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9046B1 -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부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부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9046B1
KR100509046B1 KR10-2003-0013808A KR20030013808A KR100509046B1 KR 100509046 B1 KR100509046 B1 KR 100509046B1 KR 20030013808 A KR20030013808 A KR 20030013808A KR 100509046 B1 KR100509046 B1 KR 100509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front panel
mounting hole
display window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3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8961A (ko
Inventor
최규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3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9046B1/ko
Publication of KR20040078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8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9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90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61M5/5066Means for preventing re-use by disconnection of piston and piston-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2Retractable needles, i.e. disconnected from and withdrawn into the syringe barrel by the pis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2Retractable needles, i.e. disconnected from and withdrawn into the syringe barrel by the piston
    • A61M5/3221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e.g. to improve manipulation or functioning
    • A61M2005/3223Means impeding or disabling repositioning of used needles at the syringe nozzle
    • A61M2005/3224Means to disalign the needle tip and syringe nozz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61M5/5066Means for preventing re-use by disconnection of piston and piston-rod
    • A61M2005/5073Means for preventing re-use by disconnection of piston and piston-rod by breaking or rupturing the connection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 A61M2205/27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preventing reuse, e.g. of disposab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부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부(40)가, 전면패널(32)의 일측에 형성되고 내주연에 지지턱(34a)이 형성되는 장착홀(34)에 장착된다. 상기 장착홀(34)의 내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전면을 형성하고 외주연에 지지턱(42a)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창(42)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창(42)의 후방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후면을 형성하고 내부에 전장부품어셈블리(46)가 수납되는 디스플레이 홀더(44)가 상기 전면패널(32)의 내측면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홀더(44)의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밀착부(44a)는, 상기 디스플레이 창(42)의 후면을 상기 전면패널(32)의 전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홀더(44)의 전면 상하단에 체결공(44b)이 형성되어 상기 전면패널(32)의 내측면에 돌출되는 체결보스(36)에 체결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부 장착구조{A mounting structure of display assembly for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부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부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창을 장착홀에 구조적으로 지지되게 설치하는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부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공기조화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 본체(10)의 후면과 양측면을 형성하는 캐비넷(11)의 전면에는, 상기 본체(1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패널(12)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패널(12)의 상부에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서 열교환된 냉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14)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패널(12)의 하단에는 외부공기를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그릴(16)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패널(12)의 일측에는 디스플레이부(20)가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통상적으로 상기 토출구(14)의 하방에 위치하고, 공기조화기의 구동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한다.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부 장착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부(20)는, 공기조화기 본체(1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패널(12)에 형성된 장착홀(18)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홀(18)의 내주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가 고정되는 장착플렌지(18a)가 상기 전면패널(12)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 커버(22)가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2)의 상부에는 LED의 신호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개구부(22a)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2)의 하부에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의 조작을 위한 각종신호가 입력되는 노브(26a)가 통과하는 다수개의 관통공(22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2)의 전면 상부에는 상기 개구부(22a)를 통과하는 상기 LED를 보호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창(24)이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창(24)은, 접착식, 예를 들면, 양면테이프 등의 접착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2)의 전면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2)의 내측에는, 상기 LED를 비롯한 각종 전장부품 및 상기 노브(26b)가 전면에 장착된 장착보드(26a)로 구성되는 전장부품어셈블리(26)가 수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2)의 후방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홀더(28)가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홀더(28)에는, 상기 전장부품어셈블리(26)가 수납된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2)가 안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홀더(28)가 스크류 등에 의하여 상기 장착플렌지(18a)에 체결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20)가 상기 장착홀(18)에 장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부 장착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창(24)은, 양면테이프나 접착제의 접착력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2)의 전면에 장착된다. 그러므로 상기 디스플레이 창(24)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 이상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창(24)을 부착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부착력이 저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창(24)이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2)의 전면에서 탈거되어 공기조화기 본체의 외관이 좋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창의 탈거를 방지하는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부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부에 토출구가 형성되고, 전면 일측에 장착홀이 형성되고, 내측면에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리브가 형성된 전면패널과; 상기 장착홀의 내측 내주연에 전면 외주연이 지지되는 디스플레이창과; 상기 디스플레이창의 후방에서 상기 전면패널의 내측면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창의 후면을 상기 전면패널의 전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장착홀에 밀착시키는 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리브가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디스플레이홀더와; 상기 디스플레이홀더의 내부에 수납되는 전장부품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장착홀의 내측 내주연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지지턱과, 상기 디스플레이 창의 전면 외주연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장착홀의 지지턱에 대응하는 지지턱이 구비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면패널의 내측면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보스와, 상기 가이드보스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홀더의 전면 상하단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공을 관통한 체결수단이 상기 체결보스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홀더가 상기 전면패널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면패널의 내측면에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리브와, 상기 가이드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홀더의 전면 테두리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리브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홀더가 장착될 위치에 안내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부 장착구조는, 내주연에 지지턱이 구비되는 장착홀에, 상기 장착홀의 지지턱에 대응하는 지지턱이 외주연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창이, 상기 디스플레이 홀더의 밀착부에 의하여 직접 장착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 창의 크기나 시간의 경과에 따른 부착력의 감소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창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탈거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부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부(40)는, 공기조화기 본체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패널(32)의 일측에 형성된 장착홀(34)의 내측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홀(34)의 내주연에는 지지턱(34a)이 구비되는데, 상기 지지턱(34a)은, 상기 장착홀(34)의 내측 내주연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장착홀(34)의 내측 내주연에 인접하는 상기 전면패널(32)의 내측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체결보스(36)와 가이드리브(38)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홀(34)의 내측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전장부품어셈블리(46)의 각종 전장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창(42)이 장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창(42)은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전면을 형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창(42)의 일측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노브(48)가 통과하는 관통공(42b)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창(42)의 외주연에는, 상기 장착홀(34)의 지지턱(34a)에 대응하는 지지턱(42a)이 구비되는데, 상기 지지턱(42a)은, 상기 디스플레이 창(42) 전면 외주연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장착홀(34)의 지지턱(34a)과 상기 디스플레이 창(42)의 지지턱(42a)은 서로 맞물려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창(42)의 관통공(42b)을 관통하는 노브(48)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하여 상기 전면패널(32)의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공기조화기의 조작을 위한 각종 신호를 입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노브(48)의 전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창(42)에 형성된 관통공(42b)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관통공(42b)에는 상기 노브(48)의 이동을 안내하는 노브가이드(43)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창(42)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 홀더(44)가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홀더(44)의 내부에는 소정의 수납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홀더(44)의 테두리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창(42)을 상기 장착홀(34)에 밀착시키는 밀착부(44a)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홀더(44)의 전면 상하단에는 다수개의 체결공(44b)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공(44b)은 상기 전면패널(32)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체결보스(36)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44b)을 관통한 스크류(Sb)가 상기 체결보스(36)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홀더(44)가 상기 전면패널(32)의 내측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홀더(44)가 상기 전면패널(32)의 내면에 고정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홀더(44)의 밀착부(44a)가, 상기 디스플레이 창(42)의 후면을 상기 전면패널(32)의 전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창(42)이 상기 장착홀(34)에 장착되는 부분, 즉 양자의 지지턱(42a,34a)이 서로 지지되는 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 홀더(44)에 의하여 서로 밀착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홀더(44)의 전면 테두리에는 가이드홈(44c)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44c)은 상기 디스플레이 홀더(44)를 장착될 위치에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전면패널(32)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리브(38)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리브(38)가 상기 가이드홈(44c)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홀더(44)가 장착되는 위치에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홀더(44)의 내부 수납공간에는 전장부품어셈블리(46)가 수납된다. 상기 전장부품어셈블리(46)는 상기 디스플레이 홀더(44)의 내부에 수납되는 장착보드(46a)와, 상기 장착보드(46a)의 전면에 장착되는 LED를 비롯한 각종 전장부품(46b)으로 구성된다.
상기 장착보드(46a)는, 그 양측에 형성되는 체결공(46b)을 관통하는 스크류(Sa)가 상기 디스플레이 홀더(44)의 내부 수납공간에 형성된 체결보스(44d)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홀더(44)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보드(46a)의 전면 일측에는 상기 노브(48)가 설치된다.
다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부의 장착과정을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전면패널(32)의 일측에 형성되는 장착홀(34)의 지지턱(34a)과 디스플레이 창(42)의 지지턱(42a)이 서로 지지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창(42)이 상기 장착홀(34)에 장착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홀더(44)의 내부 수납공간에 전장부품어셈블리(46)가 수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홀더(44)는 상기 디스플레이 창(42)의 후방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홀더(44)의 전면 테두리에 형성된 장착홈(44c)에 상기 전면패널(32)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리브(38)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홀더(44)가 장착될 위치에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홀더(44)의 전면 상하단에 형성된 체결공(44b)을 관통하는 스크류(Sb)가 상기 전면패널(32)의 내측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체결보스(36)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홀더(44)가 상기 전면패널(32)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홀더(44)가 상기 전면패널(32)의 내측면에 고정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홀더(44)의 밀착부(44a)가 상기 장착홀(34)과 디스플레이 창(42)이 장착되는 부분, 즉 양자의 지지턱(34a,42a)이 서로 지지되는 부분을 전방으로 밀어서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창(42)이 상기 장착홀(34)에 장착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되는 장착홀의 내주면과 디스플레이 창의 외주면에 각각 지지턱을 형성하여 양자가 서로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창의 후방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홀더가 양자의 지지부를 밀착하도록 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착홀과 디스플레이 창의 내주연과 외주연에 지지턱을 각각 형성하였으나, 상기 디스플레이 창이 상기 장착홀에 지지될 수만 있다면 양자 중 어느 하나에만 지지턱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조기의 디스플레이부 장착구조는, 상기 디스플레이 창과 장착홀에 각각 형성된 지지턱이 서로 지지되고, 양자가 지지되는 부분이 디스플레이 창의 후방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홀더의 밀착부에 의하여 밀착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창이 상기 장착홀에 구조적으로 장착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 창의 크기나 시간의 경과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창이 상기 장착홀로부터 탈거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 본체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부 장착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부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2: 전면패널 34: 장착홀
34a: 지지턱 36: 체결보스
38: 가이드리브 40: 디스플레이부
42: 디스플레이 창 42a: 지지턱
42b: 관통공 43: 노브가이드
44: 디스플레이 홀더 44a: 밀착부
44b: 체결공 44c: 가이드홈
44d: 체결보스 46: 전장부품어셈블리
46a: 장착보드 46b: 체결공
48: 노브 Sa,Sb: 스크류

Claims (4)

  1. 상부에 토출구가 형성되고, 전면 일측에 장착홀이 형성되고, 내측면에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리브가 형성된 전면패널과;
    상기 장착홀의 내측 내주연에 전면 외주연이 지지되는 디스플레이창과;
    상기 디스플레이창의 후방에서 상기 전면패널의 내측면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창의 후면을 상기 전면패널의 전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장착홀에 밀착시키는 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리브가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디스플레이홀더와;
    상기 디스플레이홀더의 내부에 수납되는 전장부품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부 장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홀의 내측 내주연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지지턱과,
    상기 디스플레이 창의 전면 외주연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장착홀의 지지턱에 대응하는 지지턱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부 장착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의 내면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보스와,
    상기 가이드보스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홀더의 전면 상하단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공을 관통한 체결수단이 상기 체결보스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홀더가 상기 전면패널의 내측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부 장착구조.
  4. 삭제
KR10-2003-0013808A 2003-03-05 2003-03-05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부 장착구조 KR100509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808A KR100509046B1 (ko) 2003-03-05 2003-03-05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부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808A KR100509046B1 (ko) 2003-03-05 2003-03-05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부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961A KR20040078961A (ko) 2004-09-14
KR100509046B1 true KR100509046B1 (ko) 2005-08-19

Family

ID=37364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3808A KR100509046B1 (ko) 2003-03-05 2003-03-05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부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90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929B1 (ko) * 2005-12-30 2007-03-3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패키지 에어컨의 디스플레이 부품 체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961A (ko) 2004-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72021B1 (en) Display apparatus
US20070139580A1 (en) Flat panel display having shielding member
KR100509046B1 (ko)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부 장착구조
US5573317A (en) Bracket apparatus for a cabinet
US6030062A (en) Mounting assembly for additional cage for peripherals
US6133527A (en) Apparatus for securing cable and electr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0299592B1 (ko)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KR100354395B1 (ko) 전자렌지
EP3419175B1 (en) Touch sensor assembly
JPH047462Y2 (ko)
JP2001173989A (ja) 空気調和機
CN211152294U (zh) 一种智能触控调光器
KR970004504Y1 (ko) 전자제품의 프론트캐비넷 결합장치
JP2002372255A (ja) 空気調和機
KR0120581Y1 (ko) Vcr의 데크플레이트조립구조
JP2522782Y2 (ja) 制御機器の前部の構造
JPS633063Y2 (ko)
KR900003536Y1 (ko) 가전기기의 콘트롤부 도아 겸용 놉 장치
JPH1145632A (ja) 電子機器の操作装置
KR200323503Y1 (ko) 모니터장치
KR100221200B1 (ko) 인터넷 셋탑박스의 카드리더 및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로딩장치
KR20060012257A (ko) 날카로운 테두리를 해소하는 보스를 가지는 케이스
KR20040072095A (ko) 전자제품의 프론트 판넬 조립구조
KR20210054324A (ko) 냉장고 도어
KR100274671B1 (ko) 전자렌지의 표시창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