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6539B1 - 협대역 간섭 제거를 위한 첨두값 검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협대역 간섭 제거를 위한 첨두값 검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6539B1
KR100526539B1 KR10-2002-0075859A KR20020075859A KR100526539B1 KR 100526539 B1 KR100526539 B1 KR 100526539B1 KR 20020075859 A KR20020075859 A KR 20020075859A KR 100526539 B1 KR100526539 B1 KR 100526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 fourier
power
peak value
power levels
fourier trans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5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8090A (ko
Inventor
정승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5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6539B1/ko
Publication of KR20040048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8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5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5/00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대역 수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협대역 간섭을 제거하기 위하여 첨두값을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속 퓨리에 변환기는 입력되는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를 고속 퓨리에 변환하여 주파수 성분들과 전력 성분들을 포함하는 고속 퓨리에 변환 결과를 출력하며, 전력 계산기는 상기 고속 퓨리에 변환 결과에 대하여 전력레벨들을 계산한다. 첨두값 검출기는 상기 전력 계산기에 의한 계산결과 연속되는 3개의 전력레벨들 중 중심 전력레벨이 전후의 전력레벨보다 크면 상기 중심 전력레벨에 해당하는 주파수 성분을 첨두값으로서 검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협대역 간섭 신호로 간주되는 첨두값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출하며 시스템 구현이 간소하여 가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협대역 간섭 제거를 위한 첨두값 검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PEAK IN NARROW-BAND INTERFERENCE CANCELING SYSTEM}
본 발명은 광대역 이동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대역 수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협대역 간섭(narrow-band interference)을 제거하기 위하여 첨두값(Peak)을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은 주어진 무선 주파수 자원을 가지고 단말에게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하지만, 실제적으로 무선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간섭에 의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의 성능이 열화되며, 최악의 상황에서는 동작이 불가능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간섭에 대한 기술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간섭은 크게 동일 주파수 간섭과 근접주파수 간섭으로 구분된다. 동일 주파수 간섭으로는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는 기지국들 간의 간섭, 불법 무선국 등과 같은 다른 시스템으로부터의 간섭이 있다. 근접주파수 간섭으로는 근접한 주파수를 사용하는 동일 시스템 내의 기지국들 간의 간섭과 인접한 시스템들 간의 간섭이 있다.
현재의 광대역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가장 치명적이 될 수 있는 간섭은 동일한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는 다른 시스템으로부터의 협대역 간섭(narrow-band interference)이라 할 수 있다. 강한 협대역 간섭은 시스템 성능 열화 및 통화 두절 현상을 야기시킬 수 있다. 상기 협대역 간섭을 제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하기와 같은 방법들을 사용하고 있다.
먼저 첫 번째의 방법은 협대역 간섭신호가 들어오면 고속 간섭신호 검출 수신부에서 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주파수를 일단 중간주파수로 변환한 후, 협대역 간섭제거 필터를 적용하여 간섭신호를 제거한 후 원래 주파수로 재변환한다. 이러한 방법은 장치의 용량이 무겁고, 대형이며 전력의 소모가 심하다는 단점이 있다.
두 번째의 방법은 적응형 디지털 필터(Adaptive Digital Filter)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반송파 주파수에서 입력된 신호에 대하여 그 주파수를 낮추어 주고 전력이득을 조정한 후 양자화하여 디지털 변환한다. 이러한 디지털 신호에 대하여 간섭 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검출된 간섭 신호는 적응형 디지털 무한 길이 임펄스 반응(Infinite Impulse Response: IIR) 필터에 의하여 간섭을 제거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두 번째의 방법 또한 간섭신호에 적응하는 IIR필터를 사용함으로서 시스템 복잡도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대역내로 수신되는 협대역 간섭 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성능 열화를 방지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대역내로 수신되는 협대역 간섭 신호를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신 신호를 높은 신호대잡음비를 갖는 고속의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고 기저대역으로 변환한 후 협대역 간섭 신호를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협대역 간섭 신호를 제거하기 위하여 기저대역의 신호에서 첨두값 성분을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방법은, 협대역 간섭제거 시스템에서 첨두값을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되는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를 고속 퓨리에 변환하여 주파수 성분들과 전력 성분들을 포함하는 고속 퓨리에 변환 결과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고속 퓨리에 변환 결과에 대하여 전력레벨들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계산결과 연속되는 3개의 전력레벨들 중 중심 전력레벨을 전후의 전력레벨과 각각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중심 전력레벨이 전후의 전력레벨들보다 크면 상기 중심 전력레벨에 해당하는 주파수 성분을 첨두값으로서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협대역 간섭제거 시스템에서 첨두값을 검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를 고속 퓨리에 변환(FFT)하여 주파수 성분들과 전력 성분들을 포함하는 고속 퓨리에 변환 결과를 출력하는 고속 퓨리에 변환기와, 상기 고속 퓨리에 변환이 완료되면 상기 고속 퓨리에 변환 결과에 대하여 전력레벨들을 계산하는 전력 계산기와, 상기 계산된 전력레벨들을 순서대로 저장하는 FFT 결과 메모리와, 상기 저장된 전력레벨들을 순차적으로 독출하여 첨두값을 검출하는 첨두값 검출기와, 상기 검출된 첨두값과 그 주파수 성분을 나타내는 인덱스를 저장하는 첨두값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협대역 간섭제거 시스템에서 첨두값을 검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를 고속 퓨리에 변환(FFT)하여 주파수 성분들과 전력 성분들을 포함하는 고속 퓨리에 변환 결과를 출력하는 고속 퓨리에 변환기와, 상기 고속 퓨리에 변환이 완료되면 상기 고속 퓨리에 변환 결과에 대하여 전력레벨들을 계산하는 전력 계산기와, 상기 계산결과 출력되는 전력레벨들을 상호 비교하여 첨두값의 검출 여부를 판정하고 첨두값이 검출된 것으로 판정될 시 쓰기 가능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 및 연산기와, 상기 쓰기 가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검출된 첨두값과 그 주파수 성분을 나타내는 인덱스를 저장하는 첨두값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후술되는 본 발명은 기저대역의 수신신호를 주파수 성분들로 변환하고 상기 주파수 성분들의 전력레벨들을 상호비교함으로써 첨두값을 가지는 주파수 성분, 즉 협대역 간섭을 검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저대역에서 협대역 간섭을 제거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제1필터(102)는 대역통과필터(Band Pass Filter: BPF)로써, 안테나(101)로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대역의 신호에서 원하는 수신대역의 신호를 필터링한다. 믹서(Mixer)(103)는 상기 제1필터(102)에서 출력되는 상기 원하는 수신대역의 신호를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IF)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 하향 변환기(Frequency Down Converter)이다. 여기서 상기 믹서(103)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선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기저대역으로 한번에 변환할 경우 왜곡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중간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된 상기 신호는 이후 설명되는 디지털 주파수 변환기(Digital Down Converter: DDC)(107)에 의하여 기저대역으로 변환될 것이다.
제2필터(104)는 상기 믹서(103)에 의해 하강 변환된 신호를 보다 세밀하게 필터링한다. 이득제어기(Automatic Gain Controller: AGC)(105)는 상기 제2필터(104)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이득을 제어하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nalog to Digital Converter: ADC)(106)은 상기 이득제어기(105)에 의해 이득 제어된 아날로그 신호를 소정 샘플링 주파수에 따라 샘플링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다이버시티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제1필터(102)에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06)까지의 수신 경로는 다중화될 수 있다. 상기 도 1은 수신 다이버시티를 채택하여 안테나와 수신 경로를 이중화(duplicate)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수신 다이버시티 기능을 채택하지 않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섭제거 장치는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주파수 변환기(107)은 상기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의 샘플들을 데시메이션하여 기저대역으로 변환하는 데시메이션 필터(decimation filter)이다. 간섭제거기(Interference Canceller)108은 상기 데시메이션된 데이터에서 협대역 간섭 성분을 검출하여 제거한다. 모뎀(Modulator and Demodulator: MODEM)109은 상기 간섭제거기(108)로부터의 출력을 복호 및 복조하여 원하는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도 1과 같은 구성을 통해 협대역 간섭을 제거하는 동작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06)에 의해 변환된 상기 디지털 신호는 하나의 원 심볼에 대하여 많은 샘플링된 값들을 갖게 되므로, 상기 디지털 주파수 변환기(107)은 상기 샘플링된 데이터를 소정 데시메이션 비율에 따라 데시메이션을 수행한다. 그러면 상기 간섭제거기(108)은 보다 적은 샘플들만을 처리할 수 있게 되어 협대역 간섭의 검출이 용이해진다.
예를 들어 칩(chip) 단위의 데이터를 사용하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에서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06)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는 칩당 64개의 샘플들로 구성되고, 상기 디지털 주파수 변환기는 각각 8,2,2의 데시메이션 비율을 가지는 3개의 데시메이터들(decimators)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샘플들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칩당 2(=64/8/2/2)개의 샘플들을 출력한다. 상기 데시메이션 비율들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06)의 출력 샘플 수와 상기 간섭제거기(108)의 입력 샘플 수에 따라 설계된다.
도 2는 상기 도 1의 간섭제거기(108)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저대역에서 디지털 변환신호에 포함된 협대역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간섭제거기(108)는 상기 디지털 주파수 변환기(107)로부터의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에서 협대역 간섭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110)와 상기 검출된 협대역 간섭신호를 제거하는 필터부(111)로 구성된다. 즉, 상기 검출부(110)는 상기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에 대해 주파수별 전력분포를 분석하고 그 결과 협대역 간섭 신호의 존재 유무와 그 중심 주파수들을 검출하여 상기 필터부(111)로 제공한다. 그러면 상기 필터부(111)는 상기 검출된 중심 주파수들에 따라 각각 대역제거필터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에 포함된 협대역 간섭 신호를 제거한다.
도 3은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의 주파수별 전력분포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파수 도메인(Frequency Domain)에 나타낸 주파수 성분들은 각각 소정의 전력레벨을 가진다. 확산 스펙트럼 기술을 사용하는 CDMA 통신 시스템의 신호는 그 특성상 주파수별로 비교적 균일한 레벨을 가진다. 따라서 다른 주파수에 비하여 비교적 높은 전력레벨을 가지는 주파수 성분의 신호, 즉 첨두값 A, B, C는 협대역 간섭이라고 판단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검출부(108)는 입력되는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에 대해 첨두값을 검출하여 이를 협대역 간섭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에 따라 협대역 간섭을 검출하기 위한 상기 검출부(108) 구성의 제1 실시예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4에 도시한 제1 실시예는 고속 퓨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를 통해 분석한 주파수별 전력 분포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를 순차적으로 읽어내어 인접하는 3개의 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첨두값을 찾는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고속 퓨리에 변환기(FFT)(200)는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에 대해 고속 퓨리에 변환(FFT)을 수행하여 주파수별 전력분포를 분석한다. 상기 고속 퓨리에 변환기(200)에서 사용하는 신호들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W_Addr은 상기 고속 퓨리에 변환기(200)에서 고속 퓨리에 변환을 수행할 입력 데이터를 내부의 메모리에 기록하기 위한 쓰기주소이고, DIN은 상기 W_Addr에 기록되는 입력 데이터이다. FFO Go는 고속 퓨리에 변환을 시작할 것을 지시하는 신호이고 FFT Done은 상기 고속 퓨리에 변환기(200)에서 고속 퓨리에 변환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R_Addr은 상기 고속 퓨리에 변환기(200)의 내부 메모리에서 고속 퓨리에 변환 결과를 읽어내기 위한 읽기주소이고, FFT Result는 상기 R_Addr에 따라 출력되는 상기 고속 퓨리에 변환 결과이다.
상기 고속 퓨리에 변환기(200)는 소정 시간 구간 동안의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를 입력받아 고속 퓨리에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고속 퓨리에 변환 결과(FFT 결과)를 출력한다. 상기 FFT 결과는 상기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의 주파수 성분들과 전력 성분들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면 전력 계산기(Power Calculator: Pwr Cal)(202)는 상기 FFT 결과의 주파수 성분들 각각에 대하여 전력레벨을 계산한다. 상기 계산된 전력레벨들은 상기 R_Addr에 따라 FFT 결과 메모리(204)의 해당하는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다.
첨두값 검출기(Peak Detector)(206)는 상기 FFT 결과 메모리(204)에서 연속되는 3개의 데이터(즉 전력레벨들)를 읽어내어 중심 전력레벨을 전후의 전력레벨들과 각각 비교한 결과 전후의 전력레벨들보다 그 값이 크면 첨두값으로 판정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협대역 간섭은 전후의 주파수 성분들보다 더 큰 전력레벨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판정된 첨두값은 협대역 간섭으로 간주된다. 상기 첨두값으로 판정된 데이터와 그 인덱스는 첨두값 메모리(Peak Memory)(208)에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인덱스는 상기 FFT 결과에서 상기 첨두값으로 판정된 주파수 성분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이 인덱스에 의하여 상기 첨두값에 해당하는 중심 주파수를 알 수 있다.
상기 고속 퓨리에 변환부(200)에 의해 퓨리에 변환된 결과에 대하여 첨두값의 검출이 완료되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2에 나타낸 필터부(111)는 상기 검출된 첨두값의 주소에 따라 해당하는 중심 주파수를 판정하고 해당 중심 주파수 성분을 대역제거 필터링한다.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첨두값 검출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과정(10)에서 고속 퓨리에 변환기(200)는 소정 시간구간 동안 입력되는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를 고속 퓨리에 변환하여 변환 결과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고속 퓨리에 변환 결과는 주파수 성분들과 전력성분들을 포함한다. 과정(12)에서 전력 계산기(202)는 상기 고속 퓨리에 변화 결과의 전력레벨들을 계산하여 FFT 결과 메모리(204)에 주파수 순서대로 저장한다.
첨두값 검출기(206)는 과정(14)에서 상기 FFT 결과 메모리(204)에서 연속되는 3개의 전력레벨들 N-1, N, N+1을 독출하고, 과정(16)에서 상기 3개의 전력레벨들 중 중심 전력레벨 N을 각각 전후의 전력레벨들 N-1 및 N+1과 비교한다. 상기 비교결과 상기 중심 전력레벨 N이 상기 N-1 및 N+1보다 크지 않으면 과정(14)으로 복귀하여, 다음 연속되는 3개의 전력레벨들 N, N+1, N+2를 독출하여 비교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반면 상기 중심 전력레벨 N이 상기 N-1 및 N+1보다 크면, 과정(18)에서 상기 첨두값 검출기(206)는 상기 N의 인덱스와 해당하는 전력레벨 데이터를 첨두값 메모리(208)에 저장한다. 그러면 상기 첨두값 메모리(208)에서 읽어낸 데이터에 따라 일정 전력레벨을 초과하는 주파수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협대역 간섭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협대역 간섭을 검출하기 위한 상기 검출부(108) 구성의 제2 실시예는 도 6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6에 도시한 제1 실시예는 고속 퓨리에 변환(FFT) 결과들로부터 후술될 하드웨어 소자들을 이용하여 첨두값을 바로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첨두값에 해당하는 주소와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제2 실시예는 상기 제1 실시예에 비하여 하드웨어 연산 소자들을 필요로 하지만 필요한 메모리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고속 퓨리에 변환기(FFT)(300)는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에 대해 고속 퓨리에 변환(FFT)을 수행하여 주파수별 전력분포를 분석한다. 상기 고속 퓨리에 변환기(300)에서 사용하는 신호들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W_Addr은 상기 고속 퓨리에 변환기(300)에서 고속 퓨리에 변환을 수행할 입력 데이터를 내부의 메모리에 기록하기 위한 쓰기주소이고 DIN은 상기 W_Addr에 기록되는 입력 데이터이다. FFT Go는 고속 퓨리에 변환을 시작할 것을 지시하는 신호이고 FFT Done은 상기 고속 퓨리에 변환기(300)에서 고속 퓨리에 변환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R_Addr은 상기 고속 퓨리에 변환기(300)의 내부 메모리에서 고속 퓨리에 변환 결과를 읽어내기 위한 읽기주소이고, FFT Result_D는 상기 R_Addr에 따라 출력되는 상기 고속 퓨리에 변환 결과이다.
상기 고속 퓨리에 변환기(300)는 소정 시간 구간 동안의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를 입력받아 고속 퓨리에 변환을 수행하고 고속 퓨리에 변환 결과(FFT 결과)를 출력한다. 상기 FFT 결과는 상기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의 주파수 성분들과 해당하는 전력 성분들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면 전력 계산기(Pwr Cal)(302)는 상기 FFT 결과의 주파수 성분들 각각에 대하여 전력레벨을 계산한다. 상기 전력 계산기(302) 블럭에 표기된 D는 상기 고속 퓨리에 변환 결과에 대한 전력레벨이 1클럭만큼 지연되어 출력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계산된 전력레벨들은 비교 및 연산블럭(Compare & And Block)(308)으로 제공된다.
상기 비교 및 연산블럭(308)에서 D로 표기한 블럭들(312,316)은 각각 1클럭 지연을 수행하는 지연기이다. 상기 전력 계산기(302)에 계산된 전력레벨은 제1 지연기(312)에 의해 1클럭만큼 지연되고 제2 지연기(316)에 의해 다시 1클럭만큼 지연된다. 이들 지연기들(312,316)은 연속되는 3개의 전력레벨들을 각각 비교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중심 전력레벨 N은 상기 제1 지연기(312)의 출력이 되고 전후 전력레벨들 N-1,N+1은 각각 상기 제2 지연기(316)의 출력과 상기 제1 지연기(312)의 입력이다.
제1 비교기(310)는 상기 제1 지연기(312)의 입력과 상기 제1 지연기(312)의 출력과 비교하여 상기 제1 지연기(312)의 출력이 큰 경우 '1'을 출력한다. 또한 제2 비교기(314)는 상기 제1 지연기(312)의 출력과 상기 제2 지연기(316)의 출력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지연기(312)의 입력이 큰 경우 '1'을 출력한다. 앤드 게이트(318)는 상기 제1 및 제2 비교기(310,314)의 출력이 모두 '1'인 경우에 '1'을 출력한다. 상기 앤드 게이트(318)의 출력은 첨두값 메모리(306)에 쓰기 가능(Write Enable) 신호로서 제공된다.
한편, 상기 고속 퓨리에 변환기(300)에서 출력되는 FFT 결과에 해당하는 주소를 나타내는 R_Addr은 제3 지연기(304)로 입력되어 2클럭만큼 지연된다. 이는 상기 전력 계산기(302)와 상기 비교 및 연산 블럭(308)의 상기 제1 지연기(312)에 의한 지연을 고려한 것이다. 상기 첨두값 메모리(306)는 상기 앤드 게이트(318)로부터 쓰기 가능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에 상기 제3 지연기(304)로부터 입력되는 주소와 해당하는 전력레벨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전력레벨 데이터는 상기 전력 계산기(332)로부터 제공받는다. 또한 상기 첨두값 메모리(208)에 저장되는 주소는 상기 FFT 결과에서 상기 첨두값으로 판정된 주파수 성분의 위치를 나타내는 인덱스로서, 이 인덱스에 의하여 상기 첨두값에 해당하는 중심 주파수를 알 수 있다.
도 7은 상기 도 6에 도시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첨두값 검출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과정(20)에서 고속 퓨리에 변환기(300)는 소정 시간구간 동안 입력되는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를 고속 퓨리에 변환하여 변환 결과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고속 퓨리에 변환 결과는 주파수 성분들과 전력성분들을 포함한다. 과정(12)에서 전력 계산기(302)는 상기 고속 퓨리에 변화 결과의 전력레벨들을 계산하여 주파수 순서대로 출력한다.
과정(24)에서 비교 및 연산 블럭(308)의 지연기들(312,316)은 연속되는 3개의 전력레벨들 N-1, N, N+1을 임시 발생하고, 과정(26)에서 비교기들(310,314)은 상기 3개의 전력레벨들 중 중심 전력레벨 N을 각각 전후의 전력레벨들 N-1 및 N+1과 비교한다. 상기 비교결과 상기 중심 전력레벨 N이 상기 N-1 및 N+1보다 크지 않으면 과정(24)으로 복귀하여, 다음 연속되는 3개의 전력레벨들 N, N+1, N+2를 독출하여 비교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반면 상기 중심 전력레벨 N이 상기 N-1 및 N+1보다 크면, 과정(28)에서 앤드 게이트(318)는 쓰기 가능 신호를 발생하며 이에 따라 상기 N의 주소와 데이터가 첨두값 메모리(306)에 저장된다. 그러면 상기 첨두값 메모리(306)에서 읽어낸 데이터에 따라 일정 전력레벨을 초과하는 주파수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협대역 간섭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협대역 간섭제거 시스템에서 협대역 간섭 신호로 간주되는 첨두값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보다 신속하게 첨두값을 검출함으로써 협대역 간섭제거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메모리 사용을 최소화하여 구현을 간소화하고 가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저대역에서 협대역 간섭을 제거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상기 도 1의 간섭제거기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의 주파수별 전력분포의 일 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협대역 간섭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의 구성도.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첨두값 검출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협대역 간섭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의 구성도.
도 7은 상기 도 6에 도시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첨두값 검출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Claims (9)

  1. 협대역 간섭제거 시스템에서 첨두값을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되는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를 고속 퓨리에 변환하여 주파수 성분들과 전력 성분들을 포함하는 고속 퓨리에 변환 결과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고속 퓨리에 변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주파수 성분들에 대한 전력레벨들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계산결과 주파수 순서대로 연속되는 전력레벨들 중 제1 전력레벨을 전후의 제2 전력레벨들과 각각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전력레벨이 상기 전후의 제2 전력레벨들보다 크면 상기 제1 전력레벨에 해당하는 주파수 성분을 첨두값으로서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주파수 성분과 함께 상기 제1 전력레벨을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협대역 간섭제거 시스템에서 첨두값을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되는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를 고속 퓨리에 변환하여 주파수 성분들과 전력 성분들을 포함하는 고속 퓨리에 변환 결과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고속 퓨리에 변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주파수 성분들에 대한 전력레벨들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계산결과 주파수 순서대로 연속되는 3개의 전력레벨들 중 중심 전력레벨을 전후의 전력레벨들과 각각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중심 전력레벨이 상기 전후의 전력레벨들보다 크면 상기 중심 전력레벨과 해당하는 주파수 성분을 첨두값으로서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협대역 간섭제거 시스템에서 첨두값을 검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를 고속 퓨리에 변환(FFT)하여 주파수 성분들과 전력 성분들을 포함하는 고속 퓨리에 변환 결과를 출력하는 고속 퓨리에 변환기와,
    상기 고속 퓨리에 변환이 완료되면 상기 고속 퓨리에 변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주파수 성분들에 대한 전력레벨들을 계산하는 전력 계산기와,
    상기 계산된 전력레벨들을 주파수 순서대로 저장하는 FFT 결과 메모리와,
    상기 저장된 전력레벨들을 순차적으로 독출하여 첨두값을 검출하는 첨두값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첨두값 검출기는, 상기 저장된 전력레벨들 중 연속되는 3개의 전력레벨들을 순서대로 독출하고, 상기 3개의 전력레벨들 중 중심 전력레벨이 전후의 전력레벨들보다 크면 상기 중심 전력레벨과 해당하는 주파수 성분을 첨두값으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첨두값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첨두값에 해당하는 전력레벨과 주파수 성분을 나타내는 인덱스를 저장하는 첨두값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협대역 간섭제거 시스템에서 첨두값을 검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를 고속 퓨리에 변환(FFT)하여 주파수 성분들과 전력 성분들을 포함하는 고속 퓨리에 변환 결과를 출력하는 고속 퓨리에 변환기와,
    상기 고속 퓨리에 변환이 완료되면 상기 고속 퓨리에 변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주파수 성분들에 대한 전력레벨들을 계산하는 전력 계산기와,
    상기 계산결과 주파수 순서대로 출력되는 전력레벨들을 상호 비교하여 첨두값의 검출 여부를 판정하고 첨두값이 검출된 것으로 판정될 시 쓰기 가능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 및 연산기와,
    상기 쓰기 가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검출된 첨두값에 해당하는 전력레벨과 주파수 성분을 나타내는 인덱스를 저장하는 첨두값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및 연산기는,
    상기 계산결과 출력되는 전력레벨을 1클럭만큼 지연시키는 제1 지연기와,
    상기 제1 지연기의 출력을 1클럭만큼 지연시키는 제2 지연기와,
    상기 제1 지연기의 입력과 출력을 비교하여 상기 출력이 상기 입력보다 크면 1을 출력하는 제1 비교기와,
    상기 제2 지연기의 입력과 출력을 비교하여 상기 출력이 상기 입력보다 크면 1을 출력하는 제2 비교기와,
    상기 제1 비교기와 상기 제2 비교기의 출력을 앤드하여 상기 쓰기 가능 신호로서 출력하는 앤드 게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계산기는 상기 계산된 전력레벨들을 1클럭씩 지연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2-0075859A 2002-12-02 2002-12-02 협대역 간섭 제거를 위한 첨두값 검출 방법 및 장치 KR100526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859A KR100526539B1 (ko) 2002-12-02 2002-12-02 협대역 간섭 제거를 위한 첨두값 검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859A KR100526539B1 (ko) 2002-12-02 2002-12-02 협대역 간섭 제거를 위한 첨두값 검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8090A KR20040048090A (ko) 2004-06-07
KR100526539B1 true KR100526539B1 (ko) 2005-11-08

Family

ID=37343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5859A KR100526539B1 (ko) 2002-12-02 2002-12-02 협대역 간섭 제거를 위한 첨두값 검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65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12626B1 (en) 2019-03-19 2023-09-1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High-rate dft-based data manipulator and data manipulation method for high performance and robust signal processing
CN115604066B (zh) * 2022-10-08 2024-05-03 杭州万高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离散傅立叶变换的低成本窄带干扰频率估计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80243A2 (en) * 1992-07-24 1994-01-26 Magnavox Electronic Systems Company Narrow band interference frequency excision method and means for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JP2000307476A (ja) * 1999-04-21 2000-11-02 Kokusai Electric Co Ltd 受信機
JP2000307406A (ja) * 1999-04-22 2000-11-02 Denso Corp 負荷駆動回路
KR20010073986A (ko) * 2000-11-01 2001-08-04 박상열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협대역 간섭잡음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86533A (ko) * 2000-03-02 2001-09-13 서평원 수신경로의 간섭신호 제거장치
JP2001285133A (ja) * 2000-03-30 2001-10-12 Clarion Co Ltd マルチキャリア・スペクトル拡散送信機、その受信機及びこれら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並びに通信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80243A2 (en) * 1992-07-24 1994-01-26 Magnavox Electronic Systems Company Narrow band interference frequency excision method and means for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JP2000307476A (ja) * 1999-04-21 2000-11-02 Kokusai Electric Co Ltd 受信機
JP2000307406A (ja) * 1999-04-22 2000-11-02 Denso Corp 負荷駆動回路
KR20010086533A (ko) * 2000-03-02 2001-09-13 서평원 수신경로의 간섭신호 제거장치
JP2001285133A (ja) * 2000-03-30 2001-10-12 Clarion Co Ltd マルチキャリア・スペクトル拡散送信機、その受信機及びこれら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並びに通信方法
KR20010073986A (ko) * 2000-11-01 2001-08-04 박상열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협대역 간섭잡음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8090A (ko) 2004-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1130B2 (ja) 無線受信機における局検出及び探索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8451962B2 (en) Arrangements for acquiring and using data obtained from received interference to facilitate data recovery
CN100392988C (zh) 具有从数字化中频信号中消除已知干扰信号的接收机的通信终端和从数字化中频信号中消除已知干扰信号的方法
KR101055364B1 (ko) 매체 상에서의 코-채널 전송들을 선택적으로 무시하는 방법및 장치
US8050646B2 (en) Noise suppressing device
EP2408117A1 (en) Synchronizing and detecting interference in wireless receiver
KR102044816B1 (ko) 선택적 신호 제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462757B2 (en) Automatic gain control based on signal spectrum sensing
WO2011151216A1 (en) Detecting interference in wireless receiver
JP2005080272A (ja)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方式受信機
KR10047470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협대역 간섭신호 제거장치 및 방법
WO2007068146A1 (fr) Procede et appareil de suppression d'interferences a bande etroite par traitement de fenetrage dans un systeme a spectre etale
US8374210B2 (en) Wide band transceiver and data receiving method using a tunable notch filter and pre-estimated optimal notch filter parameters
US2004022842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ncelling narrow-band interferen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544705B1 (ko) 희생 시스템 검출 장치, 희생 시스템 검출 방법, 통신 장치및 통신 방법
KR100526539B1 (ko) 협대역 간섭 제거를 위한 첨두값 검출 방법 및 장치
KR20050025230A (ko) 스펙트럼 확산통신방식 수신장치
KR100381002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펄스형 간섭 제거 장치
KR10058440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수신 전력 측정 장치 및 방법
US51989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wideband detection of a tone
JP4107980B2 (ja) ワイヤレス受信装置
JP3447651B2 (ja) マルチキャリア受信機
JP2016046559A (ja) 衛星放送信号品質推定装置及び漏洩信号キャンセ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