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9018B1 - 듀얼 스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듀얼 스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9018B1
KR100529018B1 KR10-2003-0011426A KR20030011426A KR100529018B1 KR 100529018 B1 KR100529018 B1 KR 100529018B1 KR 20030011426 A KR20030011426 A KR 20030011426A KR 100529018 B1 KR100529018 B1 KR 100529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ing
mobile communication
called
communication system
dual st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1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6093A (ko
Inventor
박태욱
이상연
함희혁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1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9018B1/ko
Publication of KR20040076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6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9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90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동기식 이동통신망과 비동기식 이동통신망이 혼재된 망에서 듀얼 스택 홈위치 등록기를 이용한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듀얼 스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 방법은 비동기식 또는 동기식 이동통신 시스템 가입자가 상기 동기식 또는 비동기식 이동통신 시스템 가입자에게 발신을 시도함에 따라, 발신측 교환기가 듀얼 스택 홈위치 등록기로 발신번호 정보와 함께 착신자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착신자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한 상기 듀얼 스택 홈위치 등록기가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발신지역 신호점 타입과 착신지의 신호점 타입을 판단하고, 착신 가입자의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 이용 여부를 확인한 후, 발신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라우팅을 요청 신호를 착신측 교환기로 전송하되, 신호점 타입이 동일한 경우 해당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처리 절차에 의해 발신측 및 착신측 교환기와 메시지를 교환하고, 신호점 타입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 파라미터 매칭 처리에 의해 상기 발신측 및 착신측 교환기와 메시지를 교환하는 단계, 착신측 교환기가 라우팅 요청에 응답함에 따라, 듀얼 스택 홈위치 등록기가 발신측 교환기로 착신자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발신측 교환기가 착신측 교환기로 발신번호 및 착신번호를 전송함에 따라 통화로가 형성되는 단계 및 착신측 교환기가 착신 단말기로 링 신호와 함께 발신번호 표시 허용 여부 및 발신번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기종망 가입자간의 발착신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듀얼 스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 방법{Service Method for Display Calling Party Number Using Dual Stack Home Location Register in WCDMA System}
본 발명은 듀얼 스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기식 이동통신망(예를 들어, CDMA2000 통신망과 같은 2/2.5세대 통신망)과 비동기식 이동통신망(UMTS망과 같은 3세대 통신망)이 혼재된 망에서 듀얼 스택 홈위치 등록기를 이용한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2G/2.5G의 이동통신망과 3G 이동통신망은 근본적으로 동기망과 비동기망이라는 차이점이 있고, 이와 같은 차이로 인하여 각 망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및 가입자의 프로파일 등이 서로 달라 망간 메시지가 일-대-일로 매칭되지 않는다. 따라서, 동기식 이동통신망과 비동기식 이동통신망을 각각 독자적으로 구축한 상태에서, 게이트웨이를 도입하여 망간 연동을 구현할 경우, 시스템 중복 투자에 따른 막대한 비용의 손실이 예상된다.
또한, 이와 같은 비용 측면은 배제하더라도 동기식 이동통신망과 비동기식 이동통신망간의 메시지의 미스매칭에 따라, 게이트웨이에서의 메시지 변환 과정만으로는 상호 메시지 매칭이 직접적으로 가능한 일부 기능의 연동만이 가능하고, 대부분의 중요한 기능들이 연동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각 망의 노드들의 기능에 대한 변경 및/또는 추가를 수행하고 망간 메시지 연동을 위해 매우 복잡한 메시지 플로우를 생성하여 게이트웨이를 매개로 연동한다 하더라도, 각 망의 노드들의 기능에 대한 변경 및/또는 추가에 대한 부담은 물론이고 연동을 위한 노드들간의 메시지 통신 과정이 독자망내에서의 일반적인 통신 과정과 비교하여 통신 품질의 최악화에 따른 서비스 부재 상태를 우려할 정도로 매우 복잡해 지는 등 많은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기본적인 이동통신 서비스 즉, 호 처리 뿐만 아니라, 단문 서비스, 콜 포워딩,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 등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2G/2.5G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에서는 발신번호가 홈위치 등록기간의 프로토콜인 MAP을 통해 전달되고 홈위치 등록기가 발신번호를 수정하여 착신 교환기로 전달했으나, 3G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는 교환기간 프로토콜인 ISUP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두 시스템이 혼재해 있는 경우 타망 가입자 간의 호 연결시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 등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동기식 이동통신망과 동기식 이동통신망 간의 호 처리 절차에서 듀얼 스택 홈위치 등록기를 이용하여 착신자의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 가입 여부를 판단하고, 착신자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에 발신번호를 추가하여 전송함으로써 이기종망 간에서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듀얼 스택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듀얼 스택 이동통신 시스템은 2.5G(2G) 동기식 이동통신 시스템(410), 3G 비동기식 이동통신 시스템(420), 2.5G(2G) 동기식 이동통신 시스템(410)과 3G 비동기식 이동통신 시스템간의 호처리 교환을 위한 SS7망(30), 듀얼 스택 홈위치 등록기(Dual Stack HLR, 500), 듀얼 스택 단문 서비스 센터(Dual Stack SMC, 600) 및 듀얼 스택 서비스 제어점(Dual Stack SCP, 70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동기식 이동통신 시스템은 2.5G망을 위주로 설명한다.
먼저, 2.5G 동기식 이동통신 시스템(410)은 2.5G용 및/또는 2.5/3G 겸용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 구간 통신을 위한 기지국(BTS, 411), 기지국(411)의 제어를 위한 기지국 제어기(BSC, 412), 하나 이상의 기지국 제어기(412)와 연결되어 호 교환을 위한 2.5G 교환기(2.5G MSC, 413), 공중 유선망(PSTN, 10)과 2.5G 교환기(413) 사이에 연결되어 공중 유선망(10)과 망 연동 및 호 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2.5G 중계 교환기(2.5G CGS), 기지국 제어기(412)와 인터넷 프로토콜망(IP Network, 20)간에 연결되어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 415)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또한, 3G 비동기식 이동통신 시스템(420)은 3G 및/또는 2.5/3G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 구간 통신을 위한 기지국으로서의 노드B(421), 노드B(421)의 제어를 위한 무선망 제어기(RNC, 422), 하나 이상의 무선망 제어기(422)와 연결되어 호 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3G 교환기(3G MSC, 423), 공중 유선망(10)과 3G 교환기(423) 사이에 연결되어 공중 유선망(10)과의 망 연동 및 호 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3G 게이트교환기(GMSC, 424), 무선망 제어기(422)와 IP망(20)간에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트랙을 유지하고 액세스 제어 및 보안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425), IP망(20)과 연결되어 외부 패킷망과의 연동을 지원하고 SGSN(425)과 IP 기반 패킷 도메인 PLMN 백본망을 매개로 연결된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426)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한편, SS7망(30)은 2.5G 교환기(413), 2.5G 중계 교환기(414), 3G 교환기(423), 3G 게이트교환기(424), SGSN(425) 및 GGSN(426)을 상호 망 연결하여 호처리 교환을 수행한다.
아울러 듀얼 스택 홈 위치 등록기(500)는 SS7망(30)과 연결되어 2G/3G 가입자에 대한 위치 등록 등 호처리 데이터베이스를 통합 관리하여 기존의 2.5G 홈위치 등록기의 기능 및 3G 홈위치 등록기의 기능을 모두 수행하도록 하되, 2.5G 동기 방식의 프로토콜 또는 3G 비동기 방식의 프로토콜에 따른 하나의 입력 신호점에 대해 2.5G 동기 방식의 프로토콜 및 3G 비동기 방식의 프로토콜에 따른 두 개의 출력 신호점을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탐색하여 해당하는 하나의 출력 신호점을 생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해당 출력 신호점으로 전달한다. 듀얼 스택 홈위치 등록기(500)의 상세한 구성은 후술할 것이다.
듀얼 스택 단문 서비스 센터(600)는 SS7망(30)과 연결되어 2G/3G 가입자에 대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통합 관리하여, 기존의 2.5G 단문 서비스 센터의 기능 및 3G 단문 서비스 센터의 기능을 모두 수행하도록 하되, 2.5G 동기 방식의 프로토콜 또는 3G 비동기 방식의 프로토콜에 따른 하나의 입력 신호점에 대해 2.5G 동기 방식의 프로토콜 및 3G 비동기 방식의 프로토콜에 따른 두 개의 출력 신호점을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탐색하여 해당하는 하나의 출력 신호점을 생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해당 출력 신호점으로 전달한다.
마지막으로, 듀얼 스택 SCP(700)는 SS7망(30)과 연결되어 2.5G/3G 가입자에 대한 지능망 서비스를 통합 관리하여, 기존의 2.5G망에서의 SCP 기능 및 3G망에서의 SCP 기능을 모두 수행하도록 하되, 2.5G 동기 방식의 프로토콜 또는 3G 비동기 방식의 프로토콜에 따른 하나의 입력 신호점에 대해 2.5G 동기 방식의 프로토콜 및 3G 비동기 방식의 프로토콜에 따른 두 개의 출력 신호점을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탐색하여 해당하는 하나의 출력 신호점을 생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해당 출력 신호점으로 전달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듀얼 스택 홈위치 등록기(500)의 상세 구성도이다.
듀얼 스택 홈위치 등록기(500)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듀얼 스택 홈위치 등록기(500)는 2.5G 가입자 데이터베이스(511), 2.5G 부가서비스 제어부(512), IS41 MAP 메시지 처리부(513), 2.5G 운용자 MMI(Man-Machine Interface) 처리부(514), 고객데이터(COIS) 연동 인터페이스 처리 블록(515)을 구비하여, 2.5G 동기식 프로토콜에 따라 2.5G 가입자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2.5G 가입자 신호처리 모듈(510), 3G 가입자 데이터베이스(521), 3G 부가서비스 제어부(522), 3GPP MAP/CAP 메시지 처리부(523), 3G 운용자 MMI 처리부(524), 3G COIS 연동 인터페이스 처리 블록(525)을 구비하여, 3G 비동기식 프로토콜에 따라 3G 가입자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3G 가입자 신호 처리 모듈(520), SS7 망(30)과 연동하여 입출력 신호점에 대한 시그널링을 위한 No.7 프로토콜 처리 모듈(530) 및 2.5G 가입자 신호 처리 모듈과 상기 3G 가입자 신호 처리 모듈을 상호 연동 제어하여, 2.5G 동기 방식의 프로토콜 또는 3G 비동기 방식의 프로토콜에 따른 하나의 입력 신호점에 대해, 2.5G 동기 방식의 프로토콜 및 3G 비동기 방식의 프로토콜에 따른 두 개의 출력 신호점을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탐색하여 해당하는 하나의 출력 신호점을 생성하는 연동/변환 처리 모듈(540)로 구성된다.
주요 부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2.5G 가입자 데이터베이스(511)는, 기존망으로서의 2.5G 동기식 이동통신망에서의 가입자별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가입자 번호 정보(MIN), 가입자 권한(Authorization) 정보(예를 들어, 단말기 전원상태, 발/착신 권한 정보, 과금 정보 등), 가입자 위치(Location) 정보, 가입자 서비스 정보(예를 들어, 부가서비스별 활성화 정보), 서비스 추가 정보(예를 들어, 특정 부가서비스별 참고 정보), 가입자 추적 기능 활성화 정보, 부가서비스 별 패스워드 정보, VMS(Voice Mail Service) 정보(예를 들어, 가입자의 Home VMS 위치, 메시지 존재 여부 표시 정보 등), SMS 관련 부가 정보, 기타 그룹 서비스에 대한 멤버 정보 등을 가지고 있다.
한편, 3G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521)는, 신규망으로서의 3G 비동기식 이동통신망에서의 가입자별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2.5G 가입자 데이터베이스(511)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2.5G에서는 가입자 번호 정보가 'MIN' 하나로 되어 있는 반면, 3G에서는 가입자 식별자(IMSI)와 다이얼링 번호(MSISDN)로 분리되어 있다. 또한, 가입자 권한 정보가 2.5G의 IS41 보다 세분화 되어 있고 가입자 위치 정보가 포함되는 메시지 형태가 2.5G와 상이하며 처리 방법도 다르다. 아울러, 부가서비스별 상태 머신(State Machine)이 2.5G와 다르다. 즉, 2.5G에서와 같이 단순히 활성화 상태만 표시하지 않고 준비(Provisioning), 등록(Registered), 활성화(Activated) 및 비활성화(Induced) 상태 등으로 세분화 되어 있다.2.5G 부가서비스 제어부(512)는 기존 IS41망에서의 각종 부가서비스 제어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3G 부가서비스 제어부(522)는, IS41계열의 상기 2.5G 부가서비스 제어부에 의한 부가서비스와 비교하여, 2.5G 부가서비스와 유사하나 가입자가 사용하는 방법이나 서비스간 우선순위나 상호 관계가 다르다. 기존 2.5G IS41 계열에만 존재하는 부가서비스가 있는데, 이런 부가서비스 제공을 위한 제어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3G에서만 제공하는 부가서비스가 존재하는데, 가입자 측면에서는 IS41 규격을 크게 벗어나지 않고 전체망(IS41, 3G)에서 동일한 가입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야 한다.
IS41 MAP 메시지 처리부(513)는 IS41에서의 MAP(Mobile Application Part)를 정의한 것으로서, 가입자 위치등록, 라우팅 정보 할당 및 전송, 부가서비스 제어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3G MAP/CAP 메시지 처리부(523)는, 3GPP 29.002의 MAP규격을 기본적으로 준수하여야 한다. 그러나 IS41과는 메시지 종류나 파라미터가 차이가 많이 난다. 3GPP에서는 메시지 용도별 분류가 세분화 되어 있고 교환기에 부가서비스 제어권을 많이 주는 반면 IS41에서는 용도별 메시지가 합쳐져 있고 교환기에 부가서비스 제어권을 주지 않고 대부분 홈위치 등록기에서 제어한다. 이와 같은 2.5G와의 차이점으로 인해 3GPP에서 정의되어 있는 교환기와 SCP간 정의되어 있는 부가서비스 제어용 메시지의 일부분을 상기 듀얼 스텍 홈위치 등록기(500)에 포함시켜야 한다.
2.5G 운용자 MMI 처리부(514)는, IS41 망에서 운용자가 HLR을 운용하기 위해 정의된 명령어와 기능들로 이루어진 것으로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신호점을 포함한 각종 국데이타 작업 예를 들어, No.7 MTP, SCCP 데이터 작업 및 프로토콜(IS41, 3GPP)을 구분 처리 한다. 각종 시스템 파라미터 변경(예를 들어, 안내방송 코드, 가입자로부터의 디지트 수신 방법, 부가서비스별 Feature Code 및 트리거링 정보 변경)한다. 가입자별 부가서비스 관련 정보를 변경한다. HLR 자체 하드웨어 운용 기능(예컨대, 알람 처리, 초기화 등)을 수행한다.
3G 운용자 MMI 처리부(524)는, 기능 블록상으로는 3G MMI 처리 부분이나 운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유사한 종류의 MMI인 경우 별도로 구분하지 않고 한 개의 명령어로 IS41과 3G 의 관련 내용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야 한다.
2.5G COIS 연동 인터페이스 처리 블록(515)은 가입자 고객의 신규, 삭제 및 정보(부가서비스 및 권한 정보 등)의 변경을 수행한다. 여기서 COIS는 고객데이터 처리를 위한 고객센터와 HLR간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한편, 3G COIS 연동 인터페이스 처리 블록(525)은, WCDMA 용 고객센터와 HLR간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즉, WCDMA 가입자(기변 가입자 포함) 신규, 삭제, 정보(부가서비스 및 권한 정보 등) 변경을 수행한다.이와 같이 2G/2.5G 및 3G 이동통신 시스템이 혼재되어 있는 시스템에서 3G 이동통신 시스템 가입자가 3G 또는 2G/2.5G 이동통신 시스템 가입자에게 착신요청하고, 착신 가입자가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의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 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듀얼 스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 절차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듀얼 스택 홈위치 등록기(500)로 착신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메시지의 발신지역 신호점 타입(2G/2.5G 인지 3G인지)을 판단하고 발신지역 신호점 타입에 따라 각기 다른 호 처리 절차가 수행된다. 예를 들어 발신지역 신호점 타입이 2G/2.5G 망인 경우, 착신자 권한 정보를 확인하여 착신이 허용된 착신자인 경우 착신 가입자의 로밍지역을 확인한다. 그리고 착신 가입자의 로밍지역 신호점을 확인하여 발신지역과 착신지역의 신호점 타입이 동일한 경우에는 일반적인 착신 호 처리를 수행하고,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파라미터 매칭 처리에 의한 호 처리를 수행한다.
만약, 발신지역의 신호점 타입이 3G망인 경우에는 착신지역 유형이 서킷망인지 패킷망인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착신지역이 서킷망인 경우 착신자 권한 정보를 확인하고, 착신이 허용된 착신자인 경우 착신 가입자의 로밍지역 및 로밍지역 신호점을 확인하여, 발신지역과 착신지역의 신호점 타입이 동일하면 일반적인 서킷망 착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동일하지 않을 경우에는 파라미터 매칭 처리에 의한 호 처리를 수행한다. 한편, 착신지역이 패킷망인 경우에는 착신자 권한 정보를 확인하여 착신이 허용된 착신자로 판명되면 착신자 위치가 2G/2.5G 망인지 3G망인지 확인한다. 또한 착신자 위치가 3G인 경우에는 서킷망인지 또는 패킷망인지 확인하여 서킷망인 경우에는 실패처리하고, 패킷망인 경우에는 일반적인 패킷 착신 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듀얼 스택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 서비스에서, 착신 가입자가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정보는 듀얼 스택 홈위치 등록기(500)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가입자가 발신을 시도한 경우, 듀얼 스택 홈위치 등록기(500)에서 착신 가입자의 부가 서비스 필드를 조사하여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 이용자인 경우, 착신측 교환기로 착신 요청 신호를 전송할 때 발신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함께 전송하여야 한다. 그런데, 발신자와 착신자의 가입 통신망이 상이한 경우 메시지가 매칭되지 않기 때문에 착신 처리에 사용되는 메시지에 발신 가입자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듀얼 스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3G망 가입자 또는 2/2.5G 가입자가 이동통신 단말기(MTO)를 이용하여 2/2.5G망 또는 3G망 가입자에게 발신을 시도함에 따라, 발신 요청 신호 및 발신자 번호가 발신측 교환기(MSCO)로 전송된다(Setup[CallingPartyBCDNum])(S101). 이에 따라 발신측 교환기(MSCO)는 착신측 홈위치 등록기(T-HLR)로 착신자 정보를 요청하는데(SRI[MSISDN, Additional Signal info=CallingPartyNumber, GenericNumber])(S102), 본 발명은 듀얼 스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서비스이므로 듀얼 스택 홈위치 등록기가 이용된다(D-HLR). 홈위치 등록기로의 착신자 정보 요청시에는 다이얼링 번호(MSISDN), 부가 신호 정보(발신 번호) 등이 함께 전송된다.
착신자 정보 요청 신호(SRI)를 수신한 듀얼 스택 홈위치 등록기는 착신 번호를 참조하여 착신 가입자의 부가 서비스(발신번호 표시 서비스) 이용 여부를 확인한 후, 착신측 교환기(MSCT)로 라우팅을 요청한다(RoutingRequest[CPNS1, CPNS2])(S103). 이때, 홈위치 등록기가 발신측 교환기(MSCO)로부터 수신한 발신번호 정보를 착신측 교환기(MSCT)로 함께 전송한다.
이후, 홈위치 등록기의 라우팅 요청에 대해 착신측 교환기(MSCT)가 응답함에 따라(RoutingRequest Ack)(S104), 듀얼 스택 홈위치 등록기는 착신 가입자의 식별자(IMSIT;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및 착신 가입자의 로밍번호(MSRN; Mobile Staion Roaming Number)를 포함하여 착신자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 신호를 발신측 교환기(MSCO)로 전송한다(Sri[IMSIT, MSRN])(S105).
이후, 발신측 교환기(MSCO)가 착신측 로밍 번호를 참조하여 착신측 교환기(MSCT)로 통화로 형성을 요구하여 ISUP을 통해 통화로가 형성되도록 하며, 이때 발신번호 및 착신번호를 함께 전송한다(IAM[CallingPartyNumber=MSISDNO, CalledPartyNumber=MSRN])(IAM; initial Address Message)(S106). 그리고, 이를 수신한 착신측 교환기(MSCT)가 착신 단말기로 링 신호를 전송함과 함께 발신번호를 전송하여(Setup[CallingPartyBCDNumber])(S107) 단말기에 발신번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때, 착신측 교환기는 발신측의 발신번호 표시 허용 여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PI; PresentIndicator)를 포함하여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며, 착신 단말기는 이 파라미터(PI)를 근거로 하여 발신번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PI 파라미터가 허용(Allowed) 상태인 경우 발신번호를 표시하는 것이다.발신번호 표시 서비스는 착신 가입자 위주의 서비스이므로 발신을 시도하는 모든 단말기로부터 발신번호를 전송받고, 듀얼 스택 홈위치 등록기에서 착신번호를 참조하여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 이용 여부를 확인한 후,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발신번호를 그대로 착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때, 착신자 정보 요청 신호에 발신번호를 나타내는 부가 신호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이기종망간에서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2/2.5G 망과 3G망이 혼재되어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3G망 또는 2/2/.5G망 가입자가 2/2.5G망 또는 3G망 가입자에게 발신을 시도하고, 착신자가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착신자 정보 요청 신호 및 착신 요구 신호에 발신번호를 부가 정보 신호로서 함께 전송함으로써, 이기종망간에서 ISUP을 통해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듀얼 스택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듀얼 스택 홈위치 등록기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공중 유선망(PSTN) 20 : IP망
30 : SS7망 410 : 2.5G 이동통신 시스템
411 : 기지국(BTS) 412 : 기지국 제어기(BSC)
413 : 2.5G 교환기(2.5G MSC) 414 : 2.5G 중계기(2.5G CGS)
415 : PDSN 420 : 3G 이동통신 시스템
421 : 노드 B 422 : 무선망 제어기(RNC)
423 : 3G 기지국(3G MSC) 424 : 3G 패킷 교환기(GMSC)
425 : SGSN 426 : GGSN
500 : 듀얼 스택 HLR 600 : 듀얼 스택 SMC
700 : 듀얼 스택 SCP 510 : 2.5G 가입자 신호처리 모듈
511 : 2.5G 가입자 DB 512 : 2.5G 부가서비스 제어부
513 : IS41 MAP 메시지 처리부 514 : 2.5G 운용자 MMI 처리부
515 : 2.5G COIS 연동 인터페이스 처리 블록
520 : 3G 가입자 신호처리 모듈 521 : 3G 가입자 DB
522 : 3G 부가서비스 제어부 523 : 3GPP MAP/CAP 메시지 처리부
524 : 3G 운용자 MMI 처리부
525 : 3G CIS 연동 인터페이스 처리 블록
530 : No.7 프로토콜 처리 모듈 540 : 연동/변환 처리 모듈

Claims (3)

  1. 동기식 이동통신 시스템, 비동기식 이동통신 시스템 및 상기 동기식 이동통신 시스템 가입자 및 상기 비동기식 이동통신 시스템 가입자 관련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동기식 및 비동기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처리 데이터베이스를 통합 관리하며, 동기 방식 프로토콜 또는 비동기 방식 프로토콜에 따른 하나의 입력 신호점에 대해 동기 방식 프로토콜 또는 비동기 방식 프로토콜에 따른 두 개의 출력 신호점을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탐색하여 해당하는 하나의 출력 신호점을 생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해당 출력 신호점을 전달하기 위한 듀얼 스택 홈 위치 등록기를 구비하는 듀얼 스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비동기식 이동통신 시스템 가입자가 동기식 또는 비동기식 이동통신 시스템 가입자에게 발신을 시도하거나, 상기 동기식 이동통신 시스템 가입자가 상기 비동기식 이동통신 시스템 가입자에게 발신을 시도함에 따라, 상기 발신측 교환기가 상기 듀얼 스택 홈위치 등록기로 발신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자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착신자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한 상기 듀얼 스택 홈위치 등록기가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발신지역 신호점 타입과 착신지의 신호점 타입을 판단하고, 착신 가입자의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 이용 여부를 확인한 후, 발신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라우팅 요청 신호를 착신측 교환기로 전송하되, 상기 신호점 타입이 동일한 경우 해당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처리 절차에 의해 상기 발신측 및 착신측 교환기와 메시지를 교환하고, 상기 신호점 타입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 파라미터 매칭 처리에 의해 상기 발신측 및 착신측 교환기와 메시지를 교환하는 단계;
    상기 착신측 교환기가 상기 라우팅 요청 신호에 응답함에 따라, 상기 듀얼 스택 홈위치 등록기가 상기 발신측 교환기로 착신자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발신측 교환기가 상기 착신측 교환기로 발신번호 및 착신번호를 전송하여 상기 발신측 교환기와 상기 착신측 교환기 간에 통화로가 형성되는 단계; 및
    상기 착신측 교환기가 상기 착신 단말기로 링 신호와 함께 발신번호 표시 허용 여부 파라미터 및 발신번호를 전송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발신번호 표시 허용 여부 파라미터 및 발신번호를 참조하여 링 신호를 송출함과 동시에 발신번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듀얼 스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이동통신 시스템 가입자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가입자인 경우, 상기 착신자 정보 요청 신호는 상기 발신번호 정보 외에 다이얼링 번호(MSISDN)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측 교환기가 상기 홈위치 등록기로 상기 착신자 정보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가입자의 식별자 및 착신 가입자의 로밍번호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 방법.
KR10-2003-0011426A 2003-02-24 2003-02-24 듀얼 스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 방법 KR100529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426A KR100529018B1 (ko) 2003-02-24 2003-02-24 듀얼 스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426A KR100529018B1 (ko) 2003-02-24 2003-02-24 듀얼 스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6093A KR20040076093A (ko) 2004-08-31
KR100529018B1 true KR100529018B1 (ko) 2005-11-16

Family

ID=37362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1426A KR100529018B1 (ko) 2003-02-24 2003-02-24 듀얼 스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901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6093A (ko) 2004-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0969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service to multiple mobile stations having a common subscriber identifier
US6947743B2 (en) Short message gateway with interworking for non-compatible networks
US7349693B2 (en) Method for implementing a call connection between a non-local calling subscriber and a local called subscriber who is an intelligent network subscriber
US8060087B2 (en) CDMA intelligent network system and its method, device for realizing international roaming service
KR20020034413A (ko) 이동전화의 번호이동성 제공방법
RU2264051C2 (ru) Способ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лужбы коротких сообщений с помощью сигнализации ss №7 в мобильной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ой сети
US8811276B2 (en) Method of and an arrangement for call establishment between an internet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a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
JP4599548B2 (ja) ショートメッセージゲートウェイ
KR100466928B1 (ko) 듀얼 스텍 이동 통신 시스템
CN100474954C (zh) 一机多号业务的实现方法及通信网络
WO2015090458A1 (en) Local number for roaming subscriber
EP1878193B1 (en) Voice service integration in ims services
KR100691819B1 (ko) 국제 로밍시 호 설정 방법
US7218952B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information utilizing the internet
US6507645B1 (en) Method for changing service data
KR100529018B1 (ko) 듀얼 스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 방법
JP2005538587A (ja) ダイヤル・エラーを通知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10078799A (ko) 제 3 세대 무선 네트워크에서 이동국 가입자가 서비스를액세스할 수 있게 하는 중계 서비스 제어 기능 및 방법
KR100442129B1 (ko) 망간 연동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2세대 망에서발신된 단문 메시지의 착신 처리 방법
KR100312416B1 (ko) 무선통신망에서단문서비스를이용한사용자관련정보전송방법
KR100822661B1 (ko) 로밍 지역의 전화 번호를 부여하는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20040076094A (ko) 듀얼 스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번호 표시 제한서비스 방법
KR100727752B1 (ko) 착신 제한 번호 입력 방법
CA2390637C (en) Method for monitoring authentication performa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KR100478256B1 (ko) 착신 전환 방식을 이용한 번호 이동성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