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8984B1 - 양·한방 겸용 네블라이저 - Google Patents

양·한방 겸용 네블라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8984B1
KR100518984B1 KR10-2003-0089767A KR20030089767A KR100518984B1 KR 100518984 B1 KR100518984 B1 KR 100518984B1 KR 20030089767 A KR20030089767 A KR 20030089767A KR 100518984 B1 KR100518984 B1 KR 100518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nozzle
container
chemical liquid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9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6716A (ko
Inventor
한신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드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드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드썬
Priority to KR10-2003-0089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8984B1/ko
Publication of KR20050056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6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8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89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ir or other gas pressure applied to the liquid or other product to be sprayed or atomi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68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 A61M2205/365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by Joule effect, i.e. electric re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8N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이나 전문병원(이비인후과)에서 주로 사용하는 양·한방(洋·韓方) 겸용 네블라이저(NEBULIZER)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약재가 투입되는 약통(10a)과 상기 약통에 용해된 약액이 담겨지고, 약액을 배출시키는 배출구(13)를 구비하며, 상기 약액을 분무시키기 위해 약액속에 일측단부가 잠긴 노즐(12)과,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된 뚜껑을 구비하는 약품용기(10)와; 물주입구를 구비하고, 전원에 의해 바닥면(30a)을 히팅시키는 히터(31)가 장착되며, 상기 약통(10a)속으로 증기를 유입시켜 상기 약통(10a)내의 약품에서 액기스가 용해되어지도록 뜨거운 증기를 생산·공급하는 증기 발생기(30)와; 상기 약품용기(10)속에 저장된 약 액기스를 상기 배출구(13)로 분출시키기 위해 노즐(12)의 단부를 가로질러 에어를 분출시켜 노즐(12)속으로 순간적인 진공압을 형성하여 노즐(12)의 단부에서 분무되어지는 약액이 배출구(13)로 분무시키기 위한 공압을 제공하는 소형 압축기(20)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한방(洋韓方)겸용 네블라이저는 분무되는 약물의 온도가 충분히 가열된 상태로 분무되어져 온도차에 따른 이물감을 거의 느끼지 않아 환자에게 편안하고 안정되게 치료할 수 있는 효과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양·한방 겸용 네블라이저{NEBULIZER FOR WESTERN DRUGS AND CHINESE MEDICINE }
본 발명은 이비인후과에서 주로 사용되거나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네블라이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 질환, 감기, 알레르기 비염, 천식, 후두염, 기관지 질환, 혹은 폐염환자 등을 전문적으로 치료하는 의료기관에서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네블라이저를 사용할 경우 체온과 같은 온도로 약물을 분무하거나 흡입할 수 있도록 약물을 가열할 수 있는 가열장치를 구비한 양한방 겸용 네블라이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중의 코와 입은 호흡을 위한 중요한 부위이나 호흡기인 관계로 쉽게 코와 구강 질환을 앓기 쉽고 만성화되기 쉽다. 그리고 만성적 코질환이 심각해지면 코 주위로 염증이 파급되어 축농증과 같은 합병증을 유발하게 되고, 결국에는 수술을 해야 하거나 치료기간이 장기화되는 문제를 초래한다. 이러한 코질환 환자의 치료시 주로 이용되는 장비로서는 비강 혹은 비염 세척기가 있다. 물론 이 세척기 이외에도 네블라이저가 사용되고 있다.
전술한 네블라이저는 호흡기 질환에 사용되는 약액 혹은 약품을 에어로졸화하여 환자가 에어로졸화 된 약액의 입자를 마우스 피스나 마스크를 이용해 코나 입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하여 환부에 약품이 신속히 접해지도록 함으로서 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네블라이저는 압력통의 압력을 약통에 가하여 약물을 미세한 입자의 크기로 만들어 환부에 분무하여 치료하는 의료기기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네블라이저는 마스크나 마우스 피스가 배치되며, 사용자가 마스크나 마우스 피스를 손쉽게 집어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알레르기비염, 감기, 천식, 기관지질환 등의 환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기존의 네블라이저는 습식방식과 건식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분무방식에 따라 제트방식과 초음파방식으로 구분된다.
상기 방식들의 특징을 간략히 살펴보면, 습식방식은 현재까지 통상적으로 제트 방식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환자가 느끼기에 상대적으로 차가운 온도의 약품이 분무되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의료기기로는 네블라이저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네블라이저는 분무되는 약품이 계절에 따라 온도가 다르며, 통상적으로는 환자가 매우 차갑게 느끼게 되기 때문에 기관지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의 환부에 차가운 약액이 갑자기 환부에 분무되면 이물감에 의해 심한 재치기가 발생되는 불편함이 있고, 또 이물감에 의해 분무된 약물을 뱃어내는 경향이 있어 약효를 효과적으로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정에 비치하여 간편하게 사용하거나 혹은 이비인후과와 같은 전문병원에서 환자의 코 질환, 창상, 수술부위, 알레르기비염, 감기, 천식, 기관지질환에 인체온도에 맞게 자동 온도 조절된 약물을 분무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물감이 없고 약품을 환자가 느끼기에 편안한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는 가열장치를 구비한 네블라이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현수단으로서는:
약재가 투입되는 약통과 상기 약통에 용해된 약액이 담겨지고, 약액을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약액을 분무시키기 위해 약액속에 일측단부가 잠긴 노즐과,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된 뚜껑을 구비하는 약품용기와; 물주입구를 구비하고, 전원에 의해 바닥면을 히팅시키는 히터가 장착되며, 상기 약통속으로 증기를 유입시켜 상기 약통내의 약품에서 액기스가 용해되어지도록 뜨거운 증기를 생산·공급하는 증기 발생기와; 상기 약품용기속에 저장된 약 액기스를 상기 배출구로 분출시키기 위해 노즐의 단부를 가로질러 에어를 분출시켜 노즐속으로 순간적인 진공압을 형성하여 노즐의 단부에서 분무되어지는 약액이 배출구로 분무시키기 위한 공압을 제공하는 소형 압축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 발생기에서 증기를 생산하고 그 증기를 약품용기속으로 공급하되, 약품용기속에 담긴 약통내의 약품을 증기로 가열하여 약 액기스를 약품용기에 저장한 뒤 이를 공기압에 의해 액상의 약품이 노즐에서 분출되어 배출구로 분무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네블라이저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네블라이저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한방 겸용 네블라이저(100)는 크게 액상의 약품이 담겨져 있는 약품용기(10)와, 약품용기(10)내에 에어를 불어넣어 노즐(12)을 통해 액상의 약제를 외부로 분무시키는 압축기(20)와, 상기 약품용기(10)속에 담긴 약통(10a)속으로 증기를 공급하여 약 액기스를 생산하기 위한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 발생기(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약품용기(10)는 개폐가능하게 뚜껑(11)이 마련되어 있고, 내부에 약품이 담긴 약통(10a)과, 바닥면에 수직하게 설치된 노즐(12) 및 노즐(12)에서 분무된 액상의 약제가 배출되어지는 배출구(1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한 약통(10a)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의 높이로 설치되어져 있는데, 증기 발생기(30)에서 발생된 증기가 유입되어 소형 주머니속에 담긴 약품이 증기에 의해 용해되어 여과필터(14)를 거처 밑으로 약 액기스가 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용기의 바닥에 떨어진 액상의 약 액기스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압축기(20)에서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노즐(12)을 통해 배출구(13)로 분무되어지게 된다.
노즐(12)은 일측단은 액상의 약 액기스위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노즐(12)의 자유단에 공압호스(21)의 단부가 노즐(12)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공압호스(21)로부터 배출되는 공압에 의해 노즐(12)의 내부는 순간적으로 진공상태가 되어져 약 액기스가 위로 끌려 올라가 배출구(13)를 향하여 분무되어진다.
상기한 증기 발생기(30)는 내부에 담겨진 물을 끓여 증기를 생산하는 장치로서, 물이 담긴 용기의 저면에는 전원에 의해 발열되어지는 히터(31)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바닥판(30a)의 온도를 감지하여 히터(3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온도센서(32)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내의 물이 일정온도 범위로 유지시키기 위해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온도센서(33)가 마련되어 있고, 또 용기내의 압력이 일정범위를 초과하면 외부로 압력을 배출시키는 압력조절밸브(3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증기 발생기(30)에서 생산된 증기는 증기 유도관(35)을 통하여 전술한 약통(10a)에 연결되어 약통(10a)속으로 유입되어진다.
이와 같이 증기 발생기(30)에서 발생된 증기에 의해 약통(10a)속에 담긴 약품이 뜨거운 증기에 의해 약품성분이 용해되어져 물방울 형태로 여과필터을 통해 밑으로 떨어진다. 다시 말해서 약품용기(10)의 바닥에 약품의 액기스가 떨어져 모이게 된다.
또한, 증기 발생기(30)의 용기에는 내부에 담긴 물의 온도를 감지하여 설정한 온도이상 상승시 히터(31)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제2온도센서(33)가 설치되어 있으며, 증기 발생기(30)의 내부에 물의 유무를 확인하는 수위감지센서(36)가 설치되어 있다.
수위감지센서(36)는 용기내에 담긴 물의 량과 그 유무를 감지하여 물이 없는 빈 상태의 용기가 히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참고로 상기한 증기 유도관(35)으로 증기 발생기(30)와 상기한 약통(10a)간에 연결되어져 증기를 약통(10a)속으로 공급한다. 증기 발생기 뚜껑(37)은 증기 발생기(30)내에 물을 보충하고 내부의 세척을 위함이고 진공을 위해 실리콘 고무을 사용한다.
상기한 센서들의 작동에 따른 회로적인 처리과정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어질 것이다.
상기한 압축기(20)는 공기를 압축하여 약품용기(10)속으로 공급하여 약액을 분무시키게 되는데, 그 량은 압축공기의 배출량에 의해 제어되고 배출량은 밸브(도시되지 않았음)에 의해 제어되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양·한방 겸용 네블라이저에 대한 작용 및 그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증기 발생기(30)에 전원을 인가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감지센서(36)가 용기(30)내에 담긴 물의 유무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P)에 전달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P)는 만일 수위감지센서(36)가 물이 있고, 일정량의 물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지면 히터(31)로 전원을 공급하여 용기의 바닥면(30a)을 가열시킨다.
반대로 수위감지센서(36)가 감지한 신호값이 물이 없는 것으로 검출한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P)는 전원이 인가되어도 히터(31)는 작동되지 않고 물보충표시와 음을 발생하여 물 보충을 알려준다.
이와 같이 히터(31)에 의해 용기에 들어 있는 물이 가열되어 끊기 시작하면 증기가 발생되어지는데, 증기는 증기 유도관(35)을 따라 약통(10a)속으로 유입되어져 약통(10a)속에 담긴 약품(한약재임, 양약은 액재로 되어 있음)을 뜨거운 증기로 용해시켜 약재에서 나오는 약효를 지니는 성분이 들어 있는 액기스가 물방울 형태로 밑으로 흘러내리게 된다.
이 과정에서 증기 발생기(30)의 내부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면 압력조절밸브(34)가 압력에 의해 들려 올려지면서 외부로 유출되어진다. 또한 물의 온도를 일정한 범위로 유지시키고자 할 경우 제2온도센서(33)을 소망하는 온도범위로 설정하면, 그 설정된 범위이상 온도가 상승하면 제2온도센서(33)에 의해 히터(31)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켜 가열을 중단시키고, 만일 설정된 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제2온도센서(33)가 히터(31)에 전원을 공급하여 다시 물을 가열시킨다.
이와 같이 약품용기(10)속에 흘러내린 약 액기스는 용기에 저장되어진 채로 보관되어지고 압축기(20)의 밸브를 개방하면, 공압호스(21)로 공압이 유입되어져 노즐(12)의 끝단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토출되어진다. 이때 노즐(12)은 그 관의 내부에 순간적으로 진공압이 작용되어져 액상의 약 액기스가 노즐(12)위로 끌려 올라오게 되어 에어와 함께 배출구를 향해 분출되어진다. 에어와 함께 분출되는 약 액기스는 공압의 진행방향에 설치된 충돌용 볼에 부딪히면서 약 액기스가 미세한 입자로 부서져 무화상태로 분무되어진다.
배출구(13)에는 그 외부에는 통공(13a)가 형성되어 있어 분무되어지는 약 액기스가 배출구(13)로 배출되어지는 과정에 통공(13a)으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와 혼입되어 뜨거운 증기를 체온과 유사한 온도가 내려주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네블라이저는 환자의 주위에 설치하여 배출구(13)로 분무되어지는 약품을 환자가 흡입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네블라이저는 분무되는 약물의 온도는 체온과 비슷한 온도범위로 유지되어 약품을 분무하였을 때, 환자가 이물감이 거의 느끼지 않고 사용할 수 있고, 물을 끓여서 증기를 만들어 사용하므로 살균의 효과가크며, 따뜻한 온기에 의해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환자를 보살필 수 있으며, 약품을 한방와 양약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네블라이저의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한방 겸용 네블라이저의 증기 발생기의 회로적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약품용기 10a:약통
11:뚜껑 12:노즐
14:여과필터 13:배출구
12:공압호스 20:압축기
21:공압호스 30:증기 발생기
30a:바닥판 31:히터
32:제1온도센서 33:제2온도센서
34:압력조절밸브 35:증기 유도관
36:수위감지센서 37:증기 발생기 뚜껑
100:네블라이저

Claims (3)

  1. 약재가 투입되는 약통(10a)과 상기 약통에 용해된 약액이 미세입자의 여과필터(14)를 통과하여 담겨지고, 약액을 배출시키는 배출구(13)를 구비하며, 상기 약액을 분무시키기 위해 약액속에 일측단부가 잠긴 노즐(12)과,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된 뚜껑을 구비하는 약품용기(10)와;
    물주입 뚜껑를 구비하고, 전원에 의해 바닥면(30a)을 히팅시키는 히터(31)가 장착되며, 상기 약통(10a)속으로 증기를 유입시켜 상기 약통(10a)내의 약품에서 액기스가 용해되어지도록 뜨거운 증기를 생산·공급하는 증기 발생기(30)와;
    상기 약품용기(10)속에 저장된 약 액기스를 상기 배출구(13)로 분출시키기 위해 노즐(12)의 단부를 가로질러 에어를 분출시켜 노즐(12)속으로 순간적인 진공압을 형성하여 노즐(12)의 단부에서 약액이 분출되어 배출구(13)로 분무시키기 위한 공압을 제공하는 소형 압축기(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한방 겸용 네블라이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3)의 외벽에 배출되는 증기의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통공(13a)를 형성하여 배출되는 약액 및 증기에 외부공기가 혼입되도록 하여 온도를 낮추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한방 겸용 네블라이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발생기(30)는 상기 바닥판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히터(31)를 제어하는 제1온도센서(32)와, 상기 용기내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일정한 범위로 유지되도록 가열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온도센서(33)와, 용기내의 압력이 일정범위 이상 상승하면 외부로 압력을 배출시키는 압력조절밸브(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한방 겸용 네블라이저.
KR10-2003-0089767A 2003-12-10 2003-12-10 양·한방 겸용 네블라이저 KR100518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9767A KR100518984B1 (ko) 2003-12-10 2003-12-10 양·한방 겸용 네블라이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9767A KR100518984B1 (ko) 2003-12-10 2003-12-10 양·한방 겸용 네블라이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8539U Division KR200345635Y1 (ko) 2003-12-10 2003-12-10 양·한방 겸용 네블라이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6716A KR20050056716A (ko) 2005-06-16
KR100518984B1 true KR100518984B1 (ko) 2005-10-10

Family

ID=37251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9767A KR100518984B1 (ko) 2003-12-10 2003-12-10 양·한방 겸용 네블라이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89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432B1 (ko) 2018-06-08 2019-10-15 황기형 호흡기 온훈증 약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427B1 (ko) 2006-11-23 2008-01-28 김태희 손 소독기
KR102235185B1 (ko) * 2019-02-22 2021-04-0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가스 분사 및 광선을 이용한 비염 치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432B1 (ko) 2018-06-08 2019-10-15 황기형 호흡기 온훈증 약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6716A (ko) 200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34742B2 (en) High flow humidifier for delivering heated and humidified breathing gases
CA1256771A (en) Device for performing therapeutic treatments
US4225542A (en) Evaporative humidifier
CN104353163B (zh) 一种多功能清肺美容仪
CN206239838U (zh) 一种呼吸内科雾化器
CN107626019A (zh) 手持式喷雾器
CN107583149A (zh) 一种恒温式雾化鼻腔清洗装置
CN206228711U (zh) 手持式喷雾器
CN106938112A (zh) 一种医用雾化器
CN106823079A (zh) 一种递送式定量雾化给药装置
US20090038610A1 (en) Inhalation device for providing a mist of nebulised liquid medical solution to a user
CA1110964A (en) Evaporative humidifier
KR100518984B1 (ko) 양·한방 겸용 네블라이저
KR200345635Y1 (ko) 양·한방 겸용 네블라이저
CN208678091U (zh) 雾化器
CN206715012U (zh) 一种医用雾化器
IT201800006391A1 (it) Sistema per la vaporizzazione molecolare di una sostanza liquida
CN205411856U (zh) 一种用于吸氧和雾化交替治疗的雾化装置
CN204017052U (zh) 一种多功能清肺美容仪
KR102637927B1 (ko) 약물 분사 장치
CN109260553A (zh) 一种用于肺部清理的雾化机
CN209108314U (zh) 一种雾化中药液靶向治疗仪
CN107669474A (zh) 喷雾式鼻腔冲洗器
CN208911163U (zh) 一种儿科用雾化器
JPS621302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