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3712B1 - 파워 백오프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파워 백오프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3712B1
KR100513712B1 KR10-2000-0018509A KR20000018509A KR100513712B1 KR 100513712 B1 KR100513712 B1 KR 100513712B1 KR 20000018509 A KR20000018509 A KR 20000018509A KR 100513712 B1 KR100513712 B1 KR 100513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density
predetermined
loop
constant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8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0973A (ko
Inventor
황찬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18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3712B1/ko
Publication of KR20010090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0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3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37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Abstract

디지털 가입자망에서의 백오프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백오프 방법은 (a) 기준 루프에서 허용된 최대 전력밀도로 신호를 송신할 때 인접 루프에 인가되는 크로스토크 값인 파-엔드 크로스토크(far-end crosstalk: FEXT)의 양에 소정의 제1 상수를 곱한 값과 기준 잡음값에 소정의 제2 상수를 곱한 값의 합을 기초로 원격단에서 라인단으로 송신하는 업스트림 신호의 전력 밀도를 정의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정의된 전력 밀도를 가지는 송신 신호를 원격단에서 라인단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파워 백오프 방법에 따르면, 먼 원격단(RT: remote termination)에서의 업스트림시에도 SNR(signal-to-noise ratio) 손실이 적으면서도 가까운 원격단에서의 업스트림시에 SNR 손실이 거의 없기 때문에 업스트림시의 데이터율이 개선된다.

Description

파워 백오프 방법 및 그 장치{power backoff method and devide thereof}
본 발명은 파워 백오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디지털 가입자망에서 업스트림 데이터율을 개선할 수 있는 파워 백오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VDSL(Very high speed Digital Subscriber's Loop: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시스템을 블록도로써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VDSL 업스트림(upstream) 신호는 진행 거리에 따라 감쇄된다. 또한, L은 거리, f는 전송 신호의 주파수, 는 전송 신호, a,b, 및 d는 소정의 수라 하고, 채널의 전송 특성을 나타내는 채널의 전달함수 H(f)는 라 할 때 한 라인에서 인접한 다른 라인으로 인가되는 FEXT(Farend crosstalk)의 양은,
과 같이 거리에 따라 감쇄된다. 따라서, 근거리에 있는 원격단(RT: remote terminal)으로부터 라인단(LT: line terminal)으로 전송되는 업스트림 신호는 원거리에 있는 원격단으로부터 받은 것에 비해 파워가 크다. 또한, FEXT의 소오스가 가까운 경우의 인접 라인에 인가되는 FEXT 양도 역시 FEXT의 소오스가 먼 경우의 인접 라인에 인가되는 FEXT 양에 비하여 크다. 따라서, 가까운 곳에 있는 원격단에서 먼 곳에 있는 원격단으로 인가되는 FEXT의 전력이 지나치게 큰 경우가 생긴다. 이러한 경우 원거리에 있는 원격단이 사용할 수 있는 업스트림 데이터율(upstream data rate)이 크게 줄어드는 현상을 보이며, 이러한 현상은 니어-파 문제(near-far problem)이라 불리운다.
이러한 니어-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근거리에 있는 원격단의 업스트림 송신 전력을 제한하는 방법이 필요하며, 이러한 방법은 파워 백오프 방법이라고 불리운다.
종래 기술의 파워 백오프 방법은 3가지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로는, 수신되는 전력밀도가 일정한 값이 되도록 송신 전력밀도를 제어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는, 인접 라인에 인가되는 FEXT의 양이 루프의 길이에 관계없이 일정하도록 송신 전력밀도를 제어하는 방법이다. 세 번째는 인접 라인에 인가되는 FEXT의 양이 기준 잡음의 전력밀도와 같도록 송신 전력밀도를 조정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구해지는 송신 전력밀도는 다음과 같다.
참조 번호 기준 신호 송신 신호
1
2
3
4
5
참조번호 4의 파워 백오프 방법은 이쿠얼라이즈된 FEXT(Equalized FEXT)를 사용하는 방법이고, 참조번호 4의 파워 백오프 방법은 기준 잡음을 사용한 파워 백오프 방법이다. 참조번호 4 및 5의 파워 백오프 방법은 참조 번호 1,2, 및 3의 파워 백오프 방법에 비하여 비교적 좋은 성능을 보인다.
참조 번호 1 내지 5의 파워 백오프 방법의 성능을 수학적으로 검증하기로 한다. 먼저, L1과 L2는 양의 수이고 L2는 L1 보다 크다고 할 때, L1과 L2의 길이를 가지는 VDSL 루프가 두 개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참조 번호 1 내지 5의 파워 백오프 방법을 적용하여 SNR(signal-to-noise ratio)의 바운드를 수학적으로 조사하기로 한다. SNRi(f)는 파워 백오프를 적용한 경우의 신호대잡음비(이하 SNR이라 칭한다.)이고, 는 모든 원격단들이 Li만큼 떨어져 있음을 가정한 경우의 SNR이라고 할 때, 참조 번호 4의 파워 백오프 방법을 적용한 경우의 SNR의 바운드는,
과 같다. 즉, 이쿠얼라이즈된 FEXT(Equalized FEXT) 방식을 적용하였을때 SNR의 바운드(bound)를 보면, 먼 루프의 경우 SNR 저하가 없으며 가까운 원격단의 성능은 적어도 먼 곳에 있는 원격단과 같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파워 백오프 방법을 적용하면 롱 레인지 서비스(long range service)의 리치(reach)를 최대화 할 수 있다.
참조번호 4의 파워 백오프 방법은 쇼트 루프(short loop)에서 참조번호 5의 파워 백오프 방법보다 더 좋은 성능을 보이지만, 미드레인지 루프(midrange loop)에서 참조번호 5의 파워 백오프 방법에 비하여 성능이 상당히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부 크로스토크(alien crosstalk)의 전력이 VDSL FEXT의 전력보다 큰 대역에서는 송신 신호의 전력을 줄여야 하기 때문에 송수신 능력이 줄어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참조 번호 5의 파워 백오프 방법을 적용한 경우의 SNR의 바운드는,
와 같음을 알 수 있다. 즉, 기준 잡음을 사용한 파워 백오프 방법을 사용하였을때 SNR의 변화를 살펴보면, 가까이 있는 원격단과 먼곳에 있는 원격단에서 모두 파워 백오프를 함으로 인해 생기는 SNR 손실(loss)이 3 데시벨(dB) 이내가 됨을 알 수 있다.
도 2에는 원격단(RT: remote terminal)에 구비되는 일반적인 업스트림 전송 장치의 구조를 블록도로써 도시하였다. 도 2에 도시한 업스트림 전송 장치는 DMT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된 VDSL 시스템의 경우에 해당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업스트림 전송 장치는 파워 백오프부에서 결정된 전력 밀도를 사용한 비트 할당(bit allocation)에 의하여 파워 백오프를 수행한다.
하지만, 상술한 종래의 파워 백오프 방법들에 따르면, 가까운 원격단에서의 업스트림시에 SNR 손실이 커지므로 업스트림시의 데이터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업스트림 데이터율을 개선할 수 있는 파워 백오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인 과제는 상기 파워 백오프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독취 가능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인 과제는 상기 파워 백오프 방법을 수행하는 파워 백오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백오프 방법은 (a) 기준 루프에서 허용된 최대 전력밀도로 신호를 송신할 때 인접 루프에 인가되는 크로스토크 값인 파-엔드 크로스토크(far-end crosstalk: FEXT)의 양에 소정의 제1 상수를 곱한 값과 기준 잡음값에 소정의 제2 상수를 곱한 값의 합을 기초로 원격단에서 라인단으로 송신하는 업스트림 신호의 전력 밀도를 정의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정의된 전력 밀도를 가지는 송신 신호를 원격단에서 라인단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i는 소정의 양의 정수, ,과 는 각각 기준 루프의 길이와 i번째 루프의 길이, 는 각각 기준 루프와 i번째 루프의 삽입손실(insertion loss), 는 디지털 가입자 시스템에서 허용하는 최대 송신 전력 밀도, 는 기준 잡음 신호의 전력 밀도, 는 소정의 제1 상수, 는 소정의 제2 상수라 할 때, i번째 원격단에서 라인단으로 송신하는 업스트림의 송신 전력 밀도를, 과 같이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상기 (a) 단계는, i는 소정의 양의 정수, ,과 는 각각 기준 루프의 길이와 i번째 루프의 길이, 는 각각 기준 루프와 i번째 루프의 삽입손실, 는 디지털 가입자 시스템에서 허용하는 최대 송신 전력 밀도, 는 기준 잡음 신호의 전력 밀도, 는 소정의 제1 상수, 는 소정의 제2 상수라 할 때, i번째 원격단에서 라인단으로 송신하는 업스트림의 송신 전력 밀도를, 과 같이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상기 (a) 단계는, i는 소정의 양의 정수, ,과 는 각각 기준 루프의 길이와 i번째 루프의 길이, 는 각각 기준 루프와 i번째 루프의 삽입손실, 는 디지털 가입자 시스템에서 허용하는 최대 송신 전력 밀도, 는 기준 잡음 신호의 전력 밀도, 는 소정의 제1 상수, 는 소정의 제2 상수라 할 때, i번째 원격단에서 라인단으로 송신하는 업스트림의 송신 전력 밀도를, 과 같이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기준 루프의 길이 , i번째 루프의 길이 , 기준 루프의 삽입손실 , i번째 루프의 삽입손실 , 기준 잡음 신호의 전력 밀도 , 소정의 제1 상수 , 및 소정의 제2 상수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변수(parameter)는 라인단에서 송신된 값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외부 크로스토크(alien crosstalk)과 배경 잡음(background noise)의 합을 기준 잡음 으로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상기 (a) 단계는, 채널에 대한 잡음 측정을 통하여 결정된 값을 기준 잡음(reference noise)으로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백오프 방법.
또한, 파-엔드 크로스토크(FEXT) 모델은 디지털 가입자망 관련 표준에 제시된 FEXT 모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준 길이와 상기 기준 길이에 따른 채널의 전달함수는 송신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백오프 방법.
또한, 상기 소정의 제1 상수 및 제2 상수는 송신신호가 전송되는 거리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상기 소정의 제1 상수 및 제2 상수는 송신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독취 가능 기록 매체는 (a) 기준 루프에서 허용된 최대 전력밀도로 신호를 송신할 때 인접 루프에 인가되는 크로스토크 값인 파-엔드 크로스토크(FEXT)의 양에 소정의 제1 상수를 곱한 값과 기준 잡음값에 소정의 제2 상수를 곱한 값의 합을 기초로 원격단에서 라인단으로 송신하는 업스트림 신호의 전력 밀도를 정의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정의된 전력 밀도를 가지는 송신 신호를 원격단에서 라인단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워 백오프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또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백오프 장치는 기준 루프에서 허용된 최대 전력밀도로 신호를 송신할 때 인접 루프에 인가되는 크로스토크 값인 파-엔드 크로스토크(far-end crosstalk: FEXT)의 양에 소정의 제1 상수를 곱한 값과 기준 잡음값에 소정의 제2 상수를 곱한 값의 합을 기초로 업스트림 신호의 전력 밀도를 제한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 처리부는, 기준 루프 길이 데이터와, 기준 삽입 손실 데이터, 및 최대 PSD(power spectrum density) 마스크 데이터를 입력하여 승산하는 제1 승산기; 상기 제1 승산기로부터 출력된 결과 데이터와 소정의 제1 상수()를 승산하는 제2 승산기; K는 소정의 상수, f는 송신신호의 주파수라 할 때 기준 잡음 데이터와 데이터()를 승산하는 제3 승산기; 상기 제3 승산기로부터 출력된 결과 데이터와 소정의 제2 상수()를 승산하는 제4 승산기; 상기 제2 승산기로부터 출력된 결과 데이터와 상기 제4 승산기로부터 출력된 결과 데이터를 합산하는 가산기; 삽입 손실의 역수에 해당하는 데이터와 루프 길이의 역수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승산하는 제5 승산기; 및 상기 제5 승산기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와 상기 가산기로부터 출력된 결과 데이터를 입력하여 승산하는 제6 승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제6 승산기로부터 출력되는 결과 데이터의 값이 최대 PSD 마스크 데이터의 값보다 크면 상기 최대 PSD 마스크 데이터를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리미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또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한 전송 장치는 기준 루프에서 허용된 최대 전력밀도로 신호를 송신할 때 인접 루프에 인가되는 크로스토크 값인 파-엔드 크로스토크(FEXT)의 양에 소정의 제1 상수를 곱한 값과 기준 잡음값에 소정의 제2 상수를 곱한 값의 합을 기초로 업스트림 신호의 전력 밀도를 제한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파워 백오프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백오프 방법의 주요 단계들을 흐름도로써 나타내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백오프 방법은 먼저 ,과 는 각각 기준 루프과 i번째 루프의 길이, 는 각각 기준 루프와 i번째 루프의 삽입손실(insertion loss), 는 VDSL 시스템에서 허용하는 최대 송신 전력 밀도, 는 기준 잡음 신호의 전력 밀도라 할 때, i번째 원격단에서 라인단으로 송신하는 VDSL 업스트림의 송신 전력 밀도를,
과 같이 정의한다(단계 302). 여기서, K는 FEXT 모델에서 사용하는 상수로 보통 주어진 루프에 대해 실험적으로 구하는 상수이며, α,β는 상수이다. 또한, 기준 잡음 신호의 전력 밀도 는 외부 크로스토크(alien crosstalk)와 배경 잡음(background noise)의 합으로 나타내어지며, 실제 채널 측정 데이터가 있는 경우 그것을 사용할 수 있다.
위에서 정의한 송신 전력밀도는 분자와 분모에 을 곱하면 분자는 기준 루프에서 허용된 최대 전력밀도로 송신하였을때 인접 루프에 인가되는 FEXT의 양과 기준 잡음의 가중된 합(weighted sum)이며, 분모는 i번째 루프에서 인접 루프에 인가하는 FEXT의 양을 송신 전력으로 나눈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만일 계산된 값이 최대 송신 전력 밀도보다 작은 경우에는 계산된 값을 주파수 f에서 i번째 루프의 송신 전력 밀도로 사용한다. 반면에, 계산된 값이 최대 송신 전력 밀도보다 큰 경우에는 최대 송신 전력 밀도를 송신 전력 밀도로 사용한다. 즉, i번째 원격단에서 라인단으로 송신하는 VDSL 업스트림의 송신 전력 밀도를,
과 같이 정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a>>b이거나 b<<a인 경우에는 a+b = max(a,b)인 점을 이용한다. 실험에 따르면, 위에서 제시한 두가지 알고리즘은 유사한 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실제 구현을 하는 경우 수학식 6은 디지털 신호 처리(digital signal processing: DSP)에 적합하고, 수학식 7은 하드 와이어링(hard wiring)을 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다음으로, 단계(302)에서 정의된 전력 밀도를 가지는 송신 신호를 원격단에서 라인단으로 송신한다(단계 304).
전체적으로 2개의 VDSL 라인만 존재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백오프 방법에 따르면,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백오프 방법에 의하여 전송된 송신 신호는 긴 루프의 경우 3dB 이내의 SNR 저하를 겪으며, 짧은 루프는 SNR 저하가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 된다. 원격단1의 전송 파워 와 같거나 작다. 또한, 원격단2의 전송 파워 와 같거나 작다. 따라서, 두 가지 경우가 검증되어야 한다.
첫 번째 경우는 보다 적지만 인 경우이다. 또한, 두 번째 경우는 두 파워가 로 한정되는 경우이다. 즉, 첫 번째 경우는,
가 되고, 두 번째 경우는,
가 된다.
두 원격단이 존재할 경우, 세 가지의 가능한 토폴로지가 존재한다. 루프 길이가 모두 또는 인 두 원격단이 존재하는 두 경우의 토폴로지에서는 FEXT의 양은 각각,
가 된다.
또한, 한 원격단의 길이는 이고, 다른 하나의 원격단의 길이는 인 경우의 토폴로지에서는 FEXT의 양이 다르다. 은 원격단1에서 원격단2로의 파-엔드 크로스토크를, 은 원격단2에서 원격단1으로의 파-엔드 크로스토크라 할 때,
와 같다. 수학식 12 및 13에서 FEXT 커플링은 두 원격단에 대하여 동일한 커플링 길이의 함수로 나타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제, 상기 수학식 12 및 13에 전송 파워를 대입하면,
이 되고,
이 된다.
한편, 이고, 인 경우, SNR을 계산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백오프 방법을 평가한다. 이하에서 L1 및 L2는 각각 원격단1과 원격단2의 커플링 길이를 나타내고 L2는 L1 보다 큰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모드 1의 경우, 원격단1에 대한 SNR은,
과 같이 나타내어진다. 여기서, 이다.
또한, 원격단2에 대한 SNR은,
또한, 원격단1의 길이와 동일한 두 원격단에서의 SNR인 는,
이고, 원격단2의 길이와 동일한 두 원격단에서의 SNR인 는,
이다. 이제, 와 그들 각각의 자기 FEXT(self FEXT)를 비교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백오프 방법의 성능을 평가한다. 전제 조건(criterion)은 파워 백오프로 인한 SNR 손실이 바운드되는 것이다. 먼저, 원격단1과 원격단2에 대한 자기 FEXT의 SNR 바운드는 각각,
과 같다. 이제, 두 SNR을 비교하면,
의 관계가 성립한다. 즉, 원격단1에 대한 SNR은 자기 FEXT에 따른 SNR 보다 큼을 알 수 있다. 또한,
의 관계가 성립한다. 통상, 1/2의 감쇄는 3dB 정도에 해당하므로, 감쇄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만일, 이면, 는 대략 1이 된다. 또한, 는 어떠한 경우에도 이 된다.
이제, 인 경우를 살펴본다. 이면, 모드 1에 대한 호환성의 증명이 보다 간단하다. 이 경우, 의 계산치는 를 초과하므로, 로 설정된다. 따라서,
의 관계가 성립하고,
의 관계가 성립한다.
위의 실시예에서는 두 항의 덧셈을 사용하였으나,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타실시예에 따르면 두 항 중 큰 값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i번째 원격단에서 라인단으로 송신하는 VDSL 업스트림의 송신 전력 밀도를,
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원격단에서 송신 신호의 전력밀도를 독립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대안적으로, 라인단에서 원격단으로 송신 신호의 전력 밀도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송신하고, 원격단에서는 상기 정보들에 따라 송신 신호의 전력 밀도를 제한함으로써 파워 백오프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대안적으로 원격단에서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을 구비하여 해당하는 조건에 따라 소정의 상수들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수들을 사용하여 송신 신호의 전력 밀도를 제한함으로써 파워 백오프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대안적으로, 전송 신호의 주파수 또는 전송될 거리에 따라 종래의 파워 백오프 방법과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백오프 방법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백오프 방법에 의하여 송신 전력이 제한된 송신 신호는 인접 라인에 인가하는 FEXT의 양을 줄이면서 자신의 파워를 높일수 있기 때문에 긴 루프의 경우 3dB 이내의 SNR 저하를 겪으며, 짧은 루프는 SNR 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궁극적으로 VDSL 업스트림의 데이터율을 올리거나, 마진을 높일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은 α,β를 적절하게 선택해서 망운용자의 서비스 조건에 맞도록 파워 백오프를 운용할수 있으므로 타 방식에 비해 유연성이 높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백오프 방법은 각 원격단별 최대 송신 전력을 구하기 때문에 VDSL 피지컬(physical)를 구성하는 방법, 특히 라인코드(line code)와 듀플렉싱 방법(duplexing method)에 관계 없이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백오프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프로그램 코드들 및 코드 세그멘트들은 당해 분야의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독취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는 자기기록 매체, 광기록 매체, 및 전파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백오프 방법은 디지털신호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DSP)를 사용한 파워 백오프 장치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파워 백오프 장치는 원격단의 전송장치에 구비되어 전송 장치의 전송 전력을 제어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백오프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백오프 장치는 제1 승산기(402), 제2 승산기(404), 제3 승산기(406), 제4 승산기(408), 제5 승산기(410), 및 제6 승산기(412)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파워 백오프 장치는 제1 가산기(414)와 리미터(416)를 구비한다.
상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제1 승산기(402)는 기준 루프 길이 데이터와, 기준 삽입 손실 데이터, 및 최대 PSD(power spectrum density) 마스크 데이터를 입력하여 승산한다. 제1 승산기(402)로부터 출력된 결과 데이터는 기준 루프에서 허용된 최대 전력밀도로 신호를 송신할 때 인접 루프에 인가되는 크로스토크 값인 파-엔드 크로스토크(far-end crosstalk: FEXT)의 양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제2 승산기(404)는 제1 승산기로부터 출력된 결과 데이터와 소정의 제1 상수()를 승산한다.
한편, 제3 승산기(406)는 기준 잡음 데이터와 데이터()를 승산한다. 제4 승산기(408)는 제3 승산기(406)로부터 출력된 결과 데이터와 소정의 제2 상수()를 승산한다.
이제, 가산기(414)는 제2 승산기(404)로부터 출력된 결과 데이터와 제4 승산기(408)로부터 출력된 결과 데이터를 합산한다. 제5 승산기(410)는 삽입 손실의 역수에 해당하는 데이터와 루프 길이의 역수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승산한다. 제6 승산기(412)는 제5 승산기(41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와 가산기(414)로부터 출력된 결과 데이터를 입력하여 승산한다. 도 3에서, 제6 승산기(412)로부터 출력되는 결과 데이터는 A로써 참조되며, 최대 PSD 마스크 데이터는 B로써 참조된다. 리미터(416)는 A로써 참조되는 데이터가 B로써 참조되는 데이터보다 크면 B를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A로써 참조되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즉, 상기와 같은 파워 백오프 장치는 기준 루프에서 허용된 최대 전력밀도로 신호를 송신할 때 인접 루프에 인가되는 크로스토크 값인 파-엔드 크로스토크(far-end crosstalk: FEXT)의 양에 소정의 제1 상수를 곱한 값과 기준 잡음값에 소정의 제2 상수를 곱한 값의 합을 기초로 업스트림 신호의 전력 밀도를 제한한다.
도 5에는 참고적으로 도 4의 파워 백오프 장치에 공급되는 기준 잡음(reference noise) 데이터를 구하기 위한 기준 잡음 계산부의 예를 블록도로써 도시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의 파워 백오프 장치에 공급되는 기준 잡음 데이터를 구하기 위한 기준 잡음 계산부는 제1 승산기(502)와, 제2 승산기(504)와, 제1 가산기(506), 및 제2 가산기(508)를 구비한다.
상기 기준 잡음 계산부의 동작을 설명하면, 제1 승산기(502)는 라인단에서의 잡음 모델과 NEXT 전달함수()를 입력하여 승산한다. 제2 승산기(504)는 원격단에서의 잡음 모델과 FEXT 전달함수()를 입력하여 승산한다. 다음으로, 제1 가산기(506)는 제1 승산기(502)로부터 출력된 결과 데이터와 제2 승산기(504)로부터 출력된 결과 데이터를 승산한다. 마지막으로, 제2 가산기(508)는 제1 가산기(506)로부터 출력된 결과 데이터에 평균 가우시안 잡음(averaged white gaussian noise:AWGN) 등의 주변 잡음 데이터를 합산한다. 제2 가산기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는 기준 잡음 데이터로서 도 4의 파워 백오프 장치에 입력된다. 단, 채널에 존재하는 잡음을 측정할 수 있으면 잡음 모델을 이용하여 구한 값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백오프 방법 및 장치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컴퓨터 시뮬레이션 실험을 수행하였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백오프 방법에서 소정의 상수 α와 β를 각각 1로 한 경우의 상향 비트율(upstream bit rate)를 평가한 실험 결과를 도시하였다.
실험 조건은 다음과 같다. 업스트림은 0.026 내지 0.138, 또는 1.1 내지 1.9, 또는 3.75 내지 5.5, 또는 10.1 내지 17.6 사이로 설정하였다. 다운 스트림은 0.138 내지 1.1, 또는 1.9 내지 3.75, 또는 5.5 내지 10.1으로 설정하였다. 전송 신호의 주파수는 1.4km까지는 1.0MHz 내지 3.0MHz, 1.0km까지는 3.0MHz 내지 7.0MHz, 0.7km까지는 7.0MHz ~ 10.0MHz, 0.4km까지는 10.0MHz 이상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2 VTU-Rs는 0.2km, 0.4km, 0.6km, 0.7km, 0.8km, 0.9km, 1.0km, 1.1km, 1.2km, 및 1.4km에 존재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기타 변수들로서는 SNR 갭은 9.8dB, 마진은 6dB, 코딩 이득은 3dB, 최대 전송 파워는 11.5dBm, 케이블의 종류는 브리지된 탭이 없는 24AWG (TP2)으로써 설정하였다. 또한, 효율 손실은 0.08, 잡음 모델은 FSAN(full service access network) 잡음 모델 A + VDSL FEXT 20 + AWGN : -140dBm/Hz을 사용하였다.
도 6을 참조하면, 소정의 상수 α와 β를 각각 1로 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방법(602, 604로 참조되는 그래프)이 0.6km이하의 짧은 루프에서는 가장 좋은 성능을 보이며, 미드 레이지(midrange)에서는 종래 기술의 파워 백오프 방법(622, 624, 626으로 참조되는 그래프)보다 비교적 적은 비트율 저하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루프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 비트율의 저하는 무시할 만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백오프 방법을 누적합(summation)을 이용하여 구현한 경우(604로 참조되는 그래프)와 최대값(supreme(maximum))을 이용하여 구한 경우(602로 참조되는 그래프) 유사한 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변수의 값을 변화시켜서 짧은 루프에서의 성능과 긴 루프의 성능 사이에는 트레이드 오프의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백오프 방법은 특히 짧은 루프에서 종래의 파워 백오프 방법에 비하여 SNR 특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백오프 방법은 소정의 상수 α,β를 적절하게 선택해서 망운용자의 서비스 조건에 맞도록 파워 백오프를 운용할수 있으므로 타 방식에 비해 유연성이 높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백오프 방법을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VDSL)에 적용한 것을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다른 디지털 가입자망(DSL)에 적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먼 원격단에서의 업스트림시에도 SNR 손실이 적으면서도 가까운 원격단에서의 업스트림시에 SNR 손실이 거의 없기 때문에 업스트림시의 데이터율이 개선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Very high speed Digital Subscriber's Loop: VDSL)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원격단(RT: remote terminal)에 구비되는 일반적인 업스트림 전송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백오프 방법의 주요 단계들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파워 백오프 장치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파워 백오프 장치에 공급되는 기준 잡음(reference noise) 데이터를 구하기 위한 기준 잡음 계산부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백오프 방법에서 소정의 상수 α와 β를 각각 1로 한 경우의 상향 비트율(upstream bit rate)를 평가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실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Claims (29)

  1. 디지털 가입자망에서 상향 업스트림 신호의 전력을 제한하는 파워 백오프 방법에 있어서,
    (a) 기준 루프에서 허용된 최대 전력밀도로 신호를 송신할 때 인접 루프에 인가되는 크로스토크 값인 파-엔드 크로스토크(far-end crosstalk: FEXT)의 양에 소정의 제1 상수를 곱한 값과 기준 잡음값에 소정의 제2 상수를 곱한 값의 합을 기초로 원격단에서 라인단으로 송신하는 업스트림 신호의 전력 밀도를 정의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정의된 전력 밀도를 가지는 송신 신호를 원격단에서 라인단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백오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i는 소정의 양의 정수, ,과 는 각각 기준 루프의 길이와 i번째 루프의 길이, 는 각각 기준 루프와 i번째 루프의 삽입손실(insertion loss), 는 디지털 가입자 시스템에서 허용하는 최대 송신 전력 밀도, 는 기준 잡음 신호의 전력 밀도, 는 소정의 제1 상수, 는 소정의 제2 상수라 할 때, i번째 원격단에서 라인단으로 송신하는 업스트림의 송신 전력 밀도를,
    과 같이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백오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i는 소정의 양의 정수, ,과 는 각각 기준 루프의 길이와 i번째 루프의 길이, 는 각각 기준 루프와 i번째 루프의 삽입손실, 는 디지털 가입자 시스템에서 허용하는 최대 송신 전력 밀도, 는 기준 잡음 신호의 전력 밀도, 는 소정의 제1 상수, 는 소정의 제2 상수라 할 때, i번째 원격단에서 라인단으로 송신하는 업스트림의 송신 전력 밀도를,
    과 같이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백오프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i는 소정의 양의 정수, ,과 는 각각 기준 루프의 길이와 i번째 루프의 길이, 는 각각 기준 루프와 i번째 루프의 삽입손실, 는 디지털 가입자 시스템에서 허용하는 최대 송신 전력 밀도, 는 기준 잡음 신호의 전력 밀도, 는 소정의 제1 상수, 는 소정의 제2 상수라 할 때, i번째 원격단에서 라인단으로 송신하는 업스트림의 송신 전력 밀도를,
    과 같이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백오프 방법.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준 루프의 길이 , i번째 루프의 길이 , 기준 루프의 삽입손실 , i번째 루프의 삽입손실 , 기준 잡음 신호의 전력 밀도 , 소정의 제1 상수 , 및 소정의 제2 상수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변수(parameter)는 라인단에서 송신된 값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백오프 방법.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외부 크로스토크(alien crosstalk)과 배경 잡음(background noise)의 합을 기준 잡음 으로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백오프 방법.
  7.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채널에 대한 잡음 측정을 통하여 결정된 값을 기준 잡음(reference noise)으로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백오프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외부 크로스토크(alien crosstalk)과 배경 잡음(background noise)의 합을 기준 잡음 으로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백오프 방법.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엔드 크로스토크(FEXT) 모델은 디지털 가입자망 관련 표준에 제시된 FEXT 모델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백오프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파-엔드 크로스토크(FEXT) 모델은 디지털 가입자망 관련 표준에 제시된 FEXT 모델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백오프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파-엔드 크로스토크(FEXT) 모델은 디지털 가입자망 관련 표준에 제시된 FEXT 모델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백오프 방법.
  12.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기준 길이와 상기 기준 길이에 따른 채널의 전달함수는 송신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백오프 방법.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기준 길이와 상기 기준 길이에 따른 채널의 전달함수는 송신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백오프 방법.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기준 길이와 상기 기준 길이에 따른 채널의 전달함수는 송신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백오프 방법.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기준 길이와 상기 기준 길이에 따른 채널의 전달함수는 송신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백오프 방법.
  1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제1 상수 및 제2 상수는 송신신호가 전송되는 거리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백오프 방법.
  1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제1 상수 및 제2 상수는 송신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백오프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가입자망은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Very high speed Digital Subscriber's Loop: VDS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백오프 방법.
  19. 디지털 가입자망에서 상향 업스트림 신호의 전력을 제한하기 위한 파워 백오프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독취 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a) 기준 루프에서 허용된 최대 전력밀도로 신호를 송신할 때 인접 루프에 인가되는 크로스토크 값인 파-엔드 크로스토크(FEXT)의 양에 소정의 제1 상수를 곱한 값과 기준 잡음값에 소정의 제2 상수를 곱한 값의 합을 기초로 원격단에서 라인단으로 송신하는 업스트림 신호의 전력 밀도를 정의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정의된 전력 밀도를 가지는 송신 신호를 원격단에서 라인단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워 백오프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독취 가능 기록 매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i는 소정의 양의 정수, ,과 는 각각 기준 루프의 길이와 i번째 루프의 길이, 는 각각 기준 루프와 i번째 루프의 삽입손실(insertion loss), 는 디지털 가입자 시스템에서 허용하는 최대 송신 전력 밀도, 는 기준 잡음 신호의 전력 밀도, 는 소정의 제1 상수, 는 소정의 제2 상수라 할 때, i번째 원격단에서 라인단으로 송신하는 업스트림의 송신 전력 밀도를,
    과 같이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독취 가능 기록 매체.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i는 소정의 양의 정수, ,과 는 각각 기준 루프의 길이와 i번째 루프의 길이, 는 각각 기준 루프와 i번째 루프의 삽입손실, 는 디지털 가입자 시스템에서 허용하는 최대 송신 전력 밀도, 는 기준 잡음 신호의 전력 밀도, 는 소정의 제1 상수, 는 소정의 제2 상수라 할 때, i번째 원격단에서 라인단으로 송신하는 업스트림의 송신 전력 밀도를,
    과 같이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독취 가능 기록 매체.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i는 소정의 양의 정수, ,과 는 각각 기준 루프의 길이와 i번째 루프의 길이, 는 각각 기준 루프와 i번째 루프의 삽입손실, 는 디지털 가입자 시스템에서 허용하는 최대 송신 전력 밀도, 는 기준 잡음 신호의 전력 밀도, 는 소정의 제1 상수, 는 소정의 제2 상수라 할 때, i번째 원격단에서 라인단으로 송신하는 업스트림의 송신 전력 밀도를,
    과 같이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독취 가능 기록 매체.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가입자망은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Very high speed Digital Subscriber's Loop: VDS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백오프 방법.
  24. 디지털 가입자망에서 상향 업스트림 신호의 전력을 제한하는 파워 백오프를 수행하는 파워 백오프 장치에 있어서,
    기준 루프에서 허용된 최대 전력밀도로 신호를 송신할 때 인접 루프에 인가되는 크로스토크 값인 파-엔드 크로스토크(far-end crosstalk: FEXT)의 양에 소정의 제1 상수를 곱한 값과 기준 잡음값에 소정의 제2 상수를 곱한 값의 합을 기초로 업스트림 신호의 전력 밀도를 제한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백오프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기준 루프 길이 데이터와, 기준 삽입 손실 데이터, 및 최대 PSD 마스크 데이터를 입력하여 승산하는 제1 승산기;
    상기 제1 승산기로부터 출력된 결과 데이터와 소정의 제1 상수()를 승산하는 제2 승산기;
    K는 소정의 상수, f는 송신신호의 주파수라 할 때 기준 잡음 데이터와 데이터()를 승산하는 제3 승산기;
    상기 제3 승산기로부터 출력된 결과 데이터와 소정의 제2 상수()를 승산하는 제4 승산기;
    상기 제2 승산기로부터 출력된 결과 데이터와 상기 제4 승산기로부터 출력된 결과 데이터를 합산하는 가산기;
    삽입 손실의 역수에 해당하는 데이터와 루프 길이의 역수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승산하는 제5 승산기; 및
    상기 제5 승산기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와 상기 가산기로부터 출력된 결과 데이터를 입력하여 승산하는 제6 승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백오프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6 승산기로부터 출력되는 결과 데이터의 값이 최대 PSD 마스크 데이터의 값보다 크면 상기 최대 PSD 마스크 데이터를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리미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백오프 장치.
  27. 디지털 가입자망에서 상향 업스트림 신호의 전력을 제한하는 파워 백오프 장치를 구비하는 디지털 가입자망의 전송 장치에 있어서,
    기준 루프에서 허용된 최대 전력밀도로 신호를 송신할 때 인접 루프에 인가되는 크로스토크 값인 파-엔드 크로스토크(FEXT)의 양에 소정의 제1 상수를 곱한 값과 기준 잡음값에 소정의 제2 상수를 곱한 값의 합을 기초로 업스트림 신호의 전력 밀도를 제한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파워 백오프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장치.
  2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기준 길이와 상기 기준 길이에 따른 채널의 전달함수는 송신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백오프 방법.
  2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기준 길이와 상기 기준 길이에 따른 채널의 전달함수는 송신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백오프 방법.
KR10-2000-0018509A 2000-04-08 2000-04-08 파워 백오프 방법 및 그 장치 KR100513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8509A KR100513712B1 (ko) 2000-04-08 2000-04-08 파워 백오프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8509A KR100513712B1 (ko) 2000-04-08 2000-04-08 파워 백오프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0973A KR20010090973A (ko) 2001-10-22
KR100513712B1 true KR100513712B1 (ko) 2005-09-07

Family

ID=19662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8509A KR100513712B1 (ko) 2000-04-08 2000-04-08 파워 백오프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37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6112A (zh) * 2019-05-23 2019-08-20 北京信息科技大学 一种二维相敏解调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496B1 (ko) * 2002-06-28 2004-10-20 주식회사 큐리온 초고속 가입자망 전송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상향채널 전력백오프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731A (ko) * 1994-06-30 1996-01-26 김광호 다중반송파 송수신장치의 비트할당장치
KR19990024605A (ko) * 1997-09-04 1999-04-06 정선종 전화 선로상의 고속 데이터 송수신용 아날로그 종단 장치
KR100252011B1 (ko) * 1997-10-27 2000-04-15 윤종용 시분할이중(tdd)방식 이산다중톤(dmt) 시스템의 데이터전송방법
KR20000039726A (ko) * 1998-12-15 2000-07-05 구자홍 최적 반송파 주파수 및 전송속도 결정 방법
KR100331437B1 (ko) * 1995-06-30 2002-08-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엠.티.시스템에서적응형비트교환방법및장치
KR100453496B1 (ko) * 2002-06-28 2004-10-20 주식회사 큐리온 초고속 가입자망 전송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상향채널 전력백오프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731A (ko) * 1994-06-30 1996-01-26 김광호 다중반송파 송수신장치의 비트할당장치
KR100331437B1 (ko) * 1995-06-30 2002-08-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엠.티.시스템에서적응형비트교환방법및장치
KR19990024605A (ko) * 1997-09-04 1999-04-06 정선종 전화 선로상의 고속 데이터 송수신용 아날로그 종단 장치
KR100252011B1 (ko) * 1997-10-27 2000-04-15 윤종용 시분할이중(tdd)방식 이산다중톤(dmt) 시스템의 데이터전송방법
KR20000039726A (ko) * 1998-12-15 2000-07-05 구자홍 최적 반송파 주파수 및 전송속도 결정 방법
KR100453496B1 (ko) * 2002-06-28 2004-10-20 주식회사 큐리온 초고속 가입자망 전송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상향채널 전력백오프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6112A (zh) * 2019-05-23 2019-08-20 北京信息科技大学 一种二维相敏解调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0973A (ko) 2001-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88686B1 (en) Frequency spectrum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US78263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power adjustment based on reduction of cross-talk between DSLs
US8009692B2 (en) Bit and power allocation scheme for full-duplex transmission with echo cancellation in multicarrier-based modems
US8094546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mpensating crosstalk in transmission links
US7126984B2 (en) Near-end crosstalk noise minimization and power reduction for digital subscriber loops
US7898975B2 (en) Method and device for obtaining crosstalk information
US7646699B2 (en) Transceiver power backoff
US7974583B2 (en) Real-time formation of optimal power spectral density masks
CN101610102A (zh) 一种优化功率的方法、系统和装置
Yu et al. An adaptive multiuser power control algorithm for VDSL
US6922448B1 (en) Upstream power back-off
US8537712B2 (en) Power level settings for transmission lines
US70724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power level for a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ed in a conductor
Leung et al. Autonomous spectrum balancing using multiple reference lines for digital subscriber lines
KR100513712B1 (ko) 파워 백오프 방법 및 그 장치
US7058125B2 (en) Data communications
US8009576B2 (en) Transmission links
Wiese et al. Use of the reference noise method bounds the performance loss due to upstream power backoff
Popovic et al. Distributed spectrum management for DSL networks
Vangorp et al. Downstream power backoff in CO/RT-deployed xDSL networks
Róka Theoretical and practical limits of transmission channels used by the ADSL technology in the metallic lines environment in the access network in Slovakia
Huberman et al. Ergodic capacity of a DSL binder channel
Oreshkov et al. Efficiency of G. fast technology application on TPP type telephone cables
Statovci et al. Adaptive resource allocation in multiuser FDD-DMT systems
Würtz et al. Seamless transition of power allocation in multi-user XDSL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