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0440B1 -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0440B1
KR100540440B1 KR1020010088431A KR20010088431A KR100540440B1 KR 100540440 B1 KR100540440 B1 KR 100540440B1 KR 1020010088431 A KR1020010088431 A KR 1020010088431A KR 20010088431 A KR20010088431 A KR 20010088431A KR 100540440 B1 KR100540440 B1 KR 100540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suction nozzle
agitator
main body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8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8048A (ko
Inventor
김성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8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0440B1/ko
Publication of KR20030058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8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11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driven by electric mot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27Gearing or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9/0444Gearing or transmission means therefor for conveying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e.g.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의 흡입노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흡입노즐(20)은, 격벽(23)에 의하여 전방에 성형되는 흡입공간부(25)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아지테이터(22)와, 본체에 내장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의 회전축(M2)이 부분적으로 돌출되고, 상기 회전축의 동력을 아지테이터에 전달하는 벨트(B1)를 내장하는 본체케이싱(24)과; 상기 본체케이싱의 저부에 체결되고, 저면에 개구되게 성형된 흡입부(21a)와, 상기 흡입부의 후방에 수평방향으로 돌출성형된 유입방지턱(21d)과, 상기 유입방지턱의 하방에 개구된 유도홀(21c)이 구성되어 있는 하부케이싱(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의하여 아지테이터가 회전하면서, 카페트나 바닥면에 존재하는 모래 등의 이물질을 쓸어 흡입하는 과정에서 회전축에 모래 등의 이물질이 튀는 것을 방지하고, 흡입노즐(20)의 내부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수 있는 이점을 기대할 수 있다.
진공청소기, 흡입 노즐, 유입방지턱, 유도홀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도 1은 일반적인 흡입노즐의 내부구성을 보이기 위해 하부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저부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흡입노즐의 요부를 보이기 위한 부분 저면도.
도 3은 종래의 흡입노즐의 하부케이스를 보이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흡입노즐의 하부케이스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을 보이기 위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흡입노즐 21 ..... 하부케이싱
21a ..... 흡입부 21c ..... 유도홀
21d ..... 유입방지턱 22 ..... 아지테이터
22a ..... 솔 23 ..... 격벽
23a ..... 통공 24 ..... 본체케이싱
25 ..... 흡입공간부 26 ..... 공간부
B1 ..... 벨트 M2 .....회전축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페트나 바닥에 있는 이물질을 회전하는 솔을 이용하여 쓸어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아지테이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및 회전축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구조에 따라서 캐니스터형, 핸디형, 스틱형, 업라이트형으로 구분된다.
이중에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할 수 있는 모터 및 구동팬으로 구성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집진공간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을 전달하는 흡입호스와; 그리고, 상기 흡입호스를 통하여 전달된 흡입력에 의하여 바닥면의 먼지 등의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노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노즐은 주로 카펫모의 사이에 끼여있는 이물질을 긁어내는 솔을 포함하는 회전체인 아지테이터가 흡입노즐의 저부에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주로 흡입노즐을 통하여 유입되는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호스를 통하여 구동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집진공간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것을 기초하여, 일반적인 흡입노즐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흡입노즐의 내부구성을 보이기 위해 하부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저부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2는 종래의 흡입노 즐의 요부를 보이기 위한 것으로, 도 1의 A부분에 대한 저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은 흡입노즐(10)은, 청소를 수행하고자 하는 바닥면이나 카페트에 접촉하면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호스(16)로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8)에 내장되어 있는 모터(도시 생략)의 회전축(M1)이 흡입노즐(10)에 부분적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흡입노즐(10)의 전방에는 격벽(13)에 의하여 분리된 흡입공간부(1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입공간부(15)에는 이물질을 긁어내는 솔(12a)이 나선방향으로 성형되어 있는 아지테이터(12)가 조립되어 있다. 상기 아지테이터(12)는 양측에 체결축(12c)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축(12c)은 한 쌍의 지지편(14)에 각각 성형되어 있는 체결공(14a)에 체결되어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아지테이터(12)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축(12b)과 모터의 회전축(M1)을 연결하는 벨트(B)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벨트(B)를 통하여 모터의 회전력이 아지테이터(12)에 전달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축(12b)은, 아지테이터(12)에서 연장되어 있어서, 회전축(M1)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모터가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구동팬(도시 생략)과 아지테이터(12)가 동시에 회전하게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흡입노즐의 하부케이스(11)를 보이기 위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하부케이스(11)에는 아지테이터(12)가 부분적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개구된 흡입부(11a)와, 벨트(B)가 체결된 흡입노즐(10)의 하부에 위치하는 폐쇄부(11b)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되는 아지테이터(12)에 의하여 바닥면이나 카페트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긁어 비산시킨다. 이 때, 흡입호스(16)를 통하여 구동팬의 회전에 의하여 흡입노즐(10)에 전달되는 흡입력에 의하여 비산된 이물질과 함께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즉, 상기 아지테이터(12)는 이물질의 효과적인 흡입을 위하여 바닥면이나 카페트를 쓸어주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아지테이터(12)가 이물질을 쓸어주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즉, 회전축(M1)과 연결축(12b)에 연결되어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B)가 체결되어 있는 공간부(10a)가 위치하는 폐쇄부(11b)에 비산된 모래 등과 같은 이물질이 쌓이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모터의 회전축(M1)에 상기 이물질이 끼이게 되면, 벨트(B)의 회전을 저해하여 아지테이터(12)의 동작을 방해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흡입노즐의 내부에 아지테이터에 의하여 비산되는 모래 등과 같은 이물질이 쌓이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은, 격벽에 의하여 전방에 성형되는 흡입공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아지테이터와, 본체에 내장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의 회전축이 부분적으로 돌출되고, 상기 회전축의 동력을 아지테이터에 전달하는 벨트를 내장하는 본체케이싱과; 상기 본체케이싱의 저부에 체결되고, 저면에 개구되게 성형된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의 후방에 수평방향으로 돌출성형된 유입방지턱과, 상기 유입방지턱의 하방에 개구된 유도홀이 구성되어 있는 하부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의하여 아지테이터가 회전하면서, 카페트나 바닥면에 존재하는 모래 등의 이물질을 쓸어 흡입하는 과정에서 회전축에 모래 등의 이물질이 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흡입노즐의 하부케이싱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흡입노즐의 요부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흡입노즐은, 본체케이싱(24)의 내부에 구동모터(도시 생략)의 회전축(M2)이 부분적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흡입노즐의 본체케이싱(24)은, 격벽(23)에 의하여 전방에 흡입공간부(25)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공간부(25)에 회전가능하게 아지테이터(22)가 설치되어 있음은 종래의 흡입노즐의 구성과 동일하다.
여기서, 진공청소기의 본체에 내장되어 있는 구동모터(도시 생략)의 기능을 살펴보고자 한다. 상기 구동모터는, 기본적으로 흡입노즐(20)을 통하여 이물질을 본체에 내장되어 있는 집진공간(도시 생략)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흡입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일반적으로 모터 샤프트라고 일컫는 회전축(M2)에 의하여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유입할 수 있도록 아지테이터(22)에 회전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아지 테이터(22)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은 회전축(M2)에 연결된 벨트(B1)에 의하여 동력이 전달되는 것에 의하여 가능하게 되는 것임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벨트(B1)를 통하여 회전축(M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는 아지테이터(22)의 외주연 표면에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나선방향으로 이물질을 긁어내는 솔(22a)이 복수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아지테이터(22)가 회전하게 되고, 이 때 회전하는 아지테이터(22)의 외주연에 성형되어 있는 복수개의 솔(22a)이 바닥면이나 카페트의 모에 끼어 있는 이물질을 쓸어 비산시켜 주게 된다.
상기 이물질을 긁어내는 솔(22a)은, 회전시 흡입노즐(20)의 하부케이싱(21)에 개구되어 있는 흡입부(21a)로 돌출되어 카페트 모의 깊숙한 곳까지 닿게 되는 것은 물론이고, 바닥면에 완전하게 접촉되게 된다. 이로써, 카페트나 바닥면에 쌓여 있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쓸어 비산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비산된 이물질은 흡입부(21a)를 통하여 흡입노즐(20)의 흡입공간부(25)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공간부(25)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흡입호스(도 1의 부호16 참조)를 통하여 본체에 내장되어 있는 집진공간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청소가 이루어진다.
상기 흡입공간부(25)는, 흡입노즐(20)의 본체케이싱(24) 내부에 성형되어 있는 격벽(23)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격벽(23)에는, 흡입호스가 연결될 수 있는 흡입호스 연결공(도시 생략)과, 회전축(M2)과 아지테이트(22)의 연결축에 연결되어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B1)가 체결되어 있는 공간부(26)로 연통되는 통공(23a)이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케이싱(24)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부케이싱(21)의 구조를 살펴보고자 한다. 아지테이터(22)의 솔(22a)이 부분적으로 돌출되도록 개구되어 있는 흡입부(21a)와, 상기 흡입부(21a)의 후방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성형된 유입방지턱(21d)과, 상기 유입방지턱(21d)의 하측에 개구되게 성형된 유도홀(21c)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도홀(21c)은, 바닥면과 이격되게 성형할 수 있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흡입노즐(20)의 전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청소가 시작되면 상기 구동모터(도시 생략)의 동작으로 본체케이싱(24)의 하면에 조립되어 있는 하부케이싱(21)의 흡입부(21a)를 통하여 공기가 흡입된다. 또한,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인하여 회전축(M2)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축(M2)에 연결되어 있는 벨트(B1)를 통하여 아지테이터(22)도 같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아지테이터(22)의 회전에 의하여, 그 외주연에 형성되어 있는 솔(22a)도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솔(22a)은 하부케이싱(21)에 개구된 흡입부(21a)로 돌출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아지테이터(22)의 솔(22a)은, 바닥면이나 카페트에 쌓여 있는 이물질을 쓸어서 비산시키면서, 이물질이 흡입공간부(25)로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공간부(25)로 유입된 이물질은 대부분 흡입호스를 통하여 본체에 내장되어 있는 집진공간으로 유입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흡입호스는 흡입공간부(25)의 일측에 구성되어 있고, 그 타측에 성형되어 있는 통공(23a)을 통하여 벨트(B1)가 위치하는 공간부(26)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공간부(26)로 유입된 모래와 같은 이물질은 유입방지턱(21d)에 부딪혀 아래방향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렇게 아래방향으로 떨어지는 이물질은 유도홀(21c)을 통하여 흡입노즐(20)의 외부인 바닥면으로 다시 떨어지게 된다. 이 때, 상기 유도홀(21c)을 통하여 이물질이 바닥면에 효과적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바닥면과 유도홀(21c)이 접촉되지 않게 이격되는 위치에 성형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유도홀(21c)을 통하여 바닥면으로 떨어진 이물질은, 사용자가 흡입노즐(20)이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밀거나 당기면서 청소하는 과정에서 흡입부(21a)를 통하여 재유입되게 된다. 이로써, 흡입노즐(20)의 내부인 공간부(26)에 이물질이 쌓이지 않고, 유입방지턱(21d)의 저면에 부딪혀 유도홀(21c)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아지테이터의 외주연에 성형되어 있는 솔(38)이 회전하면서 바닥면이나 카페트 모에 붙어 있는 모래 등의 이물질을 쓸어 비산시켜 흡입하는 과정에서, 통공(23a)을 통하여 공간부(26)로 유입된 이물질이 흡입노즐(20)의 내부에 쌓이지 않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입방지턱(21d) 및 유도홀(21c)을 하부케이싱(21)에 구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기 유입방지턱(21d)의 자체 형상에 대해서도 많은 변형이 가능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입방지턱(21d)이 수평상태로 성형되어 있는 것이지만, 다른 실시예로 상기 유입방지턱(21d)의 전방이 상향되게 경사를 이루고 있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이러한 유입방지턱(21d)을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이물질이 구동모터의 회전축(M2)에 닿지 못하도록 막아주어 아지테이터(22)의 구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아지테이터의 솔에 의하여 비산시킨 이물질이 흡입노즐의 내부에 쌓이지 않도록 구성하여, 아지테이터(22)를 회전시키는 벨트 및 회전축에 이물질이 근접하지 못하도록 하여 원활한 청소가 진행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흡입노즐 내부에 이물질이 쌓이지 않아 흡입노즐의 내부에서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위생적인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4)

  1. 격벽에 의하여 전방에 성형되는 흡입공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아지테이터와, 본체에 내장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의 회전축이 부분적으로 돌출되고, 상기 회전축의 동력을 아지테이터에 전달하는 벨트를 내장하는 본체케이싱과;
    상기 본체케이싱의 저부에 체결되고, 저면에 개구되게 성형된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의 후방에 돌출성형된 유입방지턱과, 상기 유입방지턱의 하방에 개구된 유도홀이 구성되어 있는 하부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방지턱은,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방지턱은, 전방으로 상향되게 경사면을 이루도록 돌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홀은, 바닥면과 이격되는 위치에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KR1020010088431A 2001-12-29 2001-12-29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KR100540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8431A KR100540440B1 (ko) 2001-12-29 2001-12-29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8431A KR100540440B1 (ko) 2001-12-29 2001-12-29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8048A KR20030058048A (ko) 2003-07-07
KR100540440B1 true KR100540440B1 (ko) 2006-01-10

Family

ID=32215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8431A KR100540440B1 (ko) 2001-12-29 2001-12-29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04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047B1 (ko) * 2004-10-28 2012-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8048A (ko) 200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1560B1 (ko) 흡입구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JP3953386B2 (ja) 真空掃除機用サイクロン集塵装置
KR101340423B1 (ko) 스틱형 진공청소기
KR101349202B1 (ko) 진공청소기용 노즐조립체
AU2003261467B2 (en) Turbine Brush
KR100556811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
AU2007234560A1 (en) Upright vacuum cleaner using return current of discharging air
US20060185119A1 (en) Brush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WO2007021147A1 (en) Vacuum cleaner
RU2346642C2 (ru) Вращающееся очищающее тело и пылесос
KR100540440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JP3813811B2 (ja) 吸込み口体及び電気掃除機
JPH08173355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KR200151255Y1 (ko) 업라이트청소기
KR100750724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 브러시
KR200306319Y1 (ko) 브러쉬가 내장된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
KR20070016543A (ko) 청소기의 흡입 유닛
KR101108047B1 (ko) 로봇 청소기
JP3777618B2 (ja) 電気掃除機用床ノズル
KR100672549B1 (ko)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의 회전브러시
JP3421582B2 (ja) 電気掃除機
KR100617200B1 (ko) 진공청소기용 노즐어셈블리
KR100531825B1 (ko) 착,탈식 브러쉬를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
EP4162851A1 (en) Direction of rotation of a brush in a suction head
KR100565694B1 (ko)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