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0277B1 - 필름이 가변되는 간판과 반복회동구조 - Google Patents

필름이 가변되는 간판과 반복회동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0277B1
KR100510277B1 KR10-2002-0077813A KR20020077813A KR100510277B1 KR 100510277 B1 KR100510277 B1 KR 100510277B1 KR 20020077813 A KR20020077813 A KR 20020077813A KR 100510277 B1 KR100510277 B1 KR 100510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oller
driving
signboard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7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4758A (ko
Inventor
조한천
Original Assignee
조한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한천 filed Critical 조한천
Publication of KR20040004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4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0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02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11/18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carried by belts, chains, or the like other than endless
    • G09F11/22Electric control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2011/0009Roller-band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름이 가변되는 간판과 반복회동구조에 관한 것으로, 표출할 수있는 필름(또는 복합물)이 제1, 제2 구동롤러 (제1, 제2 보조롤러 포함)에 상호 연결 롤링되는 양에 관계없이 컷(표출부 하나를 커버할 수 있는 크기)과 컷사이에 각각 금속성테잎(SI)을 붙히고 광전센서(S)가 감지, 할 수 있도록 하고 양끝단에 각각 금속성테잎을 테이핑하고 광전센서가 1개더 설치후 역방향으로 감지구동을 인식하게 하고 조명의 구성과 제어부의 조작에 따라 스타트-가속-정지의 일방향과 역방향으로 반복되는 과정에서 단순하고 정확하게 텐션유지 및 구동 편차제어가 스스로 이루어져 오작동이 사전에 차단되게 한 반복회동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평면간판 외 보조롤러(C)의 추가된 삼각, 사각돌출간판과 핸들(H)로 한 수동조작이나 감속모터(M2)가동시의 회전비와 롤링양에 관계없이 유연한 반복회동구조로의 적용이 용이하다.

Description

필름이 가변되는 간판과 반복회동구조{Repeat meeting together structure of signboard and among others ornaments that film is linked}
본 발명은 필름이 가변되는 간판과 반복회동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많은 양의 광고필름(또는 부합물)을 순차적으로 표출시켜 롤링된 필름양의 다, 소와 관계없이 제1 구동롤러와 제2 구동롤러에서 반복되는 회동에 발생될 수 있는 회동편차를 스스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회동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모터로 연결되어 롤링된 광고물(또는 부합물)을 표출 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의 특허출원이 다수 있었으나 이것은 실제 상황에서 상호 롤링된 광고물의 스타트-가속-정지의 반복에도 일정한 텐션의 유지가 선행되어야 하는데, 회동편차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미세한 전압조절로 구동 가능한 모터와 이에 따른 부속물( 롤링편차제어장치를 포함한 전자클러치 및 전자브레이크 등)의 조립시간 증가에 따른 인건비의 추가와 기기의 가격이 고가이고 보수, 유지에서 오는 관리비용발생과 규모의 비대화에 따른 회선 및 장치의 복잡한 구성에도 오작동의 가능성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돌출된 것으로서, 필름이 연결되어 가변되는 간판에 있어 반복회동에 따른 롤링된 필름(또는 부합물)의 일정한 텐션을 기계적으로 쉽게 유지할 수있고 많은양의 필름이라도 제1 구동롤러와 제2 구동롤러(제1, 제2 보조롤러 포함)의 회동과 정지시에 회전비와 관계없이 회동편차를 단순제어하여 조립, 관리비용의 절감, 크기의 소형화 그리고 오작동의 가능성을 정확히 제거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표출부를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필름이 감겨질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제1 구동롤러와 제2 구동롤러로 이루어진 롤러; 상기 제1, 제2 구동롤러의 일측에 상기 필름이 항상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그 일측에 설치되는 제1 보조롤러와 제2 보조롤러; 상기 롤러가 회전될 수 있도록 그 양측단에 마개를 갖으며 설치되고, 클러치베어링이 구비된 축; 상기 축의 일측에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롤러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풀리; 상기 풀리가 원활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도록 상기 축에 홀더와 결합되어 설치되는 베어링; 상기 축에 설치된 베어링이 고정되고, 상기 롤러가 회전할 시에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롤러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측에 고정되는 브래킷; 상기 롤러에 동력을 벨트를 통해 전달하며, 상기 롤러가 일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브래킷에 설치되는 양방향 감속모터; 상기 축의 일측에 와셔, 스프링, 와셔가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홀더에 마찰탄지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축의 일측에 설치되는 조절부; 상기 롤러에 감겨져 회전하는 필름에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는 조명; 및 필름의 컷과 컷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필름에 금속성테잎을 구비하여 테이핑하여 각가의 금속성테잎에 광전센서가 상기 금속성테잎을 감지하는 광전센서에 의해 정, 역구동을 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이 가변되는 간판과 반복회동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이 가변되는 간판과 반복회동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구동롤러와 제2구동롤러로 연결된 필름(또는 부합물)이 일정한 텐션유지가 선행되는 것은 클러치베어링(one way cluch)이 미세하게 반응하여 토오크를 일방향으로 전달하고 역방향 공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하여 항상 어떤 조건이 되던 관계없고 회동-정지를 반복시켜도 롤링양에 관계없이 회전편차 및 롤링양편차가 제어되는 것으로서, 동력축 또는 롤러 축에 2개1조로 하여 각각 삽지 되는데 항상 상호 역방향(필름이 감기는 방향)으로 토오크를 전달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의 기본구성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5)가 구비되고, 상기 롤러(5)의 양측에는 마개(4a)가 설치된 축(4)이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5)는 제1구동롤러(A)와 제2구동롤러(B)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롤러(5)의 일측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보조 롤러(A1, B1)가 일측 또는 소정의 거리가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기 롤러(5)의 양측에 설치된 축에는 일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도록 클러치베어링(1)이 하나의 축(4)에만 설치되고, 상기 클러치베어링(4)이 설치된 동일회전선 상에 풀리(6)가 설치되어 상기 롤러(5)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풀리(6)의 일측에는 타측에 설치된 축(4)에 회전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축(4) 상에 베어링(2)이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2)은 상기 롤러(5)의 양측에 설치된 각각의 축(4)에 설치되며, 상기 축(4)에 각각 설치된 베어링(2)에는 홀더(3) 또한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2)에 설치된 홀더(3)에는 브래킷(21)이 각각 설치되어 하기에서 설명할 케이스(12)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의 우측에 도시한 축(4)에 와셔(8)와 스프링(7) 그리고 와셔(8)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는데 이는 조절부(9)를 통해 마찰에 의한 탄지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구조를 보인 다른 실시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5)가 구비되고, 상기 롤러(5)의 양측에는 마개(4a)가 설치된 축(4)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축(4)의 일측에는 홀더(3)가 설치되고, 상기 홀더(3)의 내측에는 상기 축(4)이 회전될 시에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베어링(2)이 설치된다.
상기 베어링(2)의 일측에는 상기 롤러(5)가 회전될 시에 일방향으로만 회전되고 역방향으로는 회전될 수 없도록 하는 클러치베어링(1)이 설치되며, 상기 클러치베어링(1)의 외주연에는 풀리(6)가 연설되어 구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롤러(5)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축(4)의 일측단에는 탭볼트(1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5)에 설치된 다른 축(4)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롤러(5)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축(4) 상에 베어링(2)이 설치되며, 상기 베어링(2)의 외주연에는 홀더(3)가 설치되며, 상기 홀더(3)에는 브래킷(21)이 고정 설치되어 하기에서 설명할 케이스(12)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축(4)의 일측에는 회전되는 롤러(5)가 멈출 때 그 롤러(5)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전자브레이크(15)가 설치되며, 상기 전자브레이크(15)를 통상의 적으로 회전되는 물체를 정지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상기 전자브레이크(15)는 사용자가 원할 시에 선택적으로 상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구조를 보인 다른 실시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5)가 구비되고, 상기 롤러(5)의 양측에는 마개(4a)가 부설된 축(4)이 설치된다.
상기 축(4)의 일측에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베어링(2)이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2)의 외주연에는 홀더(3)가 설치되며, 상기 홀더(3)에는 상기 롤러(5)가 하기에서 설명할 케이스(12) 내측에 설치될 수 있도록 브래킷(21)이 설치된다.
상기 베어링(2)의 일측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필름(F)이 회전될 시에 그 필름(F)이 항상 팽팽하게 장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는 클러치베어링(1)이 설치되고, 상기 클러치베어링(1)이 설치된 동일 회전선 상에 풀리(6)가 설치되어 상기 롤러(5)에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베어링(2)의 일측에는 탭볼트(13)가 설치되어 상기 축(4)의 회전력이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롤러(5)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베어링(2), 홀더(3), 브래킷(21)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축(4) 상에는 그 회전력에 의해 연동 회전하는 회전판(14)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판(14)의 일측에는 그 회전력을 마찰력에 의해 회전력이 정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석(17)과, 상기 전자석(17)에 의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마찰편(16)와, 상기 마찰편(16)의 일측과 상기 전자석(17)의 일측에 탄성부재(18)가 설치되어 상기 전자석(17)에 가해지던 전류가 단절되면 상기 탄성부재(18)에 의해 상기 마찰편(16)는 원상태로 복원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구조를 보인 다른 실시예로서, 하기에서 설명할 멀티 필름(F)을 회동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구조를 간단하게 설명하고,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길이의 축(4)이 구비되고, 상기 축(4)의 일측에는 구동력을 전달하여 회전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양방향 감속모터(M2)가 구비되고, 상기 양방향 감속모터(M2)의 일측에는 웜회전기어(M2a)가 설치된다.
상기 웜회전기어(M2a)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축(4)이 회전할 수 있도록 축의 일측에 웜기어(19)가 설치된다.
상기 축(4)의 중앙부에는 상기 양방향 감속기어(M2)에서 인가되는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복구개의 풀리(6)가 설치되며, 상기 풀리(6)의 내측 즉, 동일 회전선상에 클러치베어링(1)이 설치되어 일측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풀리(6)의 일측에는 상기 축(4)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개의 베어링(2)이 설치되며, 상기 베어링(2)의 외주연에는 홀더(3)가 각각 설치된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간판의 구성 사시도로서, 케이스(12)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2)의 일측에 표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케이스(12)의 내측 상부와 하부에는 롤러가 구비된다.
상기 롤러는 제1구동롤러와 제2구동롤러로 형성되며, 상기 롤러의 양측단에는 마개가 구비된 축이 설치된다. 상기 축에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구성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성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롤러는 상기 케이스(12)의 내측에 브래킷에 의해 설치되며, 상기 브래킷의 일측에는 상기 롤러가 회동될 수 있도록 양방향 감속모터가 설치된다. 상기 양방향 감속모터를 통해 그 구동력을 전달할 시에 벨트, 기어 또는 체인을 통해 구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양방향 감속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케이스(12)의 표출부를 통해 내용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롤러에 필름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필름은 간판의 케이스(12)를 금속으로 성형한 내부에 제1,제2구동롤러(제1,제2보조롤러 포함)(A, A1, B, B1)를 2개1조로 수평이 되도록 설치 권선된 필름(F)이 표출부(12a)를 통해 그 내용을 외부로 보여준다.
제1,제2구동롤러(A, B)의 축(4)에 클러치베어링(1)이 풀리(6)내구에 끼워지고 외주면은 기어로 가공되어 직접 연결된 양방향 감속모터(M2)의 기어풀리가 맞물려 지는바, 제1 구동롤러(A)에 토오크가 전달되고 필름(F)이 감겨지면, 제2 구동롤러(B)는 공회전하여 풀려진다.
상기와 같이 구동되는 롤러의 주체, 즉 다시 말해서, 케이스(12) 내측에 설치된 상부에 설치된 양방향 감속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던 제1구동롤러에서 케이스(12) 내측 하단에 설치된 제2 구동롤러로 그 회전의 주체가 바뀌어도 상기와 같이 필름이 감겨지는 동작을 순조롭게 행하며, 동시에 필름은 일정한 장력이 유지된 상태로 회전된다.
따라서, 양방향감속모터(M2)는 제1구동롤러(A)가 구동되면, 제2구동롤러(B)는 역방향으로 구동되는 상태로서, 즉 다시 말해서 구동의 주체가 바뀌어도 상기와 같이 동일한 구동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데, 이유는 클러치베어링(1)이 제1 구동롤러와 제2 구동롤러의 상호 역방향(필름이 롤러에 감기는 방향)으로 각각 토오크가 전달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되는 롤러가 아닌 다른 롤러는 그 역방향으로는 공회전이 가능하므로 필름이 구동되는 롤러로 감겨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12)의 내측에 설치된 조명에 의해 상기 롤러에 의해 회동되는 필름(F)의 내용이 상기 표출부(12)를 통해 표시되는데, 이때 상기 롤러(5)의 구동 유/무, 정지, 타임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표출부(12a)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양방향감속모터가 내장된 간판평면도로서, 상기의 원리를 보여 준다.
제1, 제2구동롤러(A, B)와 제1, 제2보조롤러(A1, B1)는 상호 수평되게 설치하고, 축(4)과 풀리(6)의 내측에 삽지된 클러치베어링(1)이 화살표 방향으로 양방향감속모터(M2)의 구동(토오크 전달방향을 표기함)에 2개의 기어풀리와 풀리(6)에 직접 연결되며, 제1구동롤러(A)에 필름(F)이 감겨지면 제2구동롤러(B)는 풀리게 되므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된 표출부(12a)를 통해 필름(F)의 내용이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구동되는 롤러(5)의 주체가 바뀌어도 그 원리는 동일하게 작용한다.
상기 양방향감속모터(M2)의 축(4)과 기어풀리(6)의 내측에 클러치베어링(1)을 설치하여도 반복회동구조에 따른 구동은 변하지 않으며, 상기 클러치베어링(1)에 의해 필름(F)이 제1구동롤러(A)와 제2구동롤러(B) 사이에서 늘어지는 것을 보상하므로, 상기 필름(F)은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면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롤러(A)의 일측과 제2구동롤러(B)의 일측에 설치된 각각의 풀리(6)가 설치되고, 상기 풀리(6)의 내측에는 클러치베어링(1)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1구동롤러(A)에 설치된 풀리(6)와 상기 제2구동롤러(B)에 설치되는 풀리(6)에 양방향구동모터(M2)의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풀리가 설치되며, 상기 제1, 제2구동롤러(A, B)와 상기 양방향구동모터(M2)의 일측에 설치된 풀리(6)는 동일한 형상을 갖으며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방향구동모터(M2)와 제1, 제2구동롤러(A, B)의 일측에 설치된 풀리(6) 각각에 벨트(11)가 연결되어 상기 양방향구동모터(M2)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1구동롤러(A)와 제2구동롤러(B)에 감겨진 필름(F)이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구동롤러(A)가 주체가 되어 회동할 때에는 케이스 내측 일측에 설치된 제2구동롤러(B)는 회전을 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클러치베어링(1)에 의해 공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풀리(6)의 외형구조는 같으나 내측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클러치베어링(1)의 위치가 달라진 것 일뿐 상기의 반복회동구조로의 원리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8a에 도시된 것과 그 구성 및 구동방식은 동일하게 작용되고, 상기 클러치베어링(1)이 양방향감속모터(M2)의 풀리(6)에 설치되어 상기 양방향감속모터(M2)의 구동 시 상기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작이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양방향감속모터(M2)가 도면상의 좌측방향으로 회전을 하게되면, 그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클러치베어링(1) 중 상기 좌측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클러치베어링(1) 만이 상기 양방향구동모터(M2)의 구동력에 의해 동일하게 구동하고, 상기 풀리(6)의 내측에 설치된 다른 클러치베어링(1)은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는데, 다시 말해서 공회전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양방향감속모터(M2)가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을 할 시에는 그 일측에 설치된 클러치베어링(1)은 반대방향으로는 공회전을 하게 되므로 구동되는 구동롤러에 대한 구동력에 방해를 주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베어링이 풀리에 각각 장착된 평면도로서, 도 8a, 8b를 정면에서 보여 주는 것으로서, 양방향감속모터(M2)의 풀리(6)에 벨트(11)로 제1구동롤러(A)와 제2구동롤러(B)에 설치된 풀리(6)에 연결하여 상기 양방향감속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1구동롤러(A)와 제2구동롤러(B)가 각각의 회전 주체가 되어 필름(F)을 감었다 풀었다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0은 도 9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롤러와 제2구동롤러에 체인기어를 설치하고, 상기 양방향구동모터의 일측에도 체인기어를 설치한다.
상기 제1구동롤러와 양방향구동모터의 체인기어에 체인을 설치하고, 또한 제2구동롤러와 상기 양방향구동모터의 일측에 설치된 체인기어에도 상기와 같이 체인을 설치한다.
상기 도 8a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구성과 구동방식은 동일하며, 풀리를 대신하여 체인기어를 설치하고, 그 체인기어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벨트 대신에 체인을 설치하여 양방향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도 1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리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벨트대신에 상기와 같이 체인기어와 체인을 연결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그 구동력을 전달되는 과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하다.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에 의한 수동조작에 따른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11b는 도 10a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이다.
전원이 불필요한 곳이나 전원의 연결이 어려운 곳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조명(10)과 제어부와 모터가 없이 간헐적으로 가변시켜도 편의성이 충족되는 곳에 설치한다.
도 11a는 측면에서 핸들링을 할 수 있고, 도 10b는 정면에서 핸들링을 구분하는 이유는 조작의 편의성 때문이며, 회전비는 기어와 또 풀리의 적절한 감속비를 구한다.
따라서, 도 4 내지 도 10에서 제1, 제2구동롤러(A, B) 사이의 중간축의 위치가 정 중앙에 꼭 설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도 반복회동구조의 원리는 변하지 않는다.
상기 도 11a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상기 양방향구동모터를 대신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핸들을 잡고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핸들의 일측에 제1기어를 형성한다.
상기 제1기어의 일측에는 상기 핸들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제2기어가 치합되고, 상기 제2기어에 의해 전달되는 것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리에 벨트를 연결하거나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기어의 일측에 체인기어를 설치하고, 그 체인기어에 체인을 연결하여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양방향구동모터를 대신하여 핸들에 의해 그 필름을 감았다 풀었다 할 수 있도록 하여 전원을 공급하지 못하는 장소 등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도 10b는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구동력을 인가하는 핸들의 위치를 달리하였을 경우에 인가하는 구동력이 제대로 전달될 수 있도록 도 10a에 제1기어가 설치된 곳에 풀리를 설치하고, 상기 풀리와 벨트 연결되어 상기 구동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기어가 설치된 위치에 풀리를 설치하여 핸들의 구동력을 인가하여 상기 롤러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단지 양방향감속모터에 의해 그 구동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을 동일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단지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핸들만을 설치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스타일의 구동력을 갖는 것을 설치하여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사각형 형상의 간판구성 평면 일예도로서, 제1, 제2구동롤러(제1,제2보조롤러 포함)(A, B)가 각각의 보조롤러(C)에 연결된 필름(F)이 권선되어 3면의 표출부(12a)를 갖게 되고, 상기 표출부(12a)의 크기는 3면이 같아야 하며 양방향감속모터(M2)가 2개 화살표방향(토오크가 전달되는 방향)으로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표출부(12a)가 3면으로 형성되는 것은 벽의 일측부착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삼각형형상의 간판구성 평면 일예도로서, 보조롤러(C)1개가 수평으로 2면의 표출부(12a)를 구성하게 되고, 표출부(12a)의 크기는 2개가 같아야 하며 풀리가 축(4)에 끼워진 상태로 중간축( 2개가 도시에서는 겹쳐진 것)이며 클러치베어링(1)의 삽지되는 방향은 화살표방향(필름이 감기는 방향)으로 토오크가 전달되도록 끼워진 것이다.
따라서, 도 12, 도 13은 공통으로 조명과 틀과 제어부는 도시 안되었으나 기본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또 다른 사용일예로 택시지붕에 돌출삼각간판을 설치하고 운전석에서 가변제어조명의 점등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TAXI등을 함께 구성하여 요금미터기와 연결하여 택시등이 연동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일방향으로 필름이 동력차단 된 후 공주거리가 발생되는 예시도이고, 도 14b는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으로 필름이 동력차단 된 후 공주거리가 발생되는 예시도이다.
도 14a와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름(F)의 이송속도와 비례하여 표출부(12a)의 정방향과 역방향의 공주거리(X)를 감안한 너비로의 금속성테잎(S1)을 테이핑 실시하는 것은 표출부(12a)로 나타내어지는 필름(F)의 컷 과 컷, 즉 하나의 그림이 표출부(12a)를 통해 정확하게 표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다시말해서 정지오차(표출부를 통해 표시되는 필름의 정지위치를 벗어난 거리) 발생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광전센서(S)는 충격에 강하고 수명이 길며 내열, 내한성에도 잘 견디는 특성을 갖추고 있어 특히, 외부에 설치되는 간판과 TAXI의 삼각돌출간판의 내부에도 센싱의 역할을 충분히 소화한다.
상기 필름(F)의 양끝단에 각각 금속성테잎(S1)을 테이핑 정,역구동을 감지할수 있는 광전센서(S)가 1개 더 설치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화면이 구성된 것을 보인 정면도로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정의 케이스(12)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2)의 내측에 회전가능하도록 롤러가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롤러(5)는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 어는 하나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며, 상기 케이스(12) 내측에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롤러(5)에 필름이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롤러(5)에 설치된 필름(F)은 그 일측에 설치된 풀리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감겼다 풀렸다를 반복하여 필름(F)의 내용이 표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롤러(5)가 회전될 수 있도록 케이스(12) 내측 상부에 양방향 감속모터(M2)가 구비되고, 상기 양방향 감속모터(M2)의 일측에는 웜회전기어(M2a)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웜회전기어(M2a)를 통해 인가되는 회전력을 통해 상기 롤러(5)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웜회전기어(M2a)의 일측에 웜기어(19)가 구비된다.
상기 웜기어(19)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이 상기 롤러(5)에 전달될 시에 모터의 회전력이 그대로 전달되는 것이 아닌 감속된 상태로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웜기어(19)의 일측에 감속기(20)가 설치된다.
상기 감속기(20)의 일측에는 그 감속기(20)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상기 롤러(5)에 인가하기 위하여 풀리(6)가 설치되며, 상기 롤러(5)의 일측과 상기 감속기(20)의 일측에 설치된 풀리(6)에는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벨트(11)가 다수개 설치되며, 상기 벨트(11)는 상기 롤러(5)의 개수와 동일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벨트(11)를 통해 인가되는 회전력은 상기 롤러(5)의 일측에 전달되는데, 이때 상기 롤러(5)는 필름(F)을 감았다 풀었다 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감속기(2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이 다른 롤러(5)에도 전달될 수 있도록 풀리(6)가 설치되어 벨트(11)에 의해 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필름(F)이 가변되는 간판과 반복회동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력을 전달하여 필름을 회전시킬 시에 그 필름이 일정한 장력에 의해 항상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롤러(5)의 회전이 멈추었을 때에도 클러치베어링(1)에 의해 그 장력이 보상될 수 있도록 함으로 상기 필름(F)은 항상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어 필름(F)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클러치베어링(1)을 통해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면서 필름(F)이 감겼다, 풀렸다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구동롤러와 제2 구동롤러(제1, 제2 보조롤러포함)를 통하여 연결되는 구조는 필름(또는 부합물)이 많은 양을 롤링하여 스타트-가속-정지의 일방향과 역방향으로 반복하여도 자동으로 정밀한 회동편차제어 및 오작동의 가능성이 사전에 차단되는 것이며 조립공정의 단계축소에 따른 비용절감과 보조롤러의 추가여부에 평면, 삼각, 사각의 돌출간판의 구성과 적은 비용으로 필름의 일정한 텐션유지와 반복회동구조를 제공케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의 기본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구조를 보인 다른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구조를 보인 다른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구조를 보인 다른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구조를 보인 다른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간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양방향감속모터가 내장된 간판평면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베어링이 풀리에 각각 장착된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에 의한 수동조작에 따른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11b는 도 10a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형 형상의 간판구성 평면일예도
도 13는 본 발명에 따른 삼각형 형상의 간판구성 평면일예도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일방향으로 필름이 동력차단 된 후 공주거리가 발생되는 예시도.
도 14b는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으로 필름이 동력차단 된 후 공주거리가 발생되는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화면이 구성된 것을 보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클러치베어링(one way cluch) 2 : 베어링
3 :홀더 4 :축
4a : 마개 5 : 롤러
6 : 풀리 6a 체인기어
6b : 제1기어 6c : 제2기어
7 : 스프링 8 : 와셔
9 : 조절부 10 : 조명
11 : 벨트 11a : 체인
12 : 케이스 12a : 표출부
13 : 탭볼트 14 : 회전판
15 : 전자브레이크 16 : 마찰편
17 : 전자석 18 : 탄성부재
19 : 웜기어 20 : 감속기
21 : 브래킷 A : 제1구동롤러
A1 : 제1보조롤러 B : 제2구동롤러
B1 : 제2보조롤러 C : 보조롤러
F : 필름(또는 부합물) H : 핸들
M2 : 양방향감속모터 M2a : 웜회전기어
S : 광전센서 S1 : 금속성테잎
X : 공주거리

Claims (13)

  1. 표출부를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필름이 감겨질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제1 구동롤러와 제2 구동롤러로 이루어진 롤러;
    상기 제1, 제2 구동롤러의 일측에 상기 필름이 항상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그 일측에 설치되는 제1 보조롤러와 제2 보조롤러;
    상기 롤러가 회전될 수 있도록 그 양측단에 마개를 갖으며 설치되고, 클러치베어링이 구비된 축;
    상기 축의 일측에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롤러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풀리;
    상기 풀리가 원활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도록 상기 축에 홀더와 결합되어 설치되는 베어링;
    상기 축에 설치된 베어링이 고정되고, 상기 롤러가 회전할 시에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롤러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측에 고정되는 브래킷;
    상기 롤러에 동력을 벨트를 통해 전달하며, 상기 롤러가 일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브래킷에 설치되는 양방향 감속모터;
    상기 축의 일측에 와셔, 스프링, 와셔가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홀더에 마찰탄지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축의 일측에 설치되는 조절부;
    상기 롤러에 감겨져 회전하는 필름에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는 조명; 및
    필름의 컷과 컷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필름에 금속성테잎을 구비하여 테이핑하여 각가의 금속성테잎에 광전센서가 상기 금속성테잎을 감지하는 광전센서에 의해 정, 역구동을 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이 가변되는 간판과 반복회동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필름이 감기는 방향으로 클러치베어링의 토오크가 전달될 수 있도록 양방향감속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풀리에 벨트가 각각 연결 된 것을 특징으로 한 필름이 가변되는 간판과 반복회동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클러치베어링을 각각 역방향(필름이 감기는 방향)으로 토오크를 전달될 수 있도록 풀리 내부의 축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필름이 가변되는 간판과 반복회동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베어링은 상기 풀리가 설치되어 회전되는 축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풀리의 동일 회전축 선상에서 연동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이 가변되는 간판과 반복회동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베어링은 상기 필름의 감겨질 때 일정한 장력이 보상되어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베어링의 일측에 설치되어 연동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이 가변되는 간판과 반복회동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는 전원공급이 필요 없는 곳에 수동조작 할 수 있도록 기어로 직접 연결된 것과 벨트로 간접 연결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핸들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필름이 가변되는 간판과 반복회동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롤러, 제1, 제2 보조롤러와 제2구동롤러를 거쳐 감겼다 풀렸다를 반복하는 필름이 상기 표출부를 통해 내용을 외부로 알릴 시에 그 회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보조롤러가 상기 케이스이 내측에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이 가변되는 간판과 반복회동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표출부가 형성될 시에 상기 케이스가 설치되는 일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에 표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이 가변되는 간판과 반복회동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제1구동롤러, 제1보조롤러, 제2보조롤러와 제2구동롤러로 연결된 필름이 삼각형의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1개의 보조 롤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이 가변되는 간판과 반복회동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및 다각형의 형상 중 어느 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는 표출부는 어느 한 면만을 제외하고 다른 면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이 가변되는 간판과 반복회동구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택시의 루프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로럴의 구동, 조명의 점등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요금미터기와 연동하여 조명이 온/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필름이 가변되는 간판과 반복회동구조.
  12. 제1항에 있어서,
    양방향감속모터에 의해 구동력이 인가될 시에 상기 롤러에 다수의 필름이 감겨 그 회전력에 의해 필름에 수록된 내용이 전달될 수 있도록 멀티화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이 가변되는 간판과 반복회동구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화면에 공급되는 구동력은 하나의 양바향감속모터에 의해 다수의 롤러에 구동력이 전달될 시에 그 회전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감속기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필름이 가변되는 간판과 반복회동구조.
KR10-2002-0077813A 2001-12-08 2002-12-09 필름이 가변되는 간판과 반복회동구조 KR1005102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77669 2001-12-08
KR1020010077669 2001-12-08
KR20020038768 2002-07-04
KR1020020038768 2002-07-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4758A KR20040004758A (ko) 2004-01-14
KR100510277B1 true KR100510277B1 (ko) 2005-08-30

Family

ID=37315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7813A KR100510277B1 (ko) 2001-12-08 2002-12-09 필름이 가변되는 간판과 반복회동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027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1292U (ko) * 1988-09-12 1990-03-22
US5412892A (en) * 1993-09-09 1995-05-09 Filippakis; John Scrolling display sign for vehicles
KR19990004170U (ko) * 1998-10-20 1999-01-25 이유진 수평 슬라이드식 광고장치
KR19990018119U (ko) * 1997-11-07 1999-06-05 홍철기 연속광고장치
JPH11219142A (ja) * 1998-01-30 1999-08-10 Mitsutaka Uto ポスタ−ケ−ス及びポスタ−貼付装置
KR200230356Y1 (ko) * 2001-02-22 2001-07-04 양종윤 광고용 스크린 회전장치
KR200292208Y1 (ko) * 2002-07-11 2002-10-18 조한천 광고가 가변되는 택시등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1292U (ko) * 1988-09-12 1990-03-22
US5412892A (en) * 1993-09-09 1995-05-09 Filippakis; John Scrolling display sign for vehicles
KR19990018119U (ko) * 1997-11-07 1999-06-05 홍철기 연속광고장치
JPH11219142A (ja) * 1998-01-30 1999-08-10 Mitsutaka Uto ポスタ−ケ−ス及びポスタ−貼付装置
KR19990004170U (ko) * 1998-10-20 1999-01-25 이유진 수평 슬라이드식 광고장치
KR200230356Y1 (ko) * 2001-02-22 2001-07-04 양종윤 광고용 스크린 회전장치
KR200292208Y1 (ko) * 2002-07-11 2002-10-18 조한천 광고가 가변되는 택시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4758A (ko) 2004-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3840A (en) Banner display device
US4965947A (en) Device for the display of advertising material
US4680883A (en) Scroll module and sign system for internally illuminated signs
US4942411A (en) Automatic overlay feed apparatus for an overhead projector
KR100510277B1 (ko) 필름이 가변되는 간판과 반복회동구조
JPH10507841A (ja) 一連のポスターを個別および選択的に表示する装置
US6748685B2 (en) Display sign
US5606814A (en) Film winding mechanism and display apparatus
US3961433A (en) Picture poster viewer
KR20170046891A (ko) 스크롤링 광고장치
US20060207136A1 (en) Modular scroll sign display system
US4621535A (en) Forward engagement and reverse disengagement device
EP1258856A2 (en) Scrolling apparatus with one-way roller clutches
EP0528082A1 (en) Scrolling mechanism for signs
JP2002116719A (ja) 展開式の掲示パネル
KR940006630Y1 (ko) 클러치를 이용한 모형막의 구동장치
KR200254061Y1 (ko) 광고면 이동식 간판
KR20000020747U (ko) 동형 광고판의 스크린 드라이브 장치
JP2001356716A (ja) 複数のポスターを展示する方法、および同装置
WO2006102803A1 (fr)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 commande d’un affichage publicitaire a l’aide d’un modulateur de lumiere
JP3084795U (ja) 立体広告表示装置
KR200292208Y1 (ko) 광고가 가변되는 택시등
CN214099032U (zh) 一种工厂用可旋转式警示牌
WO2003046869A2 (en) Variable display sign system
KR100531750B1 (ko) 필름이 가변되는 유리창의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