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0027B1 - The compound structure using the concrete blo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Google Patents

The compound structure using the concrete blo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0027B1
KR100530027B1 KR10-2003-0051024A KR20030051024A KR100530027B1 KR 100530027 B1 KR100530027 B1 KR 100530027B1 KR 20030051024 A KR20030051024 A KR 20030051024A KR 100530027 B1 KR100530027 B1 KR 100530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mposite structure
revetment
block body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10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11948A (en
Inventor
이근희
Original Assignee
이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희 filed Critical 이근희
Priority to KR10-2003-0051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0027B1/en
Publication of KR20050011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19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027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절개지의 도수로와 산마루 측구 및 점검통로의 3개 부분을 동시에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탈면 보호블록을 시공할 경우 이들 모두가 일체로 연결 시공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able to construct three parts of the raceway and the ridge side entrance and the inspection passage of the road cutout site, but also when constructing a slope protection block, the composite structure using a concrete block so that all of them can be connected integrally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hi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비탈면을 다지고 정리하는 단계; 상기 비탈면에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호안블록들을 격자방향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일측의 호안블록의 철근에 타측의 호안블록의 철선을 묶어 호안블록들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좌우측 호안블록들 사이에 계단블록들을 배치함과 동시에 비탈면을 따라 계단블록들을 밀착시켜 설치하는 단계; 상기 호안블록들에 토사를 채워 복토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으로써, 도로절개지의 도수로와 산마루 측구 및 점검통로의 3개 공종을 동시에 만족시켜 공기단축과 시공품질향상, 예산절감효과와 고질적인 결손 공종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탈면 보호블록을 시공하는 경우 시공이 모두 일체로 연결 시공되므로 더욱 견고한 시공이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compacting and cleaning the slope; Arranging the revetment blocks having a predetermined cross-sectional shape on the inclined surface in a lattice direction and simultaneously connecting the revetment blocks by tying the wires of the revetment blocks on the other side to the rebars of the revetment blocks on one side; Arranging the step blocks between the left and right revetment blocks and simultaneously installing the step blocks along the slope; By filling the earth and sand into the revetment blocks, it satisfies the three works of the road cutout, the ridge side opening and the inspection passage at the same time to solve the air shortening and construction quality improvement, budget saving effect and chronic defects Not only can the construction of the slope protection block, because the construction is all connected in one pie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more robust construction is made.

Description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The compound structure using the concrete blo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The compound structure using the concrete blo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각의 개별적으로 나누어진 도로절개지의 도수로와 산마루 측구 및 점검통로가 일체로 연결 시공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structure using a concrete block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in particular, a composite structure using a concrete block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channel and the ridge side opening and inspection passage of each individually divided road cutting site integrally and It is about his construction method.

일반적으로 산비탈과 같은 급경사면에는 산마루 배수로가 설치되는데, 상기한 산마루 배수로는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하절기와 같은 때 발생되는 집중호우시 산사태 등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Generally, a ridged drainage path is installed on a steep slope such as a mountain slope. The ridged drainage path is installed to smoothly flow water and to prevent landslides during heavy rains such as during summer season.

여기서, 상기한 산마루 배수로에 사용되는 구조물은 U자 형태로 개방된 부분이 위를 향하도록 콘크리트 구조체로 제작되어 지중에 매설되고 급경사면에 콘크리트 구조물이 설치되어 배수로를 형성한다.Here, the structure used for the ridged drainage channel is made of a concrete structure so that the open portion in the U-shape facing up is buried in the ground and the concrete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steep slope to form the drainage.

한편, 상기한 급경사면에 설치되어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는 구조는 섬유 마대를 급경사면에 설치하여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거나, 앵커체를 급경사면의 지중에 설치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지하는 경우 및 콘크리트 블록을 급경사면에 설치하고, 그 사이에 배수로를 형성시키는 등 다양한 종류의 것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ructure installed on the steep slope to prevent the loss of soil is installed on the steep slope of the fiber to prevent the loss of soil, or to install the anchor in the ground of the steep slope to support the concrete structure and concrete There are various types of blocks, such as providing a block on a steep slope and forming a drainage channel therebetween.

여기서, 산비탈 등과 같은 급경사면을 절토한 후 도로를 건설할 경우 상기 도로와 인접한 급경사면에는 산사태를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이 설치되는데, 상기 도로와 콘크리트 구조물의 사이에는 도수로가 설치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그 중간부에 물이 흘러갈 수 있도록 경사면을 따라 배수로가 설치되며, 상기 배수로에는 최상부측에 산마루 측구가 형성되는데, 상기 산마루 측구는 도로에 인접하여 설치된 도수로와 평행한 상태로 형성된다.Here, when constructing a road after cutting a steep slope such as a mountain slope, a concrete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steep slope adjacent to the road to prevent landslides, and a raceway is installed between the road and the concrete structure, and the concrete structure. The drainage passage is provid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so that water flows in the middle portion thereof, and the ridge side opening is formed at the top side of the drainage passage, and the ridge side opening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raceway installed adjacent to the road.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산마루 배수로는 급경사면에 설치하는 관계로 인하여 장마철과 같은 하절기에 배수로의 물이 월류되어 배수로 주변의 토사를 유실시키는 경우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사면의 슬라이딩 현상으로 산사태 등과 같은 자연재해가 발생되어 도로가 차단되는 등의 막대한 호우 피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ridged drainage channel as described above on the steep slope, water in the drainage channel overflows during the summer season such as the rainy season, resulting in the loss of earth and sand around the drainage. There is a problem that a heavy rain damage such as natural roads are generated and roads are blocked.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도수로의 전체를 일률적으로 경사지게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에는 콘크리트의 타설과 양생에 따른 공사기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시공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유수가 흐를때에도 유속을 감속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어서 유수가 도수로 밖으로 튀어나가 쇄굴현상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crete is placed in a uniformly sloped whole of the raceway, the construction period is long due to the placing and curing of the concrete, so that the workability is not reduced and the flow rate is difficult to decrease even when the flow is flowing. There is a problem that pops out of the raceway to cause crushing phenomenon.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도로절개지의 도수로와 산마루 측구 및 점검통로의 3개 부분을 동시에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탈면 보호블록을 시공할 경우 이들 모두가 일체로 연결 시공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not only to construct three parts of the raceway and ridge side entrance and the inspection passage of the road cutout at the same time, but also when installing the slope protection block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osite structure using a concrete block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so that all can be connected integrally.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전후좌우 내측으로 요입 형성된 블록본체와 상기 블록본체의 중앙에 형성된 공간부를 이등분하게 설치된 격벽과 상기 블록본체의 표면을 종횡으로 가로질러 형성됨과 동시에 블록본체의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로 요입 형성되는 배수홈과 상기 블록본체의 일측면 2개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노출 형성되는 철근과 상기 블록본체의 타측면 2개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노출 형성되는 철선으로 이루어지는 호안블록들과; The composite structure using the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made of a quadrangular shape as a whole, the partition body and the block is formed bipartly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lock body and the main body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right and left Drain grooves are formed across the surface of the body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nd are recessed to a certain depth from the surface of the block body, and rebars each formed on two corner portions of one side of the block body and two other sides of the block body. Andanol blocks made of iron wires each exposed at the corner portion;

전체적으로 H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전면벽과 상기 전면벽내에서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된 도수로와 상기 도수로의 좌우측에 각각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내측면이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좌우측벽과 상기 좌우측벽에 각각 일체로 부착 형성됨과 동시에 좌우측벽으로부터 외측 모서리부위가 축소 형성되는 단면축소부와 상기 단면축소부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노출 형성되는 철근으로 이루어지는 계단블록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front wall made of H shape as a whole and the raceway formed in a predetermined cross-sectional shape in the front wall and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and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respectively formed integrall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aceway, and the inner side have a predetermined slope, respectively. At the same time,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step block consisting of a cross section reduction portion is formed at the same time as the outer edge portion is reduced from the left and right side wall and the reinforcing bars are exposed to the corner portion of the cross section reduction portion.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 시공방법은 비탈면을 다지고 정리하는 단계; 상기 비탈면에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호안블록들을 격자방향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일측의 호안블록의 철근에 타측의 호안블록의 철선을 묶어 호안블록들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좌우측 호안블록들 사이에 계단블록들을 배치함과 동시에 비탈면을 따라 계단블록들을 밀착시켜 설치하는 단계; 상기 호안블록들에 토사를 채워 복토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mposit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step of preparing and cleaning the slope; Arranging the revetment blocks having a predetermined cross-sectional shape on the inclined surface in a lattice direction and simultaneously connecting the revetment blocks by tying the wires of the revetment blocks on the other side to the rebars of the revetment blocks on one side; Arranging the step blocks between the left and right revetment blocks and simultaneously installing the step blocks along the slope;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consisting of covering the earth and sand filled in the revetment block.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이 호안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이 호안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의 도수로 겸용 계단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의 호안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의 연결부분을 도시한 상세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mposite structure using a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lake, and FIG. 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mposite structure using a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lake.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way combined staircase block of a composite structure using a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lief block of a composite structure using a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resent invention It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omposite structure using a concrete block according to.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전후좌우 내측으로 요입 형성된 블록본체(11)와 상기 블록본체(11)의 중앙에 형성된 공간부를 이등분하게 설치된 격벽(14)과 상기 블록본체(11)의 표면을 종횡으로 가로질러 형성됨과 동시에 블록본체(11)의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로 요입 형성되는 배수홈(15)과 상기 블록본체(11)의 일측면 2개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노출 형성되는 철근(16)과 상기 블록본체(11)의 타측면 2개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노출 형성되는 철선(17)으로 이루어지는 호안블록(10)들과;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composite structure using the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the spac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lock body 11 and the block body 11 formed in the recesses in front, rear, left and right The drain 14 and the block body 11 are formed in two equally spaced partitions 14 and the surface of the block body 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concavely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surface of the block body 11. And revetment block (10) consisting of reinforcing bars (16) formed on each of the two corner portions of one side of the side and iron wires (17) formed on each of the two corner portions of the other side of the block body (11);

전체적으로 H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전면벽(21)과 상기 전면벽(21)내에서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된 도수로(22)와 상기 도수로(22)의 좌우측에 각각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내측면이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좌우측벽(23)과 상기 좌우측벽(23)에 각각 일체로 부착 형성됨과 동시에 좌우측벽(23)으로부터 외측 모서리부위가 축소 형성되는 단면축소부(24)와 상기 단면축소부(24)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노출 형성되는 철근(25)으로 이루어지는 계단블록(20)들로 구성된다.The front wall 21, which is generally H-shaped, and the raceway 22 formed in a predetermined cross-sectional shape in the front wall 21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aceway 22 are integrally formed, and at the same time, the inner side has a predetermined slope. The cross-sectional reduction part 24 and the cross-sectional reduction part 24 which are integrally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23 and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23 formed to have a shape, and at the same time the outer edges are reduced from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23. Consists of the step block 20 consisting of reinforcing bars 25 are formed in each of the corners of the exposed portion.

여기서, 상기 블록본체(11)는 일정한 폭과 두께 및 높이를 가지며 일체로 형성되되, 상하좌우가 내측으로 절개 형성되는 요부(12)와 상기 요부(12)에 인접된 네 모서리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철부(13)로 구성되며, 상기 블록본체(11)의 표면에 형성된 배수홈(15)이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된다.Here, the block body 11 is formed integrally with a predetermined width, thickness and height, the upper and lower left and right are formed in the recess 12 and the four corners adjacent to the recess 12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s Consists of the convex portion 13, the drain groove 15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lock body 11 is formed to cross each other.

또한, 상기 호안블록(10)의 철근(16)은 블록본체(11)의 일측면 2개의 모서리에 설치되되, 그 일측이 블록본체(11)의 모서리 내측으로 매입됨과 동시에 타측은 ㄱ자로 상향으로 꺾여지도록 형성된 구조이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bar 16 of the revetment block 10 is installed at two corners of one side of the block body 11, the one side is embedded into the corner of the block body 11 and the other side upwards to the letter "A". It is a structure formed to be bent.

그리고, 상기 도수로(22)는 삼각 형상의 산과 V자 형상의 골이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소정의 너비 및 높이를 갖는 다수개의 단으로 이루어지는 계단부(22a)가 형성되며, 상기 도수로(22)에는 소정의 위치에 다수개의 인서트(22b)가 삽입 형성된다.In addition, the raceway 22 has a triangular mountain and a V-shaped valley repeatedly formed therein, and a stepped portion 22a formed of a plurality of stages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height is formed. A plurality of inserts 22b are inserted into a predetermined position.

한편, 상기 호안블록(10)과 계단블록(20)의 철근(16, 25)은 일측이 내측으로 매입됨과 동시에 타측은 ㄱ자로 상향으로 꺾여지도록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inforcing bar 16, 25 of the revetment block 10 and the stair block 20 is formed so that one side is embedded inward and the other side is bent upwards to the letter "A".

즉,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은 호안블록(10)들과 계단블록(20)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That is, the composite structure using the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consisting of the organic eye block 10 and the step block 20 is organically combined.

여기서, 상기 호안블록(10)의 블록본체(11)는 전체적인 단면형상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사각형의 전후좌우의 중앙이 그 내측으로 일정부분이 꺾여져 들어간 형상이며, 전후좌우의 양단의 네 모서리는 상대적으로 일정부분이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Here, the block body 11 of the raft block 10 is made of a rectangular cross-section of the overall cross-sectional shape, the center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of the square is a certain portion bent into the inside, the four sides of the front and rear, right and left The corner is formed in a shape where a certain portion protrudes relatively.

즉, 상기 블록본체(11)는 일정한 폭과 두께 및 높이를 가지며 일체로 형성되되, 상하좌우가 내측으로 절개 형성되는 요부(12)와 상기 요부(12)에 인접된 네 모서리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철부(13)로 구성된다.That is, the block body 11 is formed integrally with a predetermined width, thickness and height, the upper and lower left and right are formed in the recess 12 and the four corners adjacent to the recess 12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s Consists of the convex portion 13 to be.

한편, 상기 블록본체(11)는 그 상면과 하면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블록본체(11)의 관통부분의 전후좌우를 감싸는 부분에는 격벽(14)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block body 11 is formed so that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the partition wall 14 is formed in the portion surrounding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of the through portion of the block body (11).

이와 같이 상기 블록본체(11)에 격벽(14)을 형성시키는 이유는 호안블록(10)을 비탈면에 설치한 후, 상기 호안블록(10)의 관통부분을 복토하여, 식생공간으로 제공되며, 이러한 식생공간의 토사가 비탈면의 아래로 유실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토록 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for forming the partition wall 14 on the block body 11 as described above is to provide the vegetation space by covering the penetrating portion of the raft block 10 after installing the raft block 10 on the slope. This is to prevent the soil of vegetation space from being lost under the slope.

또한, 상기 블록본체(11)에는 그 표면을 따라 종횡으로 가로질러 격자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그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로 파인 배수홈(15)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block body 11 has a drainage groove 15 which is formed in a lattice shape along the surface in the form of a lattice and at a certain depth from the surface.

이와 같이 상기한 블록본체(11)에 배수홈(15)을 형성시키는 이유는 호안블록(10)을 비탈면에 설치한 후 비탈면에 떨어지는 우수의 누수 및 이탈요인을 근절시키기 위함이다.The reason for forming the drainage groove 15 in the block body 11 as described above is to eradicate the leakage and escape factors of rain falling on the slope after installing the revetment block 10 on the slope.

즉, 상기한 배수홈(15)을 따라 우수가 원활하게 흘러가도록 할뿐만 아니라 호안블록(10)의 주변에서 생장하는 식물의 성장에 영양분을 공급토록 하기 위함이다.That is, to not only allow rainwater to flow smoothly along the drainage groove 15, but also to supply nutrients to the growth of plants growing in the vicinity of the revetment block 10.

한편, 상기 블록본체(11)의 일측면에는 2개의 철근(16)의 일부분이 매입되며, 타측면에는 2개의 철선(17)의 일부분이 매입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 portion of the two reinforcing bar 16 is embedded in one side of the block body 11, a portion of the two iron wire 17 is embedded in the other side.

이는 호안블록(10)간을 연결하되, 블록본체(11)의 철근(16)과 블록본체(11)의 철선(17)을 연결할 때, 그 연결부분의 결합을 긴밀하게 결속시키기 위해 블록본체(11)의 일측면에 철근(16) 2개를 일부가 블록본체(11)에 매입됨과 동시에 외부로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형성한다.This is connected between the revetment block 10, when connecting the reinforcing bar 16 of the block body 11 and the iron wire 17 of the block body 11, the block body (B) in order to closely bind the coupling of the connection portion ( At one side of 11) two reinforcing bar 16 is partially embedded in the block body 11 and at the same time a part of the reinforcement is exposed to the outside.

이와 마찬가지로, 블록본체(11)의 타측면에도 철선(17) 2개를 일부가 블록본체(11)에 매입됨과 동시에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형성한다.Similarly, two wires 17 are also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lock body 11 in a state in which a part is embedded in the block body 11 and a part is exposed to the outside.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호안블록(10)에 철근(16)과 철선(17)을 형성시킨 이유는 호안블록(10)간을 연결할 때 호안블록(10)의 ㄱ자형 철근(16)에 호안블록(10)의 철선(17)을 감아 묶어서 긴밀히 결속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reason why the reinforcing bar 16 and the iron wires 17 are formed in the revetment block 10 is that the relieving block in the L-shaped reinforcement 16 of the relieving block 10 when connecting between the relieving block 10. This is to bind the iron wire 17 of (10) and bind it tightly.

이어서, 상기한 호안블록(10)간의 연결부분에 콘크리트(18)를 타설하여 연결부분을 일체로 형성한다.Subsequently, the concrete 18 is poured into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rake block 10 to form a connection portion integrally.

이는 상기한 콘크리트(18)가 철근(16)과 철선(17)의 부식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단위체로 이루어진 호안블록(10)을 하나의 일체형 호안블록(10) 으로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자유롭도록 하기 위함이다.  This not only prevents the concrete 18 from corrosion of the reinforcing bar 16 and the iron wire 17, and ultimately frees the raft block 10 made of the unit with one integrated raft block 10 from external influences. To do this.

한편, 상기 계단블록(20)의 도수로(22)는 삼각 형상의 산과 V자 형상의 골이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소정의 너비 및 높이를 갖는 다수개의 단으로 이루어지는 계단부(22a)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raceway 22 of the staircase block 20 is a triangular-shaped mountain and V-shaped valleys are formed repeatedly, a step portion 22a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tages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height is formed.

이는 상기 도수로(22)의 최상단 계단부(22a)에 우수가 일정한 높이 이상이 고이면 삼각 형상의 산과 V자 형상의 골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계단부(22a)를 우수가 타고 넘어서 완만하게 흘러내려 가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means that if rainwater is accumulated above a predetermined height at the uppermost step portion 22a of the raceway 22, the rainwater flows gently over the stairs portion 22a in which triangular mountains and V-shaped valleys are repeatedly formed. For sake.

즉, 최상단으로부터 하부까지 일시에 급격하게 흘러내리는 것이 아니라 도수로(22)의 계단부(22a)에 고여 유속이 감소되면서 점차 하부로 흘러내리도록 하여 유수가 튀어 쇄굴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기 위함이다.That is, instead of flowing rapidly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part at a time, the flow rate decreases at the stepped portion 22a of the raceway 22 so that the flow rate is gradually lowered to prevent the flow of water from splashing. to be.

또한, 상기 도수로(22)에는 소정의 위치에 다수개의 인서트(22b)가 삽입 형성되는 바, 이는 필요에 따라 추후에 난간(30) 설치시 난간(30)의 지지부(31)를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inserts 22b are inserted into the raceway 22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hich facilitates the installation of the support part 31 of the handrail 30 when the handrail 30 is installed later. For sak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 시공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struction of a composite structure using a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 시공방법은 비탈면을 다지고 정리하는 단계; 상기 비탈면에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호안블록(10)들을 격자방향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일측의 호안블록(10)의 철근(16)에 타측의 호안블록(10)의 철선(17)을 묶어 호안블록(10)들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좌우측 호안블록(10)들 사이에 계단블록(20)들을 배치함과 동시에 비탈면을 따라 계단블록(20)들을 밀착시켜 설치하는 단계; 상기 호안블록(10)들에 토사를 채워 복토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The composit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and trimming the slope; Arrange the raft block 10 having a predetermined cross-sectional shape on the inclined surface in the lattice direction and bind the iron wire 17 of the raft block 10 on the other side to the rebar 16 of the raft block 10 on one side Connecting blocks 10; Arranging the step blocks 20 between the left and right revetment blocks 10 and installing the step blocks 20 in close contact with the slope; Filling the earth and sand to the rake block 10 consists of a step of covering.

여기서, 상기 비탈면 다짐 후 비탈면 하단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하여 시공한다.Here, after the compaction of the slope, the concrete is added to the bottom of the slope to form a foundation by adding a step.

또한, 상기 호안블록(10)의 철근(16)과 철선(17)의 연결은 비탈면의 하부에 설치되는 호안블록(10)의 철근(16)이 ㄱ자 부분이 직상면을 향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호안블록(10)들을 나란하게 배치한 후, 상기 인접하여 설치된 호안블록(10)들의 철근(16)에 반대측에 설치된 상기 호안블록(10)들의 철선(17)을 다수회 감싸 묶어서 이들을 일체로 연결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reinforcing bar 16 and the iron wire 17 of the revetment block 10 i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reinforcing bar 16 of the revetment block 10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lope face toward the upper surface. After arranging the rafting blocks 10 side by side, the wires 17 of the rafting blocks 10 install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reinforcing bars 16 of the neighboring rafting blocks 10 are enclosed several times to connect them integrally. do.

그리고, 상기 철근(16)에 철선(17)을 묶어서 호안블록(10)끼리를 연결한 후 이들 연결부분에 콘크리트(18)를 타설 양생시켜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하여 시공한다.Then, by connecting the reinforcing bar (17) to the reinforcing bar (16) to connect the revetment block 10 between each other by adding the step of forming the concrete 18 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se joints to form integrally.

즉,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 시공방법은 크게 비탈면 다짐단계, 호안블록(10) 배치 및 연결단계, 계단블록(20) 설치단계 및 토사 복토 단계를 순차적으로 시행하여 비탈면에 복합구조물을 시공한다.In other words, the composit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inclined surface slope structure, the step of placing and connecting the revetment block (10), step block 20 installation step and soil cover step by sequentially Construct it.

여기서, 상기 다짐단계는 먼저 호안블록(10) 및 계단블록(20)으로 이루어진 복합구조물을 설치할 비탈면을 다지고 정리하는 단계이다.Here, the compacting step is a step of compacting and arranging a slope to install a composite structure consisting of the revetment block 10 and the step block 20 first.

이어서, 상기 비탈면 다짐후 비탈면의 하단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여 기초부를 형성하되, 콘크리트를 타설함에 있어서 콘크리트의 상면 중 호안블록(10)이 적층될 부위는 그 기울기가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한다.Subsequently, after the compaction of the slope, the concrete is placed on the bottom of the slope to cure to form a foundation. However, when placing concrete, the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on which the revetment block 10 is to be stacked is inclined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slope. do.

이어서, 상기 호안블록(10) 배치 및 연결단계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부를 형성한 후, 일정한 규격의 호안블록(10)의 상하단을 중장비로 고정시켜 인양하여 비탈면의 정위치에 부설한 후, 인접한 호안블록(10)끼리 맞댄 채 일측 호안블록(10)의 ㄱ자형 철근(16)에 타측 호안블록(10)의 철선(17)을 다수회 감싸서 연결하며, 이들 연결부분에 콘크리트(18)를 타설 양생시켜 연결부분을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를 병용하여 호안블록(10)간을 연결하여 시공하면, 호안블록(10)의 시공은 완료된다.Subsequently, the placement and connection step of the revetment block 10 is formed by pouring concrete to form the foundation, and then fixed by lift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evetment block 10 of a predetermined standard with heavy equipment, and then laid in the correct position of the slope surface, adjacent to Wrap the iron wire (17) of the other raft block (10) to the L-shaped reinforcement (16) of one of the raft block (10) while facing each other, and connect the concrete (18) to these connection portion By curing and connecting the joints between the revetment block 10 in combination with the step of integrally forming, the construction of the revetment block 10 is completed.

즉, 상기 호안블록(10)간의 연결부분의 결속을 철근(16) 2개에 철선(17) 2개를 감아서 묶어 결속시킨 후 그 연결부분을 콘크리트(18)로 채움으로써, 콘크리트(18)의 피복에 의하여 철근(16)과 철선(17)이 우수로 인하여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호안블록(10)간 결합을 한층 더 견고히 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That is, the binding of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revetment block 10 is tied by binding two wires (17) to two reinforcing bars (16), and then the connection portion is filled with concrete (18), concrete (18) By the coating of the reinforcing bar 16 and the wire 17 is not only prevented from being corroded due to the excellen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further strengthen the bond between the revetment block (10).

그 후, 필요에 따라 호안블록(10)의 격벽(14)내 관통부위를 복토한 후 식재 또는 씨뿌리기 작업을 수행하면 입체적으로 비탈면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우수의 침투를 증가시켜 수자원 함양을 가능하게 하고, 자연환경과 조화시켜 시각적 미감을 도모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Then, if necessary, after covering the penetrating portion in the partition 14 of the revetment block 10 and planting or sowing, it not only protects the slope in three dimensions, but also increases the penetration of rainwater to enable water resource cultivation.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harmonize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to achieve a visual aesthetic.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예로 들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이 비탈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중앙부 도수로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mposite structure using a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slope, and FIG.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entral raceway of FIG. 3.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전후좌우 내측으로 요입 형성된 블록본체(11)와 상기 블록본체(11)의 중앙에 형성된 공간부를 이등분하게 설치된 격벽(14)과 상기 블록본체(11)의 표면을 종횡으로 가로질러 형성됨과 동시에 블록본체(11)의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로 요입 형성되는 배수홈(15)과 상기 블록본체(11)의 일측면 2개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노출 형성되는 철근(16)과 상기 블록본체(11)의 타측면 2개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노출 형성되는 철선(17)으로 이루어지는 호안블록(10)들과;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composite structure using the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the spac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lock body 11 and the block body 11 formed in the recesses in front, rear, left and right The drain 14 and the block body 11 are formed in two equally spaced partitions 14 and the surface of the block body 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concavely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surface of the block body 11. And revetment block (10) consisting of reinforcing bars (16) formed on each of the two corner portions of one side of the side and iron wires (17) formed on each of the two corner portions of the other side of the block body (11);

전체적으로 H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전면벽(21)과 상기 전면벽(21)내에서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된 도수로(22)와 상기 도수로(22)의 내측면 소정의 위치에 다수개가 삽입 형성된 인서트(22b)와 상기 도수로(22)의 좌우측에 각각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내측면이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좌우측벽(23)과 상기 좌우측벽(23)에 각각 일체로 부착 형성됨과 동시에 좌우측벽(23)으로부터 외측 모서리부위가 축소 형성되는 단면축소부(24)와 상기 단면축소부(24)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노출 형성되는 철근(25)으로 이루어지는 계단블록(20)들과; The front wall 21, which is generally H-shaped, and the raceway 22 formed in a predetermined cross-sectional shape in the front wall 21 and the insert 22b in which a plurality of inserts are insert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aceway 22. And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23 and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23, each of which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aceway 22, and whose inner side has a predetermined slope, are integrally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23, respectively. Step blocks 20 consisting of a cross-sectional reduction portion 24, the outer edge portion is formed to be reduced and the reinforcing bar 25, each exposed to the corner portion of the cross-sectional reduction portion 24;

상기 계단블록(20)의 철근(25)과 인서트(22b)에 각각 파이프가 용접 결합된 지지부(31)와 상기 지지부(31)의 상면에 용접 결합됨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파이프(32)로 이루어지는 난간(30)으로 구성된다.Handrails made of a support part 31 welded to a pipe 25 and an insert 22b of the step block 20 and a guide pipe 32 wel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31 and inclined downward. It consists of 30.

여기서, 상기 난간(32)은 호안블록(10)과 계단블록(20)의 주기적인 점검과 유지관리에 필수적인 구조물이다.Here, the handrail 32 is an essential structure for periodic inspection and maintenance of the guard block 10 and the stair block 20.

즉, 상기 난간(32)은 호안블록(10)과 계단블록(20)의 설치위치, 조건, 형식, 폭, 하부지지 조건 등의 제반 조건을 감안하여 주요 구조부를 항상 점검 할 수 있도록 출입시설 및 점검시설을 설치하여 구조물 각 부위의 기능상태, 노후로, 결함 등의 이상 유무 확인과 유지보수를 실시하기 위함이다. That is, the handrail 32 is an entrance facility so that the main structural part can always be check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conditions such as the installation position, condition, type, width, and lower support condition of the revetment block 10 and the step block 20. This is to check and maintain the functional status of each part of the structure, aging, defects, etc. by installing an inspection facility.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 시공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struction of a composite structure using a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 시공방법은 비탈면을 다지고 정리하는 단계; 상기 비탈면에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호안블록(10)들을 격자방향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일측의 호안블록(10)의 철근(16)에 타측의 호안블록(10)의 철선(17)을 묶어 호안블록(10)들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좌우측 호안블록(10)들 사이에 계단블록(20)들을 배치함과 동시에 비탈면을 따라 계단블록(20)들을 밀착시켜 설치하는 단계; 상기 계단블록(20)에 난간(30)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호안블록(10)들에 토사를 채워 복토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The composit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and trimming the slope; Arrange the raft block 10 having a predetermined cross-sectional shape on the inclined surface in the lattice direction and bind the iron wire 17 of the raft block 10 on the other side to the rebar 16 of the raft block 10 on one side Connecting blocks 10; Arranging the step blocks 20 between the left and right revetment blocks 10 and installing the step blocks 20 in close contact with the slope; Installing a handrail (30) on the stair block (20); Filling the earth and sand to the rake block 10 consists of a step of covering.

여기서, 상기 난간(30) 설치단계는 계단블록(20)의 도수로(22)에 형성된 인서트(22b)에 지지부(31)를 용접하여 연결하거나 또는 인서트(22b)의 외측으로 지지부(31)를 끼워서 고정한 후, 상기 지지부(31)와 안내파이프(32)를 용접하여 난간(30)을 설치할 수도 있다.Here, the step of installing the handrail 30 is connected by welding the support part 31 to the insert 22b formed in the raceway 22 of the staircase block 20 or by inserting the support part 31 to the outside of the insert 22b. After fixing, the handrail 30 may be installed by welding the support part 31 and the guide pipe 32.

또한, 필요에 따라 지지부(31)와 안내파이프(32)가 일체로 이루어진 난간(30)을 인서트(22b)에 용접이나 기타 방법에 의하여 설치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In addi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handrail 30, in which the support part 31 and the guide pipe 32 are integrally formed, may be installed on the insert 22b by welding or other methods, if necessar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mposite structur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은 도로절개지의 도수로와 산마루 측구 및 점검통로의 3개 공종을 동시에 만족시켜 공기단축과 시공품질향상, 예산절감효과와 고질적인 결손 공종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탈면 보호블록을 시공하는 경우 시공이 모두 일체로 연결 시공되므로 더욱 견고한 시공이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First, the composite structure using the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satisfy the three types of works, the channel of the cutaway, the ridge side opening and the inspection passage at the same time, thereby reducing the air quality, improving the construction quality, reducing the budget, and making a chronic defect. Not only can solve this problem, but when constructing a slope protection block, the construction is all connected in one pie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more robust construction is made.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은 하천호안의 친수시설용 계단도 공기단축과 시공품질향상이 개선되어 호안블록과 연결 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시공을 주저하는 기피공종과 부실시공이 우려되는 공종의 개선에 획기적인 이점이 있다.Secondly, the composite structure using the concrete blo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air shortening and construction quality of the hydrophilic facility staircase in the riverside lake, and it is possible to connect with the lakeside block as well as to avoid the hesitant construction and failure to hesitate construction. There is a significant advantage in improving the construction of construction concer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이 호안에 설치된 1 is a composite structure using a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lake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이 호안에 설치된 2 is a composite structure using a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lake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Floor plan showing the stat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이 비탈면에 설치3 is a composite structure using a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the slope

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도 4는 도 3의 중앙부 도수로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entral raceway of FIG. 3;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의 도수로 겸용 5 is combined with the raceway of the composite structure using a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계단블록을 도시한 사시도,Perspective view of a step block,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의 호안블록을 Figure 6 is a relief block of the composite structure using a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사시도,Illustrated Perspectiv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의 연결부분을 7 is a connection portion of the composite structure using a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상세도. Detailed view show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 : 호안블록 11 : 블록본체10: Hoan block 11: Block body

12 : 요부 13 : 철부12: main part 13: iron

14 : 격벽 15 : 배수홈14: bulkhead 15: drain groove

16 : 철근 17 : 철선16: rebar 17: iron wire

18 : 콘크리트 20 : 계단블록18: Concrete 20: Stair Block

21 : 전면벽 22 : 도수로21: front wall 22: raceway

22a : 계단부 22b : 인서트22a: staircase 22b: insert

23 : 좌우측벽 24 : 축소부23: left and right side wall 24: reduced portion

25 : 철근 30 : 난간25: rebar 30: railing

31 : 지지부 32 : 안내파이프31: support portion 32: guide pipe

Claims (22)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전후좌우 내측으로 요입 형성된 블록본체와 상기 블록본체의 중앙에 형성된 공간부를 이등분하게 설치된 격벽과 상기 블록본체의 표면을 종횡으로 가로질러 형성됨과 동시에 블록본체의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로 요입 형성되는 배수홈과 상기 블록본체의 일측면 2개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노출 형성되는 철근과 상기 블록본체의 타측면 2개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노출 형성되는 철선으로 이루어지는 호안블록들과;It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and is formed across the surface of the block body and the partition wall formed in two parts in the center of the block body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right and left and the block body and the surface of the block body vertically and at a constant depth from the surface of the block body. A drain block formed of a drain groove formed in a concave recess and reinforcing bars respectively exposed at two corner portions of one side of the block body and iron wires respectively exposed at two corner portions of the other side of the block body; 전체적으로 H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전면벽과 상기 전면벽내에서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된 도수로와 상기 도수로의 좌우측에 각각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내측면이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좌우측벽과 상기 좌우측벽에 각각 일체로 부착 형성됨과 동시에 좌우측벽으로부터 외측 모서리부위가 축소 형성되는 단면축소부와 상기 단면축소부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노출 형성되는 철근으로 이루어지는 계단블록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 The front wall made of H shape as a whole and the raceway formed in a predetermined cross-sectional shape in the front wall and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and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respectively formed integrall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aceway, and the inner side have a predetermined slope, respectively. The composite structure using a concrete block,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tep block formed of a cross-sectional reduction portion is formed at the same time and the outer edge portion is reduced from the left and right side wall and the reinforcing bars are exposed to the corner portion of the cross-sectional reduction portion at the same tim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도수로는 삼각 형상의 산과 V자 형상의 골이 반복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 The raceway composite structure using a concrete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triangular mountain and V-shaped valleys are formed repeatedly.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도수로는 소정의 너비 및 높이를 갖는 다수개의 단으로 이루어지는 계단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The raceway is a composite structure using a concrete block,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tep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tages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height.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도수로에는 소정의 위치에 다수개의 인서트가 삽입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Composite structure using a concrete block,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inserts are form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raceway.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철근은 일측이 내측으로 매입됨과 동시에 타측은 ㄱ자로 상향으로 꺾여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The reinforcement is a composite structure using a concrete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side is embedded inward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to be bent upwards to the letter "A".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전후좌우 내측으로 요입 형성된 블록본체와 상기 블록본체의 중앙에 형성된 공간부를 이등분하게 설치된 격벽과 상기 블록본체의 표면을 종횡으로 가로질러 형성됨과 동시에 블록본체의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로 요입 형성되는 배수홈과 상기 블록본체의 일측면 2개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노출 형성되는 철근과 상기 블록본체의 타측면 2개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노출 형성되는 철선으로 이루어지는 호안블록들과;It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and is formed across the surface of the block body and the partition wall formed in two parts in the center of the block body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right and left and the block body and the surface of the block body vertically and at a constant depth from the surface of the block body. A drain block formed of a drain groove formed in a concave recess and reinforcing bars respectively exposed at two corner portions of one side of the block body and iron wires respectively exposed at two corner portions of the other side of the block body; 전체적으로 H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전면벽과 상기 전면벽내에서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된 도수로와 상기 도수로의 내측면 소정의 위치에 다수개가 삽입 형성된 인서트와 상기 도수로의 좌우측에 각각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내측면이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좌우측벽과 상기 좌우측벽에 각각 일체로 부착 형성됨과 동시에 좌우측벽으로부터 외측 모서리부위가 축소 형성되는 단면축소부와 상기 단면축소부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노출 형성되는 철근으로 이루어지는 계단블록들과; The front wall which is generally H-shaped and the raceway formed in a predetermined cross-sectional shape in the front wall and the inner side of the raceway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aceway, and the inner side is predetermined. Step blocks made of left and right side walls and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form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and integrally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and at the same time the outer edges are reduced from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and the rebars exposed at the edges of the cross-sectional reduction parts. and; 상기 계단블록의 철근과 인서트에 각각 파이프가 용접 결합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용접 결합됨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파이프로 이루어지는 난간으로 구성됨을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 Composite structure using a concrete block,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railing consisting of a guide pipe wel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pipe is welded to the reinforcement and the insert of the staircase block, respectively. 제 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도수로는 삼각 형상의 산과 V자 형상의 골이 반복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 The raceway composite structure using a concrete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triangular mountain and V-shaped valleys are formed repeatedly. 제 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도수로는 소정의 너비 및 높이를 갖는 다수개의 단으로 이루어지는 계단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The raceway is a composite structure using a concrete block,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tep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tages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height. 제 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철근은 일측이 내측으로 매입됨과 동시에 타측은 ㄱ자로 상향으로 꺾여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The reinforcement is a composite structure using a concrete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side is embedded inward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to be bent upwards to the letter "A". 비탈면을 다지고 정리하는 단계; Compacting and arranging slopes; 상기 비탈면에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호안블록들을 격자방향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일측의 호안블록의 철근에 타측의 호안블록의 철선을 묶어 호안블록들을 연결하는 단계; Arranging the revetment blocks having a predetermined cross-sectional shape on the inclined surface in a lattice direction and simultaneously connecting the revetment blocks by tying the wires of the revetment blocks on the other side to the rebars of the revetment blocks on one side; 상기 좌우측 호안블록들 사이에 계단블록들을 배치함과 동시에 비탈면을 따라 계단블록들을 밀착시켜 설치하는 단계; Arranging the step blocks between the left and right revetment blocks and simultaneously installing the step blocks along the slope; 상기 호안블록들에 토사를 채워 복토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 시공방법.Composit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concrete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covering the earth and sand filling the revetment blocks. 제 1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호안블록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전후좌우 내측으로 요입 형성된 블록본체과; 상기 블록본체의 중앙에 형성된 공간부를 이등분하게 설치된 격벽과; 상기 블록본체의 표면을 종횡으로 가로질러 형성됨과 동시에 블록본체의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로 요입 형성되는 배수홈과; 상기 블록본체의 일측면 2개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노출 형성되는 철근과; 상기 블록본체의 타측면 2개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노출 형성되는 철선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 시공방법. The revetment block is made of a quadrangular shape as a whole, the main body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indented; A partition wall bisected with a spac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lock body; A drain groove formed across the surface of the block bod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being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surface of the block body; Rebars are formed on each of the two corner portions of one side of the block body; Composit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concrete block,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iron wires are formed on each of the two corners of the other side of the block body.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계단블록은 전체적으로 H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전면벽과 상기 전면벽내에서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된 도수로와 상기 도수로의 좌우측에 각각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내측면이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좌우측벽과 상기 좌우측벽에 각각 일체로 부착 형성됨과 동시에 좌우측벽으로부터 외측 모서리부위가 축소 형성되는 단면축소부와 상기 단면축소부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노출 형성되는 철근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 시공방법.The stair block is formed entirely on the front wall consisting of the H shape and the raceway formed in a predetermined cross-sectional shape in the front wall an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aceway, respectively, and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and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slope. And integrally formed on each other and simultaneously formed with a cross-sectional reduction portion having an outer edge portion reduced from left and right walls, and reinforcing bars respectively exposed at the edge portion of the cross-sectional reduction portion. 제 1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비탈면 다짐 후 비탈면 하단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 시공방법.The method of constructing a composite structure using a concrete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addition of the step of forming the foundation by pouring concrete to the bottom of the slope after the slope. 제 1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철근과 철선의 연결은 비탈면의 하부에 설치되는 호안블록의 철근이 ㄱ자 부분이 직상면을 향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호안블록들을 나란하게 배치한 후, 상기 인접하여 설치된 호안블록들의 철근에 반대측에 설치된 상기 호안블록들의 철선을 다수회 감싸 묶어서 이들을 일체로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 시공방법. The reinforcing bar and the iron wire is arrang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reinforcement of the adjacent revetment blocks after arranging the revetment blocks side by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reinforcing bar of the revetment block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lope toward the upper surface Method of constructing a composite structure using a concrete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iron wires of the revetment block is installed wrapped several times to connect them integrally. 제 10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4, 상기 철근에 철선을 묶어서 호안블록끼리를 연결한 후 이들 연결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시켜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 시공방법.The method of constructing a composite structure using a concrete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tying the iron wire to the reinforcing bar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n forming a unit by curing the concrete in the connection portion. 비탈면을 다지고 정리하는 단계; Compacting and arranging slopes; 상기 비탈면에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호안블록들을 격자방향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일측의 호안블록의 철근에 타측의 호안블록의 철선을 묶어 호안블록들을 연결하는 단계; Arranging the revetment blocks having a predetermined cross-sectional shape on the inclined surface in a lattice direction and simultaneously connecting the revetment blocks by tying the wires of the revetment blocks on the other side to the rebars of the revetment blocks on one side; 상기 좌우측 호안블록들 사이에 계단블록들을 배치함과 동시에 비탈면을 따라 계단블록들을 밀착시켜 설치하는 단계;Arranging the step blocks between the left and right revetment blocks and simultaneously installing the step blocks along the slope; 상기 계단블록에 난간을 설치하는 단계; Installing a railing on the staircase block; 상기 호안블록들에 토사를 채워 복토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 시공방법.Composit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concrete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covering the earth and sand filling the revetment blocks. 제 1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호안블록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전후좌우 내측으로 요입 형성된 블록본체과; 상기 블록본체의 중앙에 형성된 공간부를 이등분하게 설치된 격벽과; 상기 블록본체의 표면을 종횡으로 가로질러 형성됨과 동시에 블록본체의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로 요입 형성되는 배수홈과; 상기 블록본체의 일측면 2개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노출 형성되는 철근과; 상기 블록본체의 타측면 2개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노출 형성되는 철선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 시공방법. The revetment block is made of a quadrangular shape as a whole, the main body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indented; A partition wall bisected with a spac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lock body; A drain groove formed across the surface of the block bod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being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surface of the block body; Rebars are formed on each of the two corner portions of one side of the block body; Composit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concrete block,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iron wires are formed on each of the two corners of the other side of the block body. 제 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계단블록은 전체적으로 H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전면벽과 상기 전면벽내에서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된 도수로와 상기 도수로의 좌우측에 각각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내측면이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좌우측벽과 상기 좌우측벽에 각각 일체로 부착 형성됨과 동시에 좌우측벽으로부터 외측 모서리부위가 축소 형성되는 단면축소부와 상기 단면축소부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노출 형성되는 철근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 시공방법.The stair block is formed entirely on the front wall consisting of the H shape and the raceway formed in a predetermined cross-sectional shape in the front wall an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aceway, respectively, and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and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slope. And integrally formed on each other and simultaneously formed with a cross-sectional reduction portion having an outer edge portion reduced from left and right walls, and reinforcing bars respectively exposed at the edge portion of the cross-sectional reduction portion. 제 1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난간은 계단블록의 철근과 인서트에 각각 파이프가 용접 결합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용접 결합됨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파이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 시공방법.The handrail is a composit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concrete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pipe consists of a support pipe welded to each of the reinforcing bars and inserts of the staircase block and a guide pipe wel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and inclined downward. 제 1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비탈면 다짐 후 비탈면 하단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 시공방법.The method of constructing a composite structure using a concrete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addition of the step of forming the foundation by pouring concrete to the bottom of the slope after the slope. 제 1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철근과 철선의 연결은 비탈면의 하부에 설치되는 호안블록의 철근이 ㄱ자 부분이 직상면을 향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호안블록들을 나란하게 배치한 후, 상기 인접하여 설치된 호안블록들의 철근에 반대측에 설치된 상기 호안블록들의 철선을 다수회 감싸 묶어서 이들을 일체로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 시공방법. The reinforcing bar and the iron wire is arrang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reinforcement of the adjacent revetment blocks after arranging the revetment blocks side by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reinforcing bar of the revetment block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lope toward the upper surface Method of constructing a composite structure using a concrete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iron wires of the revetment block is installed wrapped several times to connect them integrally. 제 16항 또는 제 2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6 or 21, 상기 철근에 철선을 묶어서 호안블록끼리를 연결한 후 이들 연결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시켜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 시공방법.The method of constructing a composite structure using a concrete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tying the iron wire to the reinforcing bar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n forming a unit by curing the concrete in the connection portion.
KR10-2003-0051024A 2003-07-24 2003-07-24 The compound structure using the concrete blo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05300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024A KR100530027B1 (en) 2003-07-24 2003-07-24 The compound structure using the concrete blo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024A KR100530027B1 (en) 2003-07-24 2003-07-24 The compound structure using the concrete blo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932U Division KR200333406Y1 (en) 2003-07-24 2003-07-24 The compound structure using the concrete bl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948A KR20050011948A (en) 2005-01-31
KR100530027B1 true KR100530027B1 (en) 2005-11-22

Family

ID=37223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1024A KR100530027B1 (en) 2003-07-24 2003-07-24 The compound structure using the concrete blo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002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408B1 (en) * 2007-02-02 2007-07-30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Coupling device of composition infrastructure concrete block
BR112013007248A2 (en) * 2012-09-27 2017-08-08 Eco Top Co Lt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with concrete pilaster structure
KR102253805B1 (en) * 2020-12-23 2021-05-18 우태진 Revetment perforated concrete block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2343776B1 (en) * 2021-03-11 2021-12-24 우태진 Revelation perforated concrete block with water supply structure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948A (en) 2005-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6658B1 (en) Assembly type of structure for drainag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660379B1 (en) Plantable reinforced earth wall and its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earth wall
KR101281070B1 (en) Wall structure for the water-storage tank and its constructing method
KR100530027B1 (en) The compound structure using the concrete blo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N212175819U (en) Slope greening structure
KR200333406Y1 (en) The compound structure using the concrete block
KR20060110163A (en) Assemble type drainage for vegetati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CN111305152A (en) Construction method for ecological protection of stepped three-dimensional reinforced abutment conical slope
KR101308822B1 (en) Binding structure of vegetation and revetment bloc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using the same
CN113439593B (en) Filling construction area tree on-site prot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KR100744408B1 (en) Coupling device of composition infrastructure concrete block
CN211395412U (en) Crossing dyke culvert pipe export protects step structure
KR100593187B1 (en) A slope protection equipment for road
KR200323095Y1 (en) the one apparatus lattice block with the rain water function
JPH08205691A (en) Planted tree zone
KR100584889B1 (en) It is the construction method if it is a hill using the one apparatus lattice block and this with the rain water multiple function
US20090183461A1 (en) Manufacturing process of swimming pools, ponds and other similar areas of water
KR20090019127A (en) System of reverse drain gutt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JP5207021B2 (en) Drainage equipment construction method on soil slope with strong weathering tendency and waterway block used for the method
KR100593186B1 (en) Eco-friendly retaining wall
JP2978126B2 (en) How to construct an open channel
KR101589287B1 (en) Joint structure of the bank protector brocks for grass growing
CN211849515U (en) Assembled side slope protective structure and highway adopting same
JP2573157B2 (en) Leg frame method and gauge formwork used in the method
KR102436740B1 (en) Floor structure of tennis court with excellent vertical drainage and method of floor structure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