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2607B1 - 지능망을 기반으로 한 링백톤 대체음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능망을 기반으로 한 링백톤 대체음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2607B1
KR100532607B1 KR10-2003-0026529A KR20030026529A KR100532607B1 KR 100532607 B1 KR100532607 B1 KR 100532607B1 KR 20030026529 A KR20030026529 A KR 20030026529A KR 100532607 B1 KR100532607 B1 KR 100532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all
service
called party
ringback 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6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3246A (ko
Inventor
홍성룡
Original Assignee
와이더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더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와이더댄 주식회사
Priority to AU2003284729A priority Critical patent/AU2003284729B2/en
Priority to PCT/KR2003/002497 priority patent/WO2004073334A1/en
Publication of KR20040073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3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2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26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교환시스템 자체의 교체나 수정없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해주는 방법 및 시스템. 서비스 제어 포인트에는 이용자에 대한 호상태모형 중 호접속시도 검출점 및 이용자 응답 검출점과 같은 복수의 검출점이 사전에 프로그래밍에 의해 설정되어 있다. 호접속시도 검출점을 검출하는 경우, 착신측 교환시스템은 이용자 단말기로의 호 진행을 지연시키고, 이용자에 대한 서비스 식별정보 및 상기 라우팅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처리 요청을 서비스 제어 포인트로 제공한다. 서비스 제어 포인트는 착신측 교환시스템에 상기 라우팅 정보 및 수신자 식별정보를 제공하여 착신측 교환시스템이 라우팅 정보 및 상기 이용자 식별정보를 토대로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에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가 소정의 링백톤 대체음 정보서버로부터 상기 이용자가 사전에 선택한 음원파일 정보를 획득하고 음원파일 정보에 대응하는 링백톤 대체음을 재생하여 발신자에게 제공하도록 하게 된다. 이용자에 대한 호상태모형 중 이용자 응답 검출점을 검출하는 경우, 착신측 교환시스템은 응답에 포함된 이용자 식별정보를 토대로 서비스 제어 포인트에 서비스처리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서비스 제어 포인트의 제어에 따라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로의 호를 해제하고 이용자 단말기로 호를 연결함으로써, 발신자와 상기 이용자간에 통화로가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

Description

지능망을 기반으로 한 링백톤 대체음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Intelligent Network Based Providing of Substitute Ringback Tone}
본 발명은 통신망에서의 호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호 발신시 링백톤으로 착신자가 사전에 선택한 대체음을 들려주는 링백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무선 통신망에서 발신자가 호를 발신하면, 착신단말기를 관장하는 착신교환기는 착신자의 응답이전에 발신단말기에 대해 통화연결음 즉, 링백톤(Ringback Tone)을 제공하게 된다. 최근에는 일정한 주파수와 단속주기를 갖는 획일적인 톤대신에 착신자가 사전에 선택한 대체음을 들려주는 소위 컬러링(Color Ring, 상표임) 서비스도 이동전화 가입자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러한 링백톤 대체음 제공 방법의 예로서 2001년 3월 20일 등록된 특허 제292089호(발명의 명칭: 유.무선 통신망의 착신교환시스템에서 착신자가 선택한 링백톤의 대체음 발생장치 및 방법)과 2002년 7월 10일 출원공개된 공개특허 2002-56833호(발명의 명칭: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도 1은 상기 등록특허 제292089호에 기재된 링백톤 대체음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착신자가 대체음 제공 서비스에 가입된 상태에서, 발신자가 발신측 교환시스템(20)을 통해 착신자에 대한 호설정을 요청하면, 착신측 교환시스템(30)은 HLR(10)에 설정된 서비스가입 정보를 토대로 대체음 서비스에 가입되었음을 감지하고 HLR(10)에 설정되어 있는 라우팅 정보를 활용하여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50)에 ISUP호가 설정되도록 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착신측 교환시스템(30)은 서비스 제어 포인트(SCP, 40)에 북미방식 CDMA 표준안인 WIN(Wireless Intelligent Network)에서 정의된 해석정보를 제공하고, SCP(40)가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50)로부터 획득한 TLDN을 받아들이며, 이를 사용하여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50)에 ISUP호를 설정한다. 이후,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50)는 SCP(40)에 착신자가 설정한 음원 정보를 질의하여 받아들이고,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50)는 이 음원 정보에 해당하는 대체음을 발신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SCP(40)는 각 서비스 이용자의 대체음 음원정보를 테이블(42) 형태로 유지하면서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50)에 이를 제공한다. 한편, 착신단말기가 응답하면, 착신측 교환시스템(30)은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40)로의 호 경로를 절단하고 착신자와 발신자를 연결하여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도 2는 상기 공개특허 2002-56833호에 기재된 링백톤 대체음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착신자가 대체음 제공 서비스에 가입된 상태에서, 발신자가 발신측 교환시스템(20)을 통해 착신자에 대한 호설정을 요청하면, 착신측 교환시스템(60)은 HLR(10)에 설정된 서비스가입 정보를 토대로 대체음 서비스에 가입되었음을 감지하고 HLR(10)에 설정되어 있는 라우팅 정보를 활용하여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70)에 ISUP호가 설정되도록 하게 된다.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70)는 링백톤 대체음 재생 제어서버(80)로부터 착신자가 설정한 음원 정보를 질의하여 받아들이고,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70)는 이 음원 정보에 해당하는 대체음을 발신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링백톤 대체음 재생 제어서버(80)는 각 서비스 이용자의 대체음 음원정보를 테이블(82) 형태로 유지하면서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70)에 이를 제공한다. 한편, 착신단말기가 응답하면, 착신측 교환시스템(60)은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70)로의 호 경로를 절단하고 착신자와 발신자를 연결하여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링백톤 대체음 제공 방법에 따르면, 링백톤 대체음 제공 중에 착신자가 응답하면 착신측 교환시스템이 대체음 재생서버에 ISUP 호해제를 요청한 후 발신측 교환시스템에 응답메시지를 송신하여 발신자와 착신자가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해야만 한다. 즉 각 가입자간의 호경로를 연결하거나 절단하거나 또는 타 교환시스템으로의 라우팅 기능을 수행하던 교환시스템의 일반적인 기능 이외에 추가적인 기능을 부여해야 하게 되며, 이에 따라 교환시스템 자체에 대한 수정이 필요하게 된다. 기존의 이동통신 사업자가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이 교환시스템을 교체 또는 대폭 수정해야 되므로,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장비 공급 업자들의 협조가 원활하지 않은 경우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추후 교환시스템을 추가도입하는 경우에도 교환시스템이 이처럼 수정된 기능을 구비해야 하므로 장비 구입가격이 상승되고 특정 장비공급업체에 대한 의존성이 커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교환시스템 자체의 교체나 수정없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해주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링백톤 제공 시스템은 예컨대 "Customized Applications for Mobile network Enhanced Logic (CAMEL) Phase 4, CAMEL Application Part (CAP) Specification (Release 5)"에 규정된 규약이 적용되는 또는 그와 유사한 기능을 지원하는 지능망 기반의 이동통신시스템으로서, 착신측 교환시스템은 이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음원파일들을 저장하는 링백톤 대체음 제공서버에 접속될 수 있으며, 소정의 호상태모형에 따라 각 착신 호를 처리하고 이 과정에서 서비스 제어 포인트에 의해 호 처리가 제어된다. 서비스 제어 포인트에는 이용자에 대한 호상태모형 중 호접속시도 검출점 및 이용자 응답 검출점과 같은 복수의 검출점이 사전에 프로그래밍에 의해 설정되어 있다. 착신측 교환시스템에는 서비스 제어 포인트가 공통선신호방식에 의해 접속되는데, 이 서비스 제어 포인트는 착신측 교환시스템으로부터의 서비스 요구에 응답하여 착신측 교환시스템의 호처리를 제어한다. 홈위치 등록기는 각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 식별정보와 상기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로의 라우팅 정보를 저장한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자로부터 상기 이용자에 대한 호접속 요청을 받아들이는 경우, 착신측 교환시스템은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의 호 진행을 지연시키고, 상기 이용자에 대한 이용자 식별정보, 서비스 식별정보 및 상기 라우팅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처리 요청을 서비스 제어 포인트로 제공한다. 서비스 제어 포인트는 착신측 교환시스템에 상기 라우팅 정보 및 상기 이용자 식별정보를 제공하여 착신측 교환시스템이 상기 라우팅 정보 및 상기 이용자 식별정보를 토대로 상기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에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가 소정의 링백톤 대체음 정보서버로부터 상기 이용자가 사전에 선택한 음원파일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음원파일 정보에 대응하는 링백톤 대체음을 재생하여 발신자에게 제공하도록 하게 된다. 상기 이용자가 응답하는 경우, 착신측 교환시스템은 응답에 포함된 이용자 식별정보를 토대로 서비스 제어 포인트에 서비스처리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서비스 제어 포인트의 제어에 따라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로의 호를 해제하고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호를 연결함으로써, 발신자와 상기 이용자간에 통화로가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링백톤 제공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발신자로부터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호접속 요청을 받아들이는 경우, 착신측 교환시스템은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의 호 진행을 지연시키고, 초기호접속시도에 관련된 상기 이용자에 대한 이용자 식별정보, 서비스 식별정보 및 상기 라우팅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처리 요청을 서비스 제어 포인트로 제공한다. 서비스 제어 포인트는 상기 서비스 식별정보가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에 해당하는 것인 경우 착신측 교환시스템에 상기 라우팅 정보 및 상기 이용자 식별정보를 제공하여, 착신측 교환시스템이 상기 라우팅 정보 및 상기 이용자 식별정보를 토대로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에 접속되도록 하게 된다.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는 소정의 링백톤 대체음 정보서버로부터 상기 이용자가 사전에 선택한 음원파일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음원파일 정보에 대응하는 링백톤 대체음을 재생하여 발신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이용자가 응답하는 경우, 착신측 교환시스템은 상기 응답에 포함된 이용자 식별정보를 토대로 서비스 제어 포인트에 서비스처리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서비스 제어 포인트의 제어에 따라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로의 호를 해제하고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호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발신자와 상기 이용자간에 통화로가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착신측 교환시스템은 상기 이용자에 대한 서비스 식별정보 및 상기 라우팅 정보를 발신자로부터 호접속 요청을 받아들이기 이전에 상기 이용자의 위치등록시 획득하여 내부에 저장해둔다. 그렇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착신측 교환시스템이 상기 이용자에 대한 서비스 식별정보 및 상기 라우팅 정보를 발신자로부터 상기 호접속 요청을 받아들인 후 홈위치 등록기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제어 포인트는 착신측 교환시스템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수행키 위한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로의 호 생성 및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 후, 착신측 교환시스템이 수행 능력이 있는 경우에만 착신측 교환시스템에 상기 라우팅 정보 및 수신자 식별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서비스 제어 포인트의 판단을 위해, 착신측 교환시스템은 자신이 지원하는 기능명세 정보를 서비스 요구시 서비스 제어 포인트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비스 제어 포인트는 착신측 교환시스템으로 하여금 호상태모형 상에서 특정 검출점이 검출될 때마다 트리거 식별정보를 발생하여 서비스 제어 포인트에 서비스 분석을 요구하고 라우팅정보를 번역하도록 하며 착신측 교환시스템이 서비스 제어 포인트의 제어하에 호처리를 진행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검출점으로는 이용자 즉 수신자에 대한 호접속시도 검출점과 이용자 응답 검출점을 들 수 있다. 호접속시도 검출점을 검출하는 경우, 서비스 제어 포인트는 서비스 식별정보가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에 해당하는 것인 경우 착신측 교환시스템이 새로운 호경로(Leg)를 생성하여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에 접속되도록 하게 된다. 이용자 응답 검출점을 검출하는 경우, 서비스 제어 포인트는 착신측 교환시스템이 원래의 호경로(Leg)를 복원하여 이용자 단말기로 호가 연결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이 서비스 제어 포인트 상의 프로그램에 대한 간단한 수정만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서비스 도입시 교환시스템(MSC 또는 VLR)에 대한 수정이나 교체가 불필요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링백톤 대체음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이동통신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시된 이동통신시스템은 ARIB, CWTS, ETSI, T1, TTA, TTC 등이 참여한 3GPP(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2002년 12월 발표한 "Customized Applications for Mobile network Enhanced Logic (CAMEL) Phase 4, CAMEL Application Part (CAP) Specification (Release 5)"에 규정된 규약이 적용되는 GSM 시스템이다. 그렇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규약과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는 지능망으로 구현되는 여타의 시스템에서도 이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의 시스템에 있어서, HLR(100)은 주지된 바와 같이 이동단말기에 대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가입자 정보 및 위치 정보 등을 관리하는 망내 데이터베이스 기능을 갖는 레지스터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각 가입자에 대한 프로파일 정보의 한 필드로서 각 단말기에 대한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가입여부와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130)로 라우팅하기 위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저장한다.
발신측 교환시스템(110) 및 착신측 교환시스템(120)은 No.7 신호망을 매개하여 서로 접속되며, 아울러 HLR(100)에도 접속된다. 착신측 교환시스템(120)은 단말기가 위치등록을 수행하면, 해당 단말기 위치정보를 HLR(100)에 등록하고, 이때 HLR(100)로부터 단말기의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가입여부와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130)로 라우팅하기 위한 정보를 받아들여 VLR에 저장해두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해당 단말기에 호가 착신될 때 대체음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발신자 및 착신자 위치에 따라 발신측 교환시스템(110) 및 착신측 교환시스템(120)의 역할이 서로 바뀔 수도 있으며, 아울러, 발신자와 착신자가 동일 교환시스템 서비스권역 내에 위치하여 하나의 시스템이 이들의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서비스 제어 포인트(SCP: 122)는 No.7 신호망을 통해 착신측 교환시스템(120)에 접속되어, 착신측 교환시스템(120)으로부터 수신한 정보의 적격성 검사 및 라우팅정보 번역 등의 서비스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SCP(122)는 CAMEL Phase 4, CAP Release 5 규약에 따라 착신측 교환시스템(120)에 접속되어 대체음 서비스 제공을 제어하게 된다.
링백톤 대체음 정보서버(130)는 대체음 서비스를 이용하는 각 이용자에 대하여 해당 이용자가 선택한 대체음 음원 정보를 저장하는 이용자 대체음 음원정보 테이블(132)을 구비하며, 이 테이블(132)에 저장된 서비스 가입자별 음원 정보를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140)의 요구에 따라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140)에 제공하게 된다. 링백톤 대체음 정보서버(130)는 이용자가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가입/해지 및 음원변경 등을 할 수 있게 해주는 웹 서버, WAP 서버 및 ARS 시스템 등을 포함하거나 이들과 접속될 수 있어서, 유무선 인터넷 및 음성통신망을 통해 이용자들이 서비스 가입/해지나 음원변경 등을 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시스템의 구성은 공지되어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140)는 다양한 음원파일을 구비하고 있으며, 대체음 서비스와 관련하여 착신측 교환시스템(120)과 ISUP 호가 형성되면 해당 착신자에 대해 사전에 설정된 음원이 무엇인지를 링백톤 대체음 정보서버(130)에 질의하고, 링백톤 대체음 정보서버(130)가 제공하는 가입자별 음원 정보에 해당하는 음원을 착신측 교환시스템(120) 및 발신측 교환시스템(110)을 경유하여 발신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착신측 교환시스템(120)은 CAMEL에 규정된 규약에 따라 호처리를 수행한다. 도 4는 CAMEL에 규정된 착신측 교환시스템(120)에서의 기본 호상태모형(T_BCSM: Basic Call State Model in T_MSC/VLR)을 보여준다. 도시된 호상태모형은 순환적으로 반복되는 3개의 PIC(Point in Call) 즉 "T_Null" 상태, "Terminating Call Handling" 상태, "T-Active" 상태를 포함하며, 이러한 상태들 사이에 3개의 상태검출점(DP: Detection Point)이 설정된다. 아울러, 상태모형에는 상기 상태들 이외에 예외적인 상황을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T_Exception" 상태가 추가되어 있다. 표 1은 이러한 검출점을 간략하게 요약한 것이다.
검출점 명칭 번호 설명
Terminating_Attempt_Authorized DP12 T_CSI(수신자 가입정보)가 분석됨
T_Answer DP15 수신자가 호에 응답함
T_Disconnect DP17 수신자 또는 발신자로부터 종료표시가 수신됨
도 4에 도시된 각 상태를 간략히 설명하면, "T_Null" 상태는 이전 호가 종료되어 클리어되었을 때(즉 검출점 DP17 이후) 또는 "T_Exception" 상태에서 기본적인 예외상태 처리를 수행한 후에 진입하게 되며, 외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아이들(idle) 상태로 한 후 ISUP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받아들여 적절한 정보를 분석하고 라우팅 정보를 HLR에 송신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 상태는 HLR로부터 응답을 수신하고 수신자 가입정보 분석이 종료되었을 때 또는 예외적인 상황(예컨대, 발신자의 호 포기에 따른 종료)이 발생하였을 때 종료된다.
"Terminating Call Handling" 상태는 HLR로부터 응답을 수신하고 수신자 가입정보 분석이 종료되었을 때(즉, 검출점 DP12 검출 이후) 진입하게 되며, HLR로부터의 응답을 분석하고 라우팅 어드레스 및 호 종류를 분석하여 다음 라우트를 선택하며 수신자 단말에 벨이 울리도록 한 후 수신자가 호에 응답할 때까지 대기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 상태는 수신자가 호에 응답하거나 예외적인 상황(예컨대, 발신자의 호 포기에 따른 종료)이 발생하였을 때 종료된다.
"T-Active" 상태는 수신자가 호에 응답하였을 때(즉, 검출점 DP15 검출 이후) 진입하게 되며, 발신자와 수신자간에 호경로가 설정되도록 하고 호 진행을 감독하며 호가 종료되기까지 대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상태는 수신자 또는 발신자로부터 호가 종료되었음을 통지받거나 예외적인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종료된다.
착신측 교환시스템(120)은 이와 같은 기본 호상태모형에 따라 모든 착신 호를 처리하는데, 이때 사전에 설정된 검출점이 검출될 때마다 트리거 식별정보를 발생함으로써 SCP(122)에 서비스 분석을 요구하고 라우팅정보를 번역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착신측 교환시스템(120)은 발신측 교환시스템(110)으로부터 대체음 서비스 가입된 수신자 단말기에 대한 초기어드레스메시지(IAM)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자 단말기로의 호 진행을 지연(Suspend)시킨 후, 초기호접속시도에 대한 트리거 식별정보를 발생하고, 이 트리거 식별정보에 따라 HLR(100)로부터 수신자에 대한 서비스 식별정보 및 라우팅 정보를 구한 후, 이 정보들을 포함하는 트리거 식별정보를 SCP(122)로 제공한 후 SCP(122)로부터 서비스 제어를 받는다. 여기서, 수신자에 대한 서비스 식별정보 및 라우팅 정보는 사전에 수신자의 위치등록시 HLR(100)로부터 받아들여져 VLR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백톤 대체음 제공 과정을 보여준다. 도시된 과정은 크게 볼 때 호설정에 있어서의 초기 어드레싱 단계(제200 내지 208단계)와, 링백톤 대체음을 재생하는 단계(제210단계 내지 제236단계)와, 수신자 응답단계(제238단계 내지 제252단계)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이용자는 유무선인터넷 또는 ARS를 통해 서비스를 신청하게 된다. 신규 서비스 이용자가 서비스이용 신청을 하거나 기존 신청자가 음원변경을 신청하면, 링백톤 대체음 제공서버(130) 또는 서비스 신청을 처리하는 별도의 서버는 이용자의 음원정보(예컨대, 해당 이용자가 선택한 음원파일명 또는 음원파일 코드)를 링백톤 대체음 정보서버(130)의 대체음 음원정보 테이블(132)에 저장해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임의의 발신자가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기로 전화를 하면, 먼저 발신자 단말기에 대응하는 발신측 교환시스템(110)은 HLR(100)에 수신자의 위치정보를 요청한다(제200단계). 제202단계에서, HLR(100)은 이 요청에 응답하여 수신자 단말기에 대응하는 착신측 교환시스템(120)에 라우팅 정보를 요청한다. 착신측 교환시스템(120)은 HLR(100)의 요청에 대해 TLDN(Temporary Local Directory Number)을 포함하는 라우팅 정보를 응답한다(제204단계). 여기서, TLDN은 호 설정이 진행되는 동안 착신 단말기에 임시로 부여되는 식별자이다. 제206단계에서, HLR(100)은 발신측 교환시스템(110)에 대해 라우팅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위치정보를 응답한다.
발신측 교환시스템(110)은 상기 착신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착신측 교환시스템(120)으로 초기어드레스메시지(IAM)를 송신함으로써 ISUP호를 시도한다(제208단계). 여기서, 초기어드레스메시지(IAM)는 발신자 식별정보(예컨대, 발신자 MIN) 및 수신자 식별정보(예컨대, 수신자 MIN)를 포함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착신측 교환시스템(120)은 CAMEL에 정의되어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본 호상태모형(T_BCSM)을 따르며 초기호접속시도(예컨대, Terminating_Attempt_Authorized)에 대한 검출점(DP12)을 갖는데, 발신측 교환시스템(110)으로부터 초기어드레스메시지(IAM)를 수신하면 초기호접속시도에 대한 트리거 식별정보(예컨대, 트리거 타입)를 발생한다(제210단계). 그 다음, 착신측 교환시스템(120)은 상기 수신자 식별정보 및 트리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HLR(100)로부터 상기 수신자에 대한 서비스키(Service Key) 및 라우팅 정보를 구한다. 여기서, 서비스키는 특정 트리거 발생시 수행하는 부가 서비스를 정의하는 식별정보를 의미한다.
수신자가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상기 서비스키는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나타내는 값을 가지며, 라우팅 정보는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140)로의 라우팅 정보에 대응하게 된다. 그 다음, 착신측 교환시스템(120)은 상기 트리거 식별정보, 링백톤 재생서버(140)로의 라우팅 정보, 수신자 식별정보 및 서비스키를 포함하는 서비스처리요청을 SCP(122)로 송신하며, 다른 한편으로 수신자 단말기로의 호 진행을 지연(Suspend)한다(제212단계).
SCP(122)는 착신측 교환시스템(120)으로부터 서비스처리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서비스처리요청에 포함된 서비스키가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 만약 서비스키가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SCP(122)는 착신측 교환시스템(120)에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140)로의 라우팅 정보 및 수신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초기 호접속 준비요청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착신측 교환시스템(120)으로 송신한다(제214단계).
착신측 교환시스템(120)은, SCP(122)로부터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140)로의 라우팅 정보 및 수신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초기 호접속 준비요청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자신이 지원하는 기능명세에 관련된 정보들(예컨대, CAMEL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CAMEL Phase 및 CAMEL Functionality와 같은 정보들)을 SCP(122)로 송신한다(제216단계). 착신측 교환시스템(120)의 기능명세에 관련된 정보들을 수신하면, SCP(122)는 수신된 기능명세정보에 기초하여 착신측 교환시스템(122)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수행키 위한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140)로의 호 생성 및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 착신측 교환시스템(120)의 기능명세가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수행하기에 충분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SCP(122)는 착신측 교환시스템(120)이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120)로 호를 연결하도록 요청한다(제218단계).
착신측 교환시스템(120)은, 제218단계에서 SCP(122)로부터 수신한 메시지가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로의 호 진행에 대응하는 경우, 제214단계에서 수신한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140)로의 라우팅 정보 및 수신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초기어드레스메시지(IAM)를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140)로 송신한다(제220단계). 상기 착신측 교환시스템으로부터 초기어드레스메시지(IAM)를 수신하면,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140)는 어드레스종료메시지(ACM)를 착신측 교환시스템(120)으로 송신한다(제222단계).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140)로부터 어드레스종료메시지(ACM)를 수신하면, 착신측 교환시스템은 어드레스종료메시지(ACM)에 대응하는 어드레스종료메시지를 발신측 교환시스템(110)으로 전송한다(제224단계). 한편,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는 제222단계에서 어드레스종료메시지(ACM)를 송신한 직후 제220단계에서 획득한 수신자 식별정보(예를 들면 수신자 MIN)를 포함하는 사용자 음원파일정보 질의 메시지를 링백톤 대체음 정보서버(130)로 송신한다(제226단계). 사용자 음원파일정보 질의 메시지를 수신하면, 링백톤 대체음 정보서버(130)는 질의 메시지에 포함된 수신자 식별정보(예컨대, 수신자 MIN)에 대응하는 음원파일정보(예컨대, 해당 수신자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음원파일명 또는 음원파일 코드)를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140)로 전송한다(제228단계).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140)는 링백톤 대체음 정보서버(130)로부터 음원파일 정보를 수신하면, 음원파일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저장장치로부터 읽어서 재생하여 착신측 교환시스템(120)으로 전송하고, 착신측 교환시스템(120)은 이를 발신측 교환시스템(110)으로 전송하게 되며, 이에 따라 링백톤 대체음이 발신단말기에서 플레이된다(제230단계).
이어서, SCP(122)는 착신측 교환시스템(120)에 대해 수신자 식별정보(예컨대, 수신자 MIN)에 해당하는 단말기로부터 응답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을 검출하는 응답트리거 검출점(DP15)을 설정할 것을 요청한다(제232단계). 이 요청을 수신하는 착신측 교환시스템(120)은 수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단말기로부터 응답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이를 검출할 수 있도록 응답트리거 검출점(DP15)을 설정한다(제234단계).
제234단계에서 SCP(122)는 착신측 교환시스템(120)에 수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단말기로의 호 진행을 계속할 것을 요청하고, 이에 응답하여 착신측 교환시스템(120)은 수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단말기로의 호 진행을 계속하는 소정의 프로세스를 진행하며, 이 과정에서 착신측 교환시스템(120)은 수신자 단말기로의 페이징을 수행한다(제236단계).
다음에는, 수신자 응답단계(제238단계 내지 제252단계)를 설명한다.
음원데이터 재생 중에 수신자가 응답하면(제238단계), 착신측 교환시스템(120)은 응답이벤트 메시지에 포함된 수신자 식별정보를 토대로 수신단말기를 확인한 후 해당 수신단말기에 대한 기본 호상태모형(T_BCSM) 중 응답트리거 검출점(DP15: T_Answer)을 검출하여 응답트리거를 발생하고(제240단계), 이 응답트리거에 대응하는 트리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처리요청 메시지를 SCP(122)에 송신한다(제242단계).
SCP(122)는, 제242단계에서 수신된 트리거 식별정보가 응답트리거에 대응하는 경우, 착신측 교환시스템(120)이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140)로의 호를 해제하고 수신자 단말기 측으로 호를 연결하도록 요청한다(제244단계). 이 요청에 응답하여, 착신측 교환시스템(120)은 수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단말기로 착신 호를 설정하기에 앞서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140)로 ISUP호 해제요청 메시지(REL)를 송신하고 이에 관련된 소정의 호해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제246단계). 착신측 교환시스템(120)으로부터 호해제요청 메시지(REL)를 수신하면,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140)는 소정의 호해제 프로세스를 수행한 후 착신측 교환시스템(120)으로 호해제확인 메시지(RLC)를 송신한다(제248단계).
제250단계에서 착신측 교환시스템(120)은 응답메시지(ANM)를 발신측 교환시스템(110)으로 전송하며, 이후 전달되는 발신자와 수신자간의 통화메시지를 중계한다(제252단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MSC/VLR 자체의 수정이나 교체없이도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시스템 수정에 필요한 비용이 크게 절감된다. 아울러, 기존의 방법에 비해 SCP와 IP의 접속이 없어 SCP의 부하가 크게 줄기 때문에 SCP를 위한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도 있다. 장비제조업자는 별도의 커스터마이징 작업 없이 서비스를 제공코자 하는 이동통신업자에게 제품을 납품할 수 있으므로 공급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이동통신사업자는 특정 제조업체에서 공급하는 교환기에 국한되지 않고 일반적인 교환기를 사용하여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플랫폼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MSC/VLR 자체의 수정이나 교체를 요하지 않기 때문에 링백톤 대체음 제공서버의 도입, 추가 또는 업그레이드 작업이 간단해지며, 만약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가 이동통신사업자가 아닌 별도의 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경우, 해당 업자는 용이하게 그리고 짧은 시간내에 서비스를 개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링백톤 대체음 제공 시스템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링백톤 대체음 제공 시스템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링백톤 대체음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이동통신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3GPP(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의 CAMEL(Customized Application for Mobile network Enhanced Logic)에서 정의하고 있는 착신측 교환시스템에서의 기본 호상태모형(T_BCSM)을 보여주는 상태천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링백톤 대체음 제공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면 및 명세서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110: O_MSC/VLR(Originating Mobile Switching Center / Visitor Location Register, 발신측 교환시스템)
30, 60 120: T_MSC/VLR(Terminating Mobile Switching Center / Visitor Location Register, 착신측 교환시스템)
10, 100: HLR(Home Location Register, 홈위치 등록기)
VLR(Visitor Location Register): 방문위치 등록기
IP(Intelligence Peripheral): 지능형주변장치
ISUP(ISDN Service User Part)
MAP(Mobile Application Part)
CAP(CAMEL Application Part)
BCSM(Basic Call State Model)
TLDN(Temporary Local Directory Number)
IAM(Initial Address Message):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
ACM(Address Close Message): 어드레스 종료 메시지
DP(Detection Point): 검출점
REL(Release Message): 호해제 메시지
RLC(Release Confirmation Message): 호해제 확인 메시지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모바일 식별 번호
CAMEL(Customized Application for Mobile network Enhanced Logic)

Claims (6)

  1. 이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음원파일들을 저장하는 링백톤 대체음 제공서버에 접속될 수 있으며 소정의 호상태모형에 따라 각 착신 호를 처리하는 착신측 교환시스템;
    상기 호상태모형 중 호접속시도 검출점 및 이용자 응답 검출점을 포함하는 복수의 검출점이 프로그래밍에 의해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착신측 교환시스템에 공통선신호방식에 의해 접속되고 상기 착신측 교환시스템으로부터의 서비스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착신측 교환시스템의 호처리를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 포인트; 및
    각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 식별정보와 상기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로의 라우팅 정보를 저장하는 홈위치 등록기;
    를 구비하며,
    상기 이용자에 대한 상기 호상태모형 중 호접속시도 검출점을 검출하는 경우, 상기 착신측 교환시스템이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의 호 진행을 지연시키고, 상기 이용자에 대한 이용자 식별정보, 서비스 식별정보 및 상기 라우팅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처리 요청을 상기 서비스 제어 포인트로 제공하고,
    상기 이용자의 서비스 식별정보에 소정의 서비스키 값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어 포인트가 상기 착신측 교환시스템에 상기 라우팅 정보 및 상기 이용자 식별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착신측 교환시스템이 상기 라우팅 정보 및 상기 이용자 식별정보를 토대로 상기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에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가 소정의 링백톤 대체음 정보서버로부터 상기 이용자가 사전에 선택한 음원파일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음원파일 정보에 대응하는 링백톤 대체음을 재생하여 상기 발신자에게 제공하도록 하며,
    상기 이용자에 대한 상기 호상태모형 중 이용자 응답 검출점을 검출하는 경우, 상기 착신측 교환시스템이 상기 응답에 포함된 이용자 식별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비스 제어 포인트에 서비스처리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서비스 제어 포인트의 제어에 따라 상기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로의 호를 해제하고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호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발신자와 상기 이용자간에 통화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링백톤 대체음 제공 시스템.
  2. (a) 이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음원파일들을 저장하는 링백톤 대체음 제공서버에 접속될 수 있으며 소정의 호상태모형에 따라 각 착신 호를 처리하는 착신측 교환시스템과, 상기 호상태모형 중 호접속시도 검출점 및 이용자 응답 검출점을 포함하는 복수의 검출점이 사전에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착신측 교환시스템에 공통선신호방식에 의해 접속되고 상기 착신측 교환시스템으로부터의 서비스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착신측 교환시스템의 호처리를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 포인트와, 각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 식별정보와 상기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로의 라우팅 정보를 저장하는 홈위치 등록기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이용자에 대한 상기 호상태모형 중 호접속시도 검출점을 검출하는 경우, 상기 착신측 교환시스템이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의 호 진행을 지연시키고, 초기호접속시도에 관련된 상기 이용자에 대한 이용자 식별정보, 서비스 식별정보 및 상기 라우팅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처리 요청을 상기 서비스 제어 포인트로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서비스 제어 포인트가 상기 서비스 식별정보가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에 해당하는 것인 경우 상기 착신측 교환시스템에 상기 라우팅 정보 및 상기 이용자 식별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착신측 교환시스템이 상기 라우팅 정보 및 상기 이용자 식별정보를 토대로 상기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에 접속되도록 하는 단계;
    (d) 상기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가 소정의 링백톤 대체음 정보서버로부터 상기 이용자가 사전에 선택한 음원파일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음원파일 정보에 대응하는 링백톤 대체음을 재생하여 상기 착신측 교환시스템을 경유하여 상기 발신자에게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 및
    (f) 상기 이용자에 대한 상기 호상태모형 중 상기 이용자 응답 검출점을 검출하는 경우, 상기 착신측 교환시스템이 상기 응답에 포함된 이용자 식별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비스 제어 포인트에 서비스처리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서비스 제어 포인트의 제어에 따라 상기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로의 호를 해제하고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호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발신자와 상기 이용자간에 통화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링백톤 대체음 제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측 교환시스템이 상기 이용자에 대한 서비스 식별정보 및 상기 라우팅 정보를 상기 발신자로부터 상기 호접속 요청을 받아들이기 이전에 획득하여 내부에 저장해두는 링백톤 대체음 제공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측 교환시스템이 상기 이용자에 대한 서비스 식별정보 및 상기 라우팅 정보를 상기 발신자로부터 상기 호접속 요청을 받아들인 후 상기 홈위치 등록기로부터 획득하는 링백톤 대체음 제공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제어 포인트가 상기 착신측 교환시스템이 상기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수행키 위한 상기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로의 호 생성 및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 후, 상기 착신측 교환시스템이 수행 능력이 있는 경우에만 상기 착신측 교환시스템에 상기 라우팅 정보 및 수신자 식별정보를 제공하는 링백톤 대체음 제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 포인트의 판단을 위해, 착신측 교환시스템이 자신이 지원하는 기능명세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어 포인트에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링백톤 대체음 제공방법.
KR10-2003-0026529A 2003-02-12 2003-04-25 지능망을 기반으로 한 링백톤 대체음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532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03284729A AU2003284729B2 (en) 2003-02-12 2003-11-19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btitute ringback tone based on intelligent network
PCT/KR2003/002497 WO2004073334A1 (en) 2003-02-12 2003-11-19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btitute ringback tone based on intelligent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08937 2003-02-12
KR1020030008937 2003-0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246A KR20040073246A (ko) 2004-08-19
KR100532607B1 true KR100532607B1 (ko) 2005-12-01

Family

ID=37360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6529A KR100532607B1 (ko) 2003-02-12 2003-04-25 지능망을 기반으로 한 링백톤 대체음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260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246A (ko) 2004-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83486B2 (ja) インテリジェント・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
KR101124228B1 (ko) 지능망 시그널링과 호출 접속시 호출 통신 디바이스로의 피드백
US79121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multimedia ring back tone service
US81312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multimedia ring back tone service
US844221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ring back tone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20070071218A1 (en) Method for implementing a customized ring back tone service and system thereof
US8027456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all tones service in a system with multiple media content providers
WO2005048578A1 (en) Subscriber selectable alternative to audible ringback signals
US200700779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ring back tones using a gateway switching node
KR20020097075A (ko) 교환기 음원 송출을 통한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 방법
US20040235462A1 (en) Notification of calling party when mobile called party becomes available
KR20050050542A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익명 호출 방향 변경을 위한 방법 및장치
KR100532607B1 (ko) 지능망을 기반으로 한 링백톤 대체음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518940B1 (ko) 지능망에서의 링백톤 대체음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U200328472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btitute ringback tone based on intelligent network
KR20030024466A (ko)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링백톤 대체음 발생장치 및 방법
KR100608285B1 (ko) 화상전화 시도시 발신 그룹별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서비스 방법
KR100562265B1 (ko) 통화 연결 대기 상태에서 발신 가입자에게 서비스 제공자지정 음원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0608282B1 (ko) 화상전화 시도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KR20020097078A (ko)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에서의 음원 확인 방법
KR100782775B1 (ko) 통화 중 효과 음 제공 방법 및 시스템
EP206122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CNAP service
WO2007104227A1 (fr) Système, procédé de communication et point de commutation de service, point de commande de service et dispositif correspondant
KR20040083286A (ko)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링백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01491069A (zh) 3gpp网络的彩铃业务实现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