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9342B1 - 텔레비전 시스템의 다중 지점 변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텔레비전 시스템의 다중 지점 변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9342B1
KR100519342B1 KR10-2003-0038281A KR20030038281A KR100519342B1 KR 100519342 B1 KR100519342 B1 KR 100519342B1 KR 20030038281 A KR20030038281 A KR 20030038281A KR 100519342 B1 KR100519342 B1 KR 100519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image
user
television system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8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7266A (ko
Inventor
박태진
박종석
김인훈
김익환
홍수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8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9342B1/ko
Publication of KR20040107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7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9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93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8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selecting a Region Of Interest [ROI], e.g. for requesting a higher resolution version of a selected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텔레비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텔레비전 시스템의 다중 지점 변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OSD 메뉴를 선택하거나 특정키를 이용하기 위한 리모트 콘트롤러를 구비한 디지털 티브이에 있어서, 튜너; 상기 튜닝된 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더; 상기 디코딩된 영상 중 임의의 부분 영상을 사용자가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임의의 부분 영상을 전체 화면 크기로 변환시키는 비디오 변환부; 상기 임의의 영상이 선택되도록 OSD 메뉴를 생성하는 OSD 생성부;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전체 화면을 출력하는 화면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시스템의 다중 지점 화면 변환 장치와 이를 이용하는 방법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을 사용하면 사용자가 TV 화면 중 특정 영역을 자세히 보고 싶을 경우 이를 확대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TV 표출 화면에 대한 만족감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텔레비전 시스템의 다중 지점 변환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point transfer of television system}
본 발명은 텔레비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텔레비전 시스템의 다중 지점 변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시스템이라 함은 TV 수신 기능을 가지는 기기를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TV 및 셋탑 박스, PC용 TV 수신 카드 등을 모두 포함한다.
최근 TV 환경이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전이되는 과정에서 거의 모든 디지털 텔레비전 및 일부 아날로그 텔레비전이 장착하고 있는 기능 중의 하나가 사용자 기호 및 입력 영상의 화면 비율(Aspect Ratio), 출력 화면의 화면비 등에 따라 입력 영상을 확대, 축소, 비율 변환하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16:9의 출력 영상 화면비를 가지는 와이드 TV의 경우 노멀(Normal 4:3), 와이드(16:9), 줌(Zoom)1, 줌(Zoom)2, 스펙타클(Spectacle) 등과 같은 사용자 선택 사항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노멀(4:3), 와이드(16:9) 등과 같은 선택 사항이 존재하는 이유로는 기존 아날로그 TV 영상의 경우 입력 영상의 화면비가 일부는 4:3, 일부는 16:9를 가지고 있어 TV의 출력 영상의 화면비와 달라 출력 모니터의 화면 비율이 4:3이든 16:9이든 필수적으로 비율 전환을 할 필요성이 생기기 때문이다.
또한 줌(Zoom), 스펙타클(Spectacle) 등의 부가적인 화면비율 선택 사항이 필요한 이유로는 입력 영상의 상단 부분과 하단 부분에 영상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Letter-Boxed Picture)이 있는 경우 이를 제거하고 영상을 표시해야 하기 때문이다(도 3 참조).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선택 사항에 따른 출력 영상 화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사용자의 화면 선택이 노멀(4:3)인 경우 16:9 화면 비율의 TV에 4:3비율의 입력 영상을 표시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사용자의 화면 선택이 와이드(16:9)인 경우 16:9 화면 비율의 TV에 4:3 비율의 입력 영상을 표시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사용자의 화면 선택이 줌(zoom)인 경우 16:9 화면 비율의 TV에 4:3 비율의 입력 영상을 표시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4와 같은 화면을 표출하기 위해 사용자는 화면비 선택을 OSD 상의 메뉴 선택을 하는 방법이나 리모트 컨트롤러상의 특정키를 반복적으로 누르게 하는 방법 등으로 조정한다. 그러나, 이는 상기와 같은 기능은 입력 영상과 출력 화면의 비율 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필수적인 기능이라고 볼 수 있으나, 이것만으로는 사용자가 선택한 화면상의 특정 영역을 확대하여 볼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화면의 특정 영역을 자세히 보고 싶을 경우에는 사용자의 만족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삭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력된 영상 중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영상을 확대하여 영상을 제공하는 텔레비전 시스템의 다중 지점 화면 변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OSD 메뉴를 선택하거나 특정키를 이용하기 위한 리모트 콘트롤러를 구비한 디지털 티브이에 있어서, 튜너; 상기 튜닝된 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더; 상기 디코딩된 영상 중 임의의 부분 영상을 사용자가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임의의 부분 영상을 전체 화면 크기로 변환시키는 비디오 변환부; 상기 임의의 영상이 선택되도록 OSD 메뉴를 생성하는 OSD 생성부;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전체 화면을 출력하는 화면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시스템의 다중 지점 화면 변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OSD 메뉴 정보내의 소정 크기의 블록을 선택한 후 상기 선택된 블록을 화면의 좌, 우, 상, 하로 위치를 이동하여 입력된 영상 중 임의의 부분 영상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블록내의 부분 영상을 전체 화면으로 확대되는 단계; 및 상기 확대된 전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텔레비전 시스템의 다중 지점 화면 변환 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시스템의 다중 지점 화면 변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라는 텔레비전 시스템의 다중 지점 화면 변환 장치는 아날로그/디지털 겸용 튜너(201), 디지털 비디오 디코더(202), 아날로그 비디오 디코더(203), 비디오 변환부(204), OSD 생성부(205), 화면 출력부(20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상기 아날로그/디지털 겸용 튜너(201)은 아날로그/디지털 티브이 신호를 튜닝하여 출력한다. 상기 출력된 신호는 디지털 신호이면 디지털 비디오 디코더(202)에, 또는 아날로그 신호이면 아날로그 비디오 디코더(203)에 입력되어 각 디코더에서 디코딩하고, 픽셀 단위로 밝기 및 컬러 정보로 표현되는 영상을 출력한다. 상기 비디오 변환부(204)는 상기 디코딩되어 출력된 영상 신호를 출력 모니터의 해상도에 맞게 변환한다. 즉, 비디오 변환부(204)는 출력 모니터의 해상도에 맞게 입력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시키며, 입력 영상 신호를 노멀(4:3), 와이드(16:9), 줌(Zoom), 스펙타클(Spectacle) 등의 다양한 화면으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 영상 내의 임의의 부분을 지정하면 이를 특정 크기로 확대하여 출력한다. 화면 출력부(206)은 상기 변환된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TV 모니터에 출력한다.그러나, 상기의 과정 중에 사용자가 특정시점에서 입력 영상 신호를 리모컨등의 특정키를 이용하여 정지시키면 정지영상이 TV 모니터에 출력된다. 사용자는 상기 정지된 영상에 대해 OSD 생성부(205)를 통해 OSD 메뉴 정보내에 특정 크기의 블록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화면 전환 비율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블록은 리모컨 등을 통해 상기 출력된 정지 영상 위에서 좌, 우, 상, 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방식으로 블록내에 특정 영상이 선택되면 OSD 생성부(205)는 선택된 블록내의 영상을 상기 비디오 변환부(204)로 출력한다. 상기 비디오 변환부(204)는 OSD 생성부(205)가 출력한 영상을 입력받아 이를 출력 모니터의 해상도에 맞게 변환하여 출력한다. 화면 출력부(206)은 상기 변환된 영상을 입력받아 이를 TV 모니터 화면에 출력한다.도 6a 내지 도 6c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시스템의 다중 지점 화면 변환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 6a는 TV에 입력되는 영상을 정지시킨 영상의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6b는 도 6a의 상기 정지 영상 내의 특정 영역을 사용자가 OSD 메뉴 정보의 특정 블록을 이용해 선택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도 6b와 같은 정지 영상에서 점선의 큰 블록이나 짙고 굵은 선의 블록, 흐리고 굵은 선의 블록등을 OSD 메뉴 정보를 통해 택일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된 블록은 리모컨의 특정키 등을 이용해 정지 영상 위에서 좌, 우, 상, 하로 이동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따라서, 큰 블록으로 표시된 부분이 입력된 영상신호의 전체이며, 사용자가 선택한 작은 블록이 점섬으로 표시된 부분의 영상이다.
삭제
삭제
도 6c는 도 6b의 선택된 영역 중 점선의 큰 블록을 선택하여 전체화면에 확대하여 표출한 영상을 나타낸다.
삭제
삭제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텔레비젼, 셋탑 박스, PC용 수신 카드 등의 TV 수신 장치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화면상의 특정 영역을 확대하여 볼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화면의 특정 영역을 자세히 보고 싶을 경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화면을 정지시키고 사용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도 2는 16:9 화면 비율의 TV에 4:3 비율의 입력 영상을 노멀(normal)(4:3)로 선택한 경우 출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
삭제
도 3은 16:9 화면 비율의 TV에 4:3 비율의 입력 영상을 와이드(16:9)로 선택한 경우 출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16:9 화면 비율의 TV에 4:3 비율의 입력 영상을 줌(zoom)으로 선택한 경우 출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시스템의 다중 지점 변환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시스템의 다중 지점 변환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대상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시스템의 다중 지점 변환 장치의 다양한 화면 선택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시스템의 다중 지점 변환 장치의 일 실시예의 결과를 나타낸 도면<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201 : 튜너 202 : 디지털 비디오 디코더203 : 아날로그 비디오 디코더 204 : 비디오 변환부205 : OSD 생성부 206 : 화면 출력부

Claims (4)

  1. 사용자가 OSD 메뉴를 선택하거나 특정키를 이용하기 위한 리모트 콘트롤러를 구비한 디지털 티브이에 있어서,
    튜너;
    상기 튜닝된 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더;
    상기 디코딩된 영상 중 임의의 부분 영상을 사용자가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임의의 부분 영상을 전체 화면 크기로 변환시키는 비디오 변환부;
    상기 임의의 영상이 선택되도록 OSD 메뉴를 생성하는 OSD 생성부;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전체 화면을 출력하는 화면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시스템의 다중 지점 화면 변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변환부에서 전체 화면 크기로의 변환은 상기 디코딩된 영상을 특정 시점에서 정지 영상으로 변환한 후 상기 변환된 정지 영상을 전체 화면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시스템의 다중 지점 변환 장치.
  3. OSD 메뉴 정보내의 소정 크기의 블록을 선택한 후 상기 선택된 블록을 화면의 좌, 우, 상, 하로 위치를 이동하여 입력된 영상 중 임의의 부분 영상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블록내의 부분 영상을 전체 화면으로 확대되는 단계; 및
    상기 확대된 전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텔레비전 시스템의 다중 지점 화면 변환 방법.
  4. 삭제
KR10-2003-0038281A 2003-06-13 2003-06-13 텔레비전 시스템의 다중 지점 변환 장치 및 방법 KR100519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281A KR100519342B1 (ko) 2003-06-13 2003-06-13 텔레비전 시스템의 다중 지점 변환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281A KR100519342B1 (ko) 2003-06-13 2003-06-13 텔레비전 시스템의 다중 지점 변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266A KR20040107266A (ko) 2004-12-20
KR100519342B1 true KR100519342B1 (ko) 2005-10-07

Family

ID=37381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8281A KR100519342B1 (ko) 2003-06-13 2003-06-13 텔레비전 시스템의 다중 지점 변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934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7426A (ko) * 1992-01-31 1993-08-30 이헌조 비디오 화면 줌(zoom)장치
KR980007534A (ko) * 1996-06-25 1998-03-30 배순훈 텔레비전의 영상확대장치
KR19990016555A (ko) * 1997-08-18 1999-03-15 전주범 텔레비전 화면의 부분확대 제어장치
KR20010010016A (ko) * 1999-07-15 2001-02-05 윤종용 디지털 텔레비전수상기에서 원화면의 부분별 확대장치
KR20010056157A (ko) * 1999-12-14 2001-07-04 윤종용 오에스디 화면 확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7426A (ko) * 1992-01-31 1993-08-30 이헌조 비디오 화면 줌(zoom)장치
KR980007534A (ko) * 1996-06-25 1998-03-30 배순훈 텔레비전의 영상확대장치
KR19990016555A (ko) * 1997-08-18 1999-03-15 전주범 텔레비전 화면의 부분확대 제어장치
KR20010010016A (ko) * 1999-07-15 2001-02-05 윤종용 디지털 텔레비전수상기에서 원화면의 부분별 확대장치
KR20010056157A (ko) * 1999-12-14 2001-07-04 윤종용 오에스디 화면 확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266A (ko) 2004-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7178B1 (ko) 텔레비전 시스템의 화면 크기 변환 장치 및 방법
US7292284B2 (en) Method and apparatus displaying double screen
US20100110294A1 (en) Video display device, video display method and video system
US20060221237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48312B1 (ko)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방법에 사용되는 원격 제어기
US742801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screen
US8687119B2 (e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video out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70094610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90002551A1 (en) Video signal conversion device, video signal conversion method and video display device
KR100751122B1 (ko) 화면 선택 가능한 영상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10264B1 (ko) 피아이피 기능을 이용한 화면 캡쳐 장치
US736234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resolution of graphic image
KR100519342B1 (ko) 텔레비전 시스템의 다중 지점 변환 장치 및 방법
US20050018083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changing a sub-picture into a main picture
KR100747521B1 (ko) 셋톱박스의 출력포맷 설정방법
KR100329273B1 (ko) 티브이 화면 출력 방법 및 그 장치
US20040263688A1 (en) Television recei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407978B1 (ko) 영상표시기기의 텔레텍스트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607264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화면비 설정방법
KR101102388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정지 영상 캡쳐 장치 및 방법
KR100595162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화면 종횡비 자동 제어장치
KR100331838B1 (ko) 모니터 기능 겸용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fpd) 티브이의 온스크린디스플레이(osd) 구현장치
KR100516609B1 (ko) 입력 신호에 따른 텔레비전의 화면 설정 장치 및 방법
KR100213872B1 (ko) 정보 pip 화면의 표시위치 가변 장치
KR100404218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영상 출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