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8248B1 - Apparatus and method of inputting Korean vowels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of inputting Korean vowe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8248B1
KR100538248B1 KR10-2004-0010821A KR20040010821A KR100538248B1 KR 100538248 B1 KR100538248 B1 KR 100538248B1 KR 20040010821 A KR20040010821 A KR 20040010821A KR 100538248 B1 KR100538248 B1 KR 100538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wel
gesture
region
hangu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08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80966A (en
Inventor
박현철
김선희
고창석
김영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0/796,992 priority Critical patent/US20040186729A1/en
Publication of KR20040080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09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8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8248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한글 모음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한글 모음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각각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한글 모음 코드를 저장하는 제스쳐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제스처를 입력받아, 상기 제스쳐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한글 모음 코드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스쳐 확인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한글 모음을 보다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다.A vowel input device and a method thereof are disclosed. The Hangul vowe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gesture database for storing Hangul vowel codes corresponding to respective gestures input by a user through a touch screen; And a gesture confirmation unit which receives a gesture input by the user from the touch screen, searches the gesture database, and selects and outputs a Hangul vowel code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more easily input the Korean vowel.

Description

한글 모음 입력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inputting Korean vowels}Apparatus and method of inputting Korean vowels}

본 발명은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글 모음을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gul input device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ngul input device and method that can easily input Hangul vowels.

휴대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개인용 컴퓨터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통신단말기를 통해 한글을 입력하는 다수의 방식이 존재한다.There are a number of ways to input Hangul through various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d personal computers.

컴퓨터 등에 주로 사용되는 키보드는 쿼티(QWERTY) 방식의 자판 배열을 가지고 있다. PDA와 같은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입력 수단으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여, 사용자는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을 이용하여 해당 키를 터치(touch)함으로써 문자, 숫자 또는 기호를 입력한다.Keyboards commonly used in computers have a QWERTY keyboard layout.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PDA has a touch screen as an input means, and a user touches a corresponding key on a software keyboar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using a stylus pen to input letters, numbers, or symbols. Enter it.

한글 입력을 위해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소프트웨어 키보드로는 쿼티 방식의 자판 배열을 가지는 소프트웨어 키보드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전체 키보드를 화면에 표시하기에는 화면이 작아 사용자에게 불편을 준다. 따라서 대개는 일부 자판만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특수키를 누르면 나머지 자판을 보여주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나 사용자가 한글 입력을 함에 있어서 여러 번의 키 입력을 해야하는 불편함은 여전히 존재한다.As a software keyboard applied to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Korean input, a software keyboard having a QWERTY keyboard layout is common. However,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because the screen is small to display the entire keyboard on the screen. Therefore, in general, only some keyboards are displayed, and when the user presses a special key, the rest of the keyboards are adopted. However, there is still inconvenience in that the user has to input several keys.

한글 입력을 위해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다른 소프트웨어 키보드로는 천지인 방식의 자판 배열을 가지는 소프트웨어 키보드가 있다. Another software keyboard applied to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inputting a Korean character is a software keyboard having a keyboard layout in a natural manner.

도 1은 천지인 방식 자판 배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천지인(天地人) 방식은 3개의 기본 형태 요소인 "ㆍ"(천), "ㅡ"(지) 및 "ㅣ"(인)을 이용하여 모든 한글 모음을 입력할 수 있으므로, 한정된 수의 키를 둘 수 밖에 없는 휴대전화나 좁은 터치 스크린 상의 화면에 키를 표시해야 하는 PDA와 같은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nti-static keyboard layout. Cheonjiin (天地 人) method can input all Hangul vowels using three basic form elements, "·" (cheon), "ㅡ" (ji) and "ㅣ" (in), so you can enter a limited number of keys. It is useful for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PDAs that need to display keys on mobile phones or narrow touch screens.

그러나, 천지인 방식으로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여러 번의 키 입력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However, even when the Korean vowels are input in the celestial manner, the user may have to make several key inputs.

아래 표1는 천지인 방식에 따라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경우의 키 입력 회수의 예를 나타낸다.Table 1 below shows an example of the number of key inputs when inputting Korean vowels according to the Cheonjiin method.

한글 모음Hangul Vowel 키 조합Key combination 입력 회수Input count l + ㆍl + ㆍ 22 l + ㆍ + ㆍl + ㆍ + ㆍ 33 l + ㆍ + ㆍ + ll + ㆍ + ㆍ + l 44 ㆍ + ㆍ + l + lㆍ + ㆍ + l + l 44 ㆍ+ ㅡ + l + ㆍㆍ + ㅡ + l + ㆍ 44 ㆍ+ ㅡ + l + ㆍ + lㆍ + ㅡ + l + ㆍ + l 55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천지인 방식에 따라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는 많게는 5회의 키 입력을 해야 하고, 복모음의 경우는 대개 4회의 키 입력을 해야 한다.As shown in Table 1, when the Korean vowel is input according to the Cheonjiin method, the user must enter the key five times as many times, and in the case of the double vowel, the user must enter the key four times.

나아가, 도 1에 도시된 천지인 방식 자판의 경우, "ㆍ"(천), "ㅡ"(지) 및 "ㅣ"(인)이 단순히 자판의 상단 또는 하단의 한 행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을 뿐이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어떤 모음을 입력하고자 할 때, 먼저 입력하고자 하는 모음을 "ㆍ"(천), "ㅡ"(지) 및 "ㅣ"(인)의 세 가지 요소로 분리한 후 천지인 방식 자판에 입력해야 할 순서를 판단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anti-corrosive keyboard shown in FIG. 1, "·" (thousand), "-" (ji) and "|" (phosphorus) are simply arranged side by side in a row at the top or bottom of the keyboard. Therefore, when a user wants to enter a vowel, the user first divides the vowel into three elements, "·" (thousand), "ㅡ" (ji), and "ㅣ" (in), and then enters it on the keyboard. You must go through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order to be done.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한글 모음을 보다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모음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orean vowel input device and a method for easily inputting Korean vowels.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한글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각각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한글 모음 코드를 저장하는 제스쳐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제스처를 입력받아, 상기 제스쳐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한글 모음 코드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스쳐 확인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sture database for storing the Hangul vowel code corresponding to each gesture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touch screen; And a gesture confirmation unit which receives a gesture input by the user from the touch screen, searches the gesture database, and selects and outputs a Hangul vowel code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된 사용자가 터치한 영역을 나타내는 터치 영역 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터치한 영역이 모음 영역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터치 영역 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영역 확인부는 사용자가 터치한 영역이 모음 영역으로 확인되면, 상기 터치 영역 신호를 상기 제스쳐 확인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스쳐 확인부는 입력된 상기 터치 영역 신호가 제스쳐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터치 영역 신호가 제스쳐이면 상기 제스쳐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한글 모음 코드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play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touch region confirming unit configured to confirm whether the region touched by the user is a collection region according to a touch region signal indicating an area touched by the user input from the touch screen. When one region is identified as a vowel region, the touch region signal is output to the gesture confirming unit, and the gesture confirming unit checks whether the input touch region signal is a gesture, and if the touch region signal is a gesture, the gesture database. Search and select a Hangul vowel code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is preferably output.

또한, 상기 제스쳐 확인부는 상기 터치 영역 신호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소정의 모음 영역에 선을 긋는 동작에 대응하여 발생된 신호이면, 상기 터치 영역 신호를 제스쳐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esture checking unit may determine the touch area signal as a gesture when the touch area signal is a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an operation of drawing a line in a predetermined vowel area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또한, 상기 모음 영역은 상기 모음 영역의 중심에 한글 모음의 삐침을 나타내는 삐침 영역, 상기 삐침 영역의 위쪽과 아래쪽에 각각 한글 모음의 가로획을 나타내는 제1 가로획 영역과 제2 가로획 영역 및 상기 삐침 영역의 왼쪽과 오른쪽에 각각 한글 모음의 세로획을 나타내는 제1 세로획 영역과 제2 세로획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owel region may include a spiking region representing a vowel of a Hangul vowel at the center of the vowel region, a first horizontal region and a second horizontal stroke region representing a horizontal stroke of a Korean vowel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vowel region,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first vertical stroke region and a second vertical stroke region respectively representing the vertical strokes of the Korean vowels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또한, 상기 제스쳐 확인부는 상기 모음 영역을 구성하는 다수의 영역 중, 선이 그어진 복수개의 영역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제스쳐를 결정하여, 결정된 제스쳐에 대응하는 한글 모음 코드를 상기 제스쳐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esture checking unit may determine a gesture input by a user according to a type of a plurality of regions in which a line is drawn, from among a plurality of regions constituting the vowel region, and display the Hangul vowel cod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gesture in the gesture database. It is desirable to search and select.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한글 입력 방법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스처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한글 모음을 결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결정된 한글 모음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receiving a gesture from a user through a touch screen; determining a Hangul vowel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And (c) outputting the determined Hangul vowels.

또한, 상기 (a)단계는, (a1)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가 터치한 영역이 모음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a2) 사용자가 터치한 영역이 모음 영역으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상기 터치 스크린을 터치한 동작이 제스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tep (a) may include (a1) determining whether the area touched by the user through the touch screen is a collection area; And (a2) if the area touched by the user is determined to be a collection area,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touches the touch screen is a gesture.

또한, 상기 (a2)단계는 사용자의 동작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소정의 모음 영역에 선을 긋는 동작이면, 사용자의 동작을 제스쳐로 판단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tep (a2) is preferably a step of determining the user's operation as a gesture when the user's operation is a line drawing a predetermined vowel area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또한, 상기 모음 영역은 상기 모음 영역의 중심에 한글 모음의 삐침을 나타내는 삐침 영역, 상기 삐침 영역의 위쪽과 아래쪽에 각각 한글 모음의 가로획을 나타내는 제1 가로획 영역과 제2 가로획 영역 및 상기 삐침 영역의 왼쪽과 오른쪽에 각각 한글 모음의 세로획을 나타내는 제1 세로획 영역과 제2 세로획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owel region may include a spiking region representing a vowel of a Hangul vowel at the center of the vowel region, a first horizontal region and a second horizontal stroke region representing a horizontal stroke of a Korean vowel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vowel region,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first vertical stroke region and a second vertical stroke region respectively representing the vertical strokes of the Korean vowels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또한, 상기 (b)단계는 상기 모음 영역을 구성하는 다수의 영역 중, 선이 그어진 복수개의 영역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제스쳐를 결정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tep (b) is a step of determining the gesture input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plurality of areas of the line among the plurality of areas constituting the vowel area.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한글 입력 장치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글 모음 입력을 위한 다수의 키들이 배치된 키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키들은, 한글 모음의 삐침의 입력을 위한 삐침 키; 상기 삐침 키의 위쪽에 한글 모음의 가로획의 입력을 위한 제1 가로획 키; 상기 삐침 키의 아래쪽에 상기 가로획의 입력을 위한 제2 가로획 키; 상기 삐침 키의 왼쪽에 한글 모음의 세로획의 입력을 위한 제1 세로획 키; 및 상기 삐침 키의 오른쪽에 상기 세로획의 입력을 위한 제2 세로획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keyboard on which a plurality of keys for Hangul vowel input are arranged, the plurality of keys comprising: a squeak key for inputting a spool of the Hangul vowel; A first horizontal stroke key for inputting a horizontal stroke of a Hangul vowel above the squeaking key; A second horizontal stroke key for inputting the horizontal stroke below the squeaking key; A first vertical stroke key for inputting a vertical stroke of a Hangul vowel to the left of the squeaking key; And a second vertical stroke key for inputting the vertical stroke on the right side of the squeaking key.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을 위한 자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자판의 왼편에는 자음 입력을 위한 키들이 배열되어 있고, 자판의 오른편에는 모음 입력을 위한 키가 배열된 모음 영역이 있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keyboar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keys for consonant input are arranged on the left side of the keyboard, and a vowel area where keys for inputting a vowel are arranged on the right side of the keyboar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모음 입력을 위한 모음 영역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ecific example of a vowel region for Korean vowel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한글 모음 입력을 위해 종래의 천지인 방식에서 사용하는 3개의 기본 형태 요소, 즉 "ㅣ", "ㆍ" 및 "ㅡ"을 이용한다.For the vowel input of the Hangu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ee basic shape elements used in the conventional Cheonjiin method, namely, "|", "." And "-", are used.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음 영역은 그 중심에 한글 모음의 삐침에 해당하는 "ㆍ"을 나타내는 삐침 영역(2), 삐침 영역의 위쪽과 아래쪽에 각각 한글 모음의 가로획에 해당하는 "ㅡ"을 나타내는 제1 가로획 영역(4)과 제2 가로획 영역(5) 및 삐침 영역의 왼쪽과 오른쪽에 각각 한글 모음의 세로획에 해당하는 "l"을 나타내는 제1 세로획 영역(1)과 제2 세로획 영역(3)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vowel reg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iking region 2 representing "·" corresponding to a spiking of the Hangul vowel at its center, and a ""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stroke of the Hangul vowel above and below the spiking region, respectively. The first horizontal stroke region 4 and the second horizontal stroke region 5 representing "-", and the first vertical stroke region 1 and second representing "l"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stroke of the Hangul vowel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queezed region, respectively. The vertical stroke area 3 is included.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모음 영역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모음 영역과 마찬가지로, 삐침 영역을 중심으로 그 위쪽과 아래쪽에 각각 가로획 영역이 형성되고, 삐침 영역의 왼쪽과 오른쪽에 각각 세로획 영역이 형성된 것은 동일하다.4A and 4B are views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vowel region shown in FIG. 3. Similar to the vowel region shown in FIG. 3, horizontal stroke regions are formed above and below the spiking region, respectively, and vertical stroke regions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piking region, respectively.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모음 영역을 통해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inputting a Korean vowel through a vowel reg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3.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상의 소정 영역에 표시된 한글 모음 영역을 스타일러스 펜(도시되지 않음)과 같은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터치하여 모음을 입력한다. 모음 영역을 터치하는 동작으로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스타일러스 펜으로 해당 키가 표시된 영역을 클릭(click)하는 동작과 모음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영역에 걸쳐 선을 긋는 동작으로 구별한다. 이중, 후자를 제스쳐(gesture)라 한다. As illustrated in FIG. 3, a user inputs a vowel by touching an Hangul vowel area displayed on a predetermined area on a touch screen using an input means such as a stylus pen (not shown). Touching the collection area is divided into operations of clicking on an area on which a corresponding key is displayed with a stylus pen and drawing a line across a plurality of areas constituting the collection area as in the related art. The latter is called a gesture.

터치 스크린의 표면이 매끄러운 평면이라는 점과 지시자로 사용되는 스타일러스 펜의 물리적인 특성에 의해 스타일러스 펜이 터치 스크린 상에서 잘 미끌어진다는 점을 이용하여 제스쳐가 도입된다. Gestures are introduced using the fact that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is smooth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tylus pen used as an indicator make the stylus pen slide well on the touch screen.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원리를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5 will be described the principle of inputting the Hangul vow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제스쳐(또는 제스쳐 + 클릭)에 해당하는 행에 도시된 큰 동그라미는 도 3에 도시된 모음 영역 중, 삐침 영역(2)을 나타낸다. 그리고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도 3에 도시된 모음 영역과 마찬가지로, 삐침 영역(2)의 위, 아래에는 각각 제1 가로획 영역(4)과 제2 가로획 영역(5)이 존재하고, 삐침 영역(2)의 왼쪽과 오른쪽에는 각각 제1 세로획 영역(1)과 제2 세로획 영역(3)이 존재한다. 또한, 선분은 사용자에 의한 제스쳐를 나타내고, 점은 클릭을 나타낸다.The large circle shown in the row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or gesture + click) of FIG. 5 represents the squeezing area 2 of the vowel regions shown in FIG. 3. Although not specifically illustrated, similarly to the vowel region illustrated in FIG. 3, the first horizontal stroke region 4 and the second horizontal stroke region 5 exist above and below the squeezing region 2, respectively.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2), the first vertical stroke region 1 and the second vertical stroke region 3 are present. In addition, a line segment represents a gesture by a user, and a dot represents a click.

대표적인 모음 몇 개의 예를 들어 모음 입력 원리를 설명한다.Here are some examples of vowels to illustrate the principle of vowel input.

먼저, 모음 "ㅏ"를 입력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사용자는 스타일러스 펜으로 제1 세로획 영역(1)과 삐침 영역(2)에 걸쳐 선을 긋는 제스쳐를 행함으로써 모음 "ㅏ"를 입력한다. 이 때, 선을 긋는 방향은 상관없다. 다시 말하면, 제1 세로획 영역(1)에서 삐침 영역(2)으로 선을 긋던지 아니면 삐침 영역(2)에서 제1 세로획 영역(1)으로 선을 긋던지 간에 제1 세로획 영역(1)과 삐침 영역(2)에 걸쳐 선이 그어지면,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는 입력된 제스쳐가 모음 "ㅏ"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모음 "ㅏ"를 입력하기 위하여 종래의 천지인 방식에서는 2번 키 입력을 해야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1회의 제스쳐 동작으로 가능하다.First, the case where the vowel "ㅏ" is input will be described. The user inputs the vowel " k " by performing a gesture of drawing a line across the first vertical stroke region 1 and the squeezing region 2 with a stylus pen. At this time, the direction of drawing a line does not matter. In other words, whether the line is drawn from the first vertical stroke region 1 to the pinching region 2 or the line from the pinching region 2 to the first vertical stroke region 1, the first vertical stroke region 1 and the pinching region If a line is drawn over the area 2, the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at the input gesture represents the vowel "ㅏ".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cheonji method to input the vowel "ㅏ", but the second key input, b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ossible with one gesture operation.

다음으로, 모음 "ㅑ"를 입력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사용자는 스타일러스 펜으로 제1 세로획 영역(1)과 삐침 영역(2)에 걸쳐 선을 긋는 제스쳐 및 삐침 영역(2)을 1회 클릭함으로써 모음 "ㅑ"를 입력한다. 이 때에도 선을 긋는 방향은 어느 방향이든 상관없다. 제스쳐와 클릭 동작을 행하는 순서도 상관없으나, 사람의 필기 습관상 먼저 "ㅑ"를 입력하기 위한 제스쳐를 먼저 행한 후, 삐침을 입력하기 위하여 삐침 영역(2)을 클릭함이 일반적일 것이다.Next, the case where the vowel "ㅑ" is input will be described. The user inputs the vowel “ㅑ” by clicking once with the stylus pen on the first vertical stroke region 1 and the squeezing region 2 by clicking the gesture and the squeezing region 2. At this time, the direction of drawing a line may be in any direction. The order in which the gesture and the click action are performed may be used. However, in a human writing habit, it is common to first perform a gesture for inputting "ㅑ" first, and then click on the pinch area 2 to input the pinch.

단모음 "ㅡ" 또는 "l"의 입력을 위해서 사용자는 2개의 가로획 영역(4,5)중 하나 또는 2개의 세로획 영역(1,3)중 하나를 1회 클릭하면 되고, 제스쳐 동작은 필요 없다.For input of the short vowel "-" or "l", the user only needs to click once on one of the two horizontal stroke areas 4 and 5 or one of the two vertical stroke areas 1 and 3, and no gesture action is required.

모음 "ㅐ"를 입력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사용자는 스타일러스 펜으로 제1 세로획 영역(1)에서부터 삐침 영역(2)을 거쳐 제2 세로획 영역(3)까지 선을 긋는 제스쳐를 수행함으로써 모음 "ㅐ"를 입력한다.In the case of inputting the vowel “ㅐ”, the user performs a vowel “ㅐ” by performing a gesture of drawing a line from the first vertical stroke region 1 to the second vertical stroke region 3 through the squeezing region 2 with the stylus pen. ".

정리하면, 모음 영역을 구성하는 다수의 영역 중, 어떠한 영역에 걸쳐 사용자가 그은 선이 존재하는지에 따라 대응하는 한글 모음이 유일하게 결정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한글 모음에 1대1로 유일하게 대응하는 제스쳐(또는 제스쳐와 클릭의 결합)를 결정할 수 있다.In summary, among the plurality of regions constituting the vowel region, the corresponding Hangul vowel is uniquely determined according to which region the user draws a line. Accordingly, as shown in FIG. 5, a gesture (or a combination of a gesture and a click) uniquely corresponding to each Hangul vowel may be determined.

이와 같이, 사용자는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모음 영역을 클릭하는 동작과 제스쳐를 이용하여 원하는 한글 모음을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다.As such, the user may easily input a desired Korean vowel by using a gesture and a gesture of clicking the vowel area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using a stylus pe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6 is a block diagram of a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11), 터치 영역 확인부(12), 제스쳐 확인부(13), 제스쳐 데이터베이스(14), 선행 모음 처리부(15), 선행 모음 저장부(16) 및 문자 세트 데이터베이스(17)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the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creen 11, a touch area checking unit 12, a gesture checking unit 13, a gesture database 14, a preceding collection processing unit 15, and a preceding collection. Storage 16 and character set database 17;

터치 스크린(11)은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모음 영역을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영역을 나타내는 신호, 예컨대 터치된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신호를 터치 영역 확인부(12)로 출력한다. 클릭 동작이라면 하나의 좌표 신호가 출력될 것이지만 모음 영역에 선을 긋는 제스쳐이면 연속적인 좌표 신호가 출력된다.The touch screen 11 displays the Hangul vowel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transmits a signal indicating the area touched by the user, for example, a coordinate signal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touched area to the touch area checking unit 12. Output A single coordinate signal is output in the click operation, but a continuous coordinate signal is output in the gesture of drawing a line in the vowel area.

터치 영역 확인부(12)는 터치 스크린(11)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신호를 입력받아, 터치된 영역이 모음 영역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모음 영역이 아닌 자음 키 또는 숫자 기타 문자 키가 터치되었다면, 터치 영역 확인부(12)는 해당하는 자음 기타 문자를 터치 스크린(11)으로 출력하도록 문자 세트 데이터베이스(17)를 제어한다. 그리고 터치 영역 확인부(12)는 선행 모음 처리부(15)를 제어하여 선행 모음 저장부(16)에 저장된 선행 모음이 만약 있다면 이를 삭제하도록 한다.The touch area checking unit 12 receives a coordinate signal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area touched by the user from the touch screen 11 and checks whether the touched area is a vowel area. If a consonant key or a number or other character key other than the vowel area is touched, the touch area confirmation unit 12 controls the character set database 17 to output the corresponding consonant or other character to the touch screen 11. The touch area checking unit 12 controls the preceding vowel processing unit 15 to delete the preceding vowels stored in the preceding vowel storage unit 16, if any.

터치 영역 확인부(12)는 터치된 영역이 모음 영역인 것으로 확인되면, 터치 스크린(11)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신호를 제스쳐 확인부(13)로 출력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ouched area is the vowel area, the touch area checker 12 outputs a coordinate signal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area touched by the user from the touch screen 11 to the gesture checker 13.

제스쳐 확인부(13)는 터치 영역 확인부(12)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신호가 제스쳐를 나타내는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입력 신호가 하나의 좌표 신호가 아니라 연속적인 좌표 신호라면 제스쳐 확인부(13)는 입력된 신호가 제스쳐를 나타내는 신호인 것으로 판단한다.The gesture confirmation unit 13 receives a signal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area touched by the user from the touch area confirmation unit 12 and checks whether the input signal is a signal indicating the gesture. If the input signal is not a single coordinate signal but a continuous coordinate signal, the gesture check unit 13 determines that the input signal is a signal indicating a gesture.

제스쳐 확인부(13)는 입력된 신호가 제스쳐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스쳐 데이터베이스(14)를 검색하여 입력된 제스쳐에 대응하는 한글 모음 코드를 읽어 들여 선행 모음 처리부(15)로 출력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 signal is a gesture, the gesture check unit 13 searches the gesture database 14, reads the Hangul vowel code corresponding to the input gesture, and outputs it to the preceding vowel processing unit 15.

예컨대, 제1 세로획 영역(1)에 속하는 좌표로부터 삐침 영역(2)에 속하는 좌표까지 연속적인 좌표 신호가 입력되었다면, 제스쳐 확인부(13)는 제스쳐 데이터베이스(14)를 참조하여 입력된 제스쳐가 모음 "ㅏ"를 나타내는 것임을 확인하여 모음 "ㅏ"를 나타내는 한글 모음 코드를 읽어 들인 후, 선행 모음 처리부(15)로 출력한다. For example, if a continuous coordinate signal is input from a coordinate belonging to the first vertical stroke region 1 to a coordinate belonging to the pinching region 2, the gesture checking unit 13 may refer to the gesture database 14 to collect the input gesture. After confirming that "ㅏ" is indicated, the Korean vowel code indicating vowel "ㅏ" is read, and then output to the preceding vowel processing unit 15.

제스쳐 데이터베이스(14)에는 제스쳐 또는 제스쳐와 클릭의 결합에 해당하는 좌표의 값과 각각에 대응하는 한글 모음 코드가 쌍으로 저장된다. The gesture database 14 stores pairs of values of a coordinate corresponding to a gesture or a combination of a gesture and a click and a Hangul vowel code corresponding to each.

만약, 제스쳐 확인부(13)로 입력된 신호가 제스쳐가 아니라 클릭 동작에 해당하는 신호이면, 클릭 동작에 대응하는 한글 모음 코드를 선행 모음 처리부(15)로 출력한다. If the signal input to the gesture checking unit 13 is not a gesture but a signal corresponding to a click operation, the Hangul vowel code corresponding to the click operation is output to the preceding vowel processing unit 15.

선행 모음 처리부(15)는 복모음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이다. 선행 모음 저장부(16)는 복모음 처리를 위해 현재 입력 문자 직전에 입력된 선행 모음을 저장한다.The preceding vowel processing unit 15 is a device for processing a double vowel. The preceding vowel storage unit 16 stores the preceding vowel input immediately before the current input character for the vowel processing.

선행 모음 처리부(15)는 제스쳐 확인부(13)로부터 한글 모음 코드를 입력받으면, 선행 모음 저장부(16)에 저장된 선행 모음 코드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선행 모음 저장부(16)에 저장된 선행 모음 코드가 있으면, 제스쳐 데이터베이스(14)를 참조하여 선행 모음 코드와 입력된 모음 코드를 합성하여 소정의 복모음 코드를 문자 세트 데이터베이스(17)로 출력한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모음 중 "ㅖ"의 경우, 처음 사용자가 삐침 영역(2)에서 제2 세로획 영역(3)까지 선을 그은 경우, 선행 모음 저장부(16)에는 모음 "ㅓ"에 대응하는 코드가 저장된다. 다시 사용자가 삐침 영역(2)에서 제2 세로획 영역(3)까지 선을 그으면, 선행 모음 처리부(15)는 제스쳐 확인부(13)로부터 "ㅓ"에 대응하는 코드를 입력받아, 선행 모음 저장부(16)에 저장된 "ㅓ"에 대응하는 코드 및 제스쳐 데이터베이스(14)를 참조하여, 복모음 "ㅖ"에 대응하는 코드를 문자 세트 데이터베이스(17)로 출력한다.The preceding vowel processing unit 15 checks whether there is a preceding vowel code stored in the preceding vowel storage unit 16 when receiving the Hangul vowel code from the gesture confirming unit 13. If there is a preceding vowel code stored in the preceding vowel storage unit 16, the vowel code and the inputted vowel code are synthesized by referring to the gesture database 14, and a predetermined double vowel code is output to the character set database 17. For example, in the case of "ㅖ" in the vowel shown in FIG. 5, when the first user draws a line from the squeezing area 2 to the second vertical stroke area 3, the vowel "ㅓ" in the preceding vowel storage unit 16. The corresponding code is stored. When the user draws a line from the squeezing area 2 to the second vertical stroke area 3 again, the preceding vowel processing unit 15 receives a code corresponding to "제" from the gesture confirming unit 13 and the preceding vowel storage unit. With reference to the code and gesture database 14 corresponding to "ㅓ" stored in (16), a code corresponding to the double vowel "ㅖ" is output to the character set database 17.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모음 입력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Hangul vowel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모음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angul vowel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소정의 한글 모음 영역이 표시된 터치 스크린을 사용자가 터치하여 신호를 입력한다(제20 단계).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신호를 출력한다. 클릭 동작이라면 하나의 좌표 신호가 출력될 것이지만 모음 영역에 선을 긋는 제스쳐이면 연속적인 좌표 신호가 출력된다.In operation 20, a user inputs a signal by touching a touch screen on which a predetermined Hangul vowel area is displayed. The touch screen outputs a coordinate signal indicative of the location touched by the user. A single coordinate signal is output in the click operation, but a continuous coordinate signal is output in the gesture of drawing a line in the vowel area.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영역이 모음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제21 단계).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rea touched by the user is the collection area (step 21).

만약, 모음 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의 키가 터치되었다면, 해당하는 자음 기타 문자를 결정하고(제22 단계), 만약 저장된 선행 모음이 존재한다면 삭제한 후(제28 단계) 터치 스크린을 통해 화면에 표시한다(제30 단계).If a key in an area other than the vowel area is touched, the corresponding consonant or other character is determined (step 22), and if the stored preceding vowel exists, it is deleted (step 28) and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the touch screen. (30 step).

그러나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영역이 모음 영역이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신호가 제스쳐를 나타내는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제23 단계). 입력 신호가 하나의 좌표 신호가 아니라 연속적인 좌표 신호라면 입력된 신호가 제스쳐를 나타내는 신호인 것으로 판단한다.However, if the area touched by the user is a vowel area,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ignal input by the user is a signal representing a gesture (step 23). If the input signal is not a single coordinate signal but a continuous coordinate signal,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 signal is a signal representing a gesture.

만약, 입력된 신호가 제스쳐이면, 입력된 제스쳐에 대응하는 한글 모음을 결정한다(제25 단계). 예컨대, 입력 신호가 제1 세로획 영역(1)에 속하는 좌표로부터 삐침 영역(2)에 속하는 좌표까지 연속적인 좌표 신호라면, 입력된 제스쳐가 모음 "ㅏ"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If the input signal is a gesture, a Hangul vowel corresponding to the input gesture is determined (step 25). For example, if the input signal is a continuous coordinate signal from the coordinates belonging to the first vertical stroke region 1 to the coordinates belonging to the pinching region 2,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input gesture represents the vowel “ㅏ”.

그러나, 입력된 신호가 제스쳐가 아니라 클릭 동작에 해당하는 신호이면, 클릭된 영역에 대응하는 한글 모음 코드를 결정한다(제24 단계). However, if the input signal is not a gesture but a signal corresponding to a click operation, a Hangul vowel code corresponding to the clicked region is determined (step 24).

제24 단계 또는 제25 단계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이 나타내는 한글 모음을 결정한 후, 복모음 처리를 위해 입력된 선행 모음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제26 단계). After determining the Hangul vowels indicated by the user's input in step 24 or 25,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preceding vowel input for the vowel processing (step 26).

만약, 선행 모음이 있으면, 선행 모음과 입력된 모음에 따라 소정의 복모음을 합성한다(제27 단계).If there is a preceding vowel, a predetermined vowel vowel is synthesized according to the preceding vowel and the input vowel (step 27).

제27 단계 후,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된 선행 모음을 삭제한다(제28 단계). 이미 복모음 합성에 이용된 것이기 때문에 다음 복모음 처리를 위해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된 선행 모음을 삭제하여 비워둔다.After the twenty-seventh step, the preceding vowel stored in the predetermined memory is deleted (step 28). Since it is already used for compounding the vowels, the preceding vowel stored in the predetermined memory is deleted and left blank for the next vowel processing.

그러나, 저장된 선행 모음이 없다면, 입력된 모음을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한다(제29 단계). 복모음 입력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다음 번에 입력되는 모음이 있을 경우, 복모음 처리를 위해 상기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러나 다음 입력이 자음이거나 기타, 모음이 아닌 기호 또는 숫자 등이면 제28 단계에 의해 저장된 선행 모음은 삭제된다.However, if there is no stored preceding vowel, the input vowel is stored in a predetermined memory (step 29). If there is a next vowel input by the user for double vowel input, the vowel is stored in the predetermined memory for double vowel processing. However, if the next input is a consonant or other, not a vowel symbol or number, the preceding vowel stored by step 28 is deleted.

최종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된 모음 기타 문자는 터치 스크린 상의 소정의 화면을 통해 표시된다(제30 단계).Finally, the vowel other characters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touch screen are displayed through a predetermined screen on the touch screen (step 30).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글 모음 입력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한글 모음 입력 장치는 한글 입력부(81), 자음 조합부(83), 모음 조합부(85) 및 음절 조합부(87)를 포함한다.8 is a block diagram of a Hangul vowel in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the Hangul vowel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gul input unit 81, a consonant combination unit 83, a vowel combination unit 85, and a syllable combination unit 87.

한글 입력부(81)는 한글 입력을 위한 다수의 키들이 표시된 터치 스크린 또는 한글 입력을 위한 다수의 키들을 포함하는 키 패드로 구현가능하다. 한글 입력 부(81)는 도 3, 도 4A 또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에 따른 한글 모음 입력을 위한 키들을 포함한다. The Hangul input unit 81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on which a plurality of keys for Hangul input are displayed or a keypad including a plurality of keys for Hangul input. The Hangul input unit 81 includes keys for inputting a Hangul vow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structure as shown in FIG. 3, 4A, or 4B.

자음 조합부(83)는 모음 조합부(85) 사용자가 입력한 자음을 조합하여 음절 조합부(87)로 출력한다. 모음 조합부(85)는 한글 입력부(81)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모음을 조합하여 음절 조합부(87)로 출력한다. The consonant combination unit 83 combines the consonants input by the user of the vowel combination unit 85 and outputs the consonant combination unit 87. The vowel combination unit 85 combines the vowels input by the user using the Hangul input unit 81 and outputs the vowel combination unit 87.

음절 조합부(87)는 자음 조합부(83)로부터 출력된 자음과 모음 조합부(85)로부터 출력된 모음을 조합하여 한글 음절을 출력한다. The syllable combination unit 87 combines the consonants output from the consonant combination unit 83 and the vowels output from the vowel combination unit 85 to output Hangul syllables.

도 3, 도 4A 또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모음 입력을 위한 키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한글 모음을 입력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천지인 방식 자판의 경우, "ㆍ"(천), "ㅡ"(지) 및 "ㅣ"(인)이 단순히 자판의 상단 또는 하단의 한 행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을 뿐이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어떤 모음을 입력하고자 할 때, 먼저 입력하고자 하는 모음이 "ㆍ"(천), "ㅡ"(지) 및 "ㅣ"(인) 중 어떠한 요소를 구비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 세가지 요소를 어떤 순서로 입력해야할지에 대한 판단 과정을 거쳐야 한다. By using the key structure for inputting the Korean vow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4A or 4B, the user can more easily input the Korean vowel. In the case of the anti-static keyboard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shown in FIG. 1, "·" (cloth), "-" (paper) and "|" (phosphorus) may simply be arranged side by side in a row at the top or bottom of the keyboard. It is only. Therefore, when a user wants to enter a vowel, the vowel that he wants to enter first contains the elements of "·" (thousand), "ㅡ" (ji) and "ㅣ" (person) and the three elements. You have to go through the process of deciding whether to enter in order.

다시 도 3, 도 4A 또는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한글 모음 입력을 위한 키 구조는 한글 모음의 삐침의 입력을 위한 삐침 키, 그 삐침 키의 위쪽에 한글 모음의 가로획의 입력을 위한 제1 가로획 키, 그 삐침 키의 아래쪽에 한글 모음의 가로획의 입력을 위한 제2 가로획 키, 그 삐침 키의 왼쪽에 한글 모음의 세로획의 입력을 위한 제1 세로획 키 및 그 삐침 키의 오른쪽에 한글 모음의 세로획의 입력을 위한 제2 세로획 키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3, 4A or 4B, a key structure for inputting a Korean vow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queak key for inputting a squeak of a Korean vowel, and for inputting a horizontal stroke of a Korean vowel on the squeak key. The first horizontal stroke key, the second horizontal stroke key for inputting the horizontal stroke of the Hangul vowel below the squeak key, the first vertical stroke key for inputting the vertical stroke of the Hangul vowel on the left side of the squeak key, and the Hangul to the right of the squeak key A structure including a second vertical stroke key for inputting a vertical stroke of a vowel.

즉, 본 발명에 따른 한글 모음 입력을 위한 키 구조는 한글 모음의 모양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한글 모음을 보다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구조라 할 수 있다. 예컨대, 한글 모음 "??"를 입력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종래 자판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3개의 모음 키들 중 최우측의 "ㅡ"를 나타내는 키를 먼저 선택한 후 중앙의 "ㆍ"를 나타내는 키를 선택한다. 사용자가 한글 모음 입력을 위한 키 선택 순서에 있어서 주의를 기울일 것을 요한다. That is, the key structure for inputting the Korean vow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ferred to as a structure for allowing a user to input the Korean vowel more conveniently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of the Korean vowel. For example, in the case of inputting the Korean vowel "??", using the conventional keyboard shown in FIG. 1, the user first selects the key representing "-" of the rightmost of three vowel keys, and then selects the center "·". Select the key to indicate. The user needs to pay attention to the order of key selection for Korean vowel input.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한글 모음 입력을 위한 키 구조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 모음 "??"의 모양을 연상하며 먼저 한글 입력부(81)에 마련된 제1 가로획 영역(4)을 선택한 후 제1 가로획 영역(4)의 아래에 있는 삐침 영역(2)을 선택하면 된다. 한글 입력부(81)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에 대한 정보는 모음 조합부(85)로 입력되고, 모음 조합부(85)는 한글 모음 "??"를 조합하여 출력한다. 그 외 다른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경우도 마찬가지 방식에 따라 할 수 있다. However, when using the key structure for inputting the Hangul vow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the user associates the shape of the Hangul vowel “??” to be input, and firstly, the first horizontal stroke area provided in the Hangul input unit 81 ( After selecting 4), the pinching region 2 under the first horizontal stroke region 4 may be selected. Information on the key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Hangul input unit 81 is input to the vowel combining unit 85, and the vowel combining unit 85 combines and outputs the Korean vowel " ?? ". If you want to input other Hangul vowels, you can do the same.

도 6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모음 입력 장치는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11) 표면에 제스쳐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한글 모음을 입력하였다. 그러나 도 8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글 모음 입력 장치는 한글 모음 입력 수단으로 터치 스크린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제스쳐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필수적이지 않다. In the Hangul vowe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the user inputs the Hangul vowel by performing a gesture operation on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11 using a stylus pen. However, the Hangul vowel in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8 is not limited to the touch screen as the Hangul vowel input means, and it is not essential for the user to perform a gesture operation.

한편,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s,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and the like,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t includes being.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글 모음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한글 모음을 보다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한글 모음 입력을 위한 키 구조는 한글 모음의 모양을 고려한 구조로서 사용자가 한글 모음을 보다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Hangul vowel input device and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more easily input the Hangul vowel. In particular, the key structure for inputting the Korean vow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of the Korean vowel, thereby providing an effect that a user can input the Korean vowel more conveniently.

도 1은 종래 천지인 방식 자판 배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keyboard layou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모음 입력을 위한 자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keyboard for inputting a Korean vow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모음 입력을 위한 모음 영역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vowel region for inputting a Korean vow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모음 입력을 위한 모음 영역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4A and 4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vowel region for inputting a Korean vow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모음 영역을 이용하여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inputting a Korean vowel using a vowel reg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모음 입력 장치의 블록도,6 is a block diagram of a Hangul vowel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모음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angul vowel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글 모음 입력 장치의 블록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of a Hangul vowel in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1)

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각각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한글 모음 코드를 저장하는 제스쳐 데이터 베이스; 및A gesture database configured to store a Hangul vowel code corresponding to each gesture input by a user through a touch screen; And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제스처를 입력받아, 상기 제스쳐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한글 모음 코드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스쳐 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모음 입력 장치.And a gesture confirmation unit for receiving a gesture input by the user from the touch screen, searching the gesture database, and selecting and outputting a Hangul vowel code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제1 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된 사용자가 터치한 영역을 나타내는 터치 영역 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터치한 영역이 모음 영역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터치 영역 확인부를 더 포함하고,And a touch area checking unit for checking whether the area touched by the user is a collection area according to a touch area signal indicating an area touched by the user input from the touch screen. 상기 터치 영역 확인부는 사용자가 터치한 영역이 모음 영역으로 확인되면, 상기 터치 영역 신호를 상기 제스쳐 확인부로 출력하고,The touch area confirming unit outputs the touch area signal to the gesture confirming unit when an area touched by a user is identified as a collection area. 상기 제스쳐 확인부는 입력된 상기 터치 영역 신호가 제스쳐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터치 영역 신호가 제스쳐이면 상기 제스쳐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한글 모음 코드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모음 입력 장치.The gesture confirming unit checks whether the input touch area signal is a gesture, and if the touch area signal is a gesture, searches the gesture database and selects and outputs a Korean vowel code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Vowel input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스쳐 확인부는 상기 터치 영역 신호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소정의 모음 영역에 선을 긋는 동작에 대응하여 발생된 신호이면, 상기 터치 영역 신호를 제스쳐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모음 입력 장치.And the gesture checking unit determines the touch area signal as a gesture when the touch area signal is a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an operation of drawing a line on a predetermined vowel area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제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모음 영역은 상기 모음 영역의 중심에 한글 모음의 삐침을 나타내는 삐침 영역, 상기 삐침 영역의 위쪽과 아래쪽에 각각 한글 모음의 가로획을 나타내는 제1 가로획 영역과 제2 가로획 영역 및 상기 삐침 영역의 왼쪽과 오른쪽에 각각 한글 모음의 세로획을 나타내는 제1 세로획 영역과 제2 세로획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모음 입력 장치.The vowel region may include a spiking region representing a vowel of a Hangul vowel at the center of the vowel region, a first horizontal stroke region and a second horizontal stroke region representing a horizontal stroke of a Korean vowel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vowel region, respectively, A Hangul vowel input device comprising a first vertical stroke region and a second vertical stroke region each representing a vertical stroke of the Hangul vowel on the right side. 제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스쳐 확인부는 상기 모음 영역을 구성하는 다수의 영역 중, 선이 그어진 복수개의 영역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제스쳐를 결정하여, 결정된 제스쳐에 대응하는 한글 모음 코드를 상기 제스쳐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모음 입력 장치.The gesture checking unit determines a gesture input by a user according to a type of a plurality of regions in which a line is drawn among a plurality of regions constituting the vowel region, and searches the gesture database for a Korean vowel cod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gesture. Hangul vowel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selecting. 제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스쳐 확인부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스쳐가 상기 제1 세로획 영역에서 상기 삐침 영역까지 그어진 선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ㅏ", 상기 삐침 영역에서 상기 제2 세로획 영역까지 그어진 선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ㅓ",상기 삐침 영역에서 상기 제2 가로획 영역까지 그어진 선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ㅗ" 및 상기 제1 가로획 영역에서 상기 삐침 영역까지 그어진 선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ㅜ"를 나타내는 제스쳐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모음 입력 장치.When the gesture input unit indicates a line drawn from the first vertical stroke region to the peep region, the Korean vowel “ㅏ” and the Korean vowel when the gesture input by the user indicates the line drawn from the peep region to the second vertical stroke region "ㅓ", a gesture representing a Hangul vowel "ㅗ" when representing a line drawn from the peep region to the second horizontal stroke region, and a Hangul vowel "TT" when representing a line drawn from the first horizontal stroke region to the peep region Hangul vowel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o be. 제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스쳐 확인부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스쳐가 상기 제1 세로획 영역에서부터 상기 삐침 영역을 거쳐 상기 제2 세로획 영역까지 그어진 선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ㅐ" 및 상기 제1 가로획 영역에서 상기 제2 세로획 영역까지 그어진 선 또는 상기 제2 가로획 영역에서 상기 제2 세로획 영역까지 그어진 선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ㅢ"를 나타내는 제스쳐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모음 입력 장치.When the gesture input unit indicates a line drawn from the first vertical stroke area to the second vertical stroke area by the user, the Hangul vowel “” and the second vertical stroke area in the first horizontal stroke area may be used. And a line extending from the second horizontal stroke area to the second vertical stroke area is determined to be a gesture representing the Korean vowel “ㅢ”. 제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사용자에 의해 이전에 입력된 한글 모음에 대응하는 한글 모음 코드를 저장하는 선행 모음 저장부; 및A preceding vowel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Korean vowel code corresponding to the Korean vowel previously input by the user; And 상기 제스쳐 확인부로부터 입력된 한글 모음 코드와 상기 선행 모음 저장부에 저장된 선행 모음 코드를 참고하여 복모음 코드를 생성하는 선행 모음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모음 입력 장치.And a preceding vowel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 vowel code by referring to the Korean vowel code inputted from the gesture confirmation unit and the preceding vowel code stored in the preceding vowel storage unit. (a) 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스처를 입력받는 단계;(a) receiving a gesture from a user through a touch screen; (b)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한글 모음을 결정하는 단계; 및determining a Hangul vowel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And (c) 상기 결정된 한글 모음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모음 입력 방법.and (c) outputting the determined Hangul vowel.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step (a) (a1)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가 터치한 영역이 모음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determining whether the area touched by the user through the touch screen is a collection area; And (a2) 사용자가 터치한 영역이 모음 영역으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상기 터치 스크린을 터치한 동작이 제스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모음 입력 방법.(a2)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rea touched by the user is a vowel area,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touches the touch screen is a gesture.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a2)단계는 사용자의 동작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소정의 모음 영역에 선을 긋는 동작이면, 사용자의 동작을 제스쳐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모음 입력 방법.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in the operation (a2), when the user's motion draws a line on a predetermined vowel area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he user's motion is determined as a gesture. 제1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상기 모음 영역은 상기 모음 영역의 중심에 한글 모음의 삐침을 나타내는 삐침 영역, 상기 삐침 영역의 위쪽과 아래쪽에 각각 한글 모음의 가로획을 나타내는 제1 가로획 영역과 제2 가로획 영역 및 상기 삐침 영역의 왼쪽과 오른쪽에 각각 한글 모음의 세로획을 나타내는 제1 세로획 영역과 제2 세로획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모음 입력 방법.The vowel region may include a spiking region representing a vowel of a Hangul vowel at the center of the vowel region, a first horizontal stroke region and a second horizontal stroke region representing a horizontal stroke of a Korean vowel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vowel region, respectively, And a first vertical stroke region and a second vertical stroke region each representing a vertical stroke of the Hangul vowel. 제1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b)단계는 상기 모음 영역을 구성하는 다수의 영역 중, 선이 그어진 복수개의 영역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제스쳐를 결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모음 입력 방법.The step (b) is a Hangul vowel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rmining the gesture input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plurality of areas of the line, constituting the vowel area. 제1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b)단계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스쳐가 상기 제1 세로획 영역에서 상기 삐침 영역까지 그어진 선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ㅏ", 상기 삐침 영역에서 상기 제2 세로획 영역까지 그어진 선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ㅓ",상기 삐침 영역에서 상기 제2 가로획 영역까지 그어진 선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ㅗ" 및 상기 제1 가로획 영역에서 상기 삐침 영역까지 그어진 선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ㅜ"를 나타내는 제스쳐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모음 입력 방법.In the step (b), when the gesture input by the user indicates a line drawn from the first vertical stroke region to the peep region, the Korean vowel “ㅏ” is displayed; and when the gesture input by the user indicates a line drawn from the peep region to the second vertical stroke region, Hangul vowel "ㅓ", in the case of the line drawn from the beveled region to the second horizontal stroke region, in the case of the Hangul vowel "ㅗ" and in the case of the line drawn from the first horizontal stroke region to the beveled region, Hangul vowel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determining that the gesture. 제1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b)단계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스쳐가 상기 제1 세로획 영역에서부터 상기 삐침 영역을 거쳐 상기 제2 세로획 영역까지 그어진 선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ㅐ" 및 상기 제1 가로획 영역에서 상기 제2 세로획 영역까지 그어진 선 또는 상기 제2 가로획 영역에서 상기 제2 세로획 영역까지 그어진 선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ㅢ"를 나타내는 제스쳐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모음 입력 방법.In the step (b), when the gesture input by the user indicates a line drawn from the first vertical stroke region to the second vertical stroke region through the squeezing region, the Hangul vowel “ㅐ” and the second horizontal stroke region in the first horizontal stroke region are used. And a line drawn up to a vertical stroke area or a line drawn up from the second horizontal stroke area to the second vertical stroke area, determining that the gesture represents a Hangul vowel “ㅢ”. 제1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4, (d) 상기 (c)단계에서 결정된 한글 모음 코드와 미리 저장된 선행 모음 코드를 참고하여 복모음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모음 입력 방법.and (d) generating a vowel code by referring to the vowel code determined in step (c) and the pre-stored preceding vowel code. (a) 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스처를 입력받는 단계;(a) receiving a gesture from a user through a touch screen; (b)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한글 모음을 결정하는 단계; 및determining a Hangul vowel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And (c) 상기 결정된 한글 모음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모음 입력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nd (c) outputting the determined Hangul vowel.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realizing the Hangul vowel input method. 한글 모음 입력을 위한 다수의 키들을 포함하는 한글 입력부를 포함하고,A Hangul input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keys for inputting Hangul vowels, 상기 다수의 키들은,The plurality of keys, 한글 모음의 삐침의 입력을 위한 삐침 키;A beep key for inputting a beep of Hangul vowels; 상기 삐침 키의 위쪽에 한글 모음의 가로획의 입력을 위한 제1 가로획 키;A first horizontal stroke key for inputting a horizontal stroke of a Hangul vowel above the squeaking key; 상기 삐침 키의 아래쪽에 상기 가로획의 입력을 위한 제2 가로획 키;A second horizontal stroke key for inputting the horizontal stroke below the squeaking key; 상기 삐침 키의 왼쪽에 한글 모음의 세로획의 입력을 위한 제1 세로획 키; 및A first vertical stroke key for inputting a vertical stroke of a Hangul vowel to the left of the squeaking key; And 상기 삐침 키의 오른쪽에 상기 세로획의 입력을 위한 제2 세로획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모음 입력 장치.And a second vertical stroke key for inputting the vertical stroke on the right side of the squeaking key. 제1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한글 모음 입력을 위한 다수의 키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순서에 따라 상기 제1 세로획 키와 상기 삐침 키가 순차적으로 선택되면 한글 모음 "ㅏ", 상기 삐침 키와 상기 제2 세로획 키가 순차적으로 선택되면 한글 모음 "ㅓ", 상기 삐침 키와 상기 제2 가로획 키가 순차적으로 선택되면 한글 모음 "ㅗ" 및 상기 제1 가로획 키와 상기 삐침 키가 순차적으로 선택되면 한글 모음 "ㅜ"를 출력하는 모음 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모음 입력 장치.When the first vertical stroke key and the squeak key are sequentially selected according to the order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plurality of keys for inputting the Korean vowel, the Korean vowel “ㅏ” and the squeak key and the second vertical key are sequentially selected. If the Hangul vowel "ㅓ", the squeak key and the second horizontal stroke key are selected sequentially If the Hangul vowel "ㅗ" and the first horizontal stroke key and the squeak key are selected in order to output a Hangul vowel "TT" Hangul vowel input device further comprises a combination. 제1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한글 입력부는 하드웨어 키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모음 입력 장치.The Hangul vowel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gul input unit is a hardware keyboard. 제1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한글 입력부는 터치 스크린이고, 상기 한글 모음 입력을 위한 다수의 키들은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소프트웨어 키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모음 입력 장치.The Hangul input unit is a touch screen, Hangul vowel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keys for the Hangul vowel input is a software keyboar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KR10-2004-0010821A 2003-03-11 2004-02-18 Apparatus and method of inputting Korean vowels KR1005382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796,992 US20040186729A1 (en) 2003-03-11 2004-03-11 Apparatus for and method of inputting Korean vowe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15196 2003-03-11
KR1020030015196 2003-03-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0966A KR20040080966A (en) 2004-09-20
KR100538248B1 true KR100538248B1 (en) 2005-12-21

Family

ID=37365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0821A KR100538248B1 (en) 2003-03-11 2004-02-18 Apparatus and method of inputting Korean vowe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824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439B1 (en) * 2005-01-25 2011-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Multimedia device control system based on pattern recognition in touch screen
CN101145085B (en) * 2007-09-28 2011-03-23 广东国笔科技股份有限公司 Digital-key Korean input method
CN103309434B (en) * 2012-03-12 2016-03-30 联想(北京)有限公司 A kind of instruction identification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3425264B (en) * 2013-08-01 2016-08-10 吴礼明 Standard keyboard composite code element triple-key Korean inp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0966A (en) 2004-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5052B1 (en) Screen display key input unit
JP4429898B2 (en) Object input for electronic devices
US8605039B2 (en) Text input
US7681145B1 (en) Dynamic key assignment in key pad
US6741235B1 (en) Rapid entry of data and information on a reduced size input area
US10747334B2 (en) Reduced keyboard disambigua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323281B1 (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200801228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Through Pointing Device
KR20050119112A (en) Unambiguous text input method for touch screens and reduced keyboard systems
US6766179B1 (en) Cross-shape layout of chinese stroke labels with lyric
JP6681518B2 (en) Character input device
CN102866826A (en) Character input method and device
CN101369209B (en) Hand-writt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complete mixing input
KR100651396B1 (en) Alphabet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808774B1 (en) Virtual keyboard strucutre for mobile device,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 using virtual keyboard for mobile device,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a contain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US20040186729A1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inputting Korean vowels
KR100538248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inputting Korean vowels
JP2011186994A (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character input method
JP2003076478A (en) Character input means
JP4659047B2 (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character input method in character input device
JP2010097444A (en) Character input device
KR20140019194A (en) Keypad,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hangul of mobile device
JP4709275B2 (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he same
KR201600692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etters Input of Sliding Type using pattern
KR101228079B1 (en) Algorithm and terminal for inputting charac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