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8083B1 - A receptible drying arrangement attached to a wall - Google Patents

A receptible drying arrangement attached to a w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8083B1
KR100528083B1 KR10-1999-0053778A KR19990053778A KR100528083B1 KR 100528083 B1 KR100528083 B1 KR 100528083B1 KR 19990053778 A KR19990053778 A KR 19990053778A KR 100528083 B1 KR100528083 B1 KR 100528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hanging
pole
downward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37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20099A (en
Inventor
오이니시요조
마츠시마료이치
하라다히로시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20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00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8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8083B1/en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6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comprising vertical members connected by horizont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07Clothes hooks
    • A47G25/0628Clothes hooks for mounting to a brick wall, e.g. in a mortar j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벽면을 이용해서 외관이 좋게 설치할 수 있고, 사용시에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려진 장대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a good appearance by using the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it is possible to firmly support the pole pulled downward obliquely in front of the use.

건물 벽(1)의 상부에 수납부(2)를 설치한다. 수납부(2) 내에서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출입이 자유롭게 된 매달린 암(3)에 장대(4)를 가설한다. 매달린 암(3)에는 한 단부가 설치되고, 또 다른 단부는 수납부(2) 쪽에 설치되어 매달린 암(3)의 보강을 위한 보조암(5)을 수납부(2) 내에서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출입이 자유롭게 설치한다.The storage part 2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 wall 1. The pole 4 is hypothesized to the hanging arm 3 which is freely inclined forward and downward in the storage 2. One end is provided on the hanging arm 3, and the other end is installed on the receiving part 2 side, and the auxiliary arm 5 for reinforcing the hanging arm 3 is obliquely forward and downward in the storing part 2. The entrance is freely installed.

Description

벽면 수납물 말림 장치{A receptible drying arrangement attached to a wall} A receptible drying arrangement attached to a wall}

본 발명은 건물의 벽면을 이용해서 설치할 수 있는 벽면 수납물 말림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l storage curling device that can be installed using a wall of a building.

종래보다 천정 한 가운데에 설치된 대형의 수납박스에서 실내로 한쌍의 매달린 부재를 승강이 자유롭게 이끌어 내고, 매달린 부재의 하단에 걸린 장대에 세탁물을 매달도록 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실개평 2-34645호 공보 참조).It is disclosed that lifting and pulling freely a pair of hanging members indoors from a large storage box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ceiling and hanging the laundry on a pole hanging on the lower end of the hanging member (for example, a flat 2-34645). See publication number).

그러나, 종래에 있어서는, 천정 뒷면에 수납박스를 설치할 필요가 있어, 공사가 대규모로 되어 공사비가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또 실외와 같이 천정이 없는 장소에는 설치할 수 없으므로, 종래에는 뜰앞이나 베란다 등에 장대를 설치할 공간을 확보해 두어야 하므로, 특히 좁은 주택사정에 있어서는 장대의 설치가 곤란한 경우가 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torage box on the rear surface of the ceiling, so that the construction becomes large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high. In addition, since it cannot be installed in a place where there is no ceiling such as outdoors, it is conventionally necessary to secure a space for installing a pole in the front of a courtyard or a veranda, so it may be difficult to install the pole in a particularly narrow housing situa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예를 감안하여 만든 것으로, 건물의 벽면을 이용해서 설치할 수 있고, 또 외관을 좋게 할 수 있으며, 게다가 사용시에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린 장대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또 다른 목적으로는 수납부에서 장대를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리는 것을 자유롭게 하여,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린 상태의 장대를 견고히 지지하는 구조를 간단한 기구로 실현할 수 있으며, 또 다른 목적으로는 외부에서 조작끈의 조작으로 간단히 장대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고, 또 다른 목적으로는 매달린 암을 최대로 끌어내려진 상태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또 다른 목적으로는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자유로이 끌어내려지게 하므로써 출입을 가벼운 힘으로 부드럽게 할 수 있게 하는 것이고, 또 다른 목적으로는, 수납상태에서의 매달린 암, 보조암, 장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관을 좋게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며, 또 다른 목적으로는, 덮개의 개폐를 간단한 구성으로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고, 또 다른 목적으로는 간단한 구성으로 건물의 벽에 설치할 수 있으면서, 건물로의 고정 금구(固定金具)의 설치위치가 횡방향으로 어긋나도 고정 금구에 수납박스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또 다른 목적으로는, 장대의 직경에 대응한 장대 지지부재를 선택해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example, and can be installed using the wall of the building, improve the appearance, an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firmly support the pole pulled downward at an angle forward and downward during use.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simple mechanism to freely pull the pole downward and obliquely forward and downward from the housing, and to firmly support the pole in an obliquely forward downward position. Is to allow the rod to enter and exit easily by manipulating the operation strap from the outside, and another purpose is to make sure that the suspended arm is pulled down to the maximum, and another purpose is to pull it freely downward and forwardly. By letting it go down Another purpose is to improve the appearance of the hanging arms, auxiliary arms, and poles in the storage state so that they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It can be done automatically with a simple configuration. For another purpose, it can be installed on the wall of a building with a simple configuration, and it can be stored in the fixing bracket even if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building is shifted laterally. It is to be able to install the box, and another object is to be able to select and install the pole support memb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pol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벽면 수납물 말림장치는, 건물 벽(1)의 상부에 수납부(2)를 설치하고, 수납부(2) 내에서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출입이 자유롭게 한 매달린 암(3)에 장대(4)를 가설하며, 이 매달린 암(3)에는 한 단부가 설치됨과 동시에, 다른 단부는 수납부(2) 측에 설치되어, 매달린 암(3)의 보강을 위한 보조암(5)을 수납부(2) 내에서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출입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므로써, 사용에 있어서는, 건물 벽(1)의 상부에 설치된 수납부(2)에서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장대(4)를 끌어내려, 장대(4)에 세탁물을 걸어 말리므로써, 이 경우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려진 매달린 암(3)은 장대(4)를 지지하지만, 이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려진 매달린 암(3)은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려진 보조암(5)에 의해 지지되어져,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려진 상태를 확실히 유지하게 된다. 또,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매달린 암(3) 및 보조암(5)을 수납부(2) 내로 집어넣음과 동시에, 매달린 암(3)에 지지된 장대(4)를 수납부(2) 내로 수납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the wall surface wrapping apparatus of this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accommodating part 2 in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 wall 1, and suspended in the accommodating part 2 at an angle forward and downward. A pole 4 is provided on the arm 3, and one end is installed on the hanging arm 3,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on the receiving part 2 side to assist in reinforcing the hanging arm 3.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rm 5 is installed freely in an oblique forward and downward direction in the housing 2. In such a configuration, in use, the pole 4 is pulled downward and obliquely forward and downward from the storage portion 2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 wall 1, and the laundry is hanged on the pole 4 to dry. The hanging arm (3) pulled forward downwards supports the pole (4), but this obliquely pulled downward arm (3) is supported by the auxiliary arm (5) pulled downward obliquely forward and downward, obliquely forward It keeps being pulled downwards. In addition, when not in use, the suspended arm 3 and the auxiliary arm 5 are inserted into the storage unit 2, and the rod 4 supported by the suspended arm 3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2. will be.

또 장대(4)의 길이방향의 양 단부를 지지하는 2개의 매달린 암(3)의 상단부에는 각각 슬라이더(slider, 6)를 설치하고, 각 슬라이더(6)를 수납부(2) 내에 설치된 레일(7)을 따라 자유롭게 미끄러지도록 설치하며, 수납부(2)의 양 단부 근방에는 각각 보조암(5)의 한 단부를 회전이 자유롭게 축 지지함과 동시에, 보조암(5)의 다른 단부를 매달린 암(3)의 상하 방향의 약 중간부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축 지지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므로써, 2개의 슬라이더(6)가 미끄러뜨리는 것으로 되어 2개의 매달린 암(3)을 수납부(2) 내에서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출입이 자유롭게 하면서, 매달린 암(3)의 하단에 지지된 장대(4)를 수납부(2) 내에서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출입이 자유롭게 할 수 있어, 이 경우, 슬라이더(6)의 미끄러짐에 의해 매달린 암(3)이 수납부(2) 내에서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출입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sliders 6 are provided on the upper ends of the two hanging arms 3 supporting the end portions of the rod 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7) slides freely along each side, and both ends of the housing portion 2 are axially rotatably supported at one end of the auxiliary arm 5, respectively, and an arm suspended from the other end of the auxiliary arm 5,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o allow rotation to be freely axially supported at abou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vertical direction in (3). In such a configuration, the two sliders 6 slide, and the two hanging arms 3 are supported at the lower end of the hanging arm 3 while allowing the two hanging arms 3 to enter and exit freely downwardly in the storage unit 2. In and out of the storage unit 2, the old pole 4 can be freely inclined forward and downward, and in this case, the arm 3 suspended by the sliding of the slider 6 is obliquely forward in the storage unit 2. It can go in and out.

또 2개의 매달린 암(3)에 지지된 장대(4)를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린 상태로 2개의 매달린 암(3)이 서로에 대해 평행이 되지 않게 2개의 매달린 암(3)을 역방향으로 경사시킴과 동시에, 장대(4)를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린 상태로 각 매달린 암(3)에 대해 각각 축 지지한 보조암(5)을 매달린 암(3)에 대해 역방향으로 경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장대(4)를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린 상태로 2개의 매달린 암(3)이 서로 평행하지 않도록 2개의 매달린 암(3)을 역방향으로 경사시키므로, 매달린 암(3)이 횡방향으로 요동이 잘 되지 않아 장대(4)가 흔들림없이 안정될 수 있으며, 또 장대(4)를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린 상태로 각 매달린 암(3)에 대해 각각 축 지지한 보조암(5)을 축 지지한 매달린 암(3)에 대해 역방향으로 경사시키므로써, 끌어내린 상태에서는 매달린 암(3)과 보조암(5)으로 일종의 트러스(truss) 구조에 유사한 구조가 되어, 매달린 암(3)이 보조암(5)에 의해 견고히 보강되어,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의 돌출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정되게 장대(4)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장대(4)를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린 상태로 2개의 매달린 암(3)이 서로 평행되지 않게 2개의 매달린 암(3)을 역방향으로 경사시키고 있으므로, 끌어내린 상태에서 수납을 위해 슬라이더(6)를 이동하여 매달린 암을 이동시킬 때에, 이동을 개시할 때에 매달린 암(3)이 경직되지 않고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어서, 슬라이더(6)의 이동이 가벼운 힘으로 가능한 것이다.Further, the two hanging arms 3 are inclined in the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two hanging arms 3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while the poles 4 supported by the two hanging arms 3 are pulled down at an angle forward and downward. At the same time, it is preferable to incline the auxiliary arm 5 which is axially supported with respect to each hanging arm 3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hanging arm 3 with the pole 4 obliquely lowered forward and downward. In this way, the two hanging arms 3 are inclined in the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two hanging arms 3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while the pole 4 is obliquely lowered forward and downward, so that the hanging arms 3 swing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pole 4 can be stabilized without shaking, and the support arm 5, which is axially supported for each suspended arm 3, with the pole 4 pulled down obliquely forward and downward is supported. By inclining in a re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anging arm 3, the hanging arm 3 and the auxiliary arm 5 become a structure similar to a kind of truss structure in the pulled down state, and the hanging arm 3 is the secondary arm. It is firmly reinforced by (5), and it can maintain the protrusion state obliquely forward and downward, and can support the pole 4 more stably. In addition, since the two hanging arms 3 are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so that the two hanging arms 3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while the pole 4 is pulled downward at an angle forward and downward, the slider 6 is for storage in the pulled down state. When moving the hanging arm by moving the), the hanging arm 3 can be rotated smoothly without stiffness at the start of the movement, so that the movement of the slider 6 can be performed with a light force.

또 보조암(5)을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린 상태에서 보조암(5)에 걸리는 하중을 받도록 보조암(5)을 지지하기 위한 보조암 지지부(8)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보조암(5)을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린 상태에서, 보조암 지지부(8)에 보조암(5)을 지지해서 보조암(5)에 걸리는 하중을 받을 수 있고,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려진 장대(4)에 큰 하중이 걸려도, 이를 보조암(5)을 통해 확실히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sub arm support part 8 for supporting the sub arm 5 so that the sub arm 5 may receive the load applied to the sub arm 5 in the state which pulled the sub arm 5 diagonally forward and downward. With such a configuration, in the state where the auxiliary arm 5 is obliquely lowered forward and downward, the auxiliary arm 5 is supported by the auxiliary arm support 8 to receive a load applied to the auxiliary arm 5, and the angle is obliquely. Even if a large load is applied to the pole 4 pulled down forward and downward, it can be reliably supported by the auxiliary arm 5.

또, 수납부(2)의 양 단부에 설치된 풀리(9) 사이에 걸려 회전하는 무단(無端)의 와이어(10)에 2개의 슬라이더(6)를 무단의 와이어(10)의 한쪽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2개의 슬라이더(6)가 서로에게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무단의 와이어(10)의 다른 쪽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2개의 슬라이더(6)가 서로에게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슬라이더(6)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끈(11)을 설치하며, 조작끈(11)을 수납부(2)에서 밖으로 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해서, 밖으로 도출된 조작끈(11)을 조작해서 슬라이더(6)를 미끄러뜨리는 것이므로, 한쌍의 슬라이더(6)를 연동시켜, 서로 접근시켰다가 서로 멀리하게 했다가 하도록 동작시켜, 2개의 매달린 암(3)을 연동시켜서 수납부(2) 내에서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출입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wo sliders 6 are moved in one direction of the endless wire 10 by the endless wire 10 which is caught between the pulleys 9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housing part 2 and rotates. The two sliders 6 move in the direction approaching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the two sliders 6 move in the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by moving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endless wire 10,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n operation string 11 for moving the slider 6 and to lead the operation string 11 out of the storage portion 2. In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slider 6 is slid by operating the operation string 11 drawn out, the pair of sliders 6 are interlocked to operate each other so as to approach each other and then move away from each other. By interlocking the three hanging arms (3) it is possible to move in and out obliquely in the front of the storage unit (2).

또, 매달린 암(3) 또는 보조암(5)을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린 상태에서, 매달린 암(3) 또는 보조암(5)이 맞닿아 그 이상 매달린 암(3) 또는 보조암(5)이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려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stopper, 12)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해서, 매달린 암(3) 또는 보조암(5)을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린 상태를 스토퍼(12)가 확실히 유지할 수 있고, 또 장대(4)에 하중이 걸려도 스토퍼(12)에 의해 매달린 암(3)이 움직이지 않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state where the hanging arm 3 or the auxiliary arm 5 is pulled down at an angle forward and downward, the hanging arm 3 or the auxiliary arm 5 abuts the arm 3 or the auxiliary arm 5 which is further suspended.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stopper 12 to prevent this oblique pull down. With such a structure, the stopper 12 can hold | maintain the state which pulled down the hanging arm 3 or the auxiliary arm 5 diagonally forward and downward, and also to the stopper 12 even if the pole 4 is loaded. By hanging the arm (3) is not to move.

또 수납부(2) 내에서 매달린 암(3), 보조암(5), 장대(4)가 출입할 때에, 매달린 암(3), 보조암(5), 장대(4)의 하중을 작게 하기 위한 경감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해서, 수납부(2) 내에서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출입하는 것과 관계없이, 매달린 암(3), 보조암(5), 장대(4)의 하중을 경감해서 가벼운 조작으로 출입이 가능한 것이다.Moreover, when the arm 3, the auxiliary arm 5, and the pole 4 which hanged in the accommodating part 2 enters and exits, the load of the hanging arm 3, the auxiliary arm 5, and the pole 4 is made small.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 reducing means for the same.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load of the hanging arm 3, the auxiliary arm 5, and the pole 4 can be reduced and lightly moved in and out of the storage unit 2 at an angle forward and downward. will be.

또 수납부(2)의 개구부(13)에서 매달린 암(3), 보조암(5), 장대(4)가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출입이 자유롭게 되며, 이 수납부(2)의 개구부(13)에 개폐가 자유로운 덮개(14)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매달린 암(3), 보조암(5), 장대(4)를 수납부(2)에 수납한 상태로 개구부(13)를 덮개(14)로 닫으므로써, 매달린 암(3), 보조암(5), 장대(4)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arm 3, the auxiliary arm 5, and the pole 4 suspended from the opening 13 of the storage unit 2 are freely inclined forward and downward and are free to enter the opening 13 of the storage unit 2.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cover 14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freely.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hanging arm 3 is closed by closing the opening 13 with the lid 14 in a state in which the hanging arm 3, the auxiliary arm 5, and the pole 4 are stored in the storage portion 2. ), The secondary arm (5), pole (4)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또 매달린 암(3), 보조암(5), 장대(4)의 수납부(2)의 수납상태에서 덮개(14)를 닫음과 동시에, 수납되지 않은 상태에서 덮개(14)를 여는 덮개 개폐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해서, 덮개(14)의 개폐에 있어, 덮개 개폐수단으로 보다 간단하게 덮개(14)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lid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closing the lid 14 in the stored state of the housing arm 2 of the hanging arm 3, the auxiliary arm 5, and the pole 4, and opening the lid 14 in an unreceived state. It is desirable to install it.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lid 14 can be opened and closed more easily by the lid opening and closing means in opening and closing the lid 14.

또 수납부(2)의 개구부(13)의 상단부에 덮개(14)를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덮개(14)에 덮개(14)를 개폐동작하기 위한 덮개 개폐용 스프링(15)을 설치하며, 덮개 개폐용 스프링(15)의 중립위치를 지나서 덮개(14)를 한쪽으로 회전하면 덮개(14)를 여는 방향의 스프링력이 부여됨과 동시에, 중립위치를 지나서 다른 쪽으로 회전하면 덮개(14)를 닫는 방향의 스프링력이 부여되도록 덮개 개폐용 스프링(15)을 구성하고, 수납부(2)에 수납된 매달린 암(3), 보조암(5), 장대(4)가 수납부(2)에서 끌려나올 때에 덮개(14)를 덮개 개폐용 스프링(15)의 중립위치를 지나 한쪽 회전방향으로 밀고, 매달린 암(3), 보조암(5), 장대(4)의 수납부(2)로의 수납시에 덮개(14)를 덮개 개폐용 스프링(15)의 중립위치를 지나 다른 쪽의 회전방향으로 밀기 위한 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해서, 매달린 암(3), 보조암(5), 장대(4)를 수납부(2)로 수납함으로써, 덮개(14)가 덮개 개폐용 스프링(15)의 스프링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닫히고, 매달린 암(3), 보조암(5), 장대(4)를 수납부(2)에서 끌어냄으로써, 덮개(14)가 덮개 개폐용 스프링(15)의 스프링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열리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ver 14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13 of the housing part 2, and the cover 14 is provided with a cover opening and closing spring 1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ver 14, When the cover 14 is rotated to one side beyond the neutral position of the cover opening and closing spring 15, the spring force in the direction of opening the cover 14 is imparted, and when the cover 14 is rotated to the other side beyond the neutral position, the cover 14 is closed. The cover opening / closing spring 15 is configured so that the spring force in the direction is applied, and the hanging arm 3, the auxiliary arm 5, and the pole 4, which ar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2, are dragged from the accommodating part 2. At the time of exit, the cover 14 is pushed in one rotational direction through the neutral position of the cover opening and closing spring 15, and when the hanging arm 3, the auxiliary arm 5, and the pole 4 are stored in the storage part 2.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means for pushing the lid 14 in the other rotational direction past the neutral position of the lid opening and closing spring 15. In such a configuration, by storing the hanging arm 3, the auxiliary arm 5, and the pole 4 in the storage unit 2, the lid 14 is automatically driven by the spring force of the lid opening and closing spring 15. The lid 14 is automatically opened by the spring force of the lid opening / closing spring 15 by pulling the hanging arm 3, the auxiliary arm 5, and the pole 4 from the housing 2. .

또 고정편(17)의 하단부에 하부 수납편(18)을 설치함과 동시에, 고정편(17)의 상단부에 상부 수납편(19)를 설치하여 고정 금구(20)를 구성하고, 고정 금구(20)의 고정편(17)을 건물 벽(1)에 고정하며, 수납부(2)의 외각을 구성하는 수납박스(21)의 배면부의 하부에 하부 수납편(18)의 횡폭보다도 횡방향 폭이 넓은 하부 걸림부(22)를 설치함과 동시에, 수납박스(21) 배면부의 상부에 상부 수납편(19)의 횡폭보다도 횡방향 폭이 넓은 상부 걸림부(23)를 설치하고, 하부 수납편(18)에 하부 걸림부(22)를 걸어 고정하며, 상부 수납편(19)에 상부 걸림부(23)를 걸어 고정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하부 수납편(18)에 하부 걸림부(22)를 걸어 고정하고, 상부 수납편(19)에 상부 걸림부(23)를 걸어 고정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케이스 본체(21)를 건물 벽(1)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고, 또 하부 걸림부(22)의 횡방향 폭이 하부 수납편(18)의 횡폭보다도 넓고, 상부 걸림부(23)의 횡방향 폭이 상부 수납편(19)의 횡폭보다도 넓으므로, 고정 금구(20)의 설치위치가 달라도, 하부 걸림부(22)의 폭방향 일부를 하부 수납편(18)에 걸어 고정함과 동시에, 상부 걸림부(23)의 폭방향 일부를 상부 수납편(19)에 걸어 고정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In addition, the lower housing piece 18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iece 17, and the upper housing piece 19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iece 17 to form the fixing bracket 20, thereby fixing the fixing bracket ( The fixing piece 17 of the 20 is fixed to the building wall 1, and the widt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lower storage piece 18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ear part of the storage box 21 constituting the outer shell of the storage part 2. The wide lower locking portion 22 is provided, and an upper locking portion 23 having a wider widt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an the horizontal width of the upper storage piece 19 is provid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storage box 21 and the lower storage piece. It is preferable to hang and fix the lower locking part 22 to 18, and to hang and fix the upper locking part 23 to the upper accommodating piece 19. By setting it as such a structure, the case main body 21 is simply made to hang by fixing the lower locking part 22 to the lower housing piece 18, and to only secure the upper locking part 23 to the upper housing piece 19. It can be installed on the building wall 1, and the horizontal width of the lower locking portion 22 is wider than the horizontal width of the lower storage piece 18, and the horizontal width of the upper locking portion 23 is the upper storage piece 19. The width of the upper locking portion 23 is fixed while the part of the lower locking portion 22 is fixed to the lower storage piece 18 by fixing a portion of the lower locking portion 22 in the width direction, even if the fixing bracket 20 has a different mounting position. It is possible to cope by fixing part of the direction on the upper storage piece 19.

또 매달린 암(3)의 하단부에 장대 지지부재(24)를 착탈(着脫)이 자유롭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장대(4)의 직경이 다른 경우에도, 다른 종류의 장대(4)에 대응하는 장대 지지부재(24)를 선택해서 매달린 암(3)에 설치할 수가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od support member 24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hanging arm 3. With such a configuration, even when the diameter of the pole 4 is different, the pole supporting member 24 corresponding to the other type of pole 4 can be selected and attached to the hanging arm 3.

이하 첨부도면에 근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실시예의 벽면 수납물 말림장치(16)는, 건물 벽(1)의 상부에 수납부(2)를 설치하고, 이 수납부(2) 내에서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출입이 자유롭게 되는 매달린 암(3)에 장대(4)를 가설하고, 또 매달린 암(3)에는 한 단부가 설치됨과 동시에, 다른 단부가 수납부(2) 측에 설치되어서, 매달린 암(3)의 보강을 하기 위한 보조암(5)을 수납부(2) 내에서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출입이 자유롭게 설치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In the wall storage curling device 16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hanging arm 3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portion 2 on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 wall 1, and is freely inclined forward and downward in this accommodating portion 2. 1) one end is provided,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on the accommodating part 2 side, and an auxiliary arm for reinforcing the hanging arm 3 is provided. 5) is configured to be freely installed in the storage unit 2 at an obliquely forward and downward direction.

도 1에 본 발명의 벽면 수납물 말림장치(16)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수납부(2)의 외각은 케이스 본체(21)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이 케이스 본체(21)는 저판(底板, 21a)의 후단에서 후종판(後縱板, 21b)을 위쪽으로 돌출되게 설치하며, 후종판(21b)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향해 상횡판(上橫板, 21c)를 돌출되게 설치하고, 또 상횡판(21c)의 상면에 별도의 천판(天板, 21d)을 얹어서 설치하고, 또 케이스 본체(21)의 양측 단면에 측면 커버(34)를 설치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천판(21)의 전단부와 저판(21a)의 전단부의 사이가 개구부(13)로 되어 있다. 후종판(21b)의 적어도 길이방향의 양 단부에는 설치부재(25)가 고정되어 설치되고, 이 설치부재(25)의 하부에는 하부 걸림부(22)가 설치되어 있으며, 설치부재(25)의 상부에는 상부 걸림부(23)가 설치되어 있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ll storage curling device 16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hell of the storage part 2 is comprised by the case main body 21, and this case main body 21 is installed so that the rear end plate 21b may protrude upwards from the rear end of the bottom plate 21a. The upper plate 21c is install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end of the rear plate 21b to the front, and a separate top plate 21d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21c. Moreover, it is comprised by providing the side cover 34 in the both sides end surface of the case main body 21. As shown in FIG. The opening 13 is provided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top plate 21 and the front end of the bottom plate 21a. The mounting member 25 is fixed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rear end plate 21b in at least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ower locking portion 22 is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member 25, and The upper locking portion 23 is provided at the top.

케이스 본체(21)의 내부에는 도 1,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좌우방향)의 중앙부에 한쌍의 중앙측판(中央側板, 26)이 설치되어 있고, 케이스 본체(21)의 내부의 길이방향 양 단부 근방에 후종판(21b)의 상하방향의 약 중앙부에서 저판(21a)의 전단부에 걸려 내려서 경사하도록 경사판(傾斜板, 27)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경사판(27)의 바깥쪽 단부에서 위쪽으로 단부측판(端部側板, 28)이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 본체(21) 내에는, 양 단부측판(28) 사이가 수납공간(2a)으로 되어 있고, 중앙측판(26)의 앞 부분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시에 장대(4)의 중앙부가 수납되는 장대 통과 요부(26a)가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4, a pair of central side plates 26 are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inside of the case body 21 is provided inside the case body 21. An inclined plate (27) is provided so as to be caught and inclined 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bottom plate (21a) at about the central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rear end plate (21b) in the vicinity of both longitudinal directions of the end plate (21b). An end side plate 28 protrudes upward from the end portion. In the case main body 21, between the both end side plates 28 is the storage space 2a, and in the front part of the center side plate 26, as shown in FIG. The pole passage recessed part 26a which accommodates a center part is provided.

양측의 단부측판(28)과 이를 대향하는 중앙부의 중앙측판(26)과의 사이에는 각각 좌우의 레일(7)이 수평상태로 가설되어 있고, 이 좌우의 레일(7)에는 각각 슬라이더(6)가 자유롭게 미끄러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레일(7)은 첨부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는 좌우 2개 설치되어 있으나, 하나의 레일(7)을 중앙측판(26)을 관통해서 좌우 양 단부의 단부측판(28) 사이에 가설하여, 하나의 레일(7)의 양측에 각각 슬라이더(6)를 자유롭게 미끄러지도록 설치되어도 좋다.Left and right rails 7 are horizontally arranged between the end side plates 28 on both sides and the central side plate 26 facing the center, and the sliders 6 are respectively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rails 7. Is installed to slide freely.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wo rails 7 are provided, but one rail 7 is interposed between the end side plates 28 of both left and right ends through the central side plate 26, The sliders 6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one rail 7 so as to slide freely.

레일(7)에 자유롭게 미끄러지도록 설치된 좌우 양측의 슬라이더(6)에는 각각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달린 암(3)의 상단부가 축(3a)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축 지지되어 있다. 매달린 암(3)의 하단부에는 상하로 대향하는 한쌍의 설치편(3b)이 설치되어 있고, 장대 지지부재(24)의 뒷부분에 설치된 축 지지부(24a)를 한쌍의 설치편(3b) 사이에 배치해서 축(24b)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장대 지지부재(24)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쪽으로 개구한 C자형상을 한 장대 수납요부(24c)가 설치되어 있고, 장대 수납요부(24c)에 장대(4)를 끼워넣어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축(24b)에 의한 설치편(3b)의 설치는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C자형상을 한 장대 수납요부(24c)의 크기가 다른 것(요부의 직경이 다른 것)을 선택해서, 매달린 암(3)의 하단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장대(4)의 직경이 다른 경우에 있어서도, 다른 종류의 장대(4)에 대응하는 장대 지지부재(24)를 선택해서 매달린 암(3)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축(3a)은 아래로 갈수록 뒤쪽이 되도록 경사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매달린 암(3)은 축(3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서, 수납부(2)의 수납공간(2a) 내에서 개구부(13)를 사이에 두어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출입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upper end of the hanging arm 3 is freely supported by the shaft 3a on the sliders 6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so as to slide freely on the rails 7. The lower end of the hanging arm 3 is provided with a pair of mounting pieces 3b facing up and down, and the shaft support 24a provided at the rear of the pole supporting member 24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mounting pieces 3b. The rotation is freely provided by the shaft 24b. As shown in FIG. 16, the rod support member 24 is provided with a rod-shaped recessed portion 24c having a C-shape opened upward, and the rod 4 is inserted into the rod-shaped storage portion 24c. I can do it. Here, in the installation of the attachment piece 3b by the shaft 24b, detachment is provided freely, and by selecting the C-shaped rod storage recess 24c having different sizes (different diameters of the recesses), It can be installed in the lower end part of the hanging arm 3, In this case, even when the diameter of the pole 4 differs, it selects and hangs the pole support member 24 corresponding to the other kind of pole 4 It can be installed in the arm (3). Therefore, the shaft 3a is inclined so as to be rearward as it goes down, and the arm 3 suspended by this rotates about the shaft 3a, and opens in the storage space 2a of the storage part 2. It is free to go in and out diagonally in front of (13).

축(24b)을 착탈하는 구조는 여러가지 것이 생각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설치편(3b)은 탄성을 가지는 부재로 구성하고, 한쪽의 설치편(3b)에 구멍(33a)을 설치하는 동시에, 다른 쪽의 설치편(3b)에는 구멍(33a)과 반대방향으로 움푹 들어간 대략 반구형상을 한 요부(33b)를 설치하고, 장대 지지부재(24)의 축 지지부(24a)에 끼우고 빼기 자유롭게 삽입한 축(24b)의 한 단부의 세경부(細徑部, 24d)를 구멍(33a)에 끼우고, 설치편(3b)의 탄성력을 이용해서, 축(24b)의 다른 단부의 대략 반구형상을 한 두부(頭部, 24e)를 대략 반구형상을 한 요부(33b)에 탄성 장착해서,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물론 이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tructure which attaches and detaches the shaft 24b can be considered, bu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6, the pair of mounting pieces 3b are comprised from the member which has elasticity, and is attached to one mounting piece 3b. At the same time as the hole 33a is provided, the other mounting piece 3b is provided with a substantially hemispherical recessed portion 33b recess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hole 33a, and the shaft supporting portion of the pole support member 24 is provided. The narrow neck portion 24d at one end of the shaft 24b inserted into the 24a and inserted freely is inserted into the hole 33a, and the shaft 24b is used by u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mounting piece 3b. An approximately hemispherical head 24e of the other end of the head) may be elastically mounted on the substantially hemispherical recessed part 33b to be detachably installed. Of course, this is not limited only.

또 장대(4)의 양 단부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한쌍의 어긋남 방지 돌륜부(突輪部, 4a)가 설치되어 있고, 장대 수납요부(24c)에 장대(4)의 단부를 끼울 경우, 한쌍의 벗어남 방지 돌륜부(4a)가 장대 수납요부(24c)의 양측에 위치해서 장대(4)가 길이방향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하고 있다.Moreover, as shown in FIG. 1, a pair of shift | offset | difference prevention protrusion part 4a is provided in the both ends of the pole 4, respectively, and the edge part of the pole 4 is fitted in the rod storage recessed part 24c. In this case, a pair of anti-deviation protrusions 4a ar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pole storage recessed portion 24c so that the pole 4 does not devi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단부측판(28)에는 상판부(上板部, 28a)가 설치되어 있고, 이 상판부(28a)에는 경사판(27)과 평행하게 경사한 경사부(28b)가 설치되어 있으며, 경사부(28b)와 경사판(27)에는 축(5a)에 의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조암(5)이 상단부가 회전이 자유롭게 축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수납부(2)의 양 단부 부근에서 축 5a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축 지지한 각 보조암(5)의 하단부는 각각 좌우 양측의 매달린 암(3)의 상하방향으로 대략 중간부에 축 5b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축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축(5a)은 아래로 갈수록 뒤쪽이 되도록 경사되어 있고, 이것에 따라 보조암(5)은 축(5a)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수납부(2)의 수납공간(2a) 내에서 개구부(13)를 사이에 두고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출입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The upper end part 28a is provided in the end side plate 28, and the upper part 28a is provided with the inclination part 28b which inclined parallel to the inclination plate 27, and the inclination part 28b and On the inclined plate 27, the auxiliary arm 5 as shown in Fig. 13 is supported by the shaft 5a at its upper end to be freely rotated. Thus, the lower end part of each auxiliary arm 5 which the rotation was axially supported by the axis 5a freely in the vicinity of the both ends of the accommodating part 2, and the axis 5b in the substantially middle part in the up-down direction of the hanging arm 3 of both right and left sides, respectively The rotation is freely supported by the shaft. Accordingly, the shaft 5a is inclined so as to be rearward as it goes down, and the auxiliary arm 5 rotates about the shaft 5a accordingly, thereby opening the opening portion (2) in the storage space 2a of the storage portion 2. 13) It is freely going in and out diagonally forward and downward.

여기서, 양측의 슬라이더(6)를 서로 접근하도록 미끄러뜨려서, 양 매달린 암(3)을 레일(7)에 대해 평행하게 접근하도록 회전시킴으로써, 양 매달린 암(3)을 수납공간(2a) 내로 수납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양 매달린 암(3)의 하단부에 양 단부가 지지되어 있는 장대(4)를 수납공간(2a) 내로 수납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이와 동시에 매달린 암(3)의 동작과 연동해서, 보조암(5)이 레일(7)에 대해 평행하게 접근하도록 회전해서, 양 보조암(5)을 수납공간(2a) 내로 수납할 수가 있다.Here, the sliders 6 on both sides are slid to approach each other, and the two suspended arms 3 are rotated so as to approach in parallel with the rails 7 so that the two suspended arms 3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2a. At the same time, the rod 4, which is supported at both ends at the lower ends of the two hanging arms 3, can be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2a, and at the same time, interlocked with the operation of the hanging arms 3 Thus, the auxiliary arm 5 can be rotated to approach the rail 7 in parallel, so that the two auxiliary arms 5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2a.

도 1,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단부측판(28)에는 풀리(9)를 설치한 풀리 설치 금구(9a)가 설치되어 있고, 이 수납부(2)의 양 단부에 설치된 풀리(9) 사이에 슬라이더(6)에 고정되어 장착되게, 무단(환상(環狀))으로 된 무단의 와이어(10)가 걸려 회전한다. 여기서 무단의 와이어(10)의 바로 앞쪽에는 한쪽의 슬라이더(6)가 설치되어 있고(무단의 와이어(10)의 앞쪽이 슬라이더(6)의 고착부(固着部, 6a)에 고정되어 장착되어 있음), 또 무단의 와이어(10)의 뒤쪽에는 다른 쪽의 슬라이더(6)가 설치되어 있고(무단의 와이어(10)의 뒤쪽이 슬라이더(6)의 고착부(6a)에 고정되어 장착되어 있음), 또 양 슬라이더(6)의 설치위치는 무단의 와이어(10)의 길이방향의 1/2의 위치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위치관계로 양 풀리(9) 사이에 걸려 회전하는 와이어(10)에 2개의 슬라이더(6)를 설치되어, 2개의 슬라이더(6)가 무단의 와이어(10)의 한쪽으로의 이동에 의해 2개의 슬라이더(6)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무단의 와이어(10)의 다른 쪽으로의 이동에 의해 2개의 슬라이더(6)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As shown in Fig. 1, Figs. 4 to 6, both end side plates 28 are provided with pulley mounting brackets 9a provided with pulleys 9, and pulley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torage portion 2. An endless wire (10), which is endless (annular), is caught and rotated so as to be fixed to the slider 6 between the parts (9). Here, one slider 6 is provided directly in front of the endless wire 10 (the front side of the endless wire 10 is fixed to the fixing part 6a of the slider 6 and is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endless wire 10, the other slider 6 is provided (the rear end of the endless wire 10 is fixed to the fixing portion 6a of the slider 6). In addition, the mounting position of both sliders 6 is a position of 1/2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ndless wire 10. As shown in FIG. In this positional relationship, two sliders 6 are provided on the wire 10 which is caught between the two pulleys 9 and rotates, so that the two sliders 6 move to one side of the endless wire 10. The two sliders 6 can be mov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each other, and the two sliders 6 can be moved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by the movement of the endless wire 10 to the other side.

도 1,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슬라이더(6)에는 제1 가동용 풀리(29a)가 설치되어 있으며, 다른 쪽의 슬라이더(6)에는 제2 가동용 풀리(29b)가 설치되어 있고, 한쪽의 단부측판(28)에 설치된 상판부(28a)에는 풀리(29c)가 설치되어 있고, 풀리(29c)의 아래쪽 케이스 본체(21)의 저판(21a)에는 구멍(29d)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중앙측판(26)에 한 단부를 설치한 조작끈(11)을 제1 가동용 풀리(29a)에 걸어 돌리고, 또 풀리(29c)에 걸어 돌려서, 구멍(29d)에서 케이스 본체(21)의 아래쪽으로 도출하고, 케이스 본체(21)의 아래쪽에서 U턴시키고, 또 구멍(29d)에서 위쪽으로 끌어올려, 제2 가동용 풀리(29b)에 걸어 돌려서, 이 조작끈(11)의 다른 단부를 풀리(29c)가 설치된 쪽의 단부측판(28)에 설치한다.As shown in FIGS. 1 and 4 to 6, one slider 6 is provided with a first movable pulley 29a, and the other slider 6 has a second movable pulley 29b. The pulley 29c is provided in the upper plate part 28a provided in one end side plate 28, and the hole 29d is provided in the bottom plate 21a of the lower case main body 21 of the pulley 29c. It is. Therefore, the operation string 11 which provided the one end part in the center side plate 26 was hooked on the 1st movable pulley 29a, and it was hooked on the pulley 29c, and rotated by the hole 29d of the case main body 21. The lower end of the case main body 21 is U-turned at the bottom of the case main body 21, and is pulled upward from the hole 29d and hooked on the second movable pulley 29b to rotate the other end of the operation strap 11. It is attached to the end side plate 28 of the side in which the pulley 29c was installed.

따라서, 케이스 본체(21)의 바깥으로 도출한 조작끈(11)을 도 5, 도 6의 화살표 A방향으로 당겨서 제2 가동용 풀리(29b)를 설치한 쪽의 슬라이더(6)가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며, 이 제2 가동용 풀리(29b)를 설치한 쪽의 슬라이더(6)가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제1 가동용 풀리(29a)를 설치한 쪽의 슬라이더(6)가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와 같이 해서 양 슬라이더(6)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양 매달린 암(3)이 수납공간(2a)에서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을 향해 돌출하도록 끌어내는 것이다. 한편, 조작끈(11)을 도 5, 도 6의 화살표 D방향으로 당겨서, 제1 가동용 풀리(29a)를 설치한 쪽의 슬라이더(6)가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며, 이 제1 가동용 풀리(29a)를 설치한 쪽의 슬라이더(6)가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제2 가동용 풀리(29b)를 설치한 쪽의 슬라이더(6)가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와 같이 해서 양 슬라이더(6)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튀어나와 있는 양 매달린 암(3)이 수납공간(2a) 내에 수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slider 6 on the side where the second movable pulley 29b is installed by pulling the operation string 11 drawn out of the case body 21 in the direction of arrow A of FIGS. The slider 6 on the side on which the first movable pulley 29a is installed is moved by the arrow 6 so that the slider 6 on the side on which the second movable pulley 29b is installed moves in the arrow B direction. It moves in the C direction, and in this way, the sliders 6 move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and the two suspended arms 3 are pulled out so as to protrude obliquely downward from the storage space 2a. On the other hand, by pulling the operation strap 11 in the direction of arrow D in Figs. 5 and 6, the slider 6 on the side where the first movable pulley 29a is installed moves in the direction of arrow B. In order to move the slider 6 on the side where the pulley 29a is installed in the arrow B direction, the slider 6 on the side where the second movable pulley 29b is installed moves in the arrow C direction, and thus Both sliders 6 move in a direction approaching each other, and both hanging arms 3 protruding obliquely forward and downward move in a direction to b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2a.

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29d) 부근에 회전이 자유로운 감김용 롤러(29e)를 설치하고, 이 감김용 롤러(29c)에 조작끈(11)을 감아서 구멍(29d)에서 아래쪽으로 도출하도록 해도 좋은데, 이 경우에는 조작끈(11)이 풀리(29c)에서 빠져나오지 않고, 와이어 조작이 가능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the winding roller 29e which can be rotated freely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hole 29d, and the operating string 11 is wound around this winding roller 29c, and it moves downward from the hole 29d. In this case, the operation string 11 does not come out of the pulley 29c, and wire operation is possible.

케이스 본체(21) 내부의 길이방향의 양 단부 근방에 설치한 경사판(27)에는 보조암 지지부(8)가 설치되어 있고, 보조암(5)을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린 상태로 보조암(5)의 하면부가 보조암 지지부(8)에 지지되어, 보조암(5)에 걸리는 하중을 보조암 지지부(8)에서 받을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보조암(5)을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린 상태에서, 보조암(5)은 축(5a) 부분에서 하중을 지지할 뿐 아니라, 보조암 지지부(8)에 있어서도 하중을 지지할 수 있어, 이 결과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린 장대(4)에 큰 하중이 걸려도 이를 보조암(5)을 끼워서 확실히 지지할 수 있게 된다.The sub arm support part 8 is provided in the inclined plate 27 provided in the case body 21 in the vicinity of the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ub arm 5 in the state which pulled the sub arm 5 obliquely forward and downward. The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support) is supported by the support arm support 8 so that the load applied to the support arm 5 can be received by the support arm support 8. In this way, the auxiliary arm 5 not only supports the load in the shaft 5a portion, but also supports the load in the auxiliary arm support 8 in the state where the auxiliary arm 5 is pulled downward and obliquely downward. As a result, even if a large load is applied to the pole 4 pulled downward at an angle forward and downward, it can be reliably supported by inserting the auxiliary arm 5.

도 1, 도 4, 도 8,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달린 암(3) 또는 보조암(5)을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린 상태에서, 매달린 암(3) 또는 보조암(5)이 맞닿아, 그 이상 매달린 암(3) 또는 보조암(5)이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려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12)가 설치되어 있고, 첨부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술한 보조암 지지부(8)를 L자 형태로 형성해서 L자 형태의 종돌부(從突部)를 스토퍼(12)로 하고, 보조암(5)이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려나와서 보조암 지지부(8)에 지지된 상태에서, 보조암(5)이 스토퍼(12)를 구성하는 종돌부에 맞닿아, 보조암(5)이 그 이상 앞쪽 아래쪽으로 끌려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장대(4)에 하중이 걸려도 스토퍼(12)에 의해 매달린 암(3)이 움직이지 않도록 되어 안정하므로, 장대(4)에 세탁물을 걸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보조암(5)을 비스듬히 끌어내린 상태에서, 그 이상의 끌어내림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12)를 설치한 예를 나타냈으나, 매달린 암(3)을 끌어내린 상태로 매달린 암(3)을 직접 그 이상 끌어내릴 수 없도록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를 설치해도 좋다.As shown in Fig. 1, Fig. 4, Fig. 8 and Fig. 9, the hanging arm 3 or the auxiliary arm 5 is fitted with the hanging arm 3 or the auxiliary arm 5 obliquely pulled forward and downward. A stopper 12 is provided to prevent the arm 3 or the auxiliary arm 5 that has touched and hanged further from being obliquely pulled forward and downward.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bove-described auxiliary arm support portion ( 8) is formed in the L-shape, the L-shaped bellows as the stopper 12, the auxiliary arm 5 is pulled obliquely forward and downward and supported by the auxiliary arm support 8 In this case, the auxiliary arm 5 abuts on the longitudinal protrusions constituting the stopper 12, thereby preventing the auxiliary arm 5 from being pulled further forward and downward. In addition, since the arm 3 suspended by the stopper 12 does not move even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pole 4, the laundry can be hung on the pole 4. Moreover, in the said Example, although the example which installed the stopper 12 for preventing further pulling down in the state which pulled out the auxiliary arm 5 at an angle was shown, the state which pulled down the hanging arm 3 was shown. A stopper may be provided to prevent the arm 3 that is suspended from being pulled down directly.

그런데 본 발명에 있어서, 2개의 매달린 암(3)에 지지된 장대(4)를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린 상태에는(즉 최대로 끌어내린 상태에는), 2개의 매달린 암(3)이 서로 평행이 되지 않게 2개의 매달린 암(3)을 역방향으로 경사시킨다. 결국, 도 2, 도 4, 도 8의 상태가 장대(4)를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최대로 끌어내린 상태이나, 상기 도 2,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매달린 암(3)은 정면에서 보아 8자 형태로 되는 위치관계로 되어 엇갈리게 평행으로 되지 않고, 더구나 서로 역방향으로 향해 경사되어 있다. 여기서 슬라이더(6)가 레일(7)을 따라 이동해서, 각각의 암(3)이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린 상태에서 수납부(2) 내에 수납하는 상태까지의 범위로 회전하나, 그 회전각도는 90도 미만이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the state in which the pole 4 supported by the two hanging arms 3 is pulled down at an angle forward and downward (that is, in the state of pulling down to the maximum), the two hanging arms 3 are parallel to each other. The two hanging arms 3 are inclined in the reverse direction. As a result, the state of FIGS. 2, 4, and 8 pulls the rod 4 obliquely forward and downward to the maximum, but as shown in FIGS. 2 and 4 above, the two hanging arms 3 face each other. As a result, they are in a positional relationship in the form of eight characters, are not staggered in parallel, and are inclined in opposite directions. Here, the slider 6 moves along the rails 7 so that each arm 3 rotates in a state from which the arm 3 is obliquely lowered forwardly and downwardly to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2, but the rotation angle thereof is It becomes less than 90 degrees.

이와 같이, 장대(4)를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린 상태로 2개의 매달린 암(3)이 서로 평행하게 되지 않고, 더욱이 2개의 매달린 암(3)이 역방향으로 경사되므로, 매달린 암(3)이 횡방향으로 요동이 어렵고 장대(4)가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시킬 수 있다. 또 장대(4)를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린 상태로 2개의 매달린 암(3)이 서로 평행하지 않게 2개의 매달린 암(3)을 역방향으로 경사시킨 것으로, 끌어내린 상태에서 수납하기 위해 슬라이더(6)를 이동해서 매달린 암을 이동시킬 때, 이동을 시작할 때에 매달린 암(3)이 경직되지 않고, 부드럽게 회전되어서 슬라이더(6)의 이동이 가벼운 힘으로 되는 것이다.In this manner, the two hanging arms 3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with the pole 4 pulled down obliquely forward and downward, and furthermore, since the two hanging arms 3 are inclin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hanging arms 3 It is difficult to swing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can be stabilized so that the pole 4 is not shaken. In addition, the two hanging arms 3 are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such that the two hanging arms 3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while the pole 4 is pulled downward at an angle forward and downward. When moving the hanging arm by moving), the hanging arm 3 does not stiffen at the start of the movement, but rotates smoothly so that the movement of the slider 6 becomes light force.

또 장대(4)를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린 상태에는, 도 2, 도 4,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매달린 암(3)에 대해 각각 축 지지한 보조암(5)이 매달린 암(3)에 대해 역방향으로 경사되어 있다. 결국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매달린 암(3)은 정면에서 보아 역 8자 형태로 되는 위치관계로 되어 엇갈리게 평행하지 않고, 또 서로 역방향으로 향해 경사되어 있다. 여기서 보조암(5)이 축(5a)을 중심으로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린 상태에서 수납부(2)에 수납하는 상태까지의 범위로 회전하는 것이나, 그 회전각도는 90도 미만이다.Further, in the state where the rod 4 is obliquely lowered forward and downward, as shown in FIGS. 2, 4, and 8, the auxiliary arm 5 axially supported for each hanging arm 3 is suspended by the arm ( It is inclined in the re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3). As a result, as shown in Figs. 2 and 4, the two hanging arms 3 are in a positional relationship in an inverted eight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are not staggered in parallel and are inclin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auxiliary arm 5 rotates in a state ranging from the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arm 5 is obliquely lowered forward and downward about the axis 5a to the state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ection 2, but the rotation angle thereof is less than 90 degrees.

상기한 바와 같이, 장대(4)를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린 상태로 각 매달린 암(3)에 대해 각각 축 지지한 보조암(5)을 축 지지한 매달린 암(3)에 대해 역방향으로 경사시킨 구성으로 함으로써, 끌어내린 상태에는 매달린 암(3)과 보조암(5)에서 일종의 트러스 구조에 유사한 구조가 되어서, 매달린 암(3)이 보조암(5)에 의해 견고히 보강되어서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의 돌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정되게 장대(4)를 지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arm 5, which is axially supported for each of the hanging arms 3, is inclined in the re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anging arm 3, which is axially supported, for each of the hanging arms 3, with the rod 4 lowered obliquely forward and downward. By the configuration, in the pulled-out state, the hanging arm 3 and the auxiliary arm 5 become a structure similar to a kind of truss structure, and the hanging arm 3 is firmly reinforced by the auxiliary arm 5 and is obliquely forwardly downward. The protruding state can be kept stable, and the pole 4 can be supported more stably.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수납부(2) 내에서 매달린 암(3), 보조암(5), 장대(4)를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출입시킬 때, 매달린 암(3), 보조암(5), 장대(4)에는 아래 방향으로의 하중이 발생하므로, 수납부(2)에 수납되는 상태에서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의 끌어내림을 하는 경우에 비해,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린 상태에서 수납부(2)로 끌어올림을 하는 경우가 큰 조작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납부(2) 내에서 매달린 암(3), 보조암(5), 장대(4)를 출입할 때에 매달린 암(3), 보조암(5), 장대(4)의 하중을 경감하기 위한 경감수단을 설치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arm 3, the auxiliary arm 5, and the pole 4 which are suspended in the storage part 2 are inclined forward and downward, the suspended arm 3, the auxiliary arm 5, Since the rod 4 generates a load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storage portion 2 is inclined downwardly downward in comparison with the case where the rod 4 is downwardly obliquely lowered in the state stored in the storage portion 2. In the case of pulling up, it requires a large operating force. For this reason, in this invention, the arm 3 suspended in the storage part 2, the auxiliary arm 5, the arm 3 hanging when entering and leaving the pole 4, the auxiliary arm 5, the pole 4 Reducing means for reducing the load

첨부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제1 스프링(30)과 제2 스프링(31)으로 경감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제1 스프링(30)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보조암(5)을 수납부(2)로 수납하는 방향(즉, 보조암(5)을 올리는 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한 회전 스프링력을 부여한다. 결국,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의해 구성된 제1 스프링(30)은 축(5a)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코일 부분을 감아 장착하고,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한 단부를 단부측판(28)에 탄성 접촉하면서, 다른 단부를 보조암(5)에 탄성 접촉한다. 따라서 제1 스프링(30)을 구성하는 제1 비틀림 코일 스프링은 도 14의 실선으로 표시된 상태가 자유상태이고, 제1 스프링(30)의 양 단선재부(端線材部, 30a)가 이루는 각도가 작을수록 스프링력이 크고, 제1 스프링(30)의 양 단선재부(30a)가 이루는 각도가 클수록 스프링력이 작게 되어서, 도 8의 최대 끌어내린 상태에서는 상기 각도가 가장 작고, 따라서 최대 끌어내린 상태에는 보조암(5)을 올리는 방향의 스프링력이 최대로 되어, 보조암(5)이 도 9, 도 10과 같이 위쪽으로 올라가고, 따라서 보조암(5)을 올리는 방향의 스프링력이 점차 작아지는 것이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reducing means is constituted by the first spring 30 and the second spring 31. As shown in FIG. 14, the 1st spring 30 is comprised by the torsion coil spring, and the direction which accommodates the auxiliary arm 5 to the accommodating part 2 (that is, the direction which raises the auxiliary arm 5) is shown. Gives a rotating spring force for rotating. As a result, the first spring 30 constituted by the torsion coil spring winds and mounts the coil portion of the torsion coil spring on the shaft 5a, and elastically contacts one end of the torsion coil spring to the end side plate 28, The other end is elastically contacted with the auxiliary arm 5. Accordingly, the first torsional coil spring constituting the first spring 30 is in a free state in a state shown by a solid line in FIG. 14, and an angle formed by both disconnected wire portions 30a of the first spring 30 is free. The smaller the spring force is, the larger the angle formed by both disconnected wire portions 30a of the first spring 30 is, the smaller the spring force is. In the maximum pulled-down state of FIG. In the state, the spring force in the direction of raising the auxiliary arm 5 becomes maximum, and the auxiliary arm 5 rises upward as shown in Figs. 9 and 10, and thus the spring force in the direction of raising the auxiliary arm 5 gradually becomes smaller. To lose.

한편, 제2 스프링(31)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틀림 코일스프링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한 단부를 경사판(27)에 설치한 계지부(係止部, 27a)에 걸어 장착하고, 다른 단부를 보조암(5)에 설치한 계지부(5c)에 걸어 장착한다. 따라서 제2 스프링(31)은 도 15의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가 자유상태이고, 제2 스프링(31)의 양 단선재부(31a)의 이루는 각도가 도 15의 실선의 상태보다도 작게 될수록 스프링력이 크게 된다. 도 8의 상태에서는 제2 스프링(31)에 의해 보조암(5)을 수납부(2)에서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스프링력이 부여되고 있다. 도 9의 상태와 같이 제2 스프링(31)의 다른 쪽의 단부를 계지하는 계지부(5c)가, 보조암(5)의 회전 중심인 축(5a)과, 제2 스프링(31)의 한쪽의 단부를 계지하는 계지부(27a)를 연결하는 선상에 위치한 상태에는, 제2 스프링(31)에 의한 보조암(5)으로의 탄성력을 부여하는 방향은 축(5a)과 계지부(27a)를 연결하는 선상에 있고, 따라서 이 도 9의 상태에는 제2 스프링(31)에 의한 보조암(5)을 회전하도록 하는 힘이 영으로 된다. 또 도 10의 상태에는 제2 스프링(31)에 의해 보조암(5)을 수납부(2) 측에 비스듬히 뒤쪽 위쪽으로 끌어올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스프링력이 부여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2nd spring 31 is comprised by the torsion coil spring as shown in FIG. 15, and hangs one end part to the latch part 27a provided in the inclined plate 27, and attaches it to the other end part. Is mounted on the locking portion 5c provided on the auxiliary arm 5. Therefore,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spring 31 is represented by the solid line in FIG. 15 is in a free state, and as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two disconnected wire portions 31a of the second spring 31 becomes smaller than the state of the solid line in FIG. 15, the spring force is increased. It becomes big. In the state of FIG. 8, the spring force is applied to rotate the auxiliary arm 5 obliquely forward and downward from the housing portion 2 by the second spring 31. As shown in the state of FIG. 9, the locking portion 5c that latches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pring 31 includes the shaft 5a which is the rotation center of the auxiliary arm 5 and one of the second springs 31. In the state positioned on the line connecting the locking portion 27a for locking the end of the direc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astic force is applied to the auxiliary arm 5 by the second spring 31 is the shaft 5a and the locking portion 27a. Is on the line connecting the, and thus the force for rotating the auxiliary arm 5 by the second spring 31 becomes zero in this state of FIG. 9. In addition, in the state of FIG. 10, the spring force is applied to rotate the auxiliary arm 5 obliquely upwardly upward on the storage part 2 side by the second spring 31.

상기한 매달린 암(3), 보조암(5), 장대(4)를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출입할 때에 발생하는 매달린 암(3), 보조암(5), 장대(4)의 하중 M1과, 장대(4)의 위치관계, 제1 스프링(30)이 보조암(5)에 작용하는 스프링력에 의한 하중 M2와, 장대(4)의 위치관계, 제2 스프링(31)이 보조암(5)에 작용하는 스프링력에 의한 하중 M3과, 장대(4)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면, 도 11의 (a), (b), (c)에 나타낸 것과 같은 그래프이다. 이 도 11의 (a), (b), (c)에 나타낸 전하중을 합계하면 끌어내림에서 수납에 이르는 거의 전행정에서 하중이 거의 영이 되고, 조작끈(11)을 조작해서 끌어내리거나, 수납하거나 하는 일련의 조작력을 가볍고 일정하게 할 수가 있다.The load M1 of the hanging arm 3, the auxiliary arm 5, and the pole 4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 when the above-mentioned hanging arm 3, the auxiliary arm 5, and the pole 4 enter and exit at an angle forward and downward, and a pole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4), the load M2 by the spring force which the 1st spring 30 acts on the auxiliary arm 5,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pole 4, and the 2nd spring 31 are the auxiliary arm 5 Whe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load M3 by the spring force acting on and the pole 4 is shown, it is a graph as shown to (a), (b), (c) of FIG. If the sum of the charges shown in Figs. 11A, 11B, and 11C is added, the load is almost zero at almost the entire stroke from the lowering to the receiving, and the operation string 11 is pulled down or The series of operating forces to be stored can be made light and constant.

케이스 본체(21) 전면의 개구부(13)에는 개폐가 자유로운 덮개(14)가 설치되어 있다. 첨부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는 단면 원호형상을 한 덮개(14) 양 단부의 이면부에 덮개 금구(3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덮개 금구(32)는 도 17에 나타낸 것과 같은 것으로서, 덮개(14)의 이면에 고정시킨 고정편(固定片, 32a)과, 이 고정편(32a)에서 돌출한 축지편(軸支片, 32b)과, 조작편(操作片, 32c)으로 구성되어 있고, 축지편(32b)에 설치한 축지부(軸支部, 32d)가 단부측판(28)의 앞쪽 상부에 축(32e)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덮개(14)가 개구부(13)의 상부 부근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또 덮개 금구(32)의 축지편(32b)의 돌출 선단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랩(lap, 32f)을 설치해도 좋은 것이다. 이와 같이 랩(32f)을 설치해서, 덮개(14)를 여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이 부여되는 것이다.An opening 13 on the front of the case body 21 is provided with a lid 14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freely.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cover brackets 32 ar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s of both ends of the cover 14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This cover bracket 32 is the same as that shown in FIG. 17, and has a fixed piece 32a fix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cover 14, and a axial piece projecting from the fixed piece 32a. 32b) and the operation piece 32c, and the bearing part 32d provided in the bearing piece 32b rotates by the shaft 32e in front of the end side plate 28. As shown in FIG. Since this support is free, the cover 14 is free to rotate about the upper vicinity of the opening 13. Moreover, as shown in FIG. 1, you may provide the lap | tip lap 32f at the protruding tip of the axial piece 32b of the cover bracket 32. As shown in FIG. In this way, the wrap 32f is provided to impart a force to rotate in the direction of opening the lid 14.

덮개(14)에는 덮개 개폐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첨부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는 덮개(14)에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은 비틀림 코일스프링으로 되는 덮개 개폐용 스프링(15)을 설치해서 덮개 개폐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9 내지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틀림 코일스프링에 의해 구성된 덮개 개폐용 스프링(15)의 한 단부가 단부측판(28)에 설치된 계지부 28c에 걸려 장착되어 있고, 다른 단부가 덮개(14)의 축지편(32b)에 설치된 계지부 32d에 걸려 장착되어 있다. 이 비틀림 코일스프링에 의해 구성된 덮개 개폐용 스프링(15)은, 계지부 28c와 축(32e)을 연결하는 선상에 계지부 32d가 위치하는 위치(이 계지부 28c와 축(32e)을 연결하는 선이 중립위치로 된다)를 경계로 해서, 이 선보다 위쪽에 계지부 32d가 위치하면, 덮개 개폐용 스프링(15)에 의해 덮개(14)가 닫히는 방향의 스프링력이 부여되고, 또 이 선보다 아래쪽에 계지부 32d가 위치하면, 덮개 개폐용 스프링(15)에 의해 덮개(14)가 열리는 방향의 스프링력이 부여된다.The cover 14 is provided with a cover opening and closing means.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ver 14 is provided with a cover opening and closing spring 15 that is a torsion coil spring as shown in FIG. 18. This is composed. That is, as shown in Figs. 19 to 22, one end of the lid opening and closing spring 15 constituted by the torsion coil spring is hooked to the locking portion 28c provided on the end side plate 28, and the other end is closed. It is attached to the locking part 32d provided in the bearing piece 32b of (14). The lid opening / closing spring 15 formed by this torsion coil spring has a position where the locking portion 32d is positioned on a line connecting the locking portion 28c and the shaft 32e (the line connecting the locking portion 28c and the shaft 32e). When the locking portion 32d is positioned above this line, the spring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d 14 is closed is applied by the lid opening / closing spring 15, and below the line. When the latching portion 32d is located, the spring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d 14 is opened by the lid opening / closing spring 15 is applied.

그리고 도 19와 같이 수납부(2)에 매달린 암(3), 보조암(5), 장대(4)가 수납된 상태에서는, 계지부 28c와 축(32e)을 연결하는 선보다 위쪽으로 계지부 32d가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따라서 이 도 19의 완전 수납상태에는 덮개 개폐용 스프링(15)에 의해 덮개(14)가 닫히는 방향의 스프링력이 부여되어 덮개(14)가 닫혀 있다. 이 덮개(14)의 닫힌 상태에서는 덮개(14)의 하단부가 저판(21a)의 전단부에 닿아 있다. 이 상태에서는 매달린 암(3), 보조암(5), 장대(4)를 수납한 수납부(2)의 개구부(13)가 덮개(14)에 의해 차폐되어, 매달린 암(3), 보조암(5), 장대(4)가 외부에서 볼 수 없어 외관을 좋게 할 수 있고, 또 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하는 것이다.And in the state where the arm 3, the auxiliary arm 5, and the pole 4 which were suspended by the accommodating part 2 were accommodated as shown in FIG. 19, the latch part 32d above the line which connects the latch part 28c and the shaft 32e. Is set so that the cover 14 is closed by the spring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d 14 is closed by the lid opening / closing spring 15. In the closed state of this cover 14, the lower end part of the cover 14 touches the front-end part of the bottom plate 21a. In this state, the opening 13 of the storage part 2 which accommodated the hanging arm 3, the auxiliary arm 5, and the pole 4 was shielded by the cover 14, and the hanging arm 3 and the auxiliary arm were closed. (5) The pole 4 cannot be seen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appearance can be improved, and the intrusion of dust or the like is prevented.

여기서 조작끈(4)을 끌어내리는 방향(즉, 매달린 암(3), 보조암(5), 장대(4)의 끌어내리는 방향)으로 당기듯이 조작하면, 매달린 암(3), 보조암(5), 장대(4)가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당겨지기 시작해서, 장대(4)의 단부에 의해 덮개 개폐용 스프링(15)의 스프링력에 대항해서, 덮개(14)의 이면을 밀어 올려, 이와 같이 덮개(14)가 밀어 올려져서, 계지부 28c와 축(32e)을 연결하는 선보다 아래쪽에 계지부 32d가 위치하게 되고, 계지부 32d가 계지부 28c와 축(32e)을 연결하는 선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면, 동시에 덮개 개폐용 스프링(15)의 덮개(14)로 스프링력을 가하는 방향이 반전해서, 도 20에서 도 21과 같이 덮개(14)가 자동적으로 열리고, 덮개(14)의 상단이 단부측판(28)에 설치된 접촉부(28d)에 맞닿아 덮개(14)의 열린 상태가 유지되게 한다. 이 경우, 더욱 조작끈(4)을 끌어내리는 방향으로 당기듯이 조작함으로써, 덮개(14)에 방해되지 않고, 도 20 → 도 21 → 도 22와 같이 해서, 수납부(2)에서 매달린 암(3), 보조암(5), 장대(4)를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향해 끌어낼 수가 있다.Here, when the operation strap 4 is pulled in the direction of pulling down (ie, the hanging arm 3, the auxiliary arm 5, the pulling direction of the pole 4), the hanging arm 3 and the auxiliary arm 5 ), The pole 4 begins to be pulled downward at an angle forward and downward, and pushes the back surface of the lid 14 against the spring force of the lid opening / closing spring 15 by the end of the pole 4. The cover 14 is pushed up so that the locking portion 32d is positioned below the line connecting the locking portion 28c and the shaft 32e, and the locking portion 32d is positioned below the line connecting the locking portion 28c and the shaft 32e. At the same time, the direction in which the spring force is applied to the lid 14 of the lid opening / closing spring 15 is reversed, so that the lid 14 is automatically opened as shown in FIGS. 20 to 21, and the upper end of the lid 14 is the end side plate. The contact part 28d provided in (28) abuts to keep the lid 14 open. In this case, the arm 3 suspended from the housing part 2 is not disturbed by the lid 14 by operating as if the operation string 4 is pulled in the pulling-down direction, as shown in Figs. 20 → 21 → 22. ), The secondary arm 5 and the pole 4 can be pulled out obliquely forward and downward.

한편, 매달린 암(3), 보조암(5), 장대(4)를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린 상태에서 수납부(2)에 수납하는 경우, 조작끈(4)을 끌어올리는 방향(즉, 매달린 암(3), 보조암(5), 장대(4)를 끌어올려서 수납부(2)에 수납하는 방향)에 당기듯이 조작하는 것이고, 도 22의 상태에서 도 21에 나타낸 수납부(2)의 개구부(13)까지 장대(4)가 끌어올려지면, 장대(4)의 단부가 덮개(14)에 설치된 조작편(32c)을 눌러서, 이것에 의해 덮개(14)가 도 22와 같이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계지부 28c와 축(32e)을 연결하는 선 보다 위쪽에 계지부 32d가 위치할 때까지 회전하면, 계지부 32d가 계지부 28c와 축(32e)을 연결하는 선보다 위쪽에 위치함과 동시에 덮개 개폐용 스프링(15)의 덮개(14)로의 스프링력이 가해지는 방향이 반전해서, 도 19와 같이 덮개(14)가 자동적으로 닫히고, 덮개(14)의 하단이 저판(21a)의 전단부에 닿아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hanging arm 3, the auxiliary arm 5, and the pole 4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 while being pulled down obliquely forward and down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operating strap 4 is pulled up (that is, hanging The arm 3, the auxiliary arm 5, and the rod 4 to be pulled up and pulled to the storage unit 2), and operated as shown in FIG. When the pole 4 is pulled up to the opening 13, the end of the pole 4 presses the operation piece 32c provided in the lid 14, thereby closing the lid 14 in the direction as shown in FIG. 22. And rotate until the stop 32d is positioned above the line connecting the stop 28c and the shaft 32e, and the stop 32d is above the line connecting the stop 28c and the shaft 32e. At the same time, the direction in which the spring force is applied to the lid 14 of the lid opening and closing spring 15 is reversed, so that the lid 14 is automatically closed as shown in FIG. In contact with the front end of the bottom end (21a) it is adapted to maintain the closed stat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벽면 수납물 말림장치(16)는 건물 벽(1)의 상부에 수납부(2)를 설치하고, 세탁물을 말릴 때에, 수납부(2) 내에서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매달린 암(3), 보조암(5), 장대(4)를 끌어내려서 이 장대(4)에 세탁물을 걸어서 말리는 것이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린 매달린 암(3), 보조암(5), 장대(4)를 끌어올려서 수납부(2) 내로 수납해서 사용하는 것이며, 이때 상기 동작에 연동해서 덮개(14)를 덮개 개폐수단인 덮개 개폐용 스프링(15)에 의해 자동적으로 개폐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wall storage curling device 16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portion 2 on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 wall 1, and when the laundry is dried, it is obliquely forward and downwar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2. The hanging arm (3), the auxiliary arm (5) and the pole (4) are pulled down to dry the laundry on this pole (4). 5), the pole 4 is pulled up to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 and in this case, the cover 14 is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by the cover opening / closing spring 15, which is a cover opening and closing means, in association with the above operation. will be.

다음에 수납부(2)의 외각을 구성하는 케이스 본체(21)를 건물 벽(1)의 상부에 설치한 실시예에 관해 이하 설명한다.Next, the Example which installed the case main body 21 which comprises the outer shell of the accommodating part 2 in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 wall 1 is demonstrated below.

고정편(17)의 하단부에 하부 수납편(18)을 설치하는 동시에, 고정편(17)의 상단부에 상부 수납편(19)을 설치해서 고정 금구(20)가 구성되어 있고, 이 고정 금구(20)를 건물 벽(1)의 상부에 어느 간격을 두어서, 못, 나무나사 등의 고정구를 이용해서 고정하는 것이다. 한편, 수납박스(21)의 배면부의 후종판(21b)의 적어도 길이방향의 양 단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걸림부(22)와 상부 걸림부(23)을 가지는 설치부재(25)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벽(2)에 설치된 고정 금구(20)의 하부 수납편(18)에 수납박스(21)의 배면부에 설치된 하부 걸림부(22)를 걸어 고정하고, 또 상부 수납편(19)에 상부 걸림부(23)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걸어 고정시키는 간단한 수단으로 케이스 본체(21)를 건물 벽(1)의 상부에 설치할 수가 있다.The lower housing piece 18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iece 17, and the upper housing piece 19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iece 17 to form the fixing bracket 20. 20)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 wall (1) by using a fixture such as nails, wood screws.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mounting member 25 having the lower locking portion 22 and the upper locking portion 23 is fixed to both end portions of the rear plate 21b of the rear portion of the storage box 2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ve. Then, the lower locking portion 22 provid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storage box 21 is fixed to the lower storage piece 18 of the fixing bracket 20 provided on the wall 2, and the upper portion is placed on the upper storage piece 19. By hooking and locking the locking portion 23, the case main body 21 can b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 wall 1 by a simple means of hooking and fixing it.

여기서, 고정 금구(20)의 벽(1)의 고정위치는 벽(1)의 구조 등의 조건에 의해 제한이 있다. 예를 들면, 고정 금구(20)를 벽(1)의 구조재인 지주나 간주(間柱)에 고정하는 경우, 건물의 모듈(module)이 다르면, 지주(간주) 사이의 거리가 다르고, 따라서 고정 금구(20)의 설치위치 사이의 간격이 다른 것이다. 이 점을 감안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하부 걸림부(22)의 횡방향 폭을 하부 수납편(18)의 횡폭보다도 넓게 하고, 또 상부 걸림부(23)의 횡방향 폭을 상부 수납편(19)의 횡폭보다도 넓게 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도 23에 있어서 벽(1)에 설치된 고정 금구(20) 사이의 간격이 예를 들면 L1, L2로 하는 것과 같이 현장에 따라 달라도, 폭이 넓은 하부 걸림부(22)의 폭방향의 어느 일부를 하부 수납편(18)에 확실하게 걸어 고정할 수 있는 동시에, 폭이 넓은 상부 걸림부(23)의 폭방향의 어느 일부를 상부 수납편(19)에 확실히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것이고, 현장에서의 고정 금구(20)의 설치위치의 횡방향에서의 오차를 흡수해서 확실히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Here, the fixing position of the wall 1 of the fixing bracket 20 is limited by the conditions such as the structure of the wall 1.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fixing bracket 20 is fixed to a pillar or core which is a structural member of the wall 1, if the modules of the building are different, the distance between the pillars is different, and thus the fixing bracket is different. The spacing between the installation positions of 20 is different. In view of this poin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width of the lower locking portion 22 is made wider than the horizontal width of the lower storage piece 18, and the horizontal width of the upper locking portion 23 is defined as the upper storage piece ( It is made wider than the width of 19). Thereby, even if the space | interval between the fixing brackets 20 provided in the wall 1 in FIG. 23 varies with a site | part, such as L1 and L2, for example, the width | variety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wide lower locking part 22 A part can be reliably hooked to the lower storage piece 18, and a part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wide upper locking part 23 can be reliably hooked and fixed to the upper storage piece 19, This can absorb the erro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ixing bracket 20 in this way, and can reliably install it.

또 도 24, 도 25와 같이 케이스 본체(21)에 가로 길이의 구멍(22a)을 형성함으로써 하부 걸림부(22)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4 and 25, the lower locking portion 22 may be formed by forming the hole 22a having a horizontal length in the case body 21.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발명은, 건물 벽의 상부에 수납부를 설치하고, 이 수납부 내에서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출입이 자유롭게 된 매달린 암에 장대를 가설하고, 이 매달린 암에 한 단부가 설치되고 다른 단부가 수납부 측에 설치되어서, 매달린 암의 보강을 하기 위한 보조암을 수납부 내에서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출입이 자유롭게 설치한 것으로서, 건물 벽면을 이용해서 설치할 수 있고, 종래의 천정 수납형의 세탁물 말림장치와 비교해서 공사가 간단하고,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고, 또 수납부를 벽에 설치한 구조이면서, 장대를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리는 것에 의해 장대를 벽면에서 떨어뜨릴 수 있어서, 세탁물이 벽에 닿아 더러워지거나, 벽이 젖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장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장대를 수납부 내에 수납할 수 있으므로, 건물의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방을 넓게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또 실외의 벽 상부, 예를 들면 베란다 벽의 상부에 설치하면, 세탁물 말림의 장소를 얻을 필요가 없는 것이고, 또 매달린 암의 하단부에 지지된 장대가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려나온다고 해도, 매달린 암이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려나오는 보조암에 의해 보강되므로, 장대를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려서 세탁물을 걸어 사용시에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린 장대를 견고히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orage unit on an upper portion of a building wall, and installs a pole on a hanging arm which is freely moved inward and downward at an angle in the storage unit. One end is installed at the arm and the other end is installed at the storage side, and the auxiliary arm for reinforcing the suspended arm is installed at an angle freely downwardly in the storage unit, and can be installed using the building wall. Construction is easy in comparison with the laundry ceiling device of the conventional ceiling storing type, and the cost is reduced, and, while being a structure which installed the storing part on the wall, the pole is dropped from the wall surface by pulling down the pole diagonally forward and downward It can be lowered to prevent the laundry from touching the wall and getting dirty or wet the wall. When not in use, the pole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building can be maintained satisfactorily, and the room can be used widely, and when installed on the outdoor wall, for example, on the balcony wall, It is not necessary to obtain a place for the laundry to dry, and even if the pole supported at the lower end of the hanging arm is pulled out obliquely forward and downward, the hanging arm is reinforced by an auxiliary arm drawn obliquely forward and downward, so the pole is obliquely forward and downward It is possible to firmly and stably support the pole, which is pulled down to the front and lowered diagonally forward and downward when used.

또,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에 더해서, 장대의 길이방향 양 단부를 지지하는 2개의 매달린 암의 상단부에 슬라이더를 각각 설치하고, 각 슬라이더를 수납부 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자유로이 미끄러지게 설치하며, 수납부의 양 단부 부근에 각각 보조암의 한 단부를 자유로이 회전하도록 축 지지함과 동시에, 보조암의 다른 단부를 매달린 암의 상하방향의 약 중간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 지지되게 하므로써, 2개의 슬라이더를 미끄러뜨리므로써 2개의 매달린 암 및 2개의 보조암을 각각 연동해서 수납부 내에서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출입이 자유롭게 함과 동시에, 매달린 암의 하단에 지지한 장대를 수납부 내에서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출입이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것이고, 수납부에서 장대를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자유로이 끌어내릴 수 있게 하여서,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린 상태의 장대를 견고히 지지하는 구조를 간단한 기구로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Moreover, in this invention of Claim 2,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this invention of Claim 1, the slider is provided in the upper end part of the two hanging arms which support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The slider is installed to slide freely along the rail provided in the housing, and supports the shaft to freely rotate one end of the auxiliary arm near each end of the housing, and at the same time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arm hanging the other end of the auxiliary arm. By allowing the rotation to be freely axially supported in the intermediate portion, the two sliders slide together to allow the two hanging arms and the two auxiliary arms to interlock with each other, allowing the entry and exit of the hanging arm to be forward and downward. The pole supported at the bottom is able to freely move inward and downward at an angle in the storage. In hayeoseo allows the rod to make an angle freely pulled toward the front of the bottom, it is possible to realize a structure for supporting rigidly the state of the pull down obliquely toward the front of the lower pole by a simple mechanism.

또 청구항 제3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2항의 발명의 효과에 더해서, 2개의 매달린 암에 지지된 장대를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린 상태에서, 2개의 매달린 암이 서로 평행하지 않도록 2개의 매달린 암을 역방향으로 경사시킴과 동시에, 장대를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린 상태에서 각 매달린 암에 대해 각각 축 지지한 보조암을 매달린 암에 대해 역방향으로 경사시킨 것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하단부에서 장대를 지지한 한쌍의 매달린 암이 횡방향으로 흔들림이 없어서, 장대가 진동없이 안정될 수 있고, 또 장대를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린 상태에서 각 매달린 암에 대해 각각 축 지지한 보조암을 매달린 암에 대해 역방향으로 경사시킴으로써, 끌어내린 상태에서는 매달린 암과 보조암으로서 일종의 트러스 구조에 유사한 구조가 되어, 매달린 암이 보조암에 보다 견고히 보강되어 안정되게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의 돌출상태를 유지해서, 장대를 보다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이고, 또 장대를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린 상태에서 2개의 매달린 암이 서로 평행하지 않게 2개의 매달린 암을 역방향으로 경사시키므로, 끌어내린 상태에서 수납을 위해 슬라이더를 이동해서 매달린 암을 이동시킬 때에, 이동을 시작할 때에 매달린 암이 경직됨이 없이,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어서 슬라이더의 이동을 가벼운 힘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Moreover, in the invention of Claim 3,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the said 2nd invention, two hanging arms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state which pulled the pole supported by the two hanging arms diagonally forward and downward. At the same time, the supporting arm is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hanging arm, while the supporting arm is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hanging arm while the hanging arm is inclin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pair of hanging arms are free from lateral shaking, so that the poles can be stabilized without oscillation, and are reversed with respect to the hanging arms supporting the axially supported secondary arms for each hanging arm with the poles tilted forward and downward. Inclined by the truss structure as a hanging arm and an auxiliary arm in the pulled down state It is a structure similar to, and the hanging arm is firmly reinforced to the secondary arm to maintain the state of protruding downwardly and obliquely in a stable manner, so that the pole can be supported more stably, and the pole is pulled downward obliquely forward and downward. Since the two hanging arms incline the two hanging arms in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y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when moving the hanging arms by moving the slider for storage in the pulled down state, the hanging arms are smoothed without rigidity at the start of the movement. It can rotate so that the slider can be moved with light force.

또 청구항 제4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해서, 보조암을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린 상태에서 보조암에 걸리는 하중을 받도록 보조암을 지지하기 위한 보조암 지지부를 설치한 것으로, 보조암을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린 상태에서 보조암 지지부로 보조암을 지지해서 보조암에 걸리는 하중을 받을 수 있고,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려진 장대에 큰 하중이 걸려도 이를 보조암을 끼워서 보다 확실히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In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4,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auxiliary arm is subjected to a load applied to the auxiliary arm in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arm is obliquely lowered forward and downward. The support arm supporting part is installed to support the support arm with the support arm supporting the support arm with the support arm lowered at an angle forward and downward to receive the load applied to the support arm. Even if a large load is applied, it can be supported more firmly by inserting an auxiliary arm.

또 청구항 제5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2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해서, 수납부의 양 단부에 설치한 풀리 사이에 걸려 회전한 무단의 와이어에 2개의 슬라이더를 무단의 와이어의 한쪽으로의 이동에 의해 2개의 슬라이더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무단의 와이어의 다른 쪽으로의 이동에 의해 2개의 슬라이더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하고, 슬라이더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끈을 설치하며, 조작끈을 수납부에서 밖으로 도출한 것으로서, 밖으로 도출된 조작끈을 조작해서 슬라이더를 미끄러뜨려, 한쌍의 슬라이더를 연동해서 서로 접근했다가 서로 멀어졌다가 하도록 동작시켜, 2개의 매달린 암을 연동해서 수납부 내에서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출입할 수 있는 것으로써, 외부에서의 조작끈의 조작으로 간단히 장대의 출입이 가능한 것이다.In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5, in addition to the effects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2, two sliders are attached to one end of the endless wire by the endless wire rotated between the pulley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housing. The two sliders move in a direction approaching each other by moving to the other side, and the two sliders move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by moving to the other side of the unauthorized wire, and the operation string for moving the slider The operation strap is pulled out from the storage unit, and the operation strap drawn out is operated to slide the slider to operate a pair of sliders to approach each other and move away from each other. By interlocking and being able to go in and out at an angle forward and downward in a storing part, It simply as possible and out of the pole to.

또 제6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2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해서, 매달린 암 또는 보조암을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린 상태에서 매달린 암 또는 보조암이 맞닿아서, 그 이상 매달린 암 또는 보조암이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려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를 설치한 것으로, 매달린 암 또는 보조암을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린 상태를 스토퍼에 의해 확실히 유지할 수 있고, 또 장대에 하중이 걸려도 스토퍼에 의해 매달린 암이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 있어, 매달린 암의 최대 끌어내린 상태를 확실하고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Moreover, in the invention of Claim 6,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the invention as described in any one of the said Claims 2-5, the hanging cancer or auxiliary cancer is matched in the state which pulled the hanging cancer or auxiliary cancer obliquely forward and downward. A stopper is provided to prevent the arm or the supporting arm from hanging over and obliquely forward and downward, so that the stopper can be surely held down by the stopper when the hanging arm or the supporting arm is obliquely lowered forward and downward. The arm suspended by the stopper does not move even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pole, so that the maximum pulled-down state of the suspended arm can be kept reliably and stably.

또 제7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1항 내지 제6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해서, 수납부 내에서 매달린 암, 보조암, 장대를 출입할 때에 매달린 암, 보조암, 장대의 하중을 경감하기 위한 경감수단을 설치한 것으로서,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자유로이 끌어내릴 수 있게 하며, 출입을 가벼운 힘으로 부드럽게 할 수 있는 것이다.In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7, in addition to the effects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bove-mentioned items 1 to 6, the arm, the auxiliary arm, and the pole which are suspended when entering and exiting the arm, the auxiliary arm, and the pole in the storage unit are loaded. It is to install the reducing means for reducing the, to be able to freely pull down to the front obliquely downward, it is possible to smooth the entry and exit with light force.

또 제8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1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해서, 수납부의 개구부에서 매달린 암, 보조암, 장대가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출입이 자유롭게 되고, 이 수납부의 개구부에 개폐가 자유로운 덮개를 설치한 것으로서, 매달린 암, 보조암, 장대를 수납부에 수납한 상태로 개구부를 덮개로 닫아, 매달린 암, 보조암, 장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외관을 좋게 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8,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an arm, an auxiliary arm, and a pole suspended from the opening of the storage part are obliquely forward and downward freely. The cover is freely opened and closed, and the opening is closed with the cover of the hanging arm, the auxiliary arm and the pole to prevent the hanging arm, the auxiliary arm and the pole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You can do it.

또 제9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8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해서, 매달린 암, 보조암, 장대의 수납부로의 수납상태에 있어서 덮개를 닫고, 수납되지 않은 상태에서 덮개를 여는 덮개 개폐수단을 설치한 것으로서, 덮개의 개폐에 있어, 덮개 개폐수단에 의해 간단하게 덮개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이다.In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9, in addition to the effects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8, the cover is closed in the storage state of the hanging arm, the auxiliary arm, and the rod housing, and the cover is opened in the unopened state.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re provided,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lid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by the lid opening and closing means.

또 제10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9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해서, 수납부의 개구부 상단부에 덮개를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덮개에 덮개를 개폐동작하기 위한 덮개 개폐용 스프링을 설치하고, 덮개 개폐용 스프링의 중립위치를 지나서 덮개를 한쪽으로 회전시키면 덮개를 여는 방향의 스프링력을 부여하고, 중립위치를 지나 다른 쪽으로 회전하면 덮개를 닫는 방향의 스프링력을 부여하도록 덮개 개폐용 스프링을 구성하고, 수납부로 수납된 매달린 암, 보조암, 장대가 수납부에서 끌려나올 때에, 덮개를 덮개 개폐용 스프링의 중립위치를 지나 한쪽 회전방향으로 누르고, 매달린 암, 보조암, 장대의 수납부로의 수납시에 덮개를 덮개 개폐용 스프링의 중립위치를 지나서 다른 쪽 회전방향으로 누르기 위한 수단을 설치한 것으로서, 매달린 암, 보조암, 장대를 수납부에 수납하여, 덮개가 덮개 개폐용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닫히고, 매달린 암, 보조암, 장대를 수납부에서 끌어내옴으로써, 덮개가 덮개 개폐용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열리게 하여, 덮개의 개폐를 간단한 구성으로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0,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9, the cover is freely rotatably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of the housing, and a cover opening / closing spring is provide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ver. When the cover is rotated to one side past the neutral position of the cover opening and closing spring, the cover opening and closing spring is applied to the cover opening direction, and the cover opening and closing spring is applied to the cover closing direction when the cover is rotated toward the other side. When the hanging arm, auxiliary arm, and po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are pulled out of the storage unit, the cover is pushed in a direction of rotation past the neutral position of the cover opening / closing spring, and the hanging arm, auxiliary arm, and storage pole are stored. Means for pressing the lid in the other rotational direction past the neutral position of the lid opening and closing spring at the time of storing the negative, The lid is stored in the housing, the lid is automatically closed by the spring force of the lid opening and closing spring, and the lid is pulled out of the housing by pulling the hanging arm, the auxiliary arm and the pole out of the housing. By automatically opening by the spring for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with a simple configuration.

또 제11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1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해서, 고정편의 하단부에 하부 수납편을 설치함과 동시에, 고정편의 상단부에 상부 수납편을 설치해서 고정 금구를 구성하고, 고정 금구의 고정편을 건물 벽에 고정하고, 수납부의 외각을 구성하는 수납박스의 배면부의 하부에 하부 수납편의 횡폭보다도 횡방향의 폭이 넓은 하부 걸림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수납박스의 배면부의 상부에 상부 수납편의 횡폭보다도 횡방향의 폭이 넓은 상부 걸림부를 설치하고, 하부 수납편에 하부 걸림부를 걸어 고정하고, 상부 수납편에 상부 걸림부를 걸어 고정한 것으로, 하부 수납편에 하부 걸림부를 걸어 고정하고, 상부 수납편에 상부 걸림부를 걸어 고정하는 것만으로, 케이스 본체를 건물 벽에 설치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건물 벽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고, 또 하부 걸림부의 횡방향 폭이 하부 수납편의 횡폭보다도 넓고, 상부 걸림부의 횡방향 폭이 상부 수납편의 횡폭보다도 넓으므로, 고정 금구의 설치위치가 달라도 하부 걸림부의 폭방향의 일부를 하부 수납편에 걸어 고정함과 동시에, 상부 걸림부의 폭방향의 일부를 상부 수납편에 걸어 고정하는 것으로 대응할 수 있고, 벽으로의 고정 금구의 설치위치가 횡방향에 있어서 어긋나도, 간단한 구성으로 고정 금구에 수납박스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1,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the lower housing piece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iece, and the upper housing piece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iece to form a fixing bracket. The fixing piece of the fixing bracket is fixed to the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lower part of the rear side of the storage box, which i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lower storage piece,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rear part of the storage box constituting the outer shell of the storage part. An upper locking portion having a width wider than a horizontal width of the upper storage piece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storage piece, and the lower locking portion is fastened to the lower storage piece by fastening the upper locking part to the upper storage piece. It is fixed and can attach the case body to a building wall just to fix the upper locking part to the upper storing piece, and building wall with simple structure Since the horizontal width of the lower locking portion is wider than the horizontal width of the lower housing piece, and the horizontal width of the upper locking portion i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housing piece, even if the fixing position of the fixing bracket is different, a part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lower locking part is different. It can be fixed by hanging on the lower storage piece and by fixing a part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locking portion to the upper storage piece, even if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fixing bracket on the wall is displac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torage box can be installed in the bracket.

또 제12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1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1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해서, 매달린 암의 하단부에 장대 지지부재를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한 것으로서, 장대의 직경에 대응한 장대 지지부재를 선택해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In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12, in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1,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1, the rod support member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hanging arm. The rod support memb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can be selected and installed.

도 1은 본 발명의 벽면 수납물 말림장치의 일부 생략 분해사시도,1 is a partially omitte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ll storage cur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의 (a)는 본 발명의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려진 상태의 정면도,Figure 2 (a) is a front view of a state pulled downward obliquely forwar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의 (b)는 본 발명의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려진 상태의 측면도,Figure 2 (b) is a side view of the state pulled down obliquely forwar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수납해서 덮개를 닫은 상태의 정면도,(A) is a front view of the state which accommodated and closed the cover of this invention,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수납해서 덮개를 닫은 상태의 측면도,Figure 3 (b) is a side view of a state of receiving and closing the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내부 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ternal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양 슬라이더를 이동하는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장대를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린 상태의 설명도,5 is a view showing a mechanism for moving both slid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planatory diagram of a state in which the pole is pulled down obliquely forward and downward;

도 6은 본 발명의 양 슬라이더를 이동하는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장대를 수납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FIG. 6 is a view showing a mechanism for moving both slider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스프링과 제2 스프링의 설치부분을 나타내는 측면도,Figure 7 is a sid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portion of the first spring and the second sp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장대를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최대한 끌어내린 상태에서의 제1 스프링과 제2 스프링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8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state of the first spring and the second spring in a state in which the po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ulled down obliquely forward and downward to the maximum;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스프링의 보조암을 회전시키는 스프링력이 영인 위치를 나타내는 설명도,9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position where the spring force for rotating the auxiliary arm of the second sp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zero;

도 10은 본 발명의 장대를 수납부에 수납한 상태에서의 제1 스프링과 제2 스프링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10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of a first spring and a second spring in a state where the po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commodated in a storage unit;

도 11의 (a)는 매달린 암, 보조암, 장대의 합계 하중 M1과 장대의 위치를 나타내는 그래프,(A) is a graph which shows the total load M1 of a hanging arm, an auxiliary arm, and a pole, and the position of a pole;

도 11의 (b)은 제1 스프링이 보조 스프링에 작용하는 스프링력에 의한 하중 M2와 장대의 위치를 나타내는 그래프,(B) is a graph which shows the position of the load M2 and pole by the spring force which a 1st spring acts on an auxiliary spring,

도 11의 (c)는 제2 스프링이 보조 스프링에 작용하는 스프링력에 의한 하중 M3과 장대의 위치를 나타내는 그래프,(C) is a graph which shows the position of the load M3 and pole by the spring force which a 2nd spring acts on an auxiliary spring,

도 12의 (a)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매달린 암을 나타내는 평면도,12 (a) is a plan view showing a hanging a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의 (b)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매달린 암을 나타내는 정면도,12 (b) is a front view showing the hanging a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의 (a)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보조암을 나타내는 평면도,Figure 13 (a)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ary a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의 (b)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보조암을 나타내는 정면도,Figure 13 (b)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econdary a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의 (c)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보조암을 나타내는 단면도,Figure 13 (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ary a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4의 (a)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 스프링을 나타내는 정면도,(A) is a front view which shows the 1st spring used by this invention,

도 14의 (b)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 스프링을 나타내는 측면도,(B) is a side view showing a first spring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5의 (a)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2 스프링을 나타내는 정면도,(A) is a front view showing a second spring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5의 (b)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2 스프링을 나타내는 측면도,Figure 15 (b) is a side view showing a second spring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의 (a)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장대 지지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Figure 16 (a) is a plan view showing a pole support memb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의 (b)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장대 지지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Figure 16 (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le support memb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의 (a)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덮개 금구를 나타내는 측면도,Fig. 17A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ver bracke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의 (b)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덮개 금구를 나타내는 평면도,17 (b)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ver bracke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의 (c)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덮개 금구를 다른 쪽에서 본 측면도,Figure 17 (c) is a side view of the cover bracke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the other side,

도 17의 (d)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덮개 금구의 정면도,17 (d) is a front view of the cover bracke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의 (a)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덮개 개폐용 스프링을 나타내는 정면도,18 (a) is a front view showing a cover opening and closing spring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의 (b)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덮개 개폐용 스프링을 나타내는 측면도,Figure 18 (b) is a side view showing a cover opening and closing spring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는 본 발명의 덮개의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19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open state of a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은 본 발명의 덮개의 개폐동작의 도중을 나타내는 설명도,20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middle of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본 발명의 덮개가 열린 상태에서 끌어내오는 방향으로의 이동(또는 수납방향으로의 이동) 도중을 나타내는 설명도,Fig. 2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middle of the movement (or the movement in the storage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pulling out the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는 본 발명의 덮개가 열린 상태에서 완전 끌려내온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Fig. 22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ly pulled out;

도 23은 본 발명의 본체 케이스를 한쌍의 고정 금구에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 고정 금구 사이의 간격이 다른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23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case where the intervals between the fixing brackets are different in the case where the main body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pair of fixing brackets;

도 24의 (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정면에서 본 사시도,Figure 24 (a)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erspective view from the front,

도 24의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배면에서 본 사시도,Figure 24 (b)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erspective view from the back,

도 25는 본 발명의 본체 케이스의 설치를 나타낸 설명도,25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installation of a main body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6의 (a)는 본 발명의 설치편에 축을 착탈이 자유롭게 한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Fig. 26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shaf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installation pie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6의 (b)는 착탈의 설명도이다.Fig. 26B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putting on and taking off.

*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1: 벽 2: 수납부1: wall 2: storage

3: 매달린 암 4: 장대3: hanging cancer 4: pole

5: 보조암 6: 슬라이더5: secondary arm 6: slider

7: 레일 8: 보조암 지지부7: rail 8: auxiliary arm support

9: 풀리 10: 무단의 와이어9: pulley 10: unauthorized wire

11: 조작끈 12: 스토퍼11: cord 12: stopper

13: 개구부 14: 덮개13: opening 14: cover

15: 덮개 개폐용 스프링 16: 벽면 수납물 말림장치15: spring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ver 16: wall storage curling device

17: 고정편 18: 하부 수납편17: fixed piece 18: lower storage piece

19: 상부 수납편 20: 고정 금구19: upper compartment 20: fixed bracket

21: 수납박스 22: 하부 걸림부21: storage box 22: lower locking portion

23: 상부 걸림부 24: 장대 지지부재23: upper locking portion 24: pole support member

Claims (12)

건물 벽의 상부에 수납부를 설치하고, 수납부 내에서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출입이 자유롭게 된 매달린 암에 장대를 가설하고, 이 매달린 암에는 한 단부가 설치됨과 동시에 다른 단부는 수납부 측에 설치되어, 매달린 암의 보강을 하기 위한 보조 암을 수납부 내에서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출입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수납물 말림장치.A storage unit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 wall, and a pole is installed on a hanging arm which is freely inclined forward and downward within the storage unit.At one end is installed at the hanging arm, and the other end is installed at the storage side. And an auxiliary arm for reinforcing the hanging arm, which is freely installed at an angle forward and downward in the storage unit. 제1항에 있어서, 장대의 길이방향의 양 단부를 지지하는 2개의 매달린 암의 상단부에 슬라이더(slider)를 각각 설치하고, 각 슬라이더를 수납부 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자유로이 미끄러지도록 설치하며, 수납부의 양 단부 근방에 각각 보조 암의 한 단부를 회전이 자유롭게 축 지지하면서, 보조 암의 다른 단부를 매달린 암의 상하 방향의 약 중간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수납물 말림장치.2. A slid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liders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upper ends of two hanging arms supporting both ends of the p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ach slider is installed to slide freely along a rail provided in the housing. A wall storage curl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is freely axially supported at abou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arm that is suspended from the other end of the auxiliary arm, while the one end of the auxiliary arm is freely axially supported near both ends of the wall. . 제2항에 있어서, 2개의 매달린 암에 지지된 장대를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린 상태에서, 2개의 매달린 암이 서로 평행하게 되지 않도록 2개의 매달린 암을 역방향으로 경사시키면서, 장대를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린 상태에서 각 매달린 암에 대해 각각 축 지지한 보조암을 매달린 암에 대해 역방향으로 경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수납물 말림장치.3. The pol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pole supported by the two hanging arms is obliquely lowered forward and downward, and the poles are obliquely forward and downwardly inclined in a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two hanging arms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auxiliary arm axially supported with respect to each of the hanging arms in the pulled down state inclined in a re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anging arms.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조암을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린 상태에서, 보조암에 걸리는 하중을 받도록 보조암을 지지하기 위한 보조암 지지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수납물 말림장치.The wall storag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n auxiliary arm support portion is provided for supporting the auxiliary arm so as to be subjected to a load applied to the auxiliary arm while the auxiliary arm is pulled downward at an angle forward and downward. Water curler. 제2항에 있어서, 수납부의 양 단부에 설치된 풀리(pulley) 사이에 걸려 회전되는 무단(無端)의 와이어로, 2개의 슬라이더를 무단의 와이어의 한쪽으로의 이동에 의해 2개의 슬라이더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무단의 와이어의 다른 쪽으로의 이동에 의해 2개의 슬라이더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하고, 슬라이더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끈을 설치하여, 이 조작끈을 수납부에서 밖으로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수납물 말림장치.The endless wire of claim 2, wherein the two sliders approach each other by moving two sliders to one side of the endless wires. The two sliders are mov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by moving the wires to the other side of the endless wires, and an operation strap for moving the slider is provided, and the operation strap is pulled out of the storage unit. Wall storage unit cur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에 있어서, 매달린 암 또는 보조암을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어내린 상태에서, 매달린 암 또는 보조암이 맞닿아 그 이상 매달린 암 또는 보조암이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끌려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수납물 말림장치.3. The stoppe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stopper is installed to prevent the hanging arm or the auxiliary arm from contacting the hanging arm or the auxiliary arm obliquely and downwardly from the front side while the hanging arm or the auxiliary arm is pulled downward at an angle forward and downward. Wall storage unit cur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제1항에 있어서, 수납부 내에서 매달린 암, 보조암, 장대가 출입할 때에, 매달린 암, 보조암, 장대의 하중을 경감하기 위한 경감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수납물 말림장치.The wall storage object curl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elieving means for reducing the load of the hanging arm, the auxiliary arm, and the pole is provided when the arm, the auxiliary arm, and the pole suspended in the storage unit enter and exit. 제1항에 있어서, 수납부의 개구부에서 매달린 암, 보조암, 장대가 비스듬히 앞쪽 아래쪽으로 출입이 자유롭게 되고, 이 수납부의 개구부에 개폐가 자유로운 덮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수납물 말림장치.The wall storage device curl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arm, an auxiliary arm, and a pole suspended from the opening of the storage unit are freely inclined forward and downward, and a cover freely opening and closing is provided in the opening of the storage unit. . 제8항에 있어서, 매달린 암, 보조암, 장대의 수납부로의 수납상태에 있어서 덮개를 닫고, 수납되지 않은 상태에서 덮개를 여는 덮개 개폐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수납물 말림장치.The wall storage device curl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a cover opening / closing means is provided for closing the cover in a storage state of the hanging arm, the auxiliary arm, and the rod housing, and opening the cover in a non-received state. 제9항에 있어서, 수납부의 개구부 상단부에 덮개를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덮개를 개폐 동작하기 위한 덮개 개폐용 스프링을 덮개에 설치하고, 덮개 개폐용 스프링의 중립위치를 지나서 덮개를 한쪽으로 회전하면 덮개를 여는 방향으로 스프링력을 부여함과 동시에 중립위치를 넘어서 다른 쪽으로 회전하면 덮개를 닫는 방향으로 스프링력을 부여하도록 덮개 개폐용 스프링을 구성하고, 수납부에 수납된 매달린 암, 보조암, 장대가 수납부에서 끌려나올 때에 덮개를 덮개 개폐용 스프링의 중립위치를 지나 한쪽의 회전방향으로 밀고, 매달린 암, 보조암, 장대의 수납부로의 수납시에 덮개를 덮개 개폐용 스프링의 중립위치를 넘어서 다른 쪽의 회전방향으로 밀기 위한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수납물 말림장치.10. The lid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lid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the lid opening / closing spring is installed on the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id, and the lid is rotated to one side beyond the neutral position of the lid opening / closing spring. The cover opening and closing spring is configured to give the spring force in the direction of opening the cover and at the same time rotates the other side beyond the neutral position to give the spring force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cover. When the pole is pulled out of the housing, push the cover past the neutral position of the cover opening / closing spring in one rotational direction. And a means for pushing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on the other side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고정편의 하단부에 하부 수납편을 설치함과 동시에 고정편의 상단부에 상부 수납편을 설치해서 고정 금구를 구성하고, 고정 금구의 고정편을 건물 벽에 고정하고, 수납부의 외각을 구성하는 수납박스의 배면부의 하부에 하부 수납편의 횡폭보다 횡방향 폭이 넓은 하부 걸림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수납박스의 배면부의 상부에 상부 수납편의 횡폭보다 횡방향 폭이 넓은 상부 걸림부를 설치하고, 하부 수납편에 하부 걸림부를 걸어 고정하고, 상부 수납편에 상부 걸림부를 걸어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수납물 말림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housing piece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iece and the upper housing piece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iece to form a fixing bracket, the fixing piece of the fixing bracket is fixed to the building wall, In the lower part of the back of the storage box constituting the lower engaging portion having a wider width in the lateral direction than the horizontal width of the lower storage piece at the same time, the upper locking portion having a wider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n the horizontal width of the upper storage piece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ck of the storage box, And a lower locking portion fixed to the lower storage piece, and an upper locking portion fixed to the upper storage piece. 제1항에 있어서, 매달린 암의 하단부에 장대 지지부재를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수납물 말림장치.The wall storage device curl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d support member is detachably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hanging arm.
KR10-1999-0053778A 1999-08-26 1999-11-30 A receptible drying arrangement attached to a wall KR10052808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240482 1999-08-26
JP24048299A JP3508640B2 (en) 1999-08-26 1999-08-26 Wall storage drying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0099A KR20010020099A (en) 2001-03-15
KR100528083B1 true KR100528083B1 (en) 2005-11-15

Family

ID=17060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3778A KR100528083B1 (en) 1999-08-26 1999-11-30 A receptible drying arrangement attached to a wall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508640B2 (en)
KR (1) KR100528083B1 (en)
CN (1) CN1202302C (en)
TW (1) TW421689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13794B2 (en) * 2009-07-14 2014-06-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Clothes drying equipment
CN104562584A (en) * 2013-10-09 2015-04-29 镇江跃进机械厂有限公司 Semi-automatic clothes hanger
CN106510402B (en) * 2016-12-30 2017-12-12 吕芳怡 It is a kind of that there is the clothes hanger for folding integrated function
CN109944037A (en) * 2019-04-16 2019-06-28 浙江好易点智能科技有限公司 The hanging clothes hanger of side wall
JP2021058406A (en) * 2019-10-07 2021-04-15 河淳株式会社 Laundry drying device
CN113700238B (en) * 2021-05-10 2023-07-14 浙江绿城房屋服务系统有限公司 Folding rotary telescopic aw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062191A (en) 2001-03-13
JP3508640B2 (en) 2004-03-22
CN1202302C (en) 2005-05-18
TW421689B (en) 2001-02-11
CN1286328A (en) 2001-03-07
KR20010020099A (en) 200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8565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0673446B1 (en) Drum washer having folding door
JP2006116322A (en) Drum washing machine with automatically openable/closable door
KR100528083B1 (en) A receptible drying arrangement attached to a wall
KR102075071B1 (en) Opening and closing window system
KR200462256Y1 (en) Dry hanger adjustable its slope
JP2003301657A (en) Self-closing device of sliding door
JP2005068920A (en) Opening part device
JPH1142398A (en) Ceiling lift type clothing drying device
JP2000237499A (en) Clothes drying apparatus
JP3165325B2 (en) Clothes dryer
KR940005687Y1 (en) Revolving door
JP2001096094A (en) Containing mechanism of hanging pole
JP2013124445A (en) Natural wind force ventilation window and smoke exhaustion window
JPH0114018Y2 (en)
KR100381197B1 (en) A locking apparatus for the drawer type washing machine
KR200310962Y1 (en) A display case attached an elevator
KR101192393B1 (en) Laundry drying rack
JPH0120918B2 (en)
JP3529714B2 (en) Indoor clothes dryer
JPH0910483A (en) Clothes drying device
JPH11294004A (en) Operating device for closet
JP3380477B2 (en) Clothesline
JP4425587B2 (en) Opening device
JP2571887Y2 (en) Wiring duct cover on de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