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1099B1 - Receipt print device with continuous printing ability - Google Patents

Receipt print device with continuous printing ab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1099B1
KR100521099B1 KR1020050036961A KR20050036961A KR100521099B1 KR 100521099 B1 KR100521099 B1 KR 100521099B1 KR 1020050036961 A KR1020050036961 A KR 1020050036961A KR 20050036961 A KR20050036961 A KR 20050036961A KR 100521099 B1 KR100521099 B1 KR 100521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roll
receipt
printing
leading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69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태완
길영배
Original Assignee
(주)티아이티 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아이티 이엔지 filed Critical (주)티아이티 이엔지
Priority to KR1020050036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109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1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1099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2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for loading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into printers, e.g. for replacing a used-up paper roll; Point-of-sale printers with openable casings allowing access to the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95Detecting means for copy material, e.g. for detecting or sensing presence of copy material or its leading or trailing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16Means for tensioning or winding the web

Landscapes

  • Handling Of Sheet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복수의 용지 롤을 구비하고 있어 어느 한 쪽의 용지가 모두 인쇄되어 발행되면 대기 상태의 용지 롤에서 용지를 공급하여 연속적으로 영수증을 발행할 수 있게 구성된 영수증 인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용지 롤이 회전하면서 용지의 선단이 용지 유입구로 원활하게 진입해 들어가지 못하고 용지 수용부 내에서 계속 회전하는 것을, 용지 분리대를 설치하여 용지의 선단이 용지 유입구를 원활하게 진입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용지 공급을 원활하게 하여 연속출력이 가능한 영수증 인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ipt print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paper rolls and configured to continuously issue a receipt by supplying paper from a standby paper roll when all the papers are printed and issued. This rotation prevents the leading edge of the paper from smoothly entering the paper inlet and continues to rotate within the paper receiving portion. The paper separator is installed to guide the leading edge of the paper to smoothly enter the paper inlet. The purpose is to provide a receipt printing apparatus capable of continuous outpu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은 용지(11)가 감겨진 용지 롤(10)이 각각 수용되는 복수의 용지 수용부(100, 200)와, 용지 롤(10)에서 풀린 용지(11)에 인쇄하는 인쇄부(330)와, 용지 수용부(100, 200)에서 인쇄부(330)까지 연장된 복수의 이송통로(110, 210)와, 용지 수용부(100, 200) 내에 장착되어 용지 롤(1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20, 220)와, 복수의 이송통로(110, 210) 중에서 어느 한 이송통로에 위치한 용지(11)는 인쇄부(330)로 진입해 인쇄되고, 다른 이송통로에 위치한 용지(11)는 그 선단이 인쇄부(330) 전에 위치하도록, 상기 복수의 이송통로(110, 210)에 장착되어 구동부(120, 2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용지감지센서들을 포함하는 영수증 인쇄장치에 있어서, 구동부(120, 220)에 의해 용지 롤(10)이 회전하면서 용지(11)의 선단이 권취된 용지 롤(10)에서 분리되어 이송통로(110, 210)로 진입해 들어가도록 용지 수용부(110, 200)에 용지 분리대(105, 205)가 각각 장착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lurality of paper receiving portion (100, 200) is accommodated each of the paper roll 10, the paper roll 10 is wound, and the paper 11 unrolled from the paper roll 10 A printing unit 330 for printing on the paper, a plurality of conveying passages 110 and 210 extending from the paper receiving units 100 and 200 to the printing unit 330, and the paper receiving units 100 and 200. The driving unit (120, 220) for rotating the roll 10, and the paper 11 locat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transport passage (110, 210) enters the printing unit 330 and is printed, the other transport passage The paper 11 located at the receipt includes paper detection sensors mounted on the plurality of transfer paths 110 and 21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s 120 and 220 such that the front end thereof is positioned before the printing unit 330. In the printing apparatus, as the paper roll 10 is rotated by the driving units 120 and 220, the leading edge of the paper 11 is separated from the rolled paper roll 10, and the transfer container And (110, 210) of paper separators (105, 205) in the paper receiving portion (110, 200) so that it enters into is that each fitted with technical features.

이와 같이 구성된 이 발명의 연속출력이 가능한 영수증 인쇄장치는 용지 수용부에 장착된 용지 롤이 회전하면서 용지의 선단이 용지 유입구로 원활하게 진입해 들어가지 못하고 용지 수용부 내에서 계속 회전하는 것을, 용지 분리대를 설치하여 용지의 선단이 용지 유입구를 원활하게 진입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용지 공급불량의 문제점을 해결한다.The receipt pri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llows the front end of the paper to rotate smoothly in the paper receiving portion while the paper roll mounted on the paper receiving portion rotates and does not smoothly enter the paper inlet. By installing a separator to guide the leading edge of the paper to enter the paper inlet smoothly, solving the problem of paper feed failure.

Description

연속 출력이 가능한 영수증 인쇄 장치{Receipt Print Device with Continuous Printing Ability}Receipt Print Device with Continuous Printing Ability

이 발명은 복수의 용지 롤을 구비하고 있어 어느 한 쪽의 용지가 모두 인쇄되어 발행되면 대기 상태의 용지 롤에서 용지를 공급하여 연속적으로 영수증을 발행할 수 있게 구성된 영수증 인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지 롤이 회전하면서 용지의 선단이 용지 유입구로 원활하게 진입해 들어가지 못하고 용지 수용부 내에서 계속 회전하는 것을, 용지 분리대를 설치하여 용지의 선단이 용지 유입구를 원활하게 진입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용지 공급을 원활하게 하여 연속 출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ipt print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paper rolls and configured to continuously issue a receipt by supplying paper from a standby paper roll when all the papers are printed and issued, in particular, When the paper roll rotates, the leading edge of the paper does not smoothly enter the paper inlet, but continuously rotates within the paper receptacle, by installing a paper separator so that the leading edge of the paper smoothly enters the paper inlet. It is configured to enable continuous output by seamlessly.

일반적으로 고객과 거래가 이루어지면 거래 내역을 기록한 영수증을 고객에게 전달한다. 금전등록기 또는 ATM(automatedteller machine)에는 고객의 거래 내역을 기록할 수 있는 영수증 인쇄장치가 장착되어 고객의 거래 내역을 용지에 인쇄한 후, 거래 내역이 기록된 용지 즉 영수증을 고객이 보관할 수 있게 기기 밖으로 인출시킨다.Generally, when a transaction is made with a customer, a receipt is recorded that records the transaction. The cash register or ATM (automatedteller machine) is equipped with a receipt printing device that can record the customer's transaction history, and prints the customer's transaction history on paper, and then allows the customer to keep a record of the transaction history. Withdraw out.

이러한 영수증 인쇄장치는, 일반적으로 고객에게 전달하는 영수증을 처리하여 기기 밖으로 인출하는 영수증 처리부와, 거래내역을 기록하고 기기 내에 보관해 두는 거래기록부로 구분된다.Such a receipt printing apparatus is generally classified into a receipt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 receipt to be delivered to a customer and withdrawing it out of the device, and a transaction recording unit for recording transaction details and keeping them in the device.

여기에서, 종래의 영수증 처리부는 하나의 용지 롤을 구비하며, 용지가 용지 롤에서 풀리면서 풀린 용지에 거래내역을 인쇄하고, 거래내역이 인쇄된 영수증을 고객이 보관할 수 있도록 기기 밖으로 인출한다.Here, the conventional receipt processing unit includes one paper roll, and prints the transaction history on the unwinded paper while the paper is released from the paper roll, and withdraws the receipt out of the device so that the customer can store the receipt on which the transaction history is printed.

하지만, 용지 롤의 용지가 모두 풀리게 되면 관리인이 영수증 처리부에 새로운 용지 롤을 장착하여야 한다. 그리고 새로운 용지 롤이 장착되면 용지 롤의 용지를 풀어 용지의 선단을 인쇄부로 이송하여 인쇄한다.However, when all the paper rolls are released, the manager must install a new paper roll in the receipt processing unit. Then, when a new paper roll is mounted, the paper is unrolled from the paper roll, and the front end of the paper is transferred to the printing unit for printing.

결국, 금전등록기 또는 ATM 등에 있어서, 용지 롤의 용지가 모두 사용되었을 경우에는, 영수증을 발급할 수 없어 금전등록기 또는 ATM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As a result, in the case of a cash register or an ATM, when all the paper rolls are used, a receipt cannot be issued and the function of the cash register or the ATM is lost.

따라서, 관리인은 장착된 한 개의 용지 롤이 소모되는 주기에 따라 금전등록기 또는 ATM 등을 관리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Therefore, the manager is inconvenient to manage the cash register or ATM according to the cycle in which one roll of paper is worn.

또한, 영수증으로 사용되는 용지는 내수성을 갖는 코팅용지이다. 이와 같은 코팅용지는 정전기에 의해 용지의 선단이 권취된 용지 롤에 부착되는 경우가 많다.In addition, the paper used as a receipt is a coating paper which has water resistance. Such coated paper is often attached to a paper roll on which the leading edge of the paper is wound by static electricity.

이와 같이 용지의 선단이 정전기력에 의해 권취된 용지 롤에 부착된다면, 관리인은 용지의 선단을 강제적으로 분리한 후에 용지의 선단을 인쇄부가 위치한 지점까지 밀어 넣어주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As such, if the leading edge of the paper is attached to the roll of the paper wound by the electrostatic force, the manager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leading edge of the paper is pushed to the point where the printing part is located after forcibly separating the leading edge of the paper.

이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복수의 용지 롤을 구비하고 있어 어느 한 쪽의 용지가 모두 인쇄되어 발행되면 대기 상태의 용지 롤에서 용지를 공급하여 연속적으로 영수증을 발행할 뿐만 아니라, 용지 롤이 회전하면서 용지의 선단이 용지 유입구로 원활하게 진입해 들어가지 못하고 용지 수용부 내에서 계속 회전하는 것을, 용지 분리대를 설치하여 용지의 선단이 용지 유입구를 원활하게 진입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용지 공급을 원활하게 하여 연속출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연속적인 영수증 출력이 가능한 영수증 인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aper rolls. When either paper is printed and issued, the paper is fed continuously from the paper roll in the standby state. In addition to issuing a receipt, the paper roll is rotated so that the leading edge of the paper does not smoothly enter the paper inlet and continues to rotate within the paper receptacl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ceipt printing apparatus capable of outputting a continuous receipt configured to allow continuous output by smoothing paper suppl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은 용지가 감겨진 용지 롤이 각각 수용되는 복수의 용지 수용부와, 상기 용지 롤에서 풀린 용지에 인쇄하는 인쇄부와, 상기 용지 수용부에서 상기 인쇄부까지 연장된 복수의 이송통로와, 상기 용지 수용부 내에 장착되어 상기 용지 롤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복수의 이송통로 중에서 어느 한 이송통로에 위치한 용지는 상기 인쇄부로 진입해 인쇄되고, 다른 이송통로에 위치한 용지는 그 선단이 상기 인쇄부 전에 위치하도록, 상기 복수의 이송통로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용지감지센서들을 포함하는 영수증 인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용지 롤이 회전하면서 용지의 선단이 권취된 용지 롤에서 분리되어 상기 이송통로로 진입해 들어가도록 상기 용지 수용부에 용지 분리대가 각각 장착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lurality of paper accommodating portion, each of which is a paper roll wound paper, the printing unit for printing on the paper unwind from the paper roll, and from the paper receiving unit to the printing unit A plurality of extended conveying passages, a driving unit mounted in the paper receiving portion to rotate the paper roll, and a paper locat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nveying passages enters and prints on the printing portion, A receipt printing apparatus comprising paper detection sensors mounted on the plurality of conveying passag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e unit, such that the end of the paper is positioned before the print unit, wherein the paper roll is rotated by the drive unit. Paper is inserted into the paper receiving portion so that the leading edge of the paper is separated from the rolled paper roll and enters the transfer path. And that the Li exchange equipped respectively with technical features.

또한,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용지 분리대는 상기 이송통로의 입구인 용지 유입구에서 상기 구동부 쪽으로 날이 형성되며, 상기 날이 상기 용지의 선단과 권취된 용지 롤의 사이로 삽입되면서 상기 용지의 선단을 상기 용지 유입구로 유도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per separator is formed in the blade toward the drive unit in the paper inlet which is the inlet of the conveyance passage, the blade is inserted between the leading edge of the paper and the rolled paper roll Guide the leading edge of the paper inlet.

아래에서, 이 발명에 따른 연속출력이 가능한 영수증 인쇄장치의 양호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receipt printing apparatus capable of continuous out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면에서, 도 1은 이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영수증 인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수증 인쇄장치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영수증 인쇄장치의 상세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용지 수용부에 장착된 용지 롤의 선단이 이송경로로 진입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용지의 표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eipt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door of the receipt printing apparatus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shown in Figure 1 This is a detailed view of the receipt printing apparatus.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leading end of the paper roll mounted on the paper receiving unit shown in FIG. 2 enters the feed path.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play portion of the paper shown in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수증 인쇄장치(1)는 거래 내역을 기록해 두는 거래기록부(5)와, 고객이 보관하도록 거래 내역을 기록한 용지(11) 즉 영수증을 인출하는 영수증 처리부(3)로 구분된다.As shown in FIG. 1, the receipt printing apparatus 1 includes a transaction recorder 5 for recording transaction details, and a paper 11 for recording transaction details for the customer to store, that is, a receipt processor 3 for withdrawing a receipt. Are distinguished.

상기 영수증 처리부(3)는 제1 용지 수용부(100)와 제2 용지 수용부(200)로 나눠지며, 제1 용지 수용부(100)에서 인쇄부(330)로 연장된 제1 이송통로(110)와, 제2 용지 수용부(200)에서 인쇄부(330)로 연장된 제2 이송통로(2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제2 용지 수용부(100, 200)에는 용지 롤(10)이 각각 장착되는데, 용지 롤(10)은 풀어지면서 그 용지(11)의 선단이 해당 이송통로(110, 210)를 통해 인쇄부(330) 쪽으로 이동한다.The receipt processor 3 is divided into a first paper receiver 100 and a second paper receiver 200, and includes a first transfer path extending from the first paper receiver 100 to the printer 330. 110 and a second conveyance path 210 extending from the second sheet receiving portion 200 to the printing portion 330 is formed. The paper rolls 10 are mounted to the first and second paper receivers 100 and 200, respectively, and the paper rolls 10 are unwound while the leading ends of the papers 11 move the corresponding transport paths 110 and 210, respectively. It moves toward the printing unit 330 through.

특히, 제1, 제2 용지 수용부(100, 200)에 각각 장착된 두 용지 롤(10)에서 풀린 용지(11)의 선단 중에서 어느 한 용지의 선단이 인쇄부(330)에 진입해 있을 경우에, 다른 한 용지의 선단은 대기 상태로 위치한다.In particular, when the leading edge of any paper enters the printing unit 330 from the leading edge of the paper 11 unrolled from the two paper rolls 10 mounted on the first and second paper accommodation units 100 and 200, respectively. On the other end, the leading edge of the sheet is positioned in the standby state.

그리고, 인쇄부(330)에 진입해 있던 용지(11)가 모두 소모되어 용지(11)의 끝단이 인식되면, 대기 상태의 용지(11)가 인쇄부(330)로 진입하여 연속적인 인쇄가 가능하게 된다. When the paper 11 that has entered the printing unit 330 is exhausted and the end of the paper 11 is recognized, the paper 11 in the standby state enters the printing unit 330 to allow continuous printing. Done.

이와 같이 대기 상태에 있던 용지(11)가 인쇄되는 중에, 관리인은 비워진 용지 수용부(100, 200)에 새로운 용지 롤(10)을 장착한다. 그러면 새로운 용지 롤(10)이 풀려 대기 상태가 된다.In this way, while the paper 11 in the waiting state is being printed, the manager attaches a new paper roll 10 to the empty paper receiving portions 100 and 200. Then, the new paper roll 10 is released to a standby state.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연속출력이 가능한 영수증 인쇄장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receipt printing apparatus capable of continuous outpu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제1 용지 수용부(100)와 제2 용지 수용부(200)의 구성은 동일하며, 제1 이송통로(110)와 제2 이송통로(210)는 그 길이만 다를 뿐 동일하다. 하지만, 각 통로(110, 210)에 위치한 용지감지센서들은 다소 차이가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이미 설명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the configurations of the first paper receiving part 100 and the second paper receiving part 200 are the same, and the first conveying path 110 and the second conveying path 210 have the same length but different lengths. Do. However, the paper detection sensors located in the passages 110 and 210 are somewhat different.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same components already described below will be omitted.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용지 수용부(100)는 그 개방부에 여닫이식 제1 도어(103)가 장착된다. 상기 제1 용지 수용부(100)에는 상기 제1 도어(103)가 닫혀졌는지를 감지하는 제1 도어감지센서(130)가 장착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first sheet receiving portion 100 is equipped with an opening first door 103 at its opening portion. The first paper sensor 100 is equipped with a first door sensor 130 that detects whether the first door 103 is closed.

그리고 제1 용지 수용부(100) 내측 하부에는 수용된 용지 롤(10)을 회전시키는 제1 구동벨트(120)가 설치된다. 따라서 제1 용지 수용부(100)에 용지 롤(10)을 삽입 장착하면 용지 롤(10)은 제1 구동벨트(120)에 안착되고, 제1 구동벨트(120)의 작동에 따라 용지 롤(10)은 회전하게 된다. 여기에서 용지 롤(10)의 회전방향은 제1 용지 수용부(100)에 연결된 제1 이송통로(110)의 입구인 용지유입부(101)가 위치한 방향이다.In addition, a first driving belt 120 for rotating the accommodated paper roll 10 is installed at an inner lower portion of the first paper receiving part 100. Therefore, when the paper roll 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paper receiving portion 100, the paper roll 10 is seated on the first driving belt 120, and the paper roll (10)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belt 120. 10) rotates. Her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aper roll 10 is a direction in which the paper inlet 101, which is an inlet of the first conveying path 110 connected to the first paper receiving part 100, is located.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용지 수용부(100)의 내측에는 용지 분리대(105)가 고정되는데, 용지 분리대(105)의 선단에는 날(106)이 형성되고 상기 날(106)은 용지유입부(101)에서 제1 구동벨트(120) 쪽을 향해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paper separator 105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paper receiving portion 100, the blade 106 is formed at the tip of the paper separator 105 and the blade 106 Is toward the first drive belt 120 from the paper inlet 101.

이와 같은 용지 분리대(105)는, 정전기에 의해 용지(11)의 선단이 권취된 용지 롤(10)에 부착된 상태로 제1 구동벨트(120)에 의해 회전함에 있어서, 용지(11)의 선단이 용지유입부(101)에 이르렀을 때에, 용지(11)의 선단이 용지 롤(10)에서 떨어질 수 있게 용지 분리대(105)의 날이 용지(11)의 선단과 권취된 용지 롤의 사이로 삽입된다. 따라서 용지(11)의 선단은 용지 분리대(105)에 의해 용지유입부(101)를 통해 제1 이송통로(110)로 진행하게 된다.The paper separator 105 is rotated by the first drive belt 120 in a state where the tip of the paper 11 is attached to the paper roll 10 wound by the static electricity, so that the tip of the paper 11 is fixed. When the paper inflow portion 101 is reached, the blade of the paper separator 105 is inserted between the leading edge of the paper 11 and the wound paper roll so that the leading edge of the paper 11 may fall off the paper roll 10. do. Therefore, the front end of the paper 11 is advanced to the first conveyance path 110 through the paper inlet 101 by the paper separator 105.

제1 이송통로(110)로 진입한 용지(11)의 선단은 제1 구동벨트(120)의 작동에 의해 용지 롤(10)이 회전하면서, 제1 이송통로(11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The front end of the sheet 11 entering the first conveying path 110 is moved along the first conveying path 110 while the paper roll 10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belt 120.

한편, 용지유입부(101)의 상부에 제1 용지장착감지센서(151)가 장착된다. 제1 용지장착감지센서(151)는 용지유입부(101)에 용지가 위치해 있는지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제1 용지장착감지센서(151)에서 용지(11)를 인식하게 되면 용지 롤(10)에 용지가 있는 것으로 인식되지만, 만약 용지가 감지되지 않게 되면 제1 용지 수용부(100)에 장착된 용지 롤(10)의 용지가 모두 소모되었다는 것으로 인식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paper loading sensor 151 is mounted on the paper inlet 101. The first paper loading sensor 151 is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paper is placed in the paper inlet 101, and when the paper 11 is recognized by the first paper loading sensor 151, the paper roll 10 is detected. It is recognized that there is paper, but if the paper is not detected, it is recognized that the paper of the paper roll 10 mounted on the first paper receiving portion 100 is exhausted.

그리고 제1 이송통로(110)의 중간에는 이송롤러(140)가 장착되어 제1 이송통로(110)를 따라 이동하는 용지(11)를 가압하여 이송한다. In the middle of the first conveying path 110, a conveying roller 140 is mounted to press and convey the paper 11 moving along the first conveying path 110.

또한 용지(11)의 진행방향에 있어서, 이송롤러(140)의 후방에는 제1 용지대기감지센서(160)가 장착된다. 제1 용지대기감지센서(160)는, 다른 이송통로(210)에 위치한 용지(11)가 인쇄부(330)로 진입해 있을 때에, 제1 이송통로(110)를 따라 이동하는 용지(11)의 선단이 제1 용지대기감지센서(160)에 도착하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용지(11)가 더 이상 진행하지 않도록 제1 구동벨트(120) 및 이송롤러(14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paper 11, the first paper waiting sensor 160 is mounted behind the feed roller 140. The first paper waiting sensor 160 is a paper 11 that moves along the first conveying path 110 when the sheet 11 located in the other conveying passage 210 enters the printing unit 330. When the front end of the first paper waiting sensor 160 is detected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e belt 120 and the feed roller 140 so that the paper 11 does not proceed any further. do.

한편, 제1 용지 수용부(100)의 측부에는 제2 용지 수용부(200)가 장착되며, 제2 용지 수용부(200)에는 제2 도어(203), 제2 구동벨트(220), 제2 도어감지센서(230), 제2 용지장착감지센서(250), 용지 분리대(205), 용지유입부(201)가 제1 용지 수용부(100)와 동일하게 형성된다.Meanwhile, a second paper receiver 200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first paper receiver 100, and the second door 203, the second driving belt 220, and the second paper receiver 200 are mounted on the side of the first paper receiver 100. The two door sensor 230, the second paper loading sensor 250, the paper separator 205, and the paper inlet 201 ar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paper receiver 100.

그리고 제2 이송통로(210)가 제2 용지 수용부(200)에서 인쇄부(330)까지 연장되는데, 제2 이송통로(210)는 제1 이송통로(110)에 비해 그 길이가 길다.The second conveyance passage 210 extends from the second paper receiving portion 200 to the printing portion 330, and the second conveyance passage 210 has a longer length than the first conveyance passage 110.

그리고 제2 이송통로(210)의 길이는 제1 이송통로(110)의 길이에 비해 길기 때문에, 용지(11)의 진행방향에 있어서 전방 이송롤러(270)와 후방 이송롤러(240)가 제2 이송통로(210)에 위치하며, 전방 이송롤러(270)의 후방에는 제2 용지감지센서(280)가 장착되고, 후방 이송롤러(240)의 후방에는 제2 용지대기감지센서(260)가 위치한다. 여기에서 제2 용지대기감지센서(260)는 앞에서 설명한 제1 용지대기감지센서(160)의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제2 용지감지센서(280)는 전방 이송롤러(270)에 의해 용지(11)가 진행하고 있지를 인식한다.In addition, since the length of the second conveyance path 210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conveyance path 110, the front conveying roller 270 and the rear conveying roller 240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paper 11 have a second length. Located in the conveying path 210, the second paper sensor 280 is mounted to the rear of the front feed roller 270, the second paper waiting sensor 260 is located behind the rear feed roller 240 do. Here, the second paper waiting sensor 260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the function of the first paper waiting sensor 160 described above, the second paper sensor 280 is the paper by the front feed roller 270 It recognizes that (11) is progressing.

한편, 인쇄부(330)에는 용지인출롤러(310)가 장착되어, 인쇄부(330)에서 인쇄된 용지(11)가 전진하여 인출되도록 용지(11)의 하면을 가압한 상태로 회전하며, 용지인출롤러(310)의 상부에는 용지끝단감지센서(320)가 장착되어 용지(11)의 끝단을 알리는 표시부(15)를 감지하고, 끝단을 알리는 표시부(15)가 감지되면 현재 인쇄하고 있는 용지(11)가 모두 소모되었다는 것으로 인식하여 대기 상태의 용지(11)가 인쇄부(330)로 진입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inting unit 330 is equipped with a paper take-out roller 310, the paper 11 printed by the printing unit 330 is rotated while pressing the lower surface of the paper 11 to advance and withdraw, The paper end detection sensor 320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take-out roller 310 to detect the display unit 15 indicating the end of the paper 11, and when the display unit 15 indicating the end is detected, the paper currently being printed ( Recognizing that all of 11) has been exhausted, the paper 11 in the standby state enters the printing unit 330.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11)의 뒷면에는 그 폭 양단에 검정색의 표시부(15)가 형성되는데, 그 표시부(15)의 길이가 용지(11)의 후단으로 갈수록 점차 길어진다. 따라서 용지끝단감지센서(320)에서는 설정된 표시부(15)의 길이 이상의 표시부(15)가 인식되면, 용지(11)가 모두 소모되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5, the back of the paper 11 is formed with a black display portion 15 on both ends of the width, the length of the display portion 15 is gradually longer toward the rear end of the paper 11 . Therefore, when the display end 15 or more of the set length of the display unit 15 is recognized, the paper end detection sensor 320 recognizes that the paper 11 is exhausted.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연속출력이 가능한 영수증 인쇄장치의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receipt printing apparatus capable of continuous outpu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관리인이 제1 용지 수용부(100)의 제1 도어(103)를 열고, 제1 용지 수용부(100)에 용지 롤(10)을 삽입 장착한 후에 제1 도어(103)를 닫는다. 그러면 제1 도어감지센서(130)에서 도어 닫힘을 인식하고, 제1 구동벨트(120)를 작동하여 용지 롤(10)을 회전시킨다. 회전하는 용지 롤(10)은 용지 분리대(105)에 의해 용지(11)의 선단이 분리된 상태로, 용지(11)의 선단은 용지유입부(101)를 통해 제1 이송통로(110)로 진입한다.The manager opens the first door 103 of the first paper container 100, closes the first door 103 after inserting the paper roll 10 into the first paper container 100. Then, the first door detecting sensor 130 recognizes the door closed, and operates the first driving belt 120 to rotate the paper roll 10. Rotating paper roll 10 is the front end of the paper 11 is separated by the paper separator 105, the front end of the paper 11 to the first conveying path 110 through the paper inlet 101 Enter.

제1 이송통로(110)로 유입된 용지(11)의 선단은 계속 진행하여 인쇄부(330)에 이르게 되고, 인쇄부(330)에서 거래 내역이 인쇄된 후에, 용지인출롤러(310)의 회전에 의해 인쇄부(330)에서 인출된다.The front end of the paper 11 introduced into the first conveying path 110 continues to reach the printing unit 330, and after the transaction details are printed on the printing unit 330, the paper extraction roller 310 is rotated. By the printing unit 330.

이와 같이 제1 용지 수용부(100)에 용지 롤(10)을 장착한 상태에서, 관리인은 제2 용지 수용부(200)에 용지 롤(10)을 삽입 장착한다. 그러면 제2 용지 수용부(200)에 장착된 용지 롤(10) 또한 제2 구동벨트(220)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용지(11)의 선단이 용지 분리대(205)에 의해 분리되어 용지유입부(201)를 통해 제2 이송통로(210)로 유입되어 진행한다.As described above, in a state in which the paper roll 10 is attached to the first paper receiving portion 100, the manager inserts the paper roll 10 into the second paper receiving portion 200. Then, the paper roll 10 mounted on the second paper receiver 200 is also rotated by the second driving belt 220, and the front end of the paper 11 is separated by the paper separator 205 so that the paper inlet part is separated. It proceeds to flow into the second transfer passage 210 through the 201.

제2 이송통로(210)를 따라 이동하는 용지(11)의 선단은 전방 이송롤러(270)를 통과한 후에 후방 이송롤러(240)를 통과한다. 그리고 제2 용지대기감지센서(260)를 통과하는 순간, 제2 용지대기감지센서(260)에는 용지(11)를 감지하고 제2 구동벨트(220), 전방 이송롤러(270) 및, 후방 이송롤러(240)의 구동을 정지하여 대기 상태가 되도록 한다.The front end of the paper 11 moving along the second conveying path 210 passes through the rear conveying roller 240 after passing through the front conveying roller 270. At the moment of passing through the second paper waiting sensor 260, the second paper waiting sensor 260 detects the paper 11 and feeds the second driving belt 220, the front feed roller 270, and the rear feed. The driving of the roller 240 is stopped to be in the standby stat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 용지 수용부(100)에 수용된 용지 롤(10)의 용지(11)가 모두 풀려 용지(11)의 끝단이 인쇄부(330)를 통과하게 되면, 용지끝단감지센서(320)는 용지(11)의 끝단에 형성된 표시부(15)를 감지하고 용지(11)가 모두 소모되었다는 것을 인식한다.In this state, when the paper 11 of the paper roll 10 accommodated in the first paper receiving portion 100 is released and the end of the paper 11 passes through the printing portion 330, the paper end detection sensor ( 320 detects the display unit 15 formed at the end of the paper 11 and recognizes that the paper 11 is exhausted.

더 이상 제1 이송통로(110)를 따라 공급되는 용지(11)가 없을 경우에, 대기 상태의 제2 이송통로(210)의 용지(11)가 인쇄부(330)로 공급되는데, 용지끝단감지센서(320)에서 전기적신호가 입력되고, 제2 용지감지센서(280)에 의해 용지(11)가 제2 이송통로(210)에 위치함이 인식되면, 제2 구동벨트(220), 전방 이송롤러(270) 및, 후방 이송롤러(240)를 구동시켜 대기 상태의 용지(11)의 선단을 인쇄부(330)로 진입시킨다.When no paper 11 is supplied along the first conveying path 110, the paper 11 of the second conveying path 210 in the standby state is supplied to the printing unit 330. When the electrical signal is input from the sensor 320 and the second paper detecting sensor 280 recognizes that the paper 11 is located in the second conveying path 210, the second driving belt 220 and the front conveying are performed. The front end of the paper 11 in the standby state is driven into the printing unit 330 by driving the roller 270 and the rear feed roller 240.

이와 같이 제2 이송통로(210)에 위치한 용지(11)가 인쇄부(330)로 진입함으로써, 제2 용지 수용부(200)에 장착된 용지 롤(10)의 용지(11)가 모두 풀릴 때까지 인쇄부(330)에서 용지(11)를 인출하며 영수증을 발행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paper 11 located in the second conveyance passage 210 enters the printing unit 330 as described above, when all the paper 11 of the paper roll 10 mounted on the second paper receiving unit 200 is released. Until the paper 11 is withdrawn from the printing unit 330 it is possible to issue a receipt.

관리인은 제2 용지 수용부(200)에 장착된 용지가 모두 풀리기 전에 제1 용지 수용부(100)에 새로운 용지 롤(10)을 장착한다. 그러면 제1 용지 수용부(100)에 장착된 용지 롤(10)은 풀리면서 용지(11)의 선단이 제1 이송통로(110)로 진입해 이동하게 되고, 용지(11)의 선단이 제1 용지대기감지센서(160)에 의해 감지되면 제1 구동벨트(120) 및 이송롤러(140)를 정지시켜 대기 상태가 되도록 한다.The manager mounts a new paper roll 10 on the first paper receiving portion 100 before all the papers mounted on the second paper receiving portion 200 are released. Then, the paper roll 10 mounted on the first paper receiving portion 100 is released while the leading edge of the paper 11 enters and moves to the first transfer path 110, and the leading edge of the paper 11 moves to the first edge. When detected by the paper waiting sensor 160, the first driving belt 120 and the feed roller 140 is stopped to be in a standby state.

이후, 제2 이송통로(210)를 통해 공급되는 용지가 모두 소모되면 대기 상태의 제1 이송통로(110)에 위치한 용지(11)의 선단이 인쇄부(330)로 진입해 들어가 연속적으로 영수증을 발행할 수 있게 된다. Then, when all the paper supplied through the second transfer passage 210 is exhausted, the leading edge of the paper 11 located in the first transfer passage 110 in the standby state enters the printing unit 330 and continuously receives the receipt. I can publish it.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연속출력이 가능한 영수증 인쇄장치는, 용지 수용부에 장착된 용지 롤이 회전하면서 용지의 선단이 용지 유입구로 원활하게 진입해 들어가지 못하고 용지 수용부 내에서 계속 회전하는 것을, 용지 분리대를 설치하여 용지의 선단이 용지 유입구를 원활하게 진입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용지 공급불량의 문제점을 해결한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receipt printing apparatus capable of continuous outpu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per roll mounted on the paper receiving portion while the leading edge of the paper does not smoothly enter the paper inlet, but the inside of the paper receiving portion. Rotating continuously has the advantage of solving the problem of paper feed failure by providing a paper separator to guide the leading edge of the paper to smoothly enter the paper inlet.

이상에서 이 발명의 연속출력이 가능한 영수증 인쇄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technical idea of the receipt printing apparatus capable of continuous outpu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illustrative of the b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이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영수증 인쇄장치의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eipt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수증 인쇄장치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of the door of the receipt printing apparatus shown in FIG. 1;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영수증 인쇄장치의 상세도이고,3 is a detailed view of the receipt printing apparatus shown in FIG.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용지 수용부에 장착된 용지 롤의 선단이 이송경로로 진입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leading end of the paper roll mounted on the paper receiving portion shown in FIG. 2 enters the feed path.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용지의 표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play unit of the paper illustrated in FIG. 4.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영수증 인쇄장치 3 : 영수증 처리부1: receipt printing device 3: receipt processing unit

5 : 거래기록부 10 : 용지 롤5: transaction log 10: paper roll

11 : 용지 15 : 표시부11: paper 15: display unit

100, 200 : 용지 수용부 101, 201 : 용지유입부100, 200: paper receiver 101, 201: paper inlet

103, 203 : 도어 105, 205 : 용지 분리대103, 203: door 105, 205: paper separator

106 : 날110, 210 : 이송통로 120, 220 : 구동벨트106: blade 110, 210: transfer passage 120, 220: drive belt

130, 230 : 도어감지센서 140, 240, 270 : 이송롤러130, 230: door detection sensor 140, 240, 270: feed roller

150, 250 : 용지장착감지센서 160, 260 : 용지대기감지센서150, 250: paper loading sensor 160, 260: paper waiting sensor

280 : 용지감지센서 310 : 용지인출롤러280: paper detection sensor 310: paper take-out roller

320 : 용지끝단감지센서 330 : 인쇄부320: paper end detection sensor 330: printing unit

Claims (2)

용지가 감겨진 용지 롤이 각각 수용되는 복수의 용지 수용부와, 상기 용지 롤에서 풀린 용지에 인쇄하는 인쇄부와, 상기 용지 수용부에서 상기 인쇄부까지 연장된 복수의 이송통로와, 상기 용지 수용부 내에 장착되어 상기 용지 롤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복수의 이송통로 중에서 어느 한 이송통로에 위치한 용지는 상기 인쇄부로 진입해 인쇄되고, 다른 이송통로에 위치한 용지는 그 선단이 상기 인쇄부 전에 위치하도록, 상기 복수의 이송통로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용지감지센서들을 포함하는 영수증 인쇄장치에 있어서,A plurality of paper accommodating portions each containing a roll of paper on which the paper is wound, a printing portion for printing on the paper unwound from the paper roll, a plurality of conveying passages extending from the paper accommodating portion to the printing portion, and the paper accommodating A drive unit mounted in the unit to rotate the paper roll, and the paper locat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transfer paths enters and prints in the printing unit, and the paper located in the other transfer path has its leading end positioned before the printing unit. In the receipt printing apparatus comprising a sheet detection sensors mounted on the plurality of transfer passag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e unit,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용지 롤이 회전하면서 용지의 선단이 권취된 용지 롤에서 분리되어 상기 이송통로로 진입해 들어가도록 상기 용지 수용부에 용지 분리대가 각각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출력이 가능한 영수증 인쇄장치.Receipt printing capable of continuous output, characterized in that the paper separator is attached to the paper receiving portion so that the paper roll is rotated by the driving unit to be separated from the paper roll on which the leading edge of the paper is wound and enter the transfer path.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용지 분리대는 상기 이송통로의 입구인 용지 유입구에서 상기 구동부 쪽으로 날이 형성되며, 상기 날이 상기 용지의 선단과 권취된 용지 롤의 사이로 삽입되면서 상기 용지의 선단을 상기 용지 유입구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출력이 가능한 영수증 인쇄장치.The paper separator is formed with a blade toward the drive unit from the paper inlet which is the inlet of the conveyance passage, the blade is inserted between the leading edge of the paper and the rolled paper roll to guide the leading edge of the paper to the paper inlet Receipt printing device capable of continuous output.
KR1020050036961A 2005-05-03 2005-05-03 Receipt print device with continuous printing ability KR1005210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961A KR100521099B1 (en) 2005-05-03 2005-05-03 Receipt print device with continuous printing ab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961A KR100521099B1 (en) 2005-05-03 2005-05-03 Receipt print device with continuous printing abi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1099B1 true KR100521099B1 (en) 2005-10-17

Family

ID=37305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6961A KR100521099B1 (en) 2005-05-03 2005-05-03 Receipt print device with continuous printing abi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1099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7161B1 (en) Paper discharge apparatus
KR100996885B1 (en) Bill withdrawing mechanism
US5954438A (en) Sheet presenter and method of using same
US8066278B2 (en) Printer
JP2004315142A (en) Receipt printer
JPS6363955B2 (en)
JP2006232474A (en) Printing device
KR100521099B1 (en) Receipt print device with continuous printing ability
CN104066587B (en) The control method of print apparatus and print apparatus
JP2532178B2 (en) Positioning mechanism for printing paper
CN109890620A (en) Printer
JPH1135208A (en) Paper ejecting device
KR102323433B1 (en) Medium receiving discharging apparatus and medium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616218B1 (en) Printer device and printer device control method
JP2006248707A (en) Roll paper replenishment device
JP2011201290A (en) Sheet handling apparatus and sheet collecting method for the sheet handling apparatus
KR100305963B1 (en) Automatic roll loading device of transaction list paper of ATM
KR200379150Y1 (en) Device for withdrawing abnormal paper money in A.T.M.
JP2006256858A (en) Medium issuing apparatus and medium issuing method
CN116100958A (en) Quick thermal printing device and method for high-speed paper replacement
JP4815698B2 (en) Automatic transaction equipment
KR100521095B1 (en) Receipt print device with journal printer
KR200384019Y1 (en) Continuity paper printer
KR101628213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KR200380010Y1 (en) Paper discharge control system of thermal pri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