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3036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3036B1
KR100523036B1 KR20030033211A KR20030033211A KR100523036B1 KR 100523036 B1 KR100523036 B1 KR 100523036B1 KR 20030033211 A KR20030033211 A KR 20030033211A KR 20030033211 A KR20030033211 A KR 20030033211A KR 100523036 B1 KR100523036 B1 KR 100523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recess
door handle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33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0754A (ko
Inventor
조영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30033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3036B1/ko
Publication of KR20040100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0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3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3036B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도어 손잡이가 도어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접혀져서 배치되도록 하거나 도어의 전방으로 자동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를 제공한다. 도어 손잡이는 손잡이 조작장치에 의해 도어의 리세스에 접혀진 상태로 위치하거나 리세스로부터 자동으로 펼쳐져서 도어를 잡아당겨질 수 있게 된다. 손잡이 조작장치는 도어의 리세스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상하부 힌지축, 상부 힌지축에 배치되어 도어 손잡이가 저장실 도어의 리세스로부터 돌출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 도어 손잡이를 저장실 도어의 리세스에 록킹시키거나 록킹 해제시키기 위한 록킹부재, 그리고 도어 손잡이의 회동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 댐퍼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냉장고를 운반할 경우나 냉장고 도어를 개방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어 손잡이가 냉장고 도어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접혀져서 배치되도록 하고, 냉장고 도어를 개방할 경우에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도어 손잡이가 냉장고 도어의 전방으로 자동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냉장고 도어를 잡아당겨서 개방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를 냉동실과 냉장실로 공급하여 각종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장치로서, 최근에는 대형 냉장고를 선호하는 추세에 맞추어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에 종방향으로 중간격벽을 설치하여 냉동실과 냉장실을 좌우로 구획시켜서 배치하는 병립형(SIDE-BY-SIDE TYPE) 냉장고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냉장고에 있어서 본체의 개방된 전면에는 중간격벽을 사이에 두고 본체의 각 측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냉동실 도어와 냉장실 도어가 설치되어서 각각 냉동실과 냉장실을 개폐하게 되는데, 이 냉동실 도어와 냉장실 도어는 냉장고가 대용량을 갖게 됨에 따라 크기가 크고 무게도 무겁게 된다.
이렇게 크기가 크고 무게가 무거운 냉동실 도어와 냉장실 도어를 개폐하기 위해 냉동실 도어와 냉장실 도어의 자유단부의 외면에는 냉동실 도어와 냉장실 도어의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진 도어 손잡이가 각 도어들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어서 이 도어 손잡이를 손으로 잡아당겨서 각 도어들을 개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냉장고는 도어 손잡이를 손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도어 손잡이가 도어들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조립이 완료된 냉장고를 운반하는데 돌출된 도어 손잡이가 방해를 주게 되고, 포장박스의 크기도 도어 손잡이의 돌출길이에 대응하여 부피가 커지게 되어 재료비와 운송비가 증대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종래 냉장고를 가정으로 배달할 때 도어 손잡이들이 출입문에 걸리게 되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도어 손잡이들을 분리하여 출입문을 통과시킨 후에 실내에서 도어 손잡이들을 다시 냉동실 도어와 냉장실 도어에 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설치시간의 증대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고를 운반할 경우나 냉장고 도어를 개방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어 손잡이가 냉장고 도어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접혀져서 배치되도록 하고, 냉장고 도어를 개방할 경우에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도어 손잡이가 냉장고 도어의 전방으로 자동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냉장고 도어를 잡아당겨서 개방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본체, 상기 본체에 식품을 보관하기 위해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저장실 도어, 상기 저장실 도어를 잡아당겨서 개방시키기 위한 도어 손잡이, 상기 도어 손잡이를 접어서 상기 저장실 도어에 마련된 리세스에 수용되어 배치되도록 하거나 상기 저장실 도어를 잡아당길 수 있도록 상기 리세스로부터 자동으로 펼쳐져서 배치되도록 하는 손잡이 조작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 조작장치는 각각 상기 도어 손잡이의 일측단의 상단과 하단에서 돌출하여 상기 저장실 도어의 리세스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상부 힌지축 및 하부 힌지축과, 상기 상부 힌지축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 손잡이가 상기 저장실 도어의 리세스로부터 돌출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도어 손잡이를 상기 저장실 도어의 리세스에 록킹시키거나 록킹 해제시키기 위한 록킹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상부 힌지축에 끼워져서 배치되는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저장실 도어의 리세스에 지지되는 제 1 자유단부와, 상기 코일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도어 손잡이에 지지되는 제 2 자유단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도어 손잡이가 접혀져서 상기 저장실 도어의 리세스에 수용된 위치에서 상기 코일부가 압축된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도어 손잡이를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한다.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도어 손잡이의 자유단부에서 내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후크와, 상기 저장실 도어의 리세스에 마련된 후크홀에 진퇴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후크를 원터치 방식으로 록킹 또는 록킹 해제시키도록 하는 후크 홀더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손잡이 조작장치는 상기 도어 손잡이의 회동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 댐퍼를 더 구비한다.
상기 감속 댐퍼는 상기 저장실 도어의 리세스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그 내부에 유체가 충진되어 있는 중공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공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서 감속저항을 받는 제 1 회전기어와, 그 외주면이 상기 제 1 회전기어의 내주면에 치합되며 그 내주면이 상기 상부 힌지축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제 1 회전기어를 구비하여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부 힌지축이 회전될 때 상기 몸체에 충진된 유체의 저항이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기어를 통해 상기 상부 힌지축에 전달되어 상기 도어 손잡이가 부드럽게 펼쳐지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도어 손잡이들이 각각 저장실 도어들에 접혀진 상태와 펼쳐진 상태로 배치된 것을 보인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하는본체(1)의 내부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중간격벽(2)에 의해 좌측과 우측에 각각 냉동실과 냉장실로 기능하는 한 쌍의 저장실(3)을 구비하며, 각 저장실(3)의 개방된 전면에는 이 저장실(3)을 개폐하기 위한 저장실 도어(4)들이 설치되어 있다.
저장실 도어(4)들은 각각 본체(1)의 양측단의 상단과 하단에 설치된 힌지부재(5)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각 저장실(3)을 개폐하게 되며, 각 저장실 도어(4)의 자유단의 외면에는 저장실 도어(4)들을 잡아당겨서 개폐시키기 위한 손잡이(10)가 종방향을 따라 일정길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10)는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는 손잡이 조작장치(20)(도 2 참조)에 의해 저장실 도어(4)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접혀져서 배치되거나 손으로 잡아당겨서 저장실 도어(4)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저장실 도어(4)로부터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손잡이(10)와 손잡이 조작장치(20)의 설치구조와 동작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 손잡이를 저장실 도어에 접혀진 위치와 펼쳐진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배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조작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과 도 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조작장치에 의해 도어 손잡이가 저장실 도어에 접혀져서 배치된 상태와 펼쳐져서 배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손잡이(10)가 설치되는 저장실 도어(4)의 자유단부에는 리세스(6)가 마련되어 이 리세스(6)에 도어 손잡이(10)가 수용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도어 손잡이(10)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회동축부(11)와, 이 회동축부(11)로부터 곡면을 이루어 연장한 손잡이부(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리세스(6)는 도어 손잡이(10)가 접혀진 상태에서 저장실 도어(4)로부터 거의 돌출하지 않도록 하는 깊이로 형성되는데, 상기 회동축부(11)가 배치되는 제 1 부분(6a)이 상기 손잡이부(12)가 배치되는 제 2 부분(6b)보다 깊이가 더 깊게 형성되게 된다. 상기 리세스(6)의 깊이를 도 3에 도시된 것보다 더 깊게 하면 도어 손잡이(10)는 리세스(6)에 접혀진 상태에서 저장실 도어(4)로부터 전혀 돌출되지 않게 될 수 있다.
손잡이 조작장치(20)는 각각 도어 손잡이(10)의 회동축부(11)의 상단과 하단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상부 힌지축(21) 및 하부 힌지축(22)과, 상기 상부 힌지축(21)에 배치되어 도어 손잡이(10)의 손잡이부(12)가 리세스(6)의 제 2 부분(6b)에서 돌출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탄성부재(23)와, 상기 탄성부재(23)의 탄성력에 대항하도록 상기 상부 힌지축(21)에 감속저항을 작용시켜서 도어 손잡이(10)의 회동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게 하는 감속 댐퍼(30)와, 도어 손잡이(10)의 손잡이부(12)를 록킹 또는 록킹 해제시키기 위한 록킹부재(4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 조작장치(20)의 탄성부재(23)와 감속 댐퍼(30)는 하부 힌지축(22)에 배치하여 구성하여도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3)는 도어 손잡이(10)의 회동동작에 따라 압축되거나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됨으로써 도어 손잡이(10)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코일형상을 이루는 코일부(24)와, 상기 코일부(24)의 일단으로부터 선형으로 연장하여 리세스(6)의 제 1 부분(6a)에 지지되어 고정되는 제 1 자유단부(25)와, 상기 코일부(24)의 타단으로부터 선형으로 연장하여 도어 손잡이(10)의 회동축부(11)와 손잡이부(12)의 경계지점에 지지되어 고정되는 제 2 자유단부(26)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도어 손잡이(10)가 록킹부재(40)에 록킹되어 리세스(6)에 수용된 상태로 접혀져서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코일부(24)가 압축된 상태로 위치하게 되며, 록킹부재(40)가 도어 손잡이(10)의 록킹을 해제하는 경우에는 코일부(24)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과정에서 도어 손잡이(10)가 회동되도록 탄성력을 작용하여서 손잡이부(12)를 리세스(6)의 제 2 부분(6b)으로부터 돌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어 손잡이(10)의 회동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 댐퍼(30)는 그 내부에 감속저항을 발생시키도록 유체가 충진되어 있는 중공형상의 몸체(31)와, 상기 몸체(31)의 중공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며 그 내주면에 치형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회전기어(32)와, 외주면에 치형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회전기어(32)의 내주면에 치합되는 제 2 회전기어(3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중공형상의 몸체(31)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결합돌기(31a)가 돌출 형성되어 이 몸체(31)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하는 결합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는 리세스(6)의 제 1 부분(6a)의 상단에 결합되게 된다.
제 2 회전기어(33)에는 상부 힌지축(21)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진 관통홀(3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홀(33a)에는 중심부를 향해 돌출한 돌기(33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힌지축(21)에는 상기 돌기(33b)에 대응하는 홈(21a)이 종방향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돌기(33b)와 홈(21a)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 2 회전기어(33)의 관통홀(33a)이 상기 상부 회전축(21)에 스플라인 방식으로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리세스(6)의 제 1 부분(6a)에 결합된 몸체(31)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제 1 회전기어(32)와 치합되는 제 2 회전기어(33)에 의해 상부 힌지축(21)이 몸체(31)에 연결되어 상부 힌지축(21)이 감속저항을 받을 수 있는 상태로 리세스(6)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록킹부재(40)는 도어 손잡이(10)의 손잡이부(12)의 상단으로부터 리세스(6)의 제 2 부분(6b)을 향해 돌출하여 형성된 후크(41)와, 리세스(6)의 제 2 부분(6b)에 형성된 후크홀(42)에 진퇴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후크(41)를 원터치 방식으로 록킹 또는 록킹 해제시키는 후크 홀더(4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후크(41)의 단부에는 상기 후크 홀더(43)에 걸려질 수 있도록 하는 걸림턱(4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후크 홀더(43)의 선단부에는 후크 홀더(43)가 후크홀(42)에서 진퇴함에 따라 걸림턱(41a)이 걸려지게 하거나 또는 걸림을 해제시키도록 하는 한 쌍의 탄성 아암(43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손잡이(10)가 저장실 도어(4)의 리세스(6)에 수용되어 접혀진 상태에서 후크(41)가 설치된 도어 손잡이(10)의 손잡이부(12)를 순간적으로 눌렀다 떼게 되면, 후크 홀더(43)가 후크홀(42)의 내측으로 약간 밀리면서 축적된 압축력에 의해 후크 홀더(43)가 후크홀(42)로부터 전진하게 되면서 한 쌍의 탄성 아암(43a)이 후크홀(42)로부터 빠져 나와서 걸림턱(41a)의 걸림을 해제시키게 됨과 동시에,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23)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부 힌지축(21)(22)이 회전되면서 도어 손잡이(10)의 손잡이부(12)가 리세스(6)의 제 2 부분(6b)으로부터 자동으로 돌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부 힌지축(21)은 제 1 및 제 2 회전기어(32)(33)가 감속 댐퍼(30)의 몸체(31)에 충진된 유체에 의해 저항을 받으면서 회전됨으로써 상부 힌지축(21)이 저속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도어 손잡이(10)의 회동동작은 부드럽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도어 손잡이(10)의 손잡이부(12)가 저장실 도어(4)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되면 손잡이부(12)를 잡아 당겨서 저장실 도어(4)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손잡이(10)의 손잡이부(12)가 펼쳐진 상태에서 손잡이부(12)를 손으로 밀면 탄성부재(23)가 압축되면서 도어 손잡이(10)가 회동되어 저장실 도어(4)의 리세스(6)에 접혀지게 되면서 후크(41)가 한 쌍의 아암(43a) 사이로 들어가서 후크 홀더(43)를 후크홀(42)의 내측으로 밀게 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아암(43a)이 후크홀(42)로 밀려 들어가면서 후크(41)의 걸림턱(41a)을 잡아서 록킹시키게 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손잡이(10)는 저장실 도어(4)의 리세스(6)에 록킹된 상태로 접혀져서 배치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도어 손잡이(10)가 저장실 도어(4)에 록킹되어 배치된 상태에서는 외관이 좋게 되며, 또한 냉장고를 운반하기가 용이하게 되고 포장박스의 부피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도어 손잡이가 저장실 도어의 리세스에 접혀져서 돌출되지 않게 배치되거나 저장실 도어의 리세스로부터 펼쳐져서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서 냉장고의 운반이 용이하게 되고, 냉장고를 포장하는 포장박스의 부피도 줄일 수 있게 됨으로써 운송비와 포장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도어 손잡이를 저장실 도어의 리세스에 접혀져서 수용된 상태로 하면 냉장고의 외관이 미려하게 될 뿐만 아니라, 냉장고를 가정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출입문을 쉽게 통과할 수 있게 됨으로써 냉장고를 가정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각 도어 손잡이가 각 저장실 도어에 접혀진 상태와 펼쳐진 상태로 배치된 것을 보인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 손잡이를 저장실 도어에 접혀진 위치와 펼쳐진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배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조작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조작장치에 의해 도어 손잡이가 저장실 도어에 접혀져서 배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조작장치에 의해 도어 손잡이가 저장실 도어에 펼쳐져서 배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4: 저장실 도어 6: 리세스
10: 도어 손잡이 20: 손잡이 조작장치
21,22: 힌지축 23: 탄성부재
30: 감속 댐퍼 32,33: 회전기어
40: 록킹부재 41: 후크
42: 후크홀 43: 후크 홀더

Claims (6)

  1. 본체, 상기 본체에 식품을 보관하기 위해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저장실 도어, 상기 저장실 도어를 잡아당겨서 개방시키기 위한 도어 손잡이, 상기 도어 손잡이를 접어서 상기 저장실 도어에 마련된 리세스에 수용되어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록킹하거나 상기 저장실 도어를 잡아당길 수 있도록 록킹상태를 해제시키고 상기 도어 손잡이의 회동동작에 따라 탄성력을 부여하여 상기 리세스로부터 자동으로 펼쳐져서 배치되도록 하는 손잡이 조작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조작장치는 각각 상기 도어 손잡이의 일측단의 상단과 하단에서 돌출하여 상기 저장실 도어의 리세스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상부 힌지축 및 하부 힌지축과, 상기 상부 힌지축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 손잡이가 상기 저장실 도어의 리세스로부터 돌출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도어 손잡이를 상기 저장실 도어의 리세스에 록킹시키거나 록킹 해제시키기 위한 록킹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상부 힌지축에 끼워져서 배치되는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저장실 도어의 리세스에 지지되는 제 1 자유단부와, 상기 코일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도어 손잡이에 지지되는 제 2 자유단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도어 손잡이가 접혀져서 상기 저장실 도어의 리세스에 수용된 위치에서 상기 코일부가 압축된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도어 손잡이를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도어 손잡이의 자유단부에서 내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후크와, 상기 저장실 도어의 리세스에 마련된 후크홀에 진퇴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후크를 원터치 방식으로 록킹 또는 록킹 해제시키도록 하는 후크 홀더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조작장치는 상기 도어 손잡이의 회동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 댐퍼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 댐퍼는 상기 저장실 도어의 리세스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그 내부에 유체가 충진되어 있는 중공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공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서 감속저항을 받는 제 1 회전기어와, 그 외주면이 상기 제 1 회전기어의 내주면에 치합되며 그 내주면이 상기 상부 힌지축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제 1 회전기어를 구비하여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부 힌지축이 회전될 때 상기 몸체에 충진된 유체의 저항이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기어를 통해 상기 상부 힌지축에 전달되어 상기 도어 손잡이가 부드럽게 펼쳐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20030033211A 2003-05-24 2003-05-24 냉장고 KR100523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33211A KR100523036B1 (ko) 2003-05-24 2003-05-24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33211A KR100523036B1 (ko) 2003-05-24 2003-05-24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754A KR20040100754A (ko) 2004-12-02
KR100523036B1 true KR100523036B1 (ko) 2005-10-24

Family

ID=37378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33211A KR100523036B1 (ko) 2003-05-24 2003-05-24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303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821B1 (ko) 2004-12-03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01949629A (zh) * 2010-08-16 2011-01-19 海尔集团公司 冰箱及其锁紧装置
KR101041936B1 (ko) 2009-03-09 2011-06-16 주식회사 코맥스 영상 프로젝터 기능이 구비된 침대시스템
KR101123818B1 (ko) * 2009-12-15 2012-03-1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80936A1 (en) * 2006-12-29 2008-07-10 Arcelik Anonim Sirketi A household appliance
KR100839899B1 (ko) * 2007-04-20 2008-06-2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용 손잡이
CN108468470B (zh) * 2018-02-28 2023-10-10 青岛海尔特种电冰柜有限公司 具有折叠功能的门提手及卧式冷柜
CN110749156A (zh) * 2019-10-21 2020-02-04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真空抽屉组件和具有其的制冷设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821B1 (ko) 2004-12-03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041936B1 (ko) 2009-03-09 2011-06-16 주식회사 코맥스 영상 프로젝터 기능이 구비된 침대시스템
KR101123818B1 (ko) * 2009-12-15 2012-03-1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장고
CN101949629A (zh) * 2010-08-16 2011-01-19 海尔集团公司 冰箱及其锁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754A (ko) 200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7605B1 (ko) 냉장고
KR102114074B1 (ko) 수납용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US8408664B2 (en) Damper embedded in a home bar door of a refriger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060106338A (ko) 홈바도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0523036B1 (ko) 냉장고
KR20080043150A (ko) 냉장고
US20230304729A1 (en) Refrigerator
US8147016B2 (en) Can receiv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CN105972924B (zh) 储物装置和冰箱
KR101106645B1 (ko) 냉장고
KR101350018B1 (ko)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
CN103423949B (zh) 低压容器及包括该低压容器的冰箱
CN212205250U (zh) 抽屉组件及冰箱
EP1484564B1 (en) Vegetable box for refrigerator
KR20110006604U (ko) 냉장고
CN111980550A (zh) 门体结构以及包括其的电冰箱
US20030136271A1 (en) Vegetable box for refrigerator
KR100746421B1 (ko) 냉장고용 홈바도어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11002A (ko) 냉장고용 홈바
KR100227869B1 (ko) 쇼케이스의 도어 개폐장치
KR200165714Y1 (ko) 냉장고의 홈바 도어 결합구조
CN217496870U (zh) 一种组合式收纳盒
KR200429637Y1 (ko) 싱크대용 보조수납함
CN212205249U (zh) 抽屉组件及冰箱
KR0117749Y1 (ko) 냉장고용 서브-도어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