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4537B1 - Working Vehicle - Google Patents

Working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4537B1
KR100514537B1 KR10-2003-0066867A KR20030066867A KR100514537B1 KR 100514537 B1 KR100514537 B1 KR 100514537B1 KR 20030066867 A KR20030066867 A KR 20030066867A KR 100514537 B1 KR100514537 B1 KR 100514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er
scribing
actuator
control means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68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47559A (en
Inventor
나가이히로시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47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75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4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4537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01B69/02Ridge-marking or like devices; Checkrow wire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085Broadcast seed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이앙기 등의 농작업기의 선긋기 마커(Marker)를 기립(起立)위치(선을 긋지 않는 상태)로부터 선긋기 마커의 하강위치(선긋기 상태)로 바꾸는 경우의 낭비적인 소비전력의 소모를 피하고, 또한 선긋기 마커의 작용부가 간섭물에 닿아 파손되는 경우가 없도록 한 것이다. Avoids wasteful power consumption when changing the scribing marker of a farming machine such as a rice transplanter from a standing position (not drawing) to a lowering position (drawing status) of the scribing marker. The working part of is not to be damaged by touching the interference.

주행차체 위에 설치된 농작업을 하는 기체(機體)의 진행과 동시에 다음 행정에서 기체가 통과하는 위치의 밭 표토면(表土面)에 선긋기하는 선긋기 마커를 액츄에이터(Actuator)에 의해 선긋기 위치로 바꾸는 동작을 하여도, 선긋기 마커가 간섭물에 간섭되어 선긋기 위치로 바꾸어 지지 않을 때, 일단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정지하고, 소정시간 후에 다시 작동시켜서 상기 동작을 되풀이하는 농작업기의 선긋기 방법이다. At the same time as the work of the agricultural work installed on the traveling vehicle progresses, the operation of changing the scribing marker to the scribing position by the actuator is done by draping the topsoil surface of the field where the gas passes in the next stroke. Even if the scribing marker does not change to the scribing position because the scribing marker interferes with the interference, it is a method of scribing a farm implement which repeats the operation b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once and then reactivating it after a predetermined time.

Description

농작업기{Working Vehicle}Agricultural Vehicle

본 발명은, 선긋기 마커의 자세를 제어하는 장치를 설치한 이앙기 등의 농작업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rming machine such as a rice transplanter provided with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posture of the scribing marker.

이앙기 등의 농작업기는, 왕복하여 모 심기를 할 때에, 다음행정에서 농작업기의 좌우중심이 통과하는 위치를 표토면(表土面)에 선긋기하는 선긋기 마커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선긋기 마커는 농작업기의 좌우 양쪽에 기립(起立)·하강 전환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다음행정 쪽의 선긋기 마커를, 상기 작용부가 표토면에 접하도록 기립위치로부터 하강시키고, 상기 하강한 선긋기 마커의 작용부에서 표토면을 긁어 선을 긋도록 되어 있다. 농작업기가, 다음행정에서 모심기 작업을 할 때에, 상기 선긋기 흔적을 기체의 좌우 중심이 통과하도록 기체를 진행시키면, 각 행정의 모심기 줄기가 평행하게 마무리된다. 그리고, 선긋기 마커를 주행차체 측부에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A farming machine such as a rice transplanter is provided with a scribing marker which draws a position on the topsoil surface where the left and right centers of the agricultural work machine pass in the next stroke when reciprocating and planting. The scribing markers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gricultural work machine so as to be able to stand up and down. The scribing marker on the next administrative side is lowered from the standing position so that the working portion contacts the surface of the soil. The surface of the surface is scratched and drawn on the working part of. When a farm worker performs planting work in the next stroke, when a gas advances so that the left-right center of a gas may pass through the said trace, the planting stem of each stroke will be finished in parallel. And a scribing marker is often provided in the traveling vehicle body side part.

[특허문헌 1][Patent Document 1]

일본 특개평 11-75426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11-75426

[특허문헌 2][Patent Document 2]

일본 특개평 11-243716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11-243716

변형 밭의 밭이랑 근처 등에서 부분적으로 기립(起立)한 선긋기 마커의 선단(先端)을 하강시켜서 선긋기가 가능한 상태로 할 때(상기 상태를 선긋기 마커의 작동상태라고 하는 것으로 한다)에 밭이랑에 선긋기 마커의 작용부가 닿아, 마커를 파손시킬 우려가 있다. When the tip of the scribing marker which is partially standing up near the dent of the deformed field is lowered to make the scribing possible (the above state is referred to as the operation state of the scribing marker). There is a fear that the working part may come in contact and break the marker.

또한, 이와 같이 선긋기 마커를 작동상태로 하고자 하여 작용부를 내린 때에, 마커가 밭이랑 등의 장해물에 닿으면 바로 선긋기 마커를 비 작동(非 作動)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이 생각되어지나, 몇번이나 작동상태와 비 작동상태를 반복하는 것으로 되어 액츄에이터에 의한 헛된 에너지 소비가 된다. In addition, it is thought that when the lowering of the working part in order to put the scribing marker in operation in this manner, the scribing marker immediately returns to the non-operational state when the marker touches an obstacle such as a field or the like. Repeating the non-operational state results in wasted energy consumption by the actuator.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이앙기 등의 농작업기의 선긋기 마커를 기립위치(선을 긋지 않은 상태)로부터 선긋기 마커의 하강위치(선긋기 상태)로 바꾸는 경우 헛된 소비전력의 소모를 피하고, 또한 선긋기 마커의 작용부가 간섭물에 닿아 파손하는 경우가 없도록 하는 것이다. Theref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void wasteful power consumption when changing the scribing marker of a farming machine such as a rice transplanter from an upright position (not drawn) to the lowered position of the scribing marker (drawing). It is to ensure that the working part does not touch and interfere with the interferenc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채용하였다. 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this invention employ | adopted the following structures.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주행차체(2) 위에 설치된 농작업을 하는 기체의 진행과 동시에 다음행정에서 기체가 통과하는 위치의 밭 표토면에 선긋기하는 선긋기 마커(80)와, 선긋기 마커(80)를 기체의 진행방향의 좌우 한 쪽에 연장된 선긋기 위치와 기체의 위쪽으로 꺾어 굽힌 선을 긋지 않은 위치의 어딘가에 구동하는 액츄에이터(89)를 장착한 농작업기에 있어서, 액츄에이터(89)에 의해 선긋기 마커(80)를 선긋기 위치로 바꾸는 동작을 하여도, 선긋기 마커(80)가 간섭물에 간섭되어 선긋기 위치로 바꾸어 지지 않을 때, 일단 액츄에이터(89)의 작동을 정지하고, 소정시간 후에 다시 작동시켜서 상기 동작을 반복하는 선긋기 마커 제어수단(97)을 구비한 농작업기이다.That is,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includes a scribing marker 80 and a scribing marker that draws on the topsoil of the field at the position where the gas passes through at the same time as the gas for agricultural work provided on the traveling vehicle body 2 passes. In the agricultural work machine equipped with the actuator 89 which drives 80 in the line drawing position extend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base, and the position which does not draw the line bent upward of the base, the line drawing by the actuator 89 Even when the marker 80 is moved to the scribing position, when the scribing marker 80 does not change to the scribing position due to interference with the interference object,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89 is stopped once, and then operated again after a predetermined time. It is an agricultural work machine provided with the scribing marker control means 97 which repeats the above operation.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액츄에이터(89)의 헛된 작동이 없게 되어 선긋기 마커(80)도 파손되지 않는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the idle operation of the actuator 89 is not lost, and the scribing marker 80 is not damaged.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선긋기 마커 제어수단(97)이, 선긋기 마커(80)에 의한 상기 선긋기 위치로의 교체동작이 소정회수 반복되어도 선긋기 위치로 바꿀 수 없는 경우에는, 선긋기 위치에 선긋기 마커(80)를 바꾸는 동작을 정지하는 청구항 1 기재의 농작업기이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2, when the scribing marker control means 97 cannot change the scribing position to the scribing position even when the replacement operation to the scribing position by the scribing marker 80 is repeat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scribing marker ( The agricultural work machine of Claim 1 which stops the operation | movement which changes 80).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1 기재의 작용에 부가하여, 선긋기 마커(80)의 헛된 전환동작을 중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2, in addition to the op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claim 1, the wasteful switching operation of the scribing marker 80 can be stopped.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선긋기 마커 제어수단(97)이, 선긋기 마커(80)를 선긋기 위치로 바꿀 수 없는 경우에는, 선긋기 마커(80)의 상기 선긋기 위치로의 전환동작의 정지 반복회수를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는 청구항 1 기재의 농 작업기이다.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3 changes the number of stop repetitions of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cribing marker 80 to the scribing position when the scribing marker control means 97 cannot change the scribing marker 80 to the scribing position. It is an agricultural work machine of Claim 1 which can be set.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1 기재의 작용에 부가하여, 선긋기 마커(80)의 헛된 전환동작을 각각의 환경에 맞은 적절한 회수로 설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3, in addition to the action of the above-mentioned claim 1, the wasteful switching operation of the scribing marker 80 can be set to an appropriate number of times suitable for each environment.

[실시예]EXAMPLE

이하, 본 발명의 농작업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인 이앙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시비기(施肥機)나 약제 살포기 등의 다른 농 작업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Hereinafter, although the rice transplanter which is a preferable embodiment of the agricultural work machine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this invention is applicable also to other agricultural work machines, such as a fertilizer and a chemical | medical agent spreader.

이앙기(1)는, 승용주행차체(2)의 후측에 승강링 장치(3)를 개재하여 8포기 심기의 모심기부(4)를 승강가능하게 장착함과 동시에, 모심기부(4) 쪽에 비료토출구를 설치한 시비장치(5)의 본체부가 승용주행차체(2)의 후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전체로 8포기 심기 승용 시비 이앙기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앙기의 진행방향을 전후방향이라고 하고, 진행방향을 향하여 좌우의 방향을 좌우방향이라고 한다. The rice transplanter 1 mounts and mounts the seedling base part 4 of 8 bag | latter plantings via the lifting ring apparatus 3 in the rear side of the passenger driving body 2, and at the same time, the fertilizer discharge port to the seedling base part 4 side. The main body part of the fertilizer 5 provided with this is attached to the rear part of the passenger vehicle body 2, and is comprised as a whole fertilizer fertilizer for 8 planting planters. In addition, in this invention, the advancing direction of a rice transplanter is called front-back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toward an advancing direction is called left-right direction.

주행차체 2는, 기체의 앞 부분에 밋션케이스(10)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좌우측 방향에 전륜 파이널케이스(11)가, 전륜 파이널케이스로부터 바깥을 향하게 돌출되는 전륜차축에 전륜(1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밋션케이스(10)의 배면부(背面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메인 프레임(14)의 후단부에, 전후방향의 롤링축(15)에 의해 좌우의 후륜 기어 케이스(16)가 롤링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상기 후륜 기어케이스의 외측부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돌출하는 후륜차축에 주 후륜(17) 및 보조후륜(18)이 설치되어 있다. In the traveling body 2, the mission case 10 is arranged in the front part of the body, and the front wheel 12 is provided in the front wheel axle, in which the front wheel final case 11 protrudes outward from the front wheel final cas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t is. In addition, the rear wheel gear case 16 on the left and right sides is freely rolled by the rolling shaft 15 in the front-rear direction at the rear end of the main frame 14 extending rearward from the rear part of the mission case 10. A main rear wheel 17 and an auxiliary rear wheel 18 are provided on the rear wheel axle, which is supported and projects laterally from the outer side of the rear wheel gear case.

메인 프레임(14) 위에 엔진(20)이 탑재되고, 상기 엔진(20)의 위쪽을 덮는 엔진카버(21)의 위에 좌석(22)이 설치되어 있다. 좌석(22)의 전방에는, 전륜(12)을 조향조작하는 핸들(2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핸들(23)의 아래쪽에는, 각종 경고램프와 각종 조작스위치와 각종 표시램프가 설치된 조작패널 B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좌석(22)과 핸들(23)의 주변부에는, 각종 레버, 패달류, 내부에 후술하는 제어장치(97)를 내장한 제어박스(25) 등이 설치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14) 위의 메인스탭(26)과 보조스탭(27)은, 그 위를 오퍼레이터가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메인스탭(26) 및 보조스탭(27)의 후부는, 주 후륜(17) 및 보조후륜(18)과 간섭하지 않도록 높게 되어있다. 또한, 기체 좌우측으로부터 스탭(27)위에 오르거나 내리거나 할 때에 사용하는 발판(28)이 스탭(27)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The engine 20 is mounted on the main frame 14, and the seat 22 is installed on the engine cover 21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engine 20. In front of the seat 22, a steering wheel 23 for steering the front wheel 12 is provided. And below the handle 23, the operation panel B provided with the various warning lamps, various operation switches, and various display lamps is arrange | positioned. Further, at the peripheries of the seat 22 and the handle 23, various levers, pedals, and a control box 25 incorporating a control device 97 to be described later are provided. The main step 26 and the auxiliary step 27 on the main frame 14 allow the operator to move over the main step 26. In addition, the rear part of the main step 26 and the auxiliary step 27 is made high so that it may not interfere with the main rear wheel 17 and the auxiliary rear wheel 18. Moreover, the step 27 is provided in the step 27, respectively, which is used when moving up or down on the step 27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승강링 장치(3)는, 메인프레임(14)의 후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된 링 베이스(30)에 회동 자유롭게 설치된 상(上) 링(31) 및 하(下) 링(32)을 구비하고, 이들 상하링(31,32)의 후단부에 종(縱) 링(33)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종 링(33)의 하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베어링 부에 모심기부 쪽으로 고착(固着)된 연결축(34)이 회전 자유롭게 삽입연결되고 있다. 메인프레임(14)에 고착된 지지부재에 베이스부가 지지된 승강 유압실린더(36)의 피스톤로드가 상 링(31)과 일체로 설치된 스윙암(37)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 유압실린더(36)를 신축시키면, 승강링 장치(3)가 승강작동하고, 모심기부(4)가 거의 일정자세인 채로 승강한다. The lifting ring device 3 includes an upper ring 31 and a lower ring 32 rotatably installed in a ring base 30 fixedly fixed to a rear end of the main frame 14, A longitudinal ring 33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se upper and lower rings 31 and 32. And the connecting shaft 34 fixed to the bearing part protruded to the bearing part which protrudes back from the lower end part of the longitudinal ring 33 is rotatably inserted and connected. The piston rod of the lifting hydraulic cylinder 36 whose base is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fixed to the main frame 14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wing arm 37 which is integrally installed with the upper ring 31, and the lifting hydraulic cylinder When 36 is expanded and contracted, the lifting ring device 3 moves up and down, and the planting base unit 4 moves up and down almost at a constant posture.

모심기부(4)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심기 전동축(40, 도 1)을 개재하여 주행차체측의 동력이 전달되는 전동케이스(41a)와, 좌우 병렬로 배치된 4개의 심기 전동프레임(41b)과, 전동케이스(41a)와 심기 전동프레임(41b)을 연결하는 연결파이프(41c)로 모심기부 프레임(41)을 구성하고, 상기 모심기부 프레임(41)의 위쪽에 모 탑재대(42)가 설치되고, 또한 각 심기 전동프레임(41b)의 후단부 좌우 양쪽에 합계 8조(組)의 심기장치(43)가 설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seedling planting part 4 is a transmission case 41a through which the power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is transmitted via the planting transmission shaft 40 (FIG. 1), and four planting transmission frames arranged side by side in parallel. 41b and the connection pipe 41c which connects the transmission case 41a and the planting transmission frame 41b, and comprises the planting part frame 41, and has a parent mounting table above the planting part frame 41. 42 is provided, and a total of 8 sets of planting devices 43 are provid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rear ends of each planting transmission frame 41b.

모 탑재대(42)는, 심기 전동프레임(41b)에 설치부재(44)를 개재하여 설치한 지지레일(45)과, 좌우 양단의 심기 전동프레임(41b), 41b에 베이스부가 고착된 모 탑재대 지지 프레임(46)과, 상기 상부에 설치된 롤러(47)과에 의해 좌우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으며, 전동케이스(41a) 내의 가로이송기구에 의해 좌우로 왕복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좌우 왕복운동에 의해, 모 탑재대(42)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모가 지지레일(45)과 일체의 모받침틀에 형성된 모 취출구(45a,도 2참조)에 1포기씩 공급된다. 상기 모 취출구(45a)에 공급된 모를 심기장치(43)가 밭에 심는다. 모 탑재대(42)가 좌우행정의 단부(端部)까지 이동하고 최하단의 모가 모두 심어지면, 모 이송벨트(48)가 작동하여, 탑재대 위의 모를 1단(段) 분 만큼 아래쪽으로 이송한다.  The mother mounting table 42 includes a support rail 45 installed on the planting transmission frame 41b via the mounting member 44, and a mother mounting unit on which the base is fixed to the planting transmission frame 41b and 41b at both ends. It is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46 and the roller 47 provided in the upper part to be slid freely from side to side, and is reciprocated from side to side by the horizontal transfer mechanism in the transmission case 41a. By the left and right reciprocating motion, the hairs position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mother mounting table 42 are supplied one by one to the hair outlets 45a (see FIG. 2) formed on the support rail 45 and the mother support frame integrally. The seedling planting device 43 supplied to the hair outlet 45a is planted in the field. When the mother mounting table 42 moves to the end of the left and right strokes and all the lowermost hairs are planted, the mother conveying belt 48 is operated to transfer the hairs on the mounting table downward by one step. do.

전동케이스(41a)에 입력된 동력은, 연결파이프(41c)와 심기 전동프레임(41b) 내의 전동수단에 의하여 심기장치(43)으로 전달된다. 상기 전동경로 중에는, 심기장치(43)의 작동 및 정지를 인접하는 2줄기씩의 단위로 바꾸는 클러치(50), ...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50)는, 밭이랑 사이에서의 작업시에 「OFF」로 조작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부터, 통상 「밭이랑 클러치」로 불리고 있다. 밭이랑 클러치(50), 의 ON ·OFF 조작은, 모 탑재대 지지 프레임(46)의 상부에 설치된 밭이랑 클러치 레버(51)로 한다. The power input to the transmission case 41a is transmitted to the planting device 43 by the transmission means in the connection pipe 41c and the planting transmission frame 41b. In the transmission path, a clutch 50 for changing the operation and the stop of the planting device 43 in units of two adjacent stems is provided. Since the said clutch 50 is often operated by "OFF" at the time of working between a field and a field, it is normally called "a field and a clutch."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field and the clutch 50 is performed by the field and the clutch lever 51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mother table support frame 46.

모심기부(4)의 하부에는, 센터 플로우트(Float, 53)와 사이드 플로우트(54)의 합계 4개의 정지용(整地用) 플로우트가 설치되어 있다. 이 들 플로우트를 밭의 진흙면에 접지시킨 상태에서 기체를 진행시키면, 플로우트가 진흙면을 정지(整地)하면서 활주한다. 그리고, 상기 정지 궤적에 모가 심어진다. In the lower part of the planting part 4, the four floating floats of the center float 53 and the side float 54 are provided in total. When the gas is advanced while the float is grounded on the mud surface of the field, the float slides while stopping the mud surface. Then, the seed is planted in the stop trajectory.

모심기부(4)는, 상기 연결축 (34)을 중심으로 롤링 자유롭게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세로 링(33)에는 회동 중심축(60)을 지점으로 하여 회동 자유롭게 롤링암(6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롤링암(61)과 모 탑재대 프레임(46)이 롤링 스프링(62), 62로 연결되고, 모심기부(4)를 탄력적으로 좌우 중립위치로 복귀이동하도록 작용한다. 또한, 모 탑재대(42)와 롤링암(61)이 밸런스 스프링(63)으로 연결되고, 모 탑재대(42)가 좌우 중앙으로부터 이동한 경우에도 모 탑재대(42)의 좌우 밸런스가 유지되도록 되어있다. 롤링암(61)의 하부에는 부채형 기어(65)가 형성되고, 상기 부채형 기어에 피니언(66)이 맞물려있다. 롤링모터(67)에서 피니언(66)을 회전시키면, 롤링암(61)이 회동하고, 롤링 스프링(62)을 개재하여 모심기부(4)의 좌우경사가 조절된다. 따라서, 승용 주행차체(2)의 전륜(12) 또는 후륜(17, 18) 중의 좌우 어딘가의 차륜이 경반(耕盤)의 요철에 의해 상하이동하고, 승용주행차체(2)가 좌우로 경사하면, 상기 차체의 좌우 경사각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인 좌우경사 센서(95, 도 1)가 검출하고, 자동적으로 모심기부(4)가 수평이 되도록 롤링모터(67)를 구동하여, 롤링암(61)을 회동시켜서, 항상 모심기부(4)가 수평으로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The seedling planting part 4 is free to roll around the said connection shaft 34. In addition, a rolling arm 61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vertical ring 33 with the pivot center axis 60 as a point, and the rolling arm 61 and the mother mounting frame 46 are rolling springs 62. ), 62, and acts to move the mother plant base portion 4 to the left and right neutral position elastically. In addition, the mother mounting table 42 and the rolling arm 61 are connected by the balance spring 63, so that the left and right balance of the mother mounting table 42 is maintained even when the mother mounting table 42 is moved from the left and right centers. It is. The fan-shaped gear 65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rolling arm 61, and the pinion 66 is meshed with the fan-shaped gear. When the pinion 66 is rotated in the rolling motor 67, the rolling arm 61 rotates, and the left and right inclination of the planting base portion 4 is adjusted via the rolling spring 62. Therefore, when the wheels on either side of the front wheel 12 or the rear wheels 17 and 18 of the passenger vehicle 2 are moved up and down by the irregularities of the light plate, and the passenger vehicle 2 inclines from side to side, The left and right tilt sensor 95 (Fig. 1), which is a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left and right inclination angles of the vehicle body, detects and automatically drives the rolling motor 67 so that the seedling unit 4 is horizontal, thereby rolling arm 61. By rotating, control is always performed so that the seedling planting unit 4 is horizontal.

또한, 모 탑재대(42)의 좌우 외측 1줄기 씩이 위쪽으로 접힘과 동시에, 지지레일(45)의 좌우 단부(端部)가 위쪽으로 꺽여 굽혀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운반시나, 격납(格納)시에 모심기부(4)의 좌우폭을 축소시킬수 있다. Further, the left and right one stem of the mother mounting table 42 is folded upward, and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support rail 45 are bent upward, and are configured to be bent at the time of transportation or storag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seedling base section 4 at the time.

시비장치(5)는, 주행차체(1)의 후부 위쪽에 비료탱크(70)와 비료 송출기(71)를 설치함과 동시에, 각 플로우트(53,54)의 좌우 양쪽에 작업홈 파기 기구(72)와 시비가이드(73)를 설치하고, 각 줄기의 비료 송출기(71)와 시비 가이드(73)를 플렉시블한 시비 호스(74)로 연결하고 있으며, 비료호퍼(70)내의 비료를 비료 송출기(71), ...에 의해 일정량씩 시비 호스(74)내에 송출하고, 상기 비료를 블로워(75)에서 발생시킨 압풍(壓風)에 의해 시비 가이드(73)로 반송하고, 홈파기 기구(72)에 의해 모심기 줄기의 측부(側部) 근처에 형성되는 시비용의 홈에 떨어져 들어 가도록 되어 있다. The fertilizer 5 installs the fertilizer tank 70 and the fertilizer dispensing machine 71 above the rear part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1, and at the same time, the working groove digging mechanism 72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loats 53 and 54, respectively. ) And fertilizer guide (73), fertilizer feeder (71) and fertilizer guide (73) of each stem are connected with a flexible fertilizer hose (74), and fertilizer feeder (71) in the fertilizer hopper (70). ), ... are sent out in the fertilizing hose 74 by a predetermined amount, and the fertilizer is conveyed to the fertilizing guide 73 by the blast wind generated by the blower 75, the groove digging mechanism 72 It is made to fall into the groove of the time slot formed near the side part of a planter stem by this.

주행차체(2)의 앞부분 좌우 양쪽에는, 모 탑재부(77a)가 다단(多段)으로 형성된 예비 모 탑재대(77)가 설치되어 있고, 작업자는 모 심기 작업 중에 모 탑재대(42)의 모가 적게 남은 때에, 상기 예비 모 탑재대(77)에 실린 모를 집어, 모 탑재대(42)에 보급한다.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part of the traveling vehicle 2, preliminary mother mounting tables 77 in which mother mounting portions 77a are formed in multiple stages are provided. When remaining, the hair loaded on the spare hair mounting table 77 is picked up and supplied to the hair mounting table 42.

주행차체(2)의 좌우 양쪽에는, 다음행정에서 기체의 좌우중심이 통과하는 위치를 표토면에 선긋기하는 선긋기 마커(8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선긋기 마커(80)는, 전륜 파이널케이스(11)에 지지된 지지 프레임(29)에 마커 프레임(79) 베이스 부가 전후방향의 회동축(79a)을 중심으로 지지되고, 마커 암(82)의 베이스부가 상하방향의 회동축(81)을 지점으로하여 회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마커 암(82)의 작용부에 선긋기 작용부(83)를 꺾어 굽힘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으며, 선긋기 작용부(83)의 선단이 접지 하도록 마커 암(82)이 수평모양으로 늘어난 선긋기 위치(작용위치)와, 마커 암(82)이 위쪽으로 기립한 후술하는 선을 긋지 않는 위치 또는 수납위치의 양쪽 위치(비작용위치)로 회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2, a scribing marker 80 which draws a position on the topsoil surface at which the left and right centers of the body pass in the next stroke is provided. The scribing marker 8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29 supported by the front wheel final case 11 about the pivot shaft 79a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marker frame 79, and the The base portion is freely rotatable with the pivot shaft 81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s a point, and the bending action portion 83 is bent freely by bending the actuation portion 83 of the marker arm 82. Position (acting position) in which the marker arm 82 extends in a horizontal shape so that the tip end thereof is grounded, and both positions (non-acting positions) or the storing position where the marker arm 82 stands up upwards. Position).

선긋기 마커(80)를 작용위치로 하강한 상태에서 기체를 진행시키면, 상기 선긋기 작용부(83)가 표토면을 세게 긁어 당겨 선을 긋는다. 다음행정에서는, 상기 선을 그은 궤적과 센터마스콧트 A가 시각상으로 합치하도록 핸들(23)의 조작을 행하면서 기체를 진행시킨다. When the gas is advanced in the state where the scribing marker 80 is lowered to the acting position, the scribing acting portion 83 scrapes the topsoil surface hard and draws a line. In the next stroke, the gas is advanced while the steering wheel 23 is operated so that the trajectory of the line coincides with the center mascot A visually.

또한 도 3의 측면도와 도 4의 평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긋기 마커기구의 구동을 전동모터 구동식으로 하였다. 도 3, 도 4에 나타내는 전동마커의 구성에서는, 지지프레임(29)에는 마커프레임(79)이 지지프레임(29)과의 접속부를 중심으로, 수동으로 수평방향에 기체측면에 따라서 수납할 수 있도록 꺾어 굽힐 수 있는 구성을 가지며, 또한 마커프레임(79)의 선단(先端)에는 마커암(82)이 마커모터(89)에서 꺾어 굽힘이 자유롭게 접속되고 있다. Moreover, as shown in the side view of FIG. 3 and the top view of FIG. 4, the drive of the scribing marker mechanism was made into an electric motor drive typ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marker shown in FIGS. 3 and 4, the marker frame 79 is supported on the support frame 29 so that the marker frame 79 can be accommod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nually along the side of the body. It has the structure which can be bent, and the marker arm 82 is bent by the marker motor 89 at the tip of the marker frame 79, and the bending is freely connected.

마커프레임(79)이 작용부에는 브라켓(88)이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88)에는 마커모터(89)가 설치되며, 상기 모터(89)의 회전축에 설치된 피니언(90)과 마커암(82)의 베이스부에 설치된 원형기어(91)가 맞물려 있다. The marker frame 79 is provided with a bracket 88 on the acting portion, the marker motor 89 is installed on the bracket 88, the pinion 90 and the marker arm 82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89. Is engaged with the circular gear 91 provided in the base portion of

또한 상기 기어(91)의 회전에 의해, 상기 브라켓(88)에 설치된 마커센서(92)는, 마커암(82)의 회동량을 검출할 수 있고, 마커암(82)이 선긋기 위치인 수평위치로 이동을 완료한 시점에서 마커모터(89)의 회전이 정지하는 한편, 마커암(82)을 기립시켜, 도 3의 점선위치(마커 선긋지 않는 위치) 또는 일점쇄선위치(마커 수납위치)에 마커암(82)을 이동시킨 후, 정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by the rotation of the gear 91, the marker sensor 92 provided in the bracket 88 can detect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marker arm 82, and the horizontal position at which the marker arm 82 is a scribe position. The rotation of the marker motor 89 is stopped at the time when the movement is completed, while the marker arm 82 is raised to a dotted line position (marker unmarked position) or one dashed line position (marker storage position) in FIG. After moving the marker arm 82, the marker arm 82 can be stopped.

또한, 마커암(82)의 수납위치(일점쇄선 위치)로의 마커암(82)의 회동량의 제어는, 도 5의 마커프레임(79)의 작용부의 측면도(브라켓(88)과 마커모터(89)의 도시 생략)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커프레임(79)과 마커암(82)의 각 단부에 각각 설치된 1쌍의 근접센서(93a, 93b)로부터 이루어지는 마커수납센서(93)를 사용할 수 있다. 마커암(82)이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수납위치로 회동하면 한쌍의 근접센서(93a, 93b)가 가장 근접위치에 오므로, 이때 마커수납센서(93)가 ON 상태로 되므로, 마커 수납위치로의 마커암(82)의 회동이 행하여 진 것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of the rotation amount of the marker arm 82 to the storage position (a dashed-dotted position) of the marker arm 82 is a side view (bracket 88 and the marker motor 89) of the action part of the marker frame 79 of FIG. (Not shown), a marker storage sensor 93 made up of a pair of proximity sensors 93a and 93b provided at each end of the marker frame 79 and the marker arm 82 can be used. When the marker arm 82 rotates to the storage position indicated by the dashed line, the pair of proximity sensors 93a and 93b are in the closest position. At this time, the marker storage sensor 93 is in the ON state. It can be seen that the marker arm 82 is rotated.

상기 마커 선긋기 위치 또는 상기 마커수납 위치로의 마커암(82)의 회동량의 제어는 마커모터(89)의 출력회전량을 검출할 수 있는 모터를 이용하든지, 제어부(97)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제어하는 것으로 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마커 수납위치 또는 마커 선을 긋지 않은 위치에 마커암(82)을 이동시키는 제어를 프로그램으로 행한다. The rotation of the marker arm 82 to the marker line position or the marker storage position may be achieved by using a motor capable of detecting the output rotation amount of the marker motor 89 or by outputting an output signal from the controller 97. It can also carry out by controlling. In addition, a program is performed to control the marker arm 82 to move to the marker storage position or the position where the marker line is not drawn.

또한, 마커암(82)이 상기 수납위치로 회동하면, 마커암(82)의 상하이동을 금지하도록 전기회로 또는 전기 프로그램제어를 구성하여도 좋다. 마커암(82)이 준비성 없이 상하 이동하는 것에 의해, 선긋기 마커(80) 및 기체를 손상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when the marker arm 82 rotates to the storage position, an electric circuit or electric program control may be configured to prohibit the movement of the marker arm 82. This is because the marker arm 82 moves up and down without preparation, which may damage the scribing marker 80 and the gas.

도 6에는 상기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선긋기 마커(80)의 구동제어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내지만, 스티어링 센서(94)와 모심기부(4)를 승강 가능하게 장착하는 승강링 장치(3)의 승강위치를 검출하는 승강링 센서(95)와 좌우 한쌍의 마커센서(포텐쇼메타) 92R, 92L에 의한 마커암(82)의 검출과 좌우 한쌍의 마커수납센서 93R, 93L(각 한쌍의 근접센서 93a, 93b로부터 이루어 진다)에 의한 좌우의 마커암 82R, 82L의 검출로 좌우의 마커모터82R, 82L의 작동이 제어장치(97)로 컨트롤된다. Although FIG. 6 shows a block diagram of the drive control device for the scribing marker 80 as shown in FIG. 3 and FIG. 4, the elevating ring device for attaching and lowering the steering sensor 94 and the seedling unit 4 ( 3) Lifting ring sensor 95 for detecting the lifting position of the detector arm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marker sensors (potentiometers) 92R and 92L for detecting the marker arm 82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marker storage sensors 93R and 93L (one pair each) Of the left and right marker arms 82R, 82L by the proximity sensors 93a, 93b) of the left and right marker motors 82R, 82L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97.

도 7에는 농작업기의 마커기구의 마커수납 위치로부터 선긋기 위치로의 선긋기 셋트 동작의 도중에 선긋기 마커(80)의 작용부(83) 등이 도 9(a)에 나타내는 밭이랑 등의 간섭물에 닿은 경우의 마커모터(89)의 작동제어의 플로우를 나타낸다. 간단히 하기 위하여 도 6에 나타내는 마커모터(89)를 제어장치(97)에서 구동제어하는 기구를 설명한다. FIG. 7 illustrates the case where the acting portion 83 or the like of the scribing marker 80 touches an interference object such as a furrow shown in FIG. 9A during the scribing set operation from the marker storage position of the marker mechanism of the agricultural work machine to the scribing position. The flow of operation control of the marker motor 89 is shown. For the sake of simplicity, a mechanism for driving control of the marker motor 89 shown in FIG. 6 by the control apparatus 97 will be described.

선긋기 마커(80)의 작용부(83) 등이 밭이랑 등의 간섭물에 닿으면, 마커센서(92)가, 마커모터 89R, 89L로의 출력신호가 나오는 데도 불구하고, 마커센서 92R, 92L의 검출값에 변화가 없으므로, 마커모터(89)가 록크상태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마커모터 89R, 89L로의 전류값을 검출하고, 록크상태를 판단하는 방법도 있다). 상기 경우에는, 마커기구의 선긋기 위치로의 셋트동작을 중지한다. 그리고 5초간이 경과하면 다시, 상기 셋트조작을 반복한다. 이때 상기 재출력 회수가 상한값을 초과하고 있으면 마커(80)의 셋트동작을 정지한다. 또한 재출력 회수가 상한값 미만이면 마커(80)의 셋트의 재동작을 한다. When the acting portion 83 or the like of the scribing marker 80 touches an interference object such as a field, the marker sensor 92 detects the marker sensors 92R and 92L despite the output signal to the marker motors 89R and 89L. Since there is no change in the valu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marker motor 89 is in the locked state (there may be a method of detecting the current value to the marker motors 89R and 89L and determining the locked state). In this case, the setting operation to the scribing position of the marker mechanism is stopped. After 5 seconds has elapsed, the set operation is repeated. At this time, if the number of re-outputs exceeds the upper limit, the set operation of the marker 80 is stopped. If the number of re-outputs is less than the upper limit, the set of markers 80 is reactivated.

이렇게 하여, 변형 밭에서 밭이랑사이 근처에서 부분적으로 선긋기 마커(80)를 셋트하고 싶을 때의 낭비적인 동작을 정지(停止)하고, 전력소비를 절약함과 동시에 선긋기 마커(80)의 손상을 방지한다. In this way, the wasteful operation when it is desired to partially set the scribing marker 80 in the deformed field near the crotch is stopped, saving power consumption and preventing damage to the scribing marker 80. .

또한, 도 8의 플로우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동 선긋기 마커(80)의 위치제어에 있어서, 선긋기 마커(80)의 셋트 동작 중에 록크상태를 검출한 때, 한번 셋트출력을 정지하고, 마커 수납상태로 할 것인지 또는 다시 셋트 출력할 것인 지를 마커센서(92)의 값, 즉 선긋기 작용부(83)의 높이로 결정함과 동시에, 상기 값을 외부로부터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the flow of FIG. 8, in the position control of the electric scribing marker 80, when the lock state is detected during the set operation of the scribing marker 80, the set output is stopped once to return to the marker storing state. The value of the marker sensor 92, that is, the height of the scribing action portion 83, can be set at the same time as to determine whether to output or set output again.

도 8의 플로우의 경우에는, 도 9(b) 밭이랑 이외의 장해물(벽 등)에 간섭한 때에 선긋기 작용부(83) 기체쪽에 가깝고, 높은 위치에서 록크상태로 되면, 선긋기 마커(80)가 파손하는 것을 막을 수있다. 도 8의 플로우에 있어서, 마커수납부 동작과 그 정지(停止)는 마커스위치(미도시)의 ON ·0FF로 행할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the flow of FIG. 8, when it interferes with obstacles (walls, etc.) other than the field of FIG. 9 (b), when the line drawing part 83 is close to the base and becomes locked at a high position, the scribing marker 80 is broken. Can be prevented. In the flow of Fig. 8, the marker storage part operation and its stop can be performed by turning ON / 0FF of a marker switch (not shown).

또한, 작업자가 상기 마커수납 상태를 해제하고자 할 때, 마커스위치(미도시) 등의 조작구의 조작이나 모심기부의 승강동작 등에 의해 해제하는 해제수단을 설치해 두면, 선긋기 마커(80)의 수납이 불필요 함에도 불구하고 오동작 한 때나 밭이랑 이외의 장해물 등으로부터 회피한 때 등, 선긋기 마커(80)를 다시 셋트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worker intends to release the marker storage state, if the release means for releasing by the operation of an operation tool such as a marker switch (not shown) or the lifting / lowering operation of the seedling base unit is provided, the storage of the scribing marker 80 is unnecessary. Nevertheless, the scribing marker 80 can be set and output again, such as when malfunctioning or avoiding obstacles other than a field or the like.

상기 도 7 또는 도 8에 나타내는 플로우에 의한 전동 선긋기 마커(80)의 위치제어에 있어서, 마커셋트 위치보정 스위치로, 예를들면 왼쪽의 선긋기 마커(80)를 셋트동작 중에 보정을 한 때, 상기 보정량을 기억해 두고, 이앙기를 회행(回行)시킨 후에 오른쪽의 선긋기 마커(80)를 셋트동작할 때, 상기 보정후의 위치에 오른쪽의 선긋기 마커(80)를 셋트할 수 있다. In the position control of the electric scribing marker 80 by the flow shown in FIG. 7 or 8, when the scribing marker 80 on the left side is corrected during the set operation, for example, with the marker set position correction switch, When the correction amount is stored and the right line marker 80 is set after the rice transplanter is rotated, the right line marker 80 can be set at the corrected position.

이것은 이앙기의 회행후도, 토양의 딱딱함이나 경반(耕盤) 깊이 등이 마찬가지 상태인 밭을 선긋기 하는 것에 의한 때문이며, 이렇게 하여, 선긋기 마커(80)의 셋트위치를 보정하여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This is because after straightening the rice transplanter, the fields with the same hardness and soil depth are drawn, so that the set position of the scribing marker 80 can be corrected to improve workability. have.

또한, 좌우 각각의 선긋기 마커(80)의 셋트위치 보정스위치를 설치하여 두면, 경사지의 선긋기시에, 선긋기 마커(80)의 셋트동작을 밭의 경사에 대응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set position correction switches of the scribe markers 80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provided, the set operation of the scribe markers 80 can be made to correspond to the inclination of the field at the time of draping the slope.

본 발명의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액츄에이터(89)의 작동낭비를 방지하고, 또한, 선긋기 마커(8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invention of Claim 1 of this invention, the waste of operation of the actuator 89 can be prevented, and the damage of the scribe marker 80 can be prevented.

또한,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1 기재의 효과에 부가하여, 선긋기 마커(80)의 낭비적인 전환동작을 중지할 수 있으므로 마커(80)의 파손방지와 전력의 절약이 한층 도모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2, in addition to the effects of the above-mentioned claim 1, the wasteful switching operation of the scribing marker 80 can be stopped,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marker 80 and saving power. .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1 기재의 효과에 부가하여, 선긋기 마커(80)의 낭비적인 전환동작을 각각의 환경에 맞은 적절한 회수(回數)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마커(80)의 파손의 방지와 전력의 절약이 한층 도모된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3,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Claim 1, the wasteful switching operation of the scribing marker 80 can be set to an appropriate number of times suitable for each environment, so that the marker 80 is broken. Prevention and power saving can be achieved further.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이앙기 측면도이다. 1 is a side view of a rice transpla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 이앙기의 평면도이다. 2 is a plan view of the rice transplanter of FIG. 1.

도 3은, 도 1 이앙기의 선긋기 마커부분의 측면도이다. Fig. 3 is a side view of the scribing marker portion of the rice transplanter of Fig. 1.

도 4는, 도 1 이앙기의 선긋기 마커부분의 평면도이다. 4 is a plan view of the scribing marker portion of the rice transplanter of FIG.

도 5는, 도 1 이앙기의 선긋기 마커 프레임 작용부의 측면도이다. FIG. 5 is a side view of the scribing marker frame working portion of the FIG. 1 rice transplanter. FIG.

도 6은, 도 3 선긋기 마커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FIG. 6 is a block diagram of the scribe marker control device of FIG. 3.

도 7은, 도 3 선긋기 마커기구의 작동제어 플로우(Flow) 도이다.7 is an operation control flow diagram of the drawing marker mechanism of FIG. 3.

도 8은, 도 3의 선긋기 마커기구의 작동제어 플로우 도이다.8 is an operation control flow diagram of the scribing marker mechanism of FIG. 3.

도 9는 선긋기 마커의 작용부가 밭이랑에 닿는 경우와, 건물 등의 벽에 닿는 경우(도 9(b))를 나타내는 도이다. Fig. 9 is a diagram showing the case where the action part of the scribing marker touches the furrow and the case of touching the wall of a building or the like (Fig. 9 (b)).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1 ... 이앙기(농작업기) 2 ... 주행차체1 ... rice transplanter 2 ... driving body

3 ... 승강링장치 4 ... 모심기부(농작업부)3 ... lifting ring device 4 ...

5 ... 시비(施肥)장치 10 ... 밋션케이스5 ... Fertilizer Apparatus 10 ... Mission Case

11 ... 전륜(前輪) 파이널케이스 12 ... 전륜11 ... front wheels final case 12 ... front wheels

14 ... 메인 프레임 15 ... 롤링축14 ... main frame 15 ... rolling shaft

16 ... 후륜(後輪) 기어케이스 17 ... 주(主) 후륜16 ... rear wheel case 17 ... main rear wheel

18 ... 보조 후륜 20 ... 엔진18 ... auxiliary rear wheels 20 ... engine

21 ... 엔진카버 22 ... 좌석21 ... Engine Cover 22 ... Seat

23 ... 핸들 25 ... 제어박스23 ... handle 25 ... control box

26 ... 메인스탭 27 ... 보조스탭26 ... main staff 27 ... auxiliary staff

28 ... 발판 29 ... 지지프레임28 ... footrest 29 ... support frame

30 ... 링 베이스 31 ... 상(上) 링30 ... ring base 31 ... upper ring

32 ... 하(下) 링 33 ... 종(縱) 링32 ... lower ring 33 ... longitudinal ring

34 ... 연결축 36 ... 승강 유압실린더34 ... connecting shaft 36 ... lifting hydraulic cylinder

37 ... 스윙 암 40 ... 심기 전동축37 ... swing arm 40 ... planting drive shaft

41 ... 모심기부 프레임 41a ... 전동케이스41 ... planting frame 41a ... transmission case

41b ... 심기 전동프레임 41c ... 연결파이프41b ... planting electric frame 41c ... connecting pipe

42 ... 모 탑재대 43 ... 심기장치42 ... Modules 43 ... Planters

44 ... 설치부재 45 ... 지지레일44 ... Mounting member 45 ... Support rail

45a ... 모 취출구 46 ... 모 탑재대 지지프레임45a ... Mo Outlet 46 ... Mo Mount Support Frame

47 ... 로울러 48 ... 모 이송벨트47 ... roller 48 ...

50 ... 밭이랑 클러치 51 ... 밭이랑 클러치레버50 ... field and clutch 51 ... field and clutch lever

53 ... 센터 플로우트(Float) 54 ... 사이드 플로우트53 ... Center Float 54 ... Side Float

60 ... 회동 중심축 61 ... 롤링암60 ... pivot center 61 ... rolling arm

62 ...롤링 스프링 63 ... 밸런스 스프링62 ... rolling spring 63 ... balance spring

65 ... 부채형 기어 66 ... 피니언65 ... flat gear 66 ... pinion

67 ... 롤링 모터 70 ... 비료호퍼67 ... rolling motor 70 ... fertilizer hopper

71 ... 비료 송출기 72 ... 작업 홈파기 기구71 ... fertilizer dispenser 72 ... working gutter

73 ... 시비 가이드 74 ... 시비 호스73 ... fertilizing guide 74 ... fertilizing hose

75 ... 블로워 77 ... 예비모 탑재대75 ... blowers 77 ... spare mount

77a ... 모 탑재부 79 ... 마커 프레임77a ... Mo Mount 79 ... Marker Frame

79a ... 회동축 80 ... 선긋기 마커(marker)79a ... pivot 80 ... line marker

81 ... 회동축 82 ... 마커암81 ... pivot 82 ... marker arm

83 ... 선긋기 작용부 89 ... 마커모터83 ... line drawing part 89 ... marker motor

88 ... 브라켓 90 ... 피니언88 ... Bracket 90 ... Pinion

91 ... 기어 92 ... 마커센서91 ... gear 92 ... marker sensor

93 ... 마커수납 센서 93a, 93b ... 근접센서93 ... marker storage sensors 93a, 93b ... proximity sensors

94 ... 스티어링 센서 95 ... 승강링 센서94 ... steering sensor 95 ... lifting ring sensor

97 ... 제어장치 97 ... Controls

A ... 센터 마스콧 B ...조작 패널A ... Center Mascot B ... Operation Panel

Claims (3)

주행차체(2) 위에 설치된 농작업(農作業)을 하는 기체의 진행과 동시에 다음행정에서 기체(機體)가 통과하는 위치의 밭 표토면(表土面)에 선긋기하는 선긋기 마커(Maker, 80)와, 선긋기 마커(80)를 기체 진행방향의 좌우 한쪽 방향쪽으로 연장된 선긋기 위치와 기체의 위쪽으로 절곡된 선을 긋지 않는 위치 중 어느곳에서 구동하는 액츄에이터(89)를 장착한 농작업기(農作業機)에 있어서, A marker marker (Maker) 80 that draws on the topsoil of the field at the position at which the body passes in the next stroke as well as the progress of the agricultural work provided on the traveling vehicle 2; In the agricultural work machine equipped with the actuator 89 which drives the scribing marker 80 in the scribing position extended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gas traveling direction, and the position which does not draw the line bent upward of a base body. In 액츄에이터(89)에 의해 선긋기 마커(80)를 선긋기 위치로 바꾸는 동작을 하여도, 선긋기 마커(80)가 간섭물에 간섭되어 선긋기 위치로 바꾸어 지지 않을 때, 일단 액츄에이터(89)의 작동을 정지하고, 소정시간 후에 다시 작동시켜서 상기 동작을 반복하는 선긋기 마커 제어수단(97)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기.Even when the drawing marker 80 is moved to the drawing position by the actuator 89, when the drawing marker 80 does not change to the drawing position due to interference with the interference object,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89 is stopped once. And a scribing marker control means (97) which operates again after a predetermined time and repeats the above operation.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선긋기 마커 제어수단(97)은, 선긋기 마커(80)에 의한 상기 선긋기 위치로 바꾸는 동작이 소정 회수(回數) 반복되어도 선긋기 위치로 바꿀 수 없는 경우에는, 선긋기 위치로 선긋기 마커(80)를 전환하는 동작을 정지(停止)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기.The scribing marker control means 97 switches the scribing marker 80 to the scribing position when the scribing marker control means 97 cannot switch to the scribing position even if the operation of switching to the scribing position by the scribing marker 80 is repeat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 farm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to stop.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선긋기 마커 제어수단(97)은, 선긋기 마커(80)를 선긋기 위치로 바꿀 수 없는 경우에는, 선긋기 마커(80)의 상기 선긋기 위치로 바뀌는 동작정지의 반복회수를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기.When the scribing marker control means 97 cannot change the scribing marker 80 to the scribing position, the scribing marker control means 97 can change and set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the operation stop which is changed to the scribing position of the scribing marker 80. Agricultural work machine.
KR10-2003-0066867A 2002-11-26 2003-09-26 Working Vehicle KR10051453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41986 2002-11-26
JP2002341986A JP3948394B2 (en) 2002-11-26 2002-11-26 Agricultural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559A KR20040047559A (en) 2004-06-05
KR100514537B1 true KR100514537B1 (en) 2005-09-13

Family

ID=32704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6867A KR100514537B1 (en) 2002-11-26 2003-09-26 Working Vehicl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948394B2 (en)
KR (1) KR100514537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48394B2 (en) 2007-07-25
JP2004173547A (en) 2004-06-24
KR20040047559A (en) 200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8988B2 (en) Seedling transplanter with ground working device
KR100514537B1 (en) Working Vehicle
JP2009017798A (en) Riding-type rice transplanter
JP2011030434A (en) Seedling transplanter
JP3582325B2 (en) Paddy working machine
JP2005021062A (en) Seedling transplanter
JP2011072232A (en) Seedling transplanter
JP2005253470A (en) Rice transplanter
JP5526568B2 (en) Agricultural machine
JP2009261330A (en) Seedling transplanter
JP5276553B2 (en) Paddy field machine
JP2010207144A5 (en)
JP2004033150A (en)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JP3753142B2 (en) Rice transplanter
JP2010213638A (en) Rice transplanter
JP5656344B2 (en) Traveling vehicle
JP2003009610A (en) Farm implement
JP3564770B2 (en) Upland seedling planting machine
JP7442405B2 (en) Paddy field work machine
JP2013153686A (en) Seedling transplanter
JP2022085601A (en) Sulky-type seedling transplanter
JP2010075107A (en) Seedling planter
JP2011045262A (en) Working vehicle
JP2009023388A (en) Riding type work machine
JP2003225009A (en) Land grading apparatus of ground agricultural imp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