 수단, 및 상기 전송 수단의 출력을 일정시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래치 수단을 구비한다.Each of the synchronization stages may include a NAND gate for inputting a synchronous stage control signal and an internal clock, at least one transfer means controlled by an output of the NAND gate to transfer output data of the buffer stage, and the transfer means. At least one latch means for storing the output for a certain tim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스트로우브 신호와 함께 입력되고, DDR 또는 그 이상의 데이터 레이트를 가지며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동작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ffectively operated even when data is input together with a data strobe signal and data is input with a DDR or higher data rat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각 도면에 대하여 부호와 숫자가 같은 것은 동일한 회로임을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numerals indicate the same circuit for each drawing.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입력 회로의 블록도로서, 데이터가 더블 데이터 레이트(Double Data Rate, 이하 DDR)로 입력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input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n example in which data is input at a double data rate (DD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버퍼 회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TTL 레벨로 입력되는 DS 신호를 받아들여 CMOS 레벨로 변환하는 DS 전환부(10)와, 상기 DS 전환부(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일정시간 지연시켜 출력하는 지연회로(15)와, TTL 레벨로 입력되는 데이터 DIN을 받아들여 CMOS 레벨의 신호로 변환하는 DIN 전환부(20)와, 상기 DS 전환부(10)의 출력신호를 입력하여 버퍼단 제어신호들(PDSEN1, PDSEN2)을 발생하는 버퍼단 제어회로(30)와, 상기 버퍼단 제어신호들(PDSEN1, PDSEN2)을 입력하여 내부 클럭(PCLK)에 동기된 동기단 제어신호들(PCLKEN1, PCLKEN2)을 발생하는 동기단 제어회로(40)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2, an input buffer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S switching unit 10 which receives a DS signal input at a TTL level and converts the signal into a CMOS level, and the DS switching unit 10. A delay circuit 15 for delaying and outputting a signal outputted from a predetermined time period, a DIN switching unit 20 for receiving data DIN input at a TTL level and converting the signal to a CMOS level signal, and the DS switching unit 10. A synchronization stage synchronized with the internal clock PCLK by inputting the buffer stage control circuit 30 to generate the buffer stage control signals PDSEN1 and PDSEN2 by inputting an output signal of the control circuit 30 and the buffer stage control signals PDSEN1 and PDSEN2. A synchronization stage control circuit 40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PCLKEN1 and PCLKEN2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입력 버퍼 회로는 또한, 버퍼단 제어신호들(PDSEN1, PDSEN2)과 지연회로 출력신호(PDSD)에 응답하여, 각각이 상기 DIN 전환부(2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PDINT)를 교대로 출력하는 복수개의 버퍼단들, 예컨대 제1 및 제2 버퍼단들(50 및 60)과, 상기 동기단 제어신호들(PCLKEN1, PPCLKEN2)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버퍼단들(50 및 6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내부 클럭(PCLK)에 동기시켜 출력하는 복수개의 동기단들, 예컨대 제1 및 제2 동기단들(50 및 60)을 구비한다. The input buffer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so alternately alternates the data PDINT output from the DIN switching section 20 in response to the buffer stage control signals PDSEN1 and PDSEN2 and the delay circuit output signal PDSD. A plurality of outputting buffer stages,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buffer stages 50 and 60 and the synchronization stage control signals PCLKEN1 and PPCLKEN2, from the first and second buffer stages 50 and 60. A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tages, for example, first and second synchronization stages 50 and 60, outputting the output data in synchronization with the internal clock PCLK.

상기 DS 전환부(10)는 데이터를 샘플링하는 클럭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DS 신호를 CMOS 레벨의 신호(PDS)로서 출력하고, 상기 DIN 전환부(20)는 입력 데이터(DI)를 CMOS 레벨의 신호(PDINT)로서 출력한다.The DS switching unit 10 outputs a DS signal serving as a clock for sampling data as a CMOS level signal PDS, and the DIN switching unit 20 outputs input data DI to a CMOS level signal ( PDINT).

상기 버퍼단 제어회로(30)는, DS 전환부(10)로부터 출력되는 PDS 신호를 입력하여 제1 및 제2 버퍼단(50 및 60) 중에서 어느 쪽 버퍼단에 PDSD 신호가 입력될지를 결정하는 신호들인 버퍼단 제어신호들(PDSEN1 및 PDSEN2)을 발생한다. 이 버퍼단 제어신호들(PDSEN1 및 PDSEN2)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버퍼단(50 및 60)들이 교대로 동작하게 된다.The buffer stage control circuit 30 inputs a PDS signal output from the DS switching unit 10 to determine which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uffer stages 50 and 60 determines whether the PDSD signal is input to the buffer stage. Generate control signals PDSEN1 and PDSEN2. The buffer stage control signals PDSEN1 and PDSEN2 alternately operate the first and second buffer stages 50 and 60.

상기 동기단 제어회로(40)는 또한, 상기 버퍼단 제어회로(30)로부터 출력되는 버퍼단 제어신호들(PDSEN1 및 PDSEN2)과 내부 클럭(PCLK)에 응답하여, 동기단 제어 신호들(PCLKEN1 및 PCLKEN2)을 발생한다.The synchronous stage control circuit 40 may also output the synchronous stage control signals PCLKEN1 and PCLKEN2 in response to the buffer stage control signals PDSEN1 and PDSEN2 and the internal clock PCLK output from the buffer stage control circuit 30. Occurs.

상기 제1 버퍼단 및 제2 버퍼단(50 및 60) 각각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DS 신호가 CMOS 레벨로 전환되고 일정시간 지연된 신호(PDSD)와 상기 버퍼단 제어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버퍼단 제어 신호들(PDSEN1 및 PDSEN2)에 응답하여, CMOS 레벨로 전환된 데이터(PDINT)를 교대로 출력한다. 이때, 버퍼단들(50, 60) 각각으로 입력되는 데이터(PDINT)들은 짝수번째와 홀수번째 데이터로 분리되어 출력노드들(NF1_E, NF1_O, NF2_E, NF2_O)로 제공된다.Each of the first buffer stage and the second buffer stage 50 and 60 may include a signal PDSD, from which an external DS signal is converted to a CMOS level and delay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buffer stage control signals PDSEN1 and outputted from the buffer stage control circuit. In response to PDSEN2), data PDINT switched to the CMOS level is alternately output. At this time, the data PDINT input to each of the buffer stages 50 and 60 are divided into even-numbered and odd-numbered data and provided to the output nodes NF1_E, NF1_O, NF2_E, and NF2_O.

본 발명에 따르면, 클럭 한 주기동안 입력되는 데이터의 수에 해당되는 개수의 버퍼단들이 병렬로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데이터가 클럭의 상승에지 및 하강에지에서 입력되는 경우, 2 개의 버퍼단들 즉, 제1 및 제2 버퍼단(50, 60)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 number of buffer stage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data input for one clock period are connected in parallel. For example, when data is input at the rising edge and the falling edge of the clock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wo buffer stages are formed,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buffer stages 50 and 60.

상기 동기단들(70, 80)은, 동기단 제어신호들(PCLKEN1, PCLKEN2)에 응답하여, 상기 버퍼단들의출력 데이터를 내부 클럭(PCLK)에 동기시켜 공통의 데이터 입력선들(DI_E, DI_O)로 제공한다. 상기 동기단들은 상기 버퍼단들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출력들은 공통의 데이터 입력선과 연결된다. The synchronization stages 70 and 80 synchronize the output data of the buffer stages to the internal clock PCLK in response to the synchronization stage control signals PCLKEN1 and PCLKEN2 to common data input lines DI_E and DI_O. to provide. Preferably, the sync stages are configured to have the same number as the buffer stages, and each output is connected to a common data input line.

도 3a와 도3b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입력회로에 사용되는 신호들의 타이밍도로서, 도 3a는 클럭과 DS 신호의 소요 시간 차이(이하 tDSS)가 0.5CLK 인 경우를 도 3b는 1CLK인 경우를 예로 들었으며, 두 경우 모두에 있어서 기입 레이턴시는 2로 설정하였다.3A and 3B are timing diagrams of signals used in the data input circuit shown in FIG. 2, and FIG. 3A shows a case in which a time difference between a clock and a DS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tDSS) is 0.5 CLK. The case is given as an example, and in both cases the write latency is set to two.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DS 신호는 기입 명령어(WD)가 입력되는 클럭(CLK)에 대해 tDSS 만큼 지연되어 입력된다. 이때 입력되는 데이터(DIN)는 DS 신호의 상승 에지 또는 하강 에지에 그 중심이 위치한다. 3A and 3B, the DS signal is input by being delayed by tDSS with respect to the clock CLK to which the write command WD is input. In this case, the center of the input data DIN is located at the rising edge or the falling edge of the DS signal.

DS 전환부(도 2의 10)를 통해 입력되는 DS 신호는, DIN과 함께 입력되고, 스탠바이(stand-by) 모드에서 하이 임피던스 레벨을 유지한다. 이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DS 신호가 하이 또는 로우 레벨을 유지하는 경우, 시스템 상에서 DS 라인과 전압 소스간에 전류 경로가 형성되어 발생되는 스탠바이 전류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서이다. 또한, 데이터 전송시 DS 신호가 하이 임피던스 레벨에서 곧바로 "하이" 레벨로 천이되는 경우, 첫 번째 데이터 DO_E와 세 번째 데이터 D1_E를 받아들이는 DS 신호의 파형이 달라지게 된다. 이러한 파형의 변화는 데이터의 셋 업(set up) 및 홀드(hold) 시간 차이를 유발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DS 신호는, 도시된바와 같이, 첫 번째 데이터가 입력되기 1 싸이클 전부터 "로우" 레벨을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S signal input through the DS switching unit (10 in FIG. 2) is input together with DIN and maintains a high impedance level in the standby mode. This is to reduce the standby current consumption caused by the formation of a current path between the DS line and the voltage source on the system when the DS signal remains high or low in standby mode. In addition, when the DS signal transitions directly from the high impedance level to the "high" level during data transmission, the waveform of the DS signal receiving the first data DO_E and the third data D1_E is changed. This change in waveform causes a difference in set up and hold time of the data. To prevent this, the DS signal is preferably configured to maintain a "low" level before one cycle before the first data is input, as shown.

기입 마스터 신호 PWR은 기입 명령어 WD에 응답하여 활성화되고 기입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하이" 상태를 유지하는 신호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기입 레이턴시가 2인 경우를 예로 들었으므로, 데이터 기입이 완료된 후 2 클럭 싸이클 동안 "하이" 상태를 유지한다.The write master signal PWR is a signal that is activated in response to the write command WD and maintains a "high" state during the write opera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write latency is 2 as an example, two clocks after the data write is completed are completed. It remains "high" during the cycle.

DS 전환부(도 2의 10)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 PDS에 응답하여 버퍼단 제어신호들인 PDSEN1, PDSEN2 가 발생된다. 지연회로(도 2의 15)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 PDSD 는 DS 전환부 출력신호 PDS가 일정시간 지연된 신호로써, 제1 및 제2 버퍼단(50 및 60)으로 입력된다.The buffer stage control signals PDSEN1 and PDSEN2 are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signal PDS output through the DS switching unit 10 of FIG. 2. The signal PDSD output through the delay circuit 15 of FIG. 2 is a signal in which the DS switching unit output signal PDS is delay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is input to the first and second buffer stages 50 and 60.

버퍼단 제어 신호들 PDSEN1 및 PDSEN2는 도 2에 도시된 2 개의 버퍼단 중에서 어느쪽 버퍼단에 PDSD 신호가 입력될지를 결정하는 신호로서, PWR 이 로우 레벨인 경우 모두 로우 레벨을 유지하다가 PWR이 하이로 천이되면 PDSEN2가 하이가 되어 동작 준비 상태가 된다. 이어서, PWR 신호가 하이인 상태에서 PDS 신호가 하이로 천이되는 것에 응답하여, PDSEN1은 하이로, PDSEN2는 로우로 각각 천이되고, 이에 의해, 제1 버퍼단(30)이 활성화되어 PDSD와 PDINT 신호는 제1 버퍼단(30)으로 입력되고 저장된다. PDS 신호가 로우가 되고 다시 하이로 천이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PDSEN1은 로우로, PDSEN2는 하이로 천이된다. 즉, PDS가 하이로 천이될때마다 PDSEN1 및 PDSEN2는 토글되고, PWR 신호가 로우가 되면 PDSEN1 및 PDSEN2 신호는 모두 로우가 된다. The buffer stage control signals PDSEN1 and PDSEN2 determine which of the two buffer stages the PDSD signal is input to. Among the two buffer stages shown in FIG. 2, the PSDEN1 and the PDSEN2 maintain the low level when the PWR is low and then the PWR transitions high. PDSEN2 goes high, ready for operation. Subsequently, in response to the PDS signal transitioning high while the PWR signal is high, PDSEN1 transitions high and PDSEN2 transitions low, thereby activating the first buffer stage 30 so that the PDSD and PDINT signals It is input to the first buffer stage 30 and stored. When the PDS signal goes low and transitions high again, as shown, PDSEN1 goes low and PDSEN2 goes high. That is, whenever PDS goes high, PDSEN1 and PDSEN2 are toggled, and when the PWR signal goes low, both PDSEN1 and PDSEN2 go low.

동기단 제어신호들 PCLKEN1 및 PCLKEN2는 PWR 신호가 하이 레벨을 유지하는 동안, 내부클럭(PCLK)의 하강에지에 PDSEN1 및 PDSEN2 신호가 동기된 신호이다. The synchronization stage control signals PCLKEN1 and PCLKEN2 are signals in which the PDSEN1 and PDSEN2 signals are synchronized with the falling edge of the internal clock PCLK while the PWR signal maintains the high level.

입력 버퍼 회로의 출력신호 DI_E 및 DI_O는 내부클럭(PCLK)의 상승에지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출력한다.The output signals DI_E and DI_O of the input buffer circuit output data in response to the rising edge of the internal clock PCLK.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 버퍼단(50), 제2 버퍼단(60), 제1 동기단(70) 및 제2 동기단(80)의 구체적 회로도이다.FIG. 4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first buffer stage 50, the second buffer stage 60, the first synchronization stage 70, and the second synchronization stage 80 shown in FIG. 2.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버퍼단, 즉 제1 버퍼단(50)과 제2 버퍼단(60)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제1 동기단(70)과 제2 동기단(80) 또한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제1 버퍼단(50)과 제1 동기단(70)의 구성과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될 것이며, 제2 버퍼단(60)과 제2 동기단(80)이 이에 준하는 구성과 동작을 가짐은 당업자에게 널리 이해되어질 것이다.As shown in FIG. 4, each of the buffer stages, that is, the first buffer stage 50 and the second buffer stage 6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asically the same configuration. Similarly, the first synchronizing stage 70 and the second synchronizing stage 80 also have basically the same configuration. Therefore, the embodiment described below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first buffer stage 50 and the first synchronization stage 70, and the second buffer stage 60 and the second synchronization stage 80 are thus described. It will be well understoo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a similar configuration and operation.

먼저, 상기 제1 버퍼단(50)은 버퍼단 제어신호(PSDEN1)와 PDSD 신호를 논리곱하는 논리곱 수단(54)과, 상기 논리곱 수단(54)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어, 입력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복수개의 전송 수단들(51a, 51b, 51c, 51d, 51e)과, 상기 전송 수단들의 출력을 일정시간 저장하는 복수개의 래치 수단들(52a, 52b, 52c, 52d, 52e)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버퍼단(50)은 또한, 입력되는 데이터(PDINT)를 일정시간 지연시키는 복수개의 반전 수단들(53a, 53b, 53c)을 더 구비한다. First, the first buffer stage 50 is controlled by the logical product means 54 for ANDing the buffer stage control signal PSDEN1 and the PDSD signal, and the output of the logical product means 54 to transmit the input data. A plurality of transmission means (51a, 51b, 51c, 51d, 51e) and a plurality of latch means (52a, 52b, 52c, 52d, 52e) for storing the output of the transmission means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first buffer stage 50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inverting means 53a, 53b, 53c for delaying the input data PDINT for a predetermined time.

상기 전송 수단들(51a, 51b, 51c, 51d, 51e)과 래치 수단들(52a, 52b, 52c, 52d, 52e)은, 입력되는 데이터 중에서 짝수번째와 홀수번째를 분리하여 출력하도록 2 단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전송 수단들과 래치 수단들 중 51a, 51b, 51c와 52a, 52b, 52c는 짝수번째 데이터를, 51d, 51e 와 52d, 52e들은 홀수번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병렬로 구성된다.The transmission means 51a, 51b, 51c, 51d, 51e and the latch means 52a, 52b, 52c, 52d, 52e are configured in two stages to separate and output the even and odd numbers of the input data. It is preferable. For example, 51a, 51b, 51c and 52a, 52b and 52c of the transmission means and the latch means are configured in parallel to transmit even-numbered data and 51d, 51e and 52d and 52e to transmit odd-numbered data.

상기 스위칭 수단들 중 제1 열 및 제2 열의 처음에 위치한 스위칭 수단들(51a, 51d)은, PDSEN1 신호와 PDSD 신호에 따라 교번하여 "온" 되어, 상기 반전 수단들(53a, 53b, 53d)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신호(PDINT)를 래치 수단들로 전송한다. 언급된 스위칭 수단들(51a, 51d) 다음에 위치한 래치 수단들(52a, 52d)은 상기 스위칭 수단들(51a, 51d)이 '온' 되는 시간 동안에 입력되는 짝수번째 데이터와 폴수번째 데이터(PDINT)를 저장한다. The switching means 51a, 51d located at the beginning of the first and second columns of the switching means are alternately " on " according to the PDSEN1 signal and the PDSD signal, so that the inverting means 53a, 53b, 53d. The data signal PDINT, which is input through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latch means. The latch means 52a, 52d next to the switching means 51a, 51d mentioned are the even-numbered data and the odd-numbered data PDINT input during the time when the switching means 51a, 51d are 'on'. Save it.

예를 들어, PDSEN1이 하이 레벨이고, PDSD 가 로우 레벨인 경우, 최초로 입력되는 제1 데이터는 제1 열의 스위칭 수단(51a)을 통과하여 래치 수단(52a)에 저장된다. 계속해서, PDSD 가 하이 레벨로 천이되어 논리합 수단(54)의 두 입력이 모두 하이 레벨이 되면, 제1 열의 두 번째 스위칭 수단(51b)과 제2 열의 첫 번째 스위칭 수단(51d)이 "온" 된다. 따라서, 제1 열의 첫 번째 래치 수단(52a)에 저장된 제1 데이터는 두 번째 래치 수단(52b)로 전송되어 저장되고, 두 번째로 입력되는 제2 데이터는 제2 열의 첫 번째 래치 수단(52d)에 저장된다. 다음, PDSD 가 다시 논리 로우가 되면, 제1 열의 세 번째 스위칭 수단(51c)과 제2 열의 두 번째 스위칭 수단(51e)이 "온" 되고, 제1 데이터는 제1 열의 세 번째 래치 수단(52c)에 저장되고, 제2 데이터는 제2 열의 두 번째 래치 수단(52e)에 저장된다.For example, when PDSEN1 is high level and PDSD is low level, first input data is first stored in the latch means 52a through the switching means 51a of the first column. Subsequently, when the PDSD transitions to the high level so that both inputs of the OR block 54 are at the high level, the second switching means 51b in the first column and the first switching means 51d in the second column are “on”. do. Therefore, the first data stored in the first latch means 52a of the first column is transmitted to and stored in the second latch means 52b, and the second input second data is the first latch means 52d of the second column. Are stored in. Next, when the PDSD becomes logic low again, the third switching means 51c of the first column and the second switching means 51e of the second column are “on”, and the first data is the third latching means 52c of the first column. ), And the second data is stored in the second latch means 52e of the second column.

즉, PDSEN1이 하이인 동안, PDSD 가 하이가 되면 짝수번째 데이터 D0_E가, PDSD가 로우가 되면 홀수번째 데이터 D0_O가 제1 버퍼단(50)의 두 출력 노드들(NF1_E, NF1_O)로 제공된다. 마찬가지로, PDSEN2가 하이인 동안, PDSD가 하이가 되면 짝수번째 데이터 D1_E가, PDSD가 로우가 되면 홀수번째 데이터 D1_O가 제2 버퍼단의 두 출력 노드들(NF2_E, NF2_O)로 제공된다.That is, while PDSEN1 is high, even-numbered data D0_E is provided when PDSD goes high, and odd-numbered data D0_O is provided to two output nodes NF1_E and NF1_O of first buffer stage 50 when PDSD goes low. Similarly, while PDSEN2 is high, even-numbered data D1_E is provided when PDSD goes high, and odd-numbered data D1_O is provided to two output nodes NF2_E and NF2_O of the second buffer stage when PDSD goes low.

또한, 상기 제1 동기단(70)은, 동기단 제어신호(PCLKEN1)와 내부클럭(PCLK)를 입력하는 낸드(NAND) 게이트(73)와, 상기 낸드 게이트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버퍼단의 출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 수단, 예컨대 두 개의 전송 수단들(71, 72) 및 상기 전송 수단의 출력을 일정시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래치수단, 예컨대 두 개의 래치 수단들(74, 75)을 구비한다. The first synchronization stage 70 is controlled by the NAND gate 73 for inputting the synchronization stage control signal PCLKEN1 and the internal clock PCLK, and the output of the NAND gate. At least one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output data of, for example, two transmission means (71, 72) and at least one latch means for storing the output of said transmission means, for example two latch means (74, 75) ).

상기 전송 수단들(71, 72) 각각은 동기단 제어신호(PCLKEN1)와 내부클럭(PCLK)이 모두 하이 레벨이 되면, 상기 제1 버퍼단(50)의 츨력 노드들(NF1_E, NF1_O)로부터 전송되는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를 래치 수단들(74, 75)로 제공하고, 이 데이터들은 공통의 데이터 입력선(DI_E, DI_O)으로 제공된다. Each of the transmission means 71 and 72 is transmitted from the output nodes NF1_E and NF1_O of the first buffer stage 50 when both the synchronous control signal PCLKEN1 and the internal clock PCLK have a high level.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are provided to the latch means 74, 75, which are provided to the common data input lines DI_E and DI_O.

따라서, 제1 버퍼단(50)과 제2 버퍼단(60)의 출력 노드들(NF1_E, NF1_O, NF2_E, NF2_O)에는 짝수번째로 입력되는 제1 데이터(D0_E)와 홀수번째로 입력되는 제2 데이터(D0_O)가 각각 저장되고, 상기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D0_E, D0_O)는 PCLKEN1이 하이인 상태에서 PCLK의 상승에지에 응답하여 데이터 입력선(DI_E, DI_O)으로 출력된다.Therefore, the first data D0_E input evenly and the second data input oddly input to the output nodes NF1_E, NF1_O, NF2_E, and NF2_O of the first buffer stage 50 and the second buffer stage 60. D0_O) are stored, respectively, and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D0_E and D0_O are output to the data input lines DI_E and DI_O in response to the rising edge of the PCLK while the PCLKEN1 is high.

상기와 같이 버퍼단이, 2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은, tDSS 가 예를 들어 3n s∼tCC 의 지연시간을 가지고 입력되므로, 버퍼단이 하나로 구성되는 경우 tDSS(min)시 PCLKEN1 및 PCLK 가 하이가 되어, 버퍼단의 출력노드(NF1_E, NF1_O)에 저장된 데이터가 전송되기 이전에 PDSD 신호가 토글하여 다음번 데이터가 버퍼단의 출력노드(NF1_E, NF1_O)에 도달함으로써 데이터의 충돌이 발생되기 때문이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uffer stage is composed of two stages, since tDSS is input with a delay time of, for example, 3n s to tCC, when the buffer stage is composed of one, PCLKEN1 and PCLK become high at tDSS (min). This is because the PDSD signal toggles before the data stored in the output nodes NF1_E and NF1_O of the buffer stage are transmitted so that the next data arrives at the output nodes NF1_E and NF1_O of the buffer stage.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기입 레이턴시가 2CLK인 경우, 버퍼단이 2 단으로 구성되면 데이터의 충돌이 발생되지 않으며, 만약 기입 레이턴시가 3CLK으로 가정되면 상기 버퍼단도 3단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한편, 동기단 제어신호 PCLKEN1과 PCLKEN2 는 클럭(PCLK)에 동기되어 발생되는 신호들로서, PCLKEN1은 PDSEN1이 하이인 경우 PCLK를 받아서 기입 명령어가 입력되는 클럭보다 2 클럭 후에 발생하는 PCLK를 포함하는 윈도우를 갖는 신호이다. 또한, PCLKEN2는 PCLKEN1과 교대로 하이가 되는 신호로서, 기입 명령어보다 3 클럭 후에 발생하는 PCLK를 포함하는 윈도우를 가지도록 한다. 즉, 기입 명령어보다 2 CLK 후에 발생하는 PCLK에 의해 제1 버퍼단 출력노드들(NF1_E, NF1_O)의 데이터가 데이터 입력선(DI_E, DI_O)으로 전송되고, 3 CLK 후에 발생하는 PCLK에 의해 제2 버퍼단 출력노드들(NF2_E, NF2_O)의 데이터가 데이터 입력선(DI_E, DI_O)으로 공급된다. Therefore,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rite latency is 2 CLK, data collision does not occur when the buffer stage is composed of two stages. If the write latency is assumed to be 3 CLK, the buffer stage should also be configured by three stages. . On the other hand, the synchronous end control signals PCLKEN1 and PCLKEN2 are signals generat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clock PCLK. PCLKEN1 receives a PCLK when PDSEN1 is high, and generates a window including a PCLK generated two clocks later than a clock at which a write command is input. It is a signal. In addition, PCLKEN2 is a signal that is alternately high with PCLKEN1 and has a window including PCLK that occurs three clocks later than the write command. That is, the data of the first buffer stage output nodes NF1_E and NF1_O are transmitted to the data input lines DI_E and DI_O by the PCLK generated 2 CLK after the write command, and the second buffer stage is generated by the PCLK generated after 3 CLK. Data of the output nodes NF2_E and NF2_O are supplied to the data input lines DI_E and DI_O.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퍼단 제어회로(30)의 회로도이다.5 is a circuit diagram of a buffer stage control circui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단 제어회로(30)는, 복수개의 스위칭 수단들(31a, 31b)과, 복수개의 래치수단들(32a, 32b), NAND 게이트들(33a, 33b), 반전수단들(34a, 34b, 34c, 34d) 및 NMOS 트랜지스터(35)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5, the buffer stage control circuit 30 includes a plurality of switching means 31a and 31b, a plurality of latch means 32a and 32b, NAND gates 33a and 33b, and an inverting means. Fields 34a, 34b, 34c, and 34d and the NMOS transistor 35.

도 3의 타이밍도를 참조하여, 상기 버퍼단 제어회로(30)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PWR 신호가 로우인 경우 PDSEN1과 PDSEN2 신호가 로우 상태를 유지하다가, 기입 동작이 시작되어 PWR 신호가 하이로 되면 PDSEN2는 하이로 된다. 이후에는, PDS 신호가 하이로 천이될때마다 PDSEN1 및 PDSEN2 신호는 "로우" 또는 "하이"로 천이된다. 따라서, 최초의 PDS 신호가 하이로 천이되는 시점은, PWR 신호가 하이로 천이된 후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PDSEN1과 PDSEN2 신호는 각각 첫 PDS 신호의 하이 및 로우 에지와 두 번째 PDS 신호의 하이 및 로우 에지를 포함하는 윈도우를 가지는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the timing diagram of FIG. 3,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buffer stage control circuit 30, first, when the PWR signal is low, the PDSEN1 and PDSEN2 signals remain low, and when the write operation is started, the PWR signal becomes high. PDSEN2 goes high. Thereafter, whenever the PDS signal transitions high, the PDSEN1 and PDSEN2 signals transition to "low" or "high".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time point when the first PDS signal transitions high occurs after the PWR signal transitions high. That is, the PDSEN1 and PDSEN2 signals are preferably signals having windows including the high and low edges of the first PDS signal and the high and low edges of the second PDS signal, respectively.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단 제어회로(40)의 회로도이다.6 is a circuit diagram of a synchronous control circuit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단 제어회로(40)는, 복수개의 스위칭 수단들(41a, 41b, 41c, 41d)과, 복수개의 래치 수단들(42a, 42b, 42c, 42d)과, NAND 게이트(43) 및 반전 수단들(44a, 44b)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6, the synchronous control circuit 40 includes a plurality of switching means 41a, 41b, 41c, 41d, a plurality of latch means 42a, 42b, 42c, 42d, and a NAND gate. 43 and inverting means 44a, 44b.

상기 동기단 제어회로(40)는, 버퍼단 제어회로(30)로부터 출력되는 PDSEN1 과 PDSEN2 신호를 입력하여, 기입 명령어보다 2CLK 지연되어 데이터가 데이터 경로에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신호인 PCLKEN1과 PCLKEN2 신호를 발생한다.The synchronous stage control circuit 40 inputs the PDSEN1 and PDSEN2 signals output from the buffer stage control circuit 30 to generate the PCLKEN1 and PCLKEN2 signals, which are signals that control the data to be input to the data path with a delay of 2 CLK from the write command. do.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기재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는 DDR로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지만 데이터가 싱글 데이터 레이트(SDR)로 입력되는 경우, 즉 클럭(CLK)의 하이에지에서만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버퍼단과 동기단의 제 2열과 데이터 출력단자 DI_O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DR인 경우, 기입 레이턴시를 2CLK 대신 1CLK으로도 구현 가능하므로, 버퍼단의 래치수단들도 3단에서 1단으로 줄이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best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Herein,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but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meaning or claims. For example, although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s a case where data is input into DD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even when data is input at a single data rate SDR, that is, only when data is received only at the high edge of the clock CLK. Can be applied.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remove the second column and the data output terminal DI_O of the buffer stage and the synchronization stage. In addition, in the case of SDR, since the write latency can be implemented with 1CLK instead of 2CLK, the latch means of the buffer stage may be reduced from 3 stages to 1 stag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스트로우브 신호와 함께 입력되고, DDR 또는 그 이상의 데이터 레이트를 가지며 데이터가 입력되는 데이터 입력 회로가 제공된다. 따라서, 클럭에서 데이터 출력 까지의 소요 시간(tAC), 및 데이터가 메모리에서 컨트롤러까지 비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tFL)의 영향을 배제하여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DS 신호 및 데이터가 가변적인 시차를 가지고 DDR로 연속적으로 입력되더라도 효과적으로 동작한다. 뿐만 아니라, 버퍼단이 2단 이상으로 구성되므로, DS 신호와 클럭 간의 시차 범위가 변화되더라도 버퍼단 제어회로의 지연시간이나 동기단 제어 회로의 일부를 수정하여 쉽게 대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provided a data input circuit which is input together with a data strobe signal, has a data rate of DDR or higher, and which data is input. Therefore, the operation speed of the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n be improved by excluding the influence of the time tAC from the clock to the data output and the time tFL required for the data to fly from the memory to the controller. In addition, it works effectively even if DS signals and data are continuously input to DDR with variable time difference. In addition, since the buffer stage is composed of two or more stages, the delay time of the buffer stage control circuit or a part of the synchronous stage control circuit can be easily corrected even if the time difference range between the DS signal and the clock is changed.

도 1은 종래 기술에서 tCC를 제한하는 각종 소요 시간을 도시한 타이밍도이다.1 is a timing diagram showing various time required for limiting tCC in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입력 회로의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input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와 도3b는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입력 회로에서, 클럭과 DS 신호의 소요 시간 차이가 0.5CLK 인 경우와 1CLK인 경우를 각각 도시한 타이밍도들이다.3A and 3B are timing diagrams illustrating a case where a time difference between a clock and a DS signal is 0.5CLK and 1CLK, respectively, in the data input circuit shown in FIG.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 버퍼단, 제2 버퍼단, 제1 동기단 및 제2 동기단의 구체적 회로도이다.FIG. 4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first buffer stage, the second buffer stage, the first sync stage, and the second sync stage shown in FIG. 2.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퍼단 제어회로의 구체적 회로도이다.5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 buffer stage control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단 제어회로의 구체적 회로도이다.6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 synchronous control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2)

데이터 입력 시점과 동일한 시점에서 입력되어 데이터를 샘플링하는 클럭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데이터 스트로우브 신호가 사용되는 동기식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력 회로에 있어서, A data input circuit of a synchronous memory device in which a data strobe signal input at the same time as a data input time and serving as a clock for sampling data is used. 상기 데이터 스트로우브 신호와 버퍼단 제어신호들에 응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를 교대로 출력하는 복수개의 버퍼단들;A plurality of buffer stages for alternately outputting input data in response to the data strobe signal and buffer stage control signals; 동기단 제어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버퍼단들의 출력 데이터를 내부클럭에 동기시켜 공통의 데이터 입력선으로 제공하는 복수개의 동기단들 ;A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tages which, in response to the synchronization stage control signals, synchronize the output data of the buffer stages with an internal clock to provide a common data input line; 기입 동작이 허용된 구간 내에서, CMOS 레벨로 전환된 데이터 스트로우브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버퍼단의 개수만큼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지는 상기 버퍼단 제어신호들을 발생하는 버퍼단 제어회로; 및A buffer stage control circuit for inputting a data strobe signal converted to a CMOS level and generating the buffer stage control signals having different phases by the number of buffer stages within a section in which a write operation is permitted; And 기입 동작이 허용된 구간 내에서, 상기 버퍼단 제어신호들을 입력하고 이를 내부클럭에 동기시킨 상기 동기단 제어신호들을 발생하는 동기단 제어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력 회로.And a synchronization stage control circuit for generating the synchronization stage control signals for inputting the buffer stage control signals and synchronizing them to an internal clock within a section in which a write operation is permit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단 제어회로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버퍼단 제어신호들은 CMOS 레벨로 전환된 상기 데이터 스트로우브 신호가 하이 레벨로 천이될때마다 그 논리 상태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력 회로.The data of the memor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ffer stage control signals outputted through the buffer stage control circuit are changed every time the data strobe signal converted to a CMOS level transitions to a high level. Input circu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버퍼단들은 클럭 한 주기 동안 입력되는 데이터 수 만큼의 개수가 병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력 회로.The data input circuit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buffer stages are connected in parallel as many as the number of data inputted during one clock cyc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단들로 입력되는 데이터는 클럭의 상승에지 및 하강에지에서 입력되며, 상기 버퍼단은 2 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력 회로.4. The data input circuit of claim 3, wherein the data input to the buffer stages is input at a rising edge and a falling edge of a clock, and the buffer stage is composed of tw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단들 각각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buffer stages, 버퍼단 제어신호와 데이터 스트로우브 신호를 논리곱하는 논리곱 수단;Logical AND means for ANDing the buffer stage control signal and the data strobe signal; 상기 논리곱 수단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어, 입력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복수개의 전송 수단들; 및A plurality of transmission means controlled by the output of the AND product to transmit the input data; And 상기 전송 수단들의 출력을 저장하는 복수개의 래치 수단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력 회로.And a plurality of latch means for storing an output of said transfer mean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수단들과 래치 수단들은, 입력되는 데이터 중에서 짝수번째와 홀수번째를 분리하여 출력하도록 2 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력 회로.6. The data input circuit of a memory devic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transmission means and the latch means are configured in two stages to output the even and odd numbers separately from the input dat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수단들 각각은 전송 게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래치 수단들 각각은 CMOS 래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력 회로.6. The data input circuit of claim 5, wherein each of the transfer means comprises a transfer gate and each of the latch means comprises a CMOS lat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단들 각각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synchronization stages, 동기단 제어신호와 내부클럭을 입력하는 낸드 게이트;A NAND gate for inputting a synchronous stage control signal and an internal clock; 상기 낸드 게이트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버퍼단의 출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 수단; 및At least one transfer means controlled by an output of the NAND gate to transmit output data of the buffer stage; And 상기 전송 수단의 출력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래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력 회로.And at least one latch means for storing an output of said transfer mean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수단은 전송 게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래치 수단은 CMOS 래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력 회로.10. The data input circuit of claim 8, wherein the transfer means comprises a transfer gate and the latch means comprises a CMOS latch.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수단들과 래치 수단들은, 입력되는 데이터 중에서 짝수번째와 홀수번째를 분리하여 출력하도록 2 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력 회로.The data input circuit of claim 8, wherein the transmission means and the latch means are configured in two stages to separately output even and odd numbers from among input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회로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ata input circuit, 외부의 입력 데이터 스트로우브 신호를 CMOS 레벨로 전환하는 데이터 스트로우브 전환부; 및A data strobe switch for converting an external input data strobe signal to a CMOS level; And 상기 데이터 스트로우부 전환부의 출력신호를 지연시켜 상기 버퍼단으로 공급하는 지연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력 회로.And a delay circuit for delaying an output signal of the data straw switching unit and supplying the delayed output signal to the buffer st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회로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ata input circuit, 외부의 입력 데이터를 CMOS 레벨로 전환하고 상기 버퍼단으로 공급하는 데이터 전환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력 회로.And a data switching section for converting external input data to a CMOS level and supplying the buffer data to the buffer stage.
KR1019980009967A 1998-03-23 1998-03-23 Data input circuit using data strobe signal KR1005462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9967A KR100546272B1 (en) 1998-03-23 1998-03-23 Data input circuit using data strobe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9967A KR100546272B1 (en) 1998-03-23 1998-03-23 Data input circuit using data strobe sig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5644A KR19990075644A (en) 1999-10-15
KR100546272B1 true KR100546272B1 (en) 2006-04-21

Family

ID=37180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9967A KR100546272B1 (en) 1998-03-23 1998-03-23 Data input circuit using data strobe sig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627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205B1 (en) * 1999-12-22 2005-12-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devided input data strobe and output data strobe
KR100387523B1 (en) * 2000-07-27 2003-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to echo clock tracking
KR100436045B1 (en) * 2001-06-30 2004-06-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Input device of Double data rate RAM
KR100422947B1 (en) * 2001-11-22 2004-03-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burst read data
KR100721199B1 (en) * 2005-11-21 2007-05-2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Circuit for generating a strobe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5644A (en)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7705B2 (en) Memory device with improved output operation margin
KR100457868B1 (en) Elastic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KR100540487B1 (en) Data output control circuit
US6987704B2 (en)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input-data controller advantageous to low power and high frequency
JPH11316706A (en) Data fast transfer synchronous system and data fast transfer synchronizing method
JP2000187522A (en) Circuit and method for data clock waiting time compensation for ddr timing
JP2003151271A (en) Data input circuit and data input method for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5687134A (en)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capable of saving a latency with a reduced circuit scale
KR100753412B1 (en) Command decoder circuit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H1139869A (en) Semiconductor device system and semiconductor device
KR100543937B1 (en) Data output control circuit
US5335337A (en) Programmable data transfer timing
KR100311974B1 (en) Internal clock generating circuit for use in synchronous typ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internal clock generating method
KR100546272B1 (en) Data input circuit using data strobe signal
JP2910677B2 (en)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circuit
JP2009080634A (en) Reset clock control circuit
US6567321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ing dedicated command and address strobe signal and associated method
US7304909B2 (en) Control unit for deactivating and activating the control signals
US7742345B2 (en) Data input circuit of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and method of inputting the data
US6147527A (en) Internal clock generator
KR100190373B1 (en) High-speed dynamic memory device for read pass
KR19980027623A (en) Synchronization circuit
US7463538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 precharge control circuit for reducing current during continuous write operation
US200701043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ynchronizer shadow
KR20090093305A (en) Output enable signal ge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