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2045B1 - Tubular membrane filter and cultivation device using thereof - Google Patents

Tubular membrane filter and cultivation device us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2045B1
KR100512045B1 KR10-2003-0073153A KR20030073153A KR100512045B1 KR 100512045 B1 KR100512045 B1 KR 100512045B1 KR 20030073153 A KR20030073153 A KR 20030073153A KR 100512045 B1 KR100512045 B1 KR 100512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filter
tubular membrane
circumferential surface
filter medium
cul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31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37873A (en
Inventor
김정학
Original Assignee
김정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학 filed Critical 김정학
Priority to KR10-2003-0073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2045B1/en
Publication of KR20050037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78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2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2045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Abstract

본 발명은 관형 막(Membrane) 여과재 및 이를 이용한 재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굴곡성과 지지력을 가지는 다공성 튜브, 튜브의 외주면을 둘러 싼 관형 직물, 직물의 외주면에 고분자 수지가 코팅되어 형성된 다공성 막 및 다공성 막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다공성막의 미세공을 투과한 용액을 함유하여 서서히 방출하는 배지부를 포함하는 관형 막 여과재 및 이를 이용한 재배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물의 낭비를 최소화하며 기공을 통해 항상 일정한 속도로 물질을 확산시키는 막의 특성을 이용하여 식물이 필요로 하는 수분과 양분을 항상 일정한 속도로 공급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본 기술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장식용, 관상용, 대량 재배용 재배가 가능함은 물론 물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는 장소에서도 작물, 화훼 및 잔디 재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bular membrane (Membrane) filter medium and a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a porous tube having flexibility and support, a tubular fabric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e, a porous membrane and a porous membrane formed by coating a polymer resi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abric By providing a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and a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containing a medium that slowly discharges by containing a solution that has permeated the micropores of the porous membrane, it minimizes waste of water and always diffuses the material at a constant rate through the pores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mbrane to make it has the feature that can always supply the water and nutrients needed by the plant at a constant rate. By using this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grow decorative, ornamental and large-scale cultivation, as well as cultivate crops, flowers and grasses even in places where water supply is not smooth.

Description

관형 막 여과재 및 이를 이용한 재배 장치{TUBULAR MEMBRANE FILTER AND CULTIVATION DEVICE USING THEREOF}TUBULAR MEMBRANE FILTER AND CULTIVATION DEVIC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관형 막 여과재 및 이를 이용한 재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성, 서방성, 여과성을 구비하여 항상 일정한 양의 재배액을 안정되게 공급하는 관형 막 여과재 및 이를 이용한 재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and a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and a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having a supportability, sustained release, and filterability to stably supply a constant amount of cultivation fluid. will be.

종래의 수경재배에 있어서는 물과 양분을 공급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통수관을 사용함으로써, 물의 낭비가 심하고 물에 용해된 양분뿐 만 아니라 재배작물에 치명적인 해를 입히는 세균 및 미세 먼지도 함께 공급되어 뜻하지 않는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In the conventional hydroponic cultivation, by using a general water pipe to supply water and nutrients, not only unpleasant damage is caused by not only nutrients dissolved in water, but also bacteria and fine dust that cause fatal damage to cultivated crops. Is likely to occur.

한편 반도체 공정 및 폐수처리 공정 등에서 불순물 제거 및 무균화 용도로 이용되는 다공성 막(Membrane)은 미세공(pore)을 통한 거름(sieve)효과가 탁월하고 서방성(sustained-release delivery)으로 인하여 물의 낭비가 적다.Meanwhile, porous membranes (membrane), which are used for removing impurities and aseptics in semiconductor and wastewater treatment processes, have excellent sieve effect through pores and waste of water due to sustained-release delivery. Is less.

지금까지 다공성 막의 서방성을 이용하여 식물의 재배에 적용한 사례는 없지만 일반적인 다공성 막을 수경 재배에 응용할 경우에도 다공성 막은 자체에 지지체가 없어 쉽게 끊어지거나 엉키기 쉬울 뿐 만 아니라 이를 수경 재배 용도로 사용하고자할 경우 다공성 막의 표면에 종자를 고정하거나 식물의 뿌리가 정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식물의 뿌리가 다공성 막을 강하게 졸라 매기도 하여 다공성 막을 수경재배에 이용코져 하는 의도와는 달리 일정한 양의 수분과 양분을 공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So far, there has been no application to plant cultivation using sustained release of porous membrane, but even if general porous membrane is applied to hydroponic cultivation, porous membrane is not only easy to break or entangle because it has no support on its own, In the case of fixing the seed on the surface of the porous membrane or the root of the plant is difficult to settle. In addition, the root of the plant is strongly squeezed the porous membrane, unlike the intention to use the porous membrane for hydroponic cultivation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upply a certain amount of moisture and nutrients.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관형 막 여과재 및 이를 이용한 재배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new type of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and a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that can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굴곡성, 서방성, 여과성 및 자체 지지력을 겸비한 관형 막 여과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necessity,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tubular membrane filter agent having flexibility, sustained release, filterability, and self-supporting force.

또한 상기 관형 막 여과제를 이용하여 발형 재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ot culture device using the tubular membrane filter.

또한 상기 관형 막 여과재를 이용하여 그물형 재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sh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또한 상기 관형 막 여과재를 이용하여 대량 재배형 재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ass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또한 상기 관형 막 여과재를 이용하여 매트형 재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to provide a mat-type cultivation device using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관형 막 여과재는 굴곡성과 지지력을 가지며, 내주면이 이루는 공간을 통해 수압에 의하여 재배액이 이동되면서 외주면으로 투과되는 다공성 튜브; 상기 튜브의 외주면을 둘러 싼 관형 직물; 상기 직물의 외주면에 고분자 수지가 코팅되어 형성되며, 미세공을 가지는 다공성 막; 및 상기 다공성 막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다공성막의 미세공을 투과한 용액을 함유하여 서서히 방출하는 배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has a bendability and a supporting force, the porous tube is permeat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while the cultivation liquid is moved by the water pressure through the space formed by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 tubular fabric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A porous membrane formed by coating a polymer resin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bric and having micropores; And a medium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rous membrane, and slowly releasing the solution containing the solution penetrating the micropores of the porous membran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형 막 여과재를 이용한 재배 장치는 복수개의 상기 관형 막 여과재; 외주면은 상기 관형 막 여과재로 재배액이 공급되도록 상기 관형 막 여과재의 끝단과 밀폐되어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재배액 공급단을 구비하는 호스; 상기 호스의 재배액 공급단에 결합되는 재배액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ultivation apparatus using a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said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hermetically coupled to an end of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to supply the culture liquid to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and includes a hose having at least one culture medium supply e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ultivation solution supply unit coupled to the cultivation solution supply stage of the ho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형 막 여과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관형 막 여과재(100)는 튜브(110), 관형 직물(120), 다공성 막(130) 및 배지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관형 중심에서부터 외주 방향으로 튜브(110), 관형 직물(120), 다공성 막(130), 배지부(140) 순의 층상구조로 형성된다.1 shows a tubular membrane filter media according to the invention. Referring to the same figure,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ube 110, a tubular fabric 120, a porous membrane 130 and the medium portion 140, from the tubular cent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tube 110, the tubular fabric 120, the porous membrane 130, and the medium 140 are formed in a layered structure in this order.

상기 튜브(110)는 내주면과 외주면을 구비한 관 형상으로서, 튜브(100)의 내주면은 유동성 있는 액체의 이동이 가능한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튜브(110)는 일정한 압력에 의하여 액체가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또는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투과(permeation)될 수 있는 미세공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튜브(110)는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는 굴곡성과 지지력을 가진다. 그러므로, 튜브(110)는 다공성으로 처리된 플라스틱 튜브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tube 110 is a tubular shape hav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100 forms a space in which a flowable liquid can be moved. In addition, the tube 110 preferably has micropores through which liquid can be permeated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to the outer circumference or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to the inner circumference. In addition, the tube 110 has flexibility and a supporting force that can be molded into a predetermined shape. Therefore, the tube 110 is preferably a plastic tube treated with porosity.

따라서, 다공성 튜브(110)를 둘러쌓게 될 지지력이 없는 물질도 다공성 튜브(110)의 지지력에 기인하여 일정한 형상을 가진 상태에서 지지력을 가지게 된다. 또한, 다공성 튜브(110)의 내주면 공간을 통해 재배액이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한 수압을 가하면 재배액은 내주면 공간을 통해 이동되면서 외주면으로 투과(permeation)된다.Therefore, the material having no bearing force to surround the porous tube 110 also has a bearing force in a predetermined shape due to the bearing force of the porous tube 110. In addition, when a certain hydraulic pressure is applied to allow the cultivation liquid to move throug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pace of the porous tube 110, the cultivation liquid is permea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hile being moved throug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pace.

이때, 재배액은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수용성 영양분 또는 식물에 해가되는 생물을 제거하는 수용성 살충제 등이 물에 용해되어 구성될 수 있다. 영양분 및 살충제의 종류와 투입량은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가능 하므로 물, 영양분 및 살충제를 공급하는 인건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류와 투여량에 따른 결과를 효과적으로 관찰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cultivation solution may be configured by dissolving a water-soluble nutrient required for plant growth or a water-soluble insecticide for removing organisms harmful to the plant in water. The type and dosage of nutrients and pesticides can be adjusted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situation, so that labor costs for supplying water, nutrients and pesticides can be reduced, and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type and dosage can be effectively observed.

상기 관형 직물(120)은 다공성 막(130)이 상기 튜브(110)의 외주면에 원활하게 코팅될 수 있도록 하는 매개체이다. 따라서, 관형 직물(120)은 다공성 막이 잘 점착될 수 있는 표면적 성질을 가짐과 아울러 튜브(11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ubular fabric 120 is a medium that allows the porous membrane 130 to be smoothly co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110. Therefore, the tubular fabric 120 is preferably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110 as well as having a surface area property that the porous membrane can stick well.

상기 다공성 막(130)은 직물(120)의 외주 표면에 고분자 수지가 코팅되어 형성된다. 고분자 수지의 코팅방법은 본 출원인의 선행 특허 출원 '관형 여과제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수처리용 필터모듈, 여과장치 및 여과시스템(특허출원번호 10-2003-11586)'에 개시된 바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porous membrane 130 is formed by coating a polymer resi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abric 120. The coating method of the polymer resin is preferably as disclosed in the applicant's prior patent application 'Method for producing a tubular filter and a filter module, a filtration device, and a filtration system (Patent Application No. 10-2003-11586) using the same'. It is not limited.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고분자 수지로는 폴리 우레탄 수지, 폴리 설폰(PS: Polysulfone) 수지, 나이론(Nylon) 수지, 셀루로오즈 아세테이트(CA: Celluiose acetate) 수지, 폴리 아크릴로 니트릴(PAN: Polyacrylonitrile) 수지 또는 폴리 비릴리덴 폴로라이드(PVDF: Polyvinylidene fluoride) 수지와 같은 고분자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N 비닐 피롤리돈(N-vinyl pyrrolidone) 모노머가 그라프트 중합된 고분자 수지, 아크릴산(acrylic acid) 모노머가 그라프트 중합된 고분자 수지, 하이드록시 에틸 메타클레이(hydroxy ethyl methacrylate)가 그라프트 중합된 고분자 수지와 같은 친수성 모노머 그라프트(Graft)로 중합(Polymerization)된 고분자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여과재 표면에 유기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다.Polymer resins us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polyurethane resins, polysulfone (PS) resins, nylon (Nylon) resins, cellulose acetate (CA) resins, polyacrylonitrile (PAN) resins. Or a polymer resin such as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resin, preferably, a polymer resin in which an N-vinyl pyrrolidone monomer is graft-polymerized, acrylic acid (acrylic). acid) Filter material in case of using polymer resin polymerized with hydrophilic monomer graft such as polymer resin graft polymerized monomer and hydroxy ethyl methacrylate graft polymerized polymer resin It is more desirable to minimize organic contamination on the surface.

또한, 상기 다공성 막(13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고분자 수지에 폴리비닐 피롤리돈(Polyninyl pyrrolidone)이나 폴리에틸렌 글라이콜(Polyethylene glycol) 등의 기공 형성재를 첨가하여, 다공성 막(130)에 미세공을 형성한다. 선택된 기공 형성제의 분자량 및 첨가량에 따라 미세공의 크기와 조밀도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porous membrane 130, a pore-forming material such as polyvinyl pyrrolidone or polyethylene glycol is added to the polymer resin to the porous membrane 130. To form micropores; The size and density of the micropores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molecular weight and the addition amount of the selected pore former.

본 발명에 따른 관형 여과제(100)에 있어서 미세공은 0.01 내지 50 마이크로미터의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미세공을 통하여 재배액에 포함된 구성요소 중 물, 영양분 및 살충제 등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요소만 선택적으로 투과(permeation)시키고 식물의 생장에 해를 미치는 세균 및 불순물을 걸러내기 위함이다. 따라서, 미세공의 크기와 조밀도를 조정함으로써 투과(permeation)되는 물질을 선택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In the tubular fil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pores preferably have a size of 0.01 to 50 micrometers. This is to selectively permeate only the elements necessary for plant growth such as water, nutrients and pesticides among the components contained in the cultivation through the micropores and to filter out bacteria and impurities that harm the plant growth. Therefor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material to be permeated can be selected by adjusting the size and density of the micropores.

상기 배지부(140)는 다공성 막(140)을 투과(permeation)한 재배액을 함유하여 식물의 재배에 필요한 영양분이나 물을 항상 일정하게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다공성 막(130)의 외주면에 하이드로젤(Hydrogel)이 고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dium unit 140 contains a cultivation solution permeating the porous membrane 140 to provide nutrients or water necessary for the cultivation of plants at all times, and the hydrogel (eg, hydrogel)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rous membrane 130. Hydrogel) is preferably formed by fixing.

하이드로젤(Hydrogel)이란 상당량의 물을 흡수하면서 물에는 용해되지 않아 그 자체의 3차원적인 구조를 유지하는 물질로서, 온도, pH, 빛, 용매의 조성, 전류, 이온 세기, 염의 형태 그리고 외부 응력과 같은 매질 조건의 미세한 변화에 의해서 부피상의 큰 변화를 보인다. 이러한 하이드로젤의 자극 민감성(Stimuli-sensitive) 팽윤 특성은 본 발명에 따른 관형 막 여과재(100)를 통한 재배액의 방출 조절에 이용될 수 있다. Hydrogel is a substance that absorbs a considerable amount of water but does not dissolve in water and maintains its own three-dimensional structure. Temperature, pH, light, solvent composition, current, ionic strength, salt form, and external stress The small change in the medium conditions such as shows a large change in volume. Stimuli-sensitive swelling characteristics of this hydrogel can be used to control the release of the broth through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a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관형 막 여과재(100)는 재배액 방출에 있어서, 서방성(sustained-release delivery)을 가질 수 있게 되고, 물의 낭비를 줄임과 동시에 필요한 양의 물을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되어 물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재배가 가능하게 된다. As a result,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sustained-release delivery in the discharge of the cultivation solution, and can supply the required amount of water at the same time while reducing the waste of water. Cultivation is possible even when the water supply is not smooth.

다공성 막(130)에 하이드로젤층 배지부(140)를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딥 코팅(dip coating) 기법, 표면 활성화(surface activation) 기법 및 스프레이(Spray) 도포 기법을 활용할 수 있다. As a method of forming the hydrogel layer medium 140 on the porous membrane 130, a dip coating technique, a surface activation technique, and a spray coating technique may be used.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젤로 PVA(Polyvynyl alchol), PVP(Polyvinyl pyrrolidone),PHEMA(Poly 2-hydroxyethyl methacrylate)등의 중합체(Polymer)와 배양될 종자를 물과 배합하여 점성 있는 혼합물을 생성하고 이를 다공성 막(130)의 외주면에 스프레이한 후 건조시켜 배지부를 형성한다. More preferably, hydrogel is mixed with a polymer such as polyvinylyl chol (PVA), polyvinyl pyrrolidone (PVP), poly 2-hydroxyethyl methacrylate (PHEMA) and seeds to be cultured with water to form a viscous mixture, which is porou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m 130 is sprayed and then dried to form a medium part.

이 경우에는 첨가된 종자가 하이드로젤에 직접 뿌리를 내릴 수 있게 되어 종래의 통수관의 표면에 식물의 뿌리가 정착되지 않는 문제점이 해결된다.In this case, the added seed can be directly rooted in the hydrogel, thereby solving the problem that the root of the plant is not settled on the surface of the conventional water pipe.

상기에서 설명한 관형 막 여과재(100)는 자체 지지성, 병원균 여과성 및 재배액 공급에 있어서 서방성을 가지며, 이러한 특성에 기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형 막 여과재(100)는 농작물, 화훼, 잔디 등 각종 식물의 재배 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100 described above has sustainability in self-supporting, pathogenic filterability, and cultivation of liquid supply, and due to this characteristic,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various kinds of crops, flowers, grass, etc. It can be used in the cultivation apparatus of the plant.

관형 막 여과재를 이용한 재배 장치는 복수개의 관형 막 여과재(100), 호스(210) 및 재배액 공급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개의 관형 막 여과재(100)는 기하학적 무늬로 배열되고, 상기 호스(210)는 굴곡성과 지지력을 가지며, 외주면은 관형 막 여과재(100)로 재배액이 공급되도록 관형 막 여과재(100)의 끝단과 밀폐되어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재배액 공급단(216)을 구비한다. 상기 재배액 공급부(220)는 상기 호스의 재배액 공급단(216)과 결합된다. The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100, the hose 210 and the culture liquid supply unit 220. A plurality of tubular membrane filter media 100 is arranged in a geometric pattern, the hose 210 has a bendability and suppor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end of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a 100 so that the cultivation is supplied to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a 100 It is hermetically coupled and has at least one culture medium supply stage 216. The culture solution supply unit 220 is coupled to the culture solution supply terminal 216 of the hose.

이 때, 재배액 공급부(220)는 적절한 수압을 발생시키기 위해 호스(210)의 재배액 공급단(216)보다 조금 높은 곳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ulture medium supply unit 220 is located slightly higher than the culture medium supply terminal 216 of the hose 210 to generate an appropriate water pressure.

따라서, 재배액은 수압에 의해 재배액 공급부(220)로부터 호스(210)로 유입되어, 호스(210)의 외주면에 밀폐되어 결합된 관형 막 여과재(100)로 이동하며, 관형 막 여과재(100)를 구성하는 튜브(110), 직물(120) 및 여과성 다공성 막(130)을 순차적으로 거쳐 재배액의 유출정도를 조절하는 배지부(140)로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식물에 흡수되게 된다.Therefore, the cultivation liquid flows into the hose 210 from the cultivation solution supply unit 220 by water pressure, and moves to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100 which is hermetically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se 210, and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100 Through the tube 110, the fabric 120 and the filterable porous membrane 130 constituting the sequential delivery to the medium 140 to control the outflow of the culture solution is finally absorbed by the plant.

본 발명에 따른 관형 막 여과재를 이용한 재배 장치는 복수개의 관형 막 여과재(100)의 기하학적 배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다양한 재배 장치의 예로서, 발형 재배 장치(200), 병풍형 재배 장치(250), 그물형 재배 장치(300), 대량 재배형 재배 장치(400) 및 매트형 재배 장치(500)를 예시하여 설명한다.The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geometric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tubular membrane filter media (100). Hereinafter, as an example of various cultivation apparatuses, the foot-type cultivation apparatus 200, the folding-type cultivation apparatus 250, the mesh cultivation apparatus 300, the mass cultivation apparatus 400, and the mat cultivation apparatus 500 are illustrated. Will be explain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형 막 여과재를 이용한 재배 장치의 제 1실시예(발형)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형 막 여과재를 이용한 재배장치의 제 1실시예(발형)의 A-A`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front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cultivation apparatus using a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ot type), Figure 3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cultivation apparatus using a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도 및 도 3도를 참조하면, 관형 막 여과재를 이용한 발형 재배 장치(200)는 상기 복수개의 관형 막 여과재(100)가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나란하게 배열되고, 관형 막 여과재(100)의 양단은 각각 호스(10)의 외주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접착제(214)를 이용하여 밀폐된다. 호스(210)의 양단은 재배액이 유출되지 않도록 플러그(212)로 밀폐하되, 전체 수경재배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재배액 공급단(216)을 구비한 호스(210)가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배액 공급부(220)는 재배액 공급단(214)과 결합된다. 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foot cultivation apparatus 200 using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is arranged side by side in a state where the plurality of tubular membrane filter media 1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a 100 Both ends of the) are sealed using the adhesive 214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se 10. Both ends of the hose 210 is sealed with a plug 212 so that the cultivation solution does not leak, it is preferable that there is a hose 210 having at least one cultivation solution supply end 216 in the entire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 The culture solution supply unit 220 is coupled to the culture solution supply stage 214.

관형 막 여과재(100)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호스(210)와 호스(210) 사이의 관형 막 여과재(100)를 엮어 주는 철사나 끈과 같은 지지부재(230)를 부가하여 관형 막 여과재(100)의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다. 부분 확대도(150)는 관형 막 여과재(100)의 단면이 이루는 층을 보여준다. When the length of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100 is long,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100 may be added by adding a support member 230 such as a wire or a string for weaving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100 between the hose 210 and the hose 210. ) Can be reinforced. Partial enlarged view 150 shows the layer formed by the cross section of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a 100.

두개의 호스(210)와 두개의 호스(210) 사이에 배열된 관형 막 여과재(100)열을 하나의 기본 단위로 할 때 복수개의 기본단위는 서로 직렬(cascade)연결되어 전체적으로 병풍형 재배 장치(250)를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형 막 여과재를 이용한 재배장치의 제 2실시예(병풍형)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의 부분 확대도(255)를 참조하면, 기본 단위와 기본 단위의 각 관형 막 여과재(100)는 하나의 공동 호스(2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접착제로 밀폐되어 재배액이 서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When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100 arranged between the two hoses 210 and the two hoses 210 is formed as one basic unit, the plurality of basic units are cascaded to each other so as to form a totally folding type planting device ( 250). 4 is a front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cultivation apparatus using a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enlarged view 255 of the same figure, the base unit and each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100 of the base unit is sealed with an adhesive in a state in which it is coupled to one common hose 210 so that the cultivation fluid can move with each other. Has a structure.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복수개의 기본단위는 기본단위인채로 서로 직렬(cascade)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병풍형 재배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기본단위의 한쪽 호스와 다른 기본단위의 한쪽 호스는 플러그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plurality of basic units may be connected in series to each other as basic units to form a folding-type cultivation apparatus as a whole. At this time, one hose of the basic unit and one hose of the other basic unit is preferably connected by a plug.

상기 발형태 및 병풍형 재배 장치(200, 250)는 관상용 화초 재배에 활용될 수 있고 미관을 해치는 벽재 등을 장식하여 아름답게 꾸미는데도 활용될 수 있다.The foot-shaped and folding-type cultivation apparatus (200, 250) can be used to cultivate ornamental flowers and can be used to decorate beautifully by decorating a wall or the like that hurts aesthetic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형 막 여과재를 이용한 재배장치의 제 3 실시예(그물형)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을 참조하면, 관형 막 여과재를 이용한 그물형 수경재배 장치(300)는 상기 복수개의 관형 막 여과재(100)를 가로열과 세로열로 배열후 서로 엮은 그물망 형태로 구성되며, 그물망 형태의 테두리는 재배액 공급단(216)을 구비한 호스(210)로 둘러 쌓여지고, 각 관형 막 여과재(100) 양단은 호스(21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재배액이 누출되지 않도록 밀폐된다. 5 is a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net) of a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300 using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net mesh weaving each other after the plurality of tubular membrane filter media 100 arranged in a horizontal row and a vertical column, It is enclosed by a hose 210 having a culture medium supply end 216, and both ends of each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100 ar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se 210 to be sealed to prevent leakage of the culture solution.

그물형태는 암벽 또는 화분 등 특정한 물체를 둘러쌓는 형상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물형 재배 장치(300)는 화분 형상을 가지며, 이 를 이용하여 관상용 화초 재배가 가능하다. 이때 화초는 관상 여과재(100)가 나열된 형태를 따라 특정한 물체의 형상(본 예에서는 화분임)을 이루며 재배된다. 따라서, 가정용, 사무실용, 행사장용 등의 용도에 따라서 적절한 그물망의 모양을 선택함으로써, 재배되는 화초들의 모양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그물망 형태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관형 막 여과재(100)들의 결속을 강화하기 위하여 철사 또는 끈 등의 지지부재(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할 수 있다.The net shape may be a shape surrounding a specific object such as a rock wall or a flower pot. Reticulated cultivation apparatus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otted shape, it is possible to cultivate ornamental flowers using this. At this time, the flower is cultivated in the shape of a specific object (in this example, a pollen) along the form in which the tubular filter medium 100 is listed. Therefore, the shape of the cultivated flowers can be determined by selecting an appropriate shape of the net according to the use of home, office, event space, and the like. A support member (not shown), such as a wire or string, may be used to strengthen the binding of the plurality of tubular membrane filter media 100 constituting the mesh form.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형 막 여과재를 이용한 재배장치의 제 3실시예(대량 재배형)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을 참조하면, 관형 막 여과재를 이용한 대량 재배형 재배 장치(400)에 있어서 호스(210)는 사각형 외곽틀을 구성하고, 복수개의 관형 막 여과재(100)는 가로열과 세로열로 서로 엮어져 사각형 외각틀 속에 위치하여 양단이 재배액 공급단(216)을 구비한 호스(210)의 외주면에 결합된 후 밀폐되고 재배액 공급부(220)는 재배액 공급단(216)과 결합하여 하나의 기본단위를 구성한다.6 is a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bulk cultivation type) of the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 in the mass cultivation apparatus 400 using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the hose 210 constitutes a rectangular outer frame, and the plurality of tubular membrane filter media 100 are woven together in a horizontal row and a vertical row. Located in a rectangular outer frame, both ends are closed after being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se 210 having the cultivation solution supply stage 216, and the cultivation solution supply unit 220 is combined with the cultivation solution supply terminal 216 to form a single base. Make up the unit.

관형 막 여과재를 이용한 대량 재배형 재배 장치(400)는 복수개의 단위 사각형 틀이 내삽되는 재배용 배양틀(260)을 더 포함된다. 재배용 배양틀(260)은 사각형 틀이 내삽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슬롯(slot)(262)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ss cultivation apparatus 400 using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further includes a cultivation culture frame 260 into which a plurality of unit rectangular frames are interpolated. Culture culture frame 26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lots (262) so that the rectangular frame is interpolated and fixed.

더 나아가, 재배용 배양틀(260)을 제작함에 있어서, 광소재 채택, 열선 처리, 판형 온도 제어 장치 구비 및 열풍 제공이 가능토록 하여 인공적으로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자연적인 제약을 벗어나 계절에 관계없이 작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in manufacturing the culture cultivation frame 260, by adopting optical materials, heat treatment, plate temperature control device and the provision of hot air to artificially adjust the temperature, regardless of the season, crops regardless of the season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grow.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량 재배형 재배 장치(400)는 재배가 가능한 농작물 및 화훼 재배를 대규모로 사업화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Therefore, the mass cultivation cultivation apparatus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undation for commercializing large-scale cultivable crops and flowers.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관형 막 여과재를 이용한 재배장치의 제 4 실시예(매트형)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관형 막 여과재를 이용한 재배 장치의 제 4실시예(매트형)의 B-B`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7 is a plan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mat type) of a cultivation apparatus using a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fourth embodiment of a cultivation apparatus using a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sectional drawing of BB` of (mat type).

도 7도와 도 8도를 참조하면, 관형 막 여과재를 이용한 매트형 수경재배 장치(500)는 매트(240) 상면에 관형 막 여과재(100)와 호스(210)가 조합되어 안착되고 그 상면에 하이드로젤층 배지부(140)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관형 막 여과재(100)는 하이드로젤이 코팅되지 않는 관형 막 여과재인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mat hydroponic apparatus 500 using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is seated by combining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100 and the hose 21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t 240 and having a hydro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Gel layer medium 140 is present. Therefore,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100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preferably a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without hydrogel coating.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관형 막 여과재(100)는 굴곡성과 지지력을 가지는 다공성 튜브(110)와, 튜브(110)의 외주면을 둘러 싼 관형 직물(120) 및 직물(120)의 외주면에 고분자 수지가 코팅되어 형성된 다공성 막(130)이 순차적으로 층을 이룬다. 복수개의 관형 막 여과재(100)는 가로열과 세로열로 서로 엮어져 매트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explain this in detail, first,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100 is a polymer resi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ubular fabric 120 and the fabric 120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rous tube 110 and the tube 110 having flexibility and support The porous membrane 130 formed by coating is layered sequentially. The plurality of tubular membrane filter media 100 is preferably woven in a horizontal row and vertical row to form a mat shape.

호스(210)는 매트 형상으로 조합된 관형 막 여과재(100)의 외각틀을 형성하고 외각틀 속에는 매트 형상의 복수개의 관형 막 여과재(100)가 위치된다. 호스(210)의 외주면은 각 관형 막 여과재(100)로 재배액이 공급되도록 관형 막 여과재(100)의 끝단과 결합되어 밀폐된다. 호스(210)는 적어도 하나의 재배액 공급단(216)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se 210 forms an outer frame of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a 100 combined in a mat shape, and a plurality of mat-shaped tubular membrane filter media 100 is positioned in the outer fram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se 210 is combined with the end of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100 and sealed to supply the culture liquid to each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100. The hose 210 preferably includes at least one cultivation feed end 216.

배지부(140)는 상기와 같이 매트 형상으로 조합된 관형 막 여과재(100)와 호스(210)가 매트(240)에 안착된 후, 매트(240)면과 반대쪽의 관형 막 여과재(100)의 외주면에 하이드로젤, 배양될 종자 및 물이 배합된 점성 있는 혼합물이 상기 다공성 막(130)의 외주면에 스프레이된 후 건조되어 형성된다. 재배액 공급부(220)는 호스(210)의 재배액 공급단(216)에 결합되어 호스(210)에 재배액을 공급한다.The discharge part 140 i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100 on the opposite side to the mat 240 surface after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100 and the hose 210, which are combined in a mat shape, is seated on the mat 240 as described above. A viscous mixture of hydrogel, seed to be cultured and water is sprayed o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rous membrane 130 and then dried. The culture solution supply unit 220 is coupled to the culture solution supply terminal 216 of the hose 210 to supply the culture solution to the hose 210.

본 실시예에 따른 매트형 재배 장치(500)는 물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는 야외의 잔디밭 또는 농작물을 재배하는 비닐하우스 등의 운영에 활용될 수 있다.The mat-type cultivation apparatus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utilized in the operation of a plastic house for growing an outdoor lawn or crops in which water is not supplied smoothl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형 막 여과재 및 이를 이용한 수경재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and the hydrop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provid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굴곡성, 서방성, 여과성 및 자체 지지력을 겸비한 관형 여과제를 제공함으로써, 항상 일정한 양의 무균질의 재배액을 안정되게 공급하는 재배 장치의 기반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재배액에 투여되는 비료, 양분 및 살충제의 종류와 양을 임의로 조절하여 다양한 실험이 가능하게 되므로 연구용 재배 장치의 기반을 조성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일정한 농도의 액을 일정량씩 지속적으로 식물에 공급함으로써 식물의 성장에 큰 효과를 낼 수 있다.First, by providing a tubular filter that combines flexibility, sustained release, filterability, and self-support, not only provides a foundation for a cultivation device that stably supplies a constant amount of heterogeneous broth, but also fertilizers administered to the broth, Since various experiments are possible by arbitrarily adjusting the type and amount of nutrients and pesticides, there is an effect of forming the basis of the cultivation device for research. In particular, by constantly supplying a constant amount of liquid to a certain amount of the plant can have a great effect on the growth of the plant.

둘째, 상기 관형 막 여과재를 이용하여 발형 재배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화훼 등의 수경재배장치를 사용하여 암벽, 보기 흉한 벽재 등을 장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by providing a foot-shaped cultivation device using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there is an effect that can decorate rock walls, unsightly wall materials and the like using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s such as flowers.

셋째, 상기 관형 막 여과재를 이용하여 그물형 재배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특정 물체를 둘러쌓는 관상형 재배를 가능하게 하여 가정용, 사무실용, 행사장용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rd, by providing a net-type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it is possible to use the tubular cultivation surrounding a specific objec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home, office, event venue.

넷째, 상기 관형 막 여과재를 이용하여 대량 재배형 재배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재배가 가능한 농작물 및 화훼 재배를 대규모로 사업화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는 효과가 있다.Fourth, by providing a mass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there is an effect of creating a foundation to commercialize large-scale cultivable crops and flowers cultivation.

다섯째, 상기 관형 막 여과재를 이용하여 매트형 재배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물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는 야외의 잔디밭 또는 농작물을 재배하는 비닐하우스 등을 경제적으로 유지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fth, by providing a mat-type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conomically maintain the outdoor lawn or a vinyl house for growing crops, which is not a smooth supply of water.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at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that many mor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형 막 여과재를 도시한 도면,1 shows a tubular membrane filter media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형 막 여과재를 이용한 재배 장치의 제 1실시예(발형)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FIG. 2 is a front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cultivation apparatus using a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형 막 여과재를 이용한 재배 장치의 제 1실시예(발형)의 A-A`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a first embodiment (foot type) of a cultivation apparatus using a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형 막 여과재를 이용한 재배 장치의 제 2실시예(병풍형)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4 is a front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cultivation apparatus using a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olding screen typ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형 막 여과재를 이용한 재배 장치의 제 3실시예(그물형)를 도시한 도면,5 is a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net) of a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형 막 여과재를 이용한 재배 장치의 제 4실시예(대량 재배형)를 도시한 도면,6 is a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bulk cultivation type) of the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관형 막 여과재를 이용한 재배 장치의 제 5실시예(매트형)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7 is a plan view of a fifth embodiment (mat type) of a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관형 막 여과재를 이용한 재배 장치의 제 5실시예(매트형)의 B-B`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Fig. 8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a fifth embodiment (mat type) of a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관형 막 여과재 110... 튜브100 ... tubular membrane filter media 110 ... tube

120... 직물 130... 다공성 막120 ... fabric 130 ... porous membrane

140... 배지부 200... 발형 재배 장치140 ... Outlet 200 ... Foot growth device

210... 호스 212... 플러그210 ... Hose 212 ... Plug

214... 접착제 220... 재배액 공급부214 ... glue 220 ... cultivation supply

230... 지지부재 240... 매트230 ... support member 240 ... mat

300... 그물형 재배 장치 400... 대량 재배용 재배 장치300 ... net grower 400 ... grower for mass cultivation

500... 매트형 재배 장치500 ... Mat Growing Unit

Claims (9)

굴곡성과 지지력을 가지며, 내주면이 이루는 공간을 통해 수압에 의하여 용액이 이동되면서 외주면으로 투과되는 다공성 튜브;A porous tube having flexibility and support, and penetra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hile the solution is moved by water pressure through a space formed b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튜브의 외주면을 둘러 싼 관형 직물;A tubular fabric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상기 직물의 외주면에 고분자 수지가 코팅되어 형성되며, 미세공을 가지는 다공성 막; 및A porous membrane formed by coating a polymer resin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bric and having micropores; And 상기 다공성 막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다공성막의 미세공을 투과한 용액을 함유하여 서서히 방출하는 배지부;를 포함하는 관형 막 여과재.And a media part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rous membrane and gradually releasing the solution containing the solution that has permeated the micropores of the porous membran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미세공은 0.01 내지 50 마이크로미터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막 여과재.The micropores ar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a,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f 0.01 to 50 micrometer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배지부는 하이드로젤과 물이 배합된 점성있는 혼합물이 상기 다공성 막의 외주면에 스프레이된 후 건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막 여과재.The medium is a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characterized in that the viscous mixture of the hydrogel and water is spray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orous membrane and then dried. 굴곡성과 지지력을 가지며, 내주면이 이루는 공간을 통해 수압에 의하여 재배액이 이동되면서 외주면으로 투과되는 다공성 튜브, 상기 튜브의 외주면을 둘러 싼 관형 직물; 상기 직물의 외주면에 고분자 수지가 코팅되어 형성되며, 미세공을 가지는 다공성 막 및 상기 다공성 막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다공성막의 미세공을 투과한 재배액을 함유하여 서서히 방출하는 배지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관형 막 여과재;A porous tube having flexibility and support, and having a periphery transmitted through the space formed b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be permea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tubular fabric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Is formed by coating a polymer resi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bric, containing a porous membrane having micropores and a culture part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rous membrane and gradually penetrating the micropores of the porous membrane; Membrane filter media; 외주면은 상기 관형 막 여과재로 재배액이 공급되도록 상기 관형 막 여과재의 끝단과 결합되어 밀폐되며, 적어도 하나의 재배액 공급단을 구비하는 호스;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se coupled to the end of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to be sealed so that the culture fluid is supplied to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and having a at least one culture medium supply end; 상기 호스의 재배액 공급단에 결합되는 재배액 공급부;를 포함하는 관형 막 여과재를 이용한 재배 장치.Cultivation apparatus using a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comprising a; cultivation solution supply portion coupled to the cultivation solution supply terminal of the hose.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복수개의 관형 막 여과재는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막 여과재를 이용한 재배 장치.And the plurality of tubular membrane filter media are arranged side by side with each other.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복수개의 관형 막 여과재는 가로열과 세로열로 배열된 후 서로 엮어진 그물망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막 여과재를 이용한 재배 장치.The plurality of tubular membrane filter media is a cultivation device using a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characterized in that the network form is woven together after being arranged in a row and a column.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호스는 사각형 틀의 형상을 가지며,At least one hose has a rectangular frame shape, 상기 사각형 틀 형상의 호수가 내삽되는 재배용 배양틀을 더 포함하는 관형 막 여과재를 이용한 재배장치.Cultivation apparatus using a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further comprising a culture frame for the interpolation of the square frame lake. 굴곡성과 지지력을 가지며, 내주면으로 이루어진 공간을 통해 수압에 의하여 재배액이 이동되면서 외주면으로 투과되는 다공성 튜브, 상기 튜브의 외주면을 둘러 싼 관형 직물 및 상기 직물의 외주면에 고분자 수지가 코팅되어 형성되며, 미세공을 가지는 다공성 막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관형 막 여과재;It has flexibility and support and is formed by coating a polymer resin on a porous tube, a tubular fabric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and a porous tube permeat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hile the cultivation liquid is moved by a hydraulic pressure through a space formed b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 plurality of tubular membrane filter media including porous membranes having micropores; 외주면은 상기 관형 막 여과재로 재배액이 공급되도록 관형 막 여과재의 양단과 결합되어 밀폐되며, 적어도 하나의 재배액 공급단을 구비하는 호스;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s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to be sealed so that the culture solution is supplied to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and having a hose having at least one culture medium supply end; 상기 호스는 매트형 외곽틀을 구성하고, 복수개의 상기 관형 막 여과재는 가로열과 세로열로 서로 엮어져 상기 외각틀 속에 위치하여 매트에 안착된 후, 매트면과 반대쪽 관형 막 여과재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다공성막의 미세공을 투과한 재배액을 함유하여 서서히 방출하는 배지부;The hose constitutes a mat outer frame, and the plurality of tubular membrane filter media are woven together in a horizontal row and a vertical row, positioned in the outer frame and seated on a mat, and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opposite to the mat surface. A medium portion containing the cultivation solution penetrating the micropores of the porous membrane and gradually releasing it; 상기 호스의 재배액 공급단에 결합되는 재배액 공급부;를 포함하는 관형 막 여과재를 이용한 재배장치.A cultivation apparatus using a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comprising a; cultivation solution supply unit coupled to the cultivation solution supply terminal of the hose. 제 4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8, 상기 재배액은 수용성 영양분, 살충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물이 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막 여과재를 이용한 재배장치.The cultivation apparatus is a cultivation apparatus using a tubular membrane filter medium,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is mixed with at least one of nutrients, insecticides and water.
KR10-2003-0073153A 2003-10-20 2003-10-20 Tubular membrane filter and cultivation device using thereof KR1005120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153A KR100512045B1 (en) 2003-10-20 2003-10-20 Tubular membrane filter and cultivation device us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153A KR100512045B1 (en) 2003-10-20 2003-10-20 Tubular membrane filter and cultivation device us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7873A KR20050037873A (en) 2005-04-25
KR100512045B1 true KR100512045B1 (en) 2005-09-05

Family

ID=37240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3153A KR100512045B1 (en) 2003-10-20 2003-10-20 Tubular membrane filter and cultivation device us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204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974B1 (en) * 2015-03-26 2017-04-04 임선호 Hydroponics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7873A (en) 2005-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61586B1 (en) Support for plant culture and method for plant growth
CA2607906C (en) Irriga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AU2017202510A1 (en) Plant cultivation system, cultivation method utiliz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IL182341A (en) Method for modifying root growth
CN105101784A (en) Vertical garden system
JP2011000585A (en)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JP4662671B2 (en) Irrigation equipment
KR100512045B1 (en) Tubular membrane filter and cultivation device using thereof
CN102523965B (en) Plant growing device draped with cloth bodies
JPH01247023A (en) Plant cultivation cylinder and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ontaining said cylinder
AU2012212400A1 (en) A plant watering device
JPH0137088B2 (en)
CN213907675U (en) Agricultural experiment is as thing device of growing seedlings
CN216087852U (en) Plant culture device for crop planting
CN116420528A (en) Planting structure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CN117426290A (en) Garden green irrigation system combining waterscape and irrigation
JPH11103689A (en) Planting pot
JPH0216617Y2 (en)
JP3058252U (en) Hydroponics equipment
WO2008015674A2 (en) Drip-irrigation emitter device
JPH07308124A (en) Artificial ground
JPH11103662A (en) Material for culturing plant and container using the same
KR20180066560A (en) Coir block
CN1254496A (en) Auxiliaries for over-head cultivation and over-head cultivation equipment
CN108271677A (en) A kind of soilless culture impla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