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0215B1 - Mobile communication unit with function for playing sound assigned to button, method for playing sound assigned to butt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unit with function for playing sound assigned to button, method for playing sound assigned to butt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0215B1
KR100540215B1 KR1020030024114A KR20030024114A KR100540215B1 KR 100540215 B1 KR100540215 B1 KR 100540215B1 KR 1020030024114 A KR1020030024114 A KR 1020030024114A KR 20030024114 A KR20030024114 A KR 20030024114A KR 100540215 B1 KR100540215 B1 KR 100540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source data
button
mobile communic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41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90171A (en
Inventor
최창용
이재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어니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어니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어니언텍
Priority to KR1020030024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0215B1/en
Publication of KR20040090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01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2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원 재생 기능을 재미있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응용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lication technology field that enables a user to utilize a sound source reproduction fun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fun way.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며, 음원 데이터 재생용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해당 버튼의 키데이터값과 해당 음원 데이터 간의 매칭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사용자가 소정 버튼을 눌러서 사용자 조작부를 통해 상기 버튼에 해당하는 키데이터값이 입력되면, 상기 매칭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키데이터값에 해당되는 음원 데이터가 상기 음원 재생부를 통해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버튼별 음원재생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memory configured to store sound source data and to store matching information between a key data value of a corresponding button designated by a user for reproducing sound source data and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data; When a user presses a predetermined button and a key data value corresponding to the button is input through a user manipulation unit, the button-specific sound source controls the sound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the key data value to be reproduced through the sound source reproducing unit by searching for the matching information. And a reproduction processing unit.

이동통신 단말기, 음원 재생, 사용자 인터페이스, 응용 기술Mobile terminal, sound source playback, user interface, application technology

Description

버튼별 음원재생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튼별 음원재생 방법{MOBILE COMMUNICATION UNIT WITH FUNCTION FOR PLAYING SOUND ASSIGNED TO BUTTON, METHOD FOR PLAYING SOUND ASSIGNED TO BUTT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MOBILE COMMUNICATION UNIT WITH FUNCTION FOR PLAYING SOUND ASSIGNED TO BUTTON, METHOD FOR PLAYING SOUND ASSIGNED TO BUTT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도 1은 음원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다운로드 하는 시스템의 일 예.1 is an example of a system for downloading sound source data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버튼별 음원재생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의 일 예.2 i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ound source playback function for each button.

도 3은 버튼별 음원생성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의 일 예.3 is an example of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sound source for each button.

도 4는 버튼별 음원재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의 일 예.4 is an example of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producing a sound source for each button.

도 5는 버튼별 음원생성 모드 화면의 일 예.5 is an example of a sound source generation mode screen for each button.

도 6은 버튼별 음원재생 모드 화면의 일 예.6 is an example of a sound source playback mode screen for each butt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원 재생 기능을 재미있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응용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 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lication technology field that enables a user to have fun utilizing a sound source reproduction fun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주지하다시피, 현재 출시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음원 재생 기능이 제공된다. 이동통신 단말기에 마련되는 벨소리 재생부는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벨소리 재생부는 MP3파일이나 미디 파일등과 같은 음원 데이터를 연주하도록 구현된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가 있다. 벨소리 재생부의 성능은 차츰 향상되어 가고 있어, 16화음, 32화음, 40화음 등의 연주가 가능하다.As is well known, currently avail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provided with a sound source playback function. The ringer reproducing unit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produces the sound source data and outputs it through the speaker. The ringtone player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chip implemented to play sound source data such as an MP3 file or a MIDI file. The performance of the ringtone reproducing unit is gradually improving, and it is possible to play 16 chords, 32 chords, and 40 chords.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조될 때, 여러 음원 데이터가 기본적으로 내장된다. 이러한 음원 데이터는 통상적으로 호출 수신이나 메시지 도착을 알리기 위해 착신 벨소리로써 활용된다.Wh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anufactured, various sound source data are basically embedded. Such sound source data is typically utilized as an incoming ring tone to notify the reception of a call or the arrival of a message.

사용자가 자신만의 독특한 벨소리를 가지고 싶어하는 요구가 증대되고, 여러 가지 부가 서비스를 창출하는 방안으로, 현재 ARS(Automatic Response System)등을 이용한 벨소리 다운로드 서비스가 인기를 얻고 있다.The demand for users to have their own unique ringtones is increasing, and as a way to create various additional services, a ringtone download service using an automatic response system (ARS) is gaining popularity.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기술이 향상됨에 따라, 개인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소정의 사이트로 전송하거나 사이트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마련되는 시리얼 포트나 근거리 적외선 통신 포트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기술이 보편화됨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일반 단말기와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술한 ARS, 인터넷망, 유무선 통신망, 일반 사용자 컴퓨터등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벨소리를 다운로드 받아 사용하고 있다.As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en improved, it is possible to transmit data stored in an individu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predetermined site or to transmit data from a sit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as data transmission technology using a serial port or a near-infrared communication port provid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come popular, data exchange between a general terminal such as a personal computer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ossible. Therefore, the user downloads and uses the desired ringtone through the ARS, the Internet network,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general user computer, and the like.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재 업계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음원 데이터 재생 기능에 대한 인식은 단지 착신 벨소리로써의 활용으로만 그치고 있고, 이러한 음원 데이터 재생 기능을 여러 가지 다양한 방면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는 생각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as mentioned above, in the present industry, the recognition of the sound source data reproducing function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erely used as an incoming ring tone, and the method of utilizing the sound source data reproducing function in various ways. I don't think about it.

예컨대, 사용자가 한 번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 중 원하는 것을 언제 어디서나 쉽고 편리하게 재생시킬 수가 있다면, 사용자는 자신의 개성을 마음껏 연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른 측면에서 보면, 이러한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러지 못하는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비하여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가 있을 것이다. 또한, 벨소리와 관련된 음원 데이터 다운로드 뿐만이 아니라 그 외의 다양한 음원 데이터 다운로드 서비스가 개발되게 될 것이다.For example, if the us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reproduce any of the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ytime and anywhere by pressing a button, the user will be able to freely express his personality. In addition, from another aspec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uch a function may secure product competitiveness compared to 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at do not. In addition, various sound source data download services as well as sound source data download related to the ringtone will be developed.

또한, 종래의 음원 데이터 재생과 관련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제점을 더 지적하면, 종래에는 사용자가 다운로드 받은 벨소리(멜로디를 포함함)나 자체에 내장된 벨소리를 들어보기 위해서는, 몇 단계에 걸쳐서 하부 메뉴를 찾아가야만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 데이터를 재생시키기 위한 조작 과정이 복잡하고 번거롭기 때문에. 착신 벨소리 지정을 위한 테스트 용도로만 음원 데이터 재생 기능을 사용할 뿐이다.In addition, to point out the problem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sociated with the conventional sound source data playback, in order to listen to the ringtone (including melody) downloaded by the user or the built-in ringtone in the past, the sub-menu in several steps It is possible only by visiting. That is, because the operation process for playing the sound source data desired by the user is complicated and cumbersome. The sound source data playback function is only used for testing ringtone designation.

본 발명은 이 같은 상황에서 안출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음원 데이터 재생 기능을 종래와 같이 착신 벨소리로써의 활용으로만 그치지 않고, 이러한 음원 데이터 재생 기능을 여러 가지 다양한 방면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such a situation, and the method of reproducing the sound source data reproducing function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ringtone does not only as a conventional ringtone, but also can utilize the reproducing function of the sound source data in various aspects. Its purpose is to present it.

나아가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 중 원하는 것을 언제 어디서나 쉽고 편리하게 재생시킬 수가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개성을 마음껏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다른 목적이 있다.Furthermor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user to easily and conveniently reproduce any desired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ytime, anywhere, and to allow the user to freely express his or her personality.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벨소리와 관련된 음원 데이터 다운로드 뿐만이 아니라 그 외의 다양한 종류의 음원 데이터 다운로드 서비스가 창출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Furthermor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not only downloading sound source data related to a ringtone but also other kinds of sound source data download services.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 조작부와; 화면 표시부와; 기지국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무선 처리하는 알에프(RF) 처리부와; 상기 무선 처리된 수신신호를 복조하고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알에프(RF) 처리부에 전달하는 이동통신 처리부와; 마이크로부터의 음성 송신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이동통신 처리부로 전달하고, 복조된 음성 수신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 처리부와; 음원 제공용 컴퓨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음원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는 다운로드부와;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는 음원 재생부;를 적어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며, 음원 데이터 재생용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해당 버튼의 키데이터값과 해당 음원 데이터 간의 매칭 정보를 저장하 는 메모리와; 사용자가 소정 버튼을 눌러서 사용자 조작부를 통해 상기 버튼에 해당하는 키데이터값이 입력되면, 상기 매칭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키데이터값에 해당되는 음원 데이터가 상기 음원 재생부를 통해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버튼별 음원재생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the user operation unit; A screen display unit; An RF processor for wirelessly processing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base stations; A mobile communication processor which demodulates the radio processed reception signal, modulates a transmission signal, and transmits the demodulated signal to the RF processor; A voice processing unit which processes a voice transmission signal from a microphone and transmits 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or, and processes a demodulated voice reception signal and outputs it to a speaker; A download unit which downloads sound source data by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a sound source providing compu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t least a sound source reproducing unit for reproducing stored sound source data, comprising: storing sound source data and storing matching information between a key data value of a corresponding button designated by a user for reproducing the sound source data and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data. Is memory; When a user presses a predetermined button and a key data value corresponding to the button is input through a user manipulation unit, the button-specific sound source controls the sound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the key data value to be reproduced through the sound source reproducing unit by searching for the matching information. And a reproduction processing unit.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음원 데이터 재생 기능을 종래와 같이 착신 벨소리로써의 활용으로만 그치지 않고, 이러한 음원 데이터 재생 기능을 여러 가지 다양한 방면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사용자는 특정 음원 데이터와 매칭된 어느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해당 음원 데이터를 재생시킬 수가 있으므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 중 원하는 것을 언제 어디서나 쉽고 편리하게 재생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개성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suggests a method for utilizing the sound source data reproduction function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ring tone instead of using the ring tone data in various ways. Since the user can play the sound source data simply by pressing any button matched with the specific sound source data, the us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play any desired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ytime and anywhere. Therefore, the user can produce his personality.

나아가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버튼별 음원재생 처리부가, 상기 저장된 음원 데이터의 리스트 정보와, 상기 저장된 음원 데이터 리스트 중에서 해당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 해당 버튼을 지정할 것을 안내하는 정보를 상기 화면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며; 상기 사용자 조작부를 통해 소정 키데이터값이 입력되면, 상기 키데이터값과 해당 음원 데이터 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according to an auxiliary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n-specific sound source reproduction processing unit, the list information of the stored sound source data, and the information to guide the designation of the corresponding button to reproduce the sound source data from the stored sound source data list, Output through a screen display; And when a predetermined key data value is input through the user manipulation unit, generating matching information between the key data value and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data and storing the matching information in the memory.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버튼별 음원재생 처리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해당 버튼과 해당 음원 데이터를 매칭시킬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자신이 듣고자 하는 음원 데이터를 자신이 지정하는 버튼에 할당 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제, 사용자는 특정 음원 데이터와 매칭된 어느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해당 음원 데이터를 재생시킬 수가 있으므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 중 원하는 것을 언제 어디서나 쉽고 편리하게 재생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개성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button for each sound source playback process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r interface that can match the corresponding button and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specify the sound source data that he / she wants to listen to Can be assigned to. Now, since the user can play the sound source data simply by pressing any button matched with the specific sound source data, the us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play any desired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ytime and anywhere. Therefore, the user can produce his personality.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버튼별 음원재생 처리부가, 상기 사용자 조작부를 통해 소정 버튼에 해당하는 키데이터값이 입력되면, 상기 매칭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입력된 키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음원 데이터를 식별하고; 상기 음원 데이터 식별정보를 상기 음원 재생부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누른 버튼에 해당하는 음원 데이터가 해당 스피커를 통해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auxiliary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key data valu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button is input through the user sound source playback processing unit for each button, the matching information is searched to correspond to the input key data value. Identifying sound source data; And providing the sound source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ound source reproducing unit so that the sound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the button pressed by the user is reproduced through the corresponding speaker.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버튼별 음원재생 처리부는, 입력되는 키데이터값을 매칭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 재생을 위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키데이터값에 해당하는 특정 음원 데이터가 재생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특정 음원 데이터와 매칭된 어느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해당 음원 데이터를 재생시킬 수가 있으므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 중 원하는 것을 언제 어디서나 쉽고 편리하게 재생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개성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button-specific sound source reproduction process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e input key data value as being for the matching sound source data reproduction, and causes the specific sound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the key data value to be reproduced. Therefore, since the user can play the sound source data simply by pressing any button matched with the specific sound source data, the us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play any desired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ytime and anywhere. Therefore, the user can produce his personality.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버튼별 음원재생 처리부가, 상기 저장된 음원 데이터의 리스트 정보와, 각 음원 데이터에 지정된 버튼의 종류를 안내하는 정보를 상기 화면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n for each sound source playback processing unit, the list information of the stored sound source data, and information for guiding the type of the button specified in each sound source data through the screen display unit; It features.

이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음원 데이터에 매칭되어 있는 버튼을 안내 받을 수 있으므로, 더욱 편리하게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 중 원하는 것을 재생시킬 수가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can be guided the button matching the desired sound source data, so that the user can more conveniently reproduce the desired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 조작부와; 화면 표시부와; 기지국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무선 처리하는 알에프(RF) 처리부와; 상기 무선 처리된 수신신호를 복조하고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알에프(RF) 처리부에 전달하는 이동통신 처리부와; 마이크로부터의 음성 송신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이동통신 처리부로 전달하고, 복조된 음성 수신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 처리부와; 음원 제공용 컴퓨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음원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는 다운로드부와;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는 음원 재생부;를 적어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원 데이터 재생 방법에 있어서, 음원 데이터 재생용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해당 버튼의 키데이터값과 해당 음원 데이터 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제 1 단계와; 사용자가 소정 버튼을 눌러서 사용자 조작부를 통해 상기 버튼에 해당하는 키데이터값이 입력되면, 상기 매칭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키데이터값에 해당되는 음원 데이터가 상기 음원 재생부를 통해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operation unit; A screen display unit; An RF processor for wirelessly processing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base stations; A mobile communication processor which demodulates the radio processed reception signal, modulates a transmission signal, and transmits the demodulated signal to the RF processor; A voice processing unit which processes a voice transmission signal from a microphone and transmits 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or, and processes a demodulated voice reception signal and outputs it to a speaker; A download unit which downloads sound source data by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a sound source providing computer; A sound source data reproduct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t least a sound source reproducing unit for reproducing stored sound source data, comprising: generating matching information between a key data value of a corresponding button designated by a user for reproducing sound source data and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data; Step 1; A second step of controlling a sound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the key data value to be reproduced through the sound source reproducing unit when the user inputs a key data value corresponding to the button through a user manipulation unit by pressing a predetermined button; It characterized by comprising;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음원 데이터 재생 기능을 종래와 같이 착신 벨소리로써의 활용으로만 그치지 않고, 이러한 음원 데이터 재생 기능을 여러 가지 다양한 방면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사용자는 특정 음원 데이터와 매칭된 어느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해당 음원 데이터를 재생시킬 수가 있으므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 중 원하는 것을 언제 어디서나 쉽고 편리하게 재생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개성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suggests a method for utilizing the sound source data reproduction function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ring tone instead of using the ring tone data in various ways. Since the user can play the sound source data simply by pressing any button matched with the specific sound source data, the us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play any desired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ytime and anywhere. Therefore, the user can produce his personality.

나아가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제 1 단계가, 상기 저장된 음원 데이터의 리스트 정보와, 상기 저장된 음원 데이터 리스트 중에서 해당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 해당 버튼을 지정할 것을 안내하는 정보를 상기 화면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사용자 조작부를 통해 소정 키데이터값이 입력되면, 상기 키데이터값과 해당 음원 데이터 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ccording to an auxiliary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 display unit may be configured to guide the first step to designate the list information of the stored sound source data and the corresponding button to reproduce the sound source data among the stored sound source data list. Outputting through a third step; And when a predetermined key data value is input through the user manipulation unit, generating a matching information between the key data value and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data and storing the matching information in the memory.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해당 버튼과 해당 음원 데이터를 매칭시킬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자신이 듣고자 하는 음원 데이터를 자신이 지정하는 버튼에 할당 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제, 사용자는 특정 음원 데이터와 매칭된 어느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해당 음원 데이터를 재생시킬 수가 있으므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 중 원하는 것을 언제 어디서나 쉽고 편리하게 재생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개성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by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matching the corresponding butt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data, the user can conveniently assign the sound source data that he / she wants to hear to the button designated by the user. Now, since the user can play the sound source data simply by pressing any button matched with the specific sound source data, the us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play any desired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ytime and anywhere. Therefore, the user can produce his personality.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제 2 단계가, 상기 사용자 조작부를 통해 소정 버튼에 해당하는 키데이터값이 입력되면, 상기 매칭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입력된 키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음원 데이터를 식별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음원 데이터 식별정보를 상기 음원 재생부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누른 버 튼에 해당하는 음원 데이터가 해당 스피커를 통해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according to an auxiliary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key data valu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button is input through the user manipulation unit, the second step searches for the matching information to generate a sound source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data value. A fifth step of identifying data; And providing the sound source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ound source playback unit to control sound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a button pressed by the user to be played through the corresponding speaker.

이에 따라, 입력되는 키데이터값을 매칭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 재생을 위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키데이터값에 해당하는 특정 음원 데이터가 재생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특정 음원 데이터와 매칭된 어느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해당 음원 데이터를 재생시킬 수가 있으므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 중 원하는 것을 언제 어디서나 쉽고 편리하게 재생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개성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input key data value is recognized as for reproducing the matched sound source data, and the specific sound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the key data value is reproduced. Therefore, since the user can play the sound source data simply by pressing any button matched with the specific sound source data, the us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play any desired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ytime and anywhere. Therefore, the user can produce his personality.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제 2 단계가, 상기 저장된 음원 데이터의 리스트 정보와, 각 음원 데이터에 지정되어 있는 버튼을 안내하는 정보를 상기 화면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 7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tep may include a seventh step of outputting list information of the stored sound source data and information for guiding a button assigned to each sound source data through the screen display unit. It is characterized by further performing.

이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음원 데이터에 매칭되어 있는 버튼을 안내 받을 수 있으므로, 더욱 편리하게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 중 원하는 것을 재생시킬 수가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can be guided the button matching the desired sound source data, so that the user can more conveniently reproduce the desired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후술하는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foregoing and further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도 1은 음원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다운로드 하는 시스템의 일 예이 다.1 is an example of a system for downloading sound source data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동통신 단말기(101)는 통신망(103)에 연결된 음원 제공 서버(105)로부터 다양한 음원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도시된 통신망(103)은 이동통신망, PSTN망, 인터넷망등 유/무선 통신망이 모두 포함된 개념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ARS 서버(도면에 도시하지 않음)로 전화를 걸어, 음원 제공 서버(105)로부터 해당 음원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101)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1)로 무선 인터넷 접속하여 음원 제공 서버(105)로부터 해당 음원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개인 PC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107, 109)를 사용하여 음원 제공 서버(107)에 접속하고, 음원 제공 서버(105)로부터 해당 음원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101)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1)에 마련되는 시리얼 포트나 근거리 적외선 통신 포트를 이용하여, 컴퓨터(예:사용자 단말기(107, 109))와 통신 연결하고, 컴퓨터로부터 해당 음원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101)에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1 may download various sound source data from the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105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103. The illustrated communication network 103 is a concept that includes bot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PSTN network, and an Internet network. For example, the user may make a phone call to an ARS server (not shown) and download the sound source data from the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105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1. Alternatively, the user may access the wireless Interne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1 to download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data from the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105. Alternatively, the user may access the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107 using the user terminals 107 and 109 such as a personal PC, and download the sound source data from the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105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1. Alternatively, in some cases, the user communicates with a computer (for example, user terminals 107 and 109) using a serial port or a near-infrared communication port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1, and the sound source data from the computer. It can be downloa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1.

도 2는 버튼별 음원재생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의 일 예이고, 도 3은 버튼별 음원생성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의 일 예이고, 도 4는 버튼별 음원재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의 일 예이고, 도 5는 버튼별 음원생성 모드 화면의 일 예이고, 도 6은 버튼별 음원재생 모드 화면의 일 예이다. 이하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2 is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button-specific sound source reproducing function, FIG. 3 is an example of a flowchart showing a sound source generating method for each button, and FIG. 4 is a flowchart showing a sound source reproducing method for each button. 5 is an example of a sound source generation mode screen for each button, and FIG. 6 is an example of a sound source reproduction mode screen for each button.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폰,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ce), 웹패드(WEB PAD)등과 같이 무선 통신이 가능한 휴대형 단말기를 포함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a mobile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web pad, and the like.

상기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 조작부(217)와; 화면 표시부(219)와; 기지국(도시하지 않음)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무선 처리하는 알에프(RF) 처리부(201)와; 상기 무선 처리된 수신신호를 복조하고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알에프(RF) 처리부(201)에 전달하는 이동통신 처리부(203)와; 마이크로부터의 음성 송신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이동통신 처리부(203)로 전달하고, 복조된 음성 수신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 처리부(205)와; 음원 제공용 컴퓨터(도시하지 않음)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음원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는 다운로드부(207)와;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는 음원 재생부(213);를 적어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음원 데이터(209)를 저장하며, 음원 데이터 재생용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해당 버튼의 키데이터값과 해당 음원 데이터 간의 매칭 정보(211)를 저장하는 메모리(210)와; 사용자가 소정 버튼을 눌러서 사용자 조작부(217)를 통해 상기 버튼에 해당하는 키데이터값이 입력되면, 상기 매칭 정보(211)를 검색하여 상기 키데이터값에 해당되는 음원 데이터가 상기 음원 재생부(213)를 통해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버튼별 음원재생 처리부(21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manipulation unit 217; A screen display unit 219; An RF processor 201 for wirelessly processing signals transmitted / received between base stations (not shown); A mobile communication processor (203) for demodulating the radio signal received signal, modulating the transmitted signal, and transmitting the demodulated signal to the RF processor (201); A voice processing unit 205 which processes a voice transmission signal from a microphone and transmits 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203, and processes and outputs a demodulated voice reception signal to a speaker; A download unit 207 which downloads sound source data by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a sound source providing computer (not show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t least a sound source playback unit 213 for reproducing the stored sound source data, and stores the sound source data 209, the key data value of the corresponding button specified by the user for playing the sound source data and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data A memory 210 for storing matching information 211 therebetween; When a user presses a predetermined button and a key data value corresponding to the button is input through the user manipulation unit 217, the matching information 211 is searched for, and sound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the key data value is stored in the sound source playback unit 213. And a button-specific sound source playback processing unit 215 for controlling playback through the card.

RF 처리부(201), 이동통신 처리부(203), 음성 처리부(205), 다운로드부(207) 및 음원 재생부(213)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 분야에서 이미 공지된 것이다. 부연하여 이들에 대해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The RF processor 201,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or 203, the voice processor 205, the download unit 207 and the sound source playback unit 213 are already known in the fiel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nufacturing. In detail, these are as follows.

RF 처리부(201)는 기지국(도시하지 않음)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무선 처리한다. 예컨대, RF 처리부(201)는 베이스밴드의 송신신호를 무선 출력용의 고주파로 주파수 대역을(중간 주파수 변환 단계를 거칠 수도 있음) 천이 시키고 이를 증폭하여 안테나를 통해 무선 출력하며,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고주파 신호를 베이스 밴드로(중간 주파수 변환 단계를 거칠 수도 있음) 주파수 대역을 천이 시킨다.The RF processing unit 201 wirelessly processes signals transmitted / received between base stations (not shown). For example, the RF processor 201 shifts the baseband transmission signal to a high frequency for wireless output (may go through an intermediate frequency conversion step), amplifies it, and wirelessly outputs it through the antenna, and receives the high frequency received from the antenna. Transmit the frequency band to the base band (which may go through an intermediate frequency conversion step).

이동통신 처리부(203)는 상기 무선 처리된 해당 수신신호를 복조하고 해당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알에프(RF) 처리부(201)에 전달한다. 이때, 이동통신 처리부(203)는 이동통신용으로 기설정되어 있는 방식으로 변/복조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예컨대 채널 코딩/디코딩, 직교 부호/복호등의 CDMA 변/복조 동작을 수행 할 수가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or 203 demodulates the radio signal and transmits the demodulated signal to the RF processor 201. At this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203 performs the modulation / demodulation operation in a manner preset for mobile communication. For example,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203 can perform CDMA modulation / demodulation operations such as channel coding / decoding and orthogonal code / decoding.

음성 처리부(205)는 사용자가 마이크를 통해 이야기한 음성 송신신호를 음성 인코딩을 포함하는 해당 처리를 수행하여 이동통신 처리부(203)로 전달하고, 상기 이동통신 처리부(203)에 의해 복조된 음성 수신신호(상대측의 음성)에 대해 음성 디코딩을 포함하는 해당 처리를 수행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통상적으로 음성 처리부(205)는 증폭기, 필터 등의 아날로그 회로 및 아날로그/디지탈 변환회로, 디지탈/아날로그 변환회로 그리고 음성 압축/신장 모듈을 포함하는 펌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가 있다.The voice processing unit 205 transmits the voice transmission signal that the user talks through the microphon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203 by performing a corresponding process including voice encoding, and receives the demodulated voice by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203. A corresponding process including voice decoding is performed on the signal (the voice on the other side) and output through the speaker. Typically, the voice processing unit 205 may include an analog circuit such as an amplifier and a filter, and a firmware module including an analog / digital conversion circuit, a digital / analog conversion circuit, and a voice compression / extension module.

다운로드부(207)는 음원 제공용 컴퓨터(도시하지 않음)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음원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는다. 다운로드부(207)는 ARS 서버와 연계된 음 원 제공 서버 간에 통신을 수행하여 해당되는 음원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또는, 다운로드부(207)는 무선 인터넷 접속하여 해당 음성 음원 제공 서버로부터 해당 음원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또는 다운로드부(207)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마련되는 시리얼 포트(도시하지 않음)나 근거리 적외선 통신 포트(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컴퓨터(예:상기 도 1의 사용자 단말기(107, 109) 참조)와 통신 연결하고, 상기 컴퓨터로부터 해당 음원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다운로드부(207)는 예컨대 WAP 프로그램등이 구비되어 프로토콜 변환 게이트웨이(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인터넷상의 소정 컨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 가능하다.The download unit 207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a sound source providing computer (not shown) to download sound source data. The downloader 207 may download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data by per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associated with the ARS server. Alternatively, the downloader 207 may download the sound source data from the voice source providing server by accessing the wireless Internet. Alternatively, the download unit 207 refers to a computer (eg, the user terminals 107 and 109 of FIG. 1) by using a serial port (not shown) or a near-infrared communication port (not shown)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And download the sound source data from the computer. The download unit 207 is provided with, for example, a WAP program and can be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content providing server on the Internet through a protocol conversion gateway (not shown).

음원 재생부(213)는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여 해당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음원 재생부(213)는 MP3파일이나 미디 파일등과 같은 음원 데이터를 연주하도록 구현된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가 있다. 음원 재생부의 성능은 차츰 향상되어 가고 있어, 16화음, 32화음, 40화음 등의 연주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음원 데이터가 출력되는 스피커는 음성 통화용의 스피커가 될 수가 있고, 또는 별도의 음원 데이터 재생용 스피커가 될 수 있다.The sound source reproducing unit 213 reproduces the sound source data and outputs it through the corresponding speaker. The sound source player 213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chip implemented to play sound source data such as an MP3 file or a MIDI file. The performance of the sound source reproducing unit is gradually improved, and performances of 16 chords, 32 chords, and 40 chords are possible. Here, the speaker from which the sound source data is output may be a speaker for a voice call, or may be a speaker for reproducing a sound source data.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메모리(210)는 음원 데이터(209)를 저장하며, 또한 음원 데이터 재생용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해당 버튼의 키데이터값과 해당 음원 데이터 간의 매칭 정보(211)를 저장한다.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ry 210 stores the sound source data 209, and also stores the matching information 211 between the key data value of the corresponding button designated by the user for reproducing the sound source data and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data. do.

음원 데이터(209)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래쉬 메모리등과 같은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은 공지된 기술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각 음원 파일을 식별할 수 있는 인덱스와 해당 음원 파일을 연관시키는 테이블을 마련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지정 한 해당 버튼과 해당 음원 데이터를 매칭시키기 위해서, 예컨대 상기 인덱스와 키데이터값을 연관시키는 테이블을 마련할 수도 있다.It is a known technique that the sound source data 209 is stored in a memory such as a flash memor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a table for associating an index for identifying each sound source file with the sound source file may be provided. In order to match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data with the corresponding button designated by the user, for example, a table for associating the index with the key data value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버튼별 음원재생 처리부(215)는 사용자가 소정 버튼을 눌러서 사용자 조작부(217)를 통해 상기 버튼에 해당하는 키데이터값이 입력되면, 상기 매칭 정보(211)를 검색하여 상기 키데이터값에 해당되는 음원 데이터가 상기 음원 재생부(213)를 통해 재생되도록 제어한다.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n-specific sound source reproduction processing unit 215 may input the matching information 211 when a key data value corresponding to the button is input through a user manipulation unit 217 by pressing a predetermined button. The searcher controls the sound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the key data value to be reproduced through the sound source reproducing unit 213.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음원 데이터 재생 기능을 종래와 같이 착신 벨소리로써의 활용으로만 그치지 않고, 이러한 음원 데이터 재생 기능을 여러 가지 다양한 방면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특정 음원 데이터와 매칭된 어느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해당 음원 데이터를 재생시킬 수가 있으므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 중 원하는 것을 언제 어디서나 쉽고 편리하게 재생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개성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sound source data reproducing function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not only be used as an incoming ringtone as in the prior art, but a method of utilizing the sound source data reproducing function in various ways may be proposed. Since the user can play the sound source data simply by pressing any button matched with the specific sound source data, the us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play any desired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ytime and anywhere. Therefore, the user can produce his personality.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 3을 참조하여, 버튼별 음원재생 처리부(215)가 사용자가 지정한 해당 버튼과 해당 음원 데이터를 매칭시키는 동작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3, an operation of matching the corresponding button designated by the user with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data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버튼별 음원재생 처리부(215)는 상기 저장된 음원 데이터(상기 도 2의 209 참조)의 리스트 정보와, 상기 저장된 음원 데이터 리스트 중에서 해당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 해당 버튼을 지정할 것을 안내하는 정보를 상기 화면 표시부(219)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조 작부(217)를 통해 소정 키데이터값이 입력되면, 상기 키데이터값과 해당 음원 데이터 간의 매칭 정보(상기 도 2의 211 참조)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n-specific sound source reproduction processing unit 215 may reproduce the sound source data from the list information of the stored sound source data (see 209 of FIG. 2) and the stored sound source data list. Outputting information for guiding designation through the screen display unit 219; When a predetermined key data value is input through the user operator 217, generating matching information (see 211 of FIG. 2) between the key data value and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data and storing the matching information in the memory. It features.

버튼별 음원재생 처리부(215)는 버튼별 음원생성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301). 상기 메뉴 화면은 첨부되는 도 5와 같은 화면이 될 수가 있다. 상기 도 5의 화면에 의하면, "짱가" 라는 제목의 뮤직 파일의 음원 데이터와 "최신 벨소리" 라는 제목의 벨소리용 음원 데이터등의 리스트가 표시되며, "짱가"라는 제목의 음원 데이터에는 이미 재생용 버튼으로서 "1"이 매칭되어 있다. 현재, 커서는 두 번째의 "최신 벨소리" 리스트를 가리키고 있으며, 이때,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소정 버튼을 재생용 버튼으로 지정할 수가 있다.The button-specific sound source playback processing unit 215 displays a button-specific sound source generation menu screen (301). The menu screen may be a screen as shown in FIG. 5. According to the screen of FIG. 5, a list of sound source data of a music file titled "changa" and a sound source data for ringtone titled "latest ringtone" is displayed, and the sound source data titled "changa" is already reproduced. "1" is matched as the button. Currently, the cursor is pointing to the second "latest ringtone" list, in which the user can designate a desired button as a button for playback.

다시 상기 도 3으로 돌아가서, 버튼별 음원재생 처리부(215)는 사용자의 키버튼의 누름으로 인해 발생되는 키데이터를 입력받는다(303). 그리고, 버튼별 음원재생 처리부(215)는 상기 입력된 키데이터와 해당 음원 파일을 매칭 시켜 그 매칭내역을 메모리(210)의 매칭 테이블(211)에 반영한다(305). 그리고, 버튼별 음원재생 처리부(215)는 매칭 결과를 화면에 표시한다(307).3, the button-specific sound source playback processing unit 215 receives key data generated by the user pressing the key button (303). The button-specific sound source reproduction processing unit 215 matches the input key data with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file and reflects the matching details in the matching table 211 of the memory 210 (305). The button-specific sound source reproduction processing unit 215 displays the matching result on the screen (307).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버튼별 음원재생 처리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해당 버튼과 해당 음원 데이터를 매칭시킬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자신이 듣고자 하는 음원 데이터를 자신이 지정하는 버튼에 할당 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제, 사용자는 특정 음원 데이터와 매칭된 어느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해당 음원 데이터를 재생시킬 수가 있으므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 중 원하는 것을 언제 어디서나 쉽고 편리하게 재생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개성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button for each sound source playback process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r interface that can match the corresponding button and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specify the sound source data that he / she wants to listen to Can be assigned to. Now, since the user can play the sound source data simply by pressing any button matched with the specific sound source data, the us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play any desired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ytime and anywhere. Therefore, the user can produce his personality.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 4를 참조하여, 버튼별 음원재생 처리부(215)가 사용자가 누르는 버튼의 키데이터값을 매칭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 재생을 위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키데이터값에 해당하는 특정 음원 데이터가 재생되도록 하는 동작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4,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processing unit 215 for each button recognizes the key data value of the button pressed by the user for matching sound source data reproduction, and the specific sound source corresponding to the key data value. An operation of allowing data to be reproduce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버튼별 음원재생 처리부(215)는, 상기 사용자 조작부(217)를 통해 소정 버튼에 해당하는 키데이터값이 입력되면, 상기 매칭 정보(211)를 검색하여 상기 입력된 키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음원 데이터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음원 데이터 식별정보를 상기 음원 재생부(213)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누른 버튼에 해당하는 음원 데이터가 해당 스피커를 통해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button-specific sound source reproduction processing unit 215 receives a key data valu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button through the user operation unit 217, the matching information 211 is searched for and inputted. Identifying sound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key data value; And providing the sound source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ound source reproducing unit 213 to control the sound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the button pressed by the user to be reproduced through the corresponding speaker.

또한, 버튼별 음원재생 처리부(215)는 상기 저장된 음원 데이터의 리스트 정보와, 각 음원 데이터에 지정되어 있는 버튼을 안내하는 정보를 상기 화면 표시부(219)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utton-specific sound source playback processing unit 215 further outputs through the screen display unit 219 the list information of the stored sound source data and information for guiding a button designated for each sound source data. It features.

버튼별 음원재생 처리부(215)는 버튼별 음원재생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401). 상기 메뉴 화면은 첨부되는 도 6과 같은 화면이 될 수가 있다. 상기 도 6의 화면에 의하면, 사용자는 "짱가" 라는 제목의 뮤직 파일의 음원 데이터와 "최신 벨소리" 라는 제목의 벨소리용 음원 데이터등의 리스트가 표시되며, "짱가"라는 제목의 음원 데이터에는 재생용 버튼으로서 "1"이 매칭되어 있고, "최신 벨소리" 라는 제목의 음원 데이터에는 재생용 버튼으로서 "#"이 매칭되어 있음을 알게 된다.The button-specific sound source playback processing unit 215 displays a button-specific sound source playback menu screen (401). The menu screen may be a screen as shown in FIG. 6. According to the screen of FIG. 6, the user displays a list of sound source data of a music file titled "changa" and a sound source data for ringtone titled "latest ringtones", and reproduces the sound source data titled "changa". It is found that " 1 "is matched as the button for < RTI ID = 0.0 > and "# "

다시 상기 도 4로 돌아가서, 버튼별 음원재생 처리부(215)는 사용자의 키버튼의 누름으로 인해 발생되는 키데이터를 입력받는다(403). 그러면, 버튼별 음원재생 처리부(215)는 메모리(210)에 저장된 매칭 정보(211)로부터, 상기 입력된 키데이터와 매칭되는 해당 음원 데이터를 검색한다(405). 그리고, 버튼별 음원재생 처리부(215)는 상기 입력된 키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음원 데이터의 인덱스 정보를 음원 재생부(213)에 제공하여, 해당 음원 데이터가 재생되도록 제어한다(407).4, the button-specific sound source playback processing unit 215 receives key data generated by the user pressing the key button (403). Then, the button-specific sound source reproduction processing unit 215 searches for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data matching the input key data from the matching information 211 stored in the memory 210 (405).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processing unit 215 for each button provides index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data value to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unit 213 to control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data to be reproduced (407).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버튼별 음원재생 처리부는, 입력되는 키데이터값을 매칭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 재생을 위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키데이터값에 해당하는 특정 음원 데이터가 재생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특정 음원 데이터와 매칭된 어느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해당 음원 데이터를 재생시킬 수가 있으므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 중 원하는 것을 언제 어디서나 쉽고 편리하게 재생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개성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button-specific sound source reproduction process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e input key data value as being for the matching sound source data reproduction, and causes the specific sound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the key data value to be reproduced. Therefore, since the user can play the sound source data simply by pressing any button matched with the specific sound source data, the us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play any desired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ytime and anywhere. Therefore, the user can produce his personality.

또한, 자신이 원하는 음원 데이터에 매칭되어 있는 버튼을 안내 받을 수 있으므로, 더욱 편리하게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 중 원하는 것을 재생시킬 수가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user can be guided a button matching the desired sound source data, the user can more conveniently reproduce the desired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음원 데이터 재생 기능을 종래와 같이 착신 벨소리로써의 활용으로만 그치지 않고, 이러한 음원 데이터 재생 기능을 여러 가지 다양한 방면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reproducing the sound source data reproduction function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n incoming ring tone as in the related art, and utilizing the sound source data reproduction function in various ways is not limited. Can present

또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 중 원하는 것을 언제 어디서나 쉽고 편리하게 재생시킬 수가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개성을 마음껏 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llowing the user to easily and conveniently play any of the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ytime and anywhere, the user can produce his own personality.

또한, 벨소리와 관련된 음원 데이터 다운로드 뿐만이 아니라 그 외의 다양한 종류의 음원 데이터 다운로드 서비스가 창출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할 수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prepares not only the download of sound source data related to the ringtone but also other various kinds of sound source data download services.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해당 버튼과 해당 음원 데이터를 매칭시킬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자신이 듣고자 하는 음원 데이터를 자신이 지정하는 버튼에 할당 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제, 사용자는 특정 음원 데이터와 매칭된 어느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해당 음원 데이터를 재생시킬 수가 있으므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 중 원하는 것을 언제 어디서나 쉽고 편리하게 재생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개성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user interface that can match the corresponding butt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data, the user can conveniently assign the sound source data that he wants to listen to the button that he or she designates. Now, since the user can play the sound source data simply by pressing any button matched with the specific sound source data, the us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play any desired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ytime and anywhere. Therefore, the user can produce his personality.

또한, 입력되는 키데이터값을 매칭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 재생을 위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키데이터값에 해당하는 특정 음원 데이터가 재생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특정 음원 데이터와 매칭된 어느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해당 음 원 데이터를 재생시킬 수가 있으므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 중 원하는 것을 언제 어디서나 쉽고 편리하게 재생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개성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input key data value is recognized as for reproducing the matched sound source data, and the specific sound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the key data value is reproduced. Therefore, the user can play the sound source data simply by pressing any button matched with the specific sound source data,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play any desired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ytime and anywhere. . Therefore, the user can produce his personality.

또한, 자신이 원하는 음원 데이터에 매칭되어 있는 버튼을 안내 받을 수 있으므로, 더욱 편리하게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 중 원하는 것을 재생시킬 수가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user can be guided a button matching the desired sound source data, the user can more conveniently reproduce the desired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는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여 해석되지 않으며, 이로부터 자명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괄하도록 해석되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to, but should be construed to cover many modifications that are obvious from this.

Claims (8)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사용자 조작부와; 화면 표시부와; 기지국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무선 처리하는 알에프(RF) 처리부와; 상기 무선 처리된 수신신호를 복조하고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알에프(RF) 처리부에 전달하는 이동통신 처리부와; 마이크로부터의 음성 송신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이동통신 처리부로 전달하고, 복조된 음성 수신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 처리부와; 음원 제공용 컴퓨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음원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는 다운로드부와;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는 음원 재생부;를 적어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A user operation unit; A screen display unit; An RF processor for wirelessly processing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base stations; A mobile communication processor which demodulates the radio processed reception signal, modulates a transmission signal, and transmits the demodulated signal to the RF processor; A voice processing unit which processes a voice transmission signal from a microphone and transmits 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or, and processes a demodulated voice reception signal and outputs it to a speaker; A download unit which downloads sound source data by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a sound source providing comput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t least; sound source playback for reproducing the stored sound source data,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며, 음원 데이터 재생용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해당 버튼의 키데이터값과 해당 음원 데이터 간의 매칭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A memory for storing sound source data, and storing matching information between key data values of the corresponding button designated by a user for reproducing the sound source data and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data; 상기 사용자 조작부로부터 입력되는 키 버튼별 음원 데이터 등록 요청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의 리스트 정보와, 상기 저장된 음원 데이터 리스트 중에서 해당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 해당 버튼을 지정할 것을 안내하는 정보를 상기 화면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조작부를 통해 소정 키데이터값이 입력되면, 상기 키데이터값과 해당 음원 데이터 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며,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registering sound source data for each key button input from the user manipulation unit, the screen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a list of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memory and information on specifying a corresponding button to reproduce the sound source data among the stored sound source data lists. Outputting through a display unit, and when a predetermined key data value is input through the user manipulation unit, generating matching information between the key data value and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data and storing the matching information in the memory; 상기 사용자 조작부를 통해 소정 버튼에 해당하는 키데이터값이 입력되면, 해당 키데이터값의 매칭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서 엑세스하여 해당 키데이터값에 따른 음원 데이터를 상기 음원 재생부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누른 버튼에 해당하는 음원 데이터가 해당 스피커를 통해 재생되도록 제어하고,When a key data valu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button is input through the user manipulation unit, matching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key data value is accessed from the memory to provide sound source data according to the key data value to the sound source reproducing unit. To control the sound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the button to play through the speaker, 상기 사용자 조작부에 의해 입력되는 음원 데이터의 리스트 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의 리스트 정보와, 각 음원 데이터에 지정된 버튼의 종류를 안내하는 정보를 상기 화면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버튼별 음원재생 처리부;In accordance with a request for list information of sound source data input by the user operation unit, sound source reproduction for each button outputting list information of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memory and information for guiding a type of a button assigned to each sound source data through the screen display unit. Processing uni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별 음원재생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button-specific sound source playback function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사용자 조작부와; 화면 표시부와; 기지국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무선 처리하는 알에프(RF) 처리부와; 상기 무선 처리된 수신신호를 복조하고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알에프(RF) 처리부에 전달하는 이동통신 처리부와; 마이크로부터의 음성 송신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이동통신 처리부로 전달하고, 복조된 음성 수신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 처리부와; 음원 제공용 컴퓨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음원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는 다운로드부와;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는 음원 재생부와;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적어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원 데이터 재생 방법에 있어서,A user operation unit; A screen display unit; An RF processor for wirelessly processing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base stations; A mobile communication processor which demodulates the radio processed reception signal, modulates a transmission signal, and transmits the demodulated signal to the RF processor; A voice processing unit which processes a voice transmission signal from a microphone and transmits 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or, and processes a demodulated voice reception signal and outputs it to a speaker; A download unit which downloads sound source data by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a sound source providing computer; A sound source reproducing unit reproducing the stored sound source data; In the sound source data reproduction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t least a memory for storing the sound source data,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의 리스트 정보와, 상기 저장된 음원 데이터 리스트 중에서 해당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 해당 버튼을 지정할 것을 안내하는 정보를 상기 화면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와;Outputting list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memory and information for specifying a corresponding button to reproduce the sound source data from the stored sound source data list through the screen display unit; 상기 사용자 조작부를 통해 소정 키데이터값이 입력되면, 상기 키데이터값과 해당 음원 데이터 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When a predetermined key data value is input through the user manipulation unit, generating matching information between the key data value and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data and storing the matching information in the memory; 상기 사용자 조작부를 통해 소정 버튼에 해당하는 키데이터값이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매칭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입력된 키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음원 데이터를 식별하는 단계와;Identifying a sound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data value by searching for match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when a key data valu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button is input through the user manipulation unit; 상기 음원 데이터 식별정보를 상기 음원 재생부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누른 버튼에 해당하는 음원 데이터가 해당 스피커를 통해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Providing the sound source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ound source reproducing unit to control the sound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the button pressed by the user to be reproduced through the corresponding speaker; 상기 사용자 조작부에 의해 입력되는 음원 데이터의 리스트 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의 리스트 정보와, 각 음원 데이터에 지정된 버튼의 종류를 안내하는 정보를 상기 화면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Outputting, through the screen display unit, list information of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memory and information for guiding a type of a button assigned to each sound source data according to a request for list information of sound source data input by the user manipulation unit;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튼별 음원재생 방법.Button-specific sound source playback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KR1020030024114A 2003-04-16 2003-04-16 Mobile communication unit with function for playing sound assigned to button, method for playing sound assigned to butt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KR1005402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4114A KR100540215B1 (en) 2003-04-16 2003-04-16 Mobile communication unit with function for playing sound assigned to button, method for playing sound assigned to butt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4114A KR100540215B1 (en) 2003-04-16 2003-04-16 Mobile communication unit with function for playing sound assigned to button, method for playing sound assigned to butt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0171A KR20040090171A (en) 2004-10-22
KR100540215B1 true KR100540215B1 (en) 2006-01-10

Family

ID=37371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4114A KR100540215B1 (en) 2003-04-16 2003-04-16 Mobile communication unit with function for playing sound assigned to button, method for playing sound assigned to butt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021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803B1 (en) 2017-12-13 2019-08-13 김준환 Audio source output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802B1 (en) * 2004-06-07 2006-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key sound in the mobile termi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803B1 (en) 2017-12-13 2019-08-13 김준환 Audio source outpu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0171A (en) 200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63675B (en) Media player with user-operable key for automatic selection and recording to an associated playlist
KR20080015567A (en) Voice-enabled file information announcement system and method for portable device
US6700049B2 (en) Music data providing apparatus, music data receiving apparatus, music data reproducing apparatus, and music data providing method
KR100555094B1 (en) Portable telephone
KR10104802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20000042809A (en) Method for receiving and reproducing music files
KR100540215B1 (en) Mobile communication unit with function for playing sound assigned to button, method for playing sound assigned to butt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JP3133013U (en) Headphone with communication function
JP2001160850A (en) Body-mount type portable telephone terminal, music reproduction system and telephone terminal
KR100605919B1 (en) Method for offering sound per function and mobile phone therefor
KR20080046817A (en) Portable terminal having information providing function of acostic sourc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for acoustic source and method for providing of information for acoustic source in portable terminal
JP2002123273A (en) Information terminal
KR100378105B1 (en) MP3 player
KR100678119B1 (en) Method for replaying music file in wireless terminal
KR100356033B1 (en) MP3 player with recording function
JP2001242874A (en) Music distribution system, music distribution system terminal and music distribution system server
KR20020057926A (en) Ring-tone composing and editing method about portable mobile phones
KR100502715B1 (en) Battery pack for storing a data
KR100652505B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playing background by using text recognition func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170612Y1 (en) Mp3 player
KR10107168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utgoing call waiting soun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4895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usical performance using keypa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030979A (en) Earmicrophone with assistant memory in portable handheld radiotelephone and management method of it
KR20050092973A (en) Method for providing bell download service using realtime broadcasting information
KR100700162B1 (en) WLL terminal having a function for storing and replaying a MP3 music file-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