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1034B1 - Reinforcement bar coupling device - Google Patents

Reinforcement bar coupl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1034B1
KR100541034B1 KR1020030020757A KR20030020757A KR100541034B1 KR 100541034 B1 KR100541034 B1 KR 100541034B1 KR 1020030020757 A KR1020030020757 A KR 1020030020757A KR 20030020757 A KR20030020757 A KR 20030020757A KR 100541034 B1 KR100541034 B1 KR 100541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coupling portion
circumferential surface
rib
inn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07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85904A (en
Inventor
박정진
박정호
Original Assignee
깨뱉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깨뱉시스템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깨뱉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0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1034B1/en
Publication of KR20040085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59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1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10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과 철근을 겹쳐서 잇지 않고 기계적으로 결합시켜 철근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 철근 이음구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는 통체를 양분하여 맞이음되는 2개의 이형철근을 함께 감싸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와 철근 사이에 끼워져 설치되는 2개의 경사편체; 및, 상기 한 쌍의 커플러의 양 단부측에 체결되는 2개의 조임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ing bar joint that can be mechanically coupled to the reinforcing bars without transferring the reinforcing bars to transfer the tensile force acting on the reinforcing bar, and wraps together two deformed bars that are fitted by bisecting the cylindrical body having an empty space therein A pair of couplers which are installed to be; Two inclined pieces sandwiched between the coupler and the reinforcing bar; And two fastening nuts fastened to both end sides of the pair of couplers.

본 발명에 따르면, 철근을 이음 시공함에 있어 간편한 시공으로 견고한 철근간의 이음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제조사 별로 다양한 리브 배열 형태에 무관하게 사용이 가능한 호환성 있는 철근 이음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이음구는 이음하려는 철근의 직경이 각기 다른 경우에도 활용할 수 있으며, 프레스식 절단기에 의해 절단 가공된 철근의 이음에 사용하는 경우, 절단 부위에 발생되는 버어(burr)의 제거를 위한 그라인딩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나타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joint strength between the reinforcing reinforcement by simple construction in the construction of the reinforcing bars, as well as providing a compatible reinforcing bar joint that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 various rib arrangement forms for each manufacturer. In addition, the reinforcing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even when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bar is different, and when used in the joint of the rebar cut by the press-type cutter, the removal of burrs (burr) generated in the cut site There is no need to grind for.

철근, 이음구, 결합구, 이음 장치, 결합 장치, 커플러Rebar, Joint, Coupler, Joint, Coupler, Coupler

Description

철근 이음구{Reinforcement bar coupling device} Reinforcement bar coupling device             

도1은 본 발명의 철근 이음구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상태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upl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inforcing bar fit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의 철근 이음구를 사용하여 철근을 이음 시공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inforcement construction of the reinforcing bar using the reinforcing bar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에서의 보조편체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uxiliary piece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different angles.

도4는 본 발명에서의 보조편체를 사용하여 서로 직경이 상이한 철근들을 이음 시공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inforcing bars of different diameters using the auxiliary piece in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의 철근 이음구를 사용하여 리브 배열이 각각 상이한 철근들을 이음 시공한 경우를 예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reinforcing bars having different rib arrangements are jointed using reinforcing bar fitt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커플러 11: 제1결합부10: coupler 11: first coupling part

11': 리브홈 12: 제2결합부 11 ': rib groove 12: second coupling portion

13: 몸체부 13': 확대공간부13: body portion 13 ': enlarged space portion

20: 조임너트 30: 경사편체20: tightening nut 30: warp plate

30': 리브홈 40: 보조편체30 ': rib groove 40: auxiliary body

50: 고정핀 50': 고정홀50: fixing pin 50 ': fixing hole

B: 철근 X: 버어(burr)B: Rebar X: Burr

본 발명은 철근과 철근을 겹쳐서 잇지 않고 기계적으로 결합시켜 철근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 철근 이음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는 통체를 양분하여 한 쌍의 커플러를 마련하고 이를 맞이음되는 2개의 이형철근을 함께 감싸도록 하여 철근을 연결하는 철근 이음구에서, 상기 커플러와 이형철근의 사이에는 이형철근의 리브 형상에 대응하는 리브홈이 형성된 경사편체를 별도의 부재로서 설치하되, 상기 경사편체는 결합되는 철근의 리브 배열에 따라 상기 커플러 내부에서의 설치 위치가 정해짐으로써 철근 제조사별로 상이한 리브 배열을 가지는 철근에 호환성 있게 사용 가능한 개량된 철근 이음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ing bar that can be mechanically coupled to the reinforcing bar without reinforcing the reinforcing bar to transfer the tensile force acting on the reinforcing bar, more specifically, to provide a pair of couplers by dividing the cylinder having an empty space therein In the reinforcing bar connecting the reinforcing bars to surround the two deformed reinforcing bars to be fitted together, between the coupler and the deformed reinforcing bar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piece formed with a rib groove corresponding to the rib shape of the deformed bar as a separate member However, the inclined piece is related to an improved reinforcing bar joint that can be used interchangeably for rebars having different rib arrangements for each rebar manufacturer by determining an installation position inside the coupler according to the rib arrangement of the reinforcing bars.

철근 콘크리트 구조는 콘크리트가 압축력을 부담하고 철근이 인장력을 부담하는 구조로서 철근과 콘크리트의 결합에 의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콘크리트는 거푸집을 설치하고 타설하므로 이를 일체로 시공할 수 있으나 철근은 일정한 길이 의 규격품을 이어가며 시공하여야 하는 바, 철근과 철근간의 조인트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철근이 소요 인장력에 충분히 저항하기 위해서는 철근과 철근이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철근 이음 방식으로서 겹침 이음 또는 압접 이음 방식 등이 종래로부터 사용되어져 왔다.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s a structure in which concrete bears compressive force and rebar bears tensile force and is made by combining reinforcing steel and concrete. Concrete can be constructed integrally because the formwork is installed and poured, but the reinforcing bar must be constructed by connecting the standard product of a certain length, and the joint between the reinforcing bar and the reinforcing bar inevitably occurs. Therefore, in order for the reinforcing bar to sufficiently resist the required tensile force, the reinforcing bar and the reinforcing bar should be firmly connected to each other. As the reinforcing bar connection method for this purpose, the overlapping joint or the pressure welding joint method has been used conventionally.

겹침 이음 방식은 철근과 철근을 소요 이음 길이 이상으로 겹쳐서 배근하고 결속선으로 묶어 고정하는 방식으로, 그 시공이 간단하고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는 반면, 철근 이음부의 결합 강도가 철근 본체의 기계적 강도에 미치지 못할 뿐 아니라, 겹침 길이만큼 철근 사용량이 늘어날 수 밖에 없고, 겹침 이음부의 주철근 간격이 좁아짐으로써 콘크리의 타설이 곤란한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현장에서 철근 이음 길이 및 결속 상태에 대한 관리가 어려워 부실 공사에 의한 하자 발생이 일어날 여지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25mm 이상의 직경을 가지는 철근은 겹침 이음으로 시공할 수 없다는 규정으로 인하여 이 방식에 의한 시공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아울러 존재한다.Lap joint method reinforces the reinforcing bars and reinforcing bars over the length of the required joint, and reinforces and binds them with ties to secure the construction.However, the joint strength of the reinforcing bars does not reach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reinforcing body. Not only that, but the use of reinforcing bars can be increased by the overlap length, and the narrowing of the reinforcing bars of the overlapping joints may make it difficult to place concre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defect occurs by.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by this method is impossible due to the provision that the reinforcing bar having a diameter of 25mm or more cannot be constructed by overlapping joints.

한편, 압접에 의한 철근 이음 방법은 철근과 철근의 단부를 서로 맞댄 후 이음부위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용융시킴과 동시에 철근을 압착함으로써 양 철근이 이음되게 하는 방식으로, 상기 겹침 이음 방식에서와 같이 철근을 겹쳐 이음으로 인한 단점을 피할 수는 있으나, 이 방법은 시공에 전문 기술이 필요할 뿐 아니라 작업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가열로 인하여 철근 단부의 재료 강도가 저하되며, 무엇보다도 작업 중 화재의 위험이 상존한다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inforcing bar joint method by pressing contact with the rebar and the ends of the reinforcing bars to each other by heating the joint to a high temperature to melt and at the same time to compress both the reinforcement by pressing the reinforcing bars, as in the overlap joint method Although the disadvantages of overlapping can be avoided, this method requires not only specialized skills in construction, but also requires a lot of time and money for the construction, and the material strength of the reinforcing rod ends due to heating. There is a problem that risks exist.

이에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철근 이음 방식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별도 의 전용 철근 이음구를 제작하고 이를 이용하여 철근과 철근을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방식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철근 이음구는 현재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In order to make up for the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reinforcing bar joint method as described abov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parate dedicated reinforcing bar joint and using it to mechanically combine the reinforcing bar and the reinforcing bar has been proposed, and the reinforcing bar is currently developed in various forms It is used.

현재까지 개발된 철근 이음구의 경우 철근과의 기계적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내부면에 이형철근의 리브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의 리브홈을 형성하여 두고 여기에 이형철근의 리브가 맞물려 결합되는 방식으로 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으로,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철근과 철근 이음구가 밀착 상태를 유지하므로 신뢰성 있는 결합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철근 이음구의 리브홈의 형태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리브 배열이 상이한 다른 제조사의 철근에는 사용할 수 없어 호환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ase of reinforcing bar joints developed to date, rib grooves of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rib shape of the deformed bar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in order to increase the mechanical coupling force with the reinforcing bar, and the ribs of the deformed bar are interlocked and coupled thereto. In this manner, since the reinforcing bar and the reinforcing bar maintains a close contact state, a reliable coupling can be expected. 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shape of the rib groove of the reinforcing bar is fixed, it cannot be used for reinforcing bars of other manufacturers having different rib arrangements.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결합되는 철근의 리브 배열에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는 철근 이음구들이 다양하게 개발된 바 있으나, 이들의 경우 대부분 리브홈의 폭을 수용되는 철근의 리브 폭보다 크게 하여 여유 공간을 형성하는 방식으로서, 이러한 방식에 따르게 되면, 철근 형태에 대한 호환성은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는 반면 결합되는 철근과 철근 이음구간의 슬립(slip)현상이 나타나게 되므로 철근 이음구에서 가장 중요한 결합 신뢰도에 문제가 있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은 방식의 철근 이음구에서도 상기와 같은 슬립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여러 가지의 구성을 제시하고는 있으나 이에 따르더라도 상술한 것과 같은 근본적인 구조상의 한계로 인하여 이의 발생을 완벽하게 방지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various bars have been developed that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 rib arrangement of the reinforcing bars, but in most of them, the width of the rib groove is larger than the rib width of the reinforcing bars. According to this method, the compatibility of the reinforcing bar shape can be secured to some extent, while the slip phenomenon between the reinforcing bar and the reinforcing bar joint appears, which is a problem in the reliability of the reinforcing bar joint. Will be. Of course, even in this type of reinforcing bars, various configurations have been proposed to prevent such slip phenomenon, but even if this is the case, due to the fundamental structural limitations described above, it is impossible to completely prevent the occurrence of this.

한편, 시공 현장에서 철근을 배근하게 되면 많은 경우에 있어 축조되는 부재의 다양한 치수 및 형상에 따라 철근을 절단, 가공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이 때, 프레스식 커터로 철근을 절단하는 경우 철근 절단 부위에는 버어(burr)가 발생하게 되는데 종래의 철근 이음구를 사용함에 있어 이러한 버어를 제거하지 않으면 철근과 철근 이음구가 밀착되지 않으므로 철근 이음에 앞서 그라인딩과 같은 방법을 통하여 디버링 작업을 해주어야 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철근 이음구에서는 절단된 철근을 사용하는 경우 버어의 제거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는 바, 이는 기계적 철근 이음구의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그 사용을 꺼리게 되는 이유 중의 하나가 되어 왔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einforcing bar in the construction site in many cases it must be used by cutting and processing the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various dimensions and shapes of the member to be constructed. At this time, when cutting the rebar with a press cutter, a burr is generated at the rebar cutting site. However, in the case of using a conventional reinforcing bar, unless the burr is removed, the reinforcing bar and the reinforcing bar are not in close contact. Deburring was required through the same method as grinding.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reinforcing bar fittings, the use of the cut bar has been cumbersome and time-consuming to remove the burrs, which has been one of the reasons for being reluctant to use them despite the many advantages of the mechanical reinforcing bar fitting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제조사 별로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리브 배열 형태에 무관하게 사용이 가능한 호환성 있는 철근 이음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atible reinforcing bar joint that can be used irrespective of the type of rib arrangement having a variety of forms for each of the technical problem.

또한, 본 발명은 철근을 이음 시공함에 있어 간편한 시공으로 견고한 철근간의 이음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철근 이음구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inforcing bar joint that can secure the joint strength between the reinforcing bars in a simple construction in the construction of the reinforcing bars as another technical problem.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에 부가하여 본 발명은 절단된 철근에 사용함에 있어 버어(burr)의 제거 작업 없이도 사용이 가능한 철근 이음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In addition to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inforcing bar joint that can be used without removing the burr (burr) in use in the cut rebar as another technical problem.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는 통체를 양분하여 한 조를 이루는 부재로서 중앙의 몸체부와 양 단부의 제1결합부, 제2결합부로 구분되어지되, 상기 제1결합부의 내주면에는 이형철근의 리브가 끼워질 수 있는 리브홈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는 이형철근의 리브 직경보다 큰 직경의 확대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부의 내주면은 단부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외주면이 단부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된 한 쌍의 커플러와; 내주면에 암나사산을 가지며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의 외측에 각각 체결되는 두 개의 조임너트; 및, 상기 제2결합부의 내주면과 이형철근의 사이에 끼워져 설치되며, 외부면은 상기 제2결합부 내주면의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도를 가지는 경사면으로 되어있고 내부면은 이형철근의 리브가 끼워질 수 있는 리브홈이 형성된 한 쌍의 경사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커플러의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외주면에 상기 조임너트의 암나사산과 대응하는 수나사산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커플러는 각각 제1결합부가 다른 쪽의 제2결합부와 마주하도록 하여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is divided into a body and a first coupling portio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t both ends as a member forming a pair by dividing the cylindrical body having an empty space therein Bu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is formed with a rib groove into which the rib of the deformed bar is fitte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an enlarged space portion of a diameter larger than the rib diameter of the deformed rebar,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 pair of couplers formed in an inclined surface to reduce the diameter toward the end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are formed in the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decreases in diameter toward the end; Two tightening nuts each having a female screw threa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fastened to outer sides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nd, it is install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deformed reinforcing bar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the outer surface is an inclined surface having the same slope as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the inner surface ribs that can be fitted ribs of the deformed steel And a pair of inclined pieces having grooves formed therein,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of the pair of couplers has a male thread corresponding to the female thread of the tightening nut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pair of couplers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coupling part faces the second coupling part on the other side.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때, 대칭되는 형태로서 한 조를 이 루는 각각의 구성요소는 별도로 도면 부호를 부여하지 않고 하나의 부호로 표시 하였음을 미리 밝혀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s 1 to 5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it is known in advance that each component of a pair in a symmetrical form is represented by a single code without a reference number separately.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이음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상태 사시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맞이음되는 2개의 철근(B)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철근을 서로 일체로 결합시키는 한 쌍의 커플러(10)와; 상기 커플러(10)의 양측에 결합 설치되는 두 개의 조임너트(20); 및 상기 커플러(10)와 이형철근(B)의 사이에 밀착 설치되는 두 개의 경사편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inforcing bar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so as to surround the two reinforcing bars (B) to be fitted as a whole, the reinforcing bars integrally with each other A pair of couplers 10 for coupling; Two tightening nuts 20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oupler 10; And it can be seen that including the two inclined piece 30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between the coupler 10 and the deformed reinforcement (B).

상기한 구성요소 중 커플러(10)는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는 통체를 길이방향으로 양분하여 형성된 부재로서 상기 양분된 2개의 부재가 한 조를 이루도록 하여 대응 결합시키되 맞 이음되는 2개의 이형철근(B)의 외측을 함께 감싸도록 함으로써 이들을 서로 결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본 발명에 있어 본체를 이루는 부재이다. 상기 커플러(10)는 전체적으로 중앙의 몸체부(13)와, 양 단부측의 제1결합부(11) 및 제2결합부(12)로 구분된다. The coupler 10 of the above components is a member formed by dividing a cylindrical body having an empty space therei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two divided members form a pair and correspondingly coupled two deformed bars B It is a member constituting the main body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erves to bind them together by enclosing the outside of the) together. The coupler 10 is generally divided into a body portion 13 at the center, and a first coupling portion 11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12 at both ends.

상기 제1결합부(11)는 상기 몸체부(13)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데, 그 외주면은 단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면에는 결합되는 이형철근의 리브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리브홈(11')이 철근 리브 형상과 일치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결합부(12)는 상기 제1결합부(11)가 형성된 반대측에 몸체부(13)로부터 연장 형성되는데, 그 내주면과 외주면은 각각 단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 is formed to extend from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3,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to decrease the diameter toward the end side, the inner circumferential ribs of the deformed reinforcing bar can be fitted and fixed The rib groove 11 'is formed in a shape that matches the shape of the rib ribs. In additio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body portion 13 on the opposite side formed with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re each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to reduce the diameter toward the end side.

그리고, 상기 제1결합부(11)와 제2결합부(12)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그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조임너트(2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나사산은 제1결합부(11)와 제2결합부(12) 양쪽 모두에 가공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양쪽 중 어느 한 편에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한쪽에만 나사 가공하는 이유는, 본 발명에서의 커플러(10)를 대향 결합하는 경우 제조사별로 상이한 철근 리브 배열상태에 따라 결합된 2개의 커플러 간의 상대적인 위치가 조금씩 달라지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조임너트(20)의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호환성 있는 철근 이음구의 제공이라는 본 발명의 목적을 더욱 충실하게 달성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upling part 11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2 may have a male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that the tightening nut 20 described later may be screwed together. The male thread may be processed on both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 but is preferably formed only on either sid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uch, the reason for the screw processing on only one side is that when the coupler 1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opposed to each other,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two couplers coupled to each other depending on the different arrangement of the rebar rib arrangement for each manufacturer is slightly changed, even in this ca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re faithfully achieve the purpose of providing a compatible reinforcing bar by making the coupling of the nut 20 smoothly.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상기 몸체부(13)는 상기 커플러(10)에서 대략 중심부에 위치한 부분으로서, 그 내주면에는 확대공간부(13')가 형성되며, 그 크기는 결합되는 철근 리브의 직경보다 큰 치수로 형성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철근 이음구를 사용하여 철근을 결속하는 경우 이음되는 철근(B)들의 단부는 상기 확대공간부(13')의 안쪽에 위치되는데 이러한 확대공간부(13')가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철근(B)과 커플러(10)가 밀착되지 않고 여유 공간이 나타나게 되며, 이 여유 공간은 절단 가공된 철근에 발생한 버어(X)를 수용하는 공간으로서 작용한다.The body portion 13 is a portion located approximately at the center of the coupler 10, and an enlarged space portion 13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size of which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rib to be joined. As shown in FIG. 2, when the reinforcing bars are bound using the reinforcing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end portions of the reinforcing bars B to be joined are located inside the enlarged space 13 ′, which is an enlarged space 13 ′. Since the rebar B and the coupler 10 are not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ree space appears, and the free space serves as a space for receiving the burr X generated in the cut steel.

상기 조임너트(20)는 상기 한 쌍의 커플러(10)가 이음되는 철근들을 감싸도록 대향 결합시킨 후 이 커플러(10)가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커플러 의 제1결합부(11) 및 제2결합부(12)의 외측에 각각 체결되는 너트형 부재이다. 상기 조임너트(20)는 원통형의 부재의 내면에 암나사가 가공되어 있어 상기 제1결합부(11) 또는 제2결합부(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와 대응 결합한다. The fastening nut 20 is coupled to the pair of couplers 10 so as to surround the reinforcing bars, and then the first coupling part 11 and the first coupler 11 of the coupler 10 to maintain a firm coupling state. It is a nut-shaped member respectively fastened to the outer side of the 2 coupling part 12. The tightening nut 20 has a female screw proces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member to correspond to the male screw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 or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

경사편체(30)는 상기 커플러(10)의 제2결합부(12)의 내주면과 이형철근(B)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삽입 설치되는 부재이다. 상기 경사편체(30)의 외측면은 전술한 제2결합부(12)의 내주면 경사도와 동일한 경사를 가지도록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며, 내측면에는 이형철근(B)의 리브 형상과 일치하는 리브홈(3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내,외측면의 구성 형태로 인하여 상기 경사편체(30)는 상기 커플러(10)와 이형철근(B)의 사이에 빈틈없이 밀착 설치될 수 있게 된다. The inclined piece 30 is a member insert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part 12 of the coupler 10 and the deformed bar B. The outer surface of the inclined piece 30 is an inclined surface to have the same inclination as the inclina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 the inner surface of the rib groove matching the rib shape of the deformed bar (B) ( 30 ') is formed.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the inclined piece 30 can be tightly installed between the coupler 10 and the deformed reinforcing bar (B).

또한, 상기 커플러(10)의 몸체부(13)에는 짝을 이루는 커플러와 서로 만나는 부분에 고정홀(50')을 더 형성함으로써 이를 통하여 고정핀(50)을 중심방향으로 끼워넣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50)은 이음되는 철근과 철근 사이에 위치하여 철근간의 빈틈을 메꾸어 줌으로써 철근의 슬립 현상을 사전에 예방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 상기 고정핀(50)에는 몸체 부분에 미늘형태의 돌기를 연속적으로 형성시킴으로써 래치(ratch) 효과에 의해 일단 타입되면 용이하게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13 of the coupler 10 by forming a fixing hole (50 ') in the portion that meets each other and the mating coupler can be inserted into the fixing pin 50 in the center direction through this. have. The fixing pin 50 is located between the reinforcing bar and the reinforcing bar to fill the gap between the reinforcing bar has a function to prevent the slip phenomenon of the rebar in advance. In addition, the fixing pin 50 may be easily formed once the type is formed by a latch effect by continuously forming a barbed protrusion on the body portion.

한편, 본 발명의 철근 이음구는 상술한 것과 같은 구성요소들에 부가하여 보 조편체(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편체(40)는 앞서 설명한 경사편체(30)에서와 같이 별개의 부품으로 제작된 것으로서 상기 커플러(10)의 제1결합부(11)와 이형철근(B)의 사이에 끼워져 설치된다. 이 보조편체(40)는 도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체적으로 원통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외측면에는 상기 제1결합부(11)의 내주면에 형성된 리브홈(11')에 맞도록 돌출리브(42)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이형철근의 리브가 끼워질 수 있도록 리브홈(44)이 구비된다. 상기 보조편체(40)는 직경이 서로 다른 철근을 이음시공하는 경우에 상기 제1결합부(11)의 리브홈(11')에 보조적으로 끼워 사용하는 것으로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사용하면 종래의 철근 이음구와는 달리, 직경이 서로 다른 철근들의 연결 시에도 본 발명의 철근 이음구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reinforcing bar fit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piece 40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piece 40 is made of a separate component as described above in the inclined piece 30 and is fitt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part 11 and the deformed reinforcing bar B of the coupler 10. As shown in Fig. 3, the auxiliary piece 40 has a shape in which the cylinder is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a whole, and the outer side of the auxiliary piece 40 fits into the rib groove 11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 Protruding rib 42 is formed so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provided with a rib groove 44 so that the rib of the deformed bar can be fitted. The auxiliary piece 40 is used to assist the rib groove (11 ')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 in the case of connecting the reinforcing bars having different diameters, as shown in Figure 4 Unlike the conventional reinforcing bar fitting, the reinforcing bar fit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even when connecting reinforcing bars having different diameters.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이음구의 설치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이음구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우선 이음 시공될 두 개의 철근(B) 끝단에 전술한 조임너트(20)를 각각 삽입하여 두고, 상기 철근(B)들의 끝단을 맞대어 위치시킨다. 이어서 전술한 경사편체(30)를 철근(B)상에 배치하는데, 상기 경사편체(30)에는 내측면에 철근 리브형상에 맞도록 리브홈(3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에 철근 리브가 끼워지도록 설치한 후 고무밴드 등으로 임시 고정시킨다. 이 때, 본 발명에서의 커플러(10)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대응 결합되는 커플러의 제1결합부가 다른 쪽의 제2결합부와 마주 하도록, 즉, 서로 엇갈려 비대칭적으로 설치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경사편체(30)의 배치도 이 를 감안하여 그 위에 설치될 커플러(10)의 제2결합부(12) 위치에 가도록 배치하여 둔다. 다음으로는 배치된 철근(B)을 함께 감싸도록 상기 한 쌍의 커플러(10)를 서로 엇갈리도록 설치하고 상기한 조임너트(20)를 체결하여 커플러(10)를 고정시키면 본 발명의 철근 이음구를 사용한 철근 이음이 완료된다.Next,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reinforcing bar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nstall the reinforcing ba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tightening nuts 20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wo reinforcing bar B ends to be jointed, and the ends of the reinforcing bars B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Subsequently, the aforementioned inclined piece 30 is disposed on the reinforcing bars B. Since the inclined piece 30 has rib grooves 30 'formed on the inner side to fit in the shape of the reinforcing ribs, the inclined piece 30 is installed to fit the reinforcing ribs. After that, temporarily fix it with a rubber band. At this time, in installing the coupler 10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first coupling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coupler is opposite 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on the other side, that is, asymmetrically staggered from each other. In this regard, the arrangement of the inclined piece 30 is thus arranged in such a manner that the inclination piece 30 is located 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coupling part 12 of the coupler 10 to be installed thereon. Next, the pair of couplers 10 are installed so as to cross each other so as to surround the disposed reinforcing bars B, and the coupler 10 is fixed by fastening the tightening nut 20 to the rebar j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d rebar joint is completed.

다음으로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이음구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한 설명에 앞서 참고로 현재 국내에서 생산되는 이형철근 제품들을 보면, 표면에 돌출형성된 리브의 간격은 건설교통부 규정에 따라 철근 직경별로 정해진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반면, 상하부 리브의 배열은 도5에 도시된 각 철근들과 같이 각 제조사에 따라 상하 리브 위치를 일치시키거나 서로 교대로 엇갈려 배치하는 등 여러 형태로 제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불균일한 철근 리브 배열 형태에 적절히 대응토록 하여 철근 제조사에 관계없이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철근 이음구를 제공하고자 개발된 것이다.Next, the operation of the reinforcing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you look at the current product of the rebar produced domestically, the gap of the ribs protruding on the surface maintains a predetermined interval for each rebar diameter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while the upper and lower ribs Arrays ar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such as the rebars shown in FIG. 5, such that the upper and lower rib positions are aligned or alternately alternately arranged according to each manufacturer.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to provide a reinforcing bar fitting that can be used interchangeably regardless of the reinforcing bar manufacturers by properly responding to the non-uniform rebar rib arrangement form.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경사편체(30)를 마련하고 이를 커플러(10)와 철근(B)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설치하여 사용하는데, 상기 경사편체(30)는 상기 커플러(10)와는 별개의 부품으로서 커플러(10) 내부에서 완전히 고정된 위치를 갖는 것이 아니므로 다양한 철근 리브 배열에 대한 편차를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5에 예시하여 보인 것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2개의 커플러(10)를 대응 결합시킴에 있어 각각 제1결합부(11)가 다른 커플러의 제2결합부(12)와 마주하도록 엇갈려 배치하는데, 이 때 일정하게 고정된 위치에 리 브홈(11')을 가지는 제1결합부(11)와는 달리, 제2결합부(12)쪽에는 전술한 경사편체(30)가 설치되고, 이는 제2결합부(12)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를 갖는 것이 아니라 철근 리브 배열에 따라 좌우로 조정되어 설치되므로 철근(B)의 리브 배열이 어떠한 형태로 되더라도 효과적인 결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clined piece 30 and installs it to be fitted between the coupler 10 and the reinforcing bar B. The inclined piece 30 is a separate component from the coupler 10. Since it does not have a completely fixed position inside the coupler 10, it becomes possible to effectively absorb deviations for various rebar rib arrangements.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upling part 11 faces the second coupling part 12 of the other coupler in the corresponding coupling of the two couplers 10. In this case, unlike the first coupling part 11 having the rib groove 11 'at a fixed position, the inclined piece 30 is installed on the second coupling part 12 side. , This is because it does not have a fix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 is installed to be adjusted to the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rib rib arrangement is to achieve an effective coupling even if the rib arrangement of the reinforcing bars (B) in any form.

다음, 결합 강도면에서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본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커플러(10)를 결합함에 있어 2개의 조임너트(20)를 상기 커플러의 양 단부측에 체결함으로써 고정하는 방식이다. 이 때 상기 조임너트(20)가 체결되는 제1결합부(11) 및 제2결합부(12)의 외주면은 단부쪽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조임너트(20)를 조여 들어가면 상기 한 쌍의 커플러(10)는 서로 점점 밀착하게 되고, 이에 따라 그 내부에 설치된 철근(B)이 상기 제1결합부(11)와 제2결합부(12) 안쪽에 설치된 경사편체(30)에 의해 단단히 조여짐으로써 철근 간의 인장력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자가 상기와 같은 옥조임 방식으로 된 본 발명의 철근 이음구의 강도를 시험하여 본 결과 철근 본체의 항복강도와 비교할 때 최소 125% 이상의 강도를 발휘함을 알 수 있었다.Next, look a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erms of bond strength. As described above, in the coupling of the pair of couplers 10, the two fastening nuts 20 are fastened to both end sides of the couplers. At this time, sinc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first coupling part 11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2 to which the tightening nut 20 is fastened are inclined surfaces inclined toward the ends, the pair of tightening nuts 20 is tightened into the pair. The coupler 1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reinforcing bars B installed therein are tightly tightened by the inclined piece 30 installed inside the first coupling part 11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2. By being able to effectively resist the tension between rebars. As a result of testing the strength of the reinforcing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ox-join method as described above, it was fou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t least 125% of strength when compared with the yield strength of the reinforcing bar body.

한편,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의 상하 리브 배치가 엇갈리는 경우에는 대응 결합되는 2개의 커플러(10)가 서로 일정 거리만큼 변위된 상태로 결합되게 된다.(철근 리브 피치의 1/2까지 변동될 수 있음) 이 때,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양측 모두에 외부 나사산이 형성되게 되면 커플러의 대응 결합시 서로 나사산 위치가 일치하지 않아 조임너트의 체결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중 어느 한편에만 나사산을 형성 하여 커플러들 간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동되더라도 용이하게 조임너트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나사산이 한 쪽에만 형성되므로 결합 강도 저하의 우려가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자가 이와 같은 구성으로 시험하여 본 결과 양 쪽 모두에 나사산이 형성된 경우에 비하여 큰 강도의 저하는 나타나지 않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 (b), when the rib arrangements of the rebars are staggered, the two couplers 10 to be coupled to each other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is case, when external thread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coupling part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the thread positions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when the couplers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thus the tightening of the tightening nut may not be smooth. Therefore,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read is formed only in one of the first coupling part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so that the tightening nut can be easily fastened even if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couplers is changed. In this case, since the thread is formed only on one side, there may be a risk of deterioration of the bond strength. However, the present inventors have tested in such a configuration, and as a result, a large decrease in strength was not observed as compared with the case in which both threads were formed.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의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only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belong to the appended claims. .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철근을 이음 시공함에 있어 간편한 시공으로 견고한 철근간의 이음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제조사 별로 다양한 리브 배열 형태에 무관하게 사용이 가능한 호환성 있는 철근 이음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이음구는 이음 시공하려는 철근의 직경이 각기 다른 경우에도 활용할 수 있으며, 프레스식 절단기에 의해 절단 가공된 철근의 이음에 사용하는 경우 절단 부위에 발생되는 버어(burr)의 제거를 위한 그라인딩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detail in the above, in the construction of the reinforcing bar reinforcement can be secured to the joint strength of the rigid reinforcement by a simple construction, as well as providing a compatible reinforcing bar joint that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 various rib arrangement forms for each manufacturer do. In addition, the reinforcing bar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even when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bars are different, and when used in the joint of the rebar cut by the press-type cutter to remove the burrs (burr) generated in the cut site There is no need to grind for.

Claims (3)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는 통체를 양분하여 한 조를 이루는 부재로서, 중앙의 몸체부와 양 단부의 제1결합부, 제2결합부로 구분되어지되, 상기 제1결합부의 내주면에는 이형철근의 리브가 끼워질 수 있는 리브홈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는 이형철근의 리브 직경보다 큰 직경의 확대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부의 내주면은 단부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외주면이 단부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된 한 쌍의 커플러;A member that forms a pair by dividing a cylindrical body having an empty space therein, and is divided into a main body portion, a first coupling portion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at both ends, and ribs of a deformed steel are inserted in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 rib groove that can be formed is formed, and an enlarged space portion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rib diameter of the deformed steel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to decrease in diameter toward the end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a pair of couplers formed in the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diameter decreases toward the end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내주면에 암나사산을 가지며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의 외측에 각각 체결되는 두 개의 조임너트; 및,Two tightening nuts each having a female screw threa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fastened to outer sides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nd, 상기 제2결합부의 내주면과 이형철근의 사이에 끼워져 설치되며, 외부면은 상기 제2결합부 내주면의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도를 가지는 경사면으로 되어있고 내부면은 이형철근의 리브가 끼워질 수 있는 리브홈이 형성된 두 개의 경사편체;It is install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nd the deformed rebar, the outer surface is an inclined surface having the same inclination as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the inner surface is a rib groove into which the rib of the deformed rebar can be fitted Two inclined pieces formed; 를 포함하며, Including; 상기 커플러의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외주면에 상기 조임너트의 암나사산과 대응하는 수나사산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커플러는 각각 제1결합부가 다른 쪽의 제2결합부와 마주하도록 하여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이음구.At least one of the first coupling part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of the coupler has a male thread corresponding to the female thread of the tightening nut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each of the pair of couplers has the first coupling part of the second coupling part of the other side. Reinforcing bar joint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face. 제1항에서, 상기 한 쌍의 커플러의 몸체부끼리 서로 만나는 부분에는 고정핀을 중심 방향으로 끼워 넣을 수 있도록 고정홀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이음구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portion of the pair of couplers, the reinforcing ba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hole is further formed to fit the fixing pin in the center direc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제1결합부 내주면과 이형철근의 사이에 끼워져 설치되는 것으로, 외부면에는 상기 제1결합부 내주면에 형성된 리브홈에 끼워질 수 있는 리브가 형성되고, 내부면에는 이형철근의 리브가 끼워질 수 있도록 리브홈이 형성되어 있는 보조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이음구.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irst coupling por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deformed reinforcement, the outer surface is formed ribs that can be fitted into the rib groov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the inner surface Reinforcing bar fitting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piece which is formed rib groove so that the rib of the deformed reinforcing bar.
KR1020030020757A 2003-04-02 2003-04-02 Reinforcement bar coupling device KR1005410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0757A KR100541034B1 (en) 2003-04-02 2003-04-02 Reinforcement bar coupl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0757A KR100541034B1 (en) 2003-04-02 2003-04-02 Reinforcement bar coupl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5904A KR20040085904A (en) 2004-10-08
KR100541034B1 true KR100541034B1 (en) 2006-01-20

Family

ID=37368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0757A KR100541034B1 (en) 2003-04-02 2003-04-02 Reinforcement bar coupl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103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120B1 (en) 2011-03-08 2011-06-07 김현호 One-touch reinforcing bar coupl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007B1 (en) * 2005-05-04 2007-04-16 이종훈 Steel reinforcing coupler
KR100799371B1 (en) * 2006-07-19 2008-01-31 (주)윈윈개발 Device for connecting steel-reinforcements
KR100724634B1 (en) * 2007-01-19 2007-06-04 주식회사 엘케이테크 Steel reinforcement coupler
KR100837113B1 (en) * 2008-03-18 2008-06-13 주식회사 태원코퍼레이션 Reinforcing bar coupler
KR101249077B1 (en) * 2012-10-19 2013-04-02 태연기계주식회사 Iron-bar coupl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120B1 (en) 2011-03-08 2011-06-07 김현호 One-touch reinforcing bar coup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5904A (en) 2004-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227511B (en) Reinforcing bar coupler
KR100984243B1 (en) Reinforcing bar coupler using an oval shaped rotational wedge
KR101486039B1 (en) Iron bar coupler and method for coupling iron bar using iron bar coupler
KR101371216B1 (en) Iron-bar coupler
KR100541034B1 (en) Reinforcement bar coupling device
KR20170059840A (en) a coupler for steel reinforcement
KR20060052756A (en) Steel reinforcment joint devices
KR101033681B1 (en) Reinforcing bar coupler
KR100309611B1 (en) Steel reinforcing coupler
KR20090009578A (en) A connecting apparatus for steel reinforcement
KR100837113B1 (en) Reinforcing bar coupler
KR20150004637A (en) Large diameter steel reinforcement connectors
KR100724634B1 (en) Steel reinforcement coupler
KR101249077B1 (en) Iron-bar coupler
KR20130103981A (en) Coupler for reinforcing bar and coupl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317467B1 (en) Reinforcing rod a coupling device
KR20000066089A (en) Splicing Device for reinforcement steel bars
JP6096446B2 (en) Rebar connec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2167075B1 (en) Rebar coupler having sequential insert assembling structure
KR101187379B1 (en) Screw type rebar coupler
KR100307569B1 (en) Reinforcing bar connector
KR20210075660A (en) Seismic-resistant rebar coupler
KR102184018B1 (en) Rebar coupler
KR100849742B1 (en) Coupler for steel reinforcement
KR20040024686A (en) Reinforcing bar coupler and the installation metho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