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1726B1 - 실리콘 유중수형 메이컵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실리콘 유중수형 메이컵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1726B1
KR100531726B1 KR10-2004-0007228A KR20040007228A KR100531726B1 KR 100531726 B1 KR100531726 B1 KR 100531726B1 KR 20040007228 A KR20040007228 A KR 20040007228A KR 100531726 B1 KR100531726 B1 KR 100531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e
dimethicone
stability
oi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7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9231A (ko
Inventor
서만석
허경희
유권종
최권호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7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1726B1/ko
Publication of KR20050079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9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1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17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테아르디모늄 헥토라이트 와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를 함유하므로 실리콘유중수형(WATER-IN-SILICONE) 유화제형에서 유상(OIL PHASE)에 탄화수소, 에스테르 및 글리세라이드오일류를 배제하고 실리콘류 오일 및 고분자만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메이컵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습막 형성 효과가 우수한 소르비탄올리베이트를 사용함으로써 사용감, 안정도 및 보습효과가 우수한 특징을 가진 유화 메이컵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리콘 유중수형 메이컵 화장료 조성물{Water-in-silicon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유화 메이컵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실리콘유중수형(WATER-IN-SILICONE) 유화제형에서 유상(OIL PHASE)에 탄화수소, 에스테르 및 글리세라이드오일류를 배제하고 실리콘류 오일 및 고분자만을 함유함으로 사용감 과 안정도가 우수하며 식물성 유래의 보습막 형성 물질인 소르비탄올리베이트를 사용함으로써 보습력도 우수한 유화 메이컵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화 메이컵 조성물은 수중유형, 유중수형, 실리콘유중수형의 제형이 주류를 이루는데 이중 수중유형은 보습력이 우수하고 용이하게 제형화를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나 내수성이 약하므로 상대적으로 지속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유중수형은 내수성과 지속성이 매우 우수하나, 도포막이 두꺼우며, 보습력과 청량감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진다. 그러므로 이러한 유중수형의 단점을 최대한 극복하고자 개발된 제형이 실리콘중수형으로 이 제형에는 일반 오일 류 대신에 실리콘오일로 대체되므로 지속성과 사용감이 우수한 특징을 가진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오일상에서 실리콘오일을 다량 함유한 경우에는 사용감은 우수하나 안정도와 보습력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므로 오일의 일부분만을 실리콘오일로 대체한 실리콘유중수형의 유화메이컵이 현재 시장에서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현재 메이컵 시장에서는 다양한 소비자의 니즈로 인해 사용감이 한층 더 개선된 실리콘유중수형의 안정한 유화메이컵 제형을 만들기 위하여 유화 및 점증시스템 변경등 여러 가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실리콘유중수형의 유화메이컵을 만들기 위해서는 오일상에 실리콘류의 유화제 및 비누화 지방산의 에스테르 젤, 실리콘류 고분자, 글리세라이드 오일, 에스테르 오일, 실리콘 오일등을 혼합하여 넣어서 안정화시키는 것이 주류를 이루면서 이 계에서 최대한 실리콘오일의 함량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나머지들의 양을 조절하면서 안정도를 확보하고 있지만 이에는 실리콘오일의 함량 극대화에 한계가 있다. 또 다른 방법은 실제로 오일상에 함유되는 오일을 100% 실리콘 오일로만 대체하는 실험이 벤톤계의 젤링화제와 유화제의 변화등을 통해 시도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그 안정도가 확보된 제형이 없으며 더군다나 100%실리콘 오일만을 사용할 경우에는 타제형에 비하여 보습력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진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들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특정 성분을 일정 성분비 함유하는 경우 다량의 실리콘류의 오일과 폴리머를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안정도와 보습력이 우수하고 실리콘류 사용으로 사용감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리콘류 오일 및 고분자만을 함유하여 사용감뿐만 아니라 안정도 및 보습력도 우수한 실리콘 유중수형 유화 메이컵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디스테아르디모늄헥토라이트 0.3 내지 1 중량%,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3 내지 10 중량% 및 소르비탄올리베이트 0.3 내지 2 중량%를 함유하는 실리콘 유중수형 메이컵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종래의 실리콘유중수형 유화메이컵 제형에서 우수한 사용감을 연출하기 위하여 오일상에 함유되는 오일 100%를 실리콘오일로 대체하게 되면 안정도가 문제가 되므로 이를 안정화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디스테아르디모늄헥토라이트 와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를 사용하여 에몰리엔트 성분으로 사용되는 오일을 100% 실리콘류로만 대체하면서 안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다량의 실리콘오일 배합으로 약화되기 쉬운 보습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소르비탄올리베이트를 사용하여 보습막을 형성시킴으로서 실리콘오일의 다량 함유로 약화되기 쉬운 보습력을 향상시키게 되었다.
본 발명의 메이컵 화장료 조성물에서, 디스테아르디모늄헥토라이트의 함량이 0.3 중량% 미만이면 안정도가 떨어지며 1 중량% 초과이면 사용감이 떨어진다. 또한,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의 함량이 3 중량% 미만이면 안정도가 떨어지며 10 중량% 초과이면 사용감이 떨어진다. 또한, 소르비탄올리베이트의 함량이 0.3 중량% 미만이면 안정도와 보습력이 떨어지며 2 중량% 초과하면 사용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메이컵 화장료 조성물에서, 디스테아르디모늄헥토라이트은 어떤 것도 사용될 수 있으나, 구체적인 실시예로 ELEMENTIS사의 Bentone 38V를 사용하였고,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는 어떤 것도 사용될 수 있으나, 구체적인 실시예로 Dow Corning사의 DC9506를 사용하였고, 소르비탄올리베이트는 어떤 것도 사용될 수 있으나, 구체적인 실시예로 B&T사의 Olivem 900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메이컵 화장료 조성물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는 사이클로메치콘 또는 디메치콘 등과 같은 실리콘계 분산제에 분산시켜 10만 - 70만 CP(centipoise)의 점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인 실시예로 하얀 분말(white powder)형태의 Dow Corning사의 DC9506를 사이클로메치콘 및 디메치콘에 분산시켜 겔(gel) 상태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메이컵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들외에 색재(안료), 용매, 안정화제, 유화제, 방부제, 향료, 담체 등과 같은 통상의 유화 메이컵 화장료 조성물의 보조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실리콘 오일을 다량 함유하므로 본 제형의 사용감이 매우 우수한 특징을 가지면서도 안정도와 보습력이 우수한 특징을 가진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이들 실시 예에서 성분들의 함량은 중량 %이다.
(실시예 1내지 3 및 비교 실시예1내지 8)
하기 표1에 나타나 있는 성분 및 성분비(중량%)로 유화 메이컵 화장료를 제조하고 다음과 같이 안정도와 사용감을 측정하였다. 특히 디스테아르디모늄헥토라이트 와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함량 제한 실험을 병행 하였다.
안정도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50℃ 항온조에 넣은후 분리되는 시간에따라 3일 미만을 견딜경우 "하", 3일이상 30일 미만견딜경우 "중", 30일이상 견딜경우 "상"의 판단기준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안정도의 척도 기준으로 제타포텐셜을 측정하였는데, 제타포텐셜(Zeta-Potential) 이란 서스펜젼내 입자와 입자 사이의 제타전위를 측정하여 안정도의 척도로 사용하는 값으로 일반적으로 값의 절대치가 25이상인 경우를 안정한 계로 간주하며 제타포텐셜 측정장치인 DT-300 (Dispersion Technology, In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사용감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30명의 panel을 선정하여 각각 아래의 시료를 주고서는 1회 얼굴에 사용하게 한후 5점 만점을 척도로 판단한 후 그 수치의 평균을 나타내었다.
구 분 비교실시예 1 실시예 1 비교실시예 2 비교실시예3 실시예2
세틸디메치콘코폴리올 1.5 1.5 1.5 1.5 1.5
디메치콘코폴리올 4.5 4.5 4.5 4.5 4.5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1 - 4.0 4.0 4.0 4.0
폴리실리콘-11 4.0 - - - -
칼 슘스테아레이트 - - 0.7 - -
쿼터늄18헥토라이트 - - - 0.7 -
디스테아르디모늄헥토라이트*2 0.7 0.7 - - 0.7
소르비탄올리베이트*3 0.6 0.6 0.6 0.6 0.6
사이클로메치콘 15.0 15.0 15.0 15.0 15.0
디메치콘 10.0 10.0 10.0 10.0 10.0
색재 9.0 9.0 9.0 9.0 9.0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소듐클로라이드 1.2 1.2 1.2 1.2 1.2
자일리톨 1.5 1.5 1.5 1.5 1.5
부틸렌글리콜 2.0 2.0 2.0 2.0 2.0
방부제 qs qs qs qs qs
사용감 4.4 4.7 4.5 4.0 4.3
안정도
제타포텐셜(mV) 16 26 15 10 30
주) *1(DC9506,Dow Corning),*2(Bentone 38V,ELEMENTIS)*3(Olivem 900,B&T)
상기 표1에서,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대신에 폴리실리콘-11을 함유한 비교 실시예1은 안정도가 떨어지는 떨어지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디스테아르디모늄 헥토라이트 대신에 칼슘스테아레이트와 쿼터늄18 헥토라이트를 사용한 비교실시예2,3은 실시예1,2에 비해서 안정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에,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와 디스테아르디모늄 헥토라이트를 함유하는 실시예1,2는 사용도 및 안정도가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3 내지 8 및 비교 실시예 4 내지 7)
하기 표2에 나타나 있는 성분 및 성분비(중량%)로 유화 메이컵 화장료를 제조하고 다음과 같이 안정도와 사용감을 측정하였다. 본 실시예들에서는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와 디스테아르디모늄헥토라이트의 바람직한 성분비를 결정하는 실험을 하였다.
안정도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50℃ 항온조에 넣은후 분리되는 시간에따라 3일 미만을 견딜경우 "하", 3일이상 30일 미만견딜경우 "중", 30일이상 견딜경우 "상"의 판단기준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안정도의 척도 기준으로 제타포텐셜을 측정하였는데, 제타포텐셜(Zeta-Potential) 이란 서스펜젼내 입자와 입자 사이의 제타전위를 측정하여 안정도의 척도로 사용하는 값으로 일반적으로 값의 절대치가 25이상인 경우를 안정한 계로 간주하며 제타포텐셜 측정장치인 DT-300 (Dispersion Technology, In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사용감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30명의 panel을 선정하여 각각 아래의 시료를 주고서는 1회 얼굴에 사용하게 한후 5점 만점을 척도로 판단한 후 그 수치의 평균을 나타내었다.
구 분 비교실시예 4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5 비교실시예5 비교실시예6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비교실시예7
세틸디메치콘코폴리올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디메치콘코폴리올 4.5 4.5 4.5 4.5 4.5 4.5 4.5 4.5 4.5 4.5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1 2.0 3.0 5.0 10.0 11.0 5.0 5.0 5.0 5.0 5.0
디스테아르디모늄헥토라이트*2 0.7 0.7 0.7 0.7 0.7 0.2 0.3 0.5 1.0 1.1
소르비탄올리베이트*3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사이클로메치콘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디메치콘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색재 9.0 9.0 9.0 9.0 9.0 9.0 9.0 9.0 9.0 9.0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소듐클로라이드 1.2 1.2 1.2 1.2 1.2 1.2 1.2 1.2 1.2 1.2
자일리톨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부틸렌글리콜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방부제 qs qs qs qs qs qs qs qs qs qs
사용감 4.4 4.7 4.5 4.0 3.3 4.5 4.7 4.6 4.8 3.0
안정도
제타포텐셜(mV) 16 26 29 30 30 18 28 29 33 34
주) *1(DC9506,Dow Corning),*2(Bentone 38V,ELEMENTIS)*3(Olivem 900,B&T)
상기 표2에서,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를 2 중량% 함유하는 비교 실시예4는 사용감은 우수하나 안정도가 떨어지는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를 11 중량% 함유하는 비교 실시에5는 안정도는 우수하나 사용감이 떨어진다.
이에 비하여,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를 3 내지 10 중량% 함유하는 실시예3부터 5까지는 사용감과 안정도 모든면에서 우수하여 특허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또한, 디스테아르디모늄헥토라이트를 0.2 중량% 함유하는 비교실시예 6은 사용감은 우수하나 안정도가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디스테아르디모늄헥토라이트를 1.1 중량% 함유하는 비교실시예7는 안정도는 우수하나 사용감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진다.
이에 비하여, 디스테아르디모늄헥토라이트를 0.3 내지 1.0 중량% 함유하는 실시예6부터 8까지는 사용감과 안정도 모든면에서 우수하여 특허의 범위내에 포함된다.
(실시예 9 내지 11 및 비교 실시예 8 내지 12)
하기 표3에 나타나 있는 성분 및 성분비(중량%)로 유화 메이컵 화장료를 제조하고 다음과 같이 보습력과 사용감을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소르비탄올리베이트를 첨가하고 그중에서도 더욱 바람직한 성분비를 결정하는 실험을 하였다.
보습력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10명을 대상으로 각각 피부에 도포한뒤 90분후 피부 보습력 정도를 전기용량 측정방식에의한 피부보습력 측정장치인 Corneometer CM820P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 분 비교실시예 8 비교실시예 9 비교실시예 10 비교실시예11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비교실시예12
세틸디메치콘코폴리올 1.5 1.5 1.5 1.5 1.5 1.5 1.5 1.5
디메치콘코폴리올 4.5 4.5 4.5 4.5 4.5 4.5 4.5 4.5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1 4.0 4.0 4.0 4.0 4.0 4.0 4.0 4.0
디스테아르디모늄헥토라이트*2 0.7 0.7 0.7 0.7 0.7 0.7 0.7 0.7
소르비탄올리베이트*3 - - - 0.2 0.3 1.0 2.0 2.1
트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 0.6 - - - - - - -
글리세린 - 0.6 - - - - - -
소듐히아루로네이트 - - 0.6 - - - - -
사이클로메치콘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디메치콘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색재 9.0 9.0 9.0 9.0 9.0 9.0 9.0 9.0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소듐클로라이드 1.2 1.2 1.2 1.2 1.2 1.2 1.2 1.2
자일리톨 1.5 1.5 1.5 1.5 1.5 1.5 1.5 1.5
부틸렌글리콜 2.0 2.0 2.0 2.0 2.0 2.0 2.0 2.0
방부제 qs qs qs qs qs qs qs qs
사용감 4.4 4.0 3.9 4.0 4.3 4.4 4.0 2.8
보습력(수분 증가량(㎕)) 10 8 11 11 23 26 29 33
안정도
제타포텐셜(mV) 25 19 26 17 28 28 30 29
주) *1(DC9506,Dow Corning),*2(Bentone 38V,ELEMENTIS)*3(Olivem 900,B&T)
상기 표3에서, 실시예들이 전체적으로 사용감과 안정성이 우수하나, 특히 소르비탄올리베이트을 0.3 내지 2.0 중량% 함유하는 실시예 13 내지 15의 경우 보습력이 더욱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실리콘유중수형 유화메이컵을 만드는데, 유상에 에몰리엔트로서 사용되는 오일로 실리콘류 오일만을 함유하면서도, 사용감 , 안정도 및 보습력이 우수한 조성물을 개발할 수 있다. 특히, 디스테아르디모늄헥토라이트 0.3 내지 1.0 중량%,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3.0 내지 10.0 중량%, 소르비탄올리베이트 0.3 내지 2.0 중량%를 함유시켜서, 다량실리콘 배합으로 야기 될 수 있는 안정도 및 보습력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Claims (3)

  1. 디스테아르디모늄헥토라이트 0.3 내지 1 중량%,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3 내지 10 중량% 및 소르비탄올리베이트 0.3 내지 2 중량%를 함유하는 실리콘 유중수형 메이컵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는 실리콘계 분산제에 분산시켜 10만 - 70만 CP의 점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유중수형 메이컵 화장료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분산제는 사이클로메치콘 또는 디메치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유중수형 메이컵 화장료 조성물.
KR10-2004-0007228A 2004-02-04 2004-02-04 실리콘 유중수형 메이컵 화장료 조성물 KR100531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228A KR100531726B1 (ko) 2004-02-04 2004-02-04 실리콘 유중수형 메이컵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228A KR100531726B1 (ko) 2004-02-04 2004-02-04 실리콘 유중수형 메이컵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231A KR20050079231A (ko) 2005-08-09
KR100531726B1 true KR100531726B1 (ko) 2005-11-29

Family

ID=37266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7228A KR100531726B1 (ko) 2004-02-04 2004-02-04 실리콘 유중수형 메이컵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17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2707A (ko) 2021-07-16 2023-01-26 코스맥스 주식회사 외곽 에멀전층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123B1 (ko) * 2007-10-11 2010-02-24 (주)아모레퍼시픽 거대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KR102346898B1 (ko) * 2021-07-20 2022-01-05 (주)나우코스 비타민c를 안정화한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2023A (en) * 1900-08-03 1902-06-10 John K Miller Leather-working machine.
KR19990047989A (ko) * 1997-12-08 1999-07-05 임충헌 디메체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로 된 겔상의화장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020007062A (ko) * 2000-07-15 2002-01-26 손 경 식 실리콘유중수형 에멀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0322497B1 (ko) * 1999-01-30 2002-02-07 임충헌 피부보습용 에멀젼 조성물 및 그 제법
US6407044B2 (en) * 1998-01-28 2002-06-18 The Proctor & Gamble Company Aerosol personal cleansing emulsion compositions which contain low vapor pressure propellan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2023A (en) * 1900-08-03 1902-06-10 John K Miller Leather-working machine.
KR19990047989A (ko) * 1997-12-08 1999-07-05 임충헌 디메체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로 된 겔상의화장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US6407044B2 (en) * 1998-01-28 2002-06-18 The Proctor & Gamble Company Aerosol personal cleansing emulsion compositions which contain low vapor pressure propellants
KR100322497B1 (ko) * 1999-01-30 2002-02-07 임충헌 피부보습용 에멀젼 조성물 및 그 제법
KR20020007062A (ko) * 2000-07-15 2002-01-26 손 경 식 실리콘유중수형 에멀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2707A (ko) 2021-07-16 2023-01-26 코스맥스 주식회사 외곽 에멀전층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231A (ko) 2005-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8345B1 (en) Stable top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solid elastomeric organopolysiloxane and spherical particles
US8597628B2 (en) Cosmetic water-in-oil emulsion compositions
JPH05311076A (ja) ゲル状シリコーン組成物
BRPI0819078B1 (pt) composição cosmética fluida para cuidado pessoal e/ou maquiagem na forma de uma emulsão água-em-óleo dedicada à pele e método cosmético para maquiar não terapeuticamente a pele.
US11510863B2 (en) Water-in-oil emulsion cosmetics
US20190076342A1 (en) Aqueous cosmetic composition
EP2692333B1 (en) Water-in-oil emulsified cosmetic
KR102498844B1 (ko) 무기자외선차단제 고함유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1336863B1 (ko) 실리콘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4250093B2 (ja) 化粧料
KR20130117151A (ko) 내열성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100531726B1 (ko) 실리콘 유중수형 메이컵 화장료 조성물
KR102202394B1 (ko) 알긴을 함유하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CN112912061A (zh) 润泽持久型化妆料组合物
KR102003982B1 (ko) 금속산화물을 포함하는 유중폴리올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1150838B1 (ko) 젤 타입 실리콘중수(w/s)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KR20220056671A (ko) 무기분체를 안정적으로 내포하는 워터 드롭 매크로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65865B1 (ko) 젤라틴형 조성물
CN111132650A (zh) 化妆用或皮肤病学的油包水乳液
JP2000281554A (ja) 粉末含有油中水型乳化化粧料
KR100451321B1 (ko) 실온유화형 워터인 실리콘 메이컵 화장료 조성물
US20210220245A1 (en) An oily composition
US20030124081A1 (en) Stable top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solid elastomeric organopolysiloxane and spherical particles
US20220409501A1 (en) Cosmetic composition
KR20010047861A (ko) 메이컵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