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7376B1 -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7376B1
KR100507376B1 KR10-2003-0071182A KR20030071182A KR100507376B1 KR 100507376 B1 KR100507376 B1 KR 100507376B1 KR 20030071182 A KR20030071182 A KR 20030071182A KR 100507376 B1 KR100507376 B1 KR 100507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door air
outdoor air
heat exchange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1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5913A (ko
Inventor
조민철
이성환
신수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1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7376B1/ko
Publication of KR20050035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5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7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73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외공기를 실내로 흡입하는 동시에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공기와 실내공기 사이에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실내공간을 환기시키는 동시에 쾌적하게 유지시켜주는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외공기와 실내공기가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를 통과한 다음, 층류 유동으로 변환되도록 하여 난류 유동에 의한 유동저항 및 유동손실을 저감시켜 송풍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실외공기 또는 실내공기가 열교환기 전면에 걸쳐 골고루 유동되도록 하여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환기장치 {VENTILATOR}
본 발명은 실외공기를 실내로 흡입하는 동시에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공기와 실내공기 사이에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실내공간을 환기시키는 동시에 쾌적하게 유지시켜주는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외공기와 실내공기가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를 통과한 다음, 층류 유동으로 변환되도록 하여 송풍효율 및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폐된 공간의 공기는 생명체의 호흡에 의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산화탄소의 함량이 높아져 생명체의 호흡에 지장을 주게 되는데, 특히 사무실이나 차량과 같이 많은 사람이 협소한 공간에 머물게 되는 경우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의 신선한 공기로 대체해 주기 위하여 환기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환기장치는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를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기가 포함되도록 구성되어 오염된 실내공기를 실외 측으로 배출함과 아울러 신선한 실외공기를 실내 측으로 흡입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그런데, 실내에서 냉방 및 환기작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 냉방된 실내공기가 배기됨과 아울러 더운 실외공기가 흡입됨에 따라 실내공기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냉방온도보다 상승하여 냉방효율이 떨어지고, 실내에서 난방 및 환기작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 난방된 실내공기가 배기됨과 아울러 차가운 실외공기가 흡입됨과 따라 실내공기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난방온도보다 하강하여 난방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환기장치에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사이에 열교환 작용이 일어나도록 하는 열교환기가 별도로 내설된다.
도 1과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환기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일본특허공개공보 평09-137984호에 기재된 종래의 환기장치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의 케이스(2) 일측면에 실외공기가 흡입되는 실외공기 흡입공(4a) 및 실내공기가 토출되는 실내공기 배출공(6b)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실외공기가 토출되는 실외공기 배출공(4b) 및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실내공기 흡입공(6a)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2) 중앙에는 실외공기와 실내공기가 유동되는 유로가 별도로 형성된 열교환기(8)가 가로지르도록 설치되고, 실외공기를 흡입하는 급기팬(10)과 실내공기를 토출시키는 배기팬(20)이 각각 상기 케이스(2)의 일측면 및 타측면 중앙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2) 내부에는 상기 실외공기 흡입공(4a)으로부터 흡입된 실외공기를 상기 열교환기(8)로 안내하거나, 상기 실내공기 흡입공(6a)으로부터 흡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열교환기(8)로 안내하는 칸막이부(7a,7b)가 설치되며, 상기 열교환기(8)를 통과한 실외공기가 상기 실외공기 배출공(4b)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안내하거나, 상기 열교환기(8)를 통과한 실내공기가 상기 실내공기 배출공(6b)으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덕트(9a,9b)가 설치되어 실외공기와 실내공기가 별도로 유동되는 풍로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열교환기(8)는 상기 케이스(2) 중앙 일측에 형성된 점검구(2a)를 통하여 상기 케이스(2)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열교환기(8)의 모서리 부분이 상기 칸막이부(7a,7b) 양끝단 및 상기 케이스(2)의 내측 상,하면에 각각 형성된 레일(5)에 끼움되어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된다.
물론, 상기 열교환기(8)는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두 개 이상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결되도록 하여 설치되기도 한다.
여기서, 상기 급기팬(10) 및 배기팬(20)은 실외공기 또는 실내공기를 축 방향으로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시키는 시로코 팬이 적용되고, 상기 급기팬(10) 및 배기팬(20)은 각각 상기 덕트(9a,9b)와 연결되도록 설치된 팬 하우징(12,22) 내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급기팬(10) 및 배기팬(20)을 각각 구동시키는 모터(14,24)가 각각의 팬 하우징(12,22)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급기팬(10)을 구동시키는 모터(14) 및 상기 배기팬(20)을 구동시키는 모터(24)는 상기 열교환기(8)의 양측 중앙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환기장치는 상기 열교환기(8)를 통과한 실외공기 또는 실내공기가 바로 상기 급기팬(10) 또는 배기팬(20)을 통과하기 때문에 상기 급기팬(10) 또는 배기팬(20)이 설치된 부분에서 유동 속도가 급격하게 빨라져 난류유동이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유동저항 및 유동손실이 발생되어 송풍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환기장치는 상기 급기팬(10) 또는 배기팬(20)이 상기 열교환기(8)의 중앙 측에 설치되어 비교적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8) 전면에 걸쳐 골고루 유동되지만, 상기 열교환기(8)의 일측면과 타측면 사이에 압력차는 상기 급기팬(10) 또는 배기팬(20)과 근접한 위치에서 크게 발생되고, 상기 급기팬(10) 또는 배기팬(20)과 먼 위치에서 작게 발생되기 때문에 상기 열교환기(8) 중 상기 급기팬(10) 또는 배기팬(20)과 근접한 위치에서 공기의 유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짐으로 대부분의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8) 중 상기 급기팬(10) 또는 배기팬(20)과 근접한 위치에서만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지게 되어 열교환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열교환기를 통과한 실외공기 또는 실내공기에서 발생되는 난류를 저감시키는 동시에 실외공기 또는 실내공기가 열교환기 전면에 걸쳐 골고루 유동되도록 하는 환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는 실외공기 또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한 쌍의 흡입공과 실외공기 또는 실내공기를 배출하는 한 쌍의 배출공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한 쌍의 배출공 내측에 각각 설치되어 실외공기 또는 실내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수단과, 상기 케이스 내부에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실외공기와 실내공기 사이에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열교환기에서 실외공기 또는 실내공기가 토출되는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실외공기 또는 실내공기를 층류 유동으로 변환시켜주는 유동정류(流動定流)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스는 일면에 실외공기 흡입공 및 실내공기 배출공이 형성되고, 이와 대향되는 면에 실외공기 배출공 및 실내공기 흡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실외공기 흡입공을 통하여 흡입된 실외공기를 상기 열교환기 측으로 안내하는 동시에 이와 구획되도록 상기 열교환기에서 토출되는 실내공기를 상기 실내공기 배출공으로 안내하는 실외공기 유로 가이드와, 상기 실내공기 흡입공으로 유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열교환기 측으로 안내하는 동시에 이와 구획되도록 상기 열교환기에서 토출되는 실외공기를 상기 실외공기 배출공으로 안내하는 실내공기 유로 가이드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동정류수단은 상기 열교환기와 접하는 상기 실내공기 유로 가이드 끝단 또는 상기 실외공기 유로 가이드 끝단에 설치되되, 상기 유동정류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대해 평행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동정류수단은 소정 두께의 채널이 복수개가 형성된 스트레이트너(Straightner)이거나,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개의 수평루버이거나, 수평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개의 수직 루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루버는 상기 열교환기에서 실외공기 또는 실내공기가 토출되는 공간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및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정연수단의 다른 일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6과 도 7은 도 4의 A-A선 및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 실외공기를 흡입하는 실외공기 흡입공(42) 및 실내공기를 배출하는 실내공기 배출공(48)이 형성됨과 아울러 이와 대향되는 면에 실외공기를 배출하는 실외공기 배출공(44) 및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실내공기 흡입공(46)이 형성된 장방형의 케이스(32)와, 상기 케이스(32)의 중앙에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실외공기와 실내공기 사이에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열교환기(50)와, 상기 배출공(44,48) 내측에 설치되어 실외공기 또는 실내공기를 배출시키는 송풍수단(60,70)과, 상기 흡입공을 통하여 흡입된 실외공기 또는 실내공기를 상기 열교환기(50) 측으로 안내하는 유로 가이드(82,84)와, 상기 케이스(32) 내부에 상기 열교환기(50)에서 실외공기 또는 실내공기가 토출되는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50)를 통과한 실외공기 또는 실내공기를 층류 유동으로 변환시켜주는 유동정류(流動定流)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32)는 일면에 상기 실외공기 흡입공(42) 및 실내공기 배출공(48)이 형성되고, 이와 대향되는 면에 상기 실외공기 배출공(44) 및 실내공기 흡입공(46)이 형성되며, 일측면에 상기 열교환기(50)가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점검구(34h)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점검구(34h)에는 점검커버(34)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기(50)의 상/하단이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 상,하면에 각각 가이드 홈(36)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32)에 형성된 흡입공(42,46) 및 배출공(44,48)에는 각각 상기 케이스(32)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덕트 연결부(42a,44a,46a,48a)가 형성되되, 상기 실외공기 흡입공(42)에 형성된 덕트 연결부(42a)는 실외 측과 연결된 실외공기 흡입덕트(미도시)와 연결되고, 상기 실외공기 배출공(44)에 형성된 덕트 연결부(44a)는 실내 측과 연결된 실외공기 배출덕트(미도시)와 연결되며, 상기 실내공기 흡입공(46)에 형성된 덕트 연결부(46a)는 실내 측과 연결된 실내공기 흡입덕트(미도시)와 연결되고, 상기 실내공기 배출공(48)에 형성된 덕트 연결부(48a)는 실외 측과 연결된 실내공기 배출덕트(미도시)와 연결된다.
다음, 상기 열교환기(50)는 사각형상 또는 육각형상의 열교환막(50a)에 복수개의 가이드 리브(50b)가 대각선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된 제1,2열교환 유닛(52,54)이 교대로 길이방향으로 적층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제1,2열교환 유닛(52,54)은 상기 가이드 리브(50b)의 설치방향에 따라 구분된다.
이때, 실외공기는 상기 열교환기(50)를 기준으로 일측면 하부로 유입되어 타측면 상부로 토출되고, 실내공기는 상기 열교환기(50)를 기준으로 타측면 상부로 유입되어 일측면 하부로 토출되면서 실외공기와 실내공기 사이에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열교환기(50)의 후단과 케이스(32) 사이에는 바이패스 유로(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에는 바이패스 댐퍼(38)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실내공기 흡입공(46)으로부터 흡입된 실내공기가 상기 열교환기(50)를 통과하지 않고 바로 상기 실내공기 배출공(48) 측으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상기 급기송풍수단(60)은 상기 실외공기 배출공(44) 내측에 설치되는 일종의 시로코 팬인 급기팬(62)과, 상기 급기팬(62)이 내장되어 실외공기를 상기 실외공기 배출공(44) 측으로 안내하는 팬 하우징(64)과, 상기 급기팬(62)을 구동시키는 모터(66)와, 상기 모터(66)를 상기 팬 하우징(64)에 고정시키는 모터 지지대(68)로 구성되고, 상기 배기송풍수단(70) 역시 상기 급기송풍수단(60)과 마찬가지로 상기 실내공기 배출공(48) 내측에 설치되는 일종의 시로코 팬인 배기팬(72)과, 상기 배기팬(72)이 내장되어 실내공기를 상기 실내공기 배출공(48) 측으로 안내하는 팬 하우징(74)과, 상기 배기팬(72)을 구동시키는 모터(76)와, 상기 모터(76)를 상기 팬 하우징(74)에 고정시키는 모터 지지대(78)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급기팬(62)을 구동시키는 모터(66) 및 상기 배기팬(72)을 구동시키는 모터(76)는 사용자가 상기 점검구(34h)를 통하여 손쉽게 탈거하여 점검 및 수리 등을 할 수 있도록 각각 상기 점검구(34h)가 형성된 케이스(32)의 일측면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다음, 상기 유로 가이드(82,84)는 상기 실외공기 흡입공(42)으로 유입된 실외공기를 상기 열교환기(50) 측으로 안내하는 동시에 이와 구획되도록 상기 열교환기(50)에서 토출되는 실내공기를 상기 실내공기 배출공(48)으로 안내하는 실외공기 유로 가이드(82)와, 상기 케이스(32)와 열교환기(50)의 타측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공기 흡입공(46)으로 유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열교환기(50) 측으로 안내하는 동시에 이와 구획되도록 상기 열교환기(50)에서 토출되는 실외공기를 상기 실외공기 배출공(44)으로 안내하는 실내공기 유로 가이드(84)로 나뉘어진다.
이때, 상기 실외공기 유로 가이드(82)는 상기 케이스(32) 내측 상기 실외공기 흡입공(42) 및 실내공기 배출공(48)과 상기 열교환기(50) 일측면 사이에 설치되는데, 상기 실외공기 흡입공(42)을 통하여 흡입된 실외공기를 상기 열교환기(50)의 일측면 하부로 안내하도록 상기 실외공기 흡입공(42)과 연결된 부분은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기(50)의 일측면 상부로 토출된 실내공기를 상기 실내공기 배출공(48)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실내공기 배출공(48)과 연결된 부분은 하향 융기되도록 형성된다.
물론, 상기 배기송풍수단(70)은 상기 실내공기 배출공(48) 내측 상기 실외공기 유로 가이드(82)의 하향 융기된 부분에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실내공기 유로 가이드(84)는 상기 케이스(32) 내측 상기 실외공기 배출공(44) 및 실내공기 흡입공(46)과 상기 열교환기(50)의 타측면 사이에 설치되는데, 상기 열교환기(50)의 타측면 상부로 토출된 실외공기를 상기 실외공기 배출공(44)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실외공기 배출공(44)과 연결된 부분은 하향 융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실내공기 흡입공(46)을 통하여 흡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열교환기(50)의 타측면 하부로 안내하도록 상기 실내공기 흡입공(46)과 연결된 부분은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물론, 상기 급기송풍수단(60)은 상기 실외공기 배출공(44) 내측 상기 실내공기 유로 가이드(84)의 하향 돌출된 부분에 내장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실외공기 유로 가이드(82) 및 실내공기 유로 가이드(84) 사이에 상기 열교환기(50)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실외공기 유로 가이드(82) 및 실내공기 유로 가이드(84)의 끝단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가이드 홈(82a,84a)이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기(50)의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82a,84a)에 슬라이딩 끼움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가이드 돌기(82b,84b)가 형성된다.
다음, 상기 유동정류수단은 수평방향으로 소정 두께(W)를 가진 복수개의 채널(92a,94a)이 형성된 제1,2스트레이트너(Straightner : 92,94)로써, 각각 상기 열교환기(50)와 접하는 상기 실외공기 유로 가이드(82) 끝단 또는 상기 실내공기 유로 가이드(84) 끝단에 설치되되, 상기 흡입공(42,46) 또는 배출공(44,48)이 형성된 케이스(32)의 일면에 대해 평행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2스트레이트너(92,94)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복수개의 채널(92a,94a)이 형성되기 때문에 공기가 상기 채널(92a,94a)을 따라 유동되면서 층류 유동으로 변환됨으로 난류유동에 의해 유동저항 및 유동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어 송풍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2스트레이트너(92,94)는 소정 두께(W)를 가진 복수개의 채널(92a,94a)로 구성되고, 상기 급기팬(62) 또는 배기팬(72)이 구동됨에 따라 상기 급기팬(62) 또는 배기팬(72) 측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상기 제1,2스트레이트너(92,94)의 선,후단에 압력차가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제1,2스트레이트너(92,94)의 전면에 걸쳐 골고루 공기가 유동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1,2스트레이트너(92,94)의 전면에 걸쳐 골고루 공기가 유동됨에 따라 상기 열교환기(50)의 전면에 걸쳐 공기가 골고루 유동되어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동정류수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개의 수평 루버(102)이거나, 수평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개의 수직 루버(104)일 수도 있는데, 상기 루버(102,104)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도록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물론, 상기 유동정류수단은 상기 수평 루버(102)로만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수직 루버(104)로만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수평 루버(102)와 수직 루버(104)가 근접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수평 루버(102)가 설치된 경우 상기 열교환기(50)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수평 루버(102)의 양면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정류되고, 상기 수직 루버(104)가 설치된 경우 상기 열교환기(50)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수직 루버(104)의 양면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정류되어 난류유동을 층류유동으로 변환시킨다.
이때, 상기 수평 루버(102)와 수직 루버(104)는 상기 열교환기(50)로부터 실외공기 또는 실내공기가 토출되는 공간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환기장치가 정지된 경우 상기 열교환기(50)로부터 실외공기 또는 실내공기가 토출되는 공간을 막아주도록 작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 루버(102)는 양측단에 돌출된 회전돌기(102a)가 양측면에 설치된 지지대(10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회전돌기(102a)가 수직하게 설치되는 별도의 연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수평 루버(102) 중 하나의 회전돌기(102a)가 스텝모터(미도시)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직 루버(104) 역시 상기 수평 루버(102)와 마찬가지로 선,후단에 돌출된 회전돌기(104a)가 상,하면에 설치된 지지대(10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회전돌기(104a)가 수평하게 설치되는 별도의 연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수직 루버(104) 중 하나의 회전돌기(104a)가 스텝모터(미도시)와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환기장치를 작동시키면, 상기 급기팬(62) 및 배기팬(72)이 구동되면서 실외공기 또는 실내공기를 송풍시키게 되고, 상기 케이스(32) 내부로 유입된 실외공기 또는 실내공기는 상기 열교환기(5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진 다음, 실외공기는 실내 측으로 공급되는 동시에 실내공기는 실외 측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실외공기가 공급되는 과정을 도 6을 참조로 하여 살펴보면, 상기 급기팬(62)이 회전됨에 따라 실외 측의 실외공기는 상기 실외공기 흡입덕트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실외공기 흡입공(42)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32)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케이스(32) 내부로 유입된 실외공기는 상기 실외공기 유로 가이드(82)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50)의 일측면 하부로 안내되며, 상기 열교환기(50)를 통과하면서 실내공기와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진 다음, 상기 열교환기(50)의 타측면 상부로 토출되어 상기 제1스트레이트너(92)의 각각의 채널(92a)을 통과하면서 층류유동으로 변환된다.
이때, 상기 제1스트레이트너(92)는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두께(W)를 가진 복수개의 채널(92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외공기가 상기 채널(92a)을 따라 유동되면서 층류 유동으로 변환되어 난류 유동에 의한 유동저항 및 유동손실을 저감시켜 송풍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제1스트레이트너(92)의 선,후단의 압력차로 인하여 실외공기가 상기 제1스트레이트너(92)의 전면에 걸쳐 골고루 유동되는 동시에 이와 연동되어 실외공기가 상기 열교환기(50) 전면에 걸쳐 골고루 유동됨으로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후, 상기 제1스트레이트너(92)를 통과한 실외공기는 상기 급기팬(62)을 통과하여 상기 케이스(32) 외부로 배출되는데, 상기 실외공기 배출공(44)을 통하여 상기 실외공기 배출덕트에 의해 안내되어 실내 측으로 공급된다.
아울러, 실내공기가 배출되는 과정을 도 7을 참조로 하여 살펴보면, 상기 배기팬(72)이 회전됨에 따라 실내 측의 실내공기는 상기 실내공기 흡입덕트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실내공기 흡입공(44)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32)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케이스(32) 내부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상기 실내공기 유로 가이드(84)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50)의 타측면 하부로 안내되며, 상기 열교환기(50)를 통과하면서 실내공기와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진 다음, 상기 열교환기(50)의 일측면 상부로 토출되어 상기 제2스트레이트너(94)의 각각의 채널(94a)을 통과하면서 층류유동으로 변환된다.
이때, 상기 제2스트레이트너(94) 역시 상기 제1스트레이트너(92)와 동일한 작용을 하여 송풍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후, 상기 제2스트레이트너(94)를 통과한 실내공기는 상기 배기팬(72)을 통과하여 상기 케이스(32) 외부로 배출되는데, 상기 실내공기 배출공(48)을 통하여 상기 실내공기 배출덕트에 의해 안내되어 실외 측으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는 케이스 내부에 열교환기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공간에 난류를 층류로 변환시켜주도록 스트레이트너, 수평 루버, 수직 루버 등과 같은 유동정류수단을 설치하기 때문에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정류수단을 통과하면서 층류로 변환되어 난류유동에 의한 유동저항 및 유동손실을 방지할 수 있어 송풍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는 소정 두께의 채널이 형성된 스트레이트너,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도록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 수평 루버 및 수직 루버 등과 같은 유동정류수단이 열교환기와 팬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유동정류수단의 선,후단 측의 압력 차로 인하여 유동정류수단의 전면에 걸쳐 공기가 골고루 유동되는 동시에 이와 연동되어 상기 열교환기 전면에 걸쳐 공기가 골고루 유동됨으로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환기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환기장치가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가 도시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정연수단의 다른 일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6은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4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32 : 케이스 42 : 실외공기 흡입공
44 : 실외공기 배출공 46 : 실내공기 흡입공
48 : 실내공기 배출공 50 : 열교환기
60 : 급기송풍수단 70 : 배기송풍수단
82 : 실외공기 유로 가이드 84 : 실내공기 유로 가이드
92 : 제1스트레이트너 94 : 제2스트레이트너
102 : 수평 루버 104 : 수직 루버

Claims (8)

  1. 실외공기 또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한 쌍의 흡입공과 실외공기 또는 실내공기를 배출하는 한 쌍의 배출공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한 쌍의 배출공 내측에 각각 설치되어 실외공기 또는 실내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수단과,
    상기 케이스 내부에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실외공기와 실내공기 사이에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열교환기에서 실외공기 또는 실내공기가 토출되는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실외공기 또는 실내공기를 층류 유동으로 변환시켜주는 유동정류(流動定流)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일면에 실외공기 흡입공 및 실내공기 배출공이 형성되고, 이와 대향되는 면에 실외공기 배출공 및 실내공기 흡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실외공기 흡입공을 통하여 흡입된 실외공기를 상기 열교환기 측으로 안내하는 동시에 이와 구획되도록 상기 열교환기에서 토출되는 실내공기를 상기 실내공기 배출공으로 안내하는 실외공기 유로 가이드와, 상기 실내공기 흡입공으로 유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열교환기 측으로 안내하는 동시에 이와 구획되도록 상기 열교환기에서 토출되는 실외공기를 상기 실외공기 배출공으로 안내하는 실내공기 유로 가이드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정류수단은 상기 열교환기와 접하는 상기 실내공기 유로 가이드 끝단 또는 상기 실외공기 유로 가이드 끝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정류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대해 평행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정류수단은 소정 두께를 가진 복수개의 채널이 형성된 스트레이트너(Straightn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정류수단은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개의 수평루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정류수단은 수평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개의 수직 루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루버는 상기 열교환기에서 실외공기 또는 실내공기가 토출되는 공간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KR10-2003-0071182A 2003-10-13 2003-10-13 환기장치 KR100507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182A KR100507376B1 (ko) 2003-10-13 2003-10-13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182A KR100507376B1 (ko) 2003-10-13 2003-10-13 환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913A KR20050035913A (ko) 2005-04-20
KR100507376B1 true KR100507376B1 (ko) 2005-08-09

Family

ID=37239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1182A KR100507376B1 (ko) 2003-10-13 2003-10-13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73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797B1 (ko) * 2006-08-03 200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 장치
KR100933420B1 (ko) * 2007-11-08 2009-12-2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콘덴싱보일러의 열교환기
KR102331629B1 (ko) * 2020-04-20 2021-11-25 김우진 열교환 효율 향상을 위한 유로형상을 갖는 전열교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913A (ko) 200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69057A1 (en) Ventilator
US20050287945A1 (en) Ventilating system
CN1329694C (zh) 整体式空调器及其空气导向构件
KR100507376B1 (ko) 환기장치
CN212511503U (zh) 窗式空调器
KR100507375B1 (ko) 환기장치
KR100532346B1 (ko) 환기장치
EP1682829B1 (en) Ventilator
KR100542940B1 (ko) 환기장치
KR100550753B1 (ko) 환기장치
KR100532350B1 (ko) 환기장치
KR100507373B1 (ko) 환기장치
KR20030063868A (ko) 환기장치
WO2005036067A1 (en) Ventilator
KR20060121053A (ko) 폐열회수 환기장치의 설치방법
KR100532348B1 (ko) 환기장치
EP1680628B1 (en) Ventilator
KR100507374B1 (ko) 환기장치
KR100532349B1 (ko) 환기장치
KR100532351B1 (ko) 환기장치
KR100550754B1 (ko) 환기장치
CN100434819C (zh) 换气装置
JPH03282132A (ja) 空気調和装置
KR101138478B1 (ko) 폐열회수 환기장치
KR20060026764A (ko) 폐열회수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