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3010B1 -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3010B1
KR100533010B1 KR10-2003-0092709A KR20030092709A KR100533010B1 KR 100533010 B1 KR100533010 B1 KR 100533010B1 KR 20030092709 A KR20030092709 A KR 20030092709A KR 100533010 B1 KR100533010 B1 KR 100533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ke
current
command value
magnitude ratio
inflection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2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0967A (ko
Inventor
유재유
이철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2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3010B1/ko
Priority to US10/944,828 priority patent/US7456592B2/en
Priority to JP2004304397A priority patent/JP4842532B2/ja
Priority to DE102004051320A priority patent/DE102004051320B4/de
Priority to CNB200410085976XA priority patent/CN100366903C/zh
Priority to BR0404640-4A priority patent/BRPI0404640A/pt
Publication of KR20050060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0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3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30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12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varying the length of stroke of the wor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1/00Testing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3/00Motor parameters
    • F04B2203/04Motor parameters of linear electric motors
    • F04B2203/0401Curr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3/00Motor parameters
    • F04B2203/04Motor parameters of linear electric motors
    • F04B2203/0402Vol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7/00External parameters
    • F04B2207/04Settings
    • F04B2207/046Settings of length of piston stro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모터 상수 편차,모터 전압 및 모터 전류 검출 편차,피스톤의 초기 위치 편차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스트로크 편차를, 스트로크를 전류로 나눈값(스트로크/전류 크기비)의 변곡점에서 발생하는 스트로크를 기준으로 보정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스트로크를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왕복동식 압축기에 있어서, 압축기에 인가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와; 압축기에 인가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와; 상기 전류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전류와 상기 전압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의해, 압축기의 스트로크를 추정하는 스트로크 추정부와; 상기 스트로크 추정부에서 출력되는 스트로크 추정치를 상기 전류검출부의 전류로 나누어, 그에 따른 스트로크/전류 크기비를 연산하는 스트로크/전류 크기비 연산부와; 상기 스트로크/전류 크기비 연산부에서 출력되는 스트로크/전류 크기비를 이전 스트로크/전류 크기비들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스트로크/전류 크기비의 변곡점을 검출하는 스트로크/전류 크기비 변곡점 검출부와; 상기 스트로크/전류 크기비 변곡점 검출신호가 발생하는 시점의 스트로크 지령치를 'TDC=O'인 최종 스트로크 지령치로 결정하는 스트로크 지령치결정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DRIV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RECIPROCATING COMPRESSOR}
본 발명은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터 상수 편차,모터 전압 및 모터 전류 검출 편차,피스톤의 초기 위치 편차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스트로크 편차를 가스 스프링 상수값의 변곡점에서 발생하는 스트로크를 기준으로 보정하도록 한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왕복동식 압축기(Reciprocating Compressor)는 피스톤이 실린더의 내부에서 선형으로 왕복운동을 하면서 냉매가스를 흡입 압축하여 토출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스톤을 구동하는 방식에 따라 레시프로(Recipro) 방식과 리니어(Linear)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레시프로(Recipro) 방식은 회전모터에 크랭크 샤프트를 결합하고 이 크랭크 샤프트에 피스톤을 결합하여 회전모터의 회전력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방식인데 반하여, 리니어(Linear) 방식은 직선모터의 가동자에 피스톤을 직접 연결하여 모터의 직선운동으로 피스톤을 왕복운동시키는 방식이다.
본 발명은 리니어(Linear) 방식을 적용한 왕복동식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리니어(Linear) 방식의 왕복동식 압축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 샤프트(Crankshaft)가 없어 마찰 손실이 적으므로, 압축 효율면에서 일반 압축기 보다 압축 효율이 높다.
상기 왕복동식 압축기가 냉장고나 에어컨에 사용될 경우에, 상기 왕복동식 압축기에 입력되는 전압(Voltage)을 가변 시킴에 따라 상기 왕복동식 압축기의 압축 비(compression ratio)를 가변 할 수 있어 냉력(Freezing Capacity)을 제어할 수 있다.
도1은 종래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에 대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4)와;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3)와; 상기 검출된 모터 전류와 모터 전압 및 모터 파라미터에 의해, 스트로크를 추정하는 스트로크 추정기(5)와; 상기 스트로크 추정치와 스트로크 지령치를 비교하여 그에 따른 차이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1)와; 상기 차이신호에 따라,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을 가변하여 스트로크를 제어하는 제어기(2)로 구성되며, 이와같은 종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전류검출부(4)는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전류를 검출하고, 전압검출부 (3)는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전압을 검출한다.
이때, 스트로크 추정기(5)는, 상기 모터전류와 모터전압 및 모터 파라미터를 하기의 수학식에 적용하여 스트로크추정치를 연산한후, 그 스트로크 추정치를 비교기(1)에 인가한다.
[수학식]
여기서, R:레지스턴스
L:인덕턴스
α:모터상수
이에 따라, 상기 비교기(1)는 상기 스토로크 추정치와 상기 스트로크 지령치를 비교하여 그에 따른 차이신호를 제어기(2)에 인가하고, 이에 의해 상기 제어기(2)는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을 가변하여 스트로크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기(2)는, 도2에서 보는 바와같이, 스트로크 추정치가 스트로크 지령치보다 크면 모터 인가전압을 감소시키고, 스트로크 추정치가 스트로크 지령치보다 작으면 모터 인가전압을 증가시킨다.
이때, 상술한 왕복동식 압축기는, 모터상수(α), 레지스턴스(R).인덕턴스(L)를 이용하여 스트로크를 추정하여 스트로크 제어를 수행하는데, 모터 상수의 편차 및 비선형성으로 인하여 추정된 스트로크에 오차가 크게 포함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모터 상수 편차,모터 전압 및 모터 전류 검출 편차,피스톤의 초기 위치 편차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스트로크 편차를, 스트로크를 전류로 나눈값(스트로크/전류 크기비)의 변곡점에서 발생하는 스트로크를 기준으로 보정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스트로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모터 상수 편차,모터 전압 및 모터 전류 검출 편차,피스톤의 초기 위치 편차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스트로크 편차를, 전류를 스트로크로 나눈값(전류/스트로크 크기비)의 변곡점에서 발생하는 스트로크를 기준으로 보정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스트로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왕복동식 압축기에 있어서, 압축기에 인가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와; 압축기에 인가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와; 상기 전류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전류와 상기 전압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의해, 압축기의 스트로크를 추정하는 스트로크 추정부와; 상기 스트로크 추정부에서 출력되는 스트로크 추정치를 상기 전류검출부의 전류로 나누어, 그에 따른 스트로크/전류 크기비를 연산하는 스트로크/전류 크기비 연산부와; 상기 스트로크/전류 크기비 연산부에서 출력되는 스트로크/전류 크기비를 이전 스트로크/전류 크기비들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스트로크/전류 크기비의 변곡점을 검출하는 스트로크/전류 크기비 변곡점 검출부와; 상기 스트로크/전류 크기비 변곡점 검출신호가 발생하는 시점의 스트로크 지령치를 'TDC=O'인 최종 스트로크 지령치로 결정하는 스트로크 지령치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왕복동식 압축기에 있어서, 압축기에 인가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와; 압축기에 인가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와; 상기 전류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전류와 상기 전압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의해, 압축기의 스트로크를 추정하는 스트로크 추정부와; 상기 전류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상기 스트로크 추정부에서 출력되는 스트로크 추정치로 나누어, 그에 따른 전류/스트로크 크기비를 연산하는 전류/스트로크 크기비 연산부와; 상기 전류/스트로크 크기비 연산부에서 출력되는 전류/스트로크 크기비를 이전 전류/스트로크 크기비들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전류/스트로크 크기비의 변곡점을 검출하는 전류/스트로크 크기비 변곡점 검출부와; 상기 전류/스트로크 크기비 변곡점 검출신호가 발생하는 시점의 스트로크 지령치를 'TDC=O'인 최종 스트로크 지령치로 결정하는 스트로크 지령치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방법에 있어서, 현재 구동되는 모터의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고, 그 모터전압과 모터전류를 이용하여 스트로크를 추정하는 과정과; 상기 스트로크 추정치를, 모터전류로 나누어 스트로크/전류 크기비를 연산한 다음, 그 스트로크/전류 크기비들의 변곡점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스트로크/전류 크기비의 변곡점이 발생하지 않으면 스트로크 지령치를 증가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 수행하고, 스트로크/전류 크기비의 변곡점이 발생하면, 그 스트로크/전류 크기비에서의 스트로크 지령치를 최종 스트로크 지령치로 결정하는 과정으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방법에 있어서, 현재 구동되는 모터의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고, 그 모터전압과 모터전류를 이용하여 스트로크를 추정하는 과정과; 상기 모터전류를, 스트로크 추정치로 나누어 전류/스트로크 크기비를 연산한 다음, 그 전류/스트로크 크기비들의 변곡점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전류/스트로크 크기비의 변곡점이 발생하지 않으면 스트로크 지령치를 증가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 수행하고, 전류/스트로크 크기비의 변곡점이 발생하면, 그 전류/스트로크 크기비에서의 스트로크 지령치를 최종 스트로크 지령치로 결정하는 과정으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에 대한 작용과 효과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은 도6과 같이,스트로크/전류 크기비의 변곡점이 발생하는 지점이 TDC=0인 스트로크인 것에 착안하였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10과 같이, 전류/스트로크 크기비의 변곡점이 발생하는 지점이 TDC=0인 스트로크인 것에 착안하였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도3은 본 발명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에 대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3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압축기(L.comp)에 인가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10)와; 압축기(L.comp)에 인가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 (20)와; 상기 전류검출부(10)에서 출력되는 전류와 상기 전압검출부(20)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의해, 압축기(L.comp)의 스트로크를 추정하는 스트로크 추정부(30)와; 상기 스트로크 추정부(30)에서 출력되는 스트로크추정치를, 상기 전류검출부(10)의 전류로 나누어 그에 따른 스트로크/전류 크기비를 연산하는 스트로크/전류 크기비연산부 (40)와; 상기 스트로크/전류 크기비 연산부(40)에서 출력되는 스트로크/전류 크기비를 이전 스트로크/전류 크기비들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스트로크/전류 크기비를 검출하는 스트로크/전류 크기비 변곡점 검출부(50)와; 상기 스트로크/전류 크기비 변곡점 검출신호가 발생하는 시점의 스트로크 지령치를 'TDC=O'인 최종 스트로크 지령치로 결정하는 스트로크 지령치결정부(60)와; 상기 스트로크 추정부(30)에서 출력되는 스트로크 추정치와 스트로크 지령치를 비교하여 그에 따른 차이값을 출력하는 비교기(70)와; 상기 비교기(70)에서 출력되는 차이값에 따라 압축기(L.comp)에 인가되는 전압을 가변하여 스트로크를 제어하는 제어기(80)로 구성한다.
도7은 본 발명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방법에 대한 실시예의 동작흐름도이다.
도7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피스톤의 행정거리인 스트로크 보정치를 설정하는 과정(SP10)과; 현재 구동되는 모터의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고, 그 모터전압과 모터전류를 이용하여 스트로크를 추정하는 과정(SP11,SP12)과; 상기 스트로크 추정치를, 모터전류로 나누어 그에 따른 스트로크/전류 크기비를 연산한 다음, 그 스트로크/전류 크기비들의 변곡점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과정(SP13,SP14)과; 상기 판단결과, 스트로크/전류 크기비의 변곡점이 발생하지 않으면 스트로크 지령치를 증가하고,그 스트로크 지령치와 스트로크 추정치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모터인가 전압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과정(SP15~SP18)과; 상기 판단결과, 스트로크/전류 크기비의 변곡점이 발생하면, 스트로크 보정치가 '0'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SP19)과; 상기 판단결과, 스트로크 보정치가 '0'가 일치하면, 스트로크/전류 크기비에서의 스트로크 지령치를 최종 스트로크 지령치로 결정하고, 스트로크 지령치가 '0'과 일치하지 않으면, 현재 스트로크 지령치에서 스트로크 보정치를 감산하여 최종 스트로크 지령치를 결정하는 과정(SP20,SP21)으로 이루어지며, 이와같은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TDC는 피스톤이 토출밸브측 상사점에 위치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피스톤이 하사점에 위치하는 지점까지의 거리로 정의한다.
우선, 전류검출부(10)는 압축기(L.comp)에 인가되는 전류를 검출하고, 전압검출부 (20)는 압축기(L.comp)에 인가되는 전압을 검출한다.
이때, 스트로크 추정부(30)는 상기 전류검출부(10)에서 출력되는 전류와 상기 전압검출부(20)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의해, 압축기(L.comp)의 스트로크를 추정하고, 비교기(70)는 스트로크 지령치와 상기 스트로크 추정부(30)에서 출력되는 스트로크 추정치를 비교하여 그에 따른 차이값을 제어기(80)에 인가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어기(80)는 차이값에 따라 압축기(L.comp)에 인가되는 전압을 가변하여 스트로크를 제어한다.
한편,스트로크/전류 크기비 연산부(40)는, 상기 스트로크 추정부(30)에서 출력되는 스트로크추정치를, 상기 전류검출부(10)의 전류로 나누어 그에 따른 스트로크/전류 크기비를 구하여 스트로크/전류 크기비 변곡점 검출부(50)에 인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트로크/전류 크기비 변곡점 검출부(50)는 상기 스트로크/전류 크기비 연산부(40)에서 출력되는 스트로크/전류 크기비를 이전 스트로크/전류 크기비들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스트로크/전류 크기비 변곡점을 검출하는데, 즉 스트로크/전류 크기비값들이, 도5와 같이 상승구간에서 하강구간으로 변화하거나, 도4와 같이 하강구간에서 상승구간으로 변화할때, 그 변화지점의 스트로크/전류 크기비를 변곡점으로 검출한다.
이후, 스트로크지령치결정부(60)는 상기 스트로크/전류 크기비 변곡점 검출신호가 발생하는 시점의 스트로크 지령치를 'TDC=O'인 스트로크 지령치를 결정하고, 그 스트로크 지령치에서,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스트로크 보정치를 감산한 값을 최종 스트로크 지령치로 결정하여 상기 비교기(70)에 인가한다.
보다 상세하게,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우선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피스톤의 행정거리인 스트로크 보정치를 설정한다(SP10).
여기서, 상기 스트로크 보정치는, 사용가가 원하는 피스톤의 이동거리, 즉 TDC로서, TDC=0을 기준으로 감산되는 값인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트로크 보정치를 '0.5mm'를 설정하면, 이상적인 경우의 TDC=0인 스트로크 지령치 20mm에서 0.5mm를 감산한 15.5mm의 스트로크 지령치를 발생한다.
그 다음. 현재 구동되는 모터의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고(SP11), 그 모터전압과 모터전류를 이용하여 스트로크를 추정한다(SP12).
그 다음, 상기 스트로크 추정치를 모터전류로 나누어 그에 따른 스트로크/전류 크기비를 연산한 다음(SP13), 그 스트로크/전류 크기비의 변곡점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데(SP14), 즉, 스트로크/전류 크기비값들이 상승구간에서 하강구간으로 변화하거나 또는 하강구간에서 상승구간으로 변화할때, 그 변화지점의 스트로크/전류 크기비를 변곡점으로 검출한다.
상기 판단결과(SP14), 스트로크/전류 크기비의 변곡점이 발생하지 않으면 스트로크 지령치를 증가하고(SP15), 그 스트로크 지령치와 스트로크 추정치를 비교하여(SP16), 그 비교결과에 따라 모터 인가 전압을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SP17 ,SP18).
한편 상기 판단결과(SP14), 스트로크/전류 크기비의 변곡점이 발생하면, 기설정된 스트로크 보정치가 '0'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P19).
상기 판단결과(SP19), 스트로크 보정치가 '0'가 일치하면, 스트로크/전류 크기비에서의 스트로크 지령치를 최종 스트로크 지령치로 결정하고(SP21), 스트로크 지령치가 '0'과 일치하지 않으면, 현재 스트로크 지령치에서 스트로크 보정치를 감산하여 최종 스트로크 지령치를 결정한다(SP21).
여기서,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에 대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방법에 대한 동작흐름도로서, 상기 도3과 도7에서와 같이 스트로크를 전류로 나눈 스트로크/전류 크기비의 변곡점으로 TDC=0인 스트로크를 검출하는 것이 아니라, 전류를 스트로크로 나눈 전류/스트로크 크기비의 변곡점으로 TDC=0인 스트로크를 검출하는 것인데, 도10에서 보는 바와같이, 전류/스트로크 크기비의 변곡점에서 TDC=0인 스트로크가 검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행해진 구체적인 실시 양태 또는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구체적 실시예에 한정해서 협의로 해석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정신과 다음에 기재된 특허 청구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경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모터 상수 편차,모터 전압 및 모터 전류 검출 편차,피스톤의 초기 위치 편차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스트로크 편차를, 스트로크를 전류로 나눈값(스트로크/전류 크기비)의 변곡점에서 발생하는 스트로크를 기준으로 보정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스트로크를 제어하여 압축기의 운전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 상수 편차,모터 전압 및 모터 전류 검출 편차,피스톤의 초기 위치 편차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스트로크 편차를, 전류를 스트로크로 나눈값(전류/스트로크 크기비)의 변곡점에서 발생하는 스트로크를 기준으로 보정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스트로크를 제어하여 압축기의 운전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에 대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2는 종래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에 대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4는 도3에 있어서, 스트로크/전류 크기비 변곡점 검출부에서 스트로크/전류 크기비들이 하강상태에서 상승상태로 전환하는 경우의 변곡점 검출모습을 보인 그래프.
도5는 도3에 있어서, 스트로크/전류 크기비 변곡점 검출부에서 스트로크/전류 크기비들이 상승상태에서 하강상태로 전환하는 경우의 변곡점 검출모습을 보인 그래프.
도6은 스트로크/전류 크기비의 변곡점에서 TDC=0인 스트로크가 검출되는 모습을 보인 그래프.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방법에 대한 동작흐름도.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방법에 대한 동작흐름도.
도10은 전류/스트로크 크기비의 변곡점에서 TDC=0인 스트로크가 검출되는 모습을 보인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전류검출부 20:전압검출부
30:스트로크 추정부 40:스트로크/전류 크기비 연산부
50:스트로크/전류 크기비 변곡점 검출부 60:스트로크 지령치 결정부
70:비교기 80:제어기

Claims (14)

  1. 왕복동식 압축기에 있어서,
    압축기에 인가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와;
    압축기에 인가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와;
    상기 전류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전류와 상기 전압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의해, 압축기의 스트로크를 추정하는 스트로크 추정부와;
    상기 스트로크 추정부에서 출력되는 스트로크 추정치를 상기 전류검출부의 전류로 나누어, 그에 따른 스트로크/전류 크기비를 연산하는 스트로크/전류 크기비 연산부와;
    상기 스트로크/전류 크기비 연산부에서 출력되는 스트로크/전류 크기비를 이전 스트로크/전류 크기비들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스트로크/전류 크기비의 변곡점을 검출하는 스트로크/전류 크기비 변곡점 검출부와;
    상기 스트로크/전류 크기비 변곡점 검출신호가 발생하는 시점의 스트로크 지령치를 'TDC=O'인 최종 스트로크 지령치로 결정하는 스트로크 지령치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스트로크/전류 크기비 변곡점 검출부는,
    스트로크/전류 크기비값들이 상승구간에서 하강구간으로 변화하거나, 하강 구간에서 상승구간을 변화하는 경우의 스트로크/전류 크기비를 변곡점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스트로크 지령치 결정부는,
    상기 스트로크/전류 크기비 변곡점 검출신호가 발생하는 시점의 스트로크 지령치를 'TDC=O'인 스트로크 지령치를 결정하고, 그 스트로크 지령치에서,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스트로크 보정치를 감산한 값을 최종 스트로크 지령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4. 왕복동식 압축기에 있어서,
    압축기에 인가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와;
    압축기에 인가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와;
    상기 전류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전류와 상기 전압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의해, 압축기의 스트로크를 추정하는 스트로크 추정부와;
    상기 전류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상기 스트로크 추정부에서 출력되는 스트로크 추정치로 나누어, 그에 따른 전류/스트로크 크기비를 연산하는 전류/스트로크 크기비 연산부와;
    상기 전류/스트로크 크기비 연산부에서 출력되는 전류/스트로크 크기비를 이전 전류/스트로크 크기비들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전류/스트로크 크기비의 변곡점을 검출하는 전류/스트로크 크기비 변곡점 검출부와;
    상기 전류/스트로크 크기비 변곡점 검출신호가 발생하는 시점의 스트로크 지령치를 'TDC=O'인 최종 스트로크 지령치로 결정하는 스트로크 지령치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전류/스트로크 크기비 변곡점 검출부는,
    전류/스트로크 크기비값들이 상승구간에서 하강구간으로 변화하거나, 하강 구간에서 상승구간을 변화하는 경우의 전류/스트로크 크기비를 변곡점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스트로크 지령치 결정부는,
    상기 전류/스트로크 크기비 변곡점 검출신호가 발생하는 시점의 스트로크 지령치를 'TDC=O'인 스트로크 지령치를 결정하고, 그 스트로크 지령치에서,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스트로크 보정치를 감산한 값을 최종 스트로크 지령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7.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방법에 있어서,
    현재 구동되는 모터의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고, 그 모터전압과 모터전류를 이용하여 스트로크를 추정하는 과정과;
    상기 스트로크 추정치를, 모터전류로 나누어 스트로크/전류 크기비를 연산한 다음, 그 스트로크/전류 크기비들의 변곡점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스트로크/전류 크기비의 변곡점이 발생하지 않으면 스트로크 지령치를 증가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 수행하고, 스트로크/전류 크기비의 변곡점이 발생하면, 그 스트로크/전류 크기비에서의 스트로크 지령치를 최종 스트로크 지령치로 결정하는 과정으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피스톤의 행정거리인 스트로크 보정치를 기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스트로크/전류 크기비의 변곡점이 발생하면, 그 스트로크/전류 크기비에서의 스트로크 지령치를 최종 스트로크 지령치로 결정하는 과정은,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스트로크 보정치가 존재하면, 현재 스트로크 지령치에서 스트로크보정치를 감산하여 최종 스트로크 지령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방법.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크 추정치를, 모터전류로 나누어 스트로크/전류 크기비를 연산한 다음, 그 스트로크/전류 크기비들의 변곡점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은,
    스트로크/전류 크기비값들이 상승구간에서 하강구간으로 변화하거나 또는 하강구간에서 상승구간으로 변화할때, 그 변화지점의 스트로크/전류 크기비를 변곡점으로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방법.
  11.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방법에 있어서,
    현재 구동되는 모터의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고, 그 모터전압과 모터전류를 이용하여 스트로크를 추정하는 과정과;
    상기 모터전류를, 스트로크 추정치로 나누어 전류/스트로크 크기비를 연산한 다음, 그 전류/스트로크 크기비들의 변곡점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전류/스트로크 크기비의 변곡점이 발생하지 않으면 스트로크 지령치를 증가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 수행하고, 전류/스트로크 크기비의 변곡점이 발생하면, 그 전류/스트로크 크기비에서의 스트로크 지령치를 최종 스트로크 지령치로 결정하는 과정으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피스톤의 행정거리인 스트로크 보정치를 기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전류/스트로크 크기비의 변곡점이 발생하면, 그 전류/스트로크 크기비에서의 스트로크 지령치를 최종 스트로크 지령치로 결정하는 과정은,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스트로크 보정치가 존재하면, 현재 스트로크 지령치에서 스트로크보정치를 감산하여 최종 스트로크 지령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방법.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전류를, 스트로크추정치로 나누어 전류/스트로크크기비를 연산한 다음, 그 전류/스트로크 크기비들의 변곡점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은,
    전류/스트로크 크기비값들이 상승구간에서 하강구간으로 변화하거나 또는 하강구간에서 상승구간으로 변화할때, 그 변화지점의 전류/스트로크 크기비를 변곡점으로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방법.
KR10-2003-0092709A 2003-12-17 2003-12-17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KR100533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2709A KR100533010B1 (ko) 2003-12-17 2003-12-17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US10/944,828 US7456592B2 (en) 2003-12-17 2004-09-21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reciprocating compressor
JP2004304397A JP4842532B2 (ja) 2003-12-17 2004-10-19 往復動式圧縮機の運転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DE102004051320A DE102004051320B4 (de) 2003-12-17 2004-10-21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triebssteuerung eines Kolbenverdichters
CNB200410085976XA CN100366903C (zh) 2003-12-17 2004-10-25 用于控制往复式压缩机操作的装置和方法
BR0404640-4A BRPI0404640A (pt) 2003-12-17 2004-10-25 Aparelho e método para controlar a operação de compressor alternativ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2709A KR100533010B1 (ko) 2003-12-17 2003-12-17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0967A KR20050060967A (ko) 2005-06-22
KR100533010B1 true KR100533010B1 (ko) 2005-12-05

Family

ID=37253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2709A KR100533010B1 (ko) 2003-12-17 2003-12-17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301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0967A (ko) 2005-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4392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KR100774470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KR100677290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KR100806099B1 (ko) 리니어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KR100608690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KR100556776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EP2016669A1 (en) Driv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linear compressor
KR100533041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KR100533042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KR100652590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모터 구동장치 및 방법
KR100652607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533011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KR100533010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KR100533009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KR100690662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KR100690666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KR100575691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KR100690665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KR100517934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KR100575692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저부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KR100608657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KR100641114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KR20050050969A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KR20060065905A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