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5479B1 - 캐리커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캐리커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5479B1
KR100545479B1 KR1020030071614A KR20030071614A KR100545479B1 KR 100545479 B1 KR100545479 B1 KR 100545479B1 KR 1020030071614 A KR1020030071614 A KR 1020030071614A KR 20030071614 A KR20030071614 A KR 20030071614A KR 100545479 B1 KR100545479 B1 KR 100545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ace
extracting
caricature
coordinate valu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1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6067A (ko
Inventor
김왕신
김성신
민남홍
최성진
Original Assignee
김왕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왕신 filed Critical 김왕신
Priority to KR1020030071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5479B1/ko
Publication of KR20050036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6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5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5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3Edg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G06T2207/30201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얼굴의 특정 부위를 과장하거나 왜곡시켜 개성있는 캐리커처를 제작하여 액정화면, 온라인 컴퓨터 서버 등 다양한 방식으로 출력하는 캐리커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진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사진데이터에서 얼굴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얼굴 이미지에서 얼굴의 특정 부위의 좌표값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좌표값들을 제어지점으로 하여 로컬 와핑 기법을 활용하여 이미지의 특정부분을 왜곡되거나 과장되게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형된 이미지의 윤곽선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윤곽선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캐리커처, 로컬 와핑, 퍼지 소벨 윤곽선, 탬플릿 매칭

Description

캐리커처 제작방법{CARICATUR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캐리커처의 생성 과정을 나타낸 제작순서도.
도 2a 내지 도 2c는 각각 입력된 사진데이터의 R-G, R-B, G-B 확률 이미지도.
도 2d는 상기 도 2a 내지 도 2c의 확률 이미지를 조합한 이진 이미지도.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상기 도 2d의 침식 이미지도 및 확장이미지도.
도 3c는 상기 도 3b의 라벨링 과정을 거친 후 얼굴 후보 영역을 지정한 이미지도.
도 4a는 얼굴 영역을 추출하는 탬플릿 매칭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b는 얼굴의 특정 부위의 위치를 추출하는 탬플릿 매칭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c는 특정 부위의 위치를 찾아낸 결과 이미지도.
도 5a는 특정부위의 좌표값을 나타낸 이미지도.
도 5b는 특정 부위의 좌표값을 나타낸 결과이미지도.
도 6a는 와핑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제어지점을 나타낸 도면.
도 6b 및 도 6c는 부분 이미지들의 변환을 나타낸 과정도.
도 6d는 알렉스 와프(Alex Warp)를 실행한 결과 이미지도.
도 7은 제어지점들의 방향선정에 따른 이미지의 왜곡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제어지점의 거리에 따른 이미지의 왜곡 형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그림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사진 데이터를 자동으로 캐리커처로 변환하는 캐리커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와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전으로 디지털 영상처리(digital image processing) 기술 및 컴퓨터 비젼(computer vision)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퍼스널 컴퓨터와 인터넷의 저변 확대로 인하여 아바타나 개인 얼굴의 캐리커처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상기 캐리커처의 일반적인 의미는 어떤 사람이나 사물의 특징을 추출하여 익살스럽게 풍자한 그림이나 글이다. 다시 말해, 캐리커처는 사람의 얼굴에서 특징을 잡아 과장하거나 왜곡하여 그린 데생이다.
컴퓨터를 이용한 기존의 캐리커처 제작방법으로는, 얼굴 윤곽선의 좌표들의 통계적인 차이값을 이용하여 캐리커처 이미지를 생성하는 피카소 시스템(PICASSO System)을 이용한 방법, 여러 번의 복잡한 벡터 필드 변환을 통하여 캐리커처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 제작자가 캐리커처 대상으로부터 느끼는 애매한 느낌을 퍼지 논리로 구현하여 미리 준비된 템플릿들을 조합하여 캐리커처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 법, 그리고 CCD 카메라에서 사람의 얼굴을 검출 및 인식하여 단순한 와핑 기법을 이용하여 캐리커처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 와핑 및 모핑을 통한 이미지 왜곡으로 캐리커처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 등이 있다.
종래의 컴퓨터를 이용한 캐리커처 제작 방식은 몽타쥬 작성방식과 유사한데, 눈, 코, 입, 귀, 눈썹, 얼굴윤곽 등의 다양한 얼굴 구성요소에 대하여 구성요소별로 여러 개의 그림을 기억수단에 저장시키고, 입력된 얼굴사진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평균적인 구성요소와 비교하여 특징을 추출한 후, 추출된 특징과 유사도가 높은 구성요소 그림을 기억수단에서 호출하여 합성함으로써 전체 얼굴 그림을 작성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사진데이터에서 추출된 얼굴을 그대로 이미지로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작된 캐리커처에 개성을 나타낼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은 단순히 영상에서 특정 물체를 검출 및 인식하는 컴퓨터 비젼의 단계에서 더 나아가, 검출한 이미지를 가지고 영상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자신의 특징이 부각된 유일한 형태의 캐리커처나 아바타로 활용될 수 있는 가치를 지닌 새로운 이미지를 재창조할 수 있는 캐리커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얼굴의 특정 부위를 과장하거나 왜곡시켜 개성있는 캐리커처를 제작하여 액정화면, 온라인 컴퓨터 서버 등 다양한 방식으로 출력하는 캐리커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캐리커처 제작방법은 사진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사진데이터에서 특정 크기의 얼굴 이미지 영역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얼굴 이미지에서 얼굴의 특정 부위의 좌표값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좌표값을 제어지점으로 하여 로컬 와핑 기법을 이용하여 이미지의 특정부분을 왜곡되거나 과장되게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형된 이미지의 윤곽선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윤곽선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얼굴 전체의 이미지를 변형하는 것이 아니라, 얼굴의 특정 부위를 선정하여 변형 수단으로 과장 또는 왜곡하여 개인의 특징을 살린 개성있는 캐리커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캐리커져 제작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캐리커처의 생성 과정을 나타낸 제작순서도이다.
먼저, 영상을 읽어들이는 스캐너, 인터넷을 통해 원격으로 입력받는 장치, 또는 사진을 직접 촬영하는 디지털 카메라 등의 입력수단을 통해 캐리커처의 대상이 포함된 사진데이터를 컴퓨터에 입력한다.(S11) 이 때, 사진 데이터는 얼굴만 있는 실사이미지이거나 또는 배경이 포함된 실사이미지이어도 무방하다.
다음, 입력된 사진 데이터에서 얼굴 영역을 추출해낸다.(S13)
이 때, 최적화된 얼굴 후보 영역을 얻기 위해 많은 보완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즉, 얼굴 후보 영역을 선택할 때, 정규화 수단을 거친 R-G, G-B, R-B의 확률 이미지들을 조합하여 빛의 세기 또는 빛의 방향에 민감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확 률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이진 이미지를 생성시킨후 이에 침식(erosion), 확장(dilation), 라벨링(labeling) 등의 모폴로지(morphology) 기법을 적용하여 최적화된 얼굴 후보 영역을 추출해낸다. 상기 정규화 수단에서는 피부색 정보와 가우시안 확률 이미지를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실사이미지에서 얼굴과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R,G,B 컬러 모델을 사용하여 도 2a의 R-G 확률 이미지와 도 2b의 R-B 확률이미지와 도 2c의 G-B 확률이미지를 조합함으로써, 도 2d에서와 같은 얼굴 후보 영역의 확률 이미지를 얻는다.
이 때, R-G 확률 이미지와 R-B 확률이미지와 G-B 확률이미지의 그레이 성분에 대해서 빛의 세기와 방향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면서 추출한 색차값을, 가우시안 확률 밀도 함수를 이용한 정규화(normalized) 과정을 거쳐 확률이미지가 조명변화에 민감하지 않도록 한다.
다음, 확률 이미지들을 조합해서 만든 이진 이미지에 대해서 도 3a 및 도 3b에서와 같이, 침식과 확장을 사용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도 3c에서와 같이, 라벨링 과정을 수행하여 원하는 넓이와 가로축 및 세로축의 크기비를 가지는 최적의 얼굴 후보 영역을 추출한다.
이때, 상기 침식 연산은 모폴로지 기법의 한 종류로써 물체와 배경 사이의 노이즈(noise)를 제거하는 것과 같이, 전체 영상에서 아주 작은 물체를 제거하거나 또는 전체 영상에서 배경확장에 따른 물체를 축소하는 역할 즉, 이미지에서 물체의 최외각 픽셀을 벗겨내는 역할을 하고, 상기 확장연산은 물체의 안의 빈 공간을 메 우는 역할을 하거나 끊어진 짧은 거리를 연결시켜주는 역할 즉, 물체의 최외각 픽셀들을 더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라벨링 연산은 침식과 확장 연산을 거친 바이너리 이미지에 라벨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원하는 크기와 원하는 가로축 및 세로축의 크기비를 가지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노이즈로 간주하고 지정하여 도 3c에서와 같은, 최적의 얼굴후보영역을 추출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외에도, 얼굴 후보 영역을 선정하는 방법으로, 피부색 정보를 기반으로 빛의 변화에 둔감한 컬러공간(YCbCr, HSV)으로 변환하여 추출하는 방법과, 얼굴 공간상에 얼굴이미지와 비(非) 얼굴이미지를 투영 후 클러스터링을 하여 추출하는 방법과, 얼굴공간상의 DFFS와 DIFS정보를 이용한 방법과, 특징정보를 기반으로 2차원 가우시안 확률함수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방법과, 피부색 정보와 눈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방법 등 다양하다.
이후, 도 4a에서와 같이, 탬플릿 매칭 과정(template matching method)을 적용하여 상기 최적화된 얼굴 후보 영역에서 얼굴이미지의 위치를 찾아서 추출해낸다. 이 때, 다수명의 정면 얼굴을 합쳐 만든 평균 이미지를 탬플릿 이미지로 하여, 상기 탬플릿 이미지(T/I :template image)를 소스이미지(S/I :source image)인 최적화된 얼굴 후보 영역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해당영역에서 잘 매칭되는지 수치를 출력하여 얼굴이미지의 위치를 추적한다.
다음, 추출한 얼굴 이미지에서 얼굴의 특정 부위 일예로, 눈, 코, 입의 위치를 찾아 기하학적 좌표값으로 추출해낸다.(S15)
즉,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탬플릿 이미지에서 눈, 코, 입 등의 특정 부위 를 선정한 후 얼굴 이미지에서 각각 탬플릿 과정을 수행하여 특정 부위의 위치를 찾는다. 상기 특정 부위의 탬플릿 이미지는 상기 다수명의 정면 얼굴을 합쳐 만든 평균 이미지에서 눈, 눈썹, 코, 입, 귀, 관자놀이, 턱선, 안경, 악세사리 또는 머리모양의 특정 부위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4c는 특정 얼굴 부위의 탬플릿 매칭을 이용하여 왼쪽눈, 오른쪽 눈, 코, 입의 위치를 찾은 결과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탬플릿 과정은 템플릿 이미지들이 소스 이미지의 전 구간을 탐색해야 하는 비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특정 부위들이 일반적으로 위치하는 영역에 한해서 각각의 템플릿 이미지들이 제한적으로 탐색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테면, 눈의 위치를 탐색하는 경우, 얼굴 이미지의 전 영역을 탐색하지 않고, 눈이 머리에서 턱선까지의 세로축 길이를 기준으로 볼 때 얼굴의 중앙에 위치한다는 통상적인 제약조건을 두고 해당영역에 한해서 제한적인 탐색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후, 특정 부위의 위치를 추적하여 좌표값을 얻은 후에는, 이들 위치의 상대적인 위치의 상대적인 거리비율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기하학적 좌표값의 좌표를 얻는다. 이러한 좌표값들은 이후 이미지 변형 단계에서 와핑 제어지점들로 사용되어진다.
구체적으로, 도 5a에서와 같이, 탬플릿 과정을 거쳐 얻어낸 특정 부위의 좌표값(1∼4)과 이들의 상대적인 거리의 비율로 얻은 다른 28개의 지점들을 구한다. 일예로, 1∼4는 각각 왼쪽 눈, 오른쪽 눈, 코, 입의 위치를 나타내고, 5∼10은 1∼4 위치의 중점이며, 11 및 12의 가로축의 좌표는 두 눈 사이의 거리의 절반 값을 더하거나 뺀 값이고 세로축의 좌표는 6 및 8과 동일하며, 13 및 14는 각각 11과 4의 중점 및 12와 4의 중점이며, 15와 16은 각각 13과 14와 동일한 가로축 좌표이고 세로축 좌표는 4와 동일하며, 17과 18은 각각 11과 12와 동일한 가로축 좌표이고 세로축 좌표는 13과 15 및 14와 16의 중점이며, 19와 20은 17과 15의 중점 및 18과 16의 중점이 가로축 좌표이고 세로축 좌표는 4와 10의 거리의 (2/3)배 만큼을 4의 세로축 좌표에 더해 준 것과 같으며, 21의 5의 가로축 좌표와 동일하고 세로축 좌표는 3과 5의 거리의 (2/3)배 만큼을 빼 준 값과 동일하며, 22는 5의 가로축 좌표와 동일하고 세로축 좌표는 3가 5의 거리의 (4/3)배 만큼을 빼 준 것과 동일하며, 23과 24는 각각 13과 17 및 14와 18의 중점이며, 25와 26은 각각 13과 검출된 얼굴 이미지 영역의 왼쪽 끝 지점의 중점 및 14와 검출된 어굴 이미지 영역이 오른쪽 끝 지점의 중점이며, 27과 28은 각각 17과 검출된 얼굴 이미지 영역의 왼쪽 끝 지점의 중점 및 18과 검출된 얼굴 이미지 영역의 오른쪽 끝 지점의 중점이며, 29와 30은 각각 27 및 28과 동일한 가로축 좌표이고 세로축 좌표는 각각 19와 23과 거리를 19에 더해 주고 20과 24의 거리를 20에 더해준 것과 같으며, 31과 32는 19와 29 및 20과 30의 중점이다.
이와같이, 많은 제어지점들을 얼굴에 패치하는 이유는 특정 얼굴 부위의 좌표 값들과 이들의 중점의 좌표 값들만을 제어지점들로 정의하고 와핑을 시도하는 경우 얼굴의 특정 부위가 없어지거나 혹은 얼굴 전체를 알아 볼 수 없는 형태로 이미지가 변환되기 때문에 추가로 21번부터 32번까지의 제어지점들을 더 추가한 것이 다.
얼굴 특정 부위의 위치 좌표와 이들의 상대적인 거리의 비율을 이용하여 얻은 32개의 제어지점들의 좌표들을 얻은 결과 이미지는 도 5b에서와 같다.
다음, 상기 32개의 제어지점을 이용한 로컬 와핑 등의 기하하적 변환 처리로 눈, 코, 입 등의 특정 부위의 이미지를 왜곡시키거나 과장시킨다.(S17)
영상의 특정 부분만을 기하학적으로 변환하는 방법으로 알렉스 와프(Alex Warp)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도 6a에서와 같이, 출발 제어 지점(FX,FY)과 도착 제어 지점(TX,TY)으로 정의되는 두 제어지점들(control points)을 선정하면 두 제어지점간의 일정한 거리(dist)에 일정한 크기비를 가지는 영역이 정해진다. 이때, 두 제어지점 간의 거리(dist)는 (FX-FY)2+(TX-TY)2가 된다. 이 영역은 도 6b 및 도 6c에서와 같이, 서로 다른 4개의 영역으로 분할되는데, 상기 4개의 사변형 모양(50)은 임의의 방향으로 늘려져서 정사각형 모양(51)으로 변형된다. 이와같이, 정사각형 모양으로 변형된 영역들은 합쳐져서, 도 6d에서와 같이, 처음 이미지 모양과 달라진 왜곡된 이미지가 된다.
구체적으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크기가 W이고 세로크기가 H인 입력 이미지에 있어서, 알렉스 와프의 변환 함수에 대한 수도 코드(Pseudo Code)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이미지에서 변환에 필요한 기본적인 좌표 값들을 찾는다.(1단계)
다음, 입력이미지의 제 1 ,제 2 ,제 3 영역에 대한 기본적인 좌표값을 하기의 표에서와 같이 설정한다.(2단계)
(tx1,ty1) (tx2,ty2) (tx3,ty3) (tx4,ty4)
제 1 영역 (1,1) (1,D) (D,1) (FX,XY)
제 2 영역 (D,1) (W,1) (FX,XY) (W,D)
제 3 영역 (1,D) (FX,XY) (1,H) (D,H)
제 4 영역 (FX,XY) (W,D) (D,H) (W,H)

그리고, invDX=1/dist, invDY=1/dist로 각각 설정하고, a=0, dxin=1, dyin=1으로 각각 설정한다.
이후, 다음의 계산방법을 수행한다.(3단계)
aa=(a-1)×invDX
x1=tx1+(tx2-tx1)×aa
y1=yt1+(ty2-ty1)×aa
x2=tx3+(tx4-tx3)×aa
y2=ty3+(ty4-ty3)×aa
xin=x1
yin=y1
dxin=(x2-x1)×invDX
dyin=(y2-y1)×invDY
여기서, a가 dist수치보다 작으면 하기의 4단계 내지 7단계로 옮겨 연산을 수행한다. b =0 (4단계)
b = b +1 (5단계)
여기서, 입력 픽셀값(xin, yin)이 출력 픽셀값(a,b)가 된다.
단, 출력 픽셀값은 알렉스 와프 후의 이미지 픽셀 값들이며 입력 픽셀값은 입력 이미지의 픽셀 값들이다.
여기서, b가 dist 수치보다 작으면 5단계에서 3단계로 옮겨가 연산을 수행한다.
한편, 이러한 알렉스 와프에서 제어지점의 선정은 제어지점들의 방향선정과 제어지점들의 거리를 결정하여 이미지 변형에 큰 영향을 준다. 도 7은 제어지점들의 방향선정에 따라 이미지가 왜곡된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출발제어지점과 도착제어지점의 위치 관계에 따라 제어지점들의 방향이 달라져 이미지 왜곡 과정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8은 제어지점의 거리에 따른 이미지의 왜곡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제어지점의 거리가 멀수록 보다 큰 영역이 선택되기 때문에 더 넓은 영역에서 이미지 왜곡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삭제
계속하여, 변형된 이미지에서 윤곽선을 추출한다.(S19)
고전적인 윤곽선을 구하는 방법으로는 프레위트(Prewitt) 방법과 소벨(Sobel) 방법과 같이, 영상에서의 그래디언트(gradient)의 크기를 구하여 윤곽선을 구하는 것이 있다.
상기 방법 이외에도, 개선된 윤곽선 이미지를 검출하기 위해서 퍼지 소벨 윤곽선 검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퍼지 소벨 윤곽선 검출 방법은 타 검출 방법에 비해, 잡음이 적으며 고전적인 윤곽선 검출방법보다 윤곽선의 이미지가 더욱 뚜렷하다는 특징을 가진다.
마지막으로, 출력수단에 의해 상기 윤곽이미지를 출력한다.(S20) 상기 출력수단은 제작된 얼굴 그림을 출력하는 수단으로서, 사용자의 컴퓨터, 그림이나 스티커 사진 형태로 출력하는 프린터, 휴대폰 액정, 온라인 상의 다른 사용자의 컴퓨터 등을 포함한다.
이로써, 얼굴의 특정 부위를 과장하거나 왜곡한 개성적인 캐리커처가 생성되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사용하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캐리커처 제작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통해 자신이 입력한 얼굴 사진을 자동으로 개성적인 캐리커처로 변환가능하므로, 화가의 손을 빌리지 않고도 자신의 개성을 살린 캐리커처를 제작하고 수정 편집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을 통해 제작된 캐리커처는 프린터를 통해서 단순한 그림이나 스티커 사진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고, 또는 휴대폰의 입력 잭과 연결하여 휴대폰의 액정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또는 온라인을 통해 별도의 중앙 서버로 전송하여 추가적으로 다른 사람의 컴퓨터나 휴대전화로 보낼 수도 있다.
이러한 효과를 통해 네트웍 사업자는 상기 서비스를 자신의 서버에 운영하게 됨으로써 고 수익을 올릴 수도 있다.
셋째, 영상의 전역 변환이 아닌 지역 변환(local warping)을 통해서 얼굴의 특정부분만을 변환하여 얼굴의 특정 부위를 과장하거나 왜곡함으로써, 캐리커처 전문가들의 제작방식과 유사하게 개성적인 캐리커처를 구현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된 캐리커처는 퍼지 윤곽선 검출방법을 이용하여 윤곽선 이미지를 획득하는 바, 더욱 개선된 윤곽선 이미지를 구할 수 있다.

Claims (6)

  1. 사진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진데이터에서 얼굴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얼굴 이미지에서 얼굴의 특정 부위의 좌표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좌표값을 제어지점으로 하여 로컬 와핑 기법을 이용하여 이미지의 특정부분을 왜곡되거나 과장되게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형된 이미지의 윤곽선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윤곽선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커처의 제작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데이터에서 얼굴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는,
    정규화 과정을 거쳐 입력된 얼굴 사진의 확률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확률 이미지에 침식, 확장 또는 레이블링 연산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얼굴 후보 영역을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얼굴 후보 영역에서에서 탬플릿 매칭 과정을 통해 최적화된 얼굴 이미지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커처의 제작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된 이미지의 윤곽선을 검출하는 단계에서, 퍼지 윤곽선 검출방법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커처의 제작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와핑 기법으로, 알렉스 와프(Alex Warp) 방법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커처의 제작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 이미지에서 얼굴의 특정 부위의 좌표값을 추출하는 단계에서, 특정 부위의 탬플릿 이미지를 선정하여 탬플릿 매칭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커처의 제작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부위의 좌표값 추출시, 상기 좌표값을 재조합한 또다른 기하하적 좌표값을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커처의 제작방법.
KR1020030071614A 2003-10-15 2003-10-15 캐리커처 제작방법 KR100545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614A KR100545479B1 (ko) 2003-10-15 2003-10-15 캐리커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614A KR100545479B1 (ko) 2003-10-15 2003-10-15 캐리커처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067A KR20050036067A (ko) 2005-04-20
KR100545479B1 true KR100545479B1 (ko) 2006-01-24

Family

ID=37239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1614A KR100545479B1 (ko) 2003-10-15 2003-10-15 캐리커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54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194B1 (ko) * 2006-03-20 2008-08-13 (주)제이디에프 윤곽선 추출을 통한 캐리커쳐 생성 시스템 및 방법
US20090033683A1 (en) * 2007-06-13 2009-02-05 Jeremy Schiff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intelligent resizing of images
KR100951315B1 (ko) * 2007-10-26 2010-04-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Aam을 이용한 얼굴검출 방법 및 장치
WO2009085336A1 (en) 2007-12-27 2009-07-09 Inc. Arbor Labs 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ement delivery optimiz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067A (ko) 200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umar et al. Face detection techniques: a review
Hu et al. Avatar digitization from a single image for real-time rendering
KR102304674B1 (ko) 얼굴 표정 합성 방법과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
Shi et al. Automatic acquisition of high-fidelity facial performances using monocular videos
US655619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ocessing of images
US69757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e recognition using synthesized training images
KR101538935B1 (ko) 깊이 차이를 이용한 얼굴 구성요소의 자동 분류 방법
KR100730500B1 (ko) 화상 처리 장치와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US20080219516A1 (en) Image matching apparatus, image matching method,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EP1960928A2 (en) Example based 3d reconstruction
CN107730573A (zh) 一种基于特征提取的人物肖像漫画风格化生成方法
KR100896643B1 (ko) Aam을 이용한 3차원 얼굴 모델링 방법 및 시스템,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WO2006034256A9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representation from one or more two-dimensional images
US11120535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pparatus, terminal, and storage medium
JP2002203239A (ja) ディジタル画像中で人間の姿を検出する画像処理方法
Phimoltares et al. Face detection and facial feature localization without considering the appearance of image context
JP2000311248A (ja) 画像処理装置
CN115035581A (zh) 面部表情识别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KR100545479B1 (ko) 캐리커처 제작방법
Liu et al. Single view 3d face reconstruction with landmark updating
Sun et al. Expression robust 3d facial landmarking via progressive coarse-to-fine tuning
Rodriguez 3D face modelling for 2D+ 3D face recognition
Verma et al. Recent advancement of LBP techniques: A survey
Huang et al. A surface approximation method for image and video correspondences
De Dios Skin color and feature-based segmentation for face local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