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1460B1 -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1460B1
KR100541460B1 KR1020040054394A KR20040054394A KR100541460B1 KR 100541460 B1 KR100541460 B1 KR 100541460B1 KR 1020040054394 A KR1020040054394 A KR 1020040054394A KR 20040054394 A KR20040054394 A KR 20040054394A KR 100541460 B1 KR100541460 B1 KR 100541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frame
display
lifting
respect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43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태진
강병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4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146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1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14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9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depth adjustment, i.e. forward-backward translation of the head relatively to the undercarri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본체를 설치면에 대해 지지하는 베이스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본체를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승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본체에 대해 결합된 승강부재와; 상기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승강부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승강부재를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대해 하향으로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탄성부재와; 상기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승강부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승강부재를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대해 상향으로 가압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본체의 자중과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에 대응하는 탄성력을 갖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본체를 베이스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apparatus having a display main body on which an image is formed and a base supporting the display main body with respect to an installation surface, and including a lifting unit supporting the display main body to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base. It includes, the lifting unit, the guide frame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A lifting member provided to be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guide frame and coupled to the display main body; At least one first elastic member provided between the guide frame and the lifting member to press the lifting member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guide frame; A second elastic member provided between the guide frame and the elevating member to press the elevating member upward with respect to the guide frame and having an elastic force corresponding to the self-weight of the display body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It is characterized by. As a result, the display body can be easily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디스플레이, 스파이럴 스프링, 승강부재Display, spiral spring, elevating member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DISPLAY APPARATUS}Display device {DISPLAY APPARATUS}

도 1은 종래 디스플레이장치의 후방사시도이고,1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시도이고,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FIG. 2;

도 4는 도 2에 따른 승강유닛의 분해사시도이고,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fting unit according to Figure 2,

도 5는 도 2내지 도 4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5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FIGS. 2 to 4.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디스플레이장치 10 : 디스플레이본체 1: display device 10: display body

12 : 화상표시패널 20 : 베이스12: image display panel 20: base

30 : 승강유닛 32 : 가이드프레임30: lifting unit 32: guide frame

34 : 승강부재 36 : 제1탄성부재34: lifting member 36: the first elastic member

38 : 제2탄성부재 40 : 승강제한부38: second elastic member 40: lifting limit

41 : 승강슬롯 42 : 가이드부41: lifting slot 42: guide unit

43 : 승강돌기 44 : 판면부43: lifting projection 44: plate portion

50 : 본체결합부 51 : 연결브래킷50: body coupling part 51: connection bracket

55 : 지지브래킷55: support bracke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탠드의 기능을 개선한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having an improved function of a stand.

디스플레이장치란 TV나 컴퓨터용 모니터 등을 통틀어 일컫는 말로서, 크게 CRT모니터, LCD모니터, PDP모니터 등으로 분류된다.A display device is a general term for a TV, a computer monitor, and the like, and is classified into a CRT monitor, an LCD monitor, a PDP monitor, and the like.

근래에 들어 대형화가 용이하고, 화상부의 면적에 비해 그 두께를 얇게 유지할 수 있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및 PDP(Plasma Display Panel)와 같은 화상표시패널을 사용한 박형 디스플레이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Recently, thin display devices using image display panels such as LCD (Liquid Crystal Display) and PDP (Plasma Display Panel), which can be easily enlarged and keep their thickness thin compared to the area of the image part, have been widely used.

이하에서는 박형 디스플레이장치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hin display devic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101)는 스탠드 베이스(120)와, 스탠드 베이스(120)에 결합되는 스탠드 포스트(130)와, 스탠드 포스트(130)에 지지되는 모니터(11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display apparatus 101 includes a stand base 120, a stand post 130 coupled to the stand base 120, and a monitor 110 supported by the stand post 130. It includes.

스탠드 베이스(120)와 스탠드 포스트(130)는 탈착 가능하도록 스프링(136)을 이용하여 결합시키며, 스탠드 포스트(130)와 모니터(110)는 힌지(140)를 이용하여 결합시킨다.The stand base 120 and the stand post 130 are coupled using the spring 136 to be detachable, and the stand post 130 and the monitor 110 are coupled using the hinge 140.

따라서 스탠드 포스트(130)와 스탠드 베이스(120)가 스프링에 의하여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므로, 디스플레이본체와 스탠드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포장시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된다.Therefore, since the stand post 130 and the stand base 120 are detachably coupled by a spring, the display main body and the stand can be separated. This makes it possible to reduce the volume during packaging.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본체가 베이스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기능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디스플레이본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display apparatus ha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use because the display body is not provided with a lifting function for moving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base, and thus the height of the display body cannot be adjust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본체가 베이스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device in which the display body can be easily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화상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본체를 설치면에 대해 지지하는 베이스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본체를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승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본체에 대해 결합된 승강부재와; 상기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승강부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승강부재를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대해 하향으로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탄성부재와; 상기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승강부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승강부재를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대해 상향으로 가압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본체의 자중과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에 대응하는 탄성력을 갖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apparatus having a display main body on which an image is formed and a base supporting the display main body with respect to an installation surface, wherein the display main body is supported to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base. And a lifting unit, wherein the lifting unit comprises: a guide frame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A lifting member provided to be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guide frame and coupled to the display main body; At least one first elastic member provided between the guide frame and the lifting member to press the lifting member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guide frame; A second elastic member provided between the guide frame and the elevating member to press the elevating member upward with respect to the guide frame and having an elastic force corresponding to the self-weight of the display body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Achieved by a display device.

상기 제1 및 제2탄성부재는 일측이 각각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판면에 결합되고, 타측이 스프링축을 중심으로 권선된 스파이럴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One sid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may be coupled to the plate surface of the guide frame, and the other side may include a spiral spring wound around a spring shaft.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하부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디스플 레이본체의 하강운동시 상기 베이스에 대해 하측으로 펼쳐지고, 상기 제2탄성부재는 상기 제1탄성부재와 대향하여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부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본체의 승강운동시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측으로 펼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elastic member is provid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guide frame and is extend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base during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display body, the second elastic member is opposed to the first elastic member of the guide frame It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upper region and unfolds upward with respect to the base during the lifting movement of the display body.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대한 상기 승강부재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승강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vating unit may include an elevating limiting unit for limiting a moving distance of the elevat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guide frame.

상기 승강제한부는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형성된 승강슬롯과, 일측이 상기 승강부재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승강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슬롯에 의해 승강거리가 제한되는 승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fting limiting portion includes an elevating slot formed in the guide frame in an up and 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and an elevating protrusion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elevating member and the other side inserted into the elevating slot to limit the elevating distance by the elevating slot. can do.

이하 본 발명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화상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본체(10)와, 디스플레이본체(10)를 설치면에 대해 지지하는 베이스(2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또한 디스플레이본체(10)와 베이스(20) 사이에 마련되어 디스플레이본체(10)가 베이스(2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승강유닛(30)을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본체(10)는 디스플레이본체(10)와 승강유닛(30) 사이에 마련되어 디스플레이본체(10)와 승강유닛(30)을 결합시키는 본체결합부(50)를 더 포함한다.2 to 4,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main body 10 on which an image is formed, and a base 20 supporting the display main body 10 on an installation surface. do. The display apparatus 1 also includes a lifting unit 30 provided between the display main body 10 and the base 20 to support the display main body 10 to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base 20. In addition, the display main body 10 further includes a main body coupling part 50 provided between the display main body 10 and the lifting unit 30 to couple the display main body 10 and the lifting unit 30.

디스플레이본체(10)는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표시패널(12)을 포함하며, 화상표시패널(12)은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PDP(Plasma Display Panel)과 같은 박판형상의 패널로 마련된다. 디스플레이본체(10)의 후방에는 본체결합부(50)가 마 련되며, 본체결합부(50)에 의해 디스플레이본체(10)가 승강유닛(30)에 결합된다.The display body 10 includes an image display panel 12 for forming an image, and the image display panel 12 is formed of a thin plate-like panel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a plasma display panel (PDP). A main body coupling part 5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isplay main body 10, and the display main body 10 is coupled to the lifting unit 30 by the main body coupling part 50.

본체결합부(50)는 디스플레이본체(10)와 결합되어 디스플레이본체(10)를 지지하는 연결브래킷(51)과, 디스플레이본체(10)와 승강유닛(30)을 결합시키는 지지브래킷(55)으로 구성된다.The main body coupling part 50 is connected to the display main body 10 and is connected to the support bracket 51 for supporting the display main body 10, and the support bracket 55 for coupling the display main body 10 and the elevating unit 30. It is composed.

연결브래킷(51)은 판 형상으로 마련되며, 다수의 걸림돌기(53) 및 스크루(미도시) 체결을 위한 체결공(54)에 의해 디스플레이본체(10)의 배면에 결합된다. 연결브래킷(51)의 중앙에는 관통 형성된 지지브래킷결합부(52)가 마련된다.The connection bracket 51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and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body 10 by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53 and fastening holes 54 for fastening screws (not shown). At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bracket 51, a support bracket coupling portion 52 formed therethrough is provided.

지지브래킷(55)의 일측은 연결브래킷(51)의 지지브래킷결합부(52)에 결합되며, 타측은 스크루(56)에 의해 승강유닛(30)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본체(10)와 승강유닛(30)을 연결한다.One side of the support bracket 55 is coupled to the support bracket coupling portion 52 of the connecting bracket 51,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lifting unit 30 by the screw 56, the display body 10 and the lifting unit ( 30).

베이스(20)는 책상이나 테이블과 같은 설치면에 배치되도록 원형의 판 형상으로 마련된다. 베이스(20)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후술할 가이드프레임(32)을 수용 결합하는 베이스프레임(22)을 포함한다. The base 20 is provided in a circular plate shape to be disposed on an installation surface such as a desk or a table. The base 20 includes a base frame 22 recessed and formed inwardly to accommodate the guide frame 32 to be described later.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유닛(30)은 디스플레이본체(10)와 베이스(20)의 사이에 마련되어 디스플레이본체(10)를 베이스(2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승강유닛(30)은 베이스(2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프레임(32)과, 가이드프레임(32)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어 디스플레이본체(10)에 대해 결합된 승강부재(34)를 포함한다. 승강유닛(30)은 가이드프레임(32)과 승강부재(34) 사이에 마련되어 승강부재를 가이드프레임(32)에 대해 하향으로 가압하는 제1탄성부재(36)를 더 포함한다. 또한 승강유닛(30)은 가이드프레임 (32)과 승강부재(34) 사이에 마련되어 승강부재를 가이드프레임(32)에 대해 상향으로 가압하는 제2탄성부재(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유닛(30)은 가이드프레임(32)에 대한 승강부재(34)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승강제한부(40)를 더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the lifting unit 30 is provided between the display main body 10 and the base 20 to support the display main body 10 so as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20. The elevating unit 30 includes a guide frame 32 installed in an up and 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20, and a lifting member 34 coupled to the display body 10 by being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guide frame 32. do. The elevating unit 30 further includes a first elastic member 36 provided between the guide frame 32 and the elevating member 34 to press the elevating member downward against the guide frame 32. In addition, the elevating unit 3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elastic member 38 provided between the guide frame 32 and the elevating member 34 to press the elevating member upward with respect to the guide frame 32. In addition, the elevating unit 30 further includes an elevating limiter 40 that limits the moving distance of the elevating member 34 with respect to the guide frame 32.

가이드프레임(32)은 금속재질의 판 형상으로, 베이스프레임(22)에 수직으로 입설되어 스크루(24)에 의해 베이스프레임(22)과 결합된다. 가이드프레임(32)의 양측에는 "ㄷ"자 형상으로 상호 대향되게 마련되어 승강부재(34)를 안내하는 가이드부(42)가 마련된다.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32)은 판면부(44)에 의해 연결된다.The guide frame 32 has a metal plate shape and is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base frame 22 and coupled to the base frame 22 by a screw 24. On both sides of the guide frame 32 is provided with a guide portion 42 to be opposed to each other in a "c" shape to guide the lifting member 34. The pair of guide frames 32 are connected by the plate surface 44.

승강부재(34)는 판 형상으로, 양측이 가이드프레임(32)의 가이드부(42)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며, 가이드프레임(3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승강부재(34)의 상부영역에는 본체결합부(50)가 스크루(56)에 의해 결합되며, 하부영역에는 후술할 스프링축(48)을 수용하는 축결합부(46a, 46b)가 마련된다. 또한 승강부재(34)는 관통 형성되어 후술할 승강돌기(43)를 수용하는 돌기수용부(47)를 더 포함한다. 승강부재(34)는 가이드프레임(32)과 상호 슬라이딩이 잘되는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evating member 34 has a plate shape, and both sides thereof ar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guide part 42 of the guide frame 32, and are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frame 32. A main body coupling part 50 is coupled to the upper region of the elevating member 34 by a screw 56, and shaft coupling portions 46a and 46b are provided in the lower region to accommodate the spring shaft 48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elevating member 34 further includes a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47 formed therethrough to accommodate the elevating protrusion 43 to be described later. The elevating member 34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that slides well with the guide frame 32.

제1탄성부재(36)는 한 쌍의 스파이럴스프링으로 마련된다. 제1탄성부재(36)는 일측이 절곡되어 가이드프레임(32)의 판면부(44)에 결합되며, 타측이 스프링축(48)을 중심으로 권선된다. 제1탄성부재(36)는 스프링축(48)에 의해 승강부재(34)의 하부영역에 마련된 제1축결합부(46a)에 결합된다. 제1탄성부재(36)는 승강부재(34)를 하향 가압하도록 마련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본체 (10)가 승강할 때 축선 A를 기준으로 위쪽으로 펼쳐지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축선 A를 기준으로 아래쪽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므로 승강부재(34)를 하향 가압하게 된다.The first elastic member 36 is provided with a pair of spiral springs. One sid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36 is bent and coupled to the plate surface portion 44 of the guide frame 32,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36 is wound around the spring shaft 48. The first elastic member 36 is coupled to the first shaft coupling portion 46a provid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elevating member 34 by the spring shaft 48. The first elastic member 36 is provided to press the lifting member 34 downward. 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display body 10 is provided to unfold upward with respect to the axis A when the display body 10 moves up and down. Therefore, since the restoring force acts downward based on the axis A, the lifting member 34 is pressed downward.

제2탄성부재(38)는 한 쌍의 스파이럴스프링으로 마련된다. 제2탄성부재(38)는 제1탄성부재와 대향하도록 일측이 절곡되어 가이드프레임(32)의 판면부(44)에 결합되며, 타측이 스프링축(48)을 중심으로 권선된다. 제2탄성부재(38)는 스프링축(48)에 의해 승강부재(34)의 하부영역에 마련된 제2축결합부(46b)에 결합된다. 제2탄성부재(38)는 승강부재(34)를 상향 가압하도록 마련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본체(10)가 하강할 때 축선 A를 기준으로 아래쪽으로 펼쳐지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축선 A를 기준으로 위쪽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므로 승강부재(34)를 상향 가압하게 된다. 제2탄성부재(38)는 디스플레이본체(10)의 자중과 제1탄성부재(36)의 탄성력에 대응하는 탄성력을 갖는다. 제1탄성부재(36)의 복원력이 작용하는 방향이 축선 A를 중심으로 아래쪽이므로, 제1탄성부재(36)의 탄성력과 디스플레이본체(10)의 자중이 같은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제2탄성부재(38)는 디스플레이본체(10)의 자중과 제1탄성부재(36)의 탄성력의 합력과 거의 같은 탄성력을 가지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탄성부재(38)의 탄성력이 디스플레이본체(10)의 자중 및 제1탄성부재(36)의 탄성력과 평형을 이루게 되면, 디스플레이본체(10)가 승강구간의 어느 위치에서든 정지될 수 있다.The second elastic member 38 is provided with a pair of spiral springs. One sid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38 is bent to face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coupled to the plate surface portion 44 of the guide frame 32,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38 is wound around the spring shaft 48. The second elastic member 38 is coupled to the second shaft coupling portion 46b provid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elevating member 34 by the spring shaft 48. The second elastic member 38 is provided to press the lifting member 34 upward. That is, as shown in FIG. 2, when the display main body 10 descends, the display main body 10 extends downward based on the axis A. FIG. Therefore, since the restoring force acts upward based on the axis A, the lifting member 34 is pressed upward. The second elastic member 38 has an elastic force corresponding to the weight of the display body 10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36. Since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36 acts is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axis A,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36 and the own weight of the display main body 10 are directed in the same direction. Therefore, the second elastic member 38 is preferably provided to have an elastic force approximately equal to the combined force of the self-weight of the display body 10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36. When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38 is in equilibrium with the self-weight of the display body 10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36, the display body 10 may be stopped at any position of the lifting section.

스프링축(48)은 양끝단이 절개된 원통 형상으로, 그 양측이 승강부재(34)의 축결합부(46a, 46b)에 수용 결합된다.The spring shaft 48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both ends cut off, and both sides thereof are received and coupled to the shaft coupling portions 46a and 46b of the elevating member 34.

승강제한부(40)는 가이드프레임(32)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승강슬롯(41)과, 일측이 승강부재(34)에 결합되며 타측이 승강슬롯(41)에 삽입되어 승강슬롯(41)에 의해 승강거리가 제한되는 승강돌기(43)를 포함한다.Lift limit portion 40 is a lifting slot 41 formed in the guide frame 32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one side is coupled to the lifting member 34 and the other side is inserted into the lifting slot 41 to the lifting slot 41 It includes a lifting projection 43 which is limited by the lifting distance.

승강슬롯(41)은 가이드프레임(32)의 판면부(44)에 디스플레이본체(10)의 승강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로 축선 A의 방향으로 마련된다. 승강돌기(43)는 일측이 승강부재(34)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로 마련된다.The lifting and lowering slot 41 is provided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A in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ifting distance of the display main body 10 on the plate surface 44 of the guide frame 32. Lifting projection 43 is provided with a bolt that one side is screwed to the lifting member (34).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작동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본체(10)를 하향 가압하면, 제2탄성부재(38)가 펼쳐지고, 디스플레이본체(10)에 결합된 승강부재(34)가 가이드프레임(32)에 대해 슬라이딩하여 하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디스플레이본체(10)의 자중 및 제1탄성부재(36)의 탄성력과 제2탄성부재(38)의 탄성력이 평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작은 힘으로도 디스플레이본체(10)를 하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외력이 제거되면 디스플레이본체(10)는 사용자가 결정한 위치에 정지된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user presses the display body 10 downward, the second elastic member 38 is unfolded, and the lifting member 34 coupled to the display body 10 is attached to the guide frame 32. Sliding downward to move downward. Since the self-weight of the display body 10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36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38 are balanced, the user may move the display body 10 downward with a small force. Can be.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display body 10 is stopped at the position determined by the user.

이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본체(10)를 상향 가압하면, 제1탄성부재(36)가 펼쳐지고, 디스플레이본체(10)는 슬라이딩하여 상향으로 이동하게 된다.Similarly, when the user presses the display body 10 upward, the first elastic member 36 is unfolded, and the display body 10 slides upward.

전술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본체는 LCD나 PDP와 같은 박판 형상의 패널로 마련된다고 하였으나 음극선관(CRT)와 같은 디스플레이패널로 마련될 수도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isplay main body is provided as a thin panel such as LCD or PDP, but may be provided as a display panel such as a cathode ray tube (CRT).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베이스가 책상이나 테이블과 같은 수평면에 설치된다고 서술하였으나, 벽면과 같은 경사면에도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base is described as being installed on a horizontal surface such as a desk or a table, but may also be installed on an inclined surface such as a wall surface.

전술한 실시예에서 가이드프레임이 금속재질로 마련된다고 하였으나, 필요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면 플라스틱과 같은 다른 종류의 재질로도 마련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guide frame is made of a metal material, but if the required strength can be maintained, it may be made of another kind of material such as plastic.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 탄성부재는 두 쌍의 스파이럴 스프링으로 마련되었으나, 판스프링이나 고무재질과 같은 탄성부재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개수에 상관없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elastic member is provided with two pairs of spiral springs, but an elastic member such as a leaf spring or a rubber material may be used, and may be used regardless of the number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Of cours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본체를 베이스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용이하게 승강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body can be easily lift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base.

Claims (5)

화상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본체를 설치면에 대해 지지하는 베이스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A display apparatus having a display main body on which an image is formed and a base supporting the display main body on an installation surface, 상기 디스플레이본체를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승강유닛을 포함하며,It includes a lifting unit for supporting the display body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relative to the base,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프레임과;The lifting unit includes a guide frame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본체에 대해 결합된 승강부재와;A lifting member provided to be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guide frame and coupled to the display main body; 상기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승강부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승강부재를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대해 하향으로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탄성부재와;At least one first elastic member provided between the guide frame and the lifting member to press the lifting member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guide frame; 상기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승강부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승강부재를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대해 상향으로 가압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본체의 자중과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에 대응하는 탄성력을 갖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A second elastic member provided between the guide frame and the elevating member to press the elevating member upward with respect to the guide frame and having an elastic force corresponding to the self-weight of the display body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및 제2탄성부재는 일측이 각각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판면에 결합되고, 타측이 스프링축을 중심으로 권선된 스파이럴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The first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is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each side is coupled to the plate surface of the guide frame, the other side spiral wound around the spring axis.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하부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본체의 하강운동시 상기 베이스에 대해 하측으로 펼쳐지고, 상기 제2탄성부재는 상기 제1탄성부재와 대향하여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부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본체의 승강운동시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측으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The first elastic member is provid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guide frame and unfold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base during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display body, the second elastic member is opposed to the first elastic member in the upper region of the guide frame It is provided in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unfolding upwards with respect to the base during the lifting movement of the display bod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대한 상기 승강부재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승강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The elevating unit is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fting limit for limit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lifting member relative to the guide frame.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승강제한부는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형성된 승강슬롯과, 일측이 상기 승강부재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승강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슬롯에 의해 승강거리가 제한되는 승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The lifting limiting portion includes an elevating slot formed in the guide frame in an up and 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and an elevating protrusion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elevating member and the other side inserted into the elevating slot to limit the elevating distance by the elevating slot.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KR1020040054394A 2004-07-13 2004-07-13 Display apparatus KR1005414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394A KR100541460B1 (en) 2004-07-13 2004-07-13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394A KR100541460B1 (en) 2004-07-13 2004-07-13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1460B1 true KR100541460B1 (en) 2006-01-10

Family

ID=37178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4394A KR100541460B1 (en) 2004-07-13 2004-07-13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1460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0969B1 (en) Display
US7068497B2 (en) Flat panel display
US7644897B2 (en) Display apparatus
WO2018176180A1 (en) Lifting display screen hanger
US7061753B2 (en) Computer monitor base with height adjustment
WO2005089046A2 (en) Flat screen display stand
KR101862664B1 (en) A holder for large display panel
KR101356510B1 (en) Wall mount system of flat display
KR101443146B1 (en) Supporting apparatus of display apparatus
KR100541460B1 (en) Display apparatus
KR200182808Y1 (en) Elevating stand apparatus for lcd monitor
KR102158818B1 (en) Slim type wall mount
KR200279427Y1 (en) Elevatoring apparatus for lcd monitor
CN101162615B (en) Safety device of planar display supporting bracket
CN207112306U (en) A kind of strong display rack of steadiness
KR100459205B1 (en) Assembly for supporting plane type display
KR100595201B1 (en) Height-adjusting stand for thin type video display
KR200240968Y1 (en) LCD monitor stand device
CN210240994U (en) Display device support
JP6692127B2 (en) Top plate lifting type furniture
KR200279716Y1 (en) Mount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CN217402199U (en) Display device
CN219954915U (en) Liquid crystal display television mobile support
CN219473180U (en) Thin lifting structure
CN220669108U (en) Screen installation protection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