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2558B1 - 방사선치료용 콜리메터와 콜리메터어뎁터 및콜리메터어뎁터 장착홀더 - Google Patents

방사선치료용 콜리메터와 콜리메터어뎁터 및콜리메터어뎁터 장착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2558B1
KR100512558B1 KR10-2003-0029295A KR20030029295A KR100512558B1 KR 100512558 B1 KR100512558 B1 KR 100512558B1 KR 20030029295 A KR20030029295 A KR 20030029295A KR 100512558 B1 KR100512558 B1 KR 100512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imator
holder
radiation
adapter
slid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9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5466A (ko
Inventor
허순녕
서태석
정진범
Original Assignee
허순녕
학교법인 가톨릭학원
서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순녕, 학교법인 가톨릭학원, 서태석 filed Critical 허순녕
Priority to KR10-2003-0029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2558B1/ko
Publication of KR20040095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5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2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25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 C02F1/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ultrasonic vib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선치료용 콜리메터와 콜리메터어뎁터 및 콜리메터어뎁터 장착홀더에 관한 것이다. 이는 방사선 치료용 선형가속기의 회전갠트리 헤드부에 위치하는 장착홀더에 장착되어, 헤드부내의 방사선 방출부로부터 발생하는 방사선을 통과시켜 환부에 소정 지름의 조사면적이 투사되도록 하는 콜리메터를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장착홀더에 대해 착탈가능하며 장착홀더에 장착되어 방사선 방출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고 방사선을 통과시키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슬라이딩플레이트와; 상기 관통구멍을 내부 영역에 포함한 상태로 슬라이딩플레이트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며 그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홈을 가지고 내부에 상기 콜리메터를 수용하는 원통형 홀더본체와, 상기 지지홈에 지지된 상태로 홀더본체에 대해 상대운동 가능하고 콜리메터를 홀더본체에 대해 고정하거나 홀더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콜리메터를 홀더본체로부터 분리시키는 착탈수단을 갖는 마운트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콜리메터어뎁터에 대한 콜리메터의 장착 및 분리가 거의 순간적으로 이루어져 시술 중 콜리메터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 낭비가 없어 시술을 집중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시술효과가 높고 특히 콜리메터어뎁터 자체도 회전갠트리의 헤드부에 대해 손쉽게 착탈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방사선치료용 콜리메터와 콜리메터어뎁터 및 콜리메터어뎁터 장착홀더{Collimator using for radiosurgery and collimator adapter for collimator and installation holder for collimator adapter}
본 발명은 방사선 치료용 선형가속기의 헤드부에 구비되어 헤드부내의 방사선방출부로부터 발생하는 방사선이 환부에 소정 직경의 조사면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방사선 치료용 콜리메터와 상기 콜리메터를 지지하는 콜리메터어뎁터 및 콜리메터어뎁터 장착홀더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방사선 중 특히 치료방사선은 암환자의 종양에 가해져 암세포를 더 이상 번식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암세포가 수명을 다해 죽게 하거나 환자의 고통을 경감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방사선 치료는 예컨대 수술을 한 뒤 암 세포가 남아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경우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서, 또는 수술을 하지 못하는 경우, 또는 수술보다는 방사선 치료가 더 효과적인 경우, 또는 수술과 방사선 치료를 같이 병행하여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경우, 또는 항암 약물 치료 후 항암 약물 치료와 함께 항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행해진다.
상기 방사선치료는 선형가속기(linear accelerator)라고 하는 고가의 의료장비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선형가속기는 엑스레이 및 전자선을 출력할 수 있고 다양한 에너지와 높은 선량율이 가능하여 현재 방사선 치료의 표준장비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선형가속기로 치료방사선을 출력할 때에는 방사선이 방출되는 회전갠트리 선단의 헤드부에 콜리메터(collimator)를 장착하여 방사선이 종양(이하, 환부) 이외의 부위에 가해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콜리메터는 환부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미리 제작된 차폐물로서 환부 주위의 다른 건강한 부위에 방사선이 도달하지 않도록 가려준다. 상기 콜리메터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다.
한편, 방사선을 가할 환부의 크기가 작아 예컨대 환부에 조사될 조사면의 요구직경이 10mm 내지 40mm 정도밖에 안될 경우에는 원통형 콜리메터를 사용한다. 상기 원통형 콜리메터는 그 중심축부에 방사선관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대략 원기둥형 블록체이다. 상기 방사선관통로는 헤드부 내부의 방사선 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방사선을 통과시켜 상기 조사면을 제공하는 통로이다.
상기 콜리메터를 선형가속기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콜리메터어뎁터가 사용된다. 상기 콜리메터어뎁터는 시술에 앞서 시술자가 회전갠트리의 헤드부에 미리 설치하는 것으로 방사선 방출부로부터 콜리메터를 소정거리 이격시켜 고정한다.
도 1은 통상적인 방사선치료용 선형가속기에 종래의 콜리메터를 장착하여 시술하는 모습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선형가속기(11)는 본체(13)와 상기 본체(13)에 회전축(14)으로 연결되며 본체(13)에 대해 축회전가능한 회전갠트리(15)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3)는 지면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갠트리(15)를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상기 회전갠트리(15)는 회전축(14)에 의해 본체(13)에 지지된 상태로 축회전하며 회전시 지면에 부딪히지 않도록 그 크기가 적절히 설계되어 있다.
상기 본체(13)의 내부에는 고전압발생장치나 마이크로웨이브발생장치 등이 설치되어 있고, 회전갠트리(15)의 내부에는 전자를 가속시키는 가속관과 자기장발생장치와 상기 자기장발생장치를 통과한 엑스레이를 필요처로 조사하는 엑스레이방출부 등이 내장되어 있다.
상기 회전갠트리(15)의 하측부에는 치료테이블(2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치료테이블(23)은 치료할 환자가 드러눕는 장소로서 수평 및 수직의 위치조절이 자유롭고 그 내부에 촬영용 엑스레이필름을 수납할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회전갠트리(15)에 있어서 방사선이 방출되는 헤드부(17)에 콜리메터어뎁터(19)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콜리메터어뎁터(19)는 헤드부(17)에 대해 장착 및 분해가 가능한 것으로서 콜리메터를 사용하여야 할 때 헤드부(17)에 먼저 설치된다. 콜리메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콜리메터어뎁터(19)를 헤드부(17)로부터 제거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콜리메터어뎁터(19)의 중심축부에는 콜리메터(21)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콜리메터(21)는 콜리메터어뎁터(19)에 장착된 상태로 헤드부(17)내부로부터 발생한 방사선을 통과시켜 환자의 환부에 소정 직경의 조사면을 갖는 방사선이 가해지게 한다. 아울러 상기 콜리메터(21)는 방사선관통로의 직경에 따라 여러 호수(號數)가 있으며 시술 중 여러 가지 호수의 콜리메터를 교체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선형가속기의 헤드부에 설치되는 종래의 콜리메터와 콜리메터어뎁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선형가속기의 헤드부(17)에 콜리메터어뎁터(19)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콜리메터어뎁터(19)는 그 중앙부로 방사선을 통과시키도록 헤드부(17)의 중앙에 위치하고 고정스크류(19a)에 의해 헤드부(17)에 고정된다.
상기 콜리메터어뎁터(19)는 속이 빈 원통의 형태를 취하는 홀더본체(27)와, 상기 홀더본체(27)의 단부에 나사결합하는 고정링(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콜리메터어뎁터(19)는 그 외주면에 지지턱(28)을 갖는 콜리메터(21)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홀더본체(27)의 단부에 상기 지지턱(28)을 통과시키는 지지턱통과홈(29)과 지지턱(28)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수용홈(33)이 마련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홀더본체(27)의 하단 외주면에는 수나사산(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나사산(30)은 고정링(25)이 나사결합하는 부위이다.
상기 고정링(25)은 홀더본체(27)에 콜리메터(21)가 끼워진 상태로 수나사산(30)에 결합하여 콜리메터(21)가 홀더본체(27)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부재이다.
상기 콜리메터(21)는 그 중심축에 방사선관통로(31)를 가지며 상단 외주면에는 지지턱(28)을 구비한다. 상기 방사선관통로(31)의 내경은 콜리메터의 호수에 따라 다름은 상기와 같다.
상기한 종래의 콜리메터어뎁터(19)에 콜리메터(21)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지지턱(28)이 지지턱통과홈(29)을 통과하도록 콜리메터(21) 상단부를 홀더본체(27)의 중앙에 삽입한 후 축회전시켜 지지턱(28)이 수용홈(33)에 완전히 삽입되도록 하고, 이 상태로 상기 고정링(25)을 상기 수나사산(30)에 결합한다.
도 3은 상기 도 2의 콜리메터와 콜리메터어뎁터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홀더본체(27)의 중앙부에 콜리메터(21)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이 때 콜리메터(21)의 지지턱(28)이 수용홈(33)에 수용되어 있고 홀더본체(27)에 대해 고정링(25)이 나사결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콜리메터 및 콜리메터어뎁터는, 콜리메터어뎁터에 대해 콜리메터를 장착 및 분해 하기가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테면 사용하던 콜리메터를 다른 호수의 콜리메터로 교체하여야 할 경우 상기 고정링(25)을 홀더본체(27)에 대해 회전시켜 홀더본체(27)로부터 분리하고 그 후에 콜리메터(21)를 잡아 지지턱(28)이 지지턱통과홈(29)에 대응하도록 축회전 시킨 후 하부로 인출하여야 한다.
다른 호수의 콜리메터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바와같이 해당 콜리메터를 홀더본체(27)내에 삽입하여 걸어둔 상태로 수나사산(30)에 고정링(25)을 다시 결합하여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콜리메터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수나사산에 대해 고정링을 분해 및 결합하여야 하므로 그만큼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같이 콜리메터를 교체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시술 시간이 길어지고 시술에 집중력이 떨어져 치료효과를 감소시킬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수나사산(30)에 고정링(25)이 너무 강하게 조여져 고정링(25)을 분리하기가 어려울 경우 시술이 중단될 수 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콜리메터어뎁터에 대한 콜리메터의 장착 및 분리가 거의 순간적으로 이루어져 시술 중 콜리메터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 낭비가 없어 시술을 집중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시술효과가 높고 특히 콜리메터어뎁터 자체도 회전갠트리의 헤드부에 대해 손쉽게 착탈 할 수 있는 방사선 치료용 콜리메터와 콜리메터어뎁터 및 콜리메터어뎁터 장착홀더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콜리메터어뎁터는, 방사선 치료용 선형가속기의 회전갠트리 헤드부에 위치하는 장착홀더에 장착되어, 헤드부내의 방사선 방출부로부터 발생하는 방사선을 통과시켜 환부에 소정 지름의 조사면적이 투사되도록 하는 콜리메터를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장착홀더에 대해 착탈가능하며 장착홀더에 장착되어 방사선 방출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고 방사선을 통과시키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슬라이딩플레이트와; 상기 관통구멍을 내부 영역에 포함한 상태로 슬라이딩플레이트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며 그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홈을 가지고 내부에 상기 콜리메터를 수용하는 원통형 홀더본체와, 상기 지지홈에 지지된 상태로 홀더본체에 대해 상대운동 가능하고 콜리메터를 홀더본체에 대해 고정하거나 홀더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콜리메터를 홀더본체로부터 분리시키는 착탈수단을 갖는 마운트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콜리메터는 중심축부에 방사선이 통과하는 방사선관통로를 가지고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곡면의 바닥면을 제공하는 가압홈을 갖는 원기둥형 콜리메터이고, 상기 홀더본체의 선단부와 지지홈의 사이에는 홀더본체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통로로서 그 내부에 홀더본체의 내부와 외부로 동시에 돌출가능한 가압볼을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볼수용구가 형성되고,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홀더본체의 선단부와 지지홈의 사이에 해당하는 부위의 외주면을 커버한 상태로 홀더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으로, 그 내주면에는 상기 가압볼을 홀더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시켜 콜리메터의 가압홈을 가압하게 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볼을 수용하여 가압볼이 홀더본체의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홀더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하는 볼수용홈을 갖는 승강링과; 상기 지지홈에 지지된 상태로 승강링을 탄성지지하여 승강링의 가압부로 하여금 상기 가압볼이 홀더본체 내측으로 탄성 가압되게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홀더본체의 선단부에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있는 승강링의 이동경로상에 위치하여 승강링이 홀더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는 스토퍼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승강링에는 상기 스토퍼에 의해 걸려 지지되는 지지면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는 일정두께를 갖는 사각판의 형태를 취하며 장착홀더에 대해 슬라이딩운동을 통해 삽입 또는 인출되고 그 일측변에는 손잡이가 마련되며, 상기 손잡이가 위치한 변에 이웃하는 두 변중 한쪽 변에는 사각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사각홈이 형성된 한쪽 변의 반대측 변은 상기 한쪽변에 대해 평행하되 한쪽 변으로부터의 이격거리가 상이하며 상호간에 유선형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지지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콜리메터는, 방사선 치료용 선형가속기의 회전갠트리 헤드부에 설치되며 속이 빈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원통의 형태를 가지고 그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가압볼이 내주면으로부터 내부공간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구비된 콜리메터어뎁터의 마운트홀더 내부공간에 장착되어 헤드부내의 방사선 발생부로부터 발생하는 방사선을 통과시켜 환부에 소정지름의 조사면적이 투사되도록 하는 것으로, 그 외주면에 상기 가압볼을 부분 수용하여 콜리메터어뎁터에 대해 고정될 수 있는 힘을 제공받는 가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콜리메터는, 그 중심축부에 방사선을 통과시키는 방사선관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세로벤드(cerrobend) 재질의 본체와, 상기 본체를 감싸는 스텐레스재질의 케이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콜리메터어뎁터 장착홀더는, 방사선치료용 선형가속기의 회전갠트리 헤드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한쪽변에 사각홈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콜리메터를 고정하는 콜리메터홀더를 갖는 사각 슬라이딩플레이트의 테두리부를 상기 수납공간에 수용하여 슬라이딩플레이트가 헤드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홀더케이스와, 상기 홀더케이스의 수납공간을 이루는 일측벽을 관통하여 그 단부가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사각홈에 삽입됨으로써 홀더케이스에 대해 슬라이딩플레이트를 고정하는 장착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홀더케이스의 장착스크류가 위치한 일측벽의 반대측 측벽의 내벽면에는 슬라이딩플레이트를 장착스크류측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수단은, 슬라이딩플레이트의 테두리부 두께면에 접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를 슬라이딩플레이트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치료용 콜리메터와 콜리메터어뎁터 및 콜리메터어뎁터 장착홀더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회전갠트리(15)의 헤드부(17) 저면에 고정스크류(40a)를 통해 장착홀더(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장착홀더(40)는 대략 ㄷ 자의 형태를 취하며 방사선방출윈도우(X)를 가리지 않도록 방사선방출윈도우(X)를 그 중심에 위치시키는 홀더케이스(40h)와, 상기 홀더케이스(40h)에 설치되며 후술할 슬라이딩플레이트(45)를 홀더케이스(40h)내에 지지하는 장착스크류(40b)와 가압부재(도 11의 40e)와 스프링(도 11의 40f)을 포함한다.
상기 홀더케이스(40h)는 상기와 같이 ㄷ 자의 형태를 취하며 한쪽이 개방되고 사각판 형태의 슬라이딩플레이트(45)의 테두리를 수용하는 수납공간(40c)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각판의 형태를 취하는 슬라이딩플레이트(45)를 화살표 A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수납하거나 반대방향으로 당겨 인출 할 수 있다.
상기 홀더케이스(40h)의 한쪽 벽면에는 장착스크류(40b)가 구비되며 맞은편 벽면에는 가압부재(도 11의 40e) 및 스프링(도 11의 40f)이 설치된다. 상기 장착스크류(40b)는 수납공간(40c)에 수납된 슬라이딩플레이트(45)의 일측 에지부에 형성되어 있는 사각홈(45a)에 그 단부가 삽입되어 홀더케이스(40h)에 대해 슬라이딩플레이트(45)를 고정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장착스크류(40b)와 가압부재(40e) 및 스프링(40f)에 관해서는 후술된다.
결국 상기 장착홀더(40)는 헤드부(17)의 저면에 설치된 상태로 콜리메터어뎁터(43)를 방사선방출윈도우(X)의 하부에 위치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홀더케이스(40h)는 방사선방출윈도우(X)를 가리지 않아 방사선의 조사에 방해되지 않으므로 헤드부(17)에 다른 별도의 장치를 장착할 필요가 없는 경우 헤드부(40)로부터 굳이 분리할 필요가 없다.
상기 장착홀더(40)에 장착되는 콜리메터어뎁터(43)는 콜리메터(49)와 결합하여 콜리메터(49)를 방사선 방출부에 대해 소정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이다.
상기 콜리메터어뎁터(43)는 사각판의 형태를 취하며 그 테두리가 수납공간(40c)에 삽입되는 슬라이딩플레이트(45)와,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45)의 중앙부 저면에 구비되며 하부로 연장된 마운트홀더(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45)의 한쪽 변에는 손잡이(45b)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45b)는 콜리메터어뎁터(43) 자체를 휴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슬라이딩플레이트(45)를 상기 수납공간(40c)에 화살표 A방향으로 밀어 넣거나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게 하는 손잡이이다.
상기 마운트홀더(47)는 원통의 형태를 취하며 소정내경의 내부공간(47a)을 갖는다. 상기 내부공간(47a)에는 콜리메터(49)의 상측부가 삽입 고정된다. 상기 콜리메터(49)는 그 상측부가 상기 내부공간(47a)에 삽입된 상태로 마운트홀더(47)에 고정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에 가압홈(49b)을 갖는다. 상기 가압홈(49b)은 마운트홀더(47)내에서 후술할 착탈수단에 의해 지지 고정된다. 상기 마운트홀더(47)에 대한 콜리메터(49)의 장착 또는 분리 메카니즘은 후술된다.
도 5는 상기 도 4의 방사선치료용 콜리메터어뎁터를 분해하여 콜리메터와 함께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콜리메터어뎁터(43)는, 사각의 평판 형태를 취하며 그 중앙부에 관통구멍(45c)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플레이트(45)와, 상기 관통구멍(45c)을 그 내부 영역에 포함한 상태로 슬라이딩플레이트(45)의 일측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 설치되는 홀더본체(51)와,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45)에 결합하며 홀더본체(51)를 슬라이딩플레이트(45)에 대해 수직으로 지지하는 장착링(55)과, 상기 홀더본체(51)의 상측부에 구비되며 볼수용구(51f)를 통해 홀더본체(51)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가능한 세 개의 가압볼(51e)과, 승강운동을 통해 상기 가압볼(51e)을 제어하는 승강링(59)과, 상기 승강링(59)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5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45)는 일정두께를 가지며 대략 직사각 형태를 취하는 금속판으로서 한쪽 변에는 손잡이(45b)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45b)가 위치한 변에 이웃하는 변 중 일측 변에는 사각홈(45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상기 사각홈(45a)은 장착스크류(도 4의 40b)의 단부가 끼워지는 홈이다.
상기 사각홈(45a)이 위치한 변의 반대측 변에는 지지측면(45f)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측면(45f)은 사각홈(45a)이 위치한 변과 평행하되 그 이격 거리가 상이한 세 개의 면으로 이루어지며 각 면의 경계부위는 유선형으로 이어져 있다. 특히 상기 지지측면(45f)에 있어서 손잡이(45b)로부터 가장 먼 곳에 해당하는 부위의 폭(w)이 가장 좁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의 지지측면(45f)을 형성한 것은 슬라이딩플레이트(45)를 수납공간(40c)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하도록 의도한 것이다.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45)에는 네 개의 볼트구멍(45d)이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트구멍(45d)은 고정볼트(45e)가 도면상 상부로 관통하는 구멍으로서 고정볼트(45e)가 장착링(55)에 결합하도록 한다.
상기 홀더본체(51)는 일정 내경의 내부공간(47a)을 제공하며 외주면에는 플렌지(51a)와 지지홈(51b)과 스냅링홈(51g)을 갖는 원통형 부재이다. 상기 홀더본체(51)는 일체형으로 제작함이 좋다.
상기 홀더본체(51)는 그 하단에 상기한 플렌지(51a)가 형성되며 상단부에는 상기 지지홈(51b)을 갖는 베이스부(52)와, 상기 베이스부(52)의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지지홈(51b)이 내부영역에 포함되는 수용부(53)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52)는 속이 빈 원통형상을 취하며 하단의 플렌지(51a)는 슬라이딩플레이트(45)에 접한다. 상기 플렌지(51a)는 베이스부(52)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장착링(55)의 지지부(55a)에 걸려 슬라이딩플레이트(45)측으로 가압 지지된다. 상기 지지부(55a)는 플렌지(51a)를 걸어 지지하는 링형 지지턱이다.
상기 장착링(55)은 상기 지지부(55a)를 이용하여 플렌지(51a)를 걸고 다수의 고정볼트(45e)에 의해 슬라이딩플레이트(45)에 결합함으로써 홀더본체(51)를 슬라이딩플레이트(45)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시킨다.
상기 지지홈(51b)은 도면상 베이스부(52)의 상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으로서 전체적으로 링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지지홈(51b)의 내부에는 승강링지지면(51c)과 스프링지지면(51d)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승강링지지면(51c)은 후술할 승강링(59)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부위이고, 스프링지지면(51d)은 스프링(57)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부위이다.
한편, 상기 수용부(53)는 베이스부(52)에 대해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공간(47a)에 콜리메터(49)를 부분적으로 수용한다. 상기 수용부(53)를 이루는 원통의 두께는 베이스부(52)의 두께보다 지지홈(51b)의 폭만큼 작다.
상기 수용부(53)의 상측부 외주면에는 스냅링홈(51g)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냅링홈(51g)은 공지의 스냅링(61)이 끼워지는 홈이다.
한편, 상기 수용부(53)에 있어서 스냅링홈(51g)의 도면상 하측부에는 세 개의 볼수용구(51f)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수용구(51f)는 수용부(53)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등각 위치에 형성되며 수용부(53)의 내부공간(47a)을 외부로 연결한다.
특히 상기 볼수용구(51f)의 내경은 내부공간(47a)으로부터 외부로 갈수록 커진다. 또한 상기 볼수용구(51f)의 최대 직경은 가압볼(51e)의 직경보다 크고 최소직경은 가압볼(51e)의 직경보다 작다. 이와같이 함으로써 가압볼(51e)이 내부공간(47a)으로 빠지지 않게 됨은 물론이고 가압볼(51e)이 내주면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되게 할 수 있다.
상기 가압볼(51e)은 일정 직경을 갖는 금속구(金屬球)로서 후술하는 바와같이 도 6의 화살표 f방향의 가압력을 제공받아 콜리메터(49)의 가압홈(49b)을 죈다.
상기 가압볼(51e)이 각자의 볼수용구(51f)내에 위치한 상태로 수용부(53)의 외주에는 스프링(57)과 승강링(59) 및 스냅링(61)이 구비된다. 상기 스냅링(61)은 스냅링홈(51g)에 끼워지며 승강링(59)이 스냅링(61)을 넘어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의 기능을 한다.
상기 승강링(59)은 소정형상의 내주면을 갖는 링형부재로서 상기 볼수용구(51f)를 커버하며 수용부(53)를 감싼다. 상기 승강링(59)은 수용부(53)에 대해 도 7의 화살표 m 또는 n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승강링(59)의 내주면에는 볼수용홈(59a)과 가압부(59c)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볼수용홈(59a)은 볼수용홈(59a)이 상기 볼수용구(51f)에 대응 위치할 때 상기 가압볼(51e)이 내부공간(47a) 외측으로 후퇴할 수 있게 마련한 여유 공간이다. 상기 볼수용홈(59a)으로 말미암아 가압볼(51e)이 수용부(53)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59c)는 상기 볼수용홈(59a)에 평행한 부위로서 수용부(53)의 외주면에 면접한다. 상기 가압부(59c)는 도 8에 도시한 바와같이 승강링(59)이 스냅링(61)측으로 이동했을 때 가압볼(51e)을 내부공간(47a) 측으로 가압하여 수용부(53)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볼수용홈(59a)의 도면상 상측부에는 지지면(59b)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지지면(59b)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링(59)이 스프링(57)의 지지력에 의해 상부로 가압될 때 스냅링(61)에 걸리는 부위이다.
상기 스프링(57)은 지지홈(51b)과 승강링(59)의 사이에 위치하는 압축스프링이다. 상기 스프링(57)은 그 하단이 스프링지지면(51d)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승강링(59)을 스냅링(61)측으로 탄성 가압한다. 상기 승강링(59)은 스프링(57)에 의해 스냅링(61)측으로 최대한 이동하며 이 때 상기 가압부(59c)가 도 8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압볼(51e)을 수용부(53) 내부로 가압한다.
이 상태로 상기 승강링(59)을 도 9의 화살표 m방향으로 완전히 이동시키면 스프링(57)은 압축되고 가압볼(51e)이 수용부(53)의 내부로부터 외측으로 후퇴한다.
한편, 상기 홀더본체(51)의 내부공간(47a)에 삽입 장착되는 콜리메터(49)는 상기 수용부(53)의 내주면에 밀착 지지된다. 또한 상기 콜리메터(49)의 외주면에는 가압홈(49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홈(49b)은 콜리메터(49)가 내부공간(47a)에 삽입될 때 상기 가압볼(51e)에 의해 조여지는 부위이다. 상기 가압볼(51e)이 도 6의 화살표 f방향으로 가압홈(49b)을 따라 콜리메터(49)가 홀더본체(51)에 대해 고정됨은 물론이다.
상기 콜리메터(49)는 그 중심축으로 방사선을 통과시켜 환부에 소정 직경의 조사면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으로 방사선관통로(49a)를 갖는 본체(49c)와 상기 본체(49c)를 감싸며 본체(49c)에 대해 결합하는 케이싱(49d)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49c)는 공지의 재질인 세로벤드(cerrobend)로 제작하고 케이싱(49d)은 스텐레스스틸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도 4의 콜리메터어뎁터에 콜리메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립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콜리메터를 사용시 마운트홀더(47)가 슬라이딩플레이트(45)의 하부에 위치하지만 이해를 돕고자 뒤집어서 도시하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홀더본체(51)가 관통구멍(45c)을 내부에 영역에 포함한 상태로 장착링(55)에 의해 슬라이딩플레이트(45)측으로 지지되며 슬라이딩플레이트(45)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장착링(55)은 지지부(55a)로 플렌지(51a)를 지지한 상태로 고정볼트(45e)에 의해 슬라이딩플레이트(45)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홀더본체(51)의 수용부(53)에 구비되어 있는 가압볼(51e)이 승강링(59)에 의해 화살표 f방향으로 탄성 가압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화살표 f방향으로 가압되는 가압볼(51e)이 콜리메터(49)의 가압홈(49b)을 죄어 콜리메터를 고정시킴은 상기와 같다.
아울러 상기 승강링(59)은 스프링(57)에 의해 지지되고 스냅링(61)에 걸려 정지한 상태로 가압볼(51e)을 계속적으로 가압한다. 상기 스프링(57)은 승강링(59)의 탄성지지면(59d)을 탄성 지지한다.
도 7은 상기 도 4의 콜리메터와 콜리메터어뎁터를 상호 분리한 상태로 도시한 도립 사시도 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슬라이딩플레이트(45)의 일측면에 마운트홀더(47)가 수직으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마운트홀더(47)를 구성하는 홀더본체(51)의 도면상 상측부 외주면에는 승강링(59)이 설치되어있다. 상기 승강링(59)은 스프링(도 6의 57)에 의해 화살표 n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고 있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승강링(59)이 화살표 n방향으로 탄성지지되고 있으므로 가압볼(51e)은 홀더본체(51)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 때 상기 스냅링(61)이 승강링(59)의 화살표 n방향 이동을 제한한다.
상기 상태에서 승강링(59)을 화살표 m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 9에 도시한 바와같이 볼수용홈(59a)이 볼수용구(51f)에 대응하게 되고 가압볼(51e)이 볼수용홈(59a)측으로 빠져 콜리메터(49)를 내부공간(47a)에 대해 삽입 또는 분리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치료용 콜리메터에덥터에 대한 콜리메터의 장착 및 분리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로서, 도 8은 홀더본체에 콜리메터가 장착된 모습이고 도 9는 홀더본체에 대해 콜리메터를 분리한 직후 또는 삽입하기 직전의 모습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콜리메터(49)가 홀더본체(51)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로 가압볼(51e)에 의해 지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가압볼(51e)은 스프링(57)에 의해 화살표 n방향으로 탄성지지되고 있는 승강링(59) 내주면의 가압부(59c)에 의해 화살표 f방향으로 밀려 가압홈(49b)을 죈다.
이 상태에서 홀더본체(51)로부터 콜리메터(49)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승강블록(59)을 도 9의 화살표 m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도 9에 도시한 바와같이 승강블록(59)를 화살표 m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볼수용홈(59a)이 가압볼(51e)에 대응하게 되며 가압볼(51e)이 볼수용홈(59a)측으로 후퇴한다. 이와같이 가압볼(51e)이 홀더본체(51)의 내주면으로부터 제거되면 홀더본체(51) 내의 콜리메터(49)의 이동경로가 확보되어 콜리메터(49)의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해진다.
도 9의 상태에서 승강링(59)에 가해지던 외력을 제거하면 승강링(59)은 스프링(57)의 탄성력에 의해 스냅링(61)측으로 다시 이동하여 대기함은 물론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치료용 콜리메터어뎁터에 콜리메터가 장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슬라이딩플레이트(45)의 중앙부 일측면에 홀더본체(51)가 위치하고 있다. 상기 홀더본체(51)가 장착링(55)에 의해 슬라이딩플레이트(45)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함은 상기한 바와같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치료용 콜리메터어뎁터가 장착홀더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기본적으로 상기 콜리메터어뎁터 장착홀더(40)는 슬라이딩플레이트(45)를 그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콜리메터(49)가 헤드부(17)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수납공간(40c)을 제공하는 홀더케이스(40h)의 일측벽에 상기 장착스크류(40b)가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장착스크류(40b)는 홀더케이스(40h)의 일측벽을 관통하여 그 단부가 수납공간(40c)으로 연장되는 공지의 스크류이다. 상기 장착스크류(40b)의 헤드부는 홀더케이스(40h)의 외부에 위치하며 나사산이 형성된 단부는 수납공간(40c)으로 연장된 후 슬라이딩플레이트(45)의 사각홈(45a)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홀더케이스(40h)의 수납공간(40c)에 슬라이딩플레이트(45)를 완전히 삽입하고 상기 장착스크류(40b)의 단부가 사각홈(45a)에 끼워지게 하면 장착홀더(40)에 대해 슬라이딩플레이트(45)가 견고히 고정되어 다시 빠지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장착홀더(40)에 있어서 장착스크류(40b)가 위치한 일측벽의 반대측 벽에는 수용홈(40d)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40d)의 내부에는 가압부재(40e)와 스프링(40f)이 구비된다. 상기 수용홈(40d)은 슬라이딩플레이트(45)의 지지측면(45f)을 향하는 면에 형성된 홈으로서 그 입구부위에는 수용턱(40g)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턱(40g)은 가압부재(40e)가 수용홈(40d)으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가압부재(40e)는 그 선단부가 수용홈(40d)의 외부로 연장되어 지지측면(45f)을 가압하는 것으로서 수용홈(40d)의 내부에서 스프링(40f)에 의해 슬라이딩플레이트(45)측으로 탄성지지된다.
결국 상기 마운트홀더(47)에 콜리메터(49)가 장착된 상태로 손잡이(45b)를 잡아 장착홀더(40)의 수납공간(40c)에 슬라이딩플레이트(45)를 삽입하고 상기 장착스크류(40b)를 죄면 장착홀더(40)에 대해 콜리메터어뎁터(43)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 때 상기 가압부재(40e)가 슬라이딩플레이트(45)의 지지측면(45f)을 탄성 가압하므로 슬라이딩플레이트(45)가 장착홀더(40) 내부에서 흔들거리지 않는다.
상기 상태에서 콜리메터어뎁터(43)를 장착홀더(40)로부터 빼내기 위해서는 상기 장착스크류(40b)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사각홈(45a)으로부터 장착스크류(40b)의 단부를 빼낸 상태로 손잡이(45b)를 잡고 슬라이딩플레이트(45)를 당기면 된다.
아울러 시술중 콜리메터어뎁터(43)를 그냥 둔 채 콜리메터(49)만 교체하여야 할 경우에는 승강링(도 12의 59)을 도 12의 화살표 m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로 콜리메터(49)를 마운트홀더(47)로부터 빼고 다른 콜리메터를 삽입한 후 승강링(59)에 가해지던 가압력을 제거하면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방사선 치료용 콜리메터와 콜리메터어뎁터 및 콜리메터어뎁터장착홀더는, 콜리메터어뎁터에 대한 콜리메터의 장착 및 분리가 거의 순간적으로 이루어져 시술 중 콜리메터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 낭비가 없어 시술을 집중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시술효과가 높고 특히 콜리메터어뎁터 자체도 회전갠트리의 헤드부에 대해 손쉽게 착탈 할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방사선치료용 선형가속기에 콜리메터를 적용하여 시술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상기 도 1의 선형가속기의 헤드부에 설치되는 종래의 콜리메터와 콜리메터어뎁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의 콜리메터와 콜리메터어뎁터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치료용 콜리메터와 콜리메터어뎁터 및 콜리메터어뎁터 장착홀더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4의 콜리메터어뎁터를 분해하여 콜리메터와 함께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4의 콜리메터어뎁터에 콜리메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7은 상기 도 4의 콜리메터와 콜리메터어뎁터를 상호 분리한 상태로 도시한 도립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치료용 콜리메터에덥터에 대한 콜리메터의 장착 및 분리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치료용 콜리메터어뎁터의 평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치료용 콜리메터어뎁터가 장착홀더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선형가속기 13:본체 14:회전축
15:회전갠트리 17:헤드부 19:콜리메터어뎁터
19a:고정스크류 21:콜리메터 23:치료테이블
25:고정링 27:홀더본체 28:지지턱
29:지지턱통과홈 30:수나사산 31:방사선관통로
33:수용홈 40:장착홀더 40a:고정스크류
40b:장착스크류 40c:수납공간 40d:수용홈
40e:가압부재 40f:스프링 40h:홀더케이스
40g:수용턱 43:콜리메터어뎁터 45:슬라이딩플레이트
45a:사각홈 45b:손잡이 45c:관통구멍
45d:볼트구멍 45e:고정볼트 45f:지지측면
47:마운트홀더 47a:내부공간 49:콜리메터
49a:방사선관통로 49b:가압홈 49c:본체
49d:케이싱 51:홀더본체 51a:플렌지
51b:지지홈 51c:승강링지지면 51d:스프링지지면
51e:가압볼 51f:볼수용구 51g:스냅링홈
52:베이스부 53:수용부 55:장착링
55a:지지부 57:스프링 59:승강링
59a:볼수용홈 59b:지지면 59c:가압부
59d:탄성지지면 61:스냅링
X:방사선방출윈도우

Claims (10)

  1. 방사선 치료용 선형가속기(11)의 회전갠트리(15) 헤드부(17)에 위치하는 장착홀더(40)에 장착되어, 헤드부(17)내의 방사선 방출부로부터 발생하는 방사선을 통과시켜 환부에 소정 지름의 조사면적이 투사되도록 하는 콜리메터(49)를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장착홀더(40)에 대해 착탈가능하며 장착홀더(40)에 장착되어 방사선 방출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고 방사선을 통과시키는 관통구멍(45c)이 형성된 슬라이딩플레이트(45)와;
    상기 관통구멍(45c)을 내부 영역에 포함한 상태로 슬라이딩플레이트(45)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며 그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홈(51b)을 가지고 내부에 상기 콜리메터(49)를 수용하는 원통형 홀더본체(51)와, 상기 지지홈(51b)에 지지된 상태로 홀더본체(51)에 대해 상대운동 가능하고 콜리메터(49)를 홀더본체(51)에 대해 고정하거나 홀더본체(51)에 고정되어 있는 콜리메터(49)를 홀더본체(51)로부터 분리시키는 착탈수단을 갖는 마운트홀더(4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치료용 콜리메터에뎁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콜리메터(49)는 중심축부에 방사선이 통과하는 방사선관통로(49a)를 가지고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곡면의 바닥면을 제공하는 가압홈(49b)을 갖는 원기둥형 콜리메터이고,
    상기 홀더본체(51)의 선단부와 지지홈(51b)의 사이에는 홀더본체(51)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통로로서 그 내부에 홀더본체(51)의 내부와 외부로 동시에 돌출가능한 가압볼(51e)을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볼수용구(51f)가 형성되고,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홀더본체(51)의 선단부와 지지홈(51b)의 사이에 해당하는 부위의 외주면을 커버한 상태로 홀더본체(5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으로, 그 내주면에는 상기 가압볼(51e)을 홀더본체(51)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시켜 콜리메터(49)의 가압홈(49b)을 가압하게 하는 가압부(59c)와, 상기 가압볼(51e)을 수용하여 가압볼(51e)이 홀더본체(51)의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홀더본체(51)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하는 볼수용홈(59a)을 갖는 승강링(59)과;
    상기 지지홈(51b)에 지지된 상태로 승강링(59)을 탄성지지하여 승강링(59)의 가압부(59c)로 하여금 상기 가압볼(51e)이 홀더본체(51) 내측으로 탄성 가압되게 하는 스프링(5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치료용 콜리메터에뎁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본체(51)의 선단부에는 스프링(57)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있는 승강링(59)의 이동경로상에 위치하여 승강링(59)이 홀더본체(51)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는 스토퍼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승강링(59)에는 상기 스토퍼에 의해 걸려 지지되는 지지면(59b)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치료용 콜리메터에뎁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45)는 일정두께를 갖는 사각판의 형태를 취하며 장착홀더(40)에 대해 슬라이딩운동을 통해 삽입 또는 인출되고 그 일측변에는 손잡이(45b)가 마련되며, 상기 손잡이(45b)가 위치한 변에 이웃하는 두 변 중 한쪽 변에는 사각홈(45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치료용 콜리메터어뎁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45)의 사각홈(45a)이 형성된 한쪽 변의 반대측 변은 상기 한쪽변에 대해 평행하되 한쪽 변으로부터의 이격거리가 상이하며 상호간에 유선형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지지측면(45f)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치료용 콜리메터어뎁터.
  6. 방사선 치료용 선형가속기(11)의 회전갠트리(15) 헤드부(17)에 설치되며 속이 빈 내부공간(47a)을 제공하는 원통의 형태를 가지고 그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가압볼(51e)이 내주면으로부터 내부공간(47a)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구비된 콜리메터어뎁터(43)의 마운트홀더(47) 내부공간(47a)에 장착되어 헤드부(17)내의 방사선 발생부로부터 발생하는 방사선을 통과시켜 환부에 소정지름의 조사면적이 투사되도록 하는 것으로, 그 외주면에 상기 가압볼(51e)을 부분 수용하여 콜리메터어뎁터(43)에 대해 고정될 수 있는 힘을 제공받는 가압홈(49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치료용 콜리메터(49).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콜리메터(49)는, 그 중심축부에 방사선을 통과시키는 방사선관통로(49a)가 형성되어 있는 세로벤드(cerrobend) 재질의 본체(49c)와, 상기 본체(49c)를 감싸는 스텐레스재질의 케이싱(49d)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치료용 콜리메터.
  8. 방사선치료용 선형가속기(11)의 회전갠트리(15) 헤드부(17)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수납공간(40c)을 제공하는 것으로, 한쪽변에 사각홈(45a)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콜리메터(49)를 고정하는 마운트홀더(47)를 갖는 사각 슬라이딩플레이트(45)의 테두리부를 상기 수납공간(40c)에 수용하여 슬라이딩플레이트(45)가 헤드부(17)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홀더케이스(40h)와,
    상기 홀더케이스(40h)의 수납공간(40c)을 이루는 일측벽을 관통하여 그 단부가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45)의 사각홈(45a)에 삽입됨으로써 홀더케이스(40h)에 대해 슬라이딩플레이트(45)를 고정하는 장착스크류(4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치료용 콜리메터어뎁터 장착홀더.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케이스(40h)의 장착스크류(40b)가 위치한 일측벽의 반대측 측벽의 내벽면에는 슬라이딩플레이트(45)를 장착스크류(40b)측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치료용 콜리메터어뎁터 장착홀더.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수단은, 슬라이딩플레이트(45)의 테두리부 두께면에 접하는 가압부재(40e)와, 상기 가압부재(40e)를 슬라이딩플레이트(45)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40f)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치료용 콜리메터어뎁터 장착홀더.
KR10-2003-0029295A 2003-05-09 2003-05-09 방사선치료용 콜리메터와 콜리메터어뎁터 및콜리메터어뎁터 장착홀더 KR100512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9295A KR100512558B1 (ko) 2003-05-09 2003-05-09 방사선치료용 콜리메터와 콜리메터어뎁터 및콜리메터어뎁터 장착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9295A KR100512558B1 (ko) 2003-05-09 2003-05-09 방사선치료용 콜리메터와 콜리메터어뎁터 및콜리메터어뎁터 장착홀더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311U Division KR200325713Y1 (ko) 2003-05-09 2003-05-09 방사선치료용 콜리메터와 콜리메터어뎁터 및콜리메터어뎁터 장착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466A KR20040095466A (ko) 2004-11-15
KR100512558B1 true KR100512558B1 (ko) 2005-09-07

Family

ID=37374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9295A KR100512558B1 (ko) 2003-05-09 2003-05-09 방사선치료용 콜리메터와 콜리메터어뎁터 및콜리메터어뎁터 장착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25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133B1 (ko) * 2014-07-17 2015-03-13 주식회사 대양환경기술 하천 정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5211A1 (ko) * 2014-01-09 2015-07-1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선 치료 장치 및 선형가속기 결합용 빔 스포일러 모듈
WO2020021315A1 (es) * 2018-07-27 2020-01-30 Universidad De La Frontera Dispositivo adaptable a equipos de radioterapia externa que concentra la dosis en el blanco con foco variab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133B1 (ko) * 2014-07-17 2015-03-13 주식회사 대양환경기술 하천 정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466A (ko) 2004-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3211B2 (ja) 水ファントム型線量分布測定装置及び放射線治療装置
US7526066B2 (en) Radiation therapy system for treating breasts and extremities
US6421416B1 (en) Apparatus for local radiation therapy
US7257191B2 (en) Medical examination and treatment system
US8903471B2 (en) Beam deflection arrangement within a combined radiation therapy and magnetic resonance unit
US9149652B2 (en) Method for transporting radiation, applicator as well as radiation therapy device
US200500891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by ionizing radiation
US7758241B2 (en) Highly shielded radiation therapy system
US6904630B2 (en) Tabletop for radiation therapy and diagnostic imaging
EP3827880B1 (en) Radiotherapy apparatus
WO2001058523A1 (en) Apparatus for local radiation therapy
CN108744315A (zh) 准直器及放疗设备
US7899155B2 (en) Stand for holding a radiation detector for a radiation therapy device
KR100512558B1 (ko) 방사선치료용 콜리메터와 콜리메터어뎁터 및콜리메터어뎁터 장착홀더
US7486775B2 (en) Tissue irradiation device with at least one electron source and numerous radiation heads
RU2753639C1 (ru) Аппарат для корпускулярной лучевой терапии
KR200325713Y1 (ko) 방사선치료용 콜리메터와 콜리메터어뎁터 및콜리메터어뎁터 장착홀더
CN105705201B (zh) 放射源组件及具有该放射源组件的治疗头及伽玛刀
CN107583205B (zh) 准直器组件及包括该准直器组件的医疗设备
EP3482401B1 (en) Radiation delivery devices
CN209475407U (zh) 准直器及放疗设备
Jones et al. A non-contacting intraoperative electron cone apparatus
KR101872568B1 (ko) 양성자 치료를 위한 착탈식 비정 변조 콜리메이터 시스템
US20140206925A1 (en) Device provided with a set of applicators for contact radiotherapy, and system comprising said device
GB2408904A (en) Apparatus for treatment by ionising radi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