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9786B1 - 낙하추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낙하시험장치 및낙하시험용 낙하추 - Google Patents

낙하추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낙하시험장치 및낙하시험용 낙하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9786B1
KR100539786B1 KR1020030031431A KR20030031431A KR100539786B1 KR 100539786 B1 KR100539786 B1 KR 100539786B1 KR 1020030031431 A KR1020030031431 A KR 1020030031431A KR 20030031431 A KR20030031431 A KR 20030031431A KR 100539786 B1 KR100539786 B1 KR 100539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p
weight
dropping
terminal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1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9045A (ko
Inventor
승용호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1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9786B1/ko
Publication of KR20040099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9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9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9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52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measuring forces due to impa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낙하추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낙하시험장치 및 낙하시험용 낙하추에 관한 것으로, 받침대가 구비된 고정프레임과; 휴대단말기를 고정하도록 고정 프레임의 받침대의 상면에 설치된 단말기 홀더와; 상기 단말기 홀더에 고정된 휴대단말기로 낙하되는 낙하추와; 상기 낙하추의 낙하를 안내하도록 상기 단말기 홀더 상부에 설치된 낙하안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추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낙하시험장치 및 이에 상응하는 낙하추를 제공하여, 낙하추를 휴대단말기의 원하는 낙하위치에 높은 위치정확도를 갖도록 낙하시킴으로서 휴대단말기의 액정화면 등과 같이 비교적 작은 면적을 갖는 부분의 충격시험에 대해 오차 없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제품 설계 시 내구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낙하시험장치, 낙하추, 내충격 시험, 낙하안내부재

Description

낙하추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낙하시험장치 및 낙하시험용 낙하추{DROP-TEST DEVICE FOR MOBILE-PHONE USING DROP WEIGHT AND DROP WEIGHT FOR DROP-TEST}
도 1은 종래의 낙하추를 이용한 낙하시험장치의 측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낙하추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낙하시험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는 낙하추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낙하시험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휴대단말기의 낙하시험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낙하시험용 낙하추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낙하시험장치 110: 고정프레임
120: 낙하안내부재 121: 수직낙하안내공
130: 이동 기구 131: 이동부재
132: 가이드 부재 140: 단말기 홀더
150: 낙하추 160: 휴대단말기
본 발명은 낙하추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낙하시험장치 및 낙하시험용 낙하추에 관한 것으로, 높은 낙하위치 정확도를 가지고 휴대단말기에 낙하추를 낙하시키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낙하 시험 장치 및 낙하시험용 낙하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는 사용자가 항시 휴대하며 음성, 문자 그리고 화상 정보 등을 송 수신하거나, 또는 다양한 정보를 무선 이용할 수 있는 휴대용 기기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휴대하여 사용하는 도중 가장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기기의 낙하에 의한 파손, 작동 불능, 특히 휴대단말기의 액정화면 (LCD) 등과 같이 취약한 부분에 대해서는 이러한 모든 상황을 고려하기 위한 낙하시험이 필수적으로 전제되어야 하며, 이러한 낙하시험을 통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기 설계 단계에서 충격 등에 대한 충분한 내구력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휴대단말기의 낙하 시험 장치가 사용되어 진다.
종래의 낙하추를 이용한 낙하 시험 장치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틀(1)과, 그 받침틀(1)의 상면 일측에 시험할 휴대단말기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설치된 단말기 홀더(2)와, 받침틀(1)의 상면 타측에 수직 방향으로 세워 설치된 수직 지지대(3)와, 그 수직 지지대(3)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수평 지지대(4)와, 이들 수직 지지대(3) 및 수평 지지대(4)에 의해 설정되는 소정 높이의 고정 위치로부터 단말기 홀더(2)에 고정된 휴대단말기로 낙하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낙하추(5)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 지지대(4)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몸체 내부의 양측에 상기 낙하추(5)가 연결된 연결줄(6)을 걸쳐 안내하도록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설치된 가이드롤러(5)(6)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들 가이드롤러(5)(6)에 의해 걸쳐 안내되는 연결줄(6)의 일단은 낙하추(5)와 결합되어 있고, 낙하추 연결줄(6)의 타단은 낙하추(5)의 높이위치설정 및 낙하시키기 위하여 고정/해체(Release) 가능한 받침틀(1)의 일측에 설치된 고정기구(7)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낙하추(5)는 통상, 구형(球形) 또는 반구형상으로 된 일정 규격의 강구가 주로 사용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8"은 상기 단말기 홀더(2)의 상면에 놓인 휴대단말기를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낙하추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낙하시험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상기 낙하추(7)를 연결줄(6)의 일단에 고정하고, 연결줄(6)을 가이드롤러(5)(6)에 걸쳐서 안내되게 한 상태에서 그 연결줄(6)의 끝단을 고정 기구(7)에 연결 고정하고, 수평 지지대(4)의 높이를 조절하여 낙하추(7)의 낙하 위치를 설정한 다음, 연결줄(6)의 타단에 고정 기구(7)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해제(Release)하여 낙하추(7)를 자유낙하 시킴으로서 그 하부의 단말기 홀더(2)에 놓인 휴대단말기(8)에 충격을 가하도록 하고, 그 충격에 의한 기기의 외형 또는 부품의 파손 상태 및 기능상의 손상 유무 등을 확인하여 그에 따른 데이터를 작성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종래의 낙하추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낙하시 험장치는 일반적으로 각종 재료의 충격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험장치로 이용되는 것이어서 시험장치 전체의 크기가 대형으로 제작되므로, 이와 같은 대형 시험장치는 휴대단말기와 같은 소형 시판의 충격시험에 사용되기에는 부적합할 뿐만 아니라, 연결줄(6)에 매달린 채 고정되는 낙하추의 불안정한 매달림 구조에 의해 낙하추(7)의 자유낙하시 그 낙하 위치가 일정하지 않게 되어 시편에 대한 충격 정확도가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더욱이, 휴대단말기의 액정표시부(LCD 패널)와 같이 보다 작은 단위 면적을 가지는 기기 부품이나 특정 부위 등에 대해서만 국부적으로 충격을 가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므로, 필요로 하는 특정 데이터 또는 정확한 데이터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 낙하시험장치의 낙하추(7)는 그 외면이 단순 구면(球面)으로 된 구형 또는 반구형 몸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은 종래의 낙하추로서는 낙하추의 충격부와 시편접촉부 간의 다양한 접촉 특성에 대한 시험이 불가능하며,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시험 대상 기기의 규격이나 형태 또는 요구되는 다양한 시험조건 등에 적합한 낙하추를 구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규격을 갖는 다수의 낙하추를 별도로 제작해야 하는 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낙하추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의 낙하 시험 장치에 낙하추의 낙하를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 홀더 상부에 설치된 낙하안내부재를 구비함으로서, 단말기 홀더에 고정된 휴대단말기의 비교적 면적이 작은 부위에 대해서도 높은 낙하위치 정확도를 갖고 낙하 추를 낙하시킬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낙하시험장치 및 낙하시험용 낙하추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받침대가 구비된 고정프레임과; 휴대단말기를 고정하도록 고정 프레임의 받침대의 상면에 설치된 단말기 홀더와; 상기 단말기 홀더에 고정된 휴대단말기로 낙하되는 낙하추와; 상기 낙하추의 낙하를 안내하도록 상기 단말기 홀더 상부에 설치된 낙하안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추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낙하시험장치를 제공한다.
이는 낙하추를 휴대단말기의 원하는 낙하위치에 높은 위치정확도를 갖도록 낙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휴대단말기의 액정화면 등과 같이 비교적 작은 면적을 갖는 부분의 충격시험에 대해 오차 없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제품 설계 시 내구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 부재와; 상기 낙하안내부재와 일체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수직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 이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기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이동부재에 고정된 랙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랙과 맞물리어 회전하도록 형성된 피니언 기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 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정.역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 및 낙하안내부재를 수직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의 수직이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가이드 부재에 멈춤기구(stopper)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낙하안내부재는 중공을 갖는 부재로 구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낙하안내부재는 상기 중공을 갖는 부재의 측벽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수직낙하안내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낙하안내부재는 낙하추의 낙하높이를 편리하게 사전 설정할 수 있도록 일정한 높이에 따라 수직낙하안내공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요입 형성된 낙하위치 설정홈을 갖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낙하안내부재는 낙하추의 편리한 거치를 위하여 낙하위치 설정홈으로부터 하향으로 요입 형성된 거치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말기 홀더는 단말기 고정부재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수직이동 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기구를 구비한 것이 효과적이다.
이 때, 상기 단말기 고정부재 높이조절기구는 단말기 홀더 단말기 고정부재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삽입된 스크류봉과 상기 단말기 고정부재의 상하 양면에 상기 단말기 고정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너트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낙하추는 상기 낙하안내부재의 수직낙하안내공에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낙하추의 몸통부 측면에 안내돌기가 돌출형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낙하추는 몸통부 일단에 팁을 착탈할 수 있도록 형성된 머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낙하추는 다양한 무게추를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꼬리부를 구비한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본 발명은 몸통부와; 몸통부 일단에 팁을 착탈할 수 있도록 형성된 머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낙하시험용 낙하추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낙하추는 다양한 무게추를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꼬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도시한 도면에 따라 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낙하추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낙하시험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는 낙하추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낙하시험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휴대단말기의 낙하시험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낙하시험용 낙하추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낙하시험장치(100)는 고정프레임(110)과, 휴대단말기(160)를 고정하기 위해 고정프레임(110)의 하부에 결합된 단말기 홀더(140)와, 낙하추(150)의 낙하를 안내할 수 있도록 단말기 홀더(140) 상부에 설치된 낙하안내부재(120)와, 낙하안내부재(120)를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기구(130)와, 낙하안내부재(120)에 삽입되어 상기 단말기 홀더(140)의 특정 위치로 낙하되는 낙하추(15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10)은 시험장치 구조물 전체를 지지하므로 어느정도 중량이 크고, 낙하추(150)의 낙하높이를 고려하여 어느정도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고정프레임(110)의 하부에 결합된 평판형상의 받침대(111)와, 고정프레임(110)의 일측에 상하로 이격 배치되어 이동 기구(130)를 지지하도록 고정설치된 고정부재(112)를 구비한다.
상기 단말기 홀더(140)는 낙하추(150)의 낙하위치에 맞도록 휴대단말기(160)를 고정하기 위한 단말기 고정부재(141)와, 다양한 두께의 휴대단말기의 시험을 위하여 단말기 고정부재(141)를 수직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높이조절기구(144)로 구성된다.
이 때, 높이조절기구(144)는 일단은 단말기 고정부재(141)에 형성된 4개의 관통공(미도시)을 관통하고 타단은 고정프레임(110)의 받침대(111)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도록 형성된 4개의 스크류봉(143)과, 단말기 고정부재(141)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스크류봉(143)을 따라 단말기 고정부재(141)의 상면에 설치된 4개의 상부고정너트(142a)와, 스크류봉(143)을 따라 단말기 고정부재(141)의 하면에 설치된 4개의 하부고정너트(142b)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 기구(130)는 고정프레임(110)의 상하에 배치된 고정부재(112) 사이에 걸쳐 수직으로 설치된 가이드부재(132)와, 그 가이드 부재(132)를 따라 수직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결합된 이동부재(131)와, 이동부재(131)의 이동 범위를 제한 할 수 있도록 그 가이드 부재(132)의 일정 위치에 설치된 멈춤기구(136)와, 이동부재(131)와 멈춤기구(136)의 충격 시 이들 장치의 손상을 막기 위해 이동부재(131)와 접하는 멈춤기구(136)의 일면에 결합된 업소바(135)와, 고정프레임(110)에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피니언기어(134)와, 상기 피니언 기어(134)에 맞물리도록 이동부재(131)에 결합된 랙(133)으로 구성된다.
상기 낙하안내부재(120)는 이동부재(131)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중공을 갖는 부재로 구성하며, 제작비용을 줄이고 제작의 용이성을 위해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낙하안내부재(120)는 중공을 갖는 부재의 측벽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수직낙하안내공(121)과, 낙하추(150)의 낙하높이를 편리하게 사전 설정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에 따라 수직낙하안내공(121)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요입 형성된 낙하위치 설정홈(122)과, 낙하시험을 하지 않을 때 낙하추(150)의 편리한 거치를 위해 낙하위치설정홈(122)으로부터 하향으로 요입 형성된 거치홈(123)과, 낙하추(150)의 낙하안내부재로의 삽입을 위한 입구홈(124)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낙하시험용 낙하추(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하안내부재의 내면 형상과 일정한 틈새를 갖도록 제작되는 몸통부(151)와, 다양한 충격 접촉특성을 구현하기 위해 머리부(152)에 결합되는 팁(155)과, 다양한 무게에 따라 시험할 수 있도록 몸통부(151)보다 직경이 작은 민무늬 봉 또는 나사봉으로 형성된 꼬리부(153)와, 그 꼬리부(153)에 무게조절을 위해 장착되는 무게추(156)와, 몸통부(151)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안내돌기(15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휴대단말기의 낙하시험장치(100)를 이용한 내충격 시험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따라 행해진다. 즉, 단말기 홀더(140)의 단말기 고정부재(141)에 시험하고자 하는 휴대단말기(160)를 낙하안내부재(120)를 따라 낙하하는 낙하추(150)의 낙하위치에 맞도록 고정하고, 원하는 무게의 무게추(156)를 낙하추의 꼬리부(153)에 장착시키고, 원하는 충격접촉면을 갖는 팁(155)을 낙하추의 머리부에 결합시키고, 안내돌기(154)가 낙하안내부재(120)에 형성된 입구홈(124)에 맞물리도록 낙하추(150)를 중공을 갖는 낙하안내부재(120)의 내부로 삽입하고, 낙하추(150)를 원하는 높이의 낙하안내부재(120)에 형성된 낙하위치 설정홈(122)에 낙하추의 안내돌기(154)를 걸어놓고, 낙하추의 낙하위치 설정홈(122)에 걸쳐진 안내돌기(154)를 수직낙하안내공(121)쪽으로 이동시켜 낙하추(150)의 안내돌기(154)가 수직낙하안내공(121)과 서로 맞물리면서 낙하추(150)를 원하는 정확한 위치에 낙하시켜 휴대단말기(160)에 충격을 가하도록 하고, 그 충격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외형 또는 부품의 파손 상태 및 기능상의 손상 유무 등을 확인하여 그에 따른 데이터를 작성하게 된다.
한편, 고정프레임(110)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134)를 회전시킴으로서 이와 맞물려 운동하는 랙(133)은 수직이동을 하며, 상기 랙(133)에 결합된 이동부재(131)와 상기 이동부재(131)에 일체로 결합된 낙하안내부재(120)는 가이드 부재(132)를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상기 피니언 기어(134)의 회전은 핸들을 연결하여 수동에 의할 수도 있으며, 모터를 연결하여 구동할 수도 있다. 낙하안내부재(120)의 미세한 위치조정을 위해 랙(133)과 피니언 기어(134)의 기어 이빨은 촘촘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멈춤기구(136)는 가이드 부재(132)를 따라 수직이동하는 이동부재(131)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며, 랙(133)과 피니언 기어(134)에 의해 이동부재(131)를 이동하는 때에는 랙(133)과 피니언 기어(134)의 맞물림이 벗어나지 못하도록 한다.
그리고, 다양한 두께의 휴대단말기의 시험을 위해 단말기 홀더(140)를 수직이동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높이조절기구(144)에 의하여 구현된다. 구체적으로, 높이조절기구(144)에 의한 단말기 홀더(140)의 상향 이동은 상부고정너트(142a)를 풀어 충분히 높은 높이로 이동시키고, 단말기 고정부재(141)를 하부고정너트(142b)의 회전에 의하여 원하는 높이가 되도록 단말기 고정부재(141) 및 하부고정너트(142b)를 이동시키고, 상부고정너트(142a)를 단말기 고정부재(141)의 상면에 고정함으로서 구현된다. 또한, 단말기 홀더(140)의 하향이동은 하부고정너트(142b)를 풀어 충분히 낮은 높이로 이동시키며, 이 때 단말기 고정부재(141)도 중력에 의하여 함께 하향 이동된다. 그리고 상부고정너트(142a)를 단말기 고정부재(141)의 상면에 고정함으로서 구현된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의 내충격 낙하시험은 낙하추의 하중, 충격속도, 충격면의 접촉특성에 따른 충격 데이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하중을 갖는 낙하추(150)에 대한 내충격시험을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낙하추(150)의 꼬리부(153)에 무게추(156)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무게별로 낙하추를 제작할 필요없이 일정 단위별 무게추만 제작함으로서 무게별로 제작하는 것보다 제작비용 및 제작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충격속도와 관련하여서는 낙하위치 설정홈(122)을 구비함으로서 반복시험에 따른 낙하높이의 측정오차를 줄일 수 있으며, 다양한 충격면의 접촉특성에 대한 시험을 위해 낙하추(150)의 머리부(152)에 팁(155)을 착탈할 수 있게 함으로서 구형, 타원형, 원뿔형, 평면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갖는 팁(155)만을 제조하여 이를 낙하추(150)의 머리부(152)에 결합시킴으로서 팁(155)의 형상별 시험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충격 시험에 사용되는 낙하추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의 낙하 시험 장치에 낙하추의 낙하를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 홀더 상부에 설치된 낙하안내부재를 구비함으로서, 단말기 홀더에 고정된 휴대단말기의 비교적 면적이 작은 부위에 대해서도 높은 낙하위치 정확도를 갖고 낙하추를 낙하시킬 수 있도록 하여 휴대단말기의 액정화면(LCD) 등과 같이 비교적 작은 면적을 갖는 부분의 반복적인 충격시험에 대해 보다 오차없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품 설계시 제품의 내구력을 확보하게 함으로써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5)

  1. 삭제
  2. 받침대가 구비된 고정프레임과;
    휴대단말기를 고정하도록 고정 프레임의 받침대의 상면에 설치된 단말기 홀더와;
    상기 단말기 홀더에 고정된 휴대단말기로 낙하되는 낙하추와;
    상기 낙하추의 낙하를 안내하도록 상기 단말기 홀더 상부에 설치된 낙하안내부재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 부재와;
    상기 낙하안내부재와 일체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수직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 이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기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추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낙하시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이동부재에 고정된 랙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랙과 맞물리어 회전하도록 형성된 피니언 기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정.역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 및 낙하안내부재를 수직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추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낙하시험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의 수직이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가이드 부재에 멈춤기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추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낙하시험장치.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안내부재는 중공을 갖는 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추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낙하시험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안내부재는 상기 중공을 갖는 부재의 측벽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수직낙하안내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추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낙하시험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안내부재는 낙하추의 낙하높이를 편리하게 사전 설정할 수 있도록 일정한 높이에 따라 수직낙하안내공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요입 형성된 낙하위치 설정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추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낙하시험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안내부재는 낙하추의 편리한 거치를 위하여 낙하위치 설정홈으로부터 하향으로 요입 형성된 거치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추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낙하시험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홀더는 단말기 고정부재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수직이동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추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낙하시험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고정부재 높이조절기구는 단말기 홀더 단말기 고정부재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삽입된 스크류봉과 상기 단말기 고정부재의 상하 양면에 상기 단말기 고정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추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낙하시험장치.
  11. 제 2항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낙하시험 장치에 사용되는 낙하추로서,
    상기 낙하추는 상기 낙하안내부재의 수직낙하안내공에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낙하추의 몸통부 측면에 안내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낙하시험용 낙하추.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추는 몸통부 일단에 팁을 착탈할 수 있도록 형성된 머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낙하시험용 낙하추.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추는 다양한 무게추를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꼬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낙하시험용 낙하추.
  14. 몸통부와;
    몸통부 일단에 팁을 착탈할 수 있도록 형성된 머리부와;
    다양한 무게추를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꼬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낙하시험용 낙하추.
  15. 삭제
KR1020030031431A 2003-05-17 2003-05-17 낙하추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낙하시험장치 및낙하시험용 낙하추 KR100539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431A KR100539786B1 (ko) 2003-05-17 2003-05-17 낙하추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낙하시험장치 및낙하시험용 낙하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431A KR100539786B1 (ko) 2003-05-17 2003-05-17 낙하추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낙하시험장치 및낙하시험용 낙하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045A KR20040099045A (ko) 2004-11-26
KR100539786B1 true KR100539786B1 (ko) 2006-01-11

Family

ID=37376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1431A KR100539786B1 (ko) 2003-05-17 2003-05-17 낙하추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낙하시험장치 및낙하시험용 낙하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97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3501A1 (ko) * 2009-10-06 2011-04-1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간이방탄테스트기 및 충격자
KR101182333B1 (ko) 2010-12-30 2012-09-2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충격시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102B1 (ko) * 2005-09-01 2007-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정화면의 강도보강용 샤시 프레임이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CN102589834B (zh) * 2012-02-06 2014-09-10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双向可调的试件限位装置
CN108051186B (zh) * 2017-11-15 2019-12-03 江西鸿锦光电有限公司 一种光学镜片抗击打能力测试装置
CN110243566B (zh) * 2019-07-10 2021-05-18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防护组件、跌落测试装置及手机跌落测试装置
KR102544542B1 (ko) * 2021-10-01 2023-06-15 재단법인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충격 시험 지그 장치
CN114572421A (zh) * 2022-03-14 2022-06-03 中国商用飞机有限责任公司 落震试验装置、落震试验系统以及落震试验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3501A1 (ko) * 2009-10-06 2011-04-1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간이방탄테스트기 및 충격자
KR101182333B1 (ko) 2010-12-30 2012-09-2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충격시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045A (ko) 2004-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39429B (zh) 冲击测试装置
CN103162672B (zh) 测量装置
KR100539786B1 (ko) 낙하추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낙하시험장치 및낙하시험용 낙하추
CN107807054B (zh) 多功能抗冲击性能测试装置
US9636793B2 (en) Part fixturing device with adjustable positioning
CN105842088B (zh) 一种垂直冲击试验机
CN209727605U (zh) 一种铅笔硬度测定仪器
CN110006769A (zh) 一种具有稳定结构的材料弹性检测装置
CN112316816A (zh) 一种试管摇匀装置
CN208419823U (zh) 一种齿轮槽底径检具
CN216593169U (zh) 一种模具检测设备
CN104111180A (zh) 一种自动定位振动取样机
CN212512821U (zh) 一种电子元件的尺寸测量装置
CN209802324U (zh) 平面度检测仪
TWI418773B (zh) 衝擊測試裝置
CN113405503A (zh) 一种多功能测量仪
CN210954093U (zh) 自动化测试装置
CN208187434U (zh) 检测器调节装置
CN105091705A (zh) 一种沉头紧固件p值测量装置
CN218729517U (zh) 一种动量守恒碰撞试验器
CN215598347U (zh) 一种可再利用的汽车检具柔性测量平台
CN115993108B (zh) 一种房建工程墙板水平测量装置
CN112630010B (zh) 一种弯曲试验用固定机构
CN111044090A (zh) 一种便于携带的检测设备
CN220525287U (zh) 一种光学镜片条纹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