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7902B1 - 복합 나노물질이 함유된 쑥 훈연재 패키지 및 상기 쑥 훈연재가 훈연된 살균청정제 - Google Patents

복합 나노물질이 함유된 쑥 훈연재 패키지 및 상기 쑥 훈연재가 훈연된 살균청정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7902B1
KR100507902B1 KR1020050027075A KR20050027075A KR100507902B1 KR 100507902 B1 KR100507902 B1 KR 100507902B1 KR 1020050027075 A KR1020050027075 A KR 1020050027075A KR 20050027075 A KR20050027075 A KR 20050027075A KR 100507902 B1 KR100507902 B1 KR 100507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smoker
smoked
composite
composite nano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7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웅
윤인길
Original Assignee
(주)한국환경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환경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한국환경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50027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79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7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79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8Vapour or smoke emitting compositions with delayed or sustain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5Vaporisers for active compon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환경오염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는 복합 나노물질이 함유된 쑥 훈연재 패키지 및 상기 쑥 훈연재가 훈연된 살균청정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공기를 정화하고 악취를 제거함은 물론 세균과 바이러스를 살균하고 음이온 등을 방사하는 복합 나노물질이 함유된 쑥 훈연재 패키지 및 상기 쑥 훈연재가 훈연된 살균청정제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쑥분말과 복합 나노물질이 혼합된 고형체인 훈연재;와 상기 훈연재를 담을 수 있도록 상부면이 개구된 원통형체로 형성되되, 그 표면에는 다수의 천공된 통기구가 구비되고, 측면상에는 다수 개의 고정수단이 설치된 내부체;와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내부체가 이격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수용되는 원통형상의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를 덮어서 밀봉하는 개폐수단으로 구성됨으로써, 새집증후군의 원인이 되는 각종 유기화합물을 분해하고 세균을 살균하며, 이에 더하여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도 방출하는 등의 효과를 안출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복합 나노물질이 함유된 쑥 훈연재 패키지 및 상기 쑥 훈연재가 훈연된 살균청정제{somking material package of wormwood including nano material and smoke having germicidal and cleansing efficacy}
본 발명은 실내 환경오염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는 복합 나노물질이 함유된 쑥 훈연재 패키지 및 상기 쑥 훈연재가 훈연된 살균청정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공기를 정화하고 악취를 제거함은 물론 세균과 바이러스를 살균하고 음이온 등을 방사하는 복합 나노물질이 함유된 쑥 훈연재 패키지 및 상기 쑥 훈연재가 훈연된 살균청정제에 관한 것이다.
오래전부터 실내 공기질에 관한 문제가 대두되면서, 1996년 12월 30일 법률 제5224호로 '지하생활공간 공기질 관리법'이 제정되었으며, 이러한 법률만으로는 실내 공기질에 대한 관리가 부적합하여 다중이 이용하는 시설과 신축 공동주택의 실내 공기질 또한 알맞게 유지·관리하여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환경상의 위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2003년 5월 29일 법률 제6911호로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 공기질 관리법'이 제정되었다.
이처럼 실내 환경오염문제의 해결방안모색은 현사회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이슈임을 알 수 있는데, 특히 건물을 신축하거나 리모델링시 사용되는 화학성분이 포함된 마감재, 건축자재나 가구 등에서 발생하는 유해한 휘발성 물질들(유해물질, 발암물질 등)은 인체에 접촉되거나 호흡기를 통해 인체 내로 흡입되면서,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폐렴, 기관지염, 중추신경장애 및 암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이하 "새집증후군"이라 함).
한편, 이러한 실내 환경오염물질 중에서 자이렌, 톨루엔, 벤젠 등은 장기간 실내에 체류하여 거주자에게 자극과 불쾌감의 원인으로 명시된 환경부고시 제2001-36호에 게재된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의 일종으로서,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물질이다.
이에 현사회에서는 실내 환경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특정 유해물질제거에 탁월한 기능을 갖는 페인트나 광촉매, 산소촉매 등을 개발하여 실내 벽등에 분무, 코팅, 접착하는 등의 방법을 시도하고 있으며, 심지어 새집증후군의 원인물질들을 제거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까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한 페인트나 광촉매, 산소촉매는 그 효능이 오래지속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고가의 초기 시설비용 및 재시설에 따른 추가비용부담이 있어 실제 일반 서민들에게는 적합하지 못하며, 특히 공기청정기의 경우 실내 공기순환에 따른 실내 환경오염물질에 대한 제거효능의 공간적 제약으로 실질적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저렴하면서도 그 효능이 뛰어난 제품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천연재료인 쑥과 나노물질을 훈연하여 새집증후군의 원인이 되는 각종 유기화합물을 분해하고 세균을 살균하며, 이에 더하여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도 방출하는 등 복합 나노물질이 함유된 쑥 훈연재 패키지 및 상기 쑥 훈연재가 훈연된 살균청정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인 복합 나노물질이 함유된 쑥 훈연재가 훈연된 살균청정제는 분말화한 쑥과 복합 나노물질이 혼합된 고형체를 훈연함으로써 얻어지는 연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복합 나노물질은 5~10nm의 이산화티타늄(TiO2), 은(Ag) 및 게르마늄(Ge) 중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되, 쑥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이산화티타늄(TiO2) 3~10중량부, 은(Ag) 3~10중량부 및 게르마늄(Ge) 3~10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쑥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복통, 토사, 지혈제 또는 냉으로 인한 생리불순이나 자궁출혈 등에 다양한 효능이 있는 천연재료이며, 특히 훈연하면서 발생하는 연기는 해충퇴치의 기능과 살균, 소독의 기능이 있다.
그리고, 이산화티타늄은 n형 반도체로서 파장 400nm의 자외선이 가해지는 경우에 전자(Electron)와 전공대(Electron Hole)가 형성되어 강한 산화력을 가진 하이드록시라디칼(-HO)과 슈퍼 옥사이드를 생성한다.
또한, 본 발명인 훈연재의 연소시 상기 이산화티타늄에서 생성된 슈퍼 옥사이드는 쑥이 연소하면서 생성되는 트리코사놀(Tricosanol), 헨트리아콘탄(Hentriacontane), 아라키날콜(Arachinalkol), 타닌(Tanine) 및 이성체, 카테콜(Catechol), 포화지방족 탄화수소 등과 반응한다.
상기 반응들로 인하여 유기화합물인 실내 공기 오염물질을 산화, 분해시키며, 쑥과 함께 훈연된 은과 게르마늄 나노분자들은 살균 외에 기타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인 복합 나노물질이 함유된 쑥 훈연재 패키지는 쑥분말과 복합 나노물질이 혼합된 조성물을 고형화한 훈연재;와
상기 훈연재를 담을 수 있도록 상부면이 개구된 원통형체로 형성되되, 그 표면에는 다수의 천공된 통기구가 구비되고, 측면상에는 다수의 고정수단이 설치된 내부체와,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내부체가 이격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수용되는 원통형상의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를 덮어서 밀봉하는 개폐수단으로 구성되는 훈연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한편, 상기 고정수단은 원통형의 내부체 측면에서 대향되게 설치되되, 그 표면상에도 다수의 천공된 통기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내부체와 케이스는 훈연시 화재의 염려가 없는 내열성이 우수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은 오픈시 표면에 형성된 손잡이에 의해 휘어지는 하부박판과 이 하부박판 상부에서 덮는 커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나노물질이 함유된 쑥 훈연재 패키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나노물질이 함유된 쑥 훈연재 패키지는 훈연재(10), 내부체(20), 케이스(30) 및 개폐수단(40)으로 구성된다.
먼저, 훈연재(10)는 분쇄기에 의해 분쇄된 쑥분말과 입자크기 5~10nm인 복합 나노물질이 혼합되어 고형화되되, 상기 복합 나노물질은 쑥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이산화티타늄(TiO2), 은(Ag) 및 게르마늄(Ge)이 각각 3~10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훈연재(10)는 외관이 쑥의 고형물로서 결정형태가 쑥과 복합 나노물질의 분자이며, 태울 때 발생되는 연기에 의한 나노분자 형태로 분산되고, pH가 2.0~7.0이며 비중이 1.0±0.1 정도이다.
한편, 내부체(20)는 고온에 견디도록 내열성이 우수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훈연재(10)를 담을 수 있도록 상부면이 개구된 원통형체로서, 통기구(20a)와 고정수단(21)으로 이루어지는데 통기구(20a)는 내부체(20)의 표면에 전체적으로 많은 수의 천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수단(21)은 내부체(20)의 측면상에서 2개의 "ㄷ"자 형상의 판이 대향되게 돌출 형성되는데, 후술하는 케이스(30)의 내부면과 접촉하여 내부체(20) 표면이 케이스(30)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하게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21)에는 내부체(20)에 형성된 많은 수의 통기구(20a)와 마찬가지로 여러 개의 통기구(21a)가 천공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스(30)는 고온에 견디도록 내열성이 우수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체(20)를 수용하도록 원통형체로 성형된다.
마지막으로, 개폐수단(40)은 상기 케이스(30)를 덮어서 밀봉하는 것으로서 하부박판(41)과 커버(42)로 이루어지는데, 하부박판(41)은 상기 케이스(30)의 상부 내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단턱(30a)에 접착된다.
상기 하부박판(41)은 오픈시 손으로 취부하여 당길 수 있도록 표면에 손잡이(41a)가 구비되는데, 이 손잡이(41a)의 일측면은 리벳에 의해 하부박판(41)의 표면과 결합된다.
한편, 상기 커버(42)는 상기 케이스(30)의 상부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결합턱(30b)에 결합되어 하부박판을 상부에서 덮으며, 오픈시 미리 제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복합 나노물질이 함유된 쑥 훈연재 패키지는 다음과 같은 원리에 의해 작용한다.
먼저, 사용자는 공기를 정화하고자 하는 실내에서 훈연재 패키지의 커버(42)를 제거하고 하부박판(41)의 손잡이(41a)를 이용하여 하부박판(41)도 제거하여 훈연재(10)가 수용된 내부체(20)를 노출시킨다.
그리고, 내부체(20)가 케이스(30)에 수용된 상태에서 훈연재(10)를 태우게 되면 쑥분말과 쑥분말에 함유된 복합 나노물질이 함께 연기에 의한 나노분자 형태로 분산되되, 손이 쉽게 닿지 않는 실내 구석까지 분산된다.
이 때, 내부체(20)와 고정수단(21)에 형성된 통기구(20a,21a)로 인하여 연기의 분산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고정수단(21a)에 의해 내부체(20)가 외부체(30)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연기의 분산이 더욱 활발하고 가열된 내부체(20)로부터 외부체(30)로의 열전달이 어느 정도 차단되어 화상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쑥 훈연시에는 쑥이 연소하면서 흙빛깔의 재와 카테콜(Catechol) 등이 발생하는데, 특히 상기 카테콜에는 병을 치유하는 약리작용 성분이 들어 있다.
그리고, 빛과 온도에도 반응하는 수 나노크기의 다량의 이산화티타늄과 훈연시 분산된 은나노입자 및 게르마늄 나노입자가 공기중의 산소와 물과 접촉하여 표면반응이 일어나서 산화, 환원반응을 수행한다.
또한, 이산화티타늄으로부터 생성된 슈퍼 옥사이드 음이온은 산화반응 중간체에 부가되어 과산화 물을 형성하거나 과산화 수소를 거쳐 보다 강력한 산화력을 가진 수산화라디칼(OH)이 되어 건자재, 콘크리트벽, 벽지, 페인트 등에서 나오는 포름알데히드 등의 유기화합물 및 암모니아 등이 공기 중에서 분해된다.
한편, 이러한 활성작용은 반영구적으로 행해지며, 이 때 발생한 항산화제는 식물체의 셀루로스와 함께 존재하며 그리닌의 열분해에 의해 얻어진 고분자의 방향족 화합물에 의하여 일부 세균인 병원성 포도상구균, 대장균, 녹농간균, 플랙네르적리균, 가성디프테리아 등을 억제할 수 있다.
[포름알데히드]
R-SO3HONH2 + HCHO → CH3NO + H2O (R은 기재)
[암모니아]
R-SO3H + NH3 → R-SO3NH4 (R은 기재)
이와 같이, 쑥 훈연에 의해 카테콜(Catechol)과 미세한 복합 나노분자들을 분산시켜 악취와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포름알데히드(HOHC), 탈취, 항균, 항곰팡이 제거기능이 계속적으로 수행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시험례를 통해 본 발명의 작용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겠다.
먼저, 항균율에 대한 시험성적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나노물질이 함유된 쑥 훈연재 패키지 및 상기 쑥 훈연재가 훈연된 살균청정제는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이고, 99% 이상의 우수한 항균력 및 항곰팡이 기능과 항균 지속성을 갖고 있으며 세균에 대한 내성도 없음을 잘 알 수 있다.
표 1 및 표 2는, 본 발명에 따른 쑥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이산화티타늄 5중량부, 은 5중량부, 게르마늄 5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 고형체 0.01 중량%를 첨가한 인산 완충용액을 시험액으로 하고, 여기에 균액을 첨가한 후 25℃에서 배양하여 10, 20, 30, 40, 50시간 후의 세균수를 측정한 결과이다.
Microorganism Test Sample Start 10 30 50
대장균 Blank 2.5×105 4.6×105 2.7×106 7.5×106
본 발명 2.5×105 <1 <1 <1
황색포도상구균 Blank 1.2×106 3.5×105 1.3×106 6.7×106
본 발명 1.2×106 <1 <1 <1
O-157 Blank 2.5×105 3.5×105 1.2×106 1.5×106
본 발명 2.5×105 <1 <1 <1
녹농균 Blank 1.0×106 8.3×106 1.2×107 1.2×107
본 발명 1.0×106 <1 <1 <1
살모넬라균 Blank 1.5×105 7.2×105 6.8×105 1.2×107
본 발명 1.5×105 <1 <1 <1
본 발명의 조성 중 은(Ag)은 현재까지의 실험결과, 화농성질환, 땀냄새의 원인균인 황색포도상구균(Staphyococcusaureus), 유아, 어린이의 진무릎의 원인균인 요소부폐균(Proteusvulgaris), 식중독의 원인균인 대장균(Eschericha coli), 기관지, 점막, 눈, 코 등에 염증의 원인균인 폐렴균(Klebsiella pneumonia), 레지오넬라균, O-157 등 각종 내성균에 대한 단세포 병원균을 살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양이온에 의한 부작용을 감소시킨다.
특히, 콜로이드 상태의 은은 촉매로 작용하여 산소가 활성산소(O2-, O2+, O)로 전환되어 살균작용을 하며, 보통 은(Ag)은 독성이 없어서 인체에 해가 없고 미생물의 체내에 전달되어 원활한 신진대사 기능을 억제하는 650여가지의 유해균을 제거한다.
은나노란 이러한 천연 성분자체에서 항균 및 살균기능을 가진 은을 나노미터 수준으로 입자화 한 것으로서, 쑥 훈연에 따른 고분자 합성 및 분해로 쑥의 카테콜(Catechol)과 은의 항균기능을 결합한 형태이며 5~10nm의 초미립자로서 유해균에 직접 작용하고 유해균의 전자전달계를 방해함으로써 탁월한 항균력과 항균의 지속성을 가진다.
더욱이, 세균에 대한 내성이 생기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쑥이 탈 때 생겨나는 불빛으로 적외선 효과를 내며, 쑥의 연기는 일부 세균인 병원성포도상구균, 대장균, 녹농간균, 플랙네르적저균, 가성디프테리아균 등과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피부건조, 호흡기 질환 등 각종 알레르기를 진정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을 구성하는 물질들은 연소시 상승작용에 의해 항균율을 더욱 높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탈취율에 대한 시험성적은 가스검지관법으로 행한 것으로 아래의 표 3 및 표 4을 통해 더욱 상세히 살펴보겠다.
가스시간 5분 15분 30분 45분 60분
암모니아 >45.0 >60.5 >90.0 >95.5 >95.5
포름알데히드 20.5 48.1 66.0 80.5 92.5
(단위 %)
[시험편: 시편(10×10cm2) 3장을 겹쳐서 시험]
- 주입량: 포름알데히드 1㎕, 암모니아 4㎕
- 시험용기: 2ℓ
- 탈취율(%) = ((cb-Cs)/cb) × 100
- cb: Blank, 각 시간 경과 후 시험용기 안에 남아있는 시험가스의 농도
- Cs: 시료, 각 시간 경과 후 시험용기 안에 남아있는 시험가스의 농도
- 암조건 하에서 시험하였음.
본 발명인 복합 나노물질이 함유된 쑥 훈연재가 훈연된 살균청정제를 시험한 결과, 암조건 하에서도 4㎕의 암모니아는 60분 이내에 95.5%, 1㎕의 포름알데히드는 92.0%를 탈취하는 놀라운 냄새제거 및 유해가스제거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쑥 훈연재 조성인 각 나노분자가 연기에 의해 실내 전체에 자연스럽게 골고루 분산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산화, 환원반응에 따라 실내의 건자재나 마루, 페인트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포름알데히드 등의 화학물질을 흡착하고 분해하여 실내의 냄새 및 공기 오염물질을 지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쑥과 복합 나노물질의 훈연에 따른 부작용 시험결과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임상징후(3개월)
- 관찰기간 중 마우스에 대한 위해성 또는 병의 조짐이나 중독 등의 징후 없었음.
피부반응(3개월)
- 연구기간 동안 피부의 자극성 및 알레르기 반응 전혀 없었음.
종합적으로, 흡착력이 우수한 활성탄과 비교해 흡착량이 100~150배, 흡착속도는 20배로 우수하고 방오효과도 매우 높으며, 자연분산이 가능하여 효과에 비해 가격이 매우 저렴하다.
그리고, 유해 화학물질인 휘발성 유기화합물, 포름알데히드, 벤젠, 톨루엔, 자일렌과 악취를 다른 구조식의 무해, 무취한 분자와 물, 산소로 변화시켜서 정화, 탈취시키며 반응도 반영구적으로 지속되어 종래의 활성탄이나 다른 탈취제와 같이 악취가 재발하거나 2차 환경오염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복합 나노물질이 함유된 쑥 훈연재 패키지 및 상기 쑥 훈연재가 훈연된 살균청정제는 아주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되어 그 수요자들 또한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우 간단한 구조를 취함으로써 그 사용에 있어서도 편의성이 보장한 발명인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쑥과 복합 나노물질인 이산화티타늄, 은 및 게르마늄의 상호 작용 및 연소시 연기의 자유로운 동작에 의해 손이 쉽게 닿지 않는 구석구석까지 도달되도록 함으로써 공기중의 질소산화물(NOx), 유황산화물(SOx) 및 포름알데히드, 휘발성 유기화합물, 암모니아, 황화수소 등 인체에 유해하거나 악취의 원인이 되는 실내 공기 오염물질들의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2차 오염물질의 발생 없이 실내에 존재하는 대장균, O-157, NRSA균, 진드기 및 곰팡이 등 각종 세균과 바이러스의 살균, 소독에 현저한 효과를 안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그 조성을 천연 쑥 및 복합 나노분자인 은과 이산화티타늄, 게르마늄 등을 사용하고 있어 환경 및 인체에 전혀 무해하며, 음이온 발생으로 인체의 면역체계를 강화하며 스트레스와 알러지를 감소하고 긴장을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조성성분들이 나노분자 상태에서 연기에 의해 벽면 등 구석구석에 안착됨으로써 자외선 또는 공기에 계속적으로 반응하여 새집증후군의 원인물질 등을 지속적으로 제거하는데 유용한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나노물질이 함유된 쑥 훈연재 패키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훈연재 20: 내부체
20a: 통기구 21: 고정수단
21a: 통기구 30: 케이스
30a: 단턱 30b: 결합턱
40: 개폐수단 41: 하부박판
41a: 손잡이 42: 커버

Claims (6)

  1. 쑥분말과 복합 나노물질로 조성되며, 상기 복합 나노물질은 이산화티타늄(TiO2), 은(Ag) 및 게르마늄(Ge)으로 구성되되, 쑥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이산화티타늄(TiO2) 3~10중량부, 은(Ag) 3~10중량부 및 게르마늄(Ge) 3~10중량부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고형화한 훈연재;와
    상기 훈연재를 담을 수 있도록 상부면이 개구된 원통형체로 형성되되, 그 표면에는 다수의 천공된 통기구가 구비되고, 측면상에는 다수의 고정수단이 설치된 내부체와,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내부체가 이격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수용되는 원통형상의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를 덮어서 밀봉하는 개폐수단으로 구성되는 훈연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나노물질이 함유된 쑥 훈연재 패키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에는 여러 개의 통기구가 천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나노물질이 함유된 쑥 훈연재 패키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원통형의 내부체 측면에서 대향되게 설치되되, 그 표면상에도 다수의 천공된 통기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나노물질이 함유된 쑥 훈연재 패키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오픈시 표면에 형성된 손잡이에 의해 휘어지는 하부박판과 이 하부박판 상부에서 덮는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나노물질이 함유된 쑥 훈연재 패키지.
  5. 쑥분말과 복합 나노물질로 조성되며,
    상기 복합 나노물질은 이산화티타늄(TiO2), 은(Ag) 및 게르마늄(Ge)으로 구성되되,
    쑥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이산화티타늄(TiO2) 3~10중량부, 은(Ag) 3~10중량부 및 게르마늄(Ge) 3~10중량부로 이루어진 복합 나노물질이 함유된 쑥 훈연재가 훈연된 살균청정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나노물질의 입자크기는 5~1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나노물질이 함유된 쑥 훈연재가 훈연된 살균청정제.
KR1020050027075A 2005-03-31 2005-03-31 복합 나노물질이 함유된 쑥 훈연재 패키지 및 상기 쑥 훈연재가 훈연된 살균청정제 KR100507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7075A KR100507902B1 (ko) 2005-03-31 2005-03-31 복합 나노물질이 함유된 쑥 훈연재 패키지 및 상기 쑥 훈연재가 훈연된 살균청정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7075A KR100507902B1 (ko) 2005-03-31 2005-03-31 복합 나노물질이 함유된 쑥 훈연재 패키지 및 상기 쑥 훈연재가 훈연된 살균청정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7902B1 true KR100507902B1 (ko) 2005-08-10

Family

ID=37304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7075A KR100507902B1 (ko) 2005-03-31 2005-03-31 복합 나노물질이 함유된 쑥 훈연재 패키지 및 상기 쑥 훈연재가 훈연된 살균청정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79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22714A (zh) * 2015-05-26 2015-09-23 陈贻波 一种双效型装修除味剂
CN106265056A (zh) * 2016-09-23 2017-01-04 烟台煊堂艾灸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明火除烟艾灸仪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22714A (zh) * 2015-05-26 2015-09-23 陈贻波 一种双效型装修除味剂
CN104922714B (zh) * 2015-05-26 2017-10-27 陈贻波 一种双效型装修除味剂
CN106265056A (zh) * 2016-09-23 2017-01-04 烟台煊堂艾灸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明火除烟艾灸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4943B1 (ko) 항균 탈취성 상온 촉매 코팅제 및 그의 제조방법
CN101455849B (zh) 空气净化剂
CN101474419B (zh) 一种净化有害气体的复合催化触媒材料
CN106512941A (zh) 复合纳米二氧化钛活性炭吸附剂
CN103120801A (zh) 纳米级光触媒清香型空气净化剂
KR20050123067A (ko) 살균필터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살균필터
KR100824907B1 (ko) 가시광촉매 항균 및 생활악취 분해제거제의 제조방법
KR100853475B1 (ko) 친환경 도료 조성물
CN101108257A (zh) 一种液体抗菌除臭剂的制备方法及应用
KR100395264B1 (ko) 항균정화 활성의 광촉매 조성물과 이를 코팅한 방충망
CN103341356A (zh) 陶瓷电气石负载二氧化钛薄膜的水质净化剂的加工方法
KR100507902B1 (ko) 복합 나노물질이 함유된 쑥 훈연재 패키지 및 상기 쑥 훈연재가 훈연된 살균청정제
KR100949164B1 (ko) 이온화 믹싱셀을 갖는 다단 광촉매 산화와 환원 반응기 및 그 방법과 이를 이용한 냄새제거장치
CN111418618A (zh) 车用多效消毒喷雾剂及其制备方法
CN214619958U (zh) 一种壁挂式空气除菌消毒除螨的过滤装置
CN201070475Y (zh) 厕卫空气净化仪
WO2007055430A1 (en) Air purifier with sterilization, deodorization and absorbing toxic materials
KR20070041141A (ko) 나노실버가 티타늄디옥사이드에 담지된 무기계 금속착화합물을 함유하는 살균/항균 및 소취 기능의섬유탈취제용 수성 조성물
CN206810047U (zh) 重污染恶臭分解净化机
KR20030083831A (ko) 광촉매 및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악취 제거용 탈취제
US20110286881A1 (en) Methods for controlling and reducing pathogens, allergens odor-causing agents
CN208356484U (zh) 一种综合性臭气处理系统
CN105688249A (zh) 负载纳米二氧化钛银交换体的装饰品
KR200218046Y1 (ko) 항균기능을 갖는 필터가 구비된 공조기
CN111919855A (zh) 一种用于抗流感病毒的制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