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5755B1 - 공중 무선 랜 서비스에서 무선 단말기 적응 초기 접속웹페이지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공중 무선 랜 서비스에서 무선 단말기 적응 초기 접속웹페이지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5755B1
KR100525755B1 KR10-2003-0000206A KR20030000206A KR100525755B1 KR 100525755 B1 KR100525755 B1 KR 100525755B1 KR 20030000206 A KR20030000206 A KR 20030000206A KR 100525755 B1 KR100525755 B1 KR 100525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erminal
authentication
web page
url
initial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0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2709A (ko
Inventor
이동학
박성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0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5755B1/ko
Publication of KR20040062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2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5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57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단말기로 초기 접속 웹페이지 정보를 전송할 때 무선 단말기별로 할당된 초기 접속 웹페이지 리스트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무선 단말기의 기종별로 최적화된 초기 접속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한 공중 무선 랜 서비스에서 무선 단말기 적응 초기 접속 웹페이지 제공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가 공중 무선 랜 접속을 요구하면 인증/과금 서버에서 인증을 수행한 후, 인증/과금 서버에 설정된 초기 접속 웹페이지를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무선 단말기로 전송할 때 초기 접속 웹페이지의 URL 리스트 또는 대표 URL을 함께 전송한다. 이에 따라 무선 단말기에서 URL 리스트로부터 자신의 기종에 적합한 URL을 선택하거나 대표 URL로부터 단말기에 적합한 URL을 생성하여 초기 접속 웹페이지에 접속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인증시 단말기 부가 정보 확인을 위한 과정을 생략할 수 있고, 인증 메시지 처리 오류로 인하여 인증과정이 중복 수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중 무선 랜 서비스에서 무선 단말기 적응 초기 접속 웹페이지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Web Page for Initial Connection Adapted Mobile Terminal in Public Wireless LAN Service}
본 발명은 공중 무선 랜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단말기로 초기 접속 웹페이지 정보를 전송할 때 무선 단말기별로 할당된 초기 접속 웹페이지 리스트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무선 단말기의 기종별로 최적화된 초기 접속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한 공중 무선 랜 서비스에서 무선 단말기 적응 초기 접속 웹페이지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중 무선 랜(Public WLAN)은 유선 랜의 확장 또는 대안으로 구현된 유연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으로, RF 또는 적외선 기술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공중으로 송수신한다. 공중 무선 랜 서비스에서는 액세스 포인트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를 가진 무선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뿐만 아니라 사용자 식별 및 인증 기능이 제공된다. 사용자가 액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지역에서 무선 랜 접속을 시도하면 무선 랜 서비스 네트워크에서는 사용자의 서비스 접속 여부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인증 결과 정상적인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에는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네트워크 접속을 차단하게 된다.
도 1은 공중 무선 랜을 통한 인터넷 접속의 일 예시도이다.
액세스 포인트(20)는 인터넷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사업자의 IP 코어(30)와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20)는 서브넷을 구성하여 다수의 무선 단말기(10-1~10-n)와 IP 코어(30) 간을 무선으로 접속시킨다. 따라서, 이와 같은 액세스 포인트(20)는 사업자의 구성에 따라 IP 코어(30)에 필요한 만큼 접속시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공중 무선 랜(100)은 IP 코어(30)를 통하여 이동통신망(200)의 이동망 사업자 코어(50)에 접속되어 제어 신호 데이터를 상호 송수신한다. 액세스 포인트(20)는 공중 또는 개인 서비스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사용자 데이터 패킷을 직접 IP 코어(30)로 라우트한다.
이후, 액세스 포인트(20)를 통해 무선 단말기(10-1~10-n)로 IP 어드레스를 할당하고 인증/과금 서버(40)로 무선 단말기(10-1~10-n)의 인증을 요구하면 인증서버(40)는 인증데이터에 대해 MSC(60)를 통해 HLR(70)로 질의하고 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여, 적법한 사용자로 판명되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 랜 서비스에서 사용자는 액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핫 스팟에서 무선 랜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핫 스팟은 다양한 환경에서 구현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일반 사무실, 증권 거래소, 경매장, 기업체, 역, 카페, 공항, 역사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공중 무선 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통신 사업자는 핫 스팟에 무선 랜 접속을 위한 네트워크를 설치하기 위하여 핫 스팟 소유자의 허가를 얻어야 하며, 핫 스팟의 소유자는 이를 통한 수익창출을 요구하게 된다. 핫 스팟 소유자의 수익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웹 사이트를 이용하여 핫 스팟에 대한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들 수 있다.
공중 무선 랜에서의 위치기반 서비스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무선 단말기의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액세스 포인트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파악하고, 파악된 사용자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주변 정보를 알려주는 서비스이다. 이를 핫 스팟에 대해 적용할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백화점에서 무선 랜 접속을 시도한 경우에는 인터넷의 초기화면으로 백화점 내 사용자가 위치한 곳의 매장 정보나 백화점 홍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현재는 이러한 초기 접속 페이지의 URL를 액세스 포인트에 저장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 경우에는 액세스 포인트 설치시 지역에 따라 초기 접속 웹페이지에 해당하는 URL을 설정해 주어야 하며, 그룹별 서비스 또는 무선 단말기의 종류에 따른 최적화된 서비스 등이 어렵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현재의 무선 랜 서비스는 무선 단말기의 기종에 상관 없이 동일한 웹페이지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대부분의 무선 랜 접속 단말기는 노트북 컴퓨터 또는 PDA인데, PDA는 노트북 컴퓨터와 달리 웹 브라우징시에 응용 서비스가 제한적이며, 또한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화면 규격도 현격한 차이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노트북 컴퓨터의 경우 1024*768의 화면 해상도를 지원하지만 PDA의 경우 320*240의 화면 해상도가 지원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노트북 컴퓨터를 기준으로 작성한 웹페이지를 PDA에 제공할 경우 잦은 화면 스크롤 등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게 된다. 또한, 웹페이지를 PDA를 기준으로 작성한 경우 노트북 컴퓨터에는 웹페이지가 화면의 일부에 치우쳐서 출력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초기 웹페이지 제공시 무선 단말기의 기종에 따른 URL를 제공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며, 그 일 예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일반적인 무선 단말기 적응 초기 접속 웹페이지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공중 무선 랜 서비스에서 무선 단말기(10-1~10-n)가 액세스 포인트(20)에 접속하면(S101), 네트워크는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무선 단말기(10-1~10-n)로 제1 IP 어드레스를 할당한다(S102). 공중 무선 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가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액세스 포인트(20)로 인증을 요구하면(S103), 액세스 포인트는 사용자 정보(ID, 비밀번호 등)를 입력할 것을 요구한다(S104). 이에 따라 사용자가 무선 단말기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면 무선 단말기는 사용자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20)로 전송하고(S105), 액세스 포인트는 사용자 정보를 인증/과금 서버(40)로 전송하여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절차를 시작하게 된다(S106).
사용자 인증을 위하여, 인증/과금 서버(40)는 인증/과금 서버(40)가 MD5(Message Digest Algorithm 5)를 지원할 경우에는 MD5 챌린지를 전송하고 TTLS(Tunneled Transport Layer Security)를 지원할 경우에는 TTLS 시작 메시지를 액세스 포인트(20)로 전송하여 접속을 시도한다(S107). 여기에서, MD5 및 TTLS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기의 인증에 사용되는 알고리즘 또는 메시지를 의미한다.
액세스 포인트(20)는 MD5 챌린지 또는 TTLS 시작 메시지를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여 인증을 시도한다(S108).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무선 단말기는 액세스 포인트의 인증 시도에 대하여 부정응답(NAK) 메시지를 전송하되, 이 메시지에 단말기 관련 부가정보를 추가하여 전송한다(S109).
인증 과정에서 부정응답(NAK)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는 무선 단말기가 인증/과금 서버로부터의 인증방법을 지원할 수 없을 경우에 대체 인증방법을 통보하기 위해 사용한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단말기의 부가 정보를 인증/과금 서버(40)로 전송하기 위해 부정응답(NAK)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추가하여 수행하는 것이다. 무선 단말기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전송하는 이유는 웹페이지 제공시 무선 랜 서비스에 접속한 무선 단말기의 정보(운영체제 타입, 화면 크기, 단말기 기종 등)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최적화된 화면을 제공하는 데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이다. 즉, 대부분의 홈 페이지가 노트북에 맞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PDA를 통해 접속할 경우, 사용자는 스크롤 작업을 수행해야 하고, 아울러, 무선 단말기가 사용하는 운영체제에 따라 웹페이지 구성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화면 출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인증/과금 서버(40)의 인증 요구시 부정응답(NAK) 메시지에 무선 단말기의 정보(운영체제 타입, 화면 크기, 단말기 기종 등)를 포함하여 인증/과금 서버(40)로 전송함으로써 단말기의 종류에 적합한 초기 접속 사이트 정보가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무선 단말기 관련 부가 정보는 이와 같이 NAK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사용자의 직접 입력에 의해 무선 단말기 정보가 액세스 포인트(20)를 통해 인증/과금 서버로 전송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제, 무선 단말기의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부정응답(NAK) 메시지는 액세스 포인트(20)로부터 인증/과금 서버(40)로 전송되고(S110), 인증/과금 서버(40)는 단말기의 부가정보를 저장한 후 사용자 인증을 위한 단말과 인증서버간의 정보 교환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수행된다(S111~S114).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고, 접속을 시도한 사용자가 적법한 사용자로 판명되면, 인증/과금 서버(40)는 무선 단말기의 기종에 적합한 초기 접속 사이트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20)로 전송한다(S115). 액세스 포인트(20)는 인증 결과를 무선 단말기(10-1~10-n)로 전송하고(S116) 네트워크는 액세스 포인트(20)를 통해 제2 IP 어드레스를 할당한 후(S117) 단말기 기종에 따라 최적화된 초기 접속 웹 페이지의 정보를 전송한다(S118).
이상에서 설명한 단말기 적응 초기 웹페이지 제공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무선 단말기에서 인증/과금 서버로 전송하는 부정응답 메시지에 무선 단말기의 부가 정보를 포함시킬 경우, 인증/과금 서버는 부정응답 메시지에 추가된 부가정보를 별도로 해석하여야 한다. 정상적인 인증 서버는 부정응답 메시지에 포함되는 필드 정보 중 사용자 인증을 위한 부가 정보를 제외한 다른 필드들은 무시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사업자 추가 정보가 포함되므로 이를 별도로 인지하여 처리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단말기 측에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때 단말기의 부가정보 전달을 위해 인증절차 수행 중에 부정응답 메시지를 우선 전달하고, 이후에 정상적인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즉, 인증/과금 서버는 인증 절차 시작을 위한 메시지를 2회 전송하여야 하며 만약, 인증서버가 단말의 부가정보를 반영하기 위한 부정응답 메시지를 정확하게 처리하지 못할 경우에는 사용자 인증 처리를 위한 절차만 중복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 및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중 무선 랜에 접속한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로 초기 접속 웹페이지를 제공할 때 무선 단말기의 기종에 따른 모든 가능한 초기 접속 웹페이지 URL 리스트를 함께 전송하고, 무선 단말기가 적합한 URL을 선택하여 실행하도록 할 수 있는 공중 무선 랜 서비스에서 무선 단말기 적응 초기 접속 웹페이지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중 무선 랜에 접속한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로 초기 접속 웹페이지를 제공할 때 초기 접속 웹페이지의 대표 URL을 전송하고, 무선 단말기에서 대표 URL 및 단말기 식별자를 참조하여 단말기 기종에 따른 적합한 URL을 생성하여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다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 단말기 적응 초기 접속 웹페이지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무선 단말기 사용자가 무선 랜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를 위주로 설명한다.
공중 무선 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무선 단말기(10-1~10-n)가 액세스 포인트(20)에 접속하면(S201), 네트워크는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무선 단말기(10-1~10-n)로 제1 IP 어드레스를 할당한다(S202). 제1 IP 어드레스는 공용 IP 어드레스 또는 사설 IP 어드레스로 할당할 수 있는데, 사설 IP로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중 무선 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가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액세스 포인트(20)로 인증을 요구하면(S203), 액세스 포인트는 사용자 정보(ID, 비밀번호 등)를 입력한다(S204). 이에 따라 사용자가 무선 단말기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면 무선 단말기는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20)로 전송하고(S205), 액세스 포인트는 사용자 정보를 인증/과금 서버(40)로 전송하여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절차를 시작하게 된다(S206).
사용자 인증을 위하여, 인증/과금 서버(40)는 인증/과금 서버(40)가 MD5를 지원할 경우에는 MD5 챌린지를 전송하고 TTLS를 지원할 경우에는 TTLS 시작 메시지를 액세스 포인트(20)로 전송하는 등 인증 메커니즘에 따른 적절한 메시지를 전송하여 접속을 시도한다(S207). 이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20)는 MD5 챌린지, TTLS 시작 메시지 중 인증 메커니즘에 따른 적절한 메시지 중 어느 하나를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여 인증을 요구하고(S208), 이에 대하여 무선 단말기가 응답함에 따라 사용자 인증이 수행된다(S209~S210).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고 접속을 시도한 사용자가 적법한 사용자로 판명되면, 인증/과금 서버(40)는 인증 성공 사실에 초기 접속 웹사이트 정보를 포함하여 액세스 포인트(20)로 전송하는데, 이 때에는 무선 단말기의 기종별로 지정된 초기 웹사이트 리스트를 전달한다(S211). 공중 무선 랜에 접속하는 무선 단말기는 크게 노트북 컴퓨터, 일반 PDA, 팜 PDA와 같은 스마트 폰 단말기 등이 있으며, 따라서 무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만을 기준으로 초기 접속 웹페이지를 구분할 경우에는 세 가지 타입의 초기 접속 웹페이지만을 지원하면 된다. 무선 단말기의 종류에 따른 웹페이지는 이러한 사실을 근거로 하여 동일한 웹페이지에 대해 무선 단말기 종류별로 각기 다른 URL이 지정되어 있으며,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세 가지 타입의 초기 접속 웹페이지 URL를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고, 무선 단말기는 적합한 URL을 선택하여 적용하면 되는 것이다. 무선 단말기에 적합한 URL의 선택은 URL에 포함된 단말기 식별자에 의해 이루어진다.
액세스 포인트는 인증/과금 서버(40)로부터 인증 성공 메시지 및 초기 접속 웹페이지 URL 리스트를 수신한 후, 무선 단말기로 인증 성공 사실을 알리고(S212),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포인트(20)를 통해 무선 단말기로 제2 IP 어드레스를 할당하면(S213), 초기 접속 웹페이지 URL 리스트를 무선 단말기로 전송한다(S214).
이후, 무선 단말기는 수신한 초기 접속 웹페이지 URL 리스트 중 자신의 기종에 적합한 URL을 선택하여 접속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무선 랜 서비스에서 초기 접속 웹페이지 제공자는 무선 단말기의 종류별로 최적화된 환경을 갖도록 웹페이지를 생성하고, 각각의 웹페이지마다 URL을 부여하여야 한다. 일 예로, A사의 웹페이지 URL은 노트북 컴퓨터의 경우 www.a1.com, 일반 PDA의 경우 www.a2.com, 스마트 폰 단말기의 경우 www.a3.com과 같이 지정되며 URL에 포함된 1, 2, 3과 같은 식별자는 무선 랜 서비스에서 무선 단말기 종류를 나타내기 위하여 무선 랜 서비스 사업자의 벤더 규격에 의해 정의되는 식별자이다. 사용자 인증 완료 후 인증/과금 서버(40)는 A사 웹페이지의 모든 URL 리스트 즉, www.a1.com, www.a2.com, www.a3.com을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고, 무선 단말기는 수신한 URL 리스트 중 자신의 기종에 적합한 URL을 선택하는 것이다.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무선 랜 서비스 미가입자인 경우 사용자는 도 3의 단계(S205)에서 guest ID를 입력하여 접속 및 인증을 시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지역에 대한 한정된 접속 권한을 가진 ID(예를 들어, 학내용, 업무용 등)를 입력하여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증절차(S206~S210)는 실패하게 되며, 단계(S211)에서 인증/과금 서버(40)는 미가입한 사용자의 무선 랜 접속을 차단하기 위하여 액세스 포인트로 액세스 제어 리스트를 전송한다. 액세스 제어 리스트는 미가입자 또는 한정 접속 권한자에게 서비스 가입을 유도하기 위한 웹페이지의 IP 어드레스, 서브넷 마스크, 허용/거부 필드, 포트 정보 등이 포함되며, 이를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는 무선 단말기의 접속 요구를 분석하여 접속의 허용 또는 거부를 결정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선 단말기 적응 초기 접속 웹페이지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단계(S301) 내지 단계(S310)는 도 3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의 과정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고, 접속을 시도한 사용자가 적법한 사용자로 판명되면, 인증/과금 서버(40)는 인증 성공 사실에 초기 접속 웹사이트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20)로 전송하는데, 이 때에는 초기 웹사이트의 대표 URL를 전달한다(S311). 이후, 액세스 포인트는 인증/과금 서버(40)로부터 인증 성공 메시지 및 초기 접속 웹페이지의 대표 URL를 수신한 후, 무선 단말기로 인증 성공 사실을 알리고(S312),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포인트(20)를 통해 무선 단말기로 제2 IP 어드레스를 할당하면(S313), 초기 접속 웹페이지의 대표 URL를 무선 단말기로 전송한다(S314). 여기에서, 대표 URL이란 무선 단말기의 종류를 고려하지 않은(즉, 식별자가 부가되지 않은) URL을 의미한다.
이후, 무선 단말기는 수신한 초기 접속 웹페이지의 대표 URL과 단말기 부가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 기종에 적합한 URL을 생성한 후(S315) 초기 접속 웹페이지에 접속하게 된다. 즉, 공중 무선 랜에서 한 사업자(또는 개인)의 웹페이지는 단말기의 종류별로 최적화된 환경을 갖도록 생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대표 URL에 대하여 별도의 지정된 식별자를 부가함으로써 단말기 종류별 웹페이지 URL을 구분하고 있다. 따라서, 무선 단말기는 인증/과금 서버(40)로부터 액세스 포인트(20)를 통해 수신한 대표 URL에 별도의 식별자를 부가한 후 접속을 시도함으로써 단말기 종류에 맞게 최적화된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가 일반 PDA이고, 인증 완료 후 인증/과금 서버(40)에서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무선 단말기로 A사의 대표 URL www.a.com을 전송한 경우 무선 단말기는 대표 URL 및 단말기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URL www.a2.com을 생성하고 생성된 URL을 이용하여 접속을 시도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대표 URL에 단말기 부가 정보에 따라 부가되는 식별자는 무선랜 서비스 사업자의 벤더 규격에 의해 정의된 값이다.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무선 랜 서비스 미가입자인 경우 사용자는 도 4의 단계(S305)에서 guest ID를 입력하여 접속 및 인증을 시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지역에 대한 한정된 접속 권한을 가진 ID(예를 들어, 학내용, 업무용 등)를 입력하여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증절차(S306~S310)는 실패하게 되며, 단계(S311)에서 인증/과금 서버(40)는 미가입한 사용자의 무선 랜 접속을 차단하기 위하여 액세스 포인트로 액세스 제어 리스트를 전송한다. 액세스 제어 리스트는 미가입자 또는 한정 접속 권한자에게 서비스 가입을 유도하기 위한 웹페이지의 IP 어드레스, 서브넷 마스크, 허용/거부 필드, 포트 정보 등이 포함되며, 이를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는 무선 단말기의 접속 요구를 분석하여 접속의 허용 또는 거부를 결정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 단말기 적응 초기 접속 웹페이지 제공 방법에서 인증/과금 서버로부터 무선 단말기로 전송되는 인증 성공 메시지 포맷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액세스 제어 리스트가 포함된 경우를 나타낸다.
액세스 포인트(20)는 인증 성공 메시지에 포함된 액세스 제어에 관한 코드를 참조하여 무선 단말기에 서비스 가입을 위한 웹페이지 URL을 제공하거나 타 웹페이지의 URL을 제공한다. 웹페이지 URL 리스트는 단말기의 타입(노트북, 일반 PDA, 팜 PDA)별로 대응된 초기 접속 웹페이지 URL의 항목이며, 이 리스트를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여 적합한 웹페이지를 선택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공중 무선 랜을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에서, 무선 단말기의 초기 접속시 동일한 웹페이지에 대하여 무선 단말기별로 각기 다르게 최적화하여 지정된 URL정보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거나, 초기 접속 웹페이지의 대표 URL을 무선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무선 단말기가 자신의 기종에 적합한 URL을 선택 또는 생성하여,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맞게 최적화된 초기 접속 웹페이지에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증을 위한 메시지 전송시 무선 단말기로부터 인증/과금 서버로 단말기 관련 부가 정보를 전송하지 않음으로써, 단말기 부가 정보 확인을 위한 과정을 생략할 수 있고, 인증 메시지 처리 오류로 인하여 인증과정이 중복 수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공중 무선 랜을 통한 인터넷 접속의 일 예시도,
도 2는 일반적인 무선 단말기 적응 초기 접속 웹페이지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 단말기 적응 초기 접속 웹페이지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선 단말기 적응 초기 접속 웹페이지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 단말기 적응 초기 접속 웹페이지 제공 방법에서 인증/과금 서버로부터 무선 단말기로 전송되는 인증 성공 메시지 포맷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1~10-n : 무선 단말기 20 : 액세스 포인트
30 : IP 코어 40 : 인증/과금 서버
50 : 이동망 사업자 코어 60 : 기지국(MSC)
70 : 홈 위치 등록기(HLR) 100 : 공중 무선 랜
200 : 이동통신망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복수의 무선 단말기가 접속되어 인터넷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되어 상기 무선 단말기의 인증 및 과금을 수행하는 인증/과금 서버를 구비하는 공중 무선 랜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로 초기 접속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초기 접속 웹페이지 제공자가 상기 무선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최적화된 초기 접속 웹페이지를 각각 생성한 후, 상기 초기 접속 웹페이지의 대표 URL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초기 접속 웹페이지 각각에 URL을 부여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인증/과금 서버가 상기 초기 접속 웹페이지 제공자로부터 초기 접속 웹페이지의 대표 URL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종류별로 각기 다른 단말기 식별자가 부가되어 있는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함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제1 IP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인증을 요구하면,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 정보를 상기 인증/과금 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 인증을 요구하는 단계;
    상기 인증/과금 서버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 사용자가 적법한 사용자로 판명되면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인증 결과 및 초기 접속 웹페이지의 대표 URL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무선 단말기로 인증 결과를 전송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제2 IP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무선 단말기로 상기 초기 접속 웹페이지의 대표 URL을 전송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초기 접속 웹페이지의 대표 URL에 상기 단말기 식별자를 부가함으로써 상기 무선 단말기에 적합한 URL을 생성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생성한 URL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가 접속을 시도함에 따라, 최적화된 초기 접속 웹페이지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중 무선 랜 서비스에서 무선 단말기 적응 초기 접속 웹페이지 제공 방법.
  9. 삭제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을 요구하는 단계 이후, 상기 사용자가 적법한 사용자로 판명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인증/과금 서버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상기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을 유도하기 위한 웹페이지 URL 정보를 포함하는 액세스 제어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중 무선 랜 서비스에서 무선 단말기 적응 초기 접속 웹페이지 제공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제어 리스트는 서비스 가입 유도를 위한 웹페이지의 URL, 서브넷 마스크, 접속 허용/거부 필드, 포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무선 랜 서비스에서 무선 단말기 적응 초기 접속 웹페이지 제공 방법.
  12. 삭제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IP 어드레스는 사설 IP 어드레스 또는 공용 IP 어드레스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무선 랜 서비스에서 무선 단말기 적응 초기 접속 웹페이지 제공 방법.
  14.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IP 어드레스는 공용 IP 어드레스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무선 랜 서비스에서 무선 단말기 적응 초기 접속 웹페이지 제공 방법.
KR10-2003-0000206A 2003-01-03 2003-01-03 공중 무선 랜 서비스에서 무선 단말기 적응 초기 접속웹페이지 제공 방법 KR100525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206A KR100525755B1 (ko) 2003-01-03 2003-01-03 공중 무선 랜 서비스에서 무선 단말기 적응 초기 접속웹페이지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206A KR100525755B1 (ko) 2003-01-03 2003-01-03 공중 무선 랜 서비스에서 무선 단말기 적응 초기 접속웹페이지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2709A KR20040062709A (ko) 2004-07-09
KR100525755B1 true KR100525755B1 (ko) 2005-11-02

Family

ID=37353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0206A KR100525755B1 (ko) 2003-01-03 2003-01-03 공중 무선 랜 서비스에서 무선 단말기 적응 초기 접속웹페이지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575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6491A1 (en) * 1995-11-17 2002-02-28 John Mas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lerts on a browser running on a portable handheld device
JP2002152276A (ja) * 2000-11-07 2002-05-24 Ntt Communications Kk 有線又は無線lanシステムを利用したインターネット利用方法及び装置並びに集線・接続装置
KR20020068167A (ko) * 2001-02-20 2002-08-27 여민기 블루투스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제 2 채널통신용 네트워크를 이용한 음성/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6491A1 (en) * 1995-11-17 2002-02-28 John Mas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lerts on a browser running on a portable handheld device
JP2002152276A (ja) * 2000-11-07 2002-05-24 Ntt Communications Kk 有線又は無線lanシステムを利用したインターネット利用方法及び装置並びに集線・接続装置
KR20020068167A (ko) * 2001-02-20 2002-08-27 여민기 블루투스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제 2 채널통신용 네트워크를 이용한 음성/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2709A (ko) 200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62500B (zh) 推送登录页面的方法、接入控制器和web认证服务器
JP3695538B2 (ja) 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接続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システム、アクセスポイント、無線利用者端末
KR101910605B1 (ko) 무선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20070066280A1 (en) Connection management system, method and program
CN111148088B (zh) 管理移动终端的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以及系统
US8244212B2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apparatus, cell phone terminal,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performing connection via a network
CN104837136B (zh) 无线接入认证方法和装置
JP4252063B2 (ja) ユーザ位置利用システム
JPWO2009090968A1 (ja) 無線アクセスシステム、無線アクセス方法、及び、アクセスポイント装置
JP2007188184A (ja) アクセス制御プログラム、アクセス制御方法およびアクセス制御装置
US20020049915A1 (en) User authentication system and user authentication method
CN106686592B (zh) 一种带有认证的网络接入方法及系统
CN106060072A (zh) 认证方法以及装置
JP7135206B2 (ja) アクセス認証
JP4712196B2 (ja) 認証装置及び方法、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記録媒体、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3332221B2 (ja) モバイル端末の接続管理方法及び方式
KR20060102181A (ko) Ap 중심의 지역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100525755B1 (ko) 공중 무선 랜 서비스에서 무선 단말기 적응 초기 접속웹페이지 제공 방법
KR100525754B1 (ko) 공중 무선 랜 서비스에서 초기 접속 웹페이지 제공 방법
KR100692790B1 (ko) 사용자별 맞춤정보를 위한 데이터 저장 서비스 장치 및 그방법
JP2003318939A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927277B2 (ja) 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KR20050002292A (ko) 접속 제한 기능을 가지는 무선 랜을 통한 인터넷 접속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21553B1 (ko) 접속 지역 제한 기능을 가지는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및 그 방법
KR100420670B1 (ko) 개인 정보 관리 모듈을 이용한 무선 통신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