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5860B1 - Low profile double deck connector with improved cross talk isolation - Google Patents

Low profile double deck connector with improved cross talk isol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5860B1
KR100515860B1 KR10-1998-0008256A KR19980008256A KR100515860B1 KR 100515860 B1 KR100515860 B1 KR 100515860B1 KR 19980008256 A KR19980008256 A KR 19980008256A KR 100515860 B1 KR100515860 B1 KR 100515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electrical connector
terminal
terminals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82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클리포드 엘. 위닝스
로버트 이. 마샬
존 엠. 스픽클러
Original Assignee
에프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씨아이 filed Critical 에프씨아이
Priority to KR10-1998-0008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586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5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5860B1/en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혼선이 적고 조합된 적층 높이가 낮은 적층 모듈 잭 커넥터가 기재되어 있다. 낮은 적층 높이는 적층된 콘센트 쌍들을 위한 접촉 단자들을 상호 끼워진 단자들의 동일 평면 상의 단일 어레이로 배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어레이들은 콘센트들 사이에 위치된다. 각 쌍의 하나의 콘센트는 다른 하나의 콘센트로부터 측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에테르넷 적용을 위하여, 10개의 단자 어레이 중 제1 단자, 제2 단자, 제3 단자, 제6 단자를 제1 콘센트의 접촉 그룹으로 배열하고, 어레이 중 제5 단자, 제8 단자, 제9 단자 및 제10 단자를 제1 콘센트의 접촉 그룹으로 배열함으로써 혼선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러한 두 단자 그룹의 단자 미부들을 단일 라인으로 배열함으로써 필요한 회로 기판의 공간도 최소화할 수 있다.Laminated module jack connectors with low crosstalk and low combined height combined are described. Low stacking height is achieved by placing contact terminals for stacked outlet pairs into a single array on the same plane of interleaved terminals. Arrays are located between the outlets. One outlet of each pair is laterally offset from the other outlet. For ethernet applications, the first, second, third and sixth terminals of the ten terminal array are arranged in contact groups of the first outlet, and the fifth, eighth and ninth terminals of the array. And crosstalk can be minimized by arranging the tenth terminal into a contact group of the first outlet. By arranging the terminal tails of these two terminal groups in a single line, the space of the required circuit board can be minimized.

Description

향상된 혼선 방지 기능을 갖는 슬림형 더블 데크 커넥터 {LOW PROFILE DOUBLE DECK CONNECTOR WITH IMPROVED CROSS TALK ISOLATION}Slim double deck connector with improved crosstalk protection {LOW PROFILE DOUBLE DECK CONNECTOR WITH IMPROVED CROSS TALK ISOLATION}

본 발명은 커넥터 특히, 향상된 혼선 방지 기능을 갖는 슬림형, 다중 데크 커넥터(low profile, multiple deck connector)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onnectors, in particular slim, low profile, multiple deck connectors with improved crosstalk protection.

커넥터, 특히, 원거리 통신 커넥터 및 데이터 통신 커넥터의 밀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리셉터클 커넥터들을 공통 하우징 안에서 함께 집단화시키는 개념이 제안되어져 왔다. 적층 관계로 집단화된 커넥터의 열을 배치하는 것 또한 제안되어져 왔다. 그러한 구성은 원거리 통신과 데이터 통신 분야에서 특히 많이 쓰여져 왔는데, 이러한 분야에선 FCC 표준형 RJ 시리즈 모듈 잭이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As a method of increasing the density of connectors, especially telecommunication connectors and data communications connectors, the concept of grouping receptacle connectors together in a common housing has been proposed. It has also been proposed to arrange the rows of connectors grouped in a stacking relationship. Such configurations have been particularly used in telecommunications and data communications, where FCC standard RJ series module jacks are commonly used.

각각의 장비 내로 합체되는 입출력(I/O) 포트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설계자는 주어진 공간 안에서 포트의 수를 늘리고, 리셉터클용으로 필요한 회로 기판의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을 찾아왔다. 입출력 포트를 근접하게 하려는 노력에 대한 한 가지 제한 요소는 커넥터를 통한 신호 전송의 완전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포트 내부뿐만 아니라) 포트와 포트 사이에서의 혼선을 허용 가능한 낮은 수준으로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특히,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율을 향한 노력에서 기인하는 전송 신호의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주파수에 의해서 혼선 사양을 충족시키는 것은 더욱 더 곤란하였다. 혼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접한 포트의 단자들 사이에 금속 차폐체를 제공하거나 포트의 신호선(signal line)들 사이에서 공간 거리를 유지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런데, 이것은 포트들이 서로 근접되도록 패키지화하려는 노력을 방해한다. 혼선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다른 구성은, 커넥터를 통하는 우회 루트(circuitous route)를 따르거나 혼선을 제거하도록 길고 평행한 통로를 채용하는, 특별히 구성된 단자를 이용한다. 후에 언급된 노력은 커넥터를 복잡하게 하고 커넥터 제조 비용을 상승시킨다. As the number of input / output (I / O) ports incorporated into each piece of equipment increases, designers have found ways to increase the number of ports in a given space and minimize the amount of circuit board space needed for receptacles. One limiting factor in the effort to bring input and output ports close is that in order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the signal transmission through the connector, it is necessary to keep the crosstalk between the ports (as well as inside the ports) at an acceptable low level. . In particular, it was even more difficult to meet the crosstalk specification with the ever-increasing frequency of transmission signals resulting from efforts towards higher data rates. To solve the crosstalk problem, attempts have been made to provide metal shields between terminals of adjacent ports or to maintain spatial distances between signal lines of ports. However, this hinders efforts to package the ports so that they are close to each other. Another configuration for minimizing crosstalk utilizes specially configured terminals that follow a circuitous route through the connector or employ long, parallel passageways to eliminate crosstalk. The effort mentioned later complicates the connector and increases the connector manufacturing cost.

본 발명은 적층된 개구 또는 포트들을 갖는 커넥터 하우징을 이용함으로써 고성능의 혼선 방지 기능을 갖는 슬림형 커넥터를 제공한다. 적층된 개구들 사이에 단일 접촉 단자 어레이가 배치된다. 개구들은 하나의 개구가 다른 하나의 개구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이러한 오프셋은 하나의 포트의 단자가 적층된 포트 쌍 중 다른 하나의 단자들 사이에 삽입되도록 한다. 단자가 삽입되고 오프셋된 포트는 잠재적으로 문제가 되는 포트간 혼선이 허용 가능한 수준으로 감소되는 방식으로 단자가 배치되게 한다. 이러한 구성은 이더넷(Ethernet) 시스템에 특히 유용하다. 직선의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어레이의 단자 구성은 단자의 회로 기판 결합 미부(tail)를 단일 라인으로 배열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구조는 회로 접촉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회로 기판 상의 공간을 최소화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lim connector having a high performance crosstalk prevention function by using a connector housing having stacked openings or ports. A single contact terminal array is arranged between the stacked openings. The openings are laterally offset from one opening relative to the other opening. This offset allows the terminals of one port to be inserted between the terminals of the other of the stacked port pairs. Ports in which terminals are inserted and offset allow terminals to be placed in such a way that potentially problematic inter-port crosstalk is reduced to an acceptable level. This configuration is particularly useful for Ethernet systems. The straight, substantially coplanar array of terminal configurations facilitates arranging the circuit board coupling tails of the terminals in a single line. This structure minimizes the space on the circuit board needed to provide circuit contact.

본 발명은 표준형 RJ 45 시리즈 8위치 플러그를 위해 구성된 모듈 잭 리셉터클(modular jack receptacle)에 관하여 설명된다. 본 발명은 두 쌍의 접촉 단자 또는 여덟 개의 위치 중 네 개가 신호 전송을 위해 이용되는 이더넷 시스템에서 특히 유용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른 스타일이나 구성의 커넥터에서도 유용한 것으로 여겨진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terms of a modular jack receptacle configured for a standard RJ 45 series eight position plug. The invention is particularly useful in Ethernet systems where two pairs of contact terminals or four of eight locations are used for signal transmiss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believed to be useful in connectors of other styles or configurations.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예의 커넥터(20)는 성형 절연 중합 재료로 형성된 하우징 본체(22)로 이루어져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2)는 RJ 45 플러그와 같이 적당한 결합 커넥터를 수용하도록 된 형상을 갖는 하부 열의 개구 또는 포트(24a-24f)를 포함하고 있다. 제2 또는 상부 열의 개구 또는 포트(26a-26f)는 하부 열의 개구에 대하여 적층 관계로 배열되어 있다. 통상적인 것처럼, 각각의 개구는 각각의 플러그와 관계된 래치(latch)를 수용하는 래치 수용 오목부(recess)(28a, 28b)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connector 20 of the illustrated embodiment consists of a housing body 22 formed of a molded insulating polymeric material. As shown, the body 22 includes lower rows of openings or ports 24a-24f shaped to receive a suitable mating connector, such as an RJ 45 plug. The openings or ports 26a-26f in the second or upper row are arranged in a stacking relationship with respect to the openings in the lower row. As is typical, each opening includes latch receiving recesses 28a and 28b that receive a latch associated with each plug.

도2에서 좀 더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개구(24a)와 상부 개구(26a)는 이들 개구의 기부(base)(30a, 30b)가 서로 인접한 상태로 배치된다. 양호한 형태에 있어서, 개구(24a, 26a)는 2열 커넥터의 전체 높이 H가 2.54 ㎝(1 인치)보다 작도록 배치되거나 좀 더 바람직하게는 2.21 ㎝(0.87 인치)가 되는 방법으로 배치된다. 이렇게 낮은 높이가 성취되는 방법은 후술하기로 한다. As shown in more detail in FIG. 2, the lower opening 24a and the upper opening 26a are disposed with the bases 30a and 30b of these openings adjacent to each other. In a preferred form, the openings 24a and 26a are arranged in such a way that the total height H of the two row connector is less than 2.54 cm (1 inch) or more preferably 2.21 cm (0.87 inch). How this low height is achieved will be described later.

도2를 계속 참조하면, 각각의 개구 또는 포트는 대체로 플러그 삽입 축(B, D)에 대해 수직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배면벽(32)을 가지고 있다. 각각의 벽들은 각각의 개구의 기부(30a, 30b)에 인접한 빗 모양의 구조를 형성하는, 대체로 평행하고 수직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홈(34)을 포함한다. 홈(34)들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접촉 단자의 결합부의 말단부를 수용한다. 도면을 간결하게 하기 위해서 도1과 도2에는 단자들이 도시되지 않았다. 도2에서 각각의 공동 배면벽 상에 나타난 도면 부호 1, 2, 3 및 6은 이더넷 응용 제품용으로 각각의 포트에서 신호 전송용으로 사용되는 단자를 수용하는 홈들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8 포트 위치는 하부 포트(24a)에선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그리고 상부 포트(26a)에선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연속적으로 번호가 매겨져 있다. 신호 전송과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단자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번호가 매겨진 슬롯(위치 4, 5, 7, 8)에 수용될 수 있다. With continued reference to FIG. 2, each opening or port has a back wall 32 extending generally transversely perpendicular to the plug insertion axis B, D. As shown in FIG. Each of the walls includes a plurality of generally parallel and vertically extending grooves 34 that form a comb-like structure adjacent to the bases 30a and 30b of each opening. The grooves 34 receive the distal end of the engaging portion of the contact terminal as described below. Terminals are not shown in FIGS. 1 and 2 for the sake of brevity. Reference numerals 1, 2, 3, and 6 shown on each cavity back wall in FIG. 2 indicate the locations of the grooves containing terminals used for signal transmission at each port for Ethernet applications. The eight port positions are numbered consecutively from left to right in the lower port 24a and from right to left in the upper port 26a. Terminals used for signal transmission and other purposes may be housed in numbered slots (positions 4, 5, 7, 8) as described below.

도1과 도2에 도시된 것처럼, 개구(26a)와 같은 각각의 상부 개구는 하부 열의 인접한 개구(24a)로부터 T만큼 측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이러한 측방향 오프셋은 단일 접촉 단자 어레이를 수용하며, 이때 어레이의 제1 단자 그룹은 하부 개구(24a)에 배치되고 제2 단자 그룹은 상부 개구(26a)에 배치된다. 후에 설명되는 어떤 구조에서는, 제1 그룹의 하나 이상의 단자가 제2 그룹의 접촉 단자들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이더넷 응용 제품용으로 배선된 RJ 45 시리즈 플러그에 대해 개구가 구성되었다면, 오프셋 T의 바람직한 치수는 약 2.03 ㎜(0.08 인치)인데, 이것은 8위치 플러그에서의 인접한 단자들 사이의 중심선 거리의 두 배이다. 2.03 ㎜(0.08 인치)의 오프셋은(특히, 인접한 포트에서 포트 위치 3과 포트 위치 6을 사용하는 특이한 쌍들 사이에서) 혼선을 적절하게 최소화시키고, 단자들 사이의 중심선 거리의 짝수 배이기 때문에 생산의 관점에선 편리하기도 하지만, 약간 더 큰 오프셋이 혼선의 감소를 최적화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 each upper opening, such as opening 26a, is laterally offset by T from adjacent opening 24a in the lower row. This lateral offset accommodates a single contact terminal array, wherein the first terminal group of the array is disposed in the lower opening 24a and the second terminal group is disposed in the upper opening 26a. In some structures described later, one or more terminals of the first group may be inserted between the contact terminals of the second group. If the openings were configured for RJ 45 series plugs wired for Ethernet applications, the preferred dimension of offset T is about 2.03 mm (0.08 inch), which is twice the centerline distance between adjacent terminals in an 8 position plug. . An offset of 2.03 mm (0.08 inch) (especially between the unusual pairs using port position 3 and port position 6 in adjacent ports) adequately minimizes crosstalk and is an even multiple of the centerline distance between terminals. Although convenient from a point of view, a slightly larger offset may optimize the reduction of crosstalk.

도3과 도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20)는 회로 기판(36)의 모서리를 따라 장착되며, 커넥터의 일부를 수용하는 치수로 된 직사각형 절결부(38)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커넥터는 장착 돌기(40)에 의해 지지되며, 체결구(42)에 의해서 회로 기판(36)에 고정된다. 도시된 장착 구성은 커넥터를 회로 기판에 장착할 수 있는 많은 방법들 중에 단지 한 가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As shown in Figures 3 and 4, the connector 20 is mounted along an edge of the circuit board 36 and at least partially received inside a rectangular cutout 38 dimensioned to receive a portion of the connector. . The connector is supported by the mounting protrusion 40 and fixed to the circuit board 36 by the fastener 42. The mounting configuration shown is just one of many ways to mount a connector to a circuit board.

통상적인 것처럼, 커넥터(20)는 EMI차폐를 제공하기 위해서 시트 금속 차폐체(sheet metal shield)(44)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핑거(46)는 커넥터의 결합면(50)이 관통 연장되는(도시되지 않은) 장비 패널 내의 개구의 모서리와 결합하도록 차폐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인 것처럼, 차폐체는 커넥터 본체(22)에 차폐체의 정면을 고정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 개구 내로 연장되는 정면 탭(face tab)(48)(도2)을 포함할 수 있다. As conventional, the connector 20 may include a sheet metal shield 44 to provide EMI shielding. The spring finger 46 may be formed in the shield such that the mating surface 50 of the connector engages the edge of an opening in the equipment panel through which the mating surface 50 extends (not shown). As also conventional, the shield may include a face tab 48 (FIG. 2) extending into the opening to help secure the front of the shield to the connector body 22.

돌기(40)의 아래면(52)에는 커넥터가 회로 기판(36)에 장착되는 장착 경계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bottom surface 52 of the protrusion 40 may be provided with a mounting boundary on which the connector i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36.

도5에서는 하우징(22) 안에서 접촉 단자를 보유하기 위한 양호한 구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접촉 단자(60)(도6)의 직선 어레이는 하부 개구(24c)와 상부 개구(26c) 사이에 형성된 웨브(web)(59)와 정렬되어 하우징(22) 내부에 대체로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단자(60)는 스탬핑 가공된 재료나, 재료에 탄성을 부여하기에 충분한 경도를 갖는 와이어로 형성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어레이는 단자 보유 부재 또는 삽입체(54)에 의해서 서로 이격 관계로 유지된 열 개의단자를 포함하고 있다. 도6과 도12에서, 이탤릭체로 쓰여진 도면 번호 1-10은 각각의 단자 보유 부재(54)에서의 단자의 위치를 표시하고 있다. 도12에서, 접촉 단자(60)에 인접한 도면 번호 열은 각각의 개구 내부에서의 단자 위치를 표시하고 있다. 단자 보유 부재(54)는 단자 보유 부재 내로 단자가 삽입된 것이거나, 단자(60) 둘레에 성형된 삽입체일 수도 있다. 양호하게는, 단자 보유 부재(54)는 단자 보유 부재의 대향 단부들을 따라 연장되는 대향한 한 쌍의 리브(rib,58)(도6)를 포함하고 있다. 리브는 한 쌍의 대향 홈에서 활주하여 수용되도록 설계되었는데, 이러한 홈(56) 중에 하나가 도5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상의 이유로, 삽입체(54)는 단자의 일부가 하나 또는 다른 개구(24c, 26c) 내로 연장되는 상태로 하우징 내부의 소정 위치로 활주될 수 있다. 5 shows a preferred configuration for retaining contact terminals in the housing 22. In this configuration, the straight array of contact terminals 60 (FIG. 6) is aligned with a web 59 formed between the lower opening 24c and the upper opening 26c, and is generally centered inside the housing 22. Will be located. The terminal 60 is formed of a stamped material or a wire having a hardness sufficient to impart elasticity to the material. As shown, the array includes ten termina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terminal retaining member or insert 54. 6 and 12, reference numerals 1-10, which are written in italics, indicate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in each terminal holding member 54. As shown in FIG. In Fig. 12, the column of reference numerals adjacent to the contact terminal 60 indicates the terminal position inside each opening. The terminal holding member 54 may be a terminal inserted into the terminal holding member, or an insert molded around the terminal 60. Preferably, terminal retaining member 54 includes opposing pairs of ribs 58 (FIG. 6) extending along opposite ends of the terminal retaining member. The ribs are designed to slide and receive in a pair of opposing grooves, one of which is shown in FIG. For this configuration reason, the insert 54 can slide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housing with some of the terminals extending into one or the other openings 24c and 26c.

각각의 단자(60)(도6)는 삽입체(54)에 의해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유지되는 중간부(62)를 포함한다. 각각의 접촉단자는 결합부(64)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 결합부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단자 중간부(62)의 일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절곡된 외팔보형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64)는 결합부(64)를 형성하기 위해서 접촉자의 말단부를 절곡시킴으로써 형성되는데, 각각의 결합부의 단부는 배면벽(32)의 적절한 홈(34) 내부에서 보유된다. 통상적인 것처럼, 결합부가 홈(34) 내에 위치될 때 요구되는 양의 기하중(preload)이 결합부(64)에 작용하게 된다. 도6에서 도시된 것처럼, 결합부(64)는 결합부가 개구(26c또는 24c)로 각각 들어갈 수 있도록 상방 또는 하방으로 절곡된다. 도시된 구성에서 보면, 제1 접촉자 그룹은 개구(24c)로 들어가도록 하방으로 절곡된 접촉부(64)를 갖는다. 이 그룹은 단자 보유기 위치(1, 2, 3, 4 및 6)에 있는 접촉 단자들을 포함한다. 결합부의 제2 그룹은 상방으로 절곡되어 있고, 도시된바와 같이, 단자 보유기 위치(5, 7, 8, 9 및 10)에 있는 단자들을 포함한다. 이더넷 용도를 위해서, 단자 보유기 위치(1, 2, 3, 6과 5, 8, 9, 10)에 있는 단자들은 신호 전송을 위해서 사용되어진다. 보유기 위치(4, 7)에 있는 단자들은 전원이나 접지와 같은 다른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구성에서, 보유기 위치(4, 5, 6, 7)에 있는 2개의 그룹의 단자들은 서로 사이에 끼어있다. Each terminal 60 (FIG. 6) includes an intermediate portion 62 which is held on substantially the same plane by the insert 54. As shown in FIG. Each contact terminal includes a coupling portion 64, which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consists of a cantilevered portion that extends from one end of each terminal intermediate portion 62 and is bent. As shown, the joining portion 64 is formed by bending the distal end of the contact to form the joining portion 64, with the end of each joining portion retained inside a suitable groove 34 of the back wall 32. . As is usual, the amount of preload required when the coupling is positioned in the groove 34 acts on the coupling 64. As shown in Fig. 6, the engaging portion 64 is bent upwards or downwards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can enter the opening 26c or 24c, respectively. In the configuration shown, the first group of contacts has a contact 64 that is bent downward to enter the opening 24c. This group includes contact terminals at terminal retainer positions 1, 2, 3, 4 and 6. The second group of engagement portions is bent upwards and, as shown, includes terminals at terminal retainer positions 5, 7, 8, 9 and 10. For Ethernet applications, the terminals at the terminal holder positions (1, 2, 3, 6 and 5, 8, 9, 10) are used for signal transmission. The terminals at retainer positions 4 and 7 can also be used for other purposes such as power or ground. In the configuration shown, the two groups of terminals in the retainer positions 4, 5, 6, 7 are sandwiched between each other.

도5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단자(60)는 중간부(62)의 다른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미부(66)를 가지고 있다. 도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면, 미부(66)는 회로 기판(36)에 형성된 관통 구멍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설계된 관통 구멍 핀들을 포함한다. 도금된 관통 구멍(70)들은 차폐체(44)의 핀을 수용할 수 있도록 배열되어 있다. 도7에 대해 언급을 하면, 관통구멍(68)에 인접한 도면 번호들은 단자(60)의 관통 구멍 미부(66)를 수용하기 위한 양호한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As shown in FIG. 5, each terminal 60 has a tail 66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intermediate portion 62. As shown in FIG.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the tail 66 includes through hole pins designed to be received by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circuit board 36. As shown in FIG. The plated through holes 70 are arranged to receive the pins of the shield 44. Referring to FIG. 7, reference numerals adjacent to the through hole 68 show a preferred configuration for accommodating the through hole tail 66 of the terminal 60.

도8을 참조하면, 커넥터(20)의 표면 장착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주요 차이점은 각각의 접촉 미부(66)가 회로 기판(36)의 표면 장착 접촉자(74)(도9)에 표면 장착되도록 된 표면 장착 탭(72)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다. 도8에 도시된 구성의 중요한 이점은, 단지 열 개의 탭(72)이 각 쌍의 상부 및 하부 포트의 뒷 영역에 수용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하부 개구(24c)와 상부 개구(26c)를 위한 미부(66)와 표면 장착 탭(72)이 단일 라인으로 배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상부 및 하부 데크를 위한 접촉 단자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이에 끼게된다는 사실과, 이더넷 사용 목적을 위해 통상의 RJ 45 8 단자 어레이 중 사용하지 않는 어떠한 단자가 제거될 수 있다는 사실에서 기인한다. 표면 장착 미부의 단일 라인 배열은 표면 장착 탭(72)을 수용하는데 필요한 회로 기판(36) 상의 공간을 줄여준다. Referring to Figure 8, a surface mount embodiment of a connector 20 is shown. In this embodiment, the main difference from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is that the surface mount tabs 72 allow each contact tail 66 to be surface mounted to the surface mount contact 74 (FIG. 9) of the circuit board 36. ) Is included. An important advantage of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8 is that for the lower opening 24c and the upper opening 26c only ten tabs 72 need to be received in the rear region of each pair of upper and lower ports. The tail 66 and surface mount tab 72 can be arranged in a single line. This feature is due to the fact that the contact terminals for the upper and lower decks are at least partially sandwiched, and that any unused terminals in a conventional RJ 45 8 terminal array can be removed for Ethernet use purposes. The single line arrangement of the surface mount tails reduces the space on the circuit board 36 needed to receive the surface mount tabs 72.

어떠한 적용에 있어서는, 향상된 혼선 방지나 EMI 성능을 성취하기 위해서 공유된 접지 접촉 단자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공유된 단자들은 신호 전송을 위해 사용되지 않는 포트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보유 부재(54)에 고정되어 있는 열 개의 접촉 단자(60)들 사이에 대응하는 접촉은 없다. 도10과 도11a는 이러한 요건을 충족시켜주는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모선 스트립(bus strip)(76a, 76b)이 각각 상부, 하부 포트 또는 개구에서 수용되어지는 하나 이상의 단자(80, 81)들을 지지한다. 이러한 단자(80, 81)들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선 스트립(76a, 76b)에 대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절곡된다. 공유된 단자들은 평평한 블랭크(90)(도11b)로부터 형성되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블랭크는 공유된 단자들을 추가의 도금 관통 구멍을 통해 회로 기판에 연결하기 위한 단자 미부(82)를 포함한다. 도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탬핑 가공된 부재(90)는 모선 스트립(76b)과 단자(81)를 포함한다. 미부(82)는 보유 부재(54)(도11a)에 보유된다. 하부 개구를 위한 공유된 단자(80)들을 형성하기 위해서, 다른 스탬핑 가공된 부재(90)는 상부의 스탬핑 가공된 부재에 대하여 뒤집힌 상태를 바로 그 아래에 배치되어 오프셋되어 있다(도10및 도11 참조). 모선 스트립(76a, 76b)의 중첩 부분은 용접이나 납땜에 의해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보유 부재가 홈(56)을 따라 하우징 안으로 삽입될 때, 모선 스트립(76a, 76b)은 웨브(59)의 배면에 형성된 홈(78)으로 수용된다. 이더넷 응용 제품에 있어서, 각각의 포트에 있는 비신호 단자(non-signal terminal) 위치(5, 7, 8)는 스탬핑 가공된 부재(90)를 사용함으로써 전원용이나 접지용의 다른 목적을 위해 공유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적층 포트들의 각각의 쌍에서의 포트 위치(4)[즉, 각각의 단자 보유 부재(54)와 연관된 10개의 단자 어레이의 위치(4, 7)]에 있는 접촉 단자들은 앞서 설명된 방법으로 형성된 개별적인 단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단자들은 전원용이나 접지용을 포함하는 다른 용도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도6에 도시된 구성에 대한 대안으로서, 어레이의 위치(4, 7)에 있는 단자들은 상부 또는 하부 포트에서 모두 존재하도록 같은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위치(4, 7) 쌍은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전화 통신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12는 공유된 단자들을 갖는 이더넷 응용 제품에서 사용하기 위한 접촉 단자 삽입체(54)를 도시하고 있다. 하부 개구를 위한 공유된 단자(80)들은 하부 포트 위치(5, 7, 8)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부 개구를 위한 공유된 접지 단자(81)들은 상부 포트 위치(5, 7, 8)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미부(82)의 위치도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르게는, 보유기 위치(4, 7)[즉, 상부 및 하부 포트위치(4)]에 있는 단자들은 다른 비신호 단자들과의 공유를 위해, 또한 스탬핑 가공된 부재(90) 내로 합체되어질 수도 있다. In some applications, it may be advantageous to provide a shared ground contact terminal to achieve improved crosstalk prevention or EMI performance. The shared terminals can be placed in positions of ports that are not used for signal transmission, for which there is no corresponding contact between the ten contact terminals 60 fixed to the retaining member 54. 10 and 11A illustrate one embodiment that meets this requirement. In this configuration, bus strips 76a, 76b each support one or more terminals 80, 81 that are received at the top, bottom ports or openings. These terminals 80, 81 are bent upwards or downwards relative to the bus bar strips 76a, 76b as shown in FIG. Shared terminals may be formed from flat blank 90 (FIG. 11B), which includes a terminal tail 82 for connecting the shared terminals to the circuit board through additional plating through holes. As shown in FIG. 11B, the stamped member 90 includes a bus bar strip 76b and a terminal 81. The tail portion 82 is held in the retaining member 54 (Fig. 11A). In order to form shared terminals 80 for the lower opening, another stamped member 90 is placed and offset directly below the inverted state relative to the upper stamped member (Figs. 10 and 11). Reference). The overlapping portions of busbar strips 76a and 76b may be joined together by welding or soldering. When the retain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along the groove 56, the bus bar strips 76a, 76b are received into grooves 78 formed in the back of the web 59. In Ethernet applications, the non-signal terminal locations (5, 7, 8) at each port are shared for other purposes for power or grounding by using stamped members 90. Can be used. In this case, the contact terminals at the port position 4 (ie, the positions 4, 7 of the ten terminal arrays associated with each terminal retaining member 54) in each pair of stacked ports are described above. It consists of individual terminals formed by the method, and these terminals can also be used for other purposes including for power supply or grounding. As an alternative to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ure 6, the terminals at positions 4 and 7 of the array may be bent in the same direction so that they are present at both the upper or lower ports. With this configuration, the location 4, 7 pairs can provide additional functionality, for example used for telephony communications. Figure 12 shows a contact terminal insert 54 for use in an Ethernet application with shared terminals. The shared terminals 80 for the lower openings are shown in phantom at the lower port positions 5, 7 and 8. Shared ground terminals 81 for the upper opening are shown in phantom at the upper port positions 5, 7 and 8. The position of tail 82 is also shown in phantom. Alternatively, the terminals at retainer positions 4 and 7 (ie, upper and lower port positions 4) may be incorporated into the stamped member 90 for sharing with other non-signal terminals. have.

도13은 절연 접촉 보유 부재(92) 내부에 고정된 접촉 단자의 다른 구성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접촉 단자의 두 열(94, 96)은 보유 부재(92)에 고정된다. 상부 열(94)의 중간부(93)는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부 열(96)의 단자 중간부(95)도 마찬가지이다. 열(94)을 형성하는 동일 평면 상의 상부 중간부(93) 어레이는 열(96)을 형성하는 동일 평면 상의 중간부(95) 어레이로부터 W만큼 측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오프셋 W는 근접 단부 혼선 방지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최적화될 수 있는 각각의 열의 단자들 사이에서 분리를 제공하고 있다. 혼선 방지 기능을 최적화하는 데 필요한 오프셋 W의 양은 잭과 결합 플러그 내부의 쌍 할당에 의존한다. 오프셋은 열(94, 96)이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게 하며 열들 사이에서의 차폐체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함으로써, 보유 부재(92)의 높이를 최소화한다. 결과적으로, 앞에서 설명된 실시예에서처럼, 감소된 높이를 갖는 부재(92)는 적층되고, 오프셋된 포트들 사이에 놓여질 수 있고 하우징 전체 높이가 최소화될 수 있는 것이다. Fig. 13 shows a cross section of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contact terminal fixed inside the insulating contact holding member 92. Figs. In this embodiment, two rows 94, 96 of contact terminals are fixed to the retaining member 92. The middle portion 93 of the upper row 94 is preferably substantially coplanar, as is the terminal middle portion 95 of the lower row 96. The array of upper intermediate portions 93 on the same plane forming the columns 94 is laterally offset by W from the array of intermediate portions 95 on the same plane forming the columns 96. Offset W provides separation between each row of terminals that can be optimized to improve near end crosstalk prevention. The amount of offset W needed to optimize the crosstalk prevention function depends on the pair assignment inside the jack and mating plug. The offset allows the rows 94 and 96 to be placed in close proximity and eliminates the need for a shield between the rows, thereby minimizing the height of the retaining member 92. As a result, as 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member 92 having the reduced height can be stacked, placed between the offset ports and the overall height of the housing can be minimized.

도14를 참조하면, 미부(82)를 배치하는 양호한 방법은 미부가 커넥터의 장착 경계부를 향해서 하방으로 절곡된 구역에서, 다음에 인접한 보유 부재(54b)(도10 참조)의 미부(82b)와 실질적으로 중첩되는 하나의 보유 부재(54a)의 모서리를 따라 미부(82a)를 갖는 것이다. 미부(82a, 82b)의 말단부는 도15의 관통 구멍 배열에서 보여진 구멍(98)과 같은 공통 관통구멍 내로 배치될 수 있다. 미부의 이러한 배치를 돕기 위해서, 리브(58a, 58b)는 인접한 단자 보유 부재(54a, 54b)의 리브들이 중첩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오프셋됨으로써, 단자 보유 부재들이 나란한 관계로 서로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미부(82a, 82b)가 좀 더 쉽게 중첩 관계로 배치되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구성을 수용하기 위해서, 각각의 적층된 포트 쌍과 관련되는 홈(56)들은 적층 높이의 방향으로 오프셋되어야만 한다.Referring to Fig. 14, a preferred method of disposing the tail 82 is in the region where the tail is bent downward toward the mounting boundary of the connector, and then with the tail 82b of the adjacent retaining member 54b (see Fig. 10). It has a tail portion 82a along the edge of one retaining member 54a that is substantially overlapped. The distal ends of the tails 82a and 82b may be disposed into a common through hole, such as the hole 98 shown in the through hole arrangement of FIG. To aid in this arrangement of the tail, the ribs 58a, 58b are vertically offset such that the ribs of adjacent terminal retaining members 54a, 54b can overlap, so that the terminal retaining members can be placed close to each other in a side by side relationship. do. This allows tails 82a and 82b to be more easily placed in an overlapping relationship. Of course, to accommodate this configuration, the grooves 56 associated with each stacked port pair must be offset in the direction of the stack height.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몇 가지 이점들이 나타난다. 하우징의 높이는 단일 접촉 어레이를 사용함으로써, 그리고 적층된 개구들 사이에서 금속 차폐체를 제거함으로써 2.54 ㎝(1 인치) 이하의 치수로 충분히 최소화되어질 수 있다. 하우징 높이의 감소는 혼선 방지 기능을 카테고리 5 레벨에서 유지하면서 성취된다. 통상적으로, 적층된 잭 사이에서 40dB을 초과하는 근접 단부 혼선 방지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구성에서 성취될 수 있다. From the above description, several advantages appear. The height of the housing can be minimized to dimensions of up to 2.54 cm (1 inch) by using a single contact array and by removing the metal shield between the stacked openings. The reduction in housing height is achieved while maintaining crosstalk prevention at the category 5 level. Typically, near end crosstalk prevention of greater than 40 dB between stacked jacks can be achieved in configurations embodying the present invention.

더욱이, 2개의 적층된 잭을 위한 접촉자를 포함한 단일 접촉 어레이를 사용함으로써, 그리고 불필요한 접촉 단자 및 사이에 끼워지는 나머지 단자들을 제거함으로써 단일 라인의 접촉 미부 구성이 성취될 수가 있다. 이것은 결국 커넥터가 이용하는 회로 기판 공간을 감소시킨다. 더욱이, 단일 접촉 어레이 및 보유기의 사용은 부품의 수를 줄여주고 조립을 간단화시키며 제조 비용을 절감시킨다. Moreover, a single line contact tail configuration can be achieved by using a single contact array including contacts for two stacked jacks, and by eliminating unnecessary contact terminals and remaining terminals sandwiched between them. This in turn reduces the circuit board space used by the connector. Moreover, the use of single contact arrays and retainers reduces the number of parts, simplifies assembly and reduces manufacturing costs.

본 발명이 여러 형태의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다른 유사한 실시예가 사용되어질 수 있다는 것, 또는 본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고도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명된 실시예에 대하여 변경 및 부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임의의 단일 실시예로 제한되어져서는 안되고,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따른 범위 및 범주 내에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various forms of preferred embodiments, modifications and additions may be made to other embodiments which may be used, or which are described to perform the same functions as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invention. You should know that you ca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any single embodiment, but rather should be construed within the scope and scope of the description of the appended claims.

도1은 본 발명을 실시한 집단화된 모듈 잭 리셉터클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a grouped modular jack receptacle embodying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도1의 A영역의 잭 일부분의 분해 확대도.2 is an exploded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jack of region A of FIG.

도3은 도1에 도시된 커넥터의 측면도.3 is a side view of the connector shown in FIG.

도4는 도1에 도시된 커넥터의 평면도.4 is a plan view of the connector shown in FIG.

도5는 도1의 선 C-C를 따라 취한 측단면도.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in FIG.

도6은 도5에 도시된 접촉 단자 조립체의 정면도.Figure 6 is a front view of the contact terminal assembly shown in Figure 5;

도7은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커넥터의 단자들을 수용하는 관통 구멍들을 위한 바람직한 배치의 위치를 보여주는 회로 기판의 부분을 도시한 도면.FIG. 7 shows a portion of a circuit board showing the position of a preferred arrangement for through holes for receiving the terminals of the connector shown in FIGS.

도8은 도5의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표면 장착 미부를 갖는 접촉 단자를 구비한 제2 실시예의 측단면도.FIG.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similar to the embodiment of FIG. 5 but with contact terminals having surface mount tails; FIG.

도9는 도8에 도시된 커넥터와 사용되는 바람직한 회로 기판 배치를 도시한 도면.Fig. 9 shows a preferred circuit board arrangement for use with the connector shown in Fig. 8;

도10은 임의의 접촉 단자를 위한 공유화 구성이 합체된 것을 도시하는, 도5와 유사한 측단면도.Fig. 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imilar to Fig. 5 showing the sharing configuration for any contact terminal is incorporated;

도11a는 신호 단자 및 공유 접지 단자를 갖는 단자 캐리어의 평면도.Fig. 11A is a plan view of a terminal carrier having a signal terminal and a shared ground terminal.

도11b는 한 세트의 공유 접지 단자를 갖는 블랭크의 평면도.11B is a plan view of a blank having a set of shared ground terminals.

도12는 신호 단자 및 공유 단자의 위치를 도시하는 접촉 단자 조립체의 정면도.Figure 12 is a front view of the contact terminal assembly showing the positions of the signal terminal and the sharing terminal.

도13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다른 형태의 단자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Fig. 13 is a diagram showing a terminal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4는 단자 공유화 특징부를 갖는 두 개의 인접한 단자 보유 부재의 평면도.Figure 14 is a plan view of two adjacent terminal retaining members having terminal sharing features.

도15는 도14에 도시된 구성으로부터 단자의 미부를 수용하기 위한 회로 기판의 구멍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Fig. 15 shows a hole pattern of a circuit board for accommodating tail portions of terminals from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14;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4a, 24b, 24c, 24d, 24e, 24f : 하부 열의 개구 또는 포트24a, 24b, 24c, 24d, 24e, 24f: openings or ports in the lower row

26a, 26b, 26c, 26d, 26e, 26f : 상부 열의 개구 또는 포트26a, 26b, 26c, 26d, 26e, 26f: openings or ports in the top row

36 : 회로 기판36: circuit board

60 : 접촉 단자60: contact terminal

54 : 단자 보유 부재54: terminal holding member

64 : 결합부64: coupling part

62 : 중간부62: middle part

66 : 미부66: beauty

Claims (50)

제1 삽입축에 따라 결합 커넥터를 수용하는 제1 개구와, 제2 삽입축을 따라 결합 커넥터를 수용하는 제2 개구를 갖고 있는 하우징과,A housing having a first opening accommodating the mating connector along the first insertion axis and a second opening accommodating the mating connector along the second insertion axis; 하우징 내의 접촉 단자 어레이를 포함하며,An array of contact terminals in the housing, 제1 개구와 제2 개구는 서로 인접해 있고, 제2 개구의 삽입축은 제1 개구의 삽입축에 대해서 측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으며,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insertion axis of the second opening is laterally offset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axis of the first opening, 상기 어레이는 나란한 관계로 있는 적어도 2개의 단자를 구비하고, 단자들 중 제1 단자의 결합부는 제1 개구 내에 수용된 커넥터와 결합하도록 제1 개구 내로 연장되며, 단자들 중 제2 단자의 결합부는 제2 개구 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The array has at least two terminals in a side-by-side relationship, wherein an engagement portion of the first terminal of the terminals extends into the first opening to engage a connector received in the first opening, the engagement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of the terminals being first 2 electrical connector extending into the opening. 제1항에 있어서, 제1 삽입축과 제2 삽입축은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The electrical connector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insertion axis and the second insertion axis are substantially parallel. 제1항에 있어서, 접촉 단자는 절연 재료로 형성된 삽입체 상에 장착되고, 상기 삽입체는 제1 개구와 제2개구 사이에서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The electrical connector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contact terminal is mounted on an insert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the insert is mounted in a housing between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제1항에 있어서, 접촉 단자 어레이는 제1 접촉 단자 그룹과 제2 접촉 단자 그룹을 포함하고, 제1 그룹의 접촉 단자는 제1 개구와 관련되고, 제2 그룹의 접촉 단자는 제2 개구와 관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The contact terminal array of claim 1, wherein the contact terminal array comprises a first contact terminal group and a second contact terminal group, the contact terminals of the first group associated with the first opening, and the contact terminals of the second group contacting the second opening. Electrical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related. 제4항에 있어서, 제1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단자에는, 제2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단자가 사이에 서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The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t least one contact terminal of the second group is sandwiched between at least one contact terminal of the first group. 제5항에 있어서, 제1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끼워진 접촉 단자는 제2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끼워진 접촉 단자에 바로 인접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6. The electrical connector as claimed in claim 5, wherein at least one fitted contact terminal of the first group is immediately adjacent to at least one fitted contact terminal of the second group. 제6항에 있어서, 접촉 단자들은 제1 그룹을 형성하는 위치 1, 2, 3 및 6에 있는 단자와 제2 그룹을 형성하는 위치 5, 8, 9 및 10에 있는 단자를 구비하는 10개의 단자들의 직선 어레이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7. The terminal of claim 6, wherein the contact terminals have ten terminals having terminals in positions 1, 2, 3 and 6 forming a first group and terminals in positions 5, 8, 9 and 10 forming a second group. Electrical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a straight array of. 제7항에 있어서, 위치 4의 단자는 제1 그룹에 있고, 위치 7의 단자는 제2 그룹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8. The electrical connector as claimed in claim 7, wherein the terminal in position 4 is in the first group and the terminal in position 7 is in the second group. 제7항에 있어서, 접촉 단자는 중간부를 갖고 있고, 상기 중간부는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8. The electrical connector as claimed in claim 7, wherein the contact terminal has an intermediate portion, the intermediate portion being substantially coplanar. 제1항에 있어서, 접촉 단자는 미부와 결합하는 회로 기판을 가지며, 상기 미부는 단일 라인으로 배열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The electrical connector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contact terminal has a circuit board that engages with the tail, and the tail is arranged in a single line. 제8항에 있어서, 접촉 단자는 단일 라인으로 배열된 미부와 결합하는 회로 기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The electrical connector as claimed in claim 8, wherein the contact terminals have a circuit board that engages with tails arranged in a single line.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미부는 회로 기판과 결합하기 위한 표면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12. The electrical connector as claimed in claim 11 wherein each tail comprises a surface mount for engaging a circuit board. 제1항에 있어서, 제1 개구와 제2 개구는 RJ 시리즈 리셉터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The electrical connector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are comprised of RJ series receptacles. 제13항에 있어서, 제1 개구와 제2 개구는 적층 관계에 있고, 하우징의 높이는 약 2.29 ㎝(0.90 인치)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The electrical connector of claim 13,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are in a stacking relationship and the height of the housing is less than about 2.29 cm (0.90 inches). 제14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높이는 약 2.21 ㎝(0.87 인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15. The electrical connector of claim 14 wherein the height of the housing is about 2.21 cm (0.87 inch).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이며,An electrical connector comprising a housing, 삽입축을 따라 결합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 내의 제1 개구와,A first opening in the housing for receiving the mating connector along the insertion axis; 제1 개구에 대해 적층 관계에 있으며, 삽입축을 따라 결합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 내의 제2 개구와,A second opening in the housing for receiving the mating connector along the insertion axis, the second opening in a stacking relationship to the first opening, 제1 개구와 제2 개구 사이에서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상호 끼워진 접촉 단자들의 어레이를 포함하며,An array of interleaved contact terminals disposed in the housing between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각각의 접촉 단자들은 제1 개구와 제2 개구에 삽입 가능한 결합 커넥터의 접촉자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가지며, 접촉 단자들 중 제1 그룹의 결합부는 제1 개구에 배치되고, 접촉 단자들 중 제2 그룹의 결합부는 제2 개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Each of the contact terminals has a coupling portion that engages with a contact of the coupling connector that is insertable into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the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group of contact terminals is disposed in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group of contact terminals is provided. The engaging por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is arranged in the second opening. 제16항에 있어서, 각각의 접촉 단자는 중간부를 포함하고, 결합부는 중간부에서 연장되는 외팔보형 부분을 형성하는 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17. The electrical connector as claimed in claim 16, wherein each contact terminal comprises an intermediate portion, and the coupling portion includes a distal end forming a cantilevered portion extending from the intermediate portio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는 접촉 단자들을 지지하는 절연 삽입체와, 삽입체를 하우징 내에서 보유하기 위한 하우징 내의 보유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18. The electrical connector as claimed in claim 16 wherein the electrical connector further comprises an insulating insert for supporting the contact terminals and a retaining means in the housing for retaining the insert in the housing. 제18항에 있어서, 보유 수단은 삽입체를 제1 개구와 제2 개구 사이에 위치시키는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19. An electrical connector as in claim 18 wherein the retaining means includes a structure for positioning the inser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제19항에 있어서, 보유 수단은 삽입체를 활주 가능하게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20. An electrical connector as in claim 19 wherein the retaining means slidably receive the insert. 제16항에 있어서, 개구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배치된 삽입축을 갖고 있는 RJ 시리즈 리셉터클로 구성되며 하우징의 높이는 약 2.29 ㎝(0.90 인치)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The electrical connector of claim 16 wherein the opening consists of an RJ series receptacle having insertion axes disposed in a substantially parallel relationship and the height of the housing is less than about 2.29 cm (0.90 inch). 제21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높이는 약 2.21 ㎝(0.87 인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22. The electrical connector of claim 21 wherein the height of the housing is about 2.21 cm (0.87 inch). 제16항에 있어서, 제1 개구의 삽입축은 제2 개구의 삽입축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17. The electrical connector as claimed in claim 16, wherein the insertion axis of the first opening is laterally offset from the insertion axis of the second opening. 제16항에 있어서, 각각의 접촉 단자들은 미부와 결합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미부는 단일 라인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17. The electrical connector as claimed in claim 16, wherein each of the contact terminals includes a circuit board that engages with the tail, and the tail is arranged in a single line. 제1 삽입축을 따라 결합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제1 개구와 제2 삽입축을 따라 결합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제2 개구를 갖는 하우징과,A housing having a first opening for receiving the mating connector along the first insertion axis and a second opening for receiving the mating connector along the second insertion axis; 하우징 내에 보유된 복수개의 접촉 단자들을 포함하며,A plurality of contact terminals held in the housing, 제2 개구는 제1 개구에 적층 관계로 있고, The second opening is in a laminated relationship with the first opening, 각각의 접촉 단자는 결합부와, 커넥터가 장착되는 회로 기판과 결합하기 위한 미부와, 제1 개구와 제2 개구 사이에 배치되어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의 어레이로 배열된 중간부를 갖고 있으며,Each contact terminal has a coupling portion, a tail for coupling with a circuit board on which a connector is mounted, and an intermediate portion arranged between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and arranged in an substantially coplanar array, 접촉 단자들은 제1 그룹과 제2 그룹을 포함하고, 접촉 단자의 제1 그룹의 결합부는 제1 개구 내에 배치되며, 접촉 단자의제2 그룹의 결합부는 제2 개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The contact terminals comprise a first group and a second group, the engaging portion of the first group of contact terminals being arranged in the first opening, and the engaging portion of the second group of contact terminals being arranged in the second opening connector.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접촉 단자들의 미부는 단일 라인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26. The connector of claim 25 wherein the tails of the plurality of contact terminals are arranged in a single line. 제25항에 있어서, 단자를 보유하기 위한 단자 보유 부재와, 보유 부재를 하우징 내에서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26. The electrical connector of claim 25 further comprising a terminal retaining member for retaining the terminal and means for securing the retaining member in the housing. 제27항에 있어서, 접촉 단자의 중간부는 단자 보유 부재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28. The electrical connector as claimed in claim 27, wherein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contact terminal is fixed to the terminal holding member. 제25항에 있어서, 접촉 단자들 중 제1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단자는 접촉 단자들 중 제2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단자가 상호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7. The electrical connector as claimed in claim 25, wherein at least one contact terminal of the first group of contact terminals is fitted with at least one contact terminal of the second group of contact terminals. 제29항에 있어서, 제1 개구는 제2 개구로부터 측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30. The electrical connector as in claim 29 wherein the first opening is laterally offset from the second opening. 제25항에 있어서, 제1 개구의 기부는 제2 개구의 기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26. The electrical connector of claim 25 wherein the base of the first opening is disposed adjacent the base of the second opening. 제31항에 있어서, 제1 개구는 제2 개구에 대해서 측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32. The electrical connector of claim 31 wherein the first opening is laterally offset relative to the second opening. 제25항에 있어서, 각각의 결합부는 관련된 개구 내로 연장되는 외팔보형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26. An electrical connector as in claim 25 wherein each engagement portion comprises a cantilevered portion extending into an associated opening. RJ 시리즈 모듈 잭 리셉터클이며,RJ series modular jack receptacle, 결합면 및 회로 기판 접촉면을 갖는 하우징과,A housing having a mating surface and a circuit board contact surface, 적층 관계로 배열된 결합면 내의 제1 개구 및 제2 개구와,A first opening and a second opening in the mating surface arranged in a stacking relationship, 개구 내로 삽입된 결합 RJ 시리즈 플러그와 결합되도록 위치된 각각의 개구 내의 접촉 단자들을 포함하며,Contact terminals in each opening positioned to engage a mating RJ series plug inserted into the opening, 상기 하우징의 높이는 약 2.29 ㎝(0.90 인치)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J 시리즈 모듈 잭 리셉터클.RJ series module jack receptacle, wherein the height of the housing is less than about 2.29 cm (0.90 inch). 제34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높이는 약 2.21 ㎝(0.87 인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J 시리즈 모듈 잭 리셉터클.35. The RJ series module jack receptacle of claim 34 wherein the height of the housing is about 2.21 cm (0.87 inch). 제34항에 있어서, 접촉 단자는 개구들 사이에 위치된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의 어레이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J 시리즈 모듈 잭 리셉터클.35. The RJ series modular jack receptacle of claim 34 wherein the contact terminals are disposed in a substantially coplanar array positioned between the openings. 제34항에 있어서, 접촉 단자의 어레이는 두 그룹으로 나뉘고, 제1 그룹은 제2 개구에 배치되는 결합 단자부분을 갖고, 제2 그룹은 제2 개구에 배치되는 접촉 단자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J 시리즈 모듈 잭 리셉터클.35. The arrangement of claim 34, wherein the array of contact terminals is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having coupling terminal portions disposed in the second opening, and the second group having contact terminal portions disposed in the second opening. RJ series modular jack receptacle. 제36항에 있어서, 접촉 단자들 중 제1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단자에는 접촉 단자들 중 제2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단자가 상호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J 시리즈 모듈 잭 리셉터클.37. The RJ series module jack receptacle of claim 36 wherein at least one contact terminal of a second group of contact terminals is fitted to at least one contact terminal of a first group of contact terminals. 제36항에 있어서, 접촉 단자 어레이는 제1 그룹을 구성하는 어레이 중 제1 단자, 제2 단자, 제3 단자 및 제6 단자와, 제2 그룹을 형성하는 제5 단자, 제8 단자, 제9 단자 및 제10 단자를 포함하는 10개의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J 시리즈 모듈 잭 리셉터클. 37. The contact terminal array of claim 36, wherein the contact terminal array comprises first, second, third, and sixth terminals of the array constituting the first group, and the fifth, eighth, and fifth terminals forming the second group. An RJ series modular jack receptacle comprising ten terminals including a ninth terminal and a tenth terminal. 제39항에 있어서, 어레이의 제4 단자는 제1 그룹에 있고, 어레이의 제7 단자는 제2 그룹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J 시리즈 모듈 잭 리셉터클.40. The RJ series module jack receptacle of claim 39 wherein the fourth terminal of the array is in the first group and the seventh terminal of the array is in the second group. 제34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제1 열에 배열된 복수개의 제1 개구와, 제2 열에 배열된 제2 개구를 포함하며, 제1 열과 제2 열은 적층 관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J 시리즈 모듈 잭 리셉터클.35. The RJ series module of claim 34, wherein the housing comprises a plurality of first openings arranged in a first row and a second opening arranged in a second row, the first and second rows being in a stacked relationship. Jack Receptacle. 제41항에 있어서, 각각의 개구는 기부를 갖고, 제1 열을 형성하는 개구의 기부는 제2 열의 개구의 기부와 인접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J 시리즈 모듈 잭 리셉터클.42. The RJ series module jack receptacle of claim 41 wherein each opening has a base and the base of the opening forming the first row is disposed adjacent to the base of the opening in the second row. 제42항에 있어서, 접촉 단자의 어레이는 제1 개구 쌍과 제2 개구 쌍 사이에 배치되며, 각각의 어레이의 접촉 단자들 중 제1 그룹은 개구 쌍의 제1 개구 내로 연장되는 결합부를 갖고, 접촉 단자들 중 제2 그룹은 개구 쌍의 제2개구 내로 연장되는 결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J 시리즈 모듈 잭 리셉터클.43. The array of claim 42 wherein the array of contact terminals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pair of openings and the second pair of openings, wherein a first group of contact terminals of each array has couplings extending into the first openings of the pair of openings, And a second group of contact terminals having a coupling extending into the second opening of the pair of openings.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접촉 단자 보유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접촉 단자의 각각의 어레이는 상기 보유 수단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보유 수단을 하우징 내에 수용하기 위한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J 시리즈 모듈 잭 리셉터클.44. The apparatus of claim 43, wherein the receptacle further comprises contact terminal retaining means, each array of contact terminals being supported by the retaining means, the housing comprising a structure for receiving the retaining means in the housing. RJ series modular jack receptacle characterized in that. 제44항에 있어서, 보유 수단을 하우징 안으로 활주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J 시리즈 모듈 잭 리셉터클.45. The RJ series modular jack receptacle of claim 44, wherein the retaining means can be slidably inserted into the housing. 제45항에 있어서, 보유 수단은 복수개의 부재를 포함하고, 각각의 부재는 상기 접촉 단자 어레이들 중 하나의 어레이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J 시리즈 모듈 잭 리셉터클.46. The RJ series module jack receptacle of claim 45 wherein the retaining means comprises a plurality of members, each member holding an array of one of the contact terminal arrays. 제41항에 있어서, 제1 열의 개구는 제2 열의 개구로부터 측방향으로 오프셋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J 시리즈 모듈 잭 리셉터클.42. The RJ series module jack receptacle of claim 41 wherein the openings in the first row are laterally offset from the openings in the second row. 제34항에 있어서, 각각의 접촉 단자는 커넥터가 장착되는 회로 기판과 접촉하기 위한 미부를 포함하고 있고, 모든 미부는 단일 라인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J 시리즈 모듈 잭 리셉터클.35. The RJ series module jack receptacle of claim 34 wherein each contact terminal comprises tails for contacting the circuit board on which the connector is mounted, all tails arranged in a single line. 제27항에 있어서, 전기적으로 공유된 복수개의 접촉 단자들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The electrical connector of claim 27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electrically shared contact terminals. 제49항에 있어서, 공유된 접촉 단자들은 접촉 단자 보유 부재에 의해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The electrical connector as claimed in claim 49 wherein the shared contact terminals are supported by the contact terminal retaining member.
KR10-1998-0008256A 1997-03-13 1998-03-12 Low profile double deck connector with improved cross talk isolation KR1005158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8256A KR100515860B1 (en) 1997-03-13 1998-03-12 Low profile double deck connector with improved cross talk isol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816,846 1997-03-13
KR10-1998-0008256A KR100515860B1 (en) 1997-03-13 1998-03-12 Low profile double deck connector with improved cross talk isola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771A Division KR100517842B1 (en) 1997-03-13 2005-03-25 Low profile double deck connector with improved cross talk isol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5860B1 true KR100515860B1 (en) 2005-11-25

Family

ID=43673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8256A KR100515860B1 (en) 1997-03-13 1998-03-12 Low profile double deck connector with improved cross talk isol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5860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9757A (en) * 1989-01-27 1990-03-20 The Siemon Company Modular jack patch block
EP0658953A2 (en) * 1993-12-14 1995-06-21 The Whitaker Corporation Multi-port modular jack assembly
US5562507A (en) * 1994-11-25 1996-10-08 Kan; Bright Two-layer type multi-wire connection socket structure
WO1997010625A1 (en) * 1995-09-12 1997-03-20 Berg Technology, Inc. Double row modular gang jack for board edge application
US5639267A (en) * 1996-01-26 1997-06-17 Maxconn Incorporated Modular jack assembl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9757A (en) * 1989-01-27 1990-03-20 The Siemon Company Modular jack patch block
EP0658953A2 (en) * 1993-12-14 1995-06-21 The Whitaker Corporation Multi-port modular jack assembly
US5562507A (en) * 1994-11-25 1996-10-08 Kan; Bright Two-layer type multi-wire connection socket structure
WO1997010625A1 (en) * 1995-09-12 1997-03-20 Berg Technology, Inc. Double row modular gang jack for board edge application
US5639267A (en) * 1996-01-26 1997-06-17 Maxconn Incorporated Modular jack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7842B1 (en) Low profile double deck connector with improved cross talk isolation
EP1622234B1 (en) Low-crosstalk modular communication connector
US6923673B2 (en) Low crosstalk modular communication connector
US6511348B1 (en) Modular jack assembly with signal conditioning
US7357673B2 (en) Shielded cage assembly for electrical connectors
US6419526B1 (en) High frequency bi-level offset multi-port jack
US6231391B1 (en) Connector apparatus
US6146202A (en) Connector apparatus
US6592395B2 (en) In-line cable connector assembly
US5772472A (en) Terminal block for high transmission rates
CA2298409A1 (en) Dual multiport rj connector arrangement
US8096839B2 (en) Telecommunications connector panel with interport crosstalk isolation
AU701705B2 (en) Terminal block for high transmission rates
KR100515860B1 (en) Low profile double deck connector with improved cross talk isolation
KR100662677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rnal shield
CA2688179C (en) Telecommunications connector panel with interport crosstalk iso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