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7774B1 - Installation case for laying mine and laying method of min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nstallation case for laying mine and laying method of min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7774B1
KR100537774B1 KR10-2003-0067662A KR20030067662A KR100537774B1 KR 100537774 B1 KR100537774 B1 KR 100537774B1 KR 20030067662 A KR20030067662 A KR 20030067662A KR 100537774 B1 KR100537774 B1 KR 100537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ne
container body
container
buried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76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31505A (en
Inventor
박승운
박향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승진엠알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승진엠알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승진엠알앤디
Priority to KR10-2003-0067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7774B1/en
Publication of KR20050031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15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7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7774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23/00Land mines ; Land torpedoes
    • F42B23/24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23/00Land mines ; Land torpedoes
    • F42B23/04Land mines ; Land torpedoes anti-vehicle, e.g. anti-aircraft or anti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23/00Land mines ; Land torpedoes
    • F42B23/10Land mines ; Land torpedoes anti-perso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뢰매설용 가설용기 및 이를 이용한 지뢰매설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지뢰매설용 가설용기는 소정형상의 바닥판 및 이 바닥판의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벽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지뢰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지반에 굴착된 지뢰매설구멍에 삽입되는 용기몸체와, 이 용기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그 개구를 차폐해주는 뚜껑과, 용기몸체에 설치되어 용기몸체를 지뢰매설구멍에 고정시켜주는 앵커와, 뚜껑을 용기몸체에 고정시켜주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지뢰매설예정지역에 사전에 지뢰매설구멍을 굴착하여 가설용기를 매설해 놓았다가 동계훈련시 등에 뚜껑을 제거하고 그 내부에 지뢰를 매설한 후 위장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temporary container for landmines buried and landmines buried method using the same. Mine buried temporary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bottom plate of a predetermined shape and a side wall extending upward from the edge of the bottom plate has a space to accommodate mines therein and is inserted into the mine buried hole excavated in the ground A body, a lid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to shield the opening, an anchor installed in the container body to fix the container body to the mine-leash hole, and fixing means for fixing the lid to the container body. . Accordingly, mines are buried in the area where the mines are to be buried, and the temporary containers are buried. After winter training, the lid is removed and the mines are buried inside.

본 발명은 지반이 결빙된 상태에서도 신속한 지뢰설치작업이 가능하여 전투준비태세의 소요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또한 설치작업이 용이하여 지뢰공 설치에 따른 인력소요 및 자재 등을 최소화하고, 회수가 가능하여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time required for the combat readiness posture can be quickly installed in the state that the ground is frozen, and also the installation work is easy to minimize the manpower requirements and materials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of mines, and recovery It is possible to reuse repeatedly.

Description

지뢰매설용 가설용기 및 이를 이용한 지뢰매설방법{Installation case for laying mine and laying method of mine using the same} Construction case for laying mine and laying method of min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야전군(野戰軍)의 방어전투훈련 또는 유사시에 방어지역이나 진지 (陣地)의 전방 또는 주요길목 등에 살상·파괴용 장애물인 지뢰(地雷)를 용이하게 매설하기 위한 것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뢰를 매설할 지역에 사전에 지뢰매설공을 굴착한 후 이 지뢰매설공에 설치할 지뢰를 수용할 수 있는 소정형태의 용기를 묻어둠으로써 특히 동계의 지면결빙 때에도 지뢰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된 지뢰매설용 가설용기 및 이를 이용한 지뢰매설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asily embedding landmines, which are obstacles for killing and destroying, in defense battle training or in front of field forces, or in front of major defensive zones or major roads, in more detail. After excavating the mines in the area where the mines will be buried, buried a container of a certain type to accommodate the mines to be installed in the mines so that the mines can be quickly and easily installed even during the ground freezing in winter. The provisional container for landmines and the landmines buried method using the same.

지뢰는 땅 속에 매설하여 적군의 근접·통과시에 폭발하도록 만든 방어용 무기로서, 소정형태의 몸체 내에 신관·도폭약(導爆藥), 폭약·탄환, 연료 등이 들어 있다. 이러한 지뢰는 방어지역이나 진지의 전방 또는 교통상의 요충지 등 접근로 상에 매설되어 적군이 그 위를 지날 때 폭발됨으로써 적군의 접근을 지체·저지 또는 방해하는데 사용된다.Landmines are defensive weapons that are buried in the ground and explode when the enemy is approaching or passing through them. They contain fuses, explosives, explosives, bullets, and fuel in a certain type of body. These mines are buried on access roads, such as in front of defensive areas or camps, or in traffic hubs, which are exploded when the enemy passes over them, and are used to delay, stop, or hinder enemy access.

지뢰는 사용 목적에 따라 인명살상을 위한 대인용과, 전차나 인원수송차 등의 파괴를 위한 대무기용으로 구분된다. 또한, 폭발시키는 방법에 따라서 촉발식과 전기식 또는 화학반응식으로 분류되는데, 대부분 매설지역을 지나는 전차 또는 사람에 의해 지면에 작용하는 압력으로 폭발하는 촉발식이 사용된다.Land mines a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one for personal killing and one for destroying tanks and personnel carriers.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explosive method, it is classified into a trigger type and an electric or chemical reaction type. In most cases, a trigger type that explodes to a pressure acting on the ground by a tank or a person passing through a buried area is used.

한편, 지뢰는 넓은 의미에서 적군의 접근을 방해하는 장애물이라 할 수 있는데, 철조망이나 호(壕) 등의 다른 장애물이 자체로는 살상·파괴력을 갖지 못하는데 비해, 지뢰는 자체가 지닌 살상·파괴력으로 적의 전진을 지체·저지 또는 방해한다. 따라서 철조망 등의 장애물 설치에서 반드시 필요로 하는 화포나 기관총 등의 추가적인 공격수단이 반드시 요구되지 않는다.Landmines, on the other hand, can be considered as obstacles to the enemy's access in a broad sense. While other obstacles such as barbed wire and arcs do not have their own killing and destructive power, landmines have their own killing and destroying power. Retard, stop or hinder an enemy's advancement. Therefore, additional means of attack such as cannons or machine guns are not required for the installation of obstacles such as barbed wire.

또한, 철조망 등은 항공사진이나 기타 관측수단에 의해 존재가 비교적 쉽게 적에게 발견될 수 있으나, 지뢰는 대부분 그것이 폭발하여 피해를 입은 후에야 발견된다. 물론, 지뢰탐지기나 기타의 정보에 의해 사전에 지뢰매설을 알 수 있지만, 이 경우에도 복잡하고 위험한 지뢰제거작업이 필요할 뿐 아니라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다른 장애물보다 피아의 전투원에게 커다란 상반된 심리적 영향을 주게 된다.In addition, barbed wire, etc. can be found relatively easily by enemies by aerial photographs or other means of observation, but landmines are mostly found only after it has been damaged by an explosion. Of course, minesweeping and other information can be used to inform landmines in advance, but this also requires complicated and dangerous minesweeping operations, which can take considerable time and have greater opposing psychological impact on Pia's combatants than other obstacles. do.

따라서 현대의 지상전에서 지뢰가 차지하는 비중은 대단히 크며, 이에 따라 야전군에서는 유사시를 대비해 지뢰매설 훈련을 병행하고 있다.Therefore, the land mines occupy a very large portion of modern land battles, and thus the field army is carrying out landfill drills in case of emergency.

도1에는 전형적인 지뢰매설구조를 나타내었다. 도시된 지뢰는 예를 들어 대전차지뢰(M1)로서, 땅에 지뢰매설구멍(H)을 적정깊이로 파고 그 속에 지뢰를 넣은 후 노출되지 않도록 그 위를 흙(E)으로 살짝 덮어줌으로써 매설한다.Figure 1 shows a typical mine laying structure. The illustrated mines are, for example, anti-tank mines M1, which are buried by digging mine landfilling holes H in the ground to an appropriate depth, putting mines therein, and covering them with soil E so that they are not exposed.

그런데, 지뢰를 매설함에 있어 비동계시에는 지반굴착이 용이하여 비교적 신속하게 매설할 수 있으나, 동계에는 지반이 일정깊이로 결빙되기 때문에 지반굴착이 상당히 곤란하여 지뢰매설작업이 대단히 어렵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게 된다. 이로 인해 방어준비에 지나치게 많은 시간이 낭비되어 작전상 또는 훈련목적상에 큰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By the way, when laying mines, it is easy to excavate the ground at the time of non-winter season, but it is possible to bury them relatively quickly. However, because the ground is frozen to a certain depth, it is very difficult to excavate the land, so it is very difficult and time-consuming do. This wastes too much time on defense preparation, which can be a major obstacle for operational or training purposes.

실제로, 동계 지면 결빙으로 인하여 1인이 지뢰 1개를 매설하는데 대인지뢰의 경우에는 10∼20분, 대전차지뢰의 경우 30분이상 소요되어 많은 지뢰로 이루어진 지뢰지대를 구축함에 있어 과다한 시간이 소모됨으로써 전투준비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될 수밖에 없는 바, 제한된 시간 내에 매설이 곤란해짐으로써 그 운용효과도 감소될 수밖에 없다. 또한, 결빙지반을 굴착하기 위한 부수장비 또한 과다하게 소요되고, 불균일한 매설위치 및 깊이에 의해 장애물 효과도 저하된다.In fact, due to freezing of winter grounds, one person lays out one mine, which takes 10-20 minutes for anti-personnel mines and more than 30 minutes for anti-tank mines. The preparation time for the battle is inevitably excessive, and the burial is difficult within a limited time, so the operational effect is inevitably reduced. In addition, additional equipment for excavating the freezing ground is also excessively consumed, and the obstacle effect is also reduced by the uneven embedding position and depth.

이에 따라 근래에는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뢰를 매설할 지역에 동결전에 적정크기로 지뢰매설구멍(H)을 파고 그 구멍(H)내에 현장에서 급조한 PET병 등의 용기를 변형한 형태의 용기와 볏짚, 왕겨, 플라스틱 조각 또는 나무토막 등의 충전물(P)을 묻어놓았다가 훈련시에 이를 제거한 후 지뢰를 매설하는 방법으로 지뢰매설시간의 단축을 도모하고 있기도 하다.As a result, in recent years, as shown in FIG. 2, a mine-burying hole H is dug to an appropriate size before freezing in a region where the mine is to be buried, and a container such as a PET bottle urgently fielded in the hole H is modified. It is also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for laying mines by burying the fillings (P) such as containers, rice straw, rice hulls, pieces of plastic or chips, and removing them during training.

그러나 이러한 방법 역시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However, this method also has several problems.

첫째, 방수효과의 제한으로 우기에는 지뢰매설구멍에 넣어둔 볏짚 등의 충전물(P)이 썩어 그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함몰됨으로써 지뢰매설구멍(H)이 메꾸어 질 수 있고, 동계에는 충전물(P)이 토양과 함께 같이 얼어붙어 충전물(P) 제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지뢰매설시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다.First,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waterproof effect, in the rainy season, the filling (P) such as rice straw placed in the landfill hole rots and fails to maintain its shape, so that the landfill hole (H) can be filled, and the filling material (P) in winter. Freezing together with this soil takes a long time to remove the filling (P), so the landfill time will be long.

둘째, 결빙팽창강도에 취약하여 인원이나 차량 등의 하중에 의한 지뢰매설구멍(H)의 파손이 빈번히 발생된다.Second, it is vulnerable to freezing expansion strength, and the damage of the mine buried hole (H) due to the load of personnel or vehicles frequently occurs.

셋째, 매년 동일한 시기에 지뢰매설구멍 설치를 위한 자재확보 등 소요인력, 경비, 시간을 포함한 비효율적인 낭비요소가 반복해서 발생한다.Third, at the same time every year, inefficient waste factors including manpower, expenses, and time, such as securing the materials for the installation of landfill holes, occur repeatedly.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창안된 것으로, 야전 작전지역 내의 지뢰매설 예정지역에 사전에 지뢰매설구멍을 굴착하여 묻어 둔 후 훈련이나 유사시에 그 내부에 지뢰를 수용시킴으로써 특히 동계의 지면결빙 때에도 지뢰의 신속하고 간편한 설치가 가능하여 지뢰매설훈련 또는 유사시 전투준비태세의 소요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지뢰매설용 가설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n particular, by excavating and buried a mine buried hole in a planned area for landmines in a field operation area and accommodating landmines therein during training or emergenc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vide a mine container for the construction of land mines, which can minimize the time required for landfill training or combat readiness in case of landmine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수효과가 우수하여 빗물 등의 침투를 허용하지 않음은 물론 우수 등에 의해 쉽게 훼손 내지는 변형되지 않고 지뢰매설구멍의 형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고, 동계에 지면과 함께 결빙되는 것에 구애됨이 없이 필요시 언제라도 지뢰를 즉시 매설할 수 있는 지뢰매설용 가설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waterproof effect is excellent, does not allow the penetration of rainwater, etc., of course, can easily maintain the shape of the mine buried hole for a long time without being easily damaged or deformed by rain, etc., freezing with the ground in winter It is to provide a temporary container for landmines that can be buried immediately when needed without any particular commitme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행 인원이나 차량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회수 후 재사용이 가능하여 사전 지뢰매설구멍 설치에 필요한 자재 확보의 반복을 배제하면서 소요인력과 경비 및 시간을 포함한 낭비요소를 최소화 해줄 수 있는 지뢰매설용 가설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damage caused by traffic personnel or vehicles, and to be reused after recovery, thus eliminating the repetition of securing the necessary materials for installing the pre-mine buried hole, including waste of manpower, expenses, and time. It is to provide a temporary container for landfilling to minimize the element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술한 지뢰매설용 가설용기를 이용하여 기후여건이나 지반의 상태에 관계없이 지뢰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매설할 수 있는 지뢰매설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laying mines, which can be easily and quickly buried regardless of climatic conditions or ground conditions by using the above-mentioned landfill container for landmines.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뢰매설용 가설용기는, 소정형상의 바닥판과, 이 바닥판의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벽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지뢰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지반에 굴착된 지뢰매설구멍에 삽입되는 용기몸체; 이 용기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그 개구를 차폐해주는 뚜껑; 용기몸체에 설치되어 용기몸체를 지뢰매설구멍에 고정시켜주는 앵커(anchor); 및 뚜껑을 용기몸체에 고정시켜주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Mine buried temporary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the bottom plate of a predetermined shape and the side wall extending upward from the edge of the bottom plate ha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mine therein, the ground Container body is inserted into the mine buried hole excavated in the; A li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to shield the opening; An anchor installed in the container body to fix the container body to the mine-burying hole; And fixing means for fixing the lid to the container body.

이러한 본 발명 지뢰매설용 가설용기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뚜껑의 하면에 그 가장자리를 따라 홈이 형성되고, 이 홈에 용기몸체의 기밀유지를 위한 시일재가 끼워져 완전방수를 도모한다.According to one preferred feature of the temporary container for landmines buri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groove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along the edge thereof, and the sealing material for the airtightness of the container body is fitted in the groove to achieve complete waterproofing.

본 발명 지뢰매설용 가설용기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지뢰매설지역에 사전에 설치한 상기 지뢰매설구멍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수단을 더 구비하여 가설용기가 예컨대 낙엽이나 눈에 덮이더라도 그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ne buried temporary container, further comprising an identification means for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mine buried hole pre-installed in the mine buried area, even if the temporary container is covered with leaves or snow, for example Makes it easy to identify.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가설용기를 이용한 지뢰매설방법은, 지반이 결빙되기 전에 지뢰매설 예정지역의 지반을 굴착하여 소정형태와 크기로 지뢰매설구멍을 형성하는 매설구멍 굴착단계;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용기몸체와 이를 밀폐하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가설용기를 지뢰매설구멍 내에 매설하는 가설용기 매설단계; 지뢰매설구멍에 매설되어 있던 가설용기의 뚜껑을 제거하고 용기몸체의 내부 공간에 지뢰를 수용시켜 설치하는 지뢰 설치단계; 용기몸체 내에 지뢰가 설치된 지뢰매설구멍을 덮어 위장하는 위장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landfill method using a temporary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uried hole excavation step of excavating the ground of the region where the mine will be buried to form a mine buried hole in a predetermined shape and size before the ground is frozen; A temporary container embedding step of embedding a temporary container consisting of a container body having a space therein and a lid for sealing the same in a mine-burying hole; A mine installation step of removing a lid of a temporary container buried in a mine buried hole and accommodating and installing the mine in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body; It includes a camouflage step of camouflage by covering the mine buried hole is installed mines in the container body.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야전군의 지뢰매설 훈련이나 유사시에 미리 설치해놓은 가설용기의 내부에 지뢰를 수용 설치함으로써 특히 동계의 지면결빙 때에도 지뢰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방수효과가 우수하여 빗물 등의 침투를 허용하지 않음은 물론 우수 등에 의해 쉽게 훼손 내지는 변형되지 않고 지뢰매설구멍의 형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어 필요시 언제라도 지뢰를 즉시 매설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the mines in the construction of the landmines of the field army or pre-installed temporary container in case of emergency, can be installed quickly and easily, especially during the ground ice during the winter, as well as excellent waterproof effect rainwater It is not allowed to penetrate the back, and of course, it is not easily damaged or deformed by rainwater, and the shape of the landfill hole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so that mines can be immediately buried at any time.

또한, 통행 인원이나 차량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고, 회수 후 재사용 할 수 있는 바, 사전 지뢰매설구멍 설치에 필요한 자재 확보의 반복을 배제하면서 소요인력과 경비 및 시간을 포함한 낭비요소를 최소화 할 수 있음은 물론 지뢰매설훈련 또는 유사시 전투준비태세의 소요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it is not easily damaged by traffic personnel or vehicles, it can be reused after recovery, minimizing waste factors including required manpower, expense, and time, while eliminating the repetition of securing the materials necessary for installing the pre-mine landfill hole. Of course, it will be possible to minimize the time required for landfill training or combat readiness in case of emergency.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Such specific features and o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3 내지 도8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지뢰매설용 가설용기의 제1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구성은 대전차지뢰용 가설용기(1)로서, 내부에 지뢰수용공간 (13)을 가지고 지뢰매설구멍(H)에 수용되는 용기몸체(10)와, 이 용기몸체(10)의 상부 개구에 결합되어 그 지뢰수용공간(13)을 차폐시키는 뚜껑(20)과, 용기몸체(10)를 지뢰매설구멍(H)내에 고정시켜주는 앵커(30) 및 뚜껑(20)을 용기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켜주는 고정수단(40)으로 구성된다.3 to 8 show a first embodiment of a temporary container for landfil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llustrated configuration is a temporary container for an anti-tank mine (1), having a mine receiving space (13) inside the container body (10) accommodated in the mine buried hole (H), and the upper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10) A lid 20 coupled to shield the mine receiving space 13, and an anchor 30 and a lid 20 for fixing the container body 10 in the mine buried hole H to the container body 10. It consists of a fixing means 40 for fixing detachably.

이러한 가설용기(1)의 형태는 그 내부에 수용할 대전차지뢰(M1)의 외형에 따라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결정되는 것으로써, 도시한 원형에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The shape of this temporary container (1) is determined as a circle or a square according to the appearance of the anti-tank mine (M1) to be accommodated therein, it is not limited to the circle shown.

용기몸체(10)는 예를 들어 원형의 바닥판(11)과, 이 바닥판(11)의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적정높이 연장되는 측벽(12)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지뢰수용공간(13)을 갖는다. 바닥판(11)의 상면에는 대전차지뢰(M1)가 안착되는 안착홈(14)이 형성된다.The container body 10 includes, for example, a circular bottom plate 11 and a side wall 12 extending upwardly appropriately from an edge of the bottom plate 11 to have a mine accommodation space 13 t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 is formed with a seating groove 14 on which the anti-tank mine M1 is seated.

바람직하기로 측벽(12)의 외주 상부에는 복수의 고리(15)가 일정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돌출 형성되는데, 이는 지뢰지대에 매설된 각 지뢰매설군의 여러 가설용기들을 예를 들어 끈(W)으로 묶어 일체적으로 연결하기 위함이다.Preferably,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ide wall 12, a plurality of rings 15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protrude, which is a plurality of hypothetical vessels of each mine buried group buried in the minefield, for example string (W) This is to connect them integrally.

즉, 지뢰매설군은 1개의 대전차지뢰(M1) 주위에 복수의 대인지뢰(M2)를 매설하고 다시 그 주위에 다수의 폭풍지뢰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인 바, 예컨대 지뢰매설장소가 강가나 하천가 또는 계곡의 경사지 등일 경우 우수나 해빙에 의해 유실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들을 끈(W)으로 연결하여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mine buried group, it is common to bury a plurality of anti-mine mines (M2) around one anti-tank mine (M1), and then install a plurality of storm mines around the mines. In the case of the slope, etc., because it may be lost by rain or sea ice, it is to prevent the loss by connecting them with a string (W).

한편, 측벽(12)은 상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점차 증가하는 테이퍼(taper) 형태를 취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여러 개의 용기몸체(10)들을 포개어 적층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관과 운반을 편리하게 함과 동시에 공간점유율을 낮추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the side wall 12 is configured to take the form of a taper (taper) gradually increasing in diameter toward the top. This is to reduce the space occupancy at the same time to facilitate the storage and transport by stacking a plurality of container body (10).

뚜껑(20)은 용기몸체(10)의 개구에 대응하여 원반형으로 구성되고, 상면에는 강도보강을 위한 다수의 비드(bead:21)가 방사상으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기로 뚜껑 (20)의 하면 가장자리부에는 환형의 지지홈(22)이 형성되어, 이 지지홈(22)에 방수를 위한 링형의 시일재(seal材:23)를 돌출되게 갖는다.The lid 20 is formed in a disc shape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a plurality of beads 21 for strength reinforcement are radially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Preferably, an annular support groove 22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20 so that the support groove 22 protrudes a ring seal 23 for waterproofing.

시일재(23)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이 적절한 탄성과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된다.The seal member 23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ppropriate elasticity and flexibility, such as rubber or silicone.

앵커(30)는 지면에 굴착된 지뢰매설구멍(H)내에 매설해 놓은 가설용기(10)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땅에 쉽게 박을 수 있도록 끝이 뾰족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앵커(30)는 가설용기의 크기에 따라 그 수량이 달라질 수 있으며, 대전차지뢰용의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구비될 수 있다.Anchor 30 is to prevent the loss of the temporary container 10 embedded in the mine-burying hole (H) excavated in the ground, the tip is pointed so that it can be easily driven into the ground. The number of such anchors 30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temporary container, two anti-tank mines may be provided as shown.

이러한 앵커(30)는 용기몸체(10)와 분리된 별도 고정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도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이 용기몸체(10)의 바닥판(11)의 하면에 힌지핀(hinge pin:31)으로 조립되는 용기부착식이 바람직하다.Although the anchor 30 may be configured as a separate fixed type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10, as shown in Figure 5, one end of the hinge pi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 of the container body 10) It is preferred that the container is assembled with hinge pin 31.

따라서, 앵커(30)는 바닥판(11)에 대해 절첩 가능하여 비사용시에는 깔끔하게 접어서 보관하다가 사용시에만 펼쳐서 땅에 박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앵커 (30)를 접었을 때, 앵커(30)가 용기몸체(10)의 하부로 돌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바, 용기몸체(10)의 하면에는 앵커(30)를 수용할 수 있는 앵커수용홈(16)이 형성된다.Therefore, the anchor 30 can be folded about the bottom plate 11 so that it can be folded and stored neatly when not in use and can be unfolded and used in the ground. Accordingly, when the anchor 30 is folded, it is preferable that the anchor 30 does not protrude to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0 can accommodate the anchor 30 in the anchor receiving groove. 16 is formed.

고정수단(40)은 용기몸체(10)의 측벽(12) 상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41)와, 뚜껑(20)의 상면 가장자리부에 일정각도 간격으로 배열 고정되어 용기몸체(10)의 플랜지(41)를 탄성적으로 파지해주는 ㄷ자형의 훅클립(hook clip:42)으로 구성된다.Fixing means 40 is a flange 41 protru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side wall 12 of the container body 10,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20 is arranged in a fixed angle interval fixed to the container body ( 10) it is composed of a U-shaped hook clip (hook clip: 42) to elastically grip the flange (41).

훅클립(42)은 그 일단에 고정부(43)를 일체로 가지며, 고정부(43)와의 경계부위에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된 힌지부(44)를 구비하여 회동함으로써 뚜껑 (20)을 용기몸체(10)에 밀착 고정시키거나 고정 해제시키게 된다.The hook clip 42 has a fixing portion 43 integrally at one end thereof, and has a hinge portion 44 formed in a relatively thin thickness at the boundary with the fixing portion 43 to rotate the lid 20. The body 10 will be fixed or released tightly.

바람직하기로는 도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훅클립(42)의 자유단 내면에는 걸림돌기(45)가 형성되고, 용기몸체(10)의 플랜지(41) 하면에는 훅클립(42)의 걸림돌기(45)가 끼워져 걸리는 걸림홈(41a)이 형성되어 훅클립(42)의 보다 안정된 파지를 도모할 수 있다.Preferably, as shown in FIG. 4, a locking protrusion 45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ree end of the hook clip 42, and a hook of the hook clip 42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41 of the container body 10. The engaging groove 41a to which the machine 45 is fitted is formed, and the hook clip 42 can be grasped more stably.

한편, 본 발명의 가설용기는 동계 적설시 등에도 가설용기의 매설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식별수단(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temporary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identification means (50) for easily grasping the embedding position of the temporary container even during winter snowing.

식별수단(50)은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적정길이를 갖는 합성수지재 폴(pole)로 제작하여 뚜껑(20)이나 가설용기의 매설위치 근방의 지상에 꽂아 둘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식별용 폴의 보관이 불편함은 물론 분실의 우려가 높은 바,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20)에 일체적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The identification means 5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pole having a proper length and plugged into the ground near the embedding position of the lid 20 or the temporary container. However, in this case, the storage of the identification pole is inconvenient, and there is a high risk of loss.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lid 20 is preferably integrally formed.

도6 및 도7에서, 식별수단(50)은 뚜껑(20)의 상면에 형성되는 대략 T자형의 장착홈(51)과, 이 장착홈(51)에 일단이 힌지 조립되어 절첩 가능한 식별폴(52)로 구성된다. 식별폴(52)은 대략 V자형의 탄성지지부(53a) 및 이 탄성지지부(53a)의 양단에서 수평으로 연장 절곡되어 장착홈(51)의 힌지구멍(51a)에 끼워지는 힌지부 (53b)로 이루어진 서포트레그(support leg:53)를 고정단에 갖는다.6 and 7, the identification means 50 is an approximately T-shaped mounting groove 5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20, and an identification pole which is hinged to one end of the mounting groove 51 and foldable ( 52). The identification pole 52 is a substantially V-shaped elastic support 53a and a hinge 53b which is bent horizontally at both ends of the elastic support 53a and fitted into the hinge hole 51a of the mounting groove 51. It has a support leg (53) made in the fixed end.

이에 따라 식별폴(52)을 접으면 서포트레그(53)의 탄성지지부(53a)가 장착홈 (51)의 걸림턱(54)에 의해 오므라들면서 장착홈(51)에 수용되게 되고, 식별폴(52)을 세우면 탄성지지부(53a)가 초기상태로 복원되면서 걸림턱(54)에 지지됨으로써 세워진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identification pole 52 is folded, the elastic support portion 53a of the support leg 53 is received by the mounting groove 51 while being retracted by the locking jaw 54 of the mounting groove 51, and the identification pole ( When the 52 is erected, the elastic support 53a is restored to an initial state, and thus the elastic support 53a is supported by the locking step 54 so that the erected state can be stably maintained.

도10 내지 도1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지뢰매설용 가설용기의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10 to 12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temporary container for landfil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 실시예는 대인지뢰용 가설용기(2)로서, 크기와 형태만 다를 뿐 전술한 대전차지뢰용 가설용기(1)와 대동소이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편의상 제1실시예와 대응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여 중복설명은 피하고,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기술한다.This embodiment is an anti-personnel mine temporary container 2, which differs only in size and shape, and has a configuration substantially similar to that of the anti-tank mine temporary container 1 described above. Therefore, for convenience, parts corresponding to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given the same member numbers, and descriptions thereof will not be repeated, and only different parts will be described.

즉, 제2실시예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구성에서, 뚜껑(20)을 용기몸체(10)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60)이 용기몸체(11)의 상단에서 수직상방으로 적절히 연장되어 외주에 나사(61a)를 가지는 돌출부(61)와, 뚜껑(20)의 가장자리에서 수직하방으로 연장되어 돌출부(61)의 나사(61a)와 결합되는 나사(62a)를 내주에 갖는 스커트 (skirt:62)로 이루어진다.That is, in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second embodiment, the fixing means 60 for fixing the lid 20 to the container body 10 is appropriately extended vertically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11 to the outer periphery. A skirt 61 having a protrusion 61 having a screw 61a therein and a screw 62a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edge of the lid 20 and engaged with the screw 61a of the protrusion 61 (skirt: 62) )

그리고 뚜껑(20)의 상면에 그 개폐를 위한 손잡이(24)가 구비되고, 용기몸체 (10)를 지반에 정착시키는 앵커(30)가 1개만 구비되어 있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의 구성과 차이가 있으나, 이는 선택적으로 채택할 수 있는 사항임을 밝혀 둔다.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20 is provided with a handle 24 for opening and closing, and only one anchor 30 for fixing the container body 10 to the ground is provided with a difference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However, it is noted that this is an optional alternative.

또한, 제2실시예에서는 식별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데, 이는 대인지뢰 (M2)의 경우 대전차지뢰(M1)의 주위에 배치되기 때문에 대인지뢰용 가설용기(2)의 위치를 식별하는 별다른 표식이 없더라도 쉽게 찾을 수 있기 때문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대전차지뢰용 가설용기(1)와 마찬가지로 식별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identification means is not provided. Since the anti-personnel mine M2 is disposed around the anti-tank mine M1, a different mark for identifying the position of the anti-personnel mine temporary container 2 is provided. It is because it is easy to find even if it is not, and if necessary, the identification means may be provided similarly to the anti-tank mine temporary container 1.

한편, 도13 내지 도15에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고정수단(70)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13 to 15 schematically show another form of the fixing means 70 in the second embodiment.

이것은 고정수단(70)이, 용기몸체(10)의 상단에서 수직상방으로 연장되어 외주에 복수의 L자형 걸림홈(72)을 갖는 돌출부(71)와, 뚜껑(20)의 가장자리에서 수직하방으로 연장되어 돌출부(71)의 걸림홈(72)에 회전 결합으로 끼워져 걸리는 복수의 걸림탭(tab:74)을 내주에 돌출되게 갖는 스커트(73)로 이루어진다.This means that the fixing means 70 extends vertically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has a plurality of L-shaped locking grooves 72 on its outer circumference and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edge of the lid 20. It is composed of a skirt 73 having a plurality of locking tabs (tab) 74 that extends to be fitted into the locking groove 72 of the protrusion 71 to be protruded in the inner circumference.

걸림홈(72)은 돌출부(71)의 상단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어 걸림탭(74)이 진출입하는 진입부(72a)와, 이 진입부(72a)의 하단부에서 소정방향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걸림탭(74)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72b)로 이루어져 대략 L자형태를 취한다.The locking groove 72 is vertically formed from the upper end of the protrusion 71 so that the locking tab 74 enters and exits and extend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entrance 72a. It consists of a locking part 72b which prevents detachment of the tab 74, and takes an approximately L shape.

바람직하기로, 걸림홈(72)의 걸림부(72b) 상측 내면(72c)과 걸림탭(74)의 상면(74a)은 서로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되, 견고한 고정을 위해 걸림부(72b)의 상측 내면(72c)의 기울기보다 걸림탭(74) 상면(74a)의 기울기가 약간 크게 구성된다.Preferably, the upper inner surface 72c of the locking portion 72b of the locking groove 72 and the upper surface 74a of the locking tab 74 are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but the locking portion 72b of the locking portion 72b is secured. The inclination of the upper surface 74a of the locking tab 74 is slightly larger than the inclination of the upper inner surface 72c.

이러한 구성의 고정수단(70)은 뚜껑(20)의 각 걸림탭(74)들을 용기몸체(10)의 대응하는 걸림홈(72)들의 진입부(72a)에 끼운 뒤 뚜껑(20)을 약간 회전시켜 주면, 걸림탭(74)들이 걸림홈(72)의 걸림부(72b)로 진입하여 서로 다른 기울기로 이루어진 걸림부(72b)의 상측 내면(72c)과 걸림탭(74)의 상면(74a)이 강하게 밀착됨으로써 용기몸체(10)와 뚜껑(20)을 일체적으로 고정시키게 된다.The fastening means 70 of this configuration inserts the respective locking tabs 74 of the lid 20 into the entrance portions 72a of the corresponding locking grooves 72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n rotates the lid 20 slightly. In this case, the locking tabs 74 enter the locking portion 72b of the locking groove 72 and the upper inner surface 72c of the locking portion 72b formed of different inclinations and the upper surface 74a of the locking tab 74.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lid 20 are integrally fixed.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지뢰매설용 가설용기는 작전 환경에 부합되는 재질과 기능을 고려하여 제작하는데, 각 구성요소들은 동계 최저온도(-40℃)에서 원형을 유지하여 변형이나 파손되지 않도록 내식성과 내압축성이 우수한 고강도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 제작된다.The construction of the mine buried temporary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in consideration of materials and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environment, and each component is kept in a circular shape at the lowest temperature in the winter (-40 ° C) to prevent deformation or breakage. It is made of high strength plastic or synthetic resin with excellent compressibility.

예를 들어, 에프알피(Fiberglass Reinforced Plastic;FRP), 내충격 열가소성 수지(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ABS) 또는 고밀도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HDPE) 등의 재질로 제작되며, 바람직하기는 가격면에서 유리한 PE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For example, it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FRP), Impact Resistant Thermoplastic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or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and is preferably a favorable PE material in terms of price. It can be produced as.

다음,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지뢰매설용 가설용기를 이용하여 지뢰를 매설하는 방법을 대전차지뢰용 가설용기(1)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method of embedding a mine by using a mine-burying temporary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n anti-tank mine temporary container 1 as an example.

먼저, 도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동계시에 지뢰를 매설할 지역에 소정형태와 크기로 지뢰매설구멍(H)을 굴착한 후, 도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설용기의 앵커(30)를 용기몸체(10)로부터 하방을 향하도록 펼쳐 지뢰매설구멍(H)의 바닥에 박아줌으로써 용기몸체(10)를 지뢰매설구멍(H)내에 수용 고정시킨다.First, as shown in FIG. 9A, the mine-burying hole H is excavated in a predetermined shape and size in an area where landmines are to be buried at non-winter time, and then the anchor 30 of the temporary container is containerized as shown in FIG. 9B. The container body 10 is received and fixed in the mine-burying hole H by being driven downward from the body 10 to be driven to the bottom of the mine-burying hole H.

그리고 용기몸체(10)의 상부에 뚜껑(20)을 덮고 각 훅클립(42)을 하방으로 회전시켜 훅클립(42)의 자유단이 용기몸체(10)의 플랜지(41)를 파지하도록 한다. 그러면, 뚜껑(20)의 하면 가장자리부에 구비된 시일재(23)가 용기몸체(10)의 플랜지(41) 상면에 강하게 밀착됨으로써 지뢰수용공간(13)이 완전히 밀폐된다.Then, the lid 20 is cover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each hook clip 42 is rotated downward so that the free end of the hook clip 42 grips the flange 41 of the container body 10. Then, the sealing material 23 provided on the lower edge of the lid 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41 of the container body 10, so that the mine receiving space 13 is completely sealed.

이 상태에서, 뚜껑(20)의 상면에 설치된 식별폴(52)을 펼쳐 수직상방으로 세워준다.In this state, the identification pole 52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20 is extended to stand vertically.

이때, 지뢰매설지역의 특성에 따라, 즉 매설지역이 강가나 하천가 등일 경우에는 지뢰매설군의 각 용기몸체(10)의 측벽(12)에 구비된 고리(15)를 하나의 끈(W)으로 연결해준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fill area, that is, when the buried area is a river or river street, etc., the ring 15 provided on the side wall 12 of each container body 10 of the landmine burial group with one string (W). Connect it.

다음, 동계 지뢰매설훈련시 또는 유사시에 가설용기가 매설된 지역으로 신속히 이동하여 도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설용기의 훅클립(42)을 상방으로 회전시켜 고정을 해제한 후, 용기몸체(10)로부터 뚜껑(20)을 분리 제거한다. 이때, 지뢰매설예정지역이 눈(S)으로 덮혀 있더라도 식별폴(52)에 의해 가설용기의 매설지역을 쉽게 찾을 수 있게 된다.Next, during the winter mine laying training or in case of emergency, quickly move to the area where the temporary container is buried, and as shown in FIG. 9C, the hook clip 42 of the temporary container is rotated upward to release the lock, and then the container body 10 Separately remove the lid 20 from). At this time, even if the mine to be buried area is covered with snow (S), it is easy to find the buried area of the temporary container by the identification pole (52).

이어서, 도9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20)이 제거된 용기몸체(10) 내부의 지뢰수용공간(13)에 매설할 대전자지뢰(M1)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용기몸체(10)의 상부가 하부보다 넓기 때문에 대전차지뢰(M1)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9D, the anti-airmine M1 to be embedded in the mine receiving space 13 inside the container body 10 from which the lid 20 is removed is installed. In this case, the container body 10 is installed. Since the upper portion of the wider than the lower portion can be easily installed anti-tank mine (M1).

용기몸체(10)에 내부에 대전차지뢰(M1)를 설치하고 나면, 도9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의 지뢰매설구멍(H) 및 용기몸체(10)의 빈 공간부에 흙을 채워 대전차지뢰(M1)가 노출되지 않도록 적절히 위장해 줌으로써 지뢰설치를 완료한다.After the anti-tank mine M1 is installed inside the container body 10, as shown in FIG. 9E, the mine is filled with soil and the empty space of the container body 10 is filled with dirt. Complete the mine installation by properly disguising M1) from exposure.

이상에서, 대전차지뢰용 가설용기(1)와 대인지뢰용 가설용기(2)의 고정수단 (40)(60)(70)들이 서로 상이한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순한 예시의 목적일 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 고정수단(40)(60)(70)들은 대전차지뢰용 가설용기(1) 또는 대인지뢰용 가설용기(2)에 적절히 선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above,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fixing means 40, 60, 70 of the anti-tank mine temporary container 1 and the anti-personnel mine temporary container 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xample. Not limited, each fixing means 40, 60, 70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for the anti-tank mine temporary container 1 or anti-personnel mine temporary container (2).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뢰매설용 가설용기 및 이를 이용한 지뢰매설방법에 의하면, 야전군의 지뢰매설 훈련이나 유사시에 미리 설치해 놓은 가설용기의 내부에 지뢰를 수용 설치함으로써 특히 동계의 지면결빙 때에도 지뢰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ine-laying construction container and the mine-leashing method using the same, the mines are trained in the field army or installed in the case of emergency in case of land-freezing in winter, especially when the land is frozen. Land mines can be installed quickly and easily.

또한, 방수효과가 우수하여 빗물 등의 침투를 허용하지 않음은 물론 우수 등에 의해 쉽게 훼손 내지는 변형되지 않고, 지뢰매설구멍의 형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어 필요시 언제라도 지뢰를 즉시 매설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excellent in the waterproof effect does not allow the penetration of rainwater, etc., of course, it is not easily damaged or deformed by rain, etc.,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mine buried hole for a long time, so that the mine can be immediately buried at any time.

뿐만 아니라, 내압축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 있어 통행 인원이나 차량 통과에 의해서도 쉽게 파손되지 않고, 회수 후 반영구적으로 재사용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전 지뢰매설구멍 설치에 필요한 자재 확보의 반복을 배제하면서 소요인력과 경비 및 시간을 포함한 낭비요소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t is made of high-strength plastic with excellent compressive strength, so that it is not easily damaged by traffic personnel or vehicles passing through, and can be reused semi-permanently after recovery.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inimize waste factors including manpower, expenses, and time, while eliminating the repetition of securing the materials required for the pre-installation of mine buried holes.

그러므로 본 발명은, 야전군의 지뢰매설훈련 또는 유사시의 전투준비시간을 크게 단축시켜 완벽한 전투준비태세를 기할 수 있게 하면서 전투력을 보강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ery useful effect of reinforcing the combat power while greatly reducing the preparation time for landfill training or in case of field army landfill training.

도1은 일반적인 지뢰매설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general landmine buried state,

도2는 종래 동계 지뢰매설방법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winter mine laying method;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지뢰매설용 가설용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temporary container for mineswee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도3의 결합상태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ing state of FIG.

도5는 도4의 Ⅴ를 따라 취한 저면도,5 is a bottom view taken along line V of FIG. 4;

도6은 본 발명 가설용기의 식별폴 설치상태를 발췌 도시한 평면도,Figure 6 is a plan view showing an extracting pole installation state of the temporary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도6의 Ⅶ-Ⅶ선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VII of FIG. 6;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가설용기가 지면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emporary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the ground;

도9a 내지 도9e는 본 발명에 의한 가설용기를 이용하여 지뢰를 매설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9a to 9e ar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showing a method of embedding a mine using a temporary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지뢰매설용 가설용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temporary container for landmines lay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1은 도10의 결합상태 단면도,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ed state of FIG.

도12는 도11의 ⅩⅡ을 따라 취한 저면도,12 is a bottom view taken along XII in FIG. 11;

도13은 도10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고정수단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Figure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form of the fixing means in the second embodiment of Figure 10,

도14는 도13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발췌 단면도,14 is an excerp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FIG.

도15는 도13에 도시된 고정수단의 작용을 발췌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FIG. 15 is a side view showing the action of the fixing means shown in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 용기몸체 11: 바닥판10: container body 11: bottom plate

12: 측벽 13: 지뢰수용공간12: sidewall 13: mine receiving space

15: 고리 20: 뚜껑15: collar 20: lid

21: 비드 23: 시일재21: Bead 23: Seal material

24: 손잡이 30: 앵커24: handle 30: anchor

31: 힌지핀 40: 고정수단31: hinge pin 40: fixing means

41: 플랜지 41a: 걸림홈41: flange 41a: locking groove

42: 훅클립 45: 걸림돌기42: hook clip 45: engaging projection

50: 식별수단 51: 장착홈50: identification means 51: mounting groove

51a: 힌지구멍 52: 식별폴51a: hinge hole 52: identification pole

53: 서포트레그 53a: 탄성지지부53: support leg 53a: elastic support

53b: 힌지부 54: 걸림턱53b: hinge portion 54: locking jaw

61,71: 돌출부 62,73: 스커트61, 71: projection 62, 73: skirt

61a,62a: 나사 72: 걸림홈61a, 62a: screw 72: locking groove

74: 걸림탭 W: 끈74: Jam tab W: String

H: 지뢰매설구멍 M1: 대전차지뢰H: Land mine hole M1: Anti-tank mine

M2: 대인지뢰M2: antipersonnel mines

Claims (12)

소정형상의 바닥판과, 이 바닥판의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벽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지뢰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지반에 굴착된 지뢰매설구멍에 삽입되는 용기몸체;A container body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of a bottom plate and a side wall extending upwardly from an edge of the bottom plate and hav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landmines therein, the container body being inserted into a mine-burying hole excavated in the ground; 상기 용기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그 개구를 차폐해주는 뚜껑;A li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to shield the opening; 상기 용기몸체에 설치되어 용기몸체를 지뢰매설구멍에 고정시켜주는 앵커; 및An anchor installed in the container body to fix the container body to the mine-burying hole; And 상기 뚜껑을 용기몸체에 고정시켜주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뢰매설용 가설용기.Temporary container for landmine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fixing means for fixing the lid to the container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xing means, 상기 용기몸체의 측벽 상단에 형성되는 플랜지와, 상기 뚜껑의 가장자리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용기몸체의 플랜지를 탄성적으로 파지하는 훅클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뢰매설용 가설용기.And a hook clip hinged to an edge of the lid, the hook clip being configured to elastically grip the flange of the container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하면에 그 가장자리를 따라 홈이 형성되고, 이 홈에 용기몸체의 기밀유지를 위한 시일재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뢰매설용 가설용기.2. The temporary container for mine laying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groove is formed in a lower surface of the lid along an edge thereof, and a sealing material for sealing the container body is fitted in the groov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는, 그 일단이 상기 용기몸체의 하면에 힌지 조립되어 용기몸체에 대해 절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뢰매설용 가설용기.The temporary container for landmine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one end of the anchor is hinged to a low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and foldable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의 측벽에 다수의 용기몸체들을 끈에 의해 일체적으로 묶어주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뢰매설용 가설용기.The hypothesis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ring is provided on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body to integrally bind the plurality of container bodies by a string. 제1항에 있어서, 지뢰매설지역에 사전에 설치한 상기 지뢰매설구멍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뢰매설용 가설용기.2. The temporary container for mine laying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dentification means for identifying the position of said mine laying hole previously installed in said landfill are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수단이, 상기 뚜껑의 상면에 수용홈을 형성하여 그에 수용되며, 일단이 뚜껑에 힌지 조립되어 필요에 따라 절첩되는 식별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뢰매설용 가설용기.7. The temporary container for mine laying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identification means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groov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id, and has an identification pole which is hinged to the lid and folded as necessar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 뚜껑, 앵커 등의 구성요소들이 고강도의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뢰매설용 가설용기.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ainer body, lid, anchor, etc., the components of the mine buried temporary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high-strength plastic or synthetic res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의 측벽이 상단 개구로 갈수록 확장되는 테이퍼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뢰매설용 가설용기.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body is a temporary container for landfill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tapered form that extends toward the top ope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xing means, 상기 용기몸체의 측벽 상단에서 수직상방으로 연장되며 외주에 나사를 갖는 환형의 돌출부와, 상기 뚜껑의 가장자리에서 수직하방으로 연장되며 내주에 상기 돌출부의 나사와 결합되는 나사를 갖는 스커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뢰매설용 가설용기.An annular protrus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an upper end of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body and having a screw on the outer circumference, and a skirt having a screw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edge of the lid and engaged with the screw of the protrusion on the inner circumference thereof. Temporary container for mine lay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xing means, 상기 용기몸체의 측벽 상단에서 수직상방으로 연장되며 외주에 복수의 L자형 걸림홈을 갖는 돌출부와, 상기 뚜껑의 가장자리에서 수직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돌출부의 걸림홈에 회전 결합으로 조립되는 복수의 걸림탭을 내주에 갖는 스커트로 이루어지되,A plurality of locking tabs extending vertically from an upper end of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L-shaped locking grooves on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an edge of the lid, and assembled by rotational coupling to the locking grooves of the protrusions; Consisting of a skirt with 상기 걸림홈의 상측 내면과 걸림탭의 상면이 회전체결시 압압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기울기로 경사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뢰매설용 가설용기.A mine vessel laying construction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groov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tab is inclined at different inclination so as to be pressed during the rotation fastening. 지반이 결빙되기 전에 지뢰매설 예정지역의 지반을 굴착하여 소정형태와 크기로 지뢰매설구멍을 형성하는 매설구멍 굴착단계;A buried hole excavation step of digging the ground in the region where the mine is to be buried and forming a mine buried hole in a predetermined shape and size before the ground is frozen;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용기몸체와 이를 밀폐하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가설용기를 상기 지뢰매설구멍 내에 매설하는 가설용기 매설단계;A temporary container embedding step of embedding a temporary container comprising a container body having a space therein and a lid sealing the same, in the mine-burying hole; 지뢰매설구멍에 매설되어 있던 상기 가설용기의 뚜껑을 제거하고 용기몸체의 내부 공간에 지뢰를 수용시켜 설치하는 지뢰 설치단계;A mine installation step of removing the lid of the temporary container buried in the mine buried hole and accommodating and installing the mine in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body; 상기 용기몸체 내에 지뢰가 설치된 지뢰매설구멍을 덮어 위장하는 위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뢰매설방법.A camouflage method comprising a; camouflage step of camouflaging the landfill hole is installed land mines in the container body.
KR10-2003-0067662A 2003-09-30 2003-09-30 Installation case for laying mine and laying method of mine using the same KR1005377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662A KR100537774B1 (en) 2003-09-30 2003-09-30 Installation case for laying mine and laying method of min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662A KR100537774B1 (en) 2003-09-30 2003-09-30 Installation case for laying mine and laying method of min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505A KR20050031505A (en) 2005-04-06
KR100537774B1 true KR100537774B1 (en) 2005-12-19

Family

ID=37236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7662A KR100537774B1 (en) 2003-09-30 2003-09-30 Installation case for laying mine and laying method of min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777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222B1 (en) * 2013-05-23 2015-01-07 대한민국(육군참모총장) Installation case for laying a mine and installation method using it in winter
RU217614U1 (en) * 2022-10-12 2023-04-07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от имени которой выступает Министерство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Transport and launch container mine lay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222B1 (en) * 2013-05-23 2015-01-07 대한민국(육군참모총장) Installation case for laying a mine and installation method using it in winter
RU217614U1 (en) * 2022-10-12 2023-04-07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от имени которой выступает Министерство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Transport and launch container mine l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505A (en) 200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alali et al. The other side of the mountain: Mujahideen tactics in the Soviet-Afghan war
Jalali et al. Afghan Guerrilla Warfare: In the Words of the Mjuahideen Fighters
Wright The Battle for Iwo Jima 1945
KR100537774B1 (en) Installation case for laying mine and laying method of mine using the same
Rottman German field fortifications 1939–45
KR200348761Y1 (en) Installation case for laying mine
Rottman Japanese Pacific Island Defenses 1941–45
Youngblood The development of mine warfare: a most murderous and barbarous conduct
CN206376607U (en) A kind of explosion-protection equipment of fast erecting
Banks et al. Beyond recall: searching for the remains of a British secret weapon of World War I
Foster Vietnam Firebases 1965-73: American and Australian Forces
Wright Pacific Victory: Tarawa to Okinawa 1943-1945
KR102108135B1 (en) A filling up type blasting kit for military disapproval facilities of road and tunnel
Rottman The Marshall Islands 1944: Operation Flintlock, the Capture of Kwajalein and Eniwetok
Williams Hitler's Atlantic Wall: Normandy
Rottman Vietnam War Booby Traps
Plowman Monte Cassino: Amoured Forces in the Battle for the Gustav Line
Zaloga US Tank and Tank Destroyer Battalions in the ETO 1944–45
Rottman World War II Axis Booby Traps and Sabotage Tactics
Grau et al. The Red Army Guerrilla Warfare Pocket Manual, 1943
Zaloga Anzio 1944: The beleaguered beachhead
Hammel Iwo Jima
Baxter Operation Bagration: The Soviet Destruction of German Army Group Center, 1944
GB2272046A (en) Explosive mines
Berhow et al. American Defenses of Corregidor and Manila Bay 1898–1945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