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7896B1 -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17896B1 KR100517896B1 KR10-2001-0002551A KR20010002551A KR100517896B1 KR 100517896 B1 KR100517896 B1 KR 100517896B1 KR 20010002551 A KR20010002551 A KR 20010002551A KR 100517896 B1 KR100517896 B1 KR 1005178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terminal
- terminal body
- coupled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keyboard uni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발명에 대한 배경Background for invention
(a)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a)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본 발명은 휴대용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셀룰러 폰, PCS, 그리고 PDA 등에 적용되며, 두께를 최소화하여 휴대성을 높이고, 입력장치 또는 출력장치 등의 부가적인 장치가 확장되도록 하여 단말기(terminal)를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ellular phone, a PCS, a PDA, and the like, and to minimize the thickness to increase portability, and to expand additional devices such as an input device or an output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mobile terminal that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b) 종래 기술(b) prior art
일반적으로, 단말기(terminal)는 시스템(system)이나 네트웍(network)의 단말에 접속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단말기는 정보망이나 통신망을 이용하는 컴퓨터, TV, 모니터, 전화기(셀룰러폰, PCS), PDA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대표적으로 셀룰러 폰을 예로 설명한다.In general, a terminal is a device that accesses a terminal of a system or a network. Such a terminal may be a computer, a TV, a monitor, a telephone (cellular phone, PCS), a PDA, or the like using an information network or a communication network, but a representative cellular phon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통상의 셀룰러 폰은 본체의 뒤쪽(배면) 또는 프론트(앞면)에 배터리가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셀룰러 폰은, 배터리가 배면 또는 프론트에 장착되어 있어도 사용상 별 문제점은 없다. 그러나 셀룰러 폰은,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하도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로 기술이 발전되는데, 이때 배터리가 본체의 배면 혹은 프론트에 장착되어 두께를 감소시키는데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Conventional cellular phones are used with batteries mounted on the back (back) or front (front) of the main body. Such a cellular phone has no problem in use even if the battery is mounted on the back or front. Cellular phones, however, have been developed in such a way that the thickness of the cell phone is convenient to carry and use, and the battery is mounted on the back or front of the body has a limitation in reducing the thickness.
따라서, 기존의 셀룰러 폰은 휴대성이 떨어지고, 사용이 편리하도록 입, 출력 장치를 확장하는데 제한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 existing cellular phone has a problem in that it is inferior in portability and has a limitation in expanding an input / output device for easy use.
발명에 대한 요약Summary of the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의 두께를 최소화시켜 휴대가 편리하도록 함과 아울러 입, 출력 장치 용이하게 확장하는 수단을 마련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하는 휴대용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ns for minimizing the thickness of the terminal for convenient portability and for easily expanding the input and output devices. It is to provide a portable mobile terminal to pla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접점을 가지고 있는 단말기 본체; 상기 접점과 밀착되도록 대응되는 접점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단말기 본체의 상, 하, 좌, 우 측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상기 단말기 본체와 상기 배터리가 선택적으로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 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용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body having a contact that can be supplied with power; At least one battery having a corresponding contac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tact and coupled to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erminal body; It provides a portable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coupling means coupled to the terminal body and the battery selectively detachable, attachable.
따라서, 본 발명은, 단말기의 일측면 또는 배면에 소형의 배터리를 사용하고자 할 때는 배터리 하나만을 끼움 결합하여 사용하고, 장거리 여행이나 충분한 시간 동안 단말기를 사용할 필요가 있을 때는 다른 배터리를 일측면 또는 배면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ing a small battery on one side or the back of the terminal, only one battery is used in combination, when the long journey or need to use the terminal for a sufficient time, one side or the back of the other battery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셀룰러 폰, PCS, 그리고 PDA 등에 적용되며, 두께를 최소화하여 휴대성을 높이고, 입력장치 또는 출력장치 등의 부가적인 장치가 확장되도록 하여 단말기(terminal)를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ellular phone, a PCS, a PDA, and the like, and to minimize the thickness to increase portability, and to expand additional devices such as an input device or an output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mobile terminal that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일반적으로, 단말기(terminal)는 시스템(system)이나 네트웍(network)의 단말에 접속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단말기는 정보망이나 통신망을 이용하는 컴퓨터, TV, 모니터, 전화기(셀룰러 폰, PCS), PDA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대표적으로 셀룰러 폰을 예로 설명한다. In general, a terminal is a device that accesses a terminal of a system or a network. Such a terminal may be a computer, a TV, a monitor, a telephone (cellular phone, PCS), a PDA, or the like using an information network or a communication network as an example.
통상의 셀룰러 폰은 본체의 뒤쪽 또는 프론트에 배터리가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셀룰러 폰은, 배터리가 배면 또는 프론트에 장착되어 있어도 사용상 별 문제점은 없다. 그러나 셀룰러 폰은,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하도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로 기술이 발전되는데, 이때 배터리가 본체의 배면 혹은 프론트에 장착되어 두께를 감소시키는데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Conventional cellular phones are used with batteries mounted on the back or front of the body. Such a cellular phone has no problem in use even if the battery is mounted on the back or front. Cellular phones, however, have been developed in such a way that the thickness of the cell phone is convenient to carry and use, and the battery is mounted on the back or front of the body has a limitation in reducing the thickness.
따라서, 기존의 셀룰러 폰은 휴대성이 떨어지고, 사용이 편리하도록 입, 출력 장치를 확장하는데 제한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 existing cellular phone has a problem in that it is inferior in portability and has a limitation in expanding an input / output device for easy us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의 두께를 최소화시켜 휴대가 편리하도록 함과 아울러 입, 출력 장치 용이하게 확장하는 수단을 마련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하는 휴대용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ns for minimizing the thickness of the terminal for convenient portability and for easily expanding the input and output devices. It is to provide a portable mobile terminal to pla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접점을 가지고 있는 단말기 본체; 상기 접점과 밀착되도록 대응되는 접점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단말기 본체의 상, 하면을 포함하는 측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상기 단말기 본체와 상기 배터리가 선택적으로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 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용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body having a contact that can be supplied with power; At least one battery having a corresponding contac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tact and coupled to side surfaces including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erminal body; It provides a portable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coupling means coupled to the terminal body and the battery selectively detachable, attachable.
따라서, 본 발명은, 단말기의 일측 또는 하단 또는 배면에 소형의 배터리를 사용하고자 할 때는 배터리 하나만을 끼움 결합하여 사용하고, 장거리 여행이나 충분한 시간 동안 단말기를 사용할 필요가 있을 때는 다른 배터리를 일측면 또는 배면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ing a small battery on one side or the bottom or the back of the terminal, the use of only one battery by inserting, when the long distance travel or need to use the terminal for a sufficient time, the other battery on one side or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back.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어느 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내용 중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는 내용은 다른 실시예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아도 이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information mentioned in any one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even if it is not specifically mentioned in the other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용 이동 단말기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로서, 단말기 본체(1), 배터리(3) 그리고 배터리 고정 수단(5)을 도시하고 있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mobile terminal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terminal body 1, the battery 3 and the battery fixing means 5. As shown in FIG.
단말기 본체(1)는 셀룰러 폰, PCS 그리고 PDA 단말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셀룰러 폰의 바 형상, 플립 형상 그리고 폴더 형상 중 임의의 것을 도시하여 예로 설명한다. The terminal body 1 may be a cellular phone, a PCS, a PDA terminal, or the lik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one of a bar shape, a flip shape, and a folder shape of the cellular phone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단말기 본체(1)는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3)가 결합 수단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즉, 단말기 본체(1)는 상, 하, 전, 후 측면 또는 배면, 앞면, 상, 하, 좌, 우면 중 어느 두개의 면에 배터리(3)가 결합될 수 있다.The terminal body 1 has at least one battery 3 coupled to one side by a coupling means. That is, the terminal body 1 may be coupled to the battery 3 on any two sides of the upper, lower, front, rear side or rear, front, upper, lower, left, right.
결합 수단은 단말기 본체(1)에 제공되는 더브 테일 홈부(1a) 그리고 이 더브 테일 홈부(1a)와 대응되도록 배터리(3)에 제공되는 더브 테일 돌출부(3a)로 이루어져 있다(도 3에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음). 또한 결합되는 더브 테일 돌출부와 더브 테일 홈부의 결합 방향을 도 3에서의 결합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다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이다.The coupling means consists of a dove tail groove portion 1a provided in the terminal body 1 and a dove tail protrusion portion 3a provided in the battery 3 so as to correspond to the dove tail groove portion 1a (in detail in FIG. 3). Shown). In addition,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dove tail protrusion and the dove tail groove to be coupled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upling direction in FIG. The same is true in other embodiments.
그리고, 단말기 본체(1)는 저면 일측에 배터리(3)의 더브 테일 돌출부(3a)가 더브 테일 홈부(1a)에 결합되어 이동이 완료될 때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댐퍼(1b)를 구비하고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body 1 includes a damper 1b for restricting movement when the dovetail protrusion 3a of the battery 3 is coupled to the dovetail groove 1a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when the movement is completed. .
댐퍼(1b)는, 본 실시예에서, 바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순히 돌기 정도로 제공되어도 무방하다. 혹은 댐퍼(1b)의 기능은, 결합되는 더브 테일 홈의 끝이 막혀 있는 구조로도 제공될 수 있다. 이는 배터리 미창착시에도 단말기측에 돌출부가 없도록 배려하기 위한 것이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amper 1b has a bar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damper 1b may be simply provided as a protrusion. Alternatively, the function of the damper 1b may be provided as a structure in which the end of the dovetail groove to be coupled is blocked. This is to ensure that there is no protrusion on the terminal side even when the battery is not installed.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배터리(3)가 단말기 본체(1)의 저면에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측면에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로방향 뿐만아니라 세로방향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디는 다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이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in which the battery 3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1 is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sides. It may also be combined longitudinally as well as transversely. The same applies to other embodiments.
그리고, 도 2는 배터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5)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1의 A부를 확대하여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the fixing means 5 for fixing the battery, which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1 in detail.
고정 수단(5)은 단말기 본체(1)에 배터리(3)가 고정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 결합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고정 수단(5)은 단말기 본체(1)의 일측에 제공되는 홈(도시 생략)에 배터리(3)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고정부재(7)를 포함하고 있다. 고정부재(7)는 단말기 본체(1)에서 미끄럼 이동할 때 단지 이동 방향으로 만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도록 브이(V)홈 등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고정부재(7)는 일단에 배터리(3) 측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압축 코일 스프링(9)에 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압축 코일 스프링(7)이 고정부재(7)를 항상 배터리(3)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는 것은, 배터리(3)가 단말기 본체(1)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fixing means 5 is for maintaining the state of engagement continuously when the battery 3 is fixedly coupled to the terminal body 1. The fixing means 5 includes a fixing member 7 disposed in the groove (not show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erminal body 1 so as to be slid in the direction of the battery 3. Fixing member (7) has a structure that can move along the V (V) groove and the like so that the sliding movement only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when sliding in the terminal body (1). The fixing member 7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mpression coil spring 9 so that an elastic force acts on the battery 3 side at one end. In this way, the compression coil spring 7 urges the fixing member 7 in the direction of the battery 3 at all times to prevent the battery 3 from being arbitrarily detached while being coupled to the terminal body 1. will be.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단말기 본체(1)는 배터리(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의 공급을 받을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점(11)을 구비하고 있다(도 3에 나타나 있음).In addition, the terminal body 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3, and has at least one or more contacts 11 to be supplied with power (as shown in FIG. 3).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휴대용 이동 단말기에 배터리를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process of mounting the battery in the portabl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우선, 사용자가 고정부재(7)를 배터리(3)가 설치되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고정부재(7)는 탄성부재(9)의 탄성력을 극복하기 배터리(3)가 설치되는 반대방향으로 이동되고,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사용자는 배터리(3)의 더브 테일 돌출부(3a) 측이 단말기 본체(1)의 더브 테일 홈부(1a)에 끼움 결합되도록 일측에서부터 가압한다. 그러면 단말기 본체(1)와 배터리(3)는 더브 테일 홈부(1a) 및 더브 테일 돌출부(3a)에 의하여 결합된다. 계속해서 배터리(3)를 가압하여 끝까지 밀면 배터리(3)는, 단말기 본체(1)에 형성되어 있는 댐퍼(1b)에 의하여 이동이 제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잡고 있던 고정부재(7)를 놓는다. 그러면 고정부재(7)는 탄성부재(9)의 탄성력에 의하여 배터리(3)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터리(3)가 슬라이딩 장착 반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First, the user moves the fixing member 7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which the battery 3 is installed. Then, the fixing member 7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which the battery 3 is installed to overcome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9 and maintains the state supported by the elastic force. At this time, the user presses from one side such that the dovetail protrusion 3a side of the battery 3 is fitted into the dovetail groove 1a of the terminal body 1. Then, the terminal body 1 and the battery 3 are coupled by the dove tail groove portion 1a and the dove tail protrusion 3a. Subsequently, when the battery 3 is pressed and pushed to the end, the movement of the battery 3 is limited by the damper 1b formed in the terminal body 1. In this state, the user releases the holding member 7 which has been held. Then, the fixing member 7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battery 3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9 to prevent the battery 3 from being releas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liding mounting.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단말기 본체(1)에 배터리(3)를 고정하는 고정수단(5)을 설치한 것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터리(3) 측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더블 테일 홈부(1a) 및 더브 테일 돌출부(3a)가 각각 단말기 본체(1) 또는 배터리(3)의 어느 일측면에 배치되어도 관계 없다. 이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1 실시예는 한 줄의 더브 테일 홈부와 더브 테일 돌출부를 구성한 경우이나,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1줄 혹은 그 이상의 복수의 더브 테일 홈부와 그에 대응되는 돌출부를 구성할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described that the fixing means 5 for fixing the battery 3 to the terminal body 1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o this, it is installed on the battery 3 side It is also possible. Of course, the double tail groove portion 1a and the dove tail protrusion portion 3a may be disposed on either side of the terminal body 1 or the battery 3, respectively. The same holds true for other embodiments. In addition, the first embodiment may include a single row of dove tail grooves and a dove tail protrusion, or as in other embodiments, may configure one or more dove tail grooves and corresponding protrusion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단말기 본체(1)와 배터리(3)가 결합되어 있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C-C 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에서 더브 테일 홈부(1a) 및 더브 테일 돌출부(3a)의 형상 대신에 요철(凹凸)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구조로 결합 수단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리고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면 작용 및 효과는 동일하다. 그리고 제2 실시예에서는 배터리(3)의 두께가 폴더형 단말기 본체 두께와 덮개의 두께를 합한 두께를 가지도록 하여 배터리 용량을 최대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erminal body 1 and the battery 3 coupled to explain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C section of FIG. 4.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that the first embodiment is formed in the form of unevenness instead of the shape of the dove tail groove portion 1a and the dove tail protrusion 3a. This second embodiment shows that the coupling means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structures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has the same operation and effect as the first embodiment. In addi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battery 3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clamshell terminal body and the thickness of the lid are combined to maximize the battery capacity.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단말기 본체(1)와 배터리(3)가 도시되어 있는 분해 사시도로서, 제1 실시예의 더브 테일 홈(1a) 및 더브 테일 돌출부(3a)가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중간에 공간부(1c, 3c)를 가지며 3개로 이루어지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제3 실시예는 단말기 본체(1)의 측면(실시예에서는 하측면)에 배터리(3)를 결합할 때 미끄럼 이동하는 길이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함 이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단말기 본체(1)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부(1c)에 배터리(3)의 더브 테일 돌출부(3a)가 삽입되도록 배치한 후 더브 테일 홈(1a) 및 더브 테일 돌출부(3a)가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가압하여 단말기 본체(1)와 배터리(3)가 결합되는 것이다. 이는 다른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erminal body 1 and the battery 3 for explaining the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dove tail groove 1a and the dove tail protrusion 3a of the first embodiment are shown. Has a constant length and has a space 1c, 3c in the middle, and shows a form consisting of three. This third embodiment has the advantage of convenience in use, since the sliding length can be minimized when the battery 3 is coupled to the side (lower side in the embodiment) of the terminal body 1. That is, after the user arranges the dovetail protrusion 3a of the battery 3 into the space 1c formed in the terminal body 1, the dove tail groove 1a and the dovetail protrusion 3a are disposed. The terminal body 1 and the battery 3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pressing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same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단말기 본체(1)와 배터리(3)가 도시되어 있는 분해 사시도로서, 제3 실시예와는 달리 단말기 본체(1)의 폭 방향으로 복수의 더브 테일 홈부(1a) 및 더브 테일 돌출부(3a)를 구비하고 있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제4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 비하여 더욱 견고한 구조로 단말기 본체(1)와 배터리(3)를 결합할 수 있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terminal body 1 and the battery 3 for explaining the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third embodiment, FIG. The structure provided with the dove tail groove part 1a and the dove tail protrusion part 3a of is shown. This fourth embodiment can be expected to be able to combine the terminal body 1 and the battery 3 in a more robust structure than the first embodiment.
도 8은 제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단말기 본체(1)와 배터리(3)가 도시되어 있는 분해 사시도로서, 단말기 본체(1)의 일측면(저면)에 더브 테일 홈부(1a) 및 더브 테일 돌출부(1d)를 함께 가지고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 8은 배터리(3)에 단말기 본체(1)와 대응하는 더브 테일 돌출부(3a) 및 더브 테일 홈부(3d)를 동시에 구비하고 있다.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erminal body 1 and the battery 3 for explaining the fifth embodiment, wherein the dove tail groove 1a and the dove tail are formed on one side (bottom) of the terminal body 1. The state which has the protrusion part 1d together is shown. In addition, FIG. 8 is provided with the dovetail protrusion 3a and the dovetail groove part 3d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main body 1 at the battery 3 simultaneously.
도 9는 제6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단말기 본체(1)와 배터리(3)가 도시되어 있는 분해 사시도로서, 단말기 본체(1)의 일측면(저면)에 폭 방향으로 복수의 더브 테일 홈부(1a)가 마련되어 있고, 배터리(3)에 단말기 본체(1)와 대응하는 더브 테일 돌출부(3a)가 배터리(3)의 폭 방향으로 여러 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terminal body 1 and the battery 3 in order to describe the sixth embodiment, and includes a plurality of dovetail grooves in a width direction on one side (bottom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1. 1a) is provided, and the battery 3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dovetail protrusions 3a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body 1 are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ttery 3.
도 10은 제7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단말기 본체(1)와 배터리가 도시되어 있는 분해 사시도로서, 단말기 본체(1)의 일측면(저면)에 폭 방향으로 복수의 더브 테일 홈(1a)이 양 사이드에 마련되어 있고, 중간부에 폭 방향으로 더브 테일 돌출부(1d)가 제공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10은 배터리(3)에 단말기 본체(1)와 대응되는 더브 테일 돌출부(3a) 및 더브 테일 홈부(3d)가 도시되어 있다.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terminal body 1 and the battery for explaining the seventh embodiment, wherein a plurality of dovetail grooves 1a are disposed on one side (bottom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1 in the width direction. It is shown in the both sides, and the state in which the dovetail protrusion 1d is provided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intermediate part is shown. 10 illustrates a dove tail protrusion 3a and a dove tail groove 3d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body 1 in the battery 3.
본 제5, 6 및 제7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의 다양한 결합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작용 및 효과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The fifth, sixth and seventh embodiments are for explaining various coupling mean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operation and effect are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8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말기 본체(1) 및 배터리(3)를 도시하고 있는 분해 사시도로서, 단말기 본체(1)의 일측면(저면)에 나사공(1e)이 형성되어 있고, 배터리(3)에는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한 노브(21)가 마련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노브(21)는 배터리(3)의 전, 후면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짐과 아울러 회전 중심에 나사(23)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나사(23)는 상술한 나사공(1e)에 나사 결합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erminal body 1 and the battery 3 for explaining the eigh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has a screw hole 1e on one side (bottom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1; Is provided, and the battery 3 is shown in the state in which the knob 21 which can be rotated freely is provided. And the knob 21 is protruded to the front, rear of the battery 3 is made so that the user can rotate by hand, and the screw 23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rotation center. The screw 23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crew 23 is fixedly coupled to the screw hole 1e by screwing.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단말기 본체(1)와 배터리(3)가 미끄럼 이동에 의한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는 내용을 설명하였으나, 제8 실시예는, 이와 달리, 나사 결합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구조를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나사에 의한 결합은 별도의 고정부재를 설치하지 않고도 배터리(3)를 단말기 본체(1)에 결합할 수 있어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이점이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tents of the terminal body 1 and the battery 3 formed by the sliding movement have been described. However, the eighth embodiment has described a structure formed by screwing. Coupling by such a screw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coupled to the battery 3 to the terminal body 1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fixing member has a simple structure.
그리고, 제8 실시예에서는, 노브(21) 및 나사(23)가 배터리(3)에 설치되는 구조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기 본체(1)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eighth embodiment, the structure in which the knob 21 and the screw 23 are installed in the battery 3 is described. However, the structure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in the terminal body 1.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9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단말기 본체(1)와 배터리(3)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단말기 본체(1)에는 배터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5)이 나타나 있으며, 배터리(3)에는 고정수단에 결합되는 걸림턱(41)이 나타나 있다.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erminal body 1 and the battery 3 in a nin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means 5 for fixing the battery to the terminal body 1 is shown. It is shown, the battery (3) is shown the locking step 41 is coupled to the fixing means.
고정수단(5)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는 달리 배터리 본체(1)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으며(본체의 하단부를 지나치지 않으며), 압축 코일 스프링(9)에 의하여 배터리(3)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밀착되는 걸림 돌기(43)를 구비하고 있다. Unlike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fixing means 5 is housed inside the battery body 1 (not passing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body), and the battery 3 is positioned by the compression coil spring 9. It has a locking projection 43 in close contact with the direction to be.
그리고, 배터리(3) 측에는 단말기 본체(1)에 배터리(3)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걸림 돌기(43)에 의하여 배터리(3)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걸림턱(41)이 마련되어 있다.And, on the battery 3 side is provided with a locking jaw 41 that can limit the movement of the battery 3 by the locking projection 43 to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battery 3 is coupled to the terminal body (1) have.
걸림턱(41)은 단말기 본체(1)에 배터리(3)를 결합할 때, 원활하게 단말기 본체(1)와 배터리(3)가 미끄럼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제공된다.When the engaging jaw 41 is coupled to the battery 3 to the terminal body 1, the terminal body 1 and the battery 3 is provided in a form inclined in the coupling direction so that the sliding movement can be smoothly.
물론, 단말기 본체(1)는 더브 테일 홈부(1a)를 구비하고 있고, 이와 대응하도록 배터리(3)에 더브 테일 홈부(1a)와 대응하는 더브 테일 돌출부(3a)가 마련되어 있어 배터리(3)를 결합할 수 있다.Of course, the terminal body 1 has a dovetail groove 1a, and the battery 3 is provided with a dovetail protrusion 1a corresponding to the dovetail groove 1a so as to correspond to the battery 3. Can be combined.
이러한 제9 실시예는 고정수단(5)이 단말기 본체(1)의 내부에 수용되어 외관이 미려함을 유지한 상태를 유지한 채 배터리(3)의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걸림턱(41)이 배터리(3)를 단말기 본체(1)에 결합하는 방향으로 경사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단말기 본체(1)와 배터리(3)의 결합은, 걸림 돌기(43)에 이동이 제한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탈착시는 고정수단을 위로 올려 탈착시킬 수 있다.This ninth embodiment has the advantage that the fixing means 5 is accommodated in the inside of the terminal body 1 to maintain the coupled state of the battery 3 while maintaining a beautiful appearance. In addition, since the locking jaw 41 has an inclined surfa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ttery 3 is coupled to the terminal main body 1, the coupling between the terminal main body 1 and the battery 3 is not moved to the locking projection 43. The binding can be made naturally without limitation. When detaching, the fixing means can be lifted up and detached.
그리고, 제9 실시예는 단말기 본체(1)에 고정수단(5)을 마련하고, 배터리(3)에 경사진 걸림턱(41)을 구비한 구조를 설명하고 있으나, 반대로 배터리(3)에 고정수단(5)을 마련하고, 단말기 본체(1)에 경사진 걸림턱(41)을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ninth embodiment describes a structure in which the fixing means 5 is provided in the terminal body 1 and the locking jaw 41 is inclined in the battery 3, but is fixed to the battery 3. The means 5 may be provided, and the terminal body 1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locking jaw 41 is inclined.
도 13은 제10 실시예로써, 도 12(제9실시예)를 개념적으로 표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에서 배터리(3)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수단(5)이 나타나 있다. 도 13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더브 테일 홈부의 끝이 막혀 있는 구조가 슬라이딩을 멈추게하는 댐퍼의 기능을 수행한다고 보면 된다.FIG. 13 is a sectional view conceptually showing FIG. 12 (a ninth embodiment) as a tenth embodiment. In FIG. 13 a fastening means 5 is shown for maintaining the engaged state of the battery 3. In FIG. 13, as described above, a structure in which the end of the dove tail groove is blocked may serve as a damper for stopping sliding.
도 13에서, 걸림 돌기(43)의 돌출 부분(h)이 단말기 본체(1)의 저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즉, 단말기 본체(1)에 걸림 돌기(43)가 수용되는 홈(도면에서는 걸림 돌기(43)가 위치한 부분)이 제공되어 걸림 돌기(43)의 돌출 부분(h)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13에서 배터리 장착시 단순히 배터리를 밀면 압축스프링이 경사진 형태의 걸림턱(42)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압축되면서 배터리가 장착되고, 탈착시는 스프링에 의하여 유동성을 갖는 걸림 돌기(43) 부분을 수직방향으로 밀어올려 개방하여 배터리를 탈착시킬 수 있다. 도 13에서의 고정부는 스프링에 의하여 상하로 유동성을 갖고, 좌우방향으로는 유동성을 갖지 않는 구조이다. In FIG. 13, the protruding portion h of the locking protrusion 43 does not protrude outside the bottom of the terminal body 1. That is, a groove (a portion 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43 is positioned) 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43 is accommodated is provided in the terminal body 1 so that the protruding portion h of the locking protrusion 43 does not protrude outward. will be. In FIG. 13, when the battery is simply pushed, the battery is mounted while the compression spring is naturally compressed by the locking jaw 42 of the inclined shape, and when the battery is detached, the locking protrusion 43 having the fluidity by the spring is vertically moved. The battery can be removed by sliding it open. The fixing part in FIG. 13 has a fluidity up and down by a spring, and does not have fluidity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도 13에서, 외부로 돌출된 경사진 걸림턱(42)을 단말기측이 갖지 않아, 단말기 미 장착시에도 사용상 불편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압축 코일 스프링을 구비한 고정수단을 단말기측이 가질 수 있다. 반대로 배터리측에 압축 코일 스프링을 구비한 고정수단을 두는 경우, 셀룰러 폰의 경우 보통 2개씩의 배터리가 제공되므로 2개의 배터리에 스프링을 구비한 고정수단을 마련해야 하므로, 이는 생산원가를 높이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렇게 도 13에서 스프링을 구비한 고정수단을 단말기측에 두어, 배터리 미장착시에도 사용상의 불편을 주지 않을 수 있으면서, 스프링을 구비한 고정수단을 단말기측에만 두어 생산원가를 높이지 않을 수 있는 것은, 도 13에서와 같이 고정수단을 슬라이딩 시작 부분에 둠으로써 가능하다. 현재 배면에 배터리를 장착함에 있어서 더브 테일 홈과 더브 테일 돌출부를 이용하는 방법의 경우 고정수단이 슬라이딩 끝부분에 구비됨으로써, 배터리 미장착시에는 단말기의 걸림턱 혹은 걸림돌기가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인 것이다. 따라서 도 13에서와 같이 고정수단을 슬라이딩 방향의 수직방향으로 단말기측에 두되, 슬라이딩 시작부분에 두어 단말기가 돌출부를 갖지 않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중요한 사항"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성질은 배면에 배터리를 장착할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In FIG. 13, since the terminal side does not have the inclined locking jaw 42 protruding to the outside, it may not cause inconvenience in use even when the terminal is not mounted. In addition, the terminal side may have a fixing means having a compression coil spring. On the contrary, when the fixing means with the compression coil spring is placed on the battery side, since cellular batteries are usually provided with two batteri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fixing means with the springs on the two batteries, which may increase the production cost. Can be. In this way, in Fig. 13 it is possible to place the fixing means with a spring on the terminal side, while not being inconvenient to use even when the battery is not installed, and to place the fixing means with the spring only on the terminal side so as not to increase the production cost, It is possible by placing the fixing means at the sliding start portion as shown in FIG. In the case of using the dovetail groove and the dovetail protrusion in mounting the battery on the rear side, the fixing means is provided at the sliding end, and when the battery is not installed, the locking jaw or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terminal protrudes to the outside. Therefore, it is one of the "important matter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ut the fixing means on the terminal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liding direction, as shown in Figure 13, so that the terminal does not have a protrusion by sliding at the beginning. The same applies to the case where the battery is mounted on the back side.
도 14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단말기 본체(1)와 배터리(3)를 분해하여 도시하고 있는 분해 사시도로서, 배터리(3)가 단말기 본체(1)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도시하고 있다.FIG.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view of the terminal body 1 and the battery 3 in the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battery 3 is coupled to the terminal body 1; A fastening means for holding is shown.
고정수단은 단지 단말기 본체(1)에 일정한 거리를 반복하여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고정부재(43)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와 대응되는 배터리(3)에 고정부재(43)가 삽입될 수 있는 걸림 홈(45)이 마련되어 있다. The fixing means has only a fixing member 43 which is arranged to slide the terminal body 1 repeatedly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catching member 43 can be inserted into the battery 3 corresponding thereto. The groove 45 is provided.
그리고, 더브 테일 홈부(1a) 및 더브 테일 돌출부(3a)에 의하여 단말기 본체(1)와 배터리(3)가 결합되는 다른 실시예와 동일하다.In addition, the terminal body 1 and the battery 3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dove tail groove portion 1a and the dove tail protrusion 3a.
또한, 단말기 본체(1)와 배터리(3)가 서로 결합되는 면에 결합된 상태의 배터리(3)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체의 탄성력을 가지는 홈(1f) 및 돌기(3f)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홈(1f) 및 돌기(3f)는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는 경우에도 배터리(3)의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와는 별도로 전원공급을 위한 접점(1g, 3g)을 홀(hole)과 볼(ball)의 형태, 즉 홈부(1g)와 홈에 결합되는 유선형의 돌출부(3g)로 구성하여 유사한 효과를 낼 수도 있다. 전원공급을 위한 유선형의 돌출부는 통상 탄성력을 가지는 형태로 제작되므로, 유동방지용 돌기(3f)와 마찬가지로 자체로 탄성력을 가지거나 내부에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단말기가 홀(hole)형태의 홈부를 갖는 것이 배터리 미장착시에도 불편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다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flow of the battery 3 in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body 1 and the battery 3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groove 1f and the protrusion 3f having their own elastic force may be installed. . The groove 1f and the protrusion 3f may be used as a means for maintaining the combined state of the battery 3 even when there is no separate fixing means. In addition to this, the contacts 1g and 3g for power supply may have a similar effect by forming a hole and a ball, that is, a groove 1g and a streamlined protrusion 3g coupled to the groove. have. Since the streamlined protrusion for power supply is usually manufactured in a form having an elastic force, it may have a structure having elastic force itself or having an elastic member therein, similarly to the flow preventing protrusion 3f. The terminal having a hole-shaped groove may not cause inconvenience even when the battery is not installed. The same is true in other embodiments.
도 15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휴대용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로서, 복수의 배터리(3)를 단말기 본체(1)의 측면에 결합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2 실시예는 제11 실시예와 작용 효과는 유사하나 다만, 소형 용량의 배터리 2개를 결합하거나 또는 소형 및 중형 용량의 배터리를 각각 결합하는 것으로 중형 또는 대형 용량의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물론 제12 실시예에서는 2개의 배터리(3)를 하나의 단말기 본체(1)의 측면에 결합하는 구조를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도 1개 이상의 배터리를 단말기 본체(1)의 측면에 결합할 수 있다.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mobile terminal showing a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ies 3 can be coupled to the side of the terminal body 1. The twelfth embodiment is similar in effect to the eleventh embodiment, except that two small batteries or a small and medium battery can be combined to use a medium or large battery. have. Of course, in the twelfth embodiment, a structure in which two batteries 3 are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one terminal body 1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one or more batteries may be mounted on the terminal body 1. Can be combined on the side of the.
도 16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로서, 단말기 본체(1)의 일측 및 저면 측에 하나로 이루어지는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결합 수단은 상술한 실시예의 조합으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제13 실시예에서는, 단말기 본체(1)의 측면부에 결합되는 부분은 더브 테일 홈부(3a)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수단을 도시하고 있고, 저면 측은 나사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물론 위치에 따라 적절하게 결합 수단을 바꾸어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따라서 도 16에서 나사 결합 구조를 제외하고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ㄷ"형 배터리에 나사결합구조 없이 혹은 나사결합구조를 포함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showing a thi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battery can be mounted on one side and the bottom of the terminal main body 1. In this case, the coupling means can be suitably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the thirteenth embodiment, the portion coupled to the side portion of the terminal body 1 shows a means for engaging using the dovetail groove portion 3a, and the bottom side shows a structure consisting of screwing. Of course, you may change and use a coupling means suitably according to a posi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pply except for the screw coupling structure in Figure 16, it is possible to apply to the "c" type battery without a screw coupling structure or including a screw coupling structure.
도 17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로서, 도 14에서 설명하고 있는 제11 실시예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제11 실시예에서는, 고정수단이 단말기 본체(1)에 설치된 경우를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제14 실시예에서는, 고정수단이 배터리(3)에 설치된 경우의 예를 설명하고 있다.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showing a fou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nother form of the eleventh embodiment described in FIG. That is, in the eleventh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fixing means is installed in the terminal main body 1 is described as an example. In the fourteenth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the fixing means is installed in the battery 3 is described.
그러나 고정수단을 배터리(3)측에 설치하는 것은 이동 단말기에서 통상 배터리를 2개씩 제공하므로, 고정수단을 위한 부품이 다수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However, the installation of the fixing means on the battery 3 side has a disadvantage in that a number of parts for the fixing means are usually required because the mobile terminal normally provides two batteries.
도 18은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단면도로서, 단말기의 측면(저면)에 배터리(3)가 장착된 상태의 단말기 본체(1)의 배면에 또 다른 소형 용량의 배터리(3)를 결합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것은 기존의 단말기 본체의 설계를 최대한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단지 소형 용량의 배터리(3)를 단말기 본체(3)의 배면에 결합한 것으로 중형 또는 대형 용량의 배터리 장착 효과를 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8에서 저면 배터리 장착에 있어서, 한 줄의 도브 테일 홈부와 돌출부를 이용하되, 더브 테일 홈부를 단말기측이 가지고, 더브 테일 돌출부를 배터리측이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반대로 더브 테일 돌출부를 단말기측이 가지고, 홈부를 배터리측이 가질 수도 있다. 특히 도 25와 같이 배터리가 배면에 장착되는 경우는 그러할 필요성이 더욱 크다. 지금까지 배터리를 배면에 장착함에 있어서, 더브 테일 돌출부를 배터리측이 갖고, 홈부를 단말기측이 갖는 구조이었기 때문에, 배터리 미장착시 더브 테일 홈부를 구성하는 양끝의 돌출부가 불편을 줄 수 밖에 없었다. 도 25의 경우 배터리 미장착시에도 단말기의 배면 전체에 돌출부가 없어 불편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선택적으로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중요한 성질" 중의 하나이다. 혹은 배면 배터리 장착에 있어서, 도 25에서와 같이 한 줄의 도브 테일 홈부와 돌출부를 두지 않고, 도 26 등에서와 같이 가늘게 두줄 혹은 이상의 도브 테일 홈부와 돌출부를 두되, 단말기측이 더브 테일 홈부를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1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able terminal showing a fif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battery of another small capacity is provided on the back of the terminal body 1 with the battery 3 mounted on the side (bottom) of the terminal. (3) is shown combined. This has the advantage of utilizing the design of the existing terminal body to the maximum, and only a small capacity battery 3 is combined with the back of the terminal body 3 has the advantage that the effect of installing a medium or large capacity battery can be seen. . In FIG. 18, in the bottom battery mounting, one row of dove tail grooves and protrusions are used, but the dove tail grooves are provided on the terminal side, and the dove tail protrusions are illustrated on the battery side. However, the terminal side may have the dovetail protrusion and the battery side may have the groove portion. In particular, if the battery is mounted on the back as shown in Figure 25 it is more necessary. Thus far, since the battery side has the dovetail protrusion part and the groove part is the terminal side in mounting the battery on the back side, the protrusions at both ends constituting the dove tail groove part have no inconvenience. In the case of FIG. 25, even when the battery is not installed, the entire protrusion may not be provided on the entir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This is one of the "important properties" in the present invention that allows for the optional mounting of a battery. Alternatively, in installing the rear battery, without having a single row of dove tail grooves and protrusions as shown in FIG. 25, two or more dovetail grooves and protrusions are formed as shown in FIG. 26, and the terminal side has a dove tail groove. You may
한줄의 더브 테일 홈부와 돌출부를 두는 경우 배터리측이 도브 테일 홈부를 가지도록 하여 배터리 미장착시에도 불편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은, 양끝접속 부착방식으로 배터리를 부착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27에서와 같이 배면 배터리 장착시, 배터리측이 홈부를 가지고, 단말기측이 돌출부를 가짐으로써 배터리 미장착시에도 불편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도27에서 고정부의 반대편(도면에서 하단부)를 먼저 맞추고, 상단부를 화살표방향으로 밀어 자연스럽게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다. 탈착시는 고정버튼을 아래로 눌러 탈착할 수 있다. 이는 측면에 배터리를 장착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기존의 탈부착 방법에서는 단말기측이 홈부를 가지고 배터리측이 돌출부를 가짐으로써, 배터리 미장착시에 불편을 초래할 수 밖에 없었다. In the case of having a single dove tail groove portion and a protruding portion, the battery side may have a dove tail groove portion so as not to cause inconvenience even when the battery is not mounted. As shown in Fig. 27, when the rear battery is mounted, the battery side has a groove portion, and the terminal side has a protrusion portion, so that it may not cause inconvenience even when the battery is not installed. In Fig. 27, the opposite side of the fixing part (lower part in the drawing) can be aligned first, and the upper part can be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o naturally mount the battery. To remove it, press the lock button down. The same can be applied to the case where the battery is mounted on the side. In the conventional detachable method, the terminal side has a groove portion and the battery side has a protrusion, which causes inconveniences when the battery is not installed.
특히 단말기 본체(3)의 배면에 결합되어 있는 배터리(3)의 구조는, 도 2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배터리(3)에 더브 테일 홈부가 구비되어 있고, 단말기 본체(1)에 더브 테일 돌출부가 구비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 본체(1) 및 배터리(3)의 구조는, 배터리(3)가 단말기를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단말기 본체(1)의 뒷면이 비교적 평평한 면을 구비하게 되므로 단말기 본체(1)에서 배터리(3)를 제거하여도 단말기 본체(1)의 사용상 불편함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25, the structure of the battery 3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3 is provided with a dovetail groove in the battery 3, and the terminal body 1 has a dovetail. It may have a structure provided with a protrusion. The structure of the terminal body 1 and the battery 3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attery 3 surrounds the terminal, and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1 has a relatively flat surface. Even if (3) is removed, inconvenience in using the terminal body 1 can be minimized.
그리고, 도 26은 제15 실시예와 대응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으로써, 단말기 본체(1)의 양 사이드 측에 복수의 더브 테일 홈(1a)을 구비하고, 그 가운데 부분은 더브 테일 돌출부를 구비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단말기 본체(1)와 대응되는 배터리(3)는 양 사이드에 더브 테일 돌출부를 구비하고 그 가운데 부분에 더브 테일 홈을 구비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 역시 단말기 본체(1)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는 홈 또는 돌출부를 최소화시켜 배면에 결합되는 배터리(3)를 제거하여도 외관의 미려함을 유지하고 사용상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게 된다. FIG. 26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corresponding to the fifteenth embodiment, in which a plurality of dovetail grooves 1a are provided on both side sides of the terminal body 1, and a middle portion thereof is a dovetail. The state provided with the protrusion part is shown. The battery 3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body 1 has a structure having dove tail protrusions at both sides and a dove tail groove at the center thereof. This embodiment also minimizes the grooves or protrusions that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1 to remove the battery 3 coupled to the rear surface to maintain the beauty of the appearance and reduce the inconvenience in use.
도 19는 본 발명의 제16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로서, 단말기본체(1)인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제1 본체의 측면(도면에서는 저면)에 배터리(3)를 결합한 상태의 제1 본체(1)에 수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51)가 제공된 제2 본체를 선택적으로 삽입 또는 인출할 수 있는 구조의 단말기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1)에 배치되는 배터리를 다른 측면으로 이동시킴으로서 상대적으로 얇아진 단말기 본체(1)에 주변 장치인 디스플레이 장치(51)가 제공된 제2 본체를 부가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복수의 화면, 기존의 화면보다 큰 대형화면 또는 자판 등을 설치한 주변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Fig. 19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showing a six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battery 3 is coupled to the side (bottom surface in the drawing) of the first body including the input device as the terminal body 1; The terminal of the structure which can selectively insert or withdraw the 2nd main body provided with the display apparatus 51 which can be accommodated in the 1st main body 1 is shown. Such a terminal can provide a structure capable of adding a second body provided with a display device 51 as a peripheral device to a relatively thinner terminal body 1 by moving a battery disposed in the terminal body 1 to another side. have. Therefore, the user can use a peripheral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screens, a large screen larger than a conventional screen, or a keyboard are installed.
도 20은 제17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제17 실시예는, 도 19에서 설명하고 있는 제16 실시예의 작용 효과가 유사하다. 다만,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51)가 구비된 제2본체가 단말기 본체(1)인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제1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점이 제16 실시예와 다른 것이다. 즉, 제17 실시예의 구조는 입력장치가 제공된 제1본체에 입력장치가 이루는 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축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51)가 구비된 제2 본체가 힌지 결합되는 것이다. 이것은 입력장치를 구비한 제1본체에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51)가 제공된 제2본체가 힌지점으로 결합되어 더욱 넓은 화면을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20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showing a seventeenth embodiment. In the seventeenth embodiment, the operational effects of the sixteenth embodiment described in FIG. 19 are similar. However, the second body with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51 is different from the sixteenth embodiment in that it has a structure in which it is hinged to the first body including the input device which is the terminal body 1. That is, in the structure of the seventeenth embodiment, the second main body provided with the display device 51 is hingedly coupled to an ax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input device on the first body provided with the input device. This shows that the wider screen can be used by combining the second body provided with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51 with the hinge point on the first body having the input device.
도 21은 제18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제18 실시예는 폴더형으로 이루어지는 단말기 본체(1)에 자판(53)을 힌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제18 실시예 역시 상술한 실시예의 또 다른 형태로 볼 수 있으며, 작용 효과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2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showing an eighteenth embodiment. The eighteenth embodiment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keyboard 53 can be hinged to the terminal body 1 having a foldable shape. The eighteenth embodiment can also be viewed as another form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effect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도 22는 제19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제19 실시예는 폴더형으로 이루어지는 단말기 본체(1)의 덮개에 힌지 결합되어 덮개(71) 측으로 접혀지는 액정 디스플레이(51)를 도시하고 있다.Fig. 2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showing the nineteenth embodiment. The nineteenth embodiment shows a liquid crystal display 51 which is hinged to the lid of the terminal body 1, which is made of a clamshell, and folded to the lid 71 side.
그리고, 도 23은 제20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제20 실시예는 폴더형으로 이루어지는 단말기 본체91)의 덮개에 힌지 결합되어 덮개(71) 측으로 접혀지는 액정 디스플레이(51)를 구비함과 아울러 단말기 본체(1)에 자판(53)이 힌지 결합되어 단말기 본체(1) 측으로 접혀질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제19 및 20 실시예는 단말기 본체(1) 또는 폴더형 단말기 덮개(71)에 각각 입출력 장치(예, 액정 혹은 자판)를 선택적으로 부가하여 설치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23 형태로 단말기를 확장하는 것은 오른손잡이 사용자가 왼손으로 단말기를 파지하고 오른손을 단말기를 조작하는데 있어서 용이한 구조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도 22 및 도 23에서 양면의 액정을 하나의 스크린처럼 활용하기 위하여는 접혀지는 힌지부가 끊어지지 않는 구조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이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소형 액정 크기를 극복하는 수단 중의 하나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21, 도22, 혹은 도23에서도 단말기를 확장함에 있어서, 도 19 혹은 도 20의 방법을 적용하여 확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2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showing a twentieth embodiment. The twentieth embodiment has a liquid crystal display 51 which is hinged to the cover of the terminal body 91 having a folding shape and is folded toward the cover 71, and the keyboard 53 is hinged to the terminal body 1. The structure which can be folded to the terminal body 1 side is shown. In the above-described nineteenth and twenty embodiments, an input / output device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or a keyboard) is selectively installed and installed in the terminal body 1 or the folding terminal cover 71, respectively, so that it can be carried conveniently and conveniently. It is to provide a terminal. Extending the terminal in the form of FIG. 23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n easy structure in which a right-handed user grips the terminal with his left hand and manipulates the terminal with his right hand. 22 and 23, in order to utilize both sides of the liquid crystal as one screen, it is necessary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hinge portion to be folded is not broken. This can be used as one of means to overcome the small liquid crystal size in the portable terminal. 21, 22, or 23, it is obvious that the terminal can be expanded by applying the method of FIG. 19 or 20 in extending the terminal.
도 24는 본 발명의 제2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단말기 본체(1)와 배터리(3)를 결합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단말기 본체(1)는 일측면(저면에) 더브 테일 홈부(1a)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더브 테일 홈부(1a)는 일측에 비대칭으로 이루어지는 홈(1g)이 더브 테일 홈부(1a)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홈의 깊이인 a 및 b가 서로 다르며 홈을 이루는 각도 또한 다르게 구성된다.FIG. 24 shows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body 1 and the battery 3 showing the twenty-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bined. The terminal body 1 has a dovetail groove 1a on one side (on the bottom). The dovetail groove portion 1a has a groove 1g asymmetrically formed at one side thereof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dovetail groove portion 1a. That is, the depths a and b of the groov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angles forming the grooves are also configured differently.
단말기 본체(1)와 대응하는 배터리(3)는 더브 테일 돌출부(3a)를 구비하고 있어 상술한 더브 테일 홈부(1a)와 끼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더브 테일 돌출부(3a)는 일측에 비대칭으로 이루어지는 돌출부(3g)가 더브 테일 돌출부(3a)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돌출부(3g)의 깊이인 a 및 b가 서로 다르며 돌출부를 이루는 각도 또한 다르게 구성된다. 그리고 돌출부(3g)는 상술한 홈(1g)에 억지 끼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간단한 구조로 단말기 본체(1)와 배터리(3)를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억지끼움 구조와 별도의 고정수단을 병행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도 12, 도 13에서도 탄성부재를 구비하지 않고, 걸림턱을 도 24에서와 같이 비대칭의 유선형으로 구비하여 플라스틱 재료가 갖는 융통성을 이용하여 억지끼움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The battery 3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body 1 has a dovetail protrusion 3a, and has a structure that is fitted to the dovetail groove 1a described above. As for the dovetail protrusion 3a, the protrusion 3g which is asymmetrical to one side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dovetail protrusion 3a. That is, the depths a and b of the protrusions 3g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angles forming the protrusions are also different. And the protrusion part 3g has the structure which fits in the groove 1g mentioned above. This structure can combine the terminal body 1 and the battery 3 in a simple structure without a separate fixing means. Of course, this interference fit structure and a separate fixing means can be applied in parallel. 12 and 13 are not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and as shown in FIG. 24, the locking jaw is asymmetrically streamlined so that the interference fit structure can be applied using the flexibility of the plastic material.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으로써, 단말기 본체(1)의 배면측 상, 하단에 배터리(3)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걸림홈이 제공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단말기 본체(1)의 배면부 상단에는 배터리(3)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걸림부재(71)가 마련되어 있다. 걸림부재(71)는 배터리(3)를 고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걸림홈을 구비하고 있으며, 압축 코일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73)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3)는 단말기 본체(1)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단말기 본체(1)는 배면, 앞면, 상, 하, 좌, 우면의 하단 또는 상단에 경사면을 가지는 걸림 홈이 제공되고, 배면, 앞면, 상, 하, 좌, 우면의 상단 또는 하단에 또 다른 걸림 홈이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본 발명에서 도면작성의 편의상 형태의 더브 테일 홈과 돌출부를 주로 사용하였으나, 이는 그 내용과 효과면에서 형태의 더브 테일 홈 및 돌출부와 동일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현재 단말기의 홈부와 충전기의 돌출부에 의하여 단말기와 충전기 합체시키고 있는데, 단말기 하측면(저면)에 배터리를 장착하였을 경우와 장착하지 않았을 경우 충전기와 단말기를 합체시키는 요철부분(홈부와 돌출부)의 높이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단말기측에 높이의 변화에 따른 홈부를 추가로 둘 수 있다.FIG. 27 is a view showing a twenty-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ws a state in which a locking groove into which the battery 3 can be fitted is provided on the bottom and rear sides of the terminal body 1. have. And the upper end of the back of the terminal body 1 is provided with a locking member 71 to which the battery 3 can be fitted. The locking member 71 has a locking groove for holding the battery 3 in a fixed state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n elastic member 73 made of a compression coil spring or the like. In addition, the battery 3 is preferably a shape made to be coupled in a form surrounding the terminal body (1). The terminal body 1 is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having an inclined surface at the bottom or top of the back, front,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and another hook at the top or bottom of the back, front,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groove. For convenience of drawing in the present invention Dovetail grooves and protrusions of the type were mainly used, but in terms of their contents and effects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hape of the dovetail groove and the protrus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terminal and the charger, and the terminal and the charger are integrated by the groove of the terminal and the protrusion of the charger. The height of the uneven portions (grooves and protrusions) incorporating the charger and the terminal is changed. Therefore, the groove portion according to the change in height can be additionally placed on the terminal side.
ABSTRACT OF THE DISCLOSURE 휴대용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셀룰러 폰, PCS, 그리고 PDA 등에 적용되며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의 두께를 최소화시켜 휴대가 편리하도록 함과 아울러 입, 출력 장치 용이하게 확장하는 수단을 마련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하는 휴대용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본 발명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접점을 가지고 있는 단말기 본체; 상기 접점과 밀착되도록 대응되는 접점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단말기 본체의 측면(상/하/좌/우)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상기 단말기 본체와 상기 배터리가 선택적으로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 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용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이와 같은 기술적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은, 배터리를 하나만 장착하여 소형 용량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휴대가 간편한 이점이 있으며, 두 개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장거리 여행 또는 배터리의 대량 소모가 필요할 때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종래 기술에 비하여 배터리의 배면에 결합된 배터리의 두께만큼 단말기를 얇게 제작할 수 있어 휴대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BSTRACT OF THE DISCLOSURE 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llular phone, a PCS, a PDA, and the lik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mobile terminal for convenience in us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terminal main body having a contact point capable of receiving power; At least one battery having a corresponding contac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tact and coupled to a side surface (up / down / left / right) of the terminal body; Provided is a portable mobile terminal including a coupling means coupled to the terminal body and the battery to be selectively detachable and attachable. Through the above technical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tery having a small capacity by mounting only one battery. It's easy to carry when you're using it, and when you're equipped with two, it's easy to use when you're traveling long distances or when you need to drain a lot of your battery. In addition, compared to the prior art, the terminal can be made as thin as the thickness of the battery coupled to the back of the battery has the advantage of maximizing portability.
그리고, 본 발명의 휴대용 이동 단말기는 배터리의 두께만큼 얇게 제작이 가능하여 복수의 입력 및 출력 장치를 부가적으로 결합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as thin as the thickness of the battery can additionally combine a plurality of input and output devices has the advantage of maximizing convenience in u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하여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 1 in detail.
도 3은 도 1의 B-B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B part of FIG. 1;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C-C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C section of FIG. 4;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f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view for explaining a six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7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ven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8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eigh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9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nin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0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1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ten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leven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5 is a view for explaining a twelf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6 is a view for explaining a thirteen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7 is a view for explaining a fourteen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8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fteen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6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9 is a view for explaining a sixteen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7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0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venteen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8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ighteen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9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2 is a view for explaining a nineteen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0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3 is a view for explaining a twentie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2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twenty-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5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2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fifteen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6은 제15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Fig. 26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fteenth embodiment.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7 is a view for explaining a twenty-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1)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01902855A EP1281242A4 (en) | 2000-01-17 | 2001-01-17 | Portable mobile terminal |
PCT/KR2001/000075 WO2001054332A2 (en) | 2000-01-17 | 2001-01-17 | Portable mobile terminal |
AU30619/01A AU3061901A (en) | 2000-01-17 | 2001-01-17 | Portable mobile terminal |
KR10-2001-0002551A KR100517896B1 (en) | 2000-01-17 | 2001-01-17 | Portable terminal |
CNA018157750A CN1539205A (en) | 2000-01-17 | 2001-01-17 | Portable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00002081 | 2000-01-17 | ||
KR1020000002081 | 2000-01-17 | ||
KR1020000005671 | 2000-02-07 | ||
KR20000005671 | 2000-02-07 | ||
KR20000067852 | 2000-11-15 | ||
KR1020000067852 | 2000-11-15 | ||
KR1020010002137 | 2001-01-15 | ||
KR20010002137 | 2001-01-15 | ||
KR10-2001-0002551A KR100517896B1 (en) | 2000-01-17 | 2001-01-17 | Portable terminal |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95322A Division KR20040103874A (en) | 2004-11-19 | 2004-11-19 | Portable terminal |
KR1020040095321A Division KR20040103873A (en) | 2004-11-19 | 2004-11-19 | Portable termina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76296A KR20010076296A (en) | 2001-08-11 |
KR100517896B1 true KR100517896B1 (en) | 2005-09-28 |
Family
ID=27532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02551A KR100517896B1 (en) | 2000-01-17 | 2001-01-17 | Portable terminal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1281242A4 (en) |
KR (1) | KR100517896B1 (en) |
CN (1) | CN1539205A (en) |
AU (1) | AU3061901A (en) |
WO (1) | WO2001054332A2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4878B1 (en) * | 2004-03-16 | 2011-06-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tructure for fixing parts of mobile phone |
KR100677397B1 (en) * | 2004-11-22 | 2007-02-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 mobile terminal having a support power pack |
KR100800769B1 (en) * | 2007-01-29 | 2008-02-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for multimedia |
CN103424702B (en) * | 2012-05-22 | 2016-02-10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identifying thickness battery |
CN104619136B (en) * | 2013-11-01 | 2017-11-03 | 联想(北京)有限公司 | A kind of housing and electronic equipment |
CN109649295A (en) * | 2017-10-10 | 2019-04-19 | 郑州宇通客车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angle-style line code and the vehicle using the angle-style line code |
CN109950444B (en) * | 2019-03-26 | 2021-10-01 | 安徽机电职业技术学院 | Box device for protecting new energy battery in all directions |
CN111894128B (en) * | 2020-08-15 | 2021-08-24 | 广东中博建设工程有限公司 | Fabricated building frame hollow column nod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48824A (en) * | 1993-08-25 | 1996-08-20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device housing having a battery storage unit |
JP3094760B2 (en) * | 1993-08-25 | 2000-10-03 | 三菱電機株式会社 | Portable wireless device housing |
KR200205649Y1 (en) * | 1998-10-19 | 2000-12-01 | 이택렬 | Battary combination structure by hand phone |
KR20000013380U (en) * | 1998-12-26 | 2000-07-15 | 전주범 | Battery coupling device of the terminal |
KR19990078832A (en) * | 1999-08-11 | 1999-11-05 | 서치교 | Extended Display Device |
-
2001
- 2001-01-17 WO PCT/KR2001/000075 patent/WO2001054332A2/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1-01-17 EP EP01902855A patent/EP1281242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1-01-17 KR KR10-2001-0002551A patent/KR100517896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1-01-17 AU AU30619/01A patent/AU3061901A/en not_active Abandoned
- 2001-01-17 CN CNA018157750A patent/CN1539205A/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76296A (en) | 2001-08-11 |
WO2001054332A3 (en) | 2002-01-17 |
WO2001054332A2 (en) | 2001-07-26 |
EP1281242A2 (en) | 2003-02-05 |
CN1539205A (en) | 2004-10-20 |
EP1281242A4 (en) | 2006-08-16 |
AU3061901A (en) | 2001-07-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86852B1 (en) | Construction of a mobile device | |
EP1530345A1 (en) | Sliding-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652570B1 (en) | Camera swivel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 |
KR200397129Y1 (en) | stand for cellular phone case | |
KR100517896B1 (en) | Portable terminal | |
US20060172786A1 (en) | Compact tele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upper and lower members slidable and rotatable relative to each other | |
US7970126B2 (en) |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ovable display | |
KR20100049035A (en) | Stand hinge for electronic device | |
KR200376425Y1 (en) | Portable terminal | |
KR200419536Y1 (en) | Portable terminal | |
KR200422012Y1 (en) | Portable terminal | |
KR20070033409A (en) | Portable terminal | |
KR20080018022A (en) |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 |
KR20040103873A (en) | Portable terminal | |
KR20040103874A (en) | Portable terminal | |
KR20070109779A (en) | Construction of a mobile device | |
KR100595674B1 (en) | Slide apparatus for slide type mobile phone | |
CN210839709U (en) | Mobile terminal protective housing | |
KR20070109798A (en) | Construction of a mobile device | |
KR20050056717A (en) | Support device for mobile phone | |
KR102601591B1 (en) | Samartphone stand | |
KR200364981Y1 (en) | Mobil Telephone | |
KR20120056580A (en) | Holder for portable device | |
KR100789664B1 (en) | A cellular phone having slide-folding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 |
JP2003186572A (en) | Mounting stan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MND | Amendment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923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