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4233B1 - A desk that can control angle of a desk board - Google Patents

A desk that can control angle of a desk 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4233B1
KR100514233B1 KR1020050034138A KR20050034138A KR100514233B1 KR 100514233 B1 KR100514233 B1 KR 100514233B1 KR 1020050034138 A KR1020050034138 A KR 1020050034138A KR 20050034138 A KR20050034138 A KR 20050034138A KR 100514233 B1 KR100514233 B1 KR 100514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vertical
top plate
plate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1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성희
Original Assignee
최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희 filed Critical 최성희
Priority to KR1020050034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423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4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4233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4Top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1/00School desks or tables
    • A47B41/02Adjustable, inclinable, sliding or foldable desks top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충격에 의해 책상의 상판을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간단한 조작에 의해 책상 상판의 기울기가 조작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sk,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fting means for elevating the top plate of the desk by an external impact, as well as the angle adjustable desk operating the tilt of the desk top plate by a simple operation It is about.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은 지면에 세워지며 상부가 개방된 양 수직관을 포함하는 프레임과; 상기 양 수직관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사이에는 서랍 하판이 형성되어 있는 양 수평대와; 상기 양 수평대의 전방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양 전방 수직대와; 상기 양 전방 수직대에 양 끝단이 각각 고정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며 그 중간에 수직 받침대가 구비되어 있는 받침대 돌출대와; 상기 양 전방 수직대의 상단에 힌지 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전방에 상기 수직 받침대가 삽입 관통되는 받침대 삽입 홀이 형성되어 있는 책상 상판과; 상기 양 전방 수직대의 후방인 양 수평대의 상부와 상기 책상 상판의 전방 하면에 각각 구비되며 내부에는 상기 책상 상판이 경사지도록 책상 상판을 밀어주는 스프링이 탄설되어 있는 상판 상승 수단과; 상기 양 수직관의 상부에 삽입 장착되며 상단이 수평 장홀을 관통하는 힌지 축을 통해 상기 책상 상판의 후방 하면과 연결되어 있는 후방 승강대와; 상기 양 수직관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 홀과, 상기 후방 승강대의 후방에 다단으로 형성된 단속 홀과, 상기 서랍 하판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일측에 레버가 구비되어 있는 회전축과, 상기 관통 홀에 대응하는 회전축의 위치에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관통 홀을 통해 상기 단속 홀 중 하나에 삽입되는 단속 축과, 상기 회전축에 구비되어 상기 단속 축을 관통 홀 쪽으로 항상 눌러주는 스프링 누름 수단을 포함하는 록킹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adjustable desk includes: a frame including a vertical pipe standing on the ground and having an open top; Both horizontal bars protruding forward from the upper portions of the two vertical pipes and having a drawer lower plate formed therebetween; Both front vertical bars protruding upward from the front of the horizontal bars; A pedestal protrusion having both ends fixed to the front vertical poles and protruding forward, and having a vertical pedestal in the middle thereof; A desk top plate rotatably provided at an upper end of both front vertical stands through a hinge shaft and having a pedestal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vertical pedestal is inserted; Upper plate elevating means each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both horizontal stages, which are rearwards of the two front vertical bars, and a front lower surface of the desk top plate, and having a spring mounted therein for pushing the desk top plate to incline the desk top plate; A rear lifting platform inserted into and mounted on the upper sides of the vertical pipes and connected to the rear lower surface of the upper table of the desk through a hinge axis through which a top thereof passes through a horizontal long hole; Through holes formed at the rear of the two vertical pipes, intermittent holes formed in multiple stages at the rear of the rear platform, a rotary shaft rotatably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drawer and provided with a lever on one side, and in the through holes A locking means including an intermittent shaft projecting forward at a position of a corresponding rotary shaft and inserted into one of the intermittent holes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spring pressing means provided on the rotary shaft to always press the intermittent shaft toward the through hol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Description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A desk that can control angle of a desk board}A desk that can control angle of a desk board}

본 발명은 책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충격에 의해 책상의 상판을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간단한 조작에 의해 책상 상판의 기울기가 조작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sk,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fting means for elevating the top plate of the desk by an external impact, as well as the angle adjustable desk operating the tilt of the desk top plate by a simple operation It is about.

일반적으로 학교에서 사용하는 책상 및 걸상의 경우 철재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지지되는 목재의 상판 및 걸상 몸체를 가진 것이 주종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책상의 경우 책상의 상판이 프레임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다.In general, a desk and a stool used in school have a steel frame and a wooden top and a stool body supported by the frame. The main table is fixed to the top of the frame in the case of a desk.

이에 대부분의 학생은 상판에 올려진 책을 읽거나 필기를 하는 경우 앞으로 구부린 자세에서 독서를 하거나 필기를 하게 된다.Therefore, most students read or write in the forward bent position when reading or writing books on the top.

이와 같이 구부린 자세로 독서를 하거나 필기를 함으로써,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되어 집중력이 저하됨은 물론 척추에도 무리가 가서 각종 질병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By reading or writing in a bent posi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easy to feel fatigue and the concentration decreases, as well as a problem that causes various diseases to go to the spine.

이에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책상들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Recently, desks having various functio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have been developed and spread.

일례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 등록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363170호가 있다. 이 기술에 따른 책상은 지면에 지지가 되는 지지프레임의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과 이 수직 프레임의 상단에 고정되며 양측 후단이 연결 프레임을 통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받침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과, 받침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며 후방에 받침대 삽입 홀이 형성되어 있는 상판과, 일측이 수직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판의 전방 하면에 고정되어 있는 유압 스프링과 연결 프레임의 외측에 후방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브라켓의 끝단에 장착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받침대 돌출장치 및 상판이 받침프레임에 밀착되었을 때 상판을 고정하는 상판 고정장치로 구성되어 있다.For example, there is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363170 fil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k according to this technology includes a frame including a vertical frame installed vertically on both sides of a support frame supported on the ground, and a support frame fixed to the top of the vertical frame and having two rear ends integrally connected through a connecting frame. ,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ing frame and having a pedestal insertion hole formed at the rear, and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hydraulic spring and the connecting frame, one side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vertical frame and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front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It consists of a pedestal protruding device including a pedestal mounted on the end of the bracket and the top plate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top plate when the top plat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frame.

그리고 상판 고정장치는 책상의 상판 하면에 장착되어 있는 걸림부를 구비한 훅과, 스프링에 의해 훅에 걸리는 걸림 쇠 및 이 걸림 쇠를 회전시키는 작동 손잡이로 구성되어 있다.And the upper plate fixing device is composed of a hook having a locking portion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of the desk, a latch caught on the hook by a spring, and an operation handle for rotating the latch.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이 기술에 따른 책상은 평소 상판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걸림 쇠가 훅의 걸림부에 걸려 있음에 따라 상판이 지면과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작동손잡이를 당기게 되면 걸림 쇠가 회전하면서 걸림부로부터 이탈하여 고정장치가 해제된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desk according to this technology is normally held in the hook portion of the hook latches constituting the upper plate fixing device to keep the top plate horizontal to the ground. In this state, when the user pulls the operation handle, the latch rotates and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portion to release the fixing device.

이에 따라 상판의 전방이 유압 스프링의 압력에 의해 일정 높이로 상승하여 상판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front of the upper plate is raised to a certain height by the pressure of the hydraulic spring, so that the upper plate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이와 같이 상판의 전방이 상승하여 상판이 기울어지는 경우 상판의 후방이 하강하게 되므로 연결 프레임의 후방에 구비된 받침대 돌출장치의 받침대가 상판의 받침대 삽입 홀을 관통하며 상판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판에 올려진 물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way, when the front of the upper plate is raised and the upper plate is inclined, the rear of the upper plate is lowered, so the pedestal of the pedestal protrusion provided on the rear of the connecting frame penetrates the pedestal insertion hole of the upper plate and protrude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It will be able to prevent the falling goods fall.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책상은 책상의 상판을 승강시키는 유압 스프링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음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유압 스프링이 용이하게 손상 혹은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However, the conventional desk has a problem in that the hydraulic spring is easily damaged or deformed by an impact from the outside as the hydraulic spring for elevating the upper plate of the desk is expos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은 본 출원인에 의해 기 출원 등록된 종래 기술을 개량한 것으로, 외부 충격에 의해 책상의 상판을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간단한 조작에 의해 책상 상판의 기울기가 조작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provement of the prior art registered by the present applica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fting means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top plate of the desk by an external impact, as well as the inclination of the top plate of the desk by a simple opera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esk that can be adjusted angle.

또한 각종 서적이나 노트 및 각종 필기구 등을 책상에 수납할 수 있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sk capable of adjusting an angle capable of storing various books, notes, and various writing instruments on a desk.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은 지면에 세워지며 상부가 개방된 양 수직관을 포함하는 프레임과, 상기 양 수직관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사이에는 서랍 하판이 형성되어 있는 양 수평대와, 상기 양 수평대의 전방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양 전방 수직대와, 상기 양 전방 수직대에 양 끝단이 각각 고정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며 그 중간에 수직 받침대가 구비되어 있는 받침대 돌출대와, 상기 양 전방 수직대의 상단에 힌지 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전방에 상기 수직 받침대가 삽입 관통되는 받침대 삽입 홀이 형성되어 있는 책상 상판과, 상기 양 전방 수직대의 후방인 양 수평대의 상부와 상기 책상 상판의 전방 하면에 각각 구비되며 내부에는 상기 책상 상판이 경사지도록 책상 상판을 밀어주는 스프링이 탄설되어 있는 상판 상승 수단과, 상기 양 수직관의 상부에 삽입 장착되며 상단이 수평 장홀을 관통하는 힌지 축을 통해 상기 책상 상판의 후방 하면과 연결되어 있는 후방 승강대와, 상기 양 수직관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 홀과 상기 후방 승강대의 후방에 다단으로 형성된 단속 홀과 상기 서랍 하판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일측에 레버가 구비되어 있는 회전축과 상기 관통 홀에 대응하는 회전축의 위치에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관통 홀을 통해 상기 단속 홀 중 하나에 삽입되는 단속 축과 상기 회전축에 구비되어 상기 단속 축을 관통 홀 쪽으로 항상 눌러주는 스프링 누름 수단을 포함하는 록킹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esk to adjust the ang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rame comprising both vertical pipes and the top is open on the ground, and protrudes forward from the top of both vertical pipes Both horizontal stages having a drawer bottom plate formed therein, both front vertical stands protruding upward from the front of the two horizontal bands, and both ends are fixed to both front vertical stands to protrude forward, and a vertical pedestal in the middle thereof. A pedestal protruding portion provided with a pedestal, a pedestal inserting plate which is rotatably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front pedestal and a pedestal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vertical pedestal is inserted, and the front pedestal of both front pedestals; It is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upper surface of both horizontal stages that are rear, respectively,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desk is inclined. A top plate elevating means in which a spring is pushed to push the table top plate, and a rear platform connected to the rear bottom surface of the table top plate through a hinge shaft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pipe and having an upper end penetrating the horizontal long hole; Through holes formed at the rear of the two vertical pipes, intermittent holes formed at the rear of the rear platform, and a rotating shaft rotatably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drawer and provided with a lever at one side thereof, and a rotating shaft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s. And locking means including an intermittent shaft inserted into one of the intermittent holes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a spring pressing means provided on the rotary shaft to always press the intermittent shaft toward the through hole. It is done.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은 책상의 상판을 소정의 각도로 기울게 하는 스프링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판 상승 수단 내부에 내장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스프링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desk is adjustable ang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pring that tilts the top plate of the desk at a predetermined angle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is built in the inside of the top plate lifting means, the impact is applied to the spring from the outside Can be prevented.

또한 책상 상판의 하부에 서랍 하판을 통해 별도의 수납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수업에 필요한 각종 서적이나 노트 및 각종 필기구 등을 책상 차제에 보관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In addition, a separate storage spac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table through the lower drawer,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for storing various books, notes, and various writing instruments necessary for the class.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rough thes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책상의 저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부 확대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 록킹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desk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desk shown in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shown in FIG. 2, and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locking means of an adjustable angle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이하, 편의상 "책상"이라고 한다)은 크게 지면에 세워지며 양 수직관(11)을 포함하는 프레임(1)과 양 수직관(11)의 상부에 구비되며 전방에 전방 수직대(3)가 돌출되어 있는 양 수평대(2)와, 각 전방 수직대(3)의 상단에 힌지 축(51)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판 상승 수단(6)의 스프링(61)에 의해 후방이 상승 회전되는 책상 상판(5)과, 양 수직관(11)의 상부에 각각 삽입 장착되며 상단이 수평 장홀(71)을 관통하는 힌지 축(72)을 통해 책상 상판(5)의 후방 하면과 연결되어 있는 후방 승강대(7) 및 외부 조작에 의해 양 후방 승강대(7)의 승강 위치를 단속하는 록킹 수단(8)을 포함한다.1 and 2, the angle adjustable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desk" for convenience) is largely erected on the ground and includes a frame 1 including both vertical pipes 11 It is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vertical pipe 11 and is rotatable through both horizontal stages 2, the front vertical stage 3 protruding forward, and a hinge shaft 51 at the upper end of each front vertical stage 3. It is provided and insert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desk top plate 5 and the upper vertical pipe 11, the rear of which is rotated upward by the spring 61 of the upper plate lifting means 6, the upper end penetrates the horizontal long hole 71 A rear lift platform 7 connected to the rear lower surface of the desk top plate 5 via the hinge shaft 72 and locking means 8 for intermittently raising and lowering the lift positions of both rear lift platforms 7 by external manipul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1)은 지면에 지지되는 양측 수평 프레임(121)과 양측 수평 프레임(121)의 후단을 상호 연결하는 보강 프레임(122)으로 구성되는 하부 골조(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 하부 골조(12)에는 양측 수평 프레임(121)에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수직관(11)이 각각 입설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양 수직관(11)은 상부가 개방된 것으로, 단일의 관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나아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삽입이 가능하며 탭 홀과 이 탭 홀에 체결되는 회전 손잡이로 구성된 통상의 위치 조절 수단을 통해 길이가 가변되는 내·외관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1 includes a lower frame 12 composed of both horizontal frames 121 supported on the ground and a reinforcement frame 122 interconnecting the rear ends of both horizontal frames 121. do. In this lower frame 12, vertical pipes 11 are respectively placed at position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both horizontal frames 121.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vertical pipes 11 are open at the top, and may be constituted by a single pipe. Furthermore,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two vertical pipes 11 may be inserted into each other, and the tab holes and the rotations may be fastened to the tab holes. It may be composed of an inner and an outer tube whose length is changed by a conventional position adjusting means composed of a handle.

그리고 양 수평대(2)는 양 수직관(11)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전방으로 돌출되게 후방 외측이 양 수직관(11)의 대향 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양 수평대(2) 사이에는 서랍 하판(21)이 형성되어, 서랍 하판(21)을 통해 각종 서적 및 필기구 등을 수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양 수평대(2)는 각각의 전방에 상부로 돌출된 전방 수직대(3)가 구비되어 있다.And both the horizontal stage 2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both vertical pipes 11, and the rear outer side is fixed to the opposing surface of both vertical pipes 11 so that it may protrude forward. In addition, the drawer lower plate 21 is formed between the two horizontal stage (2), it is possible to accommodate a variety of books and writing instruments, etc. through the lower drawer 21. In addition, both horizontal stage (2) is provided with a front vertical stage (3) protruding upward in each front.

그리고 전방 수직대(3)의 전방에는 받침대 돌출대(4)가 전방으로 돌출 구비되어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 돌출대(4)는 그 중간에 수직 받침대(41)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양 끝단은 양 수평대(2)의 전방에 구비된 전방 수직대(3)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And in the front of the front vertical stand 3, the pedestal protrusion 4 is provided to protrude forward. That is, as shown in the figure, the pedestal protrusion 4 has a vertical pedestal 41 formed in the middle thereof, and both ends thereof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front pedestal 3 provided at the front of both horizontal pedestals 2. It is fix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책상 상판(5)은 양 전방 수직대(3)의 상단에 전방 하면이 힌지 축(51)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양 전방 수직대(3)의 전방으로 돌출된 책상 상판(5)의 전방에는 수직 받침대(41)가 삽입 관통되는 받침대 삽입 홀(52)이 형성되어 있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k top plate 5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both front uprights 3 via the hinge shaft 51. Further, in front of the desk top plate 5 protruding in front of the front vertical stand 3, a pedestal insertion hole 52 through which the vertical pedestal 41 is inserted is formed.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은 후술하게 될 상판 승강 수단(6)에 의해 책상 상판(5)이 기울어지는 경우, 책상 상판의 받침대 삽입 홀(52)에 삽입되어 있던 받침대 돌출대의 수직 받침대(41)가 책상 상판의 상부로 돌출되어 책상에 올려진 책이나 필기구 등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책 또는 필기구 등을 받쳐 주는 수직 받침대(41)의 돌출 원리는 후술하게 될 책상의 작동 상태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Accordingly, the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ertical pedestal 41 of the pedestal protrusion, which is inserted into the pedestal insertion hole 52 of the pedestal top plate when the desk top plate 5 is inclined by the top plate elevating means 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protruded to the top of the desk top to prevent books or writing instruments, etc. placed on the desk to fall to the floor. As described above, the protruding principle of the vertical support 41 supporting the book or the writing instru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operation state of the desk to be described later.

그리고 책상 상판의 전방을 밀어주는 상판 상승 수단(6)은 양 수평대(2)의 전방에 구비되어 있는 양 전방 수직대(3)의 후방인 양 수평대(2)의 상부와 책상 상판(5)의 하면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판 승강 수단(6)의 내부에는 책상 상판(5)의 하면과 수평대(2)의 상부 사이에 탄설되어 책상 상판을 상부로 밀어 주는 스프링(61)이 구비되어 있다. And the upper plate lifting means (6) for pushing the front of the desk top plate is the top of the two horizontal stand (2) which is the rear of both front vertical stand (3) provided in front of the two horizontal stand (2) and the desk top plate (5) Are respectively provided between the lower surfaces. The spring 61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desk top plate 5 and the upper part of the horizontal stand 2 and pushes the desk top plate upward is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upper plate lifting means 6 provided in this way.

여기서 책상 상판을 밀어주는 상판 승강 수단(6)은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있는 수평대(2)에서 책상 상판(5)의 하면과 힌지 축(51)을 통해 고정되는 전방 수직대(3)의 후방에 근접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힌지 축을 통해 책상 상판과 연결되어 있는 전방 수직대에 근접되게 설치될수록 작은 힘에 의해서도 책상 상판 전체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기 때문이다.Here, the elevating means (6) for pushing the upper plate of the desk is the front of the vertical stand (3) which is fixed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table of the desk (5) and the hinge axis (51) on the horizontal table (2) which is provided to protrude forward It is desirable to be close to the rear. This is because the entire desk top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even with a small force as it is installed closer to the front vertical stand connected to the desk top through the hinge axis.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은 후술하게 될 록킹 수단의 잠김이 해제되면, 책상 상판의 전방 하면 양측, 다시 말해 양 전방 수직대의 후방에 구비된 상판 승상 수단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책상 상판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the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released by the locking mean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of the upper plate lifting mean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lower surface of the desk upper plate, that is, the rear of both front vertical stand The desk top will rotate.

특히 책상 상판을 밀어 주는 스프링이 상판 상승 수단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해 책상 상판을 밀어 주는 스프링이 손상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the spring for pushing the desk top plate is provided inside the top plate lifting means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preventing the spring that pushes the desk top plate from being damaged or deformed by an external impact.

그리고 후방 승강대(7)는 양 수직관(11)의 상부에 각각 삽입 장착되며 상단이 수평 장홀(71)을 관통하는 힌지 축(72)을 통해 책상 상판(5)의 후방 하면과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은 후술하게 될 록킹 수단이 해제되어 책상 상판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는 경우 후방 승강대를 통해 책상 상판의 후방이 일정 높이 상승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작동 상태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And the rear platform 7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each of the vertical pipe 11 and is connected to the rear lower surface of the desk top plate 5 through a hinge shaft 72 through which the upper end penetrates the horizontal long hole 71. Accordingly, the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leased by the locking means to be described later, when the desk top plate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rear of the desk top plate is raised to a certain height through the rear platform, the detailed description is more than in the operating state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한편 후방 승강대(7)의 승강 위치를 단속하는 록킹 수단(8)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수직관(11)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 홀(81)과, 후방 승강대(7)의 후방에 다단으로 형성된 단속 홀(82)과, 서랍 하판(2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일측에 레버(831)가 구비되어 있는 회전축(83)과, 관통 홀(81)에 대응하는 회전축(83)의 위치에 전방으로 돌출되어 관통 홀(81)을 통해 단속 홀(82) 중 하나에 삽입되는 단속 축(84)과, 회전축(83)에 구비되어 단속 축(84)을 관통 홀(81) 쪽으로 항상 눌러주는 스프링 누름 수단(85)으로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cking means 8 for controlling the lifting position of the rear lifting platform 7 includes a through hole 81 formed at the rear of both vertical pipes 11 as shown in FIGS. 3 and 4, and a rear lifting platform ( 7 and a rotating shaft 83 formed in multiple stages on the rear side, a rotating shaft 83 rotatably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drawer 21, and having a lever 831 at one side thereof, and a through hole 81. The intermittent shaft 84 protrudes forward at the position of the rotary shaft 83 and is inserted into one of the intermittent holes 82 through the through hole 81, and the rotary shaft 83 is provided in the intermittent shaft 84. It consists of the spring pressing means 85 which always presses to the 81 side.

그리고 스프링 누름 수단(85)은 회전축(83)의 하부에 전방으로 돌출되어 고정되어 있는 누름 판(851)과, 서랍 하판(21)과 누름 판(851) 사이에 탄설되어 회전축(83)에 고정된 단속 축(84)을 상기 관통 홀(81) 측으로 밀어주도록 상기 누름 판(851)을 밀어주는 스프링(852으로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pring pressing means 85 is coalesced between the pressing plate 851 and the drawer lower plate 21 and the pressing plate 851 which protrudes forward and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shaft 83 and is fixed to the rotating shaft 83. It consists of the spring 852 which pushes the said press plate 851 so that the intermittent intermittent shaft 84 may be pushed to the said through-hole 81 side.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은 록킹 수단의 작동 상태에 따라 승강대의 승강 위치가 고정되므로 책상의 상판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거나 바닥과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lifting position of the platform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locking means, so that the top plate of the desk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or maintains a horizontal state with the floor.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의 작동 상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s 1 to 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ng state of the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 작동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 도 5a는 작동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작동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5 illustrates an operating state of the angle adjustable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a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operation, Figure 5b is a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operation.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은 상술한 바와 같이 록킹 수단(8)의 작동 상태에 책상 상판(5)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거나 바닥과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평소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과 수평 상태를 유지한다.As described above, the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desk top plate 5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or maintains a horizontal state with the floor in the operating state of the locking means 8 as described above. And level.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수단을 구성하는 회전축(83)의 양측에 전방으로 돌출 구비되어 있는 단속 축(84)이 양 수직관의 관통 홀(81)에 관통되어 양 수직관(11)에 삽입되어 있는 후방 승강대의 단속 홀(82) 중 하나에 삽입됨으로써, 후방 승강대(7)가 고정되어 책상의 상판(5)이 바닥과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In this case, as illustrated in FIG. 4, an intermittent shaft 84 protruding forward on both sides of the rotation shaft 83 constituting the locking means penetrates through the through holes 81 of both vertical pipes so that both vertical pipes 11 By being inserted into one of the intermittent holes 82 of the rear lifting platform inserted into the rear lifting platform, the rear lifting platform 7 is fixed so that the upper plate 5 of the desk is kept horizontal with the floor.

이와 같이 책상 상판(5)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전방 수직대(3)에 돌출 고정되어 있는 받침대 돌출대(4)의 수직 받침대(41)는 책상 상판(5)의 전방에 형성되어 있는 받침대 삽입 홀(5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책상 상판(5)의 후방 하면과 후방 승강대(7)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힌지 축(72)은 후방 승강대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수평 장홀(71)의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When the desk top plate 5 maintains the horizontal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vertical pedestal 41 of the pedestal protrusion 4 protrudingly fixed to the front pedestal 3 is formed in front of the desk top plate 5. The state inserted in the pedestal insertion hole 52 is maintained. In addition, the hinge shaft 72 which interconnects the rear lower surface of the desk top plate 5 and the upper end of the rear platform 7 is positioned behind the horizontal long hole 71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rear platform.

이와 같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책상 상판(5)의 일측 하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레버(831)를 위로 당기면 회전축(83)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양 수직관(11)의 관통 홀(83)을 통해 후방 승강대(7)의 단속 홀(82)에 삽입되어 있던 단속 축(84)이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고정 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회전축(83)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스프링 누름수단을 구성하는 누름 판(851)이 상부로 회전되면서 서랍 하판의 하면(21)과 누름 판(851) 사이에 탄설되어 있는 스프링(852)을 압축하게 된다.As such, when the lever 831 protruding upward from the lower side of one side of the desk top plate 5 is pulled upward in the state of maintaining the horizontal state, the rotation shaft 83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Accordingly, the intermittent shaft 84, which has been inserted into the intermittent holes 82 of the rear platform 7 through the through holes 83 of the two vertical pipes 11, is moved backward, and the fixed state is released. In addition, as the rotary shaft 83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pressing plate 851 constituting the spring pressing means is rotated upward, and the spring 852 is installed between the lower surface 21 of the drawer lower plate and the pressing plate 851. Will be compressed.

한편 상기와 같은 레버 조작에 의해 단속 축(84)이 후방 수직관의 단속 홀(82)로부터 이탈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상 상판(5)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된다. 즉 후방 승강대(7)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면, 양 수평대(2)의 상부와 책상 상판(5)의 전방 하면에 구비되어 있는 상판 승강 수단(6)의 스프링(61)에 의해 책상 상판(5)이 상승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ntermittent shaft 84 is separated from the intermittent hole 82 of the rear vertical tube by the lever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desk top plate 5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s shown in FIG. 5B. That is, when the fixed state of the rear lifting platform 7 is released, the upper desk of the desk by the spring 61 of the upper board lifting means 6 which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both horizontal benches 2 and the front lower surface of the desk top board 5 ( 5) will rise.

즉 책상 상판(5)의 전방 하면 양측이 양 전방 수직대(3)에 힌지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상판(5) 하면과 전방 수직대(3)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힌지 축(51)을 기준으로 힌지 축의 전방은 하강되며 반대로 힌지 축 후방인 책상 상판의 후방은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책상 상판(5)의 전방이 하강됨에 따라 양 전방 수직대(3)의 전방에 돌출 고정되어 있는 받침대 돌출대의 수직 받침대(41)가 책상 상판의 전방에 형성되어 있는 받침대 삽입 홀(52)을 관통하며 책상 상판의 상부 돌출된다.That is, since both sides of the front lower surface of the desk top plate 5 are hinged to both front vertical stands 3, the hinge shaft 51 interconne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5 and the upper vertical stand 3 is referred to. The front of the hinge shaft is lowered and the rear of the desk top, which is behind the hinge shaft, is raised. And as the front of the desk top plate 5 is lowered, the pedestal insertion hole 52 formed at the front of the desk top plate has a vertical pedestal 41 of the pedestal protrusion protrudingly fixed to the front of both front vertical pedestals 3. It penetrates and protrudes from the top of the desk top.

또한 반대로 책상 상판(5)의 후방이 상승되는 경우, 책상 상판의 수평 상태와는 달리 책상 상판(5)의 후방 하면과 후방 승강대(7)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힌지 축(72)은 수평 장홀(71)을 따라 장홀의 전방으로 전진 이동되므로, 책상 상판의 후방이 전방과 반대로 상승 회전하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rear side of the desk top plate 5 is raised, the hinge shaft 72 interconnecting the rear lower surface of the desk top plate 5 and the upper side of the rear platform 7 is different from the horizontal state of the desk top plate. Since it moves forward in front of the long hole along 71), the rear of the desk top plate is turned upside down as opposed to the front.

이와 같이 상판 승강 수단(6)의 스프링(61)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는 책상은 양 수직관(11)에 삽입되어 있는 후방 승강대(7)의 하부 단속 홀(82)과 양 수직관(11)에 형성된 관통 홀(81)이 일치하게 되면 단속 축(84)이 후방 승강대의 단속 홀(82)에 삽입된다. 즉 레버(831) 조작에 의해 스프링 누름 수단의 누름 판(851)과 서랍 하판(21) 사이에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852)의 탄성력에 의해 누름 판(851)이 회전되었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회전축(83)에 구비되어 있는 양측의 단속 축(84)이 관통 홀(81) 및 단속 홀(82)에 삽입 체결되어 후방 승강대의 승강 위치가 단속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esk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spring 61 of the upper plate elevating means 6 includes the lower intermittent holes 82 and the two vertical tubes of the rear platform 7 inserted in the two vertical tubes 11. When the through holes 81 formed in 11 coincide, the interruption shaft 84 is inserted into the interruption hole 82 of the rear platform. That is, the pressing plate 851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which the pressing plate 851 is rota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852 compressed between the pressing plate 851 of the spring pressing means and the lower plate 21 of the spring pressing means by the lever 831 operation. The intermittent shafts 84 on both sides of the rotary shaft 83 are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the through holes 81 and the intermittent holes 82 so that the lifting positions of the rear platforms are interrupted.

한편 상기와 같이 책상의 상판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책상 상판(5)의 후방을 강제적으로 누르게 되면, 관통 홀(81)을 통해 단속 홀(82)에 삽입되어 있던 단속 축(84)이 후방으로 밀려나면서 후방 승강대(7)가 양 수직관(11)의 내부로 하강되는 반면, 책상 상판(5)의 전방은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책상 전방에 책상 상판의 상부로 돌출되어 있던 수직 받침대(41)는 책상 상판의 받침대 삽입 홀(52)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단속 축(84)이 상부로부터 인가되는 힘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나는 경우, 스프링 누름 수단의 누름 판(851)과 서랍 하판 (21)사이에 탄설되어 있는 스프링 누름 수단의 스프링(852)은 다시 압축된다. 이 때 책상 상판(5)의 후방 하면과 후방 승강대(7)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힌지 축(72)은 수평 장홀(71)을 통해 장홀의 후방으로 이동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forcibly presses the rear of the desk top plate 5 while the top plate of the desk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s described above, the intermittent shaft 84 inserted into the intermittent hole 82 through the through hole 81. The rear lifting platform 7 is lowered to the inside of both vertical pipes 11 while the back is pushed backward, while the front of the desk top plate 5 is raised. Accordingly, the vertical pedestal 41, which protrudes above the desk top plate in front of the desk, is inserted into the pedestal insertion hole 52 of the desk top plate. In addition, when the intermittent shaft 84 is pushed backward by the force applied from the upper portion as described above, the spring 852 of the spring pressing means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pressing plate 851 of the spring pressing means and the drawer lower plate 21. ) Is compressed again. At this time, the hinge shaft 72 which interconnects the rear lower surface of the desk top plate 5 and the upper end of the rear platform 7 is moved to the rear of the long hole through the horizontal long hole 71.

이와 같이 양 후방 승강대(7)가 양 수직관(11)에 삽입되면서 후방 승강대(7)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단속 홀(82)과 수직관의 관통 홀(81)이 일치하게 되면, 스프링 누름 수단을 구성하는 스프링(852)의 탄성력에 의해 누름 판(851)이 회전되었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회전축(83)이 원래 위치로 복귀 회전된다. When both rear lifting platform 7 is inserted into both vertical pipes 11 and the intermittent hole 82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rear lifting platform 7 coincides with the through hole 81 of the vertical pipe, the spring is push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852 constituting the means, the pressing plate 851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which it has been rotated so that the rotation shaft 83 is rotated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이에 따라 회전축(83)에 구비되어 있는 양측의 단속 축(84)이 일치되어 있는 관통 홀(81) 및 단속 홀(82)에 삽입 체결되어 후방 승강대가 고정됨으로써, 다시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s a result, the interlocking shaft 84 on both sides of the rotary shaft 83 is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the through-hole 81 and the intermittent hole 82, and the rear platform is fixed, thereby maintaining a horizontal state again.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은 책상 상판을 밀어 주는 스프링이 상판 상승 수단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해 책상 상판을 밀어 주는 스프링이 손상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desk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pring for pushing the desk top plate in the inside of the top plate raising means, so that the spring for pushing the desk top plate is damaged or deformed by an external impact. Can be prevented.

또한 양 수평대 사이에 서랍 하판이 형성됨으로써, 서랍 하판을 통해 각종 서적 및 필기구 등을 보다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ower drawer is formed between both horizontal bars,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store various books and writing instruments through the lower drawer.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different and obv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from this descrip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claims described to include many such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 부분 절개 사시도.1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n adjustable angle desk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책상의 저면 사시도.FIG.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desk shown in FIG. 1. FIG.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부 확대도면.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shown in FIG. 2;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 록킹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ure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locking means of the adjustable angle desk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 작동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Figure 5 illustrates an operating state of the angle adjustable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작동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Figure 5a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operation,

도 5b는 작동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5B is a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opera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프레임1: frame

11 : 수직관11: vertical tube

2 : 수평대2: horizontal stand

21 : 서랍 하판21: drawer bottom

3 : 전방 수직대3: front vertical stand

4 : 받침대 돌출대4: pedestal protrusion

41 : 수직 받침대41: vertical stand

5 : 책상 상판5: desk tops

51 : 힌지 축51: hinge axis

52 : 받침대 삽입 홀52: pedestal insertion hole

6 : 상판 상승 수단6: top plate rising means

61 : 스프링61: spring

7 : 후방 승강대7: rear platform

71 : 수평 장홀71: horizontal long hole

72 : 힌지 축72: hinge axis

8 : 록킹 수단8: locking means

81 : 관통 홀81: through hole

82 : 단속 홀82: intermittent hole

83 : 회전축83: rotation axis

831 : 레버831: lever

84 : 단속 축84: intermittent axis

85 : 스프링 누름 수단85: spring pressing means

851 : 누름 판, 852 : 스프링851: pressing plate, 852: spring

Claims (2)

지면에 세워지며 상부가 개방된 양 수직관(11)을 포함하는 프레임(1)과;A frame 1 including both vertical pipes 11 erected on the ground and open at the top; 상기 양 수직관(11)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사이에는 서랍 하판(21)이 형성되어 있는 양 수평대(2)와;Both horizontal bars (2) protruding for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two vertical pipes 11, the drawer lower plate 21 is formed therebetween; 상기 양 수평대(2)의 전방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양 전방 수직대(3)와;Both front vertical stands (3) protruding upward from the front of the two horizontal stands (2); 상기 양 전방 수직대(3)에 양 끝단이 각각 고정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며 그 중간에 수직 받침대(41)가 구비되어 있는 받침대 돌출대(4)와;A pedestal protrusion 4 having both ends fixed to the front vertical pedestals 3 and protruding forward, and having a vertical pedestal 41 in the middle thereof; 상기 양 전방 수직대(3)의 상단에 힌지 축(51)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전방에 상기 수직 받침대(41)가 삽입 관통되는 받침대 삽입 홀(52)이 형성되어 있는 책상 상판(5)과;Desk top plate 5 which is rotatably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both front vertical stand 3 through a hinge shaft 51 and has a pedestal insertion hole 52 through which the vertical pedestal 41 is inserted. )and; 상기 양 전방 수직대(3)의 후방인 양 수평대(2)의 상부와 상기 책상 상판(5)의 전방 하면에 각각 구비되며 내부에는 상기 책상 상판이 경사지도록 책상 상판(5)을 밀어주는 스프링(61)이 탄설되어 있는 상판 상승 수단(6)과;Springs ar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s of both horizontal stages (2), which are rear of the front vertical stages (3), and on the front lower surface of the desk top plate (5), and push the desk upper plate (5) to incline the desk top plate therein. A top plate raising means 6 on which 61 is stacked; 상기 양 수직관(11)의 상부에 삽입 장착되며 상단이 수평 장홀(71)을 관통하는 힌지 축(72)을 통해 상기 책상 상판(5)의 후방 하면과 연결되어 있는 후방 승강대(7)와;A rear lifting platform (7) inserted into and mounted on the upper sides of the vertical tubes (11) and connected to the rear lower surface of the upper desk plate (5) through a hinge shaft (72) whose upper end penetrates through the horizontal long hole (71); 상기 양 수직관(11)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 홀(81)과, 상기 후방 승강대(7)의 후방에 다단으로 형성된 단속 홀(82)과, 상기 서랍 하판(2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일측에 레버(831)가 구비되어 있는 회전축(83)과, 상기 관통 홀(81)에 대응하는 회전축(83)의 위치에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관통 홀(81)을 통해 상기 단속 홀(82) 중 하나에 삽입되는 단속 축(84)과, 상기 회전축(83)에 구비되어 상기 단속 축(82)을 관통 홀(81) 쪽으로 항상 눌러주는 스프링 누름 수단(85)을 포함하는 록킹 수단(8);Through holes 81 formed at the rear of the two vertical pipes 11, intermittent holes 82 formed in multiple stages at the rear of the rear platform 7, and the drawer lower plate 21 is rotatably provided. And protrudes forward at a position of a rotation shaft 83 having a lever 831 at one side and a rotation shaft 83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81, and intermittent holes 82 through the through hole 81. Locking means (8) comprising an intermittent shaft (84) inserted into one of the &lt; RTI ID = 0.0 &gt; and a &lt; / RTI &gt; spring pressing means (85) provided at the rotary shaft (83) to always press the intermittent shaft (82) toward the through hole (81).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Adjustable angle desk, includ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누름 수단(85)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pring pressing means (85) is: 상기 회전축(83)의 하부에 전방으로 돌출 고정되어 있는 누름 판(851)과,A pressing plate 851 protruding and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ry shaft 83 forwardly; 상기 서랍 하판(21)과 상기 누름 판(851) 사이에 탄설되어 상기 회전축(83)에 고정된 단속 축(84)을 상기 관통 홀(81) 측으로 밀어주도록 상기 누름 판(851)을 밀어주는 스프링(85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A spring which is pushed between the drawer lower plate 21 and the pressing plate 851 and pushes the pressing plate 851 to push the intermittent shaft 84 fixed to the rotating shaft 83 toward the through hole 81. An angle adjustable desk,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852).
KR1020050034138A 2005-04-25 2005-04-25 A desk that can control angle of a desk board KR1005142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138A KR100514233B1 (en) 2005-04-25 2005-04-25 A desk that can control angle of a desk 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138A KR100514233B1 (en) 2005-04-25 2005-04-25 A desk that can control angle of a desk boar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4233B1 true KR100514233B1 (en) 2005-09-09

Family

ID=37304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138A KR100514233B1 (en) 2005-04-25 2005-04-25 A desk that can control angle of a desk bo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423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731B1 (en) * 2009-05-20 2009-12-21 (주)오성엔지니어링 Work table having angle adjustment fun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731B1 (en) * 2009-05-20 2009-12-21 (주)오성엔지니어링 Work table having angle adjustment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000514A (en) Student desk
KR100514233B1 (en) A desk that can control angle of a desk board
KR100795661B1 (en) Reading unit and notebook computer with large combination stand
KR101952185B1 (en) Table clogging structure able to controlling inclination of top-panel
JP5342226B2 (en) Vertical mechanism that can move the vertical platform up and down
JP4256001B2 (en) OA equipment built-in desk
KR100745146B1 (en) Device for Adjusting a Height of Desk or Chair
JP4009283B2 (en) Combined furniture with flat table and wagon desk with lift table
KR200394809Y1 (en) A movable table and chair
KR102037164B1 (en) Apparatus for link rotation type drawer for table and table apparatus including same
JP3445114B2 (en) Grand piano music stand tilting mechanism
KR200158127Y1 (en) Multi-purpose table
JPS6249807A (en) Lifting, falling and inclination control apparatus
KR20080112525A (en) Reading table
CN220192493U (en) Student desk with adjustable desktop angle
KR200184748Y1 (en) A reading desk
KR20060090951A (en) Desk for lecture
JPH10146224A (en) Desk for personal computer
CN107874459A (en) A kind of study table
CN219661190U (en) Portable foldable bookshelf
KR950008820Y1 (en) A foldable reading rack
KR100580947B1 (en) one united desk-chair for lecture
CN220757000U (en) Multifunctional invisible bed
CN216568910U (en) Multi-functional wood system podium with adjustable height
KR200363170Y1 (en) The desk that can control angle of a desk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