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5023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품질측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품질측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5023B1
KR100545023B1 KR1020030018455A KR20030018455A KR100545023B1 KR 100545023 B1 KR100545023 B1 KR 100545023B1 KR 1020030018455 A KR1020030018455 A KR 1020030018455A KR 20030018455 A KR20030018455 A KR 20030018455A KR 100545023 B1 KR100545023 B1 KR 100545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ase station
mobile terminal
call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8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3805A (ko
Inventor
윤정호
강현석
이효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30018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5023B1/ko
Publication of KR20040083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3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5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5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5Performance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9Performance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든 단말기들의 통화품질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품질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품질측정 장치는 이동 단말기들과, 이동 단말기에서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채널을 할당하는 이동교환국과, 이동교환국을 제어하기 위한 관리서버와, 관리서버에 접속되어 이동 단말기들의 통화품질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기 위한 정보수집서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품질측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Measuring Quality in Mobile Station}
도 1은 종래의 부호분할다중접속 방식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품질측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부호분할다중접속 방식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기지국 제어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단말기의 통화품질이 측정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의 통화품질 측정과정에서 통화품질이 전송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7 및 도 8은 이동단말기에서 제어부로 통화품질이 전송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6,11 : 이동단말기 2,12 : 기지국
3,13 : 기지국 제어기 4,14 : 이동교환기
5,15 : 관리서버 8 : 노트북 컴퓨터
10,20 : 이동교환국 16 : 정보수집 서버
22 : 제어부 24 : 변/복조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품질측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든 단말기들의 통화품질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품질측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은 무선으로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Station : MS)를 이용하여 음성, 종합정보 통신망(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 ISDN), 팩시밀리(Facsimile) 및 데이터 서비스 등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은 유선망에 비하여 가입자망 구축비용, 시간 및 유지비 등이 절감됨은 물론 다양한 가입자망의 구성으로 인하여 통화 품질이 향상되고 있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휴대의 편리성 등으로 인하여 그 사용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현재, 이동통신 시스템은 부호분할다중접속 방식(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이하, "CDMA"라 한다)을 이용하고 있다. CDMA 방식은 시간과 주파수를 공유하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으로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보다 높은 수용용량( 대략 10배 이상)과 우수한 통화품질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CDMA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CDMA 시스템은 이동단말기(1)와, 이동단말기(1)에서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채널을 제공하는 이동교환국(10)과, 이동교환국(10)을 제어하기 위한 관리서버(5)를 구비한다.
사용자는 유선전화와의 통화, 다른 이동단말기와의 통화 또는 데이터 송/수신등의 목적으로 이동단말기(1)를 이용한다.
이동교환국(10)은 이동단말기(1)에서 통화 및 데이터 송/수신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동단말기(1)를 인증함과 아울러 이동단말기(10)에 채널을 할당하게 된다. 이를 위해, 이동교환국(10)은 이동단말기(1)와 무선으로 양방향 통신하기 위한 다수의 기지국(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2)과, 다수의 기지국(2)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 BSC)(3)와, 다수의 기지국제어기(3)를 도시되지 않은 일반전화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PSTN) 또는 다른 이동교환국에 접속시키기 위한 이동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 MSC)(4)를 구비한다.
기지국(2)은 이동단말기(1)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고주파신호를 기지국제어기(3)에 전송하며, 기지국제어기(3)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무선 고주파신호로 변환하여 이동단말기(1)에 송출한다.
기지국제어기(3)는 기지국(2)과 이동교환기(4) 사이의 통신을 중계한다. 이와 같은, 기지국제어기(3)는 기지국(2)에 수신된 신호의 수신강도 또는 신호전력에 대응하여(즉, 이동단말기(1)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핸드오프(hand-off)를 실시하면서 이동단말기(1)에서 안정된 통화가 이루워지도록 한다.
이동교환기(4)는 CDMA 가입자들 간의 통화 또는 CDMA 가입자들과 유선 가입자 간의 통화를 중계한다. 아울러, 이동교환기(4)는 이동단말기(1)의 사용자의 가입자 인증 및 위치등록등을 실시하면서 이동단말기(1)의 통화를 제어한다.
관리서버(5)는 다수의 이동교환기(4)에 접속되어 이동교환기(4)를 제어한다. 또한, 관리서버(5)는 CDMA 시스템의 성능 및 장애를 측정함과 아울러 보안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CDMA 시스템에서 고객이 체감하는 통화품질은 CDMA 시스템의 성능 및 품질향상 등을 이루기 위한 중요한 요소로 작용된다. 종래에는 이동단말기(1)의 통화품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도 2와 같은 품질측정장치가 이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품질측정장치는 이동단말기(6)와 노트북 컴퓨터(8)를 구비한다. 이동단말기(6)는 특정위치에서 이동교환국(10)을 이용하여 통화를 하게 된다. 이때, 이동단말기(6)는 수신신호의 세기 및 기지국(2)과의 거리정보등을 포함한 품질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여 노트북 컴퓨터(8)로 전송한다. 이후, 운영자는 노트북 컴퓨터(8)에 저장된 특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동 단말기(6)의 통화품질을 측정하게 된다. 실제로, 종래의 품질측정장치는 다양한 지역의 통화품질이 측정될 수 있도록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되면서 이동단말기(6)의 품질을 측정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품질측정장치는 고객이 실제로 체감하는 체감통화품질을 측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하여, 고객은 차량이 이동되지 못 하는 골목, 빌딩의 고층 또는 지하층의 등의 위치에서도 통화를 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품질측정장치로는 차량이 이동되지 못하는 지역의 품질을 측정하지 못하기 때문에 실제 체감품질을 측정하지 못하게 된다. 아울러, 종래에는 고객 각각의 통화품질을 측정하지 못하고 품질측정장치를 이용하여 통화품질을 측정하기 때문에 고객들 각각의 정확한 통화품질을 측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종래의 품질측정장치는 통화품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다수의 인력과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품질측정장치로는 계절별, 시간별 및 특정 날짜별의 통화품질을 측정하지 못하기 때문에 계절별, 시간별 및 특정 날짜별에 대응되어 통화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적정대응방한 수립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객이 이용하는 모든 단말기들의 통화품질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품질측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객이 이용하는 모든 단말기들의 통화품질을 측정함으로써, 고객의 실제 체감 통화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품질측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객의 실제 체감 통화품질을 측정함으로써, 향상된 통화품질을 제공하기 위한 대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품질측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지국 제어부에서 통화품질 측정요소 및 이에 대한 통계자료를 생성하기 때문에 다수의 인력 및 시간의 소모없이 정확한 통화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품질측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계절별, 시간별 및 특정 날짜별로 통화품질 및 통화율의 변화들을 측정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품질측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품질측정 장치는 이동 단말기들과, 이동 단말기에서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채널을 할당하는 이동교환국과, 이동교환국을 제어하기 위한 관리서버와, 관리서버에 접속되어 이동 단말기들의 통화품질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기 위한 정보수집서버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교환국은 이동 단말기들과 양방향 통신하기 위한 기지국들과, 기지국들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 제어기들과, 기지국 제어기들에 접속되어 일반 전화교환망 및 타 이동교환국과 접속되는 이동교환기를 구비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은 정보수집서버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대응되어 기지국들 및 이동 단말기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통화품질 요소를 추출한다.
상기 통화품질 요소에는 기지국과 이동단말기간의 에러비율, 이동단말기의 수신세기, 이동단말기의 전력값, 이동단말기와 기지국간의 거리정보, 이동단말기의 신호대/잡음비, 통화채널에 대응되는 전력정보, 이동단말기의 핸드오프 정보, 이동단말기가 접속된 기지국의 수, 기지국의 통화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는 다수의 이동 단말기로들로부터 공급되는 통화품질요소를 이용하여 통계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는 통계정보 및 통화품질 요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정보수집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정보수집서버는 주기적으로 제어신호를 기지국 제어기들로 공급한다.
상기 정보수집서버는 현재 이동교환국의 통화율에 대응하여 추출될 통화품질 요소를 설정한다.
상기 정보수집서버는 운영자의 요청에 의하여 비주기적으로 제어신호를 기지국 제어기들로 공급한다.
상기 정보수집서버는 운영자의 요청에 의하여 추출될 통화품질 요소를 설정 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는 이동단말기 및 이동교환기로부터 음성신호 및 전기신호를 변/복조하기 위한 다수의 변/복조부와, 변/복조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정보수집서버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대응되어 변/복조부들을 제어한다.
상기 변/복조부들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이동단말기 및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통화품질 요소를 획득한다.
상기 제어부는 변/복조부들로부터 획득된 통화품질 요소를 이용하여 통계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부는 제어신호가 공급되지 않을 때 변/복조 기능을 행한다.
상기 제어부는 주기적으로 통화품질 요소가 획득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현재 통화율에 대응하여 추출될 통화품질 요소를 설정한다.
상기 제어부는 운영자의 요청에 의하여 비주기적으로 통화품질 요소가 획득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운영자의 요청에 의하여 추출될 통화품질 요소를 설정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품질측정 장치는 이동 단말기들과, 이동 단말기들과 양방향 통신하기 위한 기지국들과, 기지국들을 제어함과 아울러 이동 단말기 및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통화품질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기지국 제어기들을 구비한다.
상기 통화품질 정보에는 기지국과 이동단말기간의 에러비율, 이동단말기의 수신세기, 이동단말기의 전력값, 이동단말기와 기지국간의 거리정보, 이동단말기의 신호대/잡음비, 통화채널에 대응되는 전력정보, 이동단말기의 핸드오프 정보, 이동단말기가 접속된 기지국의 수, 기지국의 통화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는 다수의 이동 단말기로들로부터 공급되는 통화품질 정보를 이용하여 통계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는 음성신호를 전기신호로 변조함과 아울러 전기신호를 음성신호로 복조하기 위한 변/복조부와, 변/복조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변/복조부들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이동단말기 및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통화품질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복조부들로부터 획득된 통화품질 정보를 이용하여 통계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부로부터 통화품질 정보 및 통계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공급받아 저장하기 위한 정보수집서버를 추가로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품질측정 장치는 이동 단말기들과, 이동 단말기들과 양방향 통신하기 위한 기지국들과, 기지국들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 제어기들을 구비하며, 이동 단말기들은 기지국 제어기들의 제어신호에 대응되어 통화품질 정보를 기지국 제어기들로 전송한다.
상기 통화품질 정보에는 기지국과 이동단말기간의 에러비율, 이동단말기의 수신세기, 이동단말기의 전력값, 이동단말기와 기지국간의 거리정보, 이동단말기의 신호대/잡음비, 통화채널에 대응되는 전력정보, 이동단말기의 핸드오프 정보, 이동단말기가 접속된 기지국의 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품질측정 방법은 기지국 제어부로부터 기지국을 경유하여 다수의 이동 단말기로 통화품질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제어신호가 공급되는 단계와, 제어신호에 대응되어 이동 단말기들로부터 기지국 제어부로 통화품질 정보가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통화품질 정보는 현재 통화가 이루워지고 있는 이동 단말기들로부터 공급된다.
상기 통화품질 정보에는 기지국과 이동단말기간의 에러비율, 이동단말기의 수신세기, 이동단말기의 전력값, 이동단말기와 기지국간의 거리정보, 이동단말기의 신호대/잡음비, 통화채널에 대응되는 전력정보, 이동단말기의 핸드오프 정보, 이동단말기가 접속된 기지국의 수, 기지국의 통화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기지국 제어부는 다수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공급된 통화품질 정보를 이용하여 통계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통화품질 정보 및 통계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는 정보관리서버에 저장되어 관리된다.
상기 기지국 제어부는 정보관리서버의 제어에 의하여 제어신호를 이동 단말기들로 공급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부는 주기적으로 제어신호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부는 통화율에 대응되어 추출될 통화품질 정보를 설정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부는 운영자의 요청에 의하여 제어신호를 이동 단말기들로 전송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부는 운영자의 요청에 의하여 추출될 통화품질 요소를 설정한다.
상기 정보관리서버는 주기적으로 제어신호가 이동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도록 기지국 제어부를 제어한다.
상기 정보관리서버는 통화율에 대응되어 추출될 통화품질 정보를 설정한다.
상기 정보관리서버는 운영자의 요청에 의하여 제어신호가 이동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도록 기지국 제어부를 제어한다.
상기 정보관리서버는 운영자의 요청에 의하여 추출될 통화품질 요소를 설정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CDMA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CDMA 시스템은 이동단말기(11)와, 이동단말기(11)에서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채널을 제공하는 이동교환국(20)과, 이동교환국(20)을 제어하기 위한 관리서버(15)와, 관리서버(15) 에 접속되어 이동단말기(11)의 통화품질을 저장 및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정보수집서버(16)를 구비한다.
사용자는 유선전화와의 통화, 다른 이동단말기와의 통화 또는 데이터 송/수신등의 목적으로 이동단말기(11)를 이용한다. 여기서, 이동단말기(11)는 기지국 제어기(13)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통화품질 측정요소를 기지국 제어기(13)로 전송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이동 단말기(11)는 기지국 제어기(13)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대응되어 현재 통화상태의 품질 측정요소를 기지국 제어기(13)로 공급한다.
이동교환국(20)은 이동단말기(11)에서 통화 및 데이터 송/수신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동단말기(11)를 인증함과 아울러 이동단말기(11)에 채널을 할당하게 된다. 이를 위해, 이동교환국(20)은 이동단말기(11)와 무선으로 양방향 통신하기 위한 다수의 기지국(BTS)(12)과, 다수의 기지국(12)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 제어기(BSC)(13)와, 다수의 기지국 제어기(13)를 도시되지 않은 일반전화교환망(PSTN) 또는 다른 이동교환국에 접속시키기 위한 이동교환기(MSC)(14)를 구비한다.
기지국(12)은 이동단말기(11)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고주파신호를 기지국제어기(13)에 전송하며, 기지국제어기(13)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무선 고주파신호로 변환하여 이동단말기(11)로 송출한다.
이동교환기(14)는 CDMA 가입자들간의 통화 또는 CDMA 가입자들과 유선 가입자들간의 통화를 중계한다. 아울러, 이동교환기(14)는 이동단말기(11) 사용자의 가입자인증 및 위치등록등을 실시하면서 이동단말기(11)의 통화를 제어한다.
관리서버(15)는 다수의 이동교환기(14)에 접속되어 이동교환기(14)를 제어한다. 또한, 관리서버(15)는 CDMA 시스템의 성능 및 장애를 측정함과 아울러 보안기능을 수행한다.
정보수집 서버(16)는 기지국 제어기(13)를 제어하여 이동단말기(11)의 통화품질을 측정하고, 기지국 제어기(13)로부터 전송되는 통화품질을 저장하여 관리한다. 이와 같은 정보수집 서버(16)는 다수의 측정요소 중 원하는 요소만이 측정될 수 있도록 기지국 제어기(13)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정보수집 서버(16)는 현재 통화수용상태에 대응하면서 원하는 측정요소만을 기지국 제어기(13)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기지국 제어기(13)는 기지국(12)과 이동교환기(14) 사이의 통신을 중계한다. 이와 같은 기지국 제어기(13)는 기지국(12)에 수신된 신호의 수신강도 또는 신호전력에 대응하여 핸드오프(hand-off)를 실시하면서 이동단말기(11)에서 안정된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기지국 제어기(13)는 도 4와 같이 이동단말기(11)로부터 공급되는 음성신호를 전기신호로 변조함과 아울러 이동교환기(14)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신호를 음성신호로 복조하기 위한 다수의 변/복조부(24)를 구비한다. 각각의 변/복조부(24)는 소정 요소(Element), 예를 들면 8개의 요소로 구성되어 8대의 이동단말기(11)를 수용하면서 변/복조를 행하게 된다. 그리고, 변/복조부(24)는 제어부(22)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를 이동단말기(11)로 공급하고, 이동단말기(11) 로부터 공급되는 통화품질 측정요소를 제어부(22)로 공급한다.
제어부(22)는 운영자 또는 정보수집 서버(16)의 제어에 의하여 변/복조부(24)로부터 통화품질 측정요소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통화품질 측정요소를 정보수집 서버(16)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제어부(22)는 평상시(즉, 운영자 또는 정보수집 서버(16)의 제어가 없을때)에는 일반적은 변/복조부(22)와 같이 변/복조 기능을 행한다. 그리고, 운영자 또는 정보수집 서버(16)의 제어가 있을 때 통화품질 요소를 수집하여 정보수집 서버(16)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2)는 일반적인 변/복조부(24)보다 높은 메모리를 구비한다.
제어부(22)의 제어에 의하여 측정가능한 통화품질 측정요소를 상세히 설명하면, 첫번째로 제어부(22)는 기지국과 단말기간의 에러비율(FER : Frame Error Rate)을 측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제어부(22)는 변/복조부(24)를 제어하여 이동단말기(11)로부터 현재 통화에 대응된 에러비율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에러비율은 통화품질을 측정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두번째로 제어부(22)는 이동단말기(11)의 수신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신신호의 세기는 앞으로 설치될 기지국(12) 및 현재 기지국(12)의 위치 변경등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세번째로 제어부(22)는 이동단말기(11)의 전력값 및 이동단말기(11)와 기지국(12)간의 거리정보를 이동단말기(11)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네번째로 제어부(22)는 이동단말기(11)로부터 신호대/잡음비를 공급받을 수 있다. 다섯번째로 제어부(22)는 통화채널에 대응하는 전력제어정보를 공급받을 수 있다. 여섯번 째로 제어부(22)는 핸프오프(handoff) 관련정보를 공급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하여, 현재 이동단말기(11)에서 핸드오프 시도된 횟수 등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곱번째로 제어부(22)는 이동단말기(11)가 현재 접속된 기지국(12)의 수등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동단말기(11)와 접속된 기지국(12)의 수는 무선망의 효율성을 평가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실제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술된 품질측정 요소뿐만 아니라 다양한 품질측정 요소를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12)으로부터 현재 통화중인 통화호수(통화율) 등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통화호수 정보는 계절별, 시간별 및 날짜별로 분류되어 통화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소로 작용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2)는 변/복조부(24)로부터 공급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통계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2)는 현재 이동단말기(11)들이 점유하고 있는 기지국(12) 정보(채널정보)를 통계로 작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2)는 핸드오프 시도 정보를 통계로 작성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22)는 이동단말기(11)의 에러률에 대응한 전력의 상승값 등을 통계로 작성할 수 있다. 더불어, 제어부(22)는 이동단말기(11)들의 신호레벨 정보를 통계로 작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22)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이동단말기(11)들이 어느정도 신호레벨로 구동되고 있는지 통계를 작성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어부(22)는 이동단말기(11)들의 수신신호레벨을 통계로 작성할 수 있다. 실제로, 본 발명의 제어부(22)에서는 변/복조부(24)로부터 공급되는 품질측정 요소를 이용하여 다양한 통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통화품질 측정요소가 측정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정보수집서버(16)는 통화품질 측정을 위한 제어신호를 관리서버(15) 및 이동교환기(14)를 경유하여 기지국 제어기(13)의 제어부(22)로 전송한다.(S30) 이때, 정보수집서버(16)는 특정 정보의 추출을 위한 제어신호를 공급하거나, 측정 가능한 모든 정보의 추출을 위한 제어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수집서버(16)는 운영자의 제어에 의하여 비주기적으로 통화품질 측정요소를 공급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정보수집서버(16)는 자신에게 저장되는 주기정보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제어신호를 제어부(22)로 공급함으로써 주기적으로 통화품질 측정요소를 공급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정보수집서버(16)는 현재 통화가 이루어지는 호의 상태(즉, 통화량)에 대응되어 추출될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통화량이 50% 이상이라면 제어부(22)로부터 통계정보만을 공급받을 수 있다. 그리고, 현재 통화량이 20% 이하라면 제어부(22)로부터 통계정보 및/또는 통화품질 측정요소를 공급받을 수 있다.
제어부(22)는 정보수집서버(16)로부터 공급된 제어신호가 특정정보 추출을 위한 제어신호인지 모든 정보 추출을 위한 제어신호인지를 판단한다.(S32) 이후, 제어부(22)는 S32 단계에서 판단된 정보를 근거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신호를 모든 변/복조부(24)로 공급한다.(S34) 이후, 변/복조부(24)는 제어부(22)로부터 공급된 제어신호에 대응되어 품질측정요소를 수집하고, 수집된 품질측정요소를 제어부(22)로 공급한다.(S35) 이때, 도 6과 같이 변/복조부(24) 중 현재 이동단말기(11)의 통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변/복조부(24)에서만 품질측정요소가 제어부(22)로 공급된다.
이후, 제어부(22)는 자신에게 공급된 품질측정요소를 이용하여 통계정보를 생성한다.(S36) 제어부(22)에서 생성된 통계정보 및/또는 변/복조부(24)에서 제어부(22)로 공급된 품질측정요소들은 정보수집서버(16)로 공급된다.(S38) 정보수집서버(16)는 S38 단계에서 공급된 품질측정요소 및/또는 통계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정보수집서버(16)는 S38 단계에서 공급된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통화품질상태를 소정형식으로 디스플레이 한다. 이에 따라, 운영자는 정보수십서버(16)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되는 모든 이동단말기(11)의 통화품질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2)는 정보수집서버(16)의 제어없이 자체 메모리에 저장된 주기정보를 이용하여 통화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제어부(22)는 자신에게 저장된 주기정보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통화품질 측정요소를 공급받고, 이 통화품질 측정요소를 이용하여 통계자료를 생성한다. 이후, 제어부(22)는 자신이 생성한 통화품질 측정요소 및/또는 통계자료를 정보수집서버(16)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어부(22)는 현재 통화량에 대응되어 추출될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2)는 운영자의 제어에 의하여 비주기적으로 통화품질 측정요소 및 이에 따른 통계자료를 생성하여 정보수집서버(16)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이동단말기(11)가 통화중일 경우 제어부(22)로 정보가 전송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이동단말기(11)는 변/복조부(24)로 시작정보(통화시작)를 전송한다.(S40) S40 단계에서 시작정보를 전송받은 변/복조부(24)는 이동단말기(11)에서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채널(요소(Element))을 할당한다.(S42) 이후, 이동단말기(11)에서는 소정의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S44) 한편, 제어부(22)는 통화품질측정 요소의 수집을 위한 제어신호를 변/복조부(24)로 전송한다.(S46) 변/복조부(24)는 자신에게 공급된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통화품질측정 요소의 전송을 이동단말기(11)로 요청한다.(S48) 이후, 이동 단말기(11)에서는 변/복조부(24)에서 요구된 통화품질측정 요소를 전송한다.(S50,S54) 변/복조부(24)는 이동단말기(11)에서 전송된 통화품질측정 요소 및/또는 이 통계치를 제어부(22)로 전송한다.(S52,S56)
도 8은 이동단말기가 비통화중일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22)는 통화품질측정 요소 수집을 위한 제어신호를 변/복조부(24)로 전송한다.(S60) 이때, 이동단말기(11)의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변/복조부(24)는 통화품질측정 정보를 제어부(22)로 전송하지 않는다.
이후, 이동단말기(11)는 통화를 위하여 변/복조부(24)로 시작정보를 전송한다.(S62) S62 단계에서 시작정보를 전송받은 변/복조부(24)는 이동단말기(11)에서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채널(요소(Element))을 할당한다.(S64) 이후, 이동단말기(11)에서는 소정의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S66) 이후, 변/복조부(24)는 자신에게 공급된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통화품질측정 요소의 전송을 이동단말기(11)로 요청한다.(S68) 이후, 이동 단말기(11)에서는 변/복조부(24)에서 요구된 통화품질 측정 요소를 전송한다.(S70,S74) 변/복조부(24)는 이동단말기(11)에서 전송된 통화품질측정 요소 및 이 통계치를 제어부(22)로 전송한다.(S72,S76)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품질측정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고객이 이용하는 모든 단말기들의 통화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의 실제 체감 통화품질을 측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다 향상된 통화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 제어부에서 통화품질 측정요소 및 이에 대한 통계자료를 생성하기 때문에 다수의 인력 및 시간의 소모없이 정확한 통화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계절별, 시간별 및 특정 날짜별로 통화품질(및 통화율)의 변화들을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42)

  1. 다수의 이동 단말기들과,
    기지국들 및 상기 이동 단말기들로부터 발송되는 통화품질 요소를 선택적으로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통화품질 요소를 이용하여 통계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채널을 할당하는 이동교환국과,
    상기 이동교환국의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관리서버와,
    상기 관리서버에 의해 상기 이동교환국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통화품질 요소 및 통계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고, 상기 수신된 통화품질 요소 및 통계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이동 단말기들의 통화품질을 측정하여 측정한 통화품질 정보를 관리하는 정보수집서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품질측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교환국은
    상기 이동 단말기들과 양방향 통신하기 위한 상기 기지국들과,
    상기 통화품질 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통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기지국들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 제어기들과,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에 접속되어 일반 전화교환망 및 타 이동교환국과 접속되는 이동교환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품질측정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은 상기 정보수집서버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통화품질 요소를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품질측정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품질 요소에는 상기 기지국과 상기 이동단말기간의 에러비율, 상기 이동단말기의 수신세기, 상기 이동단말기의 전력값, 상기 이동단말기와 상기 기지국간의 거리정보, 상기 이동단말기의 신호대/잡음비, 통화채널에 대응되는 전력정보, 상기 이동단말기의 핸드오프 정보, 상기 이동단말기가 접속된 기지국의 수, 상기 기지국의 통화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품질측정 장치.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제어기는 상기 통계정보 및 통화품질 요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정보수집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품질측정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집서버는 주기적으로 상기 제어신호를 기지국 제어기들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품질측정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집서버는 현재 이동교환국의 통화율에 대응하여 추출될 통화품질 요소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품질측정 장치.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집서버는 운영자의 요청에 의하여 비주기적으로 상기 제어신호를 기지국 제어기들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품질측정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집서버는 상기 운영자의 요청에 의하여 추출될 통화품질 요소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품질측정 장치.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제어기는
    상기 이동단말기 및 이동교환기로부터 음성신호 및 전기신호를 변/복조하기 위한 다수의 변/복조부와,
    상기 변/복조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품질측정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수집서버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대응되어 상기 변/복조부들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품질측정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변/복조부들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이동단말기 및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통화품질 요소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품질측정 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복조부들로부터 획득된 상기 통화품질 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통계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품질측정 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가 공급되지 않을 때 상기 변/복조 기능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품질측정 장치.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주기적으로 상기 통화품질 요소가 획득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품질측정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통화율에 대응하여 추출될 통화품질 요소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품질측정 장치.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운영자의 요청에 의하여 비주기적으로 상기 통화품질 요소가 획득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품질측정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영자의 요청에 의하여 추출될 통화품질 요소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품질측정 장치.
  20. 다수의 이동 단말기들과,
    상기 이동 단말기들과 양방향 통신하기 위한 기지국들과,
    상기 기지국들 및 상기 이동 단말기들로부터 발송되는 통화품질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통화품질 정보를 이용하여 통계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기지국들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이동 단말기 및 상기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통화품질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기지국 제어기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품질측정 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품질 정보에는 상기 기지국과 상기 이동단말기간의 에러비율, 상기 이동단말기의 수신세기, 상기 이동단말기의 전력값, 상기 이동단말기와 상기 기지국간의 거리정보, 상기 이동단말기의 신호대/잡음비, 통화채널에 대응되는 전력정보, 상기 이동단말기의 핸드오프 정보, 상기 이동단말기가 접속된 기지국의 수, 상기 기지국의 통화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품질측정 장치.
  22. 삭제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제어기는
    음성신호를 전기신호로 변조함과 아울러 전기신호를 음성신호로 복조하기 위한 변/복조부와,
    상기 변/복조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품질측정 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변/복조부들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이동단말기 및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통화품질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품질측정 장치.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복조부들로부터 획득된 상기 통화품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계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품질측정 장치.
  26.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통화품질 정보 및 통계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공급받아 저장하기 위한 정보수집서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품질측정 장치.
  27. 다수의 이동 단말기들과,
    상기 이동 단말기들과 양방향 통신하기 위한 기지국들과,
    상기 기지국들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 제어기들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들은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의 제어신호에 따라 통화품질 정보를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품질측정 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품질 정보에는 상기 기지국과 상기 이동단말기간의 에러비율, 상기 이동단말기의 수신세기, 상기 이동단말기의 전력값, 상기 이동단말기와 상기 기지국간의 거리정보, 상기 이동단말기의 신호대/잡음비, 통화채널에 대응되는 전력정보, 상기 이동단말기의 핸드오프 정보, 상기 이동단말기가 접속된 기지국의 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품질측정 장치.
  29. 기지국 제어부가 기지국을 통해 다수의 이동 단말기들에게 통화품질 정보를 요청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들이 자신의 통화품질 정보를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기지국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 제어부는 상기 통화품질 정보를 이용하여 통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 제어부는 상기 통화품질 정보 및 상기 통계정보를 선택적으로 정보수집서버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수집서버는 상기 기지국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통화품질 정보 및 상기 통계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통화품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들의 통화품질을 측정하여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품질측정 방법.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품질 정보는 현재 통화가 이루워지고 있는 이동 단말기들로부터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품질측정 방법.
  31.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품질 정보에는 상기 기지국과 상기 이동단말기간의 에러비율, 상기 이동단말기의 수신세기, 상기 이동단말기의 전력값, 상기 이동단말기와 상기 기지국간의 거리정보, 상기 이동단말기의 신호대/잡음비, 통화채널에 대응되는 전력정보, 상기 이동단말기의 핸드오프 정보, 상기 이동단말기가 접속된 기지국의 수, 상기 기지국의 통화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품질측정 방법.
  32. 삭제
  33. 삭제
  34.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제어부는 상기 정보관리서버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기들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품질측정 방법.
  35.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제어부는 주기적으로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품질측정 방법.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제어부는 통화율에 대응되어 추출될 통화품질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품질측정 방법.
  37.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제어부는 운영자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기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품질측정 방법.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제어부는 상기 운영자의 요청에 의하여 추출될 통화품질 요소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품질측정 방법.
  39.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관리서버는 주기적으로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도록 상기 기지국 제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품질측정 방법.
  40.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관리서버는 통화율에 대응되어 추출될 통화품질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품질측정 방법.
  41.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관리서버는 운영자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도록 상기 기지국 제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품질측정 방법.
  42.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관리서버는 상기 운영자의 요청에 의하여 추출될 통화품질 요소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품질측정 방법.
KR1020030018455A 2003-03-25 2003-03-25 이동통신 단말기의 품질측정 방법 및 장치 KR100545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455A KR100545023B1 (ko) 2003-03-25 2003-03-25 이동통신 단말기의 품질측정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455A KR100545023B1 (ko) 2003-03-25 2003-03-25 이동통신 단말기의 품질측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805A KR20040083805A (ko) 2004-10-06
KR100545023B1 true KR100545023B1 (ko) 2006-01-24

Family

ID=37367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455A KR100545023B1 (ko) 2003-03-25 2003-03-25 이동통신 단말기의 품질측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50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649B1 (ko) * 2005-10-26 2007-08-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피단말기의 대기모드를 이용한 무선망 품질 자동측정장치
KR100748267B1 (ko) * 2006-02-21 2007-08-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무선 환경 측정 방법 및 장치
KR100852079B1 (ko) * 2006-04-07 2008-08-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Dmb 품질 측정 시스템, 단말기 및 방법
KR100965084B1 (ko) * 2008-07-30 2010-06-23 주식회사 케이티 기지국의 음성품질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710807B1 (ko) * 2015-11-11 2017-03-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시변 채널에서 동적으로 부대역을 할당하는 통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805A (ko) 2004-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04126B (zh) 蜂窝通信网络中的加扰码分配
US6751457B1 (en) Real time call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N101371598B (zh) 通信系统和信息管理方法
CN102137383A (zh) 获取mtc设备移动性相关信息及优化配置的方法和系统
CN101569219A (zh) 移交控制装置、方法及程序
CN105379341A (zh) 传递模式信息的方法及装置
CN104144521A (zh) 中继通信方法、装置及系统
CN101330738A (zh) 一种切换到私有小区的方法及装置
EP3813408A1 (en) Switching evaluation and reporting method, device, and base station
CN100477859C (zh) 一种用户终端接入网络的方法
WO2018156943A1 (en) Computing wireless deployment in an area
KR10054502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품질측정 방법 및 장치
EP2566225B1 (en) User equipment and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120070488A (ko) 액세스 포인트 제어 방법 및 장치
AU2011246158B2 (en) User apparatus and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1312594A (zh) 一种切换方法、通信系统及装置
CN105393577A (zh) 无线电通信系统中的用于估计通信负载的方法和设备、无线电站和上层装置
KR100680043B1 (ko)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무선망 품질 측정 시스템 및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
CN104581744B (zh) 一种实现网络规划的方法及装置
CN101159453B (zh) 控制功率的方法
US20050032494A1 (en) Receiver test system
EP2335378A1 (en) Estimating the cost of a user executable network operation
CN101801005A (zh) 一种广播信道覆盖自优化的方法、系统及设备
CN103428730A (zh) 一种最小化路测服务质量测量结果传输方法及装置
CN103428751A (zh) 一种最小化路测服务质量连续性测量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